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29960B1 - 영상 구현 장치 및 이에 있어서 스크린 구조물 - Google Patents

영상 구현 장치 및 이에 있어서 스크린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9960B1
KR100929960B1 KR1020080016832A KR20080016832A KR100929960B1 KR 100929960 B1 KR100929960 B1 KR 100929960B1 KR 1020080016832 A KR1020080016832 A KR 1020080016832A KR 20080016832 A KR20080016832 A KR 20080016832A KR 100929960 B1 KR100929960 B1 KR 100929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s
image
screen
light output
imag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1521A (ko
Inventor
송효섭
Original Assignee
(주)성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삼 filed Critical (주)성삼
Priority to KR1020080016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9960B1/ko
Publication of KR20090091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96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5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the image being built up from image elements distributed over a 3D volume, e.g. voxels
    • G02B30/5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the image being built up from image elements distributed over a 3D volume, e.g. voxels by projecting aerial or floating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면에서 삼차원 영상을 보여줄 수 있는 영상 구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영상 구현 장치는 소정 영상에 해당하는 빛을 출력하는 복수의 광 출력 장치들, 상기 광 출력 장치들로부터 출력된 빛들을 각기 반사시키는 반사 보드들 및 상기 반사 보드들에 의해 반사된 빛들을 각기 투사시켜 상기 영상을 구현하는 스크린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들은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스크린 구조물을 형성하며,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은 해당 반사 보드로부터 소정 각도(예각)만큼 경사져 있고, 상기 각 스크린들을 통하여 구현된 삼차원 영상들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 영상들과 다른 영상이다.
영상, 스크린, 반사, 프로젝터

Description

영상 구현 장치 및 이에 있어서 스크린 구조물{APPARATUS FOR EMBODYING AN IMAGE AND SCREEN STRUCTURE IN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 구현 장치 및 이에 있어서 스크린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면에서 삼차원 영상을 사실감 있게 보여줄 수 있는 영상 구현 장치 및 이에 있어서 스크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정 영상을 보여주고자 하는 경우 프로젝터로 이용하여 영상을 유색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시키거나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을 이용하여 단순히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킨다. 이 경우, 관객이 상기 영상을 통하여 사실감을 느끼기 어려웠으며, 또한 관객은 자신이 상기 스크린 전면 또는 상기 액정 표시 장치 전면에 위치한 경우에만 상기 영상을 볼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위치로 제한되지 않고 사면에서 동일한 또는 다른 영상을 사실감 있게 제공할 수 있는 영상 구현 장치 및 이에 있어서 스크린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구현 장치는 소정 영상에 해당하는 빛을 출력하는 복수의 광 출력 장치들; 상기 광 출력 장치들로부터 출력된 빛들을 각기 반사시키는 반사 보드들; 및 상기 반사 보드들에 의해 반사된 빛들을 각기 투사시켜 상기 영상을 구현하는 스크린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들은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스크린 구조물을 형성하며,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은 해당 반사 보드로부터 소정 각도(예각)만큼 경사져 있고, 상기 각 스크린들을 통하여 구현된 삼차원 영상들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 영상들과 다른 영상이다.
상기 영상 구현 장치는 4개의 스크린들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들은 특정 사각형 무대의 각 측면들에 배열되고, 상기 스크린들은 상기 무대로부터 특정 각도 경사져 있다.
상기 영상 구현 장치는 상기 광 출력 장치들로부터 출력된 빛들을 해당 반사 보드들로 반사시키는 복수의 반사 부재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반사 부재들의 경사 각도는 조절 가능하다.
상기 영상 구현 장치는 상기 각 스크린들을 고정시키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 되, 상기 광 출력 장치들은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위치된다.
상기 각 스크린들은 투명한 포일이다.
상기 각 스크린들을 통하여 구현된 삼차원 영상들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 영상들과 다른 영상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구현 장치는 소정 삼차원 영상들을 출력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소자들; 및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들로부터 출력된 영상들을 각기 투사시키는 스크린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들은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스크린 구조물을 형성하며,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은 해당 디스플레이 소자로부터 특정 각도(예각)만큼 경사져 형성되고, 상기 각 스크린들을 통하여 구현된 삼차원 영상들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 영상들과 다른 영상이다.
상기 각 스크린들은 투명 포일이다.
상기 영상 구현 장치는 4개의 스크린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들은 특정 사각형 무대의 각 측면들에 배열되고, 상기 스크린들은 상기 무대로부터 특정 각도 경사져 있다.
