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26369B1 -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369B1
KR100926369B1 KR1020070123715A KR20070123715A KR100926369B1 KR 100926369 B1 KR100926369 B1 KR 100926369B1 KR 1020070123715 A KR1020070123715 A KR 1020070123715A KR 20070123715 A KR20070123715 A KR 20070123715A KR 100926369 B1 KR100926369 B1 KR 100926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card
mobile terminal
contact
contactless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3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6524A (ko
Inventor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70123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6369B1/ko
Publication of KR20090056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36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66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comprising at least a second communication arrangement in addition to a first non-contact communication arrangement
    • G06K19/0776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comprising at least a second communication arrangement in addition to a first non-contact communication arrangement the further communication means being a galvanic interface, e.g. hybrid or mixed smart cards having a contact and a non-contact inte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 G06K19/1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at least one kind of marking being used for authentication, e.g. of credit or identity cards
    • G06K19/14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at least one kind of marking being used for authentication, e.g. of credit or identity cards the marking being sensed by radiation
    • G06K19/145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at least one kind of marking being used for authentication, e.g. of credit or identity cards the marking being sensed by radiation at least one of the further markings being adapted for galvanic or wireless sensing, e.g. an RFID tag with both a wireless and an optical interface or memory, or a contact type smart card with ISO 7816 contacts and an optical interface or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은 이동 단말기에 연결된 스마트 카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카드 장치에 탑재된 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초기화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에 탑재된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로부터 카드정보를 수신 받는 단계 및 상기 접촉식 스마트 카드로 상기 수신된 카드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카드, 접촉식, 이동 단말기

Description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Method for using smart card}
본 발명은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 내부에 장착된 스마트 카드를 이동 단말기 외부에 연결된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카드(smart card)란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모리를 내장하고 있어서 카드 내에서 정보의 저장과 처리가 가능한 플라스틱 카드이다. 보통 신용카드와 모양과 크기가 동일한 것이 가장 많이 사용되며, 유럽의 GSM 이동전화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것과 같이 크기가 상당히 작은 것들도 있다.
메모리카드(memory card)는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포함하지 않고 메모리만을 포함한 형태로서, 엄밀한 의미에서는 스마트카드가 아니지만, 넓은 의미에서 포함시키기도 한다. 스마트카드와 메모리 카드를 포함한 광의의 용어로서는 보통 '칩카드' 또는 'IC 카드'를 사용한다.
스마트카드의 주된 응용분야는 금융, 신분확인, 그리고 접근(access) 등이 며. 이동 단말기 내부에 장착되어 쓰이기도 한다.
도 1은 UMTS 시스템에서의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기능에 따라, 크게 ME(Mobile Equipment, 110)와 USIM(UMTS Subscriber Identity Module, 1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USIM(120)은 ME(110)과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이 둘 사이에는 Cu라는 표준 인터페이스가 정의되어 있다.
여기서, ME(110)는 단말 장치(Terminal Equipment:TE, 130), 네트워크 종단(Network Termination:NT, 112) 및 무선 종단(Radio Termination:RT, 114)로 구성되며, NT(112)와 RT(114)는 Tu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NT(112)는 Cu 인터페이스 및 R 인터페이스를 통해 USIM(120) 및 TE(130)와 각각 통신할 수 있다.
UMTS에서 무선 구간의 인터페이스를 Uu 인터페이스라 하며, RT(114)는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NodeB(140)에 무선 신호를 송신하거나, NodeB(140)가 송신한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USIM(120)은 사용자의 고유한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 요소로서, 물리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일측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IC(Integrated Circuit) 카드의 형태가 일반적이다. USIM(120)은 다양한 응용-여기서, 다양한 응용은 뱅킹 기능, 폰북 기능, 교통 기능 등을 포함함- 및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에 대응하는 통신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USIM(120)은 종종 스마트 카드 기능이 탑 재된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라 불린다.
일반적으로, USIM(120)에 포함되는 내용은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공급받는다. 그리고, USIM(120)은 핵심망(Core Network)의 홈위치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HLR)에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의 고유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USIM(120)에는 폰북(Phone Book), 통화이력, 단문 메시지 등의 다양한 개인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USIM(120)에 저장될 수 있는 기본적인 정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USIM(120)은 USIM 제조 회사와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설정된 기본적인 정보인 암호화 알고리즘,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및접속 클래스 정보(Access Class Information) 등이 유지할 수 있다.
