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12233B1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233B1
KR100912233B1 KR1020080126243A KR20080126243A KR100912233B1 KR 100912233 B1 KR100912233 B1 KR 100912233B1 KR 1020080126243 A KR1020080126243 A KR 1020080126243A KR 20080126243 A KR20080126243 A KR 20080126243A KR 100912233 B1 KR100912233 B1 KR 100912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region
support plate
val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한
Original Assignee
(주)피앤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앤티디 filed Critical (주)피앤티디
Priority to KR1020080126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2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23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41D13/1169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using adhesive
    • A41D13/1176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using adhesive forming a complete seal at the edges of the mask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A62B7/04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and lung-controlled oxygen or air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2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안면덮개부와, 중앙영역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과 상기 통공을 둘러싸도록 상기 지지판의 판면으로부터 기립 형성된 폐루프단면 형태의 지지벽부와 상기 지지벽부의 종단개구를 덮기 위한 밀폐영역과 상기 밀폐영역의 일 측연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고정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밀폐영역이 상기 지지벽부의 종단면에 안착되도록 상기 고정영역을 통해 상기 지지판에 고정되는 가요성 재질로 제작되는 밸브판과 일 영역에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판을 둘러싸도록 상기 지지판에 고정되는 보호캡을 구비한 호기밸브를 갖는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은 상기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는 요형의 캡바디부와, 상기 밀폐영역에 도달하도록 상기 캡바디부의 내표면으로부터 상기 밸브판을 향해 돌출 형성된 지지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지지벽부와 밀폐영역사이의 밀폐성이 향상되고 호기밸브의 구조가 간단해 진다.
마스크, 호기밸브, 지지벽부, 밸브판

Description

마스크{Mask}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결합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호기밸브영역의 분해사시도,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
도4는 도2에 도시된 지지돌부가 밸브판을 가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동작상태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부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보호캡을 도시한 사시도,
도8은 도7에 도시된 지지돌부가 밸브판을 가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동작상태도,
도10은 종래의 마스크의 결합사시도,
도11은 도10에 도시된 호기밸브영역의 분해사시도,
도12는 도11의 B-B'선 단면도,
도13은 도12에 도시된 가압돌부가 밸브판을 가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4는 종래의 마스크의 동작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10 : 안면덮개부 11, 111 : 걸이끈
20, 120 : 호기밸브 21, 121 : 지지판
22, 122 : 차단부 23, 123 : 지지벽부
24, 124 : 밸브판 25, 125 : 보호캡
25c, 25'c : 지지돌부 26 : 안착언덕부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숨을 내쉴 때 날숨의 배출유로가 형성되고 숨을 들이쉴 때에는 날숨의 배출유로는 소멸되도록 동작하는 호기밸브를 갖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외부의 찬 공기, 분진, 냄새, 세균, 황사 등이 호흡기를 통해 인체에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면에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다.
이들 마스크 중에는 숨을 내쉴 때 날숨의 배출유로가 형성되고 숨을 들이쉴 때에는 날숨의 배출유로가 소멸되도록 동작하는 호기밸브를 갖는 마스크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0은 종래의 마스크의 결합사시도이고, 도11은 도10에 도시된 호기밸브영역의 분해사시도이며, 도12는 도11의 B-B'선 단면도이며, 도13은 도12에 도시된 가압돌부가 밸브판을 가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마스크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장방형상의 안면덮개부(110)와, 안면덮개부(110)의 외표면 중앙영역에 결합된 호기(呼氣)밸브(120)를 갖고 있다.
안면덮개부(110)는 내층, 필터층 및 외층의 3겹으로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내층의 재질로는 폴리프로필렌의 스펀본드(Spun Bond) 부직포를, 필터층의 재질로는 폴리프로필렌의 멜트블로운(Melt Blown) 부직포를, 외피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 니들 펀칭(Needle Punching) 부직포를 채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안면덮개부(110)는 중앙영역에 배출공(110a)이 형성되어 있고, 필터가 배출공(110a)을 가리도록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안면덮개부(110)에는 한 쌍의 걸이끈(111)이 결합되어 있다.
