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11862B1 - 판넬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판넬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1862B1
KR100911862B1 KR1020090029305A KR20090029305A KR100911862B1 KR 100911862 B1 KR100911862 B1 KR 100911862B1 KR 1020090029305 A KR1020090029305 A KR 1020090029305A KR 20090029305 A KR20090029305 A KR 20090029305A KR 100911862 B1 KR100911862 B1 KR 100911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obtuse
base materials
upper mold
pres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은
Original Assignee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filed Critical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Priority to KR1020090029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18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862B1/ko
Priority to JP2009286565A priority patent/JP4879315B2/ja
Priority to US12/642,083 priority patent/US8167606B2/en
Priority to CN2009102525499A priority patent/CN101856685B/zh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7/00Making rigid structural elements or units, e.g. honeycomb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3/0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 B21D13/02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by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3/0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 B21D13/1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into a peculiar profiling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3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folding
    • B21D39/031Joining superposed plates by locally deforming without slitting or pier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모재를 1차적으로 직각삼각파형을 형성하는 공정, 2차적으로 둔각삼각파형을 형성하는 공정, 3차적으로 전후방향으로 직선 가압하여 결착시키는 공정의 3가지 공정을 하나의 장치로 구현함으로써 신속하게 판넬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판넬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판넬 성형장치는, 고정설치된 하부금형 및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서 수직상하로 왕복작동하는 상부금형으로 구성되어, 선단부로 공급되는 복수의 모재를 압착하여 판넬을 성형하는 판넬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의 전방에 구성되어 수직상하로 왕복작동하는 직각상부금형 및 상기 직각상부금형과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금형의 전방에 구성되어 고정설치되는 직각하부금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복수의 모재를 서로 압착하여 단면이 직각삼각파형을 이루도록 성형하는 제1금형부; 상기 상부금형의 중앙에 구성되어 상기 복수의 모재 진행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왕복작동하는 둔각상부금형 및 상기 둔각상부금형과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금형의 중앙에 구성되어 고정설치되는 둔각하부금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복수의 모재를 서로 압착하여 단면이 둔각삼각파형을 이루도록 성형하는 제2금형부; 및 상기 제2금형부의 후방에 구성되어 상기 제2금형부에서 압착된 상기 복수의 모재를 전후방향으로 직선 가압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모재를 결착시키는 제3금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판넬 성형방법은, 고정설치된 하부금형 및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서 수직상하로 왕복작동하는 상부금형으로 구성되어, 선단부로 공급되는 복수의 모재를 압착하여 판넬을 성형하는 판넬 성형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복수의 모재를 압착하여 상기 복수의 모재 단면이 직각삼각파형을 이루도록 압착하는 직각파형 압착단계; (b) 상기 직각삼각파형의 단면을 갖도록 압착된 복수의 모재를 압착하여 상기 복수의 모재 단면이 둔각삼각파형을 이루도록 압착하는 둔각파형 압착단계; (c) 상기 둔각삼각파형의 단면을 갖도록 압착된 복수의 모재를 전후방향으로 직선 가압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모재를 결착시키는 결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판넬, 삼각파형, 둔각파형, 성형, 금형

Description

판넬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Apparatus for forming panel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판넬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모재를 1차적으로 직각삼각파형을 형성하는 공정, 2차적으로 둔각삼각파형을 형성하는 공정, 3차적으로 전후방향으로 직선 가압하여 결착시키는 공정의 3가지 공정을 하나의 장치로 구현함으로써 신속하게 판넬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판넬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형 판넬은 판넬에 파형을 성형한 것으로서, 파형에 의해 하중 및 반력이 판넬의 전체에 균등하게 분포되어 내하력이 큰 특징이 있고, 파형 판넬을 여러 겹으로 겹치거나 볼팅 등의 방법으로 서로 잇대어 판의 용도로 사용하거나, 파형 판넬에 곡률을 주고 서로 연결하여 관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파형 판넬 제조공정에서는, 파형 성형공정에서 1 또는 2피치의 파형이 성형된 금형을 가압장치에 횡방향으로 상하에 구비하고, 이 금형의 사이에 판넬을 삽입시킨 다음 가압장치로 상측의 금형을 압착하여 판넬에 파형을 1 또는 2 피치씩 성형한다.
