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849B1 - Vegetation block recording module - Google Patents
Vegetation block recording mod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25849B1 KR100925849B1 KR1020090044699A KR20090044699A KR100925849B1 KR 100925849 B1 KR100925849 B1 KR 100925849B1 KR 1020090044699 A KR1020090044699 A KR 1020090044699A KR 20090044699 A KR20090044699 A KR 20090044699A KR 100925849 B1 KR100925849 B1 KR 1009258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vegetation block
- recording module
- plate
- block recor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8—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eat, moss or sphagnum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생블록 녹화용 모듈에 관련되며, 구성에 특징을 살펴보면, 내부에 식생매트(1)가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되면서 측판(12)상에 손잡이홈(12a)이 구비되고, 바닥면에 물저장부(14)와 다수의 배수공(16a)이 형성되는 지지판(16)이 구비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상에 척층조립되도록 하단에 끼움부(22)가 형성된 연장판(24)이 경첩, 고무판, 직물을 포함하는 연결부재(26)에 의해 접철가능하게 서로 연결되어 상하단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연장박스(20); 및 상기 본체(1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체결공(32)과, 상기 체결공(32)상에 높낮이조절되도록 결속되는 높이조절핀(34)이 구비되는 높이조절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e for vegetation block recording, and looking at the features of the configuration, the handle groove 12a is provided on the side plate 12 while being formed in a box shape with an upper portion open to accommodate the vegetation mat 1 therein. A main body 10 having a support plate 16 on which a water storage unit 14 and a plurality of drain holes 16a are formed; The extension plate 24 having the fitting portion 22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to be assembled on the main body 10 is fold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member 26 including a hinge, a rubber plate, and a fabric,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are opened. An extension box 20 formed in a box shape; And height adjusting means (30) having a fastening hole (32)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a height adjusting pin (34) which is bound to adjust the height on the fastening hole (32). Characterized in that made.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녹화모듈의 높이가 간편하게 조절됨에 따라 인공지반의 평탄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녹화모듈 상호간에 수평이 간편하게 조절되고, 특히 격판에 의해 물저장부가 분할되어 녹화모듈을 경사진 비탈면에 시공시 물저장부의 기울어짐으로 인한 물손실이 방지되고, 또 연장박스가 연장판과 연결부재에 의해 접철가능하여 시공후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recording module is easily adjusted by the height adjusting means, so that the horizontal level is easily adjusted between the recording modules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flatness of the artificial ground, and in particular, the water storage part is divided by the diaphragm to record the recording. When the module is installed on an inclined slope, water loss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water storage part is prevented, and the extension box is foldable by the extension plate and the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transportation and storage after the construction are conveni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생블록 녹화용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지붕이나 옥상 및 인도나 도로의 법면(法面) 또는 사면(斜面) 등의 인공지반에 식물을 식재하여 인공지반을 녹화하는 식생블록 녹화용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e for vegetation block greening, and more specifically, to plant an artificial ground by planting plants on artificial ground such as a roof or a roof of a building and a legal surface or a slope of a sidewalk or a road. It relates to a vegetation block recording module.
통상적으로 녹화는 건축 및 토목구조물등을 포함한 인공지반상에 토양층을 형성하여 식물을 식재하는 것으로, 근자에 들어 건축물의 지붕이나 옥상 및 인도나 도로의 법면(法面) 또는 사면(斜面) 등과 같이 무의미하게 방치된 인공지반을 녹화공간으로 활용하려는데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In general, greening is planting plants by forming soil layers on artificial ground, including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such as the roof or roof of buildings, and the surface or slope of sidewalks and roads. Interest is focused on using artificially neglected artificial ground as a recording space.
이에 종래에 특허공개번호 제2004-0089309호에서 기존 건축물의 인공지반에 작용가능하도록 식생블럭자체에 인공토양을 형성하고 그 위에 식물을 식재하여 시공이 간편하도록 된 인공지반 녹화벙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선공개된바 있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Patent Publication No. 2004-0089309, the artificial ground greening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artificial soil on the vegetation block itself so as to be able to act on the artificial ground of an existing building and planting the plant thereon to simplify construction. Technology has been released.
