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17130B1 - 다중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를 이용하여 무선 랜 환경에서 수집한 모든 채널의 패킷 수집 및 전달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를 이용하여 무선 랜 환경에서 수집한 모든 채널의 패킷 수집 및 전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7130B1
KR100917130B1 KR1020070018851A KR20070018851A KR100917130B1 KR 100917130 B1 KR100917130 B1 KR 100917130B1 KR 1020070018851 A KR1020070018851 A KR 1020070018851A KR 20070018851 A KR20070018851 A KR 20070018851A KR 100917130 B1 KR100917130 B1 KR 100917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lan
packet
wireless lan
grabber
pa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8960A (ko
Inventor
조병순
Original Assignee
시앤시인스트루먼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앤시인스트루먼트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시앤시인스트루먼트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8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130B1/ko
Publication of KR20080078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적인 무선 랜 환경에 있어서, 무선 랜 분석기를 혹은 시스템을 위한 다중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의 운용방법과 상기 다중 알 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를 활용하여 무선 랜 전 채널을 대상으로 무선 랜의 효율적이고 손실률이 없는 모든 패킷의 수집, 원격 망관리(NMS) 및 기기 관리 그리고 무선 랜 패킷의 효율적인 전달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 1개 이상의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를 이용하여 모든 채널 혹은 일부 채널에서 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는 패킷을 효율적으로 손실률 없이 수집하고 전달하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용어의 정의 :
1. 무선 랜 전 채널은 802.11a의 경우 5.170 ~ 5.825GHz 주파수 대역에서 35번 ~ 165번 채널까지이고, 802.11 b/g의 경우 2.412 ~ 2.484GHz 주파수 대역에서 1 ~ 14 채널까지를 의미한다. 즉 무선 랜 통신 환경에서 제공하는 모든 통신 채널을 의미한다.
2. 알에프그래버(RF Grabber)는 무선 랜 혹은 무선통신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모든 전파신호, 통신에 필요한 각종 제어 및 상태신호 와 데이터 등을 수집하는 장치 즉 수집기를 의미한다. 이후 알에프 그래버는 수집기로도 병행하여 사용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 즉 하나 혹은 여러 개의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로 패킷 수집기를 구성하여 운영하는 방법으로 1개의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무선 랜의 각 채널 영역을 변경하여 가면서 무선 랜 패킷을 수신하여 저장장치에 기록하고, 패킷 수신 속도와 패킷 수집 시간을 연산하여 패킷 양을 산출한 후 더 많은 통신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채널에 대하여 수신 시간을 다른 채널보다 가중치를 주어 더 많이 할애한다.
따라서 N개의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가 장착되었을 경우에 각 채널의 패킷 수신이 많은 순서로 채널을 정렬하고, N-1 개의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에 각 채널을 전담하여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하며, 나머지 1개의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로 할당받지 않은 잔여 채널을 순회하면서 무선 랜 패킷을 수집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과정을 일정 주기로 반복하면서 주요 통신 채널이 수시로 바뀌는 유동적인 무선 랜 환경에 적절히 대응하여 무선 랜 패킷을 효율적으로 수집하고, 수집기에 내장된 이중 버퍼 구조와 다중 입출력 방식을 사용하여 수집한 패킷을 무선 랜 분석기까지 손실 없이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랜, IEEE 802.11x, 무선 랜 패킷 수집, 무선 랜 분석, 채널 분석

Description

다중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를 이용하여 무선 랜 환경에서 수집한 모든 채널의 패킷 수집 및 전달방법{Packet reception of entire channels with wireless lan environment using by multi RF Grabber, Wireless Lan Card, or Unit, and Effective transmitt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한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와 무선 랜 패킷 수집 및 전달 장치를 도시한 구성 블럭도.
도 2a, 2b는 무선 랜 패킷 수집할 때 통신시 발생하는 패킷 량에 따라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에 해당하는 최적의 채널과 수집 시간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수행 흐름도.
