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16068B1 - 레거시 AP를 이용한 무선랜 스테이션의 VoIP 통화방법 - Google Patents

레거시 AP를 이용한 무선랜 스테이션의 VoIP 통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068B1
KR100916068B1 KR1020070122538A KR20070122538A KR100916068B1 KR 100916068 B1 KR100916068 B1 KR 100916068B1 KR 1020070122538 A KR1020070122538 A KR 1020070122538A KR 20070122538 A KR20070122538 A KR 20070122538A KR 100916068 B1 KR100916068 B1 KR 100916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period
wake
voip
wla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5746A (ko
Inventor
김성이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2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068B1/ko
Publication of KR20090055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5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06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leader and terminal is follower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leader and terminal is follower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U-APSD(Unscheduled-Automatic Power Save Delivery)를 지원하지 않는 레거시(Legacy) AP(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무선랜 스테이션이 VoIP 통화를 진행하는 동안 적절한 절전 동작을 통해 전력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레거시 AP를 이용한 무선랜 디바이스의 VoIP 통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통화 방법은, VoIP 통화를 위해 호를 설정하는 단계; 통화에 사용되는 음성 코덱의 패킷 발생 주기와 일치하는 통화 웨이크업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통화 웨이크업 주기마다 웨이크업하여 상기 음성 코덱에 의해 생성된 음성 패킷을 연결된 AP로 송신하고, 상기 연결된 AP로부터 음성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VoIP 통화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VoIP 통화가 종료되면 호를 종료하고, 상기 통화 웨이크업 주기에 따른 동작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레거시(Legacy) AP, U-APSD, 무선랜, 스테이션, 웨이크업, VoIP, VoWLAN

Description

레거시 AP를 이용한 무선랜 스테이션의 VoIP 통화 방법{VoIP CALLING METHOD OF WIRELESS LAN STATION USING LEGACY AP}
본 발명은 무선랜 스테이션의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통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U-APSD(Unscheduled-Automatic Power Save Delivery)를 지원하지 않는 레거시(Legacy) AP(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무선랜 스테이션이 VoIP 통화를 진행하는 동안 적절한 절전 동작을 통해 전력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레거시 AP를 이용한 무선랜 디바이스의 VoIP 통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과 융합화 추세에 따라, 기존에 단순한 셀룰러 통신에 사용되던 이동통신 단말기에 무선랜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선랜을 통한 인터넷 전화, 즉 무선랜을 통해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이용한 전화 기술을 접목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무선랜을 통한 VoIP 통화 기술(VoWLAN: Voice over Wireless LAN)을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무선랜 디바이스가 VoIP를 이용하여 전 화 통화를 진행하고 있는 과정에서도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U-APSD(Unscheduled-Automatic Power Save Delivery) 규격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 U-APSD 규격은 무선랜의 AP와 스테이션에서 모두 지원할 수 있어야 동작 가능한 규격으로, 기존 필드에 설치된 무선랜 AP들은 대부분 이 U-APSD 규격을 지원하지 않는 레거시(Legacy) AP이다.
기존의 레거시 AP는 IEEE 802.11에서 규정하는 전원 운용 표준을 따른다. 이 무선랜 표준에 따르면 일반 모드(normal mode)와 절전모드(power save mode)의 2 가지 전원 운용 모드가 정의되어 있다.
일반 모드에서 무선랜 스테이션은 AP로부터 무선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드에 있으며, AP로 송신할 패킷이 발생한 경우 송신모드로 전환하여 패킷을 AP로 전송하고 다시 수신모드로 전환하도록 동작한다. 이 일반 모드에서는, 무선랜 스테이션이 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 수신 모드에 있으므로 항상 일정량의 전류를 소모하게 되며, 무선랜 스테이션이 패킷 송신모드에 들어가면 수신모드 시보다 더 많은 전류를 소비하게 된다.