그러나, 상기한 녹화방법 및 그 시스템은 인공지반을 녹화하기 위한 기술이나, 시공 및 사용상에 있어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recording method and system have many problems, such as technology for recording artificial ground, construction, and use as follows.
첫째, 지붕이나 옥상 및 인도나 도로의 법면(法面) 또는 사면(斜面) 등의 인 공지반이 불규칙면 혹은 유선형으로 형성시 연속 설치되는 식생블럭간에 수평이 유지되지 못하는 폐단이 따랐다.Firstly, when a well-known panel such as a roof or rooftop and sidewalks or slopes of roads or roads were formed irregularly or streamlined, a closed end was not maintained between continuous vegetation blocks.
둘째, 식생블럭을 경사면에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시 물을 저장하기 위해 식생블럭 바닥면에 형성된 물저장소가 함께 기울어져 물저장용량이 크게 감소되는 문제점이 따랐다.Second, when the vegetation block is installed on an inclined surface, the water storage capacit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egetation block is tilted together to store water,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water storage capacity.
셋째, 식생블럭을 포개어 다수층으로 적층하여 관리하기 위해 식생블럭 상측에 끼워진 투명상판이 사각관형태로 형성되어 일정부피로 유지됨에 따라 식생블럭을 시공후 투명상판을 수거시 운반 및 보관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따랐다.Third, in order to stack the vegetation blocks and stack them in multiple layers, the transparent top plate fitted on the top side of the vegetation block is formed in a square tube shape so that it is kept in a certain volume. This followed.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지반의 평탄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시공이 간편하면서 녹화모듈상호간에 수평조절이 용이하고, 경사진 비탈면에 시공시 물저장부의 기울어짐으로 인한 물손실이 방지되며, 또 시공후 연장박스의 수거 및 보관이 편리한 식생블록 녹화용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more specifically, the construction is easy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flatness of the artificial ground, the horizontal adjustment between the greening module is easy, and when the construction on the inclined slop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dule for vegetation block recording, which prevents water loss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water storage unit, and is convenient to collect and store the extension box after constructio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내부에 식생매트(1)가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되면서 측판(12)상에 손잡이홈(12a)이 구비되고, 바닥면에 물저장부(14)와 다수의 배수공(16a)이 형성되는 지지판(16)이 구비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상에 척층조립되도록 하단에 끼움부(22)가 형성된 연장판(24)이 경첩, 고무판, 직물을 포함하는 연결부재(26)에 의해 접철가능하게 서로 연결되어 상하단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연장박스(20); 및 상기 본체(1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체결공(32)과, 상기 체결공(32)상에 높낮이조절되도록 결속되는 높이조절핀(34)이 구비되는 높이조절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이때, 상기 본체(10)는 바닥면에 부직포, 직물, 메쉬망를 포함하는 흙유실방지층(1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물저장부(14)는 격판(14a)에 의해 내부공간이 분할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지지판(16)은 단면형상이 "V"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체결공(32)과 높이조절핀(34)은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체결공(32)은 내주면 일측 혹은 양단에 스톱판(32a)이 구비되고, 높이조절핀(34)은 체결공(32)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선회시 스톱판(32a)이 끼움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다수개의 높이조절홈(34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본체(10)는 저면 가장자리부에 링후크(40)가 구비되고, 링후크(40)를 통하여 와이어(42)를 체결하여 연속설치되는 다수개의 본체(10)를 서로 결속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본체(10)는 저면에 원추형의 위치고정홈(50)이 형성되고, 위치고정홈(50)과 대응하는 설치면에 위치고정핀(5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본체(10)는 연속 설치시 서로 인접하는 측판(12)이 클립(60)에 의해 결속되도록 클립홈(6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본체(10)는 연속 설치시 서로 인접하는 측판(12)이 서로 겹쳐지도록 수평연장판(70)이 형성되고, 수평연장판(70)상에 핀홀(72)이 형성되어 후크핀(74)에 의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녹화모듈의 높이가 간편하게 조절됨에 따라 인공지반의 평탄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녹화모듈 상호간에 수평이 간편하게 조절되고, 