그 다음 판넬을 종방향으로 1 또는 2피치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전진시킨 다음, 계속하여 금형으로 판넬에 파형을 1 또는 2피치씩 성형한다. 따라서 이 파형 성형공정에서 하나의 판넬에 종방향으로 수십 개의 파형이 성형된다.
이어서 홀 성형공정에서 파형이 형성된 판넬끼리 볼트 체결로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판넬의 가장자리에 볼트 체결용 홀을 성형하는데, 이러한 홀 성형공정에서는 펀치를 이용하여 판넬의 골이나 산에 각각 다수의 홀을 성형하며, 이렇게 홀이 형성된 복수의 판넬을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한 후 구조물이나 기타 용도로 사용된다.
그러나 복수의 판넬을 연결하기 위해 가장자리에 볼트로 체결을 하더라도 판넬의 중앙 부분은 체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결합력이 약한 단점이 있다.
또한, 판넬에 형성되는 파형이 일시에 압착되어 제조되는 것과 같이, 판넬의 전체에 일시적으로 강한 외력이 작용하여 압착할 경우 판넬이 찢어지는 등의 파손이 우려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또 다른 발명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86410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파형 판넬을 제조하기 위한 "물결주름코어를 갖는 금속복합판재의 연속적 제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제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에 의해 금속복합판재용 코어(2)를 합지부(L)의 중앙으로 공급하는 코어공급부(S)와; 상기 코어공급부(S)의 상하에서 상하 금속평판롤(4)(4')로부터 롤러(5)(5')(6)(6')...를 거쳐 상 하 금속평판(3)(3')을 공급하는 상하 금속평판공급부(E)와; 상기 코어공급부(S)와 상하 금속평판공급부(E)사이에서 필름공급용 롤(7a)(7a')로부터 공급되는 핫멜트 접착필름이나 상용되는 상온 접착용 접착제로된 접착제층(7)(7')을 공급하는 접착제공급부(F)와; 상기 장치들에서 공급되는 상하 금속평판(3)(3'), 접착제층(7)(7') 및 코어(2)를 합지하기위한 상하 합지롤러(8)(8')로 구성된 합지부(L)와; 상기 합지된 것을 가열 및 압착하는 통상적인 상하 가열롤러(11) 및 압착롤러(12)(12')로 구성된 가열 및 압착부(P)와; 상기 가열 및 압착된 것을 냉각하는 냉각부(M)로 구성되는 금속복합판재의 연속적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어공급부(S)는 코어용 금속판 롤(13)과, 상기 코어용 금속판 롤(13)로부터 공급되는 코어용 금속판(21)을 압착시켜 물결주름형(콜러게이션) 코어(2a)로 성형하는 기어형 치부(24)(24')를 가진 대소 두쌍의 상하 치형롤러(23)(23')(23a)(23a')로 구성되고, 상기 냉각부(M)에는 상하에서 롤러(22)(22')에의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합지된 금속복합판재용 합지물을 가압하여 핀칭하는 캐터필러(28)(28')가 설치된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금속복합판재의 연속적 제조장치는 하나의 물결주름형 코어로 기본적인 파형만을 형성할 수 있고, 복합적인 파형을 형성하기 어려우며, 만일, 복합적인 파형을 형성하더라도 다수의 물결주름형 코어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설치공간을 많이 필요로 하고, 장치 자체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파형을 갖는 판넬을 제작하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모재를 1차적으로 직각삼각파형을 형성하는 공정, 2차적으로 둔각삼각파형을 형성하는 공정, 3차적으로 전후방향으로 직선 가압하여 결착시키는 공정의 3가지 공정을 하나의 장치로 구현함으로써 신속하게 판넬을 성형할 수 있는 판넬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판넬 성형장치는, 고정설치된 하부금형 및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서 수직상하로 왕복작동하는 상부금형으로 구성되어, 선단부로 공급되는 복수의 모재를 압착하여 판넬을 성형하는 판넬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의 전방에 구성되어 수직상하로 왕복작동하는 직각상부금형 및 상기 직각상부금형과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금형의 전방에 구성되어 고정설치되는 직각하부금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복수의 모재를 서로 압착하여 단면이 직각삼각파형을 이루도록 성형하는 제1금형부; 상기 상부금형의 중앙에 구성되어 상기 복수의 모재 진행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왕복작동하는 둔각상부금형 및 상기 둔각상부금형과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금형의 중앙에 구성되어 고정설치되는 둔각하부금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복수의 모재를 서로 압착하여 단면이 둔각삼각파형을 이루도록 성형하는 