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2106B1 - Drainage sheet and drainage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rainage sheet and drainage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32106B1 KR100932106B1 KR1020090029456A KR20090029456A KR100932106B1 KR 100932106 B1 KR100932106 B1 KR 100932106B1 KR 1020090029456 A KR1020090029456 A KR 1020090029456A KR 20090029456 A KR20090029456 A KR 20090029456A KR 100932106 B1 KR100932106 B1 KR 1009321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phon
- sheet
- drainage
- width
- heigh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4416 thermosoftening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2262 irri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3973 irr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5 building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93 suppor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76 cleavage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017 sc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30 addi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25—Draining membranes, sheets or fabric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ith dimp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8—Siph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출수 배출공사를 위한 배수시트는,가요성이면서 내후성인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사이펀물매(122),배수통로(10),지지교각(121),배수통로(10),사이펀물매(122),집수로(30),사이펀물매(122)가 시트바닥에서 상층부로 폭방향으로 반복배치된체 연속길이로 압출형성되는 시트본체(120)의 지지교각(121)에는 후술하는 사이펀커버(110)의 지지교각슬롯(111) 사이에 형성된 홈에 일체로 결합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수통로(10)사이의 지지교각(121)은 시트본체(120)의 시트바닥에서 위로 높이9㎜ 폭1.5㎜로 돌출형성되며, 지지교각의 양편으로 2㎜ 폭으로 이격되고 바닥이 둥근 배수통로(10)는 지지교각(121) 좌우에 폭 1.5㎜로 상단이 둥글게 돌출된 사이펀물매(122) 상층높이에서 7.5㎜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사이펀물매(122)사이의 집수로(30)는 사이펀물매(122) 상층높이로부터 깊이2.5㎜ 폭5.5㎜로 이루어지며, 사이펀커버(110)는 상층부에서 하방향으로 높이5.5㎜ 폭1.5㎜ 규격으로 돌출된 2개의 지지교각슬롯(111)에 사이에 깊이4.5㎜ 폭1.5㎜의 사이펀커버(110) 홈이 형성되고, 지지교각슬롯(111) 양 외편으로는 2.5㎜ 이격되며, 양측테가 하방으로 2.5㎜ 돌출된 사이펀컬러(112)가 연속길이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rainage sheet for the leachate discharge construction, a flexible and weather-resistant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siphon material 122, drainage passage 10, support piers 121, drainage passage 10, siphon water 122, The support bridge 121 of the sieve cover 1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in the support bridge 121 of the water collecting channel 30 and the siphon material 122, which is extruded in a continuous length from the seat bottom to the upper layer portion. It is integrally formed in the groove formed between the support piers slot 111, the support piers 121 between the drain passage 10 protrudes from the seat bottom of the seat body 120 to a height of 9 mm width 1.5 mm The drainage passage 10 having a width of 2 mm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iers and having a round bottom is 7.5 mm deep from the height of the upper siphon liquid 122 protruding round at the top of the support piers 121 at a width of 1.5 mm. And the water collecting passage 30 between the siphon material 122 is the height of the upper layer of the siphon material 122. The siphon cover 110 has a depth of 4.5 mm and a width of 1.5 mm between two support piers slots 111 protruding from the upper layer portion to a height of 5.5 mm and a width of 1.5 mm. The siphon cover 110 groove is formed, and the outer side of the support pier slot 111 is spaced 2.5mm, both sides of the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phon color 112 protruding downward 2.5mm in a continuous length direction. .
도 2 2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로의 절토지 경사면,터널,농지,골프장,일반건축물 공사에 있어서의 지하관개 및 배수에 사용되는 배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배수공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age sheet used for underground irrigation and drainage in cut land slope, tunnel, farmland, golf course, general building construction of roads and drainag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배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의 절토지 경사면,터널,농지,골프장,일반건축물 공사에 있어서의 지하관개 및 배수에 사용되는 가요성이면서 얇고 내후성인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배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배수공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age sheet and a drainage method using the same, and in particular, made of flexible, thin and weather resistant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used for underground irrigation and drainage in cut slopes, tunnels, farmland, golf courses, and general buildings. It relates to a drainage sheet and a drainage method using the same.
