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1719B1 - Game-type virtual reality simulator - Google Patents
Game-type virtual reality simul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11719B1 KR100911719B1 KR1020090034034A KR20090034034A KR100911719B1 KR 100911719 B1 KR100911719 B1 KR 100911719B1 KR 1020090034034 A KR1020090034034 A KR 1020090034034A KR 20090034034 A KR20090034034 A KR 20090034034A KR 100911719 B1 KR100911719 B1 KR 1009117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put unit
- image
- game
- experience
- virtual realit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509 smoke genera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089 carbon di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24 Flood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80 data coll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21 ga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2—Games, e.g. card gam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재난재해와 관련된 영상을 통해 재난재해의 위력 및 위험성을 인식함과 동시에 재난재해의 대응방법 및 대피요령을 게임을 통해 가상으로 미리 체험하여 숙지할 수 있는 게임형 가상 현실체험 시뮬레이터로서, 가상 현실체험 시뮬레이터를 지면에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재난재해와 관련된 영상을 출력함과 동시에 재난재해와 관련된 효과를 연출하는 전방 조립체 및 상기 베이스의 타측에 설치되어 체험자의 전후진 및 상하좌우에 따른 움직임 신호를 감지하는 후방 조립체를 포함하여, 각종 재난재해의 발생원인, 인명사고 및 경제적 손실을 사전에 예방 및 최소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game-type virtual reality experience simulator that can recognize the power and risks of disasters through video related to various disasters and at the same time experience and learn how to respond to disasters and how to evacuate them through the game. A base supporting the virtual reality simulator on the ground; 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ase and outputs the image related to the disaster and at the same time to produce an effect related to the disaster and the rear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to detect the movement signal according to the forward, backward, up, down, left and right of the experience Including assemblies, it is possible to proactively prevent and minimize the causes of various disasters, casualties and economic losses.
Description
본 발명은 게임형 가상 현실체험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각종 재난재해와 관련된 영상을 보면서 재난재해의 위력 및 위험성을 인식함과 동시에 재난재해의 대응방법 및 대피요령을 게임을 통해 가상으로 미리 체험하여 숙지할 수 있는 게임형 가상 현실체험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me-type virtual reality experience simulator, and more particularly, while recognizing the power and risk of disaster disasters while watching images related to various disasters output from an image output unit, a method and a response method of disaster disast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me-type virtual reality experience simulator that can be learned in advance through the game.
최근,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지진 및 풍수해와 같은 자연재해와, 인위적으로 발생되는 건물과 지하철의 화재 및 건물 붕괴와 같은 각종 재난재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Recently, natural disasters such as earthquakes and feng shui, which occur naturally, and various disasters such as fires and buildings collapse caused by artificially generated buildings and subways are frequently occurring.
그러나, 일반인들은 상기 지진, 풍수해 및 화재와 같은 각종 재난재해가 발생되면, 신중하고 냉철하게 행동하지 못하고 갑작스러운 판단에 의해 행동하여 위급상황에 대처하지 못하게 된다.However, when the general disasters such as the earthquake, feng shui and fire occur, the public cannot act carefully and coldly, and can not act in an emergency to cope with an emergency situation.
즉, 각종 재난재해시 발생되는 갑작스러운 위급상황에 대한 안전교육이 사전에 되어 있지 않으므로 인명사고 및 경제적 손실이 훨씬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 다.In other words, safety training for sudden emergencies that occur during various disasters is not made in advance, resulting in much greater casualties and economic losses.
