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17342B1 -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시프트로드와 변속레버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시프트로드와 변속레버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7342B1
KR100917342B1 KR1020080040009A KR20080040009A KR100917342B1 KR 100917342 B1 KR100917342 B1 KR 100917342B1 KR 1020080040009 A KR1020080040009 A KR 1020080040009A KR 20080040009 A KR20080040009 A KR 20080040009A KR 100917342 B1 KR100917342 B1 KR 100917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rod
shift lever
lev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용
홍승문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0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34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60K20/04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floor moun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6Details or special features of the selector casing or leve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시프트로드와 변속레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시프트로드와 변속레버를 연결하여 주는 로드의 길이가 짧아 변속레버를 동작시키면 로드가 큰 각도로 작동되어 그만큼 변속레버의 변속궤적이 부자연스러워 변속시 운전자에게 전해지는 변속느낌이 좋지않아 승차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동변속기의 변속기케이스(400) 상면에 설치되는 시프트로드(300)와 변속레버(100)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변속기케이스(400) 상면에 시프트로드(300)의 하우징(310)을 설치할 때 하우징(310)의 후미는 변속레버(100)의 하단부(110)를 향하고 시프트로드(300)는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하여 시프트로드(300)와 변속레버(100)의 하단부(110) 간격을 멀어지게 하고, 그 간격이 멀어진 시프트로드(300) 선단과 변속레버(100)의 하단부(110)를 길다란 로드(200)로 연결하여 변속레버(100)가 완만한 각도의 변속 궤적으로 동작되게 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변속레버(100)의 하단부(110)와 변속기끝단의 시프트로드(300)의 간격이 서로 떨어지게 설치하므로서 로드(200)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에 따라 로드(200)가 작은각도로 이동되어 변속레버(100)를 조작시 변속레버(100)가 완만한 각도의 변속 궤적으로 동작되어 운전자가 변속레버(100)를 작동시 전해오는 변속느낌이 좋아 승차감이 향상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수동변속기, 변속레버,로드,시프트로드,변속기케이스

