[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37332B1 - Fireplace with Boiler - Google Patents

Fireplace with Boi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332B1
KR100937332B1 KR1020070134483A KR20070134483A KR100937332B1 KR 100937332 B1 KR100937332 B1 KR 100937332B1 KR 1020070134483 A KR1020070134483 A KR 1020070134483A KR 20070134483 A KR20070134483 A KR 20070134483A KR 100937332 B1 KR100937332 B1 KR 100937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er
handle
fireplace
door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44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66788A (en
Inventor
서문호
Original Assignee
서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문호 filed Critical 서문호
Priority to KR1020070134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7332B1/en
Publication of KR20090066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7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332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24B1/19Supplying combustion-air
    • F24B1/1907Supplying combustion-air in combination with provisions for heating both air and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use of heat exchange means , e.g. using a particular heat exchange medium, e.g. oil, gas  
    • F24B1/1881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use of heat exchange means , e.g. using a particular heat exchange medium, e.g. oil, gas   the heat exchange medium being either water or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2Doors; Screens; Fuel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를 겸비한 벽난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난로의 기능을 이용하여 실내난방을 수행함과 동시에 벽난로의 열기를 이용하여 보일러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전면은 창문이 구성된 도어가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부는 장작과 같은 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는 공간인 연소실을 가지되 전면부의 하부측은 연소시 화기조절을 위해 산소유입량을 조절하는 조절부가 구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측에 구성되어 하부의 연소실에서 상승한 열기를 열원으로 하여 내부에 구성된 온수관을 가열하는 구성을 가진 보일러와, 상기 본체의 연소실과 상기 보일러 내부에 구성된 열기 이동통로인 연통을 모두 지난 열기 및 유해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배기관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보일러기능을 겸한 벽난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place having a boiler, and more particularly, a front door is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front door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boiler by using the heat of the fireplace while simultaneously performing indoor heating using the function of the fireplace. It has a combustion chamber that is coupled to the interior and the space for burning fuel such as firewood, but the lower side of the front portion is configur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is composed of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oxygen inflow rate for the control of fire during combustion; The boiler having a configuration that heats the hot water pipe configured therein with the heat generated from the combustion chamber at the lower portion as a heat source, and the heat and the harmful gas passing through both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main body and the heat transfer passage configured inside the boiler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Regarding the fireplace functioning as a boiler, characterized by an exhaust pipe A.

Description

보일러기능을 겸한 벽난로{Fireplace with a boiler}Fireplace with boiler function {Fireplace with a boiler}

본 발명은 보일러를 겸비한 벽난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난로의 기능을 이용하여 실내난방을 수행함과 동시에 벽난로의 열기를 이용하여 보일러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보일러기능을 겸한 벽난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place having a boi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replace having a boiler function that can perform a function of the boiler by using the heat of the fireplace while performing indoor heating using the function of the fireplace. .

일반적으로 벽난로라 함은 거실 등의 실내 벽면에 설치되어 장작, 석탄 등의 고체연료를 연소시켜 생긴 연소열에 의해 실내난방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난로를 지칭하는 말로서,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벽난로는 실내난방을 기능을 수행하나 온수를 데우는 기능과 같은 보일러의 기능은 배제되어 왔으나 현재의 벽난로는 보일러의 기능도 추가하기 위해 여러 가지로 개발되고 있다.In general, the term "fireplace" refers to a stove installed in an interior wall of a living room and the like and has a function of performing indoor heating by combustion heat generated by burning solid fuel such as firewood and coal. Boiler functions such as heating the room but heating the hot water have been excluded, but the current fireplace is being developed in various ways to add the boiler function.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보일러기능을 겸한 벽난로는 일정수준으로 난방 및 보일러의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만족할 수 있을 정도로 발전하고 있으나 연료를 연소시킬 때 형성되는 유해가스나 연기를 실내로 역행하여 실내환경을 오염시키고 있다.However, the fireplace with boiler function, which has been developed so far, is developed to satisfy the role of heating and boiler to a certain level, but it returns to indoors by backing up harmful gases or smoke generated when burning fuel. It is polluting.

벽난로의 전면부에 유리창문을 가진 도어를 설치하여 연기 및 유해가스가 실내로 역행하는 것을 방지하고 본체의 하단부에 공기순환로를 형성하여 연소실의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설치된 유리창문이 내부의 유해가스로 인해 그을리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Glass doors are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fireplace to prevent smoke and harmful gases from going back to the room, and air circulation paths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ody to check the combustion chamber. To prevent burning or contamination.

본 발명의 보일러기능을 겸한 벽난로는 종래의 벽난로에 비해 설치가 간단하고, 보일러와 배기관의 청소도 용이하며, 종래의 보일러겸용 벽난로가 순수한 난방기능과 보일러의 기능을 추구하는 데 비해 연소시 실내로의 연기가 역행하는 것을 방지하여 더욱 쾌적한 실내환경에서 따뜻한 온기를 느낄 수 있게 된다.The fireplace having a boiler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er to install than the conventional fireplace, and easy to clean the boiler and the exhaust pipe, the conventional boiler combined fireplace to the interior during combustion, compared to the pursuit of pure heating function and boiler function This prevents the smoke from going backward, so you can feel the warmth in a more pleasant indoor environment.

본 발명은 보일러를 겸비한 벽난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난로의 기능을 이용하여 실내난방을 수행함과 동시에 벽난로의 열기를 이용하여 보일러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보일러기능을 겸한 벽난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place having a boi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replace having a boiler function that can perform a function of the boiler by using the heat of the fireplace while performing indoor heating using the function of the fireplace. .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기한 목적을 가진 본 발명인 보일러기능을 겸한 벽난로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ireplace with a boiler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object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보일러기능을 겸한 벽난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대표도이다.1 is a representa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eplace having a boiler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보일러기능을 겸한 벽난로는 크게 도 2에서와 같이 벽난로기능을 수행하는 부분과 벽난로에서 생기는 열을 열원으로 하여 온수를 데우는 도 11에서와 같이 보일러부분으로 나누어진다.The fireplace having a boiler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ivided into a boiler part as shown in FIG. 11, which heats hot water by using a heat source as a heat source and a part performing a fireplace function as shown in FIG. 2.

보일러기능을 겸한 벽난로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은 창문(302)이 구성된 도어(3)가 개폐가능하도록 결합 되고 내부는 장작과 같은 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는 공간인 연소실(2)을 가지되 전면부의 하부에는 연소시 화기조절을 위해 산소유입량을 조절하는 조절부(4)가 구성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상부측에 구성되어 하부의 연소실(2)에서 상승한 열을 열원으로 하여 내부에 구성된 온수관(9)을 가열하는 구성을 가진 보일러(8)와, 상기 본체(1)의 연소실(2)에서 생긴 내부 열기 및 유해가스가 보일러(8) 내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배기관(11)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fireplace functioning as a boiler is a combustion chamber (2), the front of which is coupled to open and close a door (3) having a window (302), and the inside of which is a space for burning fuel such as firewood (2). In the lower part of the front part has a main body (1) consisting of a control unit (4) for adjusting the oxygen flow rate for controlling the fire during combustion, and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 is configured in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2) The boiler 8 which has the structure which heats the hot water pipe | tube 9 comprised inside with the heat which rose as the heat source, and the internal heat | fever and harmful gas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d in the combustion chamber 2 of the said main body 1 carry out the inside of the boiler 8; It consists of an exhaust pipe (11) that passes through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도 2는 본 발명의 벽난로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내부에 장작과 같은 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는 공간인 연소실(2)을 가지는 본체(1)의 전면은 상하로 개폐가능한 도어(3)가 구성되고 상기 도어(3)에는 내부의 연소실(2)이 보이도록 창문(302)이 구성되어 있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eplac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of the body (1) having a combustion chamber (2) that is a space for burning fuel such as firewood therein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3) The door 3 is configured with a window 302 so that the combustion chamber 2 therein is visible.

그리고 상기 본체(1)의 전면부 하부에는 연소시 화기조절을 위해 연소실(2)내의 산소유입량을 조절하는 조절부(4)가 구성되어 있다.And the lower part of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1 is configured to adjust the amount of oxygen flow in the combustion chamber (2) for controlling the fire during combustion.

