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29145B1 - 서비스 고유 전송 시간 제어를 동반한 고속 업링크 패킷액세스 (hsupa) 자율 전송을 위한 저속 mac-e - Google Patents

서비스 고유 전송 시간 제어를 동반한 고속 업링크 패킷액세스 (hsupa) 자율 전송을 위한 저속 m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9145B1
KR100929145B1 KR1020077009704A KR20077009704A KR100929145B1 KR 100929145 B1 KR100929145 B1 KR 100929145B1 KR 1020077009704 A KR1020077009704 A KR 1020077009704A KR 20077009704 A KR20077009704 A KR 20077009704A KR 100929145 B1 KR100929145 B1 KR 100929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interval
transmission time
transmitting
virtual transmission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9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5412A (ko
Inventor
베노아 세비레
주카 나우하
안나-마리 빔파리
에사 말카매키
마티 조키미에스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614291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2914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65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16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time allocation to individual channels within a transmission cycle is variable, e.g. to accommodate varying complexity of signals, to vary number of channels transmit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 (HSUPA) 중의 자율 전송 및 HUSPA시 서비스 고유 전송 시간 제어를 위한 저속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 (MAC-e)의 시스템 및 방법이 제안되며, 전파공간 인터페이스 전송 시간 인터벌 (TTI),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 (HARQ) 프로세스들 또는 개선된 전용 전송 채널 (E-DCH) 스케줄링과 무관한 제어 파라미터가 사용된다. 이러한 제어는 이어지는 새 전송들 간 최소 타임 인터벌을 규정한다. 이 제어는 정상적으로 수행되는 재전송들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Description

서비스 고유 전송 시간 제어를 동반한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 (HSUPA) 자율 전송을 위한 저속 MAC-E{Slow MAC-E for autonomous transmission in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along with service specific transmission time control}
본 발명은 3세대 공동 프로젝트 (3GPP)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 표준,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 (HSUPA) 및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 (HSDPA), 그리고 3GPP 코어 네트워크 및 스피치 코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특정하자면, HSUPA 중의 자율 전송 및 HSUPA의 서비스 고유 전송 시간 제어를 위한 저속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 (MAC-e)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3세대 공동 프로젝트 (3GPP) 기술 사양 (TS) 25.309,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Enhanced Uplink; Overall description; Stage 2 TS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FDD) 업링크 개선; 통람; 스테이지 2 TS)"는, 백워드 시스템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일정 레벨의 개선된 전용 채널 (E-DCH) 최소 세트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규정하고 있다. 최소 세트를 가지고, 베이스 스테이션 (즉, 노드 B) 스케줄러에 의한 사전 자원 할당 없이 데이터 패킷들의 업링크 신호를 통한 자율적 전송이 일어날 수 있다. 달리 말해, 각각의 사용자 장치 (UE)에 대한, 최소 세트 는, 패킷이 전송되기 위해 유효한 스케줄링 인가가 요구되지 않는 전송 포맷 (TF)들의 집합을 규정한다. 일반적 조건하에서, 노드 B는 스케줄링 인가를 통해 UE로 업링크 자원의 몫을 할당한다. 이러한 자원 할당이 일어난 후에만, UE가 패킷들을 업링크 신호로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규정된 최소 세트는, 보통 시그날링 목적에 사용되는 최소 비트 레이트를 항상 보장한다.
노드 B 스케줄러의 입장에서, 스케줄링 되지 않은 UE들이 자율적으로 TF들의 집합을 전송할 가능성은 노드 B 프로세싱 자원들과 밀접하게 연루되는데, 이는 노드 B들이 실질적으로 자율 전송을 수행하는 UE들의 개수와 상관없이 그러한 UE들로부터 이뤄진 전송을 처리할 준비가 언제나 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결국, 스케줄링을 통해, 이용가능한 노드 B 프로세싱 자원들의 활용을 최적화하는 노드 B들의 능력은 제한되어 진다. 그에 따라, 소정 수의 TF들을 처리하는 데 있어서의 노드 B의 복잡도가 증가하게 될 것이다.
다수의 UE들이 스케줄링 되지 않은 자율 전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으로, 이러한 UE들에 대해 ROT (Rise over Thermal) 마진을 예비할 것을 요할 수 있다. 2ms 전송 시간 인터벌 (TTI), 360 비트의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 (MAC-e)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PDU) 사이즈, 및 n 개의 스케줄링 되지 않은 UE들의 경우, 자율 전송에 기인한 셀 내 최악의 경우의 합동 레이트는, 4 라는 총 고정 재전송 횟수에 대해 n*45 kb/sec가 된다. 여기서, 45 kb/sec 레이트는 감축된 전력 레벨에서 180 kb/sec로 4 회 전송함으로써 달성된다고 전제한다. 많은 수의 UE들을 가질 때, 스케줄링 된 전송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는, 요구되는 RoT 마진이 중요해 질 수 있다.
모토롤라 사에서 개발된, R1-041069 사양, "Signaling Radio Bearer (SRB) Mapping, EDCH Minimum Set and Node B Complexity Issues (시그날링 무선 베어러 (SRB) 매핑, EDCH 최소 세트 및 노드 B 복잡도 문제들)"에, 상술한 문제점들에 대하여, 최소 세트가 가령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 (DPDCH)이 없는 경우들에 적용되는 상황들을 제한하는 등의 해법들이 제안되어 있다. 삼성에서 개발된, R1-041087 사양, "Autonomous Transmission with Time Division Multiplex (TDM)"에는 자율 전송이 TTI들의 서브세트로서만 허용되는 TDM 기반 해법을 사용하는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루슨트 테크놀로지에 의해 개발된 R1-041211 사양 "Support of Low Minimum Rate for E-DCH"에서 제안된 또 다른 해법은, 자율 전송 레이트를 위해 허용된 수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 (HARQ) 전송들을 증가시키거나, 자율 전송을 위해 UE가 사용하기로 허용된 HARQ 프로세스의 수를 줄이는 것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이들 해법들 각각은 모두 높은 수준의 복잡도를 요하기 때문에 최적성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개선된 전용 채널들 (E-DCH) 지원 개념이 3GPP Rel-6에 소개되었다. E-DCH 전송에서, 어떤 인가(grant)가 요구되는데, 말하자면, 스케줄링 되지 않은 매체 액세스 제어 전용 (MAC-d) 플로우들에 대해 스케줄링 되지 않은 인가가 요청되고, 스케줄링 된 전송에는 서비스 인가 (serving grant)가 요구된다. 스케줄링 된 MAC-d 데이터 플로우들에 있어, 노드 B는, 언제 UE가 패킷들 및, 이어지는 전송시 스케줄링된 데이터에 대해 사용 허용된 최대 개선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 (E-DPDCH) 대 전용 물리 제어 채널 (DPCCH) 전력 비율을 전송하도록 허용되는가를 제어한다. 스케줄링 되지 않은 MAC-d 플로우들에 대해, 네트워크가 특정 MAC-d 플로우들에 대해 MAC-e PDU에 포함될 수 있는 최대 비트 수를 정의하는 것이 허용된다.
2 ms E-DCH TTI의 경우, 각각의 스케줄링 되지 않은 인가가 무선 자원 제어 (RRC)에 의해 지시된 HARQ 프로세스들의 특정 집합에 대해 적용될 수 있고, 여기서 RRC는 스케줄링 된 인가가 적용될 수 있는 HARQ 프로세스들의 집합을 제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스케줄링 되지 않은 MAC-d 플로우들로 매핑되는 데이터가 가능한 HARQ 프로세스 제한 및 가능한 이용 가능 전력 제한에 따라 가능하다면 빨리, 스케줄링 되지 않은 인가에 의해 규정된 레이트로서 전송된다.
유니버설 전기통신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UTRAN)는 E-DCH 상의 업링크 (UL) 전송 인터벌을 제어하는 능력이 제한되어 있다. UTRAN은 2ms TTI가 UE에 의해 지원될 때, TTI가 2ms 또는 10ms가 되게 선택할 수 있다. 2ms TTI의 경우, UTRAN은 스케줄링 된 MAC-d 플로우들 및 스케줄링 되지 않은 MAC-d 플로우들에 대해 허용된 프로세스들을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스케줄링 된 전송의 스케줄링 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 (BTS)이다.