도 3은 무선 랜 분석 장치의 요청으로 무선 랜 패킷을 전달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수행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알에프 그래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알에프 그래버 세팅과정에서 현지 어댑터(Local Adapter)의 세팅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알에프 그래버 세팅과정에서 원격어댑터(Remote Adapter)의 세팅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알에프 그래버 세팅과정에서 알에프 그래버의 아이피 어드레스(ID Address) 입력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알에프 그래버 세팅과정에서 로그인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알에프 그래버 세팅과정에서 상태(Status) 접속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알에프 그래버 세팅과정에서 셋업(Setup) 접속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알에프 그래버 세팅과정에서 패스워드(Password) 접속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알에프 그래버 세팅과정에서 시큐리티(Security) 접속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알에프 그래버 세팅과정에서 패치(Patch) 접속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알에프 그래버 세팅과정에서 백업(Backup)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1개 이상의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를 기반으로 무선 랜 환경에서 효율적인 무선 랜 패킷을 수집하고 전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랜 분석 장치는 보통 하나의 무선 랜 카드를 기반으로 하여 802.11 a의 경우 5.170 ~ 5.825GHz주파수 대역에서 35 ~ 165 채널, 802.11 b/g의 경우 2.412 ~ 2.484GHz 주파수 대역에서 1 ~ 14 채널을 제공한다. 기존 방식으로 패킷을 수집할경우 통상적으로 상기 채널 중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한 채널의 패킷만을 수집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내의 경우는 802.11b/g를 보편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총 14개의 채널 중 사용자가 하나의 채널만을 지정하여야만 패킷을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외국 혹은 타사의 무선 랜 분석기를 이용하여 패킷을 수집할 경우 지정한 채널 외에 같은 시간에 다른 채널에서 송수신되는 무선 랜 패킷들은 수집할 수 없음으로 분석이 불가능하다. 특히 채널 고정방식은 주요 통신 채널이 수시로 바뀌는 유동적인 무선 랜 환경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어 한눈에 지정한 노드(Node)에서 발생하는 모든 채널의 패킷 송수신 양을 알 수 없다.
설령, 기존의 제품 중 일정 시간 동안 각 채널을 순회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능이 있다 할지라도, 이는 각 채널에서 실제 발생하는 무선 랜 패킷의 송수신 양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인 시간 분할에 따른 수집 방법이다. 그로 인해 통신이 보다 활발한 채널이 발생한다 할지라도 그렇지 않은 채널에 할당되어 있는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를 통신이 활발한 채널로 전환할 수 없다. 그 때문에 통신이 활발한 채널에서 발생한 모든 패킷을 유실하게 된다. 기본제품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무선 랜 환경의 분석, 엔엠에스(NMS), 보안, 최적화 등에 필수적인 패킷을 수집하는데 있어서 현재까지 해결할 수 없는 장애로 남아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한된 자원 내에서 무선 랜 전체 채널에 대해 보다 효율적이고, 유동적으로 대처하여 다양하게 패킷을 수집하고, 무선 랜 분석 시스템들이 지원하는 분석, 엔엠에스(NMS), 보안, 최적화 등에 필수적인 실제 패킷과 신호들을 완전하게 수집하여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 주기로 무선 랜에서 사용하는 채널을 검색하여 통신 활동이 가장 활발한 순서로 정렬하고, N개의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들을 통신이 많이 발생하는 순서로 배정하고, 무선 랜 패킷을 손실률 없이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최적화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랜 패킷을 수집하고, 상기의 방법에 의해 대량으로 수집된 패킷을 선행적으로 수집기의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수집기나 분석기의 요청이 있을 때 저장된 패킷들을 이중 버퍼구조와 다중 입출력 구조를 이용하여 손실 없이 지정한 단수 혹은 복수개의 무선 랜 분석기에 전달하는 방법을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 랜 패킷 수집을 위한 무선 랜 수집기의 채널을 설정하고 수집함에 있어서, 우선 무선 랜 통신이 가장 활발한 채널을 분석하기 위해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 1개를 사용하여 일정시간 동안 각 채널을 순회하면서 송수신된 무선 랜 패킷의 양을 측정하고, 무선 랜 패킷의 송수신 양이 많은 순서에 따라서 채널을 정렬하고, N개의 수집기가 있을 경우 N-1 개의 수집기를 패킷 양이 많은 채널의 순서대로 배치한다. 즉 1개의수집기 당 1채널의 패킷을 전담하여 수집하도록 한다.
