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13962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962B1
KR100913962B1 KR1020070046382A KR20070046382A KR100913962B1 KR 100913962 B1 KR100913962 B1 KR 100913962B1 KR 1020070046382 A KR1020070046382 A KR 1020070046382A KR 20070046382 A KR20070046382 A KR 20070046382A KR 100913962 B1 KR100913962 B1 KR 100913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virtual keyboard
touch screen
input
display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0552A (ko
Inventor
박원주
김유란
박미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6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962B1/ko
Priority to EP08005892A priority patent/EP1998245A3/en
Priority to US12/102,495 priority patent/US9176659B2/en
Publication of KR20080100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96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23D-info-objec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ternal or external surface of a three dimensional manipulable object, e.g. on the faces of a cube that can be rotated by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5Virtual magnifying lens, i.e. window or frame movable on top of displayed information to enlarge it for better reading or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스크린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문자 입력 요청에 따라 다수 개의 자판 키를 포함하는 가상 키보드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키보드 표시 과정과,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키 입력 과정, 및 상기 입력 신호가 드래그(drag) 신호이면 상기 가상 키보드를 이동시키고, 상기 입력 신호가 클릭(click) 신호이면 해당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터치스크린에 자판 키가 보다 크게 표시할 수 있으므로, 문자 입력 과정에서 사용자가 문자를 잘못 입력하는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터치스크린, 키보드, 문자입력, PDA, 자판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inputting charact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란, 개인 이동 통신 단말기(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Terminal),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및 무선 랜 단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 통신을 비롯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한 단말기를 지칭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꾸준한 발전으로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mp3, 디지털 카메라 및 네비게이션 등의 다양한 기능을 겸비함에 따라 복합 통신 단말기로 거듭나고 있으며, 이미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한편, 근래에 출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예컨대, PDA 등)들은 사용자가 보다 다양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을 구비하고 있다. 터치스크린은 일반적으로 표시창(LCD)과, 그 위에 설치되는 터치 판넬(touch panel)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가지고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을 터치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자판을 터치하여 문자 등을 입력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문자 입력 시, 화면 크기의 제한으로 인해 자판 키들의 크기가 매주 작게 형성된 가상 키보드를 표시한다. 이로 인하여 터치 오류가 쉽게 발생하여 입력 문자를 수정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즉, 종래의 경우 문자 입력에 따른 반복적인 수정과, 이에 따라 불필요하게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치스크린을 통해 문자 입력 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고, 터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은 문자 입력 요청에 따라 다수 개의 자판 키를 포함하는 가상 키보드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키보드 표시 과정과,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키 입력 과정, 및 상기 입력 신호가 드래그(drag) 신호이면 상기 가상 키보드를 이동시키고, 상기 입력 신호가 클릭(click) 신호이면 해당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신호가 키 문자 입력 신호인지 가상 키보드 이동 신호인지 판단하는 키 입력 판단부 및 문자 입력 요청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가상 키보드를 표시하고, 상기 키 입력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가상 키보드를 이동시키거나, 문자를 입력하는 키보드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용 제한 방법이 수행되는 단말기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 전화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기,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수신기, 유/무선 전화기, 3G 단말기(예컨대, IMT-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PRS(General Packet Radio System)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 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부(예컨대, 터치 패널)가 부착된 표시부를 지칭한다. 따라서 터치스크린을 통해 신호가 입력되는 상태는, 표시부에 부착된 터치 패드에 물리적인 힘이 인가되고, 이로 인하여 터치 입력부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입력부(160), 표시부(150), 저장부(17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1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3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3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90)로 출력하고, 제어부(19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코덱(CODEC: Coder/Decoder)을 구비한다.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처리부(140)는 통화 시 무선통신부(130)를 통해 제어부(190)에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고,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90)에 제공한다.
표시부(15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메뉴,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5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표시부(150)는 액정표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비디오 메모리 및 액정표시장치의 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150)는 액정 패널과 백 라이트(back ligh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액정 패널은 두 장의 유리기판 사이에 주입된 액정 셀들의 광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액정 셀들 각각은 비디오 신호, 즉 해당 화소 신호에 응답하여 투과되는 광량을 조절한다. 백 라이트는 액정 패널로 빛을 조사한다. 이에 사용자는 액정 패널을 투과하는 빛을 통해 화면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150)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형성되면, 표시부(150)는 입력부(140)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90)에게 전달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60)는 키 입력(또는 터치 입력)을 통해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키 입력부(162)와, 전술한 표시부(150) 즉 액정 패널에 부착되는 터치 입력부(164)을 포함한다.
