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4411B1 - Enamel Substrate Protein Compositions for Modulating Immune Responses - Google Patents
Enamel Substrate Protein Compositions for Modulating Immune Respons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34411B1 KR100934411B1 KR1020047003566A KR20047003566A KR100934411B1 KR 100934411 B1 KR100934411 B1 KR 100934411B1 KR 1020047003566 A KR1020047003566 A KR 1020047003566A KR 20047003566 A KR20047003566 A KR 20047003566A KR 100934411 B1 KR100934411 B1 KR 1009344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lete delete
- enamel
- pharmaceutical composition
- lps
- inj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39—Connective tissue peptides, e.g. collagen, elastin, laminin, fibronectin, vitronectin, cold insoluble globulin [CI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역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아멜로게닌과 같은 활성 에나멜 기질 물질 제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내부 및/또는 외부 자극에 대한 천연적인 면역반응에서의 불균형을 나타내는 포유동물의 특징을 나타내는 포유동물의 상태 또는 질환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포유동물의 면역 계의 적어도 일부는 비-차별적으로 자극되어 상기 면역원에 대하여 과민반응하거나 상기 자극에 대하여 반응하지 못한다. 이러한 상태는 전형적으로 전신적 및/또는 외상후 전신 염증 또는 자가면역 질병과 같은 전신적이거나 국소적일 수 있다.
활성 에나멜 기질, 과민반응, 면역원, 아멜로게닌, 자가면역 질병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use of an active enamel matrix material formulation, such as amellogenin, for the preparation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modulating an immune response. The composition can be used to prevent and / or treat a mammalian condition or disease that is characteristic of a mammal that exhibits an imbalance in its natural immune response to internal and / or external stimuli. That is, at least a portion of the mammalian immune system is non-discriminatory to stimulate hypersensitivity to or fail to respond to the immunogen. Such conditions are typically systemic or local, such as systemic and / or post-traumatic systemic inflammation or autoimmune disease.
Active enamel substrate, hypersensitivity, immunogen, amegenin, autoimmune disease
Description
본 발명은 면역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아멜로게닌, 가공된 아멜로게닌 산물 또는 그의 대사산물과 같은 활성 에나멜 기질 물질 제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내부 및/또는 외부 자극에 대한 천연적인 면역반응에서의 불균형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동물의 상태 또는 질환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태는 전형적으로 전신적 및/또는 외상후의 전신 염증 또는 자가면역 질병과 같은 전신적이거나 국소적일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use of active enamel matrix material preparations, such as amelogenin, processed amellogenin products or metabolites thereof, for the preparation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modulating an immune response. The composition can be used to prevent and / or treat a mammalian condition or disease characterized by an imbalance in the natural immune response to internal and / or external stimuli. The condition may typically be systemic or local, such as systemic inflammation or autoimmune disease following systemic and / or trauma.
면역계의 정상 작용은 세균 및 바이러스와 같은 외래 미생물을 공격해서 파괴하는 것에 의해 몸을 보호하는 것이다. 정상 조건하에서 이들 외래 미생물은 침입자로 인식되어 무해하게 될 것이다. The normal function of the immune system is to protect the body by attacking and destroying foreign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and viruses. Under normal conditions these foreign microorganisms will be recognized as intruders and will be harmless.
사람의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것은 림프계이다; 림프계는 림프구, 이들의 전구체와 유도체 및 모든 지지세포의 집합을 의미한다. 비정상적인 조건하 또는 면역계가 불균형일 때, 림프계는 외래 미생물에 반응해서 파괴하지 못하게되고, 자신의 세포와 조직을 외래물질로 오인하여 이들을 공격하거나 또는 과민한 방식으로 부적절하게 활성화된다. It is the lymphatic system that is involved in the human immune response; Lymphatic system refers to the collection of lymphocytes, their precursors and derivatives and all supporting cells. Under abnormal conditions or when the immune system is imbalanced, the lymphatic system becomes unable to respond in response to foreign microorganisms, and misrecognizes its cells and tissues as foreign substances to attack or improperly activate them in a sensitive manner.
외래항원 또는 자가항원이든 항원제에 대한 면역반응은 일반적으로 B 림프구에 의한 항체 생산 및 T 림프구 또는 천연의 킬러(NK) 세포에 의한 이들 항원을 나타내는 세포의 파괴를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B 또는 T 림프 세포의 결함은 면역결핍 질환 또는 면역반응 기능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면역결핍 또는 결함은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유발되는 것과 같이 선척적인 것일 수 있거나, 바이러스 감염을 통하거나 또는 노화 과정의 결과로 후천적인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생겨난 결함은 그 결함이 생기는 줄기세포 또는 림프구 분화 단계에 따라 치명적이거나 비치명적일 수 있다. Immune responses to antigenic agents, either foreign or autoantigens, are generally characterized by antibody production by B lymphocytes and destruction of cells representing these antigens by T lymphocytes or natural killer (NK) cells. However, defects in B or T lymphocytes can lead to immunodeficiency diseases or impaired immune response function. Immunodeficiency or defects can be inherent, such as caused by mutations in a gene, or acquired through viral infection or as a result of the aging process. Thus, the defect that occurs may be fatal or nonfatal, depending on the stage of stem cell or lymphocyte differentiation in which the defect occurs.
항원 이외에도, 림프구는 충분히 활성화되기 위해 림포카인을 필요로한다. 예컨대, T-헬퍼 세포는 대식세포로 부터 신호를 받지 않는 한 증식되지 않으며, 또 T-세포독소 세포 및 B-세포는 충분히 발달하기 위해 T-헬퍼 세포 및 아마도 대식세포로 부터의 신호에 의존한다. 적합한 면역반응은 몇개 세포 유형이 조합된 활성을 필요로 하는데, 이는 림포카인의 발현 또는 활성을 조절하는 것이 나쁜 면역반응에 대한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o antigens, lymphocytes require lymphokines to be fully activated. For example, T-helper cells do not proliferate unless they receive a signal from macrophages, and T-cytotoxin cells and B-cells rely on signals from T-helper cells and possibly macrophages to develop fully. . A suitable immune response requires a combination of several cell types, which means that modulating the expression or activity of lymphokines has a beneficial effect on a bad immune response.
쇼크, 화상, 광범위한 외과처치 또는 외상성 상해후, 면역계의 작용은 전신적, 비-차별적, 과도한 전신 염증으로 과도하게 자극될 수 있는 반면에, 다른 작용은 현저하게 마비된다. 면역학적 숙주반응이 제어되지 않을 때, 관찰된 세포성 활성화의 불균형 상태가 연속적인 임상 상태를 초래한다. 이러한 상태는 급성 상 반응, 전신 염증, 아네르기(anergy), 패혈증, 감염 또는 기관 손상일 수 있고 또 결 국 다발성 기관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다발성 기관 손상 또는 기능장애는 중환자실에서 가장 일반적인 사망원인이다. 현재로서는, 제어되지 않는 면역반응의 예방 또는 개선에 관련한 치료법은 그 성과를 현저하게 변화시킬 수는 없는 실정이었다. After shock, burns, extensive surgical or traumatic injury, the action of the immune system can be excessively stimulated with systemic, non-discriminatory, excessive systemic inflammation, while other actions are markedly paralyzed. When the immunological host response is not controlled, the observed imbalance of cellular activation results in a continuous clinical condition. This condition may be an acute phase reaction, systemic inflammation, anergy, sepsis, infection or organ damage and may eventually result in multiple organ damage. Multiple organ damage or dysfunction is the most common cause of death in the intensive care unit. At present, therapies involving the prevention or amelioration of uncontrolled immune responses have not been able to significantly alter the outcome.
불균형 상황의 다른 예는 면역계가 자신의 몸을 공격하는 경우이다. 이들 상황은 공격을 유발하는 항원의 기원과 메카니즘 및 공격의 표현면에서 상이하다. 이들 반응을 흔히 앨러지, 지연된 유형의 과민증, 동종이식(allograft) 및 자가면역으로 각기 칭한다. Another example of an imbalance situation is when the immune system attacks your body. These situations are different in terms of the origin and mechanism of the antigen causing the attack and the expression of the attack. These reactions are often referred to as allergy, delayed type of hypersensitivity, allograft and autoimmunity, respectively.
아네르기는 다른 종류의 불균형 상태로서, 인체는 주입된 알레르겐 또는 항원에 반응할 수 없다. 아네르기는 "공동자극적" 신호의 부재하에 T-세포 수용체(TCR)와 펩티드-제공 주요 조직적합 복합체(MHC) 사이의 상호작용 후 세포내 신호의 결과로 보여진다. 이러한 공동자극적 신호는 보통 항원-제공 세포(APC)의 세포 표면상에 제공된다. Anergi is another type of imbalance, in which the human body cannot respond to injected allergens or antigens. Anergi is seen as the result of intracellular signals after interaction between the T-cell receptor (TCR) and the peptide-providing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 in the absence of "co-stimulatory" signals. Such costimulatory signals are usually provided on the cell surface of antigen-presenting cells (APCs).
면역계는 그 작용을 국소적으로 및 전신적으로 조절한다. 예컨대 지연된 유형의 과민증은 특징적인 피부반응에서 국소적으로 나타나거나, 다량의 항원이 혈류에 들어가서 관절부위에서 열, 불편 및 통증과 순환성 림프구의 갯수 감소를 특징으로 하는 전신반응으로 나타날 수 있다. 염증은 일반적으로 세포성 손상에 대한 국소적 반응으로 정의되는 반면에, 전신적 염증 또는 다발성 기관 손상은 전신 염증으로 정의된다. The immune system regulates its action locally and systemically. Delayed types of hypersensitivity, for example, can occur locally in characteristic skin reactions, or as systemic reactions characterized by fever, discomfort and pain in the joint area and a decrease in the number of circulating lymphocytes as large amounts of antigen enter the bloodstream. Inflammation is generally defined as a local response to cellular damage, while systemic inflammation or multiple organ damage is defined as systemic inflammation.
외상후, 단구 및 대식세포는 즉각적으로 과민반응되어 프로염증성 사이토카 인을 과도하게 방출한다. 이러한 과도한 방출은 전신 염증의 발생을 초래하게되며, 이어 대부분의 환자에서 세포작용의 마비가 유발된다. 3 내지 5일 후, 상기 상태는 미성숙한 것이어서 완전한 활성 스펙트럼을 갖지 않는 새로이 보충된 단구/대식세포에 의해 극복된다. 또한, 환자는 항-염증 상(보상성 항-염증 반응 신드롬)을 거칠 수 있고 또 경우에 따라 프로- 및 항-염증 성분과 혼합 반응(혼합된 길항작용적 반응 신드롬)을 보일 수 있다. After trauma, monocytes and macrophages immediately hypersensitivity to excessive release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his excessive release leads to the development of systemic inflammation, which in turn causes paralysis of the cell in most patients. After 3 to 5 days, the condition is overcome by newly supplemented monocytes / macrophages that are immature and do not have a full spectrum of activity. In addition, the patient may undergo an anti-inflammatory phase (complementary anti-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and optionally display a mixed reaction (mixed antagonistic response syndrome) with pro- and anti-inflammatory components.
세포 매개된 면역 조절에 대한 외상후의 충격은 단구/대식세포 유대와 T세포에 대한 동시 공격에 의해 주로 유발되며, 완전한 세포 상호작용의 분해를 초래한다. 외상성 스트레스는 각 세포 유형의 적합한 및 특수한 성능의 능력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단구/대식세포 유대 및 T 세포가 다수의 조절 루프내에서 서로 보유하는 제어능력과 조절 감시에 영향을 준다. 조절 작용의 손실은 상해 순간과 동시에 발생한다. Post-traumatic impact on cell mediated immune regulation is mainly caused by simultaneous attack on monocyte / macrophage bonds and T cells, resulting in degradation of complete cell interactions. Traumatic stress not only affects the ability of the appropriate and specific performance of each cell type, but also affects the control and regulatory surveillance that monocyte / macrophage bonds and T cells retain each other in multiple control loops. Loss of control action occurs simultaneously with the moment of injury.
상술한 초기 전신의 초염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공지된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예컨대 종양 괴저 인자-a (TNF-알파), 인터루킨-1(IL-1), IL-6 및 인터페론 감마이며, 이들은 TNF-알파와 함께 상승작용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예컨대 엔도톡신에 대한 항체, TNF-알파, IL-1의 길항물질 또는 혈소판 활성화 인자를 사용한 상기 매개체의 하향 조절을 목적으로 한 임상시험은 대체로 지금까지 실망스러웠다. 이들 물질은 조절효과를 갖는 것 조차 확인되지 않았고, 이들은 치사율을 증가시키기도 하였다. Inflammatory cytokines known to cause the early systemic superinflammatory described above are, for example, tumor necrosis factor-a (TNF-alpha), interleukin-1 (IL-1), IL-6 and interferon gamma, which are TNF-alpha Synergistically with Clinical trials aimed at downregulation of such mediators using, for example, antibodies against endotoxin, TNF-alpha, antagonists of IL-1 or platelet activating factors have generally been disappointing. These substances have not been found to even have modulatory effects, and they have increased mortality.
또한, 스트레스를 받는 조건하에서, 단구/대식세포 유대는 용이하게 자극되 어 가장 강력한 내인성 면역 억제제일 수 있는 프로스타글란딘 E2 (PGE2)을 생성 및 방출한다. PGE2는 T 세포 유사분열생식, IL-2 수용체 발현 및 B세포에 의한 IgM 항체 합성의 억제제이다. cAMP 레벨의 세포내 증가를 통하여, PGE2는 TNFα 및 IL-1의 단구/대식세포 유대 합성을 음성적으로 제어한다. PGE2는 TH1 사이토카인(IL-2, IFNγ)의 합성 뿐만 아니라 TH2 세포에 의한 IL-4의 합성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PGE2 분비는 TH2 유형의 반응을 선호하는 균형을 알려주어, IgM에서부터 IgG1 및 IgE로의 B 세포 생산 변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균형에 대한 정보는 TH1 또는 TH2-우세 반응의 발달에 영향을 줄 것이다. In addition, under stressed conditions, monocyte / macrophage bonds are readily stimulated to produce and release prostaglandin E 2 (PGE 2 ), which may be the most potent endogenous immunosuppressant. PGE 2 is an inhibitor of T cell mitosis, IL-2 receptor expression and IgM antibody synthesis by B cells. Through an intracellular increase in cAMP levels, PGE 2 negatively controls monocyte / macrophage bond synthesis of TNF α and IL-1. PGE 2 can inhibit the synthesis of TH 1 cytokines (IL-2, IFN γ ) as well as the synthesis of IL-4 by TH 2 cells. Thus, PGE 2 secretion suggests a favored balance of TH 2 type responses resulting in a change in B cell production from IgM to IgGl and IgE. Information on balance will therefore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a TH 1 or TH 2 -dominant response.
환자의 면역반응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통적인 시약 및 방법은 원하지 않는 부작용을 흔히 초래한다. 예컨대, 시클로스포린 A, 아자티오프린 및 프레드니손과 같은 면역억제제는 자가면역 질환에 걸린 환자 또는 이식을 받는 환자의 면역계를 억제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시약은 환자의 전체 면역반응을 억제하기 때문에, 원래 질병에 관여되지 않은 감염원에 대한 면역반응을 개시할 환자의 능력을 손상시킨다. 이러한 유해한 부작용과 면역조절의 의료적 중요성으로 인하여, 면역계의 특정 부분을 조절하는 시약과 방법에 대한 연구는 다년간의 연구의 주제로 되어 있었다.Traditional reagents and methods used to modulate the immune response of a patient often result in unwanted side effects. For example, immunosuppressive agents such as cyclosporin A, azathioprine, and prednisone are used to suppress the immune system in patients with autoimmune disease or undergoing transplantation. However, these reagents inhibit the patient's overall immune response, thus impairing the patient's ability to initiate an immune response against an infectious agent not originally involved in the disease. Due to these harmful side effects and the medical importance of immunomodulation, the study of reagents and methods for regulating certain parts of the immune system has been the subject of many years of research.
에나멜 기질에 존재하는 에나멜 기질 단백질은 흔히 에나멜에 대한 전구체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시멘트질 형성 전에, 에나멜 기질 단백질은 생장하는 치근 의 정점 단부에 있는 치근 표면에 침적된다. 침적된 에나멜 기질는 시멘트질을 형성하기 위한 개시인자이다. 다시, 시멘트질 그 자체의 형성은 치주인대 및 치조골의 발육과 관련된다. 본 발명 이전에 본 발명자에 의해 밝혀진 바와 같이, 에나멜 기질 단백질은 치아에서 자연적인 부착 발달을 흉내내는 것을 통하여 치주재생을 촉진할 수 있다(Gestrelius S, Lyngstadaas SP, Hammarstroem L. Emdogain-periodontal regeneration based on biomimicry. Clin Oral Invest 4: 120-125 (2000)). Enamel matrix proteins present in enamel substrates are often best known as precursors to enamels. Prior to cementitious formation, enamel matrix proteins are deposited on the root surface at the apical end of the growing root. The deposited enamel substrate is an initiator for forming cementitious. Again, the formation of cementitious itself i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periodontal ligaments and alveolar bone. As has been found by the inventors prior to the present invention, enamel matrix proteins can promote periodontal regeneration through mimicking natural adhesion development in teeth (Gestrelius S, Lyngstadaas SP, Hammarstroem L. Emdogain-periodontal regeneration based on biomimicry.Clin Oral Invest 4: 120-125 (2000)).
에나멜 기질은 아멜로게닌, 에나멜린, 터프트(tuft) 단백질, 프로테아제 및 알부민과 같은 다수의 단백질로 구성된다. 에나멜 기질의 주요 성분인 아멜로게닌은 선택적인 스플라이싱 및 제어되는 후 분비성 가공에 의해 단일 유전자로 부터 유도되는 소수성 단백질의 집합체이다. 이들은 척추류 분화를 통하여 고도로 보존되며 조사된 모든 고등 척추류중에서 높은 전체적인 서열상동성 수준을 나타낸다(>80%). 실제로, 돼지 및 인간의 아멜로게닌 유전자 전사물의 서열은 염기의 4% 정도만 상이할 뿐이다. 따라서, 돼지 기원의 에나멜 기질 단백질은 인체에서 발견될 때 "자신"으로 인식되어 앨러지 반응 또는 기타 바람직하지 않은 반응을 유발하지 않고 인체에서 치과적 재생을 증진시킬 수 있다. Enamel substrates consist of a number of proteins, such as amelagenin, enamelin, tuft protein, protease and albumin. Amellogenin, a major component of the enamel substrate, is a collection of hydrophobic proteins derived from a single gene by selective splicing and controlled post secretory processing. They are highly conserved through vertebrate differentiation and show high overall sequence homology levels (> 80%) among all the higher vertebrates investigated. In fact, the sequences of porcine and human amelogenin gene transcripts differ only by 4% of their bases. Thus, an enamel matrix protein of swine origin can be recognized as "self" when found in the human body and can promote dental regeneration in the human body without causing an allergic or other undesirable reaction.
에나멜 기질 단백질 및 에나멜 기질 유도체(EMD)는 경질 조직 형성(즉 에나멜 형성, 미국특허 4,672,032호(슬라프킨)), 경질조직간의 결합(EP-B-0 337 967호 및 EP-B-0 263 086호) 및 피부와 점막과 같은 상처 치료(WO 99/43344호)를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특허문헌에 예전부터 기재되어 있었다. Enamel matrix proteins and enamel matrix derivatives (EMDs) are used for hard tissue formation (ie, enamel formation, US Pat. No. 4,672,032 (Slavkin)), binding between hard tissues (EP-B-0 337 967 and EP-B-0 263 086). And (WO 99/43344) have been described in the patent literature for a long time.
발명의 요약 Summary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활성 에나멜 물질이 포유류의 면역 메카니즘을 조절하는 능력을 갖고 있다는 놀라운 발견을 기초로 하고 있다. 면역반응 정도를 증가 또는 향상시키는 것으로 정의되는 여기서의 면역조절은 다양한 특정 및 비특정 수단에 의해 생긴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surprising finding that active enamel substances have the ability to modulate the immune mechanisms of mammals. Immunregulation herein, which is defined as increasing or enhancing the degree of immune response, is by a variety of specific and non-specific means.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는 외부 또는 내부 자극 인자와 같은 면역원에 대한 포유동물의 면역반응 불균일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류 상태를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활성 에나멜 물질의 용도를 포함한다. Thu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se of an active enamel material for the preparation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 or treatment of a mammalian condition characterized by a heterogeneous immune response of a mammal against an immunogen such as an external or internal stimulating factor. It includes.