E-DCH 상의 저 비트 레이트 전송은, 업링크 (UL) 및 다운링크 (DL) 시의 여러 제어 채널들로 인한 큰 제어 오버헤드를 위한 요건을 등장시키며, TTI 당 제어 비트 량은 모든 패킷 사이즈들에 있어 동일하다. 예를 들어, E-DCH 상으로 전송되는 각각의 전송 블록 (TB)마다, 승인/비승인(ACK/NACK)이 DL 및 E-TFCI (enhanced transport format combination indicator)로서, RSN (robust secure network; 강한 안전 네트워크)을 통해 전송되고, "해피 비트 (Happy bit)'가 UL로서 전송된다. 동일한 전송 블록을 통해 그러나 덜 자주 더 많은 패킷들을 전송함으로써 제어 오버헤드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TB 및 TTI의 페이로드는 증가될 것이다.
바람직한 것은, 전송 용량을 늘리기 위해 UTRAN이 UTRAN 내 특정 서비스들 (가령,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에 대한 전송 인터벌을 늘릴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전송 인터벌에 대한 규정에 있어, UTRAN은 서비스의 특징, 가령, 추정되거나 알려진 비트 레이트, 지연 요건, 알려질지 모를 서비스 데이터 유닛 (SDU) 도달 레이트 등등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통상의 VoIP 접속시 3GPP 적응적 멀티-레이트 (AMR) 및 AMR-WB(Wideband) 코덱들의 경우, TS 26.236의 5.1.1 장에 서술된 규칙에 따르면, 스피치 프레임 당 하나의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실시간 전송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 (UDP/RTP/IP) 패킷이 존재한다, 즉 20ms 마다 한 패킷이 존재한다. E-DCH 상에서, 이것은 20ms 당 한 개의 전송 블록 (TB) 전송의 속도(레이트)로 이어지는데, 이는 현재의 MAC 사양이 UE로 하여금 최우선 데이터의 처리량을 극대화할 것을 요하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스피치(speech)가 높은 우선권을 가지므로, MAC은 상위 계층들로부터 수신시 가능한 한 빨리 스피치 패킷을 전송하고자 한다. 그러나 그러한 서비스는 무선 인터페이스상에서 약간의 부가적 지연을 용인한다. 결국, 전송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패킷들이 40 또는 60 ms 마다 한번 씩 보내질 수 있다. 여기서, 20 내지 40 ms의 부가 전송 지연은 스피치 품질에 별다른 주목할만 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전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3세대 공동 프로젝트 (3GPP)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 (HSUPA), 3GPP TR 25.808, 사양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FDD) 개선 업링크; 물리 계층 양태들", 및 3GPP TS 25.309,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개선 업링크; 총람; 스테이지 2" 도중의 패킷 데이터 트래픽을 위한 업링크 전용 채널 (E-DCH) 개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파공간 인터페이스 전송 시간 인터벌 (TTI),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 (HARQ) 프로세스들 혹은 개선된 전용 전송 채널 (E-DCH) 스케줄링과 무관한 제어 파라미터가 사용된다. 이러한 제어는 계속되는 새로운 전송들 간의 최소 시간 인터벌을 정의한다. 이 제어는 정상적으로 수행되는 재전송들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모든 MAC-e PDU 마다, 전송이 자율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체크가 이뤄진다. 전송이 자율적이지 않으면, 자율적 전송이 일어날 때까지 계속해서 체크가 이뤄진다. 즉, 지속적 루프가 실행된다. 자율 전송이 검출되면, MAC-e 및 물리 계층 (계층 1) 간 교환 레이트가 느려지게 된다, 즉, 교환 레이트가 감속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MAC-e 및 물리 계층 간 교환 레이트의 감속은, MAC-e 계층, 즉 계층 2의 서브 계층이 MAC-e PDU를 계층 1 (즉, 물리 계층)로 전송할 때 발생한다. MAC-e PDU는 매 전송 시간 인터벌 (TTI) 마다 한번 씩이 아닌, 매 n*TTI 마다 물리 계층으로 전송된다.
이와 달리, MAC-e가 최소 세트에 속한 전송 포맷(TF(들))을 위한 물리 계층으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PDU)들을 전송하는 레이트는, ROT (Rise over Thermal)에 대한 최소 세트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감속된다. 각 사용자 기기 (UE)마다, 최소 세트는 패킷들이 전송되기 위해 요구되는 유효한 스케줄링 인가가 요구되지 않는 전송 포맷(TF)들의 집합을 규정한다. 정상적 조건 하에서, 노드 B (즉, 베이스 스테이션)가 스케줄링 인가를 통해 UE로, 업링크 자원 몫을 할당한다. 계층 1에서 볼 때, 본 발명의 방법은 투과적이다 (transparent), 즉, 패킷들이 단지 이따금 (가령, 어쩌다 한번)씩 전송되는 것으로 보인다.
n 값이 늘어날수록, 유효 비트 레이트 및 RoT에 대한 자율 전송의 영향은 작아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기식 HARQ가 사용된다. 결과적으로, n이 HARQ 프로세스 수의 배수로 선택되면, 항상 같은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 (HARQ)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서로 다른 n 값에 기반해 서로 다른 HARQ 프로세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n 값은, 사양에 의해 선택되어 UE들로 시그날링 되거나 (즉, 공통 값이 UE들로 시그날링 된다), UE에 종속적인 것이 될 수 있다 (즉, 특정 UE로 시그날링되는 특정 값). 본 발명의 방법은 스케줄링 된 전송에 대해 스케줄링 인가를 수행하는 종래의 방법들에 비해 간단하다는 데 있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계층 1에 대해 투과적 (transparent)이며, 계층 2에 미미한 영향만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새 제어 파라미터는,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PDP) 콘텍스트/무선 액세스 베어러 (RAB) 계층 혹은 MAC 계층에서 구축된다. 본 발명이 PDP 콘텍스트/무선 액세스 RAB 계층에서 구현될 때, 새 PDP 콘텍스트/QoS (quality of signal) 파라미터가 사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새 파라미터는 특정 RAB 상에 전송되는 연속 SDU (service data unit)들 간 최소 요구 시간 인터벌을 설정하는 "SDU 상호-도달 레이트 (inter-arrival rate)"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파라미터는 기존의 PDP 콘텍스트/RAB QoS 파라미터들과는 다른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시그날링 된다. 결국, 애플리케이션은 이 파라미터에 의해 특정된 레이트 보다 높은 레이트로 SDU들을 MAC 계층에 전송하지 못한다. 데이터 소스가 이러한 시간 인터벌 안에서 여러 패킷들을 발생하는 경우, 그 패킷들은 한 개의 SDU로 그룹화 된다. 패킷들을 MAC 계층에 그룹화하는 것은 패킷 데이터 사용자들 간 업링크 전력 자원을 더 효율적으로 나누는 것과 같이, 패킷 헤더 오버헤드를 최적화하는 것과 관련한 혜택들을 얻게 해주는 능력을 제공한다.
이와 다른 방안으로서, MAC-d 계층에 새 MAC 파라미터를 도입할 수도 있다.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새 파라미터는 MAC-d 플로우를 위해 계속되는 새 전송들 간 최소 시간 인터벌을 규정하는 "버추얼 TTI"이다. 최초의 전송은 버추얼 TTI 중에 단 한 번만 허가될 것이다. 버추얼 TTI는 무선 네트워크 콘트롤러 (RNC)에 의해 UE로 시그날링 될 수 있다. 그러면 UE는 MAC-d 계층에서 버추얼 TTI를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및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과 연계해 고려된 이하의 상세 설명을 통해 보다 자명해질 것이다. 그러나, 도면들은 단지 예시할 목적으로만 의도된 것일 뿐 본 발명의 제한사항을 규정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하며, 본 발명의 제한사항은 첨부된 청구항들에서만 규정되어야 한다. 도면들은 단지 여기 설명되는 구조들 및 과정들을 개념적으로 예시하도록 의도되었음을 역시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것 및 다른 이점들과 특징들이, 첨부된 다음과 같은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자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이 구현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나타낸 전형적 흐름도이다;
도 3 및 4는 각각 10 ms 및 2 ms 전송 시간 인터벌 (TTI)에 대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PDP) 콘텍스트/무선 액세스 베어러 (RAB) 계층에 PDP 콘텍스트/RAB 서비스 품질 (QoS) 파라미터를 도입하는 것과 관련된 전형적 타이밍도들이다.
