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10178B1 -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0178B1
KR100910178B1 KR1020070090064A KR20070090064A KR100910178B1 KR 100910178 B1 KR100910178 B1 KR 100910178B1 KR 1020070090064 A KR1020070090064 A KR 1020070090064A KR 20070090064 A KR20070090064 A KR 20070090064A KR 100910178 B1 KR100910178 B1 KR 100910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ase station
terminal
interference
channel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5034A (ko
Inventor
이광복
이병옥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42905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1017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20070090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0178B1/ko
Priority to US12/676,728 priority patent/US8467468B2/en
Priority to PCT/KR2008/004209 priority patent/WO2009031757A1/en
Publication of KR20090025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17Feedbac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26Power distribution
    • H04B7/043Power distribution using best eigenmode, e.g. beam forming or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26Power distribution
    • H04B7/0434Power distribution using multiple eigen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26Power distribution
    • H04B7/0434Power distribution using multiple eigenmodes
    • H04B7/0443Power distribution using multiple eigenmodes utilizing "waterfilling" techniq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groups of terminals or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셀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의 셀 간 간섭을 고려한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신빔형성 벡터 및 사용자 조합을 결정할 때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가 속한 셀의 성능뿐 아니라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가 속한 셀에 인접하는 셀들로부터 받는 간섭 및 인접하는 셀들에게 주는 간섭까지 고려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다중 셀 환경에서 필연적으로 존재하는 셀 간 간섭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한정된 무선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가능하게 되고,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의 데이터 전송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안테나, 다중, 셀, 간섭, 송신, 사용자 조합, 채널, 채널반응정보, 간섭채널정보

Description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및 그 방법{Multip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s apparatus in multi-user environment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중 셀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의 셀 간 간섭을 고려한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신빔형성 벡터 및 사용자 조합을 결정할 때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가 속한 셀의 성능뿐 아니라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가 속한 셀에 인접하는 셀들로부터 받는 간섭 및 인접하는 셀들에게 주는 간섭까지 고려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중 송수신 안테나 기술은, 다수의 안테나를 송신단 및 수신단에 설치하고 그것들을 활용함으로써,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률과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해준다. 하지만, 종래의 대부분의 다중 송수신 안테나 기술에 대한 연구는 단일 셀 환경만을 고려함으로써, 실질적인 무선 통신 환경인 다중 셀 환경에서 존재하는 인접 셀 간 간섭의 영향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다중 셀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인접 셀 간의 간섭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셀 간 주파수 재사용률이 높아지면서, 셀 간 간섭의 영향은 더욱 커지고 있으며, 셀 간 간섭은 고속 무선 데이터 전송율을 달성하는 데에 가장 큰 방해요소가 되고 있다. 다중 송수신 안테나 기술은 셀 간 간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잠재력을 갖고 있지만, 셀 간 간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중 안테나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연구는 아직 시작 단계이다.
다중 셀 환경에서 다중 안테나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연구들은 다음과 같다. 강지웅, 제희원, 및 이광복은 다중 셀 환경에서 인접 셀 간섭을 고려한 송신 안테나 선택기법을 제안하였다 (J. W. Kang, H. W. Je, and K. B. Lee, “Transmit Antennas Subset Selection for Downlink MIMO Systems”, in Proc.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s 2007 (ICC2007), June 2007). Blum은 송신단이 채널 정보를 모른다는 가정하에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최적의 송신방식은 인접 셀간의 간섭의 영향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R. S. Blum, “MIMO capacity with interference”, IEEE Journal on Selected Areas in Communications, vol. 21, no. 5, pp. 793 ~ 801, June 2003). Ye는 다중 셀 환경에서 인접 셀간의 간섭의 영향을 고려해서 다중 안테나의 송신 방식을 결정하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S. Ye, and R. S. Blum, “Optimized signaling for MIMO interference systems with feedback”, IEEE Transactions on Signal Processing, vol. 51, no. 11, pp. 2939 ~ 2848, Nov. 2003). 하지만, Ye가 제안한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송신단이 시스템에 존재하는 모든 링크의 채널 상태와 다른 셀의 송신단이 사용하고 있는 송신방식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실제 시스템에 적용 하기는 어렵다. 정리하면, 다중 셀 환경에서 다중 안테나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연구들은 아직 초기 단계이며, 특히 본 발명이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다중 사용자와 관련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본 발명은 다중 셀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셀 간 간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중 안테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인접하는 셀 간의 간섭의 영향을 고려해서 전체 시스템의 성능 및 데이터 전송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송신빔형성 벡터 및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셀 환경에서 어느 하나의 셀 내에 제 1단말기 및 제 1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단말기는, 상기 제 1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기지국으로의 채널반응정보를 추정하고, 해당 셀에 인접하는 셀의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2기지국이 받게 될 간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1기지국이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계산하여 상기 제 1기지국에 전송하고,
상기 제 1기지국은,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의 채널반응정보를 추정하고, 해당 셀에 인접하는 셀의 제 2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2단말기로부터 받는 간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간섭신호정보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채널반응정보와 상기 간섭신호정보, 및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여 상기 제 1단말기에 전송한다.
