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36430B1 -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조명장치의 광원모듈 - Google Patents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조명장치의 광원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6430B1
KR100936430B1 KR1020090065847A KR20090065847A KR100936430B1 KR 100936430 B1 KR100936430 B1 KR 100936430B1 KR 1020090065847 A KR1020090065847 A KR 1020090065847A KR 20090065847 A KR20090065847 A KR 20090065847A KR 100936430 B1 KR100936430 B1 KR 100936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section
road
type le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미리
김성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경컨설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경컨설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경컨설턴트
Priority to KR1020090065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4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430B1/ko
Priority to PCT/KR2010/003343 priority patent/WO2011010790A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6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cylindrical or toric 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21V29/745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the fins or blades being planar an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joining surface from which the fins or blades exte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8Refractors for light sources producing an asymmetric light distribu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8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면서도 보다 효율적으로 도로를 균일하게 조명하는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 및 이를 이용한 광원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후측에 구비되는 광원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수광되도록 형성되는 입사면, 상기 입사면의 대향되는 측에 상기 입사면에서 입사된 광이 도로면을 향하여 방사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방사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횡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가 제공된다.
가로등, LED, 균제도, 렌즈

Description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조명장치의 광원모듈{Bar Type Lens Having Dissymmetry Section and Lighting Module for Device of Lighting Stree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 및 이를 이용한 광원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면서도 보다 효율적으로 도로를 균일하게 조명하는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조명장치의 광원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는 자동차나 보행자 등이 주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도로에서는 운전자를 비롯하여 도로 이용자가 도로를 쉽게 식별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특히, 야간에 상기 도로를 식별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각종 안전사고의 위험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가로등과 같은 조명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종래의 가로등(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대략 8~12M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폴대(5)의 상단에 조명용 전구(3)를 설치하여 아래의 도로 사방 을 전체적으로 조명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가로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도로를 비추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가로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종래의 가로등은 하나의 가로등으로 넓은 범위를 조명하기 위하여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데, 그에 따라 도로면과의 거리가 멀게 되므로 도로면을 충분하게 밝히기 위해서는 고광량의 전구가 필요하게 되어 설치비용 및 수명과 전력사용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둘째, 광원과 도로면과의 거리가 멀어 안개 발생시 안개의 물방울에 의해 산란되어 노면을 충분히 조명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불리한 조명방식이다.
셋째, 광원이 도로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조명하는 방식이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의 직하부는 밝기가 규정보다 밝은 핫스팟(Hot Spot)이 형성되며, 멀어질수록 밝기가 떨어지게 되어 도로가 균일하게 조명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또한, 가로등에 의해서 조명되는 범위가 광원을 중심으로 하여 둥그렇게 형성되므로, 조명이 필요치 않은 도로 외측까지 후사광에 의해 조명되어 야간에 생물 또는 곤충이 야간에도 빛을 받게 되어 생태계에 교란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다섯째, 광원의 위치가 운전자의 시야보다 상측에 위치되므로 운전자에게 직사광이 조사되어 운전 중 눈부심을 발생하게 할 수 있어 안전운전을 방해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도로를 균일하게 밝히면서 운전자의 눈부심을 야기하지 않으며 생태계의 교란이 없는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 및 이를 이용한 광원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일측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가지며, 후측에 구비되는 광원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수광되도록 형성되는 입사면, 상기 입사면의 대향되는 측에 상기 입사면에서 입사된 광이 방사되며, 방사되는 빛의 광량이 어느 한 측으로 편중되도록 비대칭 단면의 굴곡진 표면으로 형성되는 방사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방사면의 상부측에서 방사되는 광량이 하부측에서 방사되는 광량보다 크도록 빛이 굴절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사면은, 상부측의 곡률반경이 하부측의 곡률반경보다 짧은 형상의 단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사면은, 상부측의 곡률중심이 하부측의 곡률중심보다 아래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사면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빛이 방사되는 면이 평면인 평면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빛을 발광하며, 횡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광원, 후측면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수광되는 입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입사면의 대향되는 측에 상기 입사면에서 입사된 광이 방사되며, 방사되는 빛의 광량이 어느 한 측으로 편중되도록 비대칭 단면의 굴곡진 표면으로 형성되는 방사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일측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도록 형성되는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로 조명장치의 광원모듈이 제공된다.
