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31749B1 -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749B1
KR100931749B1 KR1020090036906A KR20090036906A KR100931749B1 KR 100931749 B1 KR100931749 B1 KR 100931749B1 KR 1020090036906 A KR1020090036906 A KR 1020090036906A KR 20090036906 A KR20090036906 A KR 20090036906A KR 100931749 B1 KR100931749 B1 KR 100931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guide plate
wind direction
flexible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신
Original Assignee
고영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신 filed Critical 고영신
Priority to KR1020090036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7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74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사물실, 병원, 식당, 학교 등의 천장에 매립하여 사용하는 천장 카세트 에어컨의 토출구의 하부에 부착하여 토출구에서 배출되는 바람이 바로 아래로 직접 떨어지지 않고 원거리로 토출될 수 있게 플렉시블 조절봉을 상·하·좌·우를 포함하여 자유자재로 구부려 가이드판의 토출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렉시블(flexible), 에어컨, 풍향, 토출구

Description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The wind controling appliance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사물실, 병원, 식당, 학교 등의 천장에 매립하여 사용하는 천장 카세트 에어컨의 토출구 전방에 부착하여 토출구에서 배출되는 바람이 바로 아래로 직접 떨어지지않고 원거리로 토출될 수 있게 가이드판의 풍향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플렉시블을 상·하·좌·우를 포함하여 자유자재로 구부려 조절할 수 있는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장 카세트 에어컨은 천장에 상부가 매립되도록 설치되어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열 교환을 통해 실내로 차가운 공기를 토출시키는 공기조화장치로서, 하단부 중앙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하여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고 공기의 유로가 바뀌는 동시에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상기한 하단부의 흡입구의 둘레에 사방으로 각각 형성된 토출구를 통하여 차가워진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에어컨의 한 종류이다.
따라서 이러한 천장 카세트 에어컨은 실내공간중에 활용도가 비교적 낮은 천 장에 설치함으로써, 벽걸이형이나 입식형 냉방기기에 비해 공간상의 제약을 덜 받는 이점과 함께 천장으로부터 냉기가 하부방향으로 토출되므로 냉기의 확산속도가 비교적 빠르다는 이점으로 인해 점차 그 수요층이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천장 카세트 에어컨의 내부에 설치된 팬모터의 동력발생에 의해 이에 결합된 터보팬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그 회전력에 의해 커버의 중앙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실내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터보팬의 회전력에 의해 추진력을 받아 터보팬의 주위에 설치된 열교환기를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고온의 공기는 저온의 냉기로 열교환된 후, 최종적으로 커버의 외곽부에 형성된 토출구에는 토출 냉기의 토출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루버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루버의 토출각도 조절을 통해 기외로 배출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실내를 냉방시키게 되나, 상기 루버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만으로는 냉기가 방 전체에 골고루 퍼지게 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 천장형 카세트 에어컨은 토출구를 통해 냉기가 주변 하부방향으로 바로 배출되기때문에 근처 공간에 있는 사람들은 직접 피부에 닿아 시원하나, 조금 떨어진 공간에는 냉기가 제대로 전달되지않아 실내 전체의 온도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천장형 카세트 에어컨의 주변 하부는 냉기가 바로 아래로 떨어지면서 에어컨에 가까이 있는 사람은 춥고 멀리 떨어질수록 냉기를 느낄수 없기 때문에 온도편차에 따라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실내 구석구석 냉기가 순환이 제대로 안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 천장 카세트 에어컨의 토출구 하부에는 토출되는 냉기가 주변 아래로 바로 떨어지지않고 토출각도를 조절하여 먼거리로 토출할 수 있도록 냉기를 반사하는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를 일부에서는 별도로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 에어컨 풍향 조절장치는 한 쌍의 고정편이 양측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부는 고리타입으로 천장 카세트 에어컨의 가장자리에서 천장 사이 틈새로 끼워지고 하부는 양측으로 힌지가 형성되고, 상부 양측에는 고정편과 대응하게 양측으로 힌지공이 형성된 판형상의 가이드판을 위치한 상태에서 힌지공에 힌지가 각각 끼움 결합되어 상·하로 가이드판의 풍향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에어컨 풍향 조절장치는 천장 카세트 에어컨의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냉기가 바로 아래로 떨어지지않고 천장을 향해 반사되어 원거리로 토출함으로 인해 냉기를 효과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컨 풍향 조절장치는 가이드판의 상부 양측으로 위치한 한 쌍의 고정편이 하부가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천장과 천장 카세트 에어컨의 가장자리 사이로 고리가 끼움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가이드판을 상·하로 회동하여 토출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나, 가이드판을 좌·우로는 토출각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 이유는 가이드판이 고정편과 힌지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이고, 부득이 하게 각도를 조절할 경우에는 고정편의 상부 위치를 변경하기 때문에 에어컨 풍향 조 절장치를 설치 작업시 토출구와 방향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조절하는데 번거로움이 있다.