최종으로 남은 1개의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를 사용하여 전담 수집기를 할당 받지 못한 잔여 채널들에 대하여 일정 시간 동안 각 채널을 순회하면서 송수신 된 무선 랜 패킷의 양을 측정하고, 패킷 양에 따라 채널을 정열 하고, 패킷 양이 많은 채널에 대하여 더 많은 패킷 수집 시간을 할애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각 채널의 무선 랜 패킷 수집 시간을 달리하여 획일적인 시간 분배 시 무선 랜 패킷 송수신 양이 적은 채널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시간을 할당하는 것과 같은 문제점을 혁신함으로써 패킷 송수신 양이 많은 채널의 무선 랜 패킷이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채널이 수시로 변경되는 유동적인 무선 랜 환경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을 주기로 상기의 과정을 반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수집되는 무선 랜 패킷은 무선 랜 분석기에 전달되기 전에 먼저 무선 랜 패킷 수집기의 관리 영역 즉 저장장치 혹은 메모리 등에 보관하는데 이는 상기 무선 랜 분석기의 패킷 요구 시점과 패킷 수집기의 패킷 수신 시점의 격차나 실시간 송수신 시 발생하는 부하 등의 이유로 인해 발생하는 패킷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버퍼 구조이다.
특히 비동기적 입력 및 출력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다중 입출력 방식으로 상기 N개의 무선 랜 수집기가 N개의 무선 랜 분석기에 패킷을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 랜 분석기의 전달 요청 여부와 상관없이 수집기가 선행적으로 패킷을 수집하여 저장한다. 더 나아가 수집기가 사용자가 설정한 수만큼의 무선 랜 패킷을 수집하였을 때나 혹은 분석기나 시스템의 요청이 있을 때 수집기가 순차적으로 패킷을 분석기까지 전송하는 명령을 이행함으로써 무선 랜 패킷 수집기와 무선 랜 분석기 사이의 상호 통신 격차와 명령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패킷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다수의 무선 랜 채널에서 수집한 대량의 패킷을 손실 없이 수집 및 전달할 수 있는 혁신적인 방법과 장치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유동적인 무선 랜 환경에서 무선 랜 패킷을 수신하고 전달하는 전체 구성의 예시도이다.
상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 등에서 수신된 패킷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영역과 무선 랜 분석 장치의 다중 입출력 요청을 기록하는 대기열로 구성된다.
도 2a, 2b는 무선 랜 패킷을 수집할 때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가 제공하는 모든 채널에서 발생하는 통신 패킷 양에 따라 최적화된 수집기, 수집 시간 등을 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수행 흐름도이다.
도 2a는 1개 혹은 사용하는 통신 채널 수 보다 적은 수량의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를 사용할 때의 흐름도로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선 랜 전체 채널에 대해서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의 수와 사용 채널수를 파악(S100)하고, 802.11x의 모든 채널을 스캔(S110)을 하게 되는데 상기 스캔 방식은 수동 방식에 의한 사용자 지정과 자동 방식에 의한 오토 스캔(Auto Scan)방식 중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스캔 한 각 채널 별로 송신 및 수신되는 무선 랜 패킷 량을 기록 및 분석(S120)을 하며, 상기 기록 및 분석한 무선 랜 패킷의 양에 대하여 채널별로 패킷 량을 계산(S130)하고, 상기 무선 랜 패킷 양에 따라 N-1 개의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에 각각 하나씩의 전담채널을 설정하여 배치(S140)한다.
여기서 무선 랜 패킷 수집기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의 수와 통신 채널수를 비교(S150)하여 상기 무선 랜 패킷 수집기의 수가 사용 채널수와 동일하거나 많을 경우에는 상기의 과정에서 종료가 되나, 상기 무선 랜 패킷 수집기 수가 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는 채널수 보다 적을 경우에는 통신이 많은 채널에 배정하고 남은 하나의 알에프 그래버 또는 1개의 무선 랜 카드나 기기로 배정되지 않은 나머지 채널들을 일정 주기로 순회하면서 패킷 량을 수집하고 계산(S160)하여, 패킷양이 많은 채널 순서대로 배열하고, 수집시간을 통신이 활발한 채널에 대해 더 많이 배정(S170)함으로써 하나의 패킷 수집기를 사용하여 잔여 채널에 대한 패킷을 수집할 경우에도 손실률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일정 시간을 주기로 상기 과정을 반복하며 S170단계 후에 S100 ~ S160 단계에 상관없이 반복하여 수행함으로 수집기의 패킷 손실률을 최소화하거나 없앨 수 있다.
