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6120B1 -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를 이용한 크레인의 안전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를 이용한 크레인의 안전제어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36120B1 KR100936120B1 KR1020070137626A KR20070137626A KR100936120B1 KR 100936120 B1 KR100936120 B1 KR 100936120B1 KR 1020070137626 A KR1020070137626 A KR 1020070137626A KR 20070137626 A KR20070137626 A KR 20070137626A KR 100936120 B1 KR100936120 B1 KR 1009361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ad
- boom
- roller
- lifting
- detection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6854 communi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886 linear fun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78 mathematical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6—Applications of indicating, registering, or weigh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6—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다단붐(15)의 신축된 길이를 감지하고, 후크의 와이어로프(19)의 과권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겸비한 붐길이센서(2)와,
상기 후크 와이어로프(19)의 과권상태를 검출하는 과권스위치(1) 및 과권추(20)와,
과권경보 및 부하율에 대한 경보기능을 제공하며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안전보조장치(9)와,
다단붐(15)의 경사각을 측정하며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3)의 우측면에 장착된 붐각도센서(5)와,
메인후크의 와이어로프(19)의 인장력을 3개의 로울러를 이용하여 측정하되, 실제 인양물의 하중을 검출하도록 핀형 로드셀(16)의 미세한 전압신호를 1차적으로 증폭하여 전송하는 신호전송기(4)를 구비한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3)와,
상기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3)로 부터 입력된 입력값을, 사전에 장비 정렬과정을 통해 실제인양하중값과 상기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3)의 출력전압과의 정합(Mapping) 과정을 거쳐 생성된 1차함수인 최대인양하중 범위를 이용하여 후크 및와이어로프의 중량이 포함된 인양물의 실제인양하중값을 연산하며,
상기 붐길이센서(2)와 붐각도센서(5)의 출력값을 수신하여 그 입력값을토대로 표1에 도시된 정격하중표의 작업반경 또는 수평상태의 붐길이를 기준하여 정격하중값을 연산하며, 상기 연산된 실제인양하중값과 정격하중값을 비교하여 메이커에서 제공하는 작업범위도를 감시 및 경고, 제한하는 전기신호를 부하율에 따라 3단계로 출력하는 안전제어장치(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를 이용한 크레인의 안전제어시스템이다.
상기에 있어 작업범위도란 크레인의 전복 및 붐의 꺽임현상 등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작업반경 범위를 말한다.
원래 본 발명이 속하는 일반적인 크레인은 다단붐의 인출거리와 1단붐의 경사각에 따라 메인샤프트에서의 회전 모멘트(Moment)값이 달라지고 그로 인해 인양할 수 있는 정격하중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작업 범위도를 고려하지 않고 인양 및 하역작업을 하다 보면 크레인의 전복 및 붐의 꺽임현상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바, 이를 해결하고자 크레인을 제조하는 메이커에서는 작업범위에 따른 도표(기재 생략)를 설정하고 활용토록 함으로서 크레인의 과도한 모멘트 발생을 방지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보조후크(13) 및 보조원치드럼(도시되지않음)으로 탑시트(6)에서 붐신축, 원치상승/하강, 붐기복, 붐선회와 같은 메인작업을 수행하는 중대형 크레인의 경우에 붐의 상단에 메인후크용 로울러형하중검출장치(3)과 동일한 개념으로써, 상기 다단붐(15)의 상부에 3개의 로울러를 이용하여 와이어로프의 인장력으로 발생하는 힘의 방향(F')이 반대로 작용하는 핀형로드셀(16)로 이루어진 로울러형하중검출장치(11)를 추가 장착하고 인양작업중에 작업자가 수시로 보조후크(13)을 이용한 인양물의 실제인양하중값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별도의 하중계인디게이터(8)를 탑시트(6)에 장착하고, 상기 보조후크의 실제인양하중값을 전시하기 위해 보조후크의 세그멘트표시부(36)를 갖도록 구성한다.