호기밸브(120)는 대략 정방형상의 지지판(121)과, 지지판(121)에 형성된 차단바(122) 및 지지벽부(123)와, 지지판(121)에 고정되는 밸브판(124) 및 보호캡(125)을 갖고 있다.
지지판(121)은 중앙영역에 원형의 통공(12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판(121)은 통공(121a)의 둘레영역에 캡고정벽부(121c)가 판면으로부터 기립 형성되어 있다.
캡고정벽부(121c)는 대략 장방형상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측 벽면에는 압착경사면(121d)이 형성되어 있다.
압착경사면(121d)에는 한 쌍의 고정돌기(121b)가 형성되어 있다.
차단바(122)는 통공(121a)을 가로질러 십자 형태로 배치되도록 형성된 차단가로바(122a) 및 차단세로바(122b)로 구성되어 있다.
차단세로바(122b)는 원호단면형태의 차단경사면(122c)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 다.
지지벽부(123)는 통공(121a)을 둘러싸는 원형을 이루도록 지지판(121)의 판면으로부터 원형형태로 기립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벽부(123)는 원호단면형태의 종단면(123a)을 갖도록 형성된다.
밸브판(124)은 지지벽부(123)의 종단개구를 덮기 위한 밀폐영역(124a)과, 밀폐영역(124a)의 상측연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고정영역(124b)으로 구획된다.
밀폐영역(124a)은 하측 연부가 원호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고정영역(124b)은 상측영역에 한 쌍의 고정홈(124c)이 절취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밸브판(124)은 실리콘 등과 같은 가요성(Flexible) 재질로 제작되고, 고정영역(124b)을 통해 즉, 고정홈(124c)에 고정돌기(121b)를 억지끼움시키는 방법으로 지지판(121)에 고정된다. 여기서 밸브판(124)의 고정작업은 밀폐영역(124a)이 지지벽부(123)의 종단면(123a)에 안착되도록 이루어진다.
보호캡(125)은 요형(凹形)의 캡바디부(125a)와, 캡바디부(125a)의 내표면으로부터 밸브판(124)을 향해 돌출 형성된 가압돌부(125e) 및 스토퍼돌부(125f)를 갖고 있다.
캡바디부(125a)는 다수의 안내공(125b)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돌부(125e)는 캡바디부(125a)의 내표면으로부터 고정영역(124b)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돌부(125f)는 캡바디부(125a)의 내표면으로부터 밀폐영역(124a)에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보호캡(125)은 캡바디부(125a)의 내표면이 캡고정벽부(121c)의 외표면에 가압 접촉되도록 캡바디부(125a)를 캡고정벽부(121c)에 억지끼움하는 방법으로 지지판(121)에 결합된다.
지지판(121)에 결합된 상태에서 보호캡(125)은 밸브판(124)을 둘러싸게 되고, 가압돌부(125e)는 압착경사면(121d)과 협조하여 고정영역(124b)을 가압하게 된다.
가압돌부(125e)에 의해 고정영역(124b)이 가압될 때 밀폐영역(124a)은 원호단면형태의 종단면(123a)에 접촉하도록 변형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마스크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 쌍의 걸이끈(111)을 차례로 귀에 건다.
다음에 숨을 들이쉬면 안면덮개부(110)를 통해 공기가 코로 들어온다.
다음에 숨을 내쉬면 입으로부터 나오는 날숨은 배출공(110a)과 통공(121a)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지지벽부(123)의 내부로 진입한다.
지지벽부(123)의 내부로 진입한 날숨은 밀폐영역(124a)을 가압한다.
날숨에 의해 가압될 때 밸브판(124)의 밀폐영역(124a) 하측은 지지벽부(123)로부터 이탈한다. 여기서 밀폐영역(124a)의 이탈은 스토퍼돌부(125f)에 의해 제한된다(도14 참조).
