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34901B1 - 재활용 유리병의 색 선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재활용 유리병의 색 선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901B1
KR100934901B1 KR1020090020793A KR20090020793A KR100934901B1 KR 100934901 B1 KR100934901 B1 KR 100934901B1 KR 1020090020793 A KR1020090020793 A KR 1020090020793A KR 20090020793 A KR20090020793 A KR 20090020793A KR 100934901 B1 KR100934901 B1 KR 100934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glass bottle
sorting
screening
gla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강일
장정훈
이덕희
오용길
Original Assignee
(주)이오니아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오니아이엔티 filed Critical (주)이오니아이엔티
Priority to KR1020090020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4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90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07B1/36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jigging or moving to-and-fro in more than on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8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 유리병의 색 선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양한 재활용 유리병을 크기별로 분류하여 유리병 크기별로 색깔을 분류하는 재활용 유리병 색 선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재활용 유리병의 색 선별 장치에 있어서, 공급되는 재활용 유리병을 펼쳐 공급하는 진동피더와, 진동피더에 의해 공급된 유리병을 크기별로 선별하여 공급하는 제 1 바타입진동피더와 제 1 바타입진동피더 하부로 낙하한 유리병과 이물질을 선별하는 제 2 바타입 진동피더와, 제 1 바타입진동피더 및 제 2 바타입진동피더를 지난 일정 크기별 유리병을 순차적으로 진동 정렬하는 제 1 정렬진동피더 및 제 2 정렬진동피더로 구성된 진동 피더부와; 제 1 정렬진동피더를 지난 유리병을 이송하는 상부 컨베이어와; 제 2 정렬진동피더를 지난 유리병을 이송하는 하부 컨베이어로 구성되어 크기별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하 이송부를 따라 순차 공급되는 유리병을 LED 백라이트조명과 적외선 포토센서를 이용하여 선별 색깔별로 각각 자동선별하는 다수개의 선별부로 이루어진 다단 색선별부;로 구성된 재활용 유리병의 색 선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색 선별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020793
유리병, 색선별, 재활용, LED백라이트, 적외선포토센서

Description

재활용 유리병의 색 선별 장치 및 방법{Color sel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glass bottles}
본 발명은 재활용 유리병 색 선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1차로 재활용되어 분류된 유리병을 선별함에 있어 LED 백라이트 조명을 이용하여 신뢰성 있게 색깔별로 선별함은 유리병에 부착된 라벨까지도 인식하여 오차없이 색깔별로 분리하는 유리병 선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병은 가정이나 업소등에서 사용후 분류 수거하여 배츨하도록 하여 재활용하게 되는데, 분류작업이 완벽할 수는 없으므로 보통 다른 색깔을 가진 유리병, 이물질이 혼합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유리병을 녹이기 전에 최종적으로 재활용 병의 색깔을 분류하고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는데, 이러한 일은 보통 작업자가 수선별로 작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수선별은 작업 효율이 낮고 대량으로 재활용하는 곳에서는 많은 인원을 필요함으로 인해 인건비와 같은 부대 비용이 증가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수선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동화된 유리병 선별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더욱이 우리나라의 유리병은 자동으로 선별하는데 몇가지 문제점이 있다.
외국의 경우는 유리병의 크기별 종류가 많지 않아 유리병 선별을 자동화하는데 문제가 없으나 우리나라는 다양한 크기와 규격을 가지는 유리병이 사용됨으로 인해 크기가 다른 유리병이 하나의 선별 라인을 통해 혼재되어 공급될 경우 이를 식별하여 배출 또는 타단 이동 명령을 내리는 제어컴퓨터가 적절한 명령을 내리지 못하여 배출 또는 다단 식별시 오차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유리병의 크기에 따른 변수를 고려한 알고리즘을 가져야 하는데 이러한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이 어려울뿐만 아니라 비용도 많이 들고, 신뢰성 또한 별로 나아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유리병 색선별기는 유리병을 공급함에 있어 순차적인 유리병의 정렬기능이 없어서 서로 다른 색깔을 가진 유리병이 함께 통과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식별된 하나의 색깔로만 분류됨으로 인해 색선별에 구조적인 오차를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유리병 선별장치는 하나의 제어컴퓨터가 유입되는 다양한 색깔의 유리병을 인식하여 이 유리병이 배출되는 색깔별 분리단계를 제어함으로 인해 이송중인 유리병의 위치 등이 변동될 경우 정확한 색깔별 분류단계에서 분류되지 못하고 다른 색깔별 분류단게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자면 제어컴퓨터가 광학식별장치를 통해 특정 유리색깔로 인식하여 해당 색깔을 가진 유리병이 배출되는 단계에 해당 색깔을 가진 유리병이 지나가면 배출수단을 통해 배출하라고 명령을 내렸어도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중인 유리병에 타력에 의해 위치가 변동되었다면 컨베이어의 이송속도를 감안하여 설정된 배출작동이 이루어진다 할지라도 해당 시간에 유리병이 배출장치 쪽을 아직 통과하지 못하거나 이미 통과해 버린 경우 원활한 선별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유는 하나의 엔코드가 각 단계를 모두 제어하는 중앙집중식 제어작용 때문에 누적된 오차가 커지기 때문이다. 누적된 오차라는 것을 컨베이어의 이속속도 변수, 유리병의 위치변동변수가 시간과 거리가 길어짐으로 오차가 점차로 늘어나는 것으로 이로인해 정밀한 제어가 어려워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광학식 선별장치는 직접투광 색선별기가 대부분인데, 이러한 선별기는 난반사가 발생하여 색 선별이 어렵다는 문제점과, 또한 유리병에 종이 라벨이 부착되어 있으면 라벨의 색상을 병의 색깔로 인식한다는 구조적 문제점과, 유리와 사기 색상을 구별하지 못한다는 문제점과, 또한 깨어진 투명 유리는 난반사로 인해 사기와 같은 백색으로 인식한다는 문제점과, 이물질 즉, 종이 또는 캔과 같이 색을 가진 재활용재도 색상으로 인식하여 선별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그 이유는 직접투광 색선별기는 물체에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기기와 반사된 색깔정보를 인식 하는 카메라가 동일 방면에서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설치됨으로 인해 이와 같은 문제점을 야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재활용 유리병을 크기별로 분류하여 유리병 크기별로 색깔을 분류하는 재활용 유리병 색 선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별장치로 공급되는 재활용 유리병을 정렬하여 순차적으로 공급되어 선별되도록 함으로써 유리병 색 선별의 신뢰성을 높인 재활용 유리병 색 선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색깔만을 선별하는 독자적인 개별 선별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유리병 색 선별의 신뢰성을 높인 재활용 유리병 색 선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LED 백라이트를 이용하여 선별 대상 유리병을 통과한 빛을 카메라가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유리병이 아닌 이물질이나 재활용재를 선별함으로써 유리병 색 선별의 신뢰성을 높인 재활용 유리병 색 선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리병에 붙어 있는 라벨을 인식하여 이를 제외한 부분의 유리병의 색깔만을 식별토록 함으로써 유리병 색 선별의 신뢰성을 높인 재활용 유리병 색 선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공급된 재활용 유리병을 크기별로 선별하여 공급하는 진동 피더부와; 크기별로 선별공급되는 유리병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로 구성된 이송부와; 이송부를 따라 순차 공급되는 크기별 유리병을 색깔별로 자동선별하는 색선별부;를 포함하는 재활용 유리병의 색 선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 피더부는, 공급되는 재활용 유리병을 펼쳐 공급하는 진동피더와, 공급된 유리병을 크기별로 선별공급하도록 유리병이 진행하는 길이방향으로 선별될 유리병 직경 크기에 맞게 폭방향으로 다수개의 바가 배열되어 형성된 제 1 바타입진동피더 및 제 1 바타입진동피더 하부로 낙하한 유리병과 이물질을 선별하는 제 2 바타입진동피더와, 제 1 바타입진동피더 및 제 2 바타입진동피더를 지난 일정 크기별 유리병이 순차적으로 정렬되도록 입구쪽은 넓고 하부로 경사진 출구쪽은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이송부의 입구 폭에 대응하게 좁은 구조로 형성한 제 1 정렬진동피더 및 제 2 정렬진동피더로 구성하고,
