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32923B1 -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2923B1
KR100932923B1 KR1020070132727A KR20070132727A KR100932923B1 KR 100932923 B1 KR100932923 B1 KR 100932923B1 KR 1020070132727 A KR1020070132727 A KR 1020070132727A KR 20070132727 A KR20070132727 A KR 20070132727A KR 100932923 B1 KR100932923 B1 KR 100932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destination
lqi
ancestor
neighbor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2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5249A (ko
Inventor
정훈
이종오
이종영
김봉수
채종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32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2923B1/ko
Priority to US12/808,522 priority patent/US20110125922A1/en
Priority to PCT/KR2008/004023 priority patent/WO2009078525A1/en
Publication of KR20090065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48Routing tree calc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라우팅경로설정장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디바이스의 무선통신거리내에 있는 주변 디바이스의 정보를 저장하는 네이버테이블; 네이버테이블에 전송디바이스가 전송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디바이스의 주소를 나타내는 목적지의 주소, 목적지의 부모 주소, 목적지의 조상 주소가 존재하는지 차례로 검색하는 검색부; 및 검색부에서 주소가 검색되는 경우, 주소의 LQI(Link Quality Indicator)값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시 데이터를 수신디바이스로 전송하는 LQI판단부;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70132727
라우팅 경로 설정, 무선센서 네트워크

Description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a routing ways in wireless sensor network}
본 발명은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효율적으로 데이터의 발생지에서 목적지까지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핵심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5-S-038-03, 과제명: UHF RF-ID 및 Ubiquitous 네트워킹 기술 개발].
기존의 무선 센서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발생지에서 목적지 주소까지의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진다.
첫번째 방법은 별도의 경로 탐색 메시지를 이용하지 않고 주소 할당방법만을 이용하여 부모 디바이스와 자식 디바이스간의 통신을 통하여 최종 목적지 주소까지 경로를 찾아가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방법은 별도의 경로 탐색 메시지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매우 단순한 알고리즘으로 구현이 가능한 이점이 있으나, 바로 옆에 있는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도 많은 전송 경로를 가지게 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두번째 방법은 목적지 주소로의 경로를 결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목적지 주소까지의 경로 탐색을 하기 위한 메시지를 주변의 디바이스에 브로드캐스팅 하여 그에 대한 응답을 통하여 최종 목적지 주소까지의 경로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방식은 데이터의 발생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 중 최적의 경로를 찾아낼 수 있는 장점을 가지지만, 별도의 경로탐색 메시지를 사용함으로 경로탐색에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과 라우팅 경로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테이블이 요구됨으로 인하여 작은 메모리 공간을 가지고 있는 소형 무선 센서네트워크에서 활용상의 제약점을 지닌다.
본 발명은 위의 배경 기술에서 설명된 두 가지 방법의 장점만을 이용하여, 별도의 경로 탐색을 위한 메시지를 이용하지 않고도, 주소 할당 방법만을 이용한 방식에 비하여 짧은 라우팅 경로를 가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PAN 내에 존재하는 디바이스가 가지고 있는 무선통신거리내에 존재하는 주변 장치의 정보 및 주소할당방법을 활용하여 본 발명에서는 최종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결정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경로 탐색을 위한 별도의 메시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기존의 주소 할당방법 및 부모 디바이스와 자식 디바이스간의 통신만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발생되는 긴 전송 경로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이점을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별도의 경로탐색 메시지를 사용함으로 경로탐색에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을 해결하고 작은 메모리 공간을 지니고 있는 소형 무선 센서네트워크에서 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라우팅경로설정장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디바이스의 무선통신거리내에 있는 주변 디바이스의 정보를 저장하는 네이버테이블; 상기 네이버테이블에 상기 전송디바이스가 전송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 신디바이스의 주소를 나타내는 목적지의 주소, 상기 목적지의 부모 주소, 상기 목적지의 조상 주소가 존재하는지 차례로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부에서 주소가 검색되는 경우, 상기 주소의 LQI(Link Quality Indicator)값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수신디바이스로 전송하는 LQI판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 설정 방법은 네이버테이블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디바이스의 무선통신거리내에 있는 주변 디바이스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네이버테이블에 상기 전송디바이스가 전송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디바이스의 주소를 나타내는 목적지의 주소, 상기 목적지의 부모 주소, 상기 목적지의 조상 주소가 존재하는지 차례로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부에서 주소가 검색되는 경우, 상기 주소의 LQI값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수신디바이스로 전송하는 LQI판단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보다 더 충실하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 수준의 변경이나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을 명기하는 바 이다.