특히, 상기 제 1단말기는,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기지국으로의 채널반응정보를 추정하고, 상기 제 2기지국이 상기 제 1단말기의 송신 동작에 의해 받게 될 간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하는 채널정보 추정부; 추정된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송신빔형성 벡터를 계산하는 송신빔형성 벡터 계산부; 추정된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1기지국이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계산하는 피드백정보 계산부; 상기 피드백정보 계산부에서 계산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 1기지국에 전송하는 피드백정보 송신부; 및 상기 제 1기지국에서 결정된 사용자 조합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피드백정보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기지국은,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기지국으로의 채널반응정보를 추정하고, 상기 제 1기지국이 상기 제 2단말기로부터 받는 간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간섭신호정보를 추정하는 채널정보 추정부;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는 피드백정보 수신부; 추정된 상기 채널반응정보와 상기 간섭신호정보, 및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 사용자 조합 결정부; 및 상기 사용자 조합 결정부에서 결정된 사용자 조합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 1단말기로 전송하는 피드백정보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셀 환경에서 통신을 위해 제 1단말기를 포함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단말기가 속한 셀의 제 1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기지국으로의 채널반응정보를 추정하고, 상기 제 1단말기가 속한 셀에 인접하는 셀의 제 2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2기지국이 상기 제 1단말기의 송신 동작에 의해 받게 될 간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하는 채널정보 추정부; 추정된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송신빔형성 벡터를 계산하는 송신빔형성 벡터 계산부; 추정된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1기지국이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계산하는 피드백정보 계산부; 상기 피드백정보 계산부에서 계산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 1기지국에 전송하는 피드백정보 송신부; 및 상기 제 1기지국에서 결정된 사용자 조합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피드백정보 수신부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채널정보 추정부는 상기 제 2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단말기로의 하향링크 채널응답행렬과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채널응답행렬 사이의 채널응답상호성을 이용하여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채널정보 추정부는 상기 제 2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단말기로의 하향링크의 채널응답행렬과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채널응답행렬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채널정보 추정부는 상기 제 1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단말기로의 하향링크 채널응답행렬과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채널응답행렬 사이의 채널응답상호성을 이용하여 상기 채널반응정보를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채널정보 추정부는 상기 제 1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단말기로의 하향링크의 채널응답행렬과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채널응답행렬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채널반응정보를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송신빔형성벡터 계산부는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1단말기가 속한 셀의 링크 성능과 상기 제 1단말기가 상기 제 2기지국에게 주는 간섭을 고려하여 상기 송신빔형성 벡터를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조합부는 상기 송신빔형성벡터 계산시 상기 제 2기지국의 활성도를 추가로 반영하여 상기 송신빔형성벡터를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송신빔형성벡터 계산부는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간섭 채널응답행렬의 상관행렬을 계산하고, 상기 상관행렬의 가장 작은 아이겐값에 대응하는 아이겐벡터를 기초로 상기 송신빔형성 벡터를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송신빔형성벡터 계산부는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을 계산하고, 상기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의 가장 큰 아이겐 값에 대응하는 아이겐벡터를 기초로 상기 송신빔형성 벡터를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송신빔형성벡터 계산부는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인접 셀의 활성도를 반영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을 계산하고, 상기 인접 셀의 활성도를 반영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의 가장 큰 아이겐 값에 대응하는 아이겐벡터를 기초로 상기 송신빔형성 벡터를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는 상기 제 1단말기의 송신 동작에 의해 상기 제 2기지국이 받게 될 간섭 정도에 대한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기지국이 받게 될 간섭 정도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 1단말기의 송신 동작에 의해 상기 제 2기지국이 받게 될 총 간섭양에 대한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셀 환경에서 통신을 위해 제 1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기지국이 속한 셀에 함께 속해 있는 제 1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기지국으로의 채널반응정보를 추정하고, 상기 제 1기지국이 속한 셀에 인접하는 셀의 제 2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기지국이 상기 제 2단말기로부터 받는 간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간섭신호정보를 추정하는 채널정보 추정부;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는 피드백정보 수신부; 추정된 상기 채널반응정보와 상기 간섭신호정보, 및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 사용자 조합 결정부; 및 상기 사용자 조합 결정부에서 결정된 사용자 조합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 1단말기로 송신하는 피드백정보 송신부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사용자 조합 결정부는 상기 채널반응정보와 상기 간섭신호정보, 및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상기 제 1기지국이 속한 셀의 링크 성능, 상기 제 1기지국이 상기 제 2단말기로부터 받는 간섭, 및 상기 제 1단말기가 상기 제 2기지국에게 주는 간섭의 영향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조합 결정부는 상기 사용자 조합 결정시 상기 제 2기지국의 활성도를 추가로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조합 결정부는 전체 시스템 전송률을 최대화시키도록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조합부는 반복적으로 사용자를 한 명씩 사용자 집합에 추가하면서 전체 시스템 전송률을 최대화시키도록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체 시스템 전송률은 상기 제 1기지국이 속한 셀의 전송률과 상기 제 1기지국에 속한 셀에 인접하는 셀의 전송률의 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기지국에 속한 셀에 인접하는 셀의 전송률은 상기 제 1기지국이 속한 셀의 정보와 상기 제 1단말기의 송신 동작에 의해 상기 제 2기지국이 받게 될 총 간섭양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셀 환경에서 통신을 위해 제 1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기지국이 속한 셀에 함께 속해 있는 제 1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단말기로의 채널반응정보를 추정하고, 상기 제 1기지국이 속한 셀에 인접하는 셀의 제 2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2단말기가 상기 제 1기지국의 송신 동작에 의해 받게 될 간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하는 채널정보 추정부; 추정된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송신빔형성벡터를 계산하는 송신빔형성벡터 계산부; 및 추정된 상기 채널반응정보와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 사용자 조합 결정부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채널정보 추정부는 상기 제 2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채널응답행렬과 상기 제 1기지국으로부터 상기 2단말기로의 하향링크 채널응답행렬 사이의 채널응답상호성을 이용하여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채널정보 추정부는 상기 제 2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채널응답행렬과 상기 제 1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단말기로의 하향링 크 채널응답행렬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채널정보 추정부는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채널응답행렬과 상기 제 