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22002B1 -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을 이용한 대화형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을 이용한 대화형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2002B1
KR100922002B1 KR1020070093417A KR20070093417A KR100922002B1 KR 100922002 B1 KR100922002 B1 KR 100922002B1 KR 1020070093417 A KR1020070093417 A KR 1020070093417A KR 20070093417 A KR20070093417 A KR 20070093417A KR 100922002 B1 KR100922002 B1 KR 100922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interactive service
interactive
information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8103A (ko
Inventor
이형진
정윤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70093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2002B1/ko
Publication of KR20090028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을 이용한 대화형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입력한 서비스 코드에 상응하는 대화형 서비스가 이전에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서비스인지를 판단한다. 대화형 서비스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서비스인 경우, 대화형 서비스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시점을 확인한다. 그리고 확인한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시점 이후의 대화형 서비스를 요청하여 제공받는다.
따라서, 이전 메뉴에 대한 사용자 선택 정보를 유지하여 동일한 메뉴에 대한 재 선택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더욱 간편한 USSD 방식의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Figure R1020070093417
USSD, 대화형 서비스, USSD-STRING, MMI 스트링

Description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을 이용한 대화형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service using unstructured supplementary data procotol, mobile terminal and interactive service dervice thereof}
본 발명은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이하 ‘USSD’라 기술함) 프로토콜을 이용한 대화형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메뉴 화면이 순차적으로 활성화되는 대화형 서비스를 USSD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USSD는 SMS(Short Message Service) 서비스에서와 같이 시그널링 채널(Signaling Channel)을 사용하는 점에서 유사하나, USSD는 SMS 서비스와는 달리 저장후 전송 방식이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처럼 통신 경로 설정/해제 방식으로 SMS 에 비해 전송 속도가 최대 7배 정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USSD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간단한 USSD 명령어를 입력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러한 USSD 기술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양한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USSD 서비스는 SMS 서비스와 같이 저장후 전송 방식이 아니므로 전송에 대한 신뢰성을 얻지 못하며 재전송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있지 않으므로 USSD 서비스 도중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USSD 서비스를 이용하여 대화형 메뉴 선택 방식의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USSD 서비스 접속이 끊겨 새로이 접속하게 되면 이전의 대화형 메뉴 선택 정보를 다시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이전 선택 정보를 유지하여 동일한 메뉴에 대한 재 선택을 방지하는 USSD를 이용한 대화형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대화형 서비스 제공 방법은,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한 서비스 코드에 상응하는 대화형 서비스가 이전에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서비스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대화형 서비스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서비스인 경우, 상기 대화형 서비스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시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코드 및 상기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시점 이전에 제공받은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대화형 서비스 접속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시점에 제공받은 대화형 서비스의 메뉴 다음의 메뉴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한 서비스 코드에 상응하는 대화형 서비스의 비정상 종료 여부에 따른 대화형 서비스의 요청 및 응답 처리를 수행하는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 처리부; 및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비정상 종료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대화형 서비스가 비정상 종료된 경우 상기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 처리부를 통하여 비정상 종료된 시점 이후의 상기 대화형 서비스를 요청하여 제공받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제어 모듈; 및 상기 대화형 서비스가 비정상 종료된 경우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시점 이전에 제공받은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 및 상기 서비스 코드가 포함된 대화형 서비스 접속 요청을 전송하여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시점에 제공받은 대화형 서비스의 메뉴 다음의 메뉴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상기 대화형 서비스가 정상 종료된 경우 상기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 처리부를 통하여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처음 서비스 정보를 요청하는 추출 제어 모듈 을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는,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신되는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접속 요청에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비정상적 종료 시점에 대한 정보의 포함 유무를 확인하는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 처리부; 및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비정상적 종료 시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이전 메뉴 다음의 메뉴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비정상적 종료 시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처음 메뉴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한 정보를 상기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 처리부로 전달하는 서비스 처리부를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이전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유지하여 동일한 메뉴에 대한 재선택을 방지하므로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대화형 서비스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더라도 재접속시 이후의 메뉴부터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더욱 간편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 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SD를 이용한 대화형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대화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100), 통신망(200) 및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300)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3GPP의 규격에 정의된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통상적인 이동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 MBS(Mobile Broadcast System) 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통신망(200)을 통해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300) 와 연결되어 USSD(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방식의 대화형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대화형 서비스의 비정상적인 종료 후 재 접속하는 경우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시점 이후의 대화형 서비스의 접속을 요청한다.