또한, USIM(120)은 단말의 이동성 제공을 위한 정보로서 위치 식별자-예를 들면, Location Area Identity, Routing Area Identity 등을 포함함-, 임시이동가입자식별자(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TMSI), 암호화 파라미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해당 USIM을 통해 접속 가능한 서비스 종류에 관한 정보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USIM(120)은 다양한 응용을 실행시키기 위한 자체적인 실행 프로그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단문 메시지, 다이얼링 정보, 폰북 등의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ME(110)는 무선접속망(Radio Access Network)과의 실질적인 통신을 담당하는 무선 단말을 지칭하고, MT(Mobile Terminal, 115)와 TE(130)로 세분된다.
MT(115)는 무선 구간을 통한 이동 통신 시스템과의 통신을 위한 무선 접속 프로토콜이 위치한다. UE(100)의 측면에서 본다면, MT(115)는 실제의 물리적인 단말 장치로 동일한 무선 접속 기술을 사용하는 UTRAN 영역에서만 통신이 가능하다.
TE(130)는 무선 접속 프로토콜의 동작에 필요한 제어 기능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TE(130)는 랩탑(Laptop) 컴퓨터와 연결된 무선 단말이 무선 모뎀처럼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TE(130)는 ITU-T에 의해서 정의된 AT Command와 같은 Modem Control Command Set을 사용하여 단말의 종단-여기서, 단말의 종단은 NT(112) 및 RT(114)를 포함함-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와 케이블을 연결하여 제어할 수 있는 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구비하여 이동 단말기 내부에 장착된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접촉식 스마트 카드 리더기에서도 사용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도의 보안을 요구하는 시스템에 적합한 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므로써, 보안이 강화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내부에 장착된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와 외부에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구비하여 모든 스마트 카드 리더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에서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은 a) 상기 이동 단말기에 연결된 스마트 카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스마트 카드 장치에 탑재된 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초기화하는 단계, c) 상기 이동 단말기에 탑재된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로부터 카드정보를 수신 받는 단계 및 d) 상기 접촉식 스마트 카드로 상기 수신된 카드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 카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스마트 카드 장치는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가 장착된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원 및 상기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전원 및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 정보를 상기 스마트 카드 장치에 탑재된 접촉식 스마트 카드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 카드 장치에서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은 상기 스마트 카드 장치와 연결된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단계, 상기 스마트 카드 장치에 탑재된 접촉식 스마트 카드의 초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에 탑재된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로부터 수신한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 정보를 상기 접촉식 스마트 카드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은 이동 단말기내부에 장착된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접촉식 카드 리더기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카드 사용에 있어서 보안성을 높여 준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카드를 모든 스마트 카드 리더기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접촉식 스마트 카드(200)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스마트 카드는 판독기와의 통신 방법에 따라 접촉식 스마트 카드(200)와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접촉식 스마트 카드는 전기적 접촉면(210)을 구비하여 칩의 동작을 위한 전원과 클럭 신호를 얻기 위하여 판독기와의 물리적인 접촉이 가능하다.
반면에,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는 접촉식 스마트 카드(200)의 전기적 접촉 면(210) 대신에 카드 내에 안테나를 가지고 있어, 이를 통해 판독기와 통신을 할 뿐만 아니라 전원도 공급받는다.
여기서는 접촉식 스마트 카드(200)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에서와 같이, 접촉식 스마트 카드(200)는 외부에 전기적 접촉면(210)과 자기 띠(220)를 구비하여 판독기와 통신이 가능하다.
여기서, 전기적 접촉면(210)은 카드가 판독기 안에 삽입되었을 때, 판독기와 물리적인 접촉이 이루어져 접촉식 스마트 카드(200) 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등과 같은 장치와 판독기가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접촉식 스마트 카드(200)는 판독기의 제어 하에 판독기로부터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며, 판독기와 송수신 중 우발적으로 제거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잠금장치가 될 수도 있다. 그래서, 접촉식 스마트 카드(200)는 고도의 보안을 요구하는 시스템에 적합하다. 즉, 보안이 최우선 되는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전자화폐와 같은 금융 어플리케이션이나 네트워크 접속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ISO 7816-2에 정의된 접촉식 스마트카드의 핀 할당 구조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ISO 7816 part 2는 전기적 접촉면의 배열 및 위치를 정의하고 있다. 즉, 스마트 카드의 금속 접촉의 목적, 위치 및 전기적 특성을 정의한다.
ISO 7816 part 2에 정의된 스마트 카드는 총 8핀(Pin)으로 구성되며, 각 핀 의 배열은 도면 번호 300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각 핀의 기능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C1(Vcc, 310)은 전력선을 통해 스마트 카드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칩에 동작 파워를 제공하는 핀이다.
