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34297B1 - 유체펌프 - Google Patents

유체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297B1
KR100934297B1 KR1020070097275A KR20070097275A KR100934297B1 KR 100934297 B1 KR100934297 B1 KR 100934297B1 KR 1020070097275 A KR1020070097275 A KR 1020070097275A KR 20070097275 A KR20070097275 A KR 20070097275A KR 100934297 B1 KR100934297 B1 KR 100934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hamber
housing
piston
cam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7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2237A (ko
Inventor
김배영
Original Assignee
김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배영 filed Critical 김배영
Priority to KR1020070097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4297B1/ko
Publication of KR20090032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2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29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04C15/0042Systems for the equilibration of forces acting on the machines or pump
    • F04C15/0049Equalization of pressure pul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04C15/06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2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2/063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with coaxially-mounted members having continuously-changing circumferential spacing between them
    • F04C2/067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with coaxially-mounted members having continuously-changing circumferential spacing between them having cam-and-follower type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0Fluid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챔버가 형성되고 중앙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챔버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챔버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압축하는 다수의 피스톤 어셈블리와, 공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다수의 피스톤 어셈블리가 순차적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구동시키고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마련되는 캠유닛으로 구성되어,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키면서 고효율, 고용량에 적합한 유체 펌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체펌프{FLUID PUMP}
본 발명은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하면서 펌핑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유체를 펌핑하는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유체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를 이동시키거나 유체에 압력을 가하는 펌프는 터보형과 용적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터보형 펌프는 날개를 갖는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유입된 유체에 운동 에너지를 부여하는 것으로 원심펌프, 사류펌프, 축류펌프 등이 있다.
이러한 터보형은 진동 및 소음이 적고 구조가 간단하며 연속 송유가 가능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효율이 낮고 고용량 및 고압에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용적형 펌프는 왕복부 또는 회전부에 유체를 넣으면서 차례대로 내보내는 형식으로, 특히, 왕복펌프는 피스톤이나 플런저가 실린더 내에서 왕복 운동하면서 액체를 흡입하고 일정압력으로 압축하여 토출하는 펌프이다.
이러한 용적형 펌프는 고용량에 적합하고 효율이 좋으며 압력이 달라져도 토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반면에 소음 및 진동이 심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보형 펌프의 장점인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키면서 용적형 펌프의 장점인 고효율, 고용량에 적합한 유체 펌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유체펌프는 내부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챔버가 형성되고 중앙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챔버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챔버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압축하는 다수의 피스톤 어셈블리와, 공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다수의 피스톤 어셈블리가 순차적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구동시키고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마련되는 캠유닛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내부에 일정 공간을 갖도록 상호 체결되는 제1 및 제2하우징과, 하우징 내부를 방사상으로 구획하여 챔버를 형성하는 구획판으로 구성된다.
피스톤 어셈블리는 상기 챔버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피스톤부와, 피스톤부의 양쪽 측면에 연결되고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삽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와, 피스톤부와 챔버 내면 사이에 설치되어 피스톤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캠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통로와 토출통로가 각각 형성되고 롤러와 접촉되는 캠부재와, 캠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유입통로와 연통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제1회전축과, 캠부재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하우 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토출통로와 연통되어 유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제2회전축을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우징에 다수의 챔버가 구비되고 각 챔버에 유입된 유체는 피스톤 어셈블리의 왕복운동에 의해 압축되기 때문에 소음과 진동을 줄일 수 있고 고용량 고효율을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관련된 유체펌프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유체펌프의 횡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관련된 유체펌프는 다수의 챔버들(110)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100)과, 각각의 챔버(110)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챔버(110)에 유입되는 유체를 가압하는 압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 어셈블리(200)와, 하우징(10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피스톤 어셈블리(200)를 순차적으로 구동시키는 캠유닛(3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그 내부가 원통으로 이루도록 상호 체결되는 제1하우징(112) 및 제2하우징(114)과, 제1하우징(112)과 제2하우징(114) 사이에 설치되어 하우징(100) 내부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챔버가 형성되도록 하우징(100)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판(116)으로 구성된다.