또한, 절전모드에서 무선랜 스테이션은 전류소모가 거의 없는 슬립(sleep) 또는 도우즈(doze) 상태에 있다가, AP로부터 송신되는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essage) 비콘(beacon)을 수신하기 위해 사전 결정된 비콘 주기의 배수로 웨이크업하여 DTIM 비콘을 확인하고, DTIM 비콘에 자신이 송신 또는 수신해야 할 패킷이 있는지의 정보를 파악한 후 송수신 패킷이 없다고 확인되면 다시 도우즈 상태로 들어간다. 통상, 절전모드에서 무선랜 스테이션의 웨이크업 주기는 100 ms, 200 ms, 또는 300 ms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무선랜 표준에 정의된 전원 운용 방법에는 U-APSD 규격을 미지원하는 AP와 VoIP 통화를 진행할 때 무선랜 스테이션이 전원을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이 전혀 고려되고 있지 않다. 다만, 무선랜 표준에 정의된 절전모드는 비콘 주기에 따라 웨이크업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 무선랜 표준의 절전모드는 비콘 주기의 배수로 무선랜 스테이션이 웨이크업하게 되므로 웨이크업 주기가 길어 VoIP를 이용한 전화통화에 적용되는 경우 통화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U-APSD(Unscheduled-Automatic Power Save Delivery)를 지원하지 않는 레거시(Legacy) AP를 이용하여 무선랜 스테이션이 VoIP 통화를 진행하는 동안 적절한 절전 동작을 통해 전력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레거시 AP를 이용한 무선랜 디바이스의 VoIP 통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VoIP 통화를 위해 호를 설정하는 단계;
통화에 사용되는 음성 코덱의 패킷 발생 주기와 일치하는 통화 웨이크업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통화 웨이크업 주기마다 웨이크업하여 상기 음성 코덱에 의해 생성된 음성 패킷을 연결된 AP로 송신하고, 상기 연결된 AP로부터 음성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VoIP 통화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VoIP 통화가 종료되면 호를 종료하고, 상기 통화 웨이크업 주기에 따른 동작을 중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스테이션의 VoIP 통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는, 상기 호를 설정하는 단계 이후, 상기 연결된 AP가 U-APSD 규격을 지원하는 AP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된 AP가 U-APSD 규격을 지원하는 AP가 아닌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통화 웨이크업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VoIP 통화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웨이크업 주기에 따른 동작을 중지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VoIP 통화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웨이크업 주기마다 웨이크업하여 상기 연결된 AP에게 무선랜 표준에서 정의된 절전모드를 사용하지 않음을 통보하며, 자신의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로 인터럽트를 걸어 웨이크업 이벤트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화 웨이크업 주기에 따른 동작을 중지하는 단계는, 사전 설정된 기간동안 송신 또는 수신하여야 할 음성패킷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연결된 AP에 상기 무선랜 표준에서 정의된 절전모드를 사용함을 통보하고, 상기 무선랜 표준에서 정의된 절전모드에 들어가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U-APSD를 지원하지 않는 레거시 AP를 이용하여 무선랜 스테이션이 VoIP 통화를 진행하는 동안 적절한 절전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무선랜 스테이션의 전력소모를 절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무선랜 스테이션의 동작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무선랜 스테이션의 VoIP 통화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특히, 도 1은 무선랜 스테이션이 VoIP 통화를 실행하기 이전 AP와 연결하여 무선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과정까지 도시한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무선랜 스테이션의 가상 U-APSD 모드에서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상기 가상 U-APSD 모드는 U-APSD 규격을 지원하지 않는 레거시 AP와 연결된 무선랜 스테이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통화시 절전 방법을 실행하는 모드를 지칭하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무선랜 스테이션의 VoIP 통화 방법은, VoIP 통화를 위해 호를 설정하는 단계(S15)와, 무선랜 스테이션이 가상 U-APSD 모드, 