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5581B1 - Semiconductor device and word line driver including same - Google Patents
Semiconductor device and word line driver including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35581B1 KR100935581B1 KR1020070064597A KR20070064597A KR100935581B1 KR 100935581 B1 KR100935581 B1 KR 100935581B1 KR 1020070064597 A KR1020070064597 A KR 1020070064597A KR 20070064597 A KR20070064597 A KR 20070064597A KR 100935581 B1 KR100935581 B1 KR 1009355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gion
- transistor
- length
- gate
- dra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2—Disposition of storage elements, e.g. in the form of a matrix array
- G11C5/025—Geometric lay-out considerations of storage- and peripheral-blocks in a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08—Word line control circuits, e.g. drivers, boosters, pull-up circuits, pull-down circuits, precharging circuits, for word lin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0—Decoder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4—Word line organisation; Word line lay-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반도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워드라인 드라이버를 개시한다. 개시된 워드라인 드라이버는 사이즈가 상이한 복수의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복수의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출력부는 장축 및 단축을 갖는 출력부 형성영역내에 배치되는 워드라인 드라이버로서, 상기 상대적으로 큰 트랜지스터는 그것의 채널 길이가 상기 출력부 형성영역의 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상대적으로 작은 트랜지스터는 그것의 채널 길이가 상기 출력부 형성영역의 단축과 평행하게 배치된다.A semiconductor device and a word line driver including the same are disclosed. The disclosed wordline driver includes a plurality of outputs including a plurality of transistors of different sizes, each output portion being a wordline driver disposed in an output forming region having a long axis and a short axis, wherein the relatively large transistor is The channel length of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long axis of the output forming region, and the relatively small transistor is arranged so that its channel length is parallel with the short axis of the output forming region.
메인 워드라인 드라이버, 액티브 영역, 피치 Main wordline driver, active area, pitch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메인 워드라인 드라이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 1 is a circuit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general main wordline driver;
도 2는 일반적인 메인 워드라인 드라이버를 구성하는 출력부의 레이아웃을 보여주는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ayout of an output unit constituting a general main wordline driver;
도 3은 도 2의 출력부를 구성하는 워드라인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레이아웃을 보여주는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ayout of a word line switching transistor constituting an output unit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의 레이아웃을 보여주는 도면,4 shows a layout of a transis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의 레이아웃을 보여주는 도면,5 is a view showing a layout of a transis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 워드라인 드라이버를 구성하는 출력부의 레이아웃을 보여주는 도면, 및6 is a view showing a layout of an output unit constituting a main wordline dri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7은 도 6의 출력부를 구성하는 워드라인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레이아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ayout of a word line switching transistor constituting an output unit of FIG. 6.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트랜지스터 영역 120 : 액티브 영역110: transistor region 120: active region
120a : 액티브 영역의 제 1 영역 120b : 액티브 영역의 제 2 영역120a: first region of
130 : 게이트 140a/140b : 소오스/드레인130:
150a : 게이트 전극 배선 150b : 소오스 전극 배선150a:
150c : 드레인 전극 배선150c: drain electrode wiring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트랜지스터와 같은 반도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워드라인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miconductor device such as a transistor and a word line driver including the same.
워드라인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단위 셀들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 라인이다. 이러한 워드라인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내에 다수 개가 존재하며, 이러한 다수의 워드라인을 구동시키기 위한 워드라인 드라이버가 반도체 메모리 장치내에 구비된다. A word line is a signal line for selecting unit cells in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 plurality of such word lines exist in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a word line driver for driving the plurality of word lines is provided in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워드라인 드라이버는 메모리 셀에 연결된 로우 어드레스 및 컬럼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메모리 셀에 연결된 워드라인을 선택 또는 비선택한다. 이러한 워드라인 드라이버는 선택신호 드라이버, 메인 워드라인 드라이버 및 서브 워드라인 드라이버로 구성될 수 있다. The word line driver decodes the row address and column address connected to the memory cell to select or deselect the word line connected to the memory cell. The word line driver may include a selection signal driver, a main word line driver, and a sub word line driver.