상기 방사면은, 상부측의 곡률중심이 하부측의 곡률중심보다 아래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는, 상기 방사면의 상부측에서 방사되는 광량이 상기 방사부의 하부측에서 방사되는 광량보다 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굴곡진 방사면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빛이 방사되는 면이 평면인 평면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사면은, 상기 입사면에 수직한 법선이 도로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의 배면에 결합되며, 상기 광원과 연접되고, 후면에 상측을 향하여 연장된 방열핀이 형성되어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하는 히트싱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 및 이를 이용한 가 로등용 광원모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광원으로써 LED소자를 사용하여, 전력사용량이 줄어들며, 광원의 수명이 향상되므로 운용비가 줄어들을 수 있다.
둘째, 광원이 횡으로 배열되므로, 도로를 보다 균일하게 밝힐 수 있으며,
셋째, 상기 렌즈가 빛을 굴절시켜 조사각 범위 중 상측 일부 범위에 광량을 집중할 수 있어 조사면이 먼 곳에 광량을 집중할 수 있으므로 도로의 폭 방향으로 보다 균일하게 밝힐 수 있어 종합 균제도를 만족할 수 있다.
셋째, 도로용 조명장치가 높은 폴대에 세워지는 것이 아니라 1m 내외 높이의 도로 난간이나 중앙 분리대 등에 구비되므로, 설치높이가 낮아 도로와의 거리가 줄어듦으로 인해 손실되는 광량이 적으므로, 종래보다 저광량의 광원 사용시에도 충분한 조명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차선유도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넷째, 도로용 조명장치의 설치높이가 1m내외로 낮으므로, 운전자의 눈높이보다 낮게 되어 운전자의 야간 눈부심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도로용 조명장치의 설치 높이가 낮으므로, 안개 발생시 산란되는 광이 상대적으로 적어 보다 효과적으로 조명이 가능하다.
여섯째, 렌즈를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연접하여 광원모듈을 형성할 수 있어 렌즈의 길이가 광원모듈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할 수 있어 렌즈의 제작이 용이하다.
일곱째, 빛을 굴절시켜 도로면만을 비추므로 광량이 도로면으로 집중되어 도로를 보다 밝게 비출 수 있다.
여덟째, 후사광이 없으므로 도로 주변의 식물 및 곤충이 야간에 조명되지 않 아 생태계의 교란을 야기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아홉째, 광원모듈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조사각의 조절이 용이하다.
열 째, 방열핀이 상측을 향하도록 연장되어 있어 열발산 효과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이하, '렌즈'라 칭하기로 함)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사면(110)과 방사면(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입사면(110)은 광원(90)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입사하여 수광되는 면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광원(90)은 상기 입사면(110)과 마주보는 면에 구비된다.
상기 방사면(120)은 상기 입사면(110)의 대향된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입사면(110)으로부터 수광된 빛이 굴절방사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방사면(120)은 방사되는 빛이 균일하게 퍼지도록 방사되는 것이 아니라, 방사되는 빛이 어느 한 측으로 편중되어 광량의 차이가 나도록 단면이 비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사면(120)은 상부측(126)에서 방사되는 빛의 세 기가 하부측(121)에서 방사되는 빛의 세기보다 강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방사면(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126)의 곡률과 하부측(121)의 곡률이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자세하게는 상기 방사면(120)의 상부측 곡률반경(Ru)이 하부측의 곡률반경(Rl)보다 짧으며, 상부측 곡률중심(Cu)이 하부측 공률중심(Cl)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형상의 단면을 이루는 것이다.
렌즈(100) 내부의 밀도가 공기의 밀도보다 높고, 상부측의 곡률반경(Ru)이 하부측의 곡률반경(Rl)보다 짧으며, 상부측의 곡률중심(Cu)이 하부측의 곡률중심(Cl)의 하측에 위치되므로, 빛이 방사면(120)을 통하여 방사될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사면(120)에서 상부측으로 굴절된다.
즉, 빛의 원래 진행방향(96)과 상기 방사면(120)의 해당지점에 수직하는 법선(n)과 이루는 각을 θ1 이라 하고, 상기 방사면(120)에서 굴절되는 빛의 진행방향(98)과 상기 방사면(120)의 해당지점에 수직하는 법선(n)이 이루는 각을 θ2 라고 할 때, 상기 θ2가 θ1 보다 작도록 상기 방사면(120)에서 빛이 굴절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방사면(120)의 상부측(126)에서 방사되는 광량이 하부측(121)에서 방사되는 광량보다 많다.