또한, 본체(1)의 하부에는 뜨거운 본체(1)가 바닥과의 직접적으로 접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다리가 형성되고 상기 다리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연소 후 생 기는 재를 담는 재받이(15)를 놓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leg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 to avoid direct contact of the hot main body 1 with the floor, and a backrest 15 containing ash generated after combustion may be plac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legs. Will be.

도 3는 본 발명에서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손잡이의 구조를 나타낸 개요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도어의 기능을 나타낸 개요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andl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function of the door in the present invention.

창문(302)의 재질은 고온에 잘 견디며 충격에도 가장 재질로서 제작하여야 바람직 할 것이다.The material of the window 302 is good to withstand high temperatures and to be manufactured as the most material against impact.

도어(3)를 수직으로 개폐할 수 있게 형성한 것은 장작과 같은 연료를 연소실(2) 내부로 투입시 필요한 만큼 개폐할 수 있게 하여 혹시라도 발생할 연기가 실내로 역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이며, 도어(3)를 만일 여닫이 형식으로 한다면 장작과 같은 연료를 연소실로 투입시 도어를 완전 개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와 같이 수직으로 개폐하도록 하였다.The door 3 can be opened and closed vertically so that fuel such as firewood can be opened and closed as necessary when the fuel, such as firewood, is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2, to prevent any smoke to be returned to the room. If the type (3) is opened and close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door must be completely opened when the fuel such as firewood is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so that it is opened and closed vertically as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도어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사각형태의 도어프레임(301)과 상대적으로 상기 도어프레임(301)보다는 얇은 두께를 가지는 유리재질의 창문(302)으로 구성되어 있고, 도어(3)의 손잡이는 도 4에서와 같이 상하로 적층된 두 개의 상부 손잡이(303a) 및 하부 손잡이(303b)로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tangular door frame 301 and a glass window 302 having a thickness thinner than that of the door frame 301. The handle is composed of two upper and lower handles 303a and 303b stacked up and down as shown in FIG. 4.

도 13은 손잡이 부분을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이며, 도 14는 상부손잡이와 도어프레임의 관계를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이다.
상기 하부 손잡이(303b)는 상면에 상하로 탄성 및 복원력이 가해지는 판스프링(305)이 고정된 채 도어(3)의 전면부 하측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상부 손잡이(303a)는 전체적인 형상은 'L'자 형상을 취하면서 양측면의 일지점이 상기 도어프레임(301)의 내측면과 힌지결합하여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L'자 형상의 상부 손잡이(303a)의 수평부분은 하부 손잡이(303b)의 상면에 고정된 판스프링(305)을 누르는 압력에 의해 덮는 커버역할을 취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andle portion, Figure 1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pper handle and the door frame.
The lower handle 303b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door 3 while the leaf spring 305 is a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elastic springs and restoring force, and the upper handle 303a has the overall shape ' While taking the L 'shape, one point on both sides is hinged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frame 301 so as to be rotatable up and down.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L'-shaped upper handle 303a is preferably formed to take a role of covering by the pressure pressing the leaf spring 305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andle (303b).

상부 손잡이(303a)의 도어프레임(301)과의 힌지결합은 일반적인 결합방법으로 'L'자형상을 지닌 상부 손잡이(303a)의 수직부분의 양측면 일지점에 돌기(304) 를 형성하고, 도어프레임(301)의 내측면에는 상기 돌기(304)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인 돌기홈을 형성함으로써 상부 손잡이(303a)는 돌기홈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상하로 회동가능한 구조가 된다.Hinge coupling of the upper handle 303a with the door frame 301 forms protrusions 304 at both sides of one vertical portion of the upper handle 303a having an 'L' shape as a general coupling method, and the door frame. By forming a protrusion groove which is a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304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301, the upper handle 303a becomes a structure which can be rotated up and down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protrusion groove.

상술한 돌기홈은 일반적으로 돌기와 결합되는 형태로서 편의상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다.The above-mentioned protrusion groove is generally not shown in detail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being combined with the protrusion.

그리고 하부 손잡이(303b)의 상면에는 상하로 힘이 작용하는 판스프링(305)이 상기 돌기(304)를 힌지점으로 하여 상하로 회동하는 상부손잡이(303a)의 수평부 하면과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로 회동가능한 상기 상부 손잡이(303a)와 도어프레임(301)에 고정되어 있는 하부 손잡이(303b)의 관계는 상기 상부 손잡이(303a)와 하부 손잡이(303b)를 동시에 잡으면 상하로 회동가능한 상부 손잡이(303a)가 하부측으로 누르는 힘에 의해 도어프레임의(301)의 하단부 전면측에 고정되어 있는 하부 손잡이(303b)측으로 가까워 지게 되는 구조가 된다.
하부 손잡이(303b)의 상면에 구성되는 탄성력부재는 상하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탄성스프링을 구성하여도 되나, 본 발명에서는 판스프링(305)을 ‘U’자 형태로 구부려 변곡점이 되는 볼록한 부분을 하부 손잡이(303b)의 상면과 고정시키고 ‘U’자 형태의 양 끝단부가 상기 상부 손잡이(303a)의 수평부(HH) 하면과 맞닿도록 하였다.
상기 하부 손잡이(303b)의 상면에 판스프링(305)을 다수개로 구성한다면 상기 상부 손잡이(303a)의 탄성력은 더욱더 커지는 것은 당연하다.
도면부호 H는 돌기홈을 나타낸 것이다.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andle 303b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eaf spring 305 acting up and down abuts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upper handle 303a which rotates up and down with the protrusion 304 as a hinge point. .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pper handle 303a rotatable up and down and the lower handle 303b fixed to the door frame 301 can be rotated up and down by simultaneously holding the upper handle 303a and the lower handle 303b. The handle 303a is closer to the lower handle 303b which is fixed to the front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door frame 301 by a force pushing the lower side.
The elastic force memb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andle 303b may constitute an elastic spring so that the elastic force acts up and down,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x portion that becomes the inflection point by bending the leaf spring 305 in a 'U' shape is lower.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303b is fixed, and both ends of the 'U' shape ar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HH of the upper handle 303a.
When the leaf spring 305 is formed in plura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andle 303b, the elastic force of the upper handle 303a becomes more natural.
Reference numeral H represents a projection groove.

따라서, 상부 손잡이(303a)에 하부방향으로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상부 손잡이(303a)의 몸체와 하부 손잡이(303b)의 몸체가 닿게 하더라도 그 인위적인 힘이 사라지는 순간 판스프링(305)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상부 손잡이(303a)는 상부방향으로 밀리게 된다.Therefore, even if the body of the upper handle 303a and the body of the lower handle 303b to reach the upper handle 303a by applying an artificial force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restoring force of the leaf spring 305 acts as soon as the artificial force disappears The handle 303a is pushed upward.

그러므로 특별하게 상부손잡이(303a)에 외부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L'자형의 상부 손잡이(303a)의 수직 부분은 항상 수직면과 비교하여 비스듬하게 기울여져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Therefore, unless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handle 303a, the vertical portion of the upper handle 303a of the 'L' shape is always inclined obliquely compared to the vertical surface.

