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36221B1 - 타액흡입기능을 갖는 혀 보호용 팁스, 바이트 블럭 및 구강조명기 - Google Patents

타액흡입기능을 갖는 혀 보호용 팁스, 바이트 블럭 및 구강조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6221B1
KR100936221B1 KR1020090019328A KR20090019328A KR100936221B1 KR 100936221 B1 KR100936221 B1 KR 100936221B1 KR 1020090019328 A KR1020090019328 A KR 1020090019328A KR 20090019328 A KR20090019328 A KR 20090019328A KR 100936221 B1 KR100936221 B1 KR 100936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saliva
suction
tip
bl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형
Original Assignee
(주) 덴토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덴토존 filed Critical (주) 덴토존
Priority to KR1020090019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2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221B1/ko
Priority to PCT/KR2010/001322 priority patent/WO2010101407A2/ko
Priority to JP2011532031A priority patent/JP2012505702A/ja
Priority to CN2010800014733A priority patent/CN102026587A/zh
Priority to EP10748949A priority patent/EP2404569A4/en
Priority to US13/254,949 priority patent/US20120015320A1/en
Priority to BRPI1006522A priority patent/BRPI1006522A2/pt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61B1/0676Endoscope light sources at distal tip of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10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modular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0Devices for illuminating a surgical field, the devices having an interrelation with other surgical devices or with a surgical proced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90Oral protectors for use during treatment, e.g. lip or mouth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8Illuminating devices or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08Aspiration nozz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혀 보호용 팁스(TIPS:Twist Isolated Plate of Suction), 바이트 블럭 및 타액 흡입기능을 갖는 구강조명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자로 하여금 혀가 편안하게 보호된 상태로 치과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하고, 목구멍에 차오르는 타액을 빠르게 제거하여 이물감을 최소화하며, 구강 내의 치료하고자 하는 일 측의 타 측으로 혀를 격리하여 치료공간을 확보해주는 동시에 환자의 구강을 전체적으로 밝게 조명하여 의사가 쉽게 치과 진료를 할 수 있게 하는 타액흡입기능을 갖는 혀 보호용 팁스, 바이트 블럭 및 타액 흡입기능을 갖는 구강조명기에 관한 것이다.
치과, 구강조명기, 타액 흡입, 혀 보호용 팁스, 바이트 블럭

Description

타액흡입기능을 갖는 혀 보호용 팁스, 바이트 블럭 및 구강조명기{TIPS for preventing tongue, bite block and intraoral illumination device having sucking function}
본 발명은 혀 보호용 팁스(TIPS:Twist Isolated Plate of Suction), 바이트 블럭 및 타액 흡입기능을 갖는 구강조명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자로 하여금 혀가 편안하게 보호된 상태로 치과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하고, 목구멍에 차오르는 타액을 빠르게 제거하여 이물감을 최소화하며, 구강 내의 치료하고자 하는 일 측의 타 측으로 혀를 격리하여 치료공간을 확보해주는 동시에 환자의 구강을 전체적으로 밝게 조명하여 의사가 쉽게 치과 진료를 할 수 있게 하는 타액흡입기능을 갖는 혀 보호용 팁스, 바이트 블럭 및 타액 흡입기능을 갖는 구강조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진료는 환자의 구강 내부 관찰이 용이하도록 외부광원을 환자의 구강 내로 조명한 후 의사 및 간호사의 시야를 확보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외부광원을 환자의 구강 내로 조명하는 동시에 치과 진료를 하는 것은 숙련된 의사나 간호사에게도 어려움이 있고, 외부광원을 좁고 깊은 구강 내부로 조명하여 구강 내부를 모두 밝게 하는 것은 구강 구조상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구강 내부로 삽입하여 구강을 조명하고, 구강 내의 타액을 흡입하는 구강조명기(한국등록특허10-0654392)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도 1은 종래의 구강조명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구강조명기를 구강 내에 착용하는 것에 대한 예시도 이고, 도 3은 종래의 구강조명기의 타액 흡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종래의 구강조명기는 일 측에 광섬유가 결합하는 튜브결합공(11)이 형성된 튜브결합부(10), 상하 측의 날개(21,22)에 의해 혀를 내측으로 밀도록 중앙 측에 형성되는 혀보호부(20) 및 상기 튜브결합부(10)와 상기 혀보호부(20) 사이에 형성되고, 환자가 치아로 물어 구강 내에 고정이 용이하게 하는 바이트 블럭(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종래의 구강조명기는 환자가 상기 바이트 블럭(30)을 구강 내의 일 측 상하 치아로 물게 하고, 혀보호부(20)를 혀의 전방으로 삽입하여, 혀가 구강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게 함으로써 의사의 시술공간을 확보하는 동시에 구강 내부를 조명하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튜브결합부(10)의 광섬유 결합공(53)에는 광섬유가 삽입되어 구강 내부를 조명한다.
따라서, 상기 광섬유가 구강 내부에서 발광하여 구강 내의 전체부분에 골고루 조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바이트 블럭(30)에는 블럭돌기(32)와 블럭요홈(31)이 구비되어 상기 구강조명기가 환자의 치아에서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볼지지부(40)는 타 측 상하 치아에 고정되어 상기 구강조명기가 환자의 구강 내에서 단단히 고정되게 한다.
또한, 상기 튜브결합부(10)에 형성된 제1 흡입공(51), 제2 흡입공(52) 및 블럭흡입공(54)과 상기 혀보호부(20)에 형성된 흡입세공들(23)을 이용하여 구강 내의 타액(1)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해준다.
