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521B1 - Turnbuckles for cable tension - Google Patents
Turnbuckles for cable tens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13521B1 KR100913521B1 KR1020070073344A KR20070073344A KR100913521B1 KR 100913521 B1 KR100913521 B1 KR 100913521B1 KR 1020070073344 A KR1020070073344 A KR 1020070073344A KR 20070073344 A KR20070073344 A KR 20070073344A KR 100913521 B1 KR100913521 B1 KR 1009135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stening
- turnbuckle
- fixing
- coupled
- cab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6—Turnbuckl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장력조절용 턴버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교량이나 철 구조물과 같은 건축물 등에 사용되는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턴버클을 회전시키지 않고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유압장비 등에 의한 장력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강한 진동이나 충격 등에도 견고한 결합상태를을 유지할 수 있는 케이블 장력조절용 턴버클에 관한 것이다.
즉, 턴버클본체내의 결합구멍에 양측 소켓부재를 끼워 고정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멍에 진입하는 길이방향의 내측단부 외주면에 다단으로 고정홈이 형성된 소켓부재와; 상기 턴버클본체의 외주면에 체결수단이 결합되고 결합구멍과 관통된 체결홈이 형성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에서 턴버클본체의 결합구멍에 끼어진 소켓부재의 고정홈에 직교로 결합되어 고정되게 한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 케이블 장력조절용 턴버클을 특징으로 한다.
턴버클, 소켓부재, 체결부, 체결수단, 고정홈, 고정핀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tension adjustment turnbuckle, more specifically, it is easy to adjust the tension by hydraulic equipment, such that the adjustment is made without rotating the turnbuckle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cable used in buildings, such as bridges and steel structure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tension control turnbuckle capable of maintaining a firmly coupled state against strong vibrations or shocks.
That is, in fixing the socket member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hole in the turnbuckle body, the socket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ntering the coupling hole; A fastening part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rnbuckle body and having a fastening groove formed therethrough;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able tension control turnbuckle consisting of; fastening means for being coupled to be orthogonally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of the socket member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of the turnbuckle body in the fastening portion.
Turnbuckle, socket member, fastening part, fastening means, fixing groove, fixing pin
Description
본 발명은 케이블 장력조절용 턴버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교량이나 철 구조물과 같은 건축물 등에 사용되는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턴버클을 회전시키지 않고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유압장비 등에 의한 장력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강한 진동이나 충격 등에도 견고한 결합상태를을 유지할 수 있는 케이블 장력조절용 턴버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tension adjustment turnbuckle, more specifically, it is easy to adjust the tension by hydraulic equipment, such that the adjustment is made without rotating the turnbuckle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cable used in buildings such as bridges and steel structure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tension control turnbuckle capable of maintaining a firmly coupled state against strong vibrations or shocks.
일반적으로 구조물이나 건축물 등은 이미 조형물로써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 것으로써, 예를 들어 현수교(Suspension Bridge) 또는 사장교(Cable-stayed Bridge)와 같은 교량은 설계단계에서부터 역학적 안전성과 함께 미적 심미감이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으며,상기 교량에서 케이블은 주요구성요소에 해당되는 것이다.In general, structures and buildings already play a role as sculptures. For example, bridges such as suspension bridges or cable-stayed bridges have an aesthetic and aesthetic sense from the design stage. It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and the cable is the main component in the bridge.
