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5708B1 - Start control device and start control method for restarting engine - Google Patents
Start control device and start control method for restarting eng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35708B1 KR100935708B1 KR1020080022224A KR20080022224A KR100935708B1 KR 100935708 B1 KR100935708 B1 KR 100935708B1 KR 1020080022224 A KR1020080022224 A KR 1020080022224A KR 20080022224 A KR20080022224 A KR 20080022224A KR 100935708 B1 KR100935708 B1 KR 1009357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gine
- variable valve
- load
- valve
- valve mechanis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8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858 star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197 cataly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60 explo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02D13/06—Cutting-out cylind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7/00—Controlling engines by cutting out individual cylinders; Rendering engines inoperative or idling
- F02D17/02—Cutting-ou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02N99/002—Starting combustion engines by ignition means
- F02N99/006—Providing a combustible mixture inside the cylind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F02D2041/001—Controlling intake air for engines with variable valve actu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8—Controlling each cylinder individually
- F02D41/0082—Controlling each cylinder individually per groups or ban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9/00—Starting aids for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9/004—Aiding engine start by using decompression means or variable valve actu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흡기 밸브의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을 가변시키는 가변 밸브 기구를 구비한 엔진에 있어서, 아이들 스톱의 조건이 성립하여 엔진을 자동 정지시킬 때에, 흡기 밸브의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을 작게 변경하여, 재시동시에 있어서의 기변 밸브 기구의 부하가 작아지도록 하여 둔다. 또한, 재시동 요구가 발생하면, 팽창 행정에서 정지한 실린더에 대한 연료 분사와 점화에 의하여 최초의 폭발 압력을 얻어서 엔진의 시동을 개시한다. 또한, 최초의 흡기 행정 후에 흡기 밸브의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을 증대시킨다.
엔진, 자동 정지, 자동 재시동
In an engine having a variable valve mechanism for varying the valve operating angle and the valve lift amount of an intake valve, the valve operating angle and the valve lift amount of the intake valve are changed small when the engine stops automatically when the conditions of the idle stop are satisfied. Thus, the load on the valve valve mechanism at the time of restarting is reduced. In addition, when a restart request occurs, the engine is started by obtaining an initial explosion pressure by fuel injection and ignition of the cylinder stopped in the expansion stroke. In addition, after the initial intake stroke, the valve operating angle and the valve lift amount of the intake valve are increased.
Engine, auto stop, auto restar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작동이 정지되어 있는 엔진을 재시동하기 위한 시동 제어 장치 및 시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엔진 밸브의 개방 특성을 가변시키는 가변 밸브 기구를 구비한 엔진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정지 상태에서 엔진의 연소실 내의 연료에 점화하여 엔진을 재시동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rt control device and a start control method for restarting an engine in which operation is stoppe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restarting an engine by igniting fuel in a combustion chamber of an engine in an engine having a variable valve mechanism for varying an opening characteristic of an engine valve.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5-030236호 공보에는 엔진의 아이들 운전 중에 엔진 작동을 자동으로 정지시킬 조건이 성립하면 엔진의 운전을 자동 정지시키고, 엔진의 자동 정지 후에 재시동 조건이 성립하면 엔진의 연소실 내의 연료에 점화하여 엔진을 재시동하는 차량 제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5-030236 discloses that the engine is automatically stopped when a condition for automatically stopping the engine operation is performed during idle operation of the engine, and when the restart condition is established after the engine is stopped, A vehicle control apparatus is disclosed for igniting and restarting an engine.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식에서 스타터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엔진을 재시동하는 경우, 크랭크축의 회전 운동을 기동시키는 데 필요한 토크와 엔진에 의해 발생된 토크와의 차이인 여유 토크를 가능한 한 크게 증대시킴으로써, 엔진 재시동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By the way, in case of restarting the engine without using the starter motor in the above manner, the engine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allowable torque,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orque required to star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crankshaft and the torque generated by the engine, as much as possible. Restart success rate can be increased.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일례로 엔진의 연소 성능의 개선 등에 의하여 엔진 발생 토크를 증대시키는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엔진의 연소 성능 개선에만 의해서는 높은 엔진 시동 성공률을 안정적으로 얻기가 곤란하였다.Therefore, in the prior art, studies have been made to increase the engine generated torque by, for example, improving the combustion performance of the engine. However, it is difficult to stably obtain a high engine start success rate only by improving the combustion performance of the engine.
