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10802B1 -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Device Management Object Management Method - Google Patents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Device Management Object Management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0802B1
KR100910802B1 KR1020060071041A KR20060071041A KR100910802B1 KR 100910802 B1 KR100910802 B1 KR 100910802B1 KR 1020060071041 A KR1020060071041 A KR 1020060071041A KR 20060071041 A KR20060071041 A KR 20060071041A KR 100910802 B1 KR100910802 B1 KR 100910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ice management
management object
terminal
external storage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0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33246A (en
Inventor
파블로 에르난데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0680034778.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1268620B/en
Priority to EP06798810.5A priority patent/EP1935106B1/en
Priority to PCT/KR2006/003727 priority patent/WO2007035036A1/en
Priority to JP2008528960A priority patent/JP4809438B2/en
Priority to US12/065,518 priority patent/US7865483B2/en
Publication of KR20070033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32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802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33Object-oriented techniques, for representation of network management data, e.g. 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COR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4Configuration by using pre-existing information, e.g. using templates or copying from other elements
    • H04L41/0846Configuration by using pre-existing information, e.g. using templates or copying from other elements based on copy from other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5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 H04L41/0853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by actively collec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r by backing up configuration information
    • H04L41/0856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by actively collec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r by backing up configuration information by backing up or archiv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66Checking the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관리 시스템 및 장치관리 객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장치관리 객체의 재사용이 불가능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단말 내의 장치관리 객체(120)를 외부저장장치(140)에 복사 가능하게 할지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장치관리 객체의 복사 명령을 전송하는 서버(200)와; 그리고, 단말(100)로서, 상기 서버(200)로부터 장치관리 객체의 복사 명령을 수신하는 제 1 모듈(110), 및 상기 명령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100) 내의 장치관리 객체(object)를 외부저장장치(140)에 복사하는 제 2 모듈(130)을 구비하는 단말(100)을 포함하는 장치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a device management object management metho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at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is not reusable, to copy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120 in the terminal to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40. A server (200)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transmit a copy command of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In addition, as a terminal 100, a first module 110 for receiving a copy command of a device management object from the server 200, and a device management object in the terminal 100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command. It provides a devic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terminal (100) having a second module (130) for copying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40).

Description

장치관리 시스템 및 장치관리 객체 관리 방법{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OTHOD FOR MANAGING A MANAGED OBJECT}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OTHOD FOR MANAGING A MANAGED OBJ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관리 단말 및 서버의 구성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vice management terminal and a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DM 단말의 장치관리 객체를 트리 구조로 나타낸 예시도.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device management object of a DM terminal shown in FIG. 1 in a tree structure.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외부저장장치를 트리 구조로 나타낸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ree structure of the external storage device shown in FIG.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단말 및 서버의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server shown in FIG.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단말 및 서버의 동작을 나타낸 다른 예시도.5 is another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operations of a terminal and a server shown in FIG. 1.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관리 객체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vice management objec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호 설명 **** Description of the major signs in the drawings **

100: 단말 110: DM 구동 모듈100: terminal 110: DM drive module

120: 장치관리 객체 130: 외부저장장치 구동 모듈120: device management object 130: external storage device drive module

140: 외부저장장치 140: DM 서버140: external storage device 140: DM server

본 발명은 장치관리 시스템 및 장치관리 객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단말의 장치관리 객체를 단말의 외부저장장치에 복사가능하게 하는 장치관리 시스템 및 장치관리 객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a device management object management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a device management object management method for copying a device management object of a terminal to an external storage device of the terminal.

일반적으로 장치관리(Device Management: 이하 DM이라 함) 기술은 한 단말(클라이언트)이 가진 자원(resource)을 장치관리 트리 (Device Management Tree) 상에 존재하는 장치관리 객체(Management Object)의 형태로 장치관리 서버에게 보여주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장치관리 서버가 용이하게 상기 단말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In general, a device management (DM) technique is a device in the form of a management object in which resources of one terminal (client) exist on the device management tree. It is a technology that allows the device management server to easily manage the terminal by showing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make it accessible.

