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101B1 - Automatic connection between shroud nozzle and collector nozzle - Google Patents
Automatic connection between shroud nozzle and collector nozz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16101B1 KR100916101B1 KR1020020053773A KR20020053773A KR100916101B1 KR 100916101 B1 KR100916101 B1 KR 100916101B1 KR 1020020053773 A KR1020020053773 A KR 1020020053773A KR 20020053773 A KR20020053773 A KR 20020053773A KR 100916101 B1 KR100916101 B1 KR 1009161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zzle
- shroud
- ladle
- motor
- collec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9749 continuous cas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XKRFYHLGVUSROY-UHFFFAOYSA-N Argon Chemical compound [Ar] XKRFYHLGVUSR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86 arg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48 incor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05 post-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9 refractory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628 steelm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22D41/502—Connection arrangements; Sealing mean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22D41/56—Means for supporting, manipulating or changing a pouring-nozz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명의 작업자만으로도 쉬라우드 노즐을 콜렉타 노즐에 안정되게 장착함으로써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결합 불량을 방지하여 연속주조되는 슬라브의 품질을 향상시키며, 빠른 시간내에 안정되게 연속주조작업을 실시할 수 있음으로써 설비사고의 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작업자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자동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work productivity by stably mounting the shroud nozzle to the collector nozzle by only one operator, and improves the quality of the continuously cast slab by preventing the coupling failure of the shroud nozzle and the collector nozz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onnection device of shroud nozzle and collector nozzle capable of stably carrying out continuous casting work in the interior, and at the same time, preventing occurrence of equipment accidents and preventing operator safety accidents in advance.
본 발명에 의하면, 래들 연결작업을 2~3명이 하던 작업을 1명이 안정되게 확인만 하는 업무혁신을 이룰 수 있고, 작업자가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결합실수에 의한 슬라브 품질 불량을 방지하였으며, 빠른 시간내 안정되게 작업을 함으로써 설비사고 발생을 억제하고, 또한 작업자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hieve a work innovation that only one person stably checks the work that was used for connecting the ladle 2 to 3 people, and prevented the poor quality of the slab due to the mistake of the combination of the shroud nozzle and the collector nozzle. By working stably in a short time, an excellent effect of suppressing occurrence of equipment accidents and preventing worker safety accidents in advance is obtained.
래들 연결작업, 쉬라우드 노즐, 콜렉타 노즐, 연속주조공정, 래들 터렛트Ladle connection work, Shroud nozzle, Collector nozzle, Continuous casting process, Ladle turret
Description
제 1도는 일반적인 연속주조공정을 위하여 래들이 터릿장치에 장착되어 턴디쉬에 용강을 공급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1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lten steel is supplied to a tundish by mounting on a ladle turret device for a general continuous casting process;
제 2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연결방식을 도시한 설명도로서, 2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method of a shroud nozzle and a collector nozzl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도는 작동 상태도, a) or a working state diagram,
b)도는 콜렉타 노즐과 쉬라우드 노즐이 정렬된 상태도, b) is a state in which the collector nozzle and shroud nozzle is aligned,
c)도는 콜렉타 노즐에 대해 쉬라우드 노즐이 우측으로 치우친 상태도, c) the state that the shroud nozzle is biased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collector nozzle,
d)도는 콜렉타 노즐에 대해 쉬라우드 노즐이 좌측으로 치우친 상태도; d) is a state in which the shroud nozzle is biased to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collector nozzle;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자동 연결장치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3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connection device of the shroud nozzle and the collector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터렛 암에 래들을 크레인으로 장착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로서, 4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ladle is mounted to a turret arm by a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도는 작동 상태도, a) or a working state diagram,
b)도는 래들 암이 래들 안착 스탠드에 진입되는 상태도, b) the state that the ladle arm enters the ladle seating stand,
c)도는 래들 암이 래들 안착 스탠드에 장착된 상태도; c) the ladle arm is mounted to the ladle seating stand;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자동 연결장치를 도시한 상세도로서,5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automatic connection of the shroud nozzle and the collector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도는 제 2구동부의 측면도, a)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driving unit,
b)도는 제 1구동부의 피니언 기어와 래크기어의 상세도, b) is a detailed view of the pinion gear and the rack gear of the first driving unit;
c)도는 제 1구동부의 측면도; c) is a side view of the first driving unit;
제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자동 연결장치에 갖춰진 콘트롤러와 카메라들의 연결 구성도이다.6 is a connection diagram of a controller and cameras provided in the automatic connection device of the shroud nozzle and the collector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안착부 12,14.... 경사면10 .... Seat 12,14 .... Slope
16.... 래들 암 가이드 20.... 오목홈16 ....