키 입력부(162)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키(도시되지 않음) 및 문자와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숫자 키(도시되지 않음)들을 구비한다.
터치 입력부(164)는 터치가 발생된 위치에 따라 발생되는 전압 또는 전류 신호로부터 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90)로 전송한다.
이러한 터치 입력부(164)로 터치 패널(touch panel)이 이용되는 경우, 터치 입력부(164)는 인듐-주석-옥사이드(Indium-Tin-Oxide; 이하 'ITO'라 함) 전극막이 형성된 ITO 또는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필름으로 형성된 상부 및 하부 기판과, 상기 전극막 상에 형성된 전극 패턴, 및 상부 및 하부기판 사이에 적절한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ITO 전극막의 가장자리에는 전도성 X축 패턴 및 Y축 패턴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X축 패턴과 Y축 패턴은 절연체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상부 기판을 가압하면 상부 기판 상의 ITO 전극막이 하부기판 상의 ITO 전극막에 접촉되며, 이에 따라, X축 패턴 및 Y축 패턴으로부터 전압을 읽어 가압된 지점의 좌표를 추출하여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저장부(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다운로드하는 콘텐츠 및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저장부(170)는 프로그램 영역 및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부팅(booting)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음악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다.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한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이 각각의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저장부(170)는 소정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예컨대, 음악, 동영상 등의 재생 기능 기능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음악 파일, 정지 영상, 동영상)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콘텐츠 파일(예컨대,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 등)을 포함한 다양한 데이터 파일들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90)는 무선통신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표시부(150), 입력부(160), 및 저장부(170)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구성 요소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입력부(16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각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기능 수행에 따른 현재 상태 및 사용자 메뉴 등의 정보를 표시부(150)를 통해 표시한다.
여기서, 전술된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터치 입력 방법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에 의해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입력부(164)은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좌표를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즉, 그 터치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하나의 좌표 및 좌표의 자취를 모두 포함한다)에 해당하는 전압 또는 전류 신호를 감지하여 해당 좌표를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이에, 제어부(160)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좌표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터치 입력부(164)는 터치를 통해 해당 좌표가 지속적으로 눌려진 시간을 감지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그 시간에 대응하는 이벤트에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60)는 터치 패널(164) 상의 눌려진 위치 및 시간에 따라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터치 이벤트의 예로, 클릭(click) 및 드래그(drag)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클릭은 신호를 길게 입력하는 롱 키(long key)와 신호를 짧게 입력하는 숏 키(short key)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90)는 표시부(150)를 통해 가상 키보드를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가상 키보드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10)는 다수 개의 자판 키(12)들과, 자판 키(12)들의 사이를 채우는 여백 영역(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백 영역(14) 없이 자판 키(12)들만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입력부(164)가 부착된 표시부(150)를 통합하여 터치스크린(155)이라 표기하며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10)의 자판 키(12)들은 일반적으로 넓게 사용되는 QWERTY 키보드의 배열과 동일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익숙한 키 배열을 통해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10)는 2차원적인 평면으로 표시되며, 대부분의 자판 키(12)들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다른 실시예와 같이 3차원의 입체적 형태로 표시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55)보다 큰 크기로 형성된다. 이에, 터치스크린(155)을 통해 모든 자판 키(12)들이 표시될 수 없으며, 한 화면에 소수 개(예컨대, 12개 등)의 자판 키(12)들만이 표시된다. 따라서, 표시되지 않은 자판 키(12)들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원하는 자판 키(12)들이 터치스크린(155) 상에 표시되도록 가상 키보드(10)를 이동시킨 후 이용하게 된다.
한편, 도 2에서는 모든 자판 키(12)가 가상 키보드(10)와 함께 이동되도록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자주 이용하는 제어 키들(예컨대, enter 키, space 키, 한/영 키 등)은 가상 키보드(10)와 별도로 항상 터치스크린(155) 상에 표시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90)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55)을 통해 입력하는 입력 신호에 따라 문자를 입력받는다. 이를 위해 제어부(190)는 키 입력 판단부(192)와, 키보드 처리부(194)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장치(196)를 구비한다.