상기 색선별부는 이송부를 따라 순차 공급되는 유리병 또는 라벨을 포함하는 유리병을 LED 백라이트조명과 적외선 포토센서를 이용하여 선별 색깔별로 각각 자동선별하는 다수개의 선별부로 이루어진 다단 색선별부;로 구성하되,
상기 다단 색선별부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이송되는 유리병의 색을 각각 선별하여 토출하는 제 1, 2, 3 상부 색선별부 및 제 1, 2, 3 하부 색선별부로 구성되고, 각각의 색선별부는 각각 적외선을 송신하고 수신하는 포토센서와; 맞은편에 설치되어 이송중인 유리병을 투과하여 수신된 적외선을 포토센서로 반사하는 반사판과; LED 조명을 비추는 LED 백라이트 조명과; LED 백라이트 조명 맞은편에 설치되어 이송중인 유리병을 투과한 LED조명에 의한 유리병의 영상을 촬영하는 CCD 카메라와; 선택된 색깔의 유리병을 토출시키는 에어토출수단과; 반사판에서 반사된 적외선을 수신한 포토센서가 유리병 진입을 검출 후, LED 백라이트 조명과 CCD 카메라로 유리병의 디지털 영상을 획득한 다음, 라벨링 작업으로 배경과 유리병 영상을 분리하고, 유리병에 라벨 존재시 화소의 인접성을 추적하여 라벨의 경계값을 추출하여 라벨을 제외한 특정 유리병 색깔만을 인식후, 상부 또는 하부 컨베이어의 이송속도를 검출하는 엔코더의 정보에 따라 토출위치에서 에어토출수단을 이용 토출시키는 과정을 처리하는 제 1, 2, 3 상부 색선별 컴퓨터 및 제 1, 2, 3 하부 색선별 컴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유리병의 색 선별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제 1 선별색, 제 2 선별색 및 제 3 선별색은 갈색, 녹색, 투명 유리병색 중에서 선택된 서로 동일하지 않은 하나의 색만을 가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제 3상부 색선별부 및 제 3 하부 색선별부 후단에 필요시 임의의 색깔에 해당하는 색선별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형태로 재활용 유리병의 색 선별 방법에 있어서,
재활용 유리병의 색 선별 방법에 있어서,
(A) 진동피더를 이용하여 공급된 유리병을 펼쳐 공급하는 단계와, 유리병이 진행하는 길이방향으로 바가 형성된 바타입진동피더를 이용 공급된 유리병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단계와, 유리병이 유입되는 입구쪽은 넓고 출구쪽은 이송부의 입구 폭에 대응하는 좁은 구조로 이루어진 정렬진동피더를 이용하여 크기별로 분류된 유리병을 선별색 선별단계에 처리 속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동 정렬하여 공급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공급되는 재활용 유리병을 크기별로 분류하고 정렬시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단계와;
(B) 크기별로 분류되어 상하 이송부별로 순차 공급되는 각 유리병을 색 선별 단계별로 각각 개별 구성된 적외선 포토센서와 LED 백라이트조명을 이용하여 반사판을 통해 적외선 포토센서로 수신된 적외선 정보를 색선별 컴퓨터가 분석하여 공급된 유리병이 정상적인 유리병인지 아닌지를 식별하여 분류하고, 이후 LED 백라이트조명이 투과된 유리병 또는 라벨이 부착된 유리병의 영상을 색선별 컴퓨터가 분석하여 해당 선별색 또는 라벨이 제거된 해당 선별색의 유리병만을 상하 이송부에서 각각 선별되는 제 1 선별색 선별단계, 제 2 선별색 선별단계 및 제 3 선별색 선별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쳐 자동선별하는 단계;로 구성하되,
상기 (B)단계의 상하 이송부에서 각각 선별되는 제 1 선별색 선별단계 내지 제 3 선별색 선별 단계 중 어느 하나의 색선별단계는,
순차적으로 정렬된 유리병을 컨베이어를 통해 투입하는 단계와;
개별 색선별 컴퓨터가 포토센서로 유리병 진입을 검출 후 LED 백라이트 조명과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유리병의 디지털 영상을 촬영하여 색선별 컴퓨터가 디지털 영상을 획득토록 하는 영상획득단계와;
개별 색선별 컴퓨터가 획득된 디지털 영상에서 라벨링 작업을 통해서 배경과 유리병을 분리하는 영상분리단계와;
개별 색선별 컴퓨터가 획득된 디지털 영상이 정상적인 유리병 영상이 아니면 잔재처리하여 다음 단계의 선별색을 처리하는 단계로 넘긴 후, 다음 유리병 영상을 공급 받고, 정상적인 유리병이면 다음 분석 단계로 넘어가는 유리병 영상판단 단계와;
개별 색선별 컴퓨터가 정상적인 유리병에 라벨이 있는지 판단하여 없으면 다음 분석단계로 넘어가고, 라벨이 존재하면 화소의 인접성을 추적하여 라벨의 경계값을 추출한 후 라벨 부분의 영상을 제거하는 단계와;
개별 색선별 컴퓨터가 라벨이 제거된 유리병 영상의 색상을 추출하여 해당 선별색 병으로 판독 되면 다음 분석 단계로 가고 해당 선별색 병이 아니면 다음단계의 선별색 분석단계로 병을 보내고 다음 병을 계속 처리하는 해당 선별색 유리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해당 선별색일 경우 해당 선별색 유리병 검출위치를 엔코더로부터 전송받아 해당 선별색이 분리될 토출위치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는 엔코더의 펄스를 계산하는 단계와;
해당 선별색이 분리될 위치이면 에어토출수단으로 토출시켜 해당 선별색 유리병을 분리선별하고, 아니면 다시 엔코더의 펄스를 계산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색 선별 단계에서 후단의 선별색 단계가 없는 마지막 색 선별단계는, 해당 색으로 분류되지 않은 물체는 이물질로 인식하여 잔재처리토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유리병의 색 선별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제 1 선별색, 제 2 선별색 및 제 3 선별색은 갈색, 녹색, 투명 유리병 색 중에서 선택된 서로 동일하지 않은 하나의 색만을 가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 선별색 선별단계 후단에, 필요시 임의의 색깔에 해당하는 색선별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다양한 재활용 유리병을 크기별로 분류하여 유리병 크기별로 색깔을 분류한다는 장점과,
선별장치로 공급되는 재활용 유리병을 정렬하여 순차적으로 공급되어 선별되도록 함으로써 유리병 색 선별의 신뢰성을 높였다는 장점과,
특정 색깔만을 선별하는 독자적인 개별 선별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유리병 색 선별의 신뢰성을 높였다는 장점과,
LED 백라이트를 이용하여 선별 대상 유리병을 통과한 빛을 카메라가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유리병이 아닌 이물질이나 재활용재를 선별함으로써 유리병 색 선별의 신뢰성을 높였다는 장점과,
유리병에 붙어 있는 라벨을 인식하여 이를 제외한 부분의 유리병의 색깔만을 식별토록 하는 알고리즘을 구비한 색선별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유리병 색 선별의 신뢰성을 높였다는 장점과,
유리병 색선별시 상하 2단을 구성하여 큰병과 작은병을 구분하고 정렬된 상 태로 공급되어 선별되도록 함으로써 많은양을 처리시 단일 컨베이어 보다 처리량은 2배 처리효율은 상승하며 공간사용은 동일하게 사용하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장치 구성을 보인 정면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장치 구성을 보인 평면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유리병 자동화 장비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큰병과 작은병(100mm 이하)으로 자동으로 크기분류를 통해서 상하 2개의 유리병선별라인으로 분류하고, 또한 병과 병사이가 일렬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겹치지 않게 공급하는 유리병 자동 정렬기능을 구비하여 공급하고, 또한 유리병 중에 포함된 작은 이물질(흙, 돌)과 비닐 및 플라스틱을 제거하고 일렬로 정렬되어 투입된 유리병들의 색상을 판독하여 판독되어진 유리병들을 색상별로 자동으로 저장공간으로 분류하는 선별 단계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유리병 색상 선별 자동화 공정을 특징으로 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유리병 색 선별장치의 구성은 크게 공급되는 재활용 유리병을 크기별로 다단 분류하고, 다단 분류된 유리병을 정렬시켜 순차적으로 공급 하도록 공급된 유리병을 펼쳐 공급하는 진동피더(11)와, 진동피더에 의해 공급된 유리병을 크기별로 선별하여 공급하는 제 1 바타입진동피더(12)와 제 1 바타입진동피더(12) 하부로 낙하한 유리병과 이물질을 선별하는 제 2 바타입 진동피더(13)와, 제 1 바타입진동피더 및 제 2 바타입진동피더를 지난 일정 크기별 유리병을 순차적으로 진동 정렬하는 제 1 정렬진동피더(14) 및 제 2 정렬진동피더(15)로 구성된 진동 피더부(1)와; 진동피더부(1)에서 크기별로 상하 분류되어 정렬된 유리병을 크기별로 이송하는 이송부(2)와; 상하 이송부를 따라 순차 공급되는 유리병을 LED 백라이트조명과 적외선포토센서를 이용하여 선별 색깔별로 각각 자동선별하는 다수개의 선별부로 이루어진 다단 색선별부(3);로 구성된다.