도 1 은 ZigBee 기반의 주소할당 방법에 따라 주소가 할당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에서 최대 트리 라우팅 깊이(Lm, Depth of tree) 는 3, 최대 자식으로 가질 수 있는 라우터의 수(Rm)는 2 그리고 최대 가질 수 있는 자식의 수(Cm)는 3으로 가정하였다. 이 경우 Cskip(d)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Cskip(d) = 1 + Cm(Lm - d -1), if Rm=1
Cskip(d) =
Figure 112007090756255-pat00001
, Rm≠1
수학식 1에서 Cskip(d) 는 d 라는 트리 라우팅 깊이를 지니는 장치들의 가지는 주소 블럭의 크기를 나타낸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Cskip(1)은 코디네이터에 접속된 라우터 장치가 가질 수 있는 주소 블록의 크기를 의미한다. 또한, 여기서 주소 블록은 자손에게 최대 몇 개의 주소를 할당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고, 자손은 자신의 자식 디바이스, 그 자식 디바이스의 자식(손자) 및 손자의 자식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표 1 은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ZigBee 규격에 따라 자신의 무선통신거리내에 있는 주변 노드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네이버 테이블(Neighbor Table) 을 도시한다.
도 2 은 목적지로 전송할 데이터가 생성된 디바이스에서 표 1의 네이버 테이 블을 이용하여 목적지로 데이터를 보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목적지 주소는 표 1의 네트워크 어드레스(Network Address)를 나타낸다. 목적지로 전송할 데이터가 생성된 디바이스에서는 먼저 네이버 테이블에 목적지 주소와 동일한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있는지 파악한다(S210). 네트워크 테이블에 목적지 주소가 있는 경우 목적지 주소의 LQI(Link Quality Indicator)를 확인한후(S211), LQI 값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데이터를 전송한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는 도 6을 참고한다.
네이버 테이블에 목적지 주소와 동일한 네트워크가 없거나(S210), 또는 S212 단계에서 LQI값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지 못하는 경우, 네이버 테이블에 목적지 주소의 부모와 동일한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있는지 파악한다(S120). 그 후 네이버 테이블에 있는 목적지 주소의 부모 디바이스의 LQI를 확인하고(S221), LQI 값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데이터를 전송한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는 도 7을 참고한다
네이버 테이블에서 목적지 주소 또는 목적지 부모의 주소를 찾지 못한 경우(S210, S120), 네이버 테이블에서 목적지 주소의 조상이 있는지 확인한다(S230). 조상이 있는 경우, 네이버 테이블에 있는, 예를 들어, 표 1의 Field Name에서 LQI로 표시된 기준값 중 큰 LQI를 지니는 목적지 주소의 조상 디바이스 중 목적지 주소와 가장 가까운 깊이(Depth)를 선택한다.
이상을 거친 결과, 네이버 테이블에 목적지 주소, 목적지 주소의 부모 내지 조상 어느 것도 찾지 못한 경우, 네이버 테이블에서 기준값보다 큰 LQI 값을 가진 디바이스 중 가장 낮은 깊이를 지니는 조상을 선택한 후(S240) 데이터를 전송한다. 구체적인 예는 도 9를 참고한다.
도 2 에서 각 할당된 주소의 깊이를 찾아내는 방법은 표 2에 일 실시예로 기술된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목적지 주소의 트리 라우팅 깊이를 계산한 후, 각 네이버 테이블에서 네트워크 어드레스에 대하여 트리 라우팅 깊이를 계산한다.