그 중 메인 워드라인 드라이버(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부(20), 접지전압 공급부(30) 및 출력부(40)로 구성될 수 있다. The main
선택부(20)는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N1,N2)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N1,N2)은 워드라인 비선택 신호(WLOFF)에 응답하여 승압 전 압(VPP)을 스위칭한다. The
접지전압 공급부(30)는 출력부(40)과 접지단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제 3 내지 제 5 트랜지스터(N3,N4,N5)로 구성된다. 제 3 트랜지스터(N3)는 3번째 및 4번째 어드레스(A3,A4)를 디코딩한 신호(BAX34)에 응답하여 출력부(40)에서 제공된 신호를 스위칭하고, 제 4 트랜지스터(N4)는 5번째 및 6번째 어드레스(A5,A6)를 디코딩한 신호(BAX56)에 응답하여 제 2 트랜지스터(N2) 또는 제 3 트랜지스터(N3)에서 전달된 신호를 스위칭한다. 제 5 트랜지스터(N5)는 7번째 및 8번째 어드레스(A7,A8)를 디코딩한 신호(BAX78)에 응답하여 제 4 트랜지스터(N4)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접지단에 제공한다. 여기서, 선택부(20)의 제 2 트랜지스터(N2)의 소오스는 제 4 트랜지스터(N4)의 드레인과 연결된다. 여기서, 제 1 내지 제 5 트랜지스터(N1-N5)는 예를들어, NMOS 트랜지스터이다. The ground
출력부(40)는 제 6 내지 제 9 트랜지스터(P1,P2,N6,N7) 및 인버터(IN)를 포함한다. 제 6 트랜지스터(P1)는 제 7 트랜지스터(P2)의 출력 신호(드레인의 신호)를 입력받는 게이트, 승압 전압(VPP)을 인가받는 소오스, 및 접지전압 공급부(30)의 제 3 트랜지스터(N3)의 드레인과 연결되는 소오스를 포함한다. 제 7 트랜지스터(P2)는 제 6 트랜지스터(P1)의 출력 신호(드레인 신호)를 입력받는 게이트, 승압 전압(VPP)을 인가받는 소오스, 및 상기 제 6 트랜지스터(P1)의 게이트와 연결되는 드레인을 포함한다. 즉, 제 6 및 제 7 트랜지스터(P1,P2)는 크로스 커플(cross couple)되어 있다. 제 8 트랜지스터(N6)는 워드라인 비선택 신호(WLOFF)에 응답하여 제 7 트랜지스터(P2)의 드레인 신호를 접지단에 제공한다. 제 9 트랜지스 터(N7)는 워드라인 신호(WL)에 응답하여 제 7 트랜지스터(P2)의 드레인 신호를 접지단에 제공한다. 인버터(IN)는 제 7 트랜지스터(P2)의 드레인 신호(또는 제 8 및 제 9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신호)를 반전시켜, 워드라인 신호(WL)로서 출력한다.The
이때, 메인 워드라인 드라이버(10)는 복수개의 출력부(4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메인 워드라인 드라이버(10)로 한정된 영역에 복수의 출력부(40)를 효과적으로 배치시키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피치(pitch) 선폭을 갖는 출력부 영역(40a)에 출력부(40)를 구성하는 소자, 예컨대, 제 6 내지 제 9 트랜지스터(P1,P2,N6,N7) 및 인버터(IN) 모두를 나란히 배치시켰다. 이때, 제 6 내지 제 9 트랜지스터(P1,P2,N6,N7) 및 인버터(IN)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은 그것의 채널 길이와 상기 출력부 영역(40a)의 선폭이 평행하도록 배치하였다. In this case, the main
그런데, 워드라인 신호(WL)에 응답하여 스위칭되는 제 9 트랜지스터(N7, 이하 워드라인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그것의 사이즈(예컨대, 채널 길이)가 메인 워드라인 드라이버(10) 특성과 직결됨에 따라, 다른 트랜지스터(P1,P2,N6)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설계되어야 한다. 현재, 원활한 워드라인 드라이버의 구동을 위한 워드라인 스위칭 트랜지스터(N7)의 총 길이는 1.18 피치(F) 정도이므로, 상기 워드라인 스위칭 트랜지스터(N7)는 1 피치를 갖는 출력부 영역(40a) 이상의 면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도 3에서, 도면 부호 41은 액티브 영역, 43은 게이트, 45a는 게이트 전극 배선, 45b는 소오스 전극 배선, 45c는 드레인 전극 배선, 및 c는 콘택을 나타낸다.) However, the ninth transistor N7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ordline switching transistor) switched in response to the wordline signal WL has a different size as its size (eg, channel length)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그런데, 이와 같이 워드라인 스위칭 트랜지스터(N7)가 정해진 출력부 영 역(40a)의 선폭 이상의 길이를 가짐에 따라, 출력부 영역(40a) 및 그 외곽까지 확장되어 형성된다(도 3 참조). 이렇게 워드라인 스위칭 트랜지스터(N7)가 정해진 출력부 영역(40a)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실질적인 출력부(40) 전체 선폭이 연장되는 결과가 초래되며, 나아가 메인 워드라인 드라이버(10)의 전체 면적이 증대된다. 한편, 상기 워드라인 스위칭 트랜지스터(N7)의 사이즈를 감소시키면, 메인 워드라인 드라이버(10)의 성능을 보장할 수 없다. 그러므로, 충분한 메인 워드라인 드라이버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점유 면적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However, as the word line switching transistor N7 has a length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line width of th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즈 감소 없이, 한정된 영역 내에 효율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an be efficiently disposed in a limited region without reducing siz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정된 영역 내에 사이즈가 상이한 트랜지스터를 배치시킬 수 있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Furthe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miconductor device capable of disposing transistors of different sizes in a limited reg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성능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한정된 