1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단말기로의 하향링크 채널응답행렬 사이의 채널응답상호성을 이용하여 상기 채널반응정보를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채널정보 추정부는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채널응답행렬과 상기 제 1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단말기로의 하향링크 채널응답행렬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채널반응정보를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송신빔형성벡터 계산부는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1기지국이 속한 셀의 성능 및 상기 제 1기지국이 상기 제 2단말기에게 주는 간섭의 영향을 고려하여 상기 송신빔형성 벡터를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송신빔형성벡터 계산부는, 상기 송신빔형성벡터 계산시에 상기 제 2단말기의 활성도를 추가로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송신빔형성벡터 계산부는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유효무간섭행렬을 계산하고, 상기 유효무간섭행렬의 역행렬의 첫 번째 열벡터를 기초로 상기 송신빔형성 벡터를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송신빔형성벡터 계산부는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 보를 기초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을 계산하고, 상기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의 가장 큰 아이겐 값에 대응하는 아이겐벡터를 기초로 상기 송신빔형성 벡터를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송신빔형성벡터 계산부는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인접 셀의 활성도를 반영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을 계산하고, 상기 인접 셀의 활성도를 반영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의 가장 큰 아이겐 값에 대응하는 아이겐벡터를 기초로 상기 송신빔형성 벡터를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조합 결정부는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1기지국이 속한 셀의 링크 성능 및 상기 제 1기지국이 상기 제 2단말기에게 주는 간섭의 영향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조합 결정부는 상기 사용자 조합 결정시에 상기 제 2단말기의 활성도를 추가로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조합부는 전체 시스템 전송률의 변화량을 최대화시키도록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조합부는 반복적으로 사용자를 한 명씩 사용자 집합에 추가하면서 전체 시스템 전송률의 변화량을 최대화시키도록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방법은 다중 셀 환경에서 통신을 위해 복수의 안테나를 갖는 제 1단말기가 해당 셀의 제 1기지국에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 1단말기가, 하향링크시에 상기 제 1기지국 및 인접하는 셀의 제 2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반응정보 및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말기가,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송신빔형성벡터를 계산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1단말기가, 상기 간섭채널정보 및 상기 송신빔형성벡터를 기초로,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계산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1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상기 제 1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제 4단계; 상기 제 1기지국이, 상향링크시에 상기 제 1단말기 및 인접하는 셀의 제 2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반응정보 및 간섭신호정보를 추정하는 제 5단계; 상기 제 1기지국이 ,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 6단계; 상기 제 1기지국이, 상기 채널반응정보, 상기 간섭신호정보, 및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 제 7단계; 상기 제 1기지국이, 상기 결정된 사용자 조합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 1단말기로 송신하는 제 8단계; 및 상기 제 1단말기가, 상기 제 1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사용자 조합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방식을 구현하는 제 9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방법은 다중 셀 환경에서 통신을 위해 복수의 안테나를 갖는 제 1기지국이 해당 셀의 제 1단말기에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 1기지국이, 상향링크시에 상기 제 1단말기 및 인접하 는 셀의 제 2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반응정보 및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기지국이,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1기지국이 속한 셀의 성능 및 상기 제 1기지국이 상기 제 2단말기에게 주는 간섭의 영향을 고려하여 송신빔형성 벡터를 계산하고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제 1기지국이, 상기 송신빔형성 벡터 및 상기 결정된 사용자 조합에 근거하여 송신방식을 구현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한다.
다중 셀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다중 송수신 안테나를 이용해서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송신방법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해당 셀의 성능 및 인접 셀의 성능을 고려해서 송신빔형성 벡터 및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제시된 방법을 사용하면 전체 시스템의 성능 및 데이터 전송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송신 안테나의 수가 많을수록 큰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는 다중 안테나를 갖는 기지국 및 중계기 또는 다중 안테나를 갖는 중계기 또는 다중 안테나를 갖는 단말기를 지칭하는 것임을 명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 다중 셀 환경에서의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중 송수신 안테나 환경에서는 공간 도메인을 이용해서 기지국이 다수의 단말기와 동시에 통신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이 다수의 단말기에게 동시에 서로 다른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고, 반대로 다수의 단말기가 기지국에게 각각의 스트림을 동시에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이를 다중 사용자 전송 방법이라고 정의한다. 이하에서는 먼저, 다중 셀 다중 송수신 안테나 환경에서, 해당 셀의 성능뿐만이 아니라 인접 셀들에게 주는 간섭을 고려한 다중 사용자 전송 방법을 상향링크시와 하향링크시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해당 셀의 성능뿐만이 아니라 인접 셀들로부터 받는 간섭 및 인접하는 셀들로부터 받는 간섭까지 고려한 다중 사용자 전송 방법 - 상향링크시의 설명)
먼저, 상향링크 통신은 단말기가 기지국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하 며, 여기서는 다중 셀, 다중 안테나, 다중 사용자 환경을 가정한다. 총 M개의 셀이 있고, 각각의 셀 마다 총 K명의 사용자가 있고,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에는 Nu개의 안테나가 있으며, 기지국에는 Nb개의 안테나가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m번째 기지국이 받는 신호는 수학식 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7064627174-pat00001
여기에서
Figure 112007064627174-pat00002
은 m번째 셀에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사용자 조합을,
Figure 112007064627174-pat00003
은 m번째 셀의 k번째 단말기로부터 n번째 셀의 기지국으로의 채널응답행렬(Nb X Nu)을,
Figure 112007064627174-pat00004
은 m번째 셀의 k번째 단말기가 사용하는 송신빔형성 벡터(Nu X 1)를,
Figure 112007064627174-pat00005
은 m번째 셀의 k번째 단말기가 기지국에게 보내는 데이터 신호를,
Figure 112007064627174-pat00006
은 m번째 셀의 기지국에서의 수신 잡음 벡터(Nb X 1)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각각의 셀에서 사용자 조합(
Figure 112007064627174-pat00007
)을 결정하는 방법과 단말기가 송신빔형성 벡터(
Figure 112007064627174-pat00008
)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 조합 및 송신빔형성 벡터를 결정할 때에, 해당 셀의 성능뿐 아니라 인접 셀 간 간섭의 영향을 동시에 고려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한다.
도 1은 다중 셀 환경에서 통신을 위해 복수의 안테나를 갖는 K개의 단말기가 해당 셀의 성능뿐만이 아니라 인접 셀들로부터 받는 간섭 및 인접하는 셀들에게 주는 간섭까지 고려해서 기지국에게로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는 하나의 셀 내에 다수의 단말기(100A~100K)와 하나의 기지국(200)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고,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셀이 존재하고 그 각각의 셀에는 도 1에서와 같은 다수의 단말기(100A~100K)와 하나의 기지국(200)이 존재하는 다중 셀, 다중 사용자 환경이다. 단말기(100A~100K)는 모두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 위해 하나의 단말기(100A)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에 적용되는 단말기(100A)는 채널추정부(110), 송신빔형성벡터 계산부(120), 송신방식 구현부(130), 고주파처리부(140, 160), 스위치(150), 피드백정보 계산부(170), 피드백정보 송신부(180), 및 피드백정보 수신부(190)를 포함한다.
