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16093B1 - Detachable Carrier Roller Stand Assembly - Google Patents

Detachable Carrier Roller Stand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093B1
KR100916093B1 KR1020020054107A KR20020054107A KR100916093B1 KR 100916093 B1 KR100916093 B1 KR 100916093B1 KR 1020020054107 A KR1020020054107 A KR 1020020054107A KR 20020054107 A KR20020054107 A KR 20020054107A KR 100916093 B1 KR100916093 B1 KR 100916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roller
lower frame
frame
roller
upper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41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22514A (en
Inventor
김용근
장상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54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093B1/en
Publication of KR20040022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25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093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캐리어 롤러 스탠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롤러 스탠드 어셈블리는 길다란 U자형 외관을 가지며 측부에 복수의 롤러(22)가 설치된 하부 프레임(20); 벨트 컨베이어의 캐리어 롤러(18a, 18b)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 쌍의 고정 바(12a, 12b)를 지지하고, 길다란 역 U자형 외관을 가지며, 상기 하부 프레임(20)의 롤러(22)에서 활주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10a, 10b); 및 상기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10a, 10b)을 상기 하부 프레임(20)에 체결시키는 체결 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캐리어 롤러가 장착되는 롤러 스탠드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캐리어 롤러의 교체 작업시 벨트를 무리하게 들어올리지 않고 간편하게 캐리어 롤러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te carrier roller stand assembly. Roller stand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ng U-shaped appearance and the lower frame 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llers 22 on the side; On the rollers 22 of the lower frame 20, it supports a plurality of pairs of fixed bars 12a, 12b rotatably supporting the carrier rollers 18a, 18b of the belt conveyor, and has a long inverted U-shaped appearance. First and second upper frames 10a and 10b configured to slide; And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the first and second upper frames 10a and 10b to the lower frame 20. By configuring the roller stand on which the carrier roller is mounted as described above, the carrier roller can be easily replaced without forcibly lifting the belt when the carrier roller is replaced.

벨트 컨베이어, 스탠드, 롤러, 분리형, 로커Belt Conveyor, Stand, Roller, Detachable, Rocker

Description

분리형 캐리어 롤러 스탠드 어셈블리{DETACHABLE CARRIER ROLLER STAND ASSEMBLY} Detachable Carrier Roller Stand Assembly {DETACHABLE CARRIER ROLLER STAND ASSEMBLY}             

도 1은 일반적인 벨트 컨베이어 설비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ypical belt conveyor installation.

도 2는 종래의 캐리어 롤러 스탠드에서의 롤러 교체 작업을 도시한 개략도.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oller replacing operation in a conventional carrier roller stan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캐리어 롤러 스탠드 어셈블리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tachable carrier roller stand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어셈블리의 정면도.5 is a front view of the assembly shown in FIG.

도 6은 도 5의 B 부분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terior of a portion B of FIG. 5.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제1 상부 프레임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that the first upper frame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position shown in FIG. 5; FIG.

도 8은 도 7의 C 부분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로 편의상 제1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의 위치를 인접하게 나타낸 도면.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interior of portion C of FIG. 7 and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showing a position between the first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djacently.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f main parts in drawings>

