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21046B1 - 차량용 에이비에스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전원공급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이비에스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전원공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046B1
KR100921046B1 KR1020070113308A KR20070113308A KR100921046B1 KR 100921046 B1 KR100921046 B1 KR 100921046B1 KR 1020070113308 A KR1020070113308 A KR 1020070113308A KR 20070113308 A KR20070113308 A KR 20070113308A KR 100921046 B1 KR100921046 B1 KR 100921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abs
unit
battery unit
batte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7248A (ko
Inventor
김종완
오세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3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046B1/ko
Priority to US12/082,200 priority patent/US8170766B2/en
Publication of KR20090047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04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01Braking or traction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B60T8/1708Braking or traction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orries or tractor-trailer combin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6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ICE-powered road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에이비에스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전원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작동키가 작동중이면 ABS작동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1배터리부의 전압과 제1배터리부에 직렬 연결된 제2배터리부의 전압을 비교하고, 제1배터리부의 전압이 제2배터리부의 전압보다 작으면 ABS작동부의 작동여부를 판단하여 ABS작동부가 작동중이면 제1배터리부에 전원을 충전하고, ABS작동부가 비작동이면 제1배터리부와 제2배터리부의 전압을 서로 밸런싱하는 차량용 에이비에스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전원공급방법을 제공한다.
알터네이터, 에이비에스, 작동키

Description

차량용 에이비에스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전원공급방법{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to ABS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에이비에스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전원공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24볼트용 전장부품을 사용하는 차량에 12볼트용 ABS의 적용이 가능한 차량용 에이비에스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전원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적당한 코너링 포스를 확보하여 조향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마찰 계수가 가장 큰 값을 얻을 수 있는 ABS가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마이티/카운티 상용차와 같은 차량의 경우, 24볼트용 전장부품이 사용함에 따라, 12볼트용 ABS를 이 차량에 적용하게 되면, 기존에 사용되었던 24볼트용 전장부품을 12볼트용 전장부품으로 신규 개발함에 따라,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12볼트용 ABS가 적용되는 차량에 전압을 변환시키기 위한 DC/DC컨버터를 사용하는 기술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V용 ABS를 24V 알터네이터(10)가 사용되는 차량에 적용하는 경우, 24V전압을 12V전압으로 변환시켜 ABS모터(40)에 전원 을 공급하기 위한 DC/DC컨버터(20)와, 소형 12V 배터리(30)가 추가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DC/DC컨버터를 신규 개발해야 하고, 별도로 보조 배터리가 추가된 전장 회로를 구성해야 하는 바, 제품의 중량 및 설치면에서 불리한 측면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24볼트용 전장부품을 사용하는 차량에 12볼트용 ABS가 적용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용 에이비에스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전원공급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이비에스의 전원공급방법은, 알터네이터의 24V전압을 12V전압으로 분배하여 ABS작동부에 공급하는 차량용 에이비에스의 전원공급방법에 있어서, 작동키의 작동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작동키가 작동중이면 상기 ABS작동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1배터리부의 전압과 상기 제1배터리부에 직렬 연결된 제2배터리부의 전압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제1배터리부의 전압이 상기 제2배터리부의 전압보다 작으면 ABS작동부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ABS작동부가 작동중이면 상기 제1배터리부에 전원을 충전하고, 상기 ABS작동부가 비작동이면 상기 제1배터리부와 제2배터리부의 전압을 서로 밸런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배터리부의 전압과 제2배터리부의 전압을 비교하는 단계 이후 에는, 제1배터리부의 전압이 제2배터리부의 전압보다 작거나 같으면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이비에스의 전원공급시스템은, ABS 작동을 위한 ABS작동부와,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교류 전원을 생성하는 알터네이터와, 상기 알터네이터에서 24V전압을 공급받는 분배제어부와, 상기 분배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ABS작동부에 12V전원을 공급하는 제1배터리부 및, 상기 제1배터리부의 전압과 밸런싱되도록 상기 제1배터리부에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는 제2배터리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분배제어부는, 상기 작동키가 작동중이면 상기 제1배터리부의 전압과 상기 제2배터리부의 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제1배터리부의 전압이 제2배터리부의 전압보다 작으면 상기 ABS작동부의 작동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ABS작동부가 작동중이면 상기 제1배터리부에 전원을 충전하고, 상기 ABS작동부가 비작동이면 상기 제1배터리부의 전압과 제2배터리부의 전압을 서로 밸런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24볼트용 전장부품을 사용하는 차량에 12볼트용 ABS가 적용이 가능하여, 12볼트용 ABS에 맞는 전장부품의 개발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 개의 배터리 사이의 전압 밸런싱을 통해,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이비에스의 전원공급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이비에스의 전원공급시스템은, ABS작동부(100)와,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24V 교류 전원을 생성하는 알터네이터(200)와, 상기 알터네이터(200)에서 공급받은 24V전원을 분배하기 위한 분배제어부(300)와, 상기 분배제어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배터리부(400)와, 상기 제1배터리부(400)에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는 제2배터리부(5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알터네이터(200)에는 차량의 전조등, 와이퍼, 다른 ECU와 같이 24V 부하가 사용하는 로드부(600)가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ABS작동부(100)는 차량의 조향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배터리부(400)에서 12V의 전원을 공급받아 ABS(anti-lock brake system)의 작동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따른 ABS작동부(100)는 12V ABS모터가 사용되며, 이러한 12V ABS모터의 구성은 ABS(anti-lock brake system) 작동을 위한 종래 ABS모터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ABS작동부(100)에 12V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1배터리부(400)는, 상기 ABS작동부(100)의 작동시 상기 분배제어부(3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제1배터리부(400)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어 상기 ABS작동부(100)의 비작동시 제2배터리부(500)와 밸런싱을 통한 충전이 가능하다.