상기 진동피더부(1)의 구성은 재활용된 유리병이 최초 공급되는 진동피더(11)가 구성된다. 이 진동피더를 지나면서 공급되어 불규칙하고 불균일하게 쌓인 유리병들이 넓게 퍼지면서 경사도에 의해 하부쪽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 진동피더에 공급되는 재활용 유리병 중에는 갈색, 녹색, 투명 유리병뿐만 아니라 유리병 색깔과 동일 또는 다른 색을 가진 불투명 라벨이 부착된 것도 포함된다. 또한 이물질로 깨진 유리병, 사기, 플라스틱, 종이 등도 포함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종류가 공급되는 이유는 재활용 수거처가 다양함으로 인해 균일한 수거가 이루어지지 않아 많은 이물질이 포함되어 공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진동피더(11)를 지난 이물질 등을 포함하는 유리병은 제 1 바타입 진동 피더(12)에 공급된다. 제 1 바타입 진동피더는 다수개의 바가 유리병의 진행 방향 쪽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웃하는 바 간의 간격(폭방향)은 분류하는 병의 크기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조절방법은 바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므로 그 조절만 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상관없다. 예를 들자면 볼트 너트 등을 이용하여 간격을 벌릴수도 있고, 가이드 상에서 움직이는 바 간에 스페이서를 넣고 고정 할 수도 있으로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면 족하고 그것이 가변으로 조절되던, 용접등으로 특정 간격을 가지는 가이드바가 고정형으로 구성되든 상관은 없다.
상기 제 1 바타입진동피더(12)는 다양하게 공급되는 유리병을 크기별로 분류하기 위한 구성으로 바의 간격보다 큰 것은 하부로 통과되지 못하고 진동 및 경사에 의해 이송방향쪽으로 진행하게 된다.
제 1 바타입 진동피더를 통과한 유리병은 상부에 있는 유리병보다 작은 것으로 이를 테면 박카스병과 같이 직경이 작은 것들이다.
바람직하게는 상부의 직경 기준을 100mm로 잡으면 바 간의 간격을 조정하여 100mm보다 작은 병들은 선별되어 하부로 낙하하되도록 하면 된다.
마찬가지로 제 1 바타입 진동피더 하부에 있는 제 2 바타입 진동피더(13)도 이웃하는 바 간격을 조절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하부에서 선별되어야 할 유리병보다 작은 깨진유리, 사기등의 이물질이 하부로 걸러지게 된다. 걸러진 이물질은 배출용 컨베이어(도시없음)를 통해 이송 야적된다.
한편, 상기 제 1 바타입진동피더(12)를 지난 유리병은 제 1 정렬진동피 더(14)를 거치면서 유리병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이송부에 공급되게 된다. 제 1 정렬진동피더(14)의 형상은 유리병이 유입되는 입구쪽은 넓고 출구쪽은 좁은 구조를 가진다. 또한 출구쪽은 이송부의 입구 폭에 대응하게 형성한다.
이때 병목 현상이 생기지 않는 이유는 제 1 정렬진동피더(14)를 지난 유리병이 색선별단계에서 다 처리되기 전에 계속 유리병이 공급되면 처리용량이 초과하여 유리병이 제대로 일렬로 정렬되지 않는데, 이 경우 센서(도시없음) 감지를 통해서 일정량 이상으로 유리병이 공급되면 공급량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 1 정렬진동피더(14)가 진동되고, 경사지기 때문이다. 간혹 병목 현상이 생기더라도 유리병의 재질이 매끄럽고 여기에 진동이 가해짐과 동시에 경사진 구조에 의해 중력의 영향으로 미끄러지면서 순차적으로 공급되게 된다.
또한 출구쪽의 직경은 분류코자 하는 병의 직경보다는 크되, 유리병이 회전하지 못할 정도로 그 크기를 형성한다. 이러한 크기 한정으로 인해 길이방향으로 유리병이 진행할 뿐만 아니라 이후 기술될 다단 색 선별기에서 이송중인 유리병을 식별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가지기 때문이다. 충분한 시간이라는 것은 길이방향으로 이송됨으로 인한 식별 시간이 길어진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 2 정렬진동피더(15)도 상기와 같은 작동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 1 정렬진동피더(14) 및 2 정렬진동피더(15)를 지난 유리병중에 포함된 플라스틱이나 비닐봉지는 풍력을 이용한 중량 선별을 통해서 유리병보다 중량이 가벼운 이물질들을 전부 제거하는 수단을 이송부 전단에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유리병과 불순물인 플라스틱류는 비중차이가 많이 나므로 강한 바람을 이용 비중이 가벼운 플라스틱류의 제거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진동피더(11), 제 1, 2 바타입 진동피더(12, 13), 제 1,2 정렬진동피더(14, 15)의 하부에서 진동을 일으키는 바이브레이터 구성은 도시를 생략한다. 이와 같이 진동을 일으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바이브레이터 구성은 산업상 다양하게 사용되는 공지의 기술로 직접 제작하거나 상용의 제품을 이용해도 충분하다.
또한 상기 진동 피더부(1)를 구성하는 진동피더(11), 제 1 바타입진동피더(12) 및 제 1 정렬진동피더(14)간의 연결은 이전단이 다음 단의 상부로 떨어지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2 바타입 진동피더(13)와 제 2 정렬진동피더(15)도 이와 같은 연결 구성을 가진다.
상기 이송부(2)는 제 1 정렬진동피더(14)를 지난 유리병을 이송하는 상부 컨베이어(21)와; 제 2 정렬진동피더(15)를 지난 유리병을 이송하는 하부 컨베이어(22)로 구성된다.
