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28801B1 - 농작업 차량용 작업기의 수평제어 및 승강 관련 유압회로 - Google Patents

농작업 차량용 작업기의 수평제어 및 승강 관련 유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801B1
KR100928801B1 KR1020070124265A KR20070124265A KR100928801B1 KR 100928801 B1 KR100928801 B1 KR 100928801B1 KR 1020070124265 A KR1020070124265 A KR 1020070124265A KR 20070124265 A KR20070124265 A KR 20070124265A KR 100928801 B1 KR100928801 B1 KR 100928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horizontal control
work
lifting
work mach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4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7605A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4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801B1/ko
Publication of KR20090057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7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80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Abstract

트랙터와 같은 농작업 차량 후방에 연결되는 작업기 수평제어 및 승강과 관련한 유압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의 수평제어 및 승강 관련 유압회로는, 오일탱크와 유압펌프를 포함하는 유압공급유닛; 농작업 차량과 상기 작업기를 연결하는 링크를 작동시켜 작업 대상면에 대한 작업기의 수평도를 조절하는 수평제어 실린더; 상기 유압공급유닛으로부터 상기 수평제어 실린더 측으로 공급되는 압유의 이동경로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유압공급유닛과 수평제어 실린더를 연결하는 유압라인 상에 설치되며,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된 수평제어 밸브; 상기 수평제어 밸브의 작동을 콘트롤 하는 제어부; 상기 작업기가 작업 대상면 상에 놓이도록 하거나 작업 대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작업기를 승강시키는 좌, 우 한 쌍의 승강 실린더; 및 상기 유압공급유닛으로부터 상기 승강 실린더 측으로 공급되는 압유의 이동경로를 제어하기 위해 복수의 밸브 및 공급된 압유를 상기 오일탱크로 귀환시키는 리턴라인을 가지며, 유압공급유닛으로부터 상기 수평제어 밸브를 향하는 유압라인으로부터 분기된 유압라인 상에 마련되는 승강제어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요지로 한다.
트랙터, 작업기, 수평제어, 승강, 유압회로

Description

농작업 차량용 작업기의 수평제어 및 승강 관련 유압회로{Agriculture machinary oil pressure circuit relation of Horizental control and lifting for tractor}
본 발명은 농작업 차량의 작업기 수평제어 및 승강과 관련한 유압회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농작업 차량 후방에 부가 연결되는 작업기의 수평도 조절 내지는 상기 작업기를 상승시켜 작업 대상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데에 적합한 회로구성을 가진 농작업 차량용 작업기의 수평제어 및 승강 관련 유압회로에 관한 것이다.
견인력을 이용해 각종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 차량, 일명 '트랙터'라 불리우는 농작업 차량은 차륜 형식에 따라 무한궤도식(캐터필러)의 크롤러형과 차륜식(車輪式)의 휠형으로 대별된다. 그 중 크롤러형은 구조상 접지압이 낮고 지면에 대한 점착력(粘着力)도 크기 때문에 농경지, 건설작업장 등 불규칙한 표면 패턴을 가지는 작업 대상면에 대한 주행이 용이하지만, 주행 속도가 늦고 승차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휠형은 비교적 가벼운 피견인체 견인에 적합하고, 상기 크롤러형에 비해 승차감이 좋으며, 저항이 적고 주행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가진다.
농작업 차량은 구조적으로 일반 자동차와 같으나 강력한 엔진을 장비하고 있어 견인력이 좋고 튼튼하여 경작용으로 주로 이용되며, 경작의 용도로 활용을 위해 그 후방에는 복토 내지는 땅을 고르는 정지작업에 적합하도록 다수의 회전날개를 가진 작업기가 필요에 따라 연결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작업기 연결을 위해 도 1에서와 같이 농작업 차량 후방에는 연결용 링크('로워링크'라 불림; 125)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연결용 링크(125)를 매개로 상기 작업기(300)는 농작업 차량 후방에 견인 가능한 형태로 부착된다.