즉 본 발명의 절전 방법에 따른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S171)와, VoIP 통화가 종료되면 호를 종료하고(S181), 상기 가상 U-APSD 모드를 종료하는 단 계(S192)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랜 스테이션이 가상 U-APSD 모드로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S171)는, 통화에 사용되는 음성 코덱의 패킷 발생 주기와 일치하는 통화 웨이크업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S21)와, 상기 통화 웨이크업 주기마다 웨이크업하여 상기 음성 코덱에 의해 생성된 음성 패킷을 연결된 AP로 송신하고, 상기 연결된 AP로부터 음성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VoIP 통화를 진행하는 단계(S22 내지 S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무선랜 스테이션의 VoIP 통화 방법은, 상기 호를 설정하는 단계(S15) 이후, 상기 연결된 AP가 U-APSD 규격을 지원하는 AP인지 확인하는 단계(S1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된 AP가 U-APSD 규격을 지원하는 AP가 아닌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가상 U-APSD 모드를 실행(S171)하여 상기 통화 웨이크업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S21), 상기 VoIP 통화를 진행하는 단계(S22 내지 S24) 및 상기 통화 웨이크업 주기에 따른 동작을 중지하는 단계(S191)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VoIP 통화를 진행하는 단계(S22 내지 S24)는, 상기 웨이크업 주기마다 웨이크업하여 상기 연결된 AP에게 무선랜 표준에서 정의된 절전모드를 사용하지 않음을 통보하며(S22), 자신의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로 인터럽트를 걸어 웨이크업 이벤트를 통보하는(S2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무선랜 스테이 션의 VoIP 통화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무선랜 스테이션은 초기 상태에서 주변환경에 대한 스캐닝을 실행하여 접속할 AP를 검색한 후, 검색된 AP에 접속을 요청하고 접속 요청 받은 AP는 이를 수락함으로써 AP에 대한 접속이 완료된다(S11).
이어, 무선랜 스테이션은 연결된 AP와 주고 받을 패킷이 없는 경우 무선랜 표준(IEEE 802.11)에 정의된 절전모드(Power Save Mode)에 들어간다(S12). 이 절전모드에서 무선랜 스테이션은 도우즈(doze) 상태 있다가 사전 설정된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essage) 비콘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웨이크업하여 자신이 수신할 패킷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웨이크업 주기는 사전 설정된 상기 비콘 주기의 배수로 설정 가능하며 통산 100 ms, 200 ms, 300 ms, 500 ms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어, 사용자가 무선랜 스테이션을 이용하여 VoIP 통화를 시도하거나(호를 생성거나), 상기 AP로부터 수신된 DTIM 비콘에 자신에게 걸려오는 VoIP 통화가 있음을 통보받은 경우(호 설정 메세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랜 스테이션은 절전모드를 종료(S14)하고, VoIP를 위한 호를 설정한다(S15).
이어, 호 설정(S15)이 완료되면, 상기 무선랜 스테이션은 접속하고 있는 AP가 U-APSD 규격을 지원하는 AP인지 확인하고(S16), 연결 AP가 U-APSD 규격을 지원하지 않는 레거시 AP임이 확인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U-APSD 모드를 실행한다(S171).
가상 U-APSD 모드에서 무선랜 스테이션은, 통화에 사용되는 음성 코덱의 패킷 발생 주기와 일치하는 통화 웨이크업 주기를 설정한다(S21). 즉, 무선랜 스테이션이 송신할 음성 패킷은 음성을 코딩하고 이를 압축하여 소정 주기로 무선랜 스테이션으로 전달하는 음성 코덱에 의해 작성된다. 무선랜 스테이션은, 가상 U-APSD 모드에서 상기 음성 코덱에서 자신으로 전달되는 음성 패킷의 주기와 동일한 주기로 웨이크업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화 웨이크업 주기는 10 ms, 20 ms 또는 30 ms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무선랜 스테이션의 통화 웨이크업 주기는 무선랜 스테이션 내에 내장된 무선랜을 이용한 VoIP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통화 웨이크업 주기의 설정(S21)이 완료되면, 무선랜 스테이션은 상기 통화 웨이크업 주기 마다 도우즈 상태에서 웨이크업 하여 연결된 AP로 자신이 절전모드를 사용하지 않음을 통보한다(S22). 이러한 절전모드를 사용하지 않음을 통보하는 데에는, 절전모드 비트(Power Save Bit)를 클리어한(clear) 널 데이터 패킷(Null Data Packet)을 AP로 송신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화 웨이크업 주기 마다 도우즈 상태에서 웨이크업 하여 자신의 드라이버로 인트럽트를 걸어 웨이크업 이벤트(event)를 송신(S23)함으로써 자신이 절전모드 상태가 아니라 통화를 위한 가상 U-APSD 모드에 있음을 통보한다.