하우징(100)의 내부는 그 중앙측에 캠유닛(300)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공간부(120)가 마련되고, 그 가장자리측에 구획판(116)에 의해 구획된 다수의 챔버들(110)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112,11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면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가이드홈(130)이 형성된다. 이 가이드홈(130)은 제1하우징(112)과 제2하우징(114)의 내면에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피스톤 어셈블리(200)의 가이드 레일(210)이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가이드홈(130)은 피스톤 어셈블리(200)의 가이드 레일(210)이 충분한 강도를 갖고 지지될 수 있는 폭과 깊이를 갖는다.
여기에서, 가이드 홈(130)에는 가이드 레일(210)이 원활하게 직선 이동되도록 챔버(110)에 채워진 유체가 가이드 홈(130)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도록 하는 그루브(134)가 형성된다. 이 그루브(134)는 가이드 홈(130)의 바닥면에 가이드 홈(130)보다 작은 폭을 갖고 가이드 홈(130)을 따라 형성된다.
그루브(134)의 일단은 챔버(110)와 연통되고, 타단은 공간부(120)에 연통되어 공간부(120)에 채워진 유체가 챔버(110)로 유입되거나 챔버(110)에 채워진 유체를 공간부(120)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가이드 홈(130)에 가이드 레일(210)이 삽입되어 직선 이동될 때 가이드 홈(130)의 하측 부위가 캠유닛(200)과 밀착되어 밀폐될 우려가 있는데, 그루브(134)에 의해 가이드 홈(130)의 일정 부위가 밀폐되는 것을 방지하여 가이드 레일(210)이 원활하게 직선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홈(130)의 끝부분에는 그 폭이 좁아지는 수축부(136)가 형성되어 가이드홈들(130) 사이의 끝부분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가이드홈(130)의 끝부분이 최대한 하우징(100)의 중심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수축부(136)는 가이드홈의 양쪽 측면 중 어느 일측면만 좁아지는 구조는 갖는다. 구획판(11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면은 제1하우징(112)이 밀착되고 타측면은 제2하우징(114)이 밀착된다. 이때, 제1하우징(112)과 구획판(116)의 일측면 사이 및 제2하우징(114)과 구획판(116)의 타측면 사이에는 밀봉 역할을 하는 가스켓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구획판(116)과 제1 및 제2하우징(112,114)에는 각각 볼트 체결홀(160,162)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세 개의 부재가 볼트(166)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구획판(116)에는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챔버(110)를 형성하는 격벽(154)이 형성되고, 이 격벽(154)에는 공간부(120)의 유체를 챔버(110) 내부로 유체를 유입시키거나 챔버(110) 내부의 유체가 공간부(120) 내부로 배출시키는 유체통로(140)가 형성된다. 유체통로(140)의 일단은 챔버(110)와 연통되고 타단은 공간부(120)와 연통된다.
제1하우징(112)과 제2하우징(114)의 중앙에는 캠유닛(200)의 회전축(320)이 통과하는 관통홀(150)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홀(150)의 내주면과 회전축(320)의 외주면 사이에는 회전축(3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하우징(100)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베어링(152)이 장착된다.
피스톤 어셈블리(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내부에 형성되는 챔버(110)에 삽입되어 밀봉 가능하게 직선 이동되는 피스톤부(220)와, 이 피스톤부(220)의 양단에 연결되고 제1하우징(112)과 제2하우징(114)의 내면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 홈(130)에 삽입되어 가이드 홈(130)을 따라 직선 이동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210)과, 한 쌍의 가이드 레일(2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캠유닛(300)의 외면을 따라 구름 운동되는 롤러(230)와, 피스톤부(220)와 챔버(110) 내면 사이에 배치되어 피스톤부(2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40)로 구성된다.