C2(RST, 320)는 소정의 리셋(reset) 라인을 통해 스마트 카드와 통신하는 장치로부터 소정의 리셋 신호를 수신하는 핀으로서, 스마트 카드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즉, 카드운용체제-는 C2(320)를 통해 리셋 신호를 수신하면 일련의 리셋 명령을 수행을 시작한다.
C3(CLK, 330)는 클락(Clock) 신호 라인을 통해 스마트 카드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칩에 클락 신호를 제공하는 핀이다. 여기서,클락 신호는 스마트 카드의 동작 속도 및 스마트 카드와 외부 인터페이스 장치-예를 들면, 이동 단말과 같은 터미널-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공통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제공할 수 있다.
C5(GND, 310)는 외부 인터페이스 장치와 스마트카드사이의 공통 전기적 접지 기능을 제공하는 핀이다.
C6(Vpp, 360)는 최초 생산된 스마트 카드의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을 프로그래밍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전력을 제공하는 핀이다.
특히, EEPROM 프로그래밍 전압을 제공하는 C6(360)는 초기에 많이 사용되었으나, 최근 반도체 기술의 발달에 따라 사용되지 않는 추세이다.
C7(I/O, 370)은 스마트 카드 리더(Reader)와 스마트 카드 사이의 ISO 7816 규격 기반의 반이중(Half-duplex) 통신 채널을 제공하기 위한 입출력 핀이다.
C4(Reserved for Future Use : RFU, 340) 및 C8(Reserved for Future Use : RFU, 380)은 미래의 사용을 위해 예약된 핀으로서, 아직 특별한 기능이 정의되지 않은 핀이다.
도 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400),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420) 및 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 장치(440)의 연결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420)는 이동 단말기 내부(410)에 착탈식으로 장착되어 사용되는 IC(Integrated Circuit) 카드로써, USIM(UMTS Subscriber Identity Module, 120) 또는 스마트 카드의 기능이 탑재된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카드 장치(440)는 접촉식 스마트 카드(200)에 이동 단말기(400)와 케이블(430)를 통해 접속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장치이다. 여기서, 스마트 카드 장치(440)에 구비되는 인터페이스는 전원과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유선 인터페이스이고 USB 인터페이스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접촉식 스마트 카드(20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스마트 카드와 구조 또는 사용법 등이 같으나 정보가 전혀 저장되어 있지 않고 초기화 되어 있어 사용자 이동 단말기(400)에 의해서만 제어 및 사용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 장치(44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접촉식 스마트 카드(500)에 제어부(510)와 통신부(520)를 추가하여 스마트 카드 장치(44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 카드 장치(440)는 접촉식 스마트 카드(500), 제어부(510) 및 통신부(5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통신부(520)는 이동 단말기(400)의 충전 단자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400)로부터 전원 및 정보를 수신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정보는 초기화 신호 또는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10)는 통신부(520)가 수신한 전원을 접촉식 스마트 카드(500)에 공급하고, 통신부(520)가 수신한 초기화 신호에 따라 접촉식 스마트 카드(500)를 초기화하고, 통신부(520)가 수신한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 정보를 접촉식 스마트 카드(500)에 저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접촉식 스마트 카드(660)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6은 초기화 상태에 있는 접촉식 스마트 카드(660)를 사용하기 위하여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650)의 정보를 접촉식 스마트 카드(660)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600)는 접촉식 스마트 카드(660)가 연결된 경우, 전원을 공급한다(S602).
이동 단말기(600)는 전원 공급이 완료된 경우, 접촉식 스마트 카드(660)를 초기화한다(S604).
이동 단말기(600)는 연결된 접촉식 스마트 카드(660)의 사용 여부 쿼리를 화면에 출력한다(S606).
이동 단말기(600)는 사용자의 사용의도를 나타내는 입력신호가 입력된 경우, 이동 단말기(600)에 내장되어 있는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650)의 저장되어 있는 카드 정보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한다(S608).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600)의 화면에 표시된 카드 정보의 목록 중 원하는 카드 정보를 선택한다(S610).
이동 단말기(600)는 사용자 인증을 한다(S612).
이동 단말기(600)는 사용자에 의해 비밀번호 입력 후, 미리 설정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S614).
이동 단말기(600)는 판단 결과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카드정보를 수신한다(S616).
이동 단말기(600)는 수신한 카드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임시 저장한다(S618).
이동 단말기(600)는 접촉식 스마트 카드(660)에 카드정보를 전송한다(S620).