키 입력 판단부(192)는 터치스크린(155)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수신 하고, 입력된 입력 신호가 문자 입력 신호인지 가상 키보드 이동 신호인지 판단하여 키보드 처리부(194)에 알린다. 본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판단부(192)는 클릭 신호(예컨대, 숏 키)로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문자 입력 신호로 판단한다. 그리고, 드래그 신호로 입력되는 입력 신호는 가상 키보드 이동 신호로 판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자판 키(12)들 위에서 입력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해당 입력 신호가 드래그 신호이면, 이를 가상 키보드 이동 신호로 판단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 신호를 보다 명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여백 영역(14)에서 상기 드래그 신호가 시작되어 입력되는 경우에만 가상 키보드 이동 신호로 판단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키보드 처리부(194)를 문자 입력 요청에 따라 터치스크린(155)에 가상 키보드(10)를 표시한다. 이때, 전술하였듯이, 가상 키보드(10) 중 일부분만을 표시한다. 또한, 키보드 처리부(194)는 키 입력 판단부(192)에서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가상 키보드(10)를 이동시키거나, 문자를 입력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문자 입력 방법에 대하여 실시예를 통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문자 입력 방법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전술한 이동통신 단말기(100) 및 문자 입력 장치의 구성 또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기(100)의 문자 입력 방법은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원이 인가되고, 정상 동작에 따라 표시부(150)가 대기화면을 표시하는 대기 상태(idle state)로 진입하는 S10 과정이 수행된다.
사용자가 입력부(160)를 통해 문자 입력 요청을 입력하게 되면, S11 과정에서 제어부(190)는 입력부(16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이를 인지한다. 이에 제어부(190)는 S12 과정에서 표시부(150) 즉 터치스크린(155)에 도 4a와 같이 가상 키보드(10)를 표시한다. 도 4a에 도시된 터치스크린(155)에는 가상 키보드(10)와, 사용자가 가상 키보드(10)를 통해 입력하는 문자가 표시되는 입력란(L)이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55)을 통해 입력 신호를 입력하는 S13 과정이 수행된다. 사용자가 가상 키보드(10)가 표시된 위치에서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stylus) 등으로 터치스크린(155)을 터치하면, 이에 제어부(190)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된 것을 인지한다.
가상 키보드(10) 상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되면, S14 과정에서 문자 입력 장치의 키 입력 판단부(192)는 입력된 터치 이벤트가 문자 입력 신호인지, 가상 키보드 이동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입력된 터치 이벤트가 클릭 신호 즉, 문자 입력 신호인 경우, 키 입력 판단부(192)는 이를 키보드 처리부(194)에게 알린다. 이에 S15 과정에서, 키보드 처리부(194)는 터치 이벤트에 의해 선택된 문자를 입력란(L)에 표시한다.
반면에, S14 과정에서 입력된 터치 이벤트가 드래그 신호인 경우, 키 입력 판단부(192)는 사용자로부터 가상 키보드(10) 이동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키보드 처리부(194)에게 알린다.
S16 과정에서, 키보드 처리부(194)는 드래그되는 방향, 속도, 및 거리에 대응되도록 가상 키보드(10)를 이동시키며 표시한다. 이때, 키보드 처리부(194)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드래그 신호가 중단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가상 키보드(10)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도 4c와 같이, 가상 키보드(10)의 숨겨진 부분이 터치스크린(155)을 통해 표시되도록 가상 키보드(10)를 다양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드래그 신호의 입력이 중단되면, 키보드 처리부(194)는 가상 키보드(10)의 이동을 중단한다. 따라서 도 4d와 같이, 터치스크린(155)에는 사용자가 드래그 신호의 입력을 중단한 시점에서 표시되던 가상 키보드(10)의 일부분이 계속 표시된다.