상기에 있어 하중계인디게이터(8)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 상황에 따라 메인후크(12)의 인양물의 실제인양하중값을 작업자가 탑시트(6)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스윙포스터(17)의 좌측면에 설치된 안전제어장치(7)로 부터 시리얼 통신을 통해 실제인양하중값을 입력 받아 하중계인디게이터의 표시부로 전시할 수 있도록 통신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 크레인의 안전제어시스템에 있어, 다단붐(15)의 신축된 길이를 감지하고, 메인후크(12)의 와이어 로프(19)의 과권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겸비한 붐길이센서(2)의 경우, 상기 붐길이센서(2)의 와이어는 통상적으로 1선 또는 2선으로 이루어진 내마모성 전선으로 과권스위치(1)의 접점신호를 안전제어장치(7)로 전송하는 기능을 겸비하고 있다.
즉 상기 과권스위치(1)의 접점신호는 메인후크(12) 와이어로프(19)의 과권상태를 과권추(20)의 상승으로 NO(NORMAL OPEN)접점에서 NC(NORMAL CLOSE)접점으로 검출되는 신호로서, 과권경보 및 부하율에 대한 경보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는 메인후크용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3)와 보조후크용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11)로 나뉘어지는바, 이는 메인 와이어로프(19)가 메인 윈치드럼에 감겨질때 와이어의 탈선을 방지하고 와이어의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위치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의 선단에 장착된다.
한편, 이에 대한 구성을 살펴보면 도1 내지 도7에서 상세히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브래킷(21)이 1차적으로 다단붐(15)의 1단붐 하단면에 용접되며, 상기 고정브래킷(21)은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3)가 메인 와이어로프의 위치에 따라 유동적으로 좌우로 이동하여 장착을 수행하도록 장홀(30)을 구비하고, 4개의 볼트(28) 및 너트(29)로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3)를 용이하게 장착시킨다.
또한, 핀형로드셀(16)을 장착할 로드셀브래킷(22)과, 메인후크 와이어로프(19)의 인장력에 의해 발생되는 힘(F)을 핀형로드셀(16)로 전달하는 부재로써 솔리드형 니이들 로울러베어링을 장착한 메인로울러(23)와, 힘(F)에 의한 휨량을 검출하는 핀형로드셀(16)과, 메인로울러(23)와 함께 와이어로프의 인장력을 발생시키도록 지지하는 두개의 보조로울러(27)로 이루어지며, 상기 로드셀브래킷(22)에 메인로울러(23)를 삽입하며, 로드셀브래킷(22)의 로드셀삽입공(22b)을 통하여 메인로울러(23)의 삽입공으로 핀형로드셀(16)를 삽입하며, 로드셀브래킷(22)의 양측보스(22a)에 마련되어 있는 키홈에 스톱바(26)을 이용하여 핀형로드셀(16)를 고정시키고 고정볼트(24) 및 스프링와셔(25)로 조립하며, 로드셀브래킷(22)의 양측 샤프트삽입공에 핀샤프트(31)를 이용하여 보조로울러(27)를 관통하여 조립하고 축용C형 멈출링(32)으로 고정시키게 되며, 로드셀브래킷(22)의 일면측에는 핀형로드셀(16)의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하는 신호전송기(4)를 장착하며, 타면측에는 붐각도센서(5)를 장착토록 한다.
한편, 상기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3)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후크(12)의 와이어로프(19)의 인장력을 3개의 로울러를 이용하여 측정하는바, 상기 인장력을 측정하는 방식은 도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인후크(12)에 실제 인양물을 권상하면 와이어로프(19)에 의해 C방향과 C'방향으로 힘(인장력)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핀형로드셀(16)의 수직 상향, 즉 F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핀형로드셀(16)에 인가된 여자전압(EXCITATION VOLTAGE)을 기준으로 실제인양하중에 비례하는 미세전압이 출력된다.
이어서, 로드셀브래킷(22)의 일면측에 장착된 신호전송기(4)에 의하여 상기 미세전압을 증폭하여 안전제어장치(7)에 전송하며, 사전에 장비 정렬과정을 통해 실제인양하중값과 상기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3)의 출력전압과의 정합(Mapping) 과정을 거쳐 생성된 1차함수에 의하여 실제인양하중값은 산출된다.
상기에 있어 1차함수란 사전에 장비 정렬과정을 통해 실제인양하중값과 상기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3)의 출력전압과의 정합(Mapping) 과정을 거쳐 생성된 함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실제인양하중의 범위를 모델링한 1차함수 모델에 의하여 실제인양하중값을 연산하게 된다.
