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0426B1 - Board to Board Type Connectors - Google Patents
Board to Board Type Connecto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20426B1 KR100920426B1 KR1020090058272A KR20090058272A KR100920426B1 KR 100920426 B1 KR100920426 B1 KR 100920426B1 KR 1020090058272 A KR1020090058272 A KR 1020090058272A KR 20090058272 A KR20090058272 A KR 20090058272A KR 100920426 B1 KR100920426 B1 KR 1009204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male terminal
- female
- board
- sides
- wel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2—Printed circuits being in the same plan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5—Arrangements wherein electric components are disposed between and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wo planar printed circuit boards, e.g. Cordwood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는, 다수 개의 암단자가 서로 대칭되도록 열을 지어 결합된 결합홈이 상면에 형성된 암커넥터 홀더와, 상기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암단자와 전기적 접점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수단자가 서로 대칭되도록 열을 지어 결합된 결합돌기가 상면 테두리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수커넥터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암단자는 상기 결합홈에 수용되는 'U'자형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양측면의 중도에서 결합홈의 내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제1탄성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수단자는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U'자형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 양측면의 중도에서 결합돌기의 외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제2탄성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암,수단자는 제1탄성돌기와 제2탄성돌기의 탄성 변형에 의해 서로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ard-to-board 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emale connector holder having a coupling groove coupled to a plurality of female terminals in a row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and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to form a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female terminal. The male connector includes a male connector holder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upper edge of the coupling protrusion coupled to form a plurality of means ar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the female terminal 'U'-shaped receiving portion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groove and both sides of the receiving portion The first elastic projections respectively protrude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coupling groove in the middle of the, the means is the 'U' shaped insertion portion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rojection and the outer side of the coupling projection in the middle of the insertion side both sides Each of the arm and means are detached from each other by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first elastic projection and the second elastic projection. It is characterized by.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대 기판 타입의 커넥터는 상기 암,수단자의 착탈시 암단자가 양측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변형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상기 착탈시에 수반되는 응력이 양쪽으로 분산됨으로써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암,수단자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 connector of the board-to-board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emale terminal is symmetrically deformed in both directions when the arm and the means are attached or detached.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arm and means can be stably maintained.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판 대 기판 타입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적 접점을 형성하는 암,수단자의 양쪽에 대칭형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암,수단자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상기 암단자에 작용하는 응력을 양쪽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상기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암,수단자 사이의 전기적 접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ard-to-board type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 symmetrical coupling protrusion on both sides of the arm and the means for forming the electrical contact, thereby improv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arm and the means and acting on the fema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ard-to-board type connector that can stably maintain an electrical contact state between the arm and the means even when the board-to-board type connector is used for a long time by dispersing the stress to both sides.
일반적으로 전기, 전자산업 분야에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는 두 개 이상의 전기 또는 전자 부품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기, 전자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그 사용빈도가 더욱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두 개 이상의 부품을 일체로 생산하기가 어렵거나 또는 별개로 생산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 경우에 더욱 그러하다. In general, electrical connectors used in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s industries are mean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electrical or electronic components to each other. As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s industry develops, the frequency of their use increases further. This is especially true when it is difficult to produce the above components integrally or when it is more efficient to produce them separately.
이와 같은 전기 커넥터는 다수 개의 암단자가 구비된 암커넥터 홀더와 다수 개의 수단자가 구비된 수커넥터 홀더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물리적인 결합에 의해 상기 암,수단자가 안정적인 전기적 접촉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다.The electrical connector is composed of a female connector holder having a plurality of female terminals and a male connector hold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eans, and by means of their physical coupling, the arm and the means maintain a stable electrical contact state at all times. Constant current can flow.
상기와 같은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전기 커넥터의 구체적인 구성은 하기 [문헌 1] 등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는데, 특히 하기 [문헌 1]은 한 쌍의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판 대 기판 타입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as described above is disclosed in detail in [Document 1]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following [Document 1] relates to a board-to-board type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pair of substrates. .
