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19747B1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747B1
KR100919747B1 KR1020070107587A KR20070107587A KR100919747B1 KR 100919747 B1 KR100919747 B1 KR 100919747B1 KR 1020070107587 A KR1020070107587 A KR 1020070107587A KR 20070107587 A KR20070107587 A KR 20070107587A KR 100919747 B1 KR100919747 B1 KR 100919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circuit module
battery cell
electrode terminal
battery pa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1866A (ko
Inventor
우길택
임종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to KR1020070107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747B1/ko
Publication of KR20090041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74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2Casings or frames around the primary casing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것으로서, 상면에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과; 상기 양극단자에 결합되는 양극단자판과; 상기 음극단자에 결합되는 음극단자판과; 상기 배터리 셀의 과충전 내지 과방전을 방지하며, 상기 양, 음극단자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호회로모듈과; 상기 배터리 셀의 상부에 결합되며, 본 배터리 셀의 음극단자와 결합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마련된 홀더와; 상기 보호회로모듈과, 상기 홀더와, 상기 양극 및 음극단자판을 수용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 셀에 결합되는 커버 케이스와; 상기 배터리 셀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상기 배터리 팩은, 본 배터리 팩에 장착되어 연결되는 각극 단자판을 브릿지 형상으로 마련함으로써 배터리 팩의 전체적인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보호회로모듈과 전극단자 중 어느 하나에 불량이 발생한 경우, 불량품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며, 교체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팩 {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체적인 배터리 팩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고, 불량시 교체가 용이하며, 전체 크기 및 무게를 감소시킨 인너형(Inner type)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인너형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cell)과 보호회로모듈(PCM;Protection Circuit Module)이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셀은 양극시트와 음극시트로 이루어지는 전극적층유닛이 금속 케이싱내에 수용된 형태이고, 상기 케이싱의 외면에는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배터리의 폭발 및 과충전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 셀의 외측에 장착된다.
즉, 상기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과 보호회로모듈이 상호 결합되어 하나의 유닛 형태로 포장된 구조이며, 이러한 배터리 팩은 최근 이를 사용하는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 추세에 따라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일본공개특허공보 제 2002-334686 호(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에는 이러한 배터리 팩의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선행기술에서의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과, 배터리 셀의 측면에 장착된 보호회로모듈과, 배터리 셀과 보호회로모듈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전극단자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보호회로모듈과 상기 전극단자는 몰드성형부에 의하여 배터리 셀과 일체로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배터리 팩은 보호회로모듈과 전극단자를 수지재의 사출에 의한 몰드성형부를 통해 배터리 셀에 고정하는 방식으로서, 배터리 팩의 제조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를수 밖에 없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조방식은, 몰드성형부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용융수지의 유동불량이 생길 경우, 몰드성형부의 크랙이나 핀홀이 생성되면서, 몰드성형부의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상기 문제점에 의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몰드성형부가 쉽게 파손되면서 보호회로모듈에 대한 보호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보호회로모듈과 전극단자를 몰드성형부에 일체화시키는 구조로서, 보호회로모듈와 전극단자 중 어느 하나에서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일체화된 몰드성형부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교체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행기술에 의한 배터리 팩의 경우, 정면부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배터리 셀의 상부 및 하부에 음극단자 및 양극단자가 배치되고, 배치된 양, 음극단자를 연결시키기 위한 각극 단자판 및 보호회로모듈의 장착으로 인하여 전체 배터리 팩의 크기 및 길이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팩에 장착되어 연결되는 각극 단자판을 브릿지 형상으로 마련함으로써, 배터리 팩의 전체적인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호회로모듈에 제 1 보호회로모듈개구부를 마련하고, 본 제 1 보호회로모듈개구부를 통하여 상부에서 양극단자판과 양극단자를 용접함으로써, 용접봉 삽입공간을 줄일 수 있고, 이에 의해, 배터리 팩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호회로모듈과 양극단자판 상호간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결합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기구적 견고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호회로모듈과 전극단자 중 어느 하나에 불량이 발생한 경우, 상기 불량품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며, 교체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 셀의 둘레면을 덮기 위한 별도의 케이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전체적인 무게와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면에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과; 상기 양극단자에 결합되는 양극단자판과; 상기 음극단자에 결합되는 음극단자판과; 상기 배터리 셀의 과충전 내지 과방전을 방지하며, 상기 양, 음극단자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호회로모듈과; 상기 배터리 셀의 상부에 결합되며, 본 배터리 셀의 음극단자와 결합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마련된 홀더와; 상기 