이러한 장치관리 기술에서, 상기 장치관리 서버는 단말에게 장치관리를 위한 명령을 처리하도록 지시할 수 있고, 상기 단말은 상기 해당 명령을 즉시 수행한 후 그 수행 결과에 대한 보고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관리 서버는 상기 단말로 특정 기능의 변경/갱신/삭제를 요청할 수 있다.In this device management technology, the device management server may instruct the terminal to process a command for device management, and the terminal may immediately perform the corresponding command and then report a result of the execution. In addition, the device management server may request the terminal to change / update / delete a specific function.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관리 기술에서는 단말 내의 장치관리 객체가 손상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사용하던 단말을 다른 새로운 단말로 교체할 경우, 이전까지 진행된 장치관리 작업을 동일하게 새로이 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장치관리 객체가 손실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device management technology, when a device management object in a terminal is damaged or a user used terminal is replaced with another new terminal,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device management work previously performed is the same.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is lost,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use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말 내의 장치관리 객체를 외부저장장치에 복사할 수 있도록 한 장치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장치관리 객체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a device management object management method in the system to copy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in the terminal to an external storage devic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은 장치관리 객체의 복사 명령을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명령의 수신에 응답하여, 단말 내의 장치관리 객체(object)를 외부저장장치에 복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관리 객체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장치관리 객체 관리 방법은 상기 복사 후, 상기 단말 내의 상기 장치관리 객체를 삭제할지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에 따라 삭제되는 경우, 상기 외부저장장치 내의 사본으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 copy command of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from the server;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command, it provides a device management object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copying a device management object (object) in the terminal to an external storage device.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management method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o delete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in the terminal after the copying; If delet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operating as a copy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또한, 본원 발명은 단말에 외부저장장치가 장착되면, 상기 외부저장장치 내의 장치관리 객체를 분석하는 단계와; 단말 내부에 장치관리 객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에 따라, 상기 단말 내부에 장치관리 객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선택적으로 사용자 확인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확인에 따라, 상기 외부저장장치 내의 장치관리 객체를 단말 내에 복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관리 객체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장치관리 객체 관리 방법은 상기 복사 후,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 내의 상기 장치관리 객체를 삭제할지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장치관리 객체가 삭제되는 경우, 상기 외부저장장치 내의 사본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external storage device is mounted on the terminal, analyzing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Checking whether a device management object exists in the termina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is not stored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selectively performing a user confirmation; According to the user confirmation,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copying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in the terminal.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management method includes: after the copying,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deletes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in the terminal; When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is delet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operating using a copy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또한, 본원 발명은 서버가 단말 내의 장치관리 객체를 외부저장장치에 복사 가능하게 할지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장치관리 객체의 복사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이 상기 명령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장치관리 객체를 외부저장장치에 복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관리 객체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server to copy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in the terminal to the external storage; Sending, by the server, a copy command of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command, the terminal provides a device management object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copying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to an external storage device.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은 장치관리 객체의 복사 명령을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제 1 모듈과; 상기 명령의 수신에 응답하여, 단말 내의 장치관리 객체(object)를 외부저장장치에 복사하는 제 2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상기 복사 이후, 상기 단말 내의 상기 장치관리 객체가 삭제되는 경우, 상기 외부저장장치 내의 사본으로 동작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first module for receiving a copy command of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from the server;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command,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comprising a second module for copying a device management object in the terminal to an external storage device.
The terminal may operate as a copy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when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in the terminal is deleted after the copying.

또한, 본원 발명은 단말 내의 장치관리 객체를 외부저장장치에 복사 가능하게 할지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장치관리 객체의 복사 명령을 전송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로부터 장치관리 객체의 복사 명령을 수신하는 제 1 모듈과; 상기 명령의 수신에 응답하여, 단말 내의 장치관리 객체(object)를 외부저장장치에 복사하는 제 2 모듈을 구비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상기 복사 이후, 상기 단말 내의 상기 장치관리 객체가 삭제되는 경우, 상기 외부저장장치 내의 사본으로 동작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server for determining whether to copy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in the terminal to an external storage device, and transmits a copy command of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A first module for receiving a copy command of a device management object from the server;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command, there is provided a system comprising a terminal having a second module for copying a device management object in the terminal to an external storage device.
The terminal may operate as a copy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when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in the terminal is deleted after the copying.

