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15833B1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시버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5833B1
KR100915833B1 KR1020080077694A KR20080077694A KR100915833B1 KR 100915833 B1 KR100915833 B1 KR 100915833B1 KR 1020080077694 A KR1020080077694 A KR 1020080077694A KR 20080077694 A KR20080077694 A KR 20080077694A KR 100915833 B1 KR100915833 B1 KR 100915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node
output node
transistor
lev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태진
김용주
한성우
송희웅
오익수
김형수
최해랑
이지왕
장재민
박창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35538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1583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80077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5833B1/ko
Priority to US12/483,413 priority patent/US793662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83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84Data in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ram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신호가 특정 레벨 이상일 경우 턴온되는 제 1 입력 트랜지스터, 상기 입력 신호가 상기 특정 레벨 이하일 경우 턴온되는 제 2 입력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입력 트랜지스터가 턴온되면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높이는 제 1 출력 노드 전압 제어부, 상기 제 2 입력 트랜지스터가 턴온되면 상기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낮추는 제 2 출력 노드 전압 제어부, 상기 입력 신호의 반전 신호가 상기 특정 레벨 이하일 경우 상기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높이는 제 3 입력 트랜지스터, 및 상기 입력 신호의 반전 신호가 상기 특정 레벨 이상일 경우 상기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낮추는 제 4 입력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입력 신호, 출력 신호, 신호 천이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시버{Receiver of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시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사용되는 리시버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외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회로에 전달한다. 따라서 리시버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내부 회로에 전달할 때 신호의 왜곡 또는 노이즈를 발생시키지 않아야 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리시버의 경우, N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만으로 또는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만으로 외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 받아 동작한다. N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입력 신호를 입력 받는 리시버는 입력 신호가 로우 레벨일 경우 턴오프되며, 입력 신호가 하이 레벨일 경우 턴온된다. 한편,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입력 신호를 입력 받는 리시버는 입력 신호가 하이 레벨일 경우 턴오프되고, 입력 신호가 로우 레벨일 경우 턴온된다.
이렇게 NMOS 트랜지스터, 또는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만 입력 신호를 입력 받는 리시버의 경우 입력 신호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할 때 또는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할 때 입력 신호를 입력 받는 트랜지스터들이 모두 턴오프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입력 신호를 입력 받는 트랜지스터들이 모두 턴오프되면 리시버의 출력 신호의 레벨을 결정하는 출력 노드가 플로팅 상태가 되어, 출력 신호가 입력 신호와는 무관한 레벨로 천이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리시버의 입력 신호가 높은 주파수로 갈수록 심각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입력 신호가 천이하는 타이밍에서도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출력 신호를 연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시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시버는 입력 신호가 특정 레벨 이상일 경우 턴온되는 제 1 입력 트랜지스터, 상기 입력 신호가 상기 특정 레벨 이하일 경우 턴온되는 제 2 입력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입력 트랜지스터가 턴온되면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높이는 제 1 출력 노드 전압 제어부, 상기 제 2 입력 트랜지스터가 턴온되면 상기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낮추는 제 2 출력 노드 전압 제어부, 상기 입력 신호의 반전 신호가 상기 특정 레벨 이하일 경우 상기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높이는 제 3 입력 트랜지스터, 및 상기 입력 신호의 반전 신호가 상기 특정 레벨 이상일 경우 상기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낮추는 제 4 입력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시버는 제 1 노드와 제 2 노드의 전압 레벨차이에 의해 구동되며 입력 신호가 하이 레벨일 경우 출력 노드에 상기 제 1 노드를 연결시키고, 상기 입력 신호가 로우 레벨일 경우 상기 출력 노드에 상기 제 2 노드를 연결시키는 제 1 입력부, 및 상기 입력 신호의 반전 신호가 하이 레벨일 경우 상기 출력 노드에 상기 제 2 노드를 연결시키고 상기 반 전신호가 로우 레벨일 경우 상기 출력 노드에 상기 제 1 노드를 연결시키는 제 2 입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입력 신호의 천이 타이밍에도 안정적인 출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시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화부(100), 제 1 내지 제 4 입력 트랜지스터(200~500), 및 제 1 및 제 2 출력 노드 전압 제어부(600, 700)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노드(node_1)에 외부 전압(VDD)이 인가된다.
상기 활성화부(100)는 인에이블 신호(en)가 인에이블되면 접지단(VSS)과 제 2 노드(node_2)를 연결시킨다.