보호회로모듈과, 상기 홀더와, 상기 양극 및 음극단자판을 수용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 셀에 결합되는 커버 케이스와; 상기 배터리 셀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양극단자판은 브릿지(Bridge)형상 또는 크랭크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측이 상기 보호회로모듈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양극단자에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상기 양극단자판과 결합하는 부분에 제 1 보호회로모듈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보호회로모듈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양극단자판이 점용접(Spot Welding)에 의해 상기 양극단자에 결합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극단자판은 브릿지(Bridge)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측이 상기 보호회로모듈에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홀더에 수용되어 상기 배터리 셀의 음극단자에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상기 음극단자판과 결합하는 부분에 제 2 보호회로모듈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보호회로모듈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음극단자판이 점용접(Spot Welding)에 의해 상기 음극단자에 결합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더는 상기 보호회로모듈과 상기 배터리 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배터리 셀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의 길이는 상기 배터리 셀의 상면의 일측으로부터 음극단자가 형성되는 위치의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더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 케이스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홀더와 상기 커버 케이스의 상호 끼움결합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케이스는 상기 배터리 셀과 접촉되는 부분에서 본 배터리 셀의 고정을 위한 외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배터리 팩에 장착되어 연결되는 각극 단자판을 브릿지 형상으로 마련함으로써 배터리 팩의 전체적인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회로모듈에 제 1 보호회로모듈개구부를 마련하고, 본 제 1 보호회로모듈개구부를 통하여 상부에서 양극단자판과 양극단자를 용접함으로써, 용접봉 삽입공간을 줄일 수 있고, 이에 의해, 배터리 팩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회로모듈과 양극단자판 상호간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결합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기구적 견고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회로모듈과 전극단자 중 어느 하나에 불량이 발생한 경우, 불량품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며, 교체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셀의 둘레면을 덮기 위한 별도의 케이스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전체적인 무게와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셀을 보호하는 커버 케이스에 의해 우수한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립공정의 자동화에 의해, 배터리 팩의 제조시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브릿지 형상의 양극단자판을 표현한 배터리 팩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브릿지 형상의 양극단자판을 표현한 배터리 팩의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크랭크 형상의 양극단자판을 표현한 배터리 팩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크랭크 형상의 양극단자판을 표현한 배터리 팩의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결합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배터리 셀 12 : 양극단자
14 : 양극단자판 16 : 음극단자
18 : 음극단자판 20 : 보호회로모듈
22 : 제 1 보호회로모듈개구부 24 : 제 2 보호회로모듈개구부
30 : 홀더 32 : 개구부
34 : 끼움돌기 40 : 커버케이스
42 : 끼움홈 44 : 외착부
50 : 하부케이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는 본 발명에 따른 브릿지 형상의 양극단자판을 표현한 배터리 팩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 은 본 발명에 따른 브릿지 형상의 양극단자판을 표현한 배터리 팩의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며, 도 3 는 본 발명에 따른 크랭크 형상의 양극단자판을 표현한 배터리 팩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크랭크 형상의 양극단자판을 표현한 배터리 팩의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며, 도 5 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5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면에 양극단자(12) 및 음극단자(16)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10)과; 상기 양극단자(12)에 결합되는 양극단자판(14)과; 상기 음극단자(16)에 결합되는 음극단자판(18)과; 상기 배터리 셀(10)의 과충전 내지 과방전을 방지하며, 상기 양, 음극단자판(14, 18)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호회로모듈(20)과;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부에 결합되며, 본 배터리 셀(10)의 음극단자(16)와 결합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마련된 홀더(30)와; 상기 보호회로모듈(20)과, 상기 홀더(30)와, 상기 양극 및 음극단자판(14, 18)을 수용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 셀(10)에 결합되는 커버 케이스(40)와; 상기 배터리 셀(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셀(10)은 음극시트와 양극시트로 구성되는 전극적층유닛이 금속케이싱 내부에 수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10)은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니켈-카드뮴 배터리, 니켈-수소 배터리 또는 리튬이온 배터리로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 셀(10)은 다른 배터리와 비교시 크기에 대해 대용량 전압의 충전이 가능하고, 충전 후 전원공급이 장시간 동안 지속가능하며, 하나의 배터리로 구성되어 관리가 용이한 리튬이온 배터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호회로모듈(20)(PCM : Protection Circuit Module)은 상기 배터리 셀(10)의 과충전 내지 과방전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며, 또한, 상기 배터리 셀(10)의 폭발을 방지하고, 과도한 전류의 유입을 방지하며, 또는 배터리 셀(10)에 마련된 단자의 단락을 차단하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보호회로모듈(20)은 배터리 셀(10)의 폭발 등의 위험으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제조시 상기 배터리 셀(10)에 장착되어 작동하며, 본 배터리 셀(10)의 사용수명을 연장시켜 주는 역할을 하도록 마련된다.
