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35524B1 - 발신자에 의한 전화 통화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관리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발신자에 의한 전화 통화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관리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5524B1
KR100935524B1 KR1020030002182A KR20030002182A KR100935524B1 KR 100935524 B1 KR100935524 B1 KR 100935524B1 KR 1020030002182 A KR1020030002182 A KR 1020030002182A KR 20030002182 A KR20030002182 A KR 20030002182A KR 100935524 B1 KR100935524 B1 KR 100935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recording
service
intelligent network
ca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2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5327A (ko
Inventor
최지영
박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30002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5524B1/ko
Publication of KR20040065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5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21Conversation record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3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audio recordings in general
    • H04M2203/301Management of record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3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audio recordings in general
    • H04M2203/305Recording playback features, e.g. increased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발신자에 의한 전화 통화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 관리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지능망을 활용하여 전화가입자가 별도의 부가장치 설치없이 자신이 거는 전화의 내용을 녹음하고, 통화 시작시간, 종료시각 및 통화요금 등 통화 내역을 기록 및 관리하며, 전화 및 PC에 의해 녹음 내용 및 통화 내역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발신자에 의한 전화 통화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 관리서비스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전화통화 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 관리서비스 시스템에 적용되는 발신자에 의한 전화 통화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 관리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사전가입자의 인증번호를 지능망 서비스장치에 등록하는 제 1 단계; 발신자의 서비스 이용 의사를 서비스 식별번호(SAC)를 통해 통신망에서 파악하는 제 2 단계; 서비스제어장치의 통화로 연결지시에 따라, 발신교환기 및 착신교환기간 통화로를 연결하고 지능망 주변장치와의 녹음통화로를 연결하는 제 3 단계; 상기 지능망 주변장치가 발신자와 착신자간의 통화내용 녹음, 발신번호, 착신번호, 시화시각 기록, 통화종료에 따라 연결된 통화경로 복구, 상기 서비스제어장치 및 상기 지능망 주변장치에 통화 종료시각을 기록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등록된 인증번호 확인과정을 거쳐 상기 지능망 주변장치의 문자음성변화기능(TTS), 녹음재생기능을 이용하여 이용자에게 전화기를 통해 재생되거나, 지능망-인터넷 연동장치를 활용하여 가입절차 시 등록된 정보 인증과정을 통해 음성녹음 오디오 파일로 이용자의 PC에 전송하여 통화내역 및 녹음내용을 확인하도록 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전화통화 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 관리서비스 시스템 등에 이용됨.
Figure R1020030002182
지능망, 발신자, 시나리오, 통화내역, 녹음내역

Description

발신자에 의한 전화 통화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 관리서비스 방법{Telephone currency contents record and currency particulars administration service method by sender}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화통화 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 관리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에 의한 전화 통화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 관리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발신자의 통화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 기록을 위한 호처리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절차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전화를 이용하여 녹음 내역 및 통화내역을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절차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하여 녹음 내역 및 통화내역을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절차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이용자(발신자) 전화 12 : 발신교환기
13 : 지능망서비스교환기 14 : 서비스제어장치
15 : 지능망 주변장치 16 : 착신교환기
17 : 착신자 전화 18 : PC
19 : 지능망-인터넷 연동장치
본 발명은 발신자에 의한 전화 통화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 관리서비스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능망을 활용하여 가입자가 별도의 부가장치 설치없이 자신이 거는 전화의 내용을 녹음하고, 통화 시작시간, 종료시각 및 통화요금 등 통화 내역을 기록 및 관리하며, 전화 및 PC에 의해 녹음 내용 및 통화 내역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발신자에 의한 전화 통화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 관리서비스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를 거는 사람(발신자)이 전화를 받는 사람(착신자)과의 통화 내용을 녹음하고자 하는 경우 발신자는 녹음장치가 부착된 전화기를 사용하거나 별도의 부가장치를 사용여야 한다. 또한, 전화망이나 이동전화망에서 제공하는 녹음 기능 또는 전화사서함 기능은 발신자에 의해 녹음 여부가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착 신자에 의해 결정되는 기능으로 발신자의 통화내용 녹음 욕구를 만족시켜 주지 못한다. 전화 이용자는 자신이 거는 통화 내용 및 내역을 여러 용도로 활용하고자 할 수 있으나, 녹음장치가 부착된 전화나 별도의 부가장치에 대한 경제적 부담이 따르며, 개인이 확보한 통화 내용 및 내역은 신뢰성을 인정받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대한민국의 "지능망에서의 통화내용 녹음-재생서비스(출원번호 : 10-1999-34085, 1999.8.18 출원)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용자에 의해 처음부터 SAC가 입력되어 선택된 호만이 지능망교환기로 연결되고 서비스를 제공받게 되므로 실효성과 경제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본 발명에 비춰볼 때, 지능망에서의 통화내용 녹음-재생서비스에서 지능망서비스교환기가 녹음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에게 전화를 걸기 위해 호출을 시도하면 이의 통화회로 연결을 담당하고 지능망서비스 제어시스템으로 통화내용 녹음서비스를 요청한다고 되어 있으나, 착신교환기에서 지능망서비스 교환기간 연결방법 또는 전달 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명시되어 있지 않으며,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일반전화에서 발생하는 모든 호가 지능망서비스 교환기를 경유하여 발신자가 녹음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에게 전화를 거는지 여부를 판단받아야 하며, 또한 지능망교환기는 자신에게 인입되는 모든 호에 대해 서비스 가입여부를 판단받기 위해 지능망제어시스템과 통신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현재의 통신망 구조를 뜯어고쳐 모든호가 SSP를 경유토록 하거나 모든 단국 교환기에 지능망교환기 기능을 수행토록 보완하여야 한다.