송신방식구현부(130)는 피드백정보 수신부(190) 및 송신빔형성벡터 계산부(120)로부터 피드백 정보 및 송신빔형성벡터를 입력받아 송신정보신호의 송신방식을 구현한다. 이때, 피드백 정보는 사용자 조합에 관한 정보이며, 피드백정보 수 신부(190)는 피드백 정보를 해당 셀의 기지국(200)으로부터 전송받는다.
고주파처리부(140)는 송신방식구현부(120)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스위치(150)는 다중 안테나를 통해 해당 셀 및 인접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고주파신호를 수신하여 고주파처리부(160)로 전달하고, 고주파처리부(140)에서 전송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여 다중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200)으로 전달한다.
고주파처리부(160)는 스위치(150)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채널추정부(110)로 전달한다.
채널추정부(110)는 채널반응정보 추정부(110a)와 간섭채널정보 추정부(110b)로 구성된다.
채널반응정보 추정부(110a)는 단말기(100A)가 속해 있는 셀의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100A)과 기지국(200) 사이의 채널반응정보를 추정한다. 이때, 채널반응정보는 단말기(100A)와 기지국(200)간의 채널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m번째 셀의 k번째 사용자에게 있어서 채널반응정보는 m번째 셀의 사용자로부터 m번째 셀의 기지국으로의 채널응답행렬(
Figure 112007064627174-pat00009
)이 될 수 있다.
간섭채널정보 추정부(110b)는 해당 셀에 인접하는 셀들의 기지국에서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셀의 기지국이 해당 셀의 단말기(100A)의 송신동작에 의해 받게 될 간섭정도를 나타내는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한다. 간섭채널정보 추정부(110b)에서 의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하는 방식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추정되는 방식은 하나의 예시일 뿐,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추정가능하므로 이하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m번째 셀의 k번째 사용자에게 있어서 간섭채널정보는 m번째 셀의 k번째 사용자로부터 인접 셀들의 기지국으로의 각각의 개별적인 채널응답행렬 (
Figure 112007064627174-pat00010
)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인접 셀의 기지국 각각에 대해서 개별적인 채널응답행렬을 추정하는 것이 어려울 경우에는 "인접 기지국으로의 채널응답행렬의 상관행렬의 합 (
Figure 112007064627174-pat00011
) "을 추정하고, 그것을 간섭채널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위첨자
Figure 112007064627174-pat00012
은 행렬의 허미션을 나타낸다. 실제로, 본 발명에서는 송신빔형성 벡터 및 사용자 조합을 결정할 때에 필요한 간섭채널정보로써 인접 셀의 기지국으로의 각각의 개별적인 채널응답행렬 대신에 “인접 기지국으로의 채널응답행렬의 상관행렬의 합”을 사용할 수 있다.
채널 추정부(110)는 하향링크 시에 단말기(100A)가 속한 셀의 기지국(200) 및 인접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채널반응정보와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향링크 채널과 하향링크 채널 사이의 채널응답상호성을 이용한다. 채널응답상호성은 상향링크 주파수와 하향링크 주파수가 같은 경우에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7064627174-pat00013
여기서,
Figure 112007064627174-pat00014
은 n번째 셀의 기지국으로부터의 m번째 셀의 k번째 단말기로의 채널응답행렬을 나타내고, 위첨자
Figure 112007064627174-pat00015
는 행렬의 전치(transpose)를 나타낸다.
FDD 시스템과 같이 하향링크 주파수와 상향링크 주파수가 다를 경우에는, 수학식 2는 더 이상 성립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상향링크의 채널응답행렬과 하향링크의 채널응답행렬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용해서 채널반응정보 및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B. K. Chalise, L. Haering, and A. Czylwik, "System level performance of UMTS-FDD with covariance transformation based DL beamforming", IEEE Globecom 2003.).
송신빔형성벡터 계산부(120)는 채널추정부(110)에서 추정된 채널반응정보 및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즉, 단말기(110A)가 속한 셀의 성능뿐만 아니라 인접 셀 간 간섭의 영향을 고려하여 송신빔형성벡터를 계산한다.
이하에서는, 송신빔현성벡터 계산부(120)에서 송신빔형성벡터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그 구체적인 예로, 최소간섭 송신빔형성(Minimum Interference transmit beamforming scheme)방법, 최대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송신빔형성(Maximum SGNIR transmit beamforming scheme)방법, 및 인접 셀의 활성도(Cell loading factor)를 반영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송신빔형성 방법을 설명한다.
설명을 위해 m번째 셀의 k번째 단말기에서 간섭채널응답행렬을 수학식 3으로 정의한다.
Figure 112007064627174-pat00016
수학식 3에서 주목할 점은 간섭채널응답행렬의 상관행렬 (
Figure 112007064627174-pat00017
)은 “인접 기지국으로의 채널응답행렬의 상관행렬의 합(
Figure 112007064627174-pat00018
)”과 같다는 것이다.