표 2에서 할당된 주소를 A, 할당된 주소의 깊이를 Depth, 목적지 주소를 D 및 Cskip을 트리 라우팅의 깊이라고 할 경우,
A < D < A+Cskip
을 만족시키는 경우, 목적지 주소 D는 A라는 주소를 가지는 디바이스의 자손임이 확인된다. 그리고, 만약 A라는 주소를 가지는 디바이스와 목적지 D간에 트리 라우팅 깊이가 1 차이가 나는 경우, A라는 주소를 가지는 디바이스는 D의 직계 부모 디바이스임이 확인된다.
도 3 는 도 2 의 절차에 따라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한 디바이스가 수신된 데이터를 최종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2 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과정을 거쳐 데이터를 수신한 후 최종 목적지까지 전달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도 1과 관련하여 기술한 ZigBee 기반의 주소 할당방법에 따라 생성되는 토폴로지를 도시한다. 도 2 에서 라우팅 깊이는 5, 최대 자식수는 20, 그리고 최대 라우터의 수는 6으로 설정하였다.
도 2 및 도 3의 흐름도를 기초로 본 발명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디바이의 무선통신 거리내에 목적지 디바이스가 있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는 주소할당방법만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일 실시예이다.
도 4에서 주소 25를 가지는 디바이스(410)에서 주소 5206(420)을 가지는 디바이스로 데이터가 전송되어야 하는 경우, 경로 탐색 메시지를 이용하지 않고 주소 할당방법만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되는 경우는 도 5의 경우와 같이 전송된다.
도 6 은 무선통신거리내의 주변 디바이스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무선통신 거리내의 주변 디바이스의 정보를 활용할 경우, 별도의 경로 탐색메시지를 이용하지 않고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짧은 경로를 찾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의 원(600)은 주소 25를 가지는 디바이스(610)의 무선통신거리를 나타낸다.
따라서, 주소 5206을 가지는 디바이스(620)는 주소 25를 가지는 디바이스(610)의 무선통신 거리내에 있음으로, 주소 5206을 가지는 디바이스(620)에 대한 네이버 테이블의 LQI 값이 기준값보다 크면 주소 25를 가지는 디바이스(610)는 데이터를 데이터 주소 5206을 가지는 디바이스(620)에 바로 전송하게 된다.
도 7 은 데이터를 송신하는 디바이스 자신의 무선통신 거리내에 목적지 디바이스는 존재하지 않으나, 목적지 주소의 부모가 있는 경우 주변 디바이스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 은 도 5 및 6에서 설명된 예와 같이 주소 25를 가지는 디바이스(710)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주소 5206을 가지는 디바이스(720)로 전송하는 경우이나, 각 디바이스의 무선통신거리(700)가 도 5 및 도 6 보다 짧은 경우이다.
이 경우, 주소 할당방법만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는 과정은 도 5에 도시된 경우와 동일하다. 그러나, 주변 디바이스의 정보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도 7과 같은 방식으로 전달된다.
주소 25를 가지는 디바이스(710)는 자신의 무선통신 거리내(700)에 목적지 디바이스인 5206 주소를 지닌 디바이스(720)는 존재하지 않으나, 목적지 주소의 부모(721)가 존재하는 경우, 5184 주소를 지닌 디바이스(721)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8 및 도 9는 데이터가 발생된 디바이스의 주변 디바이스에 목적지 디바이스 및 목적지 디바이스의 부모 내지 조상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데이터의 전달 방식을 도시한다.
도 8 은 주소할당방법만을 이용하여, 도 4에서 주소 5185를 지니는 디바이스(810)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주소 10366을 지니는 디바이스(820)로 전송하는 경우이다.
