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951B1 - Cable Tray Fixture - Google Patents
Cable Tray Fix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31951B1 KR100931951B1 KR1020070123871A KR20070123871A KR100931951B1 KR 100931951 B1 KR100931951 B1 KR 100931951B1 KR 1020070123871 A KR1020070123871 A KR 1020070123871A KR 20070123871 A KR20070123871 A KR 20070123871A KR 100931951 B1 KR100931951 B1 KR 1009319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le tray
- channel
- piece
- fixing device
- bol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트레이와 찬넬을 체결 고정하는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에 있어서, 내각이 비직각이고 단변(22) 및 장변(23)을 갖는 평행사변형 너트편(20)을 본체의 양측벽 상단부에 내향 걸림부(42)를 갖는 찬넬(4)의 상방 개방부(40)에 삽입하고, 너트편(20)의 단변이 찬넬(4)의 내벽면과 면접한 상태로 너트편(20)이 누름편(10)과 볼트(30) 체결되게 구성함으로써, 볼트(30) 회전 시에 양 단변(22)이 찬넬(4)의 내벽면과 접하면서 너트편(20)의 회전이 방지되어 체결 작업이 쉽고 빨리 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tray fixing device, wherein the cable tray fixing device for fastening and fastening the cable tray and the channel, the parallelogram nut piece 20 having a non-perpendicular angle and a short side (22) and a long side (23). The nut is inserted into the upper opening portion 40 of the channel 4 having the inward locking portion 42 at the upper end portions of both side walls of the main body, and the nut piece 2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hannel 4. Rotating the nut piece 20 while the piece 20 is configured to engage the pressing piece 10 and the bolt 30 so that both short sides 22 contact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hannel 4 when the bolt 30 rotates. This prevents the fastening operation to be easy and quick.
케이블트레이, 찬넬 Cable tray, channel
Description
본 발명은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화하여서 신속하게 케이블트레이를 찬넬에 설치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tray fixing device, and in particular, its structure is simple and structured so that anyone can easily use it so that the cable tray can be quickly fixed to the channel.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는, 통신용과 전기용 등 각종 케이블을 배선하는 케이블트레이(cable tray)를 건물 내부 천장과 연결 설치된 찬넬(channel)에 고정시켜주는 장치를 말한다.The cable tray fixing device refers to a device for fixing a cable tray for wiring various cables such as communication and electricity to a channel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ceiling of a building.
일반적으로,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는 상하 각 결합편이 연동 가능하게 볼트로 연결 구성되는데 상하 결합편 사이 간격을 조여줌으로써 케이블트레이가 찬넬에 압착 고정되게 된다.In general, the cable tray fixing device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coupling pieces by a bolt so that the cable tray is fixed to the channel by tightening the ga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oupling pieces.
이러한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는, 케이블트레이를 찬넬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어느 정도는 수행하나 그 사용방법이 너무 불편하고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The cable tray fixing device performs the role of fixing the cable tray to the channel to some extent, but its use method is too inconvenient and difficult.
즉,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의 볼트를 죌 때 하부 볼트 결합편이 회전하는 볼 트를 따라 동반 회전하게 되므로, 이때 볼트를 죄지 않는 다른 손은 찬넬 내부에 삽입된 볼트 결합편이 움직이지 않도록 조처해주어야만 볼트 체결이 가능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능숙한 작업자가 아니면 케이블트레이 설치를 잘할 수가 없고 작업 속도도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In other words, when the bolt of the cable tray fixing device is unscrewed, the lower bolt coupling piece will rotate together along the rotating bolt. At this time, the other hand that does not tighten the bolt should be operated so that the bolt coupling piece inserted inside the channel does not move. This was possible. Therefore, if you are not a skilled worker, you will not be able to install cable trays well and your work speed will drop.
이에, 지금까지 비교적 사용하기 쉬운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에 대한 제안이 다수 있었다.Accordingly, there have been many proposals for a cable tray fixing device which is relatively easy to use.