즉, 상기 기판 대 기판 타입의 커넥터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암단자(22)가 서로 대칭되게 열을 지어 결합된 암커넥터 홀더(20)와, 다수 개의 수단자(12)가 서로 대칭되게 열을 지어 결합된 수커넥터 홀더(10)로 구성된다.That is,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onnector of the board-to-board type includes a
이때, 상기 암커넥터 홀더(20)와 수커넥터 홀더(10)는 서로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며, 암커넥터 홀더(20)와 수커넥터 홀더(10)가 결합될 경우 상기 암단자(22)와 수단자(12)는 전기적 접점을 이루게 된다.At this time, the female connector holder 20 and the
이를 위하여, 상기 수단자(12)에는 암단자(22)에 삽입되는 'U'자형 삽입부(12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단자(22)에는 상기 삽입부(12a)가 끼움 결합되는 'U'자형 수용부(22c)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삽입부(12a)와 수용부(22c)의 물리적 결합을 통해 암, 수단자(12,22)의 안정적인 전기적 접촉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To this end, the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의 경우 암단자(22)의 일측 부분(22c2)이 탄성 변형되어 수단자(12)와 전기적 접점을 형성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도 상기 암,수단자(22,12)의 결합이 용이하다는 장점 은 있으나, 이와 반대로 작은 충격에도 상기 암,수단자(22,12)의 결합이 쉽게 분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board-to-board 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the one side portion 22c2 of the
또한, 상기 암,수단자(22,12)의 착탈시에 수반되는 변형에 의한 응력이 상기 암단자(22)의 일측 부분(22c2)에만 집중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시 상기 변형되는 부분의 탄성력이 저감되어 암,수단자(22,12) 사이의 전기적 접점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ress caused by deformation accompanying detachment of the arm and
또한,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의 경우 수단자(12)에 비대칭적으로 형성된 돌기(12d1,12d2)와 암단자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22d)에 의하여 상기 암단자의 일측 부분(22c2)이 변형되어 암,수단자(22,12)가 결합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결합 순간의 클릭감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Further, in the case of the board-to-board 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one side portion of the female terminal is formed by protrusions 12d1 and 12d2 asymmetrically formed on the
이로 인하여, 상기 암,수단자(22,12)가 정상적으로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명확하게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기판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불량한 상태에서 상기 기판들이 적용된 전기 제품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상기 전기 제품의 오작동 및 손상을 야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As a result, since the user cannot clearly recognize whether the arm and the
[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2007-0116706호(2007.12.11. 공개)[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7-0116706 (published Dec. 11, 20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 명의 목적은 암,수단자 사이의 결합에는 적은 힘이 요구되지만 상기 암,수단자의 분리에는 상대적으로 큰 힘이 요구되는 암,수단자의 결합구조를 구비한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rm, the arm is required for the coupling between the arm, but the arm, the arm is relatively large force is required for separation of the means, It is to provide a board-to-board type connector hav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mandre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암,수단자의 착탈시 상기 암단자에 작용하는 응력을 분산시킴으로써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암,수단자 사이의 전기적 접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tribute the stress acting on the female terminal when the arm, means of detachment of the arm, even when using a board-to-board type connector for a long time can maintain a stable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arm, means To provide a substrate-to-board type connecto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암,수단자의 결합시 클릭감을 향상시켜 사용자가 상기 암,수단자가 정상적으로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ard-to-board type connector that improves the click feeling when the arm and the means are coupled so that the user can clearly recognize whether the arm and the means are normally coupl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는, 다수 개의 암단자가 서로 대칭되도록 열을 지어 결합된 결합홈이 상면에 형성된 암커넥터 홀더와, 상기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암단자와 전기적 접점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수단자가 서로 대칭되도록 열을 지어 결합된 결합돌기가 상면 테두리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수커넥터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암단자는 상기 결합홈에 수용되는 'U'자형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양측면의 중도에서 결합홈의 내측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돌출된 제1탄성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수단자는 상기 결합돌기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U'자형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 양측면의 중도에서 결합 돌기의 외측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돌출된 제2탄성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암,수단자는 서로 대칭을 이루는 상기 제1탄성돌기와 제2탄성돌기의 탄성 변형에 의해 서로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oard-to-board 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emale connector holder having a coupling groove coupled to a plurality of female terminals in a row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and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The female terminal includes a male connector holder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upper edge of the coupling protrusion coupled to form a plurality of means forming the electrical contact symmetric with each other, the female terminal 'U'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groove A first elastic protrusion protruding symmetrically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coupling groove in the middle of the female receiving portion and both sides of the receiving portion, wherein the means is formed with a 'U'-shaped insertion portion and the insertion portion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It has a second elastic projection protruding symmetrically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engaging projection in the middle of the two sides, the arm, the means are mutually symmetric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achable from each other by elastic deformation of the second elastic protrusion of the first resilient projection.