가상 키보드(10)의 이동이 완료되면, 이어서 키보드 처리부(194)는 S12 과정으로 진입하여 터치스크린(155)을 통해 이동된 가상 키보드(10)를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하며 전술한 S12 과정 내지 S16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수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은 터치스크린(155)보다 큰 가상 키보드(10)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 터치스크린(155)에 표시되는 자판 키(12)들이 크게 표시되므로 사용 자가 다른 자판을 잘못 터치하는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가상 키보드(10)를 크게 표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익숙한 QWERTY 키보드와 동일하게 자판 키(12)를 배열하더라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키보드(10)는 상술한 2차원적인 평면으로 표시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된 실시예와 다른 가상 키보드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20)는 원통과 유사한 형태로 구성되며, 전술한 실시예의 가상 키보드처럼 일부분이 아닌, 모든 자판 키(22)들이 터치스크린을 통해 표시된다. 또한, 가상 키보드(20)는 다수 개의 자판 키(22)들 및 자판 키(22)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여백 영역(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전술된 가상 키보드의 예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20)를 여백 영역(24) 없이 자판 키(22)들만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20)에 배치되는 자판 키(22)들은 서로 다른 크기로 표시된다. 가상 키보드(20)의 자판 키(22)들은 터치스크린(255)의 중심에 위치될수록 크게 표시되고, 터치스크린(255)의 양 측면에 가까울수록 작게 표시된다. 이에 따라 가상 키보드(20)의 원근감(원통 형태)이 표현되어 입체감을 갖는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20)는 사용자가 가상 키보드(20) 이동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가상 키보드(20)는 원통 형상의 중심 축(C)을 중심으로 하 여 회전하듯이 표시된다. 이에 따라 자판 키(22)들도 함께 회전하듯이 표시된다. 즉, 자판 키(22)들은 가상 키보드(20)의 회전에 의해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그 크기도 변경되어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처리부(294)는 도 5a와 같이, 현재 터치스크린(255)의 중심 부분에 위치한 자판 키(22)들을 항상 가장 큰 크기로 표시한다. 즉, 터치스크린(255)의 중심에 위치되는 자판 키(22)들은 모두 확대되어 표시된다. 따라서, 가상 키보드 이동 신호의 입력에 따라 가상 키보드(20)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도 5b와 같이, 항상 터치스크린(255)의 중심 부분에 위치하는 자판 키(22)들을 가장 크게 표시하며 이동시킨다.
한편, 이처럼 가상 키보드(20)를 3차원의 입체적 형태로 표시하는 경우, 상기한 예와 같이 터치스크린(255)에 가상 키보드(20) 전체를 표시하지 않고, 도 5c에 도시되었듯이, 전술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일부분만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도 5d와 같이 가상 키보드(20)를 원형의 띠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술된 실시예에서 가상 키보드의 좌우 양 측에 위치하는 자판 키(22)들(예컨대, enter 키, A 키 등)은 도 5와 같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체적인 가상 키보드가 원형의 띠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가상 키보드(20)를 1 회전시키면 회전시키기 전에 표시되던 자판 키(22)들이 다시 표시된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키보드를 3차원의 입체적 형태로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확대된 자판 키를 통해 용이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다 재미있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및 장치는 터치스크린보다 큰 가상 키보드를 사용하거나,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자판 키를 확대하여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쉽게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 과정에서 다른 문자를 잘못 입력하는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QWERTY 키보드와 동일하게 자판 키를 배치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2행 또는 4행으로 배치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가상 키보드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 외에도 상하 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더하여, 본 실시예증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및 장치의 예를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가상 키보드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전자 기기라면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및 장치는 구비된 터치스크린보다 큰 가상 키보드를 사용하고, 터치스크린에 표 시되는 자판 키를 확대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쉽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입력 과정에서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문자를 잘못 입력하는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이에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Claims (17)

  1.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다수 개의 자판 키들을 포함하는 가상 키보드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가상 키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영역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가상 키보드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신호가 드래그(drag) 신호이면 드래그 되는 방향, 속도 및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가상 키보드의 적어도 일부분을 이동시키는 과정; 및
    상기 입력 신호가 가상 키보드에 포함된 자판 키 중 하나에 대한 클릭(click)신호이면 해당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보드를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가상 키보드의 일부분이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경우, 상기 드래그 되는 방향, 속도 및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가상 키보드 영역 전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보드를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가상 키보드의 전체가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경우, 상기 드래그 되는 방향, 속도 및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가상 키보드 영역 중 일부분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보드를 이동시키는 과정은
    드래그 되는 방향의 일 측에 근접할수록 자판 키의 크기가 커지도록 표시하고, 드래그 되는 반대 방향의 일 측에 근접할수록 자판 키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다수 개의 자판 키들을 포함하는 가상 키보드를 통해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신호가 드래그 신호에 해당하면 가상 키보드 이동 신호로 판단하며, 상기 입력 신호가 클릭 신호에 해당하면 키 문자 입력 신호로 판단하는 키 입력 판단부; 및