22.... 홈 가이드 28.... 롤러22 ....
30.... 위치검출 센서 40.... 쉬라우드 장착부30 ....
45.... 제 1구동부 49.... 피니언 기어45 ....
51.... 래크기어 53.... 받침판51 .... rack gear 53 .... support plate
60.... 제 2구동부 66.... 베어링60 ....
70.... 종동기어 72.... 구동기어70 .... driven
80.... 유압부 82.... 유압 잭80 .... Hydraulic 82 .... Hydraulic Jack
90.... 위치 검출부 92.... 제 1화상 카메라90 ....
94.... 제 2화상 카메라 150.... 콘트롤러94 ....
300.... 래들 310.... 턴디쉬 300 .... Ladle 310 .... Tundish
312.... 침지노즐 314.... 몰드312 ....
316.... 캐스팅 보우 320.... 쉬라우드 노즐316 .... Casting Bow 320 .... Shroud Nozzle
322.... 래들 권상용 크레인 330.... 래들 터렛트322 .... Ladle hoisting
332.... 터렛트 암 334.... 래들 안착 스탠드332 .. turret arm 334 .... ladle seating stand
336.... 래들 암 가이드 350.... 콜렉타 노즐336 .... Ladle Arm
360.... 쉬라우드 장착기구360 .... Shroud Mounting Fixtures
본 발명은 연속주조공정에서 래들과 턴디쉬를 연결하는 쉬라우드 노즐을 래들의 하측 콜렉타 노즐에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1명의 작업자만으로도 쉬라우드 노즐을 콜렉타 노즐에 안정되게 장착함으로써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결합 불량을 방지하여 연속주조되는 슬라브의 품질을 향상시키며, 빠른 시간내에 안정되게 연속주조작업을 실시할 수 있음으로써 설비사고의 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작업자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자동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a shroud nozzle connecting a ladle and a tundish to the lower collector of the ladle in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more specifically, the shroud nozzle to the collector by only one operator Stable installation improves work productivity, prevents poor coupling of shroud nozzles and collector nozzles, improves the quality of slabs that are continuously cast, and enables continuous casting work stably in a short ti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onnection device of shroud nozzle and collector nozzle which can prevent occurrence and prevent accidents of workers in advance.
일반적으로 제강공정에서 정련되어진 용강은 래들(300)에 담겨져서 연속주조설비로 이동되고, 연속주조설비에서는 용강이 담긴 래들(300)을 연속적으로 교환하면서 연속주조 작업을 하게 된다.In general, the molten steel refined in the steelmaking process is moved to the continuous casting facility is contained in the ladle (300), in the continuous casting facility to perform a continuous casting operation while continuously replacing the
제1도에는 이와 같은 연속주조 작업의 공정이 도시된 것으로서, 이는 대략 270톤의 용강저장 능력을 갖는 래들(300)로부터 대략 60톤 크기의 내용적을 갖는 턴디쉬(310)에 용강이 쉬라우드 노즐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턴디쉬(310)로 부터는 침지노즐(312)을 거쳐서 몰드(314)에 용강이 주입된 다음, 캐스팅 보우(316)를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슬라브(318)로 응고되는 것이다.Figure 1 shows the process of such a continuous casting operation, which is a molten steel shroud nozzle from a
이와 같은 연속주조공정은 래들(300)을 연속적으로 교환하면서 턴디쉬(310)에 용강을 공급하고, 연속주조 작업을 이루는 것이며, 래들 권상용 크레인(322)을 이동시켜 래들 터렛트(330)의 대기위치에 있는 터렛트 암(332)에 작업자 신호에 의해 래들(300)을 올려 놓고 대기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래들(300)은 터렛트 암(332)의 래들 안착스탠드(334)에 안정적으로 장착되어야 하는 바, 이는 상기 래들 안착스탠드(334)에 마련된 래들 암 가이드(336)를 기준으로 하여 래들(300)의 양측으로 돌출된 래들 암(340)을 상기 래들 암 가이드(336)의 내측에 안착시키도록 된 것이다. Such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is to supply molten steel to the tundish 310 while continuously replacing the