여기서, USSD 방식의 대화형 서비스는 서비스 요청, 대화형 메뉴 항목으로 구성되는 서비스 정보 및 대화형 메뉴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 등을 USSD 명령어를 통해 송신하고 수신하는 방식의 서비스를 의미한다.
통신망(2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300)를 연결하며, 이동통신 교환기(220) 및 홈 위치 등록기(240)를 포함할 수 있다. 홈 위치 등록기(24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호 처리, 이동성 정보 및 각종 부가서비스 정보를 각각 관리하는 수단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300) 간의 USSD 트랜잭션(transaction) 설정을 제어한다. 이때, 이동통신 교환기(220) 및 홈 위치 등록기(240)의 각각의 장치에서 수행되는 처리 내용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유추할 만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순차적인 메뉴 항목으로 구성된 대화형 서비스를 USSD 방식을 통해 제공한다.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이전 선택 정보가 포함된 서비스 접속 요청이 수신되면 이전 항목 다음의 항목 정보부터 순차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 다.
도 2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입력부(110), 표시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및 USSD 프로토콜 처리부(15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다수의 숫자 키 및 다수의 기능 키로 된 키패드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서비스 코드’를 입력하거나 또는 대화형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할 때 그에 상응하는 키 신호를 발생한다.
표시부(120)는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대화형 서비스 데이터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제어부(130)는 입력부(110)와 연결되어 입력부(110)로부터‘서비스 코드’또는‘선택 정보’입력에 따른 키 신호를 전달받는다. 또한, 표시부(120)와 연결되어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USSD 방식의 대화형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표시부(120)를 통하여 출력한다.
여기서,‘서비스 코드’는 특정 USSD 방식의 대화형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해 이동통신 사업자에 의해 지정된 코드를 말한다.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입력한 서비스 코드에 상응하는 대화형 서비스의 비정상적 종료 여부의 판단, 대화형 서비스의 비정상 종료 시점에 대한 정보 확인 및 비정상 종료 시점 이전에 제공받은 대화형 서비스에 대한 선택 정보의 저장을 제어한다.
여기서, 비정상 종료 시점에 대한 정보는 대화형 서비스의 이전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를 포함한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대화형 서비스의 이전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저장한다.
USSD 프로토콜 처리부(150)는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300)와 연결되어 USSD 프로토콜을 이용한 대화형 서비스 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한다.
USSD 프로토콜 처리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서비스 코드에 상응하는 대화형 서비스의 비정상적인 종료 여부에 따라 서비스 코드 및 대화형 서비스의 이전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를 포함시킨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이전 메뉴 다음의 메뉴 정보를 수신한다. 또는, 서비스 코드 만을 포함한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통해 대화형 서비스의 처음 메뉴 정보를 수신한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저장 제어 모듈(132) 및 추출 제어 모듈(134)을 포함한다.
저장 제어 모듈(132)은 입력부(110)로부터 전달받은 대화형 서비스의 메뉴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이때, 저장 제어 모듈(132)은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임시 저장하고 대화형 서비스 비정상적으로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임시 저장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비정상적으로 종료한 경우에는 임시 저장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의 저장 상태를 유지한다.
추출 제어 모듈(134)은 서비스 코드에 상응하는 대화형 서비스의 비정상적인 종료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비정상적으로 종료한 경우 저장부(140)에 저장 된 이전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정보를 USSD 프로토콜 처리부(150)로 전달한다.