통상 토목현장에서 지하관개 및 배수에 사용되는 배수장치중 가장 흔하게는 쇄석이나 자갈층을 형성하여 침투수를 처리하였지만, 최근에는 투과성파이프나, 배수판, 배수시트재를 이용해 토목현장의 지하관개 및 배수에 이용하거나 일반건축물의 지하층 침투수나 결로수를 방지하는 기술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The most common drainage system used for underground irrigation and drainage in civil works is the formation of crushed stone or gravel layers to treat the infiltrated water. However, recently, permeable pipes, drain plates, and drainage sheets are used for underground irrigation and drainage. The use of technology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the basement or condensation of the general building is the mainstream.
국내 등록특허 제367108호에 따른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배수공법에 의하면,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판과 판 아래로 유연성을 가지는 얇은 막으로 일체 성 형되거나 부착되는 코어수단으로 구성된 배수판에 의해서는 건축물의 최하층 바닥콘크리트구조체와 무근콘크리트 사이에 방수부분 또는 방수층 없이 최하층 바닥위에 바로 설치하여 배수판의 상부에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타설해 배수판의 코어 사이로 유도된 지하침투수 및 결로수가 집수정에 모이면 배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drainage plate according to the Korean Patent No. 367108 and the drainage method using the same, the bottom layer of the building by the drainage plate consisting of a plate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and a core means integrally formed or attached to a thin film having flexibility under the plate It is installed directly on the bottom floor without the waterproof part or waterproofing layer between the bottom concrete structure and the bare concrete, and then the concrete impregnated water and condensation water induced between the cores of the drain plate by draining concrete or mortar on the upper part of the drain plate. Is done.
이와 같은 배수판에 의한 배수공법은 콘크리트나 모르타르를 타설하지 않은 일반 도로의 절토지 경사면,터널,농지,골프장,일반건축물 공사에 있어서의 지하관개 및 배수장치로 사용되기는 구멍과 판 사이에 토사층이 충진되어 배수로가 폐색되는 결과를 가져온다.The drainage method using the drainage plate fills the soil layer between the hole and the plate, which is used for underground irrigation and drainage in cut slopes, tunnels, farmland, golf fields, and general buildings in concrete roads without concrete or mortar. This results in the drainage blockage.
또한, 국내의 등록특허 제777800호에서와 같이 도로나 철로의 터널과 같은 토목공사의 지하수 배수용 배수판으로 사용되는 것으로,하부면에 컵 형상의 지지교각이 형성된 판체로 지지교각의 하부에 부직포를 깔고 상기 배수판을 덮고 배수판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기본적으로 타설되는 쇄석자갈층에 상기 배수판을 덮는 다른 시공방식으로도 적용됨을 개시하여, 배수판 하부의 지지교각이 지지를 받는 바닥면과의 간격 사이로 지하수 유동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배수판은 주로 도로나 철로의 터널내 배수시설에 적용하는데 용이하나, 역시 종전기술과 같이 콘크리트나 모르타르를 타설하지 않은 일반 도로의 절토지 경사면,터널,농지,골프장,일반건축물 공사에 있어서는, 장시간에 걸친 사용 이후에는 지하수 유동통로를 따라 유입된 토사가 쇄석자갈층으로 유입되어 지지교각 하부공간을 폐색되어 그 효과가 반감되는 결과를 예측하게 됨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it is used as a drainage plate for groundwater drainage in civil engineering, such as roads or railway tunnels, as in Korean Patent No. 777800, and a non-woven fabric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iers with a plate body having a cup-shaped support piers formed on its bottom surface. It is also applied to other construction methods that cover the drainage plate and cast concrete on the drainage plate, or cover the drainage plate in the crushed gravel layer, which is basically poured, so that the supporting piers at the bottom of the drainage plate are spaced between the supported bottom surface and the gap. Although it is characterized by the formation of a passage, such a drain plate is easy to apply mainly to the drainage facility in the tunnel of the road or railway, but also cut slopes, tunnels, In farmland, golf course, general building construction, after using for a long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result is a flowing soil along the path is not crushed gravel layer flows into the lower space to be closed the pier, the effect is the half predicted.
