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33218B1 - 다중배출 체인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다중배출 체인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218B1
KR100933218B1 KR1020090044380A KR20090044380A KR100933218B1 KR 100933218 B1 KR100933218 B1 KR 100933218B1 KR 1020090044380 A KR1020090044380 A KR 1020090044380A KR 20090044380 A KR20090044380 A KR 20090044380A KR 100933218 B1 KR100933218 B1 KR 100933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hain
guide rail
drive
convey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수
Original Assignee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4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2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21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individual load-carriers which are pivotally mounted, e.g. for free-swing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8Chains or like traction elements; Connections between traction elements and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2Rails or the like engaging sliding elements or rollers attached to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8Drums, rollers, or wheels with self-contained driving mechanisms, e.g. motors and associated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er Or Impeller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된 운반물을 반송시켜서 배출시키는 다중배출 체인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투입된 운반물을 반송시켜서 배출시키는 다중배출 체인 컨베이어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투입구 및 배출구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동체인을 매개로 서로 연동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스프로킷; 상기 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투입구로 투입되는 운반물과의 접촉을 방지하고 상기 구동체인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케이스 내로 투입된 운반물을 배출구로 반송시킬 수 있도록 반송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상기 구동체인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반송플라이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운반물이 구동체인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면서 반송플라이트에 의해 반송되어 작동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gure R1020090044380
체인, 컨베이어, 스프로킷, 가이드레일, 구동롤러, 반송플라이트.

Description

다중배출 체인 컨베이어{CHAIN CONVEYOR}
본 발명은 다중배출 체인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반물의 접촉으로 인한 체인의 마모 및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하며, 특히 클린사양의 운반물에 이물질의 혼합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반송시킬 수 있는 다중배출 체인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중배출 체인 컨베이어는 케이스 내부로 투입된 운반물-예컨대 모래, 시멘트, 곡물, 비료, 화학물질 등-을 연속적으로 반송시켜서 배출구를 통해 저장탱크로 배출시키게 된다.
첨부된 도 1은 종래의 다중배출 체인 컨베이어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중배출 체인 컨베이어는, 투입구(11) 및 배출구(12)가 구비된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선단 및 후단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스프로킷(20), 상기 한 쌍의 스프로킷(20)에 연결되는 체인(30), 상기 체인(30)을 구동시키도록 어느 한 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0), 상기 체인(30)에 부착되어 케이스(10) 내로 투입된 운반물을 배출구(12)로 반송시키는 복수개의 반송플라이트(5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는 내부가 빈 중공관 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입구(11)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12)가 구비되며, 배출구(12)에는 배출된 운반물을 저장하도록 저장탱크(도시생략)가 연결된다.
그리고 케이스(10)의 선단에는 구동스프로킷(2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단에는 종동스프로킷(2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러한 한 쌍의 스프로킷(20)에는 체인(30)이 연결되어, 구동스프로킷(21)에 연결된 구동모터(40)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체인(30)의 양측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플라이트(50)가 부착되는데, 이러한 반송플라이트(50)는 체인(30)의 구동방향을 따라 적절한 간격으로 여러 개가 부착되어,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되어 케이스(10)의 바닥에 떨어진 운반물을 배출구(12)로 반송시키게 된다. 