이에 따라, 지진, 풍수해, 화재 및 건물붕괴와 같은 각종 재난재해 발생시, 재난재해에 대한 발생원인과 신속한 대응방법 및 대피요령을 미리 체험하여 훈련할 수 있는 게임용 교육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in the event of various disasters such as earthquakes, floods, fires and building collapses,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game educational apparatus capable of experiencing and training in advance the causes of disasters, rapid response methods, and evacuation tip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영상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각종 재난재해와 관련된 영상에 따라, 지진, 풍수해, 화재 및 건물 붕괴와 같은 재난재해의 위력 및 위험성을 인식함과 동시에 재난재해의 대응방법 및 대피요령을 게임을 통해 가상으로 미리 체험하여 숙지할 수 있는 게임형 가상 현실체험 시뮬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is to recognize the power and risk of disaster disasters, such as earthquake, shui water, fire and building collapse, according to the image related to various disasters output from the image output unit At the same time, to provide a game-type virtual reality experience simulator that can be experienced by familiarizing with the disaster disaster response method and evacuation tips in advance through the gam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게임형 가상 현실체험 시뮬레이터는, 가상 현실체험 시뮬레이터를 지면에 지지하는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재난재해와 관련된 영상을 출력함과 동시에 재난재해와 관련된 효과를 연출하는 전방 조립체(200) 및 상기 베이스(100)의 타측에 설치되어 체험자의 전후진 및 상하좌우에 따른 움직임 신호를 감지하는 후방 조립체(300)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100)는 체험자가 탑승하여 제자리 걸음할 수 있게 회전하는 발판수단(110)을 구비하고, 상기 전방 조립체(200)는 재난재해와 관련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출력부(210)와, 상기 발판수단(110) 상의 체험자의 걸음과 상기 후방 조립체(300)로부터 감지된 체험자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움직이는 인터랙션부(215)를 구비하며, 상기 후방 조립체(300)는 상기 발판수단(110) 상에 있는 체험자의 전후진 및 상하좌우에 따른 움직임 신호를 감지하는 바디 조이스틱(320)과, 상기 바디 조이스틱(320)에 일단 및 타단이 연결되어 체험자가 지지되도록 감싸는 고정벨트(3330)를 구비하되, 상기 발판수단(110), 영상출력부(210), 인터랙션부(215) 및 바디 조이스틱(320)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부(400)를 포함한다.Game type virtual reality experience simul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100)는 상기 발판수단(110)에 탑승한 체험자의 보행을 감지하는 보행 감지센서(120)와, 상기 발판수단(110)에 탑승한 체험자의 보행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센서(130)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전방 조립체(200)는 재난재해와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구동하는 프로그램 구동부(205)를 더 포함한다.More preferably, the
또한, 상기 후방 조립체(300)는 상기 후방 조립체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하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직 지지바(310)와, 상기 수직 지지바에 일단이 연결된 연결체(312)의 타단에 좌우 회동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좌우 회동부(31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전방 조립체(200)는 상기 영상출력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따른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220), 상기 영상출력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재 영상에 따라 열기를 방사하는 열기발생기(230), 상기 영상출력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풍수해 영상에 따라 물을 분사하는 강우발생 기(240), 상기 영상출력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재 영상에 분사구의 초점을 맞추어 바람 또는 물을 분사하는 게임용 모형소화기(250), 상기 풍수해 영상에 따라 강풍을 발생시키는 강풍발생기(270) 및 상기 화재 영상에 따라 연기를 연출하는 연기발생기(280)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에 따른 게임형 가상 현실체험 시뮬레이터에 따르면, 각종 재난재해와 관련된 영상을 통해 재난재해의 위력 및 위험성을 인식함과 동시에 재난재해의 대응방법 및 대피요령을 가상으로 미리 체험하여 숙지함으로써, 각종 재난재해의 발생원인, 인명사고 및 경제적 손실을 사전에 예방 및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game-type virtual reality experience sim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cognizing the power and risk of the disaster through the video associated with various disasters and at the same time to know and respond to the disasters and how to evacuate virtually in advance, Preventing and minimizing the causes of disasters, human accidents and economic losses can be prevent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게임형 가상 현실체험 시뮬레이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game type virtual reality experience simul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형 가상 현실체험 시뮬레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형 가상 현실체험 시뮬레이터의 전방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ame-type virtual reality experience sim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ront assembly of a game-type virtual reality experience sim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영상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각종 