상부 컨베이어(21)와 하부 컨베이어(22)는 이송중인 유리병이 이송부 양측으로 굴러가지 못하도록 이송부를 구성하는 컨베이어의 양측에 가이드를 설치하여 전 체적인 단면형상이 'V'자 형태를 가지도록 하여 유리병이 원활하게 진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다단 색선별부(3)는 상부 컨베이어(21)와 하부 컨베이어(22)를 통해 이송되는 유리병을 색깔별로 개별적으로 선별하여 토출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개별적으로 선별하는 것은 색 선별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카메라와 조명과 이로부터 색선별 명령을 제어하는 제어컴퓨터로 구성된 색 선별 장치를 구비하여 색선별할 경우 카메라로부터 입수된 색상정보를 하나의 제어컴퓨터를 통해 제어하게 되면 각 색선별부에서 분류시 거리나 시간등의 인자에 의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오차가 발생하게 되면 전체적인 색깔별 선별 수율이 저하될 수 있고, 이를 보정하기 위한 작업이 필요함으로 인해 하나의 제어컴퓨터가 다수의 색을 선별 제어하는 방법은 원활한 색선별에 많은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색선별부(3)는 색깔별로 임의의 개별 선별부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 구성을 2개의 색깔별로 선별하고자 할시에는 2개의 다단으로 구성된 다단 색선별부로 구성할 수 있고, 5가지로 할 경우에는 5개의 세부 다단색선별부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시중에 유통되는 가장 일반적인 대표 색깔로 구성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 구성에 따라 상하 각 3개의 개별 색선별부로 구성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제 1 상부 색선별부(31a)에서는 갈색 유리병을 선별하여 토출하도록 구성하였고, 제 2 상부 색선별부(31b)에서는 녹색 유리병을 선별하여 토출하도록 구성하였고, 제 3 상부 색선별부(31c)에서는 투명 유리병을 선별하여 토출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하부에는 제 1 하부 색선별부(31a')에서는 갈색 유리병을 선별하여 토출하도록 구성하였고, 제 2 하부 색선별부(31b')에서는 녹색 유리병을 선별하여 토출하도록 구성하였고, 제 3 하부 색선별부(31c')에서는 투명 유리병을 선별하여 토출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각 색선별부인 제 1 상부 색선별부(31a), 제 2 상부 색선별부(31b), 제 3 상부 색선별부(31c), 제 1 하부 색선별부(31a'), 제 2 하부 색선별부(31b'), 제 3 하부 색선별부(31c')의 구성은 기본 구성은 동일하다.
한예로 제 1 상부 색선별부(31a)의 구성을 살펴본다.
제 1 상부 색선별부(31a)는 적외선을 송신하고 수신하는 포토센서(311a)와; 맞은편에 설치되어 이송중인 유리병을 투과하여 수신된 적외선을 포토센서로 반사하는 반사판(312a)과; LED 조명을 비추는 LED 백라이트 조명(313a)과; LED 백라이트 조명(313a) 맞은편에 설치되어 이송중인 유리병을 투과한 LED조명에 의한 유리병의 영상을 촬영하는 CCD 카메라(314a)와; 선택된 색깔의 유리병을 토출시키는 에어토출수단(315a)과; 포토센서(311a)와 CCD 카메라(314a)의 정보를 취합하여 라벨 을 제외한 특정 유리병 색깔만을 인식 후, 상부 컨베이어(21)의 이송속도를 검출하는 엔코더(32a)의 정보에 따라 정확한 토출위치에서 에어토출수단(315a)을 이용 토출시키는 제 1 상부 색선별 컴퓨터(316a)로 구성된다.
토출된 특정 색깔의 유리병은 저장호퍼(33a)에서 수거된다.
상기 제 1 상부 색선별 컴퓨터(316a)는 컨베이어의 속도 변화를 컨베이어 구동모터축(도시없음)에 장치된 엔코더의 펄스신호를 분석하여 자동으로 속도 계산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컨베이어의 이송 속도에 상관없이 정확한 저장호퍼 위치에서 유리병들을 에어토출수단의 노즐 분사를 통한 선별이 가능하게 된다.
즉, 엔코더는 구동모터축에 장치되어 1회전할 때 마다 펄스를 발생하게 되는데, 색선별 컴퓨터가 사전에 CCD 카메라(314a)에서 저장호퍼(33a) 및 에어토출수단(315a)까지의 거리를 알기 때문에 몇 개의 펄스가 발생하면 토출위치에 다다르게 되는지 알게 된다. 따라서 유리병을 인식한 후 토출 거리를 계산하면 그 거리에 해당하는 펄스가 입력되면 에어토출수단을 사용하여 토출명령을 줄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상부 색선별 컴퓨터(316a)는 기존에 단순 색 검출 센서에 의해서 색상을 단순히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색상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와 획득한 유리병 색상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알고리즘에 의해 라벨과 오염에 최대한 영향을 받지 않고 선별이 가능하며, 도자기류와 유리병의 구분도 가능하다. 또한LCD 모니터 등의 출력수단을 사용하여 현재 검출된 유리병의 색상과 처리된 갯수등도 사용자가 항상 확인 할 수 있으며, 그 내용을 날짜 순서 별로 컴퓨터 텍스트 파일로 자동 저장되는 로그파일 저장 기능도 있다.
또한 제 1 상부 색선별 컴퓨터(316a)는 저장호퍼의 위치나 에어토출수단의 토출되는 압축공기량의 세기도 표시가 가능하며, 사용자가 그 수치를 스위치로 손쉽게 조작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상부 색선별부(31b)는 적외선을 송신하고 수신하는 포토센서(311b)와; 맞은편에 설치되어 이송중인 유리병을 투과하여 수신된 적외선을 포토센서로 반사하는 반사판(312b)과; LED 조명을 비추는 LED 백라이트 조명(313b)과; LED 백라이트 조명(313b) 맞은편에 설치되어 이송중인 유리병을 투과한 LED조명에 의한 유리병의 영상을 촬영하는 CCD 카메라(314b)와; 선택된 유리병을 토출시키는 에어토출수단(315b)과; 포토센서(311b)와 CCD 카메라(314b)의 정보를 취합하여 라벨을 제외한 특정 유리병 색깔만을 인식 후, 상부 컨베이어(21)의 이송속도를 검출하는 엔코더(32a)의 정보에 따라 정확한 토출위치에서 에어토출수단(315b)을 이용 토출시키는 제 2 상부 색선별 컴퓨터(316b)로 구성된다.
토출된 특정 색깔의 유리병은 저장호퍼(33b)에서 수거된다.
또한 제 3 상부 색선별부(31c)는 적외선을 송신하고 수신하는 포토센서(311c)와; 맞은편에 설치되어 이송중인 유리병을 투과하여 수신된 적외선을 포토 센서로 반사하는 반사판(312c)과; LED 조명을 비추는 LED 백라이트 조명(313c)과; LED 백라이트 조명(313c) 맞은편에 설치되어 이송중인 유리병을 투과한 LED조명에 의한 유리병의 영상을 촬영하는 CCD 카메라(314c)와; 선택된 유리병을 토출시키는 에어토출수단(315c)과; 포토센서(311c)와 CCD 카메라(314c)의 정보를 취합하여 라벨을 제외한 특정 유리병 색깔만을 인식 후, 상부 컨베이어(21)의 이송속도를 검출하는 엔코더(32a)의 정보에 따라 정확한 토출위치에서 에어토출수단(315c)을 이용 토출시키는 제 2 상부 색선별 컴퓨터(316c)로 구성된다.
토출된 특정 색깔의 유리병은 저장호퍼(33c)에서 수거된다.