또한, 방사면(120)의 굴곡진 면에서 상부측으로 연장되고, 빛이 방사되는 면이 평면인 평면부(1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면 부(130)에서는 방사되는 빛이 방사면(120)의 하부측(121)을 향하는 방향으로 굴절된다. 따라서, 상기 렌즈(100)에서 방사되는 빛이 조사각 범위 중 상측 일부 범위에 집중될 수 있다.
한편, 광원(90)으로부터 빛이 입사되는 입사면(110) 또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좀 더 자세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사면(110)에 수직한 법선(n)이 하부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광원(90)으로부터 발광되어 상기 입사면(110)에 입사되는 빛의 조사각 범위 중, 상기 입사면(110)과 수직하는 각도 보다 상측범위의 각도로 입사면(110)에 입사되는 빛은 상기 렌즈(100)의 상측부를 향하여 굴절되며, 하측범위의 각도로 입사되는 빛은 상기 렌즈(100)의 하측부를 향하여 굴절된다.
즉, 빛의 원래 진행방향(97)과 상기 입사면(110)의 해당지점에 수직하는 법선(n)과 이루는 각을 θ3 이라 하고, 상기 입사면(110)에서 굴절되는 빛의 진행방향(99)과 상기 입사면(110)의 해당지점에 수직하는 법선(n)이 이루는 각을 θ4 라고 할 때, 상기 θ4가 θ3 보다 크도록 상기 입사면에서 빛이 굴절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입사면(110)이 법선(n)이 하부측을 향하도록 경사지므로, 상기 입사면(110)에 입사되어 굴절되는 빛 중 상부측으로 굴절되는 양이 하부측으로 굴절되는 양보다 많다.
또한, 상기 렌즈(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렌즈(100)의 양 측면(140)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렌즈가 서로 연속적으로 연접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사면(110) 및 방사면(120)에 의해 조사각 범위 중 상측범위로 방사되는 광량이 더 많게 된다. 또한, 상기 렌즈(100)의 상측을 향하는 빛이 상기 평면부(130)에 의해 상기 평면부(130)의 평면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굴절되므로, 상기 렌즈(100)의 평면부(130)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광량이 집중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한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를 이용한 도로 조명장치의 광원모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 조명장치의 광원모듈(2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90)과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100) 및 히트싱크(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원(90)은 횡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90)은 LED 소자(92)가 횡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된 기판(9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LED가 아닌 다른 형식의 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100)는, 전술한 실시예의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광원(90)과 동일한 길이방향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렌즈(100)의 설명은 전술한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100) 의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이 때, 상기 렌즈(100)는 양 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소정길이의 렌즈(100)가 측면이 서로 연접되어 보다 긴 길이의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군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히트싱크(210)는, 상기 광원(90)이 길이방향과 동일한 길이방향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전면에 상기 광원(90)이 연접되게 수용되며, 그리고, 상기 광원(90)이 수용된 부분의 상측과 하측에는 상기 렌즈(10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렌즈 결합홈(212)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후면에는 상기 광원(90)으로부터 전도된 열이 방열되는 방열핀(214)이 상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히트싱크(210)의 상측에 전면을 향하여 소정길이 연장된 플랜지부(216)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가로등용 광원모듈(200)은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300) 내부에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로등용 광원모듈(200)의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300)의 내부 양 측에는 상기 가로등용 광원모듈(200)의 양 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마운트(22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220)는, 상기 하우징(300)에 고정되는 고정판(222)과, 상기 고정판(222)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소정각도구간별로 각도의 고정이 가능한 회전판(2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판(222)의 일면에 제1돌기(224)가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제1돌기(224)가 형성된 고정판(222)의 일면과 마주보며 연접되는 상기 회전판(226)의 일면에 상기 제1돌기(224)와 치합되는 제2돌기(228)가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226)이 상기 고정판(222)에 압착되면, 상기 제1돌기(224)와 제2돌기(228)에 의해 상기 회전판(226)의 각도가 고정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판(226)에 일정 힘 이상의 회전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제2회전판(226)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2회전판(226)이 회전되어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판(226)의 외주면에는 상기 히트싱크(210)의 플랜지(216)와 겹쳐지도록 연장되는 결합부(229)가 형성되어 상기 히트싱크(210)의 플랜지(216)와 상기 회전판(226)의 결합부(229)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가로등용 광원모듈(200)이 각도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가로등용 