또한 도 2b는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가 사용 채널수만큼 있거나, 더 많이 있거나 혹은 채널수 보다 더 적게 있을 때의 흐름도이다.
상기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선 랜 분석기에 탑재되었거나 연결된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의 숫자를 파악(S200)하고, 상기 패킷 수집기가 설치된 노드(Node)에서 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는 방식(802.11 a/b/g/e/n/x 등)을 파악(S210)하고, 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는 채널(S220)을 파악하며, 채널별로 발생하는 패킷 양을 분석 및 파악(S230) 한다.
그리고 상기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의 수와 사용하는 채널 수를 비교하여 상기 패킷 수집기가 사용하는 채널 수보다 같거나 많은 경우(S240)에는 패킷 량과 통신 방식(802.11 a/b/g/e/n/x 등)에 따라 최적의 기기를 배정하고, 남은 수집기는 대기(S270)시킨다.
상기 채널별로 배정한 수집 기기로부터 각각의 채널에서 수집한 패킷에 대하여 저장, 관리, 필터링, 명령 해독을 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목적지로 패킷 전송 등을 실행(S280)하며, 상기 무선 랜 분석기 또는 사용자의 명령이나 셋업(Setup) 등의 요청이 있을 때 상기 패킷 수집기에서 명령을 해석하여 실행(S290)한다.
여기서 상기 패킷 수집기의 수가 사용하는 채널 수보다 적을 경우에는 N-1 개의 수집기는 패킷 양이 많은 채널 순서로 배정하고 남은 하나의 수집기로 잔여 채널에서 발생하는 패킷 량을 계산(S250)하여, 패킷 량이 많은 채널에 수집시간을 더 많이 배정(S260)하고, 패킷 량과 통신 방식(802.11 a/b/g/e/n/x 등)에 따라 최적의 기기를 각각의 채널 별로 배정(S270)한다. 상기 채널 별로 배정한 기기로부터 각각의 채널에서 수집한 패킷에 대하여 저장, 관리, 필터링, 명령 해독을 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목적지로 패킷 전송 등을 실행(S280)하며, 상기 무선 랜 분석기 또는 사용자의 명령이나 셋업(Setup) 등의 요청이 있을 때 상기 패킷 수집기에서 명령을 해석하여 실행(S290)한다.
그리고, 일정 시간을 주기로 상기 과정을 반복 실행하여 패킷 수집기의 패킷 손실률을 최소화하거나 없앨 수 있다.
도 3은 무선 랜 패킷의 전달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선 랜 패킷 수집기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를 사용자의 설정요구와 부합되게 셋업(Setup)하며 (S300), 상기 수집기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에서 무선 랜 패킷을 수집하여(S310), 플래쉬(Flash) 32MB 이상, SDRAM 128MB 이상 또는 메모리 카드나 장치 등의 저장 영역에 저장(S320) 한다.
그리고 상기 패킷수집기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와 연결되어 있는 무선 랜 분석기 또는 서버에서 무선 랜 패킷에 대한 송출을 요청하고(S330), 상기 송출 요청에 대한 명령을 수집기가 해석하여 수집기의 저장 영역에 있는 무선 랜 패킷을 분석기나 서버에게 송출한다(S340).
마지막으로 상기 무선 랜 분석기 또는 서버에서는 상기 저장 영역에서 송출된 무선 랜 패킷에 대해서 수신 확인을 한다(S35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가 무선 랜 패킷을 수집하고, 수집한 무선 랜 패킷은 수집기의 저장 영역(저장장치)에 보관한다. 그리고 N개의 무선 랜 패킷 분석 장치로부터 받은 무선 랜 패킷 송출 명령을 수집기에 내장된 2중 버퍼의 입출력 대기열에 기재한다.
또한, 상기 무선 랜 패킷 수집기에서 무선 랜 분석기로 무선 랜 패킷을 전송하는 시점은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패킷의 양이 사용자가 정해놓은 일정한 비율이 되었을 경우와 상기 무선 랜 패킷 수집기가 판단하여 네트워크의 부하가 없거나 적을 경우 그리고 무선 랜 분석기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 패킷을 전송한다.