"면역반응 불균형"은 쇼크, 화상, 광범위한 외과적 처치 및/또는 외상성 상해후 생길 수 있다. 상기 용어는 1개 이상의 면역계의 작용이 전신적, 비-차별적, 과도한 전신 염증으로 과도하게 자극될 수 있는 반면에, 다른 작용들은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불충분하게 자극될 수 있는 상황/조건을 설명한다. 용어 "면역반응 불균형"은 면역학적 숙주반응이 제어되지 않는 상황/조건 및 연속적인 임상 상태를 초래하는 것으로 관찰된 세포 활성화의 불균형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상태는 급성 상 반응, 전신적 염증, 아네르기, 쇼크, 패혈증, 감염 및/또는 기관 손상일 수 있고 마지막으로 다발성 기관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Immune response imbalance" can occur after shock, burns, extensive surgical procedures and / or traumatic injuries. The term describes a situation / condition in which the action of one or more immune systems may be excessively stimulated systemically, non-discriminatory, excessive systemic inflammation, while other actions may be insufficiently stimulated simultaneously or independently. The term “immune imbalance” refers to an imbalanced state of cell activation that has been observed to result in uncontrolled situations / conditions and subsequent clinical conditions. This condition may be an acute phase reaction, systemic inflammation, anergy, shock, sepsis, infection and / or organ damage and finally may result in multiple organ damage.
"면역반응 불균형"에 대한 다른 예는 사람의 불활성 면역계가 그 자신의 몸을 공격하는 상황/조건이다. 이들 상황은 공격을 유발하는 항원의 기원 및 공격의 메카니즘과 징후면에서 상이하다. 이들 반응을 흔히 앨러지, 지연된 유형의 과민증, 동종이식(allograft) 및 자가면역 반응이라 칭한다. Another example of an "immune imbalance" is a situation / condition in which a person's inactive immune system attacks his own body. These situations differ in terms of the origin of the antigen causing the attack and the mechanism and indication of the attack. These reactions are often referred to as allergy, delayed type of hypersensitivity, allograft and autoimmune reactions.
용어 "면역반응 불균형"은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은 국소적 및 전신적 상황 모두를 기재할 수 있다. 예컨대, 염증은 일반적으로 세포성 손상에 대한 국소적 반응으로 규정되는 반면에, 전신 염증 또는 다발성 기관 손상은 전신 염증의 예이다. The term “immune imbalance” may describe both local and systemic situations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nflammation is generally defined as a local response to cellular damage, while systemic inflammation or multiple organ damage is an example of systemic inflammation.
본 발명에서, 용어 "면역원"은 면역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인자를 기재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것은 예컨대 독소, 진균, 기생충, 바이러스, 세균, 화분, 먼지, 오염 입자, 사이토카인, 호르몬, 스트레스, 수술, 화상, 이식된 기관 또는 혈액, 조직편, 쇼크, 외상 또는 비-자가 항원 또는 자가 항원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immunogen" is used to describe a factor that can elicit an immune response. This may be, for example, toxins, fungi, parasites, viruses, bacteria, pollen, dust, contaminating particles, cytokines, hormones, stress, surgery, burns, transplanted organs or blood, tissue fragments, shock, trauma or non-self antigens or autoantigens. Can be.
면역학적 과민반응은 조직 손상 또는 손상된 체내 작용을 초래하는 면역반응이다. 이들은 조직손상의 메카니즘에 따라서 5개 유형(I-V)으로 분류되며, 이들은 과민증, 천식, 음식 앨러지, 중증근무력증 및 원판상 홍반성루푸스와 같은 다수의 중요한 인간의 질병과 장애에 관여된다. Immunological hypersensitivity is an immune response that results in tissue damage or impaired body action. They a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I-V) according to the mechanism of tissue damage, and they are involved in a number of important human diseases and disorders such as hypersensitivity, asthma, food allergies, myasthenia gravis and discoid lupus erythematosus.
본 발명의 일개 구체예로서, 활성 에나멜 물질은 면역계의 적어도 일부가 면역원에 대하여 과민반응하는 포유동물에서 상태를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상기 포유동물의 면역계의 적어도 일부는 따라서 비-차별적으로 자극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ctive enamel material is used to prepar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 or treating a condition in a mammal in which at least part of the immune system is hypersensitive to the immunogen. In a preferred embodiment, at least part of the immune system of the mammal is thus non- discriminatively stimulated.
본 발명으로 부터 이득을 볼 수 있는 상태는 상기 포유동물의 면역반응의 불균형이 국소적 및/또는 전신적인 상태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전신적이라는 것은 전신에 관련되거나 전신에 공통적인 것으로 규정되며, 즉 국소적인 것과 대조 적으로 전신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상태는 예컨대 류마티스성 관절염, 피부질병, 앨러지, 경화증, 동맥경화증, 다발성 경화증, 천식, 건선, 루푸스, 전신성 원판상 홍반성루푸스, 당뇨병, 중증근무력증, 만성 피로 증후군, 섬유근통, 만성 피로 증후군, 크론씨병, 하시모토씨 갑상선염, 그레이브씨 질병, 아디슨씨 질병, 길리안 바레(Guillian Barre) 증후군 및 피부경화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자가면역 질병일 수 있다. Benefits from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those in which the imbalance of the mammalian immune response is local and / or systemic. In this regard, systemic is defined as being related to or common to the whole body, ie, generally affecting the whole body as opposed to local. Such conditions include, for example, rheumatoid arthritis, skin diseases, allergies, sclerosis, atherosclerosis, multiple sclerosis, asthma, psoriasis, lupus, systemic disc lupus erythematosus, diabetes, myasthenia gravis, chronic fatigue syndrome, fibromyalgia, chronic fatigue syndrome, Crohn's disease , Hashimoto's thyroiditis, Graves' disease, Addison's disease, Guillian Barre syndrome and scleroderma.
본 발명과 관련하여, 용어 "자가면역 질병"은 80개 이상의 상이한 심각한 만성적 질병을 지칭한다. 자가면역 질병은 암 및 심장병 다음의 미국에서 세번째의 주요 질병군이다. 모든 자가면역 질병의 75 내지 90%가 여성에서, 흔히 출산연령대에서 발병한다. 체내 기관 이외에, 자가면역 질병은 또한 신경, 근육, 혈액, 연결조직, 위장관계 및 모든 체내 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autoimmune disease” refers to at least 80 different serious chronic diseases. Autoimmune diseases are the third major disease group in the United States after cancer and heart disease. 75-90% of all autoimmune diseases occur in women, often at childbirth age. In addition to organs in the body, autoimmune diseases can also affect nerves, muscles, blood, connective tissue, gastrointestinal tract and all systemic systems.
자가면역 질병의 원인은 완전히 알려져 있거나 파악되어 있지 않지만, 호르몬, 유전 및 환경적 요인이 이들의 원인 및 발명에 주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질병의 대부분의 경로는 개별적이며 예상하기 아주 어렵다. 자가면역 질병은 내성 메카니즘의 일반화된 손상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은 특정 자가 항원에 대한 특정 반응 모습을 반영한다. The causes of autoimmune diseases are not fully known or known, but hormones, genet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are presumed to play a major role in their cause and invention. Most pathways for these diseases are individual and very difficult to predict. Autoimmune diseases do not represent a generalized impairment of resistance mechanisms, but they reflect the appearance of specific responses to specific autoantigens.
본 발명에서 예상되는 다른 상태는 전신 염증 및/또는 감염으로 특징화되며 이들은 외상, 화상, 외과수술, 투석, 쇼크 및/또는 세균 감염 또는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전신 상태는 체외막 산소화(ECMO), 쇼크, 전신 염증성 반응 증후군(SIRS), 패혈증, 다발성 기관 손상, 기관 및/또는 인공삽입물과 같은 이식편의 거부, 심장 및 폐 측관수술, 만성적 염증, 천식 및/또는 폐의 스트레스 관련 질병, 세균 감염, 괴저, 연질 조직 감염 및 상처 감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질병과 관련된다. Other conditions contempla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by systemic inflammation and / or infection, which may be associated with trauma, burns, surgery, dialysis, shock and / or bacterial infections or viral infections.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ic condition is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shock,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SIRS), sepsis, multiple organ damage, rejection of grafts such as organs and / or prostheses, heart and lung side tubes Surgery, chronic inflammation, asthma and / or stress-related diseases of the lungs, bacterial infections, necrosis, soft tissue infections, and wound infections.
주요 수술, 전신 염증, 화상 또는 쇼크와 같은 몇개의 심각한 외상은 환자의 면역학적 반응성의 상당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고, 그의 임상적 결과로 심각한 조직파괴와 기관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심각한 전신 감염에 대한 상해를 입은 개인의 감수성이 높아진다. Some serious trauma, such as major surgery, systemic inflammation, burns, or shock, can cause significant damage to the patient's immunological responsiveness and injuries to serious systemic infections that can result in severe tissue destruction and organ damage as a result of its clinical consequences. The individual's sensitivity is increased.
본 발명의 일개 구체예로서, 활성 에나멜 물질은, 면역계의 적어도 일부가 이들을 생성하는 기관의 분자, 세포, 또는 조직을 공격하는, 포유동물의 상태를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를 위해 사용된다. 활성 에나멜 물질은 전신염증 및/또는 감염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동물의 상태를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를 위해 사용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ctive enamel material is prepared for the preparation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 or treating a condition in a mammal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immune system attacks the molecules, cells, or tissues of the organ that produces them. Used for Active enamel materials are used for the preparation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prophylaxis and / or treatment of mammalian conditions characterized by systemic inflammation and / or infection.
전신적, 비-차별적, 과도한 전신 염증의 경우, 면역계의 일부는 자극되는 반면에, 세포-매개 면역(CMI)의 복합체내의 다른 작용은 현저하게 마비된다. 외상 이후의 면역이상은 세포성 활성화 상태의 결과로 복합체 등급으로 생기며, 이러한 것은 아직 잘 알려져있지 않다. 한가지 알려진 사실은 외상성 스트레스가 완전한 단구-T 세포 상호작용의 분리를 유발하며, 이것은 단구 조절의 현저한 변화 및 T 세포 작용의 실제적인 저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활성 에나멜 물질은 환자의 단구-T 세포 상호작용의 균형을 회복하기 위한, 즉 건강한 단구 조절 및 T 세포 작용을 회복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다. In systemic, non-discriminatory, excessive systemic inflammation, part of the immune system is stimulated, while other actions in the complex of cell-mediated immunity (CMI) are markedly paralyzed. Post-traumatic immunodeficiency results in a complex grade as a result of cellular activation, which is not yet well known. One known fact is that traumatic stress leads to the separation of complete monocyte-T cell interactions, which i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changes in monocyte regulation and actual degradation of T cell ac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ctive enamel material is used to prepar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restoring the balance of monocyte-T cell interactions in a patient, ie for restoring healthy monocyte control and T cell function.
상기와 관련하여, 염증은 모세관 확장, 백혈구 침투, 홍조, 열, 통증, 부종, 및/또는 기능손실 등의 특징을 갖고 또 통상 독성 물질과 손상된 조직의 제거를 개시하는 메카니즘으로 작용하는 세포 손상에 대한 국소적 감응으로 정의된다. In this regard, inflammation is characterized by capillary dilatation, leukocyte infiltration, flushing, fever, pain, edema, and / or loss of function, and is usually associated with cell damage that acts as a mechanism to initiate removal of toxic substances and damaged tissue. It is defined as the local response to it.
활성 에나멜 물질은 포유동물에서 T-헬퍼 세포 활성화의 개념을 조절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사용된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된 활성 에나멜 물질은 세포내 및/또는 세포간 신호생성 물질의 발현, 방출 및/또는 작용 수준을 조절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활성 에나멜 물질은 다르게는 포유동물의 면역 메카니즘에 관여된 하나 이상의 사이토카인의 발현, 방출 및/또는 작용 수준을 조절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동일 포유동물의 면역 메카니즘에 관여하는 세포 신호 캐스케이드를 조절할 수 있다. Active enamel materials ar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prepar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modulating the concept of T-helper cell activation in mammals. The active enamel material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an modulate the level of expression, release and / or action of intracellular and / or intercellular signaling substances. The active enamel material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alternatively regulate the expression, release and / or level of action of one or more cytokines involved in the mammalian immune mechanism, or may be involved in the immune mechanism of the same mammal. Cell signaling cascades can be regulated.
류마티스성 관절염, 천식, 결핵, 나병, 주혈흡충병, 만성 간염, 갑상선염 및 다발성 경화증과 같은 다수의 공통되고 임상적으로 중요한 질병 상태는 만성 염증 및 그 결과의 예이다. 만성 염증은 자가항원에 대한 자가면역 반응으로 부터 급성 염증성 자극물질을 제거하지 못한 것에 기인할 수 있거나, 또는 지속되는 약한 세기의 천연 만성 자극물질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사이토카인 및 성장인자의 공동작용에 의해 유발된 대식세포, 림프구 및 다른 세포의 점증 및 활성화에 의한 동시 염증 및 치료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는 만성 염증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활성 에나멜 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Many common and clinically important disease states, such as rheumatoid arthritis, asthma, tuberculosis, leprosy, schistosomiasis, chronic hepatitis, thyroiditis and multiple sclerosis, are examples of chronic inflammation and its consequences. Chronic inflammation may be due to the failure to remove the acute inflammatory stimulant from the autoimmune response to autoantigens, or it may be caused by sustained weak intensity natural chronic stimulants. It is characterized by simultaneous inflammation and treatment by the gradual and activation of macrophages, lymphocytes and other cells caused by the co-action of cytokines and growth factor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include the use of active enamel materials to prepar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reating and / or preventing chronic inflammation.
만성 염증은 과정면에서 가장 적합하게 정의된 것이며, 연속적인 염증과 치료에 의한 조직 치료 시도가 동시에 발생한다. 만성 염증은 흔히 시간 경과면으로 단순히 정의되긴 하지만, 6주간에 걸친 병소의 존재는 전통적으로 만성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이러한 정의는 전체적으로는 자유재량이다. 현미경적 수준에서는, 만성 염증은 때때로 세포 반응 패턴 측면으로 정의되지만, 이것은 가변적이고 전체적으로 신뢰성있는 것은 아니다. Chronic inflammation is best defined in terms of process, and simultaneous inflammation and tissue treatment attempts by treatment occur simultaneously. Chronic inflammation is often simply defined over time, but the presence of lesions over six weeks is traditionally considered chronic, and this definition is at its sole discretion. At the microscopic level, chronic inflammation is sometimes defined in terms of cellular response patterns, but this is variable and not entirely reliable.
이러한 과정의 특징적인 특성은 급성 염증 반응과 비교하는 것에 의해 가장 잘 알 수 있다. 주요 반응이 자극물질의 제거, 이어 조직 재생 또는 치료를 포함한 회복을 유발하는 급성 염증과 대조적으로, 만성 염증은 염증과 치료가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치료는 조직 구조의 파괴를 유발하는 자극물질과 관련되기 때문에 언제나 만성 염증의 특징이다. 치료는 전형적으로 대식세포, 섬유아세포 및 신규 혈관을 포함하는 과립화 조직의 내부성장에 의해 달성된다. Characteristic characteristics of this process are best understood by comparison with an acute inflammatory response. In contrast to acute inflammation in which the main response causes recovery, including removal of the irritant, followed by tissue regeneration or treatment, chronic inflammation is characterized by simultaneous, rather than continuous, inflammation and treatment. Treatment is always a hallmark of chronic inflammation because it involves stimulants that cause destruction of tissue structure. Treatment is typically achieved by internal growth of granulated tissue, including macrophages, fibroblasts and new blood vessels.
급성 염증과 만성 염증 사이의 다른 중요한 구별점은 염증 반응에서 우세한 세포 유형 뿐만 아니라 삼출 및 세포 점증 사이의 상대적 균형에 관한 것이다. 만성 염증의 경우, 삼출성 반응이 덜 현저하고 염증성 세포 점증은 전형적으로 증가하며, 이것은 국소적 세포 증식을 동반할 수 있다. 다수의 호중구 백혈구의 점증을 통상 특징으로 하는 급성 염증과 대조적으로, 모든 형태의 만성 염증에서 우세한 침투 세포는 대식세포이다. 자극물질의 성질에 따라서, 상이한 특징의 염증 매개제와 성장인자(집합적으로 사이토카인이라 칭함)가 국소적으로 생성되어, 상이한 형태학적 패턴의 만성염증을 유발한다. Another important distinction between acute and chronic inflammation relates to the relative balance between exudation and cell swelling as well as cell types predominant in the inflammatory response. For chronic inflammation, the exudative response is less pronounced and inflammatory cell buildup typically increases, which can be accompanied by local cell proliferation. In contrast to acute inflammation, which is usually characterized by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neutrophil leukocytes, the invading cells that predominate in all forms of chronic inflammation are macrophages.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irritant, different mediators of inflammation mediators and growth factors (collectively called cytokines) are produced locally, leading to different morphological patterns of chronic inflammation.
염증의 전신적 효과는 만성 염증 질병에서 더욱 현저하며 임상적 결과에도 상당하게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들 전신적 효과는 주로 사이토카인에 의해 매개된다. 급성 염증의 대부분의 유명한 전신적 효과는 발열 및 백혈구증가증인 반면에, 만성염증은 통상 피로, 졸음, 체중감소 및 쇠약화와 관련된다. The systemic effects of inflammation are more pronounced in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and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linical outcome. These systemic effects are primarily mediated by cytokines. Most famous systemic effects of acute inflammation are fever and leukocytosis, while chronic inflammation is usually associated with fatigue, drowsiness, weight loss and weakness.
본 발명에 관련된 상태 및/또는 질병이 감염으로 특징화되면, 상기 상태는 그램 양성 미생물 및 그램 음성 미생물 1) G+: G+ 미생물의 특수한 세포벽 성분인 내독소 펩티도글리칸(PepG)을 방출할 수 있는 예컨대 포도상구균(Staphylococci) 및 연쇄상구균(Streptococci); 및 2) G-: 대장균군(Coli-forms) 및 감염중에 외부 세포 엔빌로프로 부터 LPS(lipopolysaccharide)를 방출하는 기타 미생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세균에 의한 감염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면역학적 상태는 상기 감염성 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내독소 및/또는 외독소에 의해 유발된다. If the condition and / or disease related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as an infection, the condition is capable of releasing endotoxin peptidoglycan (PepG), which is a special cell wall component of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microorganisms. for example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i), and Streptococcus (streptococci); And 2) G-: by an infection with bacteria selected from, but not limited to, coliforms and other microorganisms that release lipopolysaccharide (LPS) from foreign cell envelope during infection. May be induced. Immunological conditions are caused by endotoxins and / or exotoxins produced by the infectious microorganism.
본 발명에서,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으로 부터 얻은 내독소(PepG) 및 대장균으로부터 얻은 내독소(LPS)에 의해 유발된 인간의 혈액에서 세포성 반응은 실시예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멜로게닌을 투여하는 것에 의해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들 결과는 포유동물에서의 면역 메카니즘에 대한 활성 에나멜 물질의 강력한 조절 효과를 분명하게 나타낸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llular response in human blood induced by endotoxin (PepG) obtained from Staphylococcus aureus and endotoxin (LPS) obtained from Escherichia coli is ameliorated as shown in Example 1. Administration can be made effectively by administering genine. These results clearly demonstrate the potent regulatory effect of active enamel substances on immune mechanisms in mammals.
본 발명자에 의해 실시되고 본 출원에 실시예 2로서 인용증거가 첨부되어 있는 다른 실험으로서, 패혈증에 대한 모델로 돼지를 사용하여 에나멜 기질 유도체의 치료 능력을 생체내에서 조사한다. In another experiment carried out by the inventor and appended with citation evidence as Example 2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bility to treat enamel matrix derivatives in vivo is investigated in vivo using pigs as a model for sepsis.
대형 거환(big bolus) 주사에 의해서도 전달되는 EMD는 고 투여량을 전신적으로 투여하기에 안정한 것으로 나타낸 실험 2에 있다. 또한, 에나멜 기질 유도체의 전신적 주사는 돼지에서 내독소(LPS)의 효과를 상쇄시키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일반적으로, 샴 수술받은 돼지와 비교하여, 치료된 돼지에서 패혈증 쇼크의 개시는 지연된다. 이러한 지연은 투여량에 따라 다르며, 1 mg/kg(체중)은 짧은 지연(약 30분)을 유발하지만, 5 mg/kg 투여량은 패혈증 쇼크의 개시와 그와 관련된 다발성 기관 손상의 개시를 방지하거나 적어도 현저히 지연(>5시간)시킨다. EMD, which is also delivered by big bolus injection, is in Experiment 2, which has been shown to be stable for systemic administration of high doses. In addition, systemic injection of enamel matrix derivatives has been found to counteract the effects of endotoxin (LPS) in pigs. In general, initiation of sepsis shock in treated pigs is delayed compared to pigs with Siamese surgery. This delay is dose dependent and 1 mg / kg (body weight) causes a short delay (about 30 minutes), while a 5 mg / kg dose prevents the onset of sepsis shock and associated onset of multiple organ damage. Or at least significantly delay (> 5 hours).