실 시 예Exampl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관리 단말 및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DM 단말의 장치관리 객체를 트리 구조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외부저장장치를 트리 구조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서, 도 2 및 도 3을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vice management terminal and a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evice management object of a DM terminal shown in FIG. 1 in a tree structure, and FIG. 3 is an external view shown in FIG.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storage device in a tree structure.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1, FIGS. 2 and 3 will be described together.

도 1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관리 시스템은 DM 단말(Device Management Terminal)(100)과 DM 서버(200)로 구성된다.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ure 1, the devi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DM terminal (Device Management Terminal) (100) and a DM server (200).

그리고, 상기 DM 단말(100)은 DM 구동 모듈(110)과, 장치관리 객체(110)와, 외부저장장치 구동 모듈(130)과, 외부저장장치(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DM terminal 100 may include a DM driving module 110, a device management object 110, an external storage device driving module 130, and an external storage device 140.

상기 DM 구동 모듈(DM Enabler Module)(또는, 제 1 모듈이라고 함)(110)은 상기 서버(200) 또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100)의 설정 및 상기 장치관리 객체(120)의 관리를 담당하는 유닛(Unit)이다. The DM enabler module (or referred to as a first module) 110 is responsible for setting the terminal 100 by the server 200 or a user and managing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120. Unit.

이러한, 상기 DM 구동 모듈(110)은 상기 서버(200)와 DM 서버-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상기 서버(200)는 상기 장치관리 객체(120)를 액세스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DM 구동 모듈(110)은 상기 서버(200)로부터 상기 장치관리 객체(120)를 관리하기 위한 명령어, 예컨대 생성, 수정, 또는 삭제에 관한 명령어를 수신하여 실행할 수 있다. The DM driving module 110 is connected to the server 200 through a DM server-client interface, through which the server 200 can access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120. The DM driving module 110 may receive and execute a command for managing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120 from the server 200, for example, a command for creating, modifying, or deleting.

한편, 이러한 상기 서버(200)에 의한 상기 DM 구동 모듈(110)의 동작은 스케줄링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서버(200)는 장치관리 명령과 상기 장치관리 명령의 수행 스케줄을 상기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DM 구동 모듈(110)은 상기 수행 스케줄이 매칭되는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상기 수행 스케줄이 매칭되는 경우 상기 장치관리 명령을 수행하여 상기 장치관리 객체를 관리할 수 있다.Meanwhile, the operation of the DM driving module 110 by the server 200 may be scheduled. For this purpose, the server 200 schedules a device management command and a schedule of performing the device management command. Can be sent to. In this case, the DM driving module 110 periodically checks whether the execution schedule is matched, and manages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by executing the device management command when the execution schedule is matched.

한편, 상기 DM 구동 모듈(110)은 상기 서버(200)에 의한 상기 단말(100) 내의 초기 설정 정보의 세팅, 상기 서버(200)에 의한 지속 정보(persistent information)의 업데이트, 관리 정보의 검색 및 상기 단말(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및 알림의 처리를 또한 담당할 수 있다. Meanwhile, the DM driving module 110 may set initial setting information in the terminal 100 by the server 200, update persistent information by the server 200, search for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like. It may also be responsible for the processing of events and notifications occurring in the terminal 100.