한편, 여유 토크를 증대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엔진의 마찰(friction)을 저하시킴으로써 크랭크축의 회전 운동을 기동시키는 데 필요한 토크를 저하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었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엔진의 재시동 성공률을 높이는 데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엔진 마찰의 효과적인 저감을 달성할 수 있는 수단이 제안된 바가 없다.On the other hand, as a method of increasing the marginal torque, a method of lowering the torque required to star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rankshaft by lowering the friction of the engine has been proposed. However, conventionally, no means have been proposed for achieving an effective reduction of engine friction, which can greatly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engine restart success rat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 밸브의 개방 특성을 가변시키기 위해 마련된 가변 밸브 기구를 구비한 엔진에 있어서 엔진 마찰의 저하에 의하여 크랭크축의 회전 운동을 기동시키는 데 필요한 토크를 저하시켜서 엔진 재시동 성공률을 높이는 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engine restarting success rate by lowering the torque required to star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crankshaft by lowering engine friction in an engine having a variable valve mechanism provided to vary the opening characteristics of the engine valve. There i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의 운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엔진의 연소실 내의 연료에 점화하여 엔진을 재시동시킬 때에 가변 밸브 기구에 의해 가해지는 부하를 강제적으로 저하시키도록 한 신규한 기술 사상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vel technical idea to forcibly lower the load applied by the variable valve mechanism when the engine is restarted by igniting the fuel in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engine when the engine operation is stopped. To prov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특징들에 대하여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Fur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 밸브의 개방 특성을 가변시키기 위해 마련된 가변 밸브 기구를 구비한 엔진에 있어서 엔진 마찰의 저하에 의하여 크랭크축의 회전 운동을 기동시키는 데 필요한 토크를 저하시킴으로써, 엔진 재시동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ngine having a variable valve mechanism provided for varying the opening characteristic of an engine valve, the engine restart success rate can be increased by lowering the torque required to star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rankshaft by lowering engine friction.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엔진의 시스템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ystem structure of a vehicle eng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있어서, 엔진(10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으며 좌우 2개의 뱅크를 구비한 V형 6-실린더 엔진으로 이루어진 내연 기관 엔진으로서, 상기 엔진은 각 실린더 내에 연료가 직접 분사되어 점화 플러그에 의하여 연료가 점화되는 방식의 엔진이다. In Fig. 1, the
상기 엔진(101)의 흡입관(102)에는 전자 제어 스로틀(104)이 장착된다. An
상기 전자 제어 스로틀(104)을 통과한 공기는 각 뱅크에 분배된 후에 다시 각 뱅크의 실린더 각각에 분배된다. Air passing through the
각 실린더에서는 공기가 흡기 밸브(105)를 통하여 연소실(106) 내로 흡입된다. In each cylinder, air is sucked into the
각 실린더의 연소실(106)에서 연소된 가스는 연소실(106)로부터 배기 밸브(107)를 통하여 배출되고, 이어서 각 뱅크를 통해서 집합 유동하고, 뱅크마다 설치되는 전방 촉매 컨버터(108a, 108b) 및 후방 촉매 컨버터(109a, 109b)에 의해서 정화된다. The gas combusted in the
상기 후방 촉매 컨버터(109a, 109b)에서 정화된 후에 각 뱅크로부터 나와 유동하는 배기 가스는 공통의 배기 통로 안으로 합류되어 유입되어서 머플러(103)로 유입되고, 그 후 머플러(103)로부터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The exhaust gas flowing out of each bank after being purified by the rear
상기 배기 밸브(107)는 배기 캠샤프트(110)에 축 방향으로 지지된 캠에 의하여 일정한 밸브 리프트량, 일정한 밸브 작동각 및 일정한 밸브 타이밍 하에서 개폐하도록 구동된다.The
한편, 각 뱅크 상의 흡기 밸브(105)의 밸브 리프트량과 밸브 작동각과 밸브 타이밍은 각 뱅크 각각 설치되는 가변 밸브 기구를 구성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기구(112a, 112b) 및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113a, 113b)에 의하여 가변 제어된다. On the other hand, the valve lift amount, valve operation angle, and valve timing of the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 기구(112a, 112b)는 흡기 밸브(105)의 밸브 리프트량과 밸브 작동각을 연속적으로 가변시키는 기구이다. The variable
또한, 상기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113a, 113b)는 크랭크샤프트에 대한 흡기 캠샤프트(3)의 회전 위상을 변화시킴으로써 흡기 밸브(105)의 밸브 작동각의 중심 위상을 연속적으로 가변시키는 기구이다. The variable
마이크로컴퓨터를 내장한 전자 제어 유닛(ECU)(114)은 엔진의 운전 조건에 따라 목표 흡입 공기량과 목표 흡입 부압을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목표 흡입 공기량과 목표 흡입 부압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제어 스로틀(104), 가변 밸브 리프트 기구(112a, 112b) 및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113a, 113b)를 제어한다.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114 incorporating a microcomputer sets a target intake air amount and a target intake negative pressure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ng condition of the engine, and the
상기 전자 제어 유닛(114)에는 엔진(101)의 흡입 공기 유량을 검출하는 에어 플로우 센서(115),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밟는 양을 검출하는 액셀러레이터 센 서(116), 크랭크샤프트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크랭크 각도 센서(117), 전자 제어 스로틀(104)의 개도(開度) TVO를 검출하는 스로틀 센서(118), 엔진(101)의 냉각수 온도를 검출하는 수온 센서(119), 각 뱅크마다 설치되고 배기 가스 중의 산소 농도에 기초하여 공연비를 검출하는 공연비 센서(111a, 111b), 차량의 풋 브레이크가 조작되고 있을 때 온(ON)이 되는 브레이크 스위치(120),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센서(121) 등과 같은 여러 센서로부터 신호가 입력된다. The
또한, 각 뱅크의 실린더 각각의 실린더 보어에는 연료를 연소실(106) 내에 직접 분사하는 연료 분사 밸브(13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소실(106)의 상단부에는 점화 플러그(122)가 설치되어 있다. The cylinder bore of each bank cylinder is provided with a
다음으로,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 기구(112a, 112b) 및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113a, 113b)의 구조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the structures of the variable
상기 엔진(101)은 각 뱅크의 실린더 각각에 한 쌍의 흡기 밸브(105, 105)가 설치되어 있고, 이 흡기 밸브(105, 105)의 위쪽에는 엔진(101)의 크랭크샤프트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흡기 캠샤프트(3)가 실린더 열(列) 방향을 따라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The
상기 흡기 캠샤프트(3)의 외주면에는, 각 흡기 밸브(105)의 밸브 리프터(2a)와 각각 접촉하여서 흡기 밸브(105)를 개폐 구동하는 요동 캠(4)들이 흡기 캠샤프트(3)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상기 흡기 캠샤프트(3)와 요동 캠(4)의 사이에는 흡기 밸브(105)의 밸브 작동각과 밸브 리프트량을 연속적으로 변경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기구(112a, 112b) 가 설치되어 있다. Between the
또한, 각 뱅크 상의 상기 흡기 캠샤프트(3)의 한쪽 단부에는 크랭크샤프트에 대한 상기 흡기 캠샤프트(3)의 회전 위상을 변화시킴으로써 흡기 밸브(105)의 밸브 작동각의 중심 위상을 연속적으로 변경하는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113a, 113b)가 설치되어 있다. Further, at one end of the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 기구(112a, 112b) 각각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기 캠샤프트(3)에 편심되게 해서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원형의 구동 캠(11)과, 상기 구동 캠(11)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그 구동 캠(11)의 외주면에 끼워 장착된 링 모양의 링크(12)와, 흡기 캠샤프트(3)와 거의 평행하게 실린더 열 방향으로 뻗은 제어 축(13)과, 이 제어 축(13)에 편심되게 해서 고정적으로 설치된 원형의 제어 캠(14)과, 상기 제어 캠(14)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그 제어 캠(14)의 외주면에 끼워 장착되는 동시에 한쪽 단부가 상기 링 모양의 링크(12)의 선단에 연결된 록커 암(15)과, 이 록커 암(15)의 다른 쪽 단부와 상기 요동 캠(4)에 연결된 봉형의 링크(16)를 구비하고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variable