특히 격판에 의해 물저장부가 분할되어 녹화모듈을 경사진 비탈면에 시공시 물저장부의 기울어짐으로 인한 물손실이 방지되고, 또 연장박스가 연장판과 연결부재에 의해 접철가능하여 시공후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nd 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recording module is easily adjusted by the height adjusting means so that the horizontal level is easily adjusted between the recording modules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flatness of the artificial ground, and in particular, the water storage by the diaphragm. The additional division prevents water loss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water storage unit when the greening module is installed on the inclined slope, and the extension box is foldable by the extension plate and the connecting member, so that it is convenient to carry and store after construc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녹화용 모듈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녹화용 모듈의 적층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녹화용 모듈의 연장박스를 접철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녹화용 모듈의 높이조절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getation block record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cked state of the vegetation block record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eget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C are configuration diagrams illustrating height adjusting means of the vegetation block record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식생블록 녹화용 모듈에 관련되며, 이때 식생블록 녹화용 모듈은 건축물의 지붕이나 옥상 및 인도나 도로의 법면(法面) 또는 사면(斜面) 등과 같이 무의미하게 방치된 인공지반을 녹화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본체(10), 연장박스(20), 높이조절수단(30) 등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getation block recording module, wherein the vegetation block recording module is a space for recording artificial grounds that have been left insignificant, such as the roof or roof of a building and the surface or slope of a sidewalk or a road. In order to utilize the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내부에 식생매트(1)가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되면서 측판(12)상에 손잡이홈(12a)이 구비되고, 바닥면에 물저장부(14)와 다수의 배수공(16a)이 형성되는 지지판(16)이 구비된다. 여기서 식생매트(1)는 하천이나 경사면의 시공 후 식생기반을 형성하기 위해 코코넛섬유나 마섬유(Jute)등의 천섬유와 대나무와 같은 목재등의 친환경적인 재질로 구성된 매트상에 씨앗을 개재하여 해당 장소가 자연상태의 식생기반을 형성함과 동시에 시간이 지나면 자연분해됨에 따라 시공된 지역의 오염방지와 함께 자연상태로서 식생가능케 하는 것이다.The
본체(10)는 설치방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사방으로 연속설치가 용이하도록 4면의 길이가 동일한 정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바닥면에 물을 저장하기 위한 물저장부(14)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소에 함몰형성된다. 이에 물을 주거나 우천시 식생매트(1)에서 흡수하고 남은 물이 물저장부(14)에 수용됨에 따라 물을 자주 주지 않더라도 식물이 건강하게 유지되면서 여름철 가뭄해갈에 효과적이다.The
여기서, 물저장부(14)는 격판(14a)에 의해 내부공간이 분할형성되도록 형성 된다. 이에 본체(10)를 경사진 비탈면에 설치시 물저장부(14)가 기울어지더라도 격판(14a)으로 인해 물의 솟아짐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격판(14a)이 "+"의 형태로 형성되어 물저장부(14)가 4분할된 상태를 도시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격판(14a)을 설치수량 및 위치를 가변하여 물저장부(14)를 2~8분할형성하는 구성도 가능하다.Here, the
또, 본체(10) 내부에 수용되는 식생매트(1)는 다수의 배수공(16a)이 형성되는 지지판(16)상에 안착되되, 지지판(16)은 도 1에서처럼 본체(10) 바닥면에서 물저장부(14)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공(16a)이 관통형성된다. In addition, the vegetation mat 1 accommodated in the
그리고, 상기 지지판(16)은 단면형상이 "V"자형상으로 형성되는바, 2에 도시된바와 같이 중앙부분이 함몰되어 지지판(16) 상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우천시 본체(10) 내부로 과도하게 많은 물이 유입더라도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또 경사면으로 인해 식생매트(1)와 지지판(16)이 이격된 상태로 공간부가 형성되므로 공기순환이 원활하여 식물의 뿌리가 건강하게 자라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본체(10)는 바닥면에 부직포, 직물, 메쉬망를 포함하는 흙유실방지층(18)이 설치된다. 흙유실방지층(18)은 본체(10)의 바닥면을 전체적으로 마감하도록 설치되어 하부로 배출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본체(10) 내부에 수용된 흙이나 인공토양의 유실로 인한 배수공(16a)의 막힘현상이 방지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장박스(20)는 본체(10)상에 척층조립되도록 하단에 끼움부(22)가 형성된 연장판(24)이 경첩, 고무판, 직물을 포함하는 연결부재(26)에 의해 접철가능하게 서로 연결되어 상하단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된다. 연장박스(20)는 본체(10)와 동일한 단면형상인 사각박스형태로 형성되고, 하단부에 구비되는 끼움부(22)를 통하여 본체(10)의 상단부에 조립설치된다. 이때 끼움부(22)는 본체(10)의 내면 혹은 외면과 맞물리도록 후크형태로 돌출되고, 끼움부(22)와 대응하는 본체(10)의 내면 혹은 외면상에는 끼움부(2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연장박스(20)는 4개의 연장판(24)을 연결부재(26)로 연결하여 사각박스형태로 구성하되, 이때 연결부재(26)는 접철이 가능하도록 경첩 혹은 유연성이 우수한 고무판, 직물을 포함하는 재질을 사용함에 따라 연장판(24)이 접철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And, the