상기와 같은 통보 과정과 함께 상기 무선랜 스테이션은 송신할 음성패킷이 있으면 AP로 송신하고, AP는 무선랜 스테이션으로 송신하기 위해 버퍼링된 유니캐스트(Unicast) 음성패킷이 있으면 무선랜 스테이션으로 송신한다(S24). 이러한 음 성패킷의 송수신은 상기 통화 웨이크업 주기에 따라 무선랜 스테이션이 웨이크업 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 통화가 종료되어 사전 설정된 시간동안 무선랜 스테이션과 AP 사이에 송수신되는 음성 패킷이 존재하지 않으면, 무선랜 스테이션은 호를 종료하고(S181), 상기 통화 웨이크업 주기에 따른 동작, 즉 가상 U-APSD의 실행을 중단한다(S191). 또한, 무선랜 스테이션은 다시 절전모드에 들어가고 AP로 절전모드 비트(Power Save Bit)를 설정(set)하여 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함으로써 AP에게 자신이 절전모드로 들어감을 통보한다.
한편, 호설정(S15)이 완료된 이후 AP가 U-APSD 규격을 지원하는 AP로 확인된 경우에는 무선랜 스테이션과 AP는 U-APSD 규격에 정의된 방식으로 통화를 수행하고(S172), 통화가 종료되면(S182) U-APSD 동작을 중지한 후(S192) 무선랜 스테이션은 다시 절전모드로 들어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U-APSD 규격을 지원하지 않는 레거시 AP에 대해서도 VoIP를 통한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주기적인 도우즈 상태와 웨이크업 상태를 반복함으로써, 종래의 일반 모드에서 통화를 수행하는 것에 비해 전류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무선랜 스테이션의 연속 통화 가능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무선랜 스테이션의 VoIP 통화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무선랜 스테이션의 가상 U-APSD 모드에서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Claims (4)

  1. VoIP 통화를 위해 호를 설정하는 단계;
    통화에 사용되는 음성 코덱의 패킷 발생 주기와 일치하는 통화 웨이크업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통화 웨이크업 주기마다 웨이크업하여 상기 음성 코덱에 의해 생성된 음성 패킷을 연결된 AP로 송신하고, 상기 연결된 AP로부터 음성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VoIP 통화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VoIP 통화가 종료되면 호를 종료하고, 상기 통화 웨이크업 주기에 따른 동작을 중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스테이션의 VoIP 통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를 설정하는 단계 이후, 상기 연결된 AP가 U-APSD 규격을 지원하는 AP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된 AP가 U-APSD 규격을 지원하는 AP가 아닌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통화 웨이크업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VoIP 통화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웨이크업 주기에 따른 동작을 중지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스테이션의 VoIP 통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oIP 통화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웨이크업 주기마다 웨이크업하여 상기 연결된 AP에게 무선랜 표준에서 정의된 절전모드를 사용하지 않음을 통보하며, 자신의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로 인터럽트를 걸어 웨이크업 이벤트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스테이션의 VoIP 통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웨이크업 주기에 따른 동작을 중지하는 단계는,
    사전 설정된 기간동안 송신 또는 수신하여야 할 음성패킷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연결된 AP에 상기 무선랜 표준에서 정의된 절전모드를 사용함을 통보하고, 상기 무선랜 표준에서 정의된 절전모드에 들어가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스테이션의 VoIP 통화 방법.