    문자 입력 요청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에 가상 키보드 및 상기 가상 키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키 입력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드래그되는 방향, 속도 및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 키보드 중 적어도 일부분을 이동시키거나, 문자를 입력하는 키보드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처리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가상 키보드의 일부분을 표시하며, 상기 키 입력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드래그되는 방향, 속도 및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가상 키보드 영역 전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처리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가상 키보드의 전체를 표시하며, 상기 키 입력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드래그되는 방향, 속도 및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가상 키보드 영역 중 일부분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처리부는
    상기 드래그 되는 방향의 일 측에 근접할수록 상기 가상 키보드에 포함되는 자판 키의 크기가 커지도록 표시하며, 상기 드래그 되는 반대 방향의 일 측에 근접할수록 자판 키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70046382A 2007-05-14 2007-05-14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913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382A KR100913962B1 (ko) 2007-05-14 2007-05-14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EP08005892A EP1998245A3 (en) 2007-05-14 2008-03-27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12/102,495 US9176659B2 (en) 2007-05-14 2008-04-14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382A KR100913962B1 (ko) 2007-05-14 2007-05-14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552A KR20080100552A (ko) 2008-11-19
KR100913962B1 true KR100913962B1 (ko) 2009-08-26

Family

ID=39818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382A Expired - Fee Related KR100913962B1 (ko) 2007-05-14 2007-05-14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76659B2 (ko)
EP (1) EP1998245A3 (ko)
KR (1) KR1009139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2716A1 (en) * 2016-07-27 2018-02-01 Wayne Fueling Systems Ll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secure payment and providing multimedia at fuel dispense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03872B2 (en) * 2005-04-22 2019-02-12 Neopad Inc. Creation method for characters/words and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method thereby
KR20090098967A (ko) * 2006-11-08 2009-09-18 큐빅 디자인 스튜디오스 엘엘씨 비대칭 섞임 키보드
US8015232B2 (en) * 2007-10-11 2011-09-06 Roaming Keyboards Llc Thin terminal computer architecture utilizing roaming keyboard files
JP4364273B2 (ja) * 2007-12-28 2009-11-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並びに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8400405B2 (en) 2008-05-09 2013-03-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enabling text input in a language employing non-roman characters
KR101111566B1 (ko) 2008-05-23 2012-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 및 방법
GB2462579A (en) * 2008-06-10 2010-02-17 Sony Service Ct Touch screen display including proximity sensor
US20100005024A1 (en) * 2008-07-02 2010-01-07 Brian Schmitz System and Method for Enrolling Individuals in an Automated Payment Plan
KR20100042976A (ko) * 2008-10-17 2010-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5371371B2 (ja) * 2008-10-29 2013-12-1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および文字表示プログラム
TW201025079A (en) * 2008-12-30 2010-07-01 E Ten Information Sys Co Ltd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558211B1 (ko) * 2009-02-19 2015-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문자 입력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1078380B1 (ko) * 2009-03-23 2011-10-31 주식회사 코아로직 가상 키보드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00251161A1 (en) * 2009-03-24 2010-09-30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 keyboard with staggered keys
US9448815B2 (en) 2009-04-15 2016-09-20 Wyse Technology L.L.C. Server-side computing from a remote client device
US9189124B2 (en) 2009-04-15 2015-11-17 Wyse Technology L.L.C. Custom pointer features for touch-screen on remote client devices
US9185171B2 (en) 2009-04-15 2015-11-10 Wyse Technology L.L.C. Method and system of specifying application user interface of a remote client device
US20100321302A1 (en) * 2009-06-19 2010-12-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non-roman text input
US8627224B2 (en) * 2009-10-27 2014-01-07 Qualcomm Incorporated Touch screen keypad layout
TWI460612B (zh) * 2009-12-31 2014-11-11 Fih Hong Kong Ltd 軟鍵盤輸入系統及方法
GB2479756B (en) * 2010-04-21 2013-06-05 Realvnc Ltd Virtual interface devices
WO2011134078A1 (en) * 2010-04-26 2011-11-03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8587547B2 (en) * 2010-11-05 2013-11-1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soft keyboards
US8812973B1 (en) 2010-12-07 2014-08-19 Google Inc. Mobile device text-formatting
US9658769B2 (en) 2010-12-22 2017-05-23 Intel Corporation Touch screen keyboard design for mobile devices