또한, 모든 호를 인증해 줄 수 있는 대용량 SCP를 구축해야 하지만 실제 인증이 필요한 호는 전체 호에 비해 극소수인 단점이 있고, 현재의 통신망 구성과 교환기종(단국 교환기에 SSP 기능이 구현되어 있지 않으며, 1000여개의 교환기 중 SSP 기능을 수행하는 교환기는 69개에 불과하며 이 또한 단국 교환기가 아닌 중계교환기이고, 단국 교환기로 사용중인 반전자 교환기 등 일부기종은 SSP 기능의 구현이 불가능함)으로는 서비스 제공의 실효성이 없다.
또한, 통화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발신전화를 한정함으로써 이용자의 통신비밀을 보다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발신번호와 인증번호에 의해 이용자를 인증하는 본 발명에 비춰볼 때, 지능망에서의 통화내용 녹음-재생서비스 중 녹음내역 재생과정에서 단지 서비스 식별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에 대해서만 언급되어 있는데, 지능망서비스제어장치가 가입자의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어 있지 않으며, 단국 교환기에 지능망교환기 기능이 구현되어 있거나 별도의 서비스 기능 보유하고 있다면 서비스식별번호만을 다이얼하더라도 단국 교환기에서 해당 가입자는 녹음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지능망서비스 제어장치와 직접적인 통신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IP와 이용자간 ARS에 의한 안내방송과 DTMF 송수신에 의한 통신을 통해 이용자의 정보가 전달되어야만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며, 현재의 통신망 구조를 감안하면 단국교환기의 SSP 기능 구현은 불가능하여 현실성이 없으며, IP와 안내방송을 통한 서비스 이용은 서비스 편의를 저해하고, 인증과정이 없으므로 어떤 전화 또는 사람이라도 녹음내역을 확인할 수 있어 이용자의 통신비밀을 보호할 수 없다.
한편, 지능망은 통신서비스(특히 음성통신)에서 공통으로 필요로하는 다양한 서비스 기능(안내 방송, 호연결, 디지트 수집 등)을 미리 통신망에 구현해 놓고 이를 조합하여 서비스를 보다 쉽게 제공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통신서비스를 개발할 때 이러한 기능을 어떻게 조합할 것인가를 고민해서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를 먼저 생각하고 보다 효율적인 제공방안을 찾게 되며, 여러가지 구현 방안을 비교하여 최적의 방안을 찾게되는 것이며 지능망이 최적의 방안이라면 지능망을 사용하게 될 것이다.