상기 분배제어부(300)는 상기 알터네이터(200)와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어 24V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제1배터리부(400)와 제2배터리부(500)에 해당 전원을 선택적으로 분배한다.
즉, 상기 분배제어부(300)는, 작동키의 작동되면 제1배터리부(400)의 전압과 제2배터리부(500)의 전압을 비교하여 제1배터리부(400)의 전압이 제2배터리부(500)의 전압보다 작으면 ABS작동부(100)의 작동여부를 판단하고, 제1배터리부(400)의 전압이 제2배터리부(500)의 전압보다 작거나 같으면 대기 모드를 유지한다.
상기 제1배터리부(400)의 전압(V1)이 제2배터리부(500)의 전압(V2)보다 작은 경우, 상기 분배제어부(300)는 ABS작동부(100)가 작동중이면 제1배터리부(4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하고, ABS작동부(100)가 비작동이면 상기 제1배터리부(400)와 제2배터리부(500)의 전압을 서로 밸런싱(ballancing)시킴으로써, 상기 제1배터리부(400)의 전압과 제2배터리부(500)의 전압이 균형을 이루도록 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12V 배터리 두 개로 구성되는 종래 24V 배터리를 이용하므로, 별도 보조 배터리의 추가가 없게 되고, 제1배터리부(400)와 제2배터리부(500)를 수시로 밸런싱하여 배터리의 수명을 2배 정도 까지 연장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이비에스의 전원공급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이비에스의 전원공급방법은, 먼저 작동키의 작동여부를 확인하여 작동키가 "On"이면 제1배터리부의 전압과 제2배터리부의 전압을 상호 비교한다.
이때, 상기 제1배터리부의 전압(V1)이 제2배터리부의 전압(V2)보다 작으면 ABS작동부의 작동여부를 판단하고, 제1배터리부의 전압(V1)이 제2배터리부의 전압(V2)보다 작거나 같으면 대기 모드 상태를 유지한다.
계속하여, 상기 ABS작동부가 작동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1배터리부에 전원을 충전하고, 상기 ABS작동부가 비작동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1배터리부와 제2배터리부의 전압을 서로 밸런싱한다.
예컨대, 통상 작동키가 작동된 상태에서 분배제어부에는 27V 전압이 인가되는데, 이때, 상기 제1배터리부와 제2배터리부에는 27V 전압의 1/2인 13.5V의 전압이 충전되며, 상기 ABS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제1배터리부의 전압이 낮아진 경우 제1배터리부는 제2배터리부와 밸런싱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에이비에스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전원공급방법의 경우, 24볼트용 전장부품을 사용하는 차량에 12볼트용 ABS의 적용이 가능하고, 제1배터리부와 제2배터리부를 밸런싱하여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써, 12볼트용 ABS를 24볼트용 전장부품이 사용되던 차량에 적용하는 경우, 기존에 사용되었던 24볼트용 전장부품을 12볼트용 전장부품으로 신규 개발해야 한다는 종래 기술의 문제를 본 발명은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에이비에스의 전원공급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이비에스의 전원공급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이비에스의 전원공급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ABS작동부 200 :알터네이너
300 :분배제어부 400 :제1배터리부
500 :제2배터리부

Claims (4)

  1. 알터네이터의 24V전압을 12V전압으로 분배하여 ABS작동부에 공급하는 차량용 에이비에스의 전원공급방법에 있어서,
    작동키의 작동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작동키가 작동중이면 상기 ABS작동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1배터리부의 전압과 상기 제1배터리부에 직렬 연결된 제2배터리부의 전압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배터리부의 전압이 상기 제2배터리부의 전압보다 작으면 ABS작동부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ABS작동부가 작동중이면 상기 제1배터리부에 전원을 충전하고, 상기 ABS작동부가 비작동이면 상기 제1배터리부와 제2배터리부의 전압을 서로 밸런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이비에스의 전원공급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배터리부의 전압과 제2배터리부의 전압을 비교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제1배터리부의 전압이 상기 제2배터리부의 전압보다 작거나 같으면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이비에스의 전원공급방법.