광원모듈(200)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상측면에 뚜껑(31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로등용 광원모듈(200)의 빛이 투과되도록 전면에 투명창(320)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가로등용 광원모듈(200)은 별도의 폴대에 설치되지 아니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20)의 측방에 설치되는 도로난간(30), 다리난간 또는 가이드레일이나 중앙분리대에 도로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난간(30)이나 가이드 레일에 설치될 경우 상기 가로등용 광원모듈(200)설치높이는 도로면으로부터 1m내외의 좀 더 바람직하게는 1.5m이하의 운전자의 눈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가로등용 광원모듈(200)을 도로난간 등에 낮은 위치에서 도로만 비추도록 조명함으로써 가로등용 광원모듈(200)과 도로면(20)까지의 거리를 짧게 하여 운전자는 물론 보행자 등 도로 이용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빛 반사를 방지함은 물론 도로의 밝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등용 광원모듈의 조사각 범위 중 상부측에 소정범위에 광량이 집중되므로, 설치된 장소로부터 먼 지점을 보다 밝게 비출 수 있어, 도로를 보다 균일하게 밝혀줄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창(320)이 구비된 부분은 자동차 전조등의 빛이 반사될 수 있는데, 반사된 빛이 전방으로 향하여 전방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도로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 전조등의 빛이 상기 투명창(320)에서 반사되더라도 상기 투명창(320)의 경사에 의해 반사된 빛이 도로면을 향하므로, 전방의 다른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반사된 빛이 도로면을 비추게 되어 도로면이 더욱 밝게 비출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은 도 1은 종래의 가로등 및 가로등에 의해 조명되는 도로의 밝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을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의 입사면에서 빛이 굴절되는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사시도;
도 6은 도 3의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에 의해 방사되는 빛의 조사각 범위 중 밝기 분포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조명장치의 광원모듈 및 하우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도로 조명장치의 광원모듈에 의해 조명되는 도로의 밝기를 도시한 도면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3: 조명용 전구 5: 폴대 30: 난간
90: 광원 92: LED 94: 기판
96: 방사면에서의 빛의 원래 진행방향
97: 입사면에서의 빛의 원래 진행방향
98: 방사면에서 굴절된 빛의 진행방향
99: 입사면에서 굴절된 빛의 진행방향
100: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 110: 입사면
120: 방사면 121: 방사면의 하부측
126: 방사면의 상부측 130: 평면부 140: 측면
200: 광원모듈 210: 히트싱크 212: 렌즈 결합홈
214: 방열핀 216: 플랜지 220: 마운트
222: 고정판 224: 제1돌기 226: 회전판
228: 제2돌기 229: 결합부 300: 하우징
310: 뚜껑 320: 투명창 n: 표면에 수직한 법선
θ1: 빛의 원래 진행방향과 상기 방사면의 해당지점에 수직하는 법선(n)과 이루는 각
θ2: 방사면에서 굴절되는 빛의 진행방향과 상기 방사면의 해당지점에 수직하는 법선이 이루는 각
θ3: 빛의 원래 진행방향과 상기 입사면의 해당지점에 수직하는 법선(n)과 이루는 각
θ4: 입사면에서 굴절되는 빛의 진행방향과 상기 입사면의 해당지점에 수직하는 법선이 이루는 각

Claims (11)

  1. 일측으로 길이방향을 가지며,
    후측에 구비되는 광원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수광되도록 형성되는 입사면;
    상기 입사면의 대향되는 측에 형성되어 상기 입사면에서 입사된 광이 도로면을 향해 방사되며, 상부측에서 방사되는 광량이 하부측에서 방사되는 광량보다 많아 설치지점으로부터 도로면까지의 거리가 먼 곳을 향할수록 광량이 집중되도록 비대칭 단면으로 형성되는 방사면;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면은,
    상부측의 곡률반경이 하부측의 곡률반경보다 짧은 형상의 단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면은,
    상부측의 곡률중심이 하부측의 곡률중심보다 아래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면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빛이 방사되는 면이 평면인 평면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
  6. 빛을 발광하며, 횡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광원;
    도로를 따라 구비되고, 횡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가지며,
    후측면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수광되는 입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입사면의 대향되는 측에 형성되어 상기 입사면에서 입사된 광이 도로면을 향해 방사되며, 상부측에서 방사되는 광량이 하부측에서 방사되는 광량보다 많아 설치지점으로부터 도로면까지의 거리가 먼 곳을 향할수록 광량이 집중되도록 비대칭 단면으로 형성되는 방사면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비대칭 단면의 바 타입 렌즈;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로 조명장치의 광원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면은,
    상부측의 곡률중심이 하부측의 곡률중심보다 아래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조명장치의 광원모듈.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진 방사면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빛이 방사되는 면이 평면인 평면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조명장치의 광원모듈.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면은,
    상기 입사면에 수직한 법선이 도로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조명장치의 광원모듈.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의 배면에 결합되며, 상기 광원과 연접되고, 후면에 상측을 향하여 연장된 방열핀이 형성되어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하는 히트싱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조명장치의 광원모듈.