LPS 유도된 쇼크에 대한 에나멜 기질 유도체의 유리한 효과를 설명할 수 있는 한가지 가능한 메카니즘은 에나멜 기질 유도체가 LPS에 결합함으로써 독성 효과를 불활성화시키는 것이다. 다르게는, 마찬가지로 상상할 수 있는 가능성은 에나멜 기질 유도체가 예컨대 백혈구 세포, 대식세포, 뼈파괴세포 및/또는 비만세포상의 동일 수용체에 대하여 LPS와 경쟁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활성 에나멜 물질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상기 활성 에나멜 물질은 내독소 및/또는 외독소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및/또는 내독소 및/또는 외독소에 대한 세포성 수용체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미생물에 의해 생산된 내독소 및/또는 외독소의 독성 효과를 불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e possible mechanism that could explain the beneficial effects of enamel substrate derivatives on LPS induced shock is to inactivate the toxic effects by binding the enamel substrate derivatives to LPS. Alternatively, a similarly conceivable possibility is that enamel matrix derivatives compete with LPS for the same receptors on, for example, white blood cells, macrophages, bone blast cells and / or mast cells. According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the use of active enamel materials for the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wherein the active enamel materials are directly bound to endotoxins and / or exotoxins and / or endotoxins and / or Or by binding to cellular receptors for exotoxins, thereby inactivating the toxic effects of endotoxins and / or exotoxins produced by the microorganisms.
세번째의 가능성이 아주 높은 메카니즘은 에나멜 기질 유도체가 LPS 유도된 패혈증 쇼크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는 사이토카인 및 시그널 분자의 발현 캐스케이 드를 바람직한 방식으로 조절하는 것에 의해 직접적으로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것이다. 본 출원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종전의 체외 실험을 기준으로 하면, 에나멜 기질 유도체의 효과의 적어도 일부를 후자 메카니즘 탓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일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실시한 혈액 분석도 또한 에나멜 기질 유도체가 백혈구 세포에서 사이토카인 발현에 대하여 직접적인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제시한다. 이러한 효과는 TNF 및 IL-6에 대해서는 강한 효과를 나타내지만 IL-1β에 대해서는 아무런 효과를 갖지 않는 특이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결국, 상기에서 제시된 모든 메카니즘이 관여하고 또 상기 모델에서 에나멜 기질 유도체의 이로운 효과를 내는 상기 효과의 조합이라는 것도 가능하다. The third most likely mechanism is that the enamel substrate derivative directly modulates the immune response by regulating the expression cascade of cytokines and signal molecules that play a major role in LPS-induced sepsis shock. Based on previous in vitro experiments not described in this application, it would be reasonable to view at least some of the effects of the enamel substrate derivatives on the latter mechanism. In addition, the blood assays conducted also suggest that enamel matrix derivatives have a direct effect on cytokine expression in white blood cells. This effect appears to have a specificity that shows a strong effect on TNF and IL-6 but no effect on IL-1β. After all, it is also possible that all of the mechanisms presented above are a combination of these effects which involve and yield the beneficial effect of the enamel matrix derivative in the model.
실시예 2에 보고된 것과 같은 패혈증 쇼크의 개시 지연은 중요한 임상적 의의를 갖는다. 본 발명의 예상가능한 일개 구체예에서, 상기 지연은 혈액에서 "자유" LPS의 양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며 또 에나멜 기질 유도체는 심각한 균혈증 및 수막염과 같은 감염증에서 항생물질에 대한 첨가물로서 전달되어 독소의 효과를 지연 및/또는 감소시킬 것이다. 이러한 치료는 항생물질 치료의 개시 이후의 중대한 시간 동안 환자의 생존에 대하여 결정적일 것이다. Delayed onset of sepsis shock as reported in Example 2 has significant clinical significance. In one foreseeabl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said delay is directly related to the amount of "free" LPS in the blood and the enamel matrix derivative is delivered as an additive to antibiotics in infections such as severe bacteremia and meningitis to effect the toxin. Delay and / or decrease. Such treatment will be critical for the patient's survival during the critical time following initiation of antibiotic treatment.
다른, 동일하게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에나멜 기질 유도체의 효과는 염증 반응의 직접적 조절에 의해 유발되므로, 에나멜 기질 유도체는 쇼크가 가능한 복합증인 다양한 임상적 상황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것은 모든 주요 수술, 이식, 외상, ECMO, 급성 투석, 심각한 감염, 심각한 앨러지 및 그밖의 다수를 포함한다. In another, equally preferred embodiment, the effect of the enamel matrix derivative is caused by direct regulation of the inflammatory response, so the enamel matrix derivative can be used in various clinical situations where shockable complications are present. This includes all major surgeries, transplants, traumas, ECMOs, acute dialysis, serious infections, severe allergies and many others.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닌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활성 에나멜 물질이 포유동물의 면역계를 조절할 수 있는 메카니즘에 대한 한가지 이론적 설명은 ICAM, HLA 항원, 인터루킨 1 수용체, 인터루킨 2 수용체, 인터루킨 3 수용체, 인터루킨 4 수용체, 인터루킨 5 수용체, 인터루킨 6 수용체, 인터루킨 7 수용체, 인터루킨 8 수용체, 인터루킨 9 수용체, 인터루킨 10 수용체, 인터루킨 11 수용체, 인터루킨 12 수용체, 인터루킨 13 수용체, 인터루킨 14 수용체, 인터루킨 15 수용체, 인터루킨 16 수용체, 인터루킨 17 수용체, 인터루킨 18 수용체, IFNα 수용체, IFNβ 수용체, IFNΔ수용체, IFNγ 수용체, IFNΩ 수용체 PDGF 수용체, TGF 수용체, TNF 수용체, EGF 수용체, CD44 변이체 및 인테그린 수용체 패밀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세포 표면 수용체 및/또는 세포 표면 구조와의 상호작용이다. One theoretical explanation of the mechanism by which the active enamel material described herein, which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dulate the immune system of mammals is described in the following sections: ICAM, HLA antigen,
세포 표면 수용체는 각 신호 분자, 리간드에 의해 활성화될 때 세포 전달의 공지된 매개체이다. 세포 표면 수용체는 높은 친화성 또는 낮은 친화성으로 리간드와 반응하여 세포외 신호를 표적 세포의 거동을 변경시키는 1개 이상의 세포내 신호로 전환시킨다. 활성 에나멜 물질은 유사한 방식을 통하여 표적 세포의 거동을 변경시키는 것에 의해 면역 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개 구체예에서, 활성 에나멜 물질은 세포 표면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것에 의해, 수용체 특이적 세포내 신호 캐스케이드를 유발하고 1개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을 변경시켜 상기 세포 거동의 변경을 초래한다. Cell surface receptors are known mediators of cell delivery when activated by each signal molecule, ligand. Cell surface receptors react with ligands with high or low affinity to convert extracellular signals into one or more intracellular signals that alter the behavior of the target cell. Active enamel materials can modulate the immune system by altering the behavior of target cells in a similar manner. Thu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ive enamel material causes the receptor specific intracellular signal cascade and alters the expression of one or more genes by activating cell surface receptors resulting in alteration of said cell behavior. .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로서, 활성 에나멜 물질은 소위 촉매적 수용체로 불리는 효소로서,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세포 표면 수용체를 활성화시킬 수 있고, 그 예는 티로신 키나제로 작용하는 세포질 도메인을 갖는 막관통(transmembrane) 단백질 이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ctive enamel material is an enzyme called a catalytic receptor, capable of activating cell surface receptors that act directly, for example, transmembrane with cytoplasmic domains that act as tyrosine kinases. A) protein.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활성 에나멜 물질은 별도의 플라즈마 막 결합 효소 또는 이온 채널을 간접적으로 활성화하거나 불활성화하는 G-단백질-결합된 표면 수용체를 활성화한다. 수용체 및 효소 및/또는 이온 채널간의 상화작용은 전형적으로 비제한적인 시클릭 AMP, InsP3 및 Ca2+과 같은 세포내 매개제를 활성화하는 G 단백질(GTP-결합 조절 단백질)과 같은 제3 단백질에 의해 매개된다.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ctive enamel material activates G-protein-bound surface receptors that indirectly activate or inactivate separate plasma membrane binding enzymes or ion channels. Interactions between receptors and enzymes and / or ion channels typically result in third proteins such as G proteins (GTP-binding regulatory proteins) that activate intracellular mediators such as, but not limited to, cyclic AMPs, InsP3, and Ca 2+ . Is mediated by.
인터루킨, IFNγ 및 TNFα와 같은 사이토카인은 면역반응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발휘한다. T 세포가 TH1 및 TH2 부분집합으로 분화함에 따른 사이토카인 유전자 조절에 대하여 특별한 관심이 집중되었다. 사이토카인의 효과는 예컨대 시그널 도입 경로를 개시하는 특정 수용체를 통하여 매개될 수 있으며, 이는 그 자체로 피드백 메카니즘에서 사이토카인의 방출을 초래할 수 있다.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 IFNγ and TNFα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gulation of immune responses. Special attention has been paid to cytokine gene regulation as T cells differentiate into TH 1 and TH 2 subsets. The effects of cytokines can be mediated, for example, through specific receptors that initiate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which in themselves can lead to the release of cytokines in a feedback mechanism.
실시예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아멜로게닌은 세균의 세포벽 산물에 대응한 염증성 표면 수용체의 사이토카인 방출 및 조절에 대하여 조절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예는 IL-2R, IL-4R, IL-10R, IFNγR 및 TNFαR과 같은 사이토카인 수용체를 통한 신호를 매개에 의해 면역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활성 에나멜 물질의 용도를 개시한다. 다르게는, 사이토카인의 방출은 이들의 발현 수준에 의해 조절되므로, 활성 에나멜 물질은 포유동물에서 하나 이상의 사이토카인의 발현 수준의 상향 및/또는 하향 조절을 개시하는 것에 의해 면역반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하나 이상의 사이토카인의 방출 및/또는 작 용을 조절한다. As illustrated in Example 1, amelogenin has a modulating effect on cytokine release and regulation of inflammatory surface receptors corresponding to bacterial cell wall products. According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n active enamel material for preparing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modulating an immune response by mediating signals through cytokine receptors such as IL-2R, IL-4R, IL-10R, IFNγR and TNFαR. Discloses the use of. Alternatively, since the release of cytokines is regulated by their expression levels, active enamel substances can modulate the immune response by initiating up and / or down regulation of the expression level of one or more cytokines in a mammal, It modulates the release and / or action of one or more cytokines.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활성 에나멜 물질은 TNFαR을 통한 면역반응의 조절을 매개한다. TNFα 수용체는 적혈구를 제외한 모든 체세포 유형 상에서 발현된다. 55 kDa (TNF-R1; CD120a로도 나타냄: TNF 수용체 수퍼패밀리 멤버 1A (TNF-RSF1A)로도 지칭함) 및 75 kDa (TNF-R2; CD120b로도 나타냄, TNF 수용체 수퍼패밀리 멤버 1B (TNF-RSF1B)로도 지칭함)의 2개의 수용체가 기재되었다. TNFαR은 NGF의 저친화성 수용체 및 인간의 세포 표면 항원 CD40에 관련된 것이고 자극된 T-세포 및 B-림프구상에서 강하게 발현된다. 제3 수용체 서브타입은 정상 인간 간에서 발현된다. 이것은 TNFα에는 결합되지만 TNFβ에만 결합되지 않는다. In a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ctive enamel material mediates the regulation of the immune response via TNFαR. TNFα receptors are expressed on all somatic types except red blood cells. 55 kDa (also referred to as TNF-R1; CD120a: also referred to as TNF receptor superfamily member 1A (TNF-RSF1A)) and 75 kDa (TNF-R2; also referred to as CD120b, also referred to as TNF receptor superfamily member 1B (TNF-RSF1B) Two receptors of) have been described. TNFαR is related to the low affinity receptor of NGF and human cell surface antigen CD40 and is strongly expressed on stimulated T-cells and B-lymphocytes. The third receptor subtype is expressed in normal human liver. It binds to TNFα but not only to TNFβ.
2개의 수용체 서브타입의 상이한 효과가 밝혀졌다. p55 수용체의 관여는 세포성 접착 분자 ICAM-1, E-셀렉틴, V-CAM-1 및 CD44의 도입을 특이적으로 초래하는 반면에, p55 및 p75 수용체의 관여는 α-2 인테그린의 발현을 유도한다. 막-결합 수용체와는 별도로, TNF에 결합되는 몇개의 용해성 단백질이 기재되었다. 약 30 kDa의 이들 단백질- T-BP-1 및 T-BP-2(종양 괴저 인자 결합 단백질)로 불림-은 막 수용체의 TNF-결합 도메인으로부터 유도된다. 이들은 TNF가 그의 수용체에 결합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에 의해 TNF 활성의 생리학적 조절제로서 작용한다. Different effects of the two receptor subtypes have been found. Involvement of the p55 receptor specifically leads to the introduction of cellular adhesion molecules ICAM-1, E-selectin, V-CAM-1 and CD44, whereas involvement of p55 and p75 receptors induces expression of α-2 integrins do. Apart from membrane-bound receptors, several soluble proteins that bind to TNF have been described. About 30 kDa of these proteins, called T-BP-1 and T-BP-2 (tumor necrotic factor binding protein), are derived from the TNF-binding domain of the membrane receptor. They act as physiological modulators of TNF activity by inhibiting TNF from binding to its receptor.
IL-2의 생물학적 활성은 배타적으로 활성화된 T-세포상에서만 발현되고 휴지기 T-세포상에서는 발현되지 않는 막 수용체에 의해 매개된다. IL-5 및 IL-6은 IL-2 수용체의 발현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활성 에나멜 물질은 IL-2R을 통한 면역반응의 조절을 매개하는 것을 포함한다. The biological activity of IL-2 is mediated by membrane receptors expressed only on exclusively activated T-cells and not on resting T-cells. IL-5 and IL-6 regulate the expression of the IL-2 receptor.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ctive enamel material comprises mediating the regulation of the immune response via IL-2R.
IL-2 수용체의 3가지의 상이한 유형은 상이하고 또 독립적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구별된다. 고친화성 IL-2 수용체는 세포에 의해 발현된 모든 IL-2 수용체의 약 10%를 구성한다. 이 수용체는 2개의 서브유닛 IL-2R-알파 (TAC 항원 = T-세포 활성화 항원; p55) 및 IL-2R-베타 (p75; 새로이 CD122로 표시)로 구성된 막 수용체 착물이다. p75는 휴지기 T-림프구, NK-세포 및 다수의 다른 세포 유형 상에서 구성적으로 발현되는 반면에, p55의 발현은 세포 활성화 이후에만 통상 관찰되었다. p75는 IL-2 매개 신호 도입에 관여한다. 또한, IL-2 수용체는 수용체 사슬이 구조적 변화, 수용체-매개된 내식작용, 및 다른 신호 도입 과정을 매개하는데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다수의 다른 단백질(p22, p40, p100)과 관련된다. 확인된 단백질의 하나는 세포-대-세포 접촉 영역에서 IL-2 수용체를 집중시키는 95 kDa 세포 접착 분자 ICAM-1이며 따라서 T-세포의 IL-2 매개된 자극동안 측분비(paracrine) 활성을 매개할 수 있다. p75와 관련된 다른 단백질은 Ick로 불리는 티로신-특이적 단백질 키나제이며, 다른 키나제는 IL-2 수용체와 관련될 수 있다. fyn 및 lyn으로 불리는 이러한 2개의 키나제가 확인되어 있다. 또한, IL-2 수용체 신호는 vav에 의해 또한 매개될 수 있다. 감마로도 표시되는 IL-2 수용체의 제3 64 kDa 서브유닛이 최근 개시되었다. 이 서브유닛은 고치환성 및 중간정도의 친화성 IL-2 수용체의 생성에 필요하지만 IL-2 자체에 결합하지는 않는다. IL-2 수용체의 감마 서브유닛은 IL-4 및 IL-7에 대한 수용체의 성분인 것으로 최근 밝혀졌다. 이것은 또한 IL-13 수용체의 성분이기도 하다. Three different types of IL-2 receptors are distinguished as being different and independently expressed. High affinity IL-2 receptors make up about 10% of all IL-2 receptors expressed by cells. This receptor is a membrane receptor complex consisting of two subunits IL-2R-alpha (TAC antigen = T-cell activating antigen; p55) and IL-2R-beta (p75; newly designated CD122). p75 is constitutively expressed on resting T-lymphocytes, NK-cells, and many other cell types, whereas expression of p55 has been commonly observed only after cell activation. p75 is involved in the introduction of IL-2 mediated signals. In addition, IL-2 receptors are associated with a number of other proteins (p22, p40, p100) that are believed to be involved in mediating structural changes, receptor-mediated corrosion, and other signal transduction processes. One of the proteins identified is the 95 kDa cell adhesion molecule ICAM-1 that focuses IL-2 receptors in the cell-to-cell contact region and thus mediates paracrine activity during IL-2 mediated stimulation of T-cells. can do. Another protein associated with p75 is a tyrosine-specific protein kinase called Ick and other kinases may be associated with IL-2 receptors. Two such kinases called fyn and lyn have been identified. In addition, the IL-2 receptor signal can also be mediated by vav. A third 64 kDa subunit of the IL-2 receptor, also expressed as gamma, has recently been disclosed. This subunit is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highly substituted and moderately affinity IL-2 receptors but does not bind to IL-2 itself. The gamma subunit of the IL-2 receptor has recently been found to be a component of the receptor for IL-4 and IL-7. It is also a component of the IL-13 receptor.
활성화된 림프구는 연속적으로 TAC 항원의 42 kDa 단편을 분비한다. 이 단 편은 혈청과 혈장 사이를 순환하고 용해성 IL-2 수용체(sIL-2R)로 작용한다. 용해성 수용체의 농도는 상이한 병인성 상황으로 현저하게 변화한다. Activated lymphocytes subsequently secrete 42 kDa fragments of TAC antigen. This fragment circulates between serum and plasma and acts as a soluble IL-2 receptor (sIL-2R). The concentration of soluble receptors varies markedly with different pathogenic situations.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활성 에나멜 물질은 IFNγR을 활성화한다. 70 내지 160 kDa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다수의 결합 단백질이 IFNγR로 기재되어 있다. 이들은 성숙한 적혈구를 제외한 모든 유형의 인간 세포상에서 발현된다. 단구 및 기타 조혈세포에서 발현된 수용체는 140 kDa의 분자량을 갖는다. 54 kDa 단백질은 다른 세포 유형에서 관찰된다.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ctive enamel material activates IFNγR. Many binding proteins with molecular weights ranging from 70 to 160 kDa are described as IFNγR. They are expressed on all types of human cells except mature red blood cells. Receptors expressed in monocytes and other hematopoietic cells have a molecular weight of 140 kDa. 54 kDa protein is observed in other cell types.
IL-4의 생물학적 활성은 IL-4 수용체(IL-4R)에 의해 매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활성 에나멜 물질은 IL-4R을 활성화시킨다. IL-4 수용체의 세포외 도메인은 Epo의 수용체, IL-6 및 IL-2 수용체의 베타 사슬과 관련된다. 이것을 CD124로 명명하였다. 2개 형태의 수용체가 기재되었으며, 그중 하나는 분비된다. 분비된 수용체는 세포외 IL-4 결합 도메인만을 함유하며 IL-4 활성을 차단시킬 수 있다. IL-4 수용체와 동일한 친화도로 IL-4에 결합되는 IL-4 결합 단백질(IL-4-BP)는 용해성 IL-4 수용체 변이인 것으로 드러났다. 용해성 수용체는 수용체 결합을 억제하는 것에 의해 또는 수송 단백질로 작용하는 것에 의해 사이토카인 활성의 생리학적 조절제로서 작용한다. IL-4 매개된 세포내 신호 도입의 메카니즘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IL-4는 세포내 칼슘 수준에 영향을 주며 또 이노시톨 인지질 및 단백질 키나제 C의 대사에도 영향을 준다. The biological activity of IL-4 is mediated by the IL-4 receptor (IL-4R).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ctive enamel material activates IL-4R. The extracellular domain of the IL-4 receptor is associated with the beta chains of the receptors of Epo, IL-6 and IL-2 receptors. This was named CD124. Two types of receptors have been described, one of which is secreted. Secreted receptors contain only extracellular IL-4 binding domains and can block IL-4 activity. IL-4 binding proteins (IL-4-BP) that bind IL-4 with the same affinity as the IL-4 receptor have been shown to be soluble IL-4 receptor mutations. Soluble receptors act as physiological modulators of cytokine activity by inhibiting receptor binding or by acting as transport proteins. Little is known about the mechanism of IL-4 mediated intracellular signal transduction. IL-4 affects intracellular calcium levels and also the metabolism of inositol phospholipids and protein kinase C.