상기 영상 구현 장치는 상기 각 스크린들을 지지 고정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각 스크린들을 통하여 구현된 삼차원 영상들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 영상들과 다른 영상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는 액정 표시 소자,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 또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이다.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소자는 상하로 위치가 가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구현 장치의 스크린 구조물은 복수의 스크린들; 및 상기 스크린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여기서, 반사 보드 또는 디스플레이 소자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영상과 관련된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린들은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은 상기 반사 보드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로부터 특정 각도(예각)만큼 경사져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구현 장치가 무대의 각 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스크린들로 이루어진 스크린 구조물을 이용하므로, 관객은 사면에서 동일한 영상 또는 다른 영상을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관객은 위치적 제한없이 다양한 영상을 볼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는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을 위해 필요한 영상들을 사면에서 많은 수의 관객들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제공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들이 상호 연결됨에 의해 하나의 스크린 구조물을 형성하므로, 영상 구현을 위해 필요한 공간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 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 구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영상 구현 장치 중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들을 투과함에 의해 생성된 삼차원 영상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영상 구현 장치는 무대(100)의 측면에 배열되는 N(2이상의 정수)개의 스크린들(102), N개의 광 출력 장치들(104), N개의 반사 거울들(106) 및 N개의 반사 보드들(108)을 포함한다. 다만, 도 1에서는 구성 요소들을 전부 도시하지는 않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N은 4이며, 즉 사각형 무대(100)의 각 측면들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스크린(102), 광 출력 장치(104), 반사 거울(106) 및 반사 보드(108)가 배치된다.
스크린들(102A, 102B, 102C 및 102D)은 투명한 물질, 예를 들어 투명한 포일로 이루어지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되어 하나의 스크린 구조물을 형성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스크린(102A), 광 출력 장치(104A), 반사 거울(106A) 및 반사 보드(108A)를 예로 하여 상기 영상 구현 장치의 배열 및 동작을 상술하겠다.
광 출력 장치(104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Frame, 200)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삼차원 영상에 해당하는 빛을 반사 거울(106A)로 출력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 출력 장치(104A)는 프로젝터(Projector)이다.
반사 거울(106A)은 반사 부재의 일종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대(100)의 법선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경사져 형성되며, 광 출력 장치(104A)로부터 출력된 빛을 반사 보드(108A)로 반사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 거울(106A)의 경사 각도는 임의로 조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반사 보드(108A)에 의해 반사된 빛의 경로가 변화된다. 결과적으로, 스크린(102A)을 투과함에 의해 생성되는 영상의 위치가 변화된다.
반사 보드(108A)는 반사 거울(106A)에 의해 반사된 빛을 스크린(102A)으로 반사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 보드(108A)의 하부면 상에는 위치 조정 장치(미도시, 예를 들어 유압 펌프)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 조정 장치는 반사 보드(108A)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스크린(102A)은 무대(100)의 일측면 상에 배열되며, 프레임(Frame, 200)에 의해 지지 고정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스크린(102A)의 텐션은 별도의 텐션 유지 부재(미도시)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스크린들(102A, 102B, 102C 및 102D)은 프레임(200) 또는 별도의 프레임(미도시)에 의해 모두 연결되어 하나의 스크린 구조물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사람들은 사면에서 영상을 볼 수 있으며, 따라서 선거 유세 등과 같이 모든 방향에서 사람들에게 영상을 보여주어야 할 경우 또는 자동차 박람회 등과 같이 하나의 장치에 대한 여러 영상들을 보여주어야 할 경우에 이러한 스크린 설치 구조가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린(102A)은 반사 보드(108A)로부터 소정 각도(예각)만큼 경사져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반사 보드(108A)로부터 반사된 빛과 스크린(102A)의 법선은 예각을 이룬다.
이하, 이러한 영상 구현 장치의 영상 구현 과정을 상술하겠다.
우선, 광 출력 장치(104)는 특정 영상과 관련된 빛을 해당 반사 거울(106)로 출력한다.
이어서, 광 출력 장치(104)로부터 출력된 빛이 반사 거울(106)에 의해 반사되어 해당 반사 보드(108) 방향으로 진행된다.
계속하여, 반사 거울(106)에 의해 반사된 빛이 반사 보드(108)에 의해 재반사된 후 해당 스크린(102)을 투과한다. 결과적으로, 무대(100) 위에 특정 삼차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며, 따라서 관객은 상기 영상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크린들(102A, 102B, 102C 및 102D)을 투과함에 의해 생성되는 영상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또는 일부가 다른 영상일 수도 있고, 모두 동일한 영상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들이 모두 다른 영상일 경우에도, 상기 영상들이 모두 전혀 다른 대상일 수도 있고 동일한 대상이되 부분 영상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자동차의 정면, 측면, 후면, 상면이 각기 다른 영상으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관객은 스크린들(102A, 102B, 102C 및 102D)에 대응하는 지점들로 위치를 이동하면서 다양한 영상들을 볼 수 있고, 서비스 제공자도 다양한 영상들을 관객에게 보여줄 수 있다. 특히, 스크린들(102A, 102B, 102C 및 102D)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구조물을 형성하므로, 다 양한 영상들을 보여주면서도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구현 장치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본 실시예의 영상 구현 장치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크린들 및 대응 부재들로 이루어지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에서는 1개의 스크린 및 대응 부재들이 도시하였고 도 1의 도면 부호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영상 구현 장치는 스크린(102A), 광 출력 장치(104A), 반사 보드(108A) 및 프레임(200)을 포함한다.