10a, 10b: 상부 프레임 12a, 12b: 지지 바 10a, 10b: upper frame 12a, 12b: support bar                 

14: 슬롯 16: 스토퍼14: slot 16: stopper

18a, 18b: 캐리어 롤러 20: 하부 프레임18a, 18b: carrier roller 20: lower frame

22: 롤러 24: 로커22: roller 24: rocker

28: 체결 핀 40: 벨트28: fastening pin 40: belt

42: 배킹 브래킷 46: 지지대
42: backing bracket 46: support

본 발명은 적재물을 운송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 설비에서 궤도 이송되는 벨트를 지지하기 위한 캐리어 롤러가 장착되는 캐리어 롤러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캐리어 롤러가 장착되는 롤러 스탠드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캐리어 롤러의 교체 작업시 벨트를 무리하게 들어올리지 않고 간편하게 캐리어 롤러를 교체할 수 있게 한 분리형 캐리어 롤러 스탠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rier roller stand equipped with a carrier roller for supporting a belt orbitally conveyed in a belt conveyor facility for transporting load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rier roller by detachably configuring a roller stand on which a carrier roller is moun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carrier roller stand assembly which enables the carrier roller to be easily replaced without forcibly lifting the belt during the replacement operation.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산업체 예를 들어 제철 공장에서는 고로 조업시 원로 및 연료로 사용되는 철광석 및 석탄을 선박의 하역 장소에서 공장의 야드까지 운송해야 하는데, 이와 같은 운송물의 운송을 위하여 사용되는 통상적인 벨트 컨베이어 설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In general, most industries, for example steel mills, need to transport iron ore and coal, which are used as reactors and fuels in blast furnace operations, from the unloading site of the vessel to the yard of the plant. The installation is shown in FIG. 1.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탠드 베이스(110)의 상하측에 배치된 다수의 캐리어 롤러(120)와 리턴 롤러(130) 및 풀리(140)에 걸려진 벨트(150)가 무한 궤도 형태로 이동하면서 상기 운송물(160)을 운송한다 That is, as shown in Figure 1, the plurality of carrier rollers 120 and the belt 150 is fastened to the return roller 130 and the pulley 140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tand base 110 in an endless track shape Transport the shipment 160 while moving

이때 상기 캐리어 롤러(120)는 프레임(110)에 설치된 스탠드(200)에 장착되는데, 이와 같은 캐리어 롤러 (120)는 통상 운송물(160)의 낙하 방지를 위하여 벨트(150)를 U자형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한 쌍의 측방 캐리어 롤러(120a)와 그 사이에 위치되는 중앙 캐리어 롤러(120b)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carrier roller 120 is mounted on the stand 200 installed in the frame 110, such a carrier roller 120 to convey the belt 150 in a U-shape in order to prevent the fall of the transport object 160. It consists of a pair of side carrier rollers (120a) and a center carrier roller (120b) located between them.

그런데 상기와 같은 캐리어 롤러(120)는 벨트 컨베이어 설비(100)의 가동시 운송물(160)이 적재된 상태에서 이송되는 벨트(150)를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캐리어 롤러(120)의 표면이 벨트(150)와의 마찰로 손쉽게 마모된다. 또한 설비가 대부분 야외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캐리어 롤러(120) 자체가 손쉽게 부식된다. 이러한 마모 및 부식이 발생하면 발열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에 화재가 발생하는 대형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캐리어 롤러(120)는 주기적인 보수 작업을 통하여 손상이 심한 경우 캐리어 롤러(120) 자체를 교체해야 하는데, 종래의 캐리어 롤러(120)의 교체 작업을 도 2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However, since the carrier roller 120 as described above supports the belt 150 which is transpor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shipment 160 is loaded when the belt conveyor facility 100 is operated, the surface of the carrier roller 120 is a belt ( It is easily worn by friction with 150). In addition, since most of the equipment is installed outdoors, the carrier roller 120 itself is easily corroded. If such wear and corrosion occur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heat generation can lead to a large accident that causes a fire on the belt conveyor. Therefore, such a carrier roller 120 should replace the carrier roller 120 itself when the damage is severe through periodic maintenance work, the replacement of the conventional carrier roller 120 is schematically shown in FIG.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탠드(200)에 장착된 캐리어 롤러(120)의 교체 작업시, 대략 3 내지 4명의 작업자가 지렛대(210) 또는 체인블록 등의 치구를 이용하여 캐리어 벨트(150)를 롤러(120)로부터 강제로 들어올린 후에, 측방 또는 중앙 캐리어 롤러(120a, 120b)를 교체하였다.As shown in FIG. 2, in the replacement operation of the carrier roller 120 mounted on the stand 200, approximately 3 to 4 workers use the jig 210 or a chain block such as a jig for the carrier belt 150. Was forcibly lifted from the roller 120, and then the lateral or center carrier rollers 120a and 120b were replaced.