상기의 특허(출원번호:10-1999-34085)가 지능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녹음하고 재생한다고 하였으나, 음성을 녹음하고 재생하는 기술은 지능망에서 제공하는 여러 요소 기능 중 하나이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용자가 녹음을 하고 재생하는 방법이 명확히 정의되어야 한다. 즉, 서비스에 가입한 착신자에게 전화가 걸려오면, 지능망교환기로 착신사실을 통보한다고 되어있는데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실제로 구체화 되어야할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어떤 형태로 어떤 정보를 전달하는지가 불명확하다. 지능망 뿐만 아니라 CTI 기술에 의해 구성되는 호분배장치나 녹음장치 등 여러 장치들 또한 여러가지 부가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는 기반 시설 또는 기반 기술이라 할 수 있으며, 이를 조합하는 절차와 이용자와의 인터페이스 상 다양한 변화와 창조적인 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이다. 기능 요소를 단순히 사용하고 조합만 한다고 서비스가 만들어 지는 것이 아님을 주지코자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발신자에의한 전화통화 녹음 대행서비스(http://voicechip.co.kr/memo/memo-1.htm)에도 나타나 있다. 물론 이는 서 버로 전화를 걸면 ARS 시스템에 연결되어 안내멘트에 따라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면 자동녹음되는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 통화를 원하는 전화번호 앞에 서비스 식별번호를 추가하여 다이얼 한다는 점에서만 다소 차별성이 있으나, 이러한 차이점외에 대별되는 차이점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종래의 녹음대행서비스의 경우, 발신자와 ARS시스템간에 하나의 호가 형성되면 발신교환기는 이미 하나의 호기록과 과금을 시작하게 되고, 교환기간 신호 전달 또한 발신교환기에서 ARS 수용교환기간에서만 이루어지는 상황이 되며, 서비스 이용자가 ARS의 요구에 따라 착신번호를 입력하게되면 ARS는 교환기를 통해 새로운 호를 발생시켜 착신가입자와 연결하고, 착신가입자가 전화를 받게 되면 ARS 시스템은 발신가입자와 ARS간 호와 ARS와 착신가입자간 호를 연결하게 되는데, 이때 ARS와 착신가입자 사이에는 또 다른 ARS의 발신호를 처리한 발신교환기가 놓이게 되며, 이 발신 교환기는 새로운 호기록, 과금, 국간 신호처리 등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에서 실제 발신자와 착신자간 하나의 호만이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통신망에서는 2개의 일반호를 처리한 것으로 인지하여 처리하게 되며, 착신자는 발신자로부터 호가 걸려온 것이 아니라 ARS로 부터 전화가 걸려온 것으로 인지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착신가입자가 발신번호 확인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면 상기의 서비스 호의 발신번호는 최초 발신자의 번호가 아닌 ARS의 번호가 표시되게 된다.
또한, 서비스 장치가 특정 장소(서울)에 있고 발신자가 특정지역(제주)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착신자가 동일 지역에 거주한다면, 발신자와 착신자간 통화 경로는 제주-서울간 통화요금과 서울-제주간 통화에 필요한 2통화의 원가 또는 요금이 소요되며, 불필요한 통신망을 점유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지능망을 활용하여 전화가입자가 별도의 부가장치 설치없이 자신이 거는 전화의 내용을 녹음하고, 통화 시작시간, 종료시각 및 통화요금 등 통화 내역을 기록 및 관리하며, 전화 및 PC에 의해 녹음 내용 및 통화 내역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발신자에 의한 전화 통화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 관리서비스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화통화 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 관리서비스 시스템에 적용되는 발신자에 의한 전화 통화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 관리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사전가입자의 인증번호를 지능망 서비스장치에 등록하는 제 1 단계; 발신자의 서비스 이용 의사를 서비스 식별번호(SAC)를 통해 통신망에서 파악하는 제 2 단계; 서비스제어장치의 통화로 연결지시에 따라, 발신교환기 및 착신교환기간 통화로를 연결하고 지능망 주변장치와의 녹음통화로를 연결하는 제 3 단계; 상기 지능망 주변장치가 발신자와 착신자간의 통화내용 녹음, 발신 번호, 착신번호, 시화시각 기록, 통화종료에 따라 연결된 통화경로 복구, 상기 서비스제어장치 및 상기 지능망 주변장치에 통화 종료시각을 기록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등록된 인증번호 확인과정을 거쳐 상기 지능망 주변장치의 문자음성변화기능(TTS), 녹음재생기능을 이용하여 이용자에게 전화기를 통해 재생되거나, 지능망-인터넷 연동장치를 활용하여 가입절차 시 등록된 정보 인증과정을 통해 음성녹음 오디오 파일로 이용자의 PC에 전송하여 통화내역 및 녹음내용을 확인하도록 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전화통화 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 관리서비스 시스템에, 서비스 사전가입자의 인증번호를 지능망 서비스장치에 등록하는 제 1 기능; 발신자의 서비스 이용 의사를 서비스 식별번호(SAC)를 통해 통신망에서 파악하는 제 2 기능; 서비스제어장치의 통화로 연결지시에 따라, 발신교환기 및 착신교환기간 통화로를 연결하고 지능망 주변장치와의 녹음통화로를 연결하는 제 3 기능; 상기 지능망 주변장치가 발신자와 착신자간의 통화내용 녹음, 발신번호, 착신번호, 시화시각 기록, 통화종료에 따라 연결된 통화경로 복구, 상기 서비스제어장치 및 상기 지능망 주변장치에 통화 종료시각을 기록하는 제 4 기능; 및 상기 등록된 인증번호 확인과정을 거쳐 상기 지능망 주변장치의 문자음성변화기능(TTS), 녹음재생기능을 이용하여 이용자에게 전화기를 통해 재생되거나, 지능망-인터넷 연동장치를 활용하여 가입절차 시 등록된 정보 인증과정을 통해 음성녹음 오디오 파일로 이용자의 PC에 전송하여 통화내역 및 녹음내용을 확인하도록 하는 제 5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 다.