상기 제어 축(13)은, 기어 트레인(18)을 매개하여, 모터 등과 같은 액튜에이터(17)에 의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구동된다. The
상기 구성에 따르면, 크랭크샤프트에 연동하여 흡기 캠샤프트(3)가 회전하면, 구동 캠(11)을 사이에 두고 링 모양의 링크(12)가 거의 병진 이동하는 동시에, 록커 암(15)이 제어 캠(14)의 축심 주위로 요동하고, 요동 캠(4)이 봉형의 링크(16)를 매개하여 요동하여서, 흡기 밸브(105)가 개폐 구동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또한, 상기 제어 축(13)의 회전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록커 암(15)의 요동 중심이 되는 제어 캠(14)의 축심 위치가 변화하고, 그 결과 요동 캠(4)의 자세 방향(orientation)이 변화한다. In addition, by chang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따라서, 각 흡기 밸브(105)의 밸브 작동각의 중심 위상을 대략 일정하게 하는 동안에, 흡기 밸브(105)의 밸브 작동각과 밸브 리프트량이 연속적으로 변화된다. Therefore, while making the center phase of the valve operating angle of each
또한, 흡기 밸브(105)의 밸브 작동각과 밸브 리프트량을 변화시킬 때에 실질적으로 이와 동시에 밸브 작동각의 중심 위상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특성을 각기 다른 형태로 갖는 밸브 가변 밸브 리프트 기구(112a, 112b)를 사용할 수 있다.Further, the valve variable
도 4는 상기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113a, 113b)를 도시한다. 4 shows the variable
상기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113a, 113b) 각각은 크랭크샤프트와 동기하여 회전하는 스프로켓(25)에 고정되고, 이 스프로켓(25)과 함께 회전하는 제1 회전체(21)와, 볼트(22a)에 의하여 상기 흡기 캠샤프트(3)의 한쪽 단부에 고정되어 흡기 캠샤프트(3)와 함께 회전하는 제2 회전체(22)와, 헤리컬 스플라인(26)을 통해서 제1 회전체(21)의 내주면과 제2 회전체(22)의 외주면에 물리는 통 모양의 중간 기어(23)를 구비하고 있다. Each of the variable
상기 중간 기어(23)에는 나사(28)를 사이에 두고 드럼(27)이 연결되어 있고, 이 드럼(27)과 중간 기어(23)의 사이에 토션 스프링(29)이 장착되어 있다. A
상기 중간 기어(23)는 토션 스프링(29)에 의하여, 밸브 타이밍이 지각(遲角) 변화되게 하는 방향(도 4의 왼쪽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어 있는데, 전자기식 리타 더(24)에 전압을 인가하여 자력을 발생시키면 드럼(27) 및 나사(28)의 운동을 통하여 밸브 타이밍을 진각(進角) 변화시키는 방향(도 4의 오른쪽 방향)으로 움직인다. The
이 중간 기어(23)의 축 방향 위치에 따라서 회전체(21, 22)의 상대 위상이 변화하고, 그에 따라 크랭크샤프트에 대한 흡기 캠샤프트(3)의 회전 위상이 변화하며 흡기 밸브(105)의 밸브 작동각의 중심 위상이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The relative phases of the
일례로 전기 모터로 구성된 상기 액튜에이터(17) 및 전자기식 리타더(24)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닛(114)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구동되게 제어된다. In one example, the
상기 전자 제어 유닛(114)은 상기 제어 축(13)의 목표 각도를 설정하고, 각도 센서(32)로 검출되는 제어 축(13)의 실제의 각도가 상기 설정된 목표 각도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액튜에이터(17)의 조작량을 피드백 제어한다. The
또한, 상기 전자 제어 유닛(114)은 상기 흡기 캠샤프트(3)의 기준 각도 위치에서 신호를 출력하는 캠 센서(31)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크랭크 각도 센서(117)로부터의 신호로부터, 크랭크샤프트에 대한 흡기 캠샤프트(3)의 회전 위상을 검출하고, 이 검출 결과가 목표의 회전 위상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전자기식 리타더(24)의 조작량을 피드백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전자 제어 유닛(114)은 엔진(101)의 아이들 운전 상태에서 자동 작동정지 조건이 성립하면, 엔진(101)의 운전을 자동 정지시키고, 엔진(101)의 운전을 자동 정지킨 후에 작동 재시동 조건이 성립하면 엔진(101)을 자동적으로 재시동하는 아이들-스톱-스타트(idle-stop-start)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the
전자 제어 유닛(114)의 상기 아이들-스톱-스타트 제어 기능에 의하면, 예를 들면 교차로에서의 신호 대기 상태에서 엔진(101)의 운전을 자동 정지시켜, 연료 소비량의 절감 및 배기 배출량의 저감을 도모한다. According to the idle stop start function of the
상기 아이들-스톱-스타트 제어 기능에 의한 엔진(101)의 운전을 재시동함에 있어서는 운전자의 발진 조작에 응하여 엔진(101)을 즉시 시동시킬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스타터 모터를 사용하여 시동시키는 대신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엔진(101)의 운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연소실 내의 연료에 점화하여서 엔진(101)의 운전을 시동시킨다. In restarting the operation of the
도 5의 플로우차트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닛(114)에 의하여 실행되는 아이들-스톱-스타트 제어의 상세를 나타낸다. The flowchart of FIG. 5 shows details of idle-stop-start control executed by the
단계 S201에서는 엔진(101)의 운전을 자동 정지시키는 조건이 성립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In step S201, it is determined whether a condition for automaticall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이 때, 이하의 조건 (1) 내지 (5)가 모두 성립되면, 엔진(101)의 운전을 자동 정지시킬 조건이 성립하였다고 판단한다. At this time, if all of the following conditions (1) to (5) are satisfied, it is determined that a condition for automaticall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1) 차속이 0 km/h(1) The vehicle speed is 0 km / h
(2) 엔진 회전수(rpm)가 기준 회전수 이하(2) The engine speed (rpm) is below the reference speed
(3) 액셀러레이터 개도가 전폐(全閉)(3) Accelerator opening degree is fully closed
(4) 브레이크 스위치(120)가 온(ON)(4) The
(5) 냉각수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5) The coolant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또한, 상기 자동 작동정지 조건은, 엔진(101)이 충분히 워밍업된 상태에서 교차로에서 신호 대기 등으로 차량이 일시 정지하였을 경우에, 엔진(101)의 운전을 자동 정지시키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단, 자동 정지의 조건을 상기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automatic operation stop condition assumes that the driving of the
자동 정지의 조건이 성립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대로 본 루틴을 종료시키고, 엔진(101)의 운전을 계속시킨다. If the condition of automatic stop does not hold, this routine is terminated as it is, and the operation of the
한편, 자동 작동정지 조건이 성립하는 경우에는 엔진(101)을 정지시키기 전에 엔진(101)의 흡입 공기량 및 흡기 밸브(105)의 개방 특성을 제어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automatic operation stop condition is satisfied, the intake air amount of the
먼저, 단계 S202에서는 전자 제어 스로틀(104)을 아이들 운전에 필요한 흡입 공기량이 얻어지는 개도까지 닫는다. First, in step S202, the
다음 단계 S203에서는 흡기 밸브(105)의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이 최대가 되도록 가변 밸브 리프트 기구(112a, 112b) 각각을 제어하고, 또한, 흡기 밸브(105)의 밸브 작동각의 중심 위상이 최대한 지각되도록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113a, 113b) 각각을 제어한다. In the next step S203, the variable
이 단계에서 주지해야 할 점은, 정상적인 운전시에는 가변 밸브 리프트 기구(112a, 112b) 및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113a, 113b)에 의하여 흡기 밸브(105) 각각의 개방 특성을 변화시킴으로써 엔진(101)의 흡입 공기량을 제어하고, 전자 제어 스로틀(104)에 의하여 스로틀 개도를 변화시킴으로써 흡입 부압을 제어한다는 것이다. It should be noted at this stage that the