제2금형부; 및 상기 제2금형부의 후방에 구성되어 상기 제2금형부에서 압착된 상기 복수의 모재를 전후방향으로 직선 가압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모 재를 결착시키는 제3금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직각상부금형은 직각삼각파형의 형상을 갖는 하면이 구비되고, 상기 직각하부금형은 상기 직각상부금형의 하면과 대응하는 직각삼각파형의 형상을 갖는 상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둔각상부금형은 직각삼각파형의 단면을 갖도록 압착된 상기 복수의 모재의 상기 직각삼각파형의 직각부분이 둔각을 이루도록 압착하기 위한 둔각삼각파형의 형상을 갖는 하면이 구비되고, 상기 둔각하부금형은 상기 둔각상부금형의 하면과 대응하는 둔각삼각파형의 형상을 갖는 상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둔각상부금형은 상기 복수의 모재 진행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금형에 탄성지지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금형부는, 직선형태로 돌설된 다수의 돌출편을 갖는 하면이 구비된 결착상부금형과, 상기 다수의 돌출편에 대응하여 돌설된 다수의 받침편을 갖는 상면이 구비된 결착하부금형을 포함하며, 둔각삼각파형의 단면을 갖도록 압착된 상기 복수의 모재가 상기 다수의 돌출편과 상기 다수의 받침편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직선 가압되어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판넬 성형방법은, 고정설치된 하부금형 및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서 수직상하로 왕복작동하는 상부금형으로 구성되어, 선단부로 공급되는 복수의 모재를 압착하여 판넬을 성형하는 판넬 성형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복수의 모재를 압착하여 상기 복수의 모재 단면이 직각삼각파형을 이루도록 압착하는 직각파형 압착단계; (b) 상기 직각삼각파형의 단면을 갖도록 압착된 복수의 모재를 압착하여 상기 복수의 모재 단면이 둔각삼각파형을 이루도록 압착하는 둔각파형 압착단계; 및 (c) 상기 둔각삼각파형의 단면을 갖도록 압착된 복수의 모재를 전후방향으로 직선 가압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모재를 결착시키는 결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복수의 모재를 1차적으로 직각삼각파형을 형성하는 공정, 2차적으로 둔각삼각파형을 형성하는 공정, 3차적으로 전후방향으로 직선 가압하여 결착시키는 공정의 3가지 공정을 하나의 장치로 구현함으로써 신속하게 판넬을 성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넬 성형장치는, 고정설치된 하부금형(20) 및 상기 하부금형(20)의 상부에서 수직상하로 왕복작동하는 상부금형(10)으로 구성되어, 선단부로 공급되는 복수의 모재(32, 34)를 서로 압착하여 하나의 판넬을 성형하는 판넬 성형장치로서, 크게, 제1금형부(100), 제2금형부(200), 제3금형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제1금형부(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금형부(100)는 직각상부금형(110)과 직각하부금형(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직각상부금형(110)은 상기 상부금형(10)의 전방에 구성되어 상기 상부금형(10)과 일체로 수직상하 방향으로 왕복작동한다. 상기 직각하부금형(120)은 상기 직각상부금형(110)과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금형(20)의 전방에 구성되어 상기 하부금형(20)과 일체로 고정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직각상부금형(110) 및 직각하부금형(120)은, 상부금형(10)이 하방으로 작동 시 상기 직각상부금형(110)의 하면이 상기 직각하부금형(120)의 상면에 근접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복수의 모재(32, 34)를 서로 압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모재(32, 34)는, 상기 상부금형(10) 및 하부금형(20)의 선단부에서 공급되어, 상기 직각상부금형(110) 및 직각하부금형(120)의 사이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직각상부금형(110)은 직각삼각파형(A)의 형상을 갖는 하면이 구비되고, 상기 직각하부금형(120)은 상기 직각상부금형(110)의 하면과 대응하는 직각삼각파형(A)의 형상을 갖는 상면이 구비되며, 상기 직각상부금형(110) 및 직각하부금형(120)의 사이로 공급되는 복수의 모재(32, 34)는 상기 직각상부금형(110)의 하면이 상기 직각하부금형(120)의 상면에 근접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모재(32, 34) 를 서로 압착하여 단면이 직각삼각파형(A)을 이루도록 압착상형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직각상부금형(110) 및 직각하부금형(120)에 의해 복수의 모재(32, 34)는 서로 압착되어 단면이 직각삼각파형(A)으로 성형된다.