(실시예 1 : 최소간섭 송신빔형성 방법)
최소간섭 송신빔형성 방법에서는, 인접 셀들에게 주는 간섭 파워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벡터를 송신빔형성 벡터로 사용한다. 이 경우에, m번째 셀의 k번째 사용자가 사용하는 송신빔형성 벡터는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7064627174-pat00019
최소 간섭 송신빔형성 방법에서 송신빔형성 벡터를 계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채널추정부(110)에서 추정한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간섭채널응답행렬의 상관행렬(
Figure 112007064627174-pat00020
)을 계산하고, 간섭채널응답행렬의 상관행렬의 가장 작은 아이겐값(eigen-value)에 대응하는 아이겐벡터(eigen-vector)를 계산하고, 계산한 아이겐벡터를 송신빔형성 벡터로 사용한다. 최소간섭 송신빔형성 방법은 인접 셀들에게 주는 간섭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하기 때문에, 셀 간 간섭이 많은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2 : 최대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송신빔형성 방법)
최대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송신빔형성 방법은 해당 셀의 성능과 인접 셀들에게 주는 간섭의 영향을 모두 적절하게 고려하여서 전체 셀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송신빔형성 방법이다. 먼저, 최대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송신빔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를 정의한다. m번째 셀에서 k번째 사용자가 송신빔형성 벡터를
Figure 112007064627174-pat00021
사용했을 때에,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는 수학식 5와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7064627174-pat00022
여기에서
Figure 112007064627174-pat00023
은 잡음의 파워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의 분자는 해당 셀의 기지국에서의 신호파워를 나타내고, 분모는 인접 셀들의 기지 국에게 주는 간섭의 파워와 잡음의 파워의 합을 나타낸다.
최대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송신빔형성 방법은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를 최대화하는 벡터를 송신빔형성 벡터로 사용한다. 이 경우에 m번째 셀의 k번째 사용자가 사용하는 송신빔형성 벡터는 수학식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7064627174-pat00024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을 수학식 7과 같이 정의한다.
Figure 112007064627174-pat00025
최대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송신빔형성 방법에서 송신빔형성 벡터를 계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채널추정부(110)에서 추정한 채널반응정보 및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
Figure 112007064627174-pat00026
)을 계산하고,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의 가장 큰 아이겐값(eigen-value)에 대응하는 아이겐벡터(eigen-vector)를 계산하여, 계산한 아이겐벡터를 송신빔형성 벡터로 사용한다.
(실시예 3 : 인접 셀의 활성도를 반영한 최대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송신빔형성 방법)
인접 셀의 활성도를 반영한 최대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송신빔형성 방법은 해당 셀의 성능뿐만 아니라 인접 셀들에게 주는 간섭의 영향 및 인접 셀의 활성도를 고려하여서 전체 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송신빔형성 방법이다.
인접 셀의 활성도는 기지국 간의 통신을 통해서 얻을 수 있다. 만약 기지국 간의 통신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해당 셀의 활성도를 기초로 인접 셀의 활성도를 추정한다. 인접 셀의 활성도는
Figure 112007064627174-pat00027
로 나타내고, 0에서 1사이의 값을 갖는다.
Figure 112007064627174-pat00028
가 0일 때에는 인접 셀에서 통신을 하고 있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이 경우에는 송신방법을 결정할 때에 인접 셀에게 주는 간섭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Figure 112007064627174-pat00029
가 1에 근접한 값을 갖을수록 인접 셀에서 통신을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경우에는 송신방법을 결정할 때에 인접 셀에게 주는 간섭의 영향을 더욱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사실을 반영하기 위해서, 인접 셀의 활성도를 반영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은 수학식 8과 같이 정의한다.
Figure 112007064627174-pat00030
인접 셀의 활성도를 반영한 최대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송신빔형성 방법은 인접 셀의 활성도를 반영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를 최대화 하는 벡터를 송신빔형성 벡터로 사용한다. 이 경우에 m번째 셀의 k번째 사용자가 사용하는 송신빔형성 벡터는 수학식 9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7064627174-pat00031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 인접 셀의 활성도를 반영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을 수학식 10과 같이 정의한다.
Figure 112007064627174-pat00032
인접 셀의 활성도를 반영한 최대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송신빔형성 방법에서 송신빔형성 벡터를 계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채널추정부(110)에서 추정한 채널반응정보 및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인접 셀의 활성도를 반영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
Figure 112007064627174-pat00033
)을 계산하고, 인접 셀의 활성도를 반영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의 가장 큰 아이겐값(eigen-value)에 대응하는 아이겐벡터(eigen-vector)를 계산하여, 계산한 아이겐벡터를 송신빔형성 벡터로 사용한다.
한편, 상향링크에서 기지국(200)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사용자들의 조합을 결정하는 것은 기지국(200)이다. 반면에 인접 셀들에게 주는 간섭에 대한 정보는 각각의 단말기(100A~100K)가 알고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단말기(100A~100K)는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계산해서 해당 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Feedback)해주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피드백정보 계산부(170)에서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조합을 결정할 때에 인접 셀에 주는 간섭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서, 각각의 단말기(100A~100K)는 자신의 송신 동작에 의해서 인접 셀의 기지국이 받게 될 간섭 정도에 대한 정보를 계산해서 피드백해준다. 여기서,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로는 단말기(100A)의 송신 동작에 의해서 인접 셀이 받게 될 총 간섭 양이 될 수 있으며, 단말기(100A)의 송신 동작에 의해서 인접 셀이 받게 될 총 간섭 양은 수학식 11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07064627174-pat00034
여기에서
Figure 112007064627174-pat00035
은 단말기(100A)가 송신빔형성 벡터로
Figure 112007064627174-pat00036
를 사용했을 때에 인접 셀이 받게 될 총 간섭 양을 나타낸다. 이 값은 채널정보 추정부(110)에서 추정한 간섭채널정보와 송신빔형성 벡터 계산부(120)에서 계산한 송신빔형성 벡터를 기초로 수학식 11을 이용해서 계산한다.
피드백정보 계산부(170)에서 계산된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는 피드백정보 송신부(180)를 통해서 기지국(200)으로 전송된다.
이하에서는, 기지국(200)이 단말기(100A~100K)로부터 송신되는 피드백 정보(즉,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기지국(200)은 고주파 처리부(210), 정보 복원부(220), 채널 추정부(230), 사용자 조합 결정부(240), 피드백정보 수신부(260), 및 피드백정보 송신부(250)를 포함한다.
고주파 처리부(210)는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기저대역으로 변환하여 정보복원부(220) 및 채널추정부(230)에 전달한다.
정보복원부(220)는 고주파처리부(210)에서 전달된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기저대역 신호를 복원하되 채널정보추정부(230)에서 추정된 채널반응정보 및 간섭채널정보를 고려하여 복원한다.