도 5 및 6은 각각 10 ms 및 2 ms 전송 시간 인터벌 (TTI)에 대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매체 액세스 제어 전용 (MAC-d) 계층에 도입될 수 있는 새 매체 액세스 제어 (MAC) 파라미터의 도입과 관련된 전형적 타이밍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실시예와 관련된 전형적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은 서비스 고유 전송 시간 제어를 동반하는, HSUPA 내 자율 전송을 위한 저속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 (MAC-e)의 시스템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파공간 인터페이스 전송 시간 인터벌 (TTI),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 (HARQ) 프로세스들 또는 개선된 전용 전송 채널 (E-DCH) 스케줄링과 무관한 제어 파라미터가 사용된다. 이러한 제어는 계속되는 새로운 전송들 간 최소 시간 인터벌을 정의한다. 이 제어는 정상적으로 수행되는 재전송들에 대해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1은 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같은 전기통신 네트워크로의 연결을 위한 모바일 스위칭 센터 (MSC)(3), 적어도 한 베이스 스테이션 컨트롤러 (BSC)(4), 및 소정 전파공간 인터페이스 표준에 따라 모바일 스테이션들로 물리 채널과 논리 채널 모두를 포워드 혹은 다운링크 방향으로 전송하는 복수의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들 (BTS)(5) 등을 포함하는 전형적인 네트워크 오퍼레이터(2)를 보인 것이다. 모바일 스테이션(10)으로부터 네트워크 오퍼레이터까지, 모바일이 발신한 액세스 요청들 및 트래픽과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시그날링을 전달하는 리버스(reverse, 반대방향) 혹은 다운링크 통신 경로가 존재한다는 것을 전제한다. BTS들(5)은 상이한 크기와 상이한 주파수들 등등으로 될 수 있는 셀들을 규정한다.
전파공간 인터페이스 규격은 시분할 다중화 액세스 (TDMA) 전파공간 인터페이스에 부합하며, 네트워크는 유니버설 모바일 전기통신 시스템 (UMTS) 네트워크 또는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개념은 코드 분할 다중 화 액세스 (CDMA) 네트워크들뿐 아니라 다른 네트워크 종류들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오퍼레이터(2)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SMS) 메시지들이나, 이메일과 보충 데이터 서비스 (Supplementary Data Services)를 포함하는 임의의 무선 메시징 테크닉 같이, MS(10)에 대한 메시지들을 수신 및 전달하는 메시지 서비스 센터 (MSCT)(6)를 포함할 수 있다. 또, 개발중에 있거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MMS)로서 알려져 있는 것 같이, 이미지 메시지, 비디오 메시지, 오디오 메시지, 텍스트 메시지, 실행자들 따위, 이들의 조합들이 네트워크와 모바일 스테이션 간에 전송될 수 있는, SMS에 대해 개선된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모바일 스테이션 (MS)(10)은 보통 디스플레이(14) 입력과 연결된 출력부 및 키보드나 키패드(16) 출력과 연결된 입력부를 구비한 마이크로-컨트롤 유닛 (MCU)(12)를 포함한다. MS(10)는 셀룰라, 모바일 전화 또는 PDA 같은 핸드헬드 무선 전화라고 생각할 수 있고, 음성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MS(10)는 사용중에 다른 장치에 연결되는 카드나 모듈 안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MS(10)가, 사용 중에 랩탑이나 노트북 컴퓨터, 혹은 심지어 사용자 착용형 컴퓨터 같은 휴대형 데이터 프로세서 안에 설치되는 PCMCIA나 이와 유사한 타입의 카드 또는 모듈 안에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MCU(12)는, 운영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 (ROM)과 필요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할 램 (RAM), 스크래치패드 (scratchpad) 메모리, 수신 데이터 패킷들 및 전송을 위해 준비되는 패킷들 등을 포함해, 여러 유형의 메모리(13)를 포함하거나, 그 에 연결되어 있다고 전제된다. 메모리(13)는 셀 재선택을 수행하기 위해 MS(10)에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저장한다고 전제된다.
독자적인, 탈부착형 SIM (미도시) 역시 갖춰질 수 있는데, 여기서 SIM은 가령 바람직한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리스트 및 기타 가입자 관련 정보 등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목적과 관련해, ROM은, MCU(12)로 하여금 본 발명의 현재로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작동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 루틴들을 실행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고 전제된다.
MS(10)은 또,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18)나 그와 등가의 고속 프로세서뿐 아니라 네트워크 오퍼레이터(2)와 통신하기 위해 안테나(24)에 연결되어 있는 송신기(20) 및 수신기(22)를 갖춘 무선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무선 섹션도 포함한다. 수신기(22)는 셀 재선택 프로세스에 사용되는 신호 측정을 행하는 데 사용된다.
종래의 시스템 구조하에서, 패킷 스케줄러들은 무선 네트워크 콘트롤러 (RNC) (미도시)에 자리한다. 또, RNC 및 사용자 장치 (UE) 사이의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날링 인터페이스는 대역폭 제한이 있다. 결국, 패킷 스케줄러는 순시적 트래픽 변경에 적응하는 능력이 제안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네트워크 트래픽 변경을 수용하기 위해, 패킷 스케줄러는 후속 스케줄링 기간 중의 비활동 (inactive) 사용자들로부터의 영향을 참작하기 위해 업링크 전력을 줄잡아 할당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해법은 고 할당 데이터 레이트들 및 롱-릴리스 (long-release) 타이머 값들에 대해 스펙트럼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개선된 전용 채널 (E-DCH)과 함께, 본 발명은 업링크 자원들의 할당을 관리하도록 노드 B (즉, 베이스 스테이션)를 활용한다, 즉, 노드 B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여기서, UE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UE의 무선 링크 제어 (RLC) 버퍼에서 전송할 데이터 량에 적합한 TFC (Transport format combination)를 선택한다. 그러나, TFC의 선택은 UE의 최대 전송 전력 및 최대 허용 TFC에 대한 제약을 경험한다. 그러나, 필요하다면, UE가 더 높은 비트 레이트를 요청할 수 있고, 그러면 노드 B는 추가 자원들을 인가할지 여부를 결정할 것이다. 소정 실시예에서, 노드 B는 현재의 셀 로드에 기초해 모든 UE들에 할당된 자원들을 조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과 관련된 단계들을 예시한 것이다. 모든 MAC-e PDU에 대해서 마다, 전송이 자율적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체크가 이뤄진다(200 단계). 전송이 자율적이면, 체크는 자율적 전송이 일어날 때까지 지속해서 행해진다, 즉 이 방법은 루프를 통해 지속된다. 자율적 전송이 검출되면, MAC-e 및 물리 계층 (계층 1) 간의 교환 레이트는 느려지게 된다, 즉, 교환 레이트가 감속된다(210 단계). 본 발명에 따르면, MAC-e 및 물리 계층 간 교환 레이트의 감속은 MAC-e 계층, 즉 계층 2의 서브 계층이 3GPP IS 25.309 사양,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FDD) 개선 업링크; 총람; 스테이지 2"에 기술된 것과 같이, MAC-e PDU를 계층 1 (즉, 물리 계층)로 전송할 때 (220 단계) 일어난다. MAC-e PDU는 모든 전송 시간 인터벌 (TTI) 마다 한 번씩이 아닌 n*TTI 마다 물리 계층으로 전송된다 (230 단계).