사람에서, IL10은 활성화된 CD8+ 말초혈액 T-세포에 의해, 항원-특이적 및 폴리클로날 활성화 후 Th0, Th1- 및 Th2-유사 CD4+ T 세포 클론에 의해, B-세포 림프종에 의해 및 LPS-활성화된 단구 및 비만세포에 의해 생성된다. IL-4 및 IL-10은 단구에 의한 IL10의 합성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활성 에나멜 물질은 IL-10 수용체(IL-10R)을 활성화시킨다. 쥐의 IL-10 수용체는 클로닝되었다. 이 수용체는 쥐의 IL-10과 특이적으로 결합되는 약 110 kDa의 단백질이다. 이 수용체는 IFN에 대한 수용체와 구조적으로 관련이 있다. In humans, IL10 is activated by CD8 + peripheral blood T-cells, B-cell lymphoma by Th 0 , Th 1 -and Th 2 -like CD4 + T cell clones after antigen-specific and polyclonal activation. And by LPS-activated monocytes and mast cells. IL-4 and IL-10 inhibit the synthesis of IL10 by monocytes.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ctive enamel material activates the IL-10 receptor (IL-10R). Rat IL-10 receptor was cloned. This receptor is about 110 kDa protein that specifically binds to mouse IL-10. This receptor is structurally related to the receptor for IFN.
말초 림프구에 대한 에나멜 기질 유도체의 효과는 돼지의 아멜로게닌 유도체 Emdogain®가 시험관내에서 CD25/CD4 양성 림프구 증식을 약간 증가시키고 또 CD19 양성 B-림프구의 동시적 감소를 유도함을 보여준다(Petinaki, E., S. Nikolopoulos 및 E. Castanas. 1998. Low Stimulation of peripheral lymphocytes,following in vitro application of Emdogain. J Clin Periodontol. 25: 715-20). 그러나 상기 작가들은 면역글로불린 및/또는 사이토카인(IL-2 및 IL-6) 생산에 대한 어떠한 중요한 영향을 증명하지 못하였다. The effect of enamel matrix derivatives on peripheral lymphocytes shows that porcine amelogenin derivative Emdogain® slightly increases CD25 / CD4 positive lymphocyte proliferation in vitro and induces simultaneous reduction of CD19 positive B-lymphocytes (Petinaki, E , S. Nikolopoulos and E. Castanas. 1998. Low Stimulation of peripheral lymphocytes, following in vitro application of Emdogain. J Clin Periodontol. 25: 715-20). However, the authors have not demonstrated any significant effect on immunoglobulin and / or cytokine (IL-2 and IL-6) production.
흥미로운 것은, 본 발명자들은 섬유아세포의 다양한 세포 배양액(치주인대, 물고기 지느러미 또는 새의 피부로 부터 유도된 배, 피부)은 EMDOGAIN® (BIORA AB 제조, 스웨덴)으로 자극될 때, 자극되지 않은 배양액과 비교하여, 형질전환성 성장인자(TGF-β1)를 2배 정도 생산함을 밝혀내었다. 이러한 발견은 활성 에나멜 물질이 면역반응 불균형에 대하여 강력한 조절 영향을 갖는다는 개념을 지지해준다. Interestingly, we found that various cell cultures of fibroblasts (periodontal ligaments, fish fins or embryos derived from the skin of birds, skin) were stimulated with EMDOGAIN® (manufactured by BIORA AB, Sweden) and with unstimulated cultures. In comparison, it was found to produce about two times the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β1). This finding supports the notion that active enamel material has a potent regulatory effect on immune response imbalance.
에나멜 기질는 에나멜의 전구체이며 관련된 천연 공급원, 즉 치아가 발육중 인 포유동물로 부터 얻을 수 있다. 적합한 공급원은 도살된 동물, 예컨대 송아지, 돼지 또는 양으로 부터 얻은 발육중인 치아이다. 다른 공급원은 예컨대 물고기 지느러미이다. Enamel substrates are precursors of enamel and can be obtained from related natural sources, ie mammals in which teeth are developing. Suitable sources are developing teeth obtained from slaughtered animals such as calves, pigs or sheep. Another source is, for example, fish fins.
에나멜 기질는 종래기술에 기재된 바와 같이(EP-B-0 337 967호 및 EP-B-0 263 086호) 발육중인 치아로 부터 제조할 수 있다. 에나멜 기질는 긁어낼 수 있고 또 에나멜 기질 유도체(EMD)는 예컨대 완충액, 희석 산 또는 염기 또는 물/용매 혼합물과 같은 수용액을 사용하여 추출한 다음, 크기배제 추출하고, 탈염 또는 기타 정제 단계를 거치거나, 다르게는 동결건조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한다. 효소는 열처리 또는 용매처리에 의해 탈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유도체는 동결건조없이 액체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Enamel substrates can be prepared from developing teeth as described in the prior art (EP-B-0 337 967 and EP-B-0 263 086). The enamel substrate can be scraped and the enamel substrate derivative (EMD) can be extracted using an aqueous solution such as a buffer, dilute acid or base or water / solvent mixture, followed by size exclusion extraction, desalting or other purification steps, or otherwise Is prepared by lyophilization. The enzyme may be deactivated by heat treatment or solvent treatment, in which case the derivative may be stored in liquid form without lyophilization.
에나멜 기질 유도체 또는 단백질의 다른 공급원으로서,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일반적으로 이용가능한 합성 경로를 이용하거나, 또는 DNA-수법에 의해 경우에 따라 변형될 수 있는 배양된 진핵생물 세포 및/또는 원핵생물 세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나멜 기질 단백질은 재조합 기원일 수 있고 또 다르게는 유전적으로 변형된 것일 수 있다(예컨대 Sambrook, J. 등: Molecular Cloning,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1989 참조). As other sources of enamel matrix derivatives or proteins, cultured eukaryotic cells and / or prokaryotic cells that can be modified by use of generally available synthetic route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r optionally by DNA techniques Can be used. The enamel matrix protein may be of recombinant origin and may be otherwise genetically modified (see, eg, Sambrook, J. et al., Molecular Cloning,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1989).
본 발명과 관련하여, 에나멜 기질 유도체, 또는 에나멜 기질 단백질 유도체(EMD)는 접합(스플라이싱) 또는 가공에 의해 천연적으로 또는 천연 길이의 단백질을 효소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분해시키는 것에 의해, 또는 시험관내 또는 생체내에서 폴리펩티드를 합성하는 것에 의해 (재조합 DNA법 또는 식물 또는 동물 세포인 2배체 세포의 배양) 1개 또는 몇개의 에나멜 기질 단백질 또는 그러한 단백질의 일부를 포함하는 에나멜 기질의 유도체이다. 에나멜 기질 단백질 유도체는 또한 에나멜 기질 관련된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을 포함한다. 이들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은 폴리아민 산 또는 다당류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적합한 생분해성 담체 분자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어 에나멜 기질 유도체는 또한 합성 유사체 물질도 포함한다.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mel matrix derivatives, or enamel matrix protein derivatives (EMDs) may be prepared by enzymatic or chemical degradation of naturally or naturally-length proteins by conjugation (splicing) or processing, or By synthesis of a polypeptide in vitro or in vivo (recombinant DNA method or culture of diploid cells, which are plant or animal cells), one or several enamel substrate proteins or derivatives of an enamel substrate comprising part of such proteins. Enamel substrate protein derivatives also include enamel substrate related polypeptides or proteins. These polypeptides or proteins can be linked to suitable biodegradable carrier molecules such as polyamine acids or polysaccharides or combinations thereof. The term enamel matrix derivatives also includes synthetic analogue materials.
단백질은 펩티드 결합에 의해 함께 결합된 아미노산 잔기에 의해 구성된 생물학적 고분자이다. 아미노산의 선형 중합체인 단백질은 또한 폴리펩티드로 불린다. 전형적으로, 단백질은 50-800개 아미노산 잔기를 가지므로 약 6,000 내지 약 수십만 달톤 이상의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다. 작은 단백질은 펩티드 또는 올리고펩티드라 칭한다. Proteins are biological polymers composed of amino acid residues joined together by peptide bonds. Proteins that are linear polymers of amino acids are also called polypeptides. Typically, a protein has 50-800 amino acid residues and thus has a molecular weight in the range of about 6,000 to about several hundred thousand daltons or more. Small proteins are called peptides or oligopeptides.
에나멜 기질 단백질은 에나멜 기질, 즉 에나멜의 전구체에 보통 존재하는 단백질(Ten Cate: Oral Histology, 1994; Robinson: Eur. J. Oral Science, Jan. 1998, 106 Suppl. 1: 282-91), 또는 그러한 단백질의 분해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단백질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단백질은 120,000 달톤 이하의 분자량을 갖고 또 아멜로게닌, 비-아멜로게닌, 프롤린-풍부한 비-아멜로게닌 및 투프트엘린(tuftelin)을 포함한다. Enamel substrate proteins are proteins that are normally present in enamel substrates, ie precursors of enamel (Ten Cate: Oral Histology, 1994; Robinson: Eur. J. Oral Science, Jan. 1998, 106 Suppl. 1: 282-91), or such It is a protein that can be obtained by breaking down proteins. In general, such proteins have a molecular weight of 120,000 Daltons or less and include amelogenin, non-amelogenin, proline-rich non-amelogenin and tuftelin.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단백질의 예는 아멜로게닌, 프롤린-풍부 비-아멜로게닌, 투프트엘린, 투프트 단백질, 혈청 단백질, 타액 단백질, 아멜로블라스틴, 에나멜 초 단백질(sheathlin) 및 그의 유도체, 및 그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 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활성 에나멜 물질을 함유하는 제제는 2개 이상의 상술한 단백질성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다른 단백질은 시판되는 제품 EMDOGAIN® (BIORA AB 제조, 스웨덴)에서 찾아 볼 수 있다. Examples of proteins that can b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mellogenin, proline-rich non-amelogenin, tuftelin, tuft protein, serum protein, saliva protein, ameloblastine, enamel second protein (sheathlin) and Derivatives thereof, and mixtures thereof. Formulations containing active enamel materials for us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two or more of the aforementioned proteinaceous materials. In addition, other proteins for us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found in th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EMDOGAIN® (manufactured by BIORA AB, Sweden).
EMDOGAIN® (BIORA AB 제조, S-205 12 말뫼, 스웨덴)은 잔류하는 프로테아제를 불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약 80℃에서 3시간 동안 가열된 30 mg의 에나멜 기질 단백질 및 1 ml 운반체 용액(프로필렌 글리콜 알기네이트)를 함유하며, 이들은 상기 단백질과 운반체가 별도로 시험되지 않는 한 적용하기 전에 혼합된다. 중량비는 20, 14 및 5 kDa에서 각기 주요 단백질 피이크 사이의 80/8/12 이다. EMDOGAIN® (manufactured by BIORA AB, S-205 12 Malmo, Sweden) is a 30 mg enamel matrix protein and 1 ml carrier solution (propylene glycol alginate) heated at about 80 ° C. for 3 hours to inactivate the remaining protease. Which are mixed before application unless the protein and carrier are tested separately. The weight ratio is 80/8/12 between the major protein peaks at 20, 14 and 5 kDa, respectively.
일반적으로, 에나멜 기질의 주요 단백질은 아멜로게닌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기질 단백질의 약 90% w/w를 구성한다. 나머지 10% w/w는 프롤린-풍부 비-아멜로게닌, 투프트엘린, 투프트 단백질, 혈청 단백질 및 하나 이상의 타액 단백질을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단백질은 예컨대 에나멜 기질과 관련된 것으로 확인된 아멜린(아멜로블라스틴, 에나멜 초 단백질)과 같은 것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단백질은 몇개의 상이한 크기(즉, 상이한 분자량)로 합성되거나 및/또는 가공될 수 있다. 따라서, 에나멜 기질에서 주요 단백질, 아멜로게닌은 초분자량 응집물을 함께 형성하는 몇개의 상이한 크기로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은 생리학적 조건하에서 응집물을 형성하는 현저한 소수성 물질이다. 이들은 다른 단백질 또는 펩티드를 전달하거나 그에 대한 담체일 수 있다. In general, the main protein of the enamel substrate is known as amelogenin. These constitute about 90% w / w of matrix proteins. The remaining 10% w / w comprises proline-rich non-amelogenin, tuftelin, tuft protein, serum protein and one or more saliva proteins; However, other proteins can be, for example, amelin (ameloblastine, enamel super protein) found to be associated with enamel substrates. In addition, various proteins can be synthesized and / or processed in several different sizes (ie, different molecular weights). Thus, the major protein in the enamel substrate, amellogenin, was found to exist in several different sizes that together form the supermolecular weight aggregates. These are prominent hydrophobic substances that form aggregates under physiological conditions. These may be carriers for or to deliver other proteins or peptides.
형성되는 치아 에나멜의 아멜로게닌은 조직 특이적 단백질이며, 프롤린, 로이신, 히스티딘 및 글루타밀 잔기가 풍부하며 또 내부 에나멜 상피의 에나멜아세포(아멜로블라스트) 세포에 의해 합성된다. 이들 단백질은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상에 의해 무기화되는 세포외 기질의 괴상을 포함하여 성숙 에나멜로 된다. 다수의 포유동물로 부터 얻은 아멜로게닌의 아미노산 서열을 조사하면 고도의 진화성 서열 보존을 나타내는데, 이는 특정 기능을 제시한다. 최근 기질에서 발견된 복수의 아멜로게닌 성분은 분비후 일련의 단백질 분해 처리에 의해 및 다르게는 성 염색체상에 취이하는 아멜로게닌 유전자로 부터 생성된 접합된 mRNA의 발현에 의해 생성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재조합 아멜로게닌의 물리화학적 연구는 이들이 시험관내에서 자가-조립을 거쳐 초-분자량 '나노구' 구조를 생성함을 나타내었고 또 생체내에서 최근의 발견은 최초의 무기 결정체(crystallite)의 조직화된 형성에 공헌하는 무기 결정분비성 에나멜 기질의 울트라구조의 조직의 나노구에 대한 기능적 역할을 제시한다. The amelogenin of the tooth enamel formed is a tissue specific protein, rich in proline, leucine, histidine and glutamyl residues and synthesized by enamel blast cells (ameloblast) cells of the inner enamel epithelium. These proteins become mature enamels including masses of extracellular matrix that are mineralized by the hydroxyapatite phase. Examination of the amino acid sequence of amelogenin from a number of mammals indicates a high degree of evolutionary sequence conservation, suggesting specific functions. It has now been found that a plurality of amelogenin components found in substrates are produced by a series of proteolytic treatments after secretion and alternatively by the expression of conjugated mRNA produced from the amellogenin genes that take up on the sex chromosome. lost. Physicochemical studies of recombinant amelogenin have shown that they undergo self-assembly in vitro to produce ultra-molecular weight 'nanosphere' structures, and recent discoveries in vivo have revealed the organization of the first inorganic crystallites. It presents a functional role for nanospheres of ultrastructured tissues of inorganic crystalline secretory enamel substrates that contribute to formation.
아멜로게닌 발현에 대한 최근의 연구는 마우스 아멜로게닌 RNA를 교대로 접합하면 7개의 뚜렷한 mRNA를 생성하며, 이것은 194 내지 44 아미노산 잔기 길이의 아멜로게닌 단백질을 코딩한다. Recent studies on the expression of amelogenin alternatingly conjugate mouse amellogenin RNA to produce seven distinct mRNAs, which encode an amegenin protein of 194 to 44 amino acid residues in length.
다른 단백질 물질도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 예는 프롤린-풍부 단백질 및 폴리프롤린과 같은 단백질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는 물질의 다른 예는 단백질의 응집물, 에나멜 기질 유도체 및/또는 에나멜 기질 단백질 뿐만 아니라 에나멜 기질, 에나멜 기질 유도체 및 에나멜 기질 단백질의 대사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대사물질은 단백질의 크기에서 부터 짧은 펩티드의 크기에 이르는 크기일 수 있다. Other protein materials may also be suitably u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are proteins such as proline-rich proteins and polyproline. Other examples of materials that can be considered suitable for us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ggregates, enamel substrate derivatives and / or enamel substrate proteins as well as metabolites of enamel substrates, enamel substrate derivatives and enamel substrate proteins. The metabolite may range in size from the size of the protein to the size of the short peptid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단백질, 폴리펩티드 또는 펩티드는 전형적으로 SDS PAGE 전기영동법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은 많아야 100 kDa, 90 kDa, 80 kDa, 70 kDa 또는 60 kDa와 같은 많아야 120 kDa의 분자량을 갖는다. As noted above, proteins, polypeptides or peptides that may b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ypically have a maximum of 120 kDa, such as at most 100 kDa, 90 kDa, 80 kDa, 70 kDa or 60 kDa, as determined by SDS PAGE electrophoresis. Has a molecular weight.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단백질은 보통 제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때 제제중의 활성 에나멜 물질의 단백질 함량은 약 0.005% w/w 내지 100%w/w, 예컨대 약 0.5-99% w/w, 약 1-95% w/w, 약 10-95% w/w, 약 10-90% w/w, 약 15-90% w/w, 약 20-90% w/w, 약 30-90% w/w, 약 40-85% w/w, 약 50-80% w/w, 약 60-70% w/w, 약 70-90% w/w, 또는 약 80-90% w/w 범위이다. Proteins that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usually be in the form of a preparation, wherein the protein content of the active enamel material in the preparation is from about 0.005% w / w to 100% w / w, such as about 0.5-99% w / w. , About 1-95% w / w, about 10-95% w / w, about 10-90% w / w, about 15-90% w / w, about 20-90% w / w, about 30-90 % w / w, about 40-85% w / w, about 50-80% w / w, about 60-70% w / w, about 70-90% w / w, or about 80-90% w / w Range.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활성 에나멜 물질의 제제는 상이한 분자량을 갖는 활성 에나멜 물질의 혼합물을 또한 함유할 수 있다. Preparations of active enamel materials for use according to the invention may also contain mixtures of active enamel materials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s.
에나멜 기질의 단백질은 고분자량 부분과 저분자량 부분으로 대별될 수 있으며, 또 에나멜 기질 단백질의 잘 정의된 분획은 치주 결함(즉, 치주 상처) 치료와 관련한 중요한 특성을 보유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 분획은 일반적으로 아멜로게닌으로 불리는 아세트산 추출가능한 단백질을 함유하며 또 에나멜 기질의 저분자량 부분을 구성한다(EP-B-0 337 967호 및 EP-B-0 263 086호 참조). Enamel matrix proteins can be roughly divided into high and low molecular weight portions, and well-defined fractions of enamel matrix proteins have been found to possess important properties related to the treatment of periodontal defects (ie, periodontal wounds). This fraction contains an acetic acid extractable protein, commonly referred to as amelogenin, and also constitutes the low molecular weight portion of the enamel substrate (see EP-B-0 337 967 and EP-B-0 263 086).
본 발명과 관련하여, 활성 단백질은 에나멜 기질의 저분자량 부분에 한정되지 않는다. 현재로서, 바람직한 단백질은 약 60,000 달톤 이하의 분자량(SDS-PAGE를 이용하여 시험관내에서 측정)을 갖는 아멜로게닌, 투프트엘린 등과 같은 에나멜 기질 단백질을 포함하지만, 60,000 달톤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단백질은 연결조직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물질로서 유망한 특성을 갖는다.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ive protein is not limited to the low molecular weight portion of the enamel substrate. At present, preferred proteins include enamel matrix proteins such as amelogenin, tuftelin, etc.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about 60,000 Daltons or less (measured in vitro using SDS-PAGE), while proteins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60,000 Daltons or more It has promising properties as a substance for promoting connective tissue growth.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활성 에나멜 물질은 약 5,000 Da 및 약 25,000 Da의 분자량과 같은 약 40,000 Da 이하의 분자량을 갖는다. Thus, the active enamel material for us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olecular weight of about 40,000 Da or less, such as about 5,000 Da and about 25,000 Da.
석출,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보존적 전기영동법,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단백질을 분해함으로써, 상이한 분자량을 갖는 아멜로게닌을 정제할 수 있다. By separating the protein by precipitation, ion exchange chromatography, conservative electrophoresis,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reverse phase chromatography or affinity chromatography, amelogenin having a different molecular weight can be purified.