채널추정부(230)는 채널반응정보 추정부(230a)와 간섭신호정보 추정부(230b)로 구성되며, 채널반응정보 및 간섭신호정보를 추정하여 사용자 조합 결정부(240)로 출력한다.
채널반응정보 추정부(230a)는 해당 셀에 속한 단말기(100A~100K)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기지국(200)과 단말기(100A~100K) 사이의 채널반응정보를 추정한다. 이때, 채널반응정보는 단말기(100A~100K)와 기지국(200)간의 채널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간섭신호정보 추정부(230b)는 인접 셀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기지국(200)이 인접 셀의 단말기로부터 받는 간섭에 대한 정보인 간섭신호정보를 추정한다.
피드백정보 수신부(260)는 단말기(100A~100K)로부터 송신되는 피드백정보 (즉,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 조합 결정부(240)에 전달한다.
사용자 조합 결정부(240)는 채널반응정보, 간섭신호정보, 및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해당 셀의 성능뿐만 아니라 인접 셀에 주는 간섭의 영향 및 인접 셀로부터 받는 간섭의 영향을 고려하여 사용자 조합을 결정한다. 여기서, 사용자 조합이란 기지국으로 데이터 전송을 원하는 단말기들 중에서 기지국이 선택한 단말기(사용자)들의 집합으로서, 선택된 사용자들은 그들의 데이터 신호를 동시에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 조합 결정부(240)는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연산수를 줄이기 위해서 사용자를 한 명씩 사용자 집합에 반복적으로 추가시키면서, 전체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율을 최대화시키는 사용자 집합을 사용자 조합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피드백정보 송신부(250)는 사용자조합 결정부(240)로부터 사용자 조합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단말기(100A~100K)에 전송한다.
도 2는 다중 셀 환경에서 통신을 위해 복수의 안테나를 갖는 K개의 단말기가 해당 셀의 성능뿐만 아니라 인접 셀들에게 주는 간섭 및 인접 셀들로부터 받는 간섭의 영향을 고려해서 기지국에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말기(100A~100K)는 하향링크시에 해당 셀의 기지국(200) 및 인접하는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반응정보 및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한 다(S100). 단말기(100A~100K)는 추정된 채널반응정보 및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해당 셀의 성능뿐만 아니라 인접 셀 간 간섭의 영향을 고려하여 송신빔형성벡터를 계산한다(S110). 단말기(100A~100K)는 추정된 간섭채널정보 및 계산된 송신빔형성벡터를 기초로, 기지국(200)이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계산하고, 이 정보를 기지국(200)으로 송신한다(S120, S130).
기지국(200)은 상향링크시에 해당 셀의 단말기(100A~100K) 및 인접하는 셀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반응정보 및 간섭신호정보를 추정한다(S140). 기지국(200)은 추정된 채널반응정보 및 간섭신호정보와 단말기(100A~100K)로부터 송신된 피드백정보(즉,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조합을 결정한다(S160). 그리고, 기지국(200)은 결정된 사용자 조합에 관한 정보를 단말기(100A~100K)로 송신한다(S170). 단말기(100A~100K)는 기지국(200)으로부터 송신되는 사용자 조합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방식을 구현하게 된다(S190). 따라서, 단말기가 데이터를 전송할 때, 해당 셀의 성능뿐 아니라 인접 셀로부터 받는 간섭 및 인접 셀에 주는 간섭의 영향까지 고려해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전체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지국에서의 사용자 조합 결정 알고리즘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Figure 112007064627174-pat00037
은 선택된 사용자의 집합을 나타내고,
Figure 112007064627174-pat00038
은 선택되 지 않은 사용자의 집합을 나타낸다. 첫 번째 과정은 초기화 과정으로서,
Figure 112007064627174-pat00039
은 공집합으로 정하고,
Figure 112007064627174-pat00040
은 모든 사용자 집합으로 정한다(S161).
이미 선택된 사용자 집합
Figure 112007064627174-pat00041
에 사용자 한 명을 추가하였을 때에, 전체 시스템의 전송율의 변화량(
Figure 112007064627174-pat00042
)을 계산한다. 이러한 과정을 아직 선택되지 않은 사용자 집합
Figure 112007064627174-pat00043
에 속한 모든 사용자들에 대해서 실시하고, 전체 시스템의 전송율의 변화량을 최대화시키는 사용자를
Figure 112007064627174-pat00044
로 정한다(S163). 전체시스템의 전송율의 변화량을 계산하는 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미 선택된 사용자 집합
Figure 112007064627174-pat00045
Figure 112007064627174-pat00046
사용자를 추가하였을 때에, 전체시스템의 전송율의 변화량이 0보다 큰지 작은지를 판단한다(S165).
판단결과, 전체시스템의 전송율의 변화량이 0보다 크면,
Figure 112007064627174-pat00047
사용자를
Figure 112007064627174-pat00048
에 추가하고,
Figure 112007064627174-pat00049
에서 제외한다(S167). 전체시스템의 전송율의 변화량이 0과 같거나 0보다 작으면,
Figure 112007064627174-pat00050
을 사용자 집합으로 하여 사용자 조합을 결정한다(S169).
한편, 전술한 전체시스템의 전송율의 변화량(
Figure 112007064627174-pat00051
)을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7064627174-pat00052
은 m번째 셀에서 이미 선택된 사용자 조합
Figure 112007064627174-pat00053
에 k번째 사용자를 추가하였을 때의 전체시스템의 전송율의 변화량을 의미한다. 전체시스템의 전송율의 변화량은 m번째 셀의 전송율의 변화량과 m번째 셀에 인접하는 셀의 전 송율의 변화량의 합으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m번째 셀의 전송율의 변화량은 m번쌔 셀의 정보를 이용해서 계산할 수 있지만, 인접하는 셀의 전송율의 변화량은 그 정확한 값을 알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인접하는 셀의 전송율의 변화량을 m번째 셀에서의 정보와 m번째 셀의 단말기의 송신동작에 의해 인접하는 셀의 기지국이 받게 될 총 간섭양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추정한다.