상기 장치관리 객체(MO: Management Objects)(120)는 상기 단말(100) 내의 자원(resource)에 관한 것으로서, 하드웨어, 하드웨어의 구동을 위한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치관리 객체(120)는 소정 조건에 따라 장치관 리 명령을 수행하여 특정한 장치관리 객체를 관리하도록 한 스케줄을 포함한다.The Management Objects (MO) 120 relates to a resource in the terminal 100 and includes hardware, a driver for driving the hardware, and software. In addition,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120 includes a schedule for managing a specific device management object by performing a device management comman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이러한, 상기 장치관리 객체(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 형태로 상기 서버(200)에 제공될 수 있다. 먼저, 도 2a에 나타난 장치관리 객체의 예시적인 트리는 상기 단말(100)내의 특정한 자원에 대한 노드들 즉, Node1, Node2, Node3 그리고, SC 노드(Smart Card node)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SC 노드는 장치관리 객체가 상기 외부저장장치(140) 내에 복사되어야 할지 여부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SC 노드에 상기 장치관리 객체가 복사되도록 지시되어 있으면, 상기 외부저장장치 구동 모듈(130)은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장치관리 객체(120)를 상기 외부저장장치(140)에 복사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장치관리 객체(120)가 후에 어떤 원인에 의해 업데이트되는 경우, 상기 SC 노드에 상기 장치관리 객체가 복사되도록 지시되어 있으면, 상기 외부저장장치 구동 모듈(130)은 상기 외부저장장치(140) 내에 복사된 장치관리 객체의 사본도 업데이트하여야 한다. 한편, 도 2b에 나타난 장치관리 스케줄의 예시적 트리는 스케줄의 ID를 나타내는 SchedID 노드와, 장치관리 명령의 수행 조건을 나타내는 Condition 노드와, 사용자 확인여부를 나타내는 UserInter? 노드와, 장치관리 명령을 나타내는 Commands 노드와, 상기 서버(200)로의 보고(Reporting) 여부를 나타내는 Gataing 노드와, SC 노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SC 노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관리 스케줄이 상기 외부저장장치(140) 내에 복사되어야 할지 여부를 나타낸다.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120 may be provided to the server 200 in a tree form as shown in FIG. 2. First, the exemplary tree of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shown in FIG. 2A includes nodes for a specific resource in the terminal 100, that is, Node1, Node2, Node3, and an SC node. In this case, the SC node indicates whether a device management object should be copied into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40. If the SC node is instructed to copy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the external storage device driving module 130 must copy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120 to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40 as described below. do. In addition, when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120 is later updated by some cause, if the SC node is instructed to copy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the external storage device driving module 130 is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40. You must also update the copy of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copied in Meanwhile, the exemplary tree of the device management schedule shown in FIG. 2B includes a SchedID node representing the schedule ID, a Condition node representing the execution condition of the device management command, and a UserInter? It includes a node, a Commands node indicating a device management command, a Gataing node indicating whether or not to report to the server 200, and an SC node. Herein, the SC node indicates whether a device management schedule should be copied into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40 as described above.

상기 외부저장장치 구동 모듈(External Storage Enabler Module)(또는 제 2 모듈이라고 함)(130)은 상기 외부저장장치(140)를 관리하고, 상기 단말(100) 내의 장치관리 객체(120)의 복사를 담당하는 유닛이다. The external storage enabler module (or second module) 130 manages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40 and copies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120 in the terminal 100. The unit in charge.

이러한, 상기 외부저장장치 구동 모듈(130)은 상기 서버(200)로부터의 명령, 또는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상기 장치관리 객체(120)를 상기 외부저장장치(140)에 복사하거나, 상기 외부저장장치(140)내에 복사된 장치관리 객체의 사본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저장장치 구동 모듈(130)은 상기 외부저장장치(140) 내의 상기 장치관리 객체의 사본을 체크하고, 상기 장치관리 객체(120)와 비교한 후, 가장 최근에 변경된 것을 기초로 다른 하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The external storage device driving module 130 copies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120 to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40 according to a command from the server 200 or a command from a user, or the external storage. A copy of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copied in the device 140 may be managed. In additio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driving module 130 checks a copy of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40, compares it with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120, and then based on the most recent change. You can update one.