본 발명에서는 발신자와 지능망교환기가 연결되고 지능망교환기와 착신자가 연결되게 되는데 발신교환기와 착신교환기는 물리적으로 국간 중계선으로 연결되고 국간중계 신호에 의해 통신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 호처리 과정에서와 같이 발신교환기와 착신교환기 간 신호 교환이 자유로우며 서비스 제공을 받지 않는 일반호와 서비스호 사이에 발신 및 착신 교환기 입장에서는 아무런 차이(과금, 발신번호 요구, 착신전환 등)를 갖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지능망을 이용하는 경우 실제 통화 경로는 제주-제주간 하나의 통화로 구성이 가능하며, 인근의 지능망주변장치를 사용하면 되고 지능망제어장치와 지능망교환기 간은 단지 신호처리에 필요한 수십ms정도의 신호망 점유로 서비스 처리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전화 이용자가 별도의 녹음장치나 부가장치를 직접 설치하지 않고 자신이 거는 전화에 대한 통화 내용을 녹음하고 통화 시작시각, 종료시각 및 통화요금 등 통화 내역을 기록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전화 또는 인터넷을 통해 녹음 내용 및 통화 내역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를 통신망사업자가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을 통해 전화를 이용한 전문적인 마케팅 활동(TM : Tele Marketing)을 하는 업체의 경우 자기 회사의 직원이 고객에게 어떻게 전화를 걸어 영업활동을 하고 있는지를 관리할 수 있고, 영업활동 중 발생하는 고객과 마찰을 신뢰성있는 통화 녹음 내용 및 통화내역을 통해 정확하게 분석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화통화 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 관리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예시도로서, 대부분의 통신망사업자가 보유하고 있는 지능망을 활용하며, 발신자에 의한 전화통화 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 관리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지능망의 세부 소요 장비와 발신자와 지능망 및 착신자간의 통신망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에서 "11"은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발신자) 전화, "12"는 발신자 전화를 수용하고 있는 발신교환기, "13"은 지능망서비스 교환기(SSP : Service Switching Point), "14"는 서비스 제어장치(SCP : Service Control Point), "15"는 지능망 주변장치(IP : Intelligent Peripheral), "16"은 착신자 전화를 수용하고 있는 착신교환기, "17"은 착신자 전화, "18"은 인터넷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 이용자의 컴퓨터(PC), "19"는 지능망-인터넷 연동장치를 각각 나타낸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에 의한 전화 통화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 관리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지능망을 활용하면 상기와 같은 다양한 경우와 조건을 만족시키는 시나리오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함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신번호 앞에 서비스 식별번호(SAC 1)를 추가하여 다이얼한다(201).
이어서, 이용자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202)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으면 이용자가 전화를 이용하여 통화 내용 녹음 및 통화 내역을 기록하고 확인한다(203).
만약, 이용자가 서비스에 사전 가입되어 있으면 그룹(Group)을 이용하는지를 확인하여(204) 그룹을 이용하지 않으면 통신 확인 방식에 따라 개인 이용자가 전화를 이용하게 되면 지능망 주변장치에 발신번호를 인덱스(INDEX)로 하여 통화 내용 및 내역을 기록하고 그 기록을 확인하게 한다(205). 또한, 그룹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 통신 확인 방식에 따라, 개인 이용자가 인터넷을 이용하게 되면 지능망 주변장치를 경유하여 지능망 인터넷 연동장치에 발신번호를 인덱스로 하여 통화 내용 및 내역을 기록하고, 그 기록을 확인한다(206).
한편, 그룹을 이용할 경우, 발신번호를 이용하여 Group ID를 구분한 후(207) 지능망 주변장치를 경유하여 지능망 인터넷 연동장치에 발신번호를 인덱스로 하여 통화 내용 및 내역을 기록하고, 그 기록을 확인한다(208).