이러한 1차함수 모델은 최소인양하중값과 최대인양하중값으로 생성된 직선함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실제인양하중값(알수 있는 값)과 핀형로드셀(16)의 출력전압과의 선형관계를 나타낸 함수다.
따라서, 상기 1차함수를 이용하여 후크 및 와이어로프의 중량이 포함된 인양물의 실제인양하중값을 연산하며, 상기 붐길이센서(2)와 붐각도센서(5)의 출력값을 수신하여 그 입력값을 토대로 정격하중표(표1)의 작업반경 또는 수평상태(0도 기준)의 붐길이를 기준하여 정격하중값을 연산하며, 상기 연산된 실제인양하중값과 정격하중값을 비교하여 부하율을 계산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안전제어장치(7)는 크레인의 기종에 따라 표준작업 형태와 탑시트 형태(TOP SEAT TYPE)의 2가지 방식에 따라 장착위치가 달라질 수 있는 바, 메인작업이 탑시트(6)에서 이루어질 때는 안전제어장치(7)가 탑시트에 장착되는 차량이 있다.
상기 안전제어장치(7)는 도10의 기본구성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드웨어처리 및 소프트웨어처리수단이 함께 결합된 것으로 차량에 부착된 붐길이센서(2)와 붐각도센서(5)의 출력신호에 의해 일정시간마다 붐의 자세를 산출하는 길이/각도센서신호처리수단(40)과,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3)의 출력신호에 의해 일정시간마다 하중을 산출하는 하중검출장치신호처리수단(41)과, 상기 길이/각도센서신호처리수단(40)과 하중검출장치신호처리수단(41)에 의해 산출한 인양하중, 붐길이, 붐각도, 작업반경 등을 세그멘트표시수단(33)으로 표시하고 제어를 행하는 디지털표시제어수단(39)과, 표시전환스위치(55)에 따라 표시전환을 위한 입력스위치부신호처리수단(42)을 갖추고 있다.
상기 하중검출장치신호처리수단(41)은 입력된 값을 최소 인양하중 범위에서 최대 인양하중 범위 사이의 1차함수를 선형화 하기 위해 여러 개의 직선함수로 나누어 모델링하고, 입력된 값에 따라서 여러 개의 1차함수 중에 1개의 1차함수의 구간을 이용하여 실제인양 하중값을 산출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선형화 과정은 정확한 실제인양하중값을 산출하기 위한 수치해석상의 한 과정이며, 또한 상기 1차함수들은 사전에 장비 정렬과정을 통해 실제인양하중값과 상기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3)의 출력전압과의 정합(Mapping) 과정을 거쳐 생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길이/각도센서신호처리수단(40)과 하중검출장치신호처리수단(41)의 산출값을 토대로 표1에 도시된 정격하중표의 작업반경 또는 수평상태에서 붐길이를 기준하여 정격하중값을 연산하며, 상기 연산된 실제인양하중값과 정격하중값을 비교하여 메이커에서 제공하는 작업범위도를 감시 및 경보, 제한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신호처리수단(47)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44)을 가진다.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44)는 실제인양하중값을 정격하중값으로 나눈 부하율을 산출하여 부하율이 85% 미만일 때는 녹색정상LED램프, 부하율이 85% ~ 99%일 때는 황색경고LED램프, 부하율이 100% 이상 일 때는 적색위험LED램프를 구동하도록 출력신호처리수단(47)을 제어하되, 상기 출력신호처리수단(47)은 작업자가 태양광 아래에서도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중의 삼색LED램프표시수단(34)을 이용하여 경고하게 된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44)는 부하율이 100% 이상 일 때는 적색위험LED램프의 구동과 동시에 안전보조장치(9)를 통하여 붐하강차단밸브(49), 메인원치차단밸브(51), 붐인출차단밸브(53)를 구동시켜서 붐기복실린더(50), 메인원치유압모터(52), 붐신축실린더(54)를 동시에 제한하고, 작업범위도를 벗어나서 과도한 모멘트를 발생시킬 수 있는 붐하강, 붐인출, 원치상승은 차단하고, 반대로 모멘트를 감소시키는 방향의 유압작동은 가능하게 하여 자동제한기능과 자동복귀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출력신호처리수단(47)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44)는 일정시간마다 기준타임을 제공하는 리얼타임클록처리수단(43)의 지원으로 장비의 인양 및 하역작업 상황을 날짜별,시간별로 하중을 비롯한 각종 데이터를 장비운행기록데이터처리수단(46)으로 저장 및 분류 처리하게되며, 필요시 상기 장비운행기록데이터처리수단(46)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프린터/PC통신처리수단(48)을 통해 컴퓨터나 무선통신시스템으로 정보를 출력 또는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44)는 장비의 작업자를 위한 실제인양하중값을 상부 탑시트(6)의 하중계인디게이터(8)로 전송하기 위해 시리얼통신신호처리수단(45)를 제어하며, 상기 프린터/PC통신처리수단(48)은 안전제어시스템을 크레인 장비에 설치하고 장비의 각종센서 정렬 및 설정을 위해 설정툴 키트(TOOLKIT)와 통신을 위한 통신포트로 활용되며,