본 발명에서 도어(3)는 본체(1)의 전면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안내프레임(5)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구조로서, 도어(3)를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1)의 전면부에 수직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안내프레임(5)에 상부 손잡이(303a)와 하부 손잡이(303b)를 동시에 힘을 가하여 상술한 상부 손잡이(303a)와 하부 손잡이(303b)의 관계에 의해 상부 손잡이(303a)의 수직부(HV)를 거의 수직방향과 나란하도록 일치시켜 도 5에서와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시켜 안착시킨 것이다.
도 15는 도어를 상하로 이동시킬 때 상부 손잡이의 형태를 나타낸 개요도이며, 도 16은 도어가 고정되어 있을 때 상부 손잡이의 형태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서의 F1은 하부 손잡이(303b) 상면에 판스프링(305)의 변곡점부분이 고정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설명의 편의상 ‘L’자 형상인 상부 손잡이(303a)를 수직부와 수평부로 세분화하고 각각 부호를 수직부는 HV로 수평부는 HH로 표기하였다.
도 15에서와 같이 상부 손잡이(303a)의 수평부(HH)와 하부 손잡이(303b)를 동시에 잡으면 회동 가능한 구조의 상부 손잡이(303a)는 인위적으로 누르는 손힘(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HF로 도시하였음)에 의해 하부 손잡이(303b)의 상면에 구성된 판스프링(305)을 누르게 된다.
이때, 상부 손잡이(303a)의 수직부(HV)는 수직방향과 거의 일치하는 형태를 취하게 되며, ‘U’자 형태를 취하고 있는 판스프링(305)은 상부 손잡이(303a)의 누르는 압력에 의해 판스프링(305)의 양끝단부가 벌어지며 일자형태에 가까운 형태를 취하게 된다.
이렇게 수직에 가깝게 형태를 취한 상부 손잡이(303a)의 수직부(HV)는 안내프레임(5)의 내면과 마찰작용이 거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도어(3)는 수직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부 손잡이(303a)를 누르는 인위적인 힘(HF)이 사라지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305)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 손잡이(303a)는 화살표 B처럼 돌기(304)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부방향으로 회동하려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부방향으로 회동하려는 상부 손잡이(303a)는 특히 상부 손잡이(303a)의 수직부(HV)의 양측 가장자리가 안내프레임(5)의 내측에 위치하여 있는 관계로 회동에 제약을 받게 된다.
도 4를 보면 상부 손잡이(303a)의 수직부(HV)가 수평부(HH)보다 상대적으로 양측방향으로 길이가 길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도 5에서 상부 손잡이(303a)의 수직부(HV)의 양측 가장자리는 안내프레임(5)에 삽입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손잡이(303a)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이 사라졌을 때 판스프링(305)의 복원력에 의해 도 16의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하려하나 상부 손잡이(303a)의 수직부(HV)의 하단부는 안내프레임(5)의 내벽에 부딪혀 더 이상 상부측으로 회동하지 못하고 안내프레임(5)의 내벽을 밀치게 되고 이렇게 안내프레임(5)의 내벽을 밀치는 힘은 힘의 작용과 반작용에 의해 상부 손잡이(303a)의 수직부(HV)에 구성된 돌기(304)에 전달되고 상기 돌기(304)는 도어프레임(301)의 돌기홈(H)과 결속되어 있는 관계로 도어프레임(301)을 자연적으로 화살표 C방향으로 밀게 되면서 도어프레임(301)의 후면과 상부 손잡이(301a)의 수직부(HV) 중 E지점은 안내프레임(5)의 내벽을 서로 밀치는 결과가 되어 도어(3)는 안내프레임(5)의 내측에서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도면부호 E는 상부 손잡이(303a)의 수직부(HV)가 안내프레임(5)의 내벽과 접촉되는 지점을 나타낸 것이다.
이는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간단한 원리로서 좁은 공간의 양 벽면 사이에서 일측 벽면에는 등을 맞대고 반대편 벽면에는 발을 맞대어 몸의 형상을 L자 형상이 되도록 하여 발에 힘을 주어 발과 맞대어 있는 벽면을 밀치면 자연스럽게 등은 등과 맞대어 있는 벽면에 밀착되어 외부의 힘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힘의 작용과 반작용의 원리에 의해 우리는 양 벽면 사이에서 지탱할 수 있는 것과 같다.
여기서, 벽면 사이를 본 발명의 안내프레임(5)의 내측이라 하면, 등은 본 발명의 도어프레임(301)과 대비되고 발은 상부 손잡이(303a)의 수직부(HV)와 대비되며, 발에 작용하는 힘은 판스프링(305)의 복원력으로 대비할 수 있다.
단, 상술한 설명이 이행되기 위한 전제조건은 판스프링(305)의 복원력이 도어프레임(301)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힘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이는 도어프레임(301)의 하중을 측정하여 도어프레임(301)을 지탱하기에 충분한 탄성복원력의 강도를 가지는 판스프링(305)으로 구성한다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도어프레임(301)의 하중계산과 상기 도어프레임(301)의 하중보다 큰 탄성력을 지니는 판스프링(305)의 선택 및 구성은 쉽게 도출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3) is a structure for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guide frame (5) formed perpendicular to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1, the door (3) of the main body 1 as shown in FIG. The upper handle 303a and the lower handle 303b are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guide frame 5 in which the groove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front side, and thus the upper handle 303a and the lower handle 303b are connected. The vertical portion HV of 303a is aligned in parallel with the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and is inserted and seated in the arrow direction shown in FIG.
1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upper handle when the door is moved up and down, and FIG. 1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upper handle when the door is fixed.
F 1 in FIGS. 15 and 16 shows that the inflection point portion of the leaf spring 305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andle 303b.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upper handle 303a having an 'L' shape is subdivided into a vertical portion and a horizontal portion, and a reference numeral is denoted by a vertical portion by HV and a horizontal portion by HH.
As shown in FIG. 15, when the horizontal portion HH and the lower handle 303b of the upper handle 303a are simultaneously gripped, the upper handle 303a of the rotatable structure is artificially pressed by hand (shown as HF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essing the leaf spring 305 configu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andle (303b).
At this time, the vertical portion (HV) of the upper handle (303a) is to take the form almost coincident with the vertical direction, the leaf spring 305 taking the 'U' shape is due to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upper handle (303a). Both ends of the leaf spring 305 is opened to take a form close to the date.
Since the vertical portion HV of the upper handle 303a having a shape close to the vertical has little friction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frame 5, the door 3 is easily moved vertically.
However, when the artificial force HF that presses the upper handle 303a disappears, as shown in FIG. 16, the upper handle 303a has the protrusion 304 as the arrow B as the center axis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leaf spring 305. The force to rotate upward is generated.
At this time, the upper handle 303a to be rotated in the upper direction is limited in rotation since the two edges of the vertical portion HV of the upper handle 303a are located inside the guide frame 5.
Referring to FIG. 4, it can be seen that the vertical portion HV of the upper handle 303a is longer in both directions than the horizontal portion HH. In FIG. 5, the vertical portion HV of the upper handle 303a is longer. It can be seen that both edges of are inserted into the guide frame (5).
Therefore, the upper handle 303a tries to rotate in the direction of arrow B of FIG. 16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leaf spring 305 when the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disappears, bu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HV of the upper handle 303a The internal wall of the guide frame 5 is pushed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guide frame 5 and no longer rotates to the upper side. The force pushing the inner wall of the guide frame 5 is controlled by the action of the upper handle ( It is transmitted to the projection 304 formed in the vertical portion (HV) of the 303a and the projection 304 is naturally arrow C in the door frame 301 in relation to the projection groove (H) of the door frame 301 The E point of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frame 301 and the vertical portion HV of the upper handle 301a pushes the inner wall of the guide frame 5 to each other so that the door 3 is guide frame 5. It is to be fixed inside.
Reference E denotes a point where the vertical portion HV of the upper handle 303a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guide frame 5.
This is a simple principle that is used in real life. Between two walls in a narrow space, you put your back on one wall and your feet on the opposite wall so that your body is L-shaped. Naturally, the back is close to the wall facing the back, and even though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it is as if we can support between the walls by the principle of action and reaction.
Here, if the wall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guide frame 5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 is contrasted with the door frame 30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ot is contrasted with the vertical portion (HV) of the upper handle 303a, The acting force may be prepar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leaf spring 305.
However, the prerequisite for the above description to be implemented is that the restoring force of the leaf spring 305 has a sufficient force to support the load of the door frame 301, which measures the load of the door frame 301. It is composed of a leaf spring 305 having a strength of the elastic restoring force sufficient to support the door frame 301.
This means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easily derive the load calculation of the door frame 301 and the selection and configuration of the leaf spring 305 having a greater elastic force than the load of the door frame 301.

삭제delete

도 6은 본 발명에서 산소 유입부와 공기순환로가 모두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서 산소 유입부와 공기순환로가 모두 차단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서 공기순환로는 개방된 상태에서 산소유입량을 조절하는 조절판의 독립적인 회동상태를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이다.Figure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both the oxygen inlet and the air circul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both the oxygen inlet and the air circulation is block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irculation passage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ependent rotation state of the throttle to control the oxygen flow rate in the open state.