(해당 셀의 성능뿐만이 아니라 인접 셀들로부터 받는 간섭 및 인접하는 셀들로부터 받는 간섭까지 고려한 다중 사용자 전송 방법 - 하향링크시의 설명)
먼저, 하향링크 통신은 기지국이 단말기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하며, 여기서는 다중 셀, 다중 안테나, 다중 사용자 환경을 가정한다. 총 M개의 셀이 있고, 각각의 셀 마다 총 K명의 사용자가 있고,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에는 Nu개의 안테나가 있으며, 기지국에는 Nb개의 안테나가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m번째 셀의 k번째 사용자가 받는 신호는 수학식 17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7064627174-pat00054
여기서,
Figure 112007064627174-pat00055
은 m번째 셀에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조합을,
Figure 112007064627174-pat00056
은 n번째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m번째 셀의 k번째 단말기로의 채널응답행 렬(Nu X Nu)을,
Figure 112007064627174-pat00057
은 m번째 셀의 기지국이 m번째 셀의 k번째 단말기에게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송신빔형성 벡터(Nb X 1)를,
Figure 112007064627174-pat00058
은 m번째 셀의 기지국이 m번째 셀의 k번째 단말기에게 보내는 데이터 신호를,
Figure 112007064627174-pat00059
은 m번째 셀의 k번째 사용자의 수신 잡음 벡터(Nu X 1)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각각의 셀에서 사용자 조합(
Figure 112007064627174-pat00060
)을 결정하는 방법과 기지국이 사용자 조합에 있는 단말기들에게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송신빔형성 벡터(
Figure 112007064627174-pat00061
)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 조합 및 송신빔형성 벡터를 결정할 때에, 해당 셀의 성능뿐만 아니라 인접 셀 간 간섭의 영향을 동시에 고려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시한다.
도 4는 다중 셀 환경에서 통신을 위해 복수의 안테나를 갖는 기지국이 해당 셀의 성능뿐만이 아니라 인접 셀들로부터 받는 간섭 및 인접하는 셀들에게 주는 간섭까지 고려해서 K개의 단말기에게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에서는 하나의 셀 내에 하나의 기지국(300)과 다수의 단말기(400A~400K)와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고,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셀이 존재하고 그 각각의 셀에는 도 4에서와 같은 하나의 기지국(300)과 다수의 단말기(400A~400K)가 존재하는 다중 셀, 다중 사용자 환경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기지국(300)은 채널추정부(310), 송신빔형성벡터 계산부(320), 사용자 조합 결정부(325), 송신방식 구현부(330), 고주파처리부(340, 360), 및 스위치(350)를 포함한다.
송신방식구현부(330)는 송신빔형성벡터 계산부(320) 및 사용자조합 결정부(325)로부터 사용자조합에 관한 정보 및 송신빔형성벡터를 입력받아 송신정보신호의 송신방식을 구현한다.
고주파처리부(340)는 송신방식구현부(330)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스위치(350)는 다중 안테나를 통해 해당 셀 및 인접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고주파신호를 수신하여 고주파처리부(360)에 전달하고, 고주파처리부(340)에서 전송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여 다중 안테나를 통해 단말기(400A~400K)로 전달한다.
고주파처리부(360)는 스위치(350)으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채널추정부(310)로 전달한다.
채널추정부(310)는 채널반응정보 추정부(310a)와 간섭채널정보 추정부(310b)로 구성된다.
채널반응정보 추정부(310a)는 해당 셀의 단말기(400A~400K)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기지국(300)과 단말기(400A~400K) 사이의 채널반응정보를 추정한다. 이때, 채널반응정보는 기지국(300)과 단말기(400A~400K) 채널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m번째 셀의 기지국에 있어서 채널반응정보는 m번째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m번째 셀의 k번째 단말기로의 채널응답행렬(
Figure 112007064627174-pat00062
)이 될 수 있다.
간섭채널정보 추정부(310b)는 해당 셀에 인접하는 셀의 단말기에서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셀의 단말기가 기지국(300)의 송신동작에 의해 받게 될 간섭정도를 나타내는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한다. 간섭채널정보 추정부(320b)에서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하는 방식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추정되는 방식은 하나의 예시일 뿐,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추정가능하므로 이하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m번째의 기지국에 있어서 간섭채널정보는 m번째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인접 셀들의 단말기로의 개별적인 채널응답행렬(
Figure 112007064627174-pat00063
)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인접 셀의 단말기 각각에 대해서 개별적인 채널응답행렬을 추정하는 것이 어려울 경우에는 “인접 단말기로의 채널응답 행렬의 상관행렬의 합 (
Figure 112007064627174-pat00064
)”을 추정하고, 그것을 간섭채널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위첨자
Figure 112007064627174-pat00065
는 행렬의 허미션을 나타낸다. 실제로, 본 발명에서는 송신빔형성 벡터 및 사용자 조합을 결정할 때에 필요한 간섭채널정보로써 인접 셀의 단말기로 의 개별적인 채널응답행렬 대신에 “인접 단말기와 채널응답행렬의 상관행렬의 합”을 사용할 수 있다.
채널 추정부(310)는 상향링크 시에 해당 셀의 단말기(400A~400K) 및 인접 셀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채널반응정보와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한다.
TDD시스템과 같이 하향링크 주파수와 상향링크 주파수가 같은 경우에는 상향링크 채널과 하향링크 채널 사이의 채널응답상호성을 이용한다. 채널응답상호성은 상향링크 주파수와 하향링크 주파수가 같은 경우에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DD 시스템과 같이 하향링크 주파수와 상향링크 주파수가 다를 경우에는 수학식 2는 더 이상 성립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하향링크 채널응답행렬과 상향링크의 채널응답행렬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용해서 채널반응정보 및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송신빔형성벡터 계산부(320)는 채널추정부(310)에서 추정된 채널반응정보 및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즉, 기지국(300)이 속한 셀의 성능뿐만 아니라 인접 셀 간 간섭의 영향을 고려하여 송신빔형성벡터를 계산한다.