Description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시프트로드와 변속레버의 연결구조{Connecting device for shiftrod and charge lever of manual transmission for a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시프트로드와 변속레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변속레버와 변속기케이스에 설치되는 시프트로드를 연결하여 주는 로드를 길게 형성하여 변속레버가 완만한 각도의 변속 궤적으로 동작되게 하므로서기어 변속시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변속느낌을 좋게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시프트로드와 변속레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주행하는 경우에 필요로 하는 구동력은 화물의 적재유무나 도로의 상황 및 주행속도 등에 의해 크게 변화하므로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엔진과 구동바퀴 사이에서 토크를 변화시키는 장치가 필요한데 이러한 장치를 변속기라 하고, 주행상태에 따라 적절히 구동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엔진은 역회전을 할 수 없으므로 자동차를 후진시키기 위한 기어장치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즉, 변속기는 기어를 축에 결합하되 여러개의 기어를 갖추고 그의 물림을 바꾸어 주므로서 구동바퀴에 가해지는 구동토크와 회전속도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변속기는 기어를 축에 결합하되 그 위치를 축상에서 변화시키므로서 다른축에 고정되어 있는 또다른 기어들과 조합을 이루어 여러가지 속도비를 얻도록 한 것이며, 또한 축상에서 위치를 변환하는 변환기어는 변속레버를 이용하여 그 위치를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변속레버는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다.
또한 변속기는 운전자가 수동으로 변속하는 수동변속기와 주행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는 자동변속기 등으로 나누어 지는데 수동변속기는 클러치페달을 설치하여 운전자가 매 변속시마다 클러치페달을 밟아 엔진의 동력을 끊었다가 변속이 끝난다음 밟았던 클러치페달을 놓아 동력을 다시 연결해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자동변속기는 클러치페달의 작용과 변속의 작용을 자동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통상 토크 컨버터와 유성기어식 변속기를 조합한 것이 많이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의 수동변속기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1 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수동변속기에서는 운전자가 조작하는 변속레 버(10)의 하단부(11)에 로드(20)를 설치하고, 그 로드(20)는 변속기케이스(40)에 설치된 시프트로드(30)에 연결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변속레버(10)를 조작하면 로드(20)가 회동되는 것이고, 그 로드(20)의 회동에 의해 시프트로드(30)가 전후진 및 회전되면서 기어를 변속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변속기케이스(40)에 시프트로드(30)의 하우징(31)을 설치시 하우징(31)의 선단이 변속레버(10)의 하단부(11)를 향하게 설치하여 시프트로드(30)가 변속레버(10)의 방향으로 설치됨에 따라 로드(20)의 설치공간이 협소하여 로드(20)의 길이가 짧아져 도2에서와 같이 변속레버(10)를 동작시 로드(20)의 회동되는 각도가 커져서 변속레버(10)가 큰 각도의 변속궤적으로 동작되게 됨에 따라 변속이 부자연스러워 짐에따라 변속시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변속느낌이 좋지않아 그만큼 승차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로드의 길이를 길게하여 변속레버가 완만한 각도의 변속 궤적으로 동작되도록 하므로서 변속시 운전자에게 전해지는 변속느낌을 좋게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시프트로드와 변속레버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동변속기의 변속기케이스 상면에 설치되는 시프트로드와 변속레버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변속기케이스 상면에 시 프트로드의 하우징을 설치할 때 하우징의 후미는 변속레버의 하단부를 향하고 시프트로드는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하여 시프트로드와 변속레버의 하단부 간격을 멀어지게 하고, 그 간격이 멀어진 시프트로드 선단과 변속레버의 하단부를 길다란 로드로 연결하여 변속레버가 완만한 각도의 변속 궤적으로 동작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시프트로드와 변속레버의 하단부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게 설치하여 시프트로드와 변속레버를 연결해주는 로드의 길이를 길게할 수 있으므로 기어 변속시 변속레버가 완만한 각도의 변속 궤적으로 동작되게 하므로서 변속레버를 변속시 궤적이 자연스러워 운전자에게 전해지는 변속느낌을 좋아져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에서 변속레버와 시프트로드가 연결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에서 시프트로드에 연결된 변속레버가 변속되는 각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수동변속기의 변속기케이스(400) 상면에 설치되는 시프트 로드(300)와 변속레버(100)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변속기케이스(400) 상면에 시프트로드(300)의 하우징(310)을 설치할 때 하우징(310)의 후미는 변속레버(100)의 하단부(110)를 향하고 시프트로드(300)는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하여 시프트로드(300)와 변속레버(100)의 하단부(110) 간격을 멀어지게 한다.
그리고 그 간격이 멀어진 시프트로드(300) 선단과 변속레버(100)의 하단부(110)를 길다란 로드(200)로 연결하여 변속레버(100)가 완만한 각도의 변속 궤적으로 동작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500)은 변속레버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게 한 고정브라켓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변속기와 연결된 시프트로드(300)와 변속레버(100)의 하단부(110)사이를 로드(200)로 연결하여 변속레버(100)를 조작하면 로드(200)의 작동에 의해 시프트로드(300)가 전후진되어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종래와 마찬가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특징은 시프트로드(300)와 변속레버(100)의 사이를 멀어지게 설치한후 그 멀어진 거리만큼 로드(200)의 길이를 길게할 수 있으므로서 변속레버(100)가 완만한 각도의 변속 궤적으로 동작되게 하여 변속레버(100)를 조작시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변속느낌을 좋게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3에서 예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변속기케이스(400)상면에 시프트로드(300)의 하우징(310)을 설치시 하우징(310)의 후미가 변속레버(100)의 하단부(110)를 향하도록 설치하여 자연적으로 시프트로드(300)는 변속레버(100)의 하단 부(110)와는 반대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하므로서 시프트로드(300)와 변속레버(100)의 사이를 그만큼 종래보다 멀리 떨어지게 하였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시프트로드(300)와 변속기레버(100)의 하단부(110)사이가 멀어지게 설치하므로서 시프트로드(300)와 변속레버(100)를 연결하여 주는 로드(200)역시 그만큼 길이를 길게 제작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변속레버(100)를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500)은 로드(200)를 길게 제작함에 따라 로드(200)의 간섭을 받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변속기케이스(400)에 설치하였다.
이렇게 로드(200)의 길이를 길게 제작하여 설치하게 되면 변속레버(100)의 조작으로 인해 작동되는 로드(200)가 작은 각도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즉, 도 4에서와 같이 변속레버(100)가 완만한 각도의 변속 궤적으로 동작되어 변속시 궤적이 자연스럽게 되는 것이므로 변속시 운전자에게 전해지는 변속느낌이 좋아져 그만큼 승차감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수동변속기에서 변속레버와 시프트로드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종래 수동변속기에서 시프트로드에 연결된 변속레버가 변속되는 각도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에서 변속레버와 시프트로드가 연결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에서 시프트로드에 연결된 변속레버가 변속되는 각도를 예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변속레버 110 : 하단부
200 : 로드 300 : 시프트로드
310 : 하우징 400 : 변속기케이스

