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528B1 - Corrugated pipe connection structure for underground construction for power line wiring - Google Patents
Corrugated pipe connection structure for underground construction for power line wir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26528B1 KR100926528B1 KR1020070109291A KR20070109291A KR100926528B1 KR 100926528 B1 KR100926528 B1 KR 100926528B1 KR 1020070109291 A KR1020070109291 A KR 1020070109291A KR 20070109291 A KR20070109291 A KR 20070109291A KR 100926528 B1 KR100926528 B1 KR 1009265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rrugated pipe
- connecting tube
- corrugated
- pipe
- seal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03 high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00 high-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 en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선 배선을 위한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한 쌍의 파형관(1,1')을 감쌀 수 있는 연결튜브(2)와, 상기 연결튜브(2)를 감싸며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진 한 쌍의 파형관(1,1')을 조여서 고정하는 이음관(4)을 포함하되; 상기 이음관(4)은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진 원통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개 선단에는 각각 체결부(4a,4b)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체결부(4a,4b)를 통해 조임기구의 결합으로 상호 체결하여 조일 수 있는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튜브(2)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튜브(2)의 길이방향으로 요홈부(2a)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튜브(2)의 내주면 양 끝단 부위에 상기 파형관(1,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호 형상과 맞물려 끼워지는 밀봉부(3)가 일체로 형성되는 전력선 배선을 위한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rugated pipe connection structure for underground construction for power line wiring,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ing tube (2) which can wrap a pair of corrugated pipe (1, 1 '), and the connecting tube (2) surrounding each other A joint pipe 4 for tightening and fixing a pair of corrugated pipes 1, 1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e joint pipe 4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astening portions 4a and 4b are formed at the distal ends, respectively, so that the fastening mechanism is coupled through the fastening portions 4a and 4b. In the underground corrugated pipe connection structure that can be tightened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tube (2) has a cylindrical shape, the groove portion (2a)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tube (2) at regular intervals on its outer peripheral surface Underground for the power line wiring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aling portion (3) to be engaged with the helical arc shap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rrugated pipe (1,1 ') on both ends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ng tube (2) Provide corrugated pipe connection structure for construc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전력선 배선을 위한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을 연결할 때, 이음관에 의한 밀착력을 강화시켜 기밀성을 크게 개선함과 아울러 기밀성 확보를 위한 부재들을 일체화 혹은 단순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when connecting the corrugated pipe for underground construction for power line wiring, by strengthening the adhesion by the joint pipe to greatly improve the airtightness and to integrate or simplify the members for securing airtightness.
파형관, 이음관, 지중하 공사, 연결튜브, 체결부, 밀봉부, 밀폐커버부 Corrugated pipe, joint pipe, underground construction, connecting tube, fastening part, sealing part, sealing cover par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력선 배선을 위한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을 연결할 때, 이음관에 의한 밀착력을 강화시켜 기밀성을 크게 개선함과 아울러 기밀성 확보를 위한 부재들을 일체화 혹은 단순화시킨 전력선 배선을 위한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underground construction corrugated pipe connection structure for power line wiring, and more particularly, when connecting the underground construction corrugated pipe, by strengthening the adhesion by the joint pipe to greatly improve the airtightness and to ensure the airtight members Corrugated pipe connection structure for underground construction for integrated or simplified power line wiring.
일반적으로 전기력을 가정 또는 건물로부터 전달하는 전선이나 통신수단인 통신케이블 등이 지상에 배선될 경우에 도시의 미관을 해칠 수 있기 때문에 지하에 매설하는 예가 늘고 있다.In general,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underground buried because electric wires that transmit electric power from a home or a building, or a communication cable that is a communication means may damage the aesthetics of a city.
이처럼 지하에 매설되는 각종 케이블의 보호를 위해 이 케이블을 내부에 수용하는 관체가 같이 매설된다.In order to protect various cables buried underground like this, the tube housing the cables is buried together.
종래의 관체는 PVC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관체가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근자에 들어서는 관체의 내구성 강화를 위해 몸체가 웨이브(wave)진 파형관이 사용되고 있다.Conventional tubular body has been mainly used cylindrical tubular body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PVC, but the corrugated pipe with a body wave (wave) is used to enhance the durability of the tube in the near root.