여기서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의 (a) 및 (b)는 체인(30)에 부착된 반송플라이트(50)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1의 도면부호 60은 체인(30)의 상부 저면을 지지하도록 구동방향을 따라 적절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서포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다중배출 체인 컨베이어는, 구동모터(40)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스프로킷(21) 및 종동스프로킷(22)이 회전되면서 체인(30)을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투입구(110)를 통해 투입되는 운반물은 케이스(10)의 바닥에 떨어지는데, 이같이 바닥에 떨어진 운반물은 체인(30)의 양측에 부착된 반송플라이트(50)에 의해 반송되어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다중배출 체인 컨베이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의 체인(30)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케이스(10)의 중앙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므로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되는 운반물이 직접적으로 접촉되며, 이에 따라 운반물이 비교적 무거운 중량물이거나 미세한 분말일 경우, 운반물이 체인(30) 사이 사이에 끼이면서 구동되는 체인(30)을 마모시킬 뿐만 아니라 체인(30)의 기능이상에 의한 오작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종래의 체인(30)은 그 특성상 구동을 원활하게 도모하도록 윤활유가 도포되는데, 운반물이 클린사양, 예컨대 순수하고 청결한 운반물에 이물질이 혼합되지 않도록 반송시켜야야 하는 조건일 경우, 투입되는 운반물이 그대로 체인(30)에 접촉되므로 클린사양의 운반물을 반송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종래의 반송플라이트(50)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케이스(10)의 중앙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단일의 체인(30) 양측에 부착되므로 그 면적을 크게 형성할 수 없음에 따라, 비교적 무거운 중량체의 운반물 또는 다량의 운반물을 반송시키기 어려우므로, 운반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넷째, 종래의 체인(30)은 도 2에서와 같이 케이스(10)의 바닥에 밀착되면서 구동되는데, 이같이 구동되는 체인(30)은 하부가 개방된 배출구(12) 부근에서 자중에 의해 아래로 처짐 현상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구동되는 체인(30)은 케이스(10) 바닥과 배출구(12)를 연결하는 인코너부위에 마찰되면서 심한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반물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한 체인의 마모 및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하는 동시에, 클린사양의 운반물 반송 시 이물질의 혼합을 방지할 수 있는 다중배출 체인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반물을 반송시키는 반송플라이트의 면적을 크게 형성하여 운반효율을 제고시키며, 체인의 처짐으로 인한 소음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다중배출 체인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입된 운반물을 반송시켜서 배출시키는 다중배출 체인 컨베이어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투입구 및 배출구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동체인을 매개로 서로 연동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스프로킷; 상기 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투입구로 투입되는 운반물과의 접촉을 방지하고 상기 구동체인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케이스 내로 투입된 운반물을 배출구로 반송시킬 수 있도록 반송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상기 구동체인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반송플라이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구동체인의 상부와 하부의 이동을 각각 안내하도록 상부가이드레일 및 하부가이드레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운반물이 모이도록 상부와 하부를 부분적으로 구획하는 섹터구획판이 설치되고 상기 반송플라이트에 의해 운반물을 배출구로 반송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체인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구름운동되도록 복수 개의 구동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운반물이 구동체인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면서 반송플라이트에 의해 반송되어 작동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케이스 내부로 투입된 운반물이 반송플라이트에만 접촉되면서 반송되므로, 운반물이 클린사양인 경우 이물질이 혼합되지 않도록 운반물을 안전하게 반송시켜서 저장탱크로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송플라이트가 양측 구동체인에 의해 견고히 지지되므로, 종래의 반송플라이트에 비해 비교적 면적을 크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다량의 운반물을 반송시키므로 운반효율을 제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구동체인이 양측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이 안내되므로, 종래에서와 같이 배출구 부근에서 처침으로 인해 케이스와의 마찰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투입구(110) 및 배출구(120)가 구비된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에 구동체인(300)을 매개로 서로 연동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스프로킷(210)(230), 상기 복수의 스프로킷(210)(23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00), 상기 구동체인(300)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운반물(C)과의 실질적인 접촉을 차단하도록 케이스(100)의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레일(130), 상기 케이스(100) 내로 투입된 운반물(C)을 배출구(120)로 반송시킬 수 있도록 반송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구동체인(300)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반송플라이트(500)로 구성된 것을 기술적인 사상으로 한다.
케이스(100)는 내부가 빈 중공관 형태로 길게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입구(110)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120)가 구비되며, 배출구(120)에는 배출된 운반물(C)을 저장하도록 저장탱크(T)가 연결된다.