이와 달리, MAC-e가 최소 세트에 속하는 전송 포맷(TF(들))을 위해 물리 계층으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PDU)들을 전송하는 레이트는, "ROT (Rise over Thermal)"에 대한 최소 세트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감속된다. 각각의 사용자 장치(UE)에 대해, 최소 세트는, 패킷들이 전송되도록 하기 위해 유효한 스케줄링 인가가 요구되는 전송 포맷들 (TFs)의 잡합을 규정한다. 정상적 조건하에서, 노드 B는 스케줄링 인가를 통해 UE에 업링크 자원 몫을 할당한다. 계층 1에서 볼 때, 본 발명의 방법은 투과적이다, 즉 패킷들이 가끔씩만 (가령, 어쩌다 한 번씩만) 전송되는 것으로 보인다.
n 값이 늘어날수록, 유효 비트 레이트 및 RoT에 대한 자율 전송의 영향은 작아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3GPP TR 25.808, 사양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FDD) 개선 업링크; 물리 계층 양태들"에 정의된 동기식 HARQ가 사용된다. 결과적으로, n이 HARQ 프로세스 수의 배수로 선택되면, 항상 같은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 (HARQ)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서로 다른 n 값에 기반해 서로 다른 HARQ 프로세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n 값은, 사양에 의해 선택되어 UE들로 시그날링 되거나 (즉, 공통 값이 UE들로 시그날링 된다), UE에 종속적인 것이 될 수 있다 (즉, 특정 UE로 시그날링되는 특정 값). 본 발명의 방법은 스케줄링 된 전송에 대해 스케줄링 인가를 수행하는 종래의 방법들에 비해 간단하다는 데 있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계층 1에 대해 투과적이며, 계층 2에 미미한 영향만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PDP) 콘텍스트/무선 액세스 베어러 (RAB) 계층 혹은 MAC 계층에서 새 제어 파라미터로서 구현된다. 본 발명이 PDP 콘텍스트/무선 액세스 RAB 계층에서 구현될 때, 새 PDP 콘텍스트/QoS (quality of service) 파라미터가 사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새 파라미터는 특정 RAB 상에 전송되는 연속 SDU (service data unit)들 간 최소 요구 시간 인터벌을 설정하는 "SDU 상호-도달 레이트 (inter-arrival rate)"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파라미터는 기존의 PDP 콘텍스트/RAB QoS 파라미터들과는 다른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시그날링 된다. 결국, 애플리케이션은 이 파라미터에 의해 특정된 레이트 보다 높은 레이트로 SDU들을 MAC 계층에 전송하지 못한다. 데이터 소스가 이러한 시간 인터벌 안에서 여러 패킷들을 발생하는 경우, 그 패킷들은 한 개의 SDU로 그룹화 된다. 패킷들을 MAC 계층에 그룹화하는 것은 패킷 데이터 사용자들 간 업링크 전력 자원을 더 효율적으로 나누는 것과 같이, 패킷 헤더 오버헤드를 최적화하는 것과 관련한 혜택들을 얻게 하는 능력을 제공한다.
좀 더 자주 전송되는 보다 작은 사이즈의 SDU들이 아닌, 보다 큰 사이즈의 SDU들이 사용될 때, UE, 코어 네트워크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프로세싱 로드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무선 네트워크가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대해 얼마나 투과적이냐에 따라, SDU 신호-도달 레이트 파라미터를 고려하여 애플리케이션 계층 안에서 그룹화 등을 수행하는 것이 항상 가능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3 및 4는 각자 10 ms 및 2 ms 전파공간 인터페이스 전송 시간 인터벌 (TTI)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PDP) 콘텍스트/ 무선 액세스 베어러 (RAB) 계층 안에 PDP 콘텍스트/ RAB 신호 품질 (QoS) 파라미터를 도입하는 것과 고관련된 전형적 타이밍도들이다. 각각의 경우에, SDU 상호-도달 레이트는 40 ms이 다.
도 3을 참조할 때, 10 ms의 10ms 전파공간 인터페이스 TTI에 대해, 2 개의 VoIP 패킷들 (즉, 1 개의 RLC SDU)이 40 ms 마다 전송된다. 이 경우, 하나의 VoIP 패킷이 20 ms 마다 소스로부터 전송된다. 말하자면, 데이터 소스는, 40 ms SDU 상호-도달 레이트 안에서 하나의 SDU 안에 그룹화되는 여러 (즉, 2개의) 데이터 패킷들을 발생한다. 모두 2 개의 VoIP 패킷들을 포함하는, RLC SDU #1 및 #2의 한 번의 재전송이 도시되어 있다. 40 ms의 SDU 상호-도달 레이트는, 이어지는 새 RLC SDU #2 (B)가 RLC SDU #1 (A) 뒤 적어도 40 ms 지연 다음에 전송되게 만들고, 40 ms 주기 중에 소스에 의해 생성된 2 개의 VoIP 패킷들이 한 개의 RLC SDU #2 (B) 안에 그룹화되게 만든다. RLC SDU #1 (A)의 재전송(C)으로 인해, RLC SDU #1 (A) 내 최초 발생 패킷 지연은 70 ms이고, 다음으로 20 ms 뒤에 생성되는 RLC SDU #2 (B) 내 패킷의 지연은 50 ms이 된다. 즉, 하나의 RLC SDU 내의 두 패킷들 모두가 재전송된다. 여기서, RLC SDU #2 (B)의 재전송 역시 발생하였다. 결국, B 안의 2 개의 VoIP 패킷들은 80 ms 및 60 ms 지연되며, 추가적인 한 전파공간 인터페이스 TTI (10ms) 지연은, RLC SDU #2 (B)가 최초로 허용될 때 발생하는 RLC SDU #1 (A)의 재전송 (C)으로 인한 것이다. 의도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한 패킷은 소스 (가령, 음성 코덱)으로부터의 한 VoIP 패킷을 말하며, 박스 넘버들 (A, B)은 RLC SDU 넘버들을 말한다. 2ms 전파공간 인터페이스 TTI에 대해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RLC SDU #1 (A)의 재전송으로 인한 RLC SDU #2(B)의 추가 지연은 존재하지 않으며, 재전송들 RLC SDU #1 (A)이 RLC SDU #2 (B)의 전송과는 다른 HARQ 프로세스들을 통 해 일어나므로, RLC SDU #2 (B)는 RLC SDU #1 (A) 보다 40 ms 뒤에 전송된다. RLC SDU #1 (A)의 3 번의 재전송으로 인해, RLC SDU #1 (A)에서 최초 발생된 패킷의 지연은 70 ms가 되고, 이어서 20 ms 뒤에 발생된 RLC SDU #1 (A) 내 VoIP 패킷의 지연은 50 ms가 된다, 즉, 하나의 RLC SDU 안의 두 패킷들은 모두 3회 재전송된다.
바람직한 전송 인터벌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목적을 위해 최적화될 수 있고, 가령 사용된 전송 채널에 따라 달라진다. 결과적으로, PDP 콘텍스트/RAB QoS 파라미터가 전송 인터벌을 규정할 최적임이 아닐 수도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MAC-d 계층에 새 MAC 파라미터를 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 새 파라미터는 MAC-d 플로우를 위해 이어지는 새 전송들 간 최소 시간 인터벌을 규정하는 "버추얼 TTI"이다. 최초의 전송은 버추얼 TTI 중 오직 한 번만 허용될 것이다. 버추얼 TTI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RNC)에 의해 UE로 시그날링될 수 있다. 그러면 UE가 MAC-d 계층 안에 그 버추얼 TTI를 구현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10 ms 전파공간 인터페이스 및 10 ms의 TTI에 있어서, VoIP 패킷들은 매 20 ms 마다 전송된다. MAC-d 2에 40 ms 버추얼 TTI가 있을 때, VoIP 패킷들은 40 ms 마다 동일한 전파공간 인터페이스 TTI를 통해 전송된다. 이 경우, 하나의 패킷이 20 ms 마다 소스로부터 전송되고, 각각의 RLC SDU는 하나의 VoIP 패킷을 포함한다. 즉, 저마다 각각 하나의 VoIP 패킷을 포함하는 RLC SDU들이 애플리케이션에서 MAC으로 20ms 마다 전달된다. 여기서, 패킷들 #1 (A) 및 패킷들 #2 (B)은 그들 자체의 독자적 RLC SDU들을 통해 20 ms 시간 차로 MAC 계층에 전달되고, 동일한 한 개의 10 ms 전파공간 인터페이스 TTI를 통해 전송되기 위해 MAC-d 계층에서 그룹화된다.