상기한 바와 같은 절차를 갖는 본 발명의 발신자에 의한 전화 통화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 관리서비스 방법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지능망을 활용하면 다양한 경우와 조건을 만족시키는 시나리오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함을 나타낸다(203, 205, 206, 208). 통신망사업자가 서비스를 가입형으로 제공하는 경우와 비가입형으로 제공하는 경우에 따라 확인 절차나 이용 절차가 달라 질 수 있으며("A"), 확인하는 단말장치의 종류에 따라 일반전화를이용하는 경우와 인터넷을 이용한 경우로 분리되어 질 수 있다("B") 또한, 개인이 사 용하는 경우와 여러 개의 전화번호를 한꺼번에 등록하여 그룹으로 사용하는 경우로 구분되어 질 수 있다("C").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발신자의 서비스 이용 의사를 통신망에서 파악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이용자는 자기가 통화를 원하는 전화번호 앞에 서비스 식별번호(SAC 1 : Service Access Code 1)를 추가하여 다이얼 하여야 한다. 해당 호는 SAC에 의해 지능망에 접속하고 지능망은 해당 호를 관리하여 통화 내용의 녹음과 관리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이때, 기록된 통화 내용 및 통화내역은 개인의 통신비밀 보호를 위해서 이용자 본인에 의해서만 확인이 가능해야 하고, 이를 위해 이용자의 확인을 위한 인증절차가 반드시 필요하며, 인증에 필요한 정보는 통화내역을 기록하는 시점 이전에 이미 지능망서비스장치에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도 2의 "203"과 같이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개인 이용자가 전화를 이용하여 통화 내용 녹음 및 통화 내역을 기록하고 확인하고자 할 경우, 서비스를 이용하는 시점에 해당 발신자 번호와 함께 통화내역 확인시 필요한 임시 인증번호를 이용자로부터 수집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2의 "206","208"과 같이 서비스를 사전에 인터넷 확인형태로 가입한 개인 이용자 혹은 그룹 이용자의 경우는 통화내역을 지능망-인터넷 연동장치로 전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앞서 설명한 4가지 시나리오에 따른 서비스 이용 및 제공 방법은 후술되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발신자의 통화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 기록을 위한 호처리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절차도로서, 발신자 호 처리, 즉 통화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을 기록하는 절차를 설명하고 있으며, 이 절차는 서비스를 사전에 가입한 개인이용자 및 그룹이용자에게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자 호처리, 즉 통화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을 기록하는 방법 및 절차를 설명하고 있으며, 이 절차는 서비스를 사전에 가입한 개인이용자 및 그룹이용자에게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발신자(11)의 서비스 이용 의사를 통신망에서 파악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이용자는 자기가 통화를 원하는 전화번호 앞에 서비스 식별번호(SAC 1 : Service Access Code 1)를 붙여서 다이얼 하여야 한다(301). 발신교환기(12)는 이용자가 다이얼한 식별번호를 인식하여 지능망서비스 교환기(13)로 해당호를 라우팅하며, 발신자 전화번호, 착신자 전화번호 및 서비스 식별번호를 지능망서비스 교환기와의 국간중계 신호처리를 통해 지능망서비스 교환기에 전달한다(302). 이렇게 전달된 발신자 전화번호는 서로 다른 이용자의 통화녹음 및 통화내역을 구분하는 구분 코드로 사용되어지며, 지능망서비스 교환기(13)는 서비스식별번호를 인식하여 서비스제어장치(14)에게 발신자 전화번호와 착신자 전호번호를 포함하여 발신자의 서비스 이용의사를 전달한다(303). 서비스 이용의사를 전달받은 서비스 제어장치(14)는 서비스 제공 여부를 판단하여(304) 지능망서비스 교환기(13)에게 지능망주변장치(15)와 통화로 연결지시(305) 및 착신자 전화로 통화 연결을 요구하고(307), 지능망주변장치(15)에게는 통화 내용의 녹음 준비와 발신자 전화번호 및 착신자 전화번호를 기록하도록 지시한다(306). 착신교환기(16)는 지능망서비스교환기(13)로부터 착신전화 연결을 요청받아 착신전화를 호출하며(308) 지능망서비스교 환기(13)는 착신 교환기(16)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발신자와 착신자간 통화가 형성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미 구성되어 있던 지능망주변장치(15)와의 통화로를 포함하여 발신 교환기 및 착신교환기간 통화로 등 3개의 물리적 통화경로를 연결하여 발신자와 착신자가 통화할 수 있도록 하고 지능망주변장치(15)가 발신자와 착신자간의 통화 내용을 녹음할 수 있도록 하며, 지능망주변장치(15)는 통화로의 연결과 동시에 통화 내용을 녹음하기 시작하며 통화시작 시간을 기록한다(309,310). 이때, 지능망주변장치(15)는 음성녹음 자료의 원활한 관리와 활용을 위해 보편적인 오디오 파일로 저장한다.
