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002B1 - Portable golf tees - Google Patents
Portable golf te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25002B1 KR100925002B1 KR1020080129140A KR20080129140A KR100925002B1 KR 100925002 B1 KR100925002 B1 KR 100925002B1 KR 1020080129140 A KR1020080129140 A KR 1020080129140A KR 20080129140 A KR20080129140 A KR 20080129140A KR 100925002 B1 KR100925002 B1 KR 1009250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olf
- tee
- golf ball
- mounting clip
- golf te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30 addi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63B57/19—Golf tees with direction indicato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63B57/12—Golf tees attached to strap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20—Holders, e.g. of tees or of balls
- A63B57/203—Te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를 칠 때 필수로 소지하여야 하는 골프 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며, 골프공을 타격할 때 타격 된 공의 진행방향을 미리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타격하는 순간에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용 골프 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tee that must be carried when playing golf, and more particularly, has a function that can be easily carried, and by hitting the golf ball to hit in advance the direction of the hitting ball when hitting the golf ball It's about a portable golf tee that will help you improve your concentration at the moment.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골프공 안착부와 지면고정핀으로 구성하되, 골프 티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골프공 안착부를 "C"형의 일측이 개방된 링의 형태로 구성하여 장착클립을 형성함으로써, 이 장착클립을 골프채의 샤프트에 결합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하여 골프 티의 휴대를 간편하게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object, but consisting of the golf ball seating portion and the ground fixing pin, the golf ball seating portion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golf tee is configured by mounting in the form of a ring of one side of the "C" type open By forming a clip, the mounting clip is coupled to the shaft of the golf club to be carried, thereby simplifying the carrying of the golf tee.
Description
본 발명은 골프용구의 일종인 골프 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 티와, 이 골프 티를 간편하게 골프클럽의 샤프트에 장착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골프 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tee, which is a kind of golf equip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golf tee and a portable golf tee that can be easily mounted and carried on the shaft of a golf club.
주지하다시피 골프 티(GOLF TEE)는 필드에서 골프공을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안착시켜 두고 티샷에서 드라이버의 스윙시 지면의 잔디 등으로부터 간섭을 최소화시켜 골프공의 비거리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골프 티는 골퍼들이 개인적으로 휴대하여야 하는 필수도구이다.Golf tee (GOLF TEE) is used to raise the golf ball distance by minimizing the interference from the grass of the ground when the driver swings the tee shot in the field at the height of the golf ball in the field. Tees are an essential tool for golfers to carry personally.
골프 티는 골퍼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소형으로 제작되고, 보조적인 기능으로 타격 된 골프공의 방향을 지정할 수 있도록 방향지시 기능을 구비한 골프 등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Golf tees are manufactured to be compact in order to allow the golfer to carry them easily, and golf with a direction indicating function to designate the direction of the hit golf ball as an auxiliary function has been proposed and used.
그러나 골퍼들의 경우 자신의 몸에 다른 물체가 접촉되는 느낌만으로 집중력이 저하된다고 하여 작은 물체라도 소지하는 것을 싫어한다.However, golfers do not like to carry even small objects because their concentration is reduced only by the feeling that other objects come into contact with their bodies.
이러한 이유로 골퍼는 골프 티를 모자에 꼽아 휴대하는 방식을 선호하거나, 캐디에게 소지하도록 하는 번거로움도 마다하지 않는 것이다.For this reason, the golfer prefers to carry a golf tee in a hat or take the hassle out of having a caddy.
일반적으로 제안되어 있는 골프 티는, 그린의 잔디 길이에 따라 골프공의 높낮이를 달리하여 받쳐줄 수 있도록 한 골프공 안착부와, 끝이 뾰족한 고정핀을 이용하여 지면에 꽂아 박을 수 있는 지면고정부가 구비된 것을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the proposed golf tee has a golf ball seating part that can support the golf ball at different heights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green grass, and a ground fixing part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ground using a fixed pin with a pointed tip. The equipped one is used.