다시 말하면, 캐리어 롤러(120)들이 장착되는 캐리어 롤러 스탠드(200)는 위치 조정이 불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캐리어 롤러(120)를 스탠드(200)로부터 교체하기 위해서는 대략 3 내지 4명의 작업자가 별도의 치구 즉 지렛대(210) 또는 체인블록 등의 치구를 이용하여 벨트(150)를 강제로 들어올린 후에 상기 캐리어 롤러(120)의 교체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캐리어 벨트(150)는 슈트(170) 하부의 스커트(180)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들어올리는데 많은 인력 및 시간이 필요하게 되고 그에 따라 특히 롤러(120)의 교체 작업도 상당히 지연된다. 따라서 롤러 교체 작업시 가동이 중단되어야 하는 벨트 컨베이어 설비(100)의 가동율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를 초래한다.In other words, the carrier roller stand 200 on which the carrier rollers 120 are mounted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position adjustment is impossible. Therefore, in order to replace the carrier roller 120 from the stand 200, approximately 3 to 4 workers are forced to lift the belt 150 by using a jig, such as a jig 210 or a chain block. The carrier roller 120 is to be replaced. However, since the carrier belt 15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rt 180 under the chute 170, a lot of manpower and time are required to lift it, and thus the replacement of the roller 120 is also significantly delayed. Therefore, it causes a problem that greatly lowers the operation rate of the belt conveyor equipment 100 that must be stopped during the roller replacement operation.

더욱이 도 1에서 도시한 라인 변경 구간에 설치되는 슈트(170)에 인접한 캐리어 롤러(120)들을 교체할 때, 작업자가 치구(210)를 이용하여 벨트(150)를 들어올리고 캐리어 롤러(120)를 교체하는 작업 자체도 상당히 어려운 것이며, 벨트(150)를 들어올리고 치구를 이용하며 프레임에 올라가서 작업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상당히 높다.Furthermore, when replacing the carrier rollers 120 adjacent to the chute 170 installed in the line change section shown in FIG. 1, the worker lifts the belt 150 using the jig 210 and lifts the carrier roller 120. Replacing itself is also quite difficult, because the lifting of the belt 150, using a jig and working on the frame to raise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of the worker is very high.

따라서 벨트를 들어올리지 않고 캐리어 롤러가 장착된 스탠드 자체를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한다면, 캐리어 롤러의 교체 작업이 보다 간편할 것이다.
Therefore, if the stand itself with the carrier roller can be detached without lifting the belt, the replacement of the carrier roller will be easier.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캐리어 롤러가 장착되는 롤러 스탠드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캐리어 롤러의 교체 작업시 벨트를 무리하게 들어올리지 않고 간편하게 캐리어 롤러를 교체할 수 있게 한 분리형 캐리어 롤러 스탠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the roller stand on which the carrier roller is detachably configured to easily lift the belt during the replacement operation of the carrier roller It is to provide a separate carrier roller stand assembly that allows the carrier roller to be replac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캐리어 롤러의 교체 작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분리형 캐리어 롤러 스탠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tachable carrier roller stand assembly which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that may occur in the replacement operation of the carrier roller.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제공되는 분리형 캐리어 롤러 스탠드 어셈블리는 길다란 U자형 외관을 가지며 측부에 복수의 롤러가 설치된 하부 프레임; 벨트 컨베이어의 캐리어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 쌍의 지지 바를 지지하고, 길다란 역 U자형 외관을 가지며, 상기 하부 프레임의 롤러에서 활주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을 상기 하부 프레임에 체결시키는 체결 수단을 구비한다.The detachable carrier roller stand assembly provided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ng U-shaped appearance and a plurality of rollers on the side; First and second upper frames supporting a plurality of pairs of support bars rotatably supporting a carrier roller of a belt conveyor, having a long inverted U-shaped appearance and configured to slide in the rollers of the lower frame; And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the first and second upper frames to the lower frames.

