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21906B1 -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 - Google Patents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906B1
KR100921906B1 KR1020090021141A KR20090021141A KR100921906B1 KR 100921906 B1 KR100921906 B1 KR 100921906B1 KR 1020090021141 A KR1020090021141 A KR 1020090021141A KR 20090021141 A KR20090021141 A KR 20090021141A KR 100921906 B1 KR100921906 B1 KR 100921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er
burner
housing
waste fuel
mo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세욱
Original Assignee
(주) 피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피앤테크 filed Critical (주) 피앤테크
Priority to KR1020090021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90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40/00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B40/02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the fuel being fed by scattering over the fuel-supporting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30/00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agitating the burning fuel; 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advancing the burning fuel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 F23B30/02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agitating the burning fuel; 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advancing the burning fuel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with movable, e.g. vibratable, fuel-supporting surfaces; with fuel-supporting surfaces that have movable parts
    • F23B30/06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agitating the burning fuel; 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advancing the burning fuel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with movable, e.g. vibratable, fuel-supporting surfaces; with fuel-supporting surfaces that have movable parts with fuel supporting surfaces that are specially adapted for advancing fuel through the combustion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700/00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F23B2700/003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adapted for use in water-tube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700/00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F23B2700/037Burners for solid or solidified fuel, e.g. metaldehyde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 폐비닐 등으로 만든 펠릿이나 건축용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원목을 연소하기 쉬운 칩 형태로 만든 우드칩을 연료로 하는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 상기 모터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기화실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측에 폐연료가 투입되도록 고정되는 호퍼, 상기 폐연료가 이동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와 동시에 회전되도록 상기 스크류 선단에 고정되는 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대용량의 산업용 보일러에만 사용되던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를 소형화하여 가정, 식당 등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Figure R1020090021141
하우징, 기화실, 스크류, 히터봉, 콘, 격벽, 펠릿, 우드칩, 버너

Description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THE BOILER BURNER WHICH USES THE SOLID FUEL}
본 발명은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에 관한 것으로, 폐플라스틱, 폐비닐 등으로 만든 펠릿이나 건축용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원목을 연소하기 쉬운 칩 형태로 만든 우드칩을 연료로 하는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은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그 폐해가 현실화되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폐기물 처리 기술 및 오염 방지 기술과 정책이 제시되고 있다.
최근 들어 일상생활에서 타이어, 비닐, 플라스틱 합성 수지 등은 그 사용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특히 비닐은 농촌에서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각종 농업 자재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가구를 제조하는 공장이나 건물을 세우기 위한 기초 골조로 사용되는 원목은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비닐, 플라스틱 합성수지와 같이 폐기물로 분류되어 매립되거나 소각 처리되고 있다.
이러한 폐기물을 매립하는 방법은 매립지 확보가 어렵고, 매립된 폐기물이 잘 썩지 않아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키며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야기되어 폐비닐이나 폐수지들의 재활용 방안을 연구하거나 아예 소각처리하고 있다.
상기 폐기물 소각은 폐기물을 불에 태워 고온 산화시키는 폐기물 처리방법으로서, 이 경우 가연성 쓰레기를 분리 수거하여 소각장으로 운반하여야 하므로 수거 비용 및 물류 비용이 상당하고, 이때 소각을 돕는 보조연소장치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보조연료비용이 추가된다.
또한, 폐기물에 일부 포함된 폐석유화학제품은 젖은 쓰레기 등의 영향으로 완전 연소를 위해 매우 높은 온도가 필요하다. 폐기물의 가열 온도가 완전 연소를 위한 고온까지 올리지 못하는 경우 불완전 연소에 의해 많은 유해물질(염화수소, 염소 불화수소, 불화규소, 질소화합물, 황산화합물, 일산화탄소, 다이옥신 등)이 발생된다.
이러한 유해물질은 식품, 피부접촉, 대기, 음용수 및 토양 등의 매개체를 통하여 인간의 건강과 자연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다이옥신은 인체에 흡수되면 거의 배출되지 않고 체내에 축적되어 암을 유발하거나 환경호르몬(내분비 교란물질)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어 후대까지 악영향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다이옥신 배출이 우려되는 각종 시설물의 안전성과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폐기물을 소각시 연료로 주로 사용되는 기름은 환경을 오염시키고, 최근 유류비 상승으로 인해 경제적으로도 비효율인 문제가 있다.