재난재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화재 영상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In addi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various disasters that are displayed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ire imag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형 가상 현실체험 시뮬레이터의 후방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형 가상 현 실체험 시뮬레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여 하나의 메인 서버로 관리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ar assembly of the game-type virtual reality experience sim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connected to the game-type virtual reality experience sim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network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managing with a main serv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형 가상 현실체험 시뮬레이터는 베이스(100), 전방 조립체(200) 및 후방 조립체(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game type virtual reality sim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베이스(100)는 본 발명의 게임형 가상 현실체험 시뮬레이터를 지면에 고정되게 지지하는 장치로서, 발판수단(110)과, 보행 감지센서(120)와, 속도 감지센서(130)를 구비한다.The
여기서, 발판수단(110)은 베이스(100) 상에 탑재되어 각종 재난재해를 체험하기 위해 사람이 올라가서 제자리 걸음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이고, 보행 감지센서(120)는 사람이 상기 발판수단에 올라서서 걷기 시작할 때 보행을 감지하는 수단이며, 속도 감지센서(130)는 사람이 발판수단에 올라서서 걷는 속도를 감지하는 수단이다.Here, the scaffolding means 110 is a conveyor belt which is mounted on the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100)가 지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바닥면에 바퀴를 구비하여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발판수단(110)의 전면부는 하부에 액츄에이터(도시생략)를 구비하여 후술하는 영상출력부로부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따라 상하로 승강 및 하강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조립체(200)는 상기 베이스(100)의 일측에 기립 설치되어 대피체험, 지진, 풍수해, 화재 및 건물 붕괴 탈출체험과 같은 각종 재난재해와 관련된 영상을 출력함과 동시에 연기, 열기, 강우, 강풍 및 소화 기 체험과 같은 특수효과를 연출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하우징으로서, 프로그램 구동부(205)와, 영상출력부(210)와, 인터랙션부(215)와, 음향출력부(220)와, 열기발생기(230)와, 강우발생기(240)와, 모형소화기(250)와, 조작스위치(260)와, 강풍발생기(270)와, 연기발생기(280)를 구비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 the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 구동부(205)는 대피체험, 지진, 풍수해, 화재, 건물 붕괴 탈출체험과 같은 각종 재난재해와 관련된 소프트웨어(S/W)를 구동하는 장치이다. 상기 소프트웨어는 CD인 것이 바람직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각종 재난재해와 관련된 영상을 소프트웨어를 구동시켜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게임형 가상 현실체험 시뮬레이터 자체의 저장부를 통해 각종 재난재해와 관련된 영상을 저장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Here, the
영상출력부(210)는 대피체험, 지진, 풍수해, 화재 및 건물 붕괴 탈출체험과 같은 각종 재난재해와 관련된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인터랙션부(215)는 상기 영상출력부 내에 위치되어 상기 발판수단(110) 상의 사람의 움직임과 상호 연동하여 움직이며, 상기 음향출력부(220)는 상기 영상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각종 재난재해와 관련된 음향을 출력한다.
이때, 상기 영상출력부(210)는 PDP, LCD, 스크린 및 HMD(Head Mounted Display)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피체험, 지진, 풍수해, 건물과 지하철의 화재 및 건물 붕괴 탈출체험 등의 각종 재난재해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영상을 터치하여 선택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크린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영상출력부의 좌측 및 우측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게임의 적극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생명 게이지(212) 및 시간 게이지(214)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한편, 열기발생기(230)는 예를 들어 화재와 같은 재난재해 연출시 상기 영상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재 영상에 따라 고온의 열기를 방사하는 수단이고, 강우발생기(240)는 예를 들어 풍수해와 같은 재난재해 연출시 상기 영상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풍수해 영상에 따라 폭풍우와 같은 물을 분사하는 수단이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모형소화기(250)는 영상출력부를 통해 화재 영상이 디스플레이 될 때 화재의 불꽃에 분사구의 초점을 맞추어 예를 들어 바람 또는 물을 분사하는 게임용 수단이고, 조작스위치(260)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대피체험, 건물붕괴 체험, 화재시 연기 및 열기 체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치로서, 무선 또는 유선으로 동작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조작스위치는 상단에 버튼을 구비하여 해당 체험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별도의 입력버튼, 즉 컴퓨터의 마우스, 오락기기의 방향 전환키 또는 조이스틱 중 어느 하나로 대체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peration switch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button on the top to select the experience, bu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a separate input button, that is, a mouse, a direction switching key of the entertainment equipment, or a joystick is replaced with Can be.