추출 제어 모듈(134)은 이전 대화형 서비스의 연속 제공 여부에 관한 사용자 응답을 요구하는 질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추출 제어 모듈(134)은 사용자 응답이 대화형 서비스의 연속 제공 요청인 경우 이전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추출한다. 추출 제어 모듈(134)은 사용자 응답이 대화형 서비스의 연속 제공 요청이 아닌 경우 이전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추출하지 않는다.
도 4는 도 2의 USSD 프로토콜 처리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따르면, USSD 프로토콜 처리부(150)는 메시지 생성부(152), 송신 처리부(154) 및 수신 처리부(156)를 포함한다.
메시지 생성부(152)는 제어부(130)로부터 전달받은 서비스 코드 및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시점 즉 이전 메뉴에 대한 사용자 선택 정보를 포함한 USSD 메시지를 생성한다. 또는 제어부(130)로부터 전달받은 서비스 코드를 포함하는 USSD 메시지를 생성한다.
메시지 생성부(152)는 그 세부적인 기능에 따라 스트링 생성 모듈(152a) 및 메시지 생성 모듈(152b)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링 생성 모듈(152a)은 이전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 및 서비스 코드로 구성되는 MMI(Man Machine Interface) 스트링을 생성하거나 또는 서비스 코드만으로 구성되는 MMI 스트링을 생성한다.
MMI 스트링은 먼저‘*’,‘#’,‘**’,‘##’,‘*#’중의 하나로 시작한다. 다음,‘10 ~ 19’또는‘100~199’중에서 하나의 값인 특정‘서비스 코드’가 온다. 다음,‘0’개 이상의 임의의 길이의 숫자열 파라메터가 올 수 있다. 이때, 해당 숫자열을 구분하기 위해서‘*’가 사용된다. 마지막으로,‘#’가 오면서 MMI 스트링은 끝난다.
메시지 생성 모듈(152b)은 스트링 생성 모듈(152a)이 생성한 MMI 스트링을 USSD 메시지의 “USSD-STRING” 필드에 삽입한다.
송신 처리부(154)는 메시지 생성부(152)가 생성한 USSD 메시지를 시그널링 채널을 통해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 전송한다.
수신 처리부(156)는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USSD 방식의 대화형 서비스 관련 정보 즉 대화형 메뉴 항목 정보, 부가 정보 등이 포함된 USSD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할당된 시그널링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한 USSD 메시지에 포함된 USSD 방식의 대화형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여기서, USSD 프로토콜 처리부(150)는 USSD 서비스의‘REGISTER’,‘REQUEST’,‘NOTIFY’,‘FACILITY’,‘RELEASE COMPLETE’메시지를 이용하여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한다.
‘REGISTER’메시지는‘서비스 코드’가 입력된 경우 해당 대화형 서비스의 접속 요청을 위해 사용된다. 즉 대화형 서비스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경우의‘REGISTER’메시지는 이전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가‘USSD-STRING’ 필드에 삽입되어 전송된다.
‘FACILITY’ 메시지는 USSD 트랜잭션이 설정된 후, 상호 간에 요청 및 응답을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요청(‘REQUEST’메시지 또는‘NOTIFY’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위한 메시지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REQUEST’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가 포함되어 전송되고,‘NOTIFY’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에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 없이‘USSD-STRING’필드가 빈 상태로 전달된다.
‘RELEASE COMPLETE’메시지는 설정된 USSD 트랜잭션을 해제하는데 사용된다. 즉 제공되는 서비스가 종료되는 경우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300)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종료키를 누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전송하도록 매핑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에 따르면,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USSD 프로토콜 처리부(320), 서비스 처리부(340) 및 데이터베이스(360)를 포함한다.
USSD 프로토콜 처리부(3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USSD 방식의 대화형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처리한다.