또 한편, US 005934828 A와 같은 스트랩 배수재에 따르면,토양덮개내에 매립되는 얇은 스트랩 배수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표면상에 밀집되게 제공되는 소구경의 배수수집구멍들의 좁은 개열홈들에서 생성되는 모세관작용으로 토양덮개내에 포함된 물을 홈내부로 흡수하여,상기 홈들의 임의 부위에서 수준(water level)의 하강에 의해 형성되는 흡관력(siphonic force)으로 물을 흡수해 방출하도록 하는 배수시트로 이루어진 것으로, 배수시트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수수집구멍이 지층을 향하도록 설치하거나, 배수수집구멍이 없는 측면을 구조물의 벽에 근접되게 설치매립하여 토양으로부터 구조물 벽내로 물을 차단시키는 방수막으로 사용하는,한편 토양압력에 대한 저항성을 강화하기 위해 강화부재가 부착된 스트랩배수재에 관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 strap drainage material such as US 005934828 A, a capillary tube is formed in the narrow cleavage grooves of the small diameter drainage collection hol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n strap drainage embedded in the soil cover and provided compactly on the surface thereof. It consists of a drainage sheet to absorb the water contained in the soil cover into the groove by the action, to absorb and release the water by the siphonic force formed by the lowering of the water level in any portion of the grooves It is to be installed so that the drainage collecting hole formed in the drainage sheet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strata, or install a side without the drainage collecting hole adjacent to the wall of the structure to be used as a waterproof membrane to block water from the soil into the structure wall, On the other hand it relates to a strap drainage with a reinforcing member to strengthen the resistance to soil pressure.
한편,이의 개량발명인 US 6,247,874 B1와 개시된 배수스트랩설비도 얇은 스트랩 배수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표면상에 밀집되게 제공되는 소구경의 배수수집구멍과 홈이 형성된 가요성 시트형상은 길이방향으로 고속생산하기에 용이하지 않으며, 폭방향의 당김저항이 약해 스트랩이 쉽게 파손되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수평 및 수직 또는 겹쳐짜기 형태의 섬유 또는 강철단섬유를 스트랩 본체내에 매립 형성하며, 또한 배수수집구멍이 없는 면에 큰 인장강도를 가하고자 직선 또는 곡선의 가로리브와 폭 방향으로 겹이음부를 형성한 배수스트랩재가 제안되였다.On the other hand, its improved invention, US 6,247,874 B1 and the disclosed drainage straps also have a small diameter drainage collecting hole and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n strap drainage and provided densely on the surface thereof. In order to overcome the disadvantage that the strap is not easy to produce and the pull resistance in the width direction is easily broke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or overlapping fiber or steel short fibers are embedded in the strap body, and the drain collecting hole In order to apply a large tensile strength to the surface without the water, a drainage strap material having a straight or curved transverse rib and overlapping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has been proposed.