상기 통신포트를 통해 장비의 이력관리를 행하며, 출하부터 사후관리를 위한 장비의 모델명, 차대, 차량번호, 사용자인식코드를 저장하여, 만약에 있을 안전제어장치들의 도난 및 불법개조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Claims (6)
- 직진식 유압크레인에 있어서,다단붐(15)의 신축된 길이를 감지하고, 후크의 와이어로프(19)의 과권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겸비한 붐길이센서(2)와,상기 후크 와이어로프(19)의 과권상태를 검출하는 과권스위치(1)및 과권추(20)와,과권경보 및 부하율에 대한 경보기능을 제공하며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안전보조장치(9)와,다단붐(15)의 경사각을 측정하며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3)의 우측면에 장착된 붐각도센서(5)와,메인후크의 와이어로프(19)의 인장력을 3개의 로울러를 이용하여 측정하되, 실제 인양물의 하중을 검출하도록 핀형 로드셀(16)의 미세한 전압신호를 1차적으로 증폭하여 전송하는 신호전송기(4)를 구비한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3)와,상기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3)로 부터 입력된 입력값을, 사전에 장비 정렬과정을 통해 실제인양하중값과 상기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3)의 출력전압과의 정합(Mapping) 과정을 거쳐 생성된 1차함수인 최대인양하중 범위를 이용하여 후크 및와이어로프의 중량이 포함된 인양물의 실제인양하중값을 연산하며,상기 붐길이센서(2)와 붐각도센서(5)의 출력값을 수신하여 그 입력값을 토대로 표1에 도시된 정격하중표의 작업반경 또는 수평상태의 붐길이를 기준하여 정격하중값을 연산하며, 상기 연산된 실제인양하중값과 정격하중값을 비교하여 메이커에서 제공하는 작업범위도를 감시 및 경보, 제한하는 전기신호를 부하율에 따라 3단계로 출력하는 안전제어장치(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를 이용한 크레인의 안전제어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다단붐(15)의 상부에 3개의 로울러를 이용하여 와이어로프의 인장력으로 발생하는 힘의 방향이 반대인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11)를 추가 장착하고 인양작업중에 작업자가 수시로 인양물의 인양 및 적재하중을 정확히 계량할 수 있도록 하중계인디게이터(8)를 탑시트(6)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를 이용한 크레인의 안전제어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상기 하중계인디게이터(8)는 작업 상황에 따라 메인후크(12)의 인양물의 실제인양하중값을 작업자가 탑시트(6)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스윙포스터(17)의 좌측면에 설치된 안전제어장치(7)로 부터 시리얼 통신을 통해 실제인양하중값을 입력 받아 하중계인디게이터의 표시부로 전시할 수 있도록 통신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를 이용한 크레인의 안전제어시스템.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3)는 메인 와이어로프(19)가 윈치드럼에 감겨질때 와이어의 탈선을 최소화하기 위한 위치로써 다단붐(15)의 선단에 장착되며, 장착용 부재로써 고정브래킷(21)이 다단붐(15) 선단의 하단면에 용접되며,상기 고정브래킷(21)은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3)가 메인 와이어로프(19)의 위치에 따라 유동적으로 좌우로 이동하여 장착을 수행하도록 장홀(30)을 구비하고, 4개의 볼트(28) 및 너트(29)로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3)를 장착하며,상기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3)는 핀형로드셀(16)을 장착할 로드셀브래킷(22)과, 메인 와이어로프(19)의 인장력에 의해 발생되는 힘을 핀형로드셀(16)로 전달하는 부재로써 솔리드형 니이들 로울러베어링을 장착한 메인로울러(23)와, 휨량을 검출하는 핀형로드셀(16)과, 메인로울러(23)와 함께 와이어로프의 인장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두개의 보조로울러(27)로 이루어지며,상기 로드셀브래킷(22)에 메인로울러(23)를 삽입하며, 로드셀브래킷(22)의 