이러한 케이블은 장력조절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종래에도 교량용 조형케이블 체결구조가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536228호가 개시된 바 있고, 그 구성은 앵커볼트에 결합되고 베어링이 구비된 지지부재와, 여기에 나사 결합 되어 케이블의 선 단이 고정된 하우징 및 상기 케이블이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클립부재, 그리고 상기 하우징 내에서 클립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지지부재내에 베어링을 구비하여 회동가능하게 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충격 등으로부터 내구성을 높이거나 또는 하우징속의 스프링부재로부터 온도 등에 따른 케이블의 신장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였었다.Since such a cable requires tension control, a conventional molding cable fastening structure for bridges has been disclosed in Korea Patent Publication No. 536228, and its configuration is coupled to an anchor bolt and is provided with a bearing member and a screw coupling thereto. And a bearing in which the front end of the cable is fixed, a clip member for preventing the cabl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using, and a spring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clip member in the housing.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increase durability against impact from external force or to efficiently cope with extension of the cable according to temperature or the like from the spring member in the housing.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는 클립부재와의 결합을 위해 용접과 같은 용융접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용융접합은 실제 케이블의 특성변화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쳐 결국에는 전체 구성의 내구성이 떨어지고 케이블의 선단에 걸리는 하중을 하우징내에서 스프링부재로 지지함으로써, 바람과 같이 외부에서 돌발적인 힘이 작용되었을 때 케이블의 진동을 가중시켜, 구조물의 안정성을 저해하며, 소음을 유발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prior art is made through a melt joint such as welding to join with a clip member that prevents the separation of the cable, this melt joint has a fatal effect on the change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ual cable and eventually the durability of the overall configuration By supporting the load on the front end of the cable with the spring member in the housing, the vibration of the cable is increased when an unexpected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such as wind, impairing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and causing noise. there wa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에 의해 케이블 장력조절장치(국내 특허 등록번호 제10-591896호)가 개발되었는바, 그 구조는 소켓부재와 그 내부에 압착 고정되는 패스너로부터 케이블의 장력에 의해 양단을 고정하는 형태를 채택함으로써, 케이블의 고정이 용이하고 견고하여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고 케이블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조절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설치 이후에도 필요에 따라 케이블의 장력조절이 가능하므로 시공이나 유지 및 보수작업이 간편하고 비용절감이 도모되는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는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국내 특허 등록번호 제10-591896호를 기반으로 하여 또 다른 형태의 턴버클을 개량발명한 것이다.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s have developed a cable tension adjusting device (Domestic Patent Registration No. 10-591896), the structure of which is caused by the tension of the cable from the socket member and the fasteners that are pressed and fixed therein. By adopting the form of fixing both ends, it is easy to fix the cable and the durability is greatly improved and the control means ar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cable so that the tension of the cable can be adjusted as needed even after installation.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able tension control device for easy maintenance and cost redu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invention of another type of turnbuckle based on the domestic patent registration number 10-591896. .
본 발명의 케이블 장력조절용 턴버클은 양측 소켓부재에 다단의 고정홈을 형성하여 턴버클본체내의 결합구멍에 설정된 조절간격만큼 각각 진입시킨다음 턴버클본체의 외주면에 구비된 체결부에서 체결부재의 고정핀을 상기 다단의 고정홈에 직교로 결합되게 한 구성으로 고정함으로서 턴버클을 회전시키지 않고 조절이 이루어져서 유압장비 등에 의한 장력조절이 용이하고 강한 진동이나 충격 등에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케이블 장력조절용 턴버클을 제공함에 있다.The turnbuckle for cable tension adjus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in both socket members to enter each of the adjustment intervals set in the coupling holes in the turnbuckle body, and then locks the fixing pin of the fastening member in the fastening portion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rnbuckle body. It is fixed in a configuration that is orthogonally coupled to the multi-stage fixing groove, so that the adjustment is made without rotating the turnbuckle to provide easy tension control by hydraulic equipment, and to provide a cable tension control turnbuckle that can maintain a firm coupling state against strong vibrations or shocks. Is in.
본 발명은 턴버클본체내의 결함구멍에 양측 소켓부재를 끼워 고정하되 길이방향의 내측단부 외주면에 다단으로 고정홈이 형성된 소켓부재와, 상기 턴버클본체의 외주면에 체결수단이 결합되고 결합구멍과 관통된 체결홈이 형성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에서 턴버클본체의 결합구멍에 끼어진 소켓부재의 고정홈에 직교로 결합되어 고정되게 한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 케이블 장력조절용 턴버클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ocket member formed by fixing both sides of the socket member in the defect hole in the turnbuckle body, but the fixing member is formed in a plurality of stage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astening means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rnbuckle body, the coupling hole and the fasten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ble tension adjustment turnbuckle formed of a fastening portion formed with a groove, and a fastening means which is coupled orthogonally to the fixing groove of the socket member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of the turnbuckle body in the fastening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장력조절용 턴버클은 교량이나 철 구조물과 같은 건축물 등에 사용되는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게 될 때 유압장비 등을 사용하여 소켓부재를 전후진 시킨 상태에서 턴버클을 회전시키지 않고 다단의 고정홈이 형성된 소켓부재에 고정핀을 끼워 직교로 결합하는 수단으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turnbuckle for cable tension adjus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stage fixed groove without rotating the turnbuckle in the state in which the socket member is moved back and forth by using hydraulic equipment or the like when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cable used in a building such as a bridge or steel structure. The fixing pin is inserted into the formed socket member to be easily adjusted by means of coupling perpendicularly.
