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18426B1 - 분류 장치 - Google Patents

분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8426B1
KR100918426B1 KR1020090051285A KR20090051285A KR100918426B1 KR 100918426 B1 KR100918426 B1 KR 100918426B1 KR 1020090051285 A KR1020090051285 A KR 1020090051285A KR 20090051285 A KR20090051285 A KR 20090051285A KR 100918426 B1 KR100918426 B1 KR 100918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shredding
specific gravity
disposed
sor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원옥
Original Assignee
(주)가람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람산업 filed Critical (주)가람산업
Priority to KR1020090051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4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42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02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using shaken, pulsated or stirred beds as the principal means of separation
    • B03B5/04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using shaken, pulsated or stirred beds as the principal means of separation on shak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7/00Combinations of wet processes or apparatus with other processes or apparatus, e.g. for dressing ores 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11/00Feed or discharge devices integral with washing or wet-separating equipment
    • B03B2011/008Screw dischar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비중이 서로 다른 물질이 결합되어 있는 재생물이 투입되는 공간을 가지며, 상기 재생물을 기설정된 크기의 가공물로 만드는 가공부, 상기 가공물을 공급받고, 흔들리어 상기 가공물을 비중 별로 나누는 분류부, 상기 분류부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류부의 기설정된 방향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 분사부, 상기 분류부의 선단에 위치한 제1 배출부, 그리고 상기 분류부의 후단에 위치한 제2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류부는 기설정된 방향으로 기울어져 흔들리며, 상기 분류부의 흔들림에 의하여 상기 가공물 중 비중이 큰 가공물은 상기 제1 배출부로 이동하고, 비중이 작은 가공물은 상기 유체와 함께 상기 제2 배출부로 이동한다.
비중, 분리

Description

분류 장치{sepa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비중이 서로 다른 물질을 분류하는 분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다양한 산업의 발전과 함께 산업현장에는 각종 폐기물이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은 폐기물 중에는 무해하고 쉽게 분해되는 것과, 유해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쉽게 분해되지도 않는 것 및 재활용이 가능한 것들이 있다. 이중 가장 관심을 끌고 있는 것 중 하나가 고가 자원인 알루미늄, 구리, 금속, 비금속, 합성수지 등을 선별하는 재활용 산업이 관심을 끌고 있다.
본 발명은 비중이 다른 물질이 결합되어 있는 재생물을 간편하게 분류하여 재생 처리할 수 있는 분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분류 장치는 비중이 서로 다른 물질이 결합되어 있는 재생물이 투입되는 공간을 가지며, 상기 재생물을 기설정된 크기의 가공물로 만드는 가공부, 상기 가공물을 공급받고, 흔들리어 상기 가공물을 비중 별로 나누 는 분류부, 상기 분류부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류부의 기설정된 방향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 분사부, 상기 분류부의 선단에 위치한 제1 배출부, 그리고 상기 분류부의 후단에 위치한 제2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류부는 기설정된 방향으로 기울어져 흔들리며, 상기 분류부의 흔들림에 의하여 상기 가공물 중 비중이 큰 가공물은 상기 제1 배출부로 이동하고, 비중이 작은 가공물은 상기 유체와 함께 상기 제2 배출부로 이동한다.
상기 유체 분사부는, 유체를 압송하는 유체 펌프,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관, 그리고 한쪽 끝이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어 상기 분류부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분사 구멍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분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유체가 분사되는 방향으로 상기 비중이 작은 가공물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분류부 및 상기 제1 배출부는 각기, 지지대, 상기 지지대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공물이 투입되는 진동 테이블, 상기 지지대와 상기 진동 테이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대와 상기 진동 테이블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링크, 그리고 상기 진동 테이블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 테이블을 흔드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발생부는, 진동 모터, 상기 진동 모터와 동력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 그리고 상기 회전축에 편심 결합되어 있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진동 테이블과 접촉하는 진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 테이블은 흔들릴 때 기설정된 방향으로 기울어져 흔들리고, 상기 진동 테이블의 낮은 쪽으로 상기 비중인 작은 가공물이 이동하고, 진동 테이블의 높은 쪽으로 상기 비중이 큰 가공물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배출부는, 상기 분류부 진동 테이블 후단부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수조, 상기 수조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분류부 진동 테이블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배출부의 수조와 연결되어 있는 침전조, 한쪽 끝이 상기 침전조에 배치되어 있고 다른 쪽 끝이 상기 침전조 외부에 위치하며 유입구와 출구를 가지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 내부에 배치되어 한쪽 끝이 상기 침전조 바닥면에 위치한 스크류, 그리고 상기 스크류와 연결되어 있는 스크류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류 장치는, 한쪽 끝이 상기 제1 배출부 진동 테이블의 후단부 아래에 위치하며, 다른 쪽 끝이 상기 침전조와 연결되어 있는 배출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공부는, 상기 재생물이 투입되는 공간을 가지는 파쇄 몸체, 상기 파쇄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외부 둘레면에 파쇄 날이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파쇄롤러, 그리고 상기 파쇄롤러와 연결되어 있는 파쇄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파쇄롤러의 파쇄 날은 서로 맞물려 있을 수 있다.