도 9 는 무선통신거리내의 주변 디바이스 정보를 활용하여, 도 4에서 주소 5185를 지니는 디바이스(910)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주소 10366을 지니는 디바이스(920)로 전송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9와 같이 네이버 테이블에 목적지 주소, 목적지 주소의 부모 내지 조상 어느 것도 찾지 못한 경우, 네이버 테이블에서 기준값보다 큰 LQI 값을 가진 디바이스 중 가장 낮은 깊이를 지니는 조상(911, 912)을 선택한 후 데이터를 전송한다.
"910"의 네이버 테이블에는 3, 4, 25, 144, 5183, 5184, 5206, 6044, 6186, 6045, 6067, 6046 의 주소를 지니는 디바이스들의 정보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이들 주소를 지니고 있는 디바이스 중에는 목적지인 920의 주소인 10366의 조상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는다.
주소 디바이스 중 910의 조상은 주소 5184와 주소 5183을 가지는 두 개의 디바이스이며, 이 중 주소 5183을 가지는 디바이스의 깊이는 2이고, 주소 5184를 가지는 디바이스의 깊이는 3이므로, 910은 네이버 테이블에서 가장 낮은 깊이를 가지는 자신의 조상인 911을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911은 다시 자신의 네이버 테이블에서 목적지 920의 주소나 920의 조상 디바이스를 찾게 되고 912는 목적지 920의 부모 디바이스이므로 911은 912에게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라우팅경로설정장치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라우팅경로설정장치는 네이버테이블(1010), 검색부(1020), LQI판단부(1030) 및 연결부(1040)를 포함한다.
네이버테이블(1010)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디바이스의 무선통신거리내에 있는 주변 디바이스의 정보를 저장한다. 이 경우 저장되는 정보의 예로는 표 1을 참고한다.
검색부(1020)에서는 LQI(1030)과 함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과정을 수행한 다. 먼저, 네이버테이블(1010)에 전송디바이스가 전송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디바이스의 주소를 나타내는 목적지의 주소, 상기 목적지의 부모 주소, 상기 목적지의 조상 주소가 존재하는지를 차례로 검색한다.
검색과정에서 목적지 주소가 검색된 경우, LQI판단부(1030)를 통해 목적지 주소의 LQI(Link Quality Indicator)값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한다. 초과하는 경우에는 데이터를 수신디바이스로 전송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다시 검색부(1020)에서 다음 주소인 목적지의 부모 주소가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목적지의 부모 주소가 검색된 경우, LQI판단부(1030)를 통해 목적지 부모 주소의 LQI(Link Quality Indicator)값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한다. 초과하는 경우에는 데이터를 수신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목적지 부모 주소의 LQI(Link Quality Indicator)값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는 다시 검색부(1020)에서 다음 주소인 목적지의 조상 주소가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목적지의 조상 주소가 검색된 경우, LQI판단부(1030)를 통해 목적지 조상 주소의 LQI(Link Quality Indicator)값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한다. 초과하는 경우에는 데이터를 수신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다만, 이 경우 네이버테이블에서 상기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LQI 값을 지닌 상기 목적지의 조상 주소 중 상기 목적지 주소와 가장 가까운 깊이를 지닌 주소를 선택한다.
연결부(1040)는 목적지의 조상 주소의 LQI(Link Quality Indicator)값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네이버테이블 내에서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LQI 값을 지닌 주소 중 가장 낮은 깊이(Depth)를 지닌 조상을 선택한 후 데이터를 전송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Figure 112007090756255-pat00002
Figure 112007090756255-pat00003
도 1 은 ZigBee 기반의 주소할당 방법에 따라 주소가 할당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2 은 목적지로 전송할 데이터가 생성된 디바이스에서 표 1의 네이버 테이블을 이용하여 목적지로 데이터를 보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 는 도 2 의 절차에 따라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한 디바이스가 수신된 데이터를 최종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도 1과 관련하여 기술한 ZigBee 기반의 주소 할당방법에 따라 생성되는 토폴로지를 도시한다.
도 5 는 주소할당방법만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일 실시예이다.