특히, 상기 파형관은 전력용 케이블이나 통신용 케이블의 지중배전선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최근에는 기본 물성이 우수한 것들이 개발되어 상수관이나 하 수관 등으로도 그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In particular, the corrugated pipe is mainly used as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of power cables and communication cables, but in recent years, those having excellent basic properties have been developed, and their use has been expanded to water pipes and sewage pipes.
이러한 파형관은 요철부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서 파형을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폴리에틸렌이나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High-Density Polyethylene)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제조된다.The corrugated pip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rregularities are spirally formed to form a corrugated wave, and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polyethylene or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그런데, 상기 파형관은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지하에 매설되는 관계로 인해 이 파형관과 파형관을 연결하는 별도의 연결수단인 이음관이 필요하다.However, because the corrugated pipe is cut to a certain length and embedded in the basement, a joint pipe, which is a separate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corrugated pipe and the corrugated pipe, is required.
상기와 같은 파형관과 파형관을 서로 연결하여 주는 연결수단, 즉, 지중하 공사용 이음관은 상기 각종 케이블이 내부에 관통되는 파형관이 지하에 매설되는 특성상 지하에 잔류하는 지하수 등이 상기 파형관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성 및 기밀성이 필요하다.The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corrugated pipe and the corrugated pipe as described above, that is, underground pipe joints, underground water, etc. remaining in the basement penetrates the interior of the corrugated pipe due to the characteristic that the corrugated pipe through which the various cables penetrate therein is buried underground. Waterproof and airtight properties are needed to prevent them.
종래 상기와 같은 파형관을 연결하는 이음관 구조에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39630호(2004.1.12. 등록)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98712호(2005.10.7. 등록) 등에 잘 개시되어 있다.Related to the conventional joint structure connecting the corrugated pipe as described above is well disclosed in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339630 (registered on January 1, 2004) and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38712 (registered on 205.10.7.).
그 중에서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398712호에 개시된 파형관 연결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제1실시예로써, 파형관 연결구조는,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지는 한 쌍의 파형관(100,100')을 감싸서 연결할 수 있는 연결튜브(200)와, 각각의 파형관(100, 100')의 외주면 웨이브 진 틈새에 끼워지는 밀봉부재(300,300')와, 상기 연결튜브(200)를 감싸며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진 한 쌍의 파형관(100,100')을 조여서 고정하는 이음관(400)을 갖추고 있다.Looking at the corrugated pipe connecting structure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Utility Model No. 398712, as shown in FIG. 1, the corrugated pipe connecting structure is a pair of
이때, 상기 이음관(400)은 한쪽 측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진 원통 형태의 본체(410)로 이루어지고, 이 본체(410)의 절개 선단에는 각각 체결부(410a,410b)가 형성되어 진 구조를 갖는다.In this case, the
그리고, 상기 이음관(400)의 체결부(410a,410b)는 보울트(10)와 너트(20) 등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상호 체결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연결튜브(200)는 탄성과 연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나 합성고무 등으로 제조되고, 상기 밀봉부재(300, 300')로는 탄성과 연성이 우수한 합성고무로 제조되어진 밀봉용 쐐기(310)가 사용되고 있다.Here, the connecting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의 제2, 3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제1실시예에 나타난 구조 중에 일부 구조가 변형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corrugated pipe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shown in FIGS. 2 and 3, some of the structures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have a modified structure.