영역내에 효율적으로 배치되어, 점유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워드라인 드라이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ord line driver that can be efficiently disposed in a limited area and can reduce the occupied area without reducing performanc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는 단축 및 장축을 갖는 소자 영역, 및 상기 소자 영역에 배치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상기 트랜지스터의 채널 길이, 그것의 소오스의 길이 및 그것의 드레인의 길이의 총합이 상기 소자 영역의 단축 길이보다 크고,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소자 영역으로 한정된 면적내에 형성되도록 그것의 채널 길이 방향이 상기 소자 영역의 장축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miconduct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evice region having a short axis and a long axis, and a transistor disposed in the device region, the channel length of the transistor, the length of its source and the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drains is greater than the short axis length of the device region, and the transistor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long axis of the device region so that the transistor is formed in an area defined by the device reg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단축 및 장축을 갖는 소자 영역, 및 상기 소자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보다 큰 채널 길이를 갖는 제 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는 그것의 채널 길이가 소자 영역의 단축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는 그것의 채널 길이가 소자 영역의 장축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In addition,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vice region having a short axis and a long axis, a first transistor disposed in the device region, and a second transistor having a channel length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transistor, The first transistor is arranged such that its channel length is parallel to the short axis of the device region, and the second transistor is arranged such that its channel length is parallel to the long axis of the device region.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드라인 드라이버는, 사이즈가 상이한 복수의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복수의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출력부는 장축 및 단축을 갖는 출력부 형성영역내에 배치되는 워드라인 드라이버로서,상기 상대적으로 큰 트랜지스터는 그것의 채널 길이가 상기 출력부 형성영역의 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상대적으로 작은 트랜지스터는 그것의 채널 길이가 상기 출력부 형성영역의 단축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In addition, the word line dri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outputs having a plurality of transistors of different sizes, each output portion is a word disposed in the output portion forming region having a long axis and a short axis The line driver, wherein the relatively large transistor has its channel length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long axis of the output forming region, and the relatively small transistor has its channel length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short axis of the output forming region. do.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00), 즉 웨이퍼상에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영역(110, 이하 트랜지스터 영역)이 한정된다. 트랜지스터 영역(110)은 제 1 폭(w1)으로 정해진 단축(혹은 선폭)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트랜지스터 영역(110)은 제 1 폭(w1)을 갖는 단축(혹은 선폭) 및 상기 단축과 직교하며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된 장축(길이)을 갖는다. 그러므로, 상기 트랜지스터 영역(110)은 실질적인 라인(line) 형태를 가질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4, the
이와 같은 트랜지스터 영역(110)에 액티브 영역(115)이 배치된다. 액티브 영 역(115)은 예를 들어 소자 분리막(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함으로써 한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트랜지스터 영역(110)은 소자 분리 영역(도시되지 않음) 및 액티브 영역(115)을 모두 포함하는 영역이다. 이때, 액티브 영역(115)의 길이(w2)는 트랜지스터 영역(110)의 단축 길이, 즉 선폭(w1) 보다 크다. 본 실시예에서 액티브 영역(115)의 길이(w2)라 함은 트랜지스터의 채널 길이 및 소오스/드레인 길이의 총합을 나타내는 것이다. The