후속 새 패킷들 #3 및 #4은 10ms 전파공간 인터페이스 TTI를 통해 전송되기 위해 함께 MAC-d에서 그룹화되는데, 이는 40 ms 버추얼 TTI가 이전 전송 시작 후 40 ms가 경과되기 전에는 이 전송을 금지하기 때문이다. 패킷들 #1 (A) 및 #2 (B)은 재전송된다 (C 및 D). 패킷 #1 (A)은 패킷 #2 (B)보다 20ms 앞서 소스로부터 전송되나, 이전 패킷 최초 전송 시작 뒤 40 ms 버추얼 TTI가 경과 되기 전에 전송 허용되지 않는다. 결국, 패킷 #1 (A)과 한 번의 재전송 (C)의 지연은 70 ms이고, 패킷 #2와 한 번의 재전송(D)의 지연은 50 ms이다.
여기서, 패킷들 #1 (A) 및 #2 (B)의 재전송이 일어났다. 결과적으로, 패킷 #3 (E)은 80 ms 지연되고, 패킷 #4 (F)는 60 ms 지연되며, 이때 같은 재전송 회수를 갖는 패킷들 #1 (A) 및 #2 (B)과 비교되는 부가적 한 전파공간 TTI (즉, 10 ms) 지연은 패킷들 #3 (C) 및 #4 (D)의 전송이 최초로 허용될 때 일어나는 패킷들 #1 (A) 및 #2 (B)의 재전송에 기인한다. 의도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패킷은 소스 (가령, 음성 코덱)로부터의 VoIP 패킷을 말하며, 박스 (A, b, C, D) 넘버들은 패킷과 RLC SDU 넘버들 모두를 칭한다.
도 6에서, 2ms 전파공간 인터페이스 IIT에 있어, 패킷들 #1 (A) 및 #2 (B)은 동일한 2 ms 전파공간 인터페이스 TTI를 통해 전송되고, 3 회 재전송된다. 패킷 #1 (A)의 지연은 70 ms이고, 패킷 #2 (B)의 지연은 50 ms이다. 여기서, 패킷 #1 (A)의 최초 전송은 이전 패킷의 최초 전송 뒤 40 ms 후에만 허용되며, 그에 따라 부가 지연 없이 전송될 수 있는 패킷 #2 (B)에 비해 20 ms가 더 지연된다. 패킷들 #3 (C) 및 #4 (D)은 패킷들 #1 (A) 및 #2 (B)의 최초 전송보다 40 ms 버추얼 TTI 뒤에 전송된다.
또,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프로토콜 헤더 오버헤드를 최적화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버추얼 TTI"를 참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송 인터벌이 PDP 콘텍스트/RAB 파라미터에서 정의되는 경우와 비교해, MAC 계층에서 파라미터를 규정하여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의존성 배제를 지원함이 바람직하다. 여러 무선 베어러들 (RB)이 동일한 전송 채널 안에 다중화되면, 각각의 RB에 대해 각자 "버추얼 TTI"를 정의할 수 있어야 한다.
후자의 경우, RNC는 특정 서비스들을 식별하기 위해 서비스하는 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지원 노드 (SGSN)에 의해 전달되는 파라미터들을 이용한다. 그러나, 제어 (즉, 산출된 지연)는 그 고유 서비스에 기초하는 것이 아니며, 그보다 지연은 서비스의 QoS 파라미터들에 기초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 최적의 버추얼 TTI 길이를 결정하기 위해 다른 이용가능한 정보가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통계 서술자" (SSD), "트래픽 등급 (traffic class)", 및 "전송 지연" 같은 QoS 값들이 지연 산출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정 실시예들에서, SSD가 "스피치"를 가리키는 값을 포함하고 트래픽 등급이 대화가능(conversational)이면, 버추얼 TTI는 40 ms라고 정해진다. 또,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의 로드가, 최적 버추얼 TTI 길이를 결정하기 위한 다른 기준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로드 수준이 낮을수록, 사용되는 버추얼 TTI가 짧아진다. 본 발명은 QoS 등, 즉 3GP의 RNC 알고리즘에 관한 일반적인 접근방식에 기반 하는 예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각각의 특정 구성에 요구되는 특정 RNC 알고리즘들에 기반하는 다른 특정한 구성들 역시 있을 수 있다.
다운링크 방향 (DL)으로서, 본 발명은 HS-DSCH (high speed downlink shared transport channel)에서 구현된다. 여기서, DL시 RAB 속성 'SDU 상호-도달 레이트'가, UTRAN이 그 DL 자원들을 최적화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또, UTRAN은 MAC 계층에서 DL로 '버추얼 TTI'를 사용할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허용된다. '버추얼 TTI'를 DL을 통해 UE로 시그날링하는 것의 이점은, 그것을 UE로 시그날링 하지 않고 이 기능을 DL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고 해도, UE가 상호-도달 기간 중에 수신기를 스위치 오프할 수 있다는 데 있다. 결국, 다른 주기 파라미터 T가 사용되어 HS-DSCH 디코딩 주기가 아닌 HS-SCCH 디코딩 주기를 정의할 수 있다.
현재의 3GPP 사양 네트워크에 규정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RNC) 및 베이스 스테이션 (즉, 노드 B)은 본보기적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러한 장치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그보다, 본 발명은 이들의 프레임 구조 및 그 구조의 융통성에 따라, 진화한 3GPP 네트워크 등과 같은 다른 패킷 교환형 (PS) 네트워크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UE는 기본적인 RAN 네트워크가 HSUPA임을 인지할 때, 즉, 파라미터들의 시그날링 (즉, 전송 인터벌)이 네트워크에 의해 수행되지 않고, UE에서 내부적으로 구현되었음을 인지할 때, 40 ms 버추얼 TTI를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UE는 기본 RAN 네트워크가 HSUPA임을 검출할 때 40 ms 버추얼 TTI를 사용하도록 결정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버추얼 TTI는 네트워크에 의해 시그날링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MAC 레벨 상에서 사용된다. 또, 버추얼 TTI에 속한 정보는, 데이터 소스에서 SDU들 안으로의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RTP) 페이로드 내) 스피치 프레임들의 패킷화 같은 패킷들의 패킷화를 제어하는 유닛으로 전달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버추얼 TTI 길이에 기반하여, 버추얼 TTI에 대한 스피치 접속을 최적화하도록 패킷화 규칙들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폴트 동작시, 하나의 20 ms 스피치 프레임이 한 개의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실시간 전송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 (UDP/RTP/IP) 패킷 안에 놓이게 된다. 버추얼 TTI가 40 ms 길이를 가진다고 알려지면, 두 개의 20 ms 짜리 프레임들이 하나의 UDP/RTP/IP 패킷 안으로 삽입될 수 있고, 그에 따라, UE 및네트워크에서의 UDP/RTP/IP 프로토콜 오버헤드 및 프로세싱 로드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무선 링크 제어 (RLC) 서비스 데이터 유닛 (SDU) 당 한 개의 스피치 패킷, 또는 UDP/RTP/IP 패킷은, 여러 개의 스피치 패킷들이 하나의 RTP/UDP/IP패킷 안에 결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 보다 잠정적으로 더 높은 수준의 융통성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통화의 다운링크 부분이 각각의 RLC SDU들에서 서로 다른 스피치 패킷들을 가진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 (HSDPA)를 이용하면, 보다 높은 수준의 융통성이 그 HSDPA 스케줄러에 대해 지원된다. 또, 고속 업링크 액세스 (HSUPA)에 있어서, 각자의 RLC SDU들 내 각각의 스피치 패킷은 2 ms나 10 ms의 전파공간 인터페이스 TTI 당 단 한 개의 스피치 패킷 전송만을 허용한다. 이것은, 가령 시그날링 무선 베어러 (SRB) 같은 다른 무선 링크 제어 (RLC) 버퍼로부터의 높은 우선순위 패킷들의 전송이, 여러 스피치 패킷들을 포함하는 큰 전송 블록 (TB)의 전송을 막는 경우가 될 수 있다. 또, RLC SDU의 사이즈는 단 한 개의 스피치 프레임이 한 개의 RLC SDU 안에 포함될 때 더 규칙적이고 예측가능하게 된다.