발신자 또는 착신자에 의해 통화가 종료되면 지능망서비스교환기(13)는 통화종료 사실을 인식하여(311) 서비스제어장치(14)로 통보하며(312) 지능망서비스교환기(13)와 연결된 통화경로를 복구시킨다(313). 서비스제어장치(14) 및 지능망주변장치(15)는 통화종료 시각을 기록한다(314). 이때, 지능망서비스교환기(13) 또한 발신번호, 착신번호, 시화 시각, 종화 시각을 기록하며, 기록된 자료는 통신망사업자가 통화요금 자료로 활용한다. 서비스제어장치(14) 또한 발신번호, 착신번호, 시화 시각, 종화 시각 및 녹음 여부를 기록할 수 있으며, 지능망주변장치(15)의 기록자료와 같이 활용될 수 있다.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개인 이용자가 본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상기에서 언급한 경우와 달리 통화 내역 확인시 필요한 인증번호가 서비스 제어장치(14)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인증번호 입력절차(601 내지 606)가 추가되어 기록관리되어야 한다. 인증번호 입력절차는 서비스식별번호와 착신번호입력 절차 후에 서 비스제어장치(14)가 발신자 번호가 사전 가입전화가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여 이루어지며(304), 서비스 제어장치(14)는 지능망서비스교환기(13)에 지능망 주변장치(15)와의 통화로 구성을 지시하고(601) 지능망 주변장치(15)에게 인증번호 입력 안내방송 제공을 지시한다(602). 지능망서비스교환기(13)는 지능망주변장치(15)와의 통화로를 구성하고(603), 지능망주변장치(15)는 인증번호 입력 안내방송을 이용자에게 제공하며(604), 이용자가 DTMF 버튼을 눌러 입력한 인증번호를 수집하여(605) 기록한 후, 서비스 제어장치(14)로 통보한다(606). 서비스제어장치는 해당 발신자 번호와 인증번호를 기록하며 나머지 절차(305 내지 313)는 앞서 언급한 내용과 동일하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전화를 이용하여 녹음 내역 및 통화내역을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절차도로서, 이용자는 해당 발신자 번호의 전화로만 서비스를 이용하고 확인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는 기록 자료를 확인하기 위해 확인용 서비스식별번호를(SAC2 : Service Access Code 2) 다이얼한다(401). 이용자가 다이얼한 확인용 서비스 식별번호(SAC2)를 인식한 발신교환기(12)는 지능망서비스교환기(13)로 해당 호를 라우팅하며, 발신자 전화번호 및 확인용 서비스식별번호(SAC2)를 지능망서비스교환기(SSP)와의 국간중계 신호처리를 통해 지능망서비스교환기(SSP)에 전달한다(402). 지능망서비스 교환기는 확인용 서비스식별번호(SAC2)를 인식하여 서비스제어장치(14)에게 발신자 전화번호와 발신자의 통화내역 확인의사를 전달한다(403). 서비스제어장치(14)는 발신자 전화번호가 서비스에 가입한 번호인지를 확 인하거나 혹은 발신 전화번호에서 통화내역을 기록한 적이 있고 인증번호가 등록되었는지를 확인한 후(404) 지능망서비스교환기(13)와 지능망주변장치(15)에게 지시하여 상호간의 통화경로 구성을 요청하고(405) 통화경로가 구성되면(406), 서비스 제어장치(14)는 지능망주변장치(15)에게 이용자 인증번호 요청 안내방송 제공을 지시한다(407). 지능망주변장치(15)는 이용자에게 인증번호를 묻는 안내방송을 제공하고(408) 이용자가 전화기의 DTMF 버튼을 이용하여 입력한(409) 인증번호를 수집하여 서비스 제어장치에 전달한다(410). 서비스제어장치(14)는 발신자 번호와 인증번호를 사전에 등록된 가입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한다(411). 인증절차를 완료한 서비스제어장치(14)는 해당 기록내역의 제공을 지능망주변장치(15)에 지시한다(412).
지능망주변장치(15)는 확인을 원하는 기록 일시를 물어보는 안내방송을 제공하고(413) 이용자가 전화기의 DTMF 버튼을 이용하여 기록 일시를 입력하면(414) 이를 수집ㆍ분석하여 해당 기록자료를 검색하고, 검색된 자료를 정렬하여 검색 번호를 추가시킨다. 지능망주변장치(15)는 검색된 자료의 검색번호를 포함하여 착신번호, 시화시각 등 중요정보를 음성합성기능을 이용하여 음성으로 조합하여 이용자에게 안내방송하고(415) 이용자는 안내방송으로 제공되는 검색번호 중 상세 내역 확인을 원하는 통화자료의 번호를 DTMF 버튼으로 선택한다(416). 이렇게 입력된 DTMF 신호는 지능망주변장치(15)에서 수신, 분석하여 해당하는 통화 내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통화 내역은 지능망주변장치(15)의 문자음성변환기능(TTS : Text To Speech)을 통해 음성으로 이용자에게 제공되며, 해당 통화의 통화내용은 지능망주변장치(15)의 녹음 재생기능을 이용하여 이용자에게 전화기를 통해 재생된 다(417).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하여 녹음 내역 및 통화내역을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절차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이용자는 서비스 가입시에 서비스를 이용할 발신자 번호와 인터넷을 통한 통화내역 확인 시 사용할 아이디(ID)와 패스워드(Password)를 결정하여야 하며, 이는 서비스제어장치(14)와 지능망-인터넷 연동장치(19)에 기록되어진다. 본 서비스를 TM업체와 같은 그룹이 이용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서비스 이용 발신자 번호와 그룹 ID 및 그룹 Password가 기록된다. 기록자료는 서비스제어장치(14)와 지능망주변장치(15)에 저장되고(501), 서비스제어장치(14)는 해당 발신자 번호가 인터넷 확인 형태로 가입되었다는 것을 판단한 후 서비스제어장치(14)의 통화내역을 지능망-인터넷 연동장치(19)로 전달하며(502), 동시에 지능망 주변장치(15)에 기록된 통화 녹음 및 통화 내역 기록자료를 지능망-인터넷 연동장치(19)로 전달하도록 지시한다(503). 