US20120162078A1 (en) * 2010-12-28 2012-06-28 Bran Ferren Adaptive virtual keyboard for handheld device
US20120235919A1 (en) * 2011-03-18 2012-09-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9134809B1 (en) * 2011-03-21 2015-09-15 Amazon Technologies Inc. Block-based navigation of a virtual keyboard
US9563337B2 (en) 2011-03-23 2017-02-07 Nec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US20120268388A1 (en) * 2011-04-21 2012-10-25 Mahmoud Razzaghi Touch screen text selection
CN102760056A (zh) * 2011-04-27 2012-10-31 上海晨兴希姆通电子科技有限公司 触摸屏与键盘代码重用装置及方法、终端、程序执行方法
TW201308190A (zh) * 2011-08-08 2013-02-16 Acer Inc 手持裝置和資料輸入方法
CN103034351A (zh) * 2011-09-29 2013-04-10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触摸屏电子装置及其虚拟键盘的显示和控制方法
EP2587355A1 (en) * 2011-10-31 2013-05-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haracter entry
US20130111390A1 (en) * 2011-10-31 2013-05-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haracter entry
KR101929316B1 (ko) * 2012-01-05 2019-03-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키패드 표시 방법 및 장치
CN103513878A (zh) * 2012-06-29 2014-01-15 国际商业机器公司 触摸输入方法及设备
KR101968690B1 (ko) * 2012-07-10 2019-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패드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CN102799386A (zh) * 2012-07-31 2012-11-28 盛乐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一种基于滑行速度的文字输入方法及装置
CN102937873B (zh) 2012-10-12 2015-09-16 天津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在便携式终端中进行键盘输入的方法和设备
CN105027064A (zh) * 2012-11-27 2015-11-04 汤姆逊许可公司 自适应虚拟键盘
US10048861B2 (en) 2012-11-27 2018-08-14 Thomson Licensing Adaptive virtual keyboard
KR101441200B1 (ko) * 2012-12-06 2014-09-18 강동성 유동형 자판을 제공하는 단말기 및 그의 유동형 자판 표시 방법
US9411510B2 (en) * 2012-12-07 2016-08-09 Apple Inc. Techniques for preventing typographical errors on soft keyboards
CN103870186A (zh) * 2012-12-17 2014-06-18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触摸屏电子设备的输入方法和装置
CN103902223B (zh) * 2012-12-28 2018-09-2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虚拟键盘控制系统及方法
US20140208263A1 (en) * 2013-01-24 2014-07-24 Victor Maklouf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displaying characters over a screen of a computerized mobile device
KR102049855B1 (ko) * 2013-01-31 2019-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404364B1 (ko) * 2013-06-04 2014-06-27 강동성 유동형 자판을 구비한 임베디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91509B1 (ko) 2013-06-26 2020-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입력 처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이 적용되는 장치
GB2516029A (en) 2013-07-08 2015-01-14 Ibm Touchscreen keyboard
KR102313353B1 (ko) 2013-07-29 2021-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캐릭터 입력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03576879B (zh) * 2013-09-29 2016-03-30 罗蒙明 一种实现双手拇指操控宽屏虚拟键盘按键的方法
WO2015147549A1 (ko) * 2014-03-25 2015-10-01 박인기 한자 입력장치와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자 검색방법
CN104049896B (zh) * 2014-06-24 2017-06-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装置
CN105335079B (zh) * 2014-06-27 2019-07-26 联想(北京)有限公司 用于虚拟键盘的输入方法、输入装置和电子设备
CN104199589B (zh) * 2014-08-27 2017-11-17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文字输入方法及内置该文字输入法的移动终端
KR20160071869A (ko) * 2014-12-12 2016-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252321B1 (ko) * 2014-12-24 2021-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9939917B2 (en) 2015-03-23 2018-04-10 Horizon Landboards, LLC Data entry pad for entering information related to land and mineral interests and/or geographic locations
CN104699409A (zh) * 2015-04-02 2015-06-10 吴爱好 一种触摸屏移动终端信息输入的方法及系统
CN105094320A (zh) * 2015-06-30 2015-11-25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用于对输入法界面进行操作的方法和装置
WO2017023185A1 (ru) 2015-08-06 2017-02-09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1С Виарабл"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ввода и отображения данных на сенсорном дисплее
US20180204227A1 (en) * 2015-09-21 2018-07-19 Asheesh Mohindru Golf Pace of Play
CN105224228A (zh) * 2015-10-14 2016-01-06 Tcl移动通信科技(宁波)有限公司 一种基于触摸屏的字符输入方法及装置
KR102503422B1 (ko) 2015-12-17 2023-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062085B1 (ja) * 2015-12-25 2017-01-18 株式会社日本デジタル研究所 入力インターフェース制御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254900B2 (en) * 2016-02-18 2019-04-09 Tufts University Drifting keyboard
RU2671043C1 (ru) * 2017-06-15 2018-10-29 Борис Михайлович ПУТЬКО Способ, система и клавиатура для ввода иероглифов
JP2019040398A (ja) * 2017-08-25 2019-03-14 オンキヨ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10936189B2 (en) * 2017-10-24 2021-03-02 BBPO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 keypad on a touch screen device
US11062299B2 (en) 2017-10-24 2021-07-13 BBPO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indicating entry of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WO2019214687A1 (en) 2018-05-09 2019-11-14 BBPOS Limited Terminal hardware configuration system