그러나, 상기 흡입세공들(23)은 구강 내의 여러 부분에서 타액을 흡입하는 효과는 있으나, 상기 흡입공들(51,52,54)과 직접적으로 연결이 되지 않으므로 흡입력의 손실이 큰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구강조명기는 상기 혀보호부(20)가 혀를 전방에서 구강의 내측으로 밀어 고정하기 때문에 환자가 혀의 압박을 느낄 수 있고, 타액(1)이 목구멍에서 혀의 전방으로 차 올라야만 상기 흡입세공들(23)에 의해 타액(1)을 흡입할 수 있으므로 타액(1)에 의한 이물감이 큰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구강조명기는 상기 튜브결합부(10), 상기 혀보호부(20) 및 상기 바이트 블럭(30)이 일체형으로 제작되므로 크기가 커 환자에게 심리적인 불안감을 줄 수 있고, 세척에 어려움이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치과 진료시에 환자의 혀를 편안하게 보호하고, 타액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동시에 구강 내부를 전체적으로 밝게 조명할 수 있는 구강조명기를 개발하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혀를 압박하지 않고 구강 내의 치료하고자하는 일 측의 타 측으로 혀를 격리하여 몰아주어 치료시에 혀를 편안하게 보호하는 동시에 상기 구강 내의 일 측의 치료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구강 내부를 골고루 조명할 수 있는 혀 보호용 팁스, 바이트 블럭 및 구강조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목구멍에서 차오르는 타액을 흡입력의 손실이 없이 빠르게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타액에 의한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혀 보호용 팁스, 바이트 블럭 및 구강조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이트 블럭을 환자의 일 측 상하 치아에 물려 구강을 벌리는 동시에 상기 바이트 블럭 내부로 광원을 삽입하여 구강 내부를 직접적으로 조명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구강 내부를 조명할 수 있는 혀 보호용 팁스, 바이트 블럭 및 구강조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혀 보호용 팁스, 바이트 블럭이 서로 분리되어 세척이 용이한 혀 보호용 팁스, 바이트 블럭 및 구강조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강 내의 일 측 상하 치아에 의해 물려 구강을 개방하는 바이트 블럭에 탈착되며, 일 측은 상기 바이트 블럭에 결합하고, 타 측은 혀의 일 측면을 감싸며, 상기 구강 내의 타 측 혀 뿌리 쪽으로 연장되어, 치과 치료시 혀를 보호하는 혀 보호용 팁스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혀 보호용 팁스는 상기 바이트 블럭에 결합하는 블럭 결합부, 상기 블럭 결합부에서 상기 구강 내의 타 측 혀 뿌리 쪽으로 휘어져 연장되는 팁스 본체부 및 상기 팁스 본체부의 일 측 모서리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혀의 일 측면을 감싸는 혀 보호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혀 보호부는 상기 혀의 첨두부를 더 감싸며, 상기 혀를 상기 구강 내의 타 측 치아들과 격리하여 혀를 보호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혀 보호용 팁스의 타 측은 가상의 연장축을 중심으로 상기 혀 보호용 팁스의 일 측에서 연장되되, 상기 혀의 일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연장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비틀어져 연장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혀 보호용 팁스의 일 측과 타 측을 관통하 며, 목 구멍에서 상기 구강 내의 타 측 혀 뿌리로 차오르는 타액을 흡입하는 타액 흡입관이 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액 흡입관은 복수 개의 타액 흡입관들로 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강 내의 일 측 상하 치아에 의해 물려 구강을 개방하는 블럭본체, 상기 블럭본체의 일 측에 천공되고 외부의 광원이 삽입되는 광원 삽입공, 상기 블럭본체의 구강 내 측에 형성되고 혀 보호용 팁스가 결합되는 팁스 결합공 및 상기 광원 삽입공과 이격되어 상기 블럭본체의 일 측에 천공되고, 상기 팁스 결합공으로 관통되며, 외부의 흡입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팁스 결합공으로 유입되는 타액을 상기 흡입배관으로 전달하는 타액 전달관이 구비되는 바이트 블럭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팁스 결합공은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팁스 결합공으로 구비되고, 상기 타액 전달관은 상기 팁스 결합공들로 각각 관통되며,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타액 전달관으로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팁스 결합공들은 제1 팁스 결합공 및 제2 팁스 결합공의 두 개의 팁스 결합공으로 구비되고, 상기 타액 전달관은 상기 제1 팁스 결합공 및 제2 팁스 결합공에 각각 연결되는 제1 타액 전달관 및 제2 타액 전달관으로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팁스 결합공은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팁스 결합공으로 구비되고, 상기 타액 전달관은 상기 팁스 결합공들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팁스 결합공들은 서로 이격된 제1 팁스 결합공 및 제2 팁스 결합공의 두 개의 팁스 결합공으로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럭본체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상하 치아에 의해 물리는 바이트 요홈이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 요홈에는 상기 상하 치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바이트 돌기가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 돌기는 상기 바이트 요홈의 바닥에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럭본체는 상기 광원의 광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한 블럭본체로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단에 광원을 구비하는 핸드피스, 상기 핸드피스의 일 단에 결합하고, 상기 광원의 광을 구강 내부로 전달하며, 상기 구강 내의 일 측 상하 치아에 물려 구강을 개방하는 바이트 블럭 및 일 측이 상기 바이트 블럭에 결합하고, 타 측은 혀의 일 측면을 감싸며 상기 구강 내의 타 측 혀 뿌리 쪽으로 연장되는 혀 보호용 팁스를 포함하는 구강조명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혀 보호용 팁스는 상기 바이트 블럭에 결합하는 블럭 