반면에, 상기 단계 S202와 단계 S203의 처리는 전자 제어 스로틀(104)로 흡입 공기량 및 흡입 부압이 제어되는 상태로 변경하는 것이다. 즉, 단계 S203에서의 처리에 의하여 가변 밸브 리프트 기구(112a, 112b) 및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113a, 113b)는 흡입 공기량이 최대가 되도록 제어되지만, 단계 S202에서의 처리에 의하여 전자 제어 스로틀(104)의 개도를 작게 함으로써 아이들 운전시의 흡입 공기량이 제어되도록 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ing of step S202 and step S203 is to change to the state in which the intake air amount and the suction negative pressure are controlled by the
단계 S204에서는 연료 분사 밸브(131)의 연료 분사를 정지시키고, 또한, 점화 플러그(122)에 의한 점화를 정지시킴으로써 엔진(101)의 운전이 정지하도록 한다. In step S204, the fuel injection of the
단계 S205에서는 엔진(101)이 관성에 의하여 회전하고 있는 동안에, 엔진(101)의 흡입 공기량을 아이들 운전시의 흡입 공기량으로 하기 위하여 개도를 작게 하였던 전자 제어 스로틀(104)의 개도를 전개(全開)로 한다. In step S205, while the
전자 제어 스로틀(104)의 개도를 전개로 하더라도 그 전에 연료 분사 및 점화를 정지시켰기 때문에, 엔진(101)의 발생 토크가 증대되지는 않는다. Even when the opening degree of the
연료 분사 및 점화를 정지시킨 후 엔진(101)이 관성에 의하여 회전하고 있는 동안에 전자 제어 스로틀(104)의 개도를 전개로 하면, 가변 밸브 리프트 기구(112a, 112b) 및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113a, 113b)는 흡입 공기량이 최대가 되도록 제어되고 있기 때문에, 엔진(101)은 많은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If the opening degree of the
이어서, 엔진(101)이 많은 흡입 공기량을 흡입함으로써 각 실린더에서 큰 압축 일(work)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6개의 실린더 중에서 한 개의 실린더를 팽창 행정 도중의 대략 일정한 피스톤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팽창 행정 도중에 정지되는 실린더에서는 흡입 공기가 그 안에 갇히게 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 다. Subsequently, a large compression work occurs in each cylinder by the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엔진(101)의 운전이 재시동 될 때에는 팽창 행정 중에 피스톤 운동이 정지되어 있는 실린더에 대하여 연료를 분사하여 점화하고, 이에 따라 이 때의 폭발 압력으로 크랭크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시작한다. 따라서, 상기 재시동을 실시하려면 6개의 실린더 중 한 개 실린더를 팽창 행정에서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operation of the
이 때, 엔진(101)이 관성으로 회전할 때의 부하가 작으면, 압축 일에 의한 제동력이 약해져서, 팽창 행정 중에 상대적으로 더 지연된 시기에 피스톤이 정지하게 된다. 그래서, 팽창 행정 중의 지연된 시기에 피스톤의 운동이 정지하게 되면, 해당 실린더에서의 연소로 얻게 되는 회전력이 약해져서 시동 성능이 저하된다. At this time, if the load when the
따라서, 엔진(101)이 관성으로 회전할 때의 흡입 공기량을 많게 하여, 6개의 실린더 중 한 개의 실린더를 팽창 행정 도중의 가능한 한 진각된 위치에서 정지시키도록 한다. Therefore, the amount of intake air when the
단계 S206에서는 엔진(101)의 회전이 완전히 정지하였는지 아닌지를 크랭크각도 센서(117)의 신호로부터 판단한다. In step S206, it is determined from the signal of the
그리고, 엔진(101)의 회전이 완전히 정지하면, 단계 S207로 진행한다. When the rotation of the
단계 S207에서는 엔진(101)의 재시동에 대비하여 전자 제어 스로틀(104)의 개도를, 아이들 운전시의 흡입 공기량을 얻을 수 있는 개도로 닫고, 또한 가변 밸브 리프트 기구(112a, 112b)로 제어되는 흡기 밸브(105)의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을 엔진, 즉 엔진(101)의 자동 시동용으로 적합한 목표 값이 되도록 제어한 다. In step S207, the opening degree of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상기 자동 시동용의 목표 값은 스타터 모터를 사용한 시동시에 있어서의 목표 값보다 작은 값이며, 또한 엔진(101)의 시동 계속에 요구되는 값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된다. 그 결과, 자동 시동시에 있어서의 가변 밸브 리프트 기구(112a, 112)의 부하, 바꾸어 말하면 흡기 밸브(105)의 개방 구동의 부하를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The target value for the automatic start is set to a value smaller than the target value at the time of start using the starter motor and is smaller than the value required for the continuation of the start of the
상기 자동 시동용의 목표 값으로 흡기 밸브(105)가 구동되는 흡기 행정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초의 한 개의 실린더에만 설정되고, 해당 실린더에서의 연소는 6개의 실린더 중에서 네 번째의 연소가 된다. 흡기 밸브(105)의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이 엔진의 자동 시동용 목표 값에 이르게 제어함으로써, 각 실린더의 흡입 공기량이 크게 저하되어, 상기 네 번째의 연소에 있어서는 충분한 토크를 발생시킬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그 후의 연소로 충분한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으면, 엔진(101)을 성공적으로 시동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intake stroke in which the
한편, 엔진의 시동시에 최초의 폭발 압력으로 흡기 밸브(105)를 여는 일도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최초의 흡기 행정에서의 흡기 밸브(105)를 열기 위한 구동 부하가 크면 최초의 폭발 압력에 의한 크랭크샤프트의 회전 상승이 저해되어, 엔진의 시동 성능이 크게 저하된다.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necessary to open the
따라서, 엔진의 자동 시동을 실행할 때의 최초의 흡기 행정에서는, 최초 폭발에 의한 에너지의 많은 부분이, 토크를 발생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소비되기 보다는 오히려 흡기 밸브(105)의 개방 구동을 위해 소비되게 되 는상황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최초의 흡기 행정에서의 흡기 밸브(105)의 개방 구동의 부하를 경감함으로써, 엔진의 자동 시동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Thus, in the first intake stroke when performing the engine's automatic start, much of the energy due to the first explosion is opened rather than being consumed to intake a sufficient amount of air to generate torque. It is desirable to avoid situations that would otherwise be consumed for driving. Therefore, by reducing the load of the opening drive of the
이에, 엔진의 시동 계속에 요구되는 값보다 작은 값을, 자동 시동용의 목표 값으로 하고, 상기 엔진의 자동 시동용 목표 값은 가변 밸브 리프트 기구(112a, 112b)에 있어서의 최소 밸브 작동각과 최소 밸브 리프트량으로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최소 밸브 작동각 및 최소 밸브 리프트량 각각을 0으로 해도 좋다. Therefore, a value smaller than the value required for starting the engine is set as the target value for automatic start, and the target value for the automatic start of the engine is the minimum valve operating angle and the minimum in the variable
다만, 6기통 엔진에 비하여 연소 간격이 긴 4 기통 엔진 등에서는 엔진의 시동 개시부터 차례로 토크를 발생시키는 연소가 실행되지 않을 경우, 엔진 회전 속도가 크게 변동하여 시동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최초의 폭발 압력에 의한 회전 상승을 고려하면서, 최초의 흡기 행정 중에 흡인되는 실질적인 공기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엔진의 자동 시동용 목표 값을 설정한다. However, in a four-cylinder engine or the like having a longer combustion interval than the six-cylinder engine, when the combustion that generates torque in sequence from the start of the engine is not executed, the engine rotational speed fluctuates greatly and the starting performance is lowered. In this case, therefore, the target value for the automatic start of the engine is set so that the substantial amount of air sucked in during the first intake stroke can be secured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 rotational rise caused by the first explosion pressure.