즉, 상기 이음관(400)은 한쪽 측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진 원통 형태의 이음관 본체(410)가 길이방향을 따라 2분할되어 상호 힌지(h) 연결되고, 제1본체(411)와 제2본체(412)의 자유단을 상호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조임기구(420)가 보강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That is, the
그리고, 상기 조임기구(420)로는 제2본체(412)의 자유단에 설치되는 걸림턱(421)과; 제1본체(411)의 자유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422a)와, 조임레버(42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걸림턱(421)에 착탈 가능하게 맞물리는 걸쇠(422b)로 이루어진 조임레버(422)로 구성되어 진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제3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구조 외에 상기 연결튜브(200)의 한쪽 측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고, 연결튜브(200)의 외면(200a)이 요철 면처리되고, 이음관 본체(411,412)의 내면(411a, 412a)이 이에 상응하게 요철 면으로 처리되어, 연결튜브(200)의 외면(200a)과 이음관 본체(411,412)의 내면(411a,412a)이 상호 요철 결합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third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one side of the
그리고, 상기 밀봉부재(300, 300')로는 금속와이어(321)와, 이의 외주면을 감싸는 탄성과 연성이 우수한 피복(322)으로 이루어진 밀봉용 바아(320)가 사용되고 있다.As the sealing
이처럼,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와 제2,3실시예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는 대동소이(大同小異)하기 때문에 그 연결 방식에 있어서도 거의 유사하다.As described above, the corrugated pipe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corrugated pipe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are almost the same, and thus are almost similar in their connection method.
한편, 도 4 내지 도 6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4실시예로써, 시중에서 시판되어 사용되고 있는 파형관을 연결하는 전선 이음관이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to Figure 6 as a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re is shown a wire joint pipe connecting the corrugated pipe that is commercially available in the market.
도 4 내지 도 6에 따르면, 종래 개시된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지는 한 쌍의 파형관(100,100')을 감싸서 연결할 수 있는 연결튜브(200)와, 각각의 파형관(100,100')의 외주면 웨이브 진 틈새에 끼워지는 밀봉부재(300,300')와, 상기 연결튜브(200)를 감싸며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진 한 쌍의 파형관(100,100')을 조여서 고정하는 이음관(400)과, 상기 이음관(400)에 의해 한 쌍의 파형관(100,100')을 조여서 고정할 때 기밀성을 부여하기 위한 알루미늄 재질과 같은 금속재의 밀폐커버(500)를 갖추고 있다.According to FIGS. 4 to 6, similar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related art, a
여기서, 제4실시예의 경우, 상기 연결튜브(200)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원통 형상을 갖도록 탄성과 연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나 합성고무 등 으로 제조되고, 상기 밀봉부재(300, 300')로는 탄성과 연성이 우수한 합성고무로 제조되어진 밀봉용 쐐기(320)가 사용되고 있다.Here,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또한, 상기 이음관(400)의 체결부(410a,410b)는 보울트(10)와 너트(20) 및 체결봉(30) 등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상호 체결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이음관 본체(410)의 내주면 양 끝단 부위에 각각 이탈방지돌기(430)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튜브가 상기 이탈방지돌기(430) 사이에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파형관(100,100')의 외주면 웨이브 진 틈새에 상기 이탈방지돌기(430)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은 이탈방지돌기(43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연결튜브(200) 및 파형관(100,100')이 이탈방지돌기(430)에 걸쳐지게 되어, 연결튜브(200) 및 파형관(100,100')의 축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다.By providing such a
그리고, 상기 밀폐커버(500)가 상기 연결튜브(200)를 감싸는 이음관(400)의 체결부(410a,410b) 부위에 놓여 진 상태에서 이음관(400)의 체결부(410a,410b)를 조여서 밀폐커버(500)를 고정함으로써, 밀폐커버(500)를 통한 밀착력을 강화시켜 기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나타난 파형관 연결구조에 관련한 연결작업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operation process related to the corrugated pipe connecting structure shown in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ior art shown in Figs.