상기와 같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표면상에 밀집되게 제공되는 소구경의 배수수집구멍들의 좁은 개열홈이 형성되며, 단섬유를 내포하고 배수수집구멍이 없는면에 다양한 리브를 형성한 것에 의하여, 인장강도가 증진하고 미끌림이 감소 되는 효과를 기대하지만, 연속길이방향의 시트형상재의 일측면에 좁은 홈과 구멍을 형성한체 내부에 단섬유를 포함하고 이측면에 다양한 리브를 형성한 스트랩배수재는 여전히 길이방향으로 고속생산하기에 용이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By forming a narrow cleavage groove of the small diameter drain collecting hol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ovided densely on the surface thereof, by forming various ribs on the surface containing short fibers and no drain collecting hole, Expect the effect of increasing tensile strength and reducing slippage, but the strap drainage material with short ribs and various ribs on the back side with narrow grooves and holes on one side of the sheet-shaped material in the continuous length direction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is not easy to high-speed produ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길이방향의 슬릿 형상의 홈에 모세관작용으로 스며드는 물의 표면장력으로 슬릿부분이 막힌체 구멍을 통해 흡관력(siphonic force)이 발생되는 경우는 상기 슬릿형상의 홈이 배수되는 물에 의해 진공상태를 유지해야만 흡관력이 발생하나, 물의 표면장력으로 슬릿형상 부위를 완벽하게 차단하지 못해 흡관력의 효과보다는 모세관과 길이방향으로 매립되는 배수스트랩의 위치에너지차에 의한 배수효과에 따른 것으로 분석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when a siphonic force is generated through a hole in which the slit portion is clogged by the surface tension of water penetrating into the longitudinal slit-shaped groove by the capillary action, the slit-shaped groove is drained by vacuum. The suction force is generated only when it is maintained, but due to the surface tension of the water, the slit-shaped area cannot be completely blocked. will b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배수판이나 배수스트랩들과는 달리 연속길이방향으로 고속생산성이 매우 탁월하며, 토양의 압력으로 인하여 배수통로들이 폐색되는 염려를 일소시키고, 특히 배수수집구멍인 슬릿부분의 폐색을 물의 표면장력에 의해서만 배수구멍내 진공이 효과적으로 형성되지 높은 흡관력이 발생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완벽한 사이펀현상에 의한 배수를 유도하여,도로의 절토지 경사면,터널,농지,골프장,일반건축물 공사에 있어서의 지하관개 및 배수에 사용되는 가요성이면서 얇고 내후성인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신규의 배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배수공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excellent in high-speed productivity in the continuous length direction, unlike the drainage plate or drainage straps as described above, to eliminate the concern that the drainage passages are blocked due to the pressure of the soil, in particular the blockage of the slit portion drainage holes It solves the problem that the vacuum in the drain hole is not effectively formed only by the surface tension of the water, and the high suction force is not generated, and the drainage by the perfect siphon phenomenon is induced, and the slope of the road, tunnel, farmland, golf field, general building construction It is to provide a novel drainage sheet made of a flexible, thin and weather-resistant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used for underground irrigation and drainage and drainage method using the same.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가요성이면서 내후성인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연속길이방향의 폭 방향으로 높이 9㎜, 폭 1.5㎜의 지지교각(121)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교각 좌우로 폭 2㎜ 깊이 7.5㎜ 길이방향 바닥 반경이 1㎜ 라운드형 배수통로(10)를 형성하는 반경 0.5㎜의 라운드로 폭 1.5㎜ 높이 8.5㎜의 사이펀물매(122)는 연속길이방향의 좌우 폭 방향으로 바닥 반경이 1㎜ 라운드로 폭 5.5㎜ 깊이 2.5㎜로 형성되는 집수로(30) 중간폭을 기준으로 좌우 연속 반복되는 일정폭의 시트본체(120)와;상기 시트본체(120)의 연속길이방향 각 지지교각(121) 상에는 연속길이방향 의 폭 11.5㎜ 하면으로 폭 1.5㎜ 높이 5.5㎜의 지지교각슬롯(111) 양안에 폭 1.5㎜ 깊이 4.5㎜의 홈이 형성되며, 지지교각슬롯 양안으로는 바닥 반경이 1㎜ 라운드로 폭 2.5㎜의 깊이 2.5㎜ 홈이 형성되도록, 폭 1㎜ 반경이 1㎜ 라운드로 높이 3.5㎜의 사이펀칼러(112)가 일체로 이루어진 사이펀커버(110)로 구비해, 상기 지지교각슬롯(111) 양안에 형성된 홈에 결합 고주파접착 또는 접착제에 의해 선택 조립된 배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배수공법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flexible and weather-resistant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is formed with a supporting