농작업 차량(200) 후방에 작업기(300)가 부착된 상태에서 복토 내지는 정지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그 작업 대상면이 요철면인 경우에, 작업 차량에 부착된 상기 작업기가 상기 요철면의 경사 각도와 무관하게 작업 대상면과 항상 수평을 이루어야만 작업 대상면 전반에 걸쳐 고른 복토 내지는 정지 작업이 수행될 수 있으며, 작업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작업기(300)를 작업 대상면으로부터 상승 이격시켜 불필요한 작업이 진행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따라서 최근 농작업 차량의 경우 작업 대상면 경사와 무관하게 초정밀 센서가 미세한 경사까지 감지하여 작업중에도 상기 작업기가 작업 대상면에 대해 항상 수평을 유지하도록 작업기의 기울기를 자동 조절하는 수평제어장치 및 불필요한 작업이 진행되지 않도록 작업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상기 작업기(300)를 지면으로부터 상승 이격시키기 위한 승강장치를 채택하고 있는데, 작업기의 수평제어 및 승 강과 관련하여 종래 작업 차량은 도 2에서와 같은 유압회로 구성을 가진 수평제어 및 승강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1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작업기(300) 수평제어 및 승강과 관련한 유압회로는 기본적으로, 계통 내에 압유를 공급하기 위한 유압공급유닛(100)과, 작업기(300)의 수평도를 조절하는 수평제어 실린더(120) 및 작업기 승강과 관련한 승강 실린더(140)를 구비한다. 수평제어 실린더(120)는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된 수평제어 밸브(110)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되며, 승강 실린더(140)는 유압공급유닛(100)으로부터 승강 실린더 측으로 공급되는 압유의 이동경로를 제어하는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도면부호 생략)와 승강 실린더를 작동시킨 압유를 오일탱크(102)로 귀환시키는 리턴라인(도면부호 생략)을 가진 승강제어 장치(130)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된다.
이처럼 구성된 작업기 수평제어 및 승강과 관련한 유압회로에 의하면, 유압공급유닛(100)으로부터 제공된 압유 중 일부는 작업기(300)의 수평도 조절을 위한 수평제어 밸브(110) 측으로 유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작업기 승강과 관련한 승강제어 장치(130) 측으로 유입된다. 그 중 상기 작업기에 대한 수평제어가 행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유압공급유닛(100)으로부터 제공된 압유는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의 폐회로를 따라 전량 승강제어 장치(130) 측으로 공급되어야 하지만, 종래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압회로의 구성상 위와 같은 과정에서 일부 압유는 릴리프 밸브(112)를 거쳐 오일탱크(102)로 보내짐에 따라, 상기 승강제어 장치(130) 측에 압유가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였다.
위와 같이 승강제어 장치(130) 측으로 공급되는 압유의 유량이 부족하면, 승강제어 장치(13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승강 실린더(140)에 제공되는 유량 역시 부족해지므로, 작업기를 작업 대상면으로부터 상승 이격시킴에 있어 상승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초래된다.
또한, 종래에는 단일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진 수평제어 밸브(110)를 이용하여 수평제어 실린더(120)를 구동시키거나 수평제어 실린더(120) 비작동 시 상기 수평제어 밸브(110)로 유입된 압유가 다시 상기 승강제어 장치(130) 측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압유의 이동경로를 제어하는 구조임에 따라, 수평제어 밸브(110) 내에 압유의 이동경로를 제어하는 스풀의 구성이 상당히 복잡하고, 수평제어 실린더(120) 비작동 시 상기 수평제어 밸브(110)로 유입된 압유를 상기 승강제어 장치(130) 측 유압라인(L4)으로 리턴시키는 과정 중 스풀이 압유의 이동경로를 정확히 제어하지 못하는 등의 오작동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 또한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업기에 대한 수평제어가 행해지지 않는 경우, 유압공급유닛으로부터 제공된 압유가 오일탱크로 귀환하지 않고 전량 승강제어 장치 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유압회로를 구성한 농작업 차량용 작업기의 수평제어 및 승강 관련 유압회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수평제어 실린더 비작동 시 수평제어 