USSD 프로토콜 처리부(3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USSD 메시지를 분석하여 USSD 메시지 내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하여 서비스 처리부(340)로 전달한다. 이때, USSD 메시지의 “USSD-STRING” 필드에 포함된 서비스 코드 및 이전 대화형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USSD 프로토콜 처리부(320)는 서비스 처리부(340)로부터 전달되는 대화형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USSD 메시지에 포함시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서비스 처리부(340)는 USSD 프로토콜 처리부(32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대화형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360)로부터 추출하여 USSD 프로토콜 처리부(320)에 제공한다.
서비스 처리부(340)는 USSD 프로토콜 처리부(320)로부터 이전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가 전달되면, 이전 메뉴 다음의 메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60)로부터 추출하여 USSD 프로토콜 처리부(320)에게 제공한다. 이때, 이전 대화형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가 전달되지 않은 경우 대화형 서비스의 처음 메뉴 정보를 추출하여 USSD 프로토콜 처리부(320)에게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36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메뉴 화면이 순차적으로 활성화되는 대화형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도 6은 도 5의 USSD 프로토콜 처리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에 따르면, USSD 프로토콜 처리부(320)는 수신 모듈(322), 분석 모듈(324) 및 송신 모듈(326)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322)은 대화형 서비스 접속을 요청하는 USSD 메시지를 수신한다.
분석 모듈(324)은 수신 모듈(322)이 수신한 USSD 메시지의 ‘USSD-STRING’ 필드에 이전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가 포함되었는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확인 결과를 서비스 처리부(340)에 전달한다.
송신 모듈(326)은 서비스 처리부(340)로부터 전달받은 추출한 정보를 포함한 대화형 서비스에 대한 접속 응답을 위한 USSD 메시지를 송신한다. ‘USSD-STRING’ 필드에 이전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의 포함 유무에 따라 이전 메뉴 다음의 메뉴 정보 또는 대화형 서비스의 처음 메뉴 정보가 삽입되어 송신된다.
이제, 이상 설명한 이동통신 단말기(100) 및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구성을 토대로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로서, 이동통신 단말기(100) 및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300) 간의 데이터 송/수신 흐름을 보인 것이다.
도 7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도 1의 100)는 서비스 코드가 입력(S101)되면 입력된 서비스 코드에 상응하는 서비스가 비정상 종료된 서비스인지 판단한다(S103).
S103 단계의 판단 결과, 비정상 종료된 서비스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입력된 서비스 코드와 더불어 저장된 이전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USSD 접속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S105).
또는 S103 단계의 판단 결과, 비정상 종료된 서비스가 아닌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입력된 서비스 코드가 포함된 USSD 접속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S107).
이때, S105 단계 또는 S107 단계에서 송신된 USSD 접속 요청 메시지는 통신망(도 1의 200)을 통해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도 1의 300)로 전달된다. 통신망(2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USSD 접속 요 청 메시지에 포함된 서비스 코드를 확인하여 해당 USSD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300)를 판별한다.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도 1의 300)는 S105 단계 또는 S107 단계를 통해 수신한 USSD 접속 요청 메시지의 ‘USSD-STRING’ 필드를 확인한다(S109).
S109 단계의 확인 결과, ‘USSD-STRING’ 필드에 이전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가 포함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11).
S111 단계의 판단 결과, 이전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이전 메뉴 다음의 메뉴 정보를 포함하는 USSD 접속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S113).
또한, S113 단계의 판단 결과 이전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처음 메뉴 정보를 포함하는 USSD 서비스 접속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S115).
S113 단계 또는 S115 단계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300) 간에 USSD 트랜잭션이 설정된다(S117).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S113 단계 또는 S115 단계에서 수신한 메뉴 정보대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선택 정보를 저장한다(S119).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S119 단계를 통해 입력된 선택 정보가 포함된 USSD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USSD 서비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USSD 방식의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한다(S121, S123).
이후, 대화형 서비스가 완료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종료키를 누른 경우 이 동통신 단말기(100)와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300) 간에 USSD 접속 해제 완료 메시지를 교환하여 S117 단계에서 설정된 USSD 트랜잭션을 해제한다(S125).
이때, USSD 트랜잭션의 해제는 네트워크 상의 장애 발생 등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사유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도 1의 100)가 USSD 방식의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련의 처리 과정을 상세히 보인 순서도이다.