이러한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것으로서, 이는 래들 암 가이드(336)를 기준으로 래들 암(340)의 위치가 전,후 약 80mm로 심하게 변동되어 쉬라우드 노즐(320)과 래들 콜렉타 노즐(350)들의 연결작업시, 작업자의 숙련 기능도에 따라 많은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This structure is shown in Figure 2, which is a position of the
상기 콜렉타 노즐(350)은 래들(300)내의 용강을 턴디쉬(310)내로 주입하는 하부 주입구로서 내화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콜렉타 노즐(350)의 하부측에서 연결되는 쉬라우드 노즐(320)은 래들(300)내의 용강을 턴디쉬(310)내로 주입하는 과정에서 용강이 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콜렉타 노즐(350)에 결합되어 턴 디쉬(310)내로 용강을 주입하는 중간 통로이며, 내화물로 구성된 것이다.The
제 2도에는 이와 같은 쉬라우드 노즐(320)과 콜렉타 노즐(350)의 연결 개요가 도시되어 있다.2 shows an overview of the
이러한 연결작업은 도 1에 도시된 래들 터렛트(330)에서 앞 래들(300)내의 용강주입이 완료되면, 래들 터렛트(330)를 회전시켜 대기중인 뒷 래들(300)이 주조위치에 오도록 하고, 앞 래들(300)은 후방의 대기위치에 오도록 상기 래들 터렛트(330)를 회전시킨다. This connection work is completed when the molten steel injection in the
그리고, 작업자는 쉬라우드 장착기구(360)의 쉬라우드 작동용 핸들(364)을 동작시켜 쉬리우드 노즐(320)을 콜렉타 노즐(350)에 결합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operator operates the shroud operating handle 364 of the
상기 쉬라우드 장착기구(360)는 일측의 핸들(364)에 의해서 전,후진이 가능한 장착바(366)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바(366)의 선단에는 쉬라우드 노즐(320)을 고정하며, 상기 장착바(366)와 쉬라우드 노즐(320)을 승하강시키는 유압장치(미도시)를 그 하부측에 가지고 있다. The
따라서, 작업자는 쉬라우드 노즐(320)을 콜렉타 노즐(35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핸들(364)을 동작시켜서 쉬라우드 노즐(320)을 콜렉타 노즐(350)의 하부측으로 이동시키고, 콜렉타 노즐(350)의 하부측에 위치되면 유압장치를 작동시켜 쉬라우드 노즐(320)을 콜렉타 노즐(350)에 결합시키는 것이다. Therefore, the operator moves the
이와 같이 하여 콜렉타 노즐(350)과 쉬라우드 노즐(320)을 연결하게 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들 암(340)의 위치가 래들 암 가이드(336)내에서 한쪽으로 치우쳤을 때에는 작업자의 기능도에 따라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렉타 노즐(350)과 쉬라우드 노즐(320)이 일직선으로 배열되는 정상적인 연결상태를 이루지 못하고, 도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쉬라우드 노즐(320)이 우측으로 치우친 다거나, 도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쉬라우드 노즐(320)이 좌측으로 치우칠 뿐만 아니라, 앞,뒤로도 치우침이 발생된다.In this way, the
이와 같이 치우침이 발생되면, 콜렉타 노즐(350)과 쉬라우드 노즐(320) 사이에서 틈이 발생되어 쉬라우드 노즐(320)의 내측으로 공기가 혼입되고, 쉬라우드 노즐(320)의 씰링용 알곤라인(370)을 통하여 과도하고 국부적인 알곤혼입이 이루어진다. When the bias is generated in this way,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그에 따라서, 용강 재산화가 이루어지고, 쉬라우드 노즐(320)의 하부가 절단되며, 따라서, 이들을 연결하는 작업등이 지연되면 턴디쉬(310)내의 용강이 모두 소모되어 슬라브(318)의 연속주조가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서 슬라브(318) 품질이 보장되지 못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원인으로 인하여 연속주조설비의 후공정 설비트러블이나, 수요가의 불만사항을 제기하는 원인이 되고, 또한 콜렉타 노즐(350)과 쉬라우드 노즐(320)의 정렬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항상 2인1조로 작업하다 보면 신호 실수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것이다.As a result, molten steel is regenerated, and the lower part of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작업자의 기능도에 따라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연결 상태가 다르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래들연결 작업을 1인이 빠른 시간내에 실시하도록 하여 설비사고의 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작업자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쉬라우드 노즐 과 콜렉타 노즐의 자동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is to prevent the connection state of the shroud nozzle and the collector nozzl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functional diagram of the operator, the ladle