또한 도면에 미도시되었지만 상부 컨베이어(21) 하부에 위치한 하부 컨베이어(22)에도 상기 제 1 상부 색선별부(31a), 제 2 상부 색선별부(31b), 제 3 상부 색선별부(31c)에 해당하는 위치에 제 1 하부 색선별부(31a'), 제 2 하부 색선별부(31b'), 제 3 하부 색선별부(31c') 가 위치한다. 이하 설명한다.
제 1 하부 색선별부(31a')는 적외선을 송신하고 수신하는 포토센서(311a')와; 맞은편에 설치되어 이송중인 유리병을 투과하여 수신된 적외선을 포토센서로 반사하는 반사판(312a')과; LED 조명을 비추는 LED 백라이트 조명(313a')과; LED 백라이트 조명(313a') 맞은편에 설치되어 이송중인 유리병을 투과한 LED조명에 의한 유리병의 영상을 촬영하는 CCD 카메라(314a')와; 선택된 유리병을 토출시키는 에어토출수단(315a')과; 포토센서(311a')와 CCD 카메라(314a')의 정보를 취합하여 라벨을 제외한 특정 유리병 색깔만을 인식 후, 하부 컨베이어(22)의 이송속도를 검출하는 엔코더(32a')의 정보에 따라 정확한 토출위치에서 에어토출수단(315a')을 이용 토출시키는 제 1 하부 색선별 컴퓨터(316a')로 구성된다.
토출된 특정 색깔의 유리병은 저장호퍼(33a)에서 수거된다.
또한 제 2 하부 색선별부(31b')는 적외선을 송신하고 수신하는 포토센서(311b')와; 맞은편에 설치되어 이송중인 유리병을 투과하여 수신된 적외선을 포토센서로 반사하는 반사판(312b')과; LED 조명을 비추는 LED 백라이트 조명(313b')과; LED 백라이트 조명(313b') 맞은편에 설치되어 이송중인 유리병을 투과한 LED조명에 의한 유리병의 영상을 촬영하는 CCD 카메라(314b')와; 선택된 유리병을 토출시키는 에어토출수단(315b')과; 포토센서(311b')와 CCD 카메라(314b')의 정보를 취합하여 라벨을 제외한 특정 유리병 색깔만을 인식 후, 하부 컨베이어(22)의 이송속도를 검출하는 엔코더(32a')의 정보에 따라 정확한 토출위치에서 에어토출수단(315b')을 이용 토출시키는 제 2 하부 색선별 컴퓨터(316b')로 구성된다.
토출된 특정 색깔의 유리병은 저장호퍼(33b)에서 수거된다.
또한 제 3 하부 색선별부(31c')는 적외선을 송신하고 수신하는 포토센서(311c')와; 맞은편에 설치되어 이송중인 유리병을 투과하여 수신된 적외선을 포토센서로 반사하는 반사판(312c')과; LED 조명을 비추는 LED 백라이트 조명(313c')과; LED 백라이트 조명(313c') 맞은편에 설치되어 이송중인 유리병을 투과한 LED조 명에 의한 유리병의 영상을 촬영하는 CCD 카메라(314c')와; 선택된 유리병을 토출시키는 에어토출수단(315c')과; 포토센서(311c')와 CCD 카메라(314c')의 정보를 취합하여 라벨을 제외한 특정 유리병 색깔만을 인식 후, 하부 컨베이어(22)의 이송속도를 검출하는 엔코더(32a')의 정보에 따라 정확한 토출위치에서 에어토출수단(315c')을 이용 토출시키는 제 3 하부 색선별 컴퓨터(316c')로 구성된다.
토출된 특정 색깔의 유리병은 저장호퍼(33c)에서 수거된다.
상기에서 각 포토센서는 적외선을 보내는 송신부와 송신부에서 보낸 적외선을 감지하는 수신부가 있는데,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포토센서는 수신부와 송신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유리병을 투과후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적외선의 세기를 검출하여 유리병의 존재유무를 확인하게 된다.
즉, 불투명 유리병이나 사기등은 반사되어 오는 적외선이 없으므로 물체로 인식하게 되고, 비록 투명 유리병이라 할지라도 유리병을 통과한 후 반사판에 반사되어 다시 유리병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적외선의 세기가 감소되므로 이를 감지하여 투명 유리병도 검출하게 된다. 적외선이 감소하는 이유로는 일반적으로 투명 유리병이라고 할지라도 제조시 미세한 색소가 첨가되어 포함되어 있으므로 적외선이 왕복함에 따라 송신부에서 나간 적외선의 세기와 입사되는 수신부의 적외선의 세기에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상기에서 LED 조명을 비추는 LED 백라이트 조명과 LED 백라이트 조명 맞은편 에 설치되어 이송중인 유리병을 투과한 LED조명에 의한 유리병의 영상을 촬영하는 CCD 카메라로 구성한 본 발명에 따른 LED 백라이트 선별의 원리 및 장점을 보충하자면 다음과 같다.
LED 백라이트 빛이 유리병을 관통하여 CCD 카메라에 물체가 촬영 되면 유리병은 반투명한 모양이 된다. 이때 촬영된 색상은 난반사와 이물질에 영향을 받지 않은 물체 고유의 색상이 된다. 만약 확산판(도시없음)을 사용하면 확산판이 램프 빛을 확산하여 빛이 골고루 비추어지게 하며 광원의 비침 현상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선별하고자 하는 색상에 따라 확산판의 색상을 다르게 하면 선별에 도움이 된다. 즉, 어두운 색의 선별에는 빛의 투과량이 많은 확산판을 사용하고, 밝은 색의 선별에는 빛의 투과량이 낮은 확산판을 사용하면 그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이러한 LED 백라이트 조명을 사용하여 유리병을 투과후 인신하는 유리병 색깔 검출 방식의 장점은 난반사의 영향을 받지 않고, 유리병에 부착된 종이 라벨은 제외한 물질만의 색 선별이 가능하다는 점과, 유리와 사기 색상의 구별가능(사기는 빛을 통과하지 않으므로 색상 구분가능) 하다는 점과, 투명 유리병의 구분이 용이하다는 점과, 이물질(종이 , 캔)의 구분이 용이(빛이 통과하지 않음)하다는 점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병 선별장치에서 유리병을 토출하는 에어토출수단을 보인 예시도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에어토출수단(315a, 315a', 315b, 315b', 315c, 315c')은 에어 인렛을 통해 고압의 공기가 유입되면 다수개의 노즐을 통해 공기가 토출되어 이송중인 유리병을 토출하게 되는데, 이때 토출명령은 이송 컨베이어의 속도를 엔코더로 인식하여 정확한 토출지점을 계산한 색선별 컴퓨터의 제어에 의해 고압공기가 토출되게 된다. 또한 병의 크기에 따라 노즐은 솔레노이드밸브를 개폐하여 공기의 토출면적을 제어할 수 있다. 이 역시 색선별 컴퓨터의 제어에 의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100mm 이하의 유리병을 선별하는 LED 백라이트 타입 유리병 선별장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45mm와 50mm의 직경을 가지는 유리병이 하부 컨베이어(22)를 통해 이송되면 먼저 포토센서(311a')가 적외선을 조사하여 반사판(312a')을 통해 반사된 적외선을 인식하여 제 1 하부 색선별 컴퓨터(도시없음)에 전달함으로써 제 1 하부 색선별 컴퓨터가 유리병의 통과 유무를 인식하게 된다. 동시에 제 1 하부 색선별 컴퓨터는 LED 백라이트 조명(313a')을 통해 입사된 영상정보를 CCD 카메라(314a') 통해 영상을 획득하고 분석 후 해당 유리병의 색깔을 인식하여 제 1 하부 색선별부(31a')에서 담당하는 갈색병이면 에어토출수단(315a')의 노즐 위치에 유리병이 위치하면 노즐을 통해 에어를 토출시켜 갈색 유리병을 저장호퍼(33a)로 보내어 분류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보다 자세하게 제 1 상부 색선별 컴퓨터(316a), 제 2 상부 색선별 컴퓨터(316b), 제 3 상부 색선별 컴퓨터(316c), 제 1 하부 색선별 컴퓨터(316a'), 제 2 하부 색선별 컴퓨터(316b'), 제 3 하부 색선별 컴퓨터(316c')에서 행해지는 개별 유리병의 색깔을 인식하고, 특정 색깔의 유리병을 토출하고, 해당사항이 없는 색깔을 가진 유리병을 다음단계로 보내고, 이송중인 유리병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알고리즘을 살펴본다.