이어서, 강풍발생기(270)는 풍수해와 같은 재난재해 연출시 상기 영상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풍수해 영상에 따라 강풍을 발생시키는 수단이고, 연기발생기(280)는 영상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재 영상에 따라 사람의 인체에 무해한 드라이 아이스 및 안개와 같은 효과를 연출하는 수단이다.Subsequently, the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조립체(300)는 상기 베이스(100)의 타 측에 기립 설치되어 사람이 안정적으로 기립하여 상기 발판수단 위를 걷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발판수단 상에 있는 사람의 전후진 및 상하좌우에 따른 움직임 신호를 포착하게 하는 하우징으로서, 수직 지지바(310)와, 좌우 회동부(315)와, 바디 조이스틱(320)과, 고정벨트(33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5, the
여기서, 상기 수직 지지바(310)는 상기 후방 조립체(300)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하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좌우 회동부(315)는 상기 수직 지지바에 일단이 연결된 연결체(312)의 타단에 좌우 회동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Here, the
또한, 바디 조이스틱(320)은 방향센서 및 진동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발판수단 상에 있는 사람의 전후진 및 상하좌우에 따른 움직임 신호를 포착함과 동시에 상기 영상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지진 영상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수단이며, 고정벨트(3330)는 상기 바디 조이스틱에 일단 및 타단이 연결되어 사람이 양쪽 어깨를 끼움으로써 사람의 등쪽이 바디 조이스틱에 지지되도록 사람을 감싼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전방 조립체(200)는 상기 베이스(100)의 발판수단(110), 보행 감지센서(120) 및 속도 감지센서(130)와, 상기 전방 조립체(200)의 프로그램 구동부(205), 영상출력부(210), 인터랙션부(215), 음향출력부(220), 열기발생기(230), 강우발생기(240), 모형소화기(250), 조작스위치(260), 강풍발생기(270) 및 연기발생기(280)와, 상기 후방 조립체(300)의 바디 조이스틱(320)을 제어하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컨트롤러부(400)를 더 포함한다.Meanwhile, the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형 가상 현실체험 시뮬레이터의 시뮬레이션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simulation operation of a game type virtual reality sim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체험자가 베이스(100) 상의 발판수단(110)에 탑승하고, 고정벨트(330)에 양팔을 끼워 바디 조이스틱(320)에 등을 밀착시켜 기립한 후, 영상출력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면서,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여러 가지 체험 중 어느 하나를 조작 스위치(260)를 통해 선택한다.First, the experienced person rides on the scaffolding means 110 on the
그러면, 컨트롤러부(400)는 프로그램 구동부(205) 또는 시뮬레이터의 저장부에 설정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게임을 운용하게 되며, 상기 프로그램의 구동에 따라 영상출력부(210)를 통해 해당 영상을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음향 출력부(220)를 통해 음향을 출력한다.Then, the
이때, 발판수단(110)에 구비된 보행 감지센서(120)와 속도 감지센서(130)가 체험자의 보행 및 속도를 감지하고, 바디 조이스틱(320)이 체험자의 전후진 및 상하좌우 움직임 신호를 감지한 후, 이 감지된 신호들을 컨트롤러부(400)에 전송한다.At this time, the
다음에, 컨트롤러부(400)는 상기 전송된 신호와 연동되게 영상출력부(210) 내의 인터랙션부(215)를 제어한다. 즉, 인터랙션부(215)는 체험자의 움직임과 동일하게 컨트롤러부의 제어에 따라 연동하여 동작한다.Next, the
그리고, 컨트롤러부(400)는 영상출력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예를 들어 대피체험인 경우에는 빠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체험자가 신속히 보행하게 하고, 화재체험인 경우에는 열기발생기(230)를 통해 뜨거운 열기를 발생하게 하고 연기발생기(280)를 통해 드라이 아이스와 같은 연기효과를 연출함과 동시에 모형소화기(250)를 통해 화재를 진압하게 하며, 풍수해체험인 경우에는 강우발생 기(240)를 통해 빗물을 내리게 하고 강풍발생기(270)를 통해 강풍을 발생시켜, 체험자가 해당 체험에 따라 반응하게 함과 동시에 인터랙션부(215)도 동일하게 반응하게 한다.In addition, the
이때, 영상출력부(210)의 생명 게이지(212) 및 시간 게이지(214)는 해당 체험의 수행여부에 따라 게이지의 레벨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적극적으로 게임을 수행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한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통해, 주거시설의 화재, 대피체험, 건물 붕괴 탈출체험, 및 지하철 대피 체험 등의 재난재해를 단순히 시각이 아닌 온몸으로 체험하여 숙지할 수 있다.Therefore,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xperience disasters such as fire, evacuation experience, building collapse escape experience, and subway evacuation experience in a residential facility, not by sight, but by the whole body.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게임형 가상 현실체험 시뮬레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의 메인 서버로 연결함으로써, 각 시뮬레이터들의 자료 수집과 모니터링을 통해 안전지수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6, by connecting each of the game-type virtual reality simulator to a single main server through the network, it can be used as data that can grasp the safety index through the data collection and monitoring of each simulator. .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has changed and modified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형 가상 현실체험 시뮬레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ame type virtual reality experience sim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형 가상 현실체험 시뮬레이터의 전방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ront assembly of the game-type virtual reality experience sim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영상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각종 재난재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various disasters that are displayed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화재 영상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ire imag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형 가상 현실체험 시뮬레이터의 후방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5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ar assembly of the game-type virtual reality sim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형 가상 현실체험 시뮬레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여 하나의 메인 서버로 관리하는 일예를 나타낸 도면.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nnecting a game type virtual reality experience sim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network and managing the same as a main server.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베이스 110 : 발판수단100: base 110: scaffolding means