상기 가공부는, 상기 파쇄된 재생물이 투입되는 공간을 분쇄 몸체, 상기 분쇄 몸체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커터 롤러, 상기 커터 롤러의 외부 둘레면에 배열되어 있는 제1 커터, 그리고 한쪽 끝이 상기 분쇄 몸체의 내부 둘레면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 쪽 끝이 상기 제1 커터와 마주하는 제2 커터, 상기 커터롤러와 연결되어 있는 분쇄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커터와 상기 제2 커터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분류 장치는 한쪽 끝이 상기 파쇄 몸체에 위치하고 다른 쪽 끝이 상기 분쇄 몸체에 위치한 이송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한쪽 끝은 상기 파쇄 몸체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재생물이 상기 이송 컨베이어 위로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분류 장치는, 한쪽 끝이 상기 분쇄 몸체와 연결되어 있고, 다른 쪽 끝이 상기 분류부와 연결되어 있는 분쇄 이송부 및 상기 분쇄 몸체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쇄된 가공물을 상기 분쇄 이송부로 이송하는 이송 스크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류 장치는, 상기 분쇄 이송부와 상기 분류부의 진동 테이블 사이에 위치하며, 내부가 상하 관통되어 있는 집진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집진 장치의 내부 둘레 면에는 나선형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분류 장치는 상기 집진 장치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가 상하 관통되어 있는 흩트림 몸체, 상기 흩트림 몸체 내부에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분쇄된 가공물과 부딪칠 수 있는 흩트림 부재, 그리고 상기 흩트림 몸체와 연결되어 있는 흩트림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류 장치는 비중이 다른 물질이 결합되어 있는 재생물이 투입되는 공간을 가지며 상기 공간에 상기 재생물을 기설정된 크기로 파쇄 가공하는 파쇄롤러가 배치되어 있는 파쇄 몸체, 상기 파쇄된 재생물이 투입되는 공간을 가지며 상기 공간에 상기 파쇄된 가공물을 분쇄 가공하는 복수의 제1 커터 및 제2 커터가 배치되어 있는 분쇄 몸체, 일측이 상기 분쇄 몸체와 연결되어 있 으며 상기 분쇄 가공물을 타측으로 이송하는 분쇄 이송부, 상기 분쇄 이송부의 타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분쇄 가공물을 전달받고 상기 분쇄 가공물과 이물질을 분리하는 집진 장치, 그리고 상기 집진 장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분쇄 가공물을 전달 받으며 흔들리어 상기 분쇄 가공물을 비중에 따라 분류하는 진동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중이 서로 물질이 결합되어 있는 재생물이 분쇄된 상태에서 진동하는 진동 테이블에서 공급되면서 비중이 서로 다른 재생물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분류되어 비중에 의하여 재생물을 간편하게 분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량의 재생물도 신속하게 분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테이블에 유체가 공급됨으로써, 유체의 흐름에 의하여 비중이 작은 재생물의 이동이 용이하다. 또한 비중이 작은 재생물이 날지 않고 유체와 함께 이동하게 되어 먼지 등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분류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분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가공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가공부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분류 장치(10)는 비중이 서로 다른 물질 즉, 구리, 알루미늄, 니켈 따위가 결합되어 있는 폐 전선, 폐 동축케이블, 폐 가전, 열 교환기, 실외기, 냉각기 따위를 잘게 부수는 가공부(100), 가공 재생물을 비중에 따라 제1 비중 물(이하, 구리라 함, 구리의 비중은 비중이 8.845(20℃)이다.) 및 제2 비중 물(이하, 알루미늄이라 함, 알루미늄의 비중은 2.70(20℃) 이다.)로 분류하는 분류부(400), 분류된 제1 비중 물이 유입되어 배출되는 제1 배출부(500), 그리고 분류된 제2 비중 물이 유입되어 배출되는 제2 배출부(700)를 포함한다. 분류(10)는 유체의 흐름에 따라 구리와 알루미늄을 분류하는 유체 분사부(8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재생물을 구리와 알루미늄으로 설명하였으나, 비철금속과 철, 금속과 합성수지 따위와 같이 재생물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가공부(100)는, 파쇄 몸체(110), 파쇄롤러(120), 파쇄 날(121), 그리고 파쇄 구동 장치(130)를 포함한다. 가공부(100)는 분쇄부(140)를 더 포함한다.