또한 턴버클과 연결된 케이블 등이 진동이나 인장 등의 영향을 받더라도 턴버클에 결합된 소켓부재는 항상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여 안정성과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cable connected to the turnbuckle is affected by vibration or tension, etc., the socket member coupled to the turnbuckle always maintains a firm fixed state, thereby greatly improving stability and durabilit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케이블 장력조절용 턴버클은, 장방형으로 된 턴버클본체(10)내에 형성된 결합구멍(12)에 구조물 또는 케이블이 결합된 양측 소켓부재(20)(20')를 설정된 길이만큼 끼워 고정하되 상기 소켓부재(20)(20')의 길이방향 내측단부 외주면에 다단으로 고정홈(22)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소켓부재(20)(20')와; 상기 턴버클본체(10)의 외주면에 소켓부재(20)(20')를 각각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40)(40') 이 결합되고 결합구멍(12)과 관통되는 체결구멍(34)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30)(30')와; 상기 체결부(30)(30)에서 턴버클본체(10)의 결합구멍(12)에 끼어진 소켓부재(20)(20)의 고정홈(22)에 고정핀(48)이 직교로 결합되어 고정되게 한 체결수단(40)(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urnbuckle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c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상기 턴버클본체(10)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지고 측단면상에서 원통 또는 각형으로 된 외주면으로 구성되어지되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도면에서와 같이 6각단면 형태로 구성되어 체결부(30)(30')를 3방향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중앙에 결합구멍(12)이 관통된 형태로 형성 되어 소켓부재(20)(20')를 끼울 수 있게 되어 있다.The
상기 소켓부재(20)(20')는, 외측단부에 구조물(27) 또는 케이블(28)이 결합될 수 있는 연결부(24)가 구성되는 것으로 그 연결부(24)는 도면에서와 같이 구조물이 연결되는 구성에서는 연결핀(25)이 구비되어 구조물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케이블(28)이 연결되는 구성에서는 통공(26)이 형성되어 그 통공(26)에 삽입된 케이블(28)을 패스너(29)로 압착하여 고정되게 한다. 그 연결구성의 또 다른 형태로 구조물(27)을 각각 양측에 각각 연결할 수 있게 연결부(24)를 구성하거나 양측에 케이블(28)만을 연결하는 연결부(24)를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상기 소켓부재(20)(20')의 길이방향 내측단부에는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일 정간격으로 고정홈(22)이 다수 형성되어지되 상기 고정홈(22)은 턴버클본체(1012)의 결합구멍(12)에 서로 대향되게 끼워지는 소켓부재(20)(20')를 최대간격으로 조절할 수 잇도록 고정홈(22)을 다수 형성함과 아울러 강한 인장력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한다.A plurality of
상기 체결부(30)(30')는, 턴버클본체(10)의 외주면 양측에 형성하되 결합구멍(12)에 끼워진 소켓부재(20)(20')를 체결수단(40)(40)에 의해 각각 체결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양측면에 나사산(32a)이 형성된 체결홈(32)이 구비되고 그 체결홈(32)내측면에 결합구멍(12)과 관통되게 폭이 좁은 일자형의 체결구멍(34)이 형성되어지고 그 체결구멍(34)은 턴버클본체(10)의 길이방향과 직교로 일자형을 이루도록 한다.The
또, 체결부(30)(30')는 턴버클본체(10)의 동일선상 측단면 둘레를 따라 적어도 2개이상이 형성되어 체결수단(40)(40')이 편심되지 않고 소켓부재(20)(20')의 고정홈(22)에 균등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하되 도면에서와 3방향에서 동심원 중앙을 향하도록 하여 체결작업이 용이하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t least two
상기 체결수단(40)(40')은 렌치볼트 또는 볼트머리 형태 등으로 체결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 체결기구부(44)가 상부에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산(42a)이 형성되 어 상기 체결홈(32)에 나사결합할 수 있게 한 체결구(42)가 구비되며 그 체결구(42)의 하부내측에 원호상으로 된 작동공간부(46)가 형성되어 그 작동공간부(46)에 고정핀(48)의 상측 결합구(49)가 끼워지더라도 체결구(42)는 공회전으로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fastening means (40, 40 ') is a
한편 상기 체결구(42)의 내측에 작동공간부(46)를 형성하거나 그 작동공간부(46)에 고정핀(48)의 결합구(49)를 끼우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는 체결구(42)를 반분구성하여 작동공간부(46)를 형성한 다음 고정핀(48)의 상측 결합구(49)를 작동공간부(46)에 끼운 상태에서 반분된 상태의 체결구(42)를 서로 맞댄 부분이 분리되지 않도록 용접부착하거나 볼트결합 등으로 일체로 연결하는 구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기타 여러형태가 있을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서와 같이 체결구(42)를 반분시킨 구성의 분할단면(42')을 서로 맞대어 결합홈(43)과 결합돌기(43')로 결착한다음 체결홈(32)에 끼워 나사결합하는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for forming the