또한 유리병의 크기만 다를 뿐 실제 작동 알고리즘은 제 1 상부 색선별 컴퓨터(316a), 제 2 상부 색선별 컴퓨터(316b), 제 3 상부 색선별 컴퓨터(316c)와 동일한 제 1 하부 색선별 컴퓨터(316a'), 제 2 하부 색선별 컴퓨터(316b'), 제 3 하부 색선별 컴퓨터(316c')의 알고리즘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갈색병을 분류하는 색선별 알고리즘을 보인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녹색병을 분류하는 색선별 알고리즘을 보인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투명 유리병을 분류하는 색선별 색선별 컴퓨터에서 행해지는 알고리즘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는 갈색병을 선별하여 토출하는 알고리즘이고, 도 6은 갈색병이 선별된후, 녹색병을 선별하여 토출하는 알고리즘이고, 도 7은 녹색병이 선별된 후 나머지 병인 투명유리병을 선별하여 토출하고 그 밖의 이물질은 걸러내는 알고리즘이다.
먼저 도 5는 갈색병을 선별하는 단계로, 다음과 같은 처리 흐름을 가진다.
순차적으로 정렬된 유리병을 컨베이어를 통해 투입하는 단계와;
제 1상부 색선별 컴퓨터가 포토센서로 유리병 진입을 검출 후 LED 백라이트 조명과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유리병의 디지털 영상을 촬영하여 색선별 컴퓨터가 디지털 영상을 획득토록 하는 영상획득단계와;
제 1상부 색선별 컴퓨터가 획득된 디지털 영상에서 라벨링 작업을 통해서 배경과 유리병을 분리하는 영상분리단계와;
제 1상부 색선별 컴퓨터가 획득된 디지털 영상이 정상적인 유리병 영상이 아니면 잔재처리하여 녹색병을 처리하는 단계로 넘긴 후, 다음 유리병 영상을 공급 받고, 정상적인 유리병이면 다음 분석 단계로 넘어가는 유리병 영상판단 단계와;
제 1상부 색선별 컴퓨터가 정상적인 유리병에 라벨이 있는지 판단하여 없으면 다음 분석단계로 넘어가고, 라벨이 존재하면 화소의 인접성을 추적하여 라벨의 경계값을 추출한 후 라벨 부분의 영상을 제거하는 단계와;
제 1상부 색선별 컴퓨터가 라벨이 제거된 유리병 영상의 색상을 추출하여 갈색병으로 판독 되면 다음 분석 단계로 가고 갈색병이 아니면 녹색병 분석단계로(B 지점) 병을 보내고 다음 병을 계속 처리하는 갈색 유리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갈색병일 경우 갈색 유리병 검출위치를 엔코더로부터 전송받아 갈색병이 분리될 토출위치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는 엔코더의 펄스를 계산하는 단계와;
갈색병이 분리될 위치이면 에어토출수단으로 토출시켜 갈색병을 분리선별하고, 아니면 다시 엔코더의 펄스를 계산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엔코더의 펄스를 계산하는 단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엔코더가 구동모터축에 장치되어 1회전할 때 마다 펄스를 발생하게 되는데, 색선별 컴퓨터가 사전에 CCD 카메라에서 저장호퍼 및 에어토출수단까지의 거리를 알기 때문에 몇 개의 펄스가 발생하면 토출위치에 다다르게 되는지 알게 된다. 따라서 유리병을 인식한 후 토출 거리를 계산하면 그 거리에 해당하는 펄스가 입력되면 에어토출수단을 사용하여 토출명령을 줄수 있게 된다.
상기 도 5에 의한 갈색 유리병 색선별 단계를 거치면 도 6의 단계를 거치게 된다. 대부분의 알고리즘은 동일 유사하되, 갈색유리병 대신에 녹색유리병을 선별한다는 점만 다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 1 상부 색선별부를 거쳐 순차적으로 정렬된 유리병을 컨베이어를 통해 투입하는 단계와;
제 2 상부 색선별 컴퓨터가 포토센서로 유리병 진입을 검출 후 LED 백라이트 조명과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유리병의 디지털 영상을 촬영하여 색선별 컴퓨터가 디지털 영상을 획득토록 하는 영상획득단계와;
제 2 상부 색선별 컴퓨터가 획득된 디지털 영상에서 라벨링 작업을 통해서 배경과 유리병을 분리하는 영상분리단계와;
제 2 상부 색선별 컴퓨터가 획득된 디지털 영상이 정상적인 유리병 영상이 아니면 잔재처리하여 투명유리병을 처리하는 단계로 넘긴 후, 다음 유리병 영상을 공급 받고, 정상적인 유리병이면 다음 분석 단계로 넘어가는 유리병 영상판단 단계와;
제 2 상부 색선별 컴퓨터가 정상적인 유리병에 라벨이 있는지 판단하여 없으면 다음 분석단계로 넘어가고, 라벨이 존재하면 화소의 인접성을 추적하여 라벨의 경계값을 추출한 후 라벨 부분의 영상을 제거하는 단계와;
제 2 상부 색선별 컴퓨터가 라벨이 제거된 유리병 영상의 색상을 추출하여 녹색병으로 판독 되면 다음 분석 단계로 가고 녹색병이 아니면 투명유리병 분석단계로(C 지점) 유리병을 보내고 다음 유리병을 계속 처리하는 녹색 유리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녹색유리병일 경우 녹색 유리병 검출위치를 엔코더로부터 전송받아 녹색유리병이 분리될 토출위치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는 엔코더의 펄스를 계산하는 단계와;
녹색유리병이 분리될 위치이면 에어토출수단으로 토출시켜 녹색유리병을 분리선별하고, 아니면 다시 엔코더의 펄스를 계산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도 6에 의한 녹색 유리병 색선별 단계를 거치면 도 7의 단계를 거치게 된다. 대부분의 알고리즘은 동일 유사히되, 녹색유리병 대신에 투명유리병을 선별한다는 점만 다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 2 상부 색선별부를 거쳐 순차적으로 정렬된 유리병을 컨베이어를 통해 투입하는 단계와;
제 3 상부 색선별 컴퓨터가 포토센서로 유리병 진입을 검출 후 LED 백라이트 조명과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유리병의 디지털 영상을 촬영하여 색선별 컴퓨터가 디지털 영상을 획득토록 하는 영상획득단계와;
제 3 상부 색선별 컴퓨터가 획득된 디지털 영상에서 라벨링 작업을 통해서 배경과 유리병을 분리하는 영상분리단계와;
제 3 상부 색선별 컴퓨터가 획득된 디지털 영상이 정상적인 유리병 영상이 아니면 잔재처리하고, 다음 유리병 영상을 공급 받고, 정상적인 유리병이면 다음 분석 단계로 넘어가는 유리병 영상판단 단계와;
제 3 상부 색선별 컴퓨터가 정상적인 유리병에 라벨이 있는지 판단하여 없으면 다음 분석단계로 넘어가고, 라벨이 존재하면 화소의 인접성을 추적하여 라벨의 경계값을 추출한 후 라벨 부분의 영상을 제거하는 단계와;
제 3 상부 색선별 컴퓨터가 라벨이 제거된 유리병 영상의 색상을 추출하여 투명유리병으로 판독되면 다음 분석 단계로 가고 투명유리병이 아니면 잔재처리하고, 다음 병을 계속 처리하는 투명 유리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투명 유리병일 경우 투명 유리병 검출위치를 엔코더로부터 전송받아 투명유리병이 분리될 토출위치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는 엔코더의 펄스를 계산하는 단계와;
투명 유리병이 분리될 위치이면 에어토출수단으로 토출시켜 투명유리병을 분리선별하고, 아니면 다시 엔코더의 펄스를 계산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미도시되었으나 제 1 하부 색선별부(31a'), 제 2 하부 색선별부(31b') 및 제 3 하부 색선별부(31c')에서의 갈색, 녹색 및 투명 유리병 처리 단계역시 상기와 같은 상부 색선별부의 각 단계별 처리 흐름과 동일한 처리흐름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장치 구성을 보인 정면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장치 구성을 보인 평면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병 선별장치에서 유리병을 토출하는 에어토출수단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100mm 이하의 유리병을 선별하는 LED 백라이트 타입 유리병 선별장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갈색병을 분류하는 색선별 알고리즘을 보인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녹색병을 분류하는 색선별 알고리즘을 보인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투명유리병을 분류하는 색선별 알고리즘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진동피더부 (2) : 이송부
(3) : 다단 색선별부 (11) : 진동피더
(12) : 제 1 바타입 진동피더 (13) : 제 2 바타입 진동피더
(14) : 제 1 정렬진동피더 (15) : 제 2 정렬진동피더
(21) : 상부 컨베이어 (22) : 하부 컨베이어