또한, 상기 제1탄성돌기는 수용부의 입구로부터 상기 삽입부의 삽입방향을 따라 돌출된 높이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제1경사부와, 상기 제1경사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삽입방향을 따라 돌출된 높이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제2경사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1,2경사부의 접점 사이의 폭은 상기 삽입부 양측면 사이의 폭보다 좁고, 상기 제1경사부보다 제2경사부의 경사도가 더 크도록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elastic projection has a first inclined portion protruding gradually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from the inlet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a height extending from the first inclined portion protruding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The second inclined portion is gradually reduced, wherein the width between the contact points of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portions is narrower than the width between both sides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inclination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is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끼움 결합시 제1탄성돌기의 변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결합홈의 내벽면과 상기 수용부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pac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and the accommodation portion to facilitate deformation of the first elastic protrusion during the fitting coupling.
또한, 상기 수용부의 양측면과 바닥면은 상기 제1탄성돌기의 변형에 의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경사면에 의하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oth sides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by the inclined surface to cushion the impact caused by the deformation of the first elastic projection.
또한, 상기 제2탄성돌기는, 삽입부의 삽입방향을 따라 돌출된 높이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제3경사부, 상기 제3경사부에서 삽입부의 양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직선 접점부, 및 상기 직선 접점부와 삽입부의 바닥면을 연결하고 상기 삽입방향을 따라 돌출된 높이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제4경사부로 구성되되, 상기 끼움 결합시 수용부의 양측면과 제2탄성돌기의 직선 접점부 사이, 및 상기 제1탄성돌기와 삽입부의 양측면 사이에 전기적 접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elastic projection, the third inclined portion protruding gradually increases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the linear contact portion formed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both sides of the insertion portion from the third slope, and Consists of the fourth inclined portion connecting the bottom contact portio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height protruding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is gradually reduced, between the both sides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linear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elastic projection, And an electrical contact formed between both sides of the first elastic protrusion and the insertion part.
또한, 상기 암단자는 상기 수용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결합홈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1고정홈에 결합된 암단자 고정부와, 상기 암단자 고정부와 수직이고 암커넥터 홀더의 외측으로 형성된 암단자 용착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암단자 용착부는 제1용착 경사부에 의해 상기 암단자 고정부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용착 경사부의 폭은 암단자 용착부의 폭 및 암단자 고정부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emale terminal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female terminal fixed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fixing groov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groove, respectively, and the female terminal perpendicular to the female terminal fixing portion and formed outside the female connector holder A welding part is further provided, wherein the female terminal welding par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emale terminal fixing part by a first welding inclination part, and the width of the first welding inclination part is the width of the female terminal welding part and the width of the female terminal fixing part. It is characterized by a narrower.
또한, 상기 암단자 고정부 각각의 양측에는, 상기 암커넥터 홀더로부터 암단자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쐐기형 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암단자를 암커넥터 홀더에 결합할 경우 암단자 용착부가 연결되지 않은 상기 암단자 고정부의 타측 단부를 상기 제1고정홈에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암단자 고정부의 타측 단부 단면적은 결합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t both sides of each of the female terminal fixing portion, at least one first wedge-shaped protrusion is formed to prevent the female terminal from being peeled from the female connector holder, the female when the female terminal is coupled to the female connector holder In order to guide the other end of the female terminal fixing portion to which the terminal welding portion is not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groov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female terminal fixing portion is gradually reduced along the engagement direction.