일 예로서, 국내특허등록 제0710022호는, 압착평철의 체결공으로 삽입되는 체결볼트에 코일스프링을 끼워 체결너트편의 너트공에 볼트 결합시키되, 압찰평철의 저면과 체결너트편의 상면에서 각 체결공 및 너트공의 외주에는 환상V홈을 대향되게 형성하여 압착평철과 체결너트편과의 사이에서 체결볼트에 끼워지는 코일스프링의 상단부과 하단이 각 환상V홈에 장전되도록 하고, 압착평철과 체결너트편에 형성된 각 환상V홈에는 복수의 결속공을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코일스프링의 상, 하단에 결속절곡편을 각각 형성하여 체결볼트에 끼워지는 코일스프링을 상, 하측의 환상V홈에 장전시킬 때에 코일스프링의 상, 하단에 형성된 결속절곡편을 압착평철과 체결너트편에 형성된 각 결속공 중에서 소정 위치의 결속공에 삽입시켜 주도록 된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s an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710022, bolted to the nut hole of the fastening nut piece by inserting the coil spring into the fastening bolt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of the crimped flat iron, each fastening hol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nut piece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nut hole, an annular V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coil spring fitted to the fastening bolt between the crimped flat iron and the fastening nut piece are loaded in each annular V groove, and the crimped flat iron and fastening nut piece are Each annular V-groove formed in the plurality of coupling holes is formed at equal intervals, and a binding bending piece is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oil spring, respectively, to load the coil spring fitted to the fastening bolts into the upper and lower annular V-grooves. Cable tray go to insert the binding bending piec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oil spring into the binding hol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mong the binding holes formed in the crimped flat iron and the fastening nut piece. To provide formal dress.
그러나, 상기 특허는 체결볼트에 코일스프링을 일일이 끼워 사용해야 하는 또 다른 번거로움이 있고 코일스프링을 별도 제조해야 하므로 비용이 추가되는 단점도 있었다. 게다가, 코일스프링의 결속절곡편을 압착평철과 체결너트편의 각 결속공에 삽입시켜 주어야만 체결볼트 조임 시에 이들이 부동상태에 있게 되는 바, 이 역시 또 다른 불편함을 야기하므로, 사용 용이성이 크게 개선되지는 못하였던 것이다.However, the patent has another disadvantage that the coil spring must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bolt one by one, and the coil spring has to be manufactured separately. In addition, the binding bending piece of the coil spring must be inserted into each binding hole of the crimped flat iron and the fastening nut piece so that they remain in a floating state when tightening the fastening bolt, which also causes another inconvenience, greatly improving the ease of use. It was not possible.
본 발명의 목적은, 찬넬 상에 위치시키고 볼트를 죌 때 별도의 너트편 부동 부재 없이도 너트편이 볼트와 동반 회전하지 않아서 누구나 쉽고 빠르게 케이블트레이를 찬넬에 체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ble tray fixing device that can be easily and quickly fasten the cable tray to the channel, so that the nut piece does not rotate with the bolt without a separate nut piece floating member when placed on the channel and releasing the bolt. Is i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케이블트레이와 찬넬에 완전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결속되도록 한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ble tray fixing device that is simple in configuration but is tightly coupled to the cable tray and the channel to be stably boun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 공정이나 비용의 증가없이 그 사용편이성과 체결 견고성 및 내구성 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한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ble tray fixing device which allows the ease of use, fastening tightness and durability to be significantly improved without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r cost.