이하 첨부 도면과 연계되어 설명되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특징 및 장점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Variou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캐리어 롤러 스탠드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어셈블리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 부분의 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 이해를 돕기 위해 직후방의 지지 바(12b)의 일부를 절단하여 후방의 지지 바(12a)의 일부가 보이도록 나타내었다. 이하 편의상 도 3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기재한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tachable carrier roller stand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assembly shown in FIG. 3, and FIG. 6.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portion B in FIG. In FIG. 4,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a portion of the support bar 12b in the immediate direction is cut to show a portion of the support bar 12a in the rea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본 발명의 분리형 캐리어 롤러 어셈블리는 세 개의 캐리어 롤러(18a, 18b)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3 쌍의 지지 바(12a, 12b)가 설치되는 역U자 형태의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10a, 10b) 및 이들 상부 프레임(10a, 10b) 하측에 배치된 U자 형태의 하부 프레임(20)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 프레임(20)은 상부 프레임(10a, 10b)보다 폭이 좁으며 양 측부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10a, 10b)과 하단이 접촉되도록 복수의 롤러(2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프레임(10a, 10b)은 롤러(22)에서 활주될 수 있다.The detachable carrier rolle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verted U-shaped first and second upper frame 10a in which three pairs of support bars 12a and 12b rotatably support three carrier rollers 18a and 18b. , 10b) and a U-shaped lower frame 20 disposed below these upper frames 10a and 10b. The lower frame 20 has a narrower width than the upper frames 10a and 10b, and a plurality of rollers 22 are installed at both sides thereof so that the upper frames 10a and 10b and the lower end contact each other. Accordingly, the upper frames 10a and 10b may slide on the roller 22.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10a, 10b)에는 서로 맞닿은 지점에 인접하여 터치 바(3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프레임(20)에는 상기 터치 바(36)에 상응하는 위치에 리미트 스위치(38, limit switch)가 설치되어 있다. 통상 리미트 스위치(38)는 기계 장치 등에서 동작이 일정한 한계 위치에 달하면 접점이 전환되는 스위치를 말한다. 한편 리미트 스위치(38)에 인접한 위치에는 프레임 가이드 바(34)가 설치되어 상기 상하부 프레임(10a, 10b; 20)을 탄력 지지하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 upper frames 10a and 10b are provided with touch bars 36 adjacent to abutment points, and the lower frame 20 has a limit switch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bar 36. 38, limit switch) is installed. Typically, the limit switch 38 refers to a switch to which the contact is switched when the operation reaches a certain limit position in a mechanical device or the like. Meanwhile, the frame guide bar 34 is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limit switch 38 to elastically support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a, 10b and 20.

하부 프레임(20)은 좌측 단부에 로커(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커(24)는 상기 상부 프레임(10a)의 좌측 단부 프레이트에 형성된 일자형 절결부(26)를 통해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로커(24)에 형성된 슬롯을 통해 체결 핀(28)이 삽입되어 상기 제1 상부 프레임(10a)을 상기 하부 프레임(20)에 고정 부착시킨다. 하부 프레임(20)의 우측 단부도 동일한 구성의 로커(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로커(24)도 역시 체결 핀(28)에 제2 상부 프레임(10b)의 절결부(26)와 체결되어 제2 상부 프레임(10b)을 하부 프레임(20)에 고정 부착시킨다.The lower frame 20 has a rocker 24 formed at the left end, and the rocker 24 extends through the straight cutout 26 formed at the left end plate of the upper frame 10a. A fastening pin 28 is inserted through the slot formed in the 24 to fix the first upper frame 10a to the lower frame 20. A rocker 24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is formed at the right end of the lower frame 20, and the rocker 24 is also fastened to the cutout portion 26 of the second upper frame 10b by the fastening pin 28. 2 Fix the upper frame 10b to the lower frame 20.