connection work is one person fast ti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connection device of shroud nozzle and collector nozzle which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equipment accident and prevent the safety accident in advan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속주조공정에서 래들(300)과 턴디쉬(310)를 연결하는 쉬라우드 노즐(320)을 상기 래들(300)의 하측 콜렉타 노즐(350)에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들(300)의 양측에 마련된 래들 암(340)에는 일측면이 경사면(12)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2)에 일치하도록 경사면(14)을 형성한 래들 암 가이드(16)가 터렛트 암(332)에 형성되며, 상기 래들 암(340)의 하면 중앙에는 오목홈(20)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20)이 끼워지는 홈 가이드(22)가 상기 터렛트 암(332)의 래들 안착스탠드(334)에 형성되어 상기 래들(300)이 상기 터렛트 암(332)상에서 정위치되도록 하는 안착부(10),
상기 쉬라우드 노즐(320)이 선단에 고정되는 장착바(366)와, 상기 장착바(366)에 연결되어 상기 장착바(366)를 모터(42) 구동에 의해서 전,후진시키도록 구성된 제 1구동부(45)와, 상기 장착바(366)와 상기 제 1구동부(45)가 장착되는 받침판(53)의 하부에 구비되어 모터(62) 구동에 의해서 상기 받침판(53)이 회동되도록 하여 상기 장착바(366)를 좌,우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제 2구동부(60), 및 상기 받침판(53)에 연결되는 하부 기둥(64)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판(68)을 승강시켜 상기 장착바(366)와 상기 쉬라우드 노즐(320)을 승하강시키는 유압부(80)를 구비하는 쉬라우드 장착부(40),
상기 터렛트 암(332)의 일측에 마련된 제 1화상 카메라(92)가 상기 콜렉타 노즐(350)에 대한 상기 쉬라우드 노즐(320)의 전,후위치편차를 검출하고, 상기 쉬라우드 장착부(40)의 제 2화상 카메라(94)가 상기 콜렉타 노즐(350)에 대한 상기 쉬라우드 노즐(320)의 좌,우 위치편차를 검출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위치 검출부(90), 및
상기 위치 검출부(90)의 상기 제 1및 제 2화상 카메라(92)(94)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구동부(45)와 상기 제 2구동부(60)의 상기 모터(42)(62)들을 제어하여 상기 콜렉타 노즐(350)의 직하부에서 상기 쉬라우드 노즐(320)이 좌,우,전,후 위치조정되도록 하는 콘트롤러(15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자동 연결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the
The
A first mounting
The
The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쉬라우드 노즐과 콜렉타 노즐의 자동 연결장치(1)는 제 3도 및 제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들(300)이 항상 터렛트 암(332)상에서 정위치되도록 하는 안착부(10)를 구비하는 바, 상기 안착부(10)는 래들(300)의 양측에 마련된 래들 암(340)에 일측면이 경사면(12)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2)에 대응하여 일치하는 경사면(14)을 형성한 래들 암 가이드(16)가 터렛트 암(332)에 갖춰진다. The automatic connection device 1 of the shroud nozzle and the collector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3 and 4, allows the
즉, 래들 권상용 크레인(322)이 래들(300)를 래들 터렛트(330)의 터렛트 암(332)에 정립위치로 안착시키기 위하여 래들 암(340)에는 일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는 터렛트 암(332)에 마련된 래들 암 가이드(16)의 경사면(14) 각도와 동일하게 각도가 주어지게 된다. That is, in order for the
또한, 래들 암(340)의 하면 중앙에는 유선형의 오목홈(20)이 형성되며, 상기 오목홈(20)의 크기와 모양은 래들 안착스탠드(334, 도 1,2 참조)의 상부면에 형성된 유선형의 홈 가이드(22)와 동일하게 제작된다. In addition, a streamlined
그리고, 상기 래들 안착스탠드(334)의 양쪽으로 배치된 2개의 래들 암 가이드(16)중 일측에는 그 경사면(14)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롤러(28)가 다수개 설치된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two ladle arm guides 16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adle seating stand 33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상기 롤러(28)들의 경사각도는 래들 암(340)의 경사면(12)과 일치되게 각도가 주어지며, 래들 암(340)이 상기 래들 암 가이드(16)에 진입하여 경사면(12)이 상기 롤러(28)들에 접촉되어 하강하면, 래들 암(340)에 마련된 오목홈(20)이 래들 안착스탠드(334)의 홈 가이드(22)에 안착되게 하는 구성이다.