상기 자동 시동에 있어서는 연소실 내에서의 연료의 연소에 의하여 크랭크축을 회전시키기 시작하기 때문에, 최초의 연소로 얻을 수 있는 회전 에너지를 크게 하거나 이 회전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는 마찰을 작게 함으로써 여유 토크를 크게 하면, 엔진(101)을 엔진의 자동 시동에 의해 높은 확률로 재시동시킬 수 있다. In the above automatic starting, the crankshaft starts to rotate by combustion of fuel in the combustion chamber. Therefore, when the allowable torque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rotational energy obtained by the first combustion or by reducing the friction that consumes the rotational energy. The
이에 흡기 밸브(105)의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을 작게 하여, 가변 밸브 리프트 기구(112a, 112b)의 부하가 작은 상태에서 엔진의 자동 시동을 실시하게 할 수 있도록, 엔진 정지시에 미리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을 스타터 모터를 사용한 시동시보다 작게 강제적으로 설정하여 둔다. In this way, the valve operating angle and the valve lift amount of the
가변 밸브 리프트 기구(112a, 112b)는 복잡한 기구에 의하여 크랭크축으로부터의 구동력을 흡기 밸브(105)의 밸브 리프터(2a)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표준 밸브 작동각 및 표준 밸브 리프트량의 경우에 있어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샤프트에 축 방향으로 지지되는 캠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흡기 밸브(105)를 구동하는 경우에 비하여, 엔진의 자동 시동시에 크랭크축을 구동시키는 데 필요한 기동 토크가 큰 폭으로 커지게 된다. The variable
그러나,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을 큰 폭으로 저하시킴으로써, 크랭크축의 기동 토크를 캠샤프트에 축 방향으로 지지되는 캠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흡기 밸브(105)를 구동하는 경우보다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However, as shown in FIG. 6, when the valve operating angle and the valve lift amount are greatly reduced, the
또한, 크랭크축의 기동 토크를 저하시킨 상태에서 자동 시동을 실시하면, 최초의 연소가 발생하자마자 그에 양호하게 응답해서 엔진 회전을 시동시킬 수 있어서, 엔진의 자동 시동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f automatic start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starting torque of the crankshaft is lowered, the engine rotation can be started in good response as soon as the first combustion occurs, thereby improving the engine auto start success rate.
단계 S208에서는 팽창 행정에서 정지한 실린더를 재시동시에 최초로 연료 분사 및 점화를 실시할 실린더로서 기억한다. In step S208, the cylinder stopped at the expansion stroke is stored as the cylinder to be fuel-injected and ignited first upon restart.
또한, 자동 정지에 의하여 엔진(101)이 정지하고 있는 동안, 가변 밸브 리프트 기구(112a, 112b)는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이 자동 시동용의 목표 값이 되는 상태로 유지되어, 재시동에 대비하게 된다. In addition, while the
다음으로, 상기 엔진의 자동 정지 상태로부터의 자동 시동 제어를, 도 7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automatic start control from the auto stop state of the engin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7.
단계 S301에서는 시동 조건이 성립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In step S30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tart condition is satisfied.
여기에서는 이하의 조건 (1) 내지 (4) 중 1 개라도 성립하면, 시동 조건이 성립되었다고 판단한다. Here, if any one of the following conditions (1) to (4) is satisfied,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rting condition is satisfied.
(1) 브레이크 스위치(120)가 오프(OFF)이다.(1) The
(2) 액셀러레이터 개도가 전폐가 아니다.(2) Accelerator opening is not entirely closed.
(3) 엔진의 정지 상태의 계속 시간이 기준 시간을 넘었다.(3) The duration time of the stopped state of the engine exceeded the reference time.
(4) 배터리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이다.(4) The battery voltage is below the reference voltage.
단, 시동 조건을 상기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However, the start condi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시동 조건이 성립하면, 단계 S302로 진행되어, 상기 단계 S208에서 기억하여 둔, 팽창 행정에서 정지한 실린더에 대하여 연료 분사를 실시하고, 그 후 즉시 점화를 실시한다. If the start condition is establish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02, in which fuel injection is carried out to the cylinder stopped in the expansion stroke stored in step S208, and then immediately ignited.
6기통 V형 엔진(101)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팽창 행정에서 정지한 실린더가 왼쪽 뱅크에 속하는 제6 실린더이었을 경우에는 재시동 요구의 발생에 따라서, 제6 실린더의 연소실 내에 대하여 연료 분사 밸브(131)로부터 소정의 양의 연료를 분사하고, 또한 이 제6 실린더의 점화 플러그(122)로 점화하여 직전에 분사한 연료를 발화 연소시킨다. In the six-cylinder V-
또한, 상기 연료의 연소에 의한 폭발 압력에 의하여 제6 실린더의 피스톤을 하강시키고, 크랭크축을 회전시키기 시작하여 엔진(101)의 시동을 개시한다. Further, the piston of the sixth cylinder is lowered by the explosion pressure caused by the combustion of the fuel, and the crankshaft starts to rotate to start the
제6 실린더가 팽창 행정일 때, 오른쪽 뱅크에 속하는 제3 실린더는 흡기 밸브(105)를 여는 흡기 행정에 있게 된다. 그러나, 양 뱅크의 가변 밸브 리프트 기 구(112a, 112b)로 제어되는 밸브 작동각과 밸브 리프트량을 자동 시동용의 목표 값으로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 3 실린더의 흡기 밸브(105)를 개방 구동시키는 부하는 작게 억제된다. When the sixth cylinder is the expansion stroke, the third cylinder belonging to the right bank is in the intake stroke that opens the
이 때문에, 최초의 제6 실린더의 폭발 압력으로 크랭크축을 회전시키기 시작할 때의 기동 토크가 작아져서, 최초의 폭발로 크랭크축의 회전 속도를 양호한 응답성으로 상승시킬 수 있고, 이로써 자동 시동의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도 9 참조). For this reason, the starting torque at the time of starting to rotate the crankshaft at the explosion pressure of the first sixth cylinder is reduced,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crankshaft can be increased with good response by the first explosion, thereby improving the success rate of automatic starting. (See Fig. 9).
다음의 단계 S303에서는 압축 행정에서 정지한 실린더에 대하여 연료 분사 및 점화를 실시한다. In the next step S303, fuel injection and ignition are performed for the cylinder stopped in the compression stroke.
엔진(101)에서는 점화가 제1 실린더→제2 실린더→제3 실린→제4 실린더→제5 실린더→제6 실린더의 순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 점화 순서와 팽창 행정에서 정지한 실린더에 대한 기억에 기초하여 압축 행정에서 어느 실린더가 정지했는지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In the
도 8에 나타낸 예에서는 오른쪽 뱅크에 속하는 제1 실린더가 압축 행정에서 정지한 실린더이고, 제6 실린더에 대한 연료 분사 및 점화 후, 제1 실린더에 대하여 연료를 분사하여 점화하고, 제6 실린더에서의 폭발 연소에 이어서 제1 실린더에서 폭발 연소를 발생시켜, 제6 실린더에서의 폭발 압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 크랭크축을 계속하여 회전시켜서, 더욱 회전 속도를 증대시키도록 한다. In the example shown in FIG. 8, the 1st cylinder which belongs to a right bank is a cylinder stopped in a compression stroke, and after fuel injection and ignition with respect to a 6th cylinder, a fuel is injected and ignited with a 1st cylinder, and in a 6th cylinder Explosive combustion is followed by explosive combustion in the first cylinder to continue to rotate the crankshaft which began to rotate at the explosion pressure in the sixth cylinder,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rotational speed.
압축 행정에서 정지한 실린더에 대한 연료 분사 및 점화 후에는 점화 순서에 따라서, 연료 분사 및 점화를 실시한다. After fuel injection and ignition to the cylinder stopped in the compression stroke, fuel injection and ignition are performed in the ignition sequence.
또한, 엔진의 자동 시동시에 있어서의 연료 분사 타이밍은 흡기 행정 중으로 판단한다. In addition, the fuel injection timing at the time of automatic start of an engine is judged as an intake stroke.