도 6과 도 7 및 도 8은 본체(1)의 전면부 하부측의 연소시 산소유입량을 조절하는 조절부(4)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조절부(4)는 본체(1)의 전면부 하단부에서 연소실(2)내로 관통된 관통구형태로 형성되어 직접적으로 산소유입량을 조절하는 공기유입로(401)와, 상기 본체(1)의 하면의 전면부측에서 연소실(2)내로 수직으로 관통된 관통구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로(401)의 보조역할을 하는 공기순환로(403)로 구성되어 있다.6, 7 and 8 show an adjusting part 4 for adjusting the oxygen inflow amount at the lower side of the front part of the main body 1, wherein the adjusting part 4 is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rt of the main body 1. Air inlet 401 which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hrough hole penetrat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2 and directly controls the oxygen inflow amount, and penetrates vertically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2 from the front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It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is composed of an air circulation path 403 to serve as an auxiliary of the air inlet path (401).

도면부호 A는 공기의 영문자인 Air의 약자이다.Reference numeral A is an abbreviation of Air, which is an English letter of air.

도 9는 본 발명에서 조절판과 개폐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이다.Figure 9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control panel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입로(401)와 공기순환로(403)는 각각 입구측에 구성된 조절판(402)과 개폐판(404)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량이 조절되게 되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지기 위한 본 발명의 조절판(402)과 개폐판(404)은 직육면체의 얇은 판형태로서 양측면의 일지점에는 각각 돌기(40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405)를 감싼 형태를 취하면서 일측단부는 본체에 고정된 판스프링(406)이 형성되어 판스프링(406)의 힘이 항상 상기 돌기(405)를 감싸면서 본체(1)측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돌기(405)를 중심축으로 하여 판스프링(406)의 지지를 받으면서 상하로 회동하는 힌지형태의 결합형태를 하고 있다.As shown in FIG. 9, the air inflow path 401 and the air circulation path 403 are respectively controlled to adjust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by the control plate 402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configured at the inlet side. The control plate 402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of the present invention to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in plate form at one point on each side of each side is formed with a projection 405, one side while taking the form of wrapping the projection 405 The end is formed with a leaf spring 406 fixed to the main body so that the force of the leaf spring 406 is always wrapped around the protrusion 405, the force pulling toward the main body 1 side, thereby actuating the protrusion 405 The hinge is engaged in a vertical shape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leaf spring 406 as a central axis.

따라서, 상기 조절판(402)과 개폐판(404)을 회동시키다 손을 놓아도 판스프링(406)이 돌기(405)를 누르는 압력에 의해 손을 놓은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7은 조절판 및 개폐판의 형상을 나타낸 일부분 단순확대도이며, 도 18은 조절판 및 개폐판의 회동에 의한 위치고정관계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조절판(402) 및 개폐판(404)이 돌기(405)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시키다 정지시켰을 경우 정지시킨 위치에서 조절판(402) 및 개폐판(404)이 외부의 힘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정지되는 원리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부호는 조절판(402) 및 개폐판(404)을 나타내는 도면부호 402와 404를 함께 기재하였으며, 조절판(402) 및 개폐판(404)의 형상은 단지 회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단순하게 도시하였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판(402) 및 개폐판(404)의 측면에는 돌기(405)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405)의 외측면에는 돌기(405)를 감싼 형태를 취하면서도 일측 단부는 본체(1)에 고정되어 있는 판스프링(406)이 구성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406)은 금속의 일측부를 고정하여 휘어지지 않을만큼 뒤로 젖힐 경우 다시 원위치 상태인 일자형태를 유지하려는 금속성질을 응용한 것으로, 판스프링(406)의 복원력은 항시 화살표 Ⅱ의 방향처럼 본체(1)측으로 향하고 있기 때문에 판스프링(406)에 의해 돌기(405)는 항시 본체(1)에 눌려져 있게 된다.
다시 말해, 판스프링(406)은 일측이 F2처럼 본체(1)에 고정되고, 고정되지 않은 타측은 돌기(405)의 직경만큼 본체(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뒤로 젖혀져 있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한 것처럼 금속재질인 판스프링(406)은 일측부를 고정하여 뒤로 젖혀진 금속은 휘어지지 않는 한 원위치 상태인 일자형태로 돌아오려 하는 성질을 지니고 있다.
이 같은 판스프링(406)의 금속성질의 특성 때문에 돌기(405)는 판스프링(406)에 의해 항시 본체(1)측으로 눌려져 있게 되는 것이다.
다만, 판스프링(406)이 돌기(405)를 감싸게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조절판(402) 및 개폐판(404)의 회동시 돌기(405)가 힌지역할을 수행하도록 돌기(405)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강제로 조절판(402) 및 개폐판(404)을 화살표 Ⅲ처럼 회동시키다가 점선의 표기된 위치에서 손을 놓게 되어도 조절판(402) 및 개폐판(404)은 손을 놓은 위치에서 정지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판스프링(406)의 탄성력은 조절판(402) 및 개폐판(404)이 중력에 의해 하부로 향하는 힘보다는 커야 한다는 게 전제조건이며,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조절판(402) 및 개폐판(404)은 단순히 연소실(2)내로 공기유입의 개폐를 위한 수단으로서 최대한 가벼운 중량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판스프링(406)은 상기 조절판(402) 및 개폐판(404)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을 정도의 탄성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의 기술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라면 조절판(402) 및 개폐판(404)의 하중계산과 조절판(402) 및 개폐판(404)의 하중보다 큰 탄성력(휘어지지 않으려는 성질)을 가지는 판스프링(406)의 재질선택 및 구성은 쉽게 도출할 수 있다.
상술한 원리를 간단히 실생활에서 살펴보면 잘 휘어지지 않는 두 철판을 맞대어 일측부를 일체가 되도록 고착시키면 두 철판은 일자형태로 유지되어 있게 된다.
이때, 두 철판 사이를 강제로 벌려 두 철판 사이에 가벼운 중량의 쇠막대기를 안착시킨 후 강제로 벌인 힘을 사라지게 하며 두 철판 사이에서 쇠막대기는 고정되어 쉽게 이탈하지 않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품과 대비하여 보면, 두 철판은 각각 본 발명의 본체(1)와 판스프링(406)이라 할 수 있고, 쇠막대기는 본 발명의 돌기(405)라 할 수 있으며, 상기 쇠막대기에 가벼운 중량의 금속이 고정되어 있으면, 상기 금속은 본 발명의 조절판(402) 내지 개폐판(404)이라 할 수 있다.
Therefore, even when the control plate 402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is rotated, the leaf spring 406 is maintained in a fixed position at the position where the hand is released by the pressure pressing the protrusion 405.
Figure 17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control panel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Figure 1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osition fixing relationship by the rotation of the control panel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17 and 18 show that when the adjustment plate 402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is rotated and stopped with the projection 405 as the central axis, the control plate 402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are stopped at an external force. As the principle of stopping in a non-acting state, reference numerals 402 and 404 representing the control plate 402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are described together, and the shape of the control plate 402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is It is merely shown to explain the principle of rotation.
As shown in FIG. 17, protrusions 405 are integrally formed on side surfaces of the adjustment plate 402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and the protrusions 405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s 405. One end portion is composed of a leaf spring 406 fixed to the main body (1).
As shown in FIG. 18, the leaf spring 406 applies a metal property to maintain a straight shape when the sheet spring 406 is fixed to one side of the metal and is bent backward so as not to bend. The restoring force of the leaf spring 406 is The projection 405 is always pressed against the main body 1 by the leaf spring 406 because it always faces toward the main body 1 in the direction of arrow II.
In other words, the leaf spring 406 is fixed to the main body 1 as one side is F 2 , the other side that is not fixed is rolled back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main body 1 by the diameter of the projection 405 as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the leaf spring 406, which is made of metal, has a property of fixing one side to return to the straight shape in the original position unless the metal rolled back is bent.
Due to the metallic properties of the leaf spring 406, the projection 405 is always pressed to the main body 1 side by the leaf spring 406.
However, the portion where the leaf spring 406 is formed to surround the protrusion 405 serves to hold the protrusion 405 so that the protrusion 405 performs a hinged area when the control plate 402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rotate. Will be
Therefore, even if the control plate 402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is forcibly rotated as arrow III, the control plate 402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remain stationary at the position where the hand is released even when the hand is released at the indicated position of the dotted line. will be.
Of course, the elastic force of the leaf spring 406 is a prerequisite that the throttle plate 402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must be greater than the force directed downward by gravity,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throttle plate 402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Is simply composed of a material having the lightest weight as a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ir inlet into the combustion chamber (2), the leaf spring 406 can support the load of the control plate 402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It is preferable to be composed of a material having a sufficient elastic strength.
This means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has a plate having elastic force (property not to bend) greater than the load calculation of the control plate 402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and the load of the control plate 402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Material selection and configuration of the spring 406 can be easily derived.
Looking at the above-mentioned principle in real life, if two iron plates that are hard to bend against each other are fixed to one side to be integrated, the two iron plates are kept in a straight shape.
At this time, the force between the two steel plates to be forced between the two steel plates to seat a light weight of the iron bar between the forced force disappears and the iron bar is fixed between the two steel plates is the same principle that does not easily escape.
In comparison wit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iron plates may be referred to as the main body 1 and the leaf spring 406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and the iron bar may be referred to as the protrusion 405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light weight metal is fixed, the metal may be referred to as the control plate 402 to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조절판(402)과 개폐판(404)의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다.
도 19는 조절판과 개폐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판(402)은 공기유입로(401)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유입로(401)의 내면과 일치하는 육면체의 얇은 판형태로서, 양측면에는 돌기(405)가 형성되어 있고 돌기(40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일측면에는 조절판(402)을 회동시키기 위해 손잡이 역할을 하는 고리(40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판(404)은 ‘ㄱ’자 형태를 지니되, ‘ㄱ’자 형태의 수직면과 수평면이 접하는 양측면에는 돌기(40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폐판(404)의 수직면의 중간 부분에는 상기 조절판(402)이 삽입되는 공간부(S)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ㄱ’자 형태의 개폐판(404)의 수직면에는 상기 공간부(S)에 의해 이분되게 되며, ‘ㄱ’자 형태의 개폐판(404)를 회동시키는 손잡이 역할을 하도록 이분된 개폐판(404)의 수직면을 잇도록 공간부(S)를 가로지르게 고리(404a)가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개폐판(404)에 형성된 고리(404a)는 공간부(S)에 안착되는 조절판(402)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대적으로 조절판(402)의 두께보다는 외부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내용의 도면부호 중 조절판(402)의 고리는 402a로, 개폐판(404)의 고리는 404a로 도시하였으며, S는 개폐판의 공간부를 나타낸 것이다.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trol plate 402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is as follows.
1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djustment plat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As shown in FIG. 19, the throttle plate 402 i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ir inflow path 401, and is formed in a thin plate shape of a hexahedron that matches the inner surface of the air inflow path 401, and protrusions 405 are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On one side of the protrusion 405 is not formed is formed a ring 402a that serves as a handle to rotate the control plate 402.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has a 'b' shape, the projection 405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surface and the horizontal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 shape.
In addition, the middle portion of the vertical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is formed with a space (S) into which the control plate 402 is inserted, the space portion on the vertical surface of the 'b' shaped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Is divided into two by (S), the ring 404a across the space (S) to connect the vertical surface of the divided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to serve as a handle to rotate the 'b' shaped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 Is configured.
In particular, the ring 404a form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preferably takes a shape that is relatively convex toward the outside rath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trol plate 402 so as not to be affected by the control plate 402 seated in the space (S). Do.
In the reference numerals described above, the ring of the throttle plate 402 is shown as 402a, the r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is shown as 404a, S represents the space portion of the open and close plat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입로(401)를 개방시키기 위해 상기 조절판(402)을 돌기(405)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부로 회동시키면 상기 개폐판(404)도 일 체로 개폐판(404)에 구성된 돌기(405)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부로 회동하면서 상기 공기순환로(403)도 함께 개방되며, 상기 공기순환로(403)를 차단하기 위해서 개폐판(404)을 회동시키면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조절판(402)도 일체로 회동하여 공기유입로(401)도 함께 차단되게 된다.As shown in FIG. 6, when the control plate 402 is rotated upward with the protrusion 405 as a central axis to open the air inflow path 401,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is also open and closed as a whole. The air circulation path 403 is also opened while rotating upwards with the protrusion 405 configured as a central axis,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is rotated to block the air circulation path 403 as shown in FIG. 7. The control plate 402 also rotates integrally, so that the air inlet passage 401 is also blocked.