조합된 분자량의 아멜로게닌은 주된 20 kDa 화합물에서부터 40 내지 5 kDa 범위의 상이한 분자량을 갖는 아멜로게닌의 응집물 및 주된 5 kDa 화합물에 이르기 까지 다양할 수 있다. 에나멜 기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투프트엘린 또는 단백질 분해 효소와 같은 다른 에나멜 기질 단백질은 부가되어 아멜로게닌 응집물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The combined molecular weight of amelogenin can vary from predominant 20 kDa compounds to aggregates of amelagenin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s ranging from 40 to 5 kDa and to predominant 5 kDa compounds. Other enamel matrix proteins, such as tuftelin or proteolytic enzymes commonly found in enamel substrates, can be added and delivered by amellogenin aggregates.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면역원에 대한 포유동물의 면역반응의 불균형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동물의 상태를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활성 에나멜 물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공된 아멜로게닌의 HPLC 분석의 제3 및/또는 제4 피이크로 표시되는 용출물에 포함되는, 예컨대 2-4.5 kDa, 3-5.5 kDa, 4-6.5 kDa, 5-7.5 kDa 또는 5-13 kDa 아미노산 길이를 갖는 펩티드를 기본으로 하는 용해성 아멜로게닌을 비롯한 약 2-13 kDa의 아미노산 길이를 갖는 펩티드를 기본으로 하는 용해성 아멜로게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In a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ctive enamel material used to prepar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ophylaxis and / or treatment of a mammal's condition characterized by an imbalance of the mammalian immune response to an immunogen is shown in FIG. Included in the eluate represented by the third and / or fourth peaks of the HPLC analysis of the processed amelogenin as shown in 2, such as 2-4.5 kDa, 3-5.5 kDa, 4-6.5 kDa, 5- And soluble amelogenin based on peptides having an amino acid length of about 2-13 kDa, including soluble amelogenin based on peptides having a 7.5 kDa or 5-13 kDa amino acid length.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가공된 아멜로게닌 산물은 5 kDa 폴리 펩티드이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processed amellogenin product is a 5 kDa polypeptide.
본 발명에 따르면, 활성 에나멜 물질은 항균, 항염증, 항바이러스, 항진균 물질과 같은 다른 활성 약물 물질과 함께 또는 국소적 화학요법, 세포자살의 유도물질, 성장인자, 예컨대 TGFβ, PDGF, IGF, FGF, EGF, 케라티노사이트 성장인자 또는 그의 펩티드 유사체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에나멜 기질 또는 그의 제제에 고유하게 존재하거나 또는 부가된 효소는 에나멜 기질, 에나멜 기질 유도체 및/또는 에나멜 기질 단백질, 특히 프로테아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active enamel material is combined with other active drug substances such as antimicrobial, anti-inflammatory, antiviral, antifungal substances or with local chemotherapy, inducers of apoptosis, growth factors such as TGFβ, PDGF, IGF, FGF , EGF, keratinocyte growth factor or peptide analogs thereof. Enzymes inherent or added to an enamel substrate or formulation thereof can be used with enamel substrates, enamel substrate derivatives and / or enamel substrate proteins, in particular proteases.
개체(동물 또는 인간)에 투여되면, 활성 에나멜 물질 및/또는 그의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활성 에나멜 물질 및 경우에 따라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형화된다. When administered to an individual (animal or human), the active enamel material and / or formulation thereof is preferably formulated in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active enamel material and optionally one or mor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excipients.
투여할 활성 에나멜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적합한 경로에 의해, 예컨대 호스, 주사기, 분무 또는 드레인 기구를 통하여 환자에 전신투여하는 것에 의해 투여에 맞게 개질될 수 있다. 또한, 조성물은 혈액, 림프, 복수 또는 척수액으로 주입하는 것에 의해 또는 흡입에 의해 전신 투여하는 등의 수술과 관련하여 투여하도록 개질될 수 있다. Compositions comprising the active enamel material to be administered may be modified for administration by any suitable route, such as by systemic administration to a patient via a hose, syringe, spray or drain device. In addition, the compositions may be modified for administration in connection with surgery, such as systemic administration by infusion into blood, lymph, ascites or spinal fluid, or by inhalation.
이하에서는, 활성 에나멜 물질을 함유하는 적합한 조성물의 예를 설명한다. In the following, examples of suitable compositions containing active enamel materials are described.
개체(동물 또는 인간)에게 투여하기 위해, 상기 물질은 상기 물질 및 경우에 따라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형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administration to an individual (animal or human), the substance is preferably formulated in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ubstance and optionally one or mor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excipients.
상기 조성물은 액체, 반고체 또는 고체 조성물 형태일 수 있지만, 멸균 염 수, 링거액, 글루코오스 용액, 인산염 완충액 염수, 혈액, 혈장 또는 물, 분말, 미세캡슐, 미세구, 나노입자, 스프레이, 에어로졸, 흡입기구, 용액, 분산제, 현탁제, 유제, 혼합물과 같은 용해된 주입 액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mposition may be in the form of a liquid, semisolid or solid composition, but sterile saline, Ringer's solution, glucose solution, phosphate buffered saline, blood, plasma or water, powder, microcapsules, microspheres, nanoparticles, sprays, aerosols, inhalation devices It is not limited to dissolved infusion liquids such as solutions, dispersants, suspensions, emulsions, mixtures.
상기 조성물은 통상의 약제학적 실시방법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예컨대 "Remington: The scei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0th ed. Mack Publishing, Easton PA, 2000 ISBN 0-912734-04-3 및 "Encyclopaedia of Pharmaceutical Technology", edited by Swarbrick, J. & J. C. Boylan, Marcel Dekker, Inc., New York, 1988 ISBN 0-8247-2800-9 참조. The composition can be formulated according to conventional pharmaceutical practice. See, eg, "Remington: The scei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0 th ed. Mack Publishing, Easton PA, 2000 ISBN 0-912734-04-3 and "Encyclopaedia of Pharmaceutical Technology", edited by Swarbrick, J. & JC Boylan, Marcel Dekker, Inc., New York, 1988 ISBN 0-8247-2800- See 9.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물 전달 계로 작용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용어 "약물 전달 계"는 투여되면 활성물질을 인체 또는 동물 체내로 제공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약제학적 제형 또는 투여형태)을 의미한다. 따라서 용어 "약물 전달 계"는 액체, 분말 및 스프레이와 같은 보통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the active substance act as a drug delivery system.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drug delivery system" mean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pharmaceutical formulation or dosage form) which, when administered, provides the active substance in the human or animal body. The term "drug delivery system" thus includes commo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such as liquids, powders and sprays.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및 그의 최적 농도의 선택은 일반적으로 예상할 수 없고 그의 실험 측정을 기초로 하여 결정되어야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가 약제학적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지 여부는 일반적으로 어떤 종류의 투여형태를 선택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약제학적 조성물 분야의 당업자들은 "Remington: The scei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0th ed. Mack Publishing, Easton PA, 2000 ISBN 0-912734- 04-3"에서 모범을 찾을 수 있다. The choice of pharmaceutically acceptable excipients and their optimal concentrations in the compositions for us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generally unpredictable and should be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ir experimental measurements. Whethe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excipient is suitable for use i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generally depends on the type of dosage form selected.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re entitled to "Remington: The scei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0 th ed. Mack Publishing, Easton PA, 2000 ISBN 0-912734- 04-3 ".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는 조성물이 투여될 개체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무해한 물질이다. 이러한 부형제는 일반적으로 천연 약제에 의한 요건을 충족한다. 영국 약전, 미국 약전 및 유럽 약전과 같은 공식적인 약전은 주지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고 있다. Pharmaceutically acceptable excipients are substances that are substantially harmless to the individual to which the composition is to be administered. Such excipients generally meet the requirements by natural medicines. Formal pharmacopoeia, such as the British Pharmacopoeia, the US Pharmacopoeia, and the European Pharmacopoeia, set the criteria for well-known pharmaceutically acceptable excipient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관련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한 개요를 나타낸다. 이 개요는 특정 투여 경로를 기초로 하고 있다. 그러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가 상이한 투여 형태로 이용될 수 있는 경우에 있어서, 특정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의 적용은 특정 투여형태 또는 특정 부형제 작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following outlines the relevant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us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is overview is based on specific routes of administration. However, wher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excipients may be used in different dosage forms, the application of certain pharmaceutically acceptable excipients is not limited to particular dosage forms or specific excipient actions.
비경구적 조성물: Parenteral Composition:
전신 적용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미세구 및 리포좀을 비롯한 본 발명에 따른 통상적인 비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For systemic application, the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may contain conventional non-toxic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and excipients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cluding microspheres and liposomes.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은 모든 종류의 고체, 반고체 및 액체 조성물을 포함한다. 특정 관련의 조성물은 예컨대 용액, 현탁액, 유제이다. Compositions for us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clude all kinds of solid, semisolid and liquid compositions. Particularly relevant compositions are, for example,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는 용매, 완충제, 보존제, 킬레이트제, 산화방지제, 안정화제, 유화제, 현탁제,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물질의 예는 이하에 나타낸다. Pharmaceutically acceptable excipients may include solvents, buffers, preservatives, chelating agents, antioxidants, stabilizers, emulsifiers, suspending agents, diluents. Examples of different materials are shown below.
가장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Emdogain® (BIORA AB 제조, 스웨덴 말뫼 소재) 의 동결건조된 분말을 인산염 완충된 염수(PBS)에 최종 농도 30 mg/ml로 용해시킨다. In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the lyophilized powder of Emdogain® (Bilmo, Biomo AB, Malmo, Sweden) is dissolved in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at a final concentration of 30 mg / ml.
다른, 동일하게 바람직한 구체예는 0.01-50 mg/ml의 최종 농도, 예컨대 0.01-10 mg/ml, 0.1-10 mg/ml, 0.01 - 5 mg/ml, 0.1-5 mg/ml, 0.01-1 mg/ml, 0.1-1 mg/ml 또는 0.01-0.05 mg/ml로 인산염 완충된 염수(PBs)에 용해되며, 약 0.01 mg/ml, 0.02 mg/ml, 0.03 mg/ml, 0.04 mg/ml, 0.05 mg/ml, 0.06 mg/ml, 0.07 mg/ml, 0.08 mg/ml, 0.09 mg/ml, 0.1 mg/ml, 0.2 mg/ml, 0.3 mg/ml, 0.4 mg/ml, 0.5 mg/ml, 1 mg/ml, 10 mg/ml, 20 mg/ml, 30 mg/ml, 35 mg/ml, 40 mg/ml, 45 mg/ml 또는 50 mg/ml의 농도를 포함하는 Emdogain® (BIORA AB 제조, 스웨덴 말뫼 소재)의 동결건조된 분말이다. Other, equally preferred embodiments have a final concentration of 0.01-50 mg / ml, such as 0.01-10 mg / ml, 0.1-10 mg / ml, 0.01-5 mg / ml, 0.1-5 mg / ml, 0.01-1 dissolved in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at mg / ml, 0.1-1 mg / ml or 0.01-0.05 mg / ml, about 0.01 mg / ml, 0.02 mg / ml, 0.03 mg / ml, 0.04 mg / ml, 0.05 mg / ml, 0.06 mg / ml, 0.07 mg / ml, 0.08 mg / ml, 0.09 mg / ml, 0.1 mg / ml, 0.2 mg / ml, 0.3 mg / ml, 0.4 mg / ml, 0.5 mg / ml, Emdogain® (manufactured by BIORA AB, containing concentrations of 1 mg / ml, 10 mg / ml, 20 mg / ml, 30 mg / ml, 35 mg / ml, 40 mg / ml, 45 mg / ml or 50 mg / ml Lyophilized powder, Malmö, Sweden.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투여를 필요로하는 포유동물에 투여된 에나멜 기질 유도체의 투여중량은 치료될 포유동물의 개별 체중 및 EMD의 소망하는 효과에 따라 물론 조정되며, 또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나멜 기질 유도체가 고투여량 또는 저투여량으로 투여되는지 여부에 따라 약 0.01-100 mgEMD/kg 체중 범위, 예컨대 약 0.01-50 mg EMD/kg, 0.05-10 mgEMD/kg, 0.01-1 mg EMD/kg, 0.1-50 mg EMD/kg, 0.1-25 mg EMD/kg, 0.1-15 mg EMD/kg 또는 0.1-10 mg EMD/kg 또는 0.1-1 mg EMD/kg 체중이다. As described in Example 2, the dosage weight of the enamel matrix derivative administered to a mammal in need of administration is of course adjust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 weight of the mammal to be treated and the desired effect of the EMD, and most preferably enamel Depending on whether the substrate derivative is administered at a high or low dose, about 0.01-100 mgEMD / kg body weight range, such as about 0.01-50 mg EMD / kg, 0.05-10 mgEMD / kg, 0.01-1 mg EMD / kg, 0.1-50 mg EMD / kg, 0.1-25 mg EMD / kg, 0.1-15 mg EMD / kg or 0.1-10 mg EMD / kg or 0.1-1 mg EMD / kg body weight.
전형적인 저 투여량은 많아야 0.01, 0.02, 0.03, 0.04, 0.05, 0.06, 0.07, 0.08, 0.09, 0.1, 0.12, 0.15, 0.17, 0.2, 0.5, 1, 1.2, 1.5, 1.6, 1.8, 2, 2.5, 5, 6, 7, 8, 9 또는 9.9 mg EMD/kg 체중을 포함하는 반면에, 전형적인 고투여량은 많아야 10, 15, 18, 20, 25, 50, 75 또는 50 mg EMD/kg 체중을 포함한다. Typical low doses are at most 0.01, 0.02, 0.03, 0.04, 0.05, 0.06, 0.07, 0.08, 0.09, 0.1, 0.12, 0.15, 0.17, 0.2, 0.5, 1, 1.2, 1.5, 1.6, 1.8, 2, 2.5, Typical high doses include at most 10, 15, 18, 20, 25, 50, 75 or 50 mg EMD / kg body weight, whereas 5, 6, 7, 8, 9 or 9.9 mg EMD / kg body weight. .
상기 기재된 투여량은 적어도 1 내지 30일 동안, 또는 다르게는 적어도 10-90일 동안 또는 그 보다 오래 1주당 1, 2, 3, 4, 5, 6, 7회 또는 그 이상과 같이 적어도 1회/1주로 투여된다. The dosage described above may be at least once per week, such as 1, 2, 3, 4, 5, 6, 7 or more per week for at least 1 to 30 days, or alternatively for at least 10 to 90 days or longer. It is administered 1 week.
다양한 물질의 예는 다음과 같다: Examples of various materials are as follows:
용매의 예는 물, 알코올, 혈액, 혈장, 척수액, 복수액 및 림프액이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Examples of the solvent are water, alcohol, blood, plasma, spinal fluid, ascites fluid and lymph fluid.
완충제의 예는 시트르산, 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젖산, 수소인산, 중탄산염, 인산염, 디에틸아민 등이며,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Examples of buffers include citric acid, acetic acid, tartaric acid, lactic acid, hydrogen phosphate, bicarbonate, phosphate, diethylamine,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o these.
킬레이트화제의 예는 나트륨 EDTA 및 시트르산이며,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Examples of chelating agents are, but are not limited to, sodium EDTA and citric acid.
산화방지제의 예는 부틸화된 히드록시 아니솔(BHA), 아스코르브산 및 그의 유도체, 토코페롤 및 그의 유도체, 시스테인, 및 이들의 혼합물이며,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Examples of antioxidant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butylated hydroxy anisole (BHA), ascorb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tocopherol and derivatives thereof, cysteine, and mixtures thereof.
분말 성분의 예는 알기네이트, 콜라겐, 락토오스, 상처에 투여되면 겔을 형성할 수 있는 분말(액체/상처 삼출물을 흡수)이며,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Examples of powder components are alginate, collagen, lactose, powders that can form gels (absorb liquid / wound exudates) when administered to wounds, but are not limited to these.
희석제 및 붕해제의 예는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엠덱스, 인산칼슘, 탄산칼슘, 황산칼슘, 만니톨, 녹말 및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이며,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Examples of diluents and disintegrants are, but are not limited to, lactose, saccharose, mdex, calcium phosphate, calcium carbonate, calcium sulfate, mannitol, starch and microcrystalline cellulose.
결합제의 예는 사카로오스, 소르비톨, 검 아카시아, 나트륨 알기네이트, 젤 라틴, 녹말, 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이며,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Examples of binde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saccharose, sorbitol, gum acacia, sodium alginate, gel latin, starch, cellulose,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methylcellulose, hydroxypropyl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and polyethylene glycol. .
참고문헌 목록: List of references:
도 1: Figure 1:
LPS, PepG 및 기질 단백질 조성물로 처리된 전체 혈액 샘플을 10 ㎕ FITC 또는 PE 콘쥬게이트된 모노클로날 항체와 함께 배양하였다. 항원의 발현은 유세포 분석기(flow cytometry)에 의해 10 ㎕ 항-CD14, 항-CD44, 항-ICAM-1 뿐만 아니라 동위원소 음성 대조용 항-IgG1 및 항-IgG2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샘플은 CellQuest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FACScan상에서 분석하였다. Whole blood samples treated with LPS, PepG and matrix protein compositions were incubated with 10 μl FITC or PE conjugated monoclonal antibodies. Antigen expression was analyzed by flow cytometry using 10 μl anti-CD14, anti-CD44, anti-ICAM-1 as well as isotope negative controls anti-IgG 1 and anti-IgG 2 . All samples were analyzed on FACScan using CellQuest software.
도 2: Figure 2:
Gestrellius 등, 1997에 따라 미성숙 돼지의 에나멜로 부터 아멜로게닌을 추 출하였다. 30% 아세토니트릴중의 용액으로 만든 후, 샘플을 Jasco HPLC상에서 크기-배제 칼럼을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4개의 분명한 피이크는 복잡하고, 전체 길이의 단백질 및 용해성, 가공된 아멜로게닌 펩티드를 나타낸다. According to Gestrellius et al. 1997, amelogenin was extracted from the enamels of immature pigs. After making into a solution in 30% acetonitrile, the samples were separated using a size-exclusion column on Jasco HPLC. Four distinct peaks represent complex, full length protein and soluble, processed amelogenin peptides.
도 3: Figure 3:
에나멜 기질 유도체는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IL-10의 방출 증가에 의해 일치되는 프로-염증성 사이토카인 종양 괴저 인자 알파(TNF-α)의 생산 감소를 유발하였다. Enamel matrix derivatives resulted in decreased production of the matched pro-inflammatory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α) by increased release of anti-inflammatory cytokine IL-10.
실험부분 Experiment part
실시예 1Example 1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의 전체 혈액에서 천연의 면역 메카니즘에 대한 아멜로게닌의 강력한 조절 효과를 연구하기 위한 것이었다. 세균의 세포벽 산물에 대응한 염증성 표면 수용체의 사이토카인 방출 및 조절이 특히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potent regulatory effects of amelogenin on natural immune mechanisms in human whole blood. Of particular importance is the cytokine release and regulation of inflammatory surface receptors corresponding to bacterial cell wall products.
재료 및 시약.Materials and reagents.
건강한 직원으로부터 말초 정맥 혈액을 취하고 0.129 M CitNa를 함유하는 베큐테이너(Becton Dickinson Vacutainer Systems Eur, 프랑스 메일란 세덱스 소재)에 수집하였다. 동결건조된 Emdogain® (BIORA AB 제조, 스웨덴 말뫼 소재) 분말을인산염 완충된 염수(PBS)에 최종 농도 30 ㎍/ml로 용해시켰다. 대장균(Escherichia coli) O26: B6 지질다당류(LPS; Difco Laboratories 제조, 미국 미시간 디트로이트 소재)를 발열원이 없는 멸균 염수에 현탁시키고 10 ng/ml의 LPS를 미세원심분리관중의 혈액샘플에 직접적으로 부가하였다. LTA(Lipoteichoic cid)를 시그마 케미컬사(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소재)로부터 구입하였다. 펩티도글리칸(PepG)은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Foster, S.J. 1992 J Bacteriol. 174: 464-70)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으로부터 분리하였다. 영양 성장기 및 분화하는 동안 고초균(Bacillus subtilis) 168의 자가리신(autolysines)의 분석은 재생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을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상기 자가리신은 10 ㎍/ml의 농도로 혈액 샘플에 직접 부가되었다. Peripheral venous blood was taken from healthy staff and collected in Becutainer (Becton Dickinson Vacutainer Systems Eur, Medex, France), containing 0.129 M CitNa. Lyophilized Emdogain® (B Malmo, Sweden) powder was dissolved in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at a final concentration of 30 μg / ml. Escherichia coli O26: B6 lipopolysaccharide (LPS; manufactured by Difco Laboratories, Detroit, Mich.) Was suspended in pyrogen-free sterile saline and 10 ng / ml LPS was added directly to blood samples in microcentrifuge tubes. . Lipoteichoic cid (LTA) was purchased from Sigma Chemicals, St. Louis, Missouri. Peptidoglycan (PepG) was isolated from Staphylococcus aureus as described previously (Foster, SJ 1992 J Bacteriol. 174: 464-70). Analysis of autolysines of Bacillus subtilis 168 during trophic growth and differentiation was performed using regenerated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which was added directly to blood samples at a concentration of 10 μg / ml. It became.
전체 혈액 실험. Whole blood experiment.