여기서, 배출구(120)에는 개폐도어(12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 9에는 이러한 개폐도어(122)를 자세히 나타내고 있다. 도 9에서와 같이, 개폐도어(122)는 배출구(120)에 수평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출구(120)의 개폐를 단속하거나 배출되는 운반물(C)의 배출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개폐도어(122)에는 도어실린더(124)가 연결되어 수평으로 슬라이딩 작동된다.
첨부된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케이스(100)의 좌,우 양측에는 가이드레일(130)이 구비되어 구동체인(300)의 이동을 안내하는데, 이러한 가이드레일(130)은 상부가이드레일(132)과 하부가이드레일(134)로 이루어져 구동체인(300)의 이동을 각각 안내하게 된다. 더불어, 가이드레일(130)은 투입구(110)를 통해 케이스(100) 내로 투입된 운반물(C)이 구동체인(300)에 접촉되지 않도록 커버하며, 이를 위해 가이드레일(130)은 도 6에서와 같이 적절한 폭과 높이로 이루어진다.
또한,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상부와 하부를 부분적으로 구획하도록 섹터구획판(150)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투입구(110)를 통해 투입된 운반물(C)이 모이게 되며, 이같이 섹터구획판(150)에 모인 운반물(C)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플라이트(500)에 의해 케이스(100)의 바닥으로 반송된다. 따라서, 투입구(110)를 통해 투입된 운반물(C)은 케이스(100)의 바닥에 그대로 떨어지지 않고 반송플라이트(500)에 의해 적절한 량이 케이스(100)의 바닥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섹터구획판(1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이드레일(132)과 하부가이드레일(134)을 구획하도록 케이스(100)의 양측면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스프로킷은 한 쌍의 좌측스프로킷(210) 및 한 쌍의 우측스프로킷(230)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좌측스프로킷(210)은 케이스(100)의 선단(F) 좌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좌측 구동스프로킷(211)과 케이스(100)의 후단(R) 좌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좌측 종동스프로킷(21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우측스프로킷(230)은 케이스(100)의 선단(F) 우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우측 구동스프로킷(231)과 케이스(100)의 후단(R) 좌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우측 종동스프로킷(233)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좌,우 양측 구동스프로킷(211)(231)은 구동샤프트(220)로 연결되어 동일한 회전비로 회전되는데, 이러한 구동샤프트(220)의 일단부에는 구동모터(400)가 스프로킷(S) 및 체인(CH)으로 연결되어, 구동모터(400)에서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좌우 양측 구동스프로킷(211)(231)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체인(300)은 좌측 구동스프로킷(211)과 좌측 종동스프로킷(213)을 연결하면서 좌측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안내되는 좌측 구동체인(310)과, 우측 구동스프로킷(231)과 우측 종동스프로킷(233)을 연결하면서 우측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안내되는 우측 구동체인(33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좌,우측 구동체인(310)(330)은 도 5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경로를 이루게 되어 좌,우측 가이드레일(130)에 의해 이동이 안내된다. 특히, 좌,우측 구동체인(310)(33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방향을 따라 소정간격-바람직하게는 등간격-으로 구동롤러(32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구름운동되면서 좌,우측 구동체인(310)(330)의 이동을 각각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좌,우측 구동체인(310)(330) 사이에는 반송플라이트(500)가 연결되어 운반물(C)을 반송시키게 된다. 도 7은 좌,우측 구동체인(310)(330) 사이에 연결된 반송플라이트(500)를 자세히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플라이트(500)의 양측에는 취부판(510)이 구비되어 좌,우측 구동체인(310)(330)에 볼트(520)를 매개로 각각 부착되며, 이러한 취부판(510)에 의해 반송플라이트(500)는 좌,우측 구동체인(310)(330) 사이에 안정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좌,우측 구동체인(310)(330)은 장력조절부재(340)에 의해 장력이 조절되는데, 이러한 장력조절부재(3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종동스프로킷(213)(233)을 연결하는 회전축(223)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도록 케이스(100)에 형성된 수평장공(160)과, 이 수평장공(160)을 따라 회전축(223)을 이송시켜서 좌,우측 구동체인(310)(330)의 장력을 조절하는 이송부재로 구성된다. 여기서 수평장공(160)은 케이스(100)의 후단(R) 양측에 형성되어 회전축(223)의 양단부에 대한 수평이동을 안내하는데, 이러한 수평장공(160)은 수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소정의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재는 회전축(223)에 나사결합되는 볼스크류(342)와, 이 볼스크류(342)를 회전시키도록 연결된 모터(도시생략)로 구성되어, 좌,우측 구동체인(310)(330)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회전축(223)을 적절히 전후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모터(400)의 구동에 의해 체인(CH)과 스프로킷(S)으로 연결된 구동샤프트(220)가 회전되어 좌,우측 구동스프로킷(211)(231)을 회전시킨다. 좌,우측 구동스프로킷(211)(231)의 회전으로 좌측 구동체인(310)과 우측 구동체인(330)이 동시에 구동되어 좌,우측 종동스프로킷(213)(233)을 회전시키는데, 이때 좌,우측 구동체인(310)(330)은 좌,우 양측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안내되어 상하 및 좌우 유동이 방지된다.