즉, 종래의 에어컨 풍향 조절장치는 한 쌍의 고정편과 가이드판이 힌지 체결되어 회동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하로 토출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나, 좌·우 양측으로는 가이드판의 위치를 변경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어컨의 냉기를 배출하는 토출각도를 종래와 같이 가이드판을 회동하여 조절하는게 아니라 가이드판에 플렉시블 조절봉을 결합하고, 상기 플렉시블 조절봉을 상·하·좌·우를 포함하여 자유자재로 구부려서 가이드판의 풍향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컨의 토출구에 부착되는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는 가이드판의 각도를 플렉시블 조절봉을 구부리는 방식에 의해 상·하·좌·우를 포함하여 사방으로 토출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를 에어컨에 고정한 상태에서 플렉시블 조절봉의 길이만큼 좌·우로 가이드판의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판의 양측에 보조 날개를 부착하여 에어컨 토출구의 크기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에어컨 토출구에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가 바로 아래로 떨어지지않고 먼거리로 배출되도록 토출각도를 조절함으로서 냉기를 순환시켜 실내 전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1)는 에어컨 토출구(13)의 하부에 부착되어 토출되는 냉기의 풍향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판(3)과 플렉시블 조절봉(2)을 조립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판(3)은 판 형상에 따라 선단은 상부방향으로 경사지게 접힌 상태로 경사면을 형성하여 토출되는 냉기가 천장쪽을 향하여 진행할수 있도록 유도하고 상면 양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보강돌기(14)를 형성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보강돌기(14) 사이에는 다수개의 조립공(9)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플렉시블 조절봉(2)을 체결한다.
또한, 가이드판(3)의 상부에 조립되는 플렉시블 조절봉(2)은 표면에 나선형의 주름이 형성되어 상·하·좌·우로 구부려서 가이드판(3)의 풍향 각도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플렉시블 조절봉(2)의 하부 끝단에는 가이드판(3)의 조립공(9)으로 삽입하여 너트(10)에 의해 조임 체결되도록 결합볼트(16)가 형성되고, 상부 끝단에는 판형상의 체결편(11)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에어컨(12)에 피스 로 고정하도록 다수개의 체결공(5)이 형성된다.
또한, 플렉시블 조절봉(2)의 체결편(11)은 상면에 양면 테이프(6)가 접착되어 에어컨 토출구(13) 주변 해당 위치에 플렉시블 조절봉(2)을 양면 테이프(6)로 먼저 부착한 상태에서 피스를 체결공(5)으로 삽입하여 조임 체결함으로 인해 작업성이 우수한다.
한편, 상기 플렉시블 조절봉(2)은 표면에 나선형의 주름이 형성되어 있어 상·하·좌·우로 자유롭게 구부리거나 원상태로 펼 수 가 있어 가이드판(3)의 토출각도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의 조절봉에 갯수를 달리한 사시도면으로 가이드판(3)의 하중이 가볍기 때문에 가이드판(3)의 양측에 플렉시블 조절봉(2)을 설치할 필요가 없이 가이드판(3)의 중앙에만 한개의 플렉시블 조절봉(2)이 조립되어 상·하·좌·우로 구부려서 가이드판(3)의 풍향 각도 및 위치 조절을 동일하게 할수있다.