결합부, 상기 블럭 결합부에서 상기 구강 내의 타 측 혀 뿌리 쪽으로 휘 어져 연장되는 팁스 본체부 및 상기 팁스 본체부의 일 측 모서리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혀의 일 측면을 감싸는 혀 보호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혀 보호부는 상기 혀의 첨두부를 더 감싸며, 상기 혀를 상기 구강 내의 타 측 치아들과 격리하여 혀를 보호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혀 보호용 팁스의 타 측은 가상의 연장축을 중심으로 상기 혀 보호용 팁스의 일 측에서 연장되되, 상기 혀의 일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연장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비틀어져 연장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혀 보호용 팁스의 일 측과 타 측을 관통하며, 목 구멍에서 상기 구강 내의 타 측 혀 뿌리로 차오르는 타액을 흡입하는 타액 흡입관이 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액 흡입관은 복수 개의 타액 흡입관들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 블럭은 상기 블럭본체의 일 측에 천공되고, 상기 광원이 삽입되는 광원 삽입공 및 상기 블럭본체의 구강 내 측에 형성되고 상기 혀 보호 팁스가 결합하는 팁스 결합공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는 상기 핸드피스의 일 단과 타 단을 관통하며, 외부의 흡입기와 연결되는 흡입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트 블럭은 상기 흡입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팁스 결합공으로 관통되어, 상기 팁스 결합공으로 유입되는 타액을 상기 흡입배관으로 전달하는 타액 전달관이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팁스 결합공은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팁스 결합공으로 구비되고, 상기 타액 전달관은 상기 팁스 결합공으로 각각 관통되는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타액 전달관으로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입배관은 이격된 복 수개의 흡입배관으로 구비되고, 상기 타액 전달관들은 상기 흡입배관들에 각각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입배관들은 제1 흡입배관 및 제2 흡입배관의 두 개의 흡입배관으로 구비되고, 상기 팁스 결합공들은 제1 팁스 결합공 및 제 2 팁스 결합공의 두 개의 팁스 결합공으로 구비되며, 상기 타액 전달관들은 각각 제1 흡입배관 및 제2 흡입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팁스 결합공 및 제 2 팁스 결합공으로 관통되는 제1 타액 전달관 및 제2 타액 전달관으로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팁스 결합공은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팁스 결합공으로 구비되고, 상기 타액 전달관은 상기 팁스 결합공으로 동시에 관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럭본체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상하 치아에 의해 물리는 바이트 요홈이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 요홈에는 상기 상하 치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바이트 돌기가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 돌기는 상기 바이트 요홈의 바닥에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는 상기 흡입배관들을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핸드피스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배관들에 동시에 설치되며 상기 팁스 결합공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하나의 개폐 밸브로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는 상기 개폐 밸브를 구동하는 밸브구동레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는 외부 일정부분에 상기 광원을 온,오프하는 광원제어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원제어스위치는 터치스위치로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 블럭은 상기 광원의 광을 투과하는 투명한 바이트 블럭으로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로 구비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혀 보호용 팁스, 바이트 블럭 및 구강조명기에 따르면 환자의 혀를 구강 후방으로 밀어 압박하지 않고 혀의 측면을 감싸며, 치료부위로부터 혀를 격리하여 보호하므로 환자로 하여금 혀가 편안한 상태에서 치과 치료를 받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혀 보호용 팁스, 바이트 블럭 및 구강조명기에 따르면 혀 보호용 팁스를 이용하여 환자의 혀를 치료하고자 하는 구강 내 일 측의 타 측으로 몰아주어 격리시킴으로써 구강 내의 일 측 치아들의 치료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의사로 하여금 쉽게 치과 진료를 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혀 보호용 팁스, 바이트 블럭 및 구강조명기에 따르면 혀 보호용 팁스가 혀의 일 측 혀뿌리 쪽으로 연장되므로 타액이 혀의 전방으로 차오르기 전에 목구멍에서 혀뿌리로 차오르는 타액을 흡입력의 손실 없이 바로 흡입할 수 있어 타액에 의한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혀 보호용 팁스, 바이트 블럭 및 구강조명기에 따르면 혀 보호용 팁스, 바이트 블럭 및 핸드피스가 서로 분리되어 세척이 용이하므로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어 환자들의 2차적 간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혀 보호용 팁스의 상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혀 보호용 팁스의 하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혀 보호용 팁스의 타액 흡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혀 보호용 팁스(100)는 구강 내의 일 측 상하 치아에 물려 구강을 개방하는 바이트 블럭(200)에 탈착되어 치과 치료시에 혀(2)를 보호한다.
또한, 상기 혀 보호용 팁스(100)는 일 측(100a)은 상기 바이트 블럭(200)에 결합하고 타 측(100b)은 혀(2)의 일 측면(2a)을 감싸며, 상기 구강 내의 타 측 혀 뿌리(2b) 쪽으로 연장된다.
즉, 상기 혀 보호용 팁스(100)는 상기 구강 내의 일 측 상하 치아에서 상기 구강 내의 타 측 혀 뿌리(2b) 쪽으로 유선형으로 휘어진 형태로 구비된다.