(31a) : 제 1 상부 색선별부 (31b) : 제 2 상부 색선별부
(31c) : 제 3 상부 색선별부 (31a') : 제 1 하부 색선별부
(31b') : 제 2 하부 색선별부 (31c') : 제 3 하부 색선별부
(32a, 32a') : 엔코더 (33a, 33b, 33c) : 저장호퍼
(311a, 311a', 311b, 311b', 311c, 311c') : 포토센서
(312a, 312a' 312b, 312b', 312c, 312c') : 반사판
(313a, 313a', 313b, 313b', 313c, 313c') : LED 백라이트 조명
(314a, 314a', 314b, 314b', 314c, 314c') : CCD 카메라
(315a, 315a', 315b, 315b', 315c, 315c') : 에어토출수단
(316a) : 제 1 상부 색선별 컴퓨터
(316a') : 제 1 하부 색선별 컴퓨터
(316b) : 제 2 상부 색선별 컴퓨터
(316b') : 제 2 하부 색선별 컴퓨터
(316c') : 제 3 하부 색선별 컴퓨터
(316c) : 제 3 상부 색선별 컴퓨터

Claims (13)

  1. 공급된 재활용 유리병을 크기별로 선별하여 공급하는 진동 피더부와; 크기별로 선별공급되는 유리병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로 구성된 이송부와; 이송부를 따라 순차 공급되는 크기별 유리병을 색깔별로 자동선별하는 색선별부;를 포함하는 재활용 유리병의 색 선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 피더부는, 공급되는 재활용 유리병을 펼쳐 공급하는 진동피더와, 공급된 유리병을 크기별로 선별공급하도록 유리병이 진행하는 길이방향으로 선별될 유리병 직경 크기에 맞게 폭방향으로 다수개의 바가 배열되어 형성된 제 1 바타입진동피더 및 제 1 바타입진동피더 하부로 낙하한 유리병과 이물질을 선별하는 제 2 바타입진동피더와, 제 1 바타입진동피더 및 제 2 바타입진동피더를 지난 일정 크기별 유리병이 순차적으로 정렬되도록 입구쪽은 넓고 하부로 경사진 출구쪽은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이송부의 입구 폭에 대응하게 좁은 구조로 형성한 제 1 정렬진동피더 및 제 2 정렬진동피더로 구성하고,
    상기 색선별부는 이송부를 따라 순차 공급되는 유리병 또는 라벨을 포함하는 유리병을 LED 백라이트조명과 적외선 포토센서를 이용하여 선별 색깔별로 각각 자동선별하는 다수개의 선별부로 이루어진 다단 색선별부;로 구성하되,
    상기 다단 색선별부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이송되는 유리병의 색을 각각 선별하여 토출하는 제 1, 2, 3 상부 색선별부 및 제 1, 2, 3 하부 색선별부로 구성되고, 각각의 색선별부는 각각 적외선을 송신하고 수신하는 포토센서와; 맞은편에 설치되어 이송중인 유리병을 투과하여 수신된 적외선을 포토센서로 반사하는 반사판과; LED 조명을 비추는 LED 백라이트 조명과; LED 백라이트 조명 맞은편에 설치되어 이송중인 유리병을 투과한 LED조명에 의한 유리병의 영상을 촬영하는 CCD 카메라와; 선택된 색깔의 유리병을 토출시키는 에어토출수단과; 반사판에서 반사된 적외선을 수신한 포토센서가 유리병 진입을 검출 후, LED 백라이트 조명과 CCD 카메라로 유리병의 디지털 영상을 획득한 다음, 라벨링 작업으로 배경과 유리병 영상을 분리하고, 유리병에 라벨 존재시 화소의 인접성을 추적하여 라벨의 경계값을 추출하여 라벨을 제외한 특정 유리병 색깔만을 인식후, 상부 또는 하부 컨베이어의 이송속도를 검출하는 엔코더의 정보에 따라 토출위치에서 에어토출수단을 이용 토출시키는 과정을 처리하는 제 1, 2, 3 상부 색선별 컴퓨터 및 제 1, 2, 3 하부 색선별 컴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유리병의 색 선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별색, 제 2 선별색 및 제 3 선별색은 갈색, 녹색, 투명 유리병색 중에서 선택된 서로 동일하지 않은 하나의 색만을 가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유리병의 색 선별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3 상부 색선별부 및 제 3 하부 색선별부 후단에 필요시 임의의 색깔에 해당하는 색선별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유리병의 색 선별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재활용 유리병의 색 선별 방법에 있어서,
    (A) 진동피더를 이용하여 공급된 유리병을 펼쳐 공급하는 단계와, 유리병이 진행하는 길이방향으로 바가 형성된 바타입진동피더를 이용 공급된 유리병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단계와, 유리병이 유입되는 입구쪽은 넓고 출구쪽은 이송부의 입구 폭에 대응하는 좁은 구조로 이루어진 정렬진동피더를 이용하여 크기별로 분류된 유리병을 선별색 선별단계에 처리 속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동 정렬하여 공급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공급되는 재활용 유리병을 크기별로 분류하고 정렬시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단계와;
    (B) 크기별로 분류되어 상하 이송부별로 순차 공급되는 각 유리병을 색 선별 단계별로 각각 개별 구성된 적외선 포토센서와 LED 백라이트조명을 이용하여 반사판을 통해 적외선 포토센서로 수신된 적외선 정보를 색선별 컴퓨터가 분석하여 공급된 유리병이 정상적인 유리병인지 아닌지를 식별하여 분류하고, 이후 LED 백라이트조명이 투과된 유리병 또는 라벨이 부착된 유리병의 영상을 색선별 컴퓨터가 분석하여 해당 선별색 또는 라벨이 제거된 해당 선별색의 유리병만을 상하 이송부에서 각각 선별되는 제 1 선별색 선별단계, 제 2 선별색 선별단계 및 제 3 선별색 선별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쳐 자동선별하는 단계;로 구성하되,
    상기 (B)단계의 상하 이송부에서 각각 선별되는 제 1 선별색 선별단계 내지 제 3 선별색 선별 단계 중 어느 하나의 색선별단계는,
    순차적으로 정렬된 유리병을 컨베이어를 통해 투입하는 단계와;
    개별 색선별 컴퓨터가 포토센서로 유리병 진입을 검출 후 LED 백라이트 조명과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유리병의 디지털 영상을 촬영하여 색선별 컴퓨터가 디지털 영상을 획득토록 하는 영상획득단계와;
    개별 색선별 컴퓨터가 획득된 디지털 영상에서 라벨링 작업을 통해서 배경과 유리병을 분리하는 영상분리단계와;
    개별 색선별 컴퓨터가 획득된 디지털 영상이 정상적인 유리병 영상이 아니면 잔재처리하여 다음 단계의 선별색을 처리하는 단계로 넘긴 후, 다음 유리병 영상을 공급 받고, 정상적인 유리병이면 다음 분석 단계로 넘어가는 유리병 영상판단 단계와;
    개별 색선별 컴퓨터가 정상적인 유리병에 라벨이 있는지 판단하여 없으면 다음 분석단계로 넘어가고, 라벨이 존재하면 화소의 인접성을 추적하여 라벨의 경계값을 추출한 후 라벨 부분의 영상을 제거하는 단계와;
    개별 색선별 컴퓨터가 라벨이 제거된 유리병 영상의 색상을 추출하여 해당 선별색 병으로 판독 되면 다음 분석 단계로 가고 해당 선별색 병이 아니면 다음단계의 선별색 분석단계로 병을 보내고 다음 병을 계속 처리하는 해당 선별색 유리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해당 선별색일 경우 해당 선별색 유리병 검출위치를 엔코더로부터 전송받아 해당 선별색이 분리될 토출위치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는 엔코더의 펄스를 계산하는 단계와;
    해당 선별색이 분리될 위치이면 에어토출수단으로 토출시켜 해당 선별색 유리병을 분리선별하고, 아니면 다시 엔코더의 펄스를 계산하는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색 선별 단계에서 후단의 선별색 단계가 없는 마지막 색 선별단계는, 해당 색으로 분류되지 않은 물체는 이물질로 인식하여 잔재처리토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유리병의 색 선별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별색, 제 2 선별색 및 제 3 선별색은 갈색, 녹색, 투명 유리병 색 중에서 선택된 서로 동일하지 않은 하나의 색만을 가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유리병의 색 선별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3 선별색 선별단계 후단에, 필요시 임의의 색깔에 해당하는 색선별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유리병의 색 선별 방법.
  13. 삭제