의도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령 UE가 전송 전력을 다 소비했을 때와 같은 열악한 무선 환경하에서, UE 전력 제한이 고려되고 그에 따라 2 ms나 10 ms의 전파공간 인터페이스 TTI 당 한 개의 스피치 패킷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MAC-d는 버추얼 TTI 마다 한번 씩, 즉 3GPP IS 25.309 사양에서 정의된 일반적인 TTI와 동일한 인터벌로 UE의 RLC 버퍼를 체크할 것이다. 결국, 버추얼 TTI 중에 수신된 패킷들이 RLC 레벨에서 버퍼링될 것이다. 또, MAC가 어떤 특별한 경우들에서 좀 더 빈번하게 RLC 버퍼를 체크하는 것이 허용되며, 그러한 특별한 경우란, 전력 제한으로 인해 RLC 버퍼를 클리어할 수 없을 때, 다른 RLC 버퍼 (가령, SRB)로부터의 상위 우선순위 패킷들의 전송시, 혹은 한 전파공간 인터페이스 TTI 안에서 전송될 수 없는 보다 큰 RLC SDU들 (가령, 비압축 헤더들이나 실시간 제어 프로토콜 (RTCP) 패킷들)이 존재할 때를 말한다.
도 7을 참조하면, 10 ms 전파공간 인터페이스 및 40 ms의 버추얼 TTI에 대해, 두 개의 VoIP 패킷들이 40 ms 마다 전송된다. 여기서, 패킷들 #1 (A) 및 패킷들 #2 (B)은 함께 한 개의 SDU로 그룹화되는데, 이는 이어지는 새 패킷 #2 (B)이 40 ms 시간 주기 안에 전송되기 때문이다. 패킷 #1 (C)과 패킷 #2 (D) 그리고 #3 (E) 및 #4 (F)에 대한 단일 전송이 보여진다. 그러나, 단일 TTI 중에 이어지는 새 패킷들 #3 (E) 및 #4 (F)을 전송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결국, 이 패킷들은 함께 그룹화되어 각자의 TTI들을 통해 전송된다.
이러한 환경하의 UE MAC 동작의 예는 다음과 같다: (i) MAC가 이 전파공간 인터페이스 TTI 중에 RLC 버퍼를 비울 수 있으면, MAC는 버추얼 TTI 후 다음 소정 후속 시간 인터벌로서 RLC 버퍼를 체크할 것이고; (ii) MAC이 버퍼를 비울 수 없으면, MAC은 다음 전파공간 인터페이스 TTI를 위해 역시 RLC 버퍼를 체크할 것이다. 이것이, 필요할 때, 즉, 많은 SDU들이 활용될 때, RLC 버퍼들의 빠른 비우기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동작 중의 전송 빈도는 여전히 제한된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의도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현은 네트워크 설정에 기초해 허용된다, 가령, 네트워크는 버추얼 TTI에 의해 설정된 시점들로만 전송을 제한하도록 구성되거나, 네트워크가 앞서 기술된 상기 동작들만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가능한 HARQ 개수나 스케줄링 된 전송의 스케줄링 회수를 제한할 것을 요한다. 종래의 TTI에서, 전송 인터벌은 단지 10 ms까지만 제한되고, TTI는 모든 MAC-d 플로우들 및 모든 서비스들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TTI를 제한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실행 가능한 서비스 고유의 해법이 아니다. 가능한 HARQ 프로세스들을 제한하는 것은, 멀티 서비스 경우들의 HARQ 프로세스 핸들링 관련 융통성을 없애게 하는 부정적 효과를 만든다. 패킷 재전송의 경우, 가능한 HARQ 프로세스들의 수는 늘어나야 한다. 이러한 증가가 일어나지 않으면, 새 전송들에 대한 전송 인터벌이 최초에 의도한 것에서 증가하게 될 것이다. 2 ms TTI의 경우, HARQ 프로세스를 단지 매 16 ms 까지만 통제하고, 10 ms TTI의 경우 40 ms 까지 통제함으로써 전송이 제한될 수 있다. 스케줄링을 통해 스케줄링 된 전송의 TTI를 제어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것은 큰 제어 오버헤드를 야기한다, 즉, 한 전송 당 두 번의 스케줄링 된 인가가 일어난다.
본 발명은 제어 오버헤드를 바람직하게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ACK/NAK가 덜 자주 필요하기 때문에, 다운링크 E-DCH HARQ 표시자 채널 (HICH) (즉, HARQ ACK/NAK가 E-HICH 상으로 전송됨) 오버헤드는 감소될 수 있다. 또, E-DCH 전용 물리 제어 채널 (E-DPCCH) 오버헤드가 줄어든다. 또한, 업링크 전용 물리 제어 채널 (UL DPCCH) 게이팅이 도입되는 경우 오버헤드의 추가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DPCCH는 연속해서 전송되지 않으며, 다른 UL 채널들이 전송될 대에만 전송된다. 시스템 용량 절약 외에,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UE의 배터리 용량이 보존된다는 것으로, 이는 UE가 버추얼 TTI가 사용될 때 송수신을 덜 자주 해도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기본적이고도 신규한 특징들이 도시되고 설명되고 지적되었지만,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형태 및 세부사항과 이들의 동작에 있어서 다양한 치환과 변경 및 생략이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동일한 결과를 얻기 위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거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요소들 및/또는 방법의 모든 조합들이 본 발명의 범위 안에 있다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또, 본 발명의 개시된 어떤 형식이나 실시예와 관련하여 보여지고/거나 기술된 구조들 및/또는 구성요소들 및/또는 방법의 단계들이 디자인 선택의 일반 문제로서 개시되거나 기술되거나 제안된 어떤 다른 형 식 또는 실시예 안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 역시 알아야 한다.

Claims (46)

  1.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에 대한 버추얼 전송 시간 인터벌(transmission time interval)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가 현재의 전파공간 (air) 인터페이스 전송 시간 인터벌 내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가 현재의 전파공간 인터페이스 전송 시간 인터벌 내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고 있지 않다고 판별되는 경우에, 상기 버추얼 전송 시간 인터벌에 의해 결정되는 기간이 경과한 후에 다음의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패킷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추얼 전송 시간 인터벌은 업링크 전송들 사이에서 허용되는 최소 시간 인터벌을 포함하는 패킷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의 데이터 패킷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는 패킷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가 현재의 전파공간 인터페이스 전송 시간 인터벌 내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가 자신의 무선 링크 제어 버퍼를 비웠는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패킷 전송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버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패킷 전송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전송하는 단계는 전송 형식 조합을 상기 버추얼 전송 시간 인터벌의 하나의 기능으로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패킷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전송 형식 조합을 선택하는 단계는 무선 링크 제어 버퍼 및 버추얼 전송 시간 인터벌을 점유하는 기능인 패킷 전송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전송하는 단계는 그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전용 채널을 통해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패킷 전송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추얼 전송 시간 인터벌을 결정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엘리먼트로부터 상기 버추얼 전송 시간 인터벌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패킷 전송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추얼 전송 시간 인터벌을 결정하는 단계는 명시적인 네트워크 시그날링이 없는 패킷 전송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로부터의 스케줄링 인가가 필요하지 않은 자율 업링크 전송에 대해 모바일 스테이션에 의해 실행되는 패킷 전송 방법.
  12. 전송 인터벌을 변경하기 위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체화한 메모리로서,
    상기 동작은,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에 대한 버추얼 전송 시간 인터벌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가 현재의 전파공간 (air) 인터페이스 전송 시간 인터벌 내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가 현재의 전파공간 인터페이스 전송 시간 인터벌 내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고 있지 않다고 판별되는 경우에, 상기 버추얼 전송 시간 인터벌에 의해 결정되는 기간이 경과한 후에 다음의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버추얼 전송 시간 인터벌은 업링크 전송들 사이에서 허용되는 최소 시간 인터벌을 포함하는 메모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의 데이터 패킷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는, 메모리.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가 현재의 전파공간 인터페이스 전송 시간 인터벌 내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가 자신의 무선 링크 제어 버퍼를 비웠는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버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리.
  17. 제1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전송하는 단계는 전송 형식 조합을 상기 버추얼 전송 시간 인터벌의 하나의 기능으로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리.