지능망주변장치(15)는 통화녹음 및 통화 내역 기록자료를 지능망-인터넷 연동장치(19)로 전달하며(504), 지능망-인터넷 연동장치(19)는 서비스제어장치(14) 및 지능망 주변장치(15)로부터 수신한 기록 자료를 분석하고 가입 절차에서 등록된 정보를 활용하여 발신자 번호와 ID를 인덱스(Index)로 하여 데이터베이스(Data-Base)화하여 관리한다. 그룹이용자의 경우는 발신자 번호와 그룹 ID를 인덱스로 사용한다(505). 지능망-인터넷 연동장치(19)는 웹(Web) 서버 기능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한 이용자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며, 인터넷을 통해 지능망-인터넷 연동장치(19)에 접속한 이용자는 지능망-인터넷 연동장치(19)의 URL로 접속하여 이미 등록한 ID와 Password를 이용하여 로그인(Login)하며(506), 지능망-인터넷 연동장치(19)는 이용자를 인증한 후 해당 ID의 통화 내역을 데이터베이스(DB)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내용을 편집하여 이용자의 PC 화면에 제공한다(507). 이용자가 통화 녹음 확인을 원하는 경우 지능망-인터넷 연동장치(19)는 파일전송 기능을 활용하여 음성녹음 오디오 파일을 이용자의 PC에 전송하며(508). 이용자는 PC에 설치된 오디오 파일 재생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음성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509).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본 서비스를 사용하는 전화가입자는 별도의 녹음장치설치에 따른 추가 비용 없이 자신이 거는 전화에 대한 신뢰성 있는 통화내용 및 내역 등을 손쉽게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전화를 이용하여 제품홍보 및 상품판매 행위(TM: Tele-Marketing)를 하는 사람 및 업체의 경우, 본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TM 활동을 위해 불특정 잠재고객에게 거는 전화에 대한 내용을 녹음하고 통화내역을 관리하여 TM 활동으로 체결한 거래내역을 정확히 관리할 수 있고, 전화통화 중 발생할 수 있는 민원의 원인 파악 및 해결증거를 확보할 수 있으며, TM 요원의 근무 상황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전화통화 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 관리서비스 시스템에 적용되는 발신자에 의한 전화 통화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 관리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사전가입자의 인증번호를 지능망 서비스장치에 등록하는 제 1 단계;
    발신자의 서비스 이용 의사를 서비스 식별번호(SAC)를 통해 통신망에서 파악하는 제 2 단계;
    서비스제어장치의 통화로 연결지시에 따라, 발신교환기 및 착신교환기간 통화로를 연결하고 지능망 주변장치와의 녹음통화로를 연결하는 제 3 단계;
    상기 지능망 주변장치가 발신자와 착신자간의 통화내용 녹음, 발신번호, 착신번호, 시화시각 기록, 통화종료에 따라 연결된 통화경로 복구, 상기 서비스제어장치 및 상기 지능망 주변장치에 통화 종료시각을 기록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등록된 인증번호 확인과정을 거쳐 상기 지능망 주변장치의 문자음성변환기능(TTS) 및 녹음재생기능을 이용하여 이용자에게 전화기를 통해 재생되거나, 지능망-인터넷 연동장치를 활용하여 가입절차 시 등록된 정보 인증과정을 통해 음성녹음 오디오 파일로 이용자의 PC에 전송하여 통화내역 및 녹음내용을 확인하도록 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발신자에 의한 전화 통화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 관리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통화 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 관리서비스는 발신자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전화통화 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 관리서비스 가입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시나리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한 전화 통화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 관리서비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통화 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 관리서비스시,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다수의 녹음자료 및 통화내역을 지능망에서 구분하여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한 전화 통화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 관리서비스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통화 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 관리서비스는 다수의 서비스 이용 발신자 번호에 대해 하나의 그룹 아이디(ID)를 등록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한 전화 통화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 관리서비스 방법.