파쇄 몸체(110)는 비중이 서로 다른 물질 결합되어 있는 재생물이 투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다. 파쇄 몸체(110)의 공간에는 투입된 재생물을 파쇄하는 복수 의 파쇄 날(121)이 결합되어 있는 파쇄롤러(120)이 배열되어 있다. 파쇄 날(121)들은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져 있다. 파쇄 날(121)은 파쇄롤러(120)의 외주 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파쇄 롤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파쇄 롤러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파쇄 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파쇄롤러(120a, 120b)는 파쇄 몸체(110) 내부에 위치하며,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1 및 제2 파쇄 롤러(120a, 120b)의 외부 둘레 면에는 제1 및 제2 파쇄 날(121a, 121b)이 각기 배열되어 있으며, 제2 파쇄 날(121b)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 파쇄 날(121a)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1 파쇄 날(121a)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2 파쇄 날(121b) 사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파쇄 날(121a, 121b)은 서로 맞물려 있다. 제1 및 제2 파쇄 날(121a, 121b)의 외부 둘레 면은 제1 및 제2 파쇄롤러(120a, 120b)의 외부 둘레 면과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져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파쇄 몸체(110) 내부로 투입된 재생물은 제1 및 제2 파쇄롤러(120a, 120b)의 사이를 통과하게 하게 되는데, 이때 제1 및 제2 파쇄롤러(120a, 120b)에 의해 제1 및 제2 파쇄 날(121a, 121b)이 떨어진 공간(S)을 통과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재생물은 공간(S) 정동의 크기로 파쇄되며, 파쇄된 재생물은 파쇄 몸체(110) 외부로 배출되어 이송 컨베이어(150)로 떨어진다. 이송 컨베이어(150)는 다수개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한 개만 형성될 수도 있다.
파쇄 몸체(110)의 아래에는 이송 컨베이어(150)의 한쪽 끝이 위치한다. 이에 따라 파쇄된 재생물은 이송 컨베이어(150)에 의해 분쇄부(140)로 이송된다. 이송 컨베이어(150)는 나사컨베이어, 진동컨베이어, 체인컨베이어, 롤러컨베이어, 벨트컨베이어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분쇄부(140)는 분쇄 몸체(141), 커팅부(142), 그리고 분쇄 구동부(143)를 포함한다.
이송 컨베이어(150)의 다른 쪽 끝은 분쇄 몸체(141)에 연결되어 있으며, 분쇄 몸체(141)의 내부는 파쇄된 재생물이 투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분쇄 몸체(141)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커팅부(142)가 형성되어 있다. 커팅부(142)는 커터 롤러(142a), 제1 커터(142b), 그리고 제2 커터(142c)를 포함한다.
커터 롤러(142a)는 분쇄 몸체(141)의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배열 되어 있으며, 커터 롤러(142a)의 외부 둘레 면에는 복수의 제1 커터(142b)가 배열 되어 있다.
제2 커터(142c)는 커터 롤러(142a)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여 한쪽 끝이 분쇄 몸체(141)의 내부 둘레 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다른 쪽 끝은 제1 커터(142b)와 근접되어 있다. 제1 커터(142b)와 제2 커터(142c)는 2mm 내지 3mm 정도의 간격으로 떨어져 있다. 왜냐하면, 2mm 이하가 되면 파쇄된 재생물의 분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3mm 이상이 분쇄된 재생물의 입자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제1 커터(142b)와 제2 커터(142c)의 사이로 파쇄된 재생물이 투입되면서 파쇄 물은 잘게 분쇄된다. 파쇄물의 크기는 제1 커터(142b) 및 제2 커터(142c)의 간격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분쇄될 수 있다. 제1 커터(142b)와 제2 커터(142c)의 간격을 2mm 내지 3mm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파쇄되는 재생물의 입자 크기에 따라 커팅부(142)를 세로 방향으로 복수 배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쇄 몸체(141)의 내부로 투입된 파쇄된 재생물은 복수의 커팅부(142)에 의해 입자 형태로 분쇄된다. 분쇄된 재생물은 분쇄 몸체(141) 아래로 떨어져 분쇄 이송부(200)에 의하여 분류부(400)로 보내어진다.
분쇄 이송부(200)는 이송관(210) 및 이송 스크류(220)를 포함한다.