120 : 보행 감지센서 130 : 속도 감지센서120: walk detection sensor 130: speed detection sensor
200 : 전방 조립체 210 : 영상출력부200: front assembly 210: image output unit
215 : 인터랙션부 220 : 음향출력부215: interaction unit 220: sound output unit
230 : 열기발생기 240 : 강우발생기230: heat generator 240: rainfall generator
250 : 모형소화기 260 : 조작 스위치250: model fire extinguisher 260: operation switch
270 : 강풍발생기 280 : 연기발생기270: strong wind generator 280: smoke generator
300 : 후방 조립체 400 : 컨트롤부300: rear assembly 400: control unit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0/001428 WO2010123201A2 (en) | 2009-04-20 | 2010-03-08 | Game-type virtual reality experience simul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1107 | 2008-10-15 | ||
KR20080101107 | 2008-10-1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11719B1 true KR100911719B1 (en) | 2009-08-10 |
Family
ID=41209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34034A Expired - Fee Related KR100911719B1 (en) | 2008-10-15 | 2009-04-20 | Game-type virtual reality simul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11719B1 (en) |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5036B1 (en) | 2008-05-16 | 2012-03-21 | (주) 전시나라 | Synthesis safety experience simulator |
KR101223040B1 (en) | 2011-06-27 | 2013-01-17 | (주)브이아이앰 | Motion Data Generator of Experience-type Motion Simulator |
KR101563668B1 (en) * | 2014-11-25 | 2015-10-28 | 권일 | Experiential safety training method and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based on game |
KR20160027271A (en) | 2014-08-28 | 2016-03-10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Environment Implementation Apparatus for Simulator |
KR101617356B1 (en) * | 2014-04-01 | 2016-05-18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An omnidirectional scaffolding system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and an position sensor |
KR20160059157A (en) * | 2014-11-18 | 2016-05-26 | 이용철 | Sensible fire tranining simulation system |
KR101670939B1 (en) | 2015-04-14 | 2016-10-31 | (주)일렉콤 | Driving method of virtual reality walking platform system |
KR20160139529A (en) * | 2015-05-28 | 2016-12-07 | 주식회사 모션디바이스 | Motion simulator |
KR101692267B1 (en) | 2016-08-25 | 2017-01-04 | 지스마트 주식회사 | Virtual reality contents system capable of interacting between head mounted user and peop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20170060721A (en) * | 2015-11-25 | 2017-06-02 | 전자부품연구원 | Tangible Test System for UX Profiling in the Prototyping Service |
CN106846939A (en) * | 2016-11-24 | 2017-06-13 | 广州市世平计算机科技有限公司 | The emergent safety rehearsal propaganda and education equipment of one kind |
CN109686161A (en) * | 2017-10-18 | 2019-04-26 | 深圳市掌网科技股份有限公司 | Earthquake train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
KR102060717B1 (en) * | 2017-06-29 | 2019-12-30 | 주식회사 오락씰 | Virtual reality system |
KR20240053794A (en) * | 2022-10-18 | 2024-04-25 | 한국과학기술원 | Virtual environment system for spatial transition to underground spac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80256A (en) | 1993-10-29 | 1999-11-09 | Carmein; David E. E. | Virtual reality system with enhanced sensory apparatus |
KR20020005311A (en) * | 2000-07-10 | 2002-01-17 | 이구택 | Crusher for nothing partial wearing out of ore dealing facilities |
KR20030022482A (en) * | 2001-09-10 | 2003-03-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for charging and transmission of HLR for exchange and apparatus thereof |
-
2009
- 2009-04-20 KR KR1020090034034A patent/KR10091171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80256A (en) | 1993-10-29 | 1999-11-09 | Carmein; David E. E. | Virtual reality system with enhanced sensory apparatus |
KR20020005311A (en) * | 2000-07-10 | 2002-01-17 | 이구택 | Crusher for nothing partial wearing out of ore dealing facilities |
KR20030022482A (en) * | 2001-09-10 | 2003-03-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for charging and transmission of HLR for exchange and apparatus thereof |
Cited B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5036B1 (en) | 2008-05-16 | 2012-03-21 | (주) 전시나라 | Synthesis safety experience simulator |