도 8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서비스 코드가 입력(S201)되면 비정상적 종료 내역을 확인(S203)하여 S201 단계에서 입력된 서비스 코드에 상응하는 서비스의 비정상 종료 여부를 판단한다(S205)
S205 단계의 판단 결과,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경우 이전 서비스에 연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것인지 또는 서비스의 처음부터 제공받을 것인지를 질의하는 화면을 출력한다(S207).
S207 단계에서 출력한 질의 화면 내용에 대한 사용자 응답이 이전 서비스 의 연속 제공 요청인지를 판단한다(S209).
S209 단계의 판단 결과, 사용자 응답이 이전 서비스 연속 제공 요청인 경우 저장된 이전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추출한다(S211).
S211 단계에서 추출한 이전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를 USSD 접속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한다(S213). 여기서, 추출한 이전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는 USSD 접속 요청 메시지의 ‘USSD-STRING’ 필드에 삽입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 2 내지 도 6의 설명을 참조한다.
그러면, 이전 메뉴 다음의 메뉴 정보가 포함된 USSD 접속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S215).
한편, S205 단계의 판단 결과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은 경우이거나 또는 S209 단계의 판단 결과 사용자 응답이 이전 서비스 연속 제공 요청이 아닌 경우, S201 단계에서 입력된 서비스 코드를 포함하는 서비스 접속 요청을 송신한다(S217).
그러면, 대화형 서비스의 처음 메뉴 정보가 포함된 USSD 접속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S219).
다음, S215 단계 또는 S219 단계에서 수신한 USSD 접속 응답 메시지의 ‘USSD-STRING’ 필드에 포함된 텍스트를 출력한다(S221).
S221 단계에서 출력한 텍스트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가 입력(S223)되면 입력받은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임시 저장한다(S225).
입력받은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USSD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S227)하고 USSD 서비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S229).
서비스가 종료되지 않는 한 S221 단계 내지 S231 단계는 반복된다.
서비스가 종료된 경우, 서비스의 종료 사유가 비정상적 종료인 지를 판단한다(S233).
S233 단계의 판단 결과 비정상적 종료가 아닌 경우에는 S225 단계에서 임시 저장된 사용자의 선택 정보는 삭제한다(S235).
반면, S233 단계의 판단 결과 비정상적 종료인 경우에는 S225 단계에서 임시 저장된 사용자의 선택 정보는 저장 상태를 유지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SD 방식의 설문 조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현예를 보인 것으로, (a), (b), (c)는 설문 조사 서비스의 순차적인 화면 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 9(a)에 따르면, 사용자가 설문 조사 서비스에 해당하는 서비스 코드‘*100#’를 입력하는 화면 예를 보인 것이다.
도 9(b)에 따르면,‘*100#’의 서비스 코드에 상응하는 설문 조사 서비스가 이전에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경우, 사용자 선택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할 것인지를 질의하는 화면을 출력한 것이다.
이때, 사용자 응답으로‘① 예’가 선택되면 서비스 코드와 더불어 사용자 선택 히스토리 정보가 포함되어‘*100*1*3*4*2*1*4#‘가 설문 조사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달되어 서비스 접속 요청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100#은 설문 조사 서비스 코드를 의미하고 1, 3, 4, 2, 1, 4는 각각 1번 내지 6번 설문 항목에 대해 이전에 선택된 사용자 선택 정보이며 각각의 사용자 선택 정보는 *로 구분되어 있다.
도 9(c)에 따르면, 도 9(b)에서 출력된 질의 화면에서 사용자 응답으로‘① 예’를 선택한 경우 이전에 선택한 메뉴 다음(즉 7번 문항)의 설문 항목을 수신하여 출력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USSD 프로토콜 처리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USSD 프로토콜 처리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서비스 제공 방법의 세부적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SD 방식의 설문 조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현예를 보인 것이다.