상기 활성화부(100)는 제 1 트랜지스터(N11)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트랜지스터(N11)는 게이트에 상기 인에이블 신호(en)를 입력 받고 드레인에 상기 제 2 노드(node_2)가 연결되며 소오스에 접지단(VSS)이 연결된다.
상기 제 1 입력 트랜지스터(N12)는 입력 신호(in)가 하이 레벨이면 턴온된다.
상기 제 1 입력 트랜지스터(N12)는 게이트에 상기 입력 신호(in)를 입력 받고 소오스에 상기 제 2 노드(node_2)가 연결된다.
상기 제 2 입력 트랜지스터(P11)는 상기 입력 신호(in)가 로우 레벨이면 턴온된다.
상기 제 2 입력 트랜지스터(P11)는 게이트에 상기 입력 신호(in)를 입력 받고 소오스에 상기 제 1 노드(node_1)가 연결된다.
상기 제 3 입력 트랜지스터(P12)는 반전 입력 신호(inb)가 로우 레벨일 경우 턴온되어 출력 노드(node_out)에 외부 전압(VDD)을 인가시킨다.
상기 제 3 입력 트랜지스터(P12)는 게이트에 상기 반전 입력 신호(inb)를 입력 받고 소오스에 상기 제 1 노드(node_1)가 연결되며 드레인에 상기 출력 노드(node_out)가 연결된다.
상기 제 4 입력 트랜지스터(N13)는 상기 반전 입력 신호(inb)가 하이 레벨일 경우 턴온되어 상기 출력 노드(node_out)와 상기 제 2 노드(node_2)를 연결시킨다.
상기 제 4 입력 트랜지스터(N13)는 게이트에 상기 반전 입력 신호(inb)를 입력 받고 드레인에 상기 출력 노드(node_out)가 연결되며 소오스에 상기 제 2 노드(node_2)가 연결된다.
상기 제 1 출력 노드 전압 제어부(600)는 상기 제 1 입력 트랜지스터(N12)가 턴온되면 상기 출력 노드(node_out)에 외부 전압(VDD)을 인가시킨다.
상기 제 1 출력 노드 전압 제어부(600)는 제 2 및 제 3 트랜지스터(P13, P14)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트랜지스터(P13)는 소오스에 상기 제 1 노드(node_1)가 연결되고 게이트와 드레인에 상기 제 1 입력 트랜지스터(N12)의 드레인이 연결된다. 상기 제 3 트랜지스터(P14)는 게이트에 상기 제 1 트랜지스터(P13)의 게이트 가 연결되고 소오스에 상기 제 1 노드(node_1)가 연결되고 드레인에 상기 출력 노드(node_out)가 연결된다.
상기 제 2 출력 노드 전압 제어부(700)는 상기 제 2 입력 트랜지스터(P11)가 턴온되면 상기 출력 노드(node_out)에 상기 제 2 노드(node_2)를 연결시킨다.
상기 제 2 출력 노드 전압 제어부(700)는 제 4 및 제 5 트랜지스터(N14, N15)를 포함한다. 상기 제 4 트랜지스터(N14)는 게이트와 드레인에 상기 제 2 입력 트랜지스터(P11)의 소오스가 연결되고 소오스에 상기 제 2 노드(node_2)가 연결된다. 상기 제 5 트랜지스터(N15)는 게이트에 상기 제 4 트랜지스터(N14)의 게이트가 연결되고 드레인에 상기 출력 노드(node_out)가 연결되며 소오스에 상기 제 2 노드(node_2)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시버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인에이블 신호(en)는 인에이블되어 활성화부(100)가 턴온 즉, 제 1 트랜지스터(N11)가 턴온된다. 상기 제 1 트랜지스터(N11)는 턴온되어 접지단(VSS)과 제 2 노드(node_2)를 연결시킨다.
입력 신호(in)와 반전 입력 신호(inb)는 위상이 반대이다.
상기 입력 신호(in)가 하이 레벨일 경우 제 1 입력 트랜지스터(N12)는 턴온된다. 상기 제 1 입력 트랜지스터(N12)가 턴온되면 제 1 출력 노드 전압 제어부(600)는 출력 노드(node_out)에 외부 전압(VDD)을 인가시킨다.