  3. ABS 작동을 위한 ABS작동부(100);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교류 전원을 생성하는 알터네이터(200);
    상기 알터네이터(200)에서 24V전압을 공급받는 분배제어부(300);
    상기 분배제어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ABS작동부(100)에 12V전원을 공급하는 제1배터리부(400); 및
    상기 제1배터리부(400)의 전압과 밸런싱되도록 상기 제1배터리부(400)에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는 제2배터리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이비에스의 전원공급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분배제어부(300)는, 상기 작동키가 작동중이면 상기 제1배터리부(400)의 전압과 상기 제2배터리부(500)의 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제1배터리부(400)의 전압이 제2배터리부(500)의 전압보다 작으면 상기 ABS작동부(100)의 작동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ABS작동부(100)가 작동중이면 상기 제1배터리부(400)에 전원을 충전하고, 상기 ABS작동부(100)가 비작동이면 상기 제1배터리부(400)의 전압과 제2배터리부(500)의 전압을 서로 밸런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이비에스의 전원공급시스템.
KR1020070113308A 2007-11-07 2007-11-07 차량용 에이비에스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전원공급방법 Active KR100921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308A KR100921046B1 (ko) 2007-11-07 2007-11-07 차량용 에이비에스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전원공급방법
US12/082,200 US8170766B2 (en) 2007-11-07 2008-04-08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to ABS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308A KR100921046B1 (ko) 2007-11-07 2007-11-07 차량용 에이비에스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전원공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248A KR20090047248A (ko) 2009-05-12
KR100921046B1 true KR100921046B1 (ko) 2009-10-08

Family

ID=40589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308A Active KR100921046B1 (ko) 2007-11-07 2007-11-07 차량용 에이비에스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전원공급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70766B2 (ko)
KR (1) KR1009210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243B1 (ko) * 2011-10-27 2013-04-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전원 공급 시스템
JP5701203B2 (ja) * 2011-12-27 2015-04-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廃熱を利用した電動過給装置
KR101890946B1 (ko) * 2012-06-14 2018-08-22 주식회사 두산 엔진 지게차의 구동전원 변환 시스템
KR101743433B1 (ko) * 2015-12-23 2017-06-15 (주)엠피에스코리아 상용차 배터리 전원 충전방법
WO2019147244A1 (en) * 2018-01-25 2019-08-01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Equalizer overload management
US11837901B2 (en) 2018-11-13 2023-12-05 Shenzhen Carku Technology Co., Limited Electric tool power supply having vehicle starting function
KR102541068B1 (ko) * 2020-10-22 2023-06-07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이퀄라이저의 페일세이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2865257A (zh) * 2021-03-03 2021-05-28 浙江春风动力股份有限公司 供电电路及供电系统
KR20240028740A (ko) 2022-08-25 2024-03-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보조 배터리의 전압 편차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0662A (ko) * 1997-12-17 1999-07-05 정몽규 방전 전압에 의한 배터리 등가화 방법
JPH11262195A (ja) 1998-03-12 1999-09-2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電源装置
JP2005176520A (ja) * 2003-12-11 2005-06-30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の充電方法
JP2007267454A (ja) * 2006-03-27 2007-10-11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車両用バッテリ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4528A (en) * 1984-01-10 1986-08-05 Peter Norton Dual voltage power supply system for vehicles
US4816736A (en) * 1987-03-12 1989-03-28 Globe-Union Inc. Polyphase alternator and dual voltage battery charging system for multiple voltage loads
US4963813A (en) * 1988-12-02 1990-10-16 C. E. Niehoff & Co. Control providing progressive charging in a dual voltage charging system
US6218643B1 (en) * 1991-07-18 2001-04-1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ower supplying apparatus for automotive part
US5164655A (en) * 1991-08-05 1992-11-17 Dimensions Unlimited, Inc. 12-24 volt power system
FR2709457B1 (fr) * 1993-09-02 1995-12-08 Peugeot Installation de freinage pour véhicules automobile du type à système anti-blocage des roues.