밀폐영역(124a)이 지지벽부(123)로부터 이탈할 때 고정영역(124b)에 축적되는 탄성력은 증가한다.
밀폐영역(124a) 하측이 지지벽부(123)로부터 이탈함에 따라 지지벽부(123)와 밀폐영역(124a)사이에는 날숨의 배출유로가 형성되고(도14 참조), 지지벽부(123)의 내부로 진입한 날숨은 지지벽부(123)와 밀폐영역(124a)사이 공간과 안내공(125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다시 숨을 들이쉬면 밸브판(124)은 고정영역(124b)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에 따라 지지벽부(123)와 밀폐영역(124a)사이에 형성된 날숨의 배출유로는 소멸된다. 그리고 밸브판(124)이 원위치로 복귀할 때 밀폐영역(124a)은 원호단면형태의 종단면(123a)에 접촉하도록 변형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마스크는 1994년 특허출원 제704287호(발명의 명칭 : 일 방향 유체밸브 및 여과식 안면마스크)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마스크에 따르면, 고정영역(124b)의 탄성력에 의해 밀폐영역(124a)이 지지벽부(123)의 종단면(123a)에 접촉되기 때문에 지지벽부(123)와 밀폐영역(124a)사이의 밀폐성(들숨상태에서)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지지벽부(123)와 밀폐영역(124a)사이의 밀폐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은 마스크착용자의 얼굴이 지면을 향하고 있거나(밸브판의 무게에 의해 밀폐영역과 지지벽부사이의 접촉압력이 감소함) 또는 사용시간이 증가하여 고정영역(124b)의 탄성력이 감소할 때 가중된다.
그리고 밸브판(124)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돌부(125e)이외 밸브판(124)의 밀폐영역(124a)의 이탈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돌부(125f)를 보호캡(125)에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호기밸브(120)의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벽부와 밀폐영역사이의 밀폐성이 향상되고 호기밸브이 구조가 간단한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안면덮개부와, 중앙영역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과 상기 통공을 둘러싸도록 상기 지지판의 판면으로부터 기립 형성된 폐루프단면 형태의 지지벽부와 상기 지지벽부의 종단개구를 덮기 위한 밀폐영역과 상기 밀폐영역의 일 측연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고정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밀폐영역이 상기 지지벽부의 종단면에 안착되도록 상기 고정영역을 통해 상기 지지판에 고정되는 가요성 재질로 제작되는 밸브판과 일 영역에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판을 둘러싸도록 상기 지지판에 고정되는 보호캡을 구비한 호기밸브를 갖는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은 상기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는 요형의 캡바디부와, 상기 밀폐영역에 도달하도록 상기 캡바디부의 내표면으로부터 상기 밸브판을 향해 돌출 형성된 지지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밀폐영역이 안정적으로 지지벽부에 안착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벽부의 종단면은 상기 지지판의 판면에 대한 일정한 경사도와 상기 고정영역에 접근할수록 상기 지지판의 판면에 대한 이격거리가 점점 감소하는 경사방향을 갖는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밀폐영역이 더욱 더 안정적으로 지지벽부에 안착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의 판면에 대하여 상기 지지벽부의 종단면이 이루는 경사도와 동일한 경사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지지벽부의 종단면으로부터 연장된 안착안내면을 갖도록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안착언덕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돌부가 안정적으로 밸브판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돌부는 종단에 상기 지지판의 판면에 대하여 상기 지지벽부의 종단면이 이루는 경사도와 동일한 경사를 이루는 지지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결합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호기밸브영역의 분해사시도이며,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4는 도2에 도시된 지지돌부가 밸브판을 가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장방형상의 안면덮개부(10)와, 안면덮개부(10)의 외표면 중앙영역에 결합된 호기(呼氣)밸브(20)를 갖고 있다.