그러나, 소각 방법 이외에 더욱 효과적인 대안이 없는 실정이므로 다이옥신이나 유해물질의 배출을 최소화시키고 경제적으로도 효율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에 의하여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440997호에 '폐플라스틱 분열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폐플라스틱 분열기는 폐플라스틱을 소립자화한 펠릿이 투입되는 호퍼(110),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상기 호퍼(110)와 결합된 하우징(160), 상기 하우징(160) 내부의 빈 공간으로서 상기 호퍼(110)로 투입된 상기 펠릿이 기화되는 기화실(12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기화실(120)에 위치하며 상기 호퍼(110)로 투입된 상기 펠릿을 상기 기 화실(120)로 이송시키기 위해 모터(131)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130), 상기 기화실(120)과 연결되고 상기 펠릿의 연소에 의한 고온의 열기가 분사되는 분사구(170), 상기 하우징(160)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고, 그 길이 방향으로 3가지 온도분포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3가지 온도분포는 상기 호퍼(110) 측으로부터 상기 분사구(170) 측으로 점진적으로 온도가 증가하는 다수의 히터봉(140) 및 상기 펠릿의 완전 연소를 위해 상기 분사구(170)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관(150)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폐플라스틱 분열기는 스크류에 의해 펠릿이 이동되면서 용융 및 기화되어 연소 되는 방식으로 폐비닐이나 폐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펠릿 연료로서는 사용이 가능하나, 원목으로 이루어진 폐기물인 우드칩을 연료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고 상기 펠릿을 기화시키기 위한 하우징의 크기가 대형으로 이루어져 좁은 공간에 설치되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가 갖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펠릿이나 우드칩과 같은 폐연료를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 하게 하고,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 가능하게 하여 활용범위가 가정, 식당 등과 같이 설치장소가 좁은 곳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징에 투입된 펠릿, 우드칩 등이 기화실에서 기화될 때 회전하는 콘에 의하여 교반되면서 기화되도록 하여 연소 효율을 향상시키고, 상기 기화실에서 발생한 열을 손실 없이 멀리 방사하도록 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콘 내부에 와류돌기를 형성하여 펠릿, 우드칩의 교반을 유도하고, 상기 와류돌기를 단속적으로 형성하여 와류돌기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교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 상기 모터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기화실 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측에 펠릿이 투입되도록 고정되는 호퍼, 상기 펠릿이 이동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와 동시에 회전되도록 상기 스크류 선단에 고정되는 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와류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 일측에는 상기 기화실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공기흡입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공기흡입모터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에는 중심을 향해 경사진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벽은 일직선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벽은 원호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벽에는 경사진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의 외측에는 격벽으로부터 기화실 쪽으로 연장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류돌기는 상기 콘의 분출구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 및 하우징 하측에는 상기 모터 및 하우징을 받치는 슬라이딩 베이스가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딩 베이스 하측에는 레일이 설치된 베이스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 베이스에는 상기 공기흡입모터와 연결되는 공기흡입덕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에는 다수의 히터봉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에는 상기 스크류에 고정되는 고정축과 상기 콘의 내주면에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이 일직선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 프레임은 중심을 향해 원호상으로 구부러져 있고, 상기 연결 프레임은 그 단면상 원호상으로 구부러져 있어 그 형태가 선풍기의 날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는 기화실 내부 일측에서 고압의 공기가 와류로 분출됨에 따라 펠릿의 이송 속도를 높여줌은 물론 기화실에서 발생된 화염이 길게 방사되게 하며, 콘의 내주면에 형성된 와류돌기에 의해 펠릿의 이송 속도가 더욱 증가됨과 함께 콘에서 발생된 화염이 분출구를 향해 더욱 길게 방사되게 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기화실에서 착화되어 연소되면서 콘에서 재차 연소가 이루어지므로 연소 효율이 높아지게 되고, 연소되는 시간이 길어져 펠릿이 완전 연소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의 콘을 도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의 격벽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5는 제1실시예에 의한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의 콘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10)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20), 상기 모터(20) 일측에 설치되는 하우징(30), 상기 하우징(30)의 상부에 고정되는 호퍼(40), 상기 하우징(30) 내부에 상기 모터(20)의 구동으로 회전되는 스크류(50), 상기 스크류(50) 선단에 스크류(50)와 동시에 회전되는 콘(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20)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통상의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 모터(20) 하측에는 모터(20)를 받치는 슬라이드 베이스(21)가 고정되어 있고, 슬라이드 베이스(21) 하측에는 베이스(22)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22)에는 레일(23)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레일(23)에는 슬라이드 베이스(21)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베이스(21)는 상기 하우징(30) 및 콘(60)을 보일러(미도시됨)의 화구(15)에 연결되거나 분리되도록 레일(23)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21) 상면에는 상기 모터(20) 일측에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의 하우징(30)이 고정되어 있다. 또 하우징(30)에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가열 되는 다수의 히터봉(31)이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히터봉(31)은 하우징(30)을 가열시킴으로써 하우징(30)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기화실(32)을 고온으로 가열시키게 된다.