종래에는 액티브 영역(41)의 길이가 트랜지스터 영역의 단축과 평행하게 배열됨에 따라, 액티브 영역(41)이 트랜지스터 영역 보다 크게 형성되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액티브 영역(115)의 길이가 트랜지스터 영역(110)의 장축과 평행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즉, 이후 형성될 트랜지스터의 채널(도시되지 않음)이 트랜지스터 영역(110)의 장축과 평행하게 배치됨에 따라, 한정된 트랜지스터 영역(110)내에 트랜지스터를 구현할 수 있다. Conventionally, as the length of the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 영역(110)의 장축은 트랜지스터 영역(110)의 단축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길이를 갖는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 영역(110)의 장축 방향은 트랜지스터 영역(110)의 단축 방향보다 배치 밀도가 상대적으로 여유롭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 영역(110)의 장축 방향 쪽으로 액티브 영역(115)을 배치시키면, 선폭(피치)에 구애없이 트랜지스터 영역(110)내에 액티브 영역(115)을 충분히 배치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the long axis of the
액티브 영역(115) 상에 게이트(130)가 배치된다. 게이트(130)는 도전층, 예컨대 도핑된 폴리실리콘막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액티브 영역(120)의 제 1 영 역(120a) 상에 배치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게이트(130)와 액티브 영역(120) 사이에 게이트 절연막이 개재되어 있다.The
게이트(130) 양측의 액티브 영역(120)에 불순물이 주입되어, 소오스(140a) 및 드레인(140b)이 형성된다. 이로써, 트랜지스터가 완성된다. Impurities are implanted into the
본 실시예의 트랜지스터는 전체 길이가 트랜지스터의 단축, 즉 선폭보다 크다. 이러한 경우, 한정된 트랜지스터 영역에 배치시키기 위하여 그것의 채널 길이가 트랜지스터 영역의 장축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러면, 상대적으로 큰 장축 방향쪽으로 트랜지스터의 채널 길이가 연장됨에 따라, 트랜지스터가 한정된 영역의 범위를 넘지 않게 된다. In the transistor of this embodiment, the total length is larger than the short axis of the transistor, that is, the line width. In this case, the channel length thereof is disposed so as to face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transistor region in order to place it in the limited transistor region. Then, as the channel length of the transistor is extended toward the relatively large major axis direction, the transistor does not exceed the range of the limited region.
한편, 액티브 영역(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액티브 영역(120)의 절곡은 한정된 면적내에서 효과적으로 전극 배선과 콘택될 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행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액티브 영역(120)은 트랜지스터 영역(110)의 장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영역(120a), 및 상기 제 1 영역(120a)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영역(12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120b)은 예를 들어, 상기 제 1 영역(120a)과 교차하는 방향, 즉, 트랜지스터 영역(110)의 단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액티브 영역(120)의 제 1 영역(120a)의 길이는 실질적인 트랜지스터 길이에 해당되고, 상기 제 2 영역(120b)은 콘택 및 배선 형성을 위해 제공된다. 이때, 제 2 영역(120b)은 단지 콘택 및 상기 콘택과 연결될 배선이 형성되는 영역이므로, 트랜지스터 영역(110)의 단축 방향으로 연장된다고 하여도, 트랜지스터 영역(110)의 단축 범위내에 위치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5, the
액티브 영역(120) 상에 게이트(130)가 배치된다. 게이트(130)는 상술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전층, 예컨대 도핑된 폴리실리콘막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액티브 영역(120)의 제 1 영역(120a) 상에 배치된다. 게이트(130) 양측의 액티브 영역(120)에 각각에 불순물이 주입되어, 소오스(140a) 및 드레인(140b)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게이트(130) 일측의 제 1 영역(120a) 및 제 2 영역(120b)에 소오스(140a)가 형성되고, 게이트(130) 타측의 제 1 영역(120a)에 드레인이 형성된다. The
게이트(130), 소오스(140a) 및 드레인(140c)과 각각 콘택되도록 게이트 전극 배선(150a), 소오스 전극 배선(150b) 및 드레인 전극 배선(150c)이 각각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 배선(150a)은 상기 게이트(120)와 콘택되는 제 1 배선(150a-1) 및 상기 제 1 배선(150a-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배선(150a-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 배선(150a), 소오스 전극 배선(150b) 및 드레인 전극 배선(150c)은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연결 상태에 따라 그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의 CT는 콘택부를 나타낸다. The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메인 워드라인 드라이버의 출력부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rangement of an output unit of the main word line dr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메인 워드라인 드라이버의 출력부(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6 내지 제 9 트랜지스터(P1,P2,N6,N7) 및 인버터(IN)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출력부(40)를 구성하는 각 소자(P1,P2,N6,N7,IN)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1 피치 선폭을 갖는 출력부 영역(200)내에 상하로 나란히 배치된다. 