건강한 직원으로부터 말초 정맥 혈액을 취하고 0.129 M CitNa를 함유하는 베큐테이너(Becton Dickinson Vacutainer Systems Eur, 프랑스 메일란 세덱스 소재)에 수집하였다. 전체 혈액 샘플은 등량으로 나눠 1.5 ml 미세원심분리관(소렌슨 바이오사이언스 인코포레이티드 제조, 미국 유타주 솔트 레이트시티 소재)에 넣었다. LPS, PepG 또는 LTA로 자극하기 전에, 혈액 샘플을 최종 농도 0, 45, 150, 300, 450, 600 또는 750 g/ml로 용해된 Emdogain®와 함께 37℃에서 2시간 동안 예비배양하였다. 혈액 샘플을 10 ng/ml의 LPS, 10 g/ml의 PepG 또는 100 g/ml의 LTA와 함께 4 또는 6시간 동안 자극시켰다. 상기 혈액을 얼음상에서 냉각시키고 원심분리(14,000 g에서 1분간)시켰다. 혈액을 이어 얼음상에서 냉각시키고 원심분리(14,000 g에서 1분)시킨 다음 사이토카인 단백질 검출을 위해 혈장을 피펫으로 제거하였다. 대조를 위하여, 동부피의 0.9% NaCl을 세균 생성물 대신 부가하였다. 혈액을 빼낸 직후의 기저 사이토카인 수준을 조사하였다. 예비 연구에 의 해 PepG 및 LTA는 LPS 자극에 의한 4시간과 대조적으로 자극후 TNF-a의 피크값 6시간을 나타냄이 밝혀졌다. 따라서, 4시간의 LPS 자극 및 6시간의 PepG 및 LTA 자극을 선택하였다. Peripheral venous blood was taken from healthy staff and collected in Becutainer (Becton Dickinson Vacutainer Systems Eur, Medex, France), containing 0.129 M CitNa. Whole blood samples were divided into equal portions and placed in 1.5 ml microcentrifuge tubes (Solenson Biosciences, Salt Late City, Utah). Prior to stimulation with LPS, PepG or LTA, blood samples were preincubated for 2 hours at 37 ° C. with Emdogain® dissolved at final concentrations of 0, 45, 150, 300, 450, 600 or 750 g / ml. Blood samples were stimulated for 4 or 6 hours with 10 ng / ml LPS, 10 g / ml PepG or 100 g / ml LTA. The blood was cooled on ice and centrifuged (1 minute at 14,000 g). Blood was then cooled on ice, centrifuged (1 min at 14,000 g) and then the plasma was pipetted for cytokine protein detection. For control, Eastern skin 0.9% NaCl was added instead of bacterial product. Basal cytokine levels were examined immediately after bleeding. Preliminary studies have revealed that PepG and LTA show a 6 hour peak value of TNF-a after stimulation as opposed to 4 hours by LPS stimulation. Therefore, 4 hours of LPS stimulation and 6 hours of PepG and LTA stimulation were selected.
ELISA 수법. ELISA technique.
TNF-α, IL-6 및 IL-10의 혈장 농도는 시판중인 고상 샌드위치 효소 결합된 면역흡착 에세이법(ELISA) 키트(펠리킨 컴팩트, CLB 랩스 제조, 네델란드 암스테르담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서 결정하였다. TNF-α, IL-6 및 IL-10의 검출 한도는 각각 3, 0.4 및 3 pg/ml 이었다. 플레이트는 ELISA 판독기(Thermo max microplate reader, 몰리큘라 디바이스 제조, 미국 캘리포니아 멘로 파크 소재)로 450 nm에서 판독하였다. Plasma concentrations of TNF-α, IL-6 and IL-10 were determined using manufacturer's instructions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solid sandwich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kit (Pelikin Compact, CLB Labs, Amsterdam, The Netherlands). Thus decided. Detection limits of TNF-α, IL-6 and IL-10 were 3, 0.4 and 3 pg / ml, respectively. Plates were read at 450 nm with an ELISA reader (Thermo max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Menlo Park, Calif.).
항체 표지 및 유세포측정법. Antibody Labeling and Flow Cytometry.
자극시킨 다음, 전체 혈액 샘플을 즉시 100 ㎕ 동량으로 나누어 팔콘 폴리스티렌관(Becton Dickinson 제조, 미국 뉴저지 링컨 파크 소재)에 넣고 10 ㎕ FITC 또는 PE 콘쥬게이트된 모노클로날 항체와 함께 실온의 암소에서 30분간 배양하였다. 세척 및 고정하기 전에, FACS 용균용액(Becton Dickinson 제조, 미국 캘리포니아 산호세 소재)을 이용하여 적혈구 세포를 용균시켰다. 포름알데히드 1% (CellFIX, 벡톤 디킨슨 제조, 벨기에 에렘보데겜 소재)를 사용하여 고정하기 전에 CellWash(벡톤 디킨슨 제조)를 사용하여 3회 샘플을 세척하였다. 항원의 발현은 10 ㎕ 항-CD14 (18D11, Diatec AS 제조, 노르웨이 오슬로 소재), 항-CD44 (Diatec AS 제조, 노르웨이 오슬로 소재), 항-ICAM-1 (Diactec AS 제조, 노르웨이 오슬로 소 재) 뿐만 아니라 동위원소 음성 대조용 항-IgG1 (1B9) 및 항-IgG2 (5A7)(양쪽 모두 Diatec AS 제조)를 사용하여 유세포측정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모든 샘플은 CellQuest software를 이용하여 FACScan (Becton Dickinson 제조)상에서 분석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After stimulation, whole blood samples were immediately divided into 100 μl equivalents and placed in Falcon polystyrene tubes (Becton Dickinson, Lincoln Park, NJ) with 10 μl FITC or PE conjugated monoclonal antibody for 30 minutes in the dark at room temperature. Incubated. Prior to washing and fixation, erythrocyte cells were lysed with FACS lysate (Becton Dickinson, San Jose, Calif.). Samples were washed three times using CellWash (Becton Dickinson, Inc.) prior to
각 실험에서, 단구 집단은 스캐터 다이아그램에서 특징적인 위치를 갖는 CD14 양성 세포로 확인되었다. 형광세기(FI)는 이들 특징에 따라 적합한 게이팅한 후 단구 집단에서 측정하였으며, 각 측정에 대해 평균 FI(기하학적 평균)를 기록하였다. In each experiment, monocyte populations were identified as CD14 positive cells with characteristic positions on the scatter diagram. Fluorescence intensity (FI) was measured in the monocyte population after appropriate gating according to these features, and the average FI (geometric mean) was recorded for each measurement.
정적 분석. Static analysis.
데이터는 평균의 평균±표준편차(SEM)로 나타내었다. 이들 데이터는 변동의 1-웨이 방식 분석(ANOVA)에 이어 터키 시험을 실시하였다. P<0.05는 중요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Data are express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n (SEM). These data were followed by a one-way analysis of variation (ANOVA) followed by a Turkish test. P <0.05 was considered significant.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나멜 기질 유도체는 염증전 사이토카인 종양 괴저 인자 알파(TNF-α)의 생산감소를 유발하였으며, 이것은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IL-10의 방출증가에 필적하였다. 이들 결과는 에나멜 기질 유도체가 강력한 면역조절 특성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것은 또한 에나멜 기질 유도체가 다발성 기관 손상과 관련된 패혈증에서 치료적 효능을 가질 수 있다는 것도 또한 제시한다. 또한, 에나멜 기질 유도체는 염증성 장 질병, 이식 기관 또는 정형외과 이식편의 거부, 류마티스성 관절염, 동맥경화증 및 몇개 질병과 같은 급성 또는 만성 염증과 관련된 기타 질병의 치료적 효능을 가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enamel matrix derivatives resulted in decreased production of pre-inflammatory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α), comparable to increased release of anti-inflammatory cytokine IL-10.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namel matrix derivatives have potent immunomodulatory properties. It also suggests that enamel matrix derivatives may have therapeutic efficacy in sepsis associated with multiple organ damage. In addition, enamel matrix derivatives may have therapeutic efficacy in other diseases associated with acute or chronic inflammation, such as inflammatory bowel disease, rejection of transplant organs or orthopedic grafts, rheumatoid arthritis, arteriosclerosis and some diseases.
실시예 2 Example 2
패혈증의 돼지 모델을 사용한 본 연구에서, 에나멜 기질 유도체의 치료적 효능을 생체내에서 조사하였다. 이 모델은 대장균 LPS의 연속적인 융합을 기초로 하며, 급성 염증 반응을 초래하였다. 잠시 후(전형적으로 LPS 주사한지 30분 내지 1시간 후), 상기 동물은 패혈증 쇼크에 들어가 몇몇 패혈증의 중요한 병리-생리학적 특징을 나타내었다. 이 모델은 시험관내의 발견들을 가능한 임상적 실험과 연결시키는 강력한 도구이다. In this study using a pig model of sepsis, the therapeutic efficacy of enamel matrix derivatives was investigated in vivo. This model is based on the continuous fusion of E. coli LPS, resulting in an acute inflammatory response. After a while (typically 30 minutes to 1 hour after LPS injection), the animal entered sepsis shock and showed significant path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me sepsis. This model is a powerful tool to link in vitro findings with possible clinical trials.
패혈증이 개시(= LPS의 주사, 1.7 ㎍/킬로 체중/시간)되기 30분 전에 돼지에게 에나멜 기질 유도체(최대 투여량 5 mg/kg 체중, 즉 약 100 mg/l의 계산된 혈청 농도)를 정맥 거환주사에 의해 투여하였다. 에나멜 기질 유도체의 혈액중에서 반감기는 240분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EMD의 치료적 혈청 수준을 유지하기 위하여, 시간당 100 ml 링거액(pH = 6)에서 50 mg의 에나멜 기질 유도체를 전달하기 위해 정맥 주입 장비를 이용하였다. 대조를 위하여, EMD를 투여하는 것 대신 혈청 알부민("위약")을 주사 주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3마리의 "샴" 돼지를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Thirty minutes before the onset of sepsis (= injection of LPS, 1.7 μg / kg body weight / hour), the pigs were given an enamel substrate derivative (maximum dose of 5 mg / kg body weight, ie a calculated serum concentration of about 100 mg / l) intravenously. Administration was by bolus injection.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half-life in the blood of enamel matrix derivatives is 240 minutes. Thus, intravenous infusion equipment was used to deliver 50 mg of enamel substrate derivative in 100 ml Ringer's solution (pH = 6) per hour to maintain therapeutic serum levels of EMD. For control, three "Sham" pigs were treated identically except for injection injection of serum albumin ("Placebo") instead of administration of EMD.
조혈역학적 변수를 연속적으로 등록하였으며, 세균 독소(LPS)를 주입한 후 5시간에서 실험의 끝까지 매시간 기록하였다. 혈액 샘플 및 임상적 변수의 기록은 실험을 개시하기 전(시간 0)에, 에나멜 기질 유도체 또는 위약 주사를 개시한 즉시(시간 0-a) 및 간장 및 문정맥, 복부 동맥, 및 폐 동맥으로 부터 패혈증이 개 시한 후 매 시간 측정하고 혈액 항상성 변수, 기관 작용 마커(혈청 아스퍼테이트 아미노트랜스퍼라제(ASAT), 혈청 알라민 아미노트랜스퍼라제(ALAT) 및 간 기능 마커인 혈청 알칼리성 포스파타제 활성 및 신장 기능에 대한 마커인 감마-글루타밀트랜스퍼라제(γ-GT) 및 크레아틴, 염증성 매개제(TNF-α, IL-1β 및 IL-6)에 대해 분석하였다. 기관 기능 마커는 소정의 시간 지점에서 실험하는 동안 매시간 돼지로부터 취한 혈액 샘플에서 분석하였다. 혈액 샘플은 Norwegian National Hospital의 조혈 실험실의 표준 병원 수순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염증 마커는 ELISA를 사용하고, 돼지 TNF-α/TNFSF2 Quantikine P ELISA 키트(#PTA00), 돼지 IL-6 Quantikine P 면역에세이 키트(#P6000) 및 돼지 IL-1β/IL-1F2 Quantikine P ELISA 키트(#PTA00)(이들 모두 R&D Systmes Inc. (미국 미네소타 미니아폴리스 소재)에 의해 제조)를 적용하여 동일 혈액 샘플에서 분석하였다. 제조자가 제시한 표준 수법을 빼먹거나 수정함없이 이용하였다. Hematopoietic parameters were continuously registered and recorded every hour from 5 hours after the injection of bacterial toxin (LPS) to the end of the experiment. Records of blood samples and clinical variables were associated with sepsis from the start of the experiment (time 0), immediately after initiation of the enamel matrix derivative or placebo injection (time 0-a) and from the hepatic and portal vein, the abdominal artery, and the pulmonary artery. Measured hourly after this initiation and measured for blood homeostasis parameters, organ action markers (serum asperate aminotransferase (ASAT), serum alumina aminotransferase (ALAT) and serum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nd kidney function markers) The markers gamma-glutamyltransferase (γ-GT) and creatine, inflammatory mediators (TNF-α, IL-1β and IL-6) were analyzed for organ function markers every hour during the experiment at predetermined time points. Analyzes were performed on blood samples taken from pigs Blood samples were analyzed using standard hospital procedures of hematopoietic laboratories at Norwegian National Hospital. TNF-α / TNFSF2 Quantikine P ELISA Kit (# PTA00), Porcine IL-6 Quantikine P Immunoassay Kit (# P6000) and Porcine IL-1β / IL-1F2 Quantikine P ELISA Kit (# PTA00) (both are R & D Systmes Inc. (manufactured by Minneapolis, Minn.) Was applied to analyze in the same blood sample, using the standard techniques suggested by the manufacturer without omission or modification.
실험을 완료한 후(동물의 치사후, 또는 에나멜 기질 유도체 또는 위약 및 LPS를 연속 주사한지 5시간 후), 동물을 안락사시키고 검시를 실시하였다. 내부 순환 기관은 육안으로 조사하였고 조직은 연구 계획에 따라 조직학적 평가를 위해 샘플링하였다. After completion of the experiment (after animals were killed or 5 hours after continuous injection of enamel matrix derivative or placebo and LPS), animals were euthanized and necropsied. Internal circulation was visually examined and tissue sampled for histological evaluation according to the study plan.
결과result
돼지 1
물리적 데이터: 자성; 23.5 kg 총 체중; 건강함Physical data: magnetic; 23.5 kg total body weight; Healthy
수술: 합병증 없음 Surgery: no complications
치료: 위약(50 ml PBS 거환 주사액중의 25 mg 혈청 알부민, 시간 주입당 100 ml 링거액중의 10 mg SA, 전체 SA 투여량 = 75 mg), LPS(4.5 ml PBS중 40 ㎍/시간, 5시간 동안 연속 주사; 전체 LPS 투여량 = 200 ㎍). Treatment: placebo (25 mg serum albumin in 50 ml PBS bolus injection, 10 mg SA in 100 ml Ringer's solution per hour infusion, total SA dose = 75 mg), LPS (40 μg / hour in 4.5 ml PBS, 5 h) Continuous injection; total LPS dose = 200 μg).
혈행동태적 관찰: 이 동물은 위약 주사에 대해 아무런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실험을 통하여 지속된 패혈증 쇼크 조건에 처리된 후 LPS 주사에 대해 강한 초기 반응이 나타났다. 쇼크의 개시는 LPS 주사를 개시한 지 1시간 전에 나타났다. Hemodynamic Observation: This animal did not respond to placebo injections. Experiments showed a strong initial response to LPS injection after being treated with sustained sepsis shock conditions. The onset of shock appeared one hour before the start of the LPS injection.
치사시의 순환성 기관의 해부 및 육안에 의한 외관: 모든 순환성 기관은 정상 구조를 나타내었다. 병리적 징후는 울혈 및 지혈의 징후를 나타낸 간에서 발견되었다. Anatomical and visual appearance of circulatory organs in lethality: All circulatory organs showed normal structure. Pathological signs were found in the liver showing signs of congestion and hemostasis.
혈액학: 상기 동물은 초기에는 정상적인 혈액학적 값을 나타내었다. 대부분의 값은 실험하는 동안 정상범위내에 존재하였다. 예외적인 것은 LPS 주사한지 4 및 5시간 후에 관찰되었으며, 이때 B-호중구의 증가 및 B 림프구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Hematology: The animals initially displayed normal hematological values. Most of the value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during the experiment. An exception was observed 4 and 5 hours after LPS injection, with an increase in B-neutrophils and a decrease in B lymphocytes.
생화학: 모든 효소 활성 및 크레아티닌은 실험동안 정상치내에 머물렀다. 크레아티닌의 느리지만 일정한 감소가 관찰되었지만, 그 값은 정상치 아래로는 절대로 감소되지 않았다. 돼지는 초기에는 ALP가 약간 증가하였지만, LPS를 투여하기 전에 정상화되었다. ASAT 값은 실험하는 동안 높은 측에 존재하였지만, LPS 주사로 부터 유의한 변화는 나타내지 않았다. Biochemistry: All enzymatic activity and creatinine remained within normal values during the experiment. A slow but constant decrease in creatinine was observed, but the value never decreased below normal. Pigs initially had a slight increase in ALP, but normalized before administration of LPS. ASAT values were on the high side during the experiment, but did not show a significant change from LPS injection.
사이토카인: 이 돼지는 LPS를 투여한 후 TNF 값의 급등을 나타내었다. 이 값은 LPS 주사를 개시한 지 1시간 전에 검출 한도(1500 ㎍/l) 이상으로 달하였고 실험하는 동안 이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IL-6 또한 LPS 주사 개시후 급등하였다. IL-6 수준은 이 실험하는 동안 줄곧 일정하게 증가하여 3500 ㎍/l 수준으로 이르렀다. IL-1β는 LPS 주사에 의해 유발된 느린 증가를 나타내며, 5시간 후 약 700 ㎍/l에 이르렀다. Cytokines: These pigs showed a spike in TNF values after LPS administration. This value reached above the detection limit (1500 μg / l) 1 hour before the start of LPS injection and remained at this level during the experiment. IL-6 also spiked after initiation of LPS injection. IL-6 levels increased consistently throughout this experiment, reaching 3500 μg / l. IL-1β shows a slow increase caused by LPS injection, reaching about 700 μg / l after 5 hours.
해설: 조혈역학적 변수는 실험의 마지막에 대하여 간장 및 폐 손상을 나타내었다. 낮은 이뇨 및 감소된 이뇨는 신장 무력을 나타내었다. 기관 무력의 첫 징후는 LPS 주사를 개시한 지 2시간 후에 관찰되었다. LPS를 투여한 지 30분 부터 경련이 관찰되었다. 혈액학 및 생화학값은 생명유지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함을 나타내었고 또 관찰된 효과는 독소 주사에 의해 유발되었고 수술에 의한 외상에 의한 것이 아니었다. 염증 상태는 돼지가 패혈증 쇼크에 걸려 있음을 나타내었다. 사이토카인 값에서는 회복의 기미가 보이지 않았다. 이 돼지는 이 실험동안 생존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 Explanation: Hematopoietic parameters indicated hepatic and lung damage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Low diuresis and reduced diuresis showed kidney disability. The first signs of organ disability were observed 2 hours after the start of the LPS injection. Convulsions were observed 3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LPS. Hematology and biochemical values indicated that the life support system was functioning normally, and the observed effects were caused by toxin injection and not by surgical trauma. Inflammatory conditions indicated that the pig had septic shock. Cytokine values showed no signs of recovery. The pig is very unlikely to survive during this experiment.
돼지 2 Pig 2
물리적 데이터: 자성; 21.5 kg 총 체중; 건강함Physical data: magnetic; 21.5 kg total body weight; Healthy
수술: 합병증 없음 Surgery: no complications
치료: 에나멜 기질 유도체(50 ml PBS 거환 주사액중의 21.5 mg 에나멜 기질 유도체, 시간 주입당 100 ml 링거액중의 10 mg 에나멜 기질 유도체, 전체 에나멜 기질 유도체 투여량 = 71.5 mg), LPS(4.5 ml PBS중 37 ㎍/시간, 5시간 동안 연속 주사; 전체 LPS 투여량 = 185 ㎍). Treatment: Enamel Substrate Derivatives (21.5 mg Enamel Substrate Derivatives in 50 ml PBS cyclic injections, 10 mg Enamel Substrate Derivatives in 100 ml Ringer's solution per hour infusion, Total Enamel Substrate Dose = 71.5 mg), LPS (in 4.5 ml PBS) 37 μg / hour, continuous injection for 5 hours; total LPS dose = 185 μg).