단계 S304에서는 팽창 행정에서 정지한 실린더가 속한 뱅크의 가변 밸브 리프트 기구(112)(112a 또는 112b)로 제어되는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을, 자동 시동용의 목표 값으로부터 증대 변화시키는 제어의 개시 타이밍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In step S304, the start of control for increasing and changing the valve operating angle and valve lift amount controlled by the variable valve lift mechanism 112 (112a or 112b) of the bank to which the cylinder stopped in the expansion stroke increases from the target value for automatic start-up. Determine whether it is timing.
최초의 흡기 행정에서의 흡기 밸브(105)의 개방 구동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흡기 밸브(105)의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을 강제적으로 작게 하였지만, 이 경우, 흡입 공기량이 적어져 충분한 발생 토크를 얻을 수 없다. 이 때문에, 다음 흡기 행정에서도 흡입 공기량이 적으면 회전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Although the valve operating angle and the valve lift amount of the
이에, 자동 시동의 개시로부터 두번째의 흡기 행정에 대하여는 필요 충분한 흡입 공기량을 흡인할 수 있도록,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을 자동 시동용의 목표 값보다 크게 할 필요가 있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the valve operating angle and the valve lift amount larger than the target value for automatic start so that the sufficient intake air amount can be sucked for the second intake stroke from the start of the auto start.
따라서, 가변 밸브 리프트 기구(112)의 응답 지연을 고려하여, 두 번째의 흡기 행정의 개시시부터 상기 응답 지연 시간만큼 빠른 시점을,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을 자동 시동용의 목표 값으로부터 증대 변화시키는 제어의 개시 타이밍으로 한다.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response delay of the variable valve lift mechanism 112, the point of time as early as the response delay time from the start of the second intake stroke is increased from the target value for the automatic start of the valve operating angle and valve lift amount. It is set as the start timing of control to change.
다만, 이 단계에서, 상기 개시 타이밍은 자동 정지를 실시하였을 때에, 압축 행정에서 정지한 실린더가 상사점이 된 시점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최초의 압축 일이 끝나고 난 후, 흡기 밸브(105)의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이 증대 된다.In this step, however, the start timing may be a point in time when the cylinder stopped in the compression stroke becomes a top dead center when the automatic stop is performed. According to this, after completion of the first compression work, the valve operating angle and the valve lift amount of the
압축 행정에서 정지한 실린더가 상사점이 된 시점부터,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의 증대 변화를 개시시키면, 최초의 압축 일이 진행되는 도중에, 흡기 밸브(105)의 구동 부하가 커져서, 엔진 회전 속도의 상승이 더디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rom the time when the cylinder stopped at the compression stroke becomes the top dead center, if the increase in the valve operating angle and the valve lift amount is started, the driving load of the
자동 시동에서부터 시작된 시간이 제어를 개시할 타이밍에 있다고 판단되면, 단계 S305로 진행되고, 팽창 행정에서 정지한 실린더가 속하는 뱅크의 가변 밸브 리프트 기구(112)(112a, 112b)로 제어되는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을, 엔진의 자동 시동용 목표 값으로부터 엔진 시동의 계속에 요구되는 값을 목표로 하여 증대 변화시키는 제어를 개시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ime started from the automatic start is in timing to start control, the flow proceeds to step S305, where the valve operating angle controlled by the variable valve lift mechanisms 112 (112a, 112b) of the bank to which the cylinder stopped in the expansion stroke belongs. And control to incrementally change the valve lift amount from a target value for automatic start of the engine to a value required for continuation of the engine start.
단계 S306에서는 상기 단계 S305에서의 제어의 개시로부터, 지연 기간이 경과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In step S306,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delay period has elapsed from the start of the control in step S305.
상기 지연 기간은 일정 시간으로 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1 행정분만큼의 엔진 회전을 상기 지연 기간으로 한다. Although the said delay period can be made into a fixed time, Preferably, engine rotation by one stroke is made into the said delay period.
또한, 상기 지연 기간이 경과하면 단계 S307로 진행되어, 팽창 행정에서 정지한 실린더가 속하지 않았던 뱅크의 가변 밸브 리프트 기구(112)로 제어되는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을, 엔진의 자동 시동용의 목표 값으로부터, 엔진 시동의 계속에 요구되는 값을 목표로 하여 증대 변화시키는 제어를 개시한다. When the delay period has elaps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07, in which the valve operating angle and the valve lift amount controlled by the variable valve lift mechanism 112 of the bank to which the cylinder stopped in the expansion stroke does not belong are set for automatic start of the engine. From the target value, control for increasing and changing the target value required for the continuation of the engine start is started.
상기 자동 시동에 있어서는 시동 개시 후의 최초의 흡기 행정에 있어서의 흡기 밸브(105)의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을 강제적으로 작게 함으로써, 크랭 크축의 기동 토크를 작게 하여, 시동 성능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두 번째의 흡기 행정에서는 엔진 시동을 계속할 수 있는 흡입 공기량이 얻을 수 있도록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 In the automatic start, the valve operating angle and the valve lift amount of the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시동 개시 후 최초로 흡기 행정이 되는 실린더는 오른쪽 뱅크의 제3 실린더인데, 큰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에서의 흡기 밸브(105)의 개방 구동을 최초의 팽창 행정 중에는 회피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제3 실린더의 최초의 흡기 행정에서는 흡기 밸브(105)의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을 작게 할 필요가 있다. In the example shown in FIG. 8, the cylinder which becomes an intake stroke for the first time after starting start is the 3rd cylinder of the right bank, and the opening drive of the
그러나, 두 번째로 흡기 행정이 되는 제4 실린더에 대하여는 흡기 밸브(105)의 구동 부하의 경감보다도, 엔진 시동을 계속할 수 있는 흡입 공기량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왼쪽 뱅크에 대하여는 시동 개시 직후부터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을 증대 변화시키는 제어를 개시하여도 좋다. However, for the fourth cylinder to be the second intake stroke,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amount of intake air that can continue the engine start rather than reduce the drive load of the
그러나, 왼쪽 뱅크에 대하여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을 증대시키도록 액튜에이터(17)를 최초의 상사점 전부터 동작시키면, 최초의 폭발 연소로 회전하기 시작하여 제1 실린더의 흡입 공기량을 압축하고 있는 엔진(101)의 저항이 되어, 회전 상승을 더디게 만든다. However, when the
따라서, 왼쪽 뱅크의 밸브 작동각·밸브 리프트량을 증대시키는 제어의 개시 타이밍은 빨라도 제1 실린더의 상사점 이후에 있는 것이 좋고, 나아가 상사점 후의 더 늦은 시기인 것이 더 바람직하기 때문에, 제4 실린더의 흡기 행정에서의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가장 늦은 시기로 설정한다. Therefore, even if the start timing of the control for increasing the valve operating angle and the valve lift amount of the left bank is early, it is better to be after the top dead center of the first cylinder, and furthermore, since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 later time after the top dead center, the fourth cylinder Set at the latest time to increase the valve operating angle and the valve lift amount at the intake stroke.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증대 제어 후의 밸브 작동각에 있어서의 흡기 밸브(105)의 개방 시기로부터 응답 지연 시간만큼 빠른 시점을, 왼쪽 뱅크의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을 증대시키는 제어의 개시 타이밍으로 한다.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start of control to increase the valve operating angle and the valve lift amount in the left bank at a time point earlier by the response delay time from the opening time of the
또한, 왼쪽 뱅크의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을 증대시키는 제어의 개시 타이밍을, 오른쪽 뱅크의 제3 실린더의 흡기 행정의 종료 시점으로부터의 각도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 있다. Moreover, the start timing of control which increases the valve operating angle and valve lift amount of the left bank can be set based on the angle from the end time of the intake stroke of the third cylinder of the right bank.