CN110543277A (zh) * 2018-05-29 2019-12-06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虚拟键盘控制方法和装置、移动终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4343A (ko) * 1997-12-26 1999-07-15 윤종용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키입력 방법
US6211856B1 (en) * 1998-04-17 2001-04-03 Sung M. Choi Graphical user interface touch screen with an auto zoom feature
KR20030088374A (ko) * 2002-05-13 2003-11-19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형 정보 단말 장치,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및 그들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6337B2 (ja) * 1993-12-21 2004-07-28 ゼロ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計算システム用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グラフィック・キーボード使用方法
KR960024839A (ko) * 1994-12-29 1996-07-20 김광호 소프트 키보드를 이용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 및 정보 입력방법
US5784060A (en) * 1996-08-22 1998-07-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Mobile client computer programmed to display lists and hexagonal keyboard
US6073036A (en) * 1997-04-28 2000-06-06 Nokia Mobile Phones Limited Mobile station with touch input having automatic symbol magnification function
JPH11184611A (ja) * 1997-12-18 1999-07-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ーソルキーを用いた文字入力の表示方法
US20060033724A1 (en) * 2004-07-30 2006-02-16 Apple Computer, Inc. Virtual input device placement on a touch screen user interface
US6016142A (en) * 1998-02-09 2000-01-18 Trimble Navigation Limited Rich character set entry from a small numeric keypad
JP2000105772A (ja) * 1998-07-28 2000-04-11 Sharp Corp 情報管理装置
US6169538B1 (en) * 1998-08-13 2001-01-0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keyboard and a text buffer on electronic devices
US6614422B1 (en) * 1999-11-04 2003-09-02 Canest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tering data using a virtual input device
KR100362221B1 (ko) 1999-12-01 2002-11-23 신기찬 코팅 라이스 제조방법
US7434177B1 (en) * 1999-12-20 2008-10-07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consolidation and access
US6809725B1 (en) * 2000-05-25 2004-10-26 Jishan Zhang On screen chinese keyboard
US20020158921A1 (en) * 2001-04-30 2002-10-31 Silverstein D. Amnon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oversized display using a small panel display as a movable user interface
GB0116083D0 (en) * 2001-06-30 2001-08-2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Text entry method and device therefor
US20090040184A9 (en) * 2001-10-04 2009-02-12 Infogation Corporation Information entry mechanism
DE10158226A1 (de) * 2001-11-15 2003-05-28 Ma Design Verfahren zum Vergrößern von Bildobjekten auf einem Bildschirm
FI116425B (fi) * 2002-01-18 2005-11-15 Nokia Corp Menetelmä ja laite laajan näppäimistön integroimiseksi pieneen laitteeseen
JP2003280796A (ja) 2002-03-26 2003-10-02 Victor Co Of Japan Ltd 情報入力装置
JP4109902B2 (ja) * 2002-05-27 2008-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JP3630153B2 (ja) * 2002-07-19 2005-03-1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表示入力装置及び情報表示入力方法、並びに情報処理装置
US20040135823A1 (en) * 2002-07-30 2004-07-15 Nokia Corporation User input device
US20040119751A1 (en) * 2002-08-07 2004-06-24 Minolta Co., Ltd. Data input device, image processing device, data input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data input program is recorded
JP4173718B2 (ja) * 2002-10-31 2008-10-29 富士通株式会社 ウィンドウ切替装置及びウィンドウ切替プログラム
US8042044B2 (en) * 2002-11-29 2011-10-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User interface with displaced representation of touch area
US7199786B2 (en) * 2002-11-29 2007-04-03 Daniel Suraqui Reduced keyboards system using unistroke input and having automatic disambiguating and a recognition method using said system
US6866367B2 (en) * 2002-12-20 2005-03-15 Eastman Kodak Company Ink jet printing system using a fiber optic data link
DE10310794B4 (de) * 2003-03-12 2012-10-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Bedieneinrichtung und Kommunikationsgerät
US20040183834A1 (en) * 2003-03-20 2004-09-23 Chermesino John C. User-configurable soft input applications
JP2005092441A (ja) 2003-09-16 2005-04-07 Aizu:Kk 文字入力方法
US7184802B2 (en) * 2003-09-29 2007-02-27 Siemens Communications, Inc.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rotating keypad assembly
US6990637B2 (en) * 2003-10-23 2006-01-24 Microsoft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3-dimensional view of a data collection based on an attribute of the data
KR100537280B1 (ko) 2003-10-29 2005-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및 방법
EP1548552A1 (en) * 2003-12-22 2005-06-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lay size mismatch management
US7561145B2 (en) * 2005-03-18 2009-07-14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invoking an electronic ink or handwriting interface
GB2425700A (en) * 2005-04-29 2006-11-01 Gordon Frederick Ross Data entry using a three dimensional visual user interface
KR20060119527A (ko) 2005-05-20 2006-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문자 메시지를입력하는 시스템, 방법 및 무선 단말기
AU2005203074A1 (en) * 2005-07-14 2007-02-01 Canon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Australia Pty Ltd Image browser