도 4는 본 발명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에 보조날개를 분리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에 보조날개를 결합해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1)는 에어컨 제조사 및 냉방용량에 따라 토출구(13)의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판(3)의 양측으로 동일한 형상의 보조날개(4)를 포갠 후 플렉시블 조절봉(2)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3)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조립공(9) 이 형성되어 있고, 보조날개(4)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길이 조절공(8)이 형성되어 가이드판(3)의 조립공(9)과 보조날개(4)의 길이 조절공(8)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플렉시블 조절봉(2)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볼트(16)를 삽입하고 너트(10)로 조임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보조날개(4)의 길이 조절공(8)은 에어컨 토출구(13) 크기에 맞게 가이드판(3)에서 좌·우로 이동하여 조립공(9)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플렉시블 조절봉(2)의 하부를 끼워서 결합함으로써 용이하게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a, b, c, d는 본 발명 풍향 조절장치의 토출각도를 조절해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1)는 천장 카세트 에어컨(12)의 토출구(13) 하부에 설치하여 토출되는 풍향의 토출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플렉시블 조절봉(2)을 상·하·좌·우로 구부려서 가이드판(3)의 토출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a은 에어컨(12)에 상부가 결합되고 하부는 가이드판(3)이 조립된 플렉시블 조절봉(2)이 수직선상으로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에어컨(12)의 토출구(13)아래로 토출되는 냉기를 반사하여 천장을 향하게 배출하도록 한다.
또한, 도 6b는 플렉시블 조절봉(2)을 수직선상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구부리면 가이드판(3)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에어컨(12)에 플렉시블 조절봉(2)의 상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다,
도 6c는 가이드판(3)의 양측에 부착된 플렉시블 조절봉(2)이 결합된 상태에 서 일측의 플렉시블 조절봉(2)을 더 많이 구부려 가이드판(3)의 양측의 높이를 달리하여 한쪽을 더 높게하여 각도를 조절하여 냉기를 토출할 수 있다.
또한, 도 6d는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1)의 설치 상태인 측면을 도시한 것으로 플렉시블 조절봉(2)을 전방으로 구부리면 가이드판(3)의 선단이 상향지게 경사져 에어컨 토출구(13)에서 토출되는 냉기를 아래로 바로 떨어지지않고 천장을 향해 반사하여 더 멀리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e는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1)를 에어컨 토출구(13)의 하방에 설치한 상태에서 가이드판(3)의 선단이 하부방향으로 토출각도를 갖도록 플렉시블 조절봉(2)을 후방으로 구부려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1)는 플렉시블 조절봉을 자유자재로 구부려 사용할 수 있어 가이드판(3)의 토출각도를 조절하여 냉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를 설치해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본 발명 에어컨 풍향 조절장치(1)는 천장에 일부가 매립되도록 설치된 천장 카세트 에어컨(12)의 저면 중앙에 형성된 흡입구(17) 둘레에는 각 방향으로 형성된 토출구(13)의 하부에 가이드판(3)이 위치하도록 플렉시블 조절봉(2)의 상부가 에어컨(12) 가장자리에 양면 테이프(6)의 보호지를 제거하고 부착한 후, 각각 피스 체결한 상태에서 플렉시블 조절봉(2)을 자유자재로 구부려 가이드판(3)의 토출각도를 조절하면 에어컨 토출구(13)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는 가이드판(3)에 반사되어 토출 각도를 따라 천장 카세트 에어컨(12)에서 멀리 떨어진 거리로 토출되면서 냉기가 순환되어 실내 전체 온도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어 쾌적한 실내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천장 카세트 에어컨(12)은 냉난방을 겸용으로 사용 할 수 있어 냉기와 온풍의 토출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에어컨 풍향 조절장치(1)는 천장 카세트 에어컨(12)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스탠다드 또는 벽걸이용 에어컨의 토출구(13)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의 조절봉에 갯수를 달리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에 보조날개를 분리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에 보조날개를 결합해 보인 사시도.