또한, 왼쪽 뱅크의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을 증대시키는 제어와 동시에, 오른쪽 뱅크의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을 증대시키는 제어를 개시하면, 앞선 제3 실린더의 흡기 행정에서의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이 증대되고, 두 번째의 제4 실린더의 흡기 행정에 있어서의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의 증대와 겹쳐져서, 엔진의 자동 시동의 초기에 흡기 밸브(105)의 개방을 구동하기 위한 큰 부하가 추가로 소비된다. Further, when the control for increasing the valve operating angle and the valve lift amount of the left bank and the control for increasing the valve operating angle and the valve lift amount of the right bank are started, the valve operating angle in the intake stroke of the third cylinder and The valve lift amount is increased, and overlaps with the increase in the valve operating angle and the valve lift amount in the intake stroke of the second fourth cylinder, so as to drive a large opening for driving the opening of the
이에 오른쪽 뱅크의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을 증대시키는 제어를, 왼쪽 뱅크의 제어 개시에 대하여 시차를 두고 개시하도록 하고 있는데, 상기 시차를 1 행정분으로 하면, 적어도 제3 실린더의 최초의 흡기 행정에서의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이 증대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서, 제3 실린더의 최초의 흡기 행정은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이 작은 상태로 실행된다. The control to increase the valve operating angle and the valve lift amount of the right bank is started at a time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control start of the left bank. When the time difference is set to one stroke, at least the first intake stroke of the third cylinder is started. It is possible to avoid the increase in the valve operating angle and the valve lift amount at, so that the first intake stroke of the third cylinder is performed with the valve operating angle and the valve lift amount being small.
즉, 오른쪽 뱅크의 흡기 행정에 대하여는, 최초의 흡기 행정은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이 작은 상태로 실행되고, 다음 흡기 행정부터 엔진 시동을 계속시킬 수 있는 더 큰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까지 증대된다. That is, for the intake stroke of the right bank, the first intake stroke is executed with the valve operating angle and the valve lift amount small, increasing to the larger valve operating angle and the valve lift amount that can continue the engine starting from the next intake stroke. do.
다만, 흡기 밸브(105)의 개방 구동의 부하에 대하여, 액튜에이터(17)를 동작시키는 것에 의한 부하가 무시할 수 있는 정도로 작은 경우에는, 팽창 행정에서 정지한 실린더가 속하는 뱅크의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을 증대시키는 제어를 자동 시동의 개시와 함께 개시하고, 또한 뱅크의 최초의 흡기 행정이 종료되고 나서, 다른 쪽 뱅크의 뱅크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을 증대시키는 제어를 개시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load by operating the
또한, 상기에서는 좌우 뱅크에 있어서,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을 증대시키는 제어를 개시하는데 시차를 두도록 하였지만, 동시에 제어를 개시하더라도 크게 시동 성능을 저해하지 않는 경우에는 좌우 뱅크에서 동시에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을 증대시키는 제어를 개시할 수 있다. In the above, the left and right banks have a time lag in starting the control to increase the valve operating angle and the valve lift amount. However, when the control is started at the same time, the valve operating angle and Control to increase the valve lift amount can be started.
또한,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을 증대시키는 제어의 개시 시기를, 엔진(101)의 시동 완료의 판정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엔진의 회전 속도 또는 엔진 회전 속도의 가속도가 기준 값을 넘었다고 판단된 시점에 시동이 완료되었다고 판정하고, 다음에 흡기 행정이 되는 실린더가 속하는 뱅크의 가변 밸브 리프트 기구(112)에 대하여, 또는 2개의 뱅크의 가변 밸브 리프트 기구(112a, 112b)에 대하여 동시에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을 증대 변경하는 제어를 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art time of the control which increases the valve operating angle and the valve lift amount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start of the
이 경우, 상기 단계 S304의 개시 타이밍은 엔진의 회전 속도 또는 엔진 회전 속도의 가속도가 기준 값을 넘었다고 판단된 시점이 된다. In this case, the start timing of the step S304 is a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ngine or the acceleration of the engine rotational speed has exceeded the reference value.
또한, 흡기 밸브(105)의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을 가변으로 하는 가 변 밸브 리프트 기구(112)와 함께, 배기 밸브(107)의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을 가변으로 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기구를 구비하는 경우에, 자동 시동시에 흡기 밸브(105)와 함께 배기 밸브(107)의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을 강제적으로 작게 설정하고, 흡기 밸브(105)의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의 증대와 배기 밸브(107)의 밸브 작동각 및 밸브 리프트량의 증대를 시차를 두고 개시할 수 있다. Moreover, with the variable valve lift mechanism 112 which changes the valve operating angle and valve lift amount of the
또한, 가변 밸브 기구를 상기 가변 밸브 리프트 기구(112)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3차원 캠이나 복수의 캠의 전환에 의하여 엔진 밸브의 개방 특성을 가변으로 하는 가변 밸브 기구 등이어도 좋으며, 본원 발명은 엔진 밸브의 밸브 작동각 및/또는 밸브 리프트량을 가변으로 하는 가변 밸브 기구를 구비한 엔진에 널리 적용 가능하다. The variable valve mechanism is not limited to the variable valve lift mechanism 112. For example, the variable valve mechanism may be a variable valve mechanism for varying the opening characteristic of the engine valve by switching between a three-dimensional cam or a plurality of cams. The present invention is widely applicable to an engine having a variable valve mechanism for varying the valve operating angle and / or the valve lift amount of the engine valve.
또한, 전자석을 사용하여 엔진 밸브를 개폐 구동하는 전자 구동 밸브에 있어서, 자동 시동시의 밸브 작동각을 강제적으로 작게 함으로써, 전자 구동 밸브의 부하를 경감하여 자동 시동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Moreover, in the electromagnetic drive valve which opens and closes an engine valve using an electromagnet, by forcibly reducing the valve operating angle at the time of automatic start, the load of an electromagnetic drive valve can be reduced and the success rate of automatic start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자동 시동의 성공이나 실패를 자동 시동 개시 후의 엔진 회전 속도나 엔진 회전 속도의 가속도 등으로부터 판단하고, 자동 시동에 실패하였을 때에는 스타터 모터를 자동적으로 구동시켜, 엔진을 재시동 시키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judge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auto start from the engine rotation speed or the acceleration of the engine rotation speed after the start of the auto start, and when the auto start fails, the starter motor is automatically driven to restart the engine. .
또한, 엔진(101)은 V형 엔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평 대향 엔진이나 직렬 엔진이어도 좋다. The
2007년 3월 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7-058958호의 모든 내용은 참고로 본 명세서에 모두 포함된다. All the content of the Japan patent application 2007-058958 for which it applied on March 8, 2007 is integrated in this specification by reference.