광 출력 장치(104A)는 특정 삼차원 영상과 관련된 빛을 반사 보드(108A)로 출력시킨다.
반사 보드(108A)는 광 출력 장치(104A)로부터 출력된 빛을 스크린(102A)으로 반사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린(102A)으로 반사되는 빛의 각도가 조정 가능하도록 광 출력 장치(104A)의 출력 각도가 조정될 수 있으며, 반사 보드(108A)는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이렇게 반사 보드(108A)에 의해 반사된 빛은 투명한 스크린(102A)을 투과하며, 결과적으로 무대(100) 위에 특정 삼차원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요컨대, 도 1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광 출력 장치(104)는 특정 빛을 반사 거울(106)로 출력시킬 수도 있고 반사 보드(108)로 출력시킬 수 있다. 여기서, 광 출력 장치(104)가 반사 거울(106)로 출력시키는 경우에는, 반사 거울(106)의 각 도를 조정함에 의해 무대(10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반면에, 광 출력 장치(104)가 반사 보드(108)로 직접 출력시키는 경우에는, 무대(10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서는 광 출력 장치(104)의 출력 각도가 조정되거나 반사 보드(108)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구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영상 구현 장치도 복수의 스크린들을 포함하지만, 도 5에서는 하나의 스크린(502)만을 도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영상 구현 장치는 복수의 스크린들(502), 복수의 디스플레이 소자들(504), 프레임(506), 제어부(508) 및 분배부(51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소자(504)는 예를 들어 4개의 디스플레이 소자들(504A, 504B, 504C 및 504D)을 포함하며,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 전계 발광 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OELD) 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소자(504)는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스크린들(502)은 예를 들어 투명한 포일로 이루어지며, 무대(500)의 각 측면에 배치되고 프레임(506)에 의해 지지 고정된다.
이하, 이러한 영상 구현 장치의 동작을 상술하겠다.
제어부(508)는 특정 삼차원 영상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분배부(510)로 전송한다.
분배부(510)는 상기 전송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각 디스플레이 소자들(504A, 504B, 504C 및 504D)로 분배시킨다.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소자들(504A, 504B, 504C 및 504D)은 모두 동일한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킨다.
이렇게 디스플레이된 영상은 스크린(502)을 투사하며, 결과적으로 무대(500) 위에 특정 삼차원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다만, 디스플레이 소자들(504A, 504B, 504C 및 504D)이 모두 동일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므로, 관객은 어느 스크린(502)에 위치하는 지와 관계없이 항상 동일한 영상을 보게 된다.
그러나, 제어부(508)가 디스플레이 소자들(504A, 504B, 504C 및 504D)로 각기 다른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스크린들(502)을 투사함에 의해 생성되는 영상들이 다른 영상들이므로 관객은 현재 자신의 위치에 따라 다른 영상을 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508)는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들을 분배부(51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소자들(504A, 504B, 504C 및 504D)에 제공할 수도 있고 분배부(510)를 통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소자들(504A, 504B, 504C 및 504D)로 직접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 구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 구현 장치 중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들을 투과함에 의해 생성된 삼차원 영상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구현 장치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구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4)

  1. 소정 영상에 해당하는 빛을 출력하는 복수의 광 출력 장치들;
    상기 광 출력 장치들로부터 출력된 빛들을 반사시키는 반사 보드들; 및
    상기 반사 보드들에 의해 반사된 빛들을 투사시켜 상기 영상을 구현하는 스크린들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들은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스크린 구조물을 형성하며,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은 해당 반사 보드로부터 소정 각도(예각)만큼 경사져 있고, 상기 각 스크린들을 통하여 구현된 삼차원 영상들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 영상들과 다른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구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구현 장치는 4개의 스크린들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들은 특정 사각형 무대의 각 측면들에 배열되고, 상기 스크린들은 상기 무대로부터 특정 각도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구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구현 장치는,
    상기 광 출력 장치들로부터 출력된 빛들을 해당 반사 보드들로 반사시키는 복수의 반사 부재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반사 부재들의 경사 각도는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구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구현 장치는,
    상기 각 스크린들을 고정시키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광 출력 장치들은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구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스크린들은 투명한 포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구현 장치.