이하 무선 랜 패킷 수집기인 알에프 그래버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알에프 그래버의 시스템 인터페이스 구조의 구성은 최소 프로세서 1개, 최소 에스디램(SDRAM) 128MB 이상, 최소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32MB 이상, 이더넷(Ethernet) 10/100Mb 4 포트 이상, 웬 ( WAN) 10/100Mb 1 포트 이상, 라우터(Router)(IPv4, IPv6), RS-232C 2포트 이상, 유에스비(USB) 2 포트 이상, 콘솔(Console) 1 포트, 피시엠시아이(PCMCI) 슬롯 (Slot) 1개 이상, 802.11x(802.11a/b/g/e/n/etc) 무선모듈(Wireless Module)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알에프 그래버의 하드웨어 스펙에 대해서는 아래의 표1에서 설명하였다.
Hardware Specifications
Chipset Atheros 802.11x AR5212 및 관련 Chipset
Standard * IEEE 802.11a * IEEE 802.11b * IEEE 802.11g * IEEE 802.3
Channels * 802.11 a 5.170 ~ 5.825 GHz (35 ~ 165) * 802.11 b/g 2.412 ~ 2.48 4GHz (1 ~ 14) * 802.11 e * 802.11 h * 802.11 x
Signal Rates(Mbps) * 802.11 a/g:54, 48, 35, 24, 12, 9, 6 * 802.11 b:11, 5.5, 2, 1
Device Management * Web-Based-internet Explorer v6 or later; Netscape Navigater v7 or later; other Java-enabled browsers. * AP Manager
Security * 64bit, 128bit WEP
Unit Weight 700g
Ethernet Interfaces 10/100M and Power over Ethernet, 4 Port
Signal Range * Indoors : Up to 328 feet(100meter) * Outdoors : Up to 1312 feet(400meter)
그리고 알에프 그래버를 수집기로 사용할 경우 무선 랜 통신 환경에서는 하나의 네트워크 어댑터로 간주한다. 무선 네트워크로 구성된 곳에는 알에프 그래버를 언제 어디서나 설치하여 원격 혹은 현지에서 802.11x 패킷을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활용할 수 있다. 패킷을 원격지에서 무선 랜 분석기로 전송하기 위하여 이더넷과 아이피(IP)가 모두 사용 가능한 상태여야 함으로 항상 이더넷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 알에프 그래버의 특징은 하드웨어 기반의 원격 무선 랜 캡쳐 단말기로써, 802.11x 패킷을 캡쳐한 후 캡슐화하여 UDP 혹은 TCP 및 다양한 프로토콜 등의 스트림 형태로 무선 랜 분석기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1:N 방식으로 1대의 알에프 그래버로 최대 N개의 무선 랜 분석기와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더 늘릴 수도 있다. 그러므로 클라이언트가 위 장비에 접속하여 사내는 물론 전국 혹은 전 세계 어느 지역의 패킷도 수집할 수 있음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의 무선망 분석, 관리, 최적화 등을 실시간으로 실행하여 많은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Atheros AR5212 및 다양한 관련 칩셋(Chip set)을 사용하여 802.11x로 모든 수신이 가능하며, 에이피 모드(AP Mode) 변경을 통해 일반 802.11x 54Mbps 혹은 2배속(108Mbps), 3배속(164Mbps)의 무선 랜 라우터(AP)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웹 매니지먼트시스템(Web Management System)이 내장되어 캡쳐 관련 옵션설정을 현지(Local) 혹은 원격(Remote)에서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4는 알에프 그래버를 현지 혹은 원격으로 세팅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알에프 그래버의 세팅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드라이버 모드 전환(Driver Mode Change)에서 패킷 캡쳐 모드(Packet Capture Mode)로 설정을 하고, 수집할(Capture) 채널 수를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알에프 그래버 모듈을 선택한 후 알에프 그래버 세팅에서 애드 아이피(Add IP) 버튼을 클릭하여 상기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이피 주소(IP Address)를 설정하며, 상기 아이피 주소로 접속을 하게 되면, 상기 도 8과 같은 알에프 그래버를 설정하기 위한 로그인 창이 표시되고, 이 창에서 해당 수집기의 아이디(ID)와 업그레이드를 위한 패치 아이디(Patch ID)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로그인 단계에서 아이피 세팅, 패스워드 설정, 더블유이피(WEP) 설정 등을 하기 위해서는 상기 설정된 아이디로 로그인을 한 후 셋업(Setup)을 선택하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태(Status) 화면이 나오게 되며, 상기 상태화면에서 현재 아이피, 네트마스크(NETMASK) 및 에이피(AP) 등을 설정한다. 그리고 셋업(Setup) 페이지로 가면 상기 도 10에서와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되며 거기서 아이피, 네트마스크 및 에이피 등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더 세부적인 내용들을 설정한다.