또한, 상기 입력 신호(in)가 하이 레벨일 경우 상기 반전 입력 신호(inb)는 로우 레벨이므로 제 3 입력 트랜지스터(P12)는 턴온된다. 턴온된 상기 제 3 입력 트랜지스터(P12)는 상기 출력 노드(node_out)에 외부 전압(VDD)을 인가시킨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리시버는 상기 입력 신호(in)가 하이 레벨일 경우 하이 레벨의 출력 신호(out)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입력 신호(in)가 로우 레벨일 경우 제 2 입력 트랜지스터(P11)는 턴온된다. 상기 제 2 입력 트랜지스터(P11)가 턴온되면 제 2 출력 노드 전압 제어부(700)는 상기 출력 노드(node_out)에 접지 레벨인 상기 제 2 노드(node_2)를 연결시킨다.
상기 입력 신호(in)가 로우 레벨일 경우 상기 반전 입력 신호(inb)는 하이레벨이므로 제 4 입력 트랜지스터(N13)는 턴온된다. 턴온된 상기 제 4 입력 트랜지스터(N13)는 상기 출력 노드(node_out)에 접지 레벨인 상기 제 2 노드(node_2)를 연결시킨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리시버는 상기 입력 신호(in)가 로우 레벨일 경우 로우 레벨의 상기 출력 신호(out)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입력 신호(in)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 노드(node_out)의 전압 레벨을 결정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입력 트랜지스터(200, 300), 및 제 1 및 제 2 출력 노드 전압 제어부(600, 700)를 제 1 입력부라고 할 수 있고, 상기 반전 입력 신호(inb)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 노드(node_out)의 전압 레벨을 결정하는 상기 제 3 및 제 4 입력 트랜지스터(400, 500)를 제 2 입력부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시버는 입력 신호가 하이 레벨일 경우 턴온되는 제 1 입력 트랜지스터와 로우 레벨일 경우 턴온되는 다른 제 2 입력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입력 트랜지스터는 입력되는 상기 입력 신호의 전압 레벨이 특정 전압 레벨 이하에서 턴온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 2 입력 트랜지스터는 상기 특정 전압 레벨 이상에서 턴온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시버는 입력 신호가 천이할 경우에도 출력 신호를 연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시버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활성화부 200: 제 1 입력 트랜지스터
300: 제 2 입력 트랜지스터 400: 제 3 입력 트랜지스터
500: 제 4 입력 트랜지스터 600: 제 1 출력 노드 전압 제어부
700: 제 2 출력 노드 전압 제어부

Claims (9)

  1. 입력 신호가 특정 레벨 이상일 경우 턴온되는 제 1 입력 트랜지스터;
    상기 입력 신호가 상기 특정 레벨 이하일 경우 턴온되는 제 2 입력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입력 트랜지스터가 턴온되면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높이는 제 1 출력 노드 전압 제어부;
    상기 제 2 입력 트랜지스터가 턴온되면 상기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낮추는 제 2 출력 노드 전압 제어부;
    상기 입력 신호의 반전 신호가 상기 특정 레벨 이하일 경우 상기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높이는 제 3 입력 트랜지스터; 및
    상기 입력 신호의 반전 신호가 상기 특정 레벨 이상일 경우 상기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낮추는 제 4 입력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1 출력 노드 전압 제어부와 연결되는 NMOS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 2 입력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2 출력 노드 전압 제어부와 연결되는 PMOS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시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력 노드 전압 제어부는
    상기 제 1 입력 트랜지스터가 턴온되어 상기 제 1 출력 노드 전압 제어부와 연결된 노드의 전압 레벨이 낮아지면 상기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높이고,
    상기 제 2 출력 노드 전압 제어부는
    상기 제 2 입력 트랜지스터가 턴온되어 상기 제 2 출력 노드 전압 제어부와 연결된 노드의 전압 레벨이 높아지면 상기 출력 노드의 전압 레벨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입력 트랜지스터는 PMOS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 4 입력 트랜지스터는 NMOS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시버.