이송관(210)은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한쪽 끝이 분쇄 몸체(141) 아래에 배치되어 분쇄된 재생물이 유입될 수 있다. 이송관(210)은 공기 압축기(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압축기에서 발생한 공기에 의하여 이송관(210)으로 유입된 분쇄 재생물이 분류부(400)로 보내어 진다. 한편, 이송관(210)의 내부에는 구동 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된 이송 스크류(220)가 배치되어 있다. 이송 스크류(220)는 회전되면서 분쇄된 재생물의 이송을 도모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집진 장치, 분류부 및 제1 배출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집진 장치, 분류부 및 제1 배출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을 참조하면, 분쇄 이송부(200)의 다른 쪽 끝에는 집진 장치(300)가 형성되어 있다. 집진 장치(300)는 내부는 분쇄된 재생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비어 있으며, 내부 둘레 면에는 나선형 가이드(31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집진 장치(300)의 내부로 유입된 분쇄된 재생물은 공기와 집진 장치(300)의 중심축(C)에 대하여 기설정된 회전 반경(R)을 갖고 회전하게 된다. 이때 분쇄된 재생물 중에 포함된 먼지 따위는 중량차에 따른 원심력에 의하여 분리가 된다. 분리된 먼지를 수거하기 위하여 집진 장치(300)에는 집진통(330)과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재생물과 분리된 먼지는 집진통(330)에 수거된다. 도 6에서는 집진통(330)이 집진 장치(300) 상부 쪽에 설치되어 있으나, 그 설치된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된다.
집진 장치(300)의 하단에는 흩트림부(320)가 형성되어 있다. 흩트림부(320) 분쇄된 재생물이 뭉친 경우 이를 흩트려 놓는다. 흩트림부(320)는 흩트림 몸체(321), 흩트림 모터(322), 흩트림 부재(323)를 포함한다.
흩트림 몸체(321)는 집진 장치(300)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내부가 상하 관통되어 집진 장치(300)의 내부와 연결되어 있다. 흩트림 몸체(321)의 내부에는 흩트림 부재(323)가 가로 방향으로 배열 되어 있다. 흩트림 몸체(321)는 흩트림 모터(322)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흩트림 모터(322)가 구동하면 흩트림 몸체(321)를 흔들게 된다. 이때 흩트림 몸체(321)의 내부를 통과하던 분쇄 재생물은 흩트림 부재(323)에 부딪치게 된다. 이에 따라 뭉쳐 있는 분쇄 재생물은 부딪치는 충격에 의하여 흩트려 지게 된다. 이렇게 흩트러진 재생물은 분류부(400)로 펼쳐지면서 떨어진다.
분류부(400) 및 제1 배출부(500)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그 크기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제1 배출부(500)가 분류부(400)보다 작다.
분류부(400) 및 제2 배출부(700)는 각기 진동 테이블(410, 510), 지지대(420, 520), 그리고 진동 발생부(430, 530)를 포함한다. 분류부(400)는 경사 패널(4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420, 520)는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대(420, 520) 위에는 진동 테이블(410, 510)이 각기 배치되어 있으며, 분류부 진동 테이블(410)의 위에는 흩트림부(320)가 위치한다. 이에 따라 분쇄된 가공물이 분류부 진동 테이블(410) 위로 펼쳐지면서 떨어질 수 있다.
지지대(420, 520)와 진동 테이블(410, 510) 사이에는 연결링크(421, 521)가 위치한다. 이에 따라 지지대(420, 520)와 진동 테이블(410, 510)은 연결링크(421, 521)로 연결되어 있다. 진동 테이블(410, 510)은 연결링크(421, 521)연결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분류부 진동 테이블(410)과 제1 배출부 진동 테이블(510)의 적어도 일부분은 중첩되어 있으며, 중첩된 부분에는 경사 패널(411)이 배치되어 있다.
경사 패널(411)의 한쪽 끝은 분류부 진동 테이블(410)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쪽 끝은 제1 배출부 진동 테이블(510) 위에 위치한다. 경사 패널(411)은 분류부 진동 테이블(410)과 연결된 부분에서부터 점진적으로 협소해지면서 경사져 있다. 제1 배출부 진동 테이블(510)의 선단부에는 회수 용기가 놓여져 있으며, 후단부에는 배출 유로(660b)의 한쪽 끝이 위치한다. 배출 유로(660b)는 관 형상으로 내부가 비어 있으며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분류부 진동 테이블(410) 및 제1 배출부 진동 테이블(510)의 선단부는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의 우측 부분이고, 후단부는 도면의 좌측 부분이다.
이러한 진동 테이블(410, 510)은 진동 발생부(430, 530)와 연결되어 있으며, 진동 발생부(430, 530)에 의하여 진동 테이블(410, 510)을 진동할 수 있다.
진동 테이블(410, 510)이 진동하게 되면 진동 테이블(410, 510) 후단부에서 선단부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때 진동 테이블(410, 510)의 경사진 각도는 후단부를 기준으로 0˚보다 크다.
진동 발생부(430, 530)는 진동 부재(431, 531), 회전축(432, 532), 그리고 진동 모터(433, 533)를 포함한다.