또한, 상기 수단자는, 상기 삽입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결합돌기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2고정홈에 결합된 수단자 고정부와, 상기 수단자 고정부와 수직이고 수커넥터 홀더의 외측으로 형성된 수단자 용착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수단자 용착부는 제2용착 경사부에 의해 상기 수단자 고정부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용착 경사부의 폭은 수단자 용착부의 폭 및 수단자 고정부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ans, the means for extending the both ends of the insertion means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grooves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ngaging projections, and the mean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male connector holder perpendicular to the means of the fixing means The welding unit further includes a welding unit, wherein the welding uni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xing unit by the second welding inclination unit, and the width of the second welding inclination unit is the width of the welding unit and the fixing unit of the welding unit. It is characterized by a narrower.
또한, 상기 수단자 고정부 각각의 양측에는, 상기 수커넥터 홀더로부터 수단자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쐐기형 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수단자를 수커넥터 홀더에 결합할 경우 수단자 용착부가 연결되지 않은 상기 수 단자 고정부의 타측 단부를 상기 제2고정홈에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수단자 고정부의 타측 단부 단면적은 결합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t both sides of each of the means fixing portion, at least one second wedge-shaped protrusion for preventing the detachment of the means from the male connector holder is formed, when the means is welded to the male connector holder In order to guide the other end of the male terminal fixing portion that is not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groov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ther end of the male fixing portion is gradually decreased along the joining direction.
또한, 상기 결합홈과 결합돌기는 각각 'ㅁ'자 형상이고, 상기 암단자가 결합되지 않은 결합홈의 테두리 또는 상기 수단자가 결합되지 않은 결합돌기의 테두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끼움 결합시 결합돌기를 결합홈에 안내하기 위한 곡선 또는 직선 형상의 챔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coupling groov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s a 'ㅁ' shape, each of the coupling protrusion when the coupling coupling to at least one of the edge of the coupling groove is not coupled to the female terminal or the edge of the coupling protrusion is not coupled to the means. A curved or straight chamfer is formed for guiding the coupling grooves.
또한, 상기 암단자가 결합되지 않은 암커넥터 홀더의 외측면과, 상기 수단자가 결합되지 않는 수커넥터 홀더의 외측면 각각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단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female connector holder is not coupled to the female terminal, the outer surface of the male connector holder is not coupled to the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is 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along the height direction.
또한, 상기 수커넥터 홀더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끼움 결합시 암단자의 변형을 수용하기 위한 도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ale connector hold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scape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deformation of the female terminal when the fitting is form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는 암단자에 형성된 제1돌기에 있어서 수단자가 삽입되는 방향의 경사도보다 상기 수단자를 분리하는 방향의 경사도를 더 크게 구성하여 상기 암,수단자의 결합시 보다 분리시에 더 큰 힘이 요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암,수단자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oard-to-board 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arger inclination in the direction of separating the means than the inclina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eans is inserted in the first protrusion formed on the female terminal, thereby providing the inclination of the arm and the means. By having a greater force is required at the time of separation than at the time of coupling,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arm and means can be stably maintai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는 상기 암,수단자의 착탈시 암단자가 양측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변형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상기 착탈시에 수반되는 응력이 양쪽으로 분산됨으로써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암,수단자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board-to-board 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emale terminal is symmetrically deformed in both directions when the arm and the means are attached or