  5. 제 1 노드와 제 2 노드의 전압 레벨차이에 의해 구동되며 입력 신호가 하이 레벨일 경우 출력 노드에 상기 제 1 노드를 연결시키고, 상기 입력 신호가 로우 레벨일 경우 상기 출력 노드에 상기 제 2 노드를 연결시키는 제 1 입력부; 및
    상기 입력 신호의 반전 신호가 하이 레벨일 경우 상기 출력 노드에 상기 제 2 노드를 연결시키고 상기 반전신호가 로우 레벨일 경우 상기 출력 노드에 상기 제 1 노드를 연결시키는 제 2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부는
    상기 입력 신호가 하이 레벨일 경우 턴온되는 제 1 입력 트랜지스터,
    상기 입력 신호가 로우 레벨일 경우 턴온되는 제 2 입력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입력 트랜지스터가 턴온되면 상기 출력 노드에 상기 제 1 노드를 연결시키는 제 1 출력 노드 전압 제어부, 및
    상기 제 2 입력 트랜지스터가 턴온되면 상기 출력 노드에 상기 제 2 노드를 연결하는 제 2 출력 노드 전압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 트랜지스터는 NMOS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 2 입력 트랜지스터는 PMOS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시버.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부는
    상기 반전 신호가 하이 레벨일 경우 상기 출력 노드에 상기 제 2 노드를 연 결시키는 제 1 입력 트랜지스터, 및
    상기 반전 신호가 로우 레벨일 경우 상기 출력 노드에 상기 제 1 노드를 연결시키는 제 2 입력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시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 트랜지스터는 NMOS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 2 입력 트랜지스터는 PMOS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시버.
KR1020080077694A 2008-08-08 2008-08-08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시버 Expired - Fee Related KR100915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694A KR100915833B1 (ko) 2008-08-08 2008-08-08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시버
US12/483,413 US7936620B2 (en) 2008-08-08 2009-06-12 Receiver of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694A KR100915833B1 (ko) 2008-08-08 2008-08-08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5833B1 true KR100915833B1 (ko) 2009-09-07

Family

ID=41355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7694A Expired - Fee Related KR100915833B1 (ko) 2008-08-08 2008-08-08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시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36620B2 (ko)
KR (1) KR1009158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11471B1 (en) * 2017-02-14 2018-03-06 Micron Technology, Inc. Input buffer circui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6334A (ko) * 1998-05-27 1999-12-15 김영환 고속 리시버
US6373283B2 (en) 2000-03-01 2002-04-16 Sanyo Electric Co., Ltd. Level conversion circuit as well as semiconductor device and display unit compri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4777A (ja) * 1997-06-16 1999-03-16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の入力バッファ
US6232801B1 (en) * 1999-08-04 2001-05-15 Vlsi Technology, Inc. Comparators and comparison methods
TWI271035B (en) * 2002-01-11 2007-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ceiver circuit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KR100748462B1 (ko) * 2006-09-13 2007-08-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시버 회로
KR100851995B1 (ko) * 2007-02-12 2008-08-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수신기 회로
KR100897280B1 (ko) * 2007-09-04 2009-05-1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리시버 회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6334A (ko) * 1998-05-27 1999-12-15 김영환 고속 리시버
US6373283B2 (en) 2000-03-01 2002-04-16 Sanyo Electric Co., Ltd. Level conversion circuit as well as semiconductor device and display unit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34033A1 (en) 2010-02-11
US7936620B2 (en) 2011-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8238B2 (en) Differential driver with pull up and pull down boosters
JP4578316B2 (ja) 送信装置
US7301371B2 (en) Transmitter of a semiconductor device
KR100967481B1 (ko) 데이터 전송 시스템
US7825699B2 (en) Receiver circuit having compensated offset voltage
KR20170025883A (ko) 버퍼 회로, 이를 이용하는 리시버 및 시스템
KR102409872B1 (ko) 송신 회로 및 반도체 장치
JP2018019322A (ja) リンギング抑制回路
KR100915833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시버
KR20170008375A (ko) 반도체 장치
KR101726429B1 (ko) 신호 입력 회로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US20140003482A1 (en) Receiver circuit
US7768336B2 (en) Level shifting circuit
US7518411B2 (en) Data receiving apparatus using semi-dual reference voltage
JP2007068169A (ja) 信号伝送装置及び信号伝送方法
KR20180112460A (ko) 반도체 장치
US11637553B2 (en) Circuit device aging assessment and compensation
KR100878309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1206499B1 (ko) 집적 회로
TW201701587A (zh) 接收電路
KR20100133610A (ko) 전압 레벨 시프터
JP3878419B2 (ja) 半導体集積回路
KR20140146368A (ko) 입출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출력 시스템
KR100744028B1 (ko) 차동증폭장치
KR100765875B1 (ko) 신호를 저전압 영역에서 고전압 영역으로 변환시키는 방법및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