이어서, 적절한 양의 운반물(C)은 투입구(110)를 통해 케이스(100) 내부로 투입되어 섹터구획판(150)에 떨어지게 되며, 반송플라이트(500)는 구동체인(300)의 구동에 의해 섹터구획판(150)에 떨어진 운반물(C)을 진행방향으로 반송시킨다. 이때, 반송플라이트(500)에 의해 반송되는 운반물(C)은 섹터구획판(150)의 단부에서 케이스(100)의 바닥으로 떨어지게 되지만, 이러한 운반물(C)은 좌,우측 스프로킷(210)(230)을 타고 순환되는 반송플라이트(500)에 의해 이끌리면서 배출구(120) 방향으로 반송된다.
상기와 같이 배출구(120) 방향으로 반송되는 운반물(C)은 개폐도어(122)에 의해 개방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배출구(120)로만 배출되며, 개폐도어(122)에 의해 폐쇄된 배출구(120)로는 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투입구(110)를 통해 투입되는 운반물(C)이 구동체인(30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게 되어 작동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케이스(100) 내부로 투입되는 운반물(C)이 반송플라이트(500)에만 접촉되므로, 클린사양의 운반물(C)에 이물질이 혼합되지 않도록 운반물(C)을 안전하게 반송시켜서 저장탱크(T)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반송플라이트(500)는 좌,우측 구동체인(310)(330)에 의해 견고히 지지되므로, 종래의 반송플라이트(500)에 비해 비교적 면적을 크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다량의 운반물(C)을 반송하여 운반효율을 제고시키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구동체인(300)은 좌,우 양측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구동이 안내되므로, 종래에서와 같이 배출구(120) 부근에서 처침으로 인해 케이스(100)와의 마찰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 대체, 부가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의 다중배출 체인 컨베이어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체인과 반송플라이트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 중 요부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구동체인과 반송플라이트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
도 8은 도 5의 D-D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배출구를 확대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케이스 210 : 한 쌍의 좌측스프로킷
230 : 한쌍의 우측스프로킷 300 : 구동체인
320 : 구동롤러 500 : 반송플라이트

Claims (5)

  1. 투입된 운반물을 반송시켜서 배출시키는 다중배출 체인 컨베이어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투입구 및 배출구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동체인을 매개로 서로 연동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스프로킷;
    상기 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투입구로 투입되는 운반물과의 접촉을 방지하고 상기 구동체인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케이스 내로 투입된 운반물을 배출구로 반송시킬 수 있도록 반송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상기 구동체인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반송플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배출 체인 컨베이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구동체인의 상부와 하부의 이동을 각각 안내하도록 상부가이드레일 및 하부가이드레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배출 체인 컨베이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운반물이 모이도록 상부와 하부를 부분적으로 구획하는 섹터구획판이 설치되고 상기 반송플라이트에 의해 운반물을 배출구로 반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배출 체인 컨베이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구동체인의 상부와 하부의 이동을 각각 안내하도록 상부가이드레일 및 하부가이드레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및 하부가이드레일은 섹터구획판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배출 체인 컨베이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인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구름운동되도록 복수 개의 구동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배출 체인 컨베이어.