도 6a, b, c, d, e는 본 발명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의 토출각도를 조절해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를 설치해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 2: 플렉시블 조절봉
3: 가이드판 4: 보조날개
5: 체결공 6: 양면 테이프
8: 길이 조절공 9: 조립공
10: 너트 11: 체결편
12: 천장 카세트 에어컨 13: 토출구
14: 보강돌기 15: 경사면
16: 결합볼트 17: 흡입구

Claims (5)

  1. 에어컨(12)의 토출구(13) 하부에 위치하여 토출되는 바람을 반사하여 풍향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판 형상에 다수개의 조립공(9)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가이드판(3)과;
    상기 가이드판(3)의 상부 양측에는 조립공(9)에 하부가 끼움 결합되어 너트(10) 체결되고, 상부는 에어컨(12)과 피스 체결되어 상·하·좌·우로 구부려서 가이드판(3)의 풍향 각도 및 위치를 조절하는 한 쌍의 플렉시블(flexible) 조절봉(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flexible) 조절봉(2)은 표면에 나선형의 주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3)의 양측으로 포개어 좌·우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일정간격으로 길이 조절공(8)이 형성된 보조 날개(4)를 가이드판(3)의 조립공(9)에 길이 조절공(8)을 일치시켜 플렉시블(flexible) 조절봉(2)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볼트(16)를 끼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flexible) 조절봉(2)은 상부에 체결공(5)이 형성된 체결편(11)의 상면에 양면 테이프(6)가 접착되어 에어컨(12)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
  5. 삭제
KR1020090036906A 2009-04-28 2009-04-28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931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906A KR100931749B1 (ko) 2009-04-28 2009-04-28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906A KR100931749B1 (ko) 2009-04-28 2009-04-28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1749B1 true KR100931749B1 (ko) 2009-12-14

Family

ID=41684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906A Expired - Fee Related KR100931749B1 (ko) 2009-04-28 2009-04-28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7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023A (ko) * 2014-06-23 2016-01-04 주식회사 닷익스펜더 천장 에어컨용 송풍 가이드장치
WO2022089395A1 (zh) * 2020-10-30 2022-05-0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导风部件和具有其的空调器
KR200497023Y1 (ko) 2022-12-15 2023-07-04 김현석 에어컨디셔너용 윈드 바이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9147U (ko) 1980-11-22 1982-06-01
JPH03114170U (ko) * 1990-03-12 1991-11-22
KR200164658Y1 (ko) 1999-09-14 2000-02-15 주식회사태림공조 공조용 공기 토출구
KR20060000164U (ko) * 2006-11-20 2006-12-21 양섭문 에어컨의 바람막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9147U (ko) 1980-11-22 1982-06-01
JPH03114170U (ko) * 1990-03-12 1991-11-22
KR200164658Y1 (ko) 1999-09-14 2000-02-15 주식회사태림공조 공조용 공기 토출구
KR20060000164U (ko) * 2006-11-20 2006-12-21 양섭문 에어컨의 바람막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023A (ko) * 2014-06-23 2016-01-04 주식회사 닷익스펜더 천장 에어컨용 송풍 가이드장치
KR101645794B1 (ko) * 2014-06-23 2016-08-29 주식회사 닷익스펜더 천장 에어컨용 송풍 가이드장치
WO2022089395A1 (zh) * 2020-10-30 2022-05-0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导风部件和具有其的空调器
KR200497023Y1 (ko) 2022-12-15 2023-07-04 김현석 에어컨디셔너용 윈드 바이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4580B1 (ja) 空気調和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の運転方法
EP2821716B1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comprising a wind-visor for air discharge opening
KR100782195B1 (ko) 공기 조화기
EP2719969B1 (en) Air conditioner
EP1326054B1 (en) Decorative panel for air conditioning system, air outlet unit, and air conditioning system
TWI681153B (zh) 外氣空調機及換氣系統
CN107314452B (zh) 壁挂式室内机及空调器
EP2518418A1 (en) Fan convector
CN106225194A (zh) 空调器
US12203665B2 (en) Hybrid window air conditioning unit
JP6484090B2 (ja) 放射空調システム
KR100931749B1 (ko)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
KR101249969B1 (ko) 에어컨 실외기용 커버
JP6099151B2 (ja) 空気調和装置
KR20200138620A (ko) 천정형 에어컨의 무동력 회전 팬 장치
KR20140001518U (ko) 에어컨 풍향 조절장치
KR101328531B1 (ko) 에어컨 및 냉동장치용 실외기의 전면커버
JP2023095403A (ja) 空調機及びこれを用いた放射空調装置
KR102457778B1 (ko) 공기조화기
KR101309739B1 (ko) 에어컨 및 냉동장치용 실외기의 전면커버
KR200454889Y1 (ko) 에어컨의 풍향 조절장치의 플렉시블 조절봉
KR20000031228A (ko) 공기 조화기
CN108278682A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JP2023095400A (ja) 空調機の据付板、空調機、放射空調装置、及び放射空調装置の据え付け方法
RU49195U1 (ru) Отопительный конвек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6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73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9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8073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