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한편, 래들 안착스탠드(334)의 홈 가이드(22)에는 그 중간 상부에 위치 검출센서(30)가 마련되고, 이는 래들 암(340)의 오목홈(20)이 상기 홈 가이드(22)에 안착되면, 상기 위치검출 센서(30)는 감지 핀(미도시)이 눌려서 이후에 설명되는 콘트롤러(150)에 전기적인 신호를 송출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 위치검출 센서(30)들은 래들(300)의 양쪽에 각각 래들 안착스탠드(334)의 홈 가이드(22)마다 설치된 것이어서, 그 중 어느 한쪽에서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래들(300)이 정위치에 안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래들 권상용 크레인(322)을 다시 들어 올려 장착하는 재 안착작업을 실시하도록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이와 같은 안착부(10)에 의하면, 종전의 래들(300)이 터렛트 암(332)에 안착시 오차 범위가 대략 80mm인 것이 대략 15mm이하로 좁아지게 된다. 이것은 단지 기계적인 오차범위이다.According to such a
한편, 상기 쉬라우드 노즐(320)을 콜렉타 노즐(350)에 장착하기 위한 쉬라우드 장착부(40)를 구비하는 바, 상기 쉬라우드 장착부(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쉬라우드 노즐(320)을 선단에 고정한 장착바(366)를 모터(42) 구동에 의해서 전,후진시키는 제 1구동부(45)를 갖는다. Meanwhile, as the
상기 제 1구동부(45)는 도 5b) 및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바(366)가 활주이동가능하도록 끼워진 안내대(47)의 일측에 모터(42)가 장착되고, 상기 모터(42)의 회전축에는 피니언 기어(49)가 마련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49)는 장착바(366)의 하면에 형성된 래크기어(51)에 치차 결합된다. As shown in FIGS. 5B and 5C, the first driving
따라서, 상기 모터(42)의 정,역회전작동은 피니언 기어(49)와 래크기어(51)를 통하여 상기 장착바(366)를 안내대(47)내에서 전,후진 시키고 결과적으로는 상기 장착바(366)에 고정된 쉬라우드 노즐(320)을 콜렉타 노즐(350)에 대하여 전,후진시키는 것이다.Therefore,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peration of the
그리고, 상기 제 1구동부(45)가 마련된 받침판(53)의 하부측에는 상기 장착바(366)를 모터(62)의 구동에 의해서 좌,우 회전시키는 제 2구동부(60)를 구비하는 바, 상기 제 2구동부(60)는 상기 받침판(53)의 하부 기둥(64)이 베어링(66)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하판(68)상에 모터(62)가 위치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lower side of the
상기 제 2구동부(60)는 상기 하부 기둥(64)의 중간에 원형의 종동기어(70)가 장착되고, 상기 종동기어(70)에는 수직으로 상기 하판(68)상에 위치된 모터(62) 축의 구동기어(72)가 치차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 2구동부(60)의 모터(62)의 정,역회전작동은 구동기어(72)와 종동기어(70)를 통하여 상기 하부 기둥(64)상에 위치된 장착바(366)와 쉬라우드 노즐(320)을 좌,우로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The
한편, 상기 모터(42)(62)들에는 각각 펄스 발생기(42a)(62a)가 장착되어 모터(42)(62)의 회전량이 정확하게 검출되고 이후에 설명되는 콘트롤러(150)에 의해서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상기 쉬라우드 장착부(40)는 상기 장착바(366)와 쉬라우드 노즐(320)을 승하강시키는 유압부(80)를 구비한다. 이는 상기 하판(68)의 하부측으로 승하강 유압 잭(82)을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유압 잭(82)은 그 로드(미도시)가 상기 하판(68)의 하면에 고정된 것이고, 상기 유압 잭(82)의 작동으로 하판(68)을 승하강시킴으로서 상기 하판(68)위의 장착바(366)와 쉬라우드 노즐(320)들을 승하강시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한편, 본 발명은 콜렉타 노즐(350)에 대한 쉬라우드 노즐(320)의 전,후위치 편차를 검출하고, 콜렉타 노즐(350)에 대한 쉬라우드 노즐(320)의 좌,우 위치편차를 검출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위치 검출부(90)를 갖는 바, 이는 상기 터렛트 암(332)의 일측에 마련된 제 1화상 카메라(92)와 상기 쉬라우드 장착부(40)의 안내대(47)상에 고정된 제 2화상 카메라(94)를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front and rear position deviation of the
즉, 상기 위치 검출부(90)는 터렛트 암(332) 측면에 제 1화상 카메라(92)을 설치하되, 이는 콜렉타 노즐(350)의 중앙에 위치하여 쉬라우드 장착부(40)에 의해서 쉬라우드 노즐(320)이 콜렉타 노즐(350)로 진입하게 되면, 콜렉타 노즐(350)의 중앙으로 부터 쉬라우드 노즐(320)이 전,후방향으로 벗어나는 것을 검출하게 된다.That is, the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화상 카메라(92)는 쉬라우드 노즐(320)의 전,후이동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화상을 검출하도록 터렛트 암(332)에 고정되는 것이다.To this end, the