우선, 상기 연결튜브(200)를 이음관(400) 내부에 배치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튜브(200)의 양쪽 개구 선단으로 한 쌍의 파형관(100,100')을 각각 끼워넣어서 이들 한 쌍의 파형관(100,100')이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지도록 한다.First, the
그런 다음, 각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밀봉부재(300,300')를 연결튜브(200)와, 각각의 파형관(100,100')의 외주면 웨이브 진 틈새로 끼워넣는다. Then, the sealing member (300,300 ')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그리고, 각 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체결부재를 매개로 이음관(400)의 체결부(410a,410b)를 체결하여, 이음관 본체(410)의 직경이 축소되도록 조여서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진 한 쌍의 파형관(100,100')이 이음관 본체(410)에 의해 조여져서 고정되도록 한다.Then, by fastening the fastening
이때, 상기 제4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밀폐커버(500)가 상기 연결튜브(200)를 감싸는 이음관(400)의 체결부(410a,410b) 부위에 놓여진 상태에서 이음관(400)의 체결부(410a,410b)를 통해 조여져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fourth embodiment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기 밀봉부재(300)가 밀봉용 쐐기(310,310') 혹은 밀봉용 바아(310,310') 형태로 별도 분리 제작되어, 상기 연결튜브(200)와, 각각의 파형관(100,100')의 외주면 웨이브진 틈새로 끼워넣는 별도의 작업을 거쳐 집어넣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에 불편함이 있고, 이에 따른 파형관 연결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sealing
즉, 상기 밀봉용 쐐기(310, 320) 및 밀봉용 바아(310)를 밀봉부재(300,300')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밀봉용 쐐기(310,320) 및 밀봉용 바아(320)는 파형관(100,100')의 웨이브진 호에 끼워넣더라도 고정성이 없어서 작업자가 밀봉용 쐐 기(310,320) 등을 잡고서 연결튜브(200)를 덮어씌워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된다.That is, the sealing
실제로, 상기한 문제로 인해서 밀봉부재(300,300')가 만족스럽게 끼워 넣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고, 특히, 밀봉부재(300,300')에 의한 밀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밀봉부재(300,300')가 아예 빠져버리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In fact, due to the above problems, the sealing
이와 같이 밀봉부재(300,300')에 의한 밀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면, 빗물이나 토사, 오물 등의 이물질들이 웨이브진 틈새에 의한 통로를 따라서 외부로부터 파형관(100,100')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가 초래되었다.As such, when the sealing by the sealing
특히, 파형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얼마나 밀착력을 높여 기밀성 및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이 제품의 기술적 우수성을 가늠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바, 종래 기술에서도 이러한 밀착력을 높여 기밀성 및 방수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제시되어 있고, 그 대표적인 예가 상기 제4실시예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은 밀폐커버(500)를 사용하고 있는 예이다.In particular, in the corrugated pipe connection structure, how much adhesion can be secured to ensure airtightness and waterproofness acts as a very important factor in measuring the technical excellence of the product. A solution for this is presented,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n example of using the
이처럼 별도의 밀폐커버(500)를 사용할 경우에는 밀착력을 높여 기밀성 및 방수성을 높여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상기와 같이 별도로 제작된 밀폐커버(500)의 경우에는 그 자체로 분리된 개체로써 유동성을 가지고 있어, 작업시에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별도의 부품을 취급해야하기 때문에 번거로움이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또한, 부품수의 증가는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not desirable in terms of economics.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전력선 배선을 위한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을 연결할 때, 이음관에 의한 밀착력을 강화시켜 기밀성을 크게 개선함과 아울러 기밀성 확보를 위한 부재들을 일체화 혹은 단순화시키데 그 목적을 가지고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necting the corrugated pipe for underground construction for power line wiring, by strengthening the adhesion by the joint pipe to greatly improve the airtightness and to ensure airtightness The purpose is to integrate or simplify the member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지는 한 쌍의 파형관을 감쌀 수 있는 연결튜브와, 상기 연결튜브를 감싸며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진 한 쌍의 파형관을 조여서 고정하는 이음관을 포함하되; 상기 이음관은 한쪽 측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원통 형태의 본체로 이루어지고, 이 본체의 절개 선단에는 각각 체결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체결부를 통해 조임기구의 결합으로 상호 체결하여 조일 수 있는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튜브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튜브의 길이방향으로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튜브의 내주면 양 끝단 부위에 상기 파형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호 형상과 맞물려 끼워질 수 있는 밀봉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배선을 위한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connecting tube that can wrap a pair of corrugated pipes to b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a joint tube for tightening and fixing a pair of corrugated pipes to b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surrounding the connecting tube. Including; The joint pipe is made of a cylindrical body in which one side is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ach of the cutting ends of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fastening part, so that the underground can be fastened by being fastened to each other by a fastening mechanism through the fastening part. In the construction of the corrugated pipe for construction, the connecting tube has a cylindrical shape, the groov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tub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rrugated pipe at both ends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ng tube It is achieved by providing a corrugated pipe connection structure for underground construction for power line wi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ling portion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spiral arc shape is formed integrally.