도 6 은 무선통신거리내의 주변 디바이스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 은 데이터를 송신하는 디바이스 자신의 무선통신 거리내에 목적지 디바이스는 존재하지 않으나, 목적지 주소의 부모가 있는 경우 주변 디바이스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 은 주소할당방법만을 이용하여, 도 4에서 주소 5185를 지니는 디바이스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주소 10366을 지니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9 는 무선통신거리내의 주변 디바이스 정보를 활용하여, 도 4에서 주소 5185를 지니는 디바이스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주소 10366을 지니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라우팅경로설정장치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다.

Claims (10)

  1.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디바이스의 무선통신거리내에 있는 주변 디바이스의 정보를 저장하는 네이버테이블;
    상기 네이버테이블에 상기 전송디바이스가 전송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디바이스의 주소를 나타내는 목적지의 주소, 상기 목적지의 부모 주소, 상기 목적지의 조상 주소가 존재하는지 차례로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부에서 주소가 검색되는 경우, 상기 주소의 LQI(Link Quality Indicator)값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수신디바이스로 전송하는 LQI판단부;를 포함하는 라우팅경로설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에서 검색된 주소의 LQI값이 상기 LQI판단부에서 상기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색부에서 상기 차례로 다음 주소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우팅경로설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에서 상기 목적지의 주소, 상기 목적지의 부모 주소 및 상기 목적지의 조상 주소 중 적어도 하나라도 검색하지 못한 경우,
    상기 네이버테이블에서 상기 기설정된값을 초과하는 LQI 값을 지닌 주소 중 가장 낮은 깊이(Depth)를 지닌 조상을 선택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우팅경로설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에서 상기 목적지의 조상 주소를 검색한 경우, 상기 네이버테이블에서 상기 기설정된값을 초과하는 LQI 값을 지닌 상기 목적지의 조상 주소 중 상기 목적지 주소와 가장 가까운 깊이를 지닌 주소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우팅경로설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이버테이블은
    ZigBee 기반의 주소할당 방법 및 ZigBee 규격에 따라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우팅경로설정장치.
  6.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 설정 방법으로서,
    네이버테이블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디바이스의 무선통신거리내에 있는 주변 디바이스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네이버테이블에 상기 전송디바이스가 전송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디바이스의 주소를 나타내는 목적지의 주소, 상기 목적지의 부모 주소, 상기 목적지의 조상 주소가 존재하는지 차례로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하는 단계에서 주소가 검색되는 경우, 상기 주소의 LQI값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수신디바이스로 전송하는 LQI판단단계;를 포함하는 라우팅경로설정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단계에서 검색된 주소의 LQI값이 상기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색단계에서 상기 차례로 다음 주소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우팅경로설정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단계에서 상기 목적지의 주소, 상기 목적지의 부모 주소 및 상기 목적지의 조상 주소 중 적어도 하나라도 검색하지 못한 경우,
    상기 네이버테이블 내에서 상기 기설정된값을 초과하는 LQI 값을 지닌 주소 중 가장 낮은 깊이를 지닌 조상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우팅경로설정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단계에서 상기 목적지의 조상 주소를 검색한 경우, 상기 네이버테이블에서 상기 기설정된값을 초과하는 LQI 값을 지닌 상기 목적지의 조상 주소 중 상기 목적지 주소와 가장 가까운 깊이를 지닌 주소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우팅경로설정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네이버테이블은
    ZigBee 기반의 주소할당 방법 및 ZigBee 규격에 따라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우팅경로설정방법.