KR1020070122538A 2007-11-29 2007-11-29 레거시 AP를 이용한 무선랜 스테이션의 VoIP 통화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916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538A KR100916068B1 (ko) 2007-11-29 2007-11-29 레거시 AP를 이용한 무선랜 스테이션의 VoIP 통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538A KR100916068B1 (ko) 2007-11-29 2007-11-29 레거시 AP를 이용한 무선랜 스테이션의 VoIP 통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746A KR20090055746A (ko) 2009-06-03
KR100916068B1 true KR100916068B1 (ko) 2009-09-08

Family

ID=40987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2538A Expired - Fee Related KR100916068B1 (ko) 2007-11-29 2007-11-29 레거시 AP를 이용한 무선랜 스테이션의 VoIP 통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0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920B1 (ko) * 2009-12-17 2014-05-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 절전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3701A (ko) * 2005-06-30 2007-01-05 노키아 코포레이션 예정 외 apsd 및 실시간 서비스들을 위한 소비전력감소 로직
US20070165593A1 (en) 2005-12-30 2007-07-19 Hundal Sukhdeep S System and method of enhancing WiFi real-time communications
US20070230418A1 (en) 2006-03-31 2007-10-04 Nokia Corporation Triggering rule for energy efficient data delivery
US20070238439A1 (en) 2006-03-30 2007-10-11 Ayelet Alon Voice signaling traffi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3701A (ko) * 2005-06-30 2007-01-05 노키아 코포레이션 예정 외 apsd 및 실시간 서비스들을 위한 소비전력감소 로직
US20070165593A1 (en) 2005-12-30 2007-07-19 Hundal Sukhdeep S System and method of enhancing WiFi real-time communications
US20070238439A1 (en) 2006-03-30 2007-10-11 Ayelet Alon Voice signaling traffi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20070230418A1 (en) 2006-03-31 2007-10-04 Nokia Corporation Triggering rule for energy efficient data deliv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746A (ko)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5749B2 (ja) 電源内蔵式無線通信装置によるコール/ブロードキャストページングメッセージの受信最適化方法および装置
KR101576142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무선랜 모듈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1147337B (zh) 在宽带无线接入系统中支持休眠方式的方法
EP1912451B1 (en) Power sav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US20060146769A1 (en) Method of operating a WLAN mobile station
US20060252449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provide adaptive power save delivery mode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s)
CN103259939B (zh) 一种终端休眠方法及终端
CN103125135A (zh) 使用代理设备在无线客户端终端中进行功率节省
CN102083110A (zh) 监视寻呼消息的方法及通信装置
WO2014000138A1 (zh) 一种设置通信模式的方法及Wi-Fi设备
KR20100128243A (ko) 이동국에서의 배터리 수명 보존 장치 및 그에 따른 시스템
EP1700418A1 (en) Power saving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KR20080097338A (ko) 불연속 데이터 송수신 방법
CN101483885A (zh) 改善非连续接收功能的方法及其相关通讯装置
Keshav et al. Energy efficient scheduling in 4G smart phones for mobile hotspot application
CN103546909A (zh) WLAN网络中基于802.11u协议的终端节能功耗管理方法
CN105309011A (zh) 传输数据的方法及基站、用户设备
US8611266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power saving for sta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795564B1 (ko) 이동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수면 주기 관리 방법
WO2023206533A1 (zh) 通信方法、装置、设备、芯片、存储介质、产品及程序
US20080123575A1 (en) Adaptive trigger frame generation in wireless networks
CN102573018B (zh) 一种移动终端省电的方法及其装置
KR100916068B1 (ko) 레거시 AP를 이용한 무선랜 스테이션의 VoIP 통화방법
CN105101364A (zh) 一种启动快速休眠的方法及终端
CN1997230A (zh) 一种移动终端接入无线网络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8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