여기서, 상기 이음관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돌출된 요철부가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이음관의 체결부 일측에는 밀폐커버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를 통한 조임 작업시 상기 밀폐커버부가 반대편 체결부 내측으로 파고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tting pip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protrusion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ealing cover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joint pipe, the sealing cover portion when tightening through the fastening portion It is desirable to penetrate into the opposite fastening.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는, 전력선 배선을 위한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을 연결할 때, 이음관에 의한 밀착력을 강화시켜 기밀성을 크게 개선함과 아울러 기밀성 확보를 위한 부재들을 일체화 혹은 단순화시킴으로써, 파형관 측의 누수를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는 장점을 갖는다.Corrugated pipe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connecting the corrugated pipe for underground construction for power line wiring, by strengthening the adhesion by the joint pipe to greatly improve the airtightness, and by integrating or simplifying the members for securing airtightness, Not only can the leak on the corrugated tube side be completely prevented, but also the work is easily performed.
또한, 파형관 연결에 필요한 부품수를 줄여줌에 따른 제품의 경제적은 효용성을 높여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ncrease the economic efficiency of the product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required to connect the corrugated pip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파형관 연결구조를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 기술 사상과 동일한 기술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을 그대로 적용하여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corrugated pipe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technical configuration as in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by applying the same nam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 7의 결합 사시도 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 8의 측단면도 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 8의 정단면도 이다.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rrugated pipe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7 showing a corrugated pipe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orrugated pipe connec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Figure 10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Figure 8 showing a corrugated pip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지는 한 쌍의 파형관(1,1')을 감싸서 연결할 수 있는 연결튜브(2)와, 상기 연결튜브(2)를 감싸며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진 한 쌍의 파형관(1,1')을 조여서 고정하는 이음관(4)을 갖추고 있다.As shown in Fig. 7 to 10, the corrugated pipe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prior art, and the connecting tube (2) that can be wrapped and connected to a pair of corrugated pipe (1, 1 ') to b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t is equipped with a
여기서, 상기 파형관(1,1')으로는, 종래 기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그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웨이브진 호 형상 구조를 갖는 전력선 배선을 위한 통상의 파형관(1,1') 한 쌍이 사용되게 된다.Here, as the corrugated pipes (1, 1 '), a pair of conventional corrugated pipes (1,1') for power line wiring having an arc-shaped structure spirally waved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s discussed in the prior art is used.
그리고, 상기 연결튜브(2)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원통 형상을 갖도록 탄성과 연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나 합성고무 등으로 제조되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튜브(2)의 내주면 양 끝단 부위에는 종래 기술에서 살펴본 바 있는 밀봉부재(300,300')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밀봉부(3)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밀봉부(3)는 종래의 밀봉용 쐐기(320)와 동일한 형상 구조를 갖는 것으로, 다만, 종래 밀봉용 쐐기(320)가 별도 분리 제작되는 비해서 연결튜브(2)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는 데 그 특징이 있고, 그 크기에 있어서도 종래 밀봉용 쐐기(320)에 비해서 원주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된다는 데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That is, the sealing