또한 중앙 캐리어 롤러(18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바(12a)는 제1 상부 프레임(10a)의 상판에 형성된 한 쌍의 슬롯(14)을 통해 제1 상부 프레임(10a)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이들 지지 바(12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배킹 브래킷(4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배킹 브래킷(42)은 상기 제1 상부 프레임(10a)에 고정되지 않은 고무 부재(44)와 함께 직각 삼각형 형태의 제1 경사 고정대를 형성한다. 한편 하부 프레임(20)에는 고무로 이루어진 제2 경사 고정대(46)가 설치되어 상기 배킹 브래킷(42)을 지지하고 있다. 한편 상기 지지 바(12a)의 하측 양면에는 스토퍼(16)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 스토퍼(16)는 상기 제1 상부 프레임(10a)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a) 만큼 이격되어 있다. 이들 스토퍼(16)는 후술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부 프레임(10a)이 하부 프레임(20)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할 때 지지 바(12a)가 더 이상 내려오지 못하게 제한한다.In addition, the pair of support bars 12a rotatably supporting the central carrier roller 18a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upper frame 10a through a pair of slots 14 formed in the upper plate of the first upper frame 10a. Extend inwardly; These support bars 12a are connected to the inclined backing bracket 42 as shown in FIG. The backing bracket 42 together with the rubber member 44 not fixed to the first upper frame 10a forms a first inclined holder having a right triangle shape. On the other hand, a second inclined holder 46 made of rubber is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20 to support the backing bracket 42. On the other hand, stoppers 16 are formed on both lower surfaces of the support bar 12a, and these stoppers 16 ar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upper frame 10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These stoppers 16 restrict the support bar 12a from further descending as the first upper frame 10a moves from the lower frame 20 to the left side as shown in FIG. 8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하부 프레임(20)의 양 단부에는 고정 브래킷(30)이 설치되어 볼트 결합 등에 의해 하부 프레임(20)을 스탠드 베이스(32)에 고정시킨다.Meanwhile, fixing brackets 30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lower frame 20 to fix the lower frame 20 to the stand base 32 by bolting or the like.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제1 상부 프레임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C 부분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로 편의상 제1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의 위치를 인접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7 및 8을 선행 도면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캐리어 롤러 스탠드 어셈블리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FIG. 7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upper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position shown in FIG. 5,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part C of FIG. Is a diagram showing adjacently. 7 and 8 together with the preced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separate carrier roller stand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5에 도시된 체결 위치로부터 고정 핀(28)을 로커(24)의 슬롯으로부터 빼내어 제1 상부 프레임(10a)을 하부 프레임(20)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로 체결 해제한다. 이어 제1 상부 프레임(10a)을 도면의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제1 경사 고정대의 배킹 브래킷(42)은 하중에 의해 제2 경사 고정대(46)의 경사면을 따라 좌측으로 하향 이동하게 된다. 이는 상기 지지 바(12a)가 제1 상부 프레임(10a)이 아닌 상기 배킹 브래킷(42)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지지 바(12a)가 하향되면 지지 바(12a)에 설치된 중앙 캐리어 롤러(18a)는 벨트(40)로부터 소정의 간격(a)만큼 이격되는데 이는 전술한 스토퍼(16)와 제1 상부 프레임(10a) 사이의 간격(a)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중앙 캐리어 롤러(18a)가 벨트(40)로부터 이격되면 제1 상부 프레임(10a)은 벨트(40)로부터 자유로와 지고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First, the fixing pin 28 is pulled out of the slot of the rocker 24 from the fastening position shown in FIG. 5 to release the first upper frame 10a from the lower frame 20 in a detachable state. Subsequently, when the first upper frame 10a is moved to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the backing bracket 42 of the first inclined holder moves down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inclined holder 46 by the load. This is because the support bar 12a is fixed to the backing bracket 42 instead of the first upper frame 10a. When the support bar 12a is lowered in this way, the central carrier roller 18a installed on the support bar 12a is spaced apart from the belt 4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which is the stopper 16 and the first upper frame. It is equal to the interval a between (10a). As such, when the central carrier roller 18a is spaced apart from the belt 40, the first upper frame 10a may be freed from the belt 40 and easily moved.

한편 이와 같은 작업에서 제1 상부 프레임(10a)이 이동되면 터치 바(36)가 리미트 스위치(38)로부터 이탈되고 이와 같은 이탈이 감지되면 벨트 컨베이어가 자동으로 정지된다.Meanwhile, in this operation, when the first upper frame 10a is moved, the touch bar 36 is separated from the limit switch 38, and when such departure is detected, the belt conveyor is automatically stopped.

이와 같이 이동시킨 후 제1 상부 프레임(10a)에 설치된 중앙 또는 외측 캐리어 롤러(18a, 18b)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After moving in this way, the center or outer carrier rollers 18a and 18b installed on the first upper frame 10a can be easily replaced.