KR1020090020793A 2009-03-11 2009-03-11 재활용 유리병의 색 선별 장치 및 방법 Active KR100934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793A KR100934901B1 (ko) 2009-03-11 2009-03-11 재활용 유리병의 색 선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793A KR100934901B1 (ko) 2009-03-11 2009-03-11 재활용 유리병의 색 선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4901B1 true KR100934901B1 (ko) 2010-01-06

Family

ID=41809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793A Active KR100934901B1 (ko) 2009-03-11 2009-03-11 재활용 유리병의 색 선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490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728B1 (ko) * 2013-02-12 2014-06-24 한국쓰리알환경산업(주)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
KR102037056B1 (ko) * 2018-08-09 2019-10-28 조영옥 자동화된 정렬부재를 구비하는 이어폰용 금속재 링 제조장치
CN110721904A (zh) * 2019-10-24 2020-01-24 邳州市天源蒜业有限公司 一种大蒜振筛机
KR102397021B1 (ko) 2021-12-13 2022-05-16 주식회사 그레이트퍼즐 투명 페트 용기 분리수거 시스템
KR102549887B1 (ko) * 2021-12-27 2023-07-0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학선별기를 이용하여 색상 별 품질 조건을 만족시키는 폐유리병의 색상 선별 방법, 색상 선별 장치 및 색상 선별 시스템
KR20240163887A (ko) * 2023-05-11 2024-11-19 주식회사 에스제이코퍼레이션 폐유리 선별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폐유리 선별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4344A (ja) * 1992-10-06 1994-04-2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ガラス瓶選別設備
JPH1179367A (ja) * 1997-09-17 1999-03-23 Nkk Corp 廃棄瓶整列装置および廃棄瓶仕分装置
KR100695313B1 (ko) * 2006-02-20 2007-03-14 엠엔테크(주) 폐유리병의 색상선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선별방법
KR100797623B1 (ko) * 2007-03-21 2008-01-23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병 자동분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4344A (ja) * 1992-10-06 1994-04-2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ガラス瓶選別設備
JPH1179367A (ja) * 1997-09-17 1999-03-23 Nkk Corp 廃棄瓶整列装置および廃棄瓶仕分装置
KR100695313B1 (ko) * 2006-02-20 2007-03-14 엠엔테크(주) 폐유리병의 색상선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선별방법
KR100797623B1 (ko) * 2007-03-21 2008-01-23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병 자동분류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728B1 (ko) * 2013-02-12 2014-06-24 한국쓰리알환경산업(주)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세분화 분류 시스템
KR102037056B1 (ko) * 2018-08-09 2019-10-28 조영옥 자동화된 정렬부재를 구비하는 이어폰용 금속재 링 제조장치
CN110721904A (zh) * 2019-10-24 2020-01-24 邳州市天源蒜业有限公司 一种大蒜振筛机
KR102397021B1 (ko) 2021-12-13 2022-05-16 주식회사 그레이트퍼즐 투명 페트 용기 분리수거 시스템
KR102549887B1 (ko) * 2021-12-27 2023-07-0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학선별기를 이용하여 색상 별 품질 조건을 만족시키는 폐유리병의 색상 선별 방법, 색상 선별 장치 및 색상 선별 시스템
KR20240163887A (ko) * 2023-05-11 2024-11-19 주식회사 에스제이코퍼레이션 폐유리 선별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폐유리 선별 방법
KR102807623B1 (ko) 2023-05-11 2025-05-19 주식회사 에스제이코퍼레이션 폐유리 선별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폐유리 선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3164A (en) Plastic container sorting system and method
KR100934901B1 (ko) 재활용 유리병의 색 선별 장치 및 방법
JP3272606B2 (ja) ガラスカレット分別装置
KR101998910B1 (ko) 광학식 입상물 선별기
JP6037125B2 (ja) 光学式粒状物選別機
US5538142A (en) Sorting apparatus
WO2012137433A1 (ja) 光学式選別機
JP3647799B2 (ja) 使用済みボトルの色別・材質別選別装置
US20080128336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high speed, high quality, contaminant removal and color sorting of glass cullet
CN110270518A (zh) 物料的自动检测设备
JP2010042326A (ja) 光学式穀粒選別装置
JPH07275803A (ja) 廃瓶の選別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8229517A (ja) 穀粒色彩選別装置
EP2726221B1 (en) Inspection apparatus with alternate side illumination
CN116159764A (zh) 一种货品分拣系统
KR101556228B1 (ko) 분광기를 이용한 플라스틱의 재질별 선별 분류장치
JPH1085676A (ja) プラスチック製ボトルを選別する機械および本機械による実施方法
RU240310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ртировки зерна по цвету
JP5673109B2 (ja) 光学式選別機及び光学式選別機による選別方法
CN216174397U (zh) 一种回收塑料瓶分拣装置、分拣系统
RU8343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ртировки зерна по цвету
CN113909156A (zh) 一种回收塑料瓶分拣装置、分拣系统
JPH1190345A (ja) 粒状体の検査装置
KR100695313B1 (ko) 폐유리병의 색상선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선별방법
JPH1157628A (ja) 粒状体の検査装置及び検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9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5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9100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9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91204

Appeal identifier: 2009101009278

Request date: 20091008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10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008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071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912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1110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