이때, 출력부(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1피치 이상의 길이를 갖는 워드라인 스위칭 트랜지스터(N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1피치 선폭으로 한정된 출력부 영역(200)내에 상기 워드라인 스위칭 트랜지스터(N7)를 배치하기 위하여, 워드라인 스위칭 트랜지스터(N7)의 채널 길이를 상기 출력부 영역(200)의 장축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한다. As shown in FIG. 1, the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출력부 영역(200)의 장축과 평행하게 액티브 영역의 제 1 영역(120a)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영역(120a)의 일측 단부로부터 제 2 영역(120b)이 연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티브 영역(120)을 구성하는 제 1 영역(120a)은 실질적인 워드라인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길이를 갖고, 제 2 영역(120b)은 콘택 영역 및 배선 영역을 확보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아울러, 배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인접하는 출력부 영역(200)의 액티브 영역들(120)은 출력부 영역(200)의 접선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접하는 두 개의 출력부 영역(200)에 형성되는 액티브 영역(120)은 상기 제 2 영역(120b)이 접하도록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7, the
이와 같은 액티브 영역(120) 상부에 게이트(130)가 배치된다. 게이트(130) 양측의 액티브 영역(120)에 소오스(140a) 및 드레인(140b)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게이트(130) 일측의 제 1 영역(120a) 및 제 2 영역(120b)에 소오스(140a)가 형성되고, 게이트(130) 타측의 제 1 영역(120a)에 드레인이 형성된다. The
게이트(130), 소오스(140a) 및 드레인(140c)과 각각 콘택되도록 게이트 전극 배선(150a), 소오스 전극 배선(150b) 및 드레인 전극 배선(150c)이 각각 형성된다. The
게이트 전극 배선(150a)은 상기 게이트(120)와 콘택되는 제 1 배선(150a-1) 및 상기 제 1 배선(150a-1)과 연결되는 제 2 배선(150a-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배선(150a-1) 및 제 2 배선(150a-2)는 절연막(도시되지 않음)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적층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게이트 전극 배선(150a)은 출력부(40)를 구성하는 인버터(IN)의 게이트(IN_G)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The
소오스 전극 배선(150b)은 인접하는 워드라인 스위칭 트랜지스터(N7)들의 소오스(140a) 각각과 동시에 콘택되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출력부 영역(200)의 액티브 영역(120)은 접선을 기준으로 대칭배치되므로, 인접하는 출력부 영역(200)의 제 2 영역(120b)들은 서로 접하게 된다. 이때, 제 2 영역(120b)에는 소오스(140a)가 형성됨에 따라, 소오스 전극 배선(150b)는 인접하는 워드라인 스위칭 트랜지스터(N7)의 소오스(140a)들과 공통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The
드레인 전극 배선(150c)은 상기 드레인(140b)와 콘택되면서 상기 인버터(IN)의 게이트(IN_G) 및 제 8 트랜지스터(N6)의 드레인(N6_D)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연장된다. 여기서, 게이트 전극 배선(150a), 소오스 전극 배선(150b) 및 드레인 전극 배선(150c)의 연결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 및 도 7에서 CT는 콘택부를 나타낸다. 상기 콘택부(CT)는 하나의 배선에 다수개 형성됨으로써, 콘택 불량으로 인한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한정된 선폭 이상의 길이를 갖는 트랜지스터 제작시, 트랜지스터를 상기 한정된 영역의 길이 방향(장축 방향)으로 회전시켜 배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가 정해진 영역 이상으로 확장됨이 없이 일정한 트랜지스터의 길이를 유지하면서 정해진 영역 내에 배치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fabricating a transistor having a length equal to or greater than a limited line width, the transistor is rotated and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ong axis direction) of the limited area. Accordingly, the transistor may be disposed in a predetermined region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length of the transistor without extending the transistor beyond the predetermined region.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메인 워드라인 드라이버의 출력부에 형성되는 워드라인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정해진 영역의 선폭 보다 큰 길이를 갖는 트랜지스터 형성시 모두 적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the word line switching transistor formed in the output portion of the main word line driver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ll of the transistors having a length larger than the line width of the predetermined region can be applied.