CN101228570B (zh) * 2005-07-22 2010-05-19 马特·帕尔拉科夫 可用拇指操作的触摸屏用户界面的系统和方法
US7443316B2 (en) * 2005-09-01 2008-10-28 Motorola, Inc. Entering a character into an electronic device
US20090153468A1 (en) * 2005-10-31 2009-06-18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Virtual Interface System
US8869059B2 (en) * 2006-09-28 2014-10-21 Kyocera Corporation Layout method for operation key group in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layout method
KR100770936B1 (ko) * 2006-10-20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US8719723B2 (en) * 2007-03-05 2014-05-06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ing data sensitive targets
US9772689B2 (en) * 2008-03-04 2017-09-26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gesture-based image manipulation
US9658765B2 (en) * 2008-07-31 2017-05-23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Image magnification system for computer interface
DE112010001445T5 (de) * 2009-03-31 2012-10-2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nzeigeeingabegerät
KR101043944B1 (ko) * 2009-09-30 2011-06-24 주식회사 팬택 가상 키보드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10163963A1 (en) * 2010-01-04 2011-07-07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JP5407950B2 (ja) * 2010-03-11 2014-02-0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982160B2 (en) * 2010-04-16 2015-03-17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correlating virtual keyboard dimensions to user finger size
JP5625503B2 (ja) * 2010-06-03 2014-11-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入力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4343A (ko) * 1997-12-26 1999-07-15 윤종용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키입력 방법
US6211856B1 (en) * 1998-04-17 2001-04-03 Sung M. Choi Graphical user interface touch screen with an auto zoom feature
KR20030088374A (ko) * 2002-05-13 2003-11-19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형 정보 단말 장치,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및 그들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2716A1 (en) * 2016-07-27 2018-02-01 Wayne Fueling Systems Ll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secure payment and providing multimedia at fuel dispensers
US10445971B2 (en) 2016-07-27 2019-10-15 Wayne Fueling Systems Ll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secure payment and providing multimedia at fuel dispensers
US10846976B2 (en) 2016-07-27 2020-11-24 Wayne Fueling Systems Ll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secure payment and providing multimedia at fuel dispensers
US11302136B2 (en) 2016-07-27 2022-04-12 Wayne Fueling Systems Ll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secure payment and providing multimedia at fuel dispens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76659B2 (en) 2015-11-03
US20080284744A1 (en) 2008-11-20
KR20080100552A (ko) 2008-11-19
EP1998245A2 (en) 2008-12-03
EP1998245A3 (en)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396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11029827B2 (en) Text selection using a touch sensitive screen of a handhel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12527431B (zh) 一种微件处理方法以及相关装置
US9582049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based on user's gesture
US8527902B2 (en) Multidimensional volume and vibration controls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EP2177976B1 (en) Mobile terminal with image projection
US2009010918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launcher, activ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302349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Virtual Keyboards on a User Interface
US20080259040A1 (en)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ositioning an Insertion Marker in a Touch Screen Display
US9703418B2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8154520B2 (en)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transitionable between compact and expanded configurations
US20120262416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KR20150092672A (ko) 복수 개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CA264078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5005173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る携帯式情報端末および入力方法
KR101682725B1 (ko) 가상 키보드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
CN104133621A (zh) 显示装置、输入控制方法以及输入控制程序
US9417724B2 (en) Electronic apparatus
US20110145705A1 (en) Control method of user interface
KR101175348B1 (ko) 휴대단말기에서 키보드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8082256A1 (zh) 一种终端及其切换应用的方法
CN108509138A (zh) 一种任务栏按钮显示的方法及其终端
EP2077485B1 (en) Embedded navigation assembly and method on handheld device
WO2011158064A1 (en) Mixed ambiguity text entry
EP2107764A1 (en)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transitionable between compact and expanded configur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8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8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