이에 본체(10)를 운반시 연장박스(20)를 사각박스형태로 펼치고 본체(10) 상단에 조립하므로 도 2처럼 본체(10)를 다단으로 적층더라도 선재배된 식물이 안전하게 보호되고, 목적지로 이동하여 본체(10)를 시공후에는 연장박스(20)를 접은 상태로 수거하므로 운반 및 보관에 따른 공간활용도가 우수한 이점이 있다.Whe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수단(30)은 본체(1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체결공(32)과, 상기 체결공(32)상에 높낮이조절되도록 결속되는 높이조절핀(34)이 구비된다. 체결공(32)은 본체(10)의 바닥면 네 모서리 혹은 가장자리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4~12개소에 관통형성되고, 체결공(32)을 통하여 높이조절핀(34)이 체결되어 본체(10)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In addition, the height adjustment means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이에 도 3c처럼 지붕이나 옥상 및 인도나 도로의 법면(法面) 또는 사면(斜面) 등의 인공지반이 불규칙면 혹은 유선형으로 형성되더라도 높이조절수단(30)을 통하여 본체(10)의 높낮이를 조절하므로 연속 설치되는 녹화 모듈 간의 수평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even if artificial ground such as a roof or rooftop and sidewalks or slopes of roads or slopes is formed in an irregular surface or streamline as shown in FIG. 3C, the height of the
이때, 도 3a는 체결공(32)과 높이조절핀(34)은 나사결합으로 체결되어 높이조절핀(34)을 회동시 높낮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3b는 체결공(32)의 내주면 일측 혹은 양단에 스톱판(32a)이 구비되고, 높이조절핀(34)은 체결공(32)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선회시 스톱판(32a)이 끼움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다수개의 높이조절홈(34a)이 형성되는 구성을 나타낸다. 이때 높이조절핀(34)의 선단부는 렌치,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공구가 체결가능하도록 각홈 혹은 +/-홈이 형성된다.At this time, Figure 3a is a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식생블록 녹화용 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dule for vegetation block recording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상기 본체(10)는 저면 가장자리부에 링후크(40)가 구비되고, 링후크(40)를 통하여 와이어(42)를 체결하여 연속설치되는 다수개의 본체(10)를 서로 결속하도록 구비된다. 링후크(40)는 중앙이 관통된 링형상의 후크로서, 본체(10)상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할제작되어 나사결합으로 설치된다. 이에 연속설치되어 서로 인접하는 본체(10)의 링후크(40)를 와이어(42)로 결속하여 다수개의 본체(10)를 단일의 구조체로 형성시킴에 따라 시공후에도 초기 배열상태로 장구히 유지됨은 물론 경사진 비탈면에 설치시 본체(10)가 독립적으로 미끄러져 붕괴되는 문제점이 해 소된다.In FIG. 5, th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식생블록 녹화용 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getation block record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상기 본체(10)는 저면에 원추형의 위치고정홈(50)이 형성되고, 위치고정홈(50)과 대응하는 설치면에 위치고정핀(52)이 구비된다. 이때 위치고정핀(52)은 본체(10)의 설치위치 및 간격을 미리 고려하여 설치면에 시공된다. 이에 본체(10)를 시공시 위치고정홈(50)이 위치고정핀(52)에 맞물린 상태로 위치고정됨에 따라 설치면이 경사진 비탈면으로 형성되더라도 본체(10)의 미끄러짐현상이 방지된다.In FIG. 6, the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식생블록 녹화용 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getation block record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서, 상기 본체(10)는 연속 설치시 서로 인접하는 측판(12)이 클립(60)에 의해 결속되도록 클립홈(62)이 형성된다. 이때 클립(60)은 한 쌍의 탄성판이 서로 가압되도록 형성되고, 클립(60)이 끼워진 상태로 유동이 방지되도록 본체(10) 측판(12)상에 클립홈(62)이 함몰형성된다. 즉 본체(10)를 연속 설치시 서로 인접하는 측판(12)과 측판(12)을 클립(60)으로 1~4개소에서 체결하므로 다수의 본체(10)가 단일의 구조체형태로 연결되어 초기 배열상태가 장구히 유지되고, 특히 여름철 고온으로 인해 측판이 팽창되더라도 클립(60)에 의해 지지되어 휨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In FIG. 7, the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식생블록 녹화용 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getation block record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서, 상기 본체(10)는 연속 설치시 서로 인접하는 측판(12)이 서로 겹쳐지도록 수평연장판(70)이 형성되고, 수평연장판(70)상에 핀홀(72)이 형성되어 후크핀(74)에 의해 결속된다. 이때 연속설치되는 본체(10)(10')의 측판(12)(12')이 서로 면접된 상태로 겹쳐지도록 어느 일측 본체(10)의 측판(12)상에 형성되는 수평연장판(70)은 본체(1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이와 대응하는 다른 일측 본체(10')의 측판(12')에 형성되는 수평연장판(70')은 본체(10')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In FIG. 8, the