접촉식 스마트 카드(660)는 카드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접촉식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한다(S622).
이동 단말기(600)는 접촉식 스마트 카드(660)가 접촉식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한 후, 접촉식 스마트 카드(660)를 다시 초기화한다(S624).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400)에서 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 장치(440)를 사용하기 위해 등록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우선, 이동 단말기(400)는 스마트 카드 장치(440)의 연결유무를 판단한다(S700).
이동 단말기(400)는 스마트 카드 장치(440)가 연결이 된 후, 스마트 카드 장치(440)에 전원공급 및 초기화를 한다(S710).
이동 단말기(400)는 사용자가 원하는 카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화면에 메뉴를 표시한다(S720). 여기서, 카드 정보는 이동 단말기에 탑재되어 사용되는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 정보로써, 신용카드, 체크카드 또는 전자화폐카드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400)에 표시된 메뉴 중 원하는 카드 정보를 선택한다(S730).
이동 단말기(400)는 카드 정보가 선택이 된 후, 비밀번호 입력을 받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 인증을 한다(S740).
이동 단말기(400)는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와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S750).
이동 단말기(400)는 비밀번호가 일치할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카드 정보를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420)로부터 수신한다(S760).
이동 단말기(400)는 비밀번호가 일치하기 않을 경우, 다시 비밀 번호를 입력 받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되 연속 N(N은 자연수)번 불일치 여부를 판단한다(S790). 여기서, 이동 단말기(400)는 연속 N(N은 자연수)번 불일치 할 경우, 사용 절차를 바로 정지하고 사용을 제약 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400)는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420)로부터 수신한 카드정보를 접촉식 스마트 카드(500)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 장치(440)로 전송한다(S770).
이동 단말기(400)는 스마트 카드 장치(440)의 연결여부를 판단하여(S780), 해제되었을 경우 종료한다. 여기서, S780 단계는 생략 가능하며, 스마트 카드 장치(440)는 S770 단계 이후에 연결유무에 상관없이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 장치(440)에서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스마트 카드 장치(440)는 이동 단말기(400)와 연결여부를 판단한다(S800).
스마트 카드 장치(440)는 이동 단말기(400)와 연결된 후, 스마트 카드 장치(440)와 연결된 이동 단말기(400)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는다(S810).
스마트 카드 장치(440)는 스마트 카드 장치(440)에 탑재된 접촉식 스마트 카드(500)를 초기화한다(S820).
스마트 카드 장치(440)는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 정보의 수신여부를 판단한다(S830).
스마트 카드 장치(440)는 이동 단말기에 탑재된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로부터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 정보가 수신되었을 경우,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 정보를 접촉식 스마트 카드(500)에 저장한다(S840).
스마트 카드 장치(440)는 접촉식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한다(S850).
스마트 카드 장치(440)는 접촉식 어플리케이션의 수행완료 여부를 판단한다(S860). 여기서, 스마트 카드 장치(440)는 이동 단말기(400)와 연결여부에 상관없이 접촉식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UMTS 시스템에서의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접촉식 스마트 카드(200)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ISO 786--2에 정의된 접촉식 스마트카드의 핀 할당 구조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 장치(44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접촉식 스마트 카드(660)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400)에서 접촉식 스마트카드(500)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 장치(440)를 사용하기 위해 등록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 장치(440)에서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0: 이동 단말기 410: 이동 단말기 내부
420: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 430: 케이블
440: 스마트 카드 장치 500: 접촉식 스마트 카드
510: 제어부 520: 통신부

Claims (15)

  1. 이동 단말기에서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 단말기에 연결된 스마트 카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스마트 카드 장치에 탑재된 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초기화하는 단계;
    c) 상기 이동 단말기에 탑재된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로부터 카드정보를 수신 받는 단계; 및
    d) 상기 접촉식 스마트 카드로 상기 수신된 카드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는 비접촉식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고, 상기 접촉식 스마트 카드는 접촉식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는 스마트 카드 사용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 이후에,
    b-1) 상기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사용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사용 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c) 단계가 수행되는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이전에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은 상기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d)단계 이후에,
    d-1) 상기 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접촉식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및
    d-2)상기 접촉식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한 후, 상기 접촉식 스마트 카드가 초기화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이전에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접촉식 스마트 카드가 탑재된 스마트 카드장치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
  8. 스마트 카드 장치에 있어서,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가 장착된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원 및 상기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전원 및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 정보를 상기 스마트 카드 장치에 탑재된 접촉식 스마트 카드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식 스마트 카드는 상기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 정보를 저장하여 접촉식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스마트 카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어 전원 및 상기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 정보가 제공되는 스마트 카드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USB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와 USB 케이블로 연결되는 스마트 카드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전원을 상기 접촉식 스마트 카드에 제공하고,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초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초기화하고.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상기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 정보를 접촉식 스마트 카드에 저장하는 스마트 카드 장치.