다음으로, 제2금형부(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금형부(200)는 둔각상부금형(210)과 둔각하부금형(2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둔각상부금형(210)은 상기 상부금형(10)의 중앙에 구성되어 상기 복수의 모재(32, 34) 진행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왕복작동한다. 상기 둔각하부금형(220)은 상기 둔각상부금형(210)과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금형(20)의 중앙에 구성되어 상기 하부금형(20)과 일체로 고정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둔각상부금형(210)은 상기 복수의 모재(32, 34) 진행방향(도 2의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진행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금형(10)에 탄성지지되어 구비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10)의 중앙에는 둔각상부금형(210)이 경사지게 설치되기 위한 슬라이딩홈(h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홈(h1)에 상기 둔각상부금형(210)이 상기 복수의 모재(32, 34) 진행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홈(h1)에 삽입되어 설치된 둔각상부금형(210)은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을 개재해서 상기 슬라이딩홈(h1)에 설치되고, 이에 따라, 상기 둔각상부금형(210)은 상기 복수의 모재(32, 34) 진행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이동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둔각상부금형(210)이 복수의 모재(32, 34)를 압착 시 상기 슬라이딩홈(h1)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둔각상부금형(210)이 복수의 모재(32, 34)를 압착하지 않을 시 상기 슬라이딩홈(h1)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둔각상부금형(210)이 슬라이딩홈(h1) 상에서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왕복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금형(10)이 하방으로 작동 시 상기 둔각상부금형(210)의 하면이 상기 둔각하부금형(220)의 상면에 탄성적으로 근접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금형부(100)에 의해 직각삼각파형(A)이 성형된 복수의 모재(32, 34)를 서로 탄성적으로 압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둔각상부금형(210)은 제1금형부(100)에 의해서 직각삼각파형(A)의 단면을 갖도록 압착된 상기 복수의 모재(32, 34)의 상기 직각삼각파형(A)의 직각부분이 둔각을 이루도록 압착하기 위한 둔각삼각파형(B)의 형상을 갖는 하면이 구비되고, 상기 둔각하부금형(220)은 상기 둔각상부금형(210)의 하면과 대응하는 둔각삼각파형(B)의 형상을 갖는 상면이 구비되며, 상기 둔각상부금형(210) 및 둔각하부금형(220)의 사이로 공급되는 복수의 모재(32, 34)는 상기 둔각상부금형(210)의 하면이 상기 둔각하부금형(220)의 상면에 탄성적으로 근접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모재(32, 34)를 서로 탄성적으로 압착하여 단면이 둔각삼각파형(B)을 이루도록 압착상형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둔각상부금형(210) 및 둔각하부금형(220)에 의해 복수의 모재(32, 34)는 서로 압착되고, 이에 따라 복수의 모재(32, 34) 단면이 직각삼각파형(A)에서 둔각삼각파형(B)으로 성형된다. 또한, 상기 둔각상부금형(210) 및 둔각하부금형(220)은 상기 복수의 모재(32, 34)를 탄성적으로 압축하여 성형하기 때문에 모재(32, 34)가 찢어지는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제3금형부(3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금형부(300)는 상기 제2금형부(200)의 후방에 구성되어 상기 제2금형부(200)에서 압착되어 단면이 둔각삼각파형(B)을 갖는 상기 복수의 모재(32, 34)를 전후방향으로 직선 가압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모재(32, 34)를 결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3금형부(300)는 결착상부금형(310) 및 결착하부금형(320)으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도 3의 "C-C" 단면도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착상부금형(310)은 직선형태로 돌설된 다수의 돌출편(310a)을 갖는 하면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금형(10)과 일체로 수직상하 방향으로 왕복작동한다. 상기 결착하부금형(320)은 상기 다수의 돌출편(310a)에 대응하여 돌설된 다수의 받침편(320a)을 갖는 상면이 구비되어 상기 하부금형(20)과 일체로 고정설치된다.