Claims (21)

  1.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한 서비스 코드에 상응하는 대화형 서비스가 이전에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서비스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대화형 서비스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서비스인 경우, 상기 대화형 서비스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시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코드 및 상기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시점 이전에 제공받은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대화형 서비스 접속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시점에 제공받은 대화형 서비스의 메뉴 다음의 메뉴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대화형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형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종료된 서비스인 경우,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처음 서비스 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대화형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시점 이전에 제공받은 상기 대화형 서비스에 대한 선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대화형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형 서비스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임시 저장하는 단계;
    상기 대화형 서비스가 비정상 종료하는 경우, 임시 저장한 상기 선택 정보의 저장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대화형 서비스가 정상 종료하는 경우, 임시 저장한 상기 선택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대화형 서비스 제공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된 시점 이후의 대화형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시점 이전에 제공받은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한 상기 선택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서비스 코드를 토대로 MMI (Man Machine Interface) 스트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MMI 스트링을 ‘USSD-STRING’ 필드에 삽입하여 상기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시점 이후의 상기 대화형 서비스를 요청하는 비구조적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한 상기 비구조적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대화형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MMI 스트링을 생성하는 단계는,
    ‘*’또는‘#’로 시작하는 하나 이상의 문자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상기 사 용자가 입력한 서비스 코드를 부가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코드 다음에‘*’를 이용하여 서로 구분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한 상기 선택 정보를 부가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정보 다음에‘#’를 생성하여 상기 MMI 스트링 생성을 완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대화형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시점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시점 이전에 제공받은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연속 제공 여부에 관한 사용자 응답을 요구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응답이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연속 제공 요청인 경우, 상기 대화형 서비스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시점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응답이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연속 제공 거절인 경우,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처음 서비스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대화형 서비스 제공 방법.
  10.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한 서비스 코드에 상응하는 대화형 서비스의 비정상 종료 여부에 따른 대화형 서비스의 요청 및 응답 처리를 수행하는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 처리부; 및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비정상 종료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대화형 서비스가 비정상 종료된 경우 상기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 처리부를 통하여 비정상 종료된 시점 이후의 상기 대화형 서비스를 요청하여 제공받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제어 모듈; 및
    상기 대화형 서비스가 비정상 종료된 경우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시점 이전에 제공받은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 및 상기 서비스 코드가 포함된 대화형 서비스 접속 요청을 전송하여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시점에 제공받은 대화형 서비스의 메뉴 다음의 메뉴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상기 대화형 서비스가 정상 종료된 경우 상기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 처리부를 통하여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처음 서비스 정보를 요청하는 추출 제어 모듈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시점 이전에 제공받은 상기 대화형 서비스에 대한 선택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제어 모듈은,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메뉴에 대한 사용자 선택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임시 저장하고 상기 대화형 서비스가 비정상적으로 종료한 경우 임시 저장한 상기 사용자 선택 정보의 저장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대화형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종료된 경우 임시 저장한 상기 사용자 선택 정보를 삭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제어 모듈은,
    상기 대화형 서비스가 비정상 종료된 경우 비정상적으로 종료되기 이전에 제공받은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연속 제공 여부에 관한 사용자 응답을 요구하는 질의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응답이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연속 제공 요청인 경우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이전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추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5. 제10항, 제11항, 제13항 또는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 처리부는,
    상기 서비스 코드 및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시점 이전에 제공받은 상기 대화형 서비스에 대한 선택 정보를 포함한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서비스 코드를 포함하는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 상기 메시지 생성부가 생성한 상기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시점 이후의 상기 대화형 서비스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처음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 처리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또는‘#’로 시작하여‘#’로 끝나는 하나 이상의 문자들의 조합 및‘*’에 의해 서로 구분되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서비스 코드 및 상기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시점 이전에 제공받은 하나 이상의 상기 대화형 서비스에 대한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MMI(Man Machine Interface) 스트링을 생성하는 스트링 생성 모듈; 및