한편, 상기 양극단자판(14)은 브릿지(Bridge)형상 또는 크랭크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측이 상기 보호회로모듈(20)에 납땜용접으로 결합되며, 타측은 양극단자(12)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릿지 형상은 양측이 평행하게 이루어지고 중단부가 융기되는 형상으로서, 이는 단자간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배터리 팩의 전체높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크랭크 형상은 대략 'ㄱ' 형상과 'ㄴ' 형상이 겹쳐져 있는 형상으로서, 높이를 공유하면서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을 형성하며, 이는 단자간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배터리 팩의 전체 높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극단자판(14)을 역방향으로 배치하여 융기된 중단부가 상기 양극단자(12)와 결합 될 수 있고, 평행한 양측은 상기 보호회로모듈(2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크랭크 형상으로 마련되는 양극단자판(14)은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상기 보호회로모듈(20)에 납땜용접으로 결합되며, 저부를 이루는 면이 상기 양극단자(12)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회로모듈(20)은 상기 양극단자판(14)과 결합하는 부분에 제 1 보호회로모듈개구부(22)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본 제 1 보호회로모듈개구부(22)를 통하여 상기 양극단자판(14)이 점용접(Spot Welding)에 의해 상기 양극단자(12)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단자판(14)이 크랭크 형상으로 마련될 경우에는, 상기 보호회로모듈(20)을 구성함에 있어서, 제 1 보호회로모듈개구부(22)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며, 이에 의해 상기 보호회로모듈(20)이 상기 양극단자(12)부분 까지 연장형성될 필요가 없는 바, 이는 상기 보호회로모듈(20)를 구성함에 있어 재료절감 효과 및 무게감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보호회로모듈개구부(22)는 상기 양극단자판(14)과 양극단자(12)의 용접을 위한 용접봉이 상부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공간이며, 이는 측부에서 용접봉이 삽입되어 용접을 하는 것에 비해, 용접봉 삽입 공간을 마련하지 않아도 되므로, 배터리 팩의 전체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점용접은 용접모재에 전류를 흘리고, 접합부의 접촉저항에 의한 발열로 용접모재를 가열하여 용융상태로 만들어 기계적 압력을 가함으로써 용접되는 저항용접(Resistance Welding)의 한 방법으로 구리합금으로 마련되는 전극을 이용하여 용접하는 방식이다.