공기순환로(403)는 도 6에서 화살표I 방향으로 개폐판(404)에 돌기(405)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시켜 입구를 차단하게 된다.The air circulation path 403 is rotated about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in the direction of arrow I in FIG. 6 about the central axis to block the inlet.

그러나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개폐판(404)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조절판(402)은 독자적으로 자유롭게 회동가능하나 상기 개폐판(404)은 상기 조절판(402)의 간섭으로 인해 독자적인 회동이 제한적이게 된다.
도 20은 도 6의 확대도이며, 도 21은 도 7의 확대도이고, 도 22는 도 8의 확대도이다.
도 20, 21, 22를 참조하여 상술한 조절판(402)과 개폐판(404)의 상관관계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절판(402) 및 개폐판(404)이 도 20에서와 같은 상태로 되어 있다면 이것은 개방상태로서 공기유입로(401) 및 공기순환로(403)를 통해 공기(A)가 모두 본체(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이 상태에서 공기유입로(401)을 폐쇄하고자 조절판(402)을 돌기(405)를 중심축으로 하여 화살표 R1의 방향으로 회동시킨다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판(404)의 형태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자유로운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도 20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태의 개폐판(404)이 수평형태를 취하는 개방된 상태에서는 ‘ㄱ’자 형태의 개폐판(404)의 수직면의 중간부에 형성된 공간부(S)내에서 조절판(402)이 수직 및 수평형태로 회동이 가능하며, 공간부(S)를 가로지르게 형성된 고리(404a)도 상대적으로 조절판(402)의 두께보다 외부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조절판(402)이 수평상태가 되어도 개폐판(404)의 고리(404a)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개폐판(404)을 폐쇄하고자 도 20에서 개폐판(404)을 R2의 화살표방향으로 회동시킨다면 수평상태인 개폐판(404)의 수직면은 원상태인‘ㄱ’자 형태의 수직위치에 놓이게 되고 이때 공간부(S)를 가로지르게 형성된 개폐판(404)의 고리(404a)도 수직위치를 취하면서 조절판(402)을 수직형태가 취하도록 회동시키게 된다.
조절판(402)의 수직형태는 공기유입로(401)의 폐쇄를 의미하며, 이것은 도 21과 같은 형태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도 21의 상태에서 다시 조절판(402)을 개방시키기 위해 조절판(402)을 화살표 R3처럼 회전시키면 개폐판(404)의 고리(404a)에 걸리기 때문에 개폐판(404)도 함께 회동하게 되어 개폐판(404)도 개방위치에 놓이게 된다.
하지만, 도 22의 상태에서는 개폐판(404)만을 개방시키기 위해 회전시키더라도 조절판(402)은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절판은(402)은 개폐판(404)이 개방된 상태에서만 독립적으로 자유로이 회동이 가능하며, 개폐판(404)이 폐쇄상태일 때는 회동이 제한적이게 되며, 반대로 조절판(402)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개폐판(404)은 독립적으로 자유로운 회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면부호 402a는 조절판(402)을 회동시키고자할 때 손잡이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However, in the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is opened as shown in FIG. 8, the control plate 402 can be freely rotated independently, but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is limited in its independent rotation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 control plate 402. do.
20 is an enlarged view of FIG. 6, FIG. 21 is an enlarged view of FIG. 7, and FIG. 22 is an enlarged view of FIG. 8.
20, 21, and 22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correlation between the control plate 402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in more detail.
If the throttle plate 402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is in the same state as in FIG. 20, this is an open state, and the air A is both inside the main body 1 through the air inlet 401 and the air circulation path 403. In this state, if the control plate 402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R 1 with the projection 405 as the center axis to close the air inlet 401 as shown in FIG. 22. Free rotation is possibl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This is a space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vertical surface of the 'b'-shaped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in the open state of the' b 'shaped as shown in Figure 20 and 22 in the open state taking the horizontal form In the part S, the control plate 402 can be rotat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nd the ring 404a formed to cross the space S also has a relatively convex shape to the outside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trol plate 402. Therefore, even if the adjustment plate 402 is in a horizontal state is not affected by the ring 404a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I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R 2 in FIG. 20 to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the vertical plane of the horizontal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is placed in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 shape of the original state The ring 404a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formed to cross the space S is also rotated so that the adjustment plate 402 takes a vertical shape while taking a vertical position.
The vertical shape of the throttle plate 402 means the closing of the air inlet 401, which means that the form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in order to open the control plate 402 again in the state of FIG. 21, when the control plate 402 is rotated like an arrow R 3 ,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is also rotated together because the hook 404a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is caught.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is also placed in the open position.
However, in the state of FIG. 22, even i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is rotated to open only, the adjustment plate 402 is not affected.
Therefore, the adjustment plate 402 is freely rotatable independently only in the state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is open, the rotation is limited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is closed, conversely the control plate 402 is closed In the state,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is in a state capable of freely rotating independently.
Reference numeral 402a is a portion that serves as a handle when the control plate 402 is to be rotated.