진동 모터(433, 533)는 지지대(420, 520)에 고정되어 있으며 회전축(432, 532)과 연결되어 있다. 회전축(432, 532)에는 풀리가 결합되어 있고, 양쪽 끝은 지지대(420, 520)에 베어링 하우징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진동 모터(433, 533)의 동력이 벨트를 통하여 풀리에 전달되어 회전축(432, 532)은 기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432, 532)에는 진동 부재(431, 531)가 편심 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진동 부재(431, 531)의 단면 모양은 원형이다. 진동 부재(431, 531)의 외부 둘레 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진동 테이블(410, 510)의 저면과 접촉되어 있다. 진동 부재(431, 531)의 외부 둘레면과 진동 테이블(410, 510)의 저면은 항상 맞닿아 있다. 이에 따라 진동 부재(431, 531)가 회전축(432, 532)에 편심되어 있으므로 진동 부재(431, 531)의 위치가 달라지면서 진동 테이블(410, 510)이 흔들리게 된다. 진동 테이블(410, 510)이 흔들리는 방향은 후단부에서 선단부 방향으로 흔들린다.
이에 따라 회전축(432, 532)이 회전되면 편심된 진동 부재(431, 531)에 접촉되어 있는 진동 테이블(410, 510)은 편심 된 진동 부재(431, 531)에 의해 흔들린다. 이때 진동 테이블(410, 510)은 후단부에서 선단부 상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러한 진동 발생부(430, 530)는 여러 형태로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테이블(410, 510)을 진동시키는 구조라면 어떠한 것도 무방하다.
이렇게, 진동 테이블(410, 510)이 흔들리게 되면 분류부 진동 테이블(410)에 떨어진 분쇄 가공물은 진동 테이블(410) 위에서 튕기면서 알루미늄보다 비중이 큰 구리는 분류부 진동 테이블(410)이 흔들리는 선단부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경사 패널(411)을 통하여 제1 배출부 진동 테이블(510)의 위로 떨어지게 된다. 제1 배출부 진동 테이블(510) 위로 떨어진 구리는 진동하는 제1 배출부 진동 테이블(510)에 의하여 튕기면서 제1 배출부 진동 테이블(510)의 선단부 쪽으로 이동하여 수거 용기로 떨어져 수거된다.
한편, 분류부 진동 테이블(510)에 투입된 분쇄 가공물 중 비중이 작은 알루미늄은 구리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인 진동 테이블(410)의 후단부 쪽으로 이동하여 제2 배출부(600a)로 떨어진다. 이때 알루미늄의 이동은 유체 분사부(800)에서 분사되는 유체에 의하여 후단부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유체는 진동 테이블(410, 510)이 후단부에서 선단부로 경사져 있어 후단부 쪽으로 자연스럽게 흐르게 된다.
한편, 제1 배출부 진동 테이블(510)로 유입된 재생물 중 구리 보다 비중이 작은 재생물이 있다면 그 재생물은 제1 배출 진동 테이블(510)의 후단부쪽으로 이 동하여 배출 유로(600b)에 유입되어 배출 유로(600b)를 따라 유체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6를 다시 참조하여 유체 분사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6를 참조하면, 유체 분사부(800)는 유체 펌프(810), 연결관(820), 그리고 분출관(830)을 포함한다.
유체 펌프(810)는 유체를 압송하는 것으로 유체 이송관(도시하지 않음) 또는 수조(600a, 600b)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유체 펌프(810)에는 압송된 유체가 흐르는 연결관(820)이 결합되어 있으며, 연결관(820)에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분출관(830)이 배열되어 있다. 분출관(830)은 진동 테이블(410, 510)의 위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유체 펌프(810)의 압력에 의하여 이송되는 유체는 진동 테이블(410, 510)위로 분사되며, 분사 방향은 테이블이 기울어진 후단부 방향으로 분사된다. 이에 따라 알루미늄은 유체를 따라 분류부 요통 테이블(410)의 선단부 쪽에서 수조(600a)가 있는 후단부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체의 흐름에 따라 구리와 알루미늄을 보다 쉽게 분류하며, 유체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비중이 작은 알루미늄이 유체와 함께 이동하게 되어 비중이 서로 다른 구리와 알루미늄이 분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분출관(830)에는 밸브(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되어 있어 유체가 구멍으로 분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배출부 진동 테이블(510)에는 유체가 분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유체 분사부(40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즉, 분쇄된 가공물이 떨어지는 분류부 요동 테이블(410)을 흔들게 되면 분쇄 된 입자가 튕기면서 입자의 비중 차에 의하여 입자간에 층이 형성된다. 이때 분류부 요동 테이블(410)에 경사를 줌으로서 비중이 큰 입자는 진동의 영향을 받아 선단부로 이동하게 되고, 비중이 작은 입자는 유동상태로 되어 유체와 함께 후단부 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제2 배출부(7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제2 배출부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배출부(700)는 수조(600a), 이송관(710), 스크류(720), 구동모터(730), 그리고 침전조(740)를 포함한다.