또한 기화실(32)에는 상기 모터(20)의 구동으로 회전되는 스크류(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50)는 호퍼(40)를 통해 투입되는 펠릿을 콘(60) 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아울러 하우징(30) 상면에는 펠릿이 투입되는 호퍼(40)가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호퍼(40)는 펠릿이 일정량으로 투입되도록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게 형성되어 있다.
또 기화실(32)의 일측 즉, 모터(20)와 인접한 위치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공간을 갖도록 격벽(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격벽(33)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격벽(33)에는 기화실(32)을 향해 경사진 구멍(34)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베이스(21)에는 격벽(3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외부의 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공기흡입모터(35)가 설치되어 있고, 기화실(32)의 공 간과 공기흡입모터(35) 사이에는 연결관(36)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흡입모터(35)에는 슬라이드 베이스(21) 외측으로 공기흡입덕트(37)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50)는 모터(20)에 축(51)이 고정되어 있고, 축(51) 외측에는 나선상으로 형성된 날개(52)가 고정되어 있다.
또 축(51) 선단에는 스크류(50)와 함께 회전되는 콘(60)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콘(60)은 도3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출구의 직경이 작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내주면에는 다수의 와류돌기(6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와류돌기(61)는 콘(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그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와류돌기(61)는 기화실(32)에서 용융 및 기화된 펠릿의 이송을 원활하게 함은 물론 화염이 길게 방사되도록 하기 위하여 콘(60)의 입구에서 분출구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 콘(60) 내부에는 축(51)에 연결되도록 그 중앙에 원통형으로 된 고정축(62)이 형성되어 있고, 콘(60) 내주면과 고정축(62) 사이에는 연결 프레임(63)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연결 프레임(63)은 다수개가 고정되며, 도3 및 도5에서와 같이 일직선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10)는 전원을 인가시킴에 따라 모터(20)가 회전됨과 함께 공기흡입모터(35)도 회전된다.
이와 함께 호퍼(40)에는 펠릿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된 펠릿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며, 히터봉(31)은 인가된 전원에 의해 가열된다.
상기 호퍼(40)에 공급되는 펠릿은 하우징(30)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기화실(32)로 투입되고, 회전되는 스크류(50)에 의하여 도2의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송된다.
이렇게 기화실(32)은 펠릿이 공급되는 도중에 가열된 히터봉(31)에 의해 기화실(32)의 내부 온도가 고온으로 가열되고, 외부의 공기가 공기흡입모터(35)에 의해 기화실(32)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공기흡입모터(35)는 공기흡입덕트(37)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연결관(36)을 통해 기화실(32)로 보내게 되고, 격벽(33)에 의해 차단된 고압의 공 기는 구멍(34)을 통해 기화실(32)로 분출된다.
상기 구멍(34)을 통해 분출되는 공기는 경사진 구멍(34)을 통과하게 되므로, 와류 형태로 기화실(32)을 향해 고압으로 분출된다.
이러한 기화실(32)로 분출되는 공기는 스크류(50)에 의해 이송되는 펠릿의 이송 속도를 높여주게 된다.
상기 기화실(32)에서는 고온으로 가열된 펠릿이 용융 및 기화되면서 공급된 공기에 의해 착화가 이루어지게 되고, 화염이 발생하면서 펠릿이 연소 된다.
이때 기화실(32)에서 발생된 화염은 구멍(34)을 통해 고압의 공기가 분출됨에 따라 콘(60)을 향해 길게 방사된다.
또한 기화실(32)에서 미연소된 펠릿은 스크류(50)의 날개(52)에 의해 콘(60) 쪽으로 이동되며, 콘(60)에 도달된 펠릿은 회전되는 콘(60)의 와류돌기(61)에 의해 분출구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콘(60)으로 이동된 펠릿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와류돌기(61)에 의해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기화실(32)에서 방사되는 화염에 의해 연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콘(60)에서 연소되는 펠릿은 구멍(34)에서 분출되는 고압의 공기뿐만 아니라 와류돌기(61)에 의해 펠릿의 이송 속도가 빨라지면서 연소가 이루어지므로, 화염이 분출구를 향해 더욱 길게 방사된다.