이때, 상기 서버(200)에 의한 상기 외부저장장치 구동 모듈(130)의 동작은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스케줄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외부저장장치 구동 모듈(130)은 장치관리 명령의 수행 스케줄이 매칭될 때, 장치관리 명령을 수행하여 전술한 SC 노드에 상기 장치관리 객체(120)가 상기 외부저장장치(140)로 복사되도록 지시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C 노드에 복사되도록 지시되어 있으면, 상기 외부저장장치 구동 모듈(130)은 상기 장치관리 객체(120)를 상기 외부저장장치(140)에 복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관리 객체(120)가 어떤 원인에 의해 변경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외부저장장치 구동 모듈(130)은 장치관리 스케줄에 따라 상기 외부저장장치(140)내의 사본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저장장치 구동 모듈(130)은 상기 외부저장장치(140) 내의 사본이 변경된 경우, 상기 단말(100) 내의 장치관리 객체(120)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storage device driving module 130 by the server 200 may be scheduled similarly to the above. For example, when the execution schedule of the device management command is matched, the external storage device driving module 130 executes the device management command so that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120 is connected to the aforementioned SC node. You can check if it is instructed to copy. If the SC node is instructed to copy, the external storage device driving module 130 may copy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120 to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40.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120 has been changed by some cause, the external storage device driving module 130 may update a copy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40 according to a device management schedule. Here, when the copy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40 is changed, the external storage device driving module 130 may update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120 in the terminal 100.

한편, 상기 외부저장장치 구동 모듈(130)은 상기 외부저장장치(140)가 다른 것으로 교체되는 경우, 상기 교체된 외부저장장치를 분석할 수 있고, 상기 분석에 따라 어느 하나를 기초로 다른 것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40 is replaced with another, the external storage device driving module 130 may analyze the replaced external storage device and update the other based on any one according to the analysis. can do.

또한, 상기 외부저장장치 구동 모듈(130)은 상기 단말(100) 내의 초기 설정 정보 세팅, 지속 정보의 업데이트, 관리 정보의 검색, 및 상기 단말(100) 내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및 알람을 처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xternal storage drive module 130 may process initial setting information setting in the terminal 100, update of persistent information, search for management information, and events and alarms occurring in the terminal 100. have.

상기 외부저장장치(140)는 상기 단말(100)에 착탈가능한 메모리 수단 즉,스마트 카드(Smart Card), RFID, 플래쉬 메모리, 낸드 플래쉬 메모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외부저장장치(140)는 상기 서버(200)로부터 또는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100)내의 상기 장치관리 객체(120)를 복사 저장할 수 있다.The external storage device 140 may include a memory means detachable to the terminal 100, that is, a smart card, RFID, flash memory, NAND flash memory, or the like.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40 may copy and store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120 in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a command from the server 200 or a user.

이러한, 상기 외부저장장치(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 구조로표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외부저장장치(140)는 SC SyncML DM 노드, 외부저장장치의 정보를 나타내는 SC Info 노드, 외부저장장치의 상세한 정보를 나타내는 SC Detail 노드, SC Reporting 노드, WAP 설정에 관한 WAP 노드, 송수신되는 E-mail을 저장하는 E-mail 노드, 송수신되는 MMS 메시지를 저장하는 MMS 노드, 그리고, 장치관리 객체의 사본을 나타내는 MO Copied 노드로 구성될 수 있다.Such an external storage device 140 may be represented in a tree structure, as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3,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40 includes an SC SyncML DM node, an SC Info node representing information of an external storage device, an SC Detail node representing a detailed information of an external storage device, an SC Reporting node, and a WAP configuration. A WAP node, an E-mail node storing e-mails transmitted and received, an MMS node storing MMS messages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a MO Copied node representing a copy of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지금까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관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면서, 상기 단말(100)는 DM 구동 모듈(110)과, 장치관리 객체(120)와, 외부저장장치 구동 모듈(130)과, 외부저장장치(140)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프로세서(미도시)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미도시)와, 저장장치(미도시)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 역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Up to now, while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100 is a DM drive module 110, a device management object 120, an external storage device drive module 130, external Although described as being configured as the storage device 140, they may be configured as a combination of a processor (not shown), a network interface (not shown), and a storage device (not shown). In addition, the server 200 may also be configured in the same way.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서버 및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서버 및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rver and the terminal shown in Figure 1, Figure 5 is another exemplary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rver and the terminal shown in FIG.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DM 서버(200)가 상기 단말(100) 내에 장치관리 객체를 생성시, 외부저장장치에도 복사하는 동작이 나타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First, referring to FIG. 4, when the DM server 200 creates a device management object in the terminal 100, an operation of copying to an external storage device is also shown.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1) 상기 DM 서버(200)가 상기 단말(100)에 적합한 장치관리 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장치관리 객체의 복사여부를 결정한다.1) The DM server 200 creates a device management object suitable for the terminal 100, and determines whether to copy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2) 상기 외부저장장치에 복사되도록 결정되면, 상기 DM 서버(200)는 상기 생성한 장치관리 객체 및 복사 명령을 상기 단말(100)로 전송한다.2) If it is determined to be copied to the external storage device, the DM server 200 transmits the generated device management object and the copy command to the terminal 100.