로드셀삽입공(22b)을 통하여 메인로울러(23)의 삽입공으로 관통하여 핀형로드셀(16)를 삽입하며, 로드셀브래킷(22)의 양측보스(22a)에 마련되어 있는 키홈에 스톱바(26)을 이용하여 핀형로드셀(16)를 고정시키고 고정볼트(24) 및 스프링와셔(25)로 조립하며, 로드셀브래킷(22)의 양측 샤프트삽입공에 핀샤프트(31)를 이용하여 보조로울러(27)를 관통하여 조립하고 축용C형 멈춤링(32)으로 고정시키며,상기 로드셀브래킷(22)의 일면측에는 핀형로드셀의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하는 신호전송기(4)를 장착하며, 타면측에는 붐각도센서(5)를 장착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를 이용한 크레인의 안전제어시스템.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상기 안전제어장치(7)는 하드웨어처리 및 소프트웨어처리수단이 함께 결합된 것으로 차량에 부착된 붐길이센서(2)와 붐각도센서(5)의 출력신호에 의해 일정시간마다 붐의 자세를 산출하는 길이/각도센서신호처리수단(40)과,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3)의 출력신호에 의해 일정시간마다 하중을 산출하는 하중검출장치신호처리수단(41)과, 상기 길이/각도센서신호처리수단(40)과 하중검출장치신호처리수단(41)에 의해 산출한 인양하중, 붐길이, 붐각도, 작업반경 등을 세그멘트표시수단(33)으로 표시하고 제어를 행하는 디지털표시제어수단(39)과, 표시전환스위치(55)에 따라 표시전환을 위한 입력스위치부신호처리수단(42)을 갖추고, 상기 하중검출장치신호처리수단(41)은 입력된 값을, 사전에 장비 정렬과정을 통해 실제인양하중값과 상기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3)의 출력전압과의 정합(Mapping) 과정을 거쳐 생성된 1차함수인 최대인양하중 범위를 이용하여 후크 및 와이어로프의 중량이 포함된 인양물의 실제인양하중값을 산출하며,상기 길이/각도센서신호처리수단(40)과 하중검출장치신호처리수단(41)의 산출값을 토대로 표1에 도시된 정격하중표의 작업반경 또는 수평상태에서 붐길이를 기준하여 정격하중값을 연산하며, 상기 연산된 실제인양하중값과 정격하중값을 비교하여 메이커에서 제공하는 작업범위도를 감시 및 경고, 제한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신호처리수단(47)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44)을 가지며,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44)는 실제인양하중값을 정격하중값으로 나눈 부하율을 산출하여 부하율이 85% 미만일 때는 녹색정상LED램프, 부하율이 85% ~ 99%일 때는 황색경고LED램프, 부하율이 100% 이상 일 때는 적색위험LED램프를 구동하도록 출력신호처리수단(47)을 제어하되, 상기 출력신호처리수단(47)은 작업자가 태양광 아래에서도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중의 삼색LED램프표시수단(34)를 적용하며,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44)는 부하율이 100% 이상 일 때는 적색위험LED램프의 구동과 동시에 안전보조장치(9)를 통하여 붐하강차단밸브(49), 메인원치차단밸브(51), 붐인출차단밸브(53)를 구동시켜서 붐기복실린더(50), 메인원치유압모터(52), 붐신축실린더(54)를 동시에 제한하고, 작업범위도를 벗어나서 과도한 모멘트를 발생시킬 수 있는 붐하강, 붐인출, 원치상승은 차단하고, 반대로 모멘트를 감소시키는 방향의 유압작동은 가능하게 하여 자동제한기능과 자동복귀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출력신호처리수단(47)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며,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44)는 일정시간마다 기준타임을 제공하는 리얼타임클록처리수단(43)의 지원으로 장비의 인양 및 하역작업 상황을 날짜별,시간별로 하중을 비롯한 각종 데이터를 장비운행기록데이터처리수단(46)으로 저장 및 분류 처리하게되며, 필요시 상기 장비운행기록데이터처리수단(46)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프린터/PC통신처리수단(48)을 통해 컴퓨터나 무선통신시스템으로 정보를 출력 또는 전송하며,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44)는 장비의 작업자를 위한 실제인양하중값을 상부 탑시트(6)의 하중계인디게이터(8)로 전송하기 위해 시리얼통신신호처리수단(45)를 제어하며, 상기 프린터/PC통신처리수단(48)은 안전제어시스템을 크레인 장비에 설치하고 장비의 각종센서 정렬및 설정을 위해 설정툴 키트(TOOLKIT)와 통신을 위한 통신포트로 활용되며,상기 통신포트를 통해 장비의 이력관리를 행하며, 출하부터 사후관리를 위한 장비의 모델명, 차대, 차량번호, 사용자인식코드를 저장하여, 만약에 있을 안전제어장치들의 도난 및 