도 10은 본 발명에서 공기순환로의 기능을 나타낸 개요도이다.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function of the air circul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연소실(2)내의 산소공급은 조절판(402)의 개방에 의한 공기유입로(401)를 통해서뿐만 아니라 상기 개폐판(404)을 개방하면 공기순환로(403)를 통해서도 연소실(2)내로 산소공급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능한 구조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xygen supply in the combustion chamber 2 is not only through the air inlet 401 by the opening of the throttle plate 402 but also through the air circulation path 403 when the opening / closing plate 404 is open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2. Oxygen supply is possible as shown in FIG.

따라서, 도 10에서처럼 공기유입로(401)와 더불어 공기순환로(403)를 통한 지속적인 공기의 공급은 연소실(2)내로 연소에 필요한 충분한 산소공급이 가능하게 하며, 충분한 산고 공급은 완전연소에 도움을 주며 완전연소는 연소실(2) 내에서 그을음이 잘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준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0, the continuous supply of air through the air circulation path 403 together with the air inflow path 401 enables sufficient oxygen supply for combustion into the combustion chamber 2, and sufficient supply of algo aids in complete combustion. Complete combustion prevents soot from occurring in the combustion chamber (2).

연소실(2)의 열기는 연소실(2) 내부에서 대류 및 복사에 의해 간접적으로 보 일러(8)가 구성된 상부로 향하게 된다.The heat of the combustion chamber 2 is directed to the upper part in which the boiler 8 is comprised indirectly by convection and radiation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2.

공기유입로(401)의 조절판(402)과 공기순환로(403)의 개폐판(404)을 적당하게 조절하여 공기를 적당히 순환시켜 준다면 인위적으로 화기를 끄지 않는다면 연소실(2)내의 연료는 완전연소가 가능하여 재가 거의 남지 않게 된다.If the control plate 402 of the air inlet 401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04 of the air circulation path 403 are properly adjusted to circulate the air properly, the fuel in the combustion chamber 2 is completely burned unless artificially turned off. It is possible that very little ash remains.

여기서 연소실(2)내부의 상부에는 보일러(8)를 향하게 관통된 열유입부(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의 내부에서 형성된 열기가 직접적으로 보일러 내부로 향하지 못하도록 상기 열유입부(7)로부터 하부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곳에 열차단판(6)이 형성되어 있다.Here, the heat inlet 7 penetrated toward the boiler 8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combustion chamber 2, and the heat inlet unit (not to direct heat generated i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 directly into the boiler) The heat shield plate 6 is formed at a spaced interval from 7) to the lower side.

상기 열차단판(6)은 본체(1)의 내부 청소 및 관리가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체(1)의 내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The heat shield 6 is detachably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 in order to facilitate the internal cleaning and management of the main body 1.

착탈 가능한 열차단판(6)의 구성은 당업자들의 통례상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도면에서의 자세한 표식은 생략하였다.Since the structure of the detachable heat shield 6 is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manufactured in the ordinary practice of those skilled in the art, detailed markings in the drawings are omitted.

도 11은 본 발명에서 보일러부분을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이다.1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iler part in the present invention.

벽난로 본체(1)의 상부에는 내부에 온수관(9)이 구성되어 있는 보일러(8)가 위치하게 된다.On top of the fireplace body (1) is located a boiler (8) in which a hot water pipe (9) is formed.

상기 보일러(8)의 상부에는 연소실(2)에서 열기가 보일러(8)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온수관(9)을 데우고 난 후 연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관(11)이 구성되어 있다.In the upper part of the boiler 8, the exhaust pipe 11 for discharging the hot water pipe 9 formed in the inside of the boiler 8 in the combustion chamber 2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ith the smoke is configured. .

보일러(8) 내부의 온수관(9)구성은 일반적인 구성형태이기 때문에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편의상 생략하였다.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hot water pipe 9 inside the boiler 8 is a general configuration, it is omitted for convenienc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상기 배기관(11)은 일측부에 관통공(1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2)을 개폐할 수 있는 원통캡(13)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12)을 통해 보일러(8)의 내부나 배기관(11)의 내부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The exhaust pipe 11 has a through hole 12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cylindrical cap 1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hrough hole 12 is formed to form an inside of the boiler 8 through the through hole 12. B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internal cleaning of the exhaust pipe (11).

상기 원통캡(13)은 설명의 편의상 배기관(11)에서 분리하여 표시하였으며 항시 배기관(11)의 관통공(12)이 위치하는 부분에 상기 배기관(11)을 감싸도록 위치하고 있다.The cylindrical cap 13 is displayed separately from the exhaust pipe 11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s positioned to surround the exhaust pipe 11 at a portion where the through hole 12 of the exhaust pipe 11 is located at all times.

상기 원통캡(13)이 측면부도 상기 관통공(12)과 일치하는 형상의 연통공(14)을 형성하여 상기 원통캡(13)을 상기 배기관(11)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 인해 상기 관통공(12)과 연통공(14)의 위치를 일치 및 불일치를 시킴으로 인해 상기 관통공(12)을 차단하며, 배기관(11)과 보일러(8)내부의 청소를 위해서는 원통캡(13)의 연통공(14)과 배기관(11)의 관통공(12)을 일치시키며 평소에는 연기가 실내로 스며나오지 못하게 서로의 위치를 불일치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The cylindrical cap 13 forms a communication hole 14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through hole 12 so that the cylindrical cap 13 rotates about the exhaust pipe 11 about the central axis. The through-hole 12 is blocked by matching and disagreeing the positions of the ball 12 and the communication hole 14, and communicating the cylindrical cap 13 to clean the exhaust pipe 11 and the inside of the boiler 8. Matching the through hole 12 of the ball 14 and the exhaust pipe 11, and usually keeps the position of each other inconsistent state so that smoke does not leak into the room.

보일러(8)의 몸통 대략 중간부에는 슬라이드형의 수납공간을 지닌 수납용기(10)를 구성하여 고구마나 밤과 같은 것을 구워 먹을 수 있게 하였다.About the middle part of the body of the boiler (8) was configured to receive a storage container 10 having a slide-type storage space to bake such as sweet potatoes and chestnuts.

물론 일반적인 형태의 보일러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며, 장소에 따라서는 벽난로 본체(1) 위에 설치된 보일러를 분리하여 벽난로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Of course, a general type of boiler may be installed, and depending on the location, the boiler installed on the fireplace body 1 may be separated and used only as a fireplace.