밸브에서 승강제어 장치로 제공되는 압유의 이동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농작업 차량용 작업기의 수평제어 및 승강 관련 유압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오일탱크와 유압펌프를 포함하는 유압공급유닛; 농작업 차량과 상기 작업기를 연결하는 링크를 작동시켜 작업 대상면에 대한 작업기의 수평도를 조절하는 수평제어 실린더; 상기 유압공급유닛으로부터 상기 수평제어 실린더 측으로 공급되는 압유의 이동경로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유압공급유닛과 수평제어 실린더를 연결하는 유압라인 상에 설치되며,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된 수평제어 밸브; 상기 수평제어 밸브의 작동을 콘트롤 하는 제어부; 상기 작업기가 작업 대상면 상에 놓이도록 하거나 작업 대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작업기를 승강시키는 좌, 우 한 쌍의 승강 실린더; 및 상기 유압공급유닛으로부터 상기 승강 실린더 측으로 공급되는 압유의 이동경로를 제어 하기 위해 복수의 밸브 및 공급된 압유를 상기 오일탱크로 귀환시키는 리턴라인을 가지며, 유압공급유닛으로부터 상기 수평제어밸브를 향하는 유압라인으로부터 분기된 유압라인 상에 마련되는 승강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농작업 차량용 작업기의 수평제어 및 승강 관련 유압회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작업 대상면에 대한 상기 작업기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상기 수평제어 밸브에 작동 명령을 인가하여 수평제어 밸브가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수평제어 밸브는, 작업 대상면에 대한 작업기의 수평도 조절이 요구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 신호에 따라 수평제어 실린더 측으로 공급되는 압유의 이동경로를 제어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와; 작업 대상면에 대한 작업기의 수평도 조절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 신호에 따라 유압공급유닛으로부터 제공된 압유가 전량 상기 승강제어 장치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압유의 이동경로를 제어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와 제2 솔레노이드 밸브는 각각, 상기 유압공급유닛과 수평제어 실린더를 연결하는 유압라인과, 상기 제1 솔레노이드를 향하는 유압라인으로부터 분기되면서 상기 유압공급유닛으로부터 상기 승강제어 장치를 향하는 유압라인과 합류하는 분기라인 상에 마련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기 수평제어와 관련한 수평제어 밸브가 수평 제어 실린더 작동과 관련하여 압유의 이동경로를 제어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와 수평제어 밸브 측으로 공급된 압유를 승강제어 장치 측으로 리턴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압유의 이동경로를 제어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 등 2개의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됨에 따라, 작업기에 대한 수평제어가 행해지지 않는 경우, 유압공급유닛으로부터 상기 수평제어 밸브로 제공된 압유 중 일부가 종래와 같이 오일탱크로 귀환하지 않고 전량 승강제어 장치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작업기를 작업 대상면으로부터 상승 이격시킴에 있어, 승강 실린더 측으로 제공되는 압유가 부족함에 따라 발생되는 종래 작업기 상승시간 지연과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수평제어 밸브가 복잡한 유로를 가진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져 압유의 이동경로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스풀이 상당히 복잡한 유로를 가져야 함은 물론, 그에 따라 압유 이동경로 제어 시 오작동이 빈번하게 발생하지만, 본 발명은 두 개의 솔레노이드 밸브로 분리구성하여 작업기 수평제어 및 승강과 관련하여 각각의 유로를 개별적으로 단속하는 구조로서, 위와 같은 종래 문제점 또한 해소가능 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 차량용 작업기의 수평제어 및 승강과 관련한 유압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농작업 차량 후방에 부가 연결되는 작업기의 수평도 조절 또는 승강과 관련하여 작업기 수평제어와 관련한 수평제어 밸브를 두 개의 솔레노이드 밸브(30)(32)로 분리 구성하여, 작업기에 대한 수평제어가 행해지지 않는 경우, 유압공급유닛(1)으로부터 제공된 압유가 작업기 승강과 관련한 승강제어 장치(6) 측으로 전량 공급될 수 있도록 유압회로를 구성한 것을 요지로 한다.