안면덮개부(10)는 도10에 도시된 종래의 마스크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안면덮개부(10)는 중앙영역에 배출공(10a)이 형성되어 있고, 필터가 배출공(10a)을 가리도록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안면덮개부(10)에는 한 쌍의 걸이끈(11)이 결합되어 있다.
호기밸브(20)는 대략 정방형상의 지지판(21)과, 지지판(21)에 형성된 차단바(22), 지지벽부(23) 및 안착언덕부(26)와, 지지판(21)에 고정되는 밸브판(24) 및 보호캡(25)을 갖고 있다.
지지판(21)은 중앙영역에 원형의 통공(21a)이 형성되어 있고, 통공(21a)의 상측영역에는 한 쌍의 고정돌기(2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판(21)은 통공(21a)과 고정돌기(21b)의 둘레영역에는 캡고정벽부(21c)가 판면으로부터 기립 형성되어 있다.
차단바(22)는 통공(21a)을 가로질러 십자 형태로 배치되도록 형성된 차단가로바(22a) 및 차단세로바(22b)로 구성되어 있다.
차단세로바(22b)는 지지벽부(23)의 종단면(23a)의 경사도에 대응하는 차단경사면(22c)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벽부(23)는 통공(21a)을 둘러싸는 원형을 이루도록 지지판(21)의 판면으로부터 원형형태로 기립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벽부(23)는 지지판(21)의 판면에 대하여 일정한 경사도를 유지하면서 지지판(21)의 판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경사를 이루는 종단면(23a)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지지벽부(23)의 종단면은 지지판(21)의 판면에 대한 일정한 경사도와 고정영역(24b)에 접근할수록 지지판(21)의 판면에 대한 이격거리가 점점 감소하는 경사방향을 갖는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안착언덕부(26)는 지지벽부(23)의 종단면(23a)으로부터 동일한 경사도를 유지하면서 지지벽부(23)의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안착안내면(26a)을 갖도록 지지판(21)에 형성되어 있다. 즉, 안착언덕부(26)는 지지판(21)의 판면에 대하여 지지벽부(23)의 종단면이 이루는 경사도와 동일한 경사도를 유지하면서 지지벽부(23)의 종단면으로부터 연장된 안착안내면(26a)을 갖도록 지지판(21)에 형성되어 있다.
밸브판(24)은 지지벽부(23)의 종단개구를 덮기 위한 밀폐영역(24a)과, 밀폐영역(24a)의 일 측연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고정영역(24b)으로 구획된다.
밀폐영역(24a)은 하측 연부가 원호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고정영역(24b)은 지지벽부(23)의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을 따라 밀폐영역(24a)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측영역에는 한 쌍의 고정홈(24c)이 절취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밸브판(24)은 실리콘 등과 같은 가요성(Flexible) 재질로 제작되고, 고정영역(24b)을 통해 즉, 고정홈(24c)에 고정돌기(21b)를 억지끼움시키는 방법으로 지지판(21)에 고정된다. 여기서 밸브판(24)의 고정작업은 밀폐영역(24a)이 지지벽부(23)의 종단면에 안착되도록 이루어진다.
보호캡(25)은 요형(凹形)의 캡바디부(25a)와, 캡바디부(25a)의 내표면으로부터 밸브판(24)을 향해 돌출 형성된 지지돌부(25c)를 갖고 있다.
캡바디부(25a)는 다수의 안내공(25b)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돌부(25c)는 밀폐영역(24a)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돌부(25c)는 종단에 지지벽부(23)와 동일한 경사를 이루는 지지면(25d)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지지돌부(25c)는 종단에 지지판(21)의 판면에 대하여 지지벽부(23)의 종단면이 이루는 경사도와 동일한 경사를 이루는 지지면(25d)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보호캡(25)은 캡바디부(25a)의 내표면이 캡고정벽부(21c)의 외표면에 가압 접촉되도록 캡바디부(25a)를 캡고정벽부(21c)에 억지끼움하는 방법으로 지지판(21)에 결합된다.