KR1020090065847A 2009-07-20 2009-07-20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조명장치의 광원모듈 Expired - Fee Related KR100936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847A KR100936430B1 (ko) 2009-07-20 2009-07-20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조명장치의 광원모듈
PCT/KR2010/003343 WO2011010790A1 (ko) 2009-07-20 2010-05-26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조명장치의 광원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847A KR100936430B1 (ko) 2009-07-20 2009-07-20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조명장치의 광원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6430B1 true KR100936430B1 (ko) 2010-01-12

Family

ID=41809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847A Expired - Fee Related KR100936430B1 (ko) 2009-07-20 2009-07-20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조명장치의 광원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36430B1 (ko)
WO (1) WO2011010790A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23569A1 (en) * 2010-08-24 2012-02-29 Samsung LED Co., Ltd. Optical Lens, LED Module Having the Optical Lens,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LED Module
WO2011136522A3 (ko) * 2010-04-30 2012-03-08 주식회사 이지라이팅 엘이디 조명 모듈
WO2012089077A1 (zh) * 2010-12-30 2012-07-05 北京朗波尔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低位照明的led光源组件及led灯具
KR101251441B1 (ko) * 2011-03-31 2013-04-05 한국광기술원 발광소자용 편심 집광렌즈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장치
KR101307731B1 (ko) * 2011-12-19 2013-09-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속 제어 부재, 발광 장치 및 표시장치
CN103363314A (zh) * 2012-03-26 2013-10-23 深圳科宏健半导体照明有限公司 一种非对称配光的条形led灯具
KR101360004B1 (ko) * 2013-06-27 2014-02-07 주식회사 이엘 눈부심 방지 구조의 등기구용 복합 굴절 렌즈 및 이를 갖는 가로등 장치
KR101482155B1 (ko) * 2013-10-29 2015-01-14 노명재 Led군집의 배광 제어용 광확산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led군집 발광체
WO2019017719A1 (ko) * 2017-07-21 2019-01-24 주식회사 우노이앤피 낮은 가로등용 엘이디 조명모듈 및 엘이디 렌즈
KR102432621B1 (ko) * 2021-03-25 2022-08-16 더좋은생활 주식회사 평판형 컷오프 렌즈를 이용한 도로 조명 방법
KR20220169853A (ko) * 2021-06-21 2022-12-28 이유로 야생동물용 로드킬 방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76999B1 (fr) * 2011-06-21 2014-10-24 Jacques Sabater Dispositif d'eclairage direct d'une surface a l'aide de diodes electroluminescentes
IT201900010713A1 (it) * 2019-07-02 2021-01-02 Itl S R L Lente estrusa di distribuzione di radiazione luminosa, lampada, assieme di portalampada ed espositore di mer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0907A (ja) * 1991-07-17 1993-07-30 Precision Solar Controls Inc 屈折レンズ要素を備えた発光ダイオードランプ
US20020080615A1 (en) * 2000-12-22 2002-06-27 Thomas Marshall LED collimation optics with improved performance and reduced size
US20040070855A1 (en) * 2002-10-11 2004-04-15 Light Prescriptions Innovators, Llc, A Delaware Limited Liability Company Compact folded-optics illumination lens
KR100661261B1 (ko) * 2005-05-23 2006-12-26 주식회사 세코닉스 Led 확산 렌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0907A (ja) * 1991-07-17 1993-07-30 Precision Solar Controls Inc 屈折レンズ要素を備えた発光ダイオードランプ
US20020080615A1 (en) * 2000-12-22 2002-06-27 Thomas Marshall LED collimation optics with improved performance and reduced size