또한, 제 2화상 카메라(94)는 쉬라우드 장착부(40)의 안내대(47) 상단부에 위치하며, 이는 래들 콜렉타 노즐(35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쉬라우드 장착부(40)에 의해서 쉬라우드 노즐(320)이 콜렉타 노즐(350)로 진입하게 되면, 콜렉타 노즐(350)의 중앙으로 부터 쉬라우드 노즐(320)이 좌,우방향으로 벗어나는 것을 검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이를 위하여 상기 제 2화상 카메라(94)는 쉬라우드 노즐(320)의 전,후이동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화상을 검출하도록 상기 쉬라우드 장착부(40)의 안내대(47)에 고정되는 것이다.To this end, the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위치 검출부(90)의 제 1및 제 2화상 카메라(92)(94)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 1구동부(45)와 제 2구동부(60)의 모터(42)(62)들을 제어하고, 상 기 콜렉타 노즐(350)의 직하부에서 쉬라우드 노즐(320)이 좌,우,전,후 위치조정되도록 하는 콘트롤러(150)를 구비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콘트롤러(1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및 제 2화상 카메라(92)(94)와, 영상처리장치(96)및 출력장치(98)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모터(42)(62)들을 자동제어한다.As shown in FIG. 6, the
즉, 상기 콘트롤러(150)는 쉬라우드 장착부(40)의 제 1구동부(45)에 갖춰진 모터(42)에 대해 콜렉타 노즐(350)의 제 1화상 카메라(92)로 부터의 영상을 영상처리 장치(96)를 통하여 받고, 출력장치(98)통해 상기 모터(42)를 구동하여 쉬라우드 노즐(320)이 전,후위치조정되도록 한다.That is, the
그리고, 상기 콘트롤러(150)는 쉬라우드 장착부(40)의 제 2구동부(60)에 갖춰진 모터(62)에 대해 제 2화상 카메라(94)로 부터의 영상을 영상처리 장치(96)를 통하여 받고, 출력장치(98)를 통해 상기 모터(62)를 구동하여 쉬라우드 노즐(320)이 좌,우로 위치조정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상기 2개의 모터(42)(62) 작동 싯점은 준비위치의 래들(300)이 주조위치로 돌아와 상기 안착부(10)의 위치검출 센서(30)에 의해서 신호가 콘트롤러(150)에 제공되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그 작동순서는 먼저 제 1구동부(45)의 전진 모터(42)가 작동후, 제 2구동부(60)의 좌우 모터(62)가 동작하지만 이들은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two
도 6에는 상기 제1,2 화상 카메라(92)(94)들의 영상을 화상으로 처리하는 과정이 도시된 것으로서, 콘트롤러(150)는 제 1화상 카메라(92)에서 찰영된 영상을 영상처리 장치(96)에서 십자형 기준선(P)에 영상을 올려놓고, 콘트롤러(150)에 해당 정보를 보내면 영상찰영 부분은 백색으로 나머지는 흑색으로 나타내어 그 중앙으로 부터 벗어난 편차를 미리 입력된 거리값으로 읽어 들이며, 그 거리값의 단위는 mm이다. 6 illustrates a process of processing the images of the first and
또한, 상기에서 얻어진 결과 편차값을 해소하도록 출력 장치(98)를 통해 제 1구동부(45)의 전진모터(42)를 작동시키고, 콜렉타 노즐(350)의 중앙에 쉬라우드 노즐(320)을 일치시킨다.In addition, the
제 2화상 카메라(94)에 의해서 쉬라우드 노즐(320)의 좌우위치를 조정하는 방식도 상기와 동일한 것이다. 한편, 상기 상기 편차값이 각각 15mm를 벗어나면, 콘트롤러(150)는 알람 부자(미도시)를 동작시켜 부자가 울리면서 동작을 멈추게 하고, 작업자가 쉬라우드 장착부(40)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래들 연결 작업을 실시하도록 된다.The method of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래들(300)을 교환하여 연속주조 작업을 하기 위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들 권상용 크레인(322)이 용강이 들어 있는 래들(300)을 래들 터렛트(330)의 주조준비위치 터렛트 암(332)에 안착을 위해 진입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3 to exchange the
이러한 경우 래들 암(340)에 마련된 경사면(12)과, 래들 안착스탠드(334)의 래들 암(340)의 래들 암 가이드(16)에 마련된 경사면(14)의 롤러(28)들이 접촉하여 래들 암(340)이 자연스럽게 하강되도록 하고, 래들 암(340)의 오목홈(20)과 래들 안착스탠드(334)의 홈 가이드(22)가 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홈 가이드(22)에 마련된 위치검출 센서(30)가 래들(300)의 안착을 검출하여 콘트롤러(150)에 전기적인 신호를 송신한다. In this case, the