  13. 스마트 카드 장치에서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 장치와 연결된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단계;
    상기 스마트 카드 장치에 탑재된 접촉식 스마트 카드의 초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에 탑재된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로부터 수신한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 정보를 상기 접촉식 스마트 카드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 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충전 단자와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는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
  15. 이동 단말기에서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이동 단말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a) 상기 이동 단말기에 연결된 스마트 카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스마트 카드 장치에 탑재된 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초기화하는 단계;
    c) 상기 이동 단말기에 탑재된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로부터 카드정보를 수신 받는 단계; 및
    d) 상기 접촉식 스마트 카드로 상기 수신된 카드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이동 단말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70123715A 2007-11-30 2007-11-30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926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715A KR100926369B1 (ko) 2007-11-30 2007-11-30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715A KR100926369B1 (ko) 2007-11-30 2007-11-30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524A KR20090056524A (ko) 2009-06-03
KR100926369B1 true KR100926369B1 (ko) 2009-11-10

Family

ID=40987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3715A Expired - Fee Related KR100926369B1 (ko) 2007-11-30 2007-11-30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3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438B1 (ko) * 2016-05-02 2017-11-20 브릴리언츠주식회사 스마트멀티카드 및 스마트멀티카드 제조방법
WO2017150923A1 (ko) * 2016-03-02 2017-09-08 주식회사 마늘랩 스마트 카드 및 그 제어 방법 및 스마트 카드 충전기 및 스마트 카드 리더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8193A (en) 1995-02-03 2000-05-30 Angewandte Digital Elektronik Gmbh Process for exchanging energy and data between a read/write terminal and a chip card with contactless connections and/or contact connections as well as a device for this purpose
KR20030044552A (ko) * 2001-11-30 2003-06-09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휴대통신 단말기와 스마트카드의 인터페이스장치
KR20050008130A (ko) * 2003-07-14 2005-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카드
KR20070107218A (ko) * 2006-05-02 2007-11-07 (주)넥스지텔레콤 스마트카드 활용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8193A (en) 1995-02-03 2000-05-30 Angewandte Digital Elektronik Gmbh Process for exchanging energy and data between a read/write terminal and a chip card with contactless connections and/or contact connections as well as a device for this purpose
KR20030044552A (ko) * 2001-11-30 2003-06-09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휴대통신 단말기와 스마트카드의 인터페이스장치
KR20050008130A (ko) * 2003-07-14 2005-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카드
KR20070107218A (ko) * 2006-05-02 2007-11-07 (주)넥스지텔레콤 스마트카드 활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524A (ko)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8362B2 (en) Amplifying radio frequency signals
US8070057B2 (en) Switching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antennas
US9311766B2 (en) Wireless communicating radio frequency signals
US8577290B2 (en) Near field communication adapters
RU2307394C1 (ru) Двойная система универсальных карточек на интегральных схемах (uicc) для перенос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20150118958A1 (en) Switching between near-field communication systems
KR20020042748A (ko) 비접촉식 인터페이스를 휴지 접점으로 전환한스마트카드를 장착한 휴대용 전화기
KR100926369B1 (ko) 스마트 카드 사용 방법
US20060163364A1 (en) Ic chip, card and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same
KR20110125758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KR100480516B1 (ko) 유무선통신 단말기에 내장되는 스마트카드 모듈
US20160255183A1 (en) Device and system for bridging electrical signals between sim card and mobile device and providing service to mobile device
KR20100013363A (ko) 글로벌 플랫폼 기반 아이씨 카드와 그 운영 방법 및 이를위한 기록매체
US811744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448807B1 (ko) 모바일 단말을 위한 보안용칩을 포함한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0926364B1 (ko) 스마트 카드에서의 복수의 응용 인터페이스 동시 제공 방법및 장치
KR20110029132A (ko) 데이터를 프리로딩하기 위한 다중 프로토콜을 구비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KR20090050749A (ko) 통신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서비스 제공 방법
EP2874095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ccessing a contact-less service
KR20060027589A (ko)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상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는 콤비스마트 카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멤버십 카드서비스 방법
KR20040109994A (ko) 콤비카드의 플라스틱 로밍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HK1097069B (en) Information pp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0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1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2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1110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1105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