구체적으로, 작업기(도 1 참조)의 수평제어 및 승강과 관련한 유압회로는 기본적으로, 계통 내에 압유를 공급하기 위한 유압공급유닛(1)과, 작업기의 수평도를 조절과 관련된 수평제어 실린더(2) 및 작업기 승강과 관련한 좌, 우 한 쌍의 승강 실린더(5)를 구비한다. 상기 수평제어 실린더(2)는 두 개의 솔레노이드 밸브(30)(32)로 이루어진 수평제어 밸브(3)를 통해 그 작동이 제어되며, 작업기 승강과 관련한 상기 좌, 우 한 쌍의 승강 실린더(5)는 승강제어 장치(6)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유압공급유닛(1)은 작동유체가 충전된 오일탱크(10)와 상기 작동유체에 압력 에너지를 부여하는 유압펌프(12)로 구성되며, 수평제어 실린더(2)는 작업 차량과 작업기를 연결하는 링크(20) 중앙에 연결되어 경사진 작업 대상면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작업 대상면에 대한 작업기의 수평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유압공급유닛(1)으로부터 제공된 압유는 상기 수평제어 밸브(3)에 의한 이동경로 제어를 통해 수평제어 실린더(2) 측으로 공급되어 이 수평제어 실린더(2)가 작동되는 데, 상기 수평제어 밸브(3)는 유압공급유닛(1)과 수평제어 실린더(2)를 연결하는 유압라인(L1) 상에 배치되어 제어부(4) 신호에 따라 상기 수평제어 실린 더(2)를 향하는 유로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부(4)는 작업 대상면에 대한 상기 작업기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상기 수평제어 밸브(3)에 작동명령을 인가여 그 작동을 제어하며, 이러한 제어부(4)를 통해 작동이 제어되는 상기 수평제어 밸브(3)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유압공급유닛(1)과 수평제어 실린더(2)를 연결하는 유압라인(L1) 상에 마련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30)와, 제1 솔레노이드 밸브(30)를 향하는 유압라인(L1)으로부터 분기되면서 상기 유압공급유닛(1)으로부터 상기 승강제어 장치(6)를 향하는 유압라인(L2)과 합류하는 분기라인(L3) 중간에 마련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32)로 분리 구성된다.
제1 솔레노이드 밸브(30)는 작업 대상면에 대한 작업기의 수평도 조절이 요구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4) 신호에 따라 수평제어 실린더(2) 측으로 공급되는 압유의 이동경로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제2 솔레노이드 밸브(32)는 작업 대상면에 대한 작업기의 수평도 조절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4) 신호에 따라 유압공급유닛(1)으로부터 제공된 압유가 전량 상기 승강제어 장치(6) 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압유의 이동경로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데, 수평제어 실린더(2)를 작동시킨 압유는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30)의 유로 제어에 따라 상기한 오일탱크(10)로 귀환될 수 있도록 유압라인을 형성하고 있다.
작업기 승강과 관련한 승강 실린더(5) 작동을 제어하는 상기 승강제어 장치(6)는, 유압공급유닛(1)으로부터 상기 수평제어 밸브(3)를 향하는 유압라인(L1)으로부터 분기된 유압라인(L2) 상에 마련되어 유압공급유닛(1)으로부터 제공된 압 유 일부를 제공받아 작동하지만, 작업기 수평제어와 관련한 상기 수평제어 실린더(2) 비작동시에는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32)의 압유 이동경로 제어에 따라 유압공급유닛(1)으로부터 제공되는 압유 전량을 제공받는다. 이러한 승강제어 장치(6)는 상기 유압공급유닛(1)으로부터 상기 승강 실린더(5) 측으로 공급되는 압유의 이동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밸브 및 공급된 압유를 상기 오일탱크(10)로 귀환시키는 리턴라인(도면부호 생략)을 포함하고 있다.
도면 상 미설명 부호 34는 수평제어 밸브를 향하는 유압라인(L1)으로부터 상기 승강제어 장치를 향하는 유압라인이 분기되는 지점에 마련되어 수평제어 밸브(3) 측으로 제공되는 압유의 유량을 조절하는 교축형 우선밸브이며, 60은 유압공급유닛(1)과 승강제어 장치(6)를 연결하는 유압라인(L2) 중간에 설치되는 보조밸브를 가르킨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 수평제어 및 승강관련 유압회로를 통해 수행되는 작업기의 수평제어 및 승강작업을 본 발명에 따른 유압회로 동작과 연계하여 설명한다.
정지작업에 적합하도록 다수의 회전날개를 가진 작업기는 트랙터와 같은 농작업 차량 후방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작업 차량에 의해 견인되어 작업 대상면에 대한 복토 내지는 정지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작업기 연결을 위해 작업 차량 후방에는 연결용 링크('로워링크'라 불림, 20)가 구비되며, 이 연결용 링크(20)를 매개로 상기 작업기는 작업 차량 후방에 견인 가능한 형태로 부착된다.