상술한 제3금형부(300)는 제2금형부(200)에 의해 직각삼각파형(A)이 둔각삼각파형(B)으로 성형된 복수의 모재(32, 34)를 압착하여,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품의 형상을 갖도록 압축성형한다.
즉, 결착상부금형(310)의 돌출편(310a)과 결착하부금형(320)의 받침편(320a)이 서로 근접하여 단면이 둔각삼각파형(B)으로 성형된 복수의 모재(32, 34)에 형성된 둔각삼각파형(B)의 "산"과 "골" 부분 중에서 "산" 부분을 압착하는 것으로서, 둔각삼각파형(B)이 형성된 복수의 판넬이 겹쳐진 상태에서 "산" 부분을 압착하게 되면, 복수의 모재(32, 34)의 전후방향으로 직선 가압되어 "산" 부분이 도 9의 원형표시부분(C, 이하, "클랜칭부분"이라고 통칭함)과 같이 압축된다.
이처럼 복수의 모재(32, 34)가 겹쳐진 상태에서 제3금형부(300)에 의해 다수의 클랜칭부분(C)이 형성됨에 따라서, 복수의 모재(32, 34)를 서로 결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없이도 복수의 모재(32, 34)를 서로 결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착상부금형(310) 및 결착하부금형(320)에 의해 복수의 모재(32, 34)는 서로 클랜칭부분(C)이 형성되도록 압착되고, 이에 따라 복수의 모재(32, 34)는 서로 결착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제1금형부(100), 제2금형부(200), 제3금형부(300)에 의해 도 5 및 도 6과 같이 형성된 판넬이 성형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a) 상기 복수의 모재(32, 34)를 압착하여 상기 복수의 모재 (32, 34) 단면이 직각삼각파형( A)을 이루도록 압착하는 직각파형 압착단계;
직각하부금형(120)에 복수의 모재(32, 34)가 올려진 상태에서, 상부금형(10)이 하방으로 작동함에 따라 직각하부금형(120)이 동시에 하방으로 작동하게 되어 상기 복수의 모재(32, 34)의 단면이 직각삼각파형(A)을 이루도록 압착한다.
(b) 상기 직각삼각파형(A)의 단면을 갖도록 압착된 복수의 모재(32, 34)를 압착하여 상기 복수의 모재 (32, 34) 단면이 둔각삼각파형(B)을 이루도록 압착하는 둔각파형 압착단계;
단면이 직각삼각파형(A)으로 압축성형된 복수의 모재(32, 34)가 둔각하부금형(220)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부금형(10)이 하방으로 작동함에 따라 둔각상부금형(210)이 동시에 하방으로 경사지게 작동하게 되어 상기 복수의 모재(32, 34)의 단면의 형상이 직각삼각파형(A)에서 둔각삼각파형(B)을 이루도록 압착한다.