  5. 프로세서를 구비한 전화통화 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 관리서비스 시스템에,
    서비스 사전가입자의 인증번호를 지능망 서비스장치에 등록하는 제 1 기능;
    발신자의 서비스 이용 의사를 서비스 식별번호(SAC)를 통해 통신망에서 파악하는 제 2 기능;
    서비스제어장치의 통화로 연결지시에 따라, 발신교환기 및 착신교환기간 통화로를 연결하고 지능망 주변장치와의 녹음통화로를 연결하는 제 3 기능;
    상기 지능망 주변장치가 발신자와 착신자간의 통화내용 녹음, 발신번호, 착신번호, 시화시각 기록, 통화종료에 따라 연결된 통화경로 복구, 상기 서비스제어장치 및 상기 지능망 주변장치에 통화 종료시각을 기록하는 제 4 기능; 및
    상기 등록된 인증번호 확인과정을 거쳐 상기 지능망 주변장치의 문자음성변환기능(TTS) 및 녹음재생기능을 이용하여 이용자에게 전화기를 통해 재생되거나, 지능망-인터넷 연동장치를 활용하여 가입절차 시 등록된 정보 인증과정을 통해 음성녹음 오디오 파일로 이용자의 PC에 전송하여 통화내역 및 녹음내용을 확인하도록 하는 제 5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30002182A 2003-01-13 2003-01-13 발신자에 의한 전화 통화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관리서비스 방법 KR100935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182A KR100935524B1 (ko) 2003-01-13 2003-01-13 발신자에 의한 전화 통화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관리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182A KR100935524B1 (ko) 2003-01-13 2003-01-13 발신자에 의한 전화 통화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관리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327A KR20040065327A (ko) 2004-07-22
KR100935524B1 true KR100935524B1 (ko) 2010-01-06

Family

ID=37355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2182A KR100935524B1 (ko) 2003-01-13 2003-01-13 발신자에 의한 전화 통화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관리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55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556A (ko) 2018-07-19 2020-01-30 주식회사 케이티 통화 음성으로부터 변환된 텍스트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258B1 (ko) * 2006-05-03 2008-02-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시 통화내역 알림 시스템 및 방법
JP6606739B1 (ja) * 2018-12-11 2019-11-20 Meetscom株式会社 プログラム及び端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222A (ko) * 1999-08-18 2001-03-05 이계철 지능망에서의 통화내용 녹음-재생 서비스 방법
KR20010081184A (ko) * 2000-02-10 2001-08-29 허일구 전화통화내용녹음시스템
KR20020059878A (ko) * 2001-01-08 2002-07-16 박종대 통화내용 저장/발송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21572A (ko) * 2001-09-06 2003-03-15 권성준 통화내용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222A (ko) * 1999-08-18 2001-03-05 이계철 지능망에서의 통화내용 녹음-재생 서비스 방법
KR20010081184A (ko) * 2000-02-10 2001-08-29 허일구 전화통화내용녹음시스템
KR20020059878A (ko) * 2001-01-08 2002-07-16 박종대 통화내용 저장/발송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21572A (ko) * 2001-09-06 2003-03-15 권성준 통화내용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556A (ko) 2018-07-19 2020-01-30 주식회사 케이티 통화 음성으로부터 변환된 텍스트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327A (ko) 200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3172B2 (en) Managing caller profiles across multiple hold queues according to authenticated caller identifiers
US7139390B2 (en) Promoting use of experts to callers waiting in a hold queue
US6987841B1 (en) Method for providing a phone conversation recording service
US7215759B2 (en) Hold queue wait estimations
US5933480A (en) Method for billing and controlling fraud in providing pay information services
US93070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ecure storage of audio signals
US836949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on-line bills for use in communication services
US20060074685A1 (en) Destination device initiated caller identification
US20030112944A1 (en) Identifying relevant scheduling events for a call
JPH10229458A (ja) 加入者サービスが向上した長距離電話交換システム
US20030108159A1 (en) Destination device based callee identification
JP2948960B2 (ja) 通信交換設備の特殊な呼びの接続方法
KR100935524B1 (ko) 발신자에 의한 전화 통화내용 녹음 및 통화내역관리서비스 방법
US20090279532A1 (en) Tcp/ip based voice communication system
KR100549782B1 (ko) 범용 사설 교환기와 호환되는 콜센터 시스템
US6724886B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uring connection of TTY telephone calls to a call center
KR20010057445A (ko) 수신자요금부담서비스에서 비밀번호를 이용한 악의적착신허용 방지 방법
US8582731B2 (en) Method for recording telephone conversations
KR20050117510A (ko) 휴대전화 통화방법 및 시스템
JP3864118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20010096070A (ko) 음성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8767924B2 (en) Method for recording telephone conversations
EP1335571A1 (en) Automated electronic witness system
KR20070061991A (ko) 통화데이터 자동 획득 서비스 제공방법
JPH07273881A (ja) 音声メッセージ通信装置とこれを利用する音声メッセージ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1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12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1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