따라서 기화실(32)에서 1차적인 연소가 이루어진 후 콘(60)에서 2차적인 연소가 이루어짐으로써 연소 효율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이때, 상기 콘(60)이 회전하면서 콘(60) 내부에 투입된 팰릿, 우드칩 등을 교반시킬 때 교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콘(60)의 내주면에 형성된 와류돌기(61)를 단속적으로 형성하여 와류돌기(61)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팰릿, 우드칩 등이 낙하하면서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콘(60) 내부에서 교반과 동시에 기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폐플라스틱 분열기의 크기를 소형화하면서도 높은 열 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되고, 상기 콘(60)이 회전하면서 내부에 투입된 팰릿, 우드칩의 위치를 바꿔주기 때문에 연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2실시예>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의 격벽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폐연료를 이용 한 보일러용 버너의 콘을 도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10a)는 격벽(33a)과 콘(60a)의 구조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다르고, 모터(20), 하우징(30), 호퍼(40), 스크류(5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격벽(33a)은 기화실(32) 내부에 콘(60a)을 향해 돌출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격벽(33a)에 형성되는 구멍(34a)은 기화실(32)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구멍(34a)의 외측에는 기화실(32)을 향해 연장돌기(34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콘(60a)에는 와류돌기(61a)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와류돌기(61a)는 분출구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콘(60a)의 일단은 입구 쪽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있으며, 분출구 쪽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콘(60a) 중앙에는 축(51)에 고정되도록 고정축(6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콘(60a)의 내주면과 고정축(62a) 사이에는 연결 프레임(63a)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연결 프레임(63a)은 내주면과 고정축(62a) 사이에 원호 형상으로 구부 러져 있고, 이를 단면상으로 보았을 때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형태가 대략 선풍기의 날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10a)는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 격벽(33a)과 콘(60a)을 중심으로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호퍼(40)에서 투입되는 펠릿은 스크류(50)에 의해 콘(60a) 쪽으로 이송되며, 공기흡입모터(35)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기화실(32) 내부에 고압으로 분출된다.
이때 구멍(34a)이 기화실(32)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출된 공기는 와류를 형성하게 되고, 더욱이 구멍(34a) 외측으로 돌출된 연장돌기(34b)가 형성되어 있어 공기의 분출 속도가 높아지게 됨은 물론 와류의 형성이 보다 격렬하게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된 와류는 펠릿의 이동을 원활하게 함은 물론 기화실(32)에서 발생되는 화염이 분출구를 향해 더 멀리 방사되게 한다.
또한 콘(60a)으로 이동되는 펠릿은 연결 프레임(63a)에 의해 그 이송 속도가 증가하게 되며, 이는 연결 프레임(63a)에 접촉되는 펠릿이 연결 프레임(63a)의 접 선 방향으로 빠르게 이동됨에 따라 콘(60a) 내부의 공간 확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기화실(32)에서 발생된 화염은 구멍(34a)을 통해 분출된 고압의 공기에 의해 기화실(32) 내부에서 발생된 화염이 보다 멀리 방사되고, 콘(60a)에서 발생되는 화염은 고압의 공기 및 펠릿의 이동에 따라 화염이 분출구를 향해 멀리 방사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설명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가 갖는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1은 종래의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의 콘을 도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의 격벽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의 콘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의 격벽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의 콘을 도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분열기 20: 모터
21: 슬라이드 베이스 22: 베이스
23: 레일
30: 하우징 31: 히터봉
32: 기화실 33: 격벽
34: 구멍 35: 공기흡입모터
36: 연결관 37: 공기흡입덕트
40: 호퍼 50: 스크류
51: 축 52: 날개
60: 콘 61: 와류돌기
62: 고정축 63: 연결 프레임

Claims (12)

  1.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20),
    상기 모터(20)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기화실(32)이 형성되는 하우징(30),
    상기 하우징(30) 상측에 펠릿이 투입되도록 고정되는 호퍼(40),
    상기 펠릿이 이동되도록 상기 하우징(30) 내부에 상기 모터(20)의 구동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50),
    상기 스크류(50)와 동시에 회전되도록 상기 스크류(50) 선단에 고정되는 콘(60)(60a)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콘(60)(60a)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와류돌기(61)(61a)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30) 일측에는 상기 기화실(32)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공기흡입모터(35)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30) 내부에는 상기 공기흡입모터(35)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격벽(33)(33a)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33)(33a)에는 하향으로 경사진 구멍(34)(3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33)은 일직선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33a)은 원호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33a)에 형성되는 구멍(34a)의 상부 외측에는 격벽(33a)으로부터 기화실(32) 쪽으로 연장돌기(34b)가 하향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