detached. Even whe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rm, means can maintain a stable state of engagem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는 상기 암,수단자의 착탈시 암,수단자의 양쪽에 각각 대칭적으로 형성된 제1,2돌기의 탄성적 변형 및 복원에 의하여 클릭감을 향상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암,수단자가 정상적으로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명확히 인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board-to-board 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feeling of click by the elastic deformation and resto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symmetric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arm, the arm and the arm when the arm is detach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rm, means can clearly recognize whether it is normally combin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board-to-board 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3과 도4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를 구성하는 암커넥터 홀더(100)와 수커넥터 홀더(20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5는 상기 암커넥터 홀더(100)와 수커넥터 홀더(200)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상기 도3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는 다수 개의 암단자(110)가 결합된 암커넥터 홀더(100)와, 다수 개의 수단자(210)가 결합된 수커넥터 홀더(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to 5, the board-to-board 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이때, 상기 암커넥터 홀더(100)의 상면에는 'ㅁ'자 형상의 결합홈(111)이 하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좌우 방향의 상기 결합홈(111)에는 각각 다수 개의 암 단자(110)가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수커넥터 홀더(200)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홈(111)에 끼움 결합되는 'ㅁ'자 형상의 결합돌기(211)가 상면 테두리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좌우 방향의 상기 결합돌기(211)에는 각각 상기 암단자(110)와 전기적 접점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수단자(210)가 결합된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암단자(110)가 결합되지 않은 결합홈(111)의 테두리 또는 상기 수단자(210)가 결합되지 않은 결합돌기(211)의 테두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끼움 결합시 결합돌기(211)를 결합홈(111)에 용이하게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120,220)가 형성되는데, 상기 안내부(120,220)는 곡선 또는 직선 형상의 챔퍼(chamfer)로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edge of the
또한, 상기 암단자(110)가 결합되지 않은 암커넥터 홀더(100)의 외측면과, 상기 수단자(210)가 결합되지 않는 수커넥터 홀더(200)의 외측면 각각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단차부(130,230)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female connector holder 100 to which the
이때, 상기 단차부(130,230)는 암커넥터 홀더(100)와 수커넥터 홀더(200) 각각의 조립시에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며, 또한 사출성형시 발생될 수 있는 게이트의 버(burr)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한다.In this case, the
도6과 도7은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의 암단자(110)와 수단자(21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8은 상기 암단자(110)와 수단자(210)의 결합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9는 상기 암단자(110)와 수단자(21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본 발명에 따른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에 구비된 상기 암단자(110)는, 상기 결합홈(111)에 수용되는 'U'자형 수용부(112)와, 상기 수용부(112) 양측면의 중도에서 결합홈(111)의 내측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돌출된 제1탄성돌기(113), 상기 수용부(112)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결합홈(11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1고정홈(115)에 결합된 암단자 고정부(110a), 및 상기 암단자 고정부(110a)와 수직이고 암커넥터 홀더(100)의 외측으로 형성된 암단자 용착부(11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또한, 상기 제1탄성돌기(113)는 수용부(112)의 입구로부터 후술하는 삽입부(212)의 삽입방향을 따라 돌출된 높이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제1경사부(113a)와, 상기 제1경사부(113a)에서 연장되어 상기 삽입방향을 따라 돌출된 높이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제2경사부(113b)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이때, 상기 제1경사부(113a)의 경사도 보다 제2경사부(113b)의 경사도가 더 크게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는 암,수단자(110,210)의 결합시에는 작은 힘이 요구되지만 상기 암,수단자(110,210)의 분리시에는 상대적으로 큰 힘이 요구되기 때문에 상기 암,수단자(110,210)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At this time, the inclination of the