이러한 골프 티는, 필드에서 골프공을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안착시켜 두고 티샷에서 드라이버의 스윙시 지면의 잔디 등으로부터 간섭을 최소화시켜 골프공의 비거리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The golf tee is used to raise the golf ball distance by minimizing interference from the grass on the ground during the swing of the driver in the tee shot while seating the golf ball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골프 티는, 필수 구성요소로서 골프공 안착부와 끝이 뾰족한 지면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이고, 이를 휴대하기 위한 별다른 수단이 제안되어 있지 않고 있는 실정이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캐디로 하여금 휴대하도록 하거나, 골퍼가 자신의 모자에 끼어서 휴대하고 있다. The golf tee used for this purpose is composed of a golf ball seating part and a pointed ground fixation as an essential component, and no other means for carrying it has been proposed. Either let him carry it, or the golfer is carrying it in his hat.
캐디가 휴대하게 되는 경우, 일일이 티샷을 할 때마다 골프 티를 전달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해 집중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며, If a caddy is to be carried, the concentration tends to decrease due to the hassle of having to receive a golf tee every time a tee is shot.
골퍼가 자신의 모자에 꼽아 휴대하는 경우에는, 골프 티가 머리를 압박하는 관계로 역시 집중력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발생하였다.When a golfer puts it on his hat, the golf tee is pressed against the head, which results in a lack of concentration.
본 발명은 상기한 골프 티의 휴대가 불편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골프 티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 티 휴대수단을 제공하는 한편, 부가적인 기능으로 골프 클럽으로 골프 티에 안착 된 골프공을 타격할 때, 골프공의 진행방향을 미리 알 수 있도록 표시함으로써, 타격순간에 시점을 골프공과 골프 티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여 헤드업이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한 진행방향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olf tee carrying means for easily carrying a golf tee, and to supplement the disadvantage of the inconvenience of carrying the golf tee, the golf ball seated on the golf tee as a golf club as an additional function When hitting, by displaying in advance so as to know the direction of the golf bal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ocus the golf ball and the golf tee at the moment of hitting to provide a heading direction function to prevent the head-up.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골프공 안착부와 지면고정핀으로 구성하되, 상기 지면고정핀의 상단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장착클립을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골프 티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골프공 안착부를 "C"형의 일측이 개방된 링의 형태로 구성하여 장착클립을 형성함으로써, 이 장착클립을 골프채의 샤프트에 결합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하여 골프 티의 휴대를 간편하게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object, but consisting of the golf ball seating portion and the ground fixing pin, to form an integrally formed mounting clip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ground fixing pin to one side, the upper end of the golf tee The golf ball seating portion formed in the form of a ring having one side of the "C" type open ring to form a mounting clip, by coupling the mounting clip to the shaft of the golf club to carry a golf tee will be.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골프 티는, 골프공 안착부를 구성하는 장착클립을 골프채의 샤프트에 결합하여 휴대할 수 있는 휴대의 간편함과,Golf te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portable clip that can be carried by coupling the mounting clip constituting the golf ball seating portion to the shaft of the golf club,
장착클립의 "C"형으로 개방된 개방부를 타격점으로 하고, 그 후방부가 골프공의 비행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골프 티에 골프공을 올려놓고 타격할 때, 정확한 타격방향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타격할 수 있는 것이다.A "C" shaped opening of the mounting clip is used as the hitting point, and the rear part is directed toward the golf ball's flight direction. When the golf ball is hit on the golf tee, the correct hitting direction is visually confirmed and hit. You can do it.
따라서, 골퍼가 더욱 스윙동작에 집중하여 티샷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티샷능력을 향상과 비행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Therefore, the golfer can concentrate on the swing motion to make the tee shot, thereby improving the tee shot ability and increasing the flying distance.