    상기 스트링 생성 모듈이 생성한 상기 MMI 스트링을 ‘USSD-STRING’ 필드에 삽입한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 모듈
    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7.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신되는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접속 요청에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비정상적 종료 시점에 대한 정보의 포함 유무를 확인하는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 처리부; 및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비정상적 종료 시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이전 메뉴 다음의 메뉴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비정상적 종료 시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처음 메뉴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한 정보를 상기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 처리부로 전달하는 서비스 처리부
    를 포함하는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비정상 종료 시점에 대한 정보는,
    상기 대화형 서비스의 이전 메뉴에 대한 선택 정보인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
  19. 삭제
  20.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 처리부는,
    상기 대화형 서비스에 대한 접속 요청을 위한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수신한 상기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 메시지의 ‘USSD-STRING’필드에 상기 비정상적 종료 시점에 대한 정보의 포함 유무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상기 서비스 처리부에 전달하는 분석 모듈; 및
    상기 서비스 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추출한 정보를 포함한 상기 대화형 서비스에 대한 접속 응답을 위한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
    을 포함하는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모듈은,
    상기‘USSD-STRING’필드에‘*’또는‘#’로 시작하여‘#’로 끝나는 하나 이상의 문자들의 조합 및‘*’에 의해 서로 구분되는 사용자가 입력한 서비스 코드 및 상기 비정상적 종료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MMI(Man Machine Interface)의 삽입 유무를 분석하는 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070093417A 2007-09-14 2007-09-14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을 이용한 대화형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 KR100922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417A KR100922002B1 (ko) 2007-09-14 2007-09-14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을 이용한 대화형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417A KR100922002B1 (ko) 2007-09-14 2007-09-14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을 이용한 대화형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103A KR20090028103A (ko) 2009-03-18
KR100922002B1 true KR100922002B1 (ko) 2009-10-14

Family

ID=40695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417A KR100922002B1 (ko) 2007-09-14 2007-09-14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을 이용한 대화형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20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8342A (ko) * 2004-04-06 2005-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에 데이터 동기화 시 비정상 종료된경우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60127289A (ko) * 2005-06-07 2006-12-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Ussd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11811A (ko) * 2005-07-21 2007-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콘텐츠 서비스의 북마크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8342A (ko) * 2004-04-06 2005-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에 데이터 동기화 시 비정상 종료된경우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60127289A (ko) * 2005-06-07 2006-12-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Ussd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11811A (ko) * 2005-07-21 2007-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콘텐츠 서비스의 북마크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103A (ko)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3958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voice verification
CN111274131A (zh) 接口测试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873021B (zh) 信息交互方法及装置
KR102331592B1 (ko) 보이는 ars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7229638A (zh) 一种文本信息处理方法及装置
EP1342355B1 (fr) Procede d'acheminement de messages electroniques
CN103237295A (zh) 显示电子消息的方法和移动终端
CN101022632A (zh) 一种消息监控方法和装置
US911904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mote communic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CN105376636B (zh) 填写验证码的方法、辅助方法、智能电视及智能移动终端
US6167429A (en) Service access using limited set of characters
US20140018054A1 (en) System for providing ars interlocking data using ring data and method thereof
US9628968B2 (en) Driver notification
KR100922002B1 (ko) 비구조형 부가서비스 데이터 프로토콜을 이용한 대화형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대화형 서비스 제공 장치
US10826997B2 (en) Device linking method
CN107872688A (zh) 一种电视机功能项的授权数据统计方法及系统
KR101911649B1 (ko) 간편 결제 방법 및 시스템
CN113420205B (zh) 分享来源帐号的确定方法、装置、终端设备及服务器
KR100843725B1 (ko) 웹페이지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84068B1 (ko)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통화 대기음 변경 방법과 이를 위한통화 대기음 제공 시스템
CN114205325A (zh) 消息发送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CN106936840B (zh) 一种信息提示方法及装置
KR100871156B1 (ko) 핫키를 통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06453810B (zh) 信息管理方法、装置及终端
CN104580070A (zh) 网络会话确认方法、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908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0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0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