따라서, 종래의 구강조명기의 혀 보호부(20)와 비교하여 혀(2)를 위에서 아래로 눌러 혀(2)를 구강 내의 후방으로 압박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혀(2)의 일 측면(2a)을 감싸는 동시에 상기 구강 내의 일 측으로 몰아서 격리함으로써, 상기 구강 내의 타 측 치아들의 치료공간이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즉, 의사는 쉽게 환자의 구강 내부를 치료할 수 있고, 환자는 혀를 압박받지 않고 편안하고 안전한 상태에서 치과 치료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구강조명기의 혀 보호부(20)는 혀를 위에서 아래로 눌러 구강 내의 후방으로 압박하여, 환자가 혀(2)를 움직일 수 없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혀 보호용 팁스(100)는 상기 혀 보호용 팁스(100)가 감싸는 혀(2)의 일 측면(2a)의 반대쪽으로 혀(2)를 편안하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혀 보호용 팁스(100)는 상기 혀 보호용 팁스(100)의 일 측(100a)에 형성되고 상기 바이트 블럭(200)에 결합하는 블럭 결합부(110), 상기 블럭결합부(110)에서 상기 구강 내의 타 측 혀 뿌리(2b) 쪽으로 휘어져 연장되는 팁스 본체부(120) 및 상기 팁스 본체부(120)의 일 측 모서리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혀(2)의 일 측면(2a)을 감싸는 혀 보호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혀 보호부(130)는 혀(2)의 첨두부(2c)를 더 감쌀 수 있고, 환자의 앞니와 구강 내 타 측 치아들의 치료공간을 확보하게 한다.
또한, 상기 혀 보호용 팁스(100)는 상기 혀 보호용 팁스(100)의 일 측(100a)과 타 측(100b)을 관통하며, 상기 구강 내의 타 측 혀 뿌리(2b)에 차오르는 타액(1)을 흡입하는 타액 흡입관(14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타액 흡입관(140)은 복수 개의 타액 흡입관들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액 흡입관(140)은 상기 혀 보호용 팁스(100)의 타 측(100b)에서 상기 혀 보호용 팁스(100)의 일 측(100a)으로 타액(1)을 전달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혀 보호용 팁스(100)는 도 6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구강 내의 타 측 혀 뿌리(2b)에 차오르는 타액(1)을 즉시 흡입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구강조명기의 흡입세공(23)과 비교하여, 상기 타액 흡입 관(140)이 직접 타액(1)을 흡입하므로, 흡입력의 손실이 없고, 타액(1)이 혀(2)의 전방으로 차오르기 전에 혀 뿌리 근처에서 빠르게 흡입할 수 있으므로 타액에 의한 환자의 이물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혀 보호용 팁스(100)의 타 측(110b)은 가상의 연장축(a)을 중심으로 상기 혀(2)의 일 측면(2a)을 감싸도록 일정한 각도(α) 비틀어져 휘어져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혀 보호용 팁스(100)는 상기 혀(2)의 일 측면(2a)의 하부까지 감싸며 보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조명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조명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조명기를 구강 내에 착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조명기는 핸드피스(300), 바이트 블럭(200) 및 혀 보호용 팁스(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핸드피스(300)는 일 단에 광원(310)을 구비하며, 상기 광원(310)을 아래에서 설명할 바이트 블럭(200)에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구강 내부를 직접 조명한다.
또한, 상기 핸드피스(300)는 외부 일정부분에 상기 광원(310)을 온/오프하는 광원제어스위치(32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원제어스위치(320)를 터치스위치로 구비 하여 손으로 한번 접촉하면 상기 광원(310)이 '온'되고, 다시 한번 접촉하면 상기 광원(310)이 '오프'되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 광원제어스위치(320)는 공지된 다양한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광원(310)은 복수 개의 LED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바이트 블럭(200)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바 형상의 면광원으로 구비하여 그림자를 최소화하며 구강 내부를 조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핸드피스(300)의 내부에는 상기 핸드피스(300)의 일 단과 타 단을 관통하며, 타액을 외부의 흡입기(도시하지 않음)로 전달하는 흡입배관(330)이 천공된다.
또한, 상기 핸드피스(300)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배관(330)을 개폐하는 밸브(340)가 구비되고, 상기 핸드피스(300)의 외부에는 상기 밸브(340)를 구동하는 밸브구동레버(350)가 구비된다.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흡입배관(330)은 서로 이격된 제1 흡입배관(331) 및 제2 흡입배관(332)의 두 개의 흡입배관으로 구비되고, 상기 밸브(340)는 상기 흡입배관들(331,332)에 동시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배관들(331,33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하나의 개폐 밸브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밸브(34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천공되고, 각각 상기 제1 흡입배관(331) 및 제2 흡입배관(332)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밸브공(341) 및 제2 밸브공(342)이 구비된다.