본 발명에 따른 배수시트(100)는 가요성이면서 얇고 내후성인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신규의 배수시트로 일반 배수판이나 배수스트랩들과는 달리 시트본체와 사이펀커버로 결합 사용되는 것으로 연속길이방향으로 고속생산성이 매우 탁월하며, 시트본체상에 사이펀커버가 조립되는 것으로, 토양의 압력으로 인하여 배수통로들이 폐색되는 염려를 일소시키고, 특히 종래 표면장력에 의해서는 배수구멍내 진공이 효과적으로 형성되지 않아 높은 흡관력이 발생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시트본체와 사이펀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수준(water level)에 의해 진공이 형성되게 하는 사이펀슬릿에 의한 완벽한 사이펀현상에 따른 흡관력으로 침출수의배수를 유도하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각종도로의 절토지 경사면,터널,농지,골프장,일반건축물 공사에 있어서의 지하 관개 및 배수에 사용되도록 하는 신규 유용한 배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배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첨부도면에 의하여 보다 특정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 배수시트의 폭 방향이 일부 생략된 일정 길이방향의 사시도 이며, 도 2는 도 1의 배수시트의 길이방향 관로커버가 분리된 참고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참고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determined length direction in which the width direction of the drainag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ally omitted, FIG. 2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longitudinal pipe cover of the drainage sheet of FIG. 1 is separated, and FIG. 3 is a reference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
본 발명은 도면에서와 같이, 가요성이면서 내후성인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사이펀물매(122),배수통로(10),지지교각(121),배수통로(10),사이펀물매(122),집수로(30), 사이펀물매(122)가 시트바닥에서 상층부로 일정간격과 높이 및 깊이로 폭방향으로 반복배치된체 연속길이로 일체로 압출형성되는 시트본체(120)의 상기 지지교각(121)에는 후술하는 사이펀커버(110)의 지지교각슬롯(111) 사이에 형성된 홈이 결합되어 고주파접착 또는 접착제중 선택되는 수단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배수시트(100)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로(10)사이의 지지교각(121)은 시트본체(120)의 시트바닥에서 위로 높이 9㎜ 폭1.5㎜로 돌출형성되며, 지지교각의 양편으로 2㎜ 폭으로 이격되고 바닥이 둥근 배수통로(10)는 지지교각(121) 좌우에 폭 1.5㎜로 상단이 둥글게 돌출된 사이펀물매(122) 상층높이에서 7.5㎜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사이펀물매(122)사이의 바닥모서리가 둥근 집수로(30)는 사이펀물매(122) 상층높이로부터 깊이 2.5㎜ 폭5.5㎜로 이루어지며,
상기 시트본체와 같이,가요성이면서 내후성인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일정 폭 방향으로 연속길이로 압출형성되는 사이펀커버(110)는 상층부에서 하방향으로 높이 5.5㎜ 폭1.5㎜ 규격으로 돌출된 2개의 지지교각슬롯(111)에 사이에 깊이 4.5㎜ 폭 1.5㎜의 사이펀커버(110) 홈이 형성되고, 지지교각슬롯(111) 양 외편으로는 2.5㎜ 이격되며, 내상측이 둥글게된 양측테가 하방으로 2.5㎜ 돌출된 사이펀컬러(112)가 연속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flexible and weather resistant thermoplastic synthetic resin as shown in the
The
Like the sheet body, the
삭제delete
상기와 같이, 시트본체(120)와 사이펀커버(110)가 조립되면 시트본체(120)의 사이펀물매(122) 위로 0.5㎜ 간격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사이펀칼러(112)의 끝단이 집수로(30) 바닥면에서 0.5㎜ 근접되어 사이펀슬릿(20)이 형성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따라서,상기 시트본체(120)에 마련된 집수로(30)의 바닥높이는 배수통로(10)에 비해 5㎜의 위상차를 갖는다.Therefore, the bottom height of the
상기와 같이 시트본체(120)와 사이펀커버(110)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시트(100)의 흡관력(siphonic force)이 발생되는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principle that the siphonic force of the
본 발명 배수시트(100)의 시트본체(120)에 각 형성된 사이펀커버(110)와 집수로(30)에 침출수가 집수되어 집수로(30) 양안의 사이펀물매(122) 높이 이상으로 집수되기전에는 흡관력이 발생 되지 않다가, 집수로(30) 양안의 사이펀물매(122) 높이 이상 침출수가 집수 되는 순간, 수준(water level)의 하강에 의하여 사이펀슬릿(20)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어 집수로(30)에 고인 일체의 침출수는 흡관력(siphonic force)에 의하여 집수로(30) 바닥까지 고인 침출수를 배수시트(100)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배수통로(10)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다.Before the leachate is collected in each of 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시트(100)는 흡관력이 우수한 것으로, 이하 그 시공사용상태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도 4는 본 발명 배수시트를 유공관에 적용한 설치 사용상태 참고사시도,도 5는 본 발명 배수시트를 이용한 지하관개 및 배수공사에 적용한 참고단면도이다.Figure 4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of the installation use state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drain sheet to the perforated pipe, Figure 5 is a reference sectional view applied to underground irrigation and drainage using the present invention drain sheet.