상기 고정핀(48)은 체결구멍(34)과 대응되게 구성되어 관통이 이루어지되 고정핀(48)의 하부는 소켓부재의 고정홈(22)에 직교로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게 일자형 판상으로 구성하고, 고정핀(48)의 하단면은 원호상단면으로 이루어져서 고정홈(22)을 이루는 원둘레에 최대한의 결합면적으로 견고한 결합력을 갖도록 함이 바 람직하다.The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도 2에서와 같이 연결핀(25)이 구비된 일측 소켓부재(20)에는 구조물(27)을 연결하고 반대편의 통공(26)이 형성된 타측 소켓부재(20')에는 케이블(28)을 패스너(29)로 압착하여 고정된 상태로 이루어진 양측의 소켓부재(20)(20')를 턴버클본체(10)의 결합구멍(12)에 각각 끼워 설정된 위치에 진입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이어서 체결부(30)(30')의 체결홈(32)에 체결수단(40)(40)의 체결구(42)를 나사결합하게 되면 체결구(42)의 하부에 결합된 고정핀(48)은 체결구멍(34)을 관통하여 설정된 위치에 진입시킨 소켓부재(20)(20')의 고정홈(22)에 직교로 결합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상기에서 체결수단(40)(40)의 체결구(42)를 회전하여 체결부(30)(30')의 체결홈(32)에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더라도 고정핀(48)의 상측 결합구(49)는 체결구(42)의 작동공간부(46)에서 회전되지 않고 고정핀(48)이 체결구멍(34)을 관통하는 직선운동으로 고정홈(22)에 결합이 이루어진다.The upper coupling hole of the
즉, 본 발명은 상기 체결수단(40)(40')에 고정이 이루어지는 소켓부재(20)(20')에 다단으로 고정홈(22)이 형성되어 그 고정홈(22)에 체결수 단(40)(40')의 고정핀(48)이 직교로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이므로 소켓부재(20)(20')가 강한 진동이나 충격을 받거나 바람의 영향으로 흔들리고 회전하더라도 고정핀(48)은 소켓부재(20)(20')의 원호상 고정홈(22)에 항상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장력조절을 하기 위하여 소켓부재(20)(20')의 고정홈(22)에서 체결수단(40)(40')의 고정핀(48)을 분리한 다음 유압장비 등을 사용하여 소켓부재(20)(20')의 간격을 좁히거나 벌려서 간격조절이 이루어지면 종래와 같이 턴버클본체(10)를 회전하지 않고 고정핀(48)을 고정홈(22)에 직교로 결합시키는 수단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되므로 유압장비 등을 사용한 장력조절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Then, in order to adjust the tension, the
특히 본 발명은 턴버클과 연결된 케이블 등이 태풍과 같이 큰 진동이나 인장 등의 영향을 받더라도 턴버클본체(10)에 결합된 소켓부재(20)(20')는 장력조절된 상태에서 벗어날 염려 없이 항상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여 안정성과 내구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cable connected to the turnbuckle is affected by a large vibration or tension, such as a typhoon, the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단면도1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조립상태 단면예시도Figure 2 is an assembled stat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조립상태 측단면예시도Figure 3 is an assembled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수단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astening mea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수단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astening means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체결수단의 분해 사시도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asten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체결수단의 일부절개 사시도Figure 7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fasten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턴버클본체 12 : 결합구멍10: turnbuckle body 12: coupling hole
20,20' : 소켓부재 22 : 고정홈20,20 ': Socket member 22: fixing groove
30,30' : 체결부 32 : 체결홈30,30 ': Fastening part 32: Fastening groove
34 : 체결구멍 40,40 : 체결수단34: fastening
42 : 체결구 46 : 작동공간부42: fastener 46: operating space
48 : 고정핀 49 : 결합구48: fixing pin 49: coupling sphere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3344A KR100913521B1 (en) | 2007-07-23 | 2007-07-23 | Turnbuckles for cable tens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3344A KR100913521B1 (en) | 2007-07-23 | 2007-07-23 | Turnbuckles for cable tens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0329A KR20090010329A (en) | 2009-01-30 |
KR100913521B1 true KR100913521B1 (en) | 2009-09-16 |
Family
ID=40489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73344A Active KR100913521B1 (en) | 2007-07-23 | 2007-07-23 | Turnbuckles for cable tens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13521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1641Y1 (en) * | 2015-07-30 | 2016-11-09 | 유황희 | Wire rope clamping fixture |
KR102099401B1 (en) * | 2019-07-31 | 2020-04-09 | 이훈희 | Tension locking device by rotation induction |