즉, 상기 제1 흡입배관(331)이 상기 제1 밸브공(341)에 의해 열리면 상기 제2 흡입배관(332)은 닫히고, 상기 제2 흡입배관(332)이 상기 제2 벨브공(342)에 의해 열리면 상기 제1 흡입배관(331)이 닫히게 하여, 상기 밸브구동레버(350)가 상기 흡입배관들(331,332)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 밸브(340)는 제1 흡입배관(331) 및 제2 흡입배관(332)에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밸브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밸브구동레버(350) 상기 두 개의 밸브를 각각 구동하는 두 개의 밸브구동레버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배관들(331,332)은 상기 밸브(340)와 상기 외부의 흡입기(도시하지 않음) 사이에서 서로 합류되어 상기 외부의 흡입기(도시하지 않음)가 효율적으로 타액을 흡입하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 흡입배관들(331,332)이 각각 상기 외부의 흡입기(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바이트 블럭(200)은 구강 내의 일 측 상하 치아에 물려 구강을 개방하며, 상기 구강 내의 일 측 상하 치아에 물리는 블럭본체(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블럭본체(210)의 일 측에는 상기 광원(310)이 삽입되는 광원 삽입공(211)이 천공된다.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광원 삽입공(211)은 환자가 상기 블럭본체(210)를 물었을 때 구강 전방에서 보이는 일 측에 천공된다.
또한, 상기 블럭본체(210)는 상기 광원 삽입공(211)에 삽입된 광원(310)이 상기 블럭본체(210)의 외부로 잘 투과되도록 빛 투과율이 높은 투명한 재질의 블럭본체(210)로 제작하였다.
또한, 상기 블럭본체(210)는 환자가 상기 블럭본체(210)를 물었을 때 구강 내 측을 향해 상기 혀 보호용 팁스(100)가 결합하는 팁스 결합공(2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블럭본체(210)에는 상기 블럭본체(210)의 일 측에 상기 광원 삽입공(211)과 이격되어, 상기 블럭본체(210)의 일 측과 상기 팁스 결합공(212)을 관통하는 타액 전달관(213)이 천공된다.
또한, 상기 팁스 결합공(212)은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팁스 결합공(212a,212b)으로 구비되며, 더욱 자세하게는, 좌측용 혀 보호용 팁스와 우측용 혀 보호용 팁스를 각각 결합할 수 있는 제1 팁스 결합공(212a)및 제2 팁스 결합공(212b)의 두 개의 팁스 결합공(212a,212b)으로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타액 전달관(213)은 서로 이격되어 상기 블럭본체(210)의 일 측에서 상기 각 팁스 결합공들(212a,212b)로 관통하는 두 개의 타액전달관(213a,213b)으로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타액 전달관(213)은 하나의 타액 전달관이 상기 팁스 결합공들(212a,212b)로 분기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타액 전달관들(213a,213b)의 일 측은 상기 핸드피스(300)의 흡입배관들(331,332)과 서로 맞물려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혀 보호용 팁스(100)의 타액 흡입관(140)과 연결된다.
즉, 구강 내의 타액(1)은 상기 혀 보호용 팁스(100)의 타액 흡입관(140)으로 흡입되어, 상기 바이트 블럭(200)의 타액전달관(213)을 지나 상기 핸드피스(300)의 흡입배관(330)으로 전달되어, 외부의 흡입기(도시하지 않음)로 흡입된다.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흡입배관(330)과 상기 외부의 흡입기(도시하지 않음)는 타액 배출관(36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흡입배관(330)으로 전달되는 타액(1)이 상기 타액 배출관(360)을 지나 상기 외부의 흡입기(도시하지 않음)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 타액 배출관(360) 상기 흡입배관(330)과 동일한 배관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블럭본체(210)는 상부 및 하부에 환자의 상하 치아에 의해 물리는 바이트 요홈(214)이 형성되며, 바이트 요홈들(214)의 바닥에는 상기 상하 치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바이트 요철(215)이 형성된다.
즉, 상기 블럭본체(210)는 환자의 상하 치아에 물린 상태에서 전후좌우로 움직일 수 없으므로 치아에서 이탈되지 않아 상기 광원(310)이 안정적으로 구강 내부를 조명할 수 있다.
상기 혀 보호용 팁스(100)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혀 보호용 팁스(100)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구강조명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구강조명기를 구강 내에 착용하는 것에 대한 예시도 이고,
도 3은 종래의 구강조명기의 타액 흡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혀 보호용 팁스의 상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혀 보호용 팁스의 하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혀 보호용 팁스의 타액 흡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조명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조명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조명기를 구강 내에 착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혀 보호용 팁스 110:블럭 결합부
120:팁스 본체부 130:혀 보호부
140:타액 흡입관 200:바이트 블럭
210:블럭본체 211:광원 삽입공
212:팁스 결합공 213:타액 전달관
214:바이트 요홈 215:바이트 요철
300:핸드피스 310:광원
320:광원 제어스위치 330:흡입배관
340:밸브 350:밸브 구동레버

Claims (41)

  1. 삭제
  2. 구강 내의 일 측 상하 치아에 의해 물려 구강을 개방하는 바이트 블럭에 탈착되며,
    상기 바이트 블럭에 결합하는 블럭 결합부;
    상기 블럭 결합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구강 내의 타 측 혀 뿌리 쪽으로 휘어져 연장되는 팁스 본체부; 및
    상기 팁스 본체부의 일 측 모서리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혀의 일 측면을 감싸며, 상기 구강 내의 타 측 치아들과 상기 혀를 격리하는 혀 보호부;를 포함하는 혀 보호용 팁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혀 보호부는 상기 혀의 첨두부를 더 감싸며, 상기 팁스 본체부의 일 측 모서리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보호용 팁스.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혀 보호용 팁스의 타 측은 가상의 연장축을 중심으로 상기 혀 보호용 팁스의 일 측에서 연장되되,
    상기 혀의 일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연장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비틀어져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보호용 팁스.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혀 보호용 팁스의 일 측과 타 측을 관통하며, 목 구멍에서 상기 구강 내의 타 측 혀 뿌리로 차오르는 타액을 흡입하는 타액 흡입관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보호용 팁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타액 흡입관은 복수 개의 타액 흡입관들로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보호용 팁스.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혀 보호용 팁스의 일 측과 타 측을 관통하며, 목 구멍에서 상기 구강 내의 타 측 혀 뿌리로 차오르는 타액을 흡입하는 타액 흡입관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보호용 팁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타액 흡입관은 복수 개의 타액 흡입관들로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보호용 팁스.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일 단에 광원을 구비하는 핸드피스;