셋업 창에서 에이피를 선택하게 되면 802.11a, b/g, d, e, f, h, i, n 등 사용할 수 있는 모든 무선 랜 모드가 표시됨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와 채널을 선택하고,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선택하여 설정한다.
셋업 설정 후 패스워드 페이지로 가면 상기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되고, 패스워드 항목에서 웹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상기 패스워드를 설정한 다음, 시큐리티(Security) 페이지에 접속하게 되면 상기 도 12에서와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되며, 상기 화면에서는 에이피 설정 시 에이피로 접속하기 위한 보안을 설정하며, 128bit, 64bit의 ASCII와 HEX 모드(Mode)를 제공한다.
상기 로그인 단계에서 업그레이드를 위한 패치 아이디로 로그인을 하게 되면, 패치(Patch) 페이지로 이동하여 상기 도 13과 같은 화면이 나오며, 상기 패치 페이지에서는 알에프 그래버 시스템의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고 추후 버그나 패치 상황 발생 시 상기 페이지를 실행한다.
업그레이드 단계에서 패치 중이나 어떠한 문제로 인하여 시스템이 망가졌을 경우, 백업(Backup) 기능을 제공하여 초기에 제공했던 버전으로 재설치가 되며 동시에 재부팅을 하게 되는데,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백업화면은 예를 들어 "http://192.168.0.192/Backup.html"와 같이 절대주소를 입력해야만 들어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화면에서 어플라이(Apply)를 누르게 되면 초기에 제공했던 버전으로 재설치가 되며 동시에 재부팅을 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많은 기능과 특징 중에 대표적인 몇몇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함으로 본 발명에서 제안한 논리, 기술, 방법 등을 적용하거나 응용한 분야까지 특허권이 적용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다양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사용하는 이동통신, 무선통신, 유선통신, 사설망, 제어망, USN 등을 구축한 경우에는 패킷이나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전송하고, 망 최적화와 보안 등의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패킷을 수집하여야 하고, 패킷을 효율적으로 수집하기 위해서는 이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이나, 기술 등을 적용하여야만 할 것이다. 즉 효율적인 패킷 수집 및 전달방법과 장치의 발명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본 발명은 그 기술적 독창성, 혁신성, 진보성, 창의성, 응용적인 측면에서 파급효과가 대단히 크다 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에서 제안한 논리, 기술, 방법 그리고 장치 등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함으로 앞으로는 청구권에 언급한 분야 외에도 본 발명에서 제안한 요소기술이나 방법 등을 다양하게 응용하여 써야만 할 것이다. 그럼으로 본 발명을 적용하거나 응용하였다면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되지 않았다 할지라도 본 특허권이 적용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동적인 무선 랜 환경에 지능적으로 대응하여 무선 랜 모든 채널에 대한 효율적인 패킷 수집, 저장, 관리 및 전달 등의 방법과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무선 랜 패킷 수집을 위한 채널 분석 및 설정 등에 관련된 일련의 처리를 현지(Local)나 원격지(Remote)에서 수동 및 자동으로 할 수 있고, 패킷 수집, 저장, 관리 및 전송시에 패킷 유실을 최소화함은 물론 손실률을 "0"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분석을 위한 패킷수집, 저장, 관리 및 전송 방법에 있어서 독창적이며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기술을 발명하여 제품으로 구현함으로 다양한 분야에 대단히 큰 파급효과를 줄 것이다.