Claims (1)

  1. 수동변속기의 변속기케이스(400) 상면에 설치되는 시프트로드(300)와 변속레버(100)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변속기케이스(400) 상면에 시프트로드(300)의 하우징(310)을 설치할 때 하우징(310)의 후미는 변속레버(100)의 하단부(110)를 향하고 시프트로드(300)는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하여 시프트로드(300)와 변속레버(100)의 하단부(110) 간격을 멀어지게 하고,
    그 간격이 멀어진 시프트로드(300) 선단과 변속레버(100)의 하단부(110)를 길다란 로드(200)로 연결하여
    변속레버(100)가 완만한 각도의 변속 궤적으로 동작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시프트로드와 변속레버의 연결구조.
KR1020080040009A 2008-04-29 2008-04-29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시프트로드와 변속레버의 연결구조 Active KR100917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009A KR100917342B1 (ko) 2008-04-29 2008-04-29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시프트로드와 변속레버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009A KR100917342B1 (ko) 2008-04-29 2008-04-29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시프트로드와 변속레버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7342B1 true KR100917342B1 (ko) 2009-10-05

Family

ID=41571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009A Active KR100917342B1 (ko) 2008-04-29 2008-04-29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시프트로드와 변속레버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73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0178A (ja) * 1993-12-27 1995-07-2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産業車輛における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変速操作装置
KR100405419B1 (ko) * 2000-12-13 2003-11-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 차량의 변속레버 진동저감 링크구조
KR20040006915A (ko) * 2002-07-16 2004-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장력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0178A (ja) * 1993-12-27 1995-07-2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産業車輛における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変速操作装置
KR100405419B1 (ko) * 2000-12-13 2003-11-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 차량의 변속레버 진동저감 링크구조
KR20040006915A (ko) * 2002-07-16 2004-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장력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897B1 (ko) 자동화 수동변속기
CN211117538U (zh) 用于车辆的换挡驻车系统以及具有其的车辆
CA2584642A1 (en) Hybrid motor vehicle with sequential gearshift lever
JP2007106394A (ja) 電動駆動システム及びそのための運転方法
US7841254B2 (en) All-terrain vehicle gear-shifting safety device
US9156442B2 (en) Parking mechanism for vehicle
JP2008120315A (ja) 車両のパワートレーン
KR20120133762A (ko) 자동화 수동 변속기용 액츄에이터
KR100917342B1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시프트로드와 변속레버의 연결구조
KR20210050704A (ko)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용 수동 조작 유닛
CN105526321A (zh) 一种变速器
KR20040032395A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JP2006519958A (ja) 手動変速機装着用自動変速装置
KR100746211B1 (ko) 수동변속기 장착용 자동변속장치
KR20090081485A (ko) 듀얼 클러치 변속기용 변속 액츄에이터의 인터락 장치
KR100851240B1 (ko) 자동차용 변속기의 컨트롤케이블 조절장치
KR102829320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후진 제어방법
KR101376752B1 (ko) 자동차용 보조 변속장치
US20150059524A1 (en)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KR200170194Y1 (ko) 플로워형 변속레버의 와이어 고정 구조
KR20080107568A (ko) 수동 변속기의 컨트롤 핑거의 가이드 장치
KR200152215Y1 (ko) 가변 레버비에 의한 차량용 변속 레버장치
KR100912778B1 (ko) 후륜 구동 차량의 트랜스미션 장치
KR100834230B1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오일실 일체형 슬리브 가이드 장치
KR20130126117A (ko) 자동화 수동 변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9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9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