불법개조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제어장치(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를 이용한 크레인의 안전제어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안전보조장치(9)는, 안전제어장치(7)와 더불어 스윙포스트 일측면에 장착되어 표준 메인작업을 수행할 때 부하율에 따라 경고 및 위험하중에 대한 정보를 작업자에 의해 육안으로 볼 수 있는 표시등(37)과 병렬로 구성된 LED램프(38)에 의해 표시되며,안전제어장치(7)의 출력신호처리수단(47)의 출력신호인 경보 및 제한신호는 안전보조장치(9)에 입력되면 릴레이 접점이 전환되고, 경고 또는 위험표시등과 경보싸이렌(10), 동시에 붐하강차단밸브(49), 메인원치차단밸브(51), 붐인출차단밸브(53)를 구동시켜서 붐기복실린더(50), 메인원치유압모터(52), 붐신축실린더(54)를 차단하여 붐의 작동을 제한, 규제하는 안전제어기능이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를 이용한 크레인의 안전제어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7626A KR100936120B1 (ko) | 2007-12-26 | 2007-12-26 |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를 이용한 크레인의 안전제어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7626A KR100936120B1 (ko) | 2007-12-26 | 2007-12-26 |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를 이용한 크레인의 안전제어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69823A KR20090069823A (ko) | 2009-07-01 |
KR100936120B1 true KR100936120B1 (ko) | 2010-01-12 |
Family
ID=41321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37626A Expired - Fee Related KR100936120B1 (ko) | 2007-12-26 | 2007-12-26 |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를 이용한 크레인의 안전제어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3612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1689B1 (ko) | 2011-11-23 | 2012-03-09 | 강용주 | 크레인 하중센서 |
KR101539622B1 (ko) * | 2013-12-26 | 2015-07-28 | 주식회사 카스 | 차량용 하중분배상태 점검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884719B2 (ja) * | 2012-12-20 | 2016-03-15 | 横浜ゴム株式会社 | 空気式防舷材のガイロープの張力検知システムおよび空気式防舷材 |
KR101642407B1 (ko) | 2015-12-31 | 2016-07-25 | 김찬영 | 크레인의 권과 방지 장치 및 방법 |
KR101628922B1 (ko) | 2016-01-18 | 2016-06-09 | 김찬영 | 무선 악셀레이터 장치 |
KR101976041B1 (ko) * | 2017-08-17 | 2019-05-07 | 김남철 | 소둔 장치용 허스롤 베어링 감시 구조 |
SI3594167T1 (sl) | 2018-07-13 | 2021-11-30 | Epsilon Kran Gmbh. | Žerjav s sistemom za zajemanje slike |
KR102030445B1 (ko) * | 2018-10-04 | 2019-10-10 | 이경자 |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 |
KR102054107B1 (ko) | 2019-06-03 | 2019-12-09 | 조주현 | 정밀 무선 측위 탐지 모듈 및 이에 의한 무선 붐 길이 탐지 장치 |
CN110775726A (zh) * | 2019-10-30 | 2020-02-11 | 三一汽车起重机械有限公司 | 电缆卷筒保护装置及电缆卷筒的保护方法 |
KR102365185B1 (ko) * | 2020-03-09 | 2022-02-18 | 지엠에스아이 주식회사 | 붐길이센서가 설치되는 유압식크레인 다단붐 장치의 붐 길이 검출장치 |
KR102809173B1 (ko) * | 2021-12-10 | 2025-05-19 | (주) 수산세보틱스 | 크레인 차량 및 크레인 차량의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방법 |
KR102763608B1 (ko) * | 2024-06-11 | 2025-02-05 | 한국원자력환경공단 |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의 사일로 점검장치 |