(c) 상기 둔각삼각파형(B)의 단면을 갖도록 압착된 복수의 모재(32, 34)를 전후방향으로 직선 가압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모재(32, 34)를 결착시키는 결착단계 ;
단면이 둔각삼각파형(B)으로 압축성형된 복수의 모재(32, 34)가 결착하부금형(320)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부금형(10)이 하방으로 작동함에 따라 결착상부금형(310)이 동시에 하방으로 작동하게 되어 상기 복수의 모재(32, 34)에 성형된 둔각 삼각파형의 "산" 부분을 동시에 직선 가압하여 복수의 모재(32, 34)를 결착시킨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금속복합판재의 연속적 제조장치의 전체 정면 개략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넬 성형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넬 성형장치의 제3금형부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판넬 성형장치에 의해 제작된 판넬의 사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상부금형 20:하부금형
32, 34:모재 100:제1금형부
110:직각상부금형 120:직각하부금형
200:제2금형부 210:둔각상부금형
220:둔각하부금형 300:제3금형부
310:결착상부금형 310a:돌출편
320:결착하부금형 320a:받침편
A:직각삼각파형 B:둔각삼각파형

Claims (6)

  1. 고정설치된 하부금형 및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서 수직상하로 왕복작동하는 상부금형으로 구성되어, 선단부로 공급되는 복수의 모재를 압착하여 판넬을 성형하는 판넬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의 전방에 구성되어 수직상하로 왕복작동하는 직각상부금형 및 상기 직각상부금형과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금형의 전방에 구성되어 고정설치되는 직각하부금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복수의 모재를 서로 압착하여 단면이 직각삼각파형을 이루도록 성형하는 제1금형부;
    상기 상부금형의 중앙에 구성되어 상기 복수의 모재 진행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왕복작동하는 둔각상부금형 및 상기 둔각상부금형과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금형의 중앙에 구성되어 고정설치되는 둔각하부금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복수의 모재를 서로 압착하여 단면이 둔각삼각파형을 이루도록 성형하는 제2금형부; 및
    상기 제2금형부의 후방에 구성되어 상기 제2금형부에서 압착된 상기 복수의 모재를 전후방향으로 직선 가압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모재를 결착시키는 제3금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각상부금형은 직각삼각파형의 형상을 갖는 하면이 구비되고, 상기 직각하부금형은 상기 직각상부금형의 하면과 대응하는 직각삼각파형의 형상을 갖는 상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성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둔각상부금형은 직각삼각파형의 단면을 갖도록 압착된 상기 복수의 모재의 상기 직각삼각파형의 직각부분이 둔각을 이루도록 압착하기 위한 둔각삼각파형의 형상을 갖는 하면이 구비되고, 상기 둔각하부금형은 상기 둔각상부금형의 하면과 대응하는 둔각삼각파형의 형상을 갖는 상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성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둔각상부금형은 상기 복수의 모재 진행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금형에 탄성지지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성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금형부는, 직선형태로 돌설된 다수의 돌출편을 갖는 하면이 구비된 결착상부금형과, 상기 다수의 돌출편에 대응하여 돌설된 다수의 받침편을 갖는 상면이 구비된 결착하부금형을 포함하며, 둔각삼각파형의 단면을 갖도록 압착된 상기 복수의 모재가 상기 다수의 돌출편과 상기 다수의 받침편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직선 가압되어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성형장치.
  6. 고정설치된 하부금형 및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서 수직상하로 왕복작동하는 상부금형으로 구성되어, 선단부로 공급되는 복수의 모재를 압착하여 판넬을 성형하는 판넬 성형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복수의 모재를 압착하여 상기 복수의 모재 단면이 직각삼각파형을 이루도록 압착하는 직각파형 압착단계;
    (b) 상기 직각삼각파형의 단면을 갖도록 압착된 복수의 모재를 압착하여 상기 복수의 모재 단면이 둔각삼각파형을 이루도록 압착하는 둔각파형 압착단계; 및
    (c) 상기 둔각삼각파형의 단면을 갖도록 압착된 복수의 모재를 전후방향으로 직선 가압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모재를 결착시키는 결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성형방법.