이러한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골프 티를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Golf te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such an effec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단부에 골프공이 안착 되는 골프공 안착부와, 하단부에는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지면고정핀과, 골프클럽의 샤프트에 결합 되는 장착클립을 일체로 구성한 골프 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to provide a golf tee integrally composed of a golf ball seating portion that is seated on the top of the golf ball, a ground fixing pin for fixing to the ground, and a mounting clip coupled to the shaft of the golf club.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골프 티를 실시예에 의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Golf te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
[실시예 1] Example 1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골프 티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평면도와 저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olf te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상단부에 골프공이 안착 되는 골프공 안착부(1)와, 하단으로 연장되는 지면고정핀(2)을 일체로 형성하며, The golf ball seating portion (1) and the ground fixing pin (2) extending to the lower end to form a golf ball seated on the upper end integrally,
상기 지면고정핀(2)의 상측부에 외향으로 확장되는 "C"형의 장착클립(3)을 일체로 형성하여 골프 티(T)를 구성한 것이다.The golf tee T is formed by integrally forming the
상기 "C"형 장착클립(3)은, 원통형의 클립본체(4)의 내측에 결합부(5)를 구성하며, 상기 클립본체(4)의 일측을 상하로 길게 절취하여 삽입부(6)를 형성한다.The " C "
상기 결합부(5)의 내경은 골프크럽(10)의 샤프트(11)가 긴밀하게 밀착되는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하고, The inner diameter of the
상기 삽입부(6)의 양 측단부는 확장곡면(6a)(6b)으로 형성하여 골프클럽(10)의 샤프트(11)와 결합할 때 안정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Both side end portions of the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휴대용 골프 티(T)를 이용하여 티샷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골프공 안착부(1)의 하부에 형성된 지면고정핀(2)을 지면에 박아 고정하고, 상기 골프공 안착부(1)에 골프공(20)을 올려놓은 후 골프클럽(10)으로 티샷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If you want to tee shot using the portable golf tee (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ground fixing pin (2)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olf ball seating portion (1) is driven to the ground and fixed, the golf After placing the
이때, 상기 지면고정핀(2)을 지면에 박아 고정할 때, 장착클립(3)을 구성하는 삽입부(6)의 방향을 타격 된 골프공(20)의 진행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조정을 하여 고정한 후, 골프공 안착부(1)에 골프공(20)을 올려놓고 타격을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fixing the ground fixing pin (2) to the ground, the position adjustment is made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6) constituting the mounting clip (3)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이와 같이 삽입부(6)의 방향을 골프공(20)이 비행할 방향으로 지정하고 타격을 하게 되면, 골퍼는 최초에 골프공(20)의 비행할 방향을 확인한 후, 티샷을 하는 순간에는 시선을 골프공(20)과 삽입부(6)에 고정하여 타격을 함으로써 타격순간에 시점변화로 인한 헤드업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As such, when the direction of the
이러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골프 티(T)를 이용하여 티샷을 하고난 후에는, 상기 골프 티(T)를 골프클럽(10)의 샤프트(11)에 결합하여 휴대하게 되는데, 지면고정핀(2)의 상측부에 형성된 장착클립(3)을 이용하여 샤프트(11)에 고정한 후 휴대하는 것이다.After the tee shot using the golf tee (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uch means, the golf tee (T) is coupled to the
상기 장착클립(3)은 클립본체(4)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부(5)에 샤프트(11)가 끼워지게 되는데, 이 결합부(5)의 일측에 절결 형성된 삽입부(6)로 상기 샤프트(11)를 강제로 끼워 결합하는 것이다.The
상기 삽입부(6)로 샤프트(11)가 강제로 진입하면,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는데, 이때 샤프트(11)에 밀착되는 삽입부(6)의 양단부는 곡면(6a)(6b)을 이루고 있어 원활하게 외향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샤프트(11)가 진입되어 삽입부(6)에 끼워지는 것이다.When the
이러한 장착클립(3)을 이용하여 골프클럽(10)의 샤프트(11)에 골프 티(T)를 장착하여 휴대함으로써, 골퍼는 골프 티를 휴대하기 위하여 신경을 쓰지않아도 되므로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By mounting and carrying a golf tee (T) on the
[실시예 2]Example 2
첨부 도면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 2의 사시도이고, 도 5는 골프클럽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사용상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mounted on a golf club, Figure 6 is a state diagram used.