한편, 상기 수단자(210)는, 상기 결합돌기(21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U'자형 삽입부(212)와, 상기 삽입부(212) 양측면의 중도에서 결합돌기(211)의 외측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돌출된 제2탄성돌기(213), 상기 삽입부(212)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결합돌기(21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2고정홈(215)에 결합된 수단자 고정부(210a), 및 상기 수단자 고정부(210a)와 수직이고 수커넥터 홀더(200)의 외측으로 형성된 수단자 용착부(21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제2탄성돌기(213)는, 삽입부(212)의 삽입방향을 따라 돌출된 높이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제3경사부(213a), 상기 제3경사부(213a)에서 삽입부의 양측면(212a)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직선 접점부(213b), 및 상기 직선 접점부(213b)와 삽입부의 바닥면(212b)을 연결하고 상기 삽입방향을 따라 돌출된 높이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제4경사부(213c)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이때, 상기 제4경사부(213c)의 경사도는 암단자(110)에 형성된 제1경사부(113a)의 경사도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암,수단자(110,210)의 결합시 작은 힘으로도 삽입부(212)가 수용부(11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inclination of the fourth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의 암,수단자(110,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칭적으로 형성된 상기 제1탄성돌기(113)와 제2탄성돌기(213)의 탄성 변형에 의하여 서로 착탈된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arm, means 110, 210 of the board-to-board 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ymmetrical formation of the first
즉, 상기 암,수단자(110,210)가 결합되는 경우, 수단자(210)의 바닥면(212b) 및 제4경사부(213c)가 암단자(110)의 제1경사부(113a)를 따라 자연스럽게 수용부(112) 내부로 안내됨에 따라 암단자(110)의 제1탄성돌기(113)은 좌우 양측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고, 상기 제2탄성돌기(213)가 상기 수용부(112) 내부로 완전히 삽 입되면 탄성에 의하여 상기 제1탄성돌기(113)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arm and the
이때, 상기 제1탄성돌기(113)는 제1,2경사부(113a,113b) 접점 사이의 폭이 상기 삽입부 양측면(212a) 사이의 폭보다 좁게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2탄성돌기(213)가 제1탄성돌기(113)를 통과하는 경우 양측으로 벌어진 제1탄성돌기(113)가 탄성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삽입부 양측면(212a)과 충돌하게 된다.In this case, since the width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따라서, 상기 충돌음에 의하여 암,수단자(110,210)의 결합시 클릭감이 향상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암,수단자(110,210)가 정상적으로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click sound is improved when the arm and the
또한, 상기 암,수단자(110,210)를 분리하는 경우, 수단자(210)의 제3경사부(213a)가 상대적으로 경사도가 큰 제2경사부(113b)를 따라 안내되기 때문에 전술한 암,수단자(110,210)의 결합시보다 더 큰 힘이 요구되며, 그 결과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는 암,수단자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arm, th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는 암,수단자(110,210)의 착탈시 상기 암단자(110)가 좌우 양방향 대칭으로 변형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상기 암,수단자(110,210)의 착탈시 암단자(110)에 작용하는 응력이 양방향으로 분산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board-to-board 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따라서, 상기 제1탄성돌기(113) 각각에 작용하는 응력이 종래기술에 대비하여 크게 감소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암,수단자(110,210)의 탄성력이 유지되어 암,수단자(110,210)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since the stress acting on each of the first
또한, 상기 직선 접점부(213b) 사이의 폭은 수용부 양측면(112a) 사이의 폭과 동일하거나 조금 더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는 상기 암,수단자(110,210)의 결합시 수용부의 양측면(112a)과 제2탄성돌기(213)의 직선 접점부(213b) 사이와, 상기 제1탄성돌기(113)와 삽입부의 양측면(212a) 사이에서 이중적으로 전기적 접점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idth between the
또한, 상기 수용부의 양측면(112a)과 바닥면(112b)은 경사면(112c)에 의하여 연결되는데, 이는 상기 제1탄성돌기(113)의 변형에 의한 충격을 완충함과 동시에 상기 수용부의 양측면(112a)과 제2탄성돌기(213)의 직선 접점부(213b) 사이에 접점이 형성될 경우 작용되는 장력(tension)을 완충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both
또한, 상기 결합홈의 내벽면(111a)과 수용부(112) 사이에는 제1탄성돌기(113)의 변형시 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140)가 마련되며, 상기 수커넥터 홀더(200)의 내부 바닥면에도 상기 제1탄성돌기(113)의 변형시 이를 수용하기 위한 도피홈(240)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한편, 상기 암단자 용착부(110b)와 수단자 용착부(210b)는 각각 제1용착 경사부(110c)와 제2용착 경사부(210c)에 의하여 상기 암단자 고정부(110a)와 수단자 고정부(210a)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female
따라서, 상기 암단자 용착부(110b)와 수단자 용착부(210b)를 각각 대응되는 기판에 납땜할 경우 납이 상기 제1용착 경사부(110c)와 제2용착 경사부(210c)를 따라 상승하게 되므로 용착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soldering the female
또한, 상기 제1용착 경사부(110c)의 폭은 암단자 용착부(110b)의 폭 및 암단자 고정부(110a)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제2용착 경사부(210c)의 폭은 수단자 용착부(210b)의 폭 및 수단자 고정부(210a)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암,수커넥터 홀더(100,200)의 조립시 상기 암단자 용착부(110b)와 수단자 용착부(210b)를 각각 암단자 고정부(110a)와 수단자 고정부(210a)에 수직한 방향으로 용이하게 절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first welding inclination portion (110c) is formed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female terminal welding portion (110b) and the width of the female terminal fixing portion (110a), the width of the second welding inclination portion (210c) It is formed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terminal welding portion (210b) and the width of the means fixing portion (210a), by such a configuration, the female terminal welding portion (110b) and the means when assembling the male and male connector holder (100,200) The