Claims (14)

  1. 무선 랜 패킷 수집을 위한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가 통신이 이루어지는 모든 채널의 패킷을 수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1개의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를 이용하여 일정시간 동안 무선 랜의 각 채널을 자동 및 수동으로 변경하여 가며 무선 랜 패킷을 수신하여 기록하는 제 1단계;
    상기 수신된 무선 랜 패킷 양을 측정하여 무선 랜 패킷의 송수신의 양이 많은 채널에서부터 적은 채널의 순서로 정렬하는 제 2단계;
    상기 정렬된 순서에 따라 N-1 개의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에 대해서 전담 채널을 할당하여 무선 랜 패킷을 수신하는 제 3단계;
    상기 N-1 개의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를 제외한 나머지 1개의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로 나머지 채널들 중에서 송수신 패킷의 양이 많은 채널에 송수신 패킷의 양이 적은 채널보다 무선 랜 패킷의 수집시간을 많이 할애하고, 송수신 패킷의 양이 적은 채널에 패킷의 수집시간을 적게 할애하는 4단계;
    로 이루어져 있는 다중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를 이용하여 무선 랜 환경에서 수집한 모든 채널의 패킷 수집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의 무선 랜 패킷 수신은 유동적인 무선 랜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상기 무선 랜 패킷 수집을 위한 채널 분배 과정을 일정 주기로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를 이용하여 무선 랜 환경에서 수집한 모든 채널의 패킷 수집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무선 랜 패킷 수집 시 2개 이상의 무선 랜 패킷 수집기를 채널별로 할당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를 이용하여 무선 랜 환경에서 수집한 모든 채널의 패킷 수집 방법.
  4. 무선 랜 패킷 수집기에서 무선 랜 분석기로 무선 랜 패킷을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 랜 패킷 수집기가 선행적으로 패킷을 수집하여 무선 랜 분석기들에게 상기 무선 랜 패킷이 전달되기 전까지 수집기의 저장장치 혹은 관리 영역에 보관하고, 더 나아가 N개의 분석기들로부터 패킷 전송명령을 받아 저장장치의 대기 열에 저장한 후 네트워크 트래픽 상태, 수집기의 부하, 저장장치의 잔여 용량에 따라 지능적으로 저장된 전송명령을 비동기적으로 이행하여 N개의 분석기들에게 패킷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무선 랜 분석기들의 무선 랜 패킷 전달 요구 시점과 상기 무선 랜 패킷 수집기의 무선 랜 패킷 수신 시점의 격차에서 발생하는 무선 랜 패킷의 유실을 방지하고, 또 그 패킷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패킷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 버퍼구조와 비동기 방식을 이용하여 손실 없이 하나 혹은 N개의 무선 랜 분석기까지 패킷을 전달하기 위하여 이중 버퍼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를 이용하여 무선 랜 환경에서 수집한 모든 채널의 패킷 전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랜 패킷수집기가 무선 랜 분석기와 입력 및 출력을 할 때 동작의 완료 여부와 관계없이 선행적으로 수행하여 대기하고, 패킷수집기가 패킷 수집 시 지능적으로 무선 랜 패킷을 수집하여 저장하고, 저장한 패킷을 전송할 때 다중 입출력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를 이용하여 무선 랜 환경에서 수집한 모든 채널의 패킷 전달 방법.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랜 패킷수집기가 무선 랜 분석기로 무선 랜 패킷을 전송하는 시점은 1)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패킷의 양이 사용자가 정해 놓은 일정한 비율이 되었을 경우와 2) 무선 랜 패킷 수집기가 판단하여 네트워크의 부하가 없을 경우와 3) 무선 랜 분석기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만 패킷을 전송하는 특성을 갖는 다중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를 이용하여 무선 환경에서 수집한 모든 채널의 패킷 전달 방법.