3) 상기 단말(100)의 DM 구동 모듈(110)은 상기 서버(200)로부터의 상기 장치관리 객체 및 복사 명령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한 장치관리 객체를 생성한다. 3) The DM driving module 110 of the terminal 100 generates the received device management object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and the copy command from the server 200.

4) 이후, 상기 단말(100)의 DM 구동 모듈(110)은 상기 외부저장장치 구동 모듈(130)에 복사명령을 전달한다.4) After that, the DM driving module 110 of the terminal 100 transmits a copy command to the external storage driving module 130.

5) 상기 외부저장장치 구동 모듈(130)은 상기 명령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저장장치(140)에 상기 생성된 장치관리 객체를 복사한다. 이때, 상기 장치관리 객체가 복사된 후의 상기 외부저장장치(140)는 도 3과 같을 수 있다. 5) The external storage device driving module 130 copies the created device management object to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40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command. In this case,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40 after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is copied may be as shown in FIG. 3.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DM 서버(200)가 상기 단말(100) 내에 기 저장된 장치관리 객체를 외부저장장치(140)에 복사하는 동작이 나타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5, an operation in which the DM server 200 copies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previously stored in the terminal 100 to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40 is illustrated.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1) 상기 DM 서버(200)가 상기 단말(100)의 장치관리 객체(120)를 외부저장장치(140)에 복사 가능하게 할지 여부를 결정한다.1) The DM server 200 determines whether to copy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120 of the terminal 100 to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40.

2) 상기 외부저장장치에 복사 가능하도록 결정되면, 상기 DM 서버(200)는 복사 명령을 상기 단말(100)로 전송한다.2) If it is determined to be copyable to the external storage device, the DM server 200 transmits a copy command to the terminal 100.

3) 상기 단말(100)의 DM 구동 모듈(110)은 상기 서버(200)로부터의 상기 복사 명령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한 복사 명령을 외부저장장치 구동 모듈(130)에 전달한다. 3) The DM driving module 110 of the terminal 100 transmits the received copy command to the external storage device driving module 130 in response to the reception of the copy command from the server 200.

4) 상기 외부저장장치 구동 모듈(130)은 상기 명령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저장장치(140)에 상기 장치관리 객체(120)를 상기 외부저장장치(140)에 복사한다. 4)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command, the external storage device driving module 130 copies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120 to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40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40.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관리 객체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vice management objec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100) 내에 상기 외부저장장치(140)가 장착될 경우, 단말(100) 내의 장치관리 객체(120)와 외부저장장치(140) 내의 장치관리 객체를 비교하여, 어느 하나를 업데이트 하는 장치관리 객체 관리 방법이 나타나 있다.Referring to FIG. 6, whe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40 is mounted in the terminal 100,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120 in the terminal 100 is compared with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40.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management method of updating one is shown.

구체적으로는, 상기 외부저장장치(140)가 상기 단말(100)에 장착되면 상기 외부저장장치(140)를 분석한다(S101). Specifically, whe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40 is mounted on the terminal 100,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40 is analyzed (S101).