    상기 핸드피스의 일 단에 결합하고, 상기 광원의 광을 구강 내부로 전달하며, 상기 구강 내의 일 측 상하 치아에 물려 구강을 개방하는 바이트 블럭; 및
    일 측이 상기 바이트 블럭에 결합하고, 혀를 상기 구강 내의 타 측 치아들과 격리하는 혀 보호용 팁스;를 포함하며,
    상기 혀 보호용 팁스:는
    상기 바이트 블럭에 결합하는 블럭 결합부;
    상기 블럭 결합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구강 내의 타 측 혀 뿌리 쪽으로 휘어져 연장되는 팁스 본체부; 및
    상기 팁스 본체부의 일 측 모서리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혀의 일 측면을 감싸며, 상기 구강 내의 타 측 치아들과 상기 혀를 격리하는 혀 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조명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혀 보호부는 상기 혀의 첨두부를 더 감싸며, 상기 팁스 본체부의 일 측 모서리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조명기.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혀 보호용 팁스의 타 측은 가상의 연장축을 중심으로 상기 혀 보호용 팁스의 일 측에서 연장되되,
    상기 혀의 일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연장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비틀어져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조명기.
  22.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혀 보호용 팁스의 일 측과 타 측을 관통하며, 목 구멍에서 상기 구강 내의 타 측 혀 뿌리로 차오르는 타액을 흡입하는 타액 흡입관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조명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액 흡입관은 복수 개의 타액 흡입관들로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조명기.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혀 보호용 팁스의 일 측과 타 측을 관통하며, 목 구멍에서 상기 구강 내의 타 측 혀 뿌리로 차오르는 타액을 흡입하는 타액 흡입관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조명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타액 흡입관은 복수 개의 타액 흡입관들로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조명기.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 블럭:은
    상기 구강 내의 일 측 상하 치아에 물리는 블럭본체;
    상기 블럭본체의 일 측에 천공되고, 상기 광원이 삽입되는 광원 삽입공; 및
    상기 블럭본체의 구강 내 측에 형성되고 상기 혀 보호 팁스가 결합하는 팁스 결합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조명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는 상기 핸드피스의 일 단과 타 단을 관통하며, 외부의 흡입기와 연결되는 흡입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트 블럭은 상기 흡입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팁스 결합공으로 관통되어, 상기 팁스 결합공으로 유입되는 타액을 상기 흡입배관으로 전달하는 타액 전달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조명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팁스 결합공은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팁스 결합공으로 구비되고,
    상기 타액 전달관은 상기 팁스 결합공으로 각각 관통되는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타액 전달관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조명기.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배관은 이격된 복 수개의 흡입배관으로 구비되고,
    상기 타액 전달관들은 상기 흡입배관들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조명기.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배관들은 제1 흡입배관 및 제2 흡입배관의 두 개의 흡입배관으로 구비되고,
    상기 팁스 결합공들은 제1 팁스 결합공 및 제 2 팁스 결합공의 두 개의 팁스 결합공으로 구비되며,
    상기 타액 전달관들은 각각 제1 흡입배관 및 제2 흡입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팁스 결합공 및 제 2 팁스 결합공으로 관통되는 제1 타액 전달관 및 제2 타액 전달관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조명기.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팁스 결합공은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팁스 결합공으로 구비되고,
    상기 타액 전달관은 상기 팁스 결합공으로 분기되어 동시에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조명기.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본체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상하 치아에 의해 물리는 바이트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조명기.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 요홈에는 상기 상하 치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바이트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조명기.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 돌기는 상기 바이트 요홈의 바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조명기.
  35.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는 상기 흡입배관들을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조명기.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핸드피스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배관들에 동시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배관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하나의 개폐 밸브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조명기.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는 상기 개폐 밸브를 구동하는 밸브구동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조명기.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는 외부 일정부분에 상기 광원을 온,오프하는 광원제어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조명기.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제어스위치는 터치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조명기.
  4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 블럭은 상기 광원의 광을 투과하는 투명한 바이트 블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조명기.
  4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조명기.