그리고 서로 겹쳐진 수평연장판(70)(70')의 핀홀(72)을 서로 일치시킨 상태로 후크핀(74)을 원터치 방식으로 삽입하여 인접하는 본체(10)(10')를 서로 결속하게 된다. 여기서 후크핀(74)은 핀의 중앙이 절개되어 탄성작용에 의해 삽입은 용이하되, 삽입후 후크에 의해 결속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는 통상의 결속핀을 사용한다.In addition, th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녹화용 모듈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getation block record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녹화용 모듈의 적층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acked state of the vegetation block record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녹화용 모듈의 연장박스를 접철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ate of folding the extension box of the vegetation block record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 녹화용 모듈의 높이조절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4a to 4c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height adjusting means of the vegetation block record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식생블록 녹화용 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getation block recording modul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식생블록 녹화용 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getation block record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식생블록 녹화용 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dule for vegetation block recording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식생블록 녹화용 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getation block record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4699A KR100925849B1 (en) | 2009-05-21 | 2009-05-21 | Vegetation block recording mo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4699A KR100925849B1 (en) | 2009-05-21 | 2009-05-21 | Vegetation block recording modu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25849B1 true KR100925849B1 (en) | 2009-11-06 |
Family
ID=41561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4699A Active KR100925849B1 (en) | 2009-05-21 | 2009-05-21 | Vegetation block recording modu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25849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283043A (en) * | 2011-06-23 | 2011-12-21 | 金坛市明日春花盆有限公司 | Flowerpot tray for split combined flowerpot |
KR101158252B1 (en) | 2009-11-24 | 2012-07-03 | 최진식 | Extensible partition |
KR101375826B1 (en) | 2013-06-28 | 2014-03-26 | 주식회사 옥토기술단 | Facilities using block with growing plant for vegetation and reinforcement of shore in river |
WO2015105343A1 (en) * | 2014-01-08 | 2015-07-16 | 왕영성 | Height-adjustable dual plant cultivation management apparatus for root zone environment improvement |
KR20200048920A (en) * | 2018-10-31 | 2020-05-08 | 주식회사 한설그린 | Storage block for vegetation |
KR102459275B1 (en) | 2022-01-27 | 2022-11-01 | (주)시스템배관 | Modular vegetation block for easy expansion assembly |
KR102681075B1 (en) * | 2023-04-17 | 2024-07-05 | 주식회사 엘림피시텍 | Wall type vegetation block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2995B1 (en) | 2004-05-10 | 2004-08-05 | 주식회사 오륙개발 | Afforestation method of bedrock and building |
KR100510256B1 (en) | 2003-04-11 | 2005-08-26 |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 Artifical ground tree planting method using rearing-block and the system there of |
KR100520420B1 (en) | 2004-02-04 | 2005-10-11 |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 Versatile vegetative modular system for green roof and method for making green roof using the modular system |
KR100609496B1 (en) | 2005-01-04 | 2006-08-08 | 김용회 | Prefab Plant Box |
-
2009