  6. 삭제
  7. 소정 삼차원 영상들을 출력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소자들; 및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들로부터 출력된 영상들을 투사시키는 스크린들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들은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스크린 구조물을 형성하며,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은 해당 디스플레이 소자로부터 특정 각도(예각)만큼 경사져 형성되고, 상기 각 스크린들을 통하여 구현된 삼차원 영상들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 영상들과 다른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구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스크린들은 투명 포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구현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구현 장치는 4개의 스크린들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들은 특정 사각형 무대의 각 측면들에 배열되고, 상기 스크린들은 상기 무대로부터 특정 각도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구현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구현 장치는,
    상기 각 스크린들을 지지 고정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구현 장치.
  11. 삭제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는 액정 표시 소자,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 또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구현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소자는 상하로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구현 장치.
  14. 영상 구현 장치의 스크린 구조물에 있어서,
    복수의 스크린들; 및
    상기 스크린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프레임을 포함하되,
    반사 보드 또는 디스플레이 소자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영상과 관련된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린들은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은 상기 반사 보드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로부터 특정 각도(예각)만큼 경사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구현 장치에 있어서 스크린 구조물.
KR1020080016832A 2008-02-25 2008-02-25 영상 구현 장치 및 이에 있어서 스크린 구조물 Expired - Fee Related KR100929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832A KR100929960B1 (ko) 2008-02-25 2008-02-25 영상 구현 장치 및 이에 있어서 스크린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832A KR100929960B1 (ko) 2008-02-25 2008-02-25 영상 구현 장치 및 이에 있어서 스크린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521A KR20090091521A (ko) 2009-08-28
KR100929960B1 true KR100929960B1 (ko) 2009-12-09

Family

ID=41208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832A Expired - Fee Related KR100929960B1 (ko) 2008-02-25 2008-02-25 영상 구현 장치 및 이에 있어서 스크린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99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600B1 (ko) * 2009-12-18 2011-05-24 주식회사 비전소프트텍 투명스크린을 이용한 3차원 가상현실 시스템 및 가상영상 표시방법
KR101217295B1 (ko) * 2011-06-17 2012-12-31 (주)디스트릭트홀딩스 영사용 원형 스크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3929A (ko) * 1995-05-25 1996-12-23 구자홍 입체 영상 표시 장치
WO2003036993A1 (en) 2001-10-24 2003-05-01 Neurok Llc Projection of three-dimensional images
KR20060079545A (ko) * 2004-12-31 2006-07-06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입체 동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WO2006079341A1 (en) 2005-01-26 2006-08-03 Vizoo Invest Aps Display device for producing quasi-three-dimensional imag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3929A (ko) * 1995-05-25 1996-12-23 구자홍 입체 영상 표시 장치
WO2003036993A1 (en) 2001-10-24 2003-05-01 Neurok Llc Projection of three-dimensional images
KR20060079545A (ko) * 2004-12-31 2006-07-06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입체 동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WO2006079341A1 (en) 2005-01-26 2006-08-03 Vizoo Invest Aps Display device for producing quasi-three-dimensional im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521A (ko) 200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4173B2 (en) Display device and head-up display device
TWI529678B (zh) 具有週邊放大率之無縫可拼接顯示器
EP175438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3d images
TWI549117B (zh) 用於具有多個像素陣列之可平鋪顯示設備之組態
CN104166266B (zh) 一种镜面显示装置控制方法、控制装置和控制系统
US11841582B2 (en) Display device
TWI520116B (zh) 可平鋪顯示設備中之光學組態
US10209674B2 (en) Floating image display device
US20090085831A1 (en) Display device
JPH08237692A (ja) 三次元ディスプレイ
KR10245144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7516877B2 (ja) 空中表示装置
TR201702620A2 (tr) Sesi Yeniden Üreten Ekran
TW201506868A (zh) 可平鋪顯示設備
WO2019208097A1 (ja) 空中表示装置
KR20120073718A (ko)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닛, 디스플레이장치 및 도광판 제조방법
WO2019177059A1 (ja) 表示装置
WO2016150778A1 (en) Display device with directional control of the output, and a backlight for such a display device and a light direction method
KR100929960B1 (ko) 영상 구현 장치 및 이에 있어서 스크린 구조물
CN114035339A (zh) 背光源模组、显示模组、驱动方法及显示装置
KR102355821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JP4291021B2 (ja) 画像表示装置
JP7242104B2 (ja) 少なくとも2つの動作モード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用の照明装置
JP2006100182A (ja) 面光源及びその面光源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12063466A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