수조(600a)는 분류부 진동 테이블(410)의 후단부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며 적어도 일부분이 분류부 진동 테이블(410)의 후단부와 중첩되어 있으며, 수조(600a)의 내부에는 침전조(740)가 배치되어 있다.
침전조(740)는 분류부 진동 테이블(410)의 후단부 끝과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비중이 작은 알루미늄 그리고 유체가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침전조(740)는 배출 유로(600b)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배출 유로(600b)를 따라 이동한 재생물이 침전조(74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배출 유로(600b)는 수조(600a)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침전조(740)의 바닥에는 비중이 작은 알루미늄이 쌓인다. 그러나 침전조(740)는 생략될 수 있다. 이때 에는 비중이 작은 알루미늄은 수조(600a)의 내부에 쌓일 수 있다.
배출관(710)의 일측은 침전조(740)에 결합되어 있으며, 다른 쪽 끝은 침전조(740)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배출관(710)의 한쪽 끝에는 유입구(711)가 형성되 어 있고, 다른 쪽 끝에는 배출구(7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배출관(710)의 다른 쪽 끝은 수조(600a)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침전조(740)의 바닥면에 쌓인 알루미늄은 유입구(711)를 통하여 배출관(7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송관(710)의 내부에는 스크류(720)가 배치되어 있으며, 스크류(720)의 한쪽 끝은 유입구(711) 쪽에 위치하고 다른 쪽 끝은 배출구(712)쪽에 위치한다. 이러한 스크류(720)는 이송관(710)에 설치된 구동모터(730)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크류(720)가 구동모터(730)의 동력에 의하여 기설정된 방향으로 회전되면 침전조(740)의 바닥에 쌓인 알루미늄은 스크류(720)를 배출구(712) 쪽으로 이송하여 배출하며, 배출구(712)에 도달한 알루미늄은 배출구(712)의 아래에 위치시킨 수거 용기로 수거된다.
그러나 제1 배출부(500) 및 제2 배출부(700)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분류부 진동 테이블(410)의 양끝에 수거 용기가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비중이 서로 다른 재생물이 분쇄된 상태에서 진동 테이블(410)의 흔들림에 의하여 분류되어 그 비중의 차이에 의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비중이 서로 다른 재생물을 간편하게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유체가 공급됨으로써, 유체의 흐름에 의하여 구리보다 비중이 작은 알루미늄이 유체를 따라 이동하게 되어 구리와 알루미늄의 분류를 보다 명확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분류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가공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가공부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파쇄 롤러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파쇄 롤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분류부 및 제1 배출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제2 배출부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가공부 110: 파쇄 몸체
120: 파쇄롤러 121: 파쇄 날
130: 파쇄 구동 장치 140: 분쇄부
141: 분쇄 몸체 142: 치차
143: 분쇄 구동부 150: 이송 컨베이어
200: 분쇄 이송부 300: 집진 장치
400: 분류부 500: 제1 배출부
410, 510: 진동 테이블 420, 520: 지지대
430, 530: 진동 발생부 431, 531: 진동 부재
432, 532: 회전축 433, 533: 진동 모터
411: 경사 패널 600a, 600b: 수조
700: 제2 배출부 710: 배출관
711: 유입구 712: 배출구
720: 스크류 730: 구동모터
740: 침전조 800: 유체 분사부
810: 유체펌프 820: 연결관
830: 분출관

Claims (12)

  1. 비중이 서로 다른 물질이 결합되어 있는 재생물이 투입되는 공간을 가지며 상기 재생물을 기설정된 크기의 가공물로 만드는 가공부,
    상기 가공물을 공급받고 흔들리어 상기 가공물을 비중 별로 나누는 분류부,
    상기 분류부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류부의 기설정된 방향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 분사부,
    상기 분류부의 선단에 위치한 제1 배출부, 그리고
    상기 분류부의 후단에 위치한 제2 배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분류부는 기설정된 방향으로 기울어져 흔들리며, 상기 분류부의 흔들림에 의하여 상기 가공물 중 비중이 큰 가공물은 상기 제1 배출부로 이동하고, 비중이 작은 가공물은 상기 유체와 함께 상기 제2 배출부로 이동하는
    분류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유체 분사부는,
    유체를 압송하는 유체 펌프,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관, 그리고
    한쪽 끝이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어 상기 분류부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 의 분사 구멍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분출관
    을 포함하며,
    상기 유체가 분사되는 방향으로 상기 비중이 작은 가공물이 이동하는
    분류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분류부 및 상기 제1 배출부는 각기
    지지대,
    상기 지지대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공물이 투입되는 진동 테이블,
    상기 지지대와 상기 진동 테이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대와 상기 진동 테이블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링크, 그리고
    상기 진동 테이블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 테이블을 흔드는 진동 발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발생부는
    진동 모터,
    상기 진동 모터와 동력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 그리고
    상기 회전축에 편심 결합되어 있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진동 테이블과 접촉하는 진동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 테이블은 흔들릴 때 기설정된 방향으로 기울어져 흔들리고, 상기 진동 테이블의 낮은 쪽으로 상기 비중인 작은 가공물이 이동하고, 진동 테이블의 높은 쪽으로 상기 비중이 큰 가공물이 이동하는
    분류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제2 배출부는
    상기 분류부 진동 테이블 후단부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수조,
    상기 수조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분류부 진동 테이블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배출부의 수조와 연결되어 있는 침전조,
    한쪽 끝이 상기 침전조에 배치되어 있고 다른 쪽 끝이 상기 침전조 외부에 위치하며, 유입구와 출구를 가지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 내부에 배치되어 한쪽 끝이 상기 침전조 바닥면에 위치한 스크류, 그리고
    상기 스크류와 연결되어 있는 스크류 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분류 장치.