본 발명은, 케이블트레이와 찬넬을 체결 고정하는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에 있어서, 내각이 비직각이고 단변(22) 및 장변(23)을 갖는 평행사변형 너트편(20)을 본체의 양측벽 상단부에 내향 걸림부(42)를 갖는 찬넬(4)의 상방 개방부(40)에 삽입하고, 너트편(20)의 단변이 찬넬(4)의 내벽면과 면접한 상태로 너트편(20)이 누름편(10)과 볼트(30) 체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tray fixing device for fastening and fastening a cable tray and a channel, wherein the parallelogram nut piece (20) having a non-perpendicular angle and a short side (22) and a long side (23) is inwardly provided at both upper end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body. The
본 발명의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8)는, 무엇보다 케이블트레이(2)를 찬넬(4)에 체결 고정시키는 작업을 신속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체결 후 그 결합력이 매우 우수하며,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하기 쉬운 등의 장점을 갖는다.The cable tray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케이블트레이를 찬넬에 고정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ble tray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ble tray fixed to the channel using the cable tray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8)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누름편(10)과 하부 너트편(20) 및 이들 누름편(10)과 너트편(20)을 연결하는 볼트(30)로 구성된다.In the cable
상기 케이블트레이 고장장치(8)를 사용하여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 천장과 행거(6)로 연결된 찬넬(4)에 각종 케이블을 배선할 수 있는 케이블트레이(2)를 안착시킨 후 이들을 서로 체결 고정하게 된다.Using the cable
본 발명의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8)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cable
먼저,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8)의 누름편(10)은, 도 1에서와 같이 그 본판의 중앙에는 볼트끼움공(16)을 뚫어 형성하고, 본판의 양측단 일부에는 하향 만곡부(14)를 일체 형성하며 상기 본판의 전단(또는 후단)에는 돌출결합부(12)를 연장 형성한다.First, the
여기서, 누름편(10)의 본판과 돌출결합부(12)의 연장 부분에 다수 보강힘살부를 형성하여서 누름편(10)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Here, it is also preferable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상기 누름편(10)의 양 만곡부(14)는 찬넬(4)의 본체 양측벽 상단부의 내향 걸림부(42)와 면접촉됨으로써 누름편(10)이 찬넬(4)의 상단부 전체를 감싸서 안정적으로 안착되게 한다. 이에, 누름편(10)은 찬넬(4)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되고 찬넬(4)의 상단부 내향 걸림부(42)를 레일(rail) 삼아 전후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누름편(10)의 돌출결합부(12)는 케이블트레이(2)를 꽉 눌러서 고정시킨다.Both
그리고, 상기 누름편(10)의 볼트끼움공(16)으로 삽입된 볼트(30)를 죌 수 있도록 너트편(20)을 구성한다.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8)의 너트편(20)은, 도 1 및 도 5a, 도 5b에서와 같이, 볼트(30) 회전 시에 동반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 구성이 본 발명의 요부이다.And the
즉, 중앙에 너트공(26)을 갖는 너트편(20)은, 내각이 비직각(非直角)인 평행사변형(서로 마주 대하는 두 쌍의 변이 각각 평행인 사각형) 형으로 형성하되, 한 쌍이 평행한 장변(긴 변)(23)을 기준선으로 하여 단변(짧은 변)(22)의 경사각이 15∼30°(도) 정도가 되도록 하며 양 단변(22) 간의 수직 거리가 찬넬(4)의 내부폭과 유사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양 장변(23) 간의 수직 거리는 찬넬(4)의 상방 개방부(40)의 폭보다 작게 구성하여야 한다.That is, the
상기 너트편(20)에는 양 단변(22)의 인접부에 단변(22)과 평행한 절곡홈선 부(24)를 형성하여 찬넬(4)의 내향 걸림부(42)의 끝이 상기 절곡홈선부(24)에 인입되어 서로 밀착 체결되도록 구성한다.The
그리고, 누름편(10)의 볼트끼움공(16)으로 볼트(30)를 삽입하고 상기 볼트(30)의 하단에는 너트편(20)의 너트공(26)이 끼워지도록 하여서, 누름편(10)과 너트편(20)이 볼트(30)에 의해 상하로 연결된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8)의 구성을 완료한다.Then, the
이렇듯, 누름편(10)과 너트편(20)과 볼트(30) 단 세 개의 구성부로 된 본 발명의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8)는 비교적 그 제조공정도 어렵지 않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able
도 3은 본 발명의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의 장착 상태 사시도이고, 도 4a, 도 4b는 도 3의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 죄임 시 볼트와 너트편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5a, 도 5b는 도 4a와 도 4b 각각의 평단면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가 케이블트레이 및 찬넬과 체결된 상태의 측단면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정단면 구성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unting state of the cable tray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Figure 4b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bolt and nut piece when tightening the cable tray fixing device of Figure 3, Figures 5a, 5b is Figure 4a 4B are planar cross-sectional views of FIG. 4B. And,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cable tray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to the cable tray and the channel, Figure 7 is a front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FIG.