연속길이방향 배수시트(100)로 지하관개 및 배수공사가 필요한 토층에 위상이 높은 곳에서 낮은 쪽의 기초지반(210)에 배수시트(100)의 시트본체(120)가 지면을 향하게 경사지도록 포설하는 제1단계;As a continuous
위상이 높은 쪽의 배수시트(100) 길이방향 측단은 배수시트막음부재(100a)로 시트본체(120)와 사이펀커버(110)에 형성된 배수통로(10)와 사이펀슬릿(20),집수로(30)를 각 폐색시키는 제2단계;The
위상차가 낮은쪽에 배수시트(100)가 포설된 토층 이하로 일정관경의 유공관(200)을 배수시트(100)와 직교되게 매립하는 제3단계;A third step of embedding the perforated
매립한 유공관(200)의 상측벽을 유공관 길이방향으로 배수시트(100)의 폭넓이로 절개해 위상차가 낮은 쪽의 배수시트(100)의 일측단을 일정길이 도입하는 제4단계;A fourth step of cutting the upper side wall of the filled
배수시트(100)와 유공관(200)위에 직경 2.5㎜ 이상의 모래질토양(220)을 10㎝ 포설하는 제5단계;A fifth step of installing 10 cm of
포설된 모래질토양(220)위에 현장토(230)을 다짐하는 제6단계의 배수공법으로 최종 이루어진다.The final step is made by the drainage method of the sixth step to compact 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시트(100)로 시공되는 배수공법에 따른 배수시트(100)는 다음과 같은 변형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As described above, the
도 6은 본 발명 배수시트의 시트본체에 적용된 사이펀커버의 각 변형예로 ⅰ)은 길이방향 사이펀커버 상판 양변이 호(弧)형상의 첨부(尖部)를 이루는 단면도이며, ⅱ)는 길이방향 사이펀커버 상판 양변이 삼각형상의 첨부를 이루는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each variation of the siphon cover applied to the seat body of the drain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siphon cover upper plate form an arc-shaped attachment, and ii) is a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both sides of a siphon cover upper board form triangular attachment.
본 발명 배수시트(100)의 시트본체(120)의 연속길이방향 각 지지교각(121) 상에는 연속길이방향으로 11.5㎜ 폭의 편편한 상판만이 단지 양변이 호(弧)형상으 로 높이 4.5㎜의 첨부(尖部)로 변형된 사이펀커버(110a)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each
사이펀커버의 또 다른 변형실시예는 배수시트(100)의 시트본체(120)의 연속길이방향 각 지지교각(121) 상에는 연속길이방향으로 11.5㎜ 폭의 편편한 상판만이 단지 양변이 높이 4.5㎜의 삼각형상의 첨부(尖部)로 변형된 사이펀커버(110b)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modified embodiment of the siphon cover is a flat top plate having a width of 11.5 mm in the continuous length direction on each
본 발명에 따른 변형된 사이펀커버(110a;110b)와 같이,시트본체(120)의 연속길이방향 각 지지교각(121) 상에는 연속길이방향으로 11.5㎜ 폭의 편편한 상판만이 단지 양변이 호(弧)형상과 삼각형상의 첨부(尖部)로 변형예에 의하여, 침투수를 배출할 토층에 포설되는 본 발명 배수시트(100)의 편편한 평면의 사이펀커버(110)에 비해 보다 증진된 사이펀커버(110a;110b)로 토압에 대한 저항과 내구성이 증진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Like the modified siphon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 배수시트의 시트본체의 변형예로 길이방향 시트본체의 배면바닥에 홈과 구멍이 추가 형성된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in which a groove and a hole are further formed in the bottom of the rea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seat body as a modification of the seat body of the drain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7에서와 같이, 시트본체(120)의 연속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각 집수로(30) 하방에는 시트바닥면 1㎜ 이격거리에 직경 4.5㎜의 구멍(50)이 추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구멍(50) 전길이 바닥부에는 폭 2㎜ 홈(40)이 형성되는 변형된 시트본체(120a)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7, a