또한, 본 실시예에서 트랜지스터 영역의 형태로서 라인 형태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선폭과 길이가 상이한 영역이면 모두 여기에 적용된다. In addition, although the form of a lin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transistor reg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ll of them are applied here as long as the line width and length are different.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트랜지스터 영역이 단축 및 장축을 갖는다고 설명하였지만, 여기에서의 단축은 폭 또는 선폭을 의미하고 장축은 길이를 의미하는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nsistor region has a short axis and a long axis, but the short axis here means a width or line width and the long axis means a length.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o.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정해진 영역의 피치 이상의 트랜지스터 길이를 갖는 트랜지스터 제작시, 트랜지스터를 상기 정해진 영역의 길이 방향(장축 방향)으로 회전시켜 배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가 정해진 영역 이상으로 확장됨이 없이 일정한 트랜지스터의 길이를 유지하면서 정해진 영역 내에 배치할 수 있다.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fabricating a transistor having a transistor length greater than or equal to a pitch of a predetermined region, the transistor is rotated and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ong-axis direction) of the predetermined region. Accordingly, the transistor may be disposed in a predetermined region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length of the transistor without extending the transistor beyond the predetermined region.
따라서, 반도체 소자의 집적 밀도를 개선할 수 있다.Therefore, the integration density of the semiconductor device can be improved.
Claims (1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4597A KR100935581B1 (en) | 2007-06-28 | 2007-06-28 | Semiconductor device and word line driver includ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4597A KR100935581B1 (en) | 2007-06-28 | 2007-06-28 | Semiconductor device and word line driver including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0492A KR20090000492A (en) | 2009-01-07 |
KR100935581B1 true KR100935581B1 (en) | 2010-01-07 |
Family
ID=40483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64597A Expired - Fee Related KR100935581B1 (en) | 2007-06-28 | 2007-06-28 | Semiconductor device and word line driver including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3558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929414B2 (en) | 2020-11-16 | 2024-03-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Transistor unit including shared gate structure, and sub-word line driver and semiconductor device based on the same transistor uni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60229B1 (en) * | 2016-12-14 | 2024-04-25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Sub-wordline driver of semiconductor device |
US10629526B1 (en) * | 2018-10-11 | 2020-04-21 | Nxp Usa, Inc. | Transistor with non-circular via connections in two orientation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73245A (en) | 2002-03-15 | 2003-09-26 | Hitachi Ltd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KR20060063380A (en) * | 2004-12-07 | 2006-06-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Analysis Structure for Failure Analysis of Semiconductor Device and Failure Analysis Method Using the Same |
KR20060085567A (en) * | 2005-01-24 | 2006-07-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Layout Structure of Sub Wordline Drivers |
-
2007
- 2007-06-28 KR KR1020070064597A patent/KR10093558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73245A (en) | 2002-03-15 | 2003-09-26 | Hitachi Ltd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KR20060063380A (en) * | 2004-12-07 | 2006-06-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Analysis Structure for Failure Analysis of Semiconductor Device and Failure Analysis Method Using the Same |
KR20060085567A (en) * | 2005-01-24 | 2006-07-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Layout Structure of Sub Wordline Driver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929414B2 (en) | 2020-11-16 | 2024-03-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Transistor unit including shared gate structure, and sub-word line driver and semiconductor device based on the same transistor uni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0492A (en) | 2009-0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78861B2 (en) | Semiconductor device | |
US9330761B2 (en) | Three dimensional stacked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 |
US8194453B2 (en) | Three dimensional stacked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 |
US7679108B2 (en) | Semiconductor memory and fabrication method for the same | |
US6995436B2 (en)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US7940563B2 (en) | Nonvolatile storage device and bias control method thereof | |
CN101499474B (en) | Semiconductor device | |
US9514822B2 (en) | Flash memory device | |
JP2004013920A (en) |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 |
JP2006059978A (en) | Semiconductor device | |
CN113948524A (en) | Semiconductor structure | |
KR100935581B1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word line driver including same | |
US7405956B2 (en) | Line layout structure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 |
US10777564B2 (en) | Non-volatile memory device | |
KR101357482B1 (en) | Decoding techniques for read-only memory | |
KR100821790B1 (en) | Ferroelectric memory devices, display drive ICs and electronic devices | |
JP4697668B2 (en) | Ferroelectric memory device, display driver IC and electronic device | |
US12315596B2 (en) | Word line driver, word line driver array, and semiconductor structure | |
JP2021141185A (en) |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 |
US20120155143A1 (en) | Semiconductor device | |
CN110970430B (en) | Semiconductor Devices | |
JP2004185660A (en) |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 |
US11410710B2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WO2014009247A1 (en) | Antifuse | |
JP4482935B2 (en) | Ferroelectric memory device and display driving IC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2123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2123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