CN118753989B (zh) * | 2024-08-05 | 2025-01-10 | 徐州永安特种设备检测有限公司 | 一种起重机载荷检测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89697A (ja) * | 1993-09-22 | 1995-04-04 | Komatsu Mec Corp | 移動式クレーンの可動範囲表示装置 |
KR19990005277A (ko) * | 1997-06-30 | 1999-01-25 | 토니 헬샴 | 크레인의 안전 제어방법 |
KR20000011832A (ko) * | 1998-07-21 | 2000-02-25 | 구마모토 마사히로 | 선회식작업기계와그안전작업영역및정격하중의설정방법 |
JP3077898B2 (ja) | 1997-05-15 | 2000-08-21 | 住友建機株式会社 | 移動式クレ−ンの過負荷防止装置 |
-
2007
- 2007-12-26 KR KR1020070137626A patent/KR100936120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89697A (ja) * | 1993-09-22 | 1995-04-04 | Komatsu Mec Corp | 移動式クレーンの可動範囲表示装置 |
JP3077898B2 (ja) | 1997-05-15 | 2000-08-21 | 住友建機株式会社 | 移動式クレ−ンの過負荷防止装置 |
KR19990005277A (ko) * | 1997-06-30 | 1999-01-25 | 토니 헬샴 | 크레인의 안전 제어방법 |
KR20000011832A (ko) * | 1998-07-21 | 2000-02-25 | 구마모토 마사히로 | 선회식작업기계와그안전작업영역및정격하중의설정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1689B1 (ko) | 2011-11-23 | 2012-03-09 | 강용주 | 크레인 하중센서 |
KR101539622B1 (ko) * | 2013-12-26 | 2015-07-28 | 주식회사 카스 | 차량용 하중분배상태 점검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69823A (ko) | 2009-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36120B1 (ko) |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를 이용한 크레인의 안전제어시스템 | |
AU2018200482B2 (en) | Stress or accumulated damage monitoring system | |
EP2668476B1 (en) | Method in the check weighing of a weighing system and software product and arrangement in the check weighing of a weighing system and materials handling equipment | |
AU650359B2 (en) | Load moment indicator system | |
US10078923B2 (en) | Embedded hoist human-machine interface | |
US9120653B2 (en) | Method of monitoring crane safety during the setup procedure, as well as crane and crane control | |
JP4640196B2 (ja) | クレーンの作業評価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 |
KR100714730B1 (ko) | 고소작업차의 다중 안전제어시스템 | |
CN107628545B (zh) | 一种海上起重机的力矩限制系统 | |
US20150176254A1 (en) | Disarm device | |
US11745986B2 (en) | Arm with two or more hooks | |
KR100976209B1 (ko) | 크레인의 로울러형 인양 하중 검출장치 및 인양 하중 검출방법 | |
CN114325385A (zh) | 一种电机台架断轴检测方法 | |
KR200230363Y1 (ko) | 크레인 및 대차에 적용되는 하중 및 전류 검출 장치 | |
JPH0249276Y2 (ko) | ||
JPH0459572B2 (ko) | ||
US11434114B1 (en) | Winch line tension measurement system | |
CN109573838A (zh) | 监测塔式起重机顶升状态的方法和装置及塔式起重机 | |
KR100648363B1 (ko) | 유압식 굴삭기의 회전각 검출에 의한 인양력 모니터링시스템 | |
JP2000007283A (ja) | 移動式クレーンの軸力による異常判定装置 | |
KR20230136840A (ko) | 지게차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20130053506A (ko) | 선박용 고용량 토크 점검 시스템 | |
KR20070052917A (ko) | 굴삭기의 도저 작업자세 감지 및 경고장치 | |
KR20000065498A (ko) | 체인블럭 점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2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12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