도 7에서와 같이 변형된 시트본체(120a)에 따르면,시트본체(120a)의 연속길이 방향의 전길이를 통하여 하방면에서 시트바닥면 1㎜ 이격거리에 폭 2㎜ 홈(40)과,직경 4.5㎜의 구멍(50)이 추가 형성됨으로써, 배수시트(100)의 지면 파지효과 및 모세관현상에 의한 홈(40)에 침투수의 흡입과 흡입된 침투수가 구멍(50)을 통해 위상차에 의하여 배출되는 추가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modifi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종전의 배수시트 또는 배수판에 비하여 연속길이방향으로 생산성이 좋고 사이펀물매(122)와 사이펀슬릿(20)에 의하여 보다 탁월한 흡관력(siphonic force)으로 침출수의 배출력이 탁월한 배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배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속하는 당업자에 의해서는 본 발명의 원리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다 할 것이며,본 발명의 관점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한정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productivity in the continuous length direction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drainage sheet or drainage plate, and the drainage of the leachate with excellent siphonic force with more excellent siphonic force by the siphon
삭제delete
도 1은 본 발명 배수시트의 폭 방향이 일부 생략된 일정 길이방향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determined length direction in which the width direction of the drainag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ally omitted
도 2는 도 1의 배수시트의 길이방향 관로커버가 분리된 참고사시도Figure 2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of the longitudinal pipe cover separated in the drain sheet of Figure 1
도 3은 도 1의 참고단면도3 is a reference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4는 본 발명 배수시트를 유공관에 적용한 설치 사용상태 참고사시도Figure 4 is an installation and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the drainage sheet drain pipe
도 5는 본 발명 배수시트를 이용한 지하관개 및 배수공사에 적용한 참고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reference applied to underground irrigation and drainage using the present invention drain sheet
도 6은 본 발명 배수시트의 시트본체에 적용된 사이펀커버의 각 변형예로 ⅰ)은 길이방향 사이펀커버 상판 양변이 호(弧)형상의 첨부(尖部)를 이루는 단면도이며, ⅱ)는 길이방향 사이펀커버 상판 양변이 삼각형상의 첨부를 이루는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each variation of the siphon cover applied to the seat body of the drain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siphon cover upper plate form an arc-shaped attachment, and ii) is a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both sides of a siphon cover upper board form triangular attachment.
도 7은 본 발명 배수시트의 시트본체의 변형예로 길이방향 시트본체의 배면바닥에 홈과 구멍이 추가 형성된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dified example of the seat body of the drain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grooves and holes are additionally formed in the rear bottom of the longitudinal seat body.