  5. 제4항에서,
    한쪽 끝이 상기 제1 배출부 진동 테이블의 후단부 아래에 위치하며 다른 쪽 끝이 상기 침전조와 연결되어 있는 배출 유로를 더 포함하는 분류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가공부는
    상기 재생물이 투입되는 공간을 가지는 파쇄 몸체,
    상기 파쇄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외부 둘레면에 파쇄 날이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파쇄롤러, 그리고
    상기 파쇄롤러와 연결되어 있는 파쇄 구동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파쇄롤러의 파쇄 날은 서로 맞물려 있는
    분류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가공부는
    상기 파쇄된 재생물이 투입되는 공간을 분쇄 몸체,
    상기 분쇄 몸체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커터 롤러,
    상기 커터 롤러의 외부 둘레면에 배열되어 있는 제1 커터, 그리고
    한쪽 끝이 상기 분쇄 몸체의 내부 둘레면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 쪽 끝이 상기 제1 커터와 마주하는 제2 커터,
    상기 커터롤러와 연결되어 있는 분쇄 구동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커터와 상기 제2 커터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분류 장치.
  8. 제7항에서,
    한쪽 끝이 상기 파쇄 몸체에 위치하고 다른 쪽 끝이 상기 분쇄 몸체에 위치한 이송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한쪽 끝은 상기 파쇄 몸체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재생물이 상기 이송 컨베이어 위로 떨어지는 분류 장치.
  9. 제7항에서,
    한쪽 끝이 상기 분쇄 몸체와 연결되어 있고 다른 쪽 끝이 상기 분류부와 연결되어 있는 분쇄 이송부 및 상기 분쇄 몸체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쇄된 가공물을 상기 분쇄 이송부로 이송하는 이송 스크류를 더 포함하는 분류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분쇄 이송부와 상기 분류부의 진동 테이블 사이에 위치하며 내부가 상하 관통되어 있는 집진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집진 장치의 내부 둘레 면에는 나선형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분류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집진 장치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가 상하 관통되어 있는 흩트림 몸체,
    상기 흩트림 몸체 내부에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분쇄된 가공물과 부딪칠 수 있는 흩트림 부재, 그리고
    상기 흩트림 몸체와 연결되어 있는 흩트림 모터
    를 더 포함하는 분류 장치.
  12. 비중이 다른 물질이 결합되어 있는 재생물이 투입되는 공간을 가지며 상기 공간에 상기 재생물을 기설정된 크기로 파쇄 가공하는 파쇄롤러가 배치되어 있는 파쇄 몸체,
    상기 파쇄된 재생물이 투입되는 공간을 가지며, 상기 공간에 상기 파쇄된 가공물을 분쇄 가공하는 복수의 제1 커터 및 제2 커터가 배치되어 있는 분쇄 몸체,
    일측이 상기 분쇄 몸체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분쇄 가공물을 타측으로 이송하는 분쇄 이송부,
    상기 분쇄 이송부의 타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분쇄 가공물을 전달 받고, 상기 분쇄 가공물과 이물질을 분리하는 집진 장치, 그리고
    상기 집진 장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분쇄 가공물을 전달받으며 흔들리어 상기 분쇄 가공물을 비중에 따라 분류하는 진동 테이블
    을 포함하는 분류 장치.