KR1020090019328A 2009-03-06 2009-03-06 타액흡입기능을 갖는 혀 보호용 팁스, 바이트 블럭 및 구강조명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936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328A KR100936221B1 (ko) 2009-03-06 2009-03-06 타액흡입기능을 갖는 혀 보호용 팁스, 바이트 블럭 및 구강조명기
PCT/KR2010/001322 WO2010101407A2 (ko) 2009-03-06 2010-03-03 타액흡입기능을 갖는 혀 보호용 팁스, 바이트 블럭 및 구강조명기
JP2011532031A JP2012505702A (ja) 2009-03-06 2010-03-03 唾液吸引機能を有する舌保護用ティップス、バイトブロックおよび口腔照明器
CN2010800014733A CN102026587A (zh) 2009-03-06 2010-03-03 具有吸除唾液功能的舌头保护装置、牙垫及口腔照明设备
EP10748949A EP2404569A4 (en) 2009-03-06 2010-03-03 LANGUAGE PROTECTING TIPS, ROOM TO BE MISSED, AND ORAL LIGHTING DEVICE ON SALIVA VACUUM PALLET
US13/254,949 US20120015320A1 (en) 2009-03-06 2010-03-03 Tips for protecting the tongue, bite block, and intraoral illumination device having a saliva-sucking function
BRPI1006522A BRPI1006522A2 (pt) 2009-03-06 2010-03-03 dispositivo de iluminação intraor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328A KR100936221B1 (ko) 2009-03-06 2009-03-06 타액흡입기능을 갖는 혀 보호용 팁스, 바이트 블럭 및 구강조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6221B1 true KR100936221B1 (ko) 2010-01-11

Family

ID=41809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328A Expired - Fee Related KR100936221B1 (ko) 2009-03-06 2009-03-06 타액흡입기능을 갖는 혀 보호용 팁스, 바이트 블럭 및 구강조명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015320A1 (ko)
EP (1) EP2404569A4 (ko)
JP (1) JP2012505702A (ko)
KR (1) KR100936221B1 (ko)
CN (1) CN102026587A (ko)
BR (1) BRPI1006522A2 (ko)
WO (1) WO2010101407A2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041B1 (ko) 2010-09-17 2012-12-31 주식회사 덴탈아이디에스 구강 시술 장치
KR101235084B1 (ko) 2011-06-20 2013-02-20 신미정 치과용 기능성 바이트 블록
KR101329168B1 (ko) * 2011-10-12 2013-11-14 (주) 덴토존 구개면 지지부가 구비된 혀 보호용 팁스 및 구강 조명기
KR101337735B1 (ko) 2011-08-04 2013-12-06 김기수 치과용 혀 보호기
KR101363054B1 (ko) 2012-06-20 2014-02-14 김창원 치과치료용 개구기
KR101409393B1 (ko) 2012-07-27 2014-06-20 박병활 치과용 개구기
KR101522314B1 (ko) * 2014-02-14 2015-05-21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석션용 마우스 프롭
KR101730509B1 (ko) 2013-12-09 2017-04-26 인셉트, 인코포레이티드 구강내 치과용 석션 및 격리 시스템
KR20210130073A (ko) * 2020-04-21 2021-10-29 백인규 치과 시술을 위한 리트렉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95297B2 (en) 2006-10-24 2015-08-04 Louie Khouri Illuminated dental prop
JP5314112B2 (ja) * 2011-11-14 2013-10-16 古屋 叶果 歯磨き補助具
CN102631180A (zh) * 2012-04-20 2012-08-15 邝美玲 口腔隔舌照明器
WO2014072976A1 (en) 2012-11-08 2014-05-15 Emodi Omri Intracavity illumination device
US11589969B2 (en) 2012-12-07 2023-02-28 Solmetex, Llc Intraoral device with mesh
CA2940230C (en) * 2013-02-20 2023-08-29 Louie Khouri Illuminated dental prop
US20140329192A1 (en) * 2013-03-02 2014-11-06 Lucie R. Kaskoun Electronically Enabled Removable Dental Device
EP2983612B1 (en) * 2013-04-12 2018-08-15 Innerlite, Inc. Dental aspiration device and method of cleaning the device
US10561310B2 (en) 2014-06-03 2020-02-18 It's Lit Lighting Solutions Llc Lighted bite block
TN2014000462A1 (fr) * 2014-10-31 2016-03-30 El Hedi Oussama Couvert de langue
FI126590B (fi) * 2014-11-21 2017-02-28 Medrian Oy Hammas- ja kielituki
US11737739B2 (en) 2015-04-21 2023-08-29 Ascentcare Dental Products, Inc. Dental instrument assemblies and components for use within dental instrument assemblies
US9968341B2 (en) * 2015-04-21 2018-05-15 Ascentcare Dental Labs, Llc Dental bite block assembly
CN105342717B (zh) * 2015-08-27 2017-06-16 黄瑞宗 一种牙科手术口腔内支撑装置
CN105581852B (zh) * 2016-03-26 2017-05-24 吉林大学 一种口腔内护舌撑架
EP3451896A4 (en) * 2016-05-04 2020-01-01 Radtec Medical Devices, Inc. Intraoral positioning device
CN106725267A (zh) * 2017-01-17 2017-05-31 佛山市崇达照明电器有限公司 一种带led模块的医用牙垫
CN108042228A (zh) * 2017-12-28 2018-05-18 苗健 一种多功能护舌装置
CN108524044B (zh) * 2018-06-01 2023-12-05 郭婷 一种适用于口腔治疗的口腔保护垫及其使用方法
SG11202112319YA (en) 2019-05-10 2021-12-30 Dryshield Llc Dental mouthpiece
KR102116453B1 (ko) * 2019-10-22 2020-05-28 웰스메디텍 주식회사 구내염 치료기