한편, 상기 암단자 고정부(110a)와 수단자 고정부(210a) 양측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1쐐기형 돌기(110d)와 제2쐐기형 돌기(210d)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암커넥터 홀더(100) 및 수커넥터 홀더(200)로부터 각각 암단자(110)와 수단자(210)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Meanwhile, at least one first wedge-shaped
이때, 암단자 용착부(110b)가 연결되지 않은 상기 암단자 고정부(110a)의 타측 단부의 단면적은 결합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상기 암단자(110)를 암커넥터 홀더(100)에 결합할 경우 상기 암단자 고정부(110a)의 타측 단부를 상기 제1고정홈(115)에 용이하게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다.At this tim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ther end of the female terminal fixing portion (110a) that is not connected to the female terminal welding portion (110b) is configured to gradually decrease along the coupling direction, which is the female terminal (110) female connector holder ( When coupled to 100) is a configuration for easily guiding the other end of the female terminal fixing portion (110a) to the first fixing groove (115).
또한, 상기와 동일한 사유에 의하여 수단자 용착부(210b)가 연결되지 않은 상기 수단자 고정부(210a)의 타측 단부의 단면적도 결합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ross section area of the other end of the means fixing portion (210a) that is not connected to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specific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should b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possible to make changes or modifications as appropriate.
도1과 도2는 각각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를 구성하는 수커넥터 홀더와 암커넥터 홀더를 나타낸 단면도,1 and 2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male connector holders and female connector holders respectively constituting a board-to-board 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3과 도4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를 구성하는 암커넥터 홀더와 수커넥터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3 and 4 are respectively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emale connector holder and a male connector holder constituting a board-to-board typ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상기 암커넥터 홀더와 수커넥터 홀더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the female connector holder and the male connector holder;
도6과 도7은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의 암단자와 수단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each showing a female terminal and a male member of a board-to-board typ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상기 암단자와 수단자의 결합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8 is a view showing a state immediately before coupling of the female terminal and the means;
도9는 상기 암단자와 수단자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emale terminal and the means are coupled.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8272A KR100920426B1 (en) | 2009-06-29 | 2009-06-29 | Board to Board Type Connectors |
US13/381,421 US20120122350A1 (en) | 2009-06-29 | 2010-06-28 | Board-to-board-type connector |
CN2010800294518A CN102474030A (en) | 2009-06-29 | 2010-06-28 | Board-to-board-type connector |
JP2012518489A JP2012532422A (en) | 2009-06-29 | 2010-06-28 | Board to board type connector |
PCT/KR2010/004171 WO2011002186A2 (en) | 2009-06-29 | 2010-06-28 | Board-to-board-type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8272A KR100920426B1 (en) | 2009-06-29 | 2009-06-29 | Board to Board Type Connector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20426B1 true KR100920426B1 (en) | 2009-10-08 |
Family
ID=41572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8272A Expired - Fee Related KR100920426B1 (en) | 2009-06-29 | 2009-06-29 | Board to Board Type Connecto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20426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2150B1 (en) | 2013-03-14 | 2014-09-18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Receptacle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
CN104916936A (en) * | 2015-04-16 | 2015-09-16 |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 Board-to-board connector |
CN108011213A (en) * | 2017-12-13 | 2018-05-08 | 福建晶彩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docking female seat for being used between circuit board connect |
CN110556654A (en) * | 2019-09-11 | 2019-12-10 | 东莞讯凯电子科技有限公司 | Plug, socket and connector combination of board-to-board connector |