KR1020090029305A 2009-04-06 2009-04-06 판넬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Active KR100911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305A KR100911862B1 (ko) 2009-04-06 2009-04-06 판넬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JP2009286565A JP4879315B2 (ja) 2009-04-06 2009-12-17 パネル成形装置及び成形方法
US12/642,083 US8167606B2 (en) 2009-04-06 2009-12-18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panel
CN2009102525499A CN101856685B (zh) 2009-04-06 2009-12-25 面板成型装置及成型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305A KR100911862B1 (ko) 2009-04-06 2009-04-06 판넬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1862B1 true KR100911862B1 (ko) 2009-08-11

Family

ID=41209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305A Active KR100911862B1 (ko) 2009-04-06 2009-04-06 판넬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67606B2 (ko)
JP (1) JP4879315B2 (ko)
KR (1) KR100911862B1 (ko)
CN (1) CN1018566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97177B (zh) * 2014-08-06 2017-11-24 安徽省芜湖仪器仪表研究所 确保强迫对流流场均匀的半蜂窝状钢带整形、切断机的装配方法
FR3043925B1 (fr) * 2015-11-19 2017-12-08 Gaztransport Et Technigaz Formage d'un coude dans une ondul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701597A (ko) * 1986-10-24 1988-11-04 전방으로 분할 이송되는 재료의 웨브들을 단면 성형하기 위한 장치
JP2001170711A (ja) 1999-12-14 2001-06-26 Bridgestone Corp 板金加工方法
JP2001225120A (ja) 2000-02-16 2001-08-21 Takagi Seisakusho:Kk 網状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KR20080011914A (ko) * 2006-08-01 2008-02-11 이앤지주식회사 파형강판성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8355A (en) * 1987-05-20 1990-08-14 The Boeing Company Hot/cold press forming apparatus for thermoformable materials
CN2216873Y (zh) * 1995-01-13 1996-01-10 吉林市厦林金属制品有限公司 波纹片双峰成型模具
US5939212A (en) * 1997-06-09 1999-08-17 Atd Corporation Flexible corrugated multilayer metal foil shields and method of making
US6823571B1 (en) * 2000-01-24 2004-11-30 Atd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e of multilayer metal products
KR100586410B1 (ko) 2004-04-19 2006-06-08 김병식 물결주름코어를 갖는 금속복합판재의 연속적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701597A (ko) * 1986-10-24 1988-11-04 전방으로 분할 이송되는 재료의 웨브들을 단면 성형하기 위한 장치
JP2001170711A (ja) 1999-12-14 2001-06-26 Bridgestone Corp 板金加工方法
JP2001225120A (ja) 2000-02-16 2001-08-21 Takagi Seisakusho:Kk 網状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KR20080011914A (ko) * 2006-08-01 2008-02-11 이앤지주식회사 파형강판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52954A1 (en) 2010-10-07
CN101856685B (zh) 2012-11-14
US8167606B2 (en) 2012-05-01
CN101856685A (zh) 2010-10-13
JP2010240735A (ja) 2010-10-28
JP4879315B2 (ja) 201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8025B2 (en) Bulk textured material sheeting
CN106584939B (zh) 用于制造层压板的方法
RU2008146385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плошных профилей из полосы, выполненной из волокна,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пропитанного смолой
JP2015520054A5 (ko)
CN102862196B (zh) 用于胶合竹木构件的冷压机
KR100911862B1 (ko) 판넬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AU5194199A (en) Method for making a constructional sandwich panel for high strength wall and covering assemblies
CN109130238B (zh) 后地板横梁的制作方法
CN103434251A (zh) 湿法顶蓬的一次成型工艺
CN202685502U (zh) 建筑物外墙保温装饰板压合机
CN203726578U (zh) 压板机的侧面同步顶压机构
CN100999006A (zh) 金属薄板的铆接方法及其结构
CN220942858U (zh) 一种腿托连动板成型模具
CN113771368B (zh) 汽车网状防溅板成型工艺及装置
CN103071725A (zh) 一种角钢的压扁装置
RU2434743C2 (ru) Керамическая черепичина на металлической основе и машина для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CN205869112U (zh) 一种材料整形机
CN101386184A (zh) 包装箱角型材异型液压机
CN205763357U (zh) 压痕冲压模组
CN103129085B (zh) 一种塑料复合板增强装置
CN101342063A (zh) 清洁用具中金属部件的永久性机械连接
CN101108405A (zh) 片状材料的铆接方法及其结构
CN106150064A (zh) 蜂窝圆弧塑料模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8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8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0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0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0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0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