- 2009-05-21 KR KR1020090044699A patent/KR10092584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10256B1 (en) | 2003-04-11 | 2005-08-26 |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 Artifical ground tree planting method using rearing-block and the system there of |
KR100520420B1 (en) | 2004-02-04 | 2005-10-11 |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 Versatile vegetative modular system for green roof and method for making green roof using the modular system |
KR100442995B1 (en) | 2004-05-10 | 2004-08-05 | 주식회사 오륙개발 | Afforestation method of bedrock and building |
KR100609496B1 (en) | 2005-01-04 | 2006-08-08 | 김용회 | Prefab Plant Box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8252B1 (en) | 2009-11-24 | 2012-07-03 | 최진식 | Extensible partition |
CN102283043A (en) * | 2011-06-23 | 2011-12-21 | 金坛市明日春花盆有限公司 | Flowerpot tray for split combined flowerpot |
KR101375826B1 (en) | 2013-06-28 | 2014-03-26 | 주식회사 옥토기술단 | Facilities using block with growing plant for vegetation and reinforcement of shore in river |
WO2015105343A1 (en) * | 2014-01-08 | 2015-07-16 | 왕영성 | Height-adjustable dual plant cultivation management apparatus for root zone environment improvement |
CN105873432A (en) * | 2014-01-08 | 2016-08-17 | 王永成 | Height-adjustable dual plant cultivation management apparatus for root zone environment improvement |
KR20200048920A (en) * | 2018-10-31 | 2020-05-08 | 주식회사 한설그린 | Storage block for vegetation |
KR102130847B1 (en) * | 2018-10-31 | 2020-07-06 | 주식회사 한설그린 | Storage block for vegetation |
KR102459275B1 (en) | 2022-01-27 | 2022-11-01 | (주)시스템배관 | Modular vegetation block for easy expansion assembly |
KR102681075B1 (en) * | 2023-04-17 | 2024-07-05 | 주식회사 엘림피시텍 | Wall type vegetation bloc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25849B1 (en) | Vegetation block recording module | |
KR101583664B1 (en) | Vegetation unit and slope greening method using vegetation unit | |
JP2004503257A (en) | Modular green rooftop with panels with preferred edge system | |
US20120227319A1 (en) | Modular Green Roof System | |
JP2009142250A (en) | Structure for planting, and laying body using the same | |
JPH06209655A (en) | Floor construction for vegetation of building structure | |
KR100652252B1 (en) | Vegetation module and vegetation sound barrier using the same | |
KR20100100509A (en) | Greening works and inclined plane structure using greening works | |
KR101187407B1 (en) | Wall-greening apparatus and wall-greening method using the same | |
JP3506371B2 (en) | Retaining wall greening block and retaining wall greening structure | |
WO2007074579A1 (en) | Planting facility and planting container | |
KR101638985B1 (en) | Prefabricated planting module | |
JP4780761B2 (en) | Greening facilities and base materials | |
KR101187777B1 (en) | A planting block that can be applicale artificial ground green | |
JP2008067607A (en) | Resin tray for roof greening and roof greening structure | |
KR100566934B1 (en) | Block for greening | |
KR100624746B1 (en) | Structure of greening facility installed on the roof of apartment house | |
JP2007189910A (en) | Greening unit and greening system including the greening unit | |
GB2623463A (en) | Photoelectric water-permeable pavement underground water storage automation system | |
KR100966800B1 (en) | Retaining wall system for planting | |
NL1038053C2 (en) | Tree container and assembly of a tree container and a tree. | |
KR200402616Y1 (en) | Wall Greening Construction Structure | |
JP2005198529A (en) | Planting unit for greening | |
JP6811447B2 (en) | Parking lot greening structure | |
KR100436517B1 (en) | Soundproof wall apparatus planted with pla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905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8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0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0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