한편 제2 상부 프레임(10b)도 역시 제1 상부 프레임(10a)과 유사한 방법으로 하부 프레임(20)으로부터 체결 해제되어 이동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upper frame 10b may also be disengaged from the lower frame 20 in a similar manner to the first upper frame 10a.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손상된 캐리어 롤러를 교체할 때 작업자가 지렛대를 이용하여 벨트를 들어올리지 않고도 롤러 스탠드를 좌우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캐리어 롤러의 교체가 용이해진다. 또한 롤러 교체 시간이 단축되어 컨베이어 설비의 수송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아울러 롤러 교체 작업이 용이해짐으로써 안전 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amaged carrier roller is replaced, the operator can easily move the roller stand from side to side without lifting the belt using a lever, thereby facilitating replacement of the carrier roller. In addition, the roller replacement time can be shortened to maximize the transportation efficiency of the conveyor equipment. In addition, the roller replacement operation is easy to hav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Claims (5)

벨트 컨베이어를 가로지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복수의 롤러(22)가 설치된 하부 프레임(20)과; A lower frame 20 dispos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belt conveyor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llers 22; 캐리어 롤러(18a, 18b)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 쌍의 지지 바(12a, 12b)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20)이 구비되는 롤러(22)에 지지되어 각각 활주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10a, 10b)과; A plurality of pairs of support bars 12a and 12b rotatably supporting the carrier rollers 18a and 18b, the first frame being supported by the roller 22 provided with the lower frame 20 and configured to slide respectively And second upper frames 10a and 10b; 상기 제1 상부 프레임(10a)을 분리하는 경우, 벨트 컨베이어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캐리어 롤러가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이격이 발생하도록 이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When separating the first upper frame (10a), the carrier roller for support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belt conveyor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paration means so that the separation from the conveyor belt, 상기 이격수단은 The spacing means 중앙부 캐리어 롤러(18a)를 지지하는 지지바(12a)가 관통하도록 제1 상부 프레임(10a)에 형성되는 슬롯과; A slot formed in the first upper frame 10a so that the support bar 12a for supporting the center carrier roller 18a passes therethrough; 하부면이 제2 상부 프레임(10b)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중앙부 캐리어 롤러(18a)를 지지하는 지지바(12a)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제1 경사 고정대와; A first inclined holder formed on a lower end of the support bar 12a supporting the central carrier roller 18a and having a lower surface inclined upward in a direction of the second upper frame 10b; 상기 제1 경사고정대와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 경사 고정대를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20)에 구비되는 제2 경사 고정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캐리어 롤러 스탠드 어셈블리. And a second inclined holder which is form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inclined holder, and is provided in the lower frame 20 to support the first inclined hol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U자형 외관으로 구성되고,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frame is composed of a U-shaped appearance,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은 하부 프레임과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U자형 외관으로 구성되며, The first and second upper frame has a U-shaped appearance dispo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lower frame, 상기 하부 프레임에 구비되는 롤러는 하부 프레임의 외측 또는 내측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이 지지되어 활주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캐리어 롤러 스탠드 어셈블리. The roller provided in the lower frame is disposed on the outside or inside of the lower frame is separated carrier roller stand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upper frame is supported and slidab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10a, 10b)를 상기 하부 프레임(20)에 체결시키는 체결 수단이 더 구비되며, According to claim 1,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the first and second upper frame (10a, 10b) to the lower frame 20 is further provided, 상기 체결 수단은 The fastening means 상기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원거리에 위치한 단부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일자형 절결부와; A straight cutout formed in an end plate locat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frames;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절결부를 통해 슬롯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로커; 및 A locker having a slot and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frame such that the slot protrudes outward through the cutout; And 상기 로커의 슬롯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상부 프레임을 상기 하부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체결 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캐리어 롤러 스탠드 어셈블리. And a fastening pin inserted through the slot of the rocker to fix the first and second upper frames to the lower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12a)에는 중앙부에 배치되는 캐리어 롤러와 벤트 컨베이어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스토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캐리어 롤러 스탠드 어셈블리. 2. The detachable carrier roller stand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bar (12a) is further provided with a stopper for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arrier roller and the vent conveyor disposed at the center portion.
KR1020020054107A 2002-09-09 2002-09-09 Detachable Carrier Roller Stand Assembly Expired - Fee Related KR1009160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107A KR100916093B1 (en) 2002-09-09 2002-09-09 Detachable Carrier Roller Stand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107A KR100916093B1 (en) 2002-09-09 2002-09-09 Detachable Carrier Roller Stand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514A KR20040022514A (en) 2004-03-16
KR100916093B1 true KR100916093B1 (en) 2009-09-08