US20040070855A1 (en) * 2002-10-11 2004-04-15 Light Prescriptions Innovators, Llc, A Delaware Limited Liability Company Compact folded-optics illumination lens
KR100661261B1 (ko) * 2005-05-23 2006-12-26 주식회사 세코닉스 Led 확산 렌즈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6522A3 (ko) * 2010-04-30 2012-03-08 주식회사 이지라이팅 엘이디 조명 모듈
EP2423569A1 (en) * 2010-08-24 2012-02-29 Samsung LED Co., Ltd. Optical Lens, LED Module Having the Optical Lens,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LED Module
CN102374485A (zh) * 2010-08-24 2012-03-14 三星Led株式会社 光学透镜和发光二极管模块以及照明装置
US8632225B2 (en) 2010-08-24 2014-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lens, LED module having the optical lens,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LED module
WO2012089077A1 (zh) * 2010-12-30 2012-07-05 北京朗波尔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低位照明的led光源组件及led灯具
KR101251441B1 (ko) * 2011-03-31 2013-04-05 한국광기술원 발광소자용 편심 집광렌즈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장치
KR101307731B1 (ko) * 2011-12-19 2013-09-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속 제어 부재, 발광 장치 및 표시장치
CN103363314A (zh) * 2012-03-26 2013-10-23 深圳科宏健半导体照明有限公司 一种非对称配光的条形led灯具
KR101360004B1 (ko) * 2013-06-27 2014-02-07 주식회사 이엘 눈부심 방지 구조의 등기구용 복합 굴절 렌즈 및 이를 갖는 가로등 장치
KR101482155B1 (ko) * 2013-10-29 2015-01-14 노명재 Led군집의 배광 제어용 광확산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led군집 발광체
WO2019017719A1 (ko) * 2017-07-21 2019-01-24 주식회사 우노이앤피 낮은 가로등용 엘이디 조명모듈 및 엘이디 렌즈
KR20190010346A (ko) * 2017-07-21 2019-01-30 (주)선린 낮은 가로등용 엘이디 조명모듈 및 엘이디 렌즈
KR102005347B1 (ko) * 2017-07-21 2019-10-01 (주)선린 낮은 가로등용 엘이디 조명모듈 및 엘이디 렌즈
US11125404B2 (en) 2017-07-21 2021-09-21 Uno Enp Co., Ltd. LED lighting module for low streetlight and LED lens
KR102432621B1 (ko) * 2021-03-25 2022-08-16 더좋은생활 주식회사 평판형 컷오프 렌즈를 이용한 도로 조명 방법
KR20220169853A (ko) * 2021-06-21 2022-12-28 이유로 야생동물용 로드킬 방지 시스템
KR102684861B1 (ko) 2021-06-21 2024-07-12 이유로 야생동물용 로드킬 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10790A1 (ko)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430B1 (ko) 비대칭 단면의 바타입 렌즈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조명장치의 광원모듈
KR101531390B1 (ko) 비대칭 형상의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등
US9803821B2 (en) Vehicle-mounted headlamp
US8256922B2 (en) Lighting device
JP5800161B2 (ja) Ledランプモジュール
US7997778B2 (en) Vehicle light
KR101197716B1 (ko) 도로조명용 가로등 유닛
KR101381862B1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20100091467A (ko) 엘이디를 사용한 도로용 조명장치
KR101236736B1 (ko) Led용 비구면 렌즈 및 이를 포함한 광원 어셈블리
TW200930591A (en) Projection-type head lamp capable of compensating for light of dark area
CN101619823A (zh) 发光二极管路灯
KR101529166B1 (ko) 차량용 램프
KR101903067B1 (ko) 조명장치
KR101460729B1 (ko) 자동차의 조명 장치
KR101531462B1 (ko) 엘이디용 반사장치
KR101021929B1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100962041B1 (ko) 양방향 도로조명장치
KR101979571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1416471B1 (ko) 자동차의 조명 장치
KR101073473B1 (ko) 균제도를 향상시키는 엘이디 고정 프레임 및 그를 포함한 가로등용 조명장치
TWI418741B (zh) Lighting device
KR101959804B1 (ko) 차량용 램프
JP2014503111A (ja) 照明装置及び該照明装置を有する照明器具
TW201425815A (zh) 發光二極體車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9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