예를 들어, 종래 제4실시예에서 보여주는 밀봉용 쐐기(320)가 대략 70㎜로 분리 제조되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밀봉부(3)는 연결튜브(2)의 내주면에 120㎜ 크기로 일체로 형성된다.For example, while the sealing
상기 연결튜브(2)는 통상 수축율이 30%정도 되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t is known that the connecting
이처럼, 상기 밀봉부(3)를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하여 사용하게 되면, 상기 밀봉용 쐐기(320)에 비해서 밀봉면이 크게 확대되어 밀봉기능이 향상되는 잇점을 갖게 됨은 자명하다 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sealing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부(3)는 그 몸체가 상기 파형관(1,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형으로 웨이브진 호 형상과 동일한 호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파형관(1,1')의 외주면에 견고한 끼움이 가능하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9, the sealing
특히, 상기 파형관(1,1')을 연결튜브92)에 끼워서 상호 연통되게 연결할 때, 상기 밀봉부(3)가 상기 연결튜브(2)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파형관(1,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호 형상에 맞물려 나사식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함에 따라 파형관(1,1')과 연결튜브(2)의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물론, 상기 밀봉부(3)는 재질 자체가 연질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나사방식이 아닌 단순히 밀어넣어도 재질 특성상 용이하게 상기 파형관(1,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호 형상에 맞물려 들어갈 수 있다.Of course, since the sealing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튜브(2)는 그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튜브(2)의 길이방향으로 요홈부(2a)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상기 요홈부(2a)는 후술하는 이음관(4)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요철부(4g)와 상호 작용을 통해 밀착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음관(4)은 한쪽 측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진 원통 형태의 본체로 이루어지고, 이 본체의 절개 선단에는 각각 체결부(4a,4b)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체결부(4a,4b)를 통해 볼트(4d)와 너트(4e)와 같은 조임기구의 결합으로 상호 체결하여 이음관(4)을 조일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상기 이음관(4)의 체결부(4a,4b)에는 이음관(4)의 길이방향으로 봉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공(4h)이 구비되고, 이 삽입공(4h)에는 볼트(4d)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을 갖는 체결봉(4f)이 각각 삽입된다.Here, the
또한, 상기 체결부(4a,4b)에는 상기 체결봉(4f)이 삽입된 삽입공(4h)과 수직한 방향으로 볼트(4d)와 너트(4e)와 같은 체결부재가 끼워져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fastening members such as
그리고, 상기 이음관(4)의 체결부(4a) 일측에는 밀폐커버부(4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sealing
이때, 상기 밀폐커버부(4c)는 그 끝단이 뾰쪽한 상태에서 몸통 쪽으로 갈수록 점점 두꺼워지는 형상 구조를 가지고 있다.At this time, the closed cover portion (4c) has a shape structure that is gradually thicker toward the body in the state that the end is pointed.
즉, 상기 밀폐커버부(4c)는 종래 기술에서 살펴본 제4실시예의 밀폐커버(500)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연결튜브(2)를 이음관(4)으로 감싼 후 체결부(4a,4b)의 볼트(4d) 및 너트(4e)의 조임 작업을 통해 연결 고정할 때,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커버부(4c)가 반대편 체결부(4b) 내측으로 파고드는 구조로 밀폐됨으로써, 기밀성과 방수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at is, the seal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음관(4)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돌출된 요철부(4g)가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상기 요철부(4g)는 상기 이음관(4)이 연결튜브(2)를 감싸고 조임 고정될 때, 연결튜브(2)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홈부(2a) 쪽을 눌러주게 되고, 이에 따라 수축율이 대략 30%정도 되는 합성수지재로 제조된 연결튜브(2)가 압착됨에 따라 그 밀착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concav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에 관련하여 연결작업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corrugated pip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nection operation process as follows.