지지판(21)에 결합된 상태에서 보호캡(25)은 밸브판(24)을 둘러싸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 쌍의 걸이끈(11)을 차례로 귀에 건다.
다음에 숨을 들이쉬면 안면덮개부(10)를 통해 공기가 코로 들어온다.
다음에 숨을 내쉬면 입으로부터 나오는 날숨은 배출공(10a)과 통공(21a)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지지벽부(23)의 내부로 진입한다.
지지벽부(23)의 내부로 진입한 날숨은 밀폐영역(24a)을 가압한다.
날숨에 의해 가압된 밀폐영역(24a) 하측이 지지벽부(23)로부터 이탈하고 지지벽부(23)와 밀폐영역(24a)사이에는 날숨의 배출유로가 형성된다(도5 참조). 이에 따라 지지벽부(23)의 내부로 진입한 날숨은 지지벽부(23)와 밀폐영역(24a)사이 공간과 안내공(25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밀폐영역(24a)이 지지벽부(23)로부터 이탈할 때 밀폐영역(24a)에는 탄성력이 축적된다.
다시 숨을 들이쉬면 밀폐영역(24a)은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고, 지지벽부(23)의 상측개구는 밀폐영역(24a)에 의해 다시 밀폐된다. 이에 따라 지지벽부(23)와 밀폐영역(24a)사이에 형성된 날숨의 배출유로는 소멸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지지판(21)에 안착언덕부(26)를 형성하고 있으나,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언덕부를 생략하고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안착언덕부를 생략하는 경우 지지벽부(23)의 종단면(23a)이 지지판(21)의 바닥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경사가 시작되도록 구성하는 것(도6 참조)과는 달리 지지판(21)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경사가 시작되도록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밸브판(24)을 고정영역(24b)과 밀폐영역(24a)을 지지돌부(25c)가 가압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돌 부(25'c)가 밀폐영역(24a)만을 가압하도록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보호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8은 도7에 도시된 지지돌부가 밸브판을 가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동작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돌부(25'c)가 봉형태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고 있다.
지지돌부(25'c)는 종단에 지지벽부(23)와 동일한 경사를 이루는 지지면(25'd)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7, 도8 및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사용하여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밀폐영역(24a)에 도달하도록 캡바디부(25a)의 내표면에 지지돌부(25c)를 형성함으로써, 지지벽부(23)와 밀폐영역(24a)사이의 밀폐성이 향상되고 호기밸브(20)의 구조가 간단해 진다(지지돌부가 밀폐영역에 접촉된 상태에서 밀폐영역이 지지벽부(23)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 거리는 제한됨).
그리고 지지판(21)의 판면에 대하여 일정한 경사도를 유지하면서 지지판(21)의 판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경사를 이루는 종단면(23a)을 갖도록 지지벽부(23)를 형성함으로써, 밀폐영역(24a)이 안정적으로 지지벽부(23)에 안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판(21)에 안착언덕부(26)를 형성함으로써, 밀폐영역(24a)이 더욱 더 안정적으로 지지벽부(23)에 안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단에 지지벽부(23)와 동일한 경사를 이루는 지지면(25d, 25'd)을 갖도록 지지돌부(25c, 25'c)를 형성함으로써, 지지돌부(25c, 25'c)가 안정적으로 밀폐영역(24a)을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영역에 도달하도록 캡바디부의 내표면에 지지돌부를 형성함으로써, 지지벽부와 밀폐영역사이의 밀폐성이 향상되고 호기밸브의 구조가 간단해 진다.