  7. 무선 랜 패킷 수집을 위한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를 세팅(Setting)하는 방법에 있어서,
    드라이브 모드 선택을 패킷 캡쳐 모드로 설정하며, 캡쳐할(수집할) 채널 수를 설정하는 제 1단계;
    알에프 그래버 아이피 주소를 설정하는 제 2단계;
    상기 아이피 주소를 설정하여 접속 후 알에프 그래버의 셋업설정 및 업그레이드를 위한 패치를 하기 위하여 로그인을 하는 제 3단계;
    상기 로그인하여 알에프 그래버의 셋업에 접속하여 아이피, 네트마스크(NETMASK) 및 에이피(AP)를 설정하는 제 4단계;
    상기 셋업설정 후 웹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제 5단계;
    상기 패스워드를 설정한 다음 시큐리티 페이지에 접속하여 에이피 설정 시 에이피로 접속하기 위한 보안을 설정하는 제 6단계;
    상기 업그레이드를 위한 패치로 로그인함으로 패치 페이지에 접속하여 알에프 그래버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는 제 7단계;
    상기 업그레이드 단계에서 패치 중이나 문제로 인하여 시스템이 망가졌을 경우 백업 기능을 제공하여 초기에 제공했던 버전으로 재설치가 되며 동시에 재부팅을 하게 되는 제 8단계;
    로 이루어져 있는 다중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를 이용한 무선 랜 환경에서 사용하는 기기나 장치의 세팅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70018851A 2007-02-26 2007-02-26 다중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를 이용하여 무선 랜 환경에서 수집한 모든 채널의 패킷 수집 및 전달방법 KR100917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851A KR100917130B1 (ko) 2007-02-26 2007-02-26 다중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를 이용하여 무선 랜 환경에서 수집한 모든 채널의 패킷 수집 및 전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851A KR100917130B1 (ko) 2007-02-26 2007-02-26 다중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를 이용하여 무선 랜 환경에서 수집한 모든 채널의 패킷 수집 및 전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960A KR20080078960A (ko) 2008-08-29
KR100917130B1 true KR100917130B1 (ko) 2009-09-16

Family

ID=39880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851A KR100917130B1 (ko) 2007-02-26 2007-02-26 다중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를 이용하여 무선 랜 환경에서 수집한 모든 채널의 패킷 수집 및 전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71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167B1 (ko) * 2018-08-09 2020-05-28 김소영 근거리 네트워크 내의 채널 모니터링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6773A (ko) * 2001-12-26 2002-05-16 김영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음성품질 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95960A (ko) * 2004-03-29 2005-10-05 가림정보기술(주)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64947A (ko) * 2004-12-09 2006-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랜 상태 모니터링 방법
KR20060066494A (ko) * 2004-12-13 2006-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랜의 통신채널 선택방법
KR20060110921A (ko) * 2005-04-20 2006-10-26 구자회 Oled 패널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6773A (ko) * 2001-12-26 2002-05-16 김영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음성품질 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95960A (ko) * 2004-03-29 2005-10-05 가림정보기술(주)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64947A (ko) * 2004-12-09 2006-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랜 상태 모니터링 방법
KR20060066494A (ko) * 2004-12-13 2006-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랜의 통신채널 선택방법
KR20060110921A (ko) * 2005-04-20 2006-10-26 구자회 Oled 패널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960A (ko) 200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23552B (zh) 一种接入点以及用于该接入点的无线扫描方法
EP3430831B1 (en) Data gathering to enable the optimization of distributed wi-fi networks
US8478318B2 (en) Heterogeneous wireless sensor network bridg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and flow balancing method thereof
JP2019106705A (ja) ネットワーク中で、トラフィックを監視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01933289A (zh) 无线网络的管理
WO2007044985A2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monitoring
CN101137960A (zh) 机动性致能系统架构软件架构及应用程序界面
KR20180029900A (ko) 전자 시스템들에서의 로그 데이터의 관리
EP1641184A1 (en) Method for accessing a WLAN by establishing an ad-hoc network with a wireless connected device
CN107623752B (zh) 基于链路层的网络管理方法和装置
US10021609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 communication interface
US20140247735A1 (en) Network monitoring system
KR100917130B1 (ko) 다중 알에프 그래버 또는 무선 랜 카드나 기기를 이용하여 무선 랜 환경에서 수집한 모든 채널의 패킷 수집 및 전달방법
KR20090037724A (ko) 유비쿼터스 스마트 게이트웨이 및 그 운용방법.
EP3610608A1 (en) Managing a communications system based on software defined networking (sdn) architecture
JP2012049642A (ja) 周波数共用型コグニティブ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コグニティブ無線基地局
CN113691454B (zh) 一种工业物联网数据采集和管理方法、系统
CN112188482A (zh) 标识id配置方法及装置、标识id获取方法及装置
EP4243365A1 (en) Associating sets of data corresponding to a client device
CN105744601B (zh) 一种配置无线传感终端的方法和系统
US20060083252A1 (en) Node detection method and node detector
US12069762B2 (en) Method for configuring at least one radio resource of a communication network, node device, and communication network
JP2008219383A (ja) ネットワーク監視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187264B (zh) 一种直连链路质量监测的方法、通信设备及系统
US11665070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07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1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8082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7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90729

Appeal identifier: 2008101008789

Request date: 20080829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90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8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5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0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907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930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9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9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0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0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0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