KR101223040B1 (en) | 2011-06-27 | 2013-01-17 | (주)브이아이앰 | Motion Data Generator of Experience-type Motion Simulator |
KR101617356B1 (en) * | 2014-04-01 | 2016-05-18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An omnidirectional scaffolding system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and an position sensor |
KR101623962B1 (en) | 2014-08-28 | 2016-05-26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Environment Implementation Apparatus for Simulator |
KR20160027271A (en) | 2014-08-28 | 2016-03-10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Environment Implementation Apparatus for Simulator |
WO2016080590A1 (en) * | 2014-11-18 | 2016-05-26 | 이용철 | Interactive fire drill simulation system |
KR20160059157A (en) * | 2014-11-18 | 2016-05-26 | 이용철 | Sensible fire tranining simulation system |
KR101715819B1 (en) * | 2014-11-18 | 2017-03-22 | 이용철 | Sensible fire tranining simulation system |
KR101563668B1 (en) * | 2014-11-25 | 2015-10-28 | 권일 | Experiential safety training method and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based on game |
KR101670939B1 (en) | 2015-04-14 | 2016-10-31 | (주)일렉콤 | Driving method of virtual reality walking platform system |
KR20160139529A (en) * | 2015-05-28 | 2016-12-07 | 주식회사 모션디바이스 | Motion simulator |
KR101695947B1 (en) | 2015-05-28 | 2017-01-13 | 주식회사 모션디바이스 | Motion simulator |
KR102163149B1 (en) * | 2015-11-25 | 2020-10-08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Tangible Test System for UX Profiling in the Prototyping Service |
KR20170060721A (en) * | 2015-11-25 | 2017-06-02 | 전자부품연구원 | Tangible Test System for UX Profiling in the Prototyping Service |
KR101692267B1 (en) | 2016-08-25 | 2017-01-04 | 지스마트 주식회사 | Virtual reality contents system capable of interacting between head mounted user and peop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106846939A (en) * | 2016-11-24 | 2017-06-13 | 广州市世平计算机科技有限公司 | The emergent safety rehearsal propaganda and education equipment of one kind |
KR102060717B1 (en) * | 2017-06-29 | 2019-12-30 | 주식회사 오락씰 | Virtual reality system |
CN109686161A (en) * | 2017-10-18 | 2019-04-26 | 深圳市掌网科技股份有限公司 | Earthquake train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
KR20240053794A (en) * | 2022-10-18 | 2024-04-25 | 한국과학기술원 | Virtual environment system for spatial transition to underground space |
KR102823126B1 (en) | 2022-10-18 | 2025-06-20 | 한국과학기술원 | Virtual environment system for spatial transition to underground spa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11719B1 (en) | Game-type virtual reality simulator | |
KR101125036B1 (en) | Synthesis safety experience simulator | |
KR101910529B1 (en) | Virtual Reality System for Fire Safety | |
CN204447226U (en) | A kind of interactive boxing equipment | |
WO2010123201A2 (en) | Game-type virtual reality experience simulator | |
JP6630607B2 (en) | Simulation control device and simulation control program | |
CN103226390A (en) | Panoramic virtual reality system for fire emergent escape | |
KR101669239B1 (en) | Virtual reality simulator | |
US20180280748A1 (en) | Training system | |
CN118154819A (en) | Tunnel disaster chain deduction platform based on MR and accident evolution model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0463569B1 (en) | A simulation system for practical exercise of putting out a fire | |
JP3154176U (en) | Fire simulator for fire fighting training | |
CN110299038A (en) | Construction scene training system | |
KR101356038B1 (en) |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for simulation fire training | |
EP2284820A1 (en) | Method for training the use of fire-fighting equipment | |
CN114566073B (en) | Multi-fire-extinguishing scene training device based on mixed reality and control method | |
CN111161585A (en) | Fire-fighting interactive experience system and interactive experience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670939B1 (en) | Driving method of virtual reality walking platform system | |
KR102758620B1 (en) | Simulator apparatus and method for freely experiencing virtual reality training contents | |
KR100923076B1 (en) | Fire Extinguisher Experience System | |
KR101430723B1 (en) | Virtual golf simulation system and method | |
CN203706564U (en) | Movable automatic spraying fire-extinguishing demonstration system | |
KR102104242B1 (en) | Apparatus for education of fire extinguisher using augmented reality | |
CN211787632U (en) | Fire-fighting interactive experience system | |
KR200379548Y1 (en) | Training apparatus for experiencing imaginary fi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904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8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8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51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5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