작업 차량 후방에 작업기가 부착된 상태에서 복토 내지는 정지작업을 수행함 에 있어, 그 작업 대상면이 요철면인 경우에, 작업 차량에 부착된 상기 작업기가 상기 요철면의 경사 각도와 무관하게 작업 대상면과 항상 수평을 이루어야만 작업 대상면 전반에 걸쳐 고른 복토 내지는 정지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중에도 상기 작업기가 작업 대상면에 대해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작업기의 수평 기울기가 작업 대상면의 경사각도에 알맞게 조절되어야 한다.
도 4a, 4b는 작업 대상면에 대한 작업기의 수평도 조절이 수행되는 경우에 수평제어와 관련한 유압계통 전반에 걸친 압유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로서, 도 4a는 수평제어 실린더(2)의 실린더 로드를 인출시키는 방향에 대한 압유의 이동경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4b는 수평제어 실린더(2)의 실린더 로드를 수축시키는 방향에 대한 압유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 4b를 참조하면, 작업 대상면이 요철 경사지인 경우 작업 대상면에 대한 작업기의 기울기를 작업 차량 적소에 장착된 센서(미도시)가 감지하며, 그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제어부(4)는 수평제어 밸브(3)를 구성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30) 및 제2 솔레노이드 밸브(32)를 작동시켜 도 4a, 4b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압유의 흐름이 진행되도록 압유의 이동경로를 제어한다.
이때 도 4a에서와 같이 압유의 흐름이 제어되면 수평제어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가 인출되면서 이와 연결된 링크(20) 한 쪽 끝이 하향 이동되거나, 도 4b에서와 같이 수평제어 실린더(2)의 실린더 로드가 수축되는 방향으로 압유의 흐름이 제어되면 링크(20) 한 쪽 끝이 상향 이동되면서 작업 대상면에 대한 상기 작업기의 수평도가 적절히 조절되는 것이다.
작업기에 대한 수평제어가 진행되는 과정중에도 유압공급유닛(1)으로부터 공급된 압유 중 일부는 도 4a 내지 도 4b에서와 같이 분기된 유압라인(L2)을 통해 작업기 승강을 제어하는 승강제어 장치(6) 측으로 공급은 되지만, 작업기에 대한 수평제어 및 승강작업은 상호 독립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상기 승강제어 장치(6) 측으로 제공된 압유는 승강제어 장치(6)를 구성하는 밸브의 이동경로 조절에 의해 오일탱크(10)로 귀환되는 방향으로 그 흐름이 유도된다.
이와는 달리, 첨부도면 도 5는 작업기 승강이 진행되는 경우에 승강과 관련한 유압계통 전반에 걸친 압유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작업기를 지면으로부터 상승 이격시키기 위해 작업 차량 운전석에 마련된 레버(미도시)를 조작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제어 밸브(3)를 구성하는 요소 중 제1 솔레노이드 밸브(30)는 제어부의 작동 명령에 따라 수평제어 실린더(2) 측으로 압유의 공급이 차단되는 방향으로 유로를 형성하며, 동시에 제2 솔레노이드 밸브(32)는 상기 유압공급유닛(1)으로부터 수평제어 밸브(3) 측으로 공급된 압유가 분기라인(L3)을 통해 상기 승강제어 장치(6) 측으로 공급될 수 있는 방향으로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유압공급유닛(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량의 압유가 승강제어 장치 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즉, 작업기에 대한 승강 작업이 진행되는 경우에 상기 유압공급유닛(1)으로부터 공급된 압유는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전량 승강제어 장치(6) 측으로 제공되어 승강 실린더(5)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유압공급유닛으로부터 제공된 압유 중 일부는 작업기 수평도 조절 을 위한 수평제어 밸브 측으로 유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작업기 승강과 관련한 승강제어 장치 측으로 유입되면서도, 그 중 상기 작업기에 대한 수평제어가 행해지지 않는 경우 일부 압유가 릴리프 밸브를 거쳐 오일탱크로 보내짐에 따라, 상기 승강제어 장치 측으로 공급되는 압유의 유량이 부족해지는 문제가 있었고, 그 결과 작업기 상승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기 수평제어와 관련한 수평제어 밸브(3)가 수평제어 실린더(2) 작동과 관련하여 압유의 이동경로를 제어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30)와 수평제어 밸브(3) 측으로 공급된 압유를 승강제어 장치(6) 측으로 리턴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압유의 이동경로를 제어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32) 등 2개의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됨에 따라, 작업기에 대한 수평제어가 행해지지 않는 경우에도 유압공급유닛(1)으로부터 토출된 압유는 승강 실린더(5) 구동과 관련한 승강제어 장치(6) 측으로 전량 공급된다.