따라서, 콘트롤러(150)는 제 1화상 카메라(92)가 촬영을 개시하고, 제 1구동부(45)의 모터(42)가 작동되어 장착바(366)와 쉬라우드 노즐(320)이 콜렉타 노즐(350)의 하부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1화상 카메라(92)에 의해서 콜렉타 노즐(350)과 쉬라우드 노즐(320)이 촬영되고, 이는 영상처리 장치(96)와 콘트롤러(150) 및 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모터(42)가 정밀하게 구동된다. 이와 동시에 제 2화상 카메라(94)는 촬영을 하여 영상 처리장치(96)와 콘트롤러(150)및 출력장치를 거쳐 그 결과 값에 의해 제 2구동부(60)의 좌우모터(62)를 동작시킨다.Accordingly, in the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래들(300)의 콜렉타 노즐(350)과 쉬라우드 노즐(320)이 정일치되면 유압부를 동작시켜 쉬라우드 노즐(320)을 콜렉타 노즐(350)에 결합시키고, 주조작업을 계속하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collector 100 and the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래들 연결작업을 2~3명이 하던 작업을 1명이 안정되게 확인만 하는 업무혁신을 이룰 수 있고, 작업자가 쉬라우드 노즐(320)과 콜렉타 노즐(350)의 결합실수에 의한 슬라브(318) 품질 불량을 방지하였으며, 빠른 시간내 안정되게 작업을 함으로써 설비사고 발생을 억제하고, 또한 작업자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achieve a work innovation that only one person stably checks the work that was used for the ladle connection work 2-3 people, the operator of the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53773A KR100916101B1 (en) | 2002-09-06 | 2002-09-06 | Automatic connection between shroud nozzle and collector nozz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53773A KR100916101B1 (en) | 2002-09-06 | 2002-09-06 | Automatic connection between shroud nozzle and collector nozz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21971A KR20040021971A (en) | 2004-03-11 |
KR100916101B1 true KR100916101B1 (en) | 2009-09-11 |
Family
ID=37325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53773A Expired - Fee Related KR100916101B1 (en) | 2002-09-06 | 2002-09-06 | Automatic connection between shroud nozzle and collector nozz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1610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4905B1 (en) * | 2008-07-25 | 2010-06-23 | 주식회사 포스코 | Fork arm of continuous casting shroud |
EP2367651B1 (en) | 2008-11-20 | 2013-01-02 | Vesuvius Group S.A | Casting pipe, device for handling said pipe and valve driving device |
EP2301693A1 (en) * | 2009-06-29 | 2011-03-30 | Vesuvius Group S.A | Shroud nozzle |
KR101895075B1 (en) * | 2008-11-20 | 2018-09-04 | 베수비우스 그룹, 에스. 에이. | Bearing head for handling a ladle pipe |
TWI436835B (en) * | 2008-11-20 | 2014-05-11 | Vesuvius Group Sa | Reutilisable casting member |
EP2191918A1 (en) * | 2008-11-20 | 2010-06-02 | Vesuvius Group S.A | Device for cleaning a pocket tube for pouring liquid metal |
KR20110095386A (en) | 2008-11-20 | 2011-08-24 | 베수비우스 그룹 에스.에이. | Transport and storage devices for ladle pipes for transporting liquid metal |
KR101320306B1 (en) * | 2010-12-27 | 2013-10-23 | 주식회사 포스코 | Auto-controlled robot for connecting should nozzle |
KR101461796B1 (en) * | 2013-04-18 | 2014-11-13 | 주식회사 포스코 | Apparatus for controlling nozzle |
KR102307683B1 (en) * | 2019-08-26 | 2021-10-01 | 주식회사 포스코 | Apparatus for coupling of nozzle and method for coupling of nozzle |
CN113333730B (en) * | 2020-02-18 | 2025-07-11 | 维苏威集团有限公司 | Metal casting equipment |
KR20220146057A (en) | 2021-04-23 | 2022-11-01 | 주식회사 포스코 | Apparatus for coupling of nozzle and metohd for molten material using the sam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373A (en) * | 1981-06-25 | 1983-01-05 | Nippon Air Brake Co Ltd | Automatic connecting and separating device for nozzle |
US4381102A (en) * | 1979-10-29 | 1983-04-26 | Flo-Con Systems, Inc. | Shroud support and method for shroud engagement with teeming valve |