Claims (4)

  1. 안면덮개부와, 중앙영역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과 상기 통공을 둘러싸도록 상기 지지판의 판면으로부터 기립 형성된 폐루프단면 형태의 지지벽부와 상기 지지벽부의 종단개구를 덮기 위한 밀폐영역과 상기 밀폐영역의 일 측연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고정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밀폐영역이 상기 지지벽부의 종단면에 안착되도록 상기 고정영역을 통해 상기 지지판에 고정되는 가요성 재질로 제작되는 밸브판과 일 영역에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판을 둘러싸도록 상기 지지판에 고정되는 보호캡을 구비한 호기밸브를 갖는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은 상기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는 요형의 캡바디부와, 상기 밀폐영역에 도달하도록 상기 캡바디부의 내표면으로부터 상기 밸브판을 향해 돌출 형성된 지지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부의 종단면은 상기 지지판의 판면에 대한 일정한 경사도와 상기 고정영역에 접근할수록 상기 지지판의 판면에 대한 이격거리가 점점 감소하는 경사방향을 갖는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판면에 대하여 상기 지지벽부의 종단면이 이루는 경사도와 동일한 경사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지지벽부의 종단면으로부터 연장된 안착안내면을 갖도록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안착언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부는 종단에 상기 지지판의 판면에 대하여 상기 지지벽부의 종단면이 이루는 경사도와 동일한 경사를 이루는 지지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KR1020080126243A 2008-12-12 2008-12-12 마스크 Active KR100912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243A KR100912233B1 (ko) 2008-12-12 2008-12-12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243A KR100912233B1 (ko) 2008-12-12 2008-12-12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2233B1 true KR100912233B1 (ko) 2009-08-14

Family

ID=41209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243A Active KR100912233B1 (ko) 2008-12-12 2008-12-12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233B1 (ko)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898B1 (ko) * 2010-11-30 2012-11-07 (주)씨앤투스 방진 마스크
KR101348238B1 (ko) 2012-02-10 2014-01-22 (주)씨앤투스이지스 마스크용 배기밸브
KR200480574Y1 (ko) 2015-12-17 2016-06-09 도부라이프텍주식회사 호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
KR101730083B1 (ko) 2015-11-06 2017-05-11 이창선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
KR101820413B1 (ko) 2017-05-17 2018-02-28 이해룡 방진 마스크
KR20180046109A (ko) 2016-10-27 2018-05-08 송남강 šœ기트 및 내추럴 플러렌을 포함하는 마스크
KR20180095492A (ko) 2018-08-20 2018-08-27 송남강 다기능성의 마스크
USD827812S1 (en) 2016-09-16 2018-09-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alve cover with openings
USD827811S1 (en) 2016-09-16 2018-09-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alve cover
USD828546S1 (en) 2016-09-16 2018-09-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alve cover with openings
USD842983S1 (en) 2016-09-16 2019-03-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alve cover
USD843562S1 (en) 2016-09-16 2019-03-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alve cover with diamond pattern
WO2019054694A1 (ko) * 2017-09-12 2019-03-21 조기형 마스크
USD849245S1 (en) 2016-09-16 2019-05-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alve cover
KR200490532Y1 (ko) * 2019-03-28 2019-11-28 주식회사 뉴바이오제약 기능성 황사 마스크
USD882758S1 (en) 2016-09-16 2020-04-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alve cover
KR102144869B1 (ko) 2020-06-05 2020-08-14 주식회사 에프앤지아이 항균, 탈취,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효과를 가진 수차사용이 가능한 기능성 마스크의 제조방법
USD900306S1 (en) 2016-09-16 2020-10-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alve cover
KR200493338Y1 (ko) * 2020-05-14 2021-03-16 주식회사 민성정밀 마스크 밸브
US12070634B2 (en) 2016-09-16 2024-08-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xhalation valve and respirator including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7698A (en) 1998-08-20 2000-04-11 Moldex-Metric, Inc. Unidirectional fluid valve
KR100258519B1 (ko) 1992-05-29 2000-06-1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일방향 유체 밸브 및 여과식 안면 마스크
EP1203599A2 (en) 1995-08-04 2002-05-0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 filter face mask