이에 따라, 작업기를 작업 대상면으로부터 상승 이격시킴에 있어, 승강 실린더(5) 측으로 제공되는 압유 부족에 따른 종래 작업기 상승시간 지연과 같은 문제가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농잡업 차량 후방에 작업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종래 농작업 차량의 작업기 수평제어 및 승강과 관련한 유압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 차량용 작업기의 수평제어 및 승강과 관련한 유압회로도.
도 4a, 4b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로서, 작업기의 수평도 조절이 진행되는 경우에 수평제어와 관련한 유압계통 전반에 걸친 압유의 흐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작동 상태도로서, 작업기 승강이 진행되는 경우에 승강과 관련한 유압계통 전반에 걸친 압유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유압공급유닛 2...수평제어 실린더
3...수평제어 밸브 4...제어부
5...승강 실린더 6...승강제어 장치
10...오일탱크 12...유압펌프
20...링크 30...제1 솔레노이드 밸브
32...제2 솔레노이드 밸브 L1, L2...유압라인
L3...분기라인

Claims (4)

  1. 오일탱크와 유압펌프를 포함하는 유압공급유닛;
    농작업 차량과 작업기를 연결하는 링크를 작동시켜 작업 대상면에 대한 작업기의 수평도를 조절하는 수평제어 실린더;
    상기 유압공급유닛으로부터 상기 수평제어 실린더 측으로 공급되는 압유의 이동경로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유압공급유닛과 수평제어 실린더를 연결하는 유압라인 상에 설치되며,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된 수평제어 밸브;
    상기 수평제어 밸브의 작동을 콘트롤 하는 제어부;
    상기 작업기가 작업 대상면 상에 놓이도록 하거나 작업 대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작업기를 승강시키는 좌, 우 한 쌍의 승강 실린더; 및
    상기 유압공급유닛으로부터 상기 승강 실린더 측으로 공급되는 압유의 이동경로를 제어하기 위해 복수의 밸브 및 공급된 압유를 상기 오일탱크로 귀환시키는 리턴라인을 가지며, 유압공급유닛으로부터 상기 수평제어 밸브를 향하는 유압라인으로부터 분기된 유압라인 상에 마련되는 승강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작동이 제어되는 수평제어 밸브는,
    작업 대상면에 대한 작업기의 수평도 조절이 요구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 신호에 따라 수평제어 실린더 측으로 공급되는 압유의 이동경로를 제어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와;
    작업 대상면에 대한 작업기의 수평도 조절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 신호에 따라 유압공급유닛으로부터 제공된 압유가 전량 상기 승강제어 장치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압유의 이동경로를 제어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 차량용 작업기의 수평제어 및 승강 관련 유압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작업 대상면에 대한 상기 작업기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상기 수평제어 밸브의 작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 차량용 작업기의 수평제어 및 승강 관련 유압회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와 제2 솔레노이드 밸브는 각각,
    상기 유압공급유닛과 수평제어 실린더를 연결하는 유압라인과, 상기 제1 솔레노이드를 향하는 유압라인으로부터 분기되면서 상기 유압공급유닛으로부터 상기 승강제어 장치를 향하는 유압라인과 합류하는 분기라인 상에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 차량용 작업기의 수평제어 및 승강 관련 유압회로.