그리고, 상기 단말(100) 내에 장치관리 객체(120)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102).In operation S102,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120 is present in the terminal 100.

상기 확인(S102)에 따라, 상기 단말(100) 내에 장치관리 객체(120)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단말(100) 내의 장치관리 객체(120)를 상기 외부저장장 치(140) 내의 장치관리 객체와 비교한다(S103).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120 exists in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S102),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120 in the terminal 100 is a device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40. Compare with the management object (S103).

그리고, 상기 비교에 따라 상기 외부저장장치(140) 내의 상기 장치관리 객체 및 상기 단말(100) 내의 장치관리 객체(120) 중 어느 하나를 업데이트한다(S104).The device management object 120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40 and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120 in the terminal 100 are updat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S104).

그러나, 상기 확인(S102)에 따라, 상기 단말(100) 내에 장치관리 객체(120)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 확인을 선택적으로 수행한다(S105).However,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S102), if it is confirmed that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120 does not exist in the terminal 100, the user confirmation is selectively performed (S105).

그리고, 상기 외부저장장치(140) 내의 장치관리 객체를 상기 단말(100) 내에 복사한다(S106).The device management object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40 is copied into the terminal 100 (S106).

여기까지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저장 매체(예를 들어, 단말기 내부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하드 디스크, 기타 등등)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내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내에 코드들 또는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thus far can be implemented in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example,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stored in a storage medium (eg, terminal internal memory, flash memory, hard disk, etc.) and by a processor (eg a mobile terminal internal microprocessor). It can be implemented as codes or instructions in a software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in various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an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changed, or improved.

본 발명은 단말 내의 장치관리 객체를 외부저장장치에 복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 내의 장치관리 객체가 부득이하게 손상되더라도, 사본을 통해 복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을 변경 사용하더라 도, 동일한 환경하에서 상기 단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 내의 장치관리 객체와 상기 외부저장장치에 복사된 사본을 비교하여, 가장 최근에 변경된 것을 기초로 다른 것을 업데이트함으로써, 항상 동일한 장치관리 객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in the terminal can be copied to an external storage device, so that even if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in the terminal is inevitably damaged, it can be recovered through a copy.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even if the user changes the terminal, the terminal can be used in the same environmen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maintaining the same device management object at all times by comparing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in the terminal and the copy copied to the external storage device, updating the other based on the most recent change.

Claims (2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단말에 외부저장장치가 장착되면, 상기 외부저장장치 내의 장치관리 객체를 분석하는 단계와;Analyzing a device management object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whe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is mounted on the terminal; 단말 내부에 장치관리 객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Checking whether a device management object exists in the terminal; 상기 확인에 따라, 상기 단말 내부에 장치관리 객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선택적으로 사용자 확인을 수행하는 단계와;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is not stored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selectively performing a user confirmation; 상기 사용자 확인에 따라, 상기 외부저장장치 내의 장치관리 객체를 단말 내에 복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관리 객체 관리 방법.And copying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to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user confirmation.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확인에 따라, 상기 단말 내부에 장치관리 객체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외부저장장치 내의 상기 장치관리 객체와 상기 단말 내의 장치관리 객체를 비교하는 단계와;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is stored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comparing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with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in the terminal; 상기 비교에 따라, 상기 외부저장장치 내의 상기 장치관리 객체 및 상기 단말 내의 장치관리 객체 중 어느 하나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관리 객체 관리 방법.And updating one of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and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장치관리 객체의 복사 명령을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Receiving a copy command of a device management object from a server; 상기 명령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 내의 장치관리 객체(object)를 다른 외부저장장치에 복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관리 객체 관리 방법.In response to receiving the command, copying a device management object in the terminal to another external storage device.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복사 후, 상기 외부저장장치 내의 상기 장치관리 객체의 사본을 체크하는 단계와;After copying, checking a copy of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상기 단말 내의 장치관리 객체와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관리 객체 관리 방법.And comparing the device with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in the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복사 후, 상기 단말 내의 상기 장치관리 객체를 삭제할지 결정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to delete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in the terminal after the copying; 상기 결정에 따라 삭제되는 경우, 상기 외부저장장치 내의 사본으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관리 객체 관리 방법.If delet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device management object management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operating as a copy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비교에 의해 상기 단말 내의 장치관리 객체 또는 상기 사본 중 어느 하나가 변경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변경된 것을 기초로 다른 하나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관리 객체 관리 방법.And if it is determined by the comparison that any one of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or the copy in the terminal has been changed, updating the other based on the changed device management object management method. 제 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단말 내의 상기 장치관리 객체에 상기 복사 여부에 관한 사항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관리 객체 관리 방법.And storing the copying information in the device management object in the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60071041A 2005-09-21 2006-07-27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Device Management Object Management Method Expired - Fee Related KR1009108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680034778.8A CN101268620B (en) 2005-09-21 2006-09-20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evice management object
EP06798810.5A EP1935106B1 (en) 2005-09-21 2006-09-20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evice management object
PCT/KR2006/003727 WO2007035036A1 (en) 2005-09-21 2006-09-20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evice management object
JP2008528960A JP4809438B2 (en) 2005-09-21 2006-09-20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device management object management method
US12/065,518 US7865483B2 (en) 2005-09-21 2006-09-20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evice management obj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1874505P 2005-09-21 2005-09-21
US60/718,745 2005-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246A KR20070033246A (en) 2007-03-26
KR100910802B1 true KR100910802B1 (en) 2009-08-04