이러한 피스톤 어셈블리(200)는 캠유닛(300)이 360도 회전될 때 두 번 유체가 흡입되고, 두 번 유체가 토출될 수 있도록 8~10개 정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캠유닛(300)이 360도 회전될 때 한 번 유체가 흡입되고 한번 유체가 토출되는 구조일 경우에는 피스톤 어셈블리는 6~8개 정도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스톤 어셈블리(200)의 개수는 펌프의 유체 토출압력과 내구성 등을 고려하게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피스톤부(220)는 그 양쪽 측면이 각각 격벽(154)의 표면에 밀착되어 밀봉 가능하게 직선 이동되고, 그 전면 및 후면은 각각 제1하우징(112)과 제2하우징(114)의 내면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밀착되고 하면은 롤러(230)가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도록 롤러(230)가 밀착되는 원형 홈(226)이 형성된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210)은 그 상단이 피스톤부(220)의 양쪽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롤러(230)의 회전축(232)의 양단이 고정되며, 하우징(100)에 형성된 가이드 홈(130)에 삽입되어 가이드 홈(13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다.
롤러(230)는 그 일측면이 피스톤부(220)의 원형홈(226)에 밀착되고 그 타측면이 캠유닛(300)의 캠부재(31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캠유닛(300)이 회전되면 캠부재(310)의 외주면을 따라 구름 운동된다.
피스톤부(220)와 롤러(230) 사이가 밀봉 가능하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캠부재(310)의 외주면과 롤러(230) 사이가 밀봉 가능하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탄성부재(240)는 그 일단이 챔버(110)의 내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피스톤부(220)의 상면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롤러(230)와 캠부재(310) 사이가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유닛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유닛의 단면도이다.
캠유닛(300)은 공간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외주면이 롤러(230)에 밀착되는 캠부재(310)와, 이 캠부재(310)의 중앙에 연결되고 제1하우징(112) 및 제2하우징(114)의 관통홀(150)을 통과하며 그 내부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322)와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324)가 각각 형성되는 회전축(320)으로 구성된다.
캠부재(310)는 제1하우징(112)과 제2하우징(114)의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밀착되는 측면부(350)와, 캠 형태로 형성되어 롤러(230)에 접촉되는 외면부(360)로 구성된다.
외면부(360)는 180도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길이가 긴 두 개의 장변부와, 이 장변부와 90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길이가 짧은 두 개의 단변부를 갖는다.즉, 캠부재(310)가 회전되면서 롤러(230)가 장변부와 접촉되면 피스톤부(220)가 상승되면서 챔버(110) 내의 유체를 가압하고, 롤러(230)가 단변부와 접촉되면 피스톤부(220)가 탄성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되면서 챔버(110) 내로 유체가 유입된다.
여기에서, 캠부재(310)의 외면부(360)가 모든 롤러들(230)과 일정 간격을 두고 접촉되기 때문에 하우징(100) 내부의 공간부(120)는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그리고, 캠부재(310)의 내부에는 유입구(322)와 연통되어 유입구(322)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챔버(110)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통로(312)와, 토출구(324)와 연통되어 챔버(110)에서 배출되는 유체를 토출구(324)로 안내하는 토출통로(314)가 각각 형성된다.
유입통로(312)는 캠부재(300)의 양쪽 측면부(350)로 유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캠부재(300)의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캠부재(300)를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8 등분했을 때 유입통로(312)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유입통로(312)가 형성되는 부위의 외면부(360)에는 유입통로(312)와 연통되어 유입통로(312)로 유입된 유체가 캠부재(300)의 외면부(360)로 토출시키는 다수의 제1구멍(316)이 형성된다.
배출통로(314)는 캠부재(300)의 양쪽 측면부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캠부재(300)를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8 등분했을 때 유입통로(312)와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그리고, 배출통로(314)가 형성되는 부위의 외면부(310)에는 배출통로(314)와 연통되는 다수의 제2구멍(318)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제1구멍(316)과 제2구멍(318)이 각각 다수개로 형성되는 이유는 캠부재(310)의 외주면에 롤러(230)가 구름 운동될 때 롤러(230)의 구름운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롤러(230)와의 마찰에 의해 마모 발생이 적게 하기 위함이다.