우선, 상기 연결튜브(2)를 이음관(4) 내부에 배치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튜브(2)의 양쪽 개구 선단으로 한 쌍의 파형관(1,1')을 각각 끼워넣어 상호 연통된 체 맞대어지도록 연결하게 된다.First, the connecting
이때, 상기 연결튜브(2)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밀봉부(3)가 상기 파형관(1,1')의 외주면에 형성된 호 형상을 따라 나선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나사 체결방식으로 파형관(1,1')이 연결튜브(2)에 끼움 체결되기 때문에, 종래 파형관(100,100')을 연결하기 위해서 연결튜브(200)의 양쪽 개구 선단으로 해당 파형관(100,100')을 강제로 집어넣을 때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진다는 장점을 갖는다.At this time, the sealing portion (3)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tube (2) moves in a spiral direction along the arc shap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rugated pipe (1,1 ') while the corrugated pipe (1,1) ') Is fitted into the connecting
또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한 쌍의 파형관(100,100')이 상호 연통되게 맞대어지도록 한 다음, 종래 기술에서 보여 준 바와 같은 각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밀봉부재(300,300')를 연결튜브(200)와, 각각의 파형관(100,100')의 외주면 웨이브 진 틈새로 끼워넣는 작업이 필요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파형관(1,1')이 연결튜브(2)에 끼워지는 동시에 밀봉부(3)가 파형관(1,1')의 외주면에 형성된 호 형상에 일치되게 끼워지기 때문에 이러한 작업이 단축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Further, in the related art, a pair of
이와 같이 파형관(1,1')이 연결튜브(2)에 상호 연통되게 끼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튜브(2)를 감싸고 있는 이음관(4)의 체결부(4a,4b)를 통해 견고하게 조여주게 된다.As such, the
즉, 상기한 볼트(4d) 및 너트(4e)와 체결봉(4f)과 같은 조임기구를 매개로 이음관(4)의 체결부(4a,4b)를 체결하여 이음관(4)의 직경이 축소되도록 조여서 상 호 연통되게 맞대어진 한 쌍의 파형관(1,1')이 이음관(4)에 의해 조여져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diameter of the
이때, 본 발명의 경우에는 상기 밀폐커버부(4c)가 상기 연결튜브(2)를 감싸는 이음관(4)의 체결부(4a)에서 반대편 체결부(4a,4b) 내측으로 파고들면서 연결튜브(2)를 감싸는 이음관(4)의 체결부위 전체를 밀폐시키면서 감싸주기 때문에 기밀성 및 방수성을 높여 줌은 물론, 밀착력을 높여주게 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는, 파형관 측의 누수를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는 장점을 갖는다.The corrugated pipe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that the leakage of the corrugated pipe side can be completely prevented and the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즉, 상기 파형관(1,1')의 외주면에 형성된 호 형상에 끼워지는 밀봉부(20)가 상기 파형관(1,1')의 외주면 형성된 호 형상에 동일한 높이로 끼워져 밀폐시키는 한편, 파형관(1,1')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연결튜브(2)가 밀봉부(3)에 위해서 파형관(1,1')에 외측에 나사식으로 씌울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That is, the sealing
더욱이, 상기 밀봉부(3)는 연성재질의 합성고무재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튜브(2)가 파형관(1,1')의 외주면을 덮어 감싸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튜브(2)와 파형관(1,1') 사이의 공간부를 메워 주기 때문에 누수가 더욱 확실하게 방지된다.Further, the seal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밀폐커버부(4c) 역시 이음관(4) 자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종래 별도 분리 제작되는 밀폐커버(500)가 갖고 있는 역할을 그대로 살릴 수 있으면서도 종래 밀폐커버(500)가 개별 분리됨에 따라 발생하는 구조적인 문제점 및 경제적인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aling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는 도시하고 설명한 것 이외에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rrugated pip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ose shown and described,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embodiments that can be modified should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rrugated pipe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corrugated pipe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corrugated pipe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corrugated pipe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 4의 측단면도,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4 showing a corrugated pip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 4의 정단면도,6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FIG. 4 showing a corrugated pipe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main parts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rrugated pipe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 7의 결합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Figure 7 showing a corrugated pip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 8의 측단면도,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8 showing a corrugated pipe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 8의 정단면도.10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FIG. 8 showing a corrugated pipe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파형관 2 : 연결튜브1,1 ': corrugated pipe 2: connection tube
2a : 요홈부 3 : 밀봉부2a: groove portion 3: sealing portion
4 : 이음관 4a,4b : 체결부4:
4c : 밀폐커버부 4d : 볼트4c: sealing
4e : 너트 4f : 체결봉4e:
4g : 요철부 4h : 삽입공4g: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9291A KR100926528B1 (en) | 2007-10-30 | 2007-10-30 | Corrugated pipe connection structure for underground construction for power line wir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9291A KR100926528B1 (en) | 2007-10-30 | 2007-10-30 | Corrugated pipe connection structure for underground construction for power line wir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3645A KR20090043645A (en) | 2009-05-07 |
KR100926528B1 true KR100926528B1 (en) | 2009-11-12 |
Family
ID=40854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09291A Expired - Fee Related KR100926528B1 (en) | 2007-10-30 | 2007-10-30 | Corrugated pipe connection structure for underground construction for power line wir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26528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172277B2 (en) | 2008-06-05 | 2012-05-08 | Saro Sarkisyan | Pipe coupling device |
KR20180065491A (en) | 2016-12-08 | 2018-06-18 | 주식회사 유진에스앤씨 | Connection structure of cable container for underground power calb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059378B (en) * | 2019-12-25 | 2021-09-21 | 北京享云智汇科技有限公司 | Sewage treatment pump pipe connection leakage-proof device |
CN115031063B (en) * | 2022-07-07 | 2024-04-19 | 山东恒辉节能技术集团有限公司 | Multi-rib reinforced winding corrugated pip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02676Y1 (en) * | 1986-08-27 | 1989-04-29 | 김상열 | Tube connector |
KR20050008349A (en) * | 2003-07-15 | 2005-01-21 | 홍승표 | A waterproof belt |
KR100638415B1 (en) | 2005-01-06 | 2006-10-24 | 이현미 | Spiral corrugated pipe with watertight connection structure using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connecting socket |
-
2007
- 2007-10-30 KR KR1020070109291A patent/KR10092652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02676Y1 (en) * | 1986-08-27 | 1989-04-29 | 김상열 | Tube connector |
KR20050008349A (en) * | 2003-07-15 | 2005-01-21 | 홍승표 | A waterproof belt |
KR100638415B1 (en) | 2005-01-06 | 2006-10-24 | 이현미 | Spiral corrugated pipe with watertight connection structure using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connecting socket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172277B2 (en) | 2008-06-05 | 2012-05-08 | Saro Sarkisyan | Pipe coupling device |
KR20180065491A (en) | 2016-12-08 | 2018-06-18 | 주식회사 유진에스앤씨 | Connection structure of cable container for underground power calb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3645A (en) | 2009-05-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26528B1 (en) | Corrugated pipe connection structure for underground construction for power line wiring | |
KR100713243B1 (en) | Electric wire protector fittings for apartment houses | |
KR102137111B1 (en) | sewer pipe connection device | |
PT1978616T (en) | Wall bush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2146010B1 (en) | sewer pipe connection device | |
KR200210137Y1 (en) | Apparatus for connecting pipe of cable | |
KR20110042744A (en) | Prefab underground power line fittings | |
KR200203499Y1 (en) | Apparatus for connecting pipe of cable | |
KR20090011547A (en) | Pipe fittings | |
KR102121356B1 (en) | Multi-tube coupler for optical cable | |
KR100751807B1 (en) | Connection of universal pipe with flange | |
KR20100089438A (en) | Spiral pipe socket | |
KR200157905Y1 (en) | Spiral pipe and spiral pipe connecting structure | |
KR200318948Y1 (en) | Connector for spiral tube | |
KR101290689B1 (en) | Cable connector with flexible sleeve | |
KR200398712Y1 (en) | Coupling structure for corrugate pipe | |
KR100751804B1 (en) | Connecting device of synthetic resin pipe with inclined flange | |
JP2599480Y2 (en) | Corrugated pipe fittings | |
KR20080083822A (en) | Coupling apparatus of plastics screw pipe | |
KR20110000252U (en) | Underground pipeline joint of electric power | |
KR102116101B1 (en) | Connecting member of framework of corrugated pipe | |
JP3175968U (en) | Pipe fitting | |
IT9022136U1 (en) | MULTI-PURPOSE SLEEVE, IN FLEXIBLE MATERIAL, PARTICULARLY SUITABLE FOR THE JOINT OF PIPES, FOR THE PROTECTION OF ELECTRIC, TELEPHONE AND SIMILAR CABLES. | |
KR960004551B1 (en) |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of synthetic resin spiral pipe | |
KR200288621Y1 (en) | Clamping Machine of Pip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6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09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910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1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1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