  18. 제17항에 있어서,
    전송 형식 조합을 선택하는 단계는 무선 링크 제어 버퍼 및 버추얼 전송 시간 인터벌을 점유하는 기능인, 메모리.
  19. 제1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전송하는 단계는 그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전용 채널을 통해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리.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버추얼 전송 시간 인터벌을 결정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엘리먼트로부터 상기 버추얼 전송 시간 인터벌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리.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버추얼 전송 시간 인터벌을 결정하는 단계는 명시적인 네트워크 시그날링이 없는, 메모리.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및 프로세스는 모바일 스테이션 내에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동작들은 네트워크로부터의 스케줄링 인가가 필요하지 않은 자율 업링크 전송을 위한 것인, 메모리.
  23.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과 버추얼 전송 시간 인터벌을 저장하는 메모리;
    무선 트랜시버; 및
    상기 메모리 및 상기 무선 트랜시버에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모바일 스테이션이 현재의 전파공간 (air) 인터페이스 전송 시간 인터벌 내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검사하고; 그리고
    상기 모바일 스테이션이 현재의 전파공간 인터페이스 전송 시간 인터벌 내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고 있지 않다고 판별되는 경우에, 상기 버추얼 전송 시간 인터벌에 의해 결정되는 기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트랜시버로 하여금 다음의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게 하는; 패킷 전송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버추얼 전송 시간 인터벌은 업링크 전송들 사이에서 허용되는 최소 시간 인터벌을 포함하는 패킷 전송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의 데이터 패킷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는 패킷 전송 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무선 트랜시버에 연결된 무선 링크 제어 버퍼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이때에 상기 모바일 스테이션이 현재의 전파공간 인터페이스 전송 시간 인터벌 내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검사하는 것은 상기 무선 링크 제어 버퍼가 비었는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검사를 포함하는 패킷 전송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의 데이터 패킷은 상기 버퍼로부터 상기 트랜시버로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는 패킷 전송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랜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전송하도록 하는 패킷 전송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형식 조합은 무선 링크 제어 버퍼 및 버추얼 전송 시간 인터벌을 점유하는 기능인 패킷 전송 장치.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다음의 데이터 패킷을 전용 채널을 통해서 전송하는 패킷 전송 장치.
  31.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버추얼 전송 시간 인터벌은 상기 무선 트랜시버를 경유하여 네트워크 엘리먼트로부터 수신되는 패킷 전송 장치.
  32.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버추얼 전송 시간 인터벌은 명시적인 네트워크 시그날링 없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결정되는 패킷 전송 장치.
  33.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버추얼 전송 시간 인터벌은 네트워크로부터의 스케줄링 인가가 필요하지 않은 자율 업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패킷 전송 장치.
  34.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에 대한 버추얼 전송 시간 인터벌을 결정하는 수단;
    상기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가 현재의 전파공간 (air) 인터페이스 전송 시간 인터벌 내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검사하는 수단; 및
    상기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가 현재의 전파공간 인터페이스 전송 시간 인터벌 내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고 있지 않다고 판별되는 경우에, 상기 버추얼 전송 시간 인터벌에 의해 결정되는 기간이 경과한 후에 다음의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패킷 전송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수단은, 버추얼 전송 시간 인터벌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검사하는 수단은 무선 링크 제어 버퍼가 비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전송하는 수단은,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상기 버추얼 전송 시간 인터벌에 의해 결정되는 기간이 경과했다고 판별된 후에만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송신기를 포함하는, 패킷 전송 장치.
  3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모바일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패킷 전송 장치.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모바일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패킷 전송 장치.
  38.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전송 형식 조합을 상기 버추얼 전송 시간 인터벌의 하나의 기능으로서 선택하는 패킷 전송 장치.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KR1020077009704A 2004-10-01 2005-09-30 서비스 고유 전송 시간 제어를 동반한 고속 업링크 패킷액세스 (hsupa) 자율 전송을 위한 저속 mac-e KR1009291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1537704P 2004-10-01 2004-10-01
US60/615,377 2004-10-01
US70636005P 2005-08-08 2005-08-08
US60/706,360 2005-08-08
PCT/IB2005/002907 WO2006038078A2 (en) 2004-10-01 2005-09-30 Slow mac-e for autonomous transmission in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along with service specific transmission time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412A KR20070065412A (ko) 2007-06-22
KR100929145B1 true KR100929145B1 (ko) 2009-12-01

Family

ID=36142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9704A KR100929145B1 (ko) 2004-10-01 2005-09-30 서비스 고유 전송 시간 제어를 동반한 고속 업링크 패킷액세스 (hsupa) 자율 전송을 위한 저속 mac-e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804850B2 (ko)
EP (4) EP3300421B1 (ko)
JP (1) JP4527779B2 (ko)
KR (1) KR100929145B1 (ko)
CN (2) CN101238659B (ko)
AU (1) AU2005290975B9 (ko)
ES (1) ES2534995T3 (ko)
WO (1) WO200603807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649B1 (ko) * 2004-11-09 2012-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속의 상향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채널의 제어정보송수신 방법
JP4639237B2 (ja) * 2005-01-06 2011-02-23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高速アップリンクパケットアクセス方式の改善
JP4538357B2 (ja) * 2005-03-29 2010-09-0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伝送速度制御方法、移動局、無線基地局及び無線回線制御局
EP1708524B1 (en) * 2005-04-01 2009-07-08 Panasonic Corporation "Happy bit" sett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408895B2 (en) * 2005-04-20 2008-08-0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transmissions via an enhanced dedicated channel
US8179836B2 (en) * 2005-04-20 2012-05-1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s via an enhanced dedicated channel
US8411645B2 (en) * 2005-04-26 2013-04-02 Nokia Corporation Method, system, apparatus and software product for combination of uplink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gating and enhanced uplink dedicated channel to improve capacity
CN105451266B (zh) * 2005-04-26 2021-06-01 康文森无线许可有限公司 用于voip的固定hs-dsch或者e-dch分配
US8116292B2 (en) * 2005-04-29 2012-02-1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AC multiplexing and TFC selection procedure for enhanced uplink
US7701922B2 (en) 2005-04-29 2010-04-2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AC multiplexing and TFC selection procedure for enhanced uplink
EP2120382B1 (en) * 2005-07-25 2012-10-24 Panasonic Corporation HARQ process restriction and transmission of non-scheduled control data via uplink channels
US20070025345A1 (en) * 2005-07-27 2007-02-01 Bachl Rainer W Method of increasing the capacity of enhanced data channel on up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JP4763058B2 (ja) * 2005-11-02 2011-08-31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2msNST/STへのHARQプロセスの再割り当てを目的として無線リンク・パラメータの更新を提供する装置、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07097544A1 (en) * 2006-02-27 2007-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non-scheduled transmission for packet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204005B2 (en) * 2006-03-09 2012-06-19 Intel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dynamic bidirectional aggregation of MAC frames with delayed channel access in a wireless network
JP4818803B2 (ja) * 2006-05-01 2011-11-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可変tti長制御に基づく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装置
EP1853011A1 (en) * 2006-05-02 2007-11-07 Alcatel Lucent Method for transmission of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data information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CN102891729B (zh) 2006-07-06 2015-09-23 广东新岸线计算机系统芯片有限公司 一种用于选择增强型上行链路传输格式组合的方法及装置
JP4703513B2 (ja) 2006-08-22 2011-06-1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無線基地局及び方法
CN100440807C (zh) * 2006-08-28 2008-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网络控制器中hsupa过程的性能统计方法及装置
US7961655B2 (en) 2006-09-29 2011-06-14 Innovative Sonic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adio bearer mapp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EP1909449A1 (en) * 2006-10-02 2008-04-09 Nokia Siemens Networks Gmbh & Co. Kg Method for the transmission of VoIP frames
CN101166076B (zh) 2006-10-20 2012-06-27 创新音速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设定上链路传输信道组态的方法及相关装置
KR100957420B1 (ko) * 2006-12-15 201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그 시스템
US8140102B2 (en) 2007-08-14 2012-03-20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 power calibration in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xed wireless system
US8145127B2 (en) * 2007-08-14 2012-03-27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 power calibration in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xed wireless system
KR101433834B1 (ko) 2007-09-21 2014-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시간 간격 재구성 장치 및 방법
JP5030730B2 (ja) * 2007-10-04 2012-09-1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基地局
US8457661B2 (en) 2007-12-12 2013-06-04 Mogree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mitting video messages to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KR101406029B1 (ko) * 2007-12-29 2014-06-11 알까뗄 루슨트 반―그룹화 및 통계적 멀티플렉싱을 기반으로 한 영구적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101375936B1 (ko) * 2008-02-01 2014-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간동기 타이머의 만료 시 하향링크 harq의 동작 방법
KR102048740B1 (ko) * 2008-02-01 2019-11-27 옵티스 와이어리스 테크놀로지, 엘엘씨 통신 단말기 및 우선순위가 매겨진 제어 정보를 사용하는 방법
KR101531419B1 (ko) 2008-02-01 2015-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간동기 타이머의 만료 시 상향링크 harq의 동작 방법
US9008004B2 (en) * 2008-02-01 2015-04-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nding RLC PDU and allocating radio resource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and RLC entity of mobile communications
CN103763074B (zh) 2008-08-08 2018-01-16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无线发射接收单元及对其中的mac实体进行重置的方法
ES2353779B1 (es) * 2008-08-26 2012-01-26 Vodafone España, S.A.U. Procedimiento, sistema y dispositivo para transferir tráfico en comunicaciones punto a punto.