이제, 본 발명의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8) 사용 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Now, the operation and effect of using the cable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 개방부(40)를 갖고 양측벽 상단부에 내향 걸림부(42)가 형성된 찬넬(4)이 행거(6)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찬넬(4) 위로 케이블트레이(2)가 놓인 상태에서, 이들을 결합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3, a
우선,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8)의 하부 너트편(20)을 찬넬(4)의 상방 개방부(4)를 통해 내부로 삽입한다. 이때,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8)의 상부 누름 편(10)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돌출결합부(12)는 찬넬(4)과 인접하는 케이블트레이(2)에 놓이고 양측 만곡부(14)는 찬넬(4)의 상단부에 면접촉되도록 놓는다.First, the
그리고 나서, 도 4b에서처럼 볼트(30)를 시계방향으로 죄어서 하부 너트편(20)이 상승하여서 찬넬(4)의 상단부 내향 걸림부(42)가 절곡홈선부(24) 밀착 지지되며 누름편(10)과 케이블트레이(2)와 찬넬(4) 및 너트편(20)이 상호 압착되도록 한다.Then, as shown in FIG. 4B, the
이때, 볼트(30)를 죄이더라도 너트편(20) 양 단변(22)이 찬넬(4)의 내벽면과 접촉하면서 너트편(20)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여서 수직으로만 승하강하게 되므로 쉽고 빨리 체결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even though the
즉, 도 4a 및 도 5a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최초 볼트(30)를 회전하면 너트편(20)의 양 단변(22)이 찬넬(4) 내벽면과 면접할 때까지, 60∼75°정도 회전한다. 그리고, 도 5b에서처럼 너트편(20)의 양 단변(22)이 찬넬(4) 내벽면에 면접한 상태로 더 이상은 볼트(30)를 돌려도 너트편(20)이 회전하지 않고 상하로만 움직이면서 체결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결국, 너트편(20)은 그 양 단변(22)이 장변(23)을 기준으로 갖는 15∼30°의 기울기에 의해 찬넬(4) 내벽면과 적절한 제지(stopper) 관계를 갖는 것이다. 한편 너트편(20)의 양 단변(22) 기울기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찬넬(4) 내에서 너트편(20)의 회전각도가 늘어나면서 지지강도가 약해지고 경우에 따라 전체 면적이 증가하여 재료비의 부담이 늘어나게 된다.As a result, the
그리고, 도 6 및 도 7에서 본 발명의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8)로서 케이블트레이(2)를 찬넬(4)에 압착 고정시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누름편(10)의 돌출결합부(12)는 케이블트레이(2)를 가압하고 누름편(10)의 만곡부(14)는 찬넬(4)의 양 상단부 내향 걸림부(42)에 면접촉되며, 너트편(20)의 절곡홈선부(24)는 상기 찬넬(4)의 내향 걸림부(42)의 끝에 밀착 체결된다.6 and 7, the
지금까지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만곡부(14)를 갖는 누름편(10)과 두 쌍의 단변(22)과 장변(23)을 갖고 내각이 비직각인 평행사변형 너트편(20)이 볼트(30)로 연결 구성된 것에 대해서 구체적인 실시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누름편(10)과 너트편(20)의 전체 및 세부 구성의 모양과 형상 등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 of claims an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ble tray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케이블트레이를 찬넬에 고정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ble tray fixed to the channel using the cable tray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의 장착 상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unting state of the cable tray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도 4b는 도 3의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 죄임 시 볼트와 너트편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Figure 4a, Figure 4b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bolt and nut piece when tightening the cable tray fixing device of FIG.
도 5a, 도 5b는 도 4a와 도 4b 각각의 평단면 구성도.5A and 5B are planar cross-sectional views of FIGS. 4A and 4B, respectively.
도 6은 본 발명의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가 케이블트레이 및 찬넬과 체결된 상태의 측단면 구성도.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ble tray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with the cable tray and the channel.