상단부에 골프공이 안착 되는 골프공 안착부(101)와, 하단으로 연장되는 지면고정핀(102)을 일체로 형성하며, The golf
상기 골프공 안착부(101)는, 오링의 형상으로 구성하되 그 일단을 절취하여 "C"형의 링 형태로 형성하여 장착클립(103)을 형성하고, The golf
상기 "C"형의 장착클립(103) 일측에 절취형성된 절취부(104)와 대응되는 장착클립(013) 후방부에, 하측으로 길게 이어지면서 협소해지는 지면고정핀(102)을 일체로 형성하여 골프 티(T')를 구성한 것이다.In the rear of the mounting clip 013 corresponding to the cut-out
상기 "C"형의 장착클립(103) 상면에는 수개의 고정돌기(105)를 돌출 형성하여, 골프공(20)의 외주면에 요입 형성된 딤플(21)에 상기 고정돌기(105)가 결합되어 안정적인 안착상태를 이루도록 구성한다.A plurality of
상기 "C"형의 장착클립(103) 내주면에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탄성요홈(106)을 요입 형성하여 구성하며, 그 위치는 장착클립(103)에 형성된 절취부(104)의 반대편 내주면 중앙부를 소폭으로 절취하여 형성한다.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상기 "C"형의 장착클립(103) 내주면의 직경은, 콜프클럽(10)의 샤프트(11)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직경을 가진다.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형 장착클립(103) 후방부에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지면고정핀(102)은, 상기 "C"형 장착클립(103)의 저면부와 일체화되는 지점은 그 폭을 넓게 구성하고, 하단으로 내려갈수록 좁게 형성하여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골프 티를 이용하여 티샷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골프 티(T')를 지면에 일정한 깊이로 매립하고, 상부의 안착부(101)에 골프공(20)을 올려놓는다.In order to proceed with the tee shot using the golf te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golf tee T 'is embedded at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ground, and the
상기 안착부(101)에 골프공(20)이 올려지면, 안착부(101)를 구성하는 장착클 립(103)의 상면부에 돌출형성된 고정돌기(105)가 골프공(20)의 딤플(21)에 결합되어 안정적인 안착상태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이때, 상기 안착부(101)를 구성하는 장착클립(103)에 형성된 절취부(104)가 골프공(20)의 타격지점을 향하도록 하고, 그 후방의 지면고정핀(102)이 타격 된 골프공(20)의 비행할 방향으로 지정하여 골프 티(T')를 지면에 고정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이와 같이 골프 티(T')를 골프클럽(10)에 의해 타격 된 골프공(20)의 진행방향을 미리 설정하여 고정하고 난 후, 골프공(20)을 안착부(101)에 올려놓고 티샷을 하는 골퍼는 최초 한 번만 골프공(20)이 비행할 지점을 확인한 후, 타격을 하는 순간에는 시점을 "C"형의 장착클립(103)의 절취부(104)에 둠으로써, 타격순간에 헤드업이 생기지 않도록 집중력을 배가하여 타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golf tee T 'is fixed by sett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이러한 수단으로 티샷을 하고 난 후에는, 골프 티(T')를 회수하여 안착부(101)를 구성하는 장착클립(103)을 골프클럽(10)의 샤프트(11)에 결합하여 휴대하는 것이다.After the tee shot is taken by such means, the golf tee T 'is collected and the
상기 장착클립(103)을 골프클럽(10)의 샤프트(11)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장착클립(103)의 전방부에 절취형성된 절취부(104)를 샤프트(11)에 강제로 끼워넣으면, 후면부에 요입 형성된 탄성요홈(106)에 의하여 장착클립(103)이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샤프트(11)에 결합되고, 결합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탄성요홈(106)에 의해 벌어진 장착클립(103)이 원상태로 복귀되어 샤프트(11)에서 미끄러져 내리지않도록 탄력있게 파지되는 것이다.In order to mount the
이와 같이 골프 티(T')를 골프클럽의 샤프트에 장착하여 휴대함으로써 분실 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골퍼는 골프 티의 소지로 인한 집중력 분산으로부터 해방되는 것이다.In this way, by mounting the golf tee (T ') to the shaft of the golf club to be able to prevent the risk of loss, the golfer is freed from the dispersion of concentration due to the possession of the golf tee.