상기의 용접방식으로써, 상기 양극단자(12)와 양극단자판(14) 및 보호회로모듈(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홀더(30)는 상기 배터리 셀의 상부에 결합하여 상기 음극단자판(18)과 상기 보호회로모듈(20)을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홀더(30)는 상기 보호회로모듈(20)과 상기 배터리 셀(10)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홀더(30)는 상기 배터리 셀(10)의 음극단자(16)와 결합되는 위치에 상기 음극단자판(18)을 수용하도록 개구부(32)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더(30)의 길이는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면의 일측(양극단자가 없는 부분)으로부터 음극단자가 형성되는 위치의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홀더(30)의 길이를 줄일 수 있고, 이는 전체적인 배터리 팩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단자판(18)은 브릿지(Bridge)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측이 상기 보호회로모듈(20)에 납땜 용접으로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홀더(30)가 포함하는 개구부(32)에 수용되어 상기 배터리 셀(10)의 음극단자(16)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극단자판(18)이 브릿지 형상으로 마련되고, 브릿지 형상의 융기부분이 상기 음극단자(16)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음극단자판(18)을 역방향으로 배치시켜, 상기 음극단자판(18)과 상기 음극단자(16)의 연결성이 증대되어 상기 홀더(30) 자체의 두께부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바, 이는 전체적인 배터리 팩의 높이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회로모듈(20)은 상기 음극단자판(18)과 결합하는 부분에 제 2 보호회로모듈개구부(24)를 포함하며, 본 제 2 보호회로모듈개구부(24)를 통하여 상기 음극단자판(18)이 점용접(Spot Welding)에 의해 음극단자(16)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의 용접방식으로써, 상기 음극단자(16)와 음극단자판(18) 및 보호회로모듈(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상기 보호회로모듈(20)과 홀더(30)와 양, 음극단자판(14, 18)은 커버케이스(40)에 의해 수용되며, 상기 홀더(30)에는 끼움돌기(34)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 케이스(40)에는 끼움홈(42)이 형성되어 상기 홀더(30)와 커버케이스(40)가 끼움결합으로써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홀더(20)는 상기 커버케이스(40)에 의해 지지되어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케이스(40)는 상기 배터리 셀(10)에 장착되는 보호회로모듈(20)및 양, 음극단자판(14, 18)등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며, 이에 의해, 전체적인 배터리 팩의 강도 또한 증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케이스(40)는 상기 배터리 셀(10)과 접촉되는 부분에서 본 배터리 셀(10)의 고정을 위한 외착부(4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외착부(44)의 길이(D)는 대략 2밀리미터(mm)정도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2밀리미터는 상기 외착부(44)의 길이(D)를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길이의 외착부(44)를 가질 수 있지만, 배터리 팩의 소형화를 위해서 상기 외착부(44)의 길이는 짧을수록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기 외착부(44)의 길이(D)의 감소를 위하여, 배터리 셀(10)에 장착되는 양극단자판(14)을 브릿지 형상 또는 크랭크 형상으로, 음극단자판(18)을 브릿지 형상으로 마련하여 각 극단자및 보호회로모듈(20)의 연결을 구현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결합과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부에 양면테잎 또는 접착재를 이용하여 상기 홀더(30)를 결합한다. 이 경우, 상기 홀더(30)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32)가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부에 마련된 음극단자(16)에 위치되며, 상기 개구부(32)로 수용되는 음극단자판(18)과 상기 음극단자(16)가 접촉될 수 있게 위치시킨다.
다음, 별도의 공정에 의해, 상기 보호회로모듈(20)이 포함하는 제 1 보호회로모듈개구부(22)의 위치에 양극단자판(14)을 남땜방식으로 결합시키며, 상기 보호회로모듈(20)이 포함하는 제 2 보호회로모듈개구부(24)의 위치에 음극단자판(18)을 남땜방식으로 결합시킨다.
다음, 별도 공정을 통해 결합된 상기 보호회로모듈(20)및 양, 음극단자판(14, 18)을 배터리 셀(10)의 대응되는 위치에 안착시킨다. 이 경우, 상기 양극단자판(14)은 상기 양극단자(12)에, 상기 음극단자판(18)은 홀더(30)가 포함하는 개구부(32)에 대응된다.