도 8은 본 발명 배수시트의 또 다른 변형예로 길이방향 시트본체의 배면바닥에 폭방향으로 일정간격의 사각홈과 길이방향 사이펀커버의 중간에 사각홈이 형성된 단면도이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ctangular groov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longitudinal siphon cover and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ngitudinal sheet body in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drain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00:배수시트 100a:배수시트 막음부재100:
110;110a;110b;110c:사이펀커버110; 110a; 110b; 110c: siphon cover
111:지지교각슬롯 112:사이펀칼러(collar) 120;120a120b:시트본체 111: support bridge slot 112: siphon collar (120) 120a120b: seat body
121:지지교각 122:사이펀물매 121: support bridge 122: siphon sales
10:배수통로 20:사이펀슬릿(slits)10: drainage passage 20: siphon slits
30:집수로 40:홈30: catch 40: home
50:구멍 60;70:사각홈 50: hole 60; 70: square groove
200:유공관 210:기초지반200: Merit Hall 210: Foundation Ground
220:모래질토양 230:현장토220: sandy soil 230: field soil
240:관개수240: irrigation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9456A KR100932106B1 (en) | 2009-04-06 | 2009-04-06 | Drainage sheet and drainage method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9456A KR100932106B1 (en) | 2009-04-06 | 2009-04-06 | Drainage sheet and drainage method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2308A KR20090052308A (en) | 2009-05-25 |
KR100932106B1 true KR100932106B1 (en) | 2009-12-24 |
Family
ID=40860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9456A Expired - Fee Related KR100932106B1 (en) | 2009-04-06 | 2009-04-06 | Drainage sheet and drainage method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3210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95532B1 (en) | 2011-07-15 | 2011-12-16 | (주)카네비컴 | Plate drainage structur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9502B1 (en) * | 2009-11-24 | 2012-05-02 | 주식회사 애강리메텍 | Drain board |
CN110185020A (en) * | 2019-07-08 | 2019-08-30 | 北京盈丰园林工程有限公司 | A kind of siphon drainage collection syste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34828A (en) | 1997-02-04 | 1999-08-10 | Yung-An Tu | Drainage method and strap draining materials therefor |
KR100326868B1 (en) | 1999-07-06 | 2002-03-09 | 전세기 | Drain Board and Drainage method using the same |
KR100777800B1 (en) | 2006-04-21 | 2007-11-22 | 박인구 | Groundwater drainage plate for civil works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KR100788201B1 (en) | 2006-10-17 | 2007-12-26 | 박재하 | Drain plate and drain plate forming method |
-
2009
- 2009-04-06 KR KR1020090029456A patent/KR10093210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34828A (en) | 1997-02-04 | 1999-08-10 | Yung-An Tu | Drainage method and strap draining materials therefor |
KR100326868B1 (en) | 1999-07-06 | 2002-03-09 | 전세기 | Drain Board and Drainage method using the same |
KR100777800B1 (en) | 2006-04-21 | 2007-11-22 | 박인구 | Groundwater drainage plate for civil works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KR100788201B1 (en) | 2006-10-17 | 2007-12-26 | 박재하 | Drain plate and drain plate forming method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95532B1 (en) | 2011-07-15 | 2011-12-16 | (주)카네비컴 | Plate drainage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2308A (en) | 2009-05-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80083175A1 (en) |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drainage away from buildings | |
KR970065905A (en) | Construction method of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reinforcement frame and reinforcement frame for structure | |
KR101045314B1 (en) | Retaining wall having drainage guide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 |
KR100491410B1 (en) | Drainage structure of an incline area | |
EP1243698A1 (en) | Road bed structure | |
CN108239905B (en) | Water accumulation preventing roa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932106B1 (en) | Drainage sheet and drainage method using the same | |
JP4331744B2 (en) | Road drainage structure and buried ditches used for this | |
CN115419088B (en) | Drainage structure of open cut tunnel | |
CN112281806A (en) | Spring soil roadbed unsaturated horizontal drainage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641069B1 (en) | Groundwater drainage and method | |
KR100394433B1 (en) | Method of horizontal drainage for pore water pumping of soft ground improvement | |
KR101083032B1 (en) | Block paving structure | |
JP2005097858A (en) | Drainage block and pavement structure using it | |
JP2006097229A (en) | Pavement plate and pavement structure using the same | |
KR100655384B1 (en) | Basement floor drainage method | |
JP2003074008A (en) | Boundary block for draining type pavement | |
CN216839496U (en) | Flexible side slope protection structure | |
CN214363925U (en) | Cut water seepage ditch system | |
KR100804066B1 (en) | Efficient drainage and artificial soil drainage structure with improved structural strength | |
JP2019210682A (en) | Drainage structure of block pavement | |
JP2011032703A (en) | Subterranean rainwater infiltration facility | |
KR20010008914A (en) | Drain Board and Drainage method using the same | |
JPH10168985A (en) | Structure for promoting infiltration of surface water | |
JP2003253611A (en) | Boundary blo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904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1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