혈행동태적 관찰: 이 동물은 EMD의 거환 주사에 대해 아무런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LPS 주사를 개시한 지 약 1시간에서 패혈증 쇼크 상태의 개시에 이어 LPS 주사에 대한 매우 신속하고 강한 초기 반응이 나타났다. 이 단계에서, 초기 징후 또는 다발성 기관 손상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그후 혈행동태적 값은 안정화되었고 기관 기능은 회복되었다. Hemodynamic Observation: This animal did not respond to bolus injection of EMD. About 1 hour after initiation of LPS injection a very rapid and strong initial response to LPS injection followed by onset of sepsis shock. At this stage, early signs or multiple organ damage were observed. However, hemodynamic values stabilized and organ function recovered.
치사시의 순환성 기관의 해부 및 육안에 의한 외관: 모든 순환성 기관은 정상 구조를 나타내었다. 병리의 육안의 징후는 조사된 기관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Anatomical and visual appearance of circulatory organs in lethality: All circulatory organs showed normal structure. No gross signs of pathology were found in the organs investigated.
혈액학: 상기 동물은 초기에는 정상적인 혈액학적 값을 나타내었다. 대부분의 값은 실험하는 동안 정상범위내에 존재하였다. Hematology: The animals initially displayed normal hematological values. Most of the value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during the experiment.
생화학: 모든 효소 활성 및 크레아티닌은 실험동안 정상치내에 머물렀다. 돼지는 초기에는 ALP가 약간 증가하였지만, 에나멜 기질 유도체 또는 LPS 주사에 의해서는 변화되지 않고 유지되었다. ASAT값은 실험의 종료직전을 향하여 약간 증가하였지만, 에나멜 기질 유도체 또는 LPS 주사로 부터 유의한 변화는 나타내지 않았다. Biochemistry: All enzymatic activity and creatinine remained within normal values during the experiment. Pigs initially had a slight increase in ALP, but remained unchanged by enamel matrix derivative or LPS injection. ASAT values slightly increased towards the end of the experiment but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from enamel substrate derivative or LPS injection.
사이토카인: 에나멜 기질 유도체 주사는 분석된 순환 사이토카인에서 어떠한 증가도 유발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 돼지는 LPS를 투여한 후 TNF 값의 급등을 나타내었다. 이 값은 LPS 주사를 개시한 후 1시간이 되기 전에 검출 한도(1500 ㎍/l) 이상으로 달하였고 약 4시간 동안 이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4시간 후, TNF 값은 감소되었고 정상화 징후를 나타내었다. IL-6 또한 LPS 주사 개시후 급등하였다. IL-6 수준은 이 실험하는 동안 줄곧 일정하게 증가하여 4시간 후 4800 ㎍/l 수준으로 이르렀다. 5시간 후 IL-6 값은 감소하는 듯 하였지만, (계획된) 실험 종료로 인하여, 이 경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IL-1β는 LPS 주사에 의해 유발된 느린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5시간 후 약 1000 ㎍/l에 이르렀다. Cytokines: Injection of enamel substrate derivatives did not cause any increase in the circulating cytokines analyzed. However, the pig showed a spike in TNF values after administration of LPS. This value reached or exceeded the detection limit (1500 μg / l) before 1 hour after initiating LPS injection and remained at this level for about 4 hours. After 4 hours, TNF values decreased and showed signs of normalization. IL-6 also spiked after initiation of LPS injection. IL-6 levels increased constantly during this experiment, reaching 4800 μg / l levels after 4 hours. After 5 hours the IL-6 value seemed to decrease, but due to the (planned) end of the experiment, this trend was not confirmed. IL-1β showed a slow increase induced by LPS injection and reached about 1000 μg / l after 5 hours.
해설: 혈행동태학적 변수에 의해 및 신장 기능(이뇨)의 회복과 복수의 감소에 의해 관찰되는 바와 같이, 이 동물은 분명한 패혈증 쇼크와 기관 부진의 개시로 부터 회복된 것처럼 보였다. LPS를 투여한 지 1시간후부터 경련이 관찰되었다. 이들 발견은 흔하지 않은 것으로, 내독소(LPS)에 대한 강한 초기 반응으로 이어진다. 혈액학 및 생화학 값은 생명유지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함을 나타내었고 또 관찰된 효과는 독소 주사에 의해 유발되었고 수술에 의한 외상에 의한 것이 아니었다. 염증 상태는 돼지가 패혈증 쇼크에 걸려 있음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IL-6 및 TNF 값에서 느린 회복의 기미가 보였다. IL-1β값은 에나멜 기질 유도체 투여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염증 사이토카인 수준의 연속적인 감소 및 시간을 고려할 때, 이 돼지는 이 실험동안 생존할 것으로 보인다. Comment: As observed by hemodynamic variables and by the recovery of renal function (diuresis) and the reduction of ascites, this animal appeared to have recovered from the onset of obvious sepsis shock and tracheal insufficiency. Convulsions were observed 1 hour after LPS administration. These findings are uncommon and lead to a strong initial response to endotoxin (LPS). Hematology and biochemistry values indicated that the life support system was functioning normally, and the observed effects were caused by toxin injection and not by surgical trauma. Inflammatory conditions indicated that the pig had septic shock. However, signs of slow recovery were seen in IL-6 and TNF values. IL-1β values did not appear to be affected by administration of enamel substrate derivatives. Given the continuous reduction and time of inflammatory cytokine levels, this pig is likely to survive during this experiment.
돼지 3 Pig 3
물리적 데이터: 자성; 25.0 kg 총 체중; 건강함Physical data: magnetic; 25.0 kg total body weight; Healthy
수술: 합병증 없음 Surgery: no complications
치료: 위약(100 ml PBS 거환 주사액중의 125 mg SA, 시간 주입당 100 ml 링거액중의 50 mg SA, 전체 SA 투여량 = 375 mg), LPS(4.5 ml PBS중 43 ㎍/시간, 5시간 동안 연속 주사; 전체 LPS 투여량 = 215 ㎍). Treatment: placebo (125 mg SA in 100 ml PBS bolus injection, 50 mg SA in 100 ml Ringer's solution per hour infusion, total SA dose = 375 mg), LPS (43 μg / hour in 4.5 ml PBS for 5 hours) Continuous injection; total LPS dose = 215 μg).
혈행동태적 관찰: 이 동물은 위약 주사에 대해 아무런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 다. 실험을 통하여 지속된 패혈증 쇼크 조건에 처리된 후 LPS 주사에 대해 낮거나 중간정도의 초기 반응이 나타났다. 쇼크의 개시는 LPS 주사를 개시한 지 1시간 후였다. Hemodynamic Observation: This animal did not respond to placebo injections. Experiments showed a low or moderate initial response to LPS injection after treatment in sustained sepsis shock conditions. The onset of shock was 1 hour after the start of the LPS injection.
치사시의 순환성 기관의 해부 및 육안에 의한 외관: 모든 순환성 기관은 정상 구조를 나타내었다. 병리적 징후는 울혈(부종 및 붉은 기) 및 지혈의 징후를 나타낸 간에서만 발견되었다. Anatomical and visual appearance of circulatory organs in lethality: All circulatory organs showed normal structure. Pathological signs were found only in the liver that showed signs of congestion (edema and red phase) and hemostasis.
혈액학: 이 동물은 초기에는 정상적인 혈액학적 값을 나타내었다. 대부분의 값은 실험하는 동안 정상범위내에 존재하였다. 예외적인 것은 LPS 주사한지 4 및 5시간 후에 관찰되었으며, 이때 B-호중구의 증가 및 B 림프구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Hematology: This animal initially had normal hematological values. Most of the value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during the experiment. An exception was observed 4 and 5 hours after LPS injection, with an increase in B-neutrophils and a decrease in B lymphocytes.
생화학: 모든 효소 활성 및 크레아티닌은 실험동안 정상치내에 머물렀다. 크레아티닌의 느리지만 일정한 감소가 관찰되었고, LPS 주사한지 2시간 후, 크레아티닌 수준은 정상치 아래로 감소하였고 실험의 나머지 동안 낮게 유지되었다. 이 돼지는 초기에는 ALP가 약간 증가하였지만, 이 값은 안정하였고 LPS 주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염증 상태는 이 돼지가 패혈증 쇼크에 걸렸음을 나타낸다. 사이토카인 값에서의 회복 징후는 없었다. 본 실험동안 이 돼지는 생존할 가능성이 아주 적을 것이다. Biochemistry: All enzymatic activity and creatinine remained within normal values during the experiment. A slow but constant decrease in creatinine was observed, and 2 hours after LPS injection, creatinine levels decreased below normal and remained low for the remainder of the experiment. This pig initially had a slight increase in ALP, but this value was stable and unaffected by LPS injection. Inflammatory conditions indicate that the pig has septic shock. There was no sign of recovery in cytokine values. During this experiment, the pig will be very unlikely to survive.
사이토카인: 이 돼지는 LPS를 투여한 후 TNF 값의 급등을 나타내었다. 이 값은 LPS 주사를 개시한 후 1시간이 되기 전에 검출 한도(1500 ㎍/l) 이상으로 달하였고 실험하는 동안 이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IL-6 또한 LPS 주사 개시후 급등 하였다. IL-6 수준은 이 실험하는 동안 줄곧 일정하게 증가하여 LPS주사한지 3시간 후에 5000 ㎍/l 수준으로 이르렀고, 3900 ㎍/l 수준으로 끝마쳤다. IL-1β는 LPS 주사에 의해 유발된 느린 증가를 나내며, 5시간 후 약 700 ㎍/l으로 끝마쳤다. Cytokines: These pigs showed a spike in TNF values after LPS administration. This value reached the detection limit (1500 μg / l) or more before 1 hour after initiating LPS injection and remained at this level during the experiment. IL-6 also spiked after initiation of LPS injection. IL-6 levels increased consistently throughout this experiment, reaching 5000 μg / l levels after 3 hours of LPS injection and ending at 3900 μg / l. IL-1β produced a slow increase induced by LPS injection and finished at about 700 μg / l after 5 hours.
해설: 조혈역학적 변수는 실험의 마지막에 대하여 간장 및 폐 손상을 나타내었다. 낮은 이뇨 및 감소된 이뇨는 신장 무력을 나타내었다. 기관 무력의 첫 징후는 LPS 주사를 개시한 지 3시간 후에 관찰되었다. LPS를 투여한 지 30분 부터 경련이 관찰되었다. 혈액학 및 생화학값은 생명유지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함을 나타내었고 또 관찰된 효과는 독소 주사에 의해 유발되었고 수술에 의한 외상에 의한 것이 아니었다. 염증 상태는 돼지가 패혈증 쇼크에 걸려 있음을 나타내었다. 사이토카인 값에서는 회복의 기미가 보이지 않았다. 이 돼지는 이 실험동안 생존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 Explanation: Hematopoietic parameters indicated hepatic and lung damage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Low diuresis and reduced diuresis showed kidney disability. The first signs of organ disability were observed 3 hours after the start of the LPS injection. Convulsions were observed 3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LPS. Hematology and biochemical values indicated that the life support system was functioning normally, and the observed effects were caused by toxin injection and not by surgical trauma. Inflammatory conditions indicated that the pig had septic shock. Cytokine values showed no signs of recovery. The pig is very unlikely to survive during this experiment.
돼지 4 Pig 4
물리적 데이터: 자성; 24.5 kg 총 체중; 건강함Physical data: magnetic; 24.5 kg total body weight; Healthy
수술: 합병증 없음 Surgery: no complications
치료: 에나멜 기질 유도체(100 ml PBS 거환 주사액중의 125 mg 에나멜 기질 유도체, 시간 주입당 100 ml 링거액중의 50 mg 에나멜 기질 유도체, 전체 에나멜 기질 유도체 투여량 = 375 mg), LPS(4.5 ml PBS중 42 ㎍/시간, 5시간 동안 연속 주사; 전체 LPS 투여량 = 210 ㎍). Treatment: Enamel Substrate Derivatives (125 mg Enamel Substrate Derivatives in 100 ml PBS cyclic injections, 50 mg Enamel Substrate Derivatives in 100 ml Ringer's solution per hour infusion, Total Enamel Substrate Dose = 375 mg), LPS (in 4.5 ml PBS) 42 μg / hour, 5 hours continuous injection; total LPS dose = 210 μg).
혈행동태적 관찰: 이 동물은 EMD의 거환 주사에 대해 아무런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LPS 주사에 대한 강한 초기 반응이 나타낸 다음 LPS 주사를 개시한 지 3시간 후에 약한 패혈증 쇼크 상태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 시간 이후에서는 혈행동태학적 값은 안정화되었고 모든 기관 기능은 회복되었다. Hemodynamic Observation: This animal did not respond to bolus injection of EMD. A strong initial response to LPS injection was shown followed by a mild sepsis shock state 3 hours after initiation of LPS injection. However, after this time, hemodynamic values stabilized and all organ function was restored.
치사시의 순환성 기관의 해부 및 육안에 의한 외관: 모든 순환성 기관은 정상 구조를 나타내었다. 병리의 육안의 징후는 조사된 기관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Anatomical and visual appearance of circulatory organs in lethality: All circulatory organs showed normal structure. No gross signs of pathology were found in the organs investigated.
혈액학: 이 동물은 초기에는 정상적인 혈액학적 값을 나타내었다. 대부분의 값은 실험하는 동안 정상범위내에 존재하였다. Hematology: This animal initially had normal hematological values. Most of the value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during the experiment.
생화학: 모든 효소 활성 및 크레아티닌은 실험동안 정상치내에 머물렀다. 이 돼지는 초기에는 ALP가 약간 증가하였지만, 에나멜 기질 유도체 또는 LPS 주사에 의해서는 변화되지 않고 유지되었다. ASAT값은 실험의 종료직전을 향하여 약간 증가하였지만, 에나멜 기질 유도체 또는 LPS 주사로 부터 유의한 변화는 나타내지 않았다. Biochemistry: All enzymatic activity and creatinine remained within normal values during the experiment. The pig initially had a slight increase in ALP but remained unchanged by enamel matrix derivative or LPS injection. ASAT values slightly increased towards the end of the experiment but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from enamel substrate derivative or LPS injection.
사이토카인: 에나멜 기질 유도체 주사는 분석된 순환 사이토카인에서 어떠한 증가도 유발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 돼지는 LPS를 투여한 후 TNF 값의 급등을 나타내었다. 이 값은 LPS 주사를 개시한 후 1시간이 되기 전에 검출 한도(1500 ㎍/l) 이상으로 달하였고 실험하는 동안 이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IL-6 또한 LPS 주사 개시후 급등하였다. IL-6 수준은 이 실험하는 동안 줄곧 일정하게 증가하여 3시간 후 검출 수준 이상(>5000 ㎍/l)으로 증가하였다. 4시간 후 IL-6 값은 감소하는 듯 보였고, 이러한 경향은 5시간에서도 확인되었다. IL-1β는 LPS 주사에 의해 유발된 느린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5시간 후 약 700 ㎍/l으로 끝마쳤다. Cytokines: Injection of enamel substrate derivatives did not cause any increase in the circulating cytokines analyzed. However, the pig showed a spike in TNF values after administration of LPS. This value reached the detection limit (1500 μg / l) or more before 1 hour after initiating LPS injection and remained at this level during the experiment. IL-6 also spiked after initiation of LPS injection. IL-6 levels increased constantly during this experiment and increased above the detection level (> 5000 μg / l) after 3 hours. After 4 hours the IL-6 value seemed to decrease and this trend was also observed at 5 hours. IL-1β showed a slow increase induced by LPS injection and finished at about 700 μg / l after 5 hours.
해설: 임상적 변수 및 혈행동태학적 변수에 의해 관찰되는 바와 같이, 이 동 물은 분명한 패혈증 쇼크와 기관 부진으로부터 보호된 것으로 보였다. 어떠한 기관 부진도 관찰되지 않았지만, 이 실험 전체 동안 이뇨는 낮았다. 복수의 생산은 아주 적었고 경련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들 발견은 흔하지 않은 것으로, 내독소(LPS)에 대한 강한 초기 반응으로 이어진다. 혈액학 및 생화학 값은 생명유지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함을 나타내었고 또 관찰된 효과는 독소 주사에 의해 유발되었고 수술에 의한 외상에 의한 것이 아니었다. 염증 상태는 돼지가 패혈증 쇼크에 걸려 있음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IL-6 및 TNF 값에서 느린 회복의 기미가 보였다. IL-1β값은 에나멜 기질 유도체 투여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염증 사이토카인 수준의 연속적인 감소 및 시간을 고려할 때, 이 돼지는 이 실험동안 생존할 것으로 보인다. Commentary: As observed by clinical and hemodynamic variables, this animal appeared to be protected from obvious sepsis shock and organ failure. No organ failure was observed, but diuresis was low throughout the experiment. The production of ascites was very small and no cramps were observed. These findings are uncommon and lead to a strong initial response to endotoxin (LPS). Hematology and biochemistry values indicated that the life support system was functioning normally, and the observed effects were caused by toxin injection and not by surgical trauma. Inflammatory conditions indicated that the pig had septic shock. However, signs of slow recovery were seen in IL-6 and TNF values. IL-1β values did not appear to be affected by administration of enamel substrate derivatives. Given the continuous reduction and time of inflammatory cytokine levels, this pig is likely to survive during this experiment.
돼지 5
물리적 데이터: 자성; 25.0 kg 총 체중; 건강함Physical data: magnetic; 25.0 kg total body weight; Healthy
수술: 합병증 없음 Surgery: no complications
치료: 에나멜 기질 유도체(100 ml PBS 거환 주사액중의 125 mg 에나멜 기질 유도체, 시간 주입당 100 ml 링거액중의 50 mg 에나멜 기질 유도체, 전체 에나멜 기질 유도체 투여량 = 375 mg), LPS(4.5 ml PBS중 43 ㎍/시간, 5시간 동안 연속 주사; 전체 LPS 투여량 = 215 ㎍). Treatment: Enamel Substrate Derivatives (125 mg Enamel Substrate Derivatives in 100 ml PBS cyclic injections, 50 mg Enamel Substrate Derivatives in 100 ml Ringer's solution per hour infusion, Total Enamel Substrate Dose = 375 mg), LPS (in 4.5 ml PBS) 43 μg / hour, 5 hours continuous injection; total LPS dose = 215 μg).
혈행동태적 관찰: 이 동물은 EMD의 거환 주사의 개시에 대한 반응으로 폐 혈압의 초기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효과는 매우 일시적인(수분) 것으로 투여량 의존적인 것이 아니므로, 에나멜 기질 유도체 용액은 폐 모세관상에 간단한 혈관수 축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관찰된 효과는 거환 주사가 완료되기 전에 정상화되었다. 에나멜 기질 유도체 주사로 부터 다른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 동물은 LPS 주사에 대하여 그리 현저한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패혈증 쇼크 상태의 어떠한 징후도 발견되지 않았고 기관 순환은 실험동안 안정하였다. LPS가 실험 계획에 따라 확실히 전달되도록 실험하는 동안 수회 LPS 유동 및 LPS 카테터의 위치를 조절하였다. Hemodynamic Observation: This animal showed an initial increase in pulmonary blood pressure in response to the initiation of a bolus injection of EMD. This effect is very temporary (moisture) and not dose dependent, indicating that the enamel matrix derivative solution has a simple vasoconstrictive effect on pulmonary capillaries. The observed effect normalized before the injection injection was complete. No other effect was observed from the injection of enamel matrix derivatives. This animal did not respond significantly to LPS injection. No signs of sepsis shock were found and organ circulation was stable during the experiment. The LPS flow and the position of the LPS catheter were adjusted several times during the experiment to ensure that the LPS was delivered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design.
치사시의 순환성 기관의 해부 및 육안에 의한 외관: 모든 순환성 기관은 정상 구조를 나타내었다. 병리의 육안의 징후는 조사된 기관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Anatomical and visual appearance of circulatory organs in lethality: All circulatory organs showed normal structure. No gross signs of pathology were found in the organs investigated.
혈액학: 이 동물은 수술의 개시로 부터(0-샘플) 백혈구 세포의 갯수가 현저히 증가(정상치의 2배)한 이외에는 초기에는 정상적인 혈액학적 값을 나타내었다. 상이한 백혈구 세포의 상대치는 정상적인 것으로 보였으나, 실험하는 동안 안정하게 유지되었다. 모든 다른 값은 실험하는 동안 정상범위내에 유지되었다. Hematology: This animal initially showed normal hematologic values, except that the number of leukocytes increased significantly (twice the normal value) from the onset of surgery (0-sample). The relative values of the different white blood cells seemed normal but remained stable during the experiment. All other values remained within the normal range during the experiment.
생화학: 모든 효소 활성 및 크레아티닌은, 실험의 개시로부터 증가하지만 관찰 기간동안 안정하게 유지된 ALP를 제외하고는 실험동안 정상치내에 머물렀다. ALP 수준은 에나멜 기질 유도체 또는 LPS 주사에 의해서는 변화되지 않고 유지되었다. ASAT값은 실험의 종료직전을 향하여 약간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증가는 아주 적어서 가까스로 정상치 한도 위로 나타났다. Biochemistry: All enzymatic activity and creatinine remained within normal during the experiment except for ALP which increased from the start of the experiment but remained stable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ALP levels remained unchanged by enamel substrate derivative or LPS injection. The ASAT value slightly increased towards the end of the experiment. However, this increase was so small that it barely rose above normal limits.