KR1020070132727A 2007-12-17 2007-12-17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0932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727A KR100932923B1 (ko) 2007-12-17 2007-12-17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
US12/808,522 US20110125922A1 (en) 2007-12-17 2008-07-09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routing path in wireless sensor network
PCT/KR2008/004023 WO2009078525A1 (en) 2007-12-17 2008-07-09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routing path in wireless sensor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727A KR100932923B1 (ko) 2007-12-17 2007-12-17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249A KR20090065249A (ko) 2009-06-22
KR100932923B1 true KR100932923B1 (ko) 2009-12-21

Family

ID=40795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2727A KR100932923B1 (ko) 2007-12-17 2007-12-17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125922A1 (ko)
KR (1) KR100932923B1 (ko)
WO (1) WO20090785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99425A1 (en) * 2009-02-12 2011-12-08 Praveen Kumar Addressing and Routing Scheme for Distributed Systems
US20120093087A1 (en) * 2009-06-29 2012-04-19 Nokia Corporation Trail-Based Data Gathering Mechanism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with Mobile Sinks
CN102271070A (zh) * 2010-06-01 2011-12-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个人网的业务数据传输方法及系统
KR20130048547A (ko) * 2011-11-02 2013-05-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Lqi를 이용한 위치 기반의 라우팅 장치 및 방법
CN103476081B (zh) * 2013-09-11 2017-05-03 北京交通大学 一种无线传感器网络中路由的方法
CN114465935B (zh) * 2022-01-11 2024-05-14 深圳绿米联创科技有限公司 为网络系统生成网络拓扑图的方法及相关设备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45978A1 (en) * 2001-04-05 2002-10-10 Batsell Stephen G. Mrp-based hybrid routing for mobile ad hoc networks
EP1631916A1 (en) * 2003-06-06 2006-03-08 Meshnetworks, Inc. A method to provide a measure of link reliability to a routing protocol in an ad hoc wireless network
US7324824B2 (en) * 2003-12-09 2008-01-29 Awarepoint Corporation Wireless network monitoring system
US8059009B2 (en) * 2006-09-15 2011-11-15 Itron, Inc. Uplink routing without routing table
CA2705093A1 (en) * 2007-11-25 2009-05-28 Trilliant Networks, Inc. Communication and message route optimization and messaging in a mesh network
US7881206B2 (en) * 2007-12-31 2011-02-01 Oracle Americ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sh routing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지그비 계층적 라우팅의 성능 향상 기법’*
'LQHR: A Link Quality-based Hybrid Routing Protocol for Wireless Ad Hoc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78525A1 (en) 2009-06-25
KR20090065249A (ko) 2009-06-22
US20110125922A1 (en)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2923B1 (ko)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
US7660319B2 (en) Mobile terminal device, topology management device, location management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6845084B2 (en) Routing protocol selection for an ad hoc network
KR101847360B1 (ko) 위치 기반 서비스들을 구현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0602814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a channel to a wireless interface
CN101147380B (zh) 用于高效扩展p2p网络的方法和装置
CN101640623A (zh) 在对等网络中搜索资源的方法和设备
KR101411321B1 (ko) 액티브 노드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이웃 노드의 관리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기록매체
KR100885687B1 (ko) 비컨 스케줄링을 위한 슈퍼프레임 결정 방법
CN102571936B (zh) 数据查找的方法、装置及系统
KR101113052B1 (ko) 엘아이지알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 센서 및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
KR100932914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장치 및 방법
CN109005523B (zh) 一种车联网的跨层路由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8521924B2 (en) Method of context aware data-centric storage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Berdibek et al. A routing protocol for source location privacy in wireless sensor networks with multiple sources
KR100879725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트리 라우팅 방법 및 장치
Martin et al. Tracer assisted passive named data routing for underwater sensor networks
KR101068716B1 (ko) 센서 네트워크에서 패킷의 송신 경로를 역추적하는 방법
KR100886822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비컨 스케줄링 방법
US918502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path management packet
Sharif et al. Sdn-enabled content dissemination scheme for the internet of vehicles
KR20120070957A (ko) 근거리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종단 디바이스를 위한 라우팅 방법 및 그 종단 디바이스
Kok et al. Reducing broadcast redundancy in wireless ad-hoc networks with implicit coordination among forwarding nodes
KR101264380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제어 방법
CN116456308B (zh) 一种面向动态频谱环境的车联网分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1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3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