KR1020090051285A 2009-06-10 2009-06-10 분류 장치 Active KR100918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285A KR100918426B1 (ko) 2009-06-10 2009-06-10 분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285A KR100918426B1 (ko) 2009-06-10 2009-06-10 분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8426B1 true KR100918426B1 (ko) 2009-09-24

Family

ID=41355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285A Active KR100918426B1 (ko) 2009-06-10 2009-06-10 분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842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644B1 (ko) 2013-04-11 2014-11-21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
KR101658323B1 (ko) * 2015-12-14 2016-09-22 신중민 구리주물과 구리용해로에서 발생하는 폐슬러지에서의 구리회수장치
KR102438428B1 (ko) * 2021-11-04 2022-08-31 (주)코라솔 폐전선 방사성 물질 제염 및 측정시스템
KR102471496B1 (ko) * 2021-05-27 2022-11-28 주식회사 한국금시장그룹 암석 파쇄 시스템
CN117859452A (zh) * 2024-02-26 2024-04-12 湖南天丰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棉花种子去壳工艺及装置
KR20240102190A (ko) * 2022-12-26 2024-07-03 진수곤 파우치형 전지의 동 분리 회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6115A (en) 1990-08-01 1993-09-21 Centro Sviluppo Settori Impiego S.R.L. Process for separating heterogeneous plastic material into homogeneous fractions and apparatus useful to this purpose
KR20020051900A (ko) * 2002-04-08 2002-06-29 이정주 복합물 분리기술을 이용한 폐자원으로 부터의 자원 재생방법
KR20040028023A (ko) * 2002-09-28 2004-04-03 성남균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
KR100697588B1 (ko) 2006-05-30 2007-03-20 (주)썬프라자 폐비닐 재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6115A (en) 1990-08-01 1993-09-21 Centro Sviluppo Settori Impiego S.R.L. Process for separating heterogeneous plastic material into homogeneous fractions and apparatus useful to this purpose
KR20020051900A (ko) * 2002-04-08 2002-06-29 이정주 복합물 분리기술을 이용한 폐자원으로 부터의 자원 재생방법
KR20040028023A (ko) * 2002-09-28 2004-04-03 성남균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
KR100697588B1 (ko) 2006-05-30 2007-03-20 (주)썬프라자 폐비닐 재생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644B1 (ko) 2013-04-11 2014-11-21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어패류 부산물 분류 처리시스템
KR101658323B1 (ko) * 2015-12-14 2016-09-22 신중민 구리주물과 구리용해로에서 발생하는 폐슬러지에서의 구리회수장치
KR102471496B1 (ko) * 2021-05-27 2022-11-28 주식회사 한국금시장그룹 암석 파쇄 시스템
KR102438428B1 (ko) * 2021-11-04 2022-08-31 (주)코라솔 폐전선 방사성 물질 제염 및 측정시스템
KR20240102190A (ko) * 2022-12-26 2024-07-03 진수곤 파우치형 전지의 동 분리 회수장치
KR102773886B1 (ko) 2022-12-26 2025-02-27 진수곤 파우치형 전지의 동 분리 회수장치
CN117859452A (zh) * 2024-02-26 2024-04-12 湖南天丰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棉花种子去壳工艺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426B1 (ko) 분류 장치
CN1246133C (zh) 树脂再生系统
KR100411382B1 (ko) 혼합 폐기물의 처리 방법, 처리 설비 및 그 처리 설비용완충 사일로
US6460706B1 (en) Disc screen apparatus with air manifold
US200400946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cessing of used tires and other materials
CN100406126C (zh) 金属罐回收系统
JP2016087952A (ja) リサイクル処理装置
US69766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inding rubber
JP2019072703A (ja) 生ゴミ処理プラント
JP2002254431A (ja) 廃プラスチックのリサイクル設備
KR20220168426A (ko) 폐기물 재활용 스크린선별기를 갖는 풍력선별기
KR20090003015A (ko) 유리 파쇄시스템
KR100904303B1 (ko) 비중 차를 이용한 폐 플라스틱류 습식 선별방법
US12201992B2 (en) Apparatus for homogenization and separation of substance mixtures composed of particles
CA23109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cessing of used tires and other materials
CN110586629A (zh) 垃圾粗处理方法
JP4181947B2 (ja) 中身入容器分離処理装置
JP6958930B2 (ja) 廃プラスチックの水流式破砕片供給装置
CN210546966U (zh) 一种废冰箱拆解破碎回收线
KR100647992B1 (ko) 진동식 전선피복 선별장치
CN113560163A (zh) 一种全自动碟片分选筛机构
KR200403511Y1 (ko) 생활쓰레기 선별장치
KR100288387B1 (ko) 합성수지류의 칩재생장치 및 칩재생방법
JP3000347U (ja) 廃棄物処理装置
CN212396998U (zh) 一种煤矿石洗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9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9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1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