상기 선택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고 설명하기 위해 선택된 것으로서, 첨부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본 명세서의 개시 내용으로부터 자명한 것이다.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as the selected embodiments are selected to illustrate and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한 이상에서의 설명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일뿐이고,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 및 그 균등물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In additio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equivalents thereof defined in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을 구체화한 엔진의 일반적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general structure of an engine embody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ble valve lift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기구의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variable valve lift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ariable valve tim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작동의 자동 정지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utomatic stop of engine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흡기 밸브의 밸브 작동각과 흡기 밸브의 밸브 리프트량과 크랭크축의 기동 토크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이다. 6 is a graph show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lve operating angle of the intake valve, the valve lift amount of the intake valve and the starting torque of the crankshaf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엔진이 자동 정지된 후 엔진의 재시동 작동 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7 is a flowchart showing restart operation control of the engine after the engine is automatically stopp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엔진의 운전을 재시동할 때에 연료 분사 타이밍, 점화 타이밍 및 흡기 행정을 나타내는 시간 차트이다. 8 is a time chart showing fuel injection timing, ignition timing and intake stroke when restarting the operation of the engin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엔진의 운전을 재시동할 때의 엔진 회전수의 거동을 나타내는 시간 차트이다. 9 is a time chart showing the behavior of the engine speed when restarting the operation of the engin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9)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7-00058958 | 2007-03-08 | ||
JP2007058958A JP4755128B2 (en) | 2007-03-08 | 2007-03-08 | Engine start control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2550A KR20080082550A (en) | 2008-09-11 |
KR100935708B1 true KR100935708B1 (en) | 2010-01-07 |
Family
ID=39678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22224A Expired - Fee Related KR100935708B1 (en) | 2007-03-08 | 2008-03-10 | Start control device and start control method for restarting engine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080216779A1 (en) |
JP (1) | JP4755128B2 (en) |
KR (1) | KR100935708B1 (en) |
CN (1) | CN101260837A (en) |
DE (1) | DE102008013114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149846B2 (en) * | 2009-03-19 | 2013-02-20 | 株式会社デンソー | Automatic stop / start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JP5321911B2 (en) * | 2009-09-25 | 2013-10-23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Valve timing control device |
US8146567B2 (en) * | 2009-10-28 | 2012-04-03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Two-step valve lifter control systems and methods |
US8752519B2 (en) * | 2009-12-15 | 2014-06-17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Air assist start stop methods and systems |
JP5403267B2 (en) * | 2010-02-15 | 2014-01-29 |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GB201201222D0 (en) * | 2012-01-25 | 2012-03-07 | Jaguar Cars | Motor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 of a motor vehicle |
US9243569B2 (en) * | 2012-04-04 | 2016-01-26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Variable cam timing control during engine shut-down and start-up |
JP5962463B2 (en) * | 2012-11-27 | 2016-08-03 |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 Engine start determination device |
CN104712448A (en) * | 2013-12-17 | 2015-06-17 | 上海海拉电子有限公司 | Idle speed starting and stopp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
US9599057B2 (en) * | 2014-02-05 | 2017-03-21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 cylinder for engine starting |
JP6376118B2 (en) * | 2015-12-24 | 2018-08-22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JP6418206B2 (en) * | 2016-08-10 | 2018-11-07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Engine start control device |
DE102017221730A1 (en) * | 2017-12-01 | 2019-06-06 | Robert Bosch Gmbh | Method for the emission-reducing operatio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automatic start / stop |
KR102703170B1 (en) * | 2019-03-18 | 2024-09-04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Control method for cvvd apparatus at engine stop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93714A (en) | 1997-09-25 | 1999-04-06 | Denso Corp | Variable valve timing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JP2001355462A (en) | 2000-06-09 | 2001-12-26 | Denso Corp | Variable valve timing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JP2003120345A (en) | 2001-10-18 | 2003-04-23 | Nissan Motor Co Ltd | Intake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JP2004316561A (en) | 2003-04-16 | 2004-11-11 | Toyota Motor Corp | Start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346770A (en) * | 2003-05-20 | 2004-12-09 | Toyota Motor Corp | Star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power system |
JP2005030236A (en) | 2003-07-08 | 2005-02-03 | Mazda Motor Corp | Control device of vehicle |
JP4647934B2 (en) * | 2004-04-23 | 2011-03-09 | 株式会社デンソー | Valve characteristic adjustment device |
JP2006077644A (en) * | 2004-09-08 | 2006-03-23 | Toyota Motor Corp |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JP2006144567A (en) * | 2004-11-16 | 2006-06-08 | Toyota Motor Corp | Valve timing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JP4701871B2 (en) * | 2005-06-28 | 2011-06-15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Engine control device |
US7527028B2 (en) * | 2006-03-09 | 2009-05-05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Hybrid vehicle system having engine with variable valve operation |
US7353106B2 (en) * | 2006-04-05 | 2008-04-01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emission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a variable event valvetrain |
JP4202370B2 (en) * | 2006-04-21 | 2008-12-24 | 三菱電機株式会社 |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JP4650428B2 (en) * | 2007-01-15 | 2011-03-16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Engine starter |
-
2007
- 2007-03-08 JP JP2007058958A patent/JP4755128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
- 2008-03-07 DE DE102008013114A patent/DE102008013114A1/en not_active Ceased
- 2008-03-07 US US12/044,610 patent/US2008021677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8-03-07 CN CNA2008100829298A patent/CN101260837A/en active Pending
- 2008-03-10 KR KR1020080022224A patent/KR10093570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93714A (en) | 1997-09-25 | 1999-04-06 | Denso Corp | Variable valve timing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JP2001355462A (en) | 2000-06-09 | 2001-12-26 | Denso Corp | Variable valve timing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JP2003120345A (en) | 2001-10-18 | 2003-04-23 | Nissan Motor Co Ltd | Intake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JP2004316561A (en) | 2003-04-16 | 2004-11-11 | Toyota Motor Corp | Start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2550A (en) | 2008-09-11 |
JP2008223499A (en) | 2008-09-25 |
DE102008013114A1 (en) | 2008-09-11 |
CN101260837A (en) | 2008-09-10 |
US20080216779A1 (en) | 2008-09-11 |
JP4755128B2 (en) | 2011-08-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35708B1 (en) | Start control device and start control method for restarting engine | |
CN100590309C (en) | Internal combustion engine starting system and method | |
JP3939905B2 (en) | Engine starter | |
JP4207965B2 (en) |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US20090037085A1 (en) | Starting system and method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EP2634397B1 (en) |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4483759B2 (en) |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CN101198787A (en) | Starting system and starting method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2011089467A (en) | Control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system | |
JP2004346770A (en) | Star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power system | |
JP2012072719A (en) | Control device of spark-igni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2005337110A (en) |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4367646B2 (en) | Engine starter | |
JP4702143B2 (en) | Engine starter | |
JP2008180093A (en) | Engine starting device | |
JP4379327B2 (en) | Vehicle control device | |
JP2007270768A (en) | Engine starter | |
JP2015224554A (en) |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compression device | |
JP2005030237A (en) | Control device for vehicle | |
JP2007056787A (en) | Start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4479912B2 (en) | Engine control device | |
JP2006170077A (en) |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2007154823A (en) |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device and vehicle | |
JP4200937B2 (en) | Engine starter | |
JP2001295673A (en) |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split intake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12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