JP3524661B2 (ja) * 1995-12-08 2004-05-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の電源制御装置
US6057669A (en) * 1998-07-08 2000-05-02 Lai; Kim-Shiang Automatic cyclical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JP2001136735A (ja) * 1999-11-02 2001-05-1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電力変換供給方法及び電力変換供給装置並びに車両
FR2808630B1 (fr) * 2000-04-13 2002-10-25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Circuit d'alimentation electrique a tension multiple pour vehicule automobile
US6668225B2 (en) * 2000-11-29 2003-12-2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Trailer control system
JP2002218798A (ja) * 2001-01-22 2002-08-02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用電源装置
US20030030331A1 (en) * 2001-07-09 2003-02-13 Bailey Rudolph V. 12 or 36-Volt perpetual motion fan module
FR2835106B1 (fr) * 2002-01-24 2004-09-0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ysteme d'alimentation en energie electrique d'un vehicule automobile
US6862504B2 (en) * 2002-09-10 2005-03-01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lternator condition
US7837882B2 (en) * 2002-11-19 2010-11-23 Xogen Technologies Inc. Treatment of a waste stream through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oxyhydrogen gas
TW571452B (en) * 2002-12-13 2004-01-11 Quanta Comp Inc Charging-type electrical potential balance device
SE526631C2 (sv) * 2003-12-03 2005-10-18 Creator Teknisk Utveckling Ab Metod och anordning för att styra batterier i ett batterisystem
US7352154B2 (en) * 2004-01-14 2008-04-01 Vanner, Inc. Electrical system control for a vehicle
US7525279B2 (en) * 2004-07-16 2009-04-28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minimizing the charge time of a battery
US7861334B2 (en) * 2005-12-19 2011-01-04 Stryker Corporation Hospital bed
FR2883665B1 (fr) * 2005-03-25 2007-06-15 Valeo Equip Electr Moteur Dispositif d'alimentation electrique pour vehicule automobile
JP4448111B2 (ja) * 2006-07-31 2010-04-07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電源システム
US8030880B2 (en) * 2006-11-15 2011-10-04 Glacier Bay, Inc. Power generation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s
KR20090009554A (ko) * 2007-07-20 2009-01-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배터리 이퀄라이져
US8248023B2 (en) * 2007-11-04 2012-08-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of externally charging a powertrain
TWI376081B (en) * 2008-12-08 2012-11-01 Green Solution Tech Co Ltd The battery charging controller and battery balance charging controll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0662A (ko) * 1997-12-17 1999-07-05 정몽규 방전 전압에 의한 배터리 등가화 방법
JPH11262195A (ja) 1998-03-12 1999-09-2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電源装置
JP2005176520A (ja) * 2003-12-11 2005-06-30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の充電方法
JP2007267454A (ja) * 2006-03-27 2007-10-11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車両用バッテリ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18959A1 (en) 2009-05-07
US8170766B2 (en) 2012-05-01
KR20090047248A (ko) 2009-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1046B1 (ko) 차량용 에이비에스의 전원공급시스템 및 그 전원공급방법
US10131233B2 (en) Battery charg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CN105324269B (zh) 利用车载太阳能电池的充电控制装置
CN102398530B (zh) 车辆推进系统和管理车辆推进系统的方法
KR20180130476A (ko) 고전압 충전 부스터 및 직류 충전 필라에서 직류 견인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 그리고 상응하는 전기 차량
JP5201273B2 (ja) 電源管理装置
KR101449266B1 (ko) 전기차용 저전압직류변환기의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전압직류변환기 제어시스템
CN108463737B (zh) 车载电源系统及其包含的电池的状态检知方法
CN108515961A (zh) 48v混合动力系统的dcdc控制方法及系统
CN103338976A (zh) 车载电源装置
JP2008054363A (ja) 電源装置
JP5860019B2 (ja) 自動車の車載電源システム用の電力を供給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7267454A (ja) 車両用バッテリ装置
EP3979449A1 (en) A method for reducing the overall power consumption of a parked vehicle
WO2015019144A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FR2923421B1 (fr) Alimentation electrique d'equipements de bord d'un vehicule automobile
CN112805188A (zh) 电源系统
CN103097171B (zh) 用于驱动汽车的恢复系统中的发电机的方法和设备
CN108137038B (zh) 用于控制混合动力机动车辆的电扭矩的方法和装置
KR101969056B1 (ko) 자율주행 차량 긴급제동을 위한 isg 체계 비상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5116067A (ja) 車両の電源システム
Tamilarasu et al. A study of electric vehicle ee power network architecture and considerations to improve efficiency
JP2015002637A (ja) 充電制御方法、充電制御装置及び車両用電源装置
US20250091537A1 (en) Power supply and distribution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power supply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KR101134562B1 (ko)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의 전기자동차 전력 공급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07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8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11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0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0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