도 12는 본 발명의 보일러 기능을 겸한 벽난로의 또 다른 측면에서 나타낸 사시도.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side of the fireplace functioning as a boil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서와 같이 평소에는 원통캡(13)의 연통공(14) 부분이 후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원통캡에는 회전시 용이하도록 돌출부나 손잡 이를 설치하여도 바람직할 것이다.It can be seen that the communication hole 14 portion of the cylindrical cap 13 is usually disposed to face the rear portion as shown in FIG. 12, and it may be preferable to install a protrusion or a handle to facilitate the rotation of the cylindrical cap.

현재의 고유가 시대를 맞이하여 각 가정에 구비된 전기 및 기름으로 인해 난방 및 보일러 기능을 수행하는 난방기구에 비해 난방비를 절약하기 위해 연탄이나 다른 연료를 연소시켜 난방하기 위해 전환하는 추세에 힘입어 더욱 수효가 늘 것으로 기대된다.In the current high oil price era, the electricity and oil in each home is turning to burn and heat briquettes or other fuels to save heating costs compared to heating appliances that perform heating and boiler functions. The number is expected to increase.

도 1은 본 발명의 보일러기능을 겸한 벽난로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eplace having a boiler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벽난로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eplac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본 발명에서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서 손잡이의 구조를 나타낸 개요도.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andle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서 도어의 기능을 나타낸 개요도.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unction of the door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서 산소 유입부와 공기순환로가 모두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Figure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both the oxygen inlet and the air circul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open.

도 7은 본 발명에서 산소 유입부와 공기순환로가 모두 차단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Figure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both the oxygen inlet and the air circulation path block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서 공기순환로는 개방된 상태에서 산소유입량을 조절하는 조절판의 독립적인 회동상태를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Figure 8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ependent rotation state of the control plate for adjusting the oxygen inflow rate in the open air circulation path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서 조절판과 개폐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Figure 9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control panel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서 공기순환로의 기능을 나타낸 개요도.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unction of the air circul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서 보일러부분을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Figure 1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iler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보일러 기능을 겸한 벽난로의 또 다른 측면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손잡이 부분을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
도 14는 상부 손잡이와 도어프레임의 관계를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
도 15는 도어를 상하로 이송시키기 위해 상부 손잡이의 형태를 나타낸 개요도.
도 16은 도어가 고정될 때 상부 손잡이의 형태를 나타낸 개요도.
도 17은 조절판 및 개폐판의 형상을 나타낸 일부분 단순확대도.
도 18은 조절판 및 개폐판의 회동에 의한 위치고정관계를 나타낸 개요도.
도 19는 조절판과 개폐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0은 도 6의 확대도.
도 21은 도 7의 확대도.
도 22는 도 8의 확대도.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side of the fireplace functioning as a boil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portion.
1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pper handle and the door frame.
Figure 1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the upper handle to move the door up and down.
Figure 1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upper handle when the door is fixed.
Figure 17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adjustment plat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1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position fixing relationship by the rotation of the adjustment plat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1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rol panel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20 is an enlarged view of FIG. 6.
21 is an enlarged view of FIG. 7;
22 is an enlarged view of FIG. 8;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Code 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 본체 2. 연소실 3. 도어1. Body 2. Combustion chamber 3. Door

4. 조절부 5. 안내프레임 6. 열차단판4. Control part 5. Information frame 6. Heat shield

7. 열유입부 8. 보일러 9. 온수관7. Heat inlet 8. Boiler 9. Hot water pipe

10. 수납용기 11. 배기관 12. 관통공10. Storage container 11. Exhaust pipe 12. Through hole

13. 원통캡 14. 연통공 15. 재받이13. Cylindrical cap 14. Communication hole 15. Reclaim

301. 도어프레임 302. 창문 303. 손잡이301.Doorframe 302.Window 303.Handle

304. 돌기 305. 판스프링304. Protrusion 305. Leaf spring

401. 공기유입로 402. 조절판 403. 공기순환로401. Air inlet 402. Control panel 403. Air circulation

404. 개폐판 405. 돌기 406. 판스프링404. Opening and closing plate 405. Projection 406. Leaf spring

303a. 상부손잡이 303b. 하부손잡이303a. Upper handle 303b. Lower handle

Claims (11)