도 7은 도 6의 정단면 구성도.7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FIG. 6.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케이블트레이 (4) ― 찬넬(2)-Cable trays (4)-Channels
(8) ― 케이블트레이 고정장치 (10) ― 누름편(8)-Cable tray fixing device (10)-Pushing piece
(12) ― 돌출결합부 (14) ― 만곡부(12)-projecting joints (14)-bends
(16) ― 볼트끼움공 (20) ― 너트편(16)-Bolting holes (20)-Nut piece
(22) ― 단변 (23) ― 장변(22)-short side (23)-long side
(24) ― 절곡홈선부 (26) ― 너트공(24)-Bending grooves (26)-Nut holes
(30) ― 볼트 (42) ― 내향 걸림부(30)-bolt (42)-inward locking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3871A KR100931951B1 (en) | 2007-11-30 | 2007-11-30 | Cable Tray Fix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3871A KR100931951B1 (en) | 2007-11-30 | 2007-11-30 | Cable Tray Fix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6636A KR20090056636A (en) | 2009-06-03 |
KR100931951B1 true KR100931951B1 (en) | 2009-12-15 |
Family
ID=40987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23871A Active KR100931951B1 (en) | 2007-11-30 | 2007-11-30 | Cable Tray Fix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3195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0017Y1 (en) * | 2010-05-03 | 2010-08-30 | 주식회사 태화티오피 | Apparatus for fixing mash-tra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23436A (en) | 2014-08-22 | 2016-03-03 | 김광배 | Cable tray joint |
KR20160128255A (en) | 2016-09-19 | 2016-11-07 | 김광배 | Cable tray joint |
KR101931809B1 (en) * | 2016-11-30 | 2019-03-20 | (주)엘이디세이버 | Support device for race way |
KR102239486B1 (en) | 2020-10-19 | 2021-04-14 |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 Construction cable tray fixing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43982B2 (en) | 1995-01-19 | 2000-05-22 | トーマス アンド ベッツ コーポレーション | Cable support tray |
KR200197016Y1 (en) * | 2000-02-17 | 2000-09-15 | 윤영호 | Cable tray fixing apparatus |
KR200236124Y1 (en) * | 2001-03-13 | 2001-10-08 | 김영산 | The fixer for cable turnery |
KR200341261Y1 (en) * | 1998-12-23 | 2004-04-29 | 송완근 | Nuts for Cable Tray Support |
-
2007
- 2007-11-30 KR KR1020070123871A patent/KR10093195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43982B2 (en) | 1995-01-19 | 2000-05-22 | トーマス アンド ベッツ コーポレーション | Cable support tray |
KR200341261Y1 (en) * | 1998-12-23 | 2004-04-29 | 송완근 | Nuts for Cable Tray Support |
KR200197016Y1 (en) * | 2000-02-17 | 2000-09-15 | 윤영호 | Cable tray fixing apparatus |
KR200236124Y1 (en) * | 2001-03-13 | 2001-10-08 | 김영산 | The fixer for cable turnery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0017Y1 (en) * | 2010-05-03 | 2010-08-30 | 주식회사 태화티오피 | Apparatus for fixing mash-tra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6636A (en) | 2009-06-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31951B1 (en) | Cable Tray Fixture | |
US9086175B2 (en) | Support collar for long articles, in particular cables, pipes, and/or the like | |
EP3066398B1 (en) | Carrier structure for solar panels and method of producing such a carrier structure | |
EP2492563B1 (en) | Clamp for a pipe or cable. | |
EP2141398B1 (en) | Pipeline supporting device | |
US8353485B2 (en) | System for holding cables, hoses, tubes or the like | |
EP3256765B1 (en) | Pipe clamp | |
JP5060362B2 (en) | Wiring / piping material extraction tool | |
EP4160069B1 (en) | Plastic pipe clip | |
CN104779532A (en) | Support profile for a switchgear cabinet rack and fastening clip for the support profile | |
KR101224843B1 (en) | Pipe connector in greenhouse | |
WO2008104157A3 (en) | Plug-in connector | |
KR101834949B1 (en) | Cable tray assebled by connecting cable tray unit | |
EP2715010B1 (en) | Mounting clip for holding roof panel seam | |
JP2009030424A (en) | Deck plate suspension bracket and suspension structure using the same | |
KR200392312Y1 (en) | Conbining member | |
WO2008143501A1 (en) | Clamp for suspending a pipe | |
JP5256250B2 (en) | Roof mounting fixture | |
JP4676351B2 (en) | Piping fixture | |
JP5221241B2 (en) | Resin header fixing structure and resin header system | |
KR101027121B1 (en) | Gas Piping Fixture | |
KR101424336B1 (en) | Assembly Elbow Having A Free Control Apparatus For Angle | |
KR101637991B1 (en) | Pipe fixing element | |
KR102239486B1 (en) | Construction cable tray fixing device | |
KR100683425B1 (en) | Shock absorbing pipe fitting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1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9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9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2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