KR1020090044380A 2009-05-21 2009-05-21 다중배출 체인 컨베이어 Active KR100933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380A KR100933218B1 (ko) 2009-05-21 2009-05-21 다중배출 체인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380A KR100933218B1 (ko) 2009-05-21 2009-05-21 다중배출 체인 컨베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3218B1 true KR100933218B1 (ko) 2009-12-22

Family

ID=41684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380A Active KR100933218B1 (ko) 2009-05-21 2009-05-21 다중배출 체인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2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188B1 (ko) * 2012-12-03 2013-08-30 대호산업 주식회사 수직형 플라이트 이송컨베이어 장치
CN104176432A (zh) * 2013-10-02 2014-12-03 谈茁 一种适用于工型钢的链式传输设备
CN112204342A (zh) * 2019-05-03 2021-01-08 韩国输送机工业株式会社 利用摩擦音的滚子链的长度估算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8610A (ja) 1982-12-25 1984-07-09 Nomura Sangyo Kk 粉粒体搬送機
JPS63147712A (ja) 1986-12-09 1988-06-20 Chichibu Eng Kk 乾麺移送装置
JPH04371277A (ja) * 1991-06-18 1992-12-24 Kubota Corp バケットコンベヤにおけるバケット
JP2007308282A (ja) 2006-05-19 2007-11-29 Tsubakimoto Bulk Systems Corp フローコンベヤの乗り越し搬送物返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8610A (ja) 1982-12-25 1984-07-09 Nomura Sangyo Kk 粉粒体搬送機
JPS63147712A (ja) 1986-12-09 1988-06-20 Chichibu Eng Kk 乾麺移送装置
JPH04371277A (ja) * 1991-06-18 1992-12-24 Kubota Corp バケットコンベヤにおけるバケット
JP2007308282A (ja) 2006-05-19 2007-11-29 Tsubakimoto Bulk Systems Corp フローコンベヤの乗り越し搬送物返送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188B1 (ko) * 2012-12-03 2013-08-30 대호산업 주식회사 수직형 플라이트 이송컨베이어 장치
CN104176432A (zh) * 2013-10-02 2014-12-03 谈茁 一种适用于工型钢的链式传输设备
CN112204342A (zh) * 2019-05-03 2021-01-08 韩国输送机工业株式会社 利用摩擦音的滚子链的长度估算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1645B2 (en) Accumulation table
US9546048B2 (en) Drum dispenser
KR100933218B1 (ko) 다중배출 체인 컨베이어
US1931454A (en) Conveying mechanism
CN104973412A (zh) 一种带式输送转载装置
US7252186B2 (en) Accumulation table
US2487354A (en) Conveyer for changing course of articles from single to plural rows
KR102416095B1 (ko) 물류이송 콘베이어용 디버터
US1800428A (en) Material-handling machine
CN104477613A (zh) 一种组合输送装置
US3978977A (en) Apparatus for independent adjustment of the tension of conveyor chains
EP3206973A1 (de) Produktflussregulator
JP6484984B2 (ja) 選別皿コンベアの被選別物供給装置
US489289A (en) James m
KR200445084Y1 (ko) 건면정렬장치
US614847A (en) Endless conveyer
CN204564585U (zh) 一种果蔬分级机的传送装置
RU2015148349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материала при сооружении рельсового пути
US1534463A (en) Longwall mining machine
CN106743402A (zh) 由直线转为侧向输出的粮食运送车
US2635734A (en) Continuous flow flight conveyer
US615748A (en) Conveyer
US1792501A (en) Conveyer
US667975A (en) Elevating and conveying apparatus.
US649365A (en) Grain-conve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2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