CN110854601A (en) * | 2019-11-25 | 2020-02-28 | 深圳特思嘉工业电子有限公司 | Medical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N111834768A (en) * | 2020-07-27 | 2020-10-27 | 富加宜电子(南通)有限公司 | Small-spacing plate-to-plate connector with high stability and terminal thereof |
CN113013650A (en) * | 2019-12-20 | 2021-06-22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Board-to-board connector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
CN115296085A (en) * | 2022-08-15 | 2022-11-04 | 华勤技术股份有限公司 | A wire-to-board connecto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116706A (en) * | 2006-06-06 | 2007-12-11 |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 Connector device |
KR20080005274A (en) * | 2005-04-18 | 2008-01-10 |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 Board to Board Connector Pairs |
-
2009
- 2009-06-29 KR KR1020090058272A patent/KR10092042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05274A (en) * | 2005-04-18 | 2008-01-10 |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 Board to Board Connector Pairs |
KR20070116706A (en) * | 2006-06-06 | 2007-12-11 |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 Connector device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2150B1 (en) | 2013-03-14 | 2014-09-18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Receptacle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
CN104916936A (en) * | 2015-04-16 | 2015-09-16 |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 Board-to-board connector |
CN104916936B (en) * | 2015-04-16 | 2017-03-01 |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 Board to board connector |
CN108011213A (en) * | 2017-12-13 | 2018-05-08 | 福建晶彩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docking female seat for being used between circuit board connect |
CN108011213B (en) * | 2017-12-13 | 2023-12-01 | 泉州高晶通光电科技有限公司 | Butt joint female seat for connection between circuit boards |
CN110556654A (en) * | 2019-09-11 | 2019-12-10 | 东莞讯凯电子科技有限公司 | Plug, socket and connector combination of board-to-board connector |
CN110854601A (en) * | 2019-11-25 | 2020-02-28 | 深圳特思嘉工业电子有限公司 | Medical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N113013650A (en) * | 2019-12-20 | 2021-06-22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Board-to-board connector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
CN111834768A (en) * | 2020-07-27 | 2020-10-27 | 富加宜电子(南通)有限公司 | Small-spacing plate-to-plate connector with high stability and terminal thereof |
CN115296085A (en) * | 2022-08-15 | 2022-11-04 | 华勤技术股份有限公司 | A wire-to-board connect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20426B1 (en) | Board to Board Type Connectors | |
JP2012532422A (en) | Board to board type connector | |
JP7372999B2 (en) | Receptacle connectors and connector assemblies | |
US11133616B2 (en) |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fastening and positioning members | |
JP2007165195A (en) | Connector | |
KR101815456B1 (en) | Terminal and contacting substrate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 |
KR20070068246A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flexible joint | |
EP3540862B1 (en) | Connector | |
EP3540864B1 (en) | Movable connector | |
JP2005166300A (en) | Female terminal for high current, and female terminal for high current with shell | |
KR200495065Y1 (en) | Floating connector | |
KR101166230B1 (en) | Connector | |
CN104253337A (en) | Connector, and header and socket included in the same | |
KR100937009B1 (en) | Narrow-pitch electrical connector of board to board type | |
US11394153B2 (en) | Connector and terminal | |
KR101157672B1 (en) | Connector | |
CN115377719A (en) | Terminal, wire connector and wire-to-board connector | |
US7556530B2 (en) | Connector in which defectiv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plurality of shell components is suppressed | |
KR100988789B1 (en) | terminal | |
KR200471031Y1 (en) |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 |
KR101008213B1 (en) | connector | |
CN216312118U (en) | Conductive terminal, terminal assembly and connector assembly | |
CN217036071U (en) | Shaft seat adopting shaft foot connecting structure with lever type double contact points | |
JP7530557B2 (en) | Connection structure of flat cable and terminal fitting | |
TW202433810A (en) | Board connector, board to board connector assembly, and terminal of board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907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8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9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9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