다음, 상기 양극단자판(14)과 양극단자(12)를 상기 보호회로모듈(20)이 포함하는 제 1 보호회로모듈개구부(22)를 통하여 점용접 결합시키고, 상기 음극단자판(18)과 상기 음극단자(16)를 상기 보호회로모듈(20)이 포함하는 제 2 보호회로모듈개구부(24)를 통하여 점용접 결합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점용접 결합공정은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시에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부에 장착된 홀더(30)의 끼움돌기(34)와 커버케이스(40)의 끼움홈(42)을 이용하여 상호 끼움결합시키고, 하부에 하부케이스(50)를 결합시킨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9)

  1. 상면에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과;
    상기 양극단자에 결합되는 양극단자판과;
    상기 음극단자에 결합되는 음극단자판과;
    상기 배터리 셀의 과충전 내지 과방전을 방지하며, 상기 양, 음극단자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호회로모듈과;
    상기 배터리 셀의 상부에 결합되며, 본 배터리 셀의 음극단자와 결합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마련된 홀더와;
    상기 보호회로모듈과, 상기 홀더와, 상기 양극 및 음극단자판을 수용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 셀에 결합되는 커버 케이스와;
    상기 배터리 셀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양극단자판은 브릿지(Bridge)형상 또는 크랭크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측이 상기 보호회로모듈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양극단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상기 양극단자판과 결합하는 부분에 제 1 보호회로모듈개구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제 1 보호회로모듈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양극단자판이 점용접(Spot Welding)에 의해 상기 양극단자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단자판은 브릿지(Bridge)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측이 상기 보호회로모듈에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홀더에 수용되어 상기 배터리 셀의 음극단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상기 음극단자판과 결합하는 부분에 제 2 보호회로모듈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보호회로모듈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음극단자판이 점용접(Spot Welding)에 의해 상기 음극단자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보호회로모듈과 배터리 셀 사이에 마련되며, 본 배터리 셀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길이는 상기 배터리 셀의 상면의 일측으로부터 음극단자가 형성되는 위치의 길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 케이스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홀더와 상기 커버 케이스의 상호 끼움결합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케이스는 상기 배터리 셀과 접촉되는 부분에서 본 배터리 셀의 고정을 위한 외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KR1020070107587A 2007-10-25 2007-10-25 배터리 팩 Expired - Fee Related KR100919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587A KR100919747B1 (ko) 2007-10-25 2007-10-25 배터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587A KR100919747B1 (ko) 2007-10-25 2007-10-25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866A KR20090041866A (ko) 2009-04-29
KR100919747B1 true KR100919747B1 (ko) 2009-09-29

Family

ID=40764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587A Expired - Fee Related KR100919747B1 (ko) 2007-10-25 2007-10-25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7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639Y1 (ko) * 2012-09-26 2014-05-14 주식회사 이랜텍 브릿지형 접속플레이트를 갖는 결합구조가 단순화된 배터리팩
KR101603181B1 (ko) * 2014-07-04 2016-03-25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배터리팩
KR102161627B1 (ko) * 2016-11-29 2020-10-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8230A (ko) * 2005-02-01 2006-08-04 지엠에스전자(주) 내장형 리튬이온 배터리의 피시엠 접속구조
KR100649659B1 (ko) * 2005-08-22 2006-11-27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배터리팩 및 그 조립방법
KR20070072426A (ko) * 2004-10-27 2007-07-04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지 팩
US20070202396A1 (en) * 2006-02-28 2007-08-30 Samsung Sdi Co., Lt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2426A (ko) * 2004-10-27 2007-07-04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지 팩
KR20060088230A (ko) * 2005-02-01 2006-08-04 지엠에스전자(주) 내장형 리튬이온 배터리의 피시엠 접속구조
KR100649659B1 (ko) * 2005-08-22 2006-11-27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배터리팩 및 그 조립방법
US20070202396A1 (en) * 2006-02-28 2007-08-30 Samsung Sdi Co., Lt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866A (ko) 200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5605B1 (ko) 배터리 팩
CN100435384C (zh) 组装式结构的二次电池
KR101293591B1 (ko) 이차전지 팩
KR20090075396A (ko) 배터리 팩
KR100682731B1 (ko) 개선된 구조의 전지팩
JP4468250B2 (ja) 二次電池
KR101311252B1 (ko) 이차전지 팩
US8936860B2 (en) Battery pack with reinforcing member
KR101305248B1 (ko) 이차전지 팩
KR20130018098A (ko)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팩
JP2013041810A (ja) 新構造の二次電池パック
KR100685115B1 (ko) 배터리 팩
KR20070089420A (ko)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0919747B1 (ko) 배터리 팩
KR100917227B1 (ko) 배터리 팩
KR100913695B1 (ko) 배터리 팩
KR100915545B1 (ko) 배터리 팩
KR100949006B1 (ko) 배터리 팩
KR200452886Y1 (ko) 배터리 팩
KR20050080514A (ko) 이차 전지
KR100585381B1 (ko) 배터리 팩
KR100585382B1 (ko) 배터리 팩
KR100585380B1 (ko) 배터리 팩
KR101430901B1 (ko) 부품간 결합력이 개선된 배터리팩
KR100914908B1 (ko) 배터리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09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8

K11-X000 Ip right revival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0924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9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924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