RU2531356C2 (ru) * 2009-05-07 2014-10-20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Управление потребляемой мощностью устройства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CN102422672B (zh) * 2009-05-12 2014-09-24 三菱电机株式会社 终端切换方法、基站以及通信系统
US9025497B2 (en) * 2009-07-10 2015-05-05 Qualcomm Incorporated Media forwarding for a group communication se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9088630B2 (en) 2009-07-13 2015-07-21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vely mixing media during a group communication session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O2011068726A1 (en) * 2009-12-01 2011-06-09 Spidercloud Wireless, Inc.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scheduling
US20110257964A1 (en) * 2010-04-16 2011-10-20 Rathonyi Bela Minimizing Speech Delay in Communication Devices
FR2961054A1 (fr) * 2010-06-08 2011-12-09 Sigfox Wireless Procede d'utilisation d'une ressource frequentielle partagee, procede de configuration de terminaux, terminaux et systeme de telecommunications
US9173229B2 (en) * 2012-11-26 2015-10-27 Apple Inc. QoS based buffering while TTI bundling is enabled
US9247529B2 (en) * 2013-07-30 2016-01-26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of managing signaling radio bearer transmissions at a user equipment
WO2016045017A1 (zh) * 2014-09-24 2016-03-31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设备和非连续传输的方法
US9953655B2 (en) * 2014-09-29 2018-04-24 Qualcomm Incorporated Optimizing frequent in-band signaling in dual SIM dual active devices by comparing signal level (RxLev) and quality (RxQual) against predetermined thresholds
EP3500037B1 (en) 2016-11-04 2024-05-0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10484144B2 (en) * 2016-11-11 2019-11-19 Qualcomm Incorporated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management for low latency communications
US10652169B2 (en) * 2017-02-10 2020-05-12 Qualcomm Incorporated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management for differing types of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processes
US10313928B2 (en) * 2017-03-13 2019-06-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ulti-mode communication based on power consumption corresponds to utilization factor and transmission time
EP3603175B1 (en) * 2017-03-24 2023-04-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acket data units
US11038567B2 (en) * 2018-01-23 2021-06-15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autonomous uplink communication desig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8659A1 (en) 2002-07-08 2004-0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setting initial transport format combination in broad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US20040160914A1 (en) 2003-02-18 2004-08-19 Sandip Sarkar Congestion control in a wireless data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4635C2 (sv) 1999-07-02 2001-03-26 Ericsson Telefon Ab L M Förfaranden och medel för att överföra och mottaga paketdataenheter i ett cellulärt radiokommunikationssystem
BR0014344A (pt) * 1999-10-02 2002-1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arelho e método para transmitir dados de controle por um canal num sistema de comunicação cdma
US6996083B1 (en) * 1999-12-10 2006-02-07 Lucent Technologies Inc. Burst based access and assignment method for providing real-time services
US20020082033A1 (en) 2000-12-21 2002-06-27 Anit Lohtia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packet-based communications over a wireless network
EP1231807B1 (en) * 2001-02-12 2007-05-09 Lg Electronics Inc.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rate on the reserve link for each mobile station in a dedicated manner
KR100894286B1 (ko) * 2001-10-19 2009-04-21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다운링크에서 전체 dtx 동작 모드 동안 개선된 전력절감을 위한 시스템
JP3886795B2 (ja) 2001-12-10 2007-02-2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方法、移動端末及び通信基地局
JP3655610B2 (ja) 2002-11-26 2005-06-02 アサステック・コンピュータ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ワイヤレ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における不測の伝送中断を処理する方法
JP2004187237A (ja) * 2002-12-06 2004-07-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基地局装置およびパケット送信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
US20040228349A1 (en) * 2003-01-10 2004-11-18 Sophie Vrzic Semi-distributed scheduling scheme for the reverse link of wireless systems
JP4315910B2 (ja) * 2003-01-23 2009-08-19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資源管理装置及び制御チャネル割当方法
US7385951B2 (en) * 2003-02-15 2008-06-10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s of transmitting and signaling over a reverse link in wireless systems
WO2004080086A2 (en) * 2003-03-06 2004-09-16 Nortel Networks Limited Autonomous mode transmission from a mobile station
TW595145B (en) * 2003-03-21 2004-06-21 Benq Corp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for reducing cell phone transmission power consumption by longer discrete receiving time interval
CN1985477B (zh) 2004-05-13 2012-11-07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分配信息到通信系统的信道的方法和设备
KR20060006725A (ko) 2004-07-16 2006-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향상된 상향링크 전용채널을 지원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자율전송을 위한 파라미터 결정 방법 및 장치
EP2120382B1 (en) 2005-07-25 2012-10-24 Panasonic Corporation HARQ process restriction and transmission of non-scheduled control data via uplink channe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8659A1 (en) 2002-07-08 2004-0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setting initial transport format combination in broad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US20040160914A1 (en) 2003-02-18 2004-08-19 Sandip Sarkar Congestion control in a wireless data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38659A (zh) 2008-08-06
ES2534995T3 (es) 2015-05-04
AU2005290975A1 (en) 2006-04-13
AU2005290975B9 (en) 2010-03-11
US20060120404A1 (en) 2006-06-08
KR20070065412A (ko) 2007-06-22
WO2006038078A2 (en) 2006-04-13
CN105743622B (zh) 2019-10-11
EP3634032A1 (en) 2020-04-08
AU2005290975B2 (en) 2009-11-19
US7804850B2 (en) 2010-09-28
CN101238659B (zh) 2016-04-20
EP1797659A2 (en) 2007-06-20
EP1797659A4 (en) 2011-12-28
WO2006038078A3 (en) 2008-01-03
EP3300421A1 (en) 2018-03-28
EP2866491B1 (en) 2019-02-27
EP3300421B1 (en) 2019-08-21
EP2866491A1 (en) 2015-04-29
EP1797659B1 (en) 2015-02-18
CN105743622A (zh) 2016-07-06
JP2008517492A (ja) 2008-05-22
JP4527779B2 (ja) 201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9145B1 (ko) 서비스 고유 전송 시간 제어를 동반한 고속 업링크 패킷액세스 (hsupa) 자율 전송을 위한 저속 mac-e
CA262214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of user equipment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US8102772B2 (en) Method for selecting transport format combination guaranteed QO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96466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data rate of a circuit switched voice application in an evolved wireless system
JP2009543436A (ja) 高速ダウンリンクパケットアクセス(hsdpa)チャネルのカバレージ向上
KR20070053365A (ko) 전용 채널에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한 서비스 품질(QoS)인식 스케줄링
EP1708532A1 (en) Transmisssion rate control method, mobile station, and radio base station
RU2660637C2 (ru) Способ, систем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статуса периода молчания в оборудовании пользователя
RU2372724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коростью передачи, мобильная станция и контроллер радиосети
KR20060054658A (ko) 역방향 패킷 전송을 위한 단말의 제어 정보 시그널링 방법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5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5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