제1구멍(316)과 제2구멍(318)이 각각 캠부재(310)의 외면부의 두 부위에 형성되는 이유는 캠부재(310)가 한 바퀴 돌 때 유체가 두 번 유입되고, 두 번 토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캠부재의 측면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캠부재(500)는 캠부재(500)가 한 바퀴 돌 때 한번 흡입되고 한번 토출되도록 캠부재(500)의 내면에 각각 하나씩의 흡입통로(510)와 토출통로(520)가 형성되고 캠부재(500)의 외면부에는 흡입통로(530)와 연통되는 제1구멍(530)과 토출통로(520)와 연통되는 제2구멍(540)이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여기에서, 흡입통로(510)와 토출통로(520)는 캠부재(500)의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4 등분했을 때 어느 한 등분에 각각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펌프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먼저,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회전축(320)을 회전시키면 회전축(320)과 일체 로 연결된 캠부재(310)가 하우징(100) 내부에서 회전 운동된다. 이때, 캠부재(310)의 외주면은 롤러(230)와 접촉된 상태이므로 롤러(230)가 캠부재(310)의 외면부를 따라 구름 운동된다. 그리고, 캠부재(310)의 측면부(350)는 하우징(100)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 운동된다.
캠부재(310)의 단변부와 접촉되는 롤러(230)는 탄성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된 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피스톤부(220)가 챔버(110)에서 하강된다. 그러면 챔버(110) 내부는 진공 상태로 되어 공간부(120)에 채워진 유체가 챔버(220) 내부로 유입된다.
공간부(120)에 채워지는 유체는 회전축(320)에 형성된 유입구(322)로 유입되어 유입통로(312)를 통해 캠부재(310)의 측면부(350)로 토출됨과 아울러 캠부재(310)의 외면부에 형성되는 제1구멍(316)을 통해 캠부재(310)의 외면부(360)에서 토출된다.
이와 같이, 캠부재(310)의 유입통로(312)와 제1구멍(316)을 통해 공간부(120)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격벽(154)에 형성되는 유체통로(140)와 가이드홈(130)에 형성되는 그루브(134)를 통해 챔버(11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공간부(120)는 롤러(230)와 캠부재(310) 사이의 접촉으로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므로 어느 한 공간에 채워진 유체가 다른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그리고, 캠부재(310)의 장변부와 접촉되는 롤러(230)는 캠부재(310)의 미는 힘에 의해 상승되고, 이에 따라 피스톤부(220)가 챔버(110) 내부로 이동되면서 챔버(110)에 채워진 유체가 가압되면서 유체통로(140) 및 그루브(134)를 통해 공간부(120) 내로 토출된다. 그리고, 공간부(120)에 채워진 유체는 캠부재(310)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토출통로(314)와 캠부재(3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구멍(318)으로 유입되어 회전축(320)에 형성되는 토출구(324)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피스톤부(220)가 챔버(110)에 왕복 이동되면서 챔버(110) 내의 유체를 가압하면서 펌핑력을 발생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펌프는 유체 펌프 내부로 유체를 가압하면 캠부재가 회전되어 캠부재와 연결되는 회전축을 통해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는 유체모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체 펌프의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유체 펌프는 상기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유체 펌프의 구조와 동일하고, 다만 롤러(230) 대신에 외주면에 다수의 기어치가 형성되는 기어(500)가 설치되고, 캠부재(310)의 외주면에는 기어(500)의 기어치와 기어 물림되는 기어치들(510)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캠부재(310)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구멍들은 각각 기어치들(510)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펌프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펌프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벽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펌프의 피스톤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펌프의 캠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펌프의 캠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펌프의 캠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캠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체펌프의 종단면도이다.