CN113633402A (zh) * 2020-05-11 2021-11-12 西安交通大学 义齿去除装置及义齿去除组件
KR102474266B1 (ko) * 2020-06-16 2022-12-05 (주) 덴토존 치과용 석션보조기구
CN112294477B (zh) * 2020-09-27 2021-10-22 宁波城市职业技术学院 一种带自吸功能的口腔治疗装置
CN112569013A (zh) * 2020-11-27 2021-03-30 马梅伍 一种牙科用的治疗辅助装置
JP7075161B1 (ja) * 2021-01-29 2022-05-25 英世 宇治 照明付き口腔内吸引装置
JPWO2022162952A1 (ko) * 2021-01-29 2022-08-04
CN113426029B (zh) * 2021-05-25 2022-06-10 重庆大学附属肿瘤医院 3d打印口腔癌放疗用个体化口腔筒
CN113208760B (zh) * 2021-06-08 2022-03-04 山东大学 一种口腔科用可调节吸唾装置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3194A (ja) * 2004-08-05 2006-02-16 Osada Res Inst Ltd 口腔内照明機能付吸引器
KR100686607B1 (ko) * 2006-03-21 2007-02-26 주식회사 예성기업 혀보호대가 구비된 치과환자용 개구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0896A (en) * 1953-12-12 1957-07-30 Thum Adolf Apparatus for illuminating the cavity of the mouth
US5152686A (en) * 1991-04-25 1992-10-06 Calvin Duggan Dental appliance
US7287981B2 (en) * 1998-11-17 2007-10-30 Innerlite, Inc. Cooling device and method for intraoral device illumination source
US6022214A (en) * 1998-11-17 2000-02-08 Hirsch; James A. Intraoral illumina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6974321B2 (en) * 1998-11-17 2005-12-13 Innerlite, Inc. Intraoral device
EP1120081A3 (en) * 2000-01-27 2002-05-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ral cavity image pickup apparatus
WO2007046585A1 (en) * 2005-10-17 2007-04-26 Dentozone Co.,Ltd. Intraoral illuminating apparatus
US20080145813A1 (en) * 2006-12-13 2008-06-19 Bobby Crohn Intraoral illumin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3194A (ja) * 2004-08-05 2006-02-16 Osada Res Inst Ltd 口腔内照明機能付吸引器
KR100686607B1 (ko) * 2006-03-21 2007-02-26 주식회사 예성기업 혀보호대가 구비된 치과환자용 개구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041B1 (ko) 2010-09-17 2012-12-31 주식회사 덴탈아이디에스 구강 시술 장치
KR101235084B1 (ko) 2011-06-20 2013-02-20 신미정 치과용 기능성 바이트 블록
KR101337735B1 (ko) 2011-08-04 2013-12-06 김기수 치과용 혀 보호기
KR101329168B1 (ko) * 2011-10-12 2013-11-14 (주) 덴토존 구개면 지지부가 구비된 혀 보호용 팁스 및 구강 조명기
KR101363054B1 (ko) 2012-06-20 2014-02-14 김창원 치과치료용 개구기
KR101409393B1 (ko) 2012-07-27 2014-06-20 박병활 치과용 개구기
KR101730509B1 (ko) 2013-12-09 2017-04-26 인셉트, 인코포레이티드 구강내 치과용 석션 및 격리 시스템
KR101522314B1 (ko) * 2014-02-14 2015-05-21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석션용 마우스 프롭
KR20210130073A (ko) * 2020-04-21 2021-10-29 백인규 치과 시술을 위한 리트렉터 장치
KR102454856B1 (ko) * 2020-04-21 2022-10-14 백인규 치과 시술을 위한 리트렉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01407A2 (ko) 2010-09-10
EP2404569A2 (en) 2012-01-11
WO2010101407A3 (ko) 2011-01-20
JP2012505702A (ja) 2012-03-08
EP2404569A4 (en) 2013-01-23
CN102026587A (zh) 2011-04-20
BRPI1006522A2 (pt) 2017-06-06
US20120015320A1 (en) 201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221B1 (ko) 타액흡입기능을 갖는 혀 보호용 팁스, 바이트 블럭 및 구강조명기
EP3184076B1 (en) Intraoral dental suction and isolation system
ES2280129T3 (es) Dispositivo de iluminacion intraoral.
JP4954286B2 (ja) 口腔内装置
Kalpidis et al. Hemorrhaging associated with endosseous implant placement in the anterior mandible: a review of the literature
US20080145813A1 (en) Intraoral illumination device
EP2593155B1 (en) Suction device for evacuating fumes
GB2431882A (en) Mouth Prop
CN209695163U (zh) 一种口腔医患气溶胶隔离装置
KR101235084B1 (ko) 치과용 기능성 바이트 블록
KR101329168B1 (ko) 구개면 지지부가 구비된 혀 보호용 팁스 및 구강 조명기
KR101082826B1 (ko) 마우스프롭 착탈식 구강조명장치
CA2712711C (en) Dental shield device
KR20120119225A (ko) 흡입홀더를 구비한 타액흡입 연결장치
CN201668370U (zh) 具有照明功能的临床用根管器具
CN213216837U (zh) 一种口腔治疗中携带挡板的护龈口镜
CN210842951U (zh) 一种口内舌阻挡装置
WO2022163012A1 (ja) 光るバキュームチップ
CN204600414U (zh) 扁桃体灼烙疗法专用开口器
CN104644113B (zh) 扁桃体灼烙疗法专用开口器
CN217366156U (zh) 一种吸唾咬合器
JP4293954B2 (ja) 口腔内照明機能付吸引器
US20210378499A1 (en) Laryngoscope
Mirante et al. Maxillary sinus osteitis secondary to a dental implant
Mattoo et al. Endoscopic Oral Splint–A Novel Design to Aid in Diagnosis and Treatment Related Clinical Proced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9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