  7. 제 4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돌기(61a)는 상기 콘(60a)의 분출구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20) 및 하우징(30)의 하측에는 상기 모터(20) 및 하우징(30)을 받치는 슬라이드 베이스(21)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21)의 하측에는 레일(23)이 설치된 베이스(22)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21)는 상기 레일(23)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21)에는 상기 공기흡입모터(35)와 연결되는 공기흡입덕트(3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에는 다수의 히터봉(31)이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
  11. 제 1항,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60)(60a)의 내부에는 상기 스크류(50)에 연결 설치되는 고정축(62)(62a)과, 상기 고정축(62)(62a)과 콘(60)(60a)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 프레임(63)(63a)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63a)은 그 단면의 형상이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형태가 선풍기의 날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
KR1020090021141A 2009-03-12 2009-03-12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 Active KR100921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141A KR100921906B1 (ko) 2009-03-12 2009-03-12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141A KR100921906B1 (ko) 2009-03-12 2009-03-12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1906B1 true KR100921906B1 (ko) 2009-10-16

Family

ID=41561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141A Active KR100921906B1 (ko) 2009-03-12 2009-03-12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90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528B1 (ko) 2010-02-19 2010-10-29 강양곤 고체연료 연소장치를 갖는 고효율의 보일러 시스템
KR101058889B1 (ko) 2010-07-12 2011-08-23 한국비앤텍(주) 펠릿연료를 이용한 버너
KR101181464B1 (ko) 2012-04-23 2012-09-10 박철수 펠렛형태의 재활용 고형연료를 활용한 고효율 버너장치
KR101212069B1 (ko) * 2012-06-19 2012-12-13 박광현 펠릿 보일러의 연료 공급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911A (ko) * 2000-09-04 2002-03-09 김규한 연소통이 회전되는 고체 연료 연소버너
KR200440997Y1 (ko) * 2007-06-12 2008-07-16 (주) 화성파이프산업 폐플라스틱 분열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911A (ko) * 2000-09-04 2002-03-09 김규한 연소통이 회전되는 고체 연료 연소버너
KR200440997Y1 (ko) * 2007-06-12 2008-07-16 (주) 화성파이프산업 폐플라스틱 분열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528B1 (ko) 2010-02-19 2010-10-29 강양곤 고체연료 연소장치를 갖는 고효율의 보일러 시스템
KR101058889B1 (ko) 2010-07-12 2011-08-23 한국비앤텍(주) 펠릿연료를 이용한 버너
KR101181464B1 (ko) 2012-04-23 2012-09-10 박철수 펠렛형태의 재활용 고형연료를 활용한 고효율 버너장치
KR101212069B1 (ko) * 2012-06-19 2012-12-13 박광현 펠릿 보일러의 연료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1612B2 (ja) バーナ
KR100656093B1 (ko) 가연성 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소각장치 및 이를 활용한에너지 회수시스템
KR101604837B1 (ko) 다층 고온 열분해 소각 장치
JP2009162414A (ja) 燃焼炉
US20170268773A1 (en) Waste plastic solid fuel incinerator
KR100921906B1 (ko)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
KR20120110938A (ko) 보일러 시스템
KR100898175B1 (ko) 소각 보일러
KR101503298B1 (ko) 연소장치
KR20180085147A (ko) 비닐을 포함하는 폐기물의 건조 및 연소시스템
KR100917098B1 (ko) 고체연료 보일러용 연소장치
KR101113403B1 (ko) 폐기물 건류 소각 열회수장치
JP3151271U (ja) 乾燥バイオ燃料粉燃焼炉
KR100413188B1 (ko) 가연성 분체연료 연소기
KR101212112B1 (ko) 폐플라스틱 고체연료 가스보일러
KR101093408B1 (ko) 폐기물을 연료로 하는 연소장치
KR100766137B1 (ko)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생성된 분체 연료 연소 장치
KR200440997Y1 (ko) 폐플라스틱 분열기
KR101079853B1 (ko) 소각로
KR101049715B1 (ko) 열풍기
JP4794018B2 (ja) 固形燃料の燃焼装置
JP5322125B2 (ja) 粒状燃料用燃焼装置
KR101131928B1 (ko) 고체 연료 소각 보일러
KR200241215Y1 (ko) 농업용 폐비닐을 소각하여 열풍 또는 온수를 공급하는 장치
KR20250109803A (ko) 폐플라스틱 고체연료 가스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27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909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0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0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0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