KR20230108456A (en) * | 2022-01-11 | 2023-07-18 | 주식회사 엔에스알 | Relief valve for hydrogen supply lin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7638B1 (en) * | 2009-06-29 | 2010-08-24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The method of producing bioenergy from predators of aquatic algae and plants taking up global warming gases |
KR101727632B1 (en) * | 2013-04-05 | 2017-04-17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Photobioreactor for photosynthetic microbial mass cultures |
KR101727124B1 (en) * | 2014-10-27 | 2017-04-14 | 휴먼이엔씨주식회사 | Sidewalk for a bridge using hang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footbridge for landscape using hang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41675U (en) | 1978-09-12 | 1980-03-17 | ||
JPH0221352U (en) * | 1988-07-26 | 1990-02-13 | ||
KR19980054476U (en) * | 1996-12-31 | 1998-10-07 | 박병재 | Length adjusting means |
-
2007
- 2007-07-23 KR KR1020070073344A patent/KR10091352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41675U (en) | 1978-09-12 | 1980-03-17 | ||
JPH0221352U (en) * | 1988-07-26 | 1990-02-13 | ||
KR19980054476U (en) * | 1996-12-31 | 1998-10-07 | 박병재 | Length adjusting means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1641Y1 (en) * | 2015-07-30 | 2016-11-09 | 유황희 | Wire rope clamping fixture |
KR102099401B1 (en) * | 2019-07-31 | 2020-04-09 | 이훈희 | Tension locking device by rotation induction |
KR20230108456A (en) * | 2022-01-11 | 2023-07-18 | 주식회사 엔에스알 | Relief valve for hydrogen supply line |
KR102762341B1 (en) * | 2022-01-11 | 2025-02-04 | 주식회사 엔에스알 | Relief valve for hydrogen supply l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0329A (en) | 2009-0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13521B1 (en) | Turnbuckles for cable tension | |
KR100591896B1 (en) | Cable tensioner | |
KR101655743B1 (en) | Complex vibration control device with friction damper | |
CA3040639A1 (en) | Metal joint | |
CN104334894A (en) | connecting device for joining two parts | |
KR20180132193A (en) | Anchor apparatu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structure utilizing the same | |
AU2007237197B2 (en) | Frame joiner | |
KR20190080721A (en) | Panel fastening device for building | |
JP2008014123A (en) | Vertical lumber member installation hardware | |
JP5002428B2 (en) | Fastener | |
JP5702345B2 (en) | Connecting wood fittings for construction | |
JP2014005694A (en) | Coach screw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 |
JP6425670B2 (en) | FRAME STRUCTURE, AND FRAME STRUCTURE ASSEMBLING METHOD | |
KR20110096738A (en) | Cable tension control device | |
KR20050082325A (en) | Space frame truss | |
KR101331890B1 (en) | Pressurized Fastening Bolt | |
KR20100013913A (en) | Easy of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steel-frame structure for arcade | |
KR200437449Y1 (en) | End Connection of Roof Structure Truss of Large Structure | |
US20220316506A1 (en) | A Beam Clamp, and a Mounting Assembly | |
KR101243148B1 (en) | Anti-loose nut and bolt | |
KR200351538Y1 (en) | Cable turnbuckle unit | |
JP2008038361A (en) | Reinforcing fitting | |
JP2009281027A (en) | Wooden truss framework member | |
KR200311720Y1 (en) | Connecting member for truss structure | |
KR200400246Y1 (en) | Bracket for anti-loosening of bol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908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8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8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1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8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1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8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1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3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3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