본 발명에 있어서, 안착부(101)을 구성하는 장착클립(103)은 첨부도면 도 7,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클립(103)의 두께를 더욱 두텁게 구성하여 적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상기한 장착클립(103)의 두께를 두텁게 성형하는 것은, 안착부(101)에 골프공(20)을 올려놓고 티샷을 할 때, 골프클럽(10)에 의해 타격 되는 수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Forming a thick thickness of the mounting
도면부호 102는 지면고정핀, 105는 고정돌기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설계변경이 가능할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 one embodiment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see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design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 1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 1의 골프 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golf te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 1의 평면도와 저면도3 is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of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 2에 의한 골프 티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golf te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은 본 발명 실시예 2의 골프티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equipped with a golf te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본 발명 실시예 2의 골프 티를 이용하여 티샷하는 상태도Figure 6 is a state diagram tee shot using the golf te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8은 실시예 2의 변경가능한 일례를 나타낸 설계변경도면7 and 8 are design change drawings showing an example of change in Example 2;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 : 안착부1: Seating part
2 : 지면고정핀2: Ground Fixing Pin
3, 103 : 장착클립3, 103: mounting clip
4, 104 : 클립본체, 4, 104: clip body,
5 : 결합부5: coupling part
6 : 삽입부6: insertion part
105 : 고정돌기105: fixed protrusion
106 : 탄성요홈106: elastic groove
10 : 골프클럽10: Golf Club
11 : 샤프트11: shaft
20 : 골프공20: golf ball
21 : 딤플21: dimpl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9140A KR100925002B1 (en) | 2008-12-18 | 2008-12-18 | Portable golf te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9140A KR100925002B1 (en) | 2008-12-18 | 2008-12-18 | Portable golf te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25002B1 true KR100925002B1 (en) | 2009-11-04 |
Family
ID=41561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29140A Expired - Fee Related KR100925002B1 (en) | 2008-12-18 | 2008-12-18 | Portable golf te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2500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3928Y1 (en) * | 2010-08-16 | 2012-12-03 | 김창섭 | Direction indicator for golf tee |
KR200487163Y1 (en) * | 2017-03-14 | 2018-08-14 | 박현복 | The roly-poly type golf te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74269U (en) | 1975-11-26 | 1977-06-03 | ||
JPS5298565U (en) | 1976-01-22 | 1977-07-25 | ||
JPS61136768U (en) | 1985-02-13 | 1986-08-25 | ||
JP3113807U (en) * | 2005-06-03 | 2005-09-22 | 雄次 平石 | Clip-type golf tee |
-
2008
- 2008-12-18 KR KR1020080129140A patent/KR10092500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74269U (en) | 1975-11-26 | 1977-06-03 | ||
JPS5298565U (en) | 1976-01-22 | 1977-07-25 | ||
JPS61136768U (en) | 1985-02-13 | 1986-08-25 | ||
JP3113807U (en) * | 2005-06-03 | 2005-09-22 | 雄次 平石 | Clip-type golf te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3928Y1 (en) * | 2010-08-16 | 2012-12-03 | 김창섭 | Direction indicator for golf tee |
KR200487163Y1 (en) * | 2017-03-14 | 2018-08-14 | 박현복 | The roly-poly type golf te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893818A (en) | Golf tee | |
US6878072B1 (en) | Golf ball putter, retriever and retainer | |
US8439768B1 (en) | Tool with holder for smoking article | |
US20050176520A1 (en) | Golf ball putter including golf ball alignment indicia | |
KR101714416B1 (en) | Replaceable golf putter with half column of round and convex surface | |
US5409212A (en) | Combination ball mark repair tool and golf green slope indicator | |
US20020160851A1 (en) | Iron golf club for use in approach shot | |
US20020094887A1 (en) | Golf tee tether | |
US6017282A (en) | Golf ball position marking system | |
KR100925002B1 (en) | Portable golf tees | |
KR102258680B1 (en) | Golf Tee to Induce Straight Pitch | |
KR20210002584U (en) | Golf tee | |
US7198574B2 (en) | Putter with integral ball retriever | |
KR100621844B1 (en) | Guideline indicator for golf ball | |
KR101333295B1 (en) | Golf address aiming device | |
KR101794238B1 (en) | Ball marker for golf | |
KR102452720B1 (en) | golf putting device | |
JP2016515891A (en) | Golf club and hitting device | |
KR200363343Y1 (en) | Guide line indicator for golf ball | |
WO2006009408A1 (en) | Golf tee | |
JP3220439U (en) | Golf club head and golf club having the same | |
US20060205537A1 (en) | Device for supporting a golf ball | |
GB2413088A (en) | Golf aiming aid | |
KR200359322Y1 (en) | Holder for Golf Ball | |
US20080102989A1 (en) | Handheld device for determining golf ball trajectory for putt of chip shot and method theref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902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0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10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0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8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