실내를 난방하는 벽난로에 있어서,In the fireplace that heats the room, 전면은 사각형태의 도어프레임(301)과 상대적으로 상기 도어프레임(301)보다는 얇은 두께를 가지는 유리재질의 창문(302)이 구성된 도어(3)가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부는 장작과 같은 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는 공간인 연소실(2)을 가지되 전면부의 하부에는 연소시 화기조절을 위해 산소유입량을 조절하는 조절부(4)가 구성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상부측에 구성되어 하부의 연소실(2)에서 상승한 열을 열원으로 하여 내부에 구성된 온수관(9)을 가열하는 구성을 가진 보일러(8)와, 상기 본체(1)의 연소실(2)에서 생긴 내부 열기 및 유해가스가 보일러(8) 내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배기관(11)으로 구성되되;The front is coupled to the door frame 301 of the rectangular shape and the door 3 composed of a glass window 302 having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door frame 301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and the fuel inside, such as firewood. The main body (1) having a combustion chamber (2), which is a space to be combustible, has a control part (4) configured to adjust the oxygen inflow amount for controlling fire during combustion in the lower part of the front part, an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 A boiler 8 having a structure for heating the hot water pipe 9 formed therein using heat generated in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2 as a heat source, and internal heat generated from the combustion chamber 2 of the main body 1; It consists of an exhaust pipe 11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harmful gas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boiler 8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본체(1)의 전면 양측에 상하로 형성된 안내프레임(5)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상기 도어(3)를 이동시키는 힘의 전달수단인 도어(3)의 손잡이(303)는 상부 손잡이(303a) 및 하부 손잡이(303b)로 구성된 적층구조로서, 상기 하부 손잡이(303b)는 도어프레임(301)의 전면부 하단에 구성되어 상면에는 상하로 탄성 및 복원력이 가해지는 ‘U’자 형태의 판스프링(305)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상부 손잡이(303a)는 수직부(HV)와 수평부(HH)로 구성된 'L'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직부(HV)의 양 측면부 일측에 형성된 돌기(304)가 상기 도어프레임(301)의 양 내측면에 형성된 돌기홈(H)에 삽입되어 상하로 회동가능하며 수평부(HH)의 하면은 하부 손잡이(303b)의 상면에 고정된 ‘U’자 형태의 판스프링(305)의 양 끝단부와 접하도록 구성되어;The handle 303 of the door 3, which is a transmission means for moving the door 3, which is inserted into the guide frame 5 formed up and down on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 and moves up and down, is upper A stack structure consisting of a handle 303a and a lower handle 303b, wherein the lower handle 303b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frame 301 and has an 'U' shape to which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are applied upward and downward on the upper surface. The leaf spring 305 is fixed, the upper handle 303a is formed of a 'L' shape consisting of the vertical portion (HV) and the horizontal portion (HH) projections formed on one side of both side portions of the vertical portion (HV) 304 is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grooves H formed on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door frame 301 so as to be rotated up and dow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HH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andle 303b. Is configured to contact both ends of the leaf-shaped leaf spring 305; 상기 도어(3)는 손잡이(303)를 잡으면 돌기(304)를 상부 손잡이(303a)의 힌지축으로 하여 상하로 회동가능한 구조의 상부 손잡이(303a)가 도어프레임(301)의 전면부 하단에 고정된 하부 손잡이(303b)의 상면에 구성된 ‘U’자 형태의 판스프링(305)을 수평으로 일자형태가 되도록 압착하면서 하부 손잡이(303b)측으로 회동하여 상대적으로 상부 손잡이(303a)의 수직부(HV)가 수직에 가까운 형태를 취하게 됨으로써 안내프레임(5)의 내측면과 마찰이 생기지 않게 되어 안내프레임(5)의 내측에서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The door 3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frame 301 by holding the handle 303, the upper handle 303a of the structure which can be rotated up and down by using the protrusion 304 as a hinge axis of the upper handle 303a. The vertical portion (HV) of the upper handle 303a is rotated toward the lower handle 303b while pressing the 'U' shaped leaf spring 305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andle 303b horizontally to form a straight shape. ) Takes a form close to the vertical, so that friction does not occur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frame 5 so that the state can be easily moved inside the guide frame 5; 상기 도어(3)의 손잡이(303)를 놓으면 일자형태로 압착되어 있던 판스프링(305)이 ‘U’자 형태로 복원되려는 복원력이 형성되면서 상부에 접해 있는 상부 손잡이(303a)를 상부 손잡이(303a)의 수직부(HV)의 양 측면부에 구성된 돌기(304)를 힌지축으로 하여 상측으로 회동시키게 되고, 상기 상부 손잡이(303a)의 수직부(HV)는 안내프레임(5)의 내측에 위치하여 있는 관계로 상부 손잡이(303a)의 수직부(HV)의 하단부가 안내프레임(5)의 내벽에 의해 회동에 제약을 받게 되어 접촉되는 안내프레임(5)의 내벽을 밀치게 되고, 수직부(HV)의 하단부가 밀치는 힘은 힘의 작용과 반작용에 의해 상부 손잡이(303a)에 구성된 돌기(304)와 결속되어 있는 도어프레임(304)에 전달되면서 도어프레임(304)은 후방측의 안내프레임(5)의 내벽으로 밀리게 되어 도어프레임(304)과 상부 손잡이(303a)의 수직부(HV)의 하단부가 안내프레임(5)의 내벽을 서로 미는 힘의 균형이 생기면서 상기 도어(3)는 안내프레임(5)의 내측에서 정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보일러기능을 겸한 벽난로.When the handle 303 of the door 3 is released, the upper handle 303a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handle 303a is formed while a restoring force is formed to restore the leaf spring 305, which is compressed in a straight shape, into a 'U' shape. The projections 304 formed at both side portions of the vertical portion HV of the vertical rotational axis (HV) are rotated upward by the hinge axis, and the vertical portion HV of the upper handle 303a is positioned inside the guide frame 5. Since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HV of the upper handle 303a is restricted by rotation by the inner wall of the guide frame 5, the inner wall of the guide frame 5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vertical portion HV is pushed. The force pushing the lower end of the) is transmitted to the door frame 304 which is coupled with the protrusion 304 formed on the upper handle 303a by the action and reaction of the door, the door frame 304 is the rear guide frame ( 5) is pushed into the inner wall of the door frame 304 and the upper handle (303a) As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HV) of the balance between the forces pushing the inner wall of the guide frame (5) with each other, the door (3) has a boiler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 on the inside of the guide frame (5) firepl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1)의 내부 상면은 보일러(8)를 향하게 관통된 열유입부(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형성된 열기가 직접적으로 보일러(8) 내부로 향하지 못하도록 상기 열유입부(7)로부터 하부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곳에 열차단판(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보일러기능을 겸한 벽난로.The inner top surface of the main body 1 is formed with a heat inlet 7 penetrating toward the boiler 8 and the heat inlet so that the heat formed inside the main body is not directly directed into the boiler 8. 7) Fireplace with a boiler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shield plate (6) is formed in a spaced distance from the lower side.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열차단판(6)은 본체(1)의 내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청소 및 관리가 용이한 것이 특징인 보일러기능을 겸한 벽난로.The heat shield 6 is a fireplace functioning as a boiler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ovable body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 is easy to clean and manag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기관(11)은 일측부에 관통공(1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2)을 개폐할 수 있는 원통캡(13)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12)을 통해 보일러(8)의 내부나 배기관(11)의 내부청소를 용이하게 한 것이 특징인 보일러기능을 겸한 벽난로.The exhaust pipe 11 has a through hole 12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cylindrical cap 1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hrough hole 12 is formed to form an inside of the boiler 8 through the through hole 12. B. A fireplace with a boiler function, which is characterized by facilitating internal cleaning of the exhaust pipe (11).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원통캡(13)은 상기 관통공(12)이 위치하는 부분에 상기 배기관(11)을 감싸도록 위치하고 상기 원통캡(13)의 측면부는 상기 관통공(12)과 일치하는 형상의 연통공(14)을 형성하여 상기 원통캡(13)을 상기 배기관(11)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 인해 상기 관통공(12)과 연통공(14)의 위치를 일치 및 불일치를 시킴으로 인해 상기 관통공(12)을 차단하는 것이 특징인 보일러기능을 겸한 벽난로.The cylindrical cap 13 is positioned to surround the exhaust pipe 11 at a portion where the through hole 12 is positioned, and the side surface portion of the cylindrical cap 13 corresponds to a communication hol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2. 14 to form the cylindrical cap 13 by rotating the exhaust pipe 11 with the central axis as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12 and the communication hole 14 due to the matching and inconsistency of the through hole ( 12) Fireplace with boiler function, characterized by shutting off.
KR1020070134483A 2007-12-20 2007-12-20 Fireplace with Boiler Expired - Fee Related KR1009373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483A KR100937332B1 (en) 2007-12-20 2007-12-20 Fireplace with Boi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483A KR100937332B1 (en) 2007-12-20 2007-12-20 Fireplace with Boi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788A KR20090066788A (en) 2009-06-24
KR100937332B1 true KR100937332B1 (en) 2010-01-18

Family

ID=40994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4483A Expired - Fee Related KR100937332B1 (en) 2007-12-20 2007-12-20 Fireplace with Boi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733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9334A1 (en) * 2013-05-24 2014-11-27 Choi In Sang Fireplace
KR101474536B1 (en) * 2013-05-24 2014-12-23 최인상 Firepla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83035A (en) * 2016-02-24 2016-07-20 羊丁 Environment-friendly coal automatic heating furna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6079A (en) * 1980-06-25 1984-03-13 Domenico Piazzetta Fireplace for heating indoor spaces and water for sanitary use
KR200325394Y1 (en) * 2003-04-14 2003-09-03 염동섭 Boiler
KR20060056105A (en) * 2004-11-19 2006-05-24 정도화 fireplace
KR200427226Y1 (en) 2006-06-05 2006-09-21 하진홍 Automatic Feed Grenade Stov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6079A (en) * 1980-06-25 1984-03-13 Domenico Piazzetta Fireplace for heating indoor spaces and water for sanitary use
KR200325394Y1 (en) * 2003-04-14 2003-09-03 염동섭 Boiler
KR20060056105A (en) * 2004-11-19 2006-05-24 정도화 fireplace
KR200427226Y1 (en) 2006-06-05 2006-09-21 하진홍 Automatic Feed Grenade Stov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9334A1 (en) * 2013-05-24 2014-11-27 Choi In Sang Fireplace
KR101474536B1 (en) * 2013-05-24 2014-12-23 최인상 Firepl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788A (en) 200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1839B2 (en) Heating apparatus with fan
KR100937332B1 (en) Fireplace with Boiler
AU2010100098A4 (en) Fireplace
US4150658A (en) Circulating-air heating stove
KR20130104739A (en) Lumber stove
KR101703393B1 (en) Wood A Stove
KR101734025B1 (en) Combination cooking stove peace
US6488024B2 (en) Wood heater
KR102602477B1 (en) Firewood boiler
US6216684B1 (en) Wood heater
US4337753A (en) Stove having nonescaping smoke
Geller Fuel efficiency and performance of traditional and innovative cookstoves
KR100852910B1 (en) Stove with reduced soot and smoke
KR200401173Y1 (en) standing erect type meat roasted with seasoning grill device
KR102395867B1 (en) Wood stove
JP3931685B2 (en) grill
KR200384941Y1 (en) Fireplace of exposing type
KR20230010966A (en) The multifunctional stove for wood and pellets that can use optional convenience functions using a storage-type heating dome
US4304217A (en) Anti-smoke emitting stove
US4542736A (en) Fireplace cap with preheated secondary air supply
KR20180001236A (en) Stove
KR102595925B1 (en) Backflow prevention device for pellet stove
CN219982718U (en) Electric oven with double-sided heating
BE1019196A5 (en) MULTIFUNCTIONAL FIREPLACE WITH A SMOKE DEFLECTION DEVICE.
KR200349809Y1 (en) Heater with humid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4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10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4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9111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10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00105

Appeal identifier: 2009101010263

Request date: 20091110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111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110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061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0010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1211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