사이토카인: 에나멜 기질 유도체 주사는 분석된 순환 사이토카인에서 어떠한 증가도 유발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 돼지는 실험을 개시하기 전에도 현저한 TNF 값의 급등을 나타내었다(>1500 ㎍/l). 이 값은 LPS 주사를 개시한 지 2시간 후까 지 검출 범위 이상으로 존재하였다. 그러나, TNF 값의 급감이 관찰되었고 이 실험이 끝나기 전에 TNF 수준은 거의 정상화되었다. IL-6은 LPS 주사 개시 직후 급등하였다. IL-6 수준은 이 실험하는 동안 줄곧 일정하게 증가하여 2500 ㎍/l 까지 이르렀다. 이후 IL-6 값은 감소되어 LPS 주사한지 5시간 후에 정상값에 도달하였다. IL-1β는 LPS 주사에 의해 유발된 느리지만 일정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5시간 후 약 900 ㎍/l으로 끝마쳤다. Cytokines: Injection of enamel substrate derivatives did not cause any increase in the circulating cytokines analyzed. However, the pig showed a marked increase in TNF values even before initiation of the experiment (> 1500 μg / l). This value was beyond the detection range until 2 hours after the start of LPS injection. However, a sharp drop in TNF values was observed and TNF levels were nearly normal before the end of this experiment. IL-6 spiked immediately after initiation of LPS injection. IL-6 levels increased consistently throughout this experiment, reaching 2500 μg / l. IL-6 values then decreased and reached
해설: 임상적 변수 및 혈행동태학적 변수에 의해 관찰되는 바와 같이, 이 동물은 분명한 패혈증 쇼크와 기관 부진으로부터 보호된 것으로 보였다. 어떠한 기관 부진도 관찰되지 않았지만, 이 실험 전체 동안 이뇨는 양호하고 안정하였다. 복수의 생산은 아주 적었고 경련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들 발견은 흔하지 않은 것으로, 내독소(LPS)에 대한 강한 초기 반응으로 이어진다. 혈액학 및 생화학 값은 생명유지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함을 나타내었고 또 관찰된 효과는 독소 주사에 의해 유발되었고 수술에 의한 외상에 의한 것이 아니었다. 염증 상태는 돼지가 패혈증 쇼크에 걸려 있음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IL-6 및 TNF 값에서 신속한 회복의 분명한 징후가 보였다. IL-1β값은 에나멜 기질 유도체 투여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이 동물이 실험동안 생존할 것이라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Commentary: As observed by clinical and hemodynamic variables, this animal appeared to be protected from obvious sepsis shock and sluggish organs. No organ sluggishness was observed, but diuresis was good and stable throughout the experiment. The production of ascites was very small and no cramps were observed. These findings are uncommon and lead to a strong initial response to endotoxin (LPS). Hematology and biochemistry values indicated that the life support system was functioning normally, and the observed effects were caused by toxin injection and not by surgical trauma. Inflammatory conditions indicated that the pig had septic shock. However, clear signs of rapid recovery were seen in IL-6 and TNF values. IL-1β values did not appear to be affected by administration of enamel substrate derivatives. There is no doubt that this animal will survive the experiment.
돼지 6 Pig 6
물리적 데이터: 자성; 23.0 kg 총 체중; 건강함Physical data: magnetic; 23.0 kg total body weight; Healthy
수술: 합병증 없음 Surgery: no complications
치료: 에나멜 기질 유도체(100 ml PBS 거환 주사액중의 115 mg 에나멜 기질 유도체, 시간 주입당 100 ml 링거액중의 50 mg 에나멜 기질 유도체, 전체 에나멜 기질 유도체 투여량 = 365 mg), LPS(4.5 ml PBS중 39 ㎍/시간, 5시간 동안 연속 주사; 전체 LPS 투여량 = 195 ㎍). Treatment: Enamel Substrate Derivatives (115 mg Enamel Substrate Derivatives in 100 ml PBS cyclic injections, 50 mg Enamel Substrate Derivatives in 100 ml Ringer's solution per hour infusion, Total Enamel Substrate Dosage = 365 mg), LPS (in 4.5 ml PBS) 39 μg / hour, continuous injection for 5 hours; total LPS dose = 195 μg).
혈행동태적 관찰: 이 동물은 EMD의 거환 주사의 개시에 대한 반응으로서 폐 혈압의 초기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 반응은 즉각적이고 일시적인(수분) 것으로 투여량 의존적인 것이 아니므로, 에나멜 기질 유도체 용액은 폐 모세관상에 간단한 혈관수축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관찰된 효과는 거환 주사가 완료되기 전에 정상화되었다. Hemodynamic Observation: This animal showed an initial increase in pulmonary blood pressure in response to the initiation of a bolus injection of EMD. This reaction is immediate and transient (moisture) and not dose dependent, indicating that the enamel matrix derivative solution has a simple vasoconstrictive effect on pulmonary capillaries. The observed effect normalized before the injection injection was complete.
LPS 주사에 대하여 강한 초기 반응이 관찰(심박수와 동맥 흐름의 급속적이고, 일시적인 증가)된 다음 실험 동안 지속된 보통의 고비중 상태가 이어졌다. 패혈증 쇼크의 어떠한 징후도 발견되지 않았고 기관 부진의 징후도 없었다. A strong initial response to LPS injection was observed (a rapid and transient increase in heart rate and arterial flow) followed by a normal high specific gravity that persisted during the experiment. No signs of sepsis shock were found and no signs of tracheal insufficiency.
치사시의 순환성 기관의 해부 및 육안에 의한 외관: 모든 순환성 기관은 정상 구조를 나타내었다. 병리의 육안의 징후는 조사된 기관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Anatomical and visual appearance of circulatory organs in lethality: All circulatory organs showed normal structure. No gross signs of pathology were found in the organs investigated.
혈액학: 이 동물은 초기에는 정상적인 혈액학적 값을 나타내었다. 모든 다른 값은 실험하는 동안 정상범위내에 유지되었다. Hematology: This animal initially had normal hematological values. All other values remained within the normal range during the experiment.
생화학: 모든 효소 활성 및 크레아티닌은, 실험의 개시로부터 증가하지만 관찰 기간동안 안정하게 유지된 ALP를 제외하고는 실험동안 정상치내에 머물렀다. ALP 및 ASAT 수준은 에나멜 기질 유도체 또는 LPS 주사에 의해서 변화되지 않고 유지되었다. Biochemistry: All enzymatic activity and creatinine remained within normal during the experiment except for ALP which increased from the start of the experiment but remained stable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ALP and ASAT levels remained unchanged by enamel substrate derivative or LPS injection.
사이토카인: 에나멜 기질 유도체 주사는 분석된 순환 사이토카인에서 어떠한 증가도 유발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 돼지는 LPS를 투여한 후 TNF 값의 급등을 나타내었다. 이 값은 LPS 주사를 개시한 후 1시간이 되기 전에 검출 한도(1500 ㎍/l) 이상이었고 이 수준은 약 3시간 동안 유지되었다. 3시간 후, TNF 값이 급감하였고, 관찰기간의 마지막에 정상화되었다. IL-6은 LPS 주사 개시 직후 급등하였다. IL-6 수준은 LPS 주사한지 2시간 후 2700 ㎍/l 에 이르렀다. 그러나, 실험의 마지막에, IL-6 값은 거의 정상치(350 ㎍/l)로 감소되었다. IL-1β는 LPS 주사에 의해 유발된 느리지만 일정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4시간 후 약 1200 ㎍/l 에 도달하였다. Cytokines: Injection of enamel substrate derivatives did not cause any increase in the circulating cytokines analyzed. However, the pig showed a spike in TNF values after administration of LPS. This value was above the detection limit (1500 μg / l) before 1 hour after initiating LPS injection and this level was maintained for about 3 hours. After 3 hours, TNF values dropped sharply and normalized at the end of the observation period. IL-6 spiked immediately after initiation of LPS injection. IL-6 levels reached 2700 μg / l 2 hours after LPS injection. However,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IL-6 values were reduced to nearly normal values (350 μg / l). IL-1β showed a slow but constant increase induced by LPS injection and reached about 1200 μg / l after 4 hours.
해설: 혈행동태학적 변수 및 임상적 변수에 의해 관찰되는 바와 같이, 이 동물은 심각한 패혈증 쇼크와 기관 부진으로부터 보호된 것으로 보였다. 어떠한 기관 부진도 관찰되지 않았고 이 실험 전체 동안 이뇨는 높았고 안정하였다. 복수의 생산은 아주 적었고 LPS 주입한지 약 4시간 후에 경련이 관찰되었다. 이들 발견은 흔하지 않은 것으로, 내독소(LPS)에 대한 강한 초기 반응으로 이어진다. 혈액학 및 생화학 값은 생명유지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함을 나타내었고 또 관찰된 효과는 독소 주사에 의해 유발되었고 수술에 의한 외상에 의한 것이 아니었다. 염증 상태는 돼지가 강한 패혈증 쇼크(TNF 및 IL-6의 급격하고 강한 증가)에 걸려 있음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IL-6 및 TNF 값에서 신속한 회복의 분명한 징후가 보였다. IL-1β값은 에나멜 기질 유도체 투여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이 동물이 실험동안 생존할 것이라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Comment: As observed by hemodynamic and clinical variables, this animal appeared to be protected from severe sepsis shock and tracheal insufficiency. No organ failure was observed and diuresis was high and stable throughout the experiment. Ascites production was very low and spasm was observed about 4 hours after LPS injection. These findings are uncommon and lead to a strong initial response to endotoxin (LPS). Hematology and biochemistry values indicated that the life support system was functioning normally, and the observed effects were caused by toxin injection and not by surgical trauma. The inflammatory state indicated that the pig was suffering from a strong sepsis shock (a sharp and strong increase in TNF and IL-6). However, clear signs of rapid recovery were seen in IL-6 and TNF values. IL-1β values did not appear to be affected by administration of enamel substrate derivatives. There is no doubt that this animal will survive the experiment.
요약 summary
대조용(돼지 1 및 3) Control (
대조용은 모두 정상적으로 반응하였다. 즉 이들은 모두 LPS 주사 개시한지 약 30분후에 패혈증 쇼크 상태로 들어갔다. 양쪽 돼지는 LPS 주사한지 5시간 후에 생존하였지만, 이들은 체온증가, 다발성 기관 부진, 신장 부전, 고혈압 및 심박량 감소를 나타내는 심각한 제어되지 않는 패혈증 쇼크의 분명한 임상적 징후를 나타내었다. 혈액 분석 또한 패혈증 쇼크의 분명한 징후를 나타내었다. 염증 상태는 TNF-α 및 인터루킨-6의 강한 발현을 나타내는 급성 독소 유발된 패혈증 쇼크에 상응하였다. 상기 실험의 종료점 근처에서 이들 돼지의 상태는 너무 심각하여서 계속 생존이 어려울 것으로 판정되었다. Controls all reacted normally. That is, they all entered sepsis shock state about 30 minutes after the start of LPS injection. Both pigs survived 5 hours after LPS injection, but they showed clear clinical signs of severe uncontrolled sepsis shock, indicating increased body temperature, multiple organ insufficiency, kidney failure, hypertension and decreased heart rate. Blood analysis also showed clear signs of sepsis shock. The inflammatory state corresponded to acute toxin-induced sepsis shock, indicating strong expression of TNF-α and interleukin-6. It was determined that near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condition of these pigs was so severe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continue to survive.
저투여량의 에나멜 기질 유도체 (돼지 2) Low Dose Enamel Substrate Derivatives (Pig 2)
낮은 투여량의 에나멜 기질 유도체가 투여된 돼지 또한 패혈증 쇼크 상태로 들어갔다. 그러나, LPS에 대한 급성 염증 반응의 개시는 샴 동물에 비하여 약 30 내지 60분 지연되었다. 패혈증 개시후, 돼지는 안정화된 다음 쇼크로부터 서서히 회복하였다. 이 동물은 약간 더 우수한 임상적 변수를 나타내었고 신장 부전(이뇨에 의해 측정)의 징후를 나타내지 않았다. LPS 주사 개시한지 5시간 후 게획한 대로 돼지를 안락사시켰다. 거환 주사 및 뒤이은 저투여량의 에나멜 기질 유도체의 주입은 이 돼지에서 어떠한 나쁜 반응의 임상적 징후를 유발하지 않았고 에나멜 기질 유도체 주사에 대한 제어된 변수 반응도 유발하지 않았다. 이 돼지는 TNF 및 IL-6 값에서 감소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관찰과 더불어 임상적 관찰은 상기 동물이 쇼크로부터 회복되고 있음을 제시한다. Pigs administered low doses of enamel matrix derivatives also entered sepsis shock. However, the onset of an acute inflammatory response to LPS was delayed by about 30 to 60 minutes compared to Siamese animals. After initiation of sepsis, the pigs stabilized and then slowly recovered from shock. This animal showed slightly better clinical variables and no signs of kidney failure (measured by diuresis). Pigs were euthanized as planned 5 hours after the start of LPS injection. The injection test and subsequent injection of low dose enamel substrate derivatives did not cause any clinical signs of any adverse reactions in the pig and did not result in a controlled variable response to injection of enamel substrate derivatives. This pig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TNF and IL-6 values. In addition to these observations, clinical observations suggest that the animals are recovering from shock.
고투여량의 에나멜 기질 유도체 (돼지 4, 돼지 5 및 돼지 6) High-dose enamel matrix derivatives (pig 4,
고투여량의 에나멜 기질 유도체가 투여된 세마리 돼지 어떤 것도 LPS 주사로 부터 심각한 패혈증 쇼크 상태를 경험하지 않았다. 2마리 동물(돼지 4 및 돼지 6)은 초기의 일시적인 내독소 반응을 경험하였지만, 이러한 상태는 즉시 안정화되었고 상기 동물들은 즉시 회복되어 실험하는 동안 "제어되는 상태"로 유지되었다. 세번째 동물(돼지 5)은 LPS 주사에 대하여 전혀 반응하지 않았다. 이들 동물중 어떤 것도 다발성 기관 부전 또는 신장 부전의 징후를 나타내지 않았다. 상기 돼지중 오직 한마리(돼지 6)는 LPS 주사에 의해 유도된 전형적인 경련을 경험하였다. 경련의 개시는 대조용에 비하여 현저히 지연되었다(4시간). LPS 주사 개시한지 5시간 후 계획대로 돼지를 안락사시켰다. None of the three pigs administered the high dose of enamel substrate derivative experienced severe sepsis shock from LPS injection. Two animals (pig 4 and pig 6) experienced an initial transient endotoxin response, but this condition was stabilized immediately and the animals recovered immediately and remained in a “controlled state” during the experiment. The third animal (pig 5) did not respond to LPS injection at all. None of these animals showed signs of multiple organ failure or kidney failure. Only one of the pigs (Swine 6) experienced typical cramps induced by LPS injection. The onset of convulsions was significantly delayed (4 hours) compared to the control. Five hours after the start of the LPS injection, the pigs were euthanized as planned.
거환 주사에 이은 "고투여량"의 에나멜 기질 유도체의 주입은 이들 돼지에서 어떤한 영숙적인 임상적 징후 또는 나쁜 반응을 유발하지 않았다. 돼지중 2마리(돼지 5 및 돼지 6)에서, 거환 주사에 대한 초기 반응을 관찰하였다. 이 반응은 폐 동맥혈압에서 신속하지만 일시적인 증가로 발견되며, 이는 고노동의 에나멜 기질 유도체 용액의 센트럴 거환 주사(약 1.25 mg/ml)가 폐 동맥 및/또는 모세관의 자연적인 수축을 유발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효과는 즉각적이고 투여량 관련된 것은 아니다. 관찰된 효과는 부분내에 정상화되고 돼지들은 안정하며, 이는 거환 주사의 완료 전에 정상적인 혈행형태학적 변수 및 임상적 상태를 나타낸다. Injection of the "high dose" enamel substrate derivative following the injection test did not cause any profound clinical signs or adverse reactions in these pigs. In two of the pigs (
이들 돼지는 초기 LPS 반응후 TNF 및 Il-6값에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 다. 실제로, 세마리 동물중 2마리(돼지 5 및 돼지 6)에서 TNF 및 Il-6값은 관찰기간의 종료전에 거의 정상화되었다. 이러한 관찰과 더불어 임상적 관찰은 이들 동물이 LPS 유도된 쇼크와 그에 따른 다발성 기관 부전으로부터 보호됨을 제시한다. 이들 돼지에 투여된 에나멜 기질 유사체 주사액은 상기 동물들을 독소주입에 의한 심각한 손상으로부터 보호되므로, 동물을 패혈증 쇼크로부터 지켰다. 모든 세마리 동물은 상기 실험동안 살아남았다.
These pigs tended to decrease in TNF and Il-6 values after the initial LPS response. Indeed, TNF and Il-6 values were nearly normalized at the end of the observation period in two of the three animals (
Claims (102)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KPA200101340 | 2001-09-14 | ||
DKPA200101340 | 2001-09-14 | ||
US32328601P | 2001-09-19 | 2001-09-19 | |
US60/323,286 | 2001-09-19 | ||
PCT/SE2002/001593 WO2003024479A1 (en) | 2001-09-14 | 2002-09-06 | Enamel matrix protein compositions for modulating immune respons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34729A KR20040034729A (en) | 2004-04-28 |
KR100934411B1 true KR100934411B1 (en) | 2009-12-29 |
Family
ID=34814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7003566A Expired - Fee Related KR100934411B1 (en) | 2001-09-14 | 2002-09-06 | Enamel Substrate Protein Compositions for Modulating Immune Responses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934411B1 (en) |
ZA (1) | ZA200401933B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9043344A2 (en) | 1998-02-27 | 1999-09-02 | Biora Bioex Ab | Matrix protein compositions for wound healing |
-
2002
- 2002-09-06 KR KR1020047003566A patent/KR10093441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
- 2004-03-11 ZA ZA200401933A patent/ZA200401933B/en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9043344A2 (en) | 1998-02-27 | 1999-09-02 | Biora Bioex Ab | Matrix protein compositions for wound healing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J Clin Periodontol 25(9): 715-720 (1998.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34729A (en) | 2004-04-28 |
ZA200401933B (en) | 2005-04-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97180B2 (en) | Enamel matrix protein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 |
Offner et al. | Recombinant human β-galactoside binding lectin suppresses clinical and histological signs of 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 |
AU689236B2 (en) | Use of IL-12 and IL-12 antagonists in the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s | |
EP0639079B1 (en) | Methods for treating interleukin-1 and tumor necrosis factor mediated diseases | |
JP3818322B2 (en) | Collagen degradation promoter | |
CA2513598A1 (en) | Use of the cathelicidin ll-37 and derivatives thereof for wound healing | |
JPH10509955A (en) | Treatment of secondary immunodeficiency | |
IL129211A (en) | Use of colostrinin in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of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s | |
JP3622015B2 (en) | Lung injury treatment | |
AU2002334515A1 (en) | Enamel matrix protein compositions for modulating immune response | |
US4973478A (en) | Treating inflammation with hepatocyte stimulating factor interferon β2 | |
JP2001523249A (en) | Combination of antigen and mucosal binding component to induce specific immune tolerance | |
JP4463885B2 (en) | Fulminant hepatitis disease treatment | |
KR100934411B1 (en) | Enamel Substrate Protein Compositions for Modulating Immune Responses | |
Van Lent et al. | Phagocytic synovial lining cells in experimentally induced chronic arthritis: down-regulation of synovitis by CL2MDP-liposomes | |
US5317012A (en) | Human growth hormone induced improvement in depressed T4/T8 ratio | |
EA006745B1 (en) | Use of il-18 inhibitors in hupersensitivity disorders | |
AU732053B2 (en) | Agents for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radiation-induced disorders | |
US4512974A (en) | Treatment of protein malnourished surgical patients | |
JP2010509364A (en) | IL-17B for use in wound healing | |
WO1993016715A1 (en) | Fsf-1 and the early detection of fibrosis | |
HK1074770B (en) | Enamel matrix protein compositions for modulating immune response | |
WO2002012444A2 (en) | Amniotic apoptosis modulating substances | |
JPH0219325A (en) | Combination of human immunoglobulin and interleukin-2 for control of infectious disease | |
TW201726108A (en) | Use of polypeptide composition for preparation of anti-inflammatory medical product or cosmetic containing an effective dose of polypeptide composition and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applied to recep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4031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9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907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2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09082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7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91105 Appeal identifier: 2009101007970 Request date: 20090828 |
|
AMND | Amendment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092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8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042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90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B701 | Decision to grant | ||
PB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Patent event date: 2009110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1006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1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