Family

ID=49447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041A Expired - Fee Related KR100910802B1 (en) 2005-09-21 2006-07-27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Device Management Object Management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080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919B1 (en) * 2007-04-13 2007-06-25 주식회사 스타칩 Handheld update device for updating external devices using a mobile phone termin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2929A (en) * 1996-10-29 2000-08-25 워긴 스티븐 엠 Regeneration agent for back-up software
US20050055397A1 (en) 2003-09-08 2005-03-10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n OMA DM extension to manage mobile device configuration settings
JP2005209145A (en) 2003-12-22 2005-08-04 Canon Software Inc Bidirectional communication network device management apparatus, network device management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2929A (en) * 1996-10-29 2000-08-25 워긴 스티븐 엠 Regeneration agent for back-up software
US20050055397A1 (en) 2003-09-08 2005-03-10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n OMA DM extension to manage mobile device configuration settings
JP2005209145A (en) 2003-12-22 2005-08-04 Canon Software Inc Bidirectional communication network device management apparatus, network device management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246A (en) 2007-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68620B (en)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evice management object
US10218587B2 (en) Transparently tracking provenance information in distributed data systems
EP1766824A2 (en) System and method for extending business systems to a mobile workforce
US11086696B2 (en) Parallel cloned workflow execution
US8407329B2 (en) Reporting information to a network
CN109697112B (en) Distributed intensive one-stop operating system and implementation method
CN103973745A (en) Mobile terminal operating system updating method and device
CN105718307A (en) Process management method and process management device
CN112685102B (en) Gateway plug-in hot load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KR20180132292A (en) Method for automatic real-time analysis for bottleneck and apparatus for using the same
KR100910802B1 (en)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Device Management Object Management Method
CN113268401A (en) Log information output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1080250B (en) Flow backspacing compensat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888131B1 (en) Method for Performing Real-Time Changed Data Publish Service of DDS-DBMS Integration Tool
CN108170420A (en) Construction method, device and th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of application package
US20090259795A1 (en) Policy framework to treat data
CN112698916B (en) Multi-container cluster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0747467B1 (en)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log data generation and control method using log management object
JP4809438B2 (en)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device management object management method
CN107018005A (en) event triggering method, event management system and system
CN113157462A (en) Data management method, device, equipment,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system
CN117076417B (en) File snapshot implementation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8862914B (en) Scan code login metho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240075058A (en) Method of analyzing changes in API in the cloud
CN116820489A (en) Automatic project deployment method based on webhoo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7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7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2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7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