KR1020070124265A 2007-12-03 2007-12-03 농작업 차량용 작업기의 수평제어 및 승강 관련 유압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100928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265A KR100928801B1 (ko) 2007-12-03 2007-12-03 농작업 차량용 작업기의 수평제어 및 승강 관련 유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265A KR100928801B1 (ko) 2007-12-03 2007-12-03 농작업 차량용 작업기의 수평제어 및 승강 관련 유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7605A KR20090057605A (ko) 2009-06-08
KR100928801B1 true KR100928801B1 (ko) 2009-11-25

Family

ID=40988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265A Expired - Fee Related KR100928801B1 (ko) 2007-12-03 2007-12-03 농작업 차량용 작업기의 수평제어 및 승강 관련 유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80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151B1 (ko) * 2011-03-10 2013-04-22 지금강 주식회사 좌우 수평 및 전후 높이 연동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복합 직파기
WO2014003227A1 (ko) * 2012-06-27 2014-01-03 지금강 주식회사 다기능 복합 파종기
KR20170069460A (ko) * 2015-12-11 2017-06-21 대동공업주식회사 작업차용 작업기 승강 및 플로팅 구현을 위한 유압회로
KR20180082103A (ko) * 2017-01-10 2018-07-18 대동공업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의 작업기 승강 및 유압 취출을 위한 유압장치
US12324366B2 (en) 2023-06-15 2025-06-10 Ls Mtron Ltd. Hydraulic circuit for agricultural tra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331B1 (ko) * 2016-03-18 2021-04-0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 차량
CN114412858B (zh) * 2022-01-17 2024-04-02 第一拖拉机股份有限公司 一种拖拉机电控悬架的液压调平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0644A (ko) * 1999-03-18 2000-10-16 김희용 트랙터용 작업기 수평제어장치
KR100439054B1 (ko) * 2001-02-02 2004-07-05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유압액추에이터에 의해 변위되는 작업장치를 구비한 작업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0644A (ko) * 1999-03-18 2000-10-16 김희용 트랙터용 작업기 수평제어장치
KR100439054B1 (ko) * 2001-02-02 2004-07-05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유압액추에이터에 의해 변위되는 작업장치를 구비한 작업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151B1 (ko) * 2011-03-10 2013-04-22 지금강 주식회사 좌우 수평 및 전후 높이 연동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복합 직파기
WO2014003227A1 (ko) * 2012-06-27 2014-01-03 지금강 주식회사 다기능 복합 파종기
KR20170069460A (ko) * 2015-12-11 2017-06-21 대동공업주식회사 작업차용 작업기 승강 및 플로팅 구현을 위한 유압회로
KR102491222B1 (ko) 2015-12-11 2023-01-25 주식회사 대동 작업차용 작업기 승강 및 플로팅 구현을 위한 유압회로
KR20180082103A (ko) * 2017-01-10 2018-07-18 대동공업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의 작업기 승강 및 유압 취출을 위한 유압장치
KR102707689B1 (ko) 2017-01-10 2024-09-19 주식회사 대동 농업용 작업차량의 작업기 승강 및 유압 취출을 위한 유압장치
US12324366B2 (en) 2023-06-15 2025-06-10 Ls Mtron Ltd. Hydraulic circuit for agricultural tr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7605A (ko) 2009-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801B1 (ko) 농작업 차량용 작업기의 수평제어 및 승강 관련 유압회로
US7743611B2 (en) Backhoe hydraulic system
US9551130B2 (en) Blade stabiliz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work vehicle
US20140020370A1 (en) Closed loop drive circuit with open circuit pump assist for high speed travel
CN101889117B (zh) 当需要时自动限制运行期间液压系统内压力的方法
US8858151B2 (en) Machine having hydraulically actuated implement system with down force control, and method
US8548692B2 (en) Travel vibration suppressing device of work vehicle
EP3492659B1 (en) Construction machine
KR20220007144A (ko) 작업 기계 및 작업 기계의 제어 방법
US4614475A (en) Hydraulic circuit system for civil engineering and architectural machinery
JP5210248B2 (ja) 作業機の油圧装置
JP5503198B2 (ja) 作業機の油圧装置
US11725364B2 (en) Hydraulic system of working machine
US20230043231A1 (en) Control of a hydraulic system
US7228782B2 (en) Boom-holding control device for use in heavy construction equipments
JP7165016B2 (ja) 油圧ショベル駆動システム
JP4655549B2 (ja) 散布作業車
JP4502890B2 (ja) バックホウの油圧回路構造
KR101325440B1 (ko) 굴삭기 선회모터의 선회제어장치
US11053958B2 (en) Regeneration valve for a hydraulic circuit
JP3776047B2 (ja) バックホウの油圧装置
JP2006292104A (ja) 作業機の油圧システム
JP2009156323A (ja) 制御弁装置
JPH10278828A (ja) 作業車両の操向制御装置
JPH01265805A (ja) 農作業機の油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03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4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12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7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