Family

ID=37326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4107A Expired - Fee Related KR100916093B1 (en) 2002-09-09 2002-09-09 Detachable Carrier Roller Stand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09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0384A (en) * 2022-09-21 2024-03-28 양희원 A pipe transfer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790B1 (en) * 2002-12-05 2010-04-28 주식회사 포스코 Preventing tearing of conveyor belt by foreign matter
KR101054471B1 (en) * 2004-12-28 2011-08-04 주식회사 포스코 Carrier Roller Change Device of Belt Conveyor
KR100822414B1 (en) * 2006-11-08 2008-04-16 주식회사 포스코 Roller support for belt conveyor
US8028824B2 (en) * 2008-10-20 2011-10-04 Hallen Specialties, Inc. Replacement roller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3219U (en) * 1986-10-31 1988-05-16
JPH0649412U (en) * 1992-12-17 1994-07-08 神鋼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Trough Flora for Belt Conveyor
JPH1129211A (en) * 1997-07-08 1999-02-02 Torao Hasegawa Carrier roller supporting device for belt conveyor
JP2001122424A (en) * 1999-10-20 2001-05-08 Kobe Steel Ltd Carrier roller stand for belt convey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3219U (en) * 1986-10-31 1988-05-16
JPH0649412U (en) * 1992-12-17 1994-07-08 神鋼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Trough Flora for Belt Conveyor
JPH1129211A (en) * 1997-07-08 1999-02-02 Torao Hasegawa Carrier roller supporting device for belt conveyor
JP2001122424A (en) * 1999-10-20 2001-05-08 Kobe Steel Ltd Carrier roller stand for belt convey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0384A (en) * 2022-09-21 2024-03-28 양희원 A pipe transfering apparatus
KR102768249B1 (en) 2022-09-21 2025-02-13 양희원 A pipe transfer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514A (en) 2004-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397B1 (en) chain pin changing device of coal silo for CSU
CN205739121U (en) Chain type conveyor line
CN110678403A (en) Belt conveyor
KR101564369B1 (en) A stand device for belt conveyor system
KR101491448B1 (en) Lifting apparatus for replacement belt conveyor upper roller and belt conveyor upper rollerr eplacement method using this
US4513859A (en) Conveyor with readily replaceable roller
KR100960998B1 (en) Stand structure for belt conveyer roller
KR100916093B1 (en) Detachable Carrier Roller Stand Assembly
KR20100076419A (en) A belt conveyor apparatus with the return belt turned over
KR101188085B1 (en) Belt Conveyor Apparatus
KR100323060B1 (en) A guide device for preventing a belt meander of a comveror belt
CN217576830U (en) Conveying device based on plate cutting
KR100854304B1 (en) Carrier roller stand for easy roller replacement
CN209579385U (en) Carrier roller replacing tool
KR20130000217U (en) Rail Frame for Roller Chain Conveyor System
KR19980019891U (en) Automatic Tip Cleaner for Conveyor Belts
KR100841759B1 (en) Trippercar suit with open grizzly bar
KR200462268Y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ore falling on belt conveyor
KR200176544Y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falling down of a tension weight
KR102028617B1 (en) Apparatus for emergency charging of cokes charging equipment and this method of installation
KR20160036429A (en) Drop ore removing device for continuous ship unloader
KR100991461B1 (en) Carrier roller stand to prevent meandering of the belt
KR20130110837A (en) Apparatus for transfering tools
KR0119009Y1 (en) Collector for falling dust of belt conveyer
WO2006060862A1 (en) Roller support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9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9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09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8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