KR20040053350A (ko) * 2001-11-21 2004-06-2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다중 층 가요성 플랩을 구비한 호기 밸브를 사용하는 여과안면 마스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8519B1 (ko) 1992-05-29 2000-06-1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일방향 유체 밸브 및 여과식 안면 마스크
EP1203599A2 (en) 1995-08-04 2002-05-0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 filter face mask
US6047698A (en) 1998-08-20 2000-04-11 Moldex-Metric, Inc. Unidirectional fluid valve
KR20040053350A (ko) * 2001-11-21 2004-06-2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다중 층 가요성 플랩을 구비한 호기 밸브를 사용하는 여과안면 마스크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898B1 (ko) * 2010-11-30 2012-11-07 (주)씨앤투스 방진 마스크
KR101348238B1 (ko) 2012-02-10 2014-01-22 (주)씨앤투스이지스 마스크용 배기밸브
KR101730083B1 (ko) 2015-11-06 2017-05-11 이창선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
KR200480574Y1 (ko) 2015-12-17 2016-06-09 도부라이프텍주식회사 호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
USD882758S1 (en) 2016-09-16 2020-04-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alve cover
USD843562S1 (en) 2016-09-16 2019-03-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alve cover with diamond pattern
US12070634B2 (en) 2016-09-16 2024-08-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xhalation valve and respirator including same
USD827812S1 (en) 2016-09-16 2018-09-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alve cover with openings
USD827811S1 (en) 2016-09-16 2018-09-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alve cover
USD828546S1 (en) 2016-09-16 2018-09-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alve cover with openings
USD842983S1 (en) 2016-09-16 2019-03-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alve cover
USD900306S1 (en) 2016-09-16 2020-10-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alve cover
USD849245S1 (en) 2016-09-16 2019-05-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alve cover
KR20180046109A (ko) 2016-10-27 2018-05-08 송남강 šœ기트 및 내추럴 플러렌을 포함하는 마스크
KR101820413B1 (ko) 2017-05-17 2018-02-28 이해룡 방진 마스크
WO2019054694A1 (ko) * 2017-09-12 2019-03-21 조기형 마스크
KR20180095492A (ko) 2018-08-20 2018-08-27 송남강 다기능성의 마스크
KR200490532Y1 (ko) * 2019-03-28 2019-11-28 주식회사 뉴바이오제약 기능성 황사 마스크
KR200493338Y1 (ko) * 2020-05-14 2021-03-16 주식회사 민성정밀 마스크 밸브
KR102144869B1 (ko) 2020-06-05 2020-08-14 주식회사 에프앤지아이 항균, 탈취,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효과를 가진 수차사용이 가능한 기능성 마스크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233B1 (ko) 마스크
KR102089657B1 (ko) 방진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1619487B1 (ko) 기능성 마스크
KR200446949Y1 (ko) 배기밸브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US7086401B2 (en) Respiratory mask with inserted spacer
HK1218636A1 (zh) 氣味抑制面罩
US8910663B2 (en) Uni-directional valve, filtering face mask
US20030029456A1 (en) Breathing protector
US20180133524A1 (en)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pollutants
KR102035719B1 (ko)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
KR100999860B1 (ko) 방진 마스크
KR20170085627A (ko) 안면 마스크
KR20200054942A (ko) 오염 방지 얼굴 마스크
KR101737202B1 (ko) 코마스크
KR20210009833A (ko) 코호흡 분리형 마스크
KR200480574Y1 (ko) 호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
CN101558912A (zh) 防尘口罩
KR20220075287A (ko) 마스크
JP2007529254A5 (ko)
KR102219129B1 (ko) 코 삽입 마스크
JP2007529254A (ja) 呼吸用防護具
KR102360153B1 (ko)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
KR20200023348A (ko) 방진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2280478B1 (ko) 미세먼지 방지 투챔버 마스크
KR20110095554A (ko) 호흡보호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8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8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3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