JPH0716739A (en) * | 1993-07-02 | 1995-01-20 | Shinagawa Refract Co Ltd | Device for automatically changing immersion nozzle |
KR200152852Y1 (en) * | 1995-10-16 | 1999-08-02 | 이구택 | Vertical adjuster of shroud nozzle |
-
2002
- 2002-09-06 KR KR1020020053773A patent/KR10091610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81102A (en) * | 1979-10-29 | 1983-04-26 | Flo-Con Systems, Inc. | Shroud support and method for shroud engagement with teeming valve |
JPS58373A (en) * | 1981-06-25 | 1983-01-05 | Nippon Air Brake Co Ltd | Automatic connecting and separating device for nozzle |
JPH0716739A (en) * | 1993-07-02 | 1995-01-20 | Shinagawa Refract Co Ltd | Device for automatically changing immersion nozzle |
KR200152852Y1 (en) * | 1995-10-16 | 1999-08-02 | 이구택 | Vertical adjuster of shroud nozz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21971A (en) | 2004-03-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16101B1 (en) | Automatic connection between shroud nozzle and collector nozzle | |
US6498959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echanism for positioning video cameras for use in measuring vehicle wheel alignment | |
JP3168157B2 (en) | Long nozzl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for continuous casting machine | |
US6672142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retention time of foam of beer | |
KR20100106661A (en) | The automatic welding apparatus of a way of rail traveling | |
JP3162535B2 (en) | Immersion nozzle changing equipment in continuous casting equipment | |
CN117359147A (en) | Feeding device, jointed board welding equipment and use method of jointed board welding equipment | |
KR20040026750A (en) | An apparatus for sampling the melting iron sample from tundish | |
CN222036799U (en) | Continuous casting machine sand drainage device | |
KR100913921B1 (en) | Immersion nozzle assembly device for easy centering of discharge port | |
JPS61172660A (en) | Method for exchanging nozzle of continuous casting installation | |
JP2514618B2 (en) | Level marking machine | |
KR200282930Y1 (en) | Automatic Grinding Device for Slab Residues_ | |
JP2948428B2 (en) | Sliding gate nozzle automatic oxygen opening device | |
KR100515519B1 (en) | Ladle cleaning apparatus | |
CN220340057U (en) | Ladle overhauling device | |
KR100784042B1 (en) | Continuous casting mold level measuring device | |
KR100815711B1 (en) | Automatic removal of solidification steel in ladle nozzle | |
CN219211599U (en) | Smelting furnace for casting | |
KR101398955B1 (en) | Moving type injection device | |
JP4664627B2 (en) | Continuous casting equipment | |
JPH06297115A (en) | Stopper control device for injection nozzle in continuous casting tundish | |
JP3116641B2 (en) | Pouring equipment | |
KR20090099190A (en) | Centrifugal Casting Automatic Melting Device | |
JPS594227B2 (en) | Long nozzle attachment/detachment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90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9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09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8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8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3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