Claims (9)

  1. 내부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챔버가 형성되고 중앙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챔버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챔버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압축하는 다수의 피스톤 어셈블리와;
    상기 공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다수의 피스톤 어셈블리가 순차적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구동시키고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마련되는 캠유닛을 포함하는 유체 펌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일정 공간을 갖도록 상호 체결되는 제1 및 제2하우징과,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하우징 내부를 방사상으로 구획하여 챔버를 형성하는 구획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어셈블리는 상기 챔버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피스톤부와, 상기 피스톤부의 양쪽 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삽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와, 피스톤부와 챔버 내면 사이에 설치되어 피스톤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유체 펌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캠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통로와 토출통로가 각각 형성되고 롤러와 접촉되는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의 측면에 형성되고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유입통로와 연통되는 유입구와 토출통로와 연결되는 토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체 펌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에는 상기 챔버와 공간부 사이를 연통시켜 유체가 통과하도록 하는 그르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에는 챔버로 유체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유체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통로와 토출통로는 각각 캠부재의 양쪽 측면부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캠부재의 외주면에는 유입통로와 연통되는 제1구멍이 다수로 형성되고, 토출통 로와 연통되는 제2구멍이 다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어셈블리는 상기 챔버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피스톤부와, 상기 피스톤부의 양쪽 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삽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캠유닛의 캠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기어치에 기어물림되는 기어와, 피스톤부와 챔버 내면 사이에 설치되어 피스톤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유체 펌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의 내부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통로와,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통로가 각각 캠부재의 양쪽 측면부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치들 사이에 유입통로와 연통되는 다수의 제1구멍과, 토출통로와 연통되는 다수의 제2구멍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KR1020070097275A 2007-09-27 2007-09-27 유체펌프 Expired - Fee Related KR100934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275A KR100934297B1 (ko) 2007-09-27 2007-09-27 유체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275A KR100934297B1 (ko) 2007-09-27 2007-09-27 유체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237A KR20090032237A (ko) 2009-04-01
KR100934297B1 true KR100934297B1 (ko) 2009-12-29

Family

ID=40759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7275A Expired - Fee Related KR100934297B1 (ko) 2007-09-27 2007-09-27 유체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42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1422B1 (ko) * 2016-10-20 2017-12-21 박영선 유체 모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7754A (ja) * 1998-07-09 2000-01-25 Unisia Jecs Corp ラジアルプランジャポンプ
JP2005163792A (ja) * 2003-12-03 2005-06-23 Luk Fahrzeug-Hydraulik Gmbh & Co Kg 往復動機関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7754A (ja) * 1998-07-09 2000-01-25 Unisia Jecs Corp ラジアルプランジャポンプ
JP2005163792A (ja) * 2003-12-03 2005-06-23 Luk Fahrzeug-Hydraulik Gmbh & Co Kg 往復動機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237A (ko)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1781B2 (en) Compressor pump structure and compressor
KR100485429B1 (ko) 진공펌프
US7618247B1 (en) Progressive staged flow to precompress the pump internal volume/volumes to be displaced
KR100919253B1 (ko) 쌍 원통 펌프
WO2007007975A1 (en) Volumetric rotary pump
KR100934297B1 (ko) 유체펌프
JPH0826865B2 (ja) 2シリンダロータリ圧縮機
US11466686B2 (en) Rotary compressor
KR101196946B1 (ko) 고압용 유압펌프
CN114278526A (zh) 一种轴配流式双作用轴向柱塞泵
EP4317691A1 (en) Compressor and moving scroll thereof
US2672824A (en) Hydraulic pump or motor
CN115111161B (zh) 一种活塞式转子压缩机
CN2821225Y (zh) 一种转子泵
CN112523985B (zh) 一种径向柱塞泵
CN108425841B (zh) 转子及具有该转子的液压泵
KR950027197A (ko) 회전실린더 압축기장치
CN215762065U (zh) 一种水泵及清洗装置
KR100469460B1 (ko) 스크롤 압축기의 고진공 방지 장치
KR20110085593A (ko) 유체 펌프
CN216589095U (zh) 一种万向倾覆偏心轴表面进气及自润滑压缩机
WO2011057348A1 (en) Improved fluid compressor and/or pump arrangement
CN109441753B (zh) 偏摆式r塞泵
KR20040036973A (ko) 밀폐형 압축기의 면압 저감 장치
KR20250071978A (ko) 다공성 필터를 통한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전동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