이하에서는, 송신빔현성벡터 계산부(120)에서 송신빔형성벡터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그 구체적인 예로, 무간섭 송신빔형성(transmit beamforming scheme)방법, 최대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송신빔형성(Maximum SGNIR transmit beamforming scheme)방법, 및 인접 셀의 활성도(Cell loading factor)를 반영한 신 호대-발생간섭잡음비 송신빔형성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하향링크에서 기지국이 송신빔형성 벡터를 계산할 때, 해당 셀 내의 해당 단말기를 제외한 다른 단말기에게 주는 간섭의 영향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시예 1 : 무간섭 송신빔형성 방법)
무간섭 송신빔형성 방법은, 기지국(300)이 해당 셀 내의 k번째 단말기에 데이터 신호를 전송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기지국(300)이 해당 셀 내에서 k번째 단말기를 제외한 단말기 및 인접 셀의 다른 단말기에게 간섭을 주지 않는 조건 하에 k번째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전송율을 최대화하는 송신빔형성 방법이다. 무간섭 송신빔형성 방법에서, m번째 셀의 k번째 단말기에게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송신빔형성 벡터는 수학식 13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7064627174-pat00066
여기서,
Figure 112007064627174-pat00067
은 n번째 셀의 k번째 단말기의 수신 벡터와 m번째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n번째 셀의 k번째 단말기로의 채널응답행렬을 곱한 유효채널벡터 (1 X Nb)를 벡터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수학식 13에서 첫 번째 조건식은 해당 셀 내 에서 k번째 단말기를 제외한 단말기들에게 간섭을 주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두 번째 조건식은 인접 셀 내의 단말기들에 간섭을 주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무간섭 송신빔형성 방법에서 송신빔형성 벡터를 계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채널추정부(310)에서 추정한 채널반응정보와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유효무간섭행렬을 수학식 14를 이용해서 계산한다.
Figure 112007064627174-pat00068
여기에서
Figure 112007064627174-pat00069
은 m번째 셀의 k번째 사용자에 대한 유효무간섭행렬을 의미한다. 유효무간섭행렬의 첫 번째 행벡터은 m번째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m번째 셀의 k번째 사용자로의 유효채널벡터로 이루어져 있고, 나머지 행벡터들은 m번째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m번째 셀의 다른 사용자 및 인접 셀의 사용자로의 유효채널벡터로 구성되어 있다. 수학식 14를 이용해서 유효무간섭행렬을 계산했으면, 계산된 역행렬의 첫 번째 열벡터를 송신빔형성 벡터로 사용한다.
(실시예 2 : 최대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송신빔형성 방법)
최대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송신빔형성 방법은 해당 셀의 성능과 인접 셀들에게 주는 간섭의 영향을 모두 적절하게 고려하여서 전체 셀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송신빔형성 방법이다. 최대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송신빔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먼저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를 정의한다. m번째 셀에서 기지국이 k번째 단말기에게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 송신빔형성 벡터
Figure 112007064627174-pat00070
를 사용했을 때에,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는 수학식 15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7064627174-pat00071
여기서,
Figure 112007064627174-pat00072
은 잡음의 파워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의 분자는 해당 단말기의 신호파워를 나타내고, 분모는 같은 셀에 있는 다른 단말기 및 인접 셀들의 단말기에게 주는 간섭의 파워와 잡음의 파워의 합을 나타낸다.
최대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송신빔형성 방법은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를 최대화하는 벡터를 송신빔형성 벡터로 사용한다. 이 경우에 m번째의 기지국이 k번째 사용자에게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송신빔형성 벡터는 수학식 1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7064627174-pat00073
이 문제를 풀기위해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을 수학식 17과 같이 정의한다.
Figure 112007064627174-pat00074
최대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송신빔형성 방법에서 송신빔형성 벡터를 계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채널추정부(310)에서 추정한 채널반응정보 및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
Figure 112007064627174-pat00075
)을 계산하고,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의 가장 큰 아이겐값(eigen-value)에 대응하는 아이겐벡터(eigen-vector)를 계산하여, 계산한 아이겐벡터를 송신빔형성 벡터로 사용한다.
(실시예 3 : 인접 셀의 활성도를 반영한 최대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송신빔형성 방법)
인접 셀의 활성도를 반영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은 수학식 18과 같이 정의한다.
Figure 112007064627174-pat00076
여기에서
Figure 112007064627174-pat00077
는 인접 셀의 활성도를 나타낸다. 인접 셀의 활성도를 반영한 최대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송신빔형성 방법은 인접 셀의 활성도를 반영한 신호대 -발생간섭잡음비를 최대화하는 벡터를 송신빔형성 벡터로 사용한다. 이 경우에 m번째 셀의 기지국이 k번째 단말기에게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송신빔형성 벡터는 수학식 19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7064627174-pat00078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 인접 셀의 활성도를 반영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을 수학식 20와 같이 정의한다.
Figure 112007064627174-pat00079
인접 셀의 활성도를 반영한 최대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송신빔형성 방법에서 송신빔형성 벡터를 계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채널추정부(310)에서 추정한 채널반응정보 및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인접 셀의 활성도를 반영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
Figure 112007064627174-pat00080
)을 계산하고, 인접 셀의 활성도를 반영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의 가장 큰 아이겐값(eigen-value)에 대응하는 아이겐벡터(eigen-vector)를 계산하여, 계산한 아이겐벡터를 송신빔형성 벡터로 사용한다.
사용자 조합 결정부(325)는 채널추정부(320)에서 추정된 채널반응정보 및 간섭채널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해당 셀의 성능뿐만 아니라 기지국이 인접 셀 에 주는 간섭의 영향(즉, 기지국의 송신동작에 의해 인접 셀의 단말기가 받게 될 간섭의 영향)을 고려하여 사용자 조합을 결정한다. 이때, 사용자 조합 결정부(325)는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연산수를 줄이기 위해서 사용자(단말기)를 한 명씩 사용자 집합에 반복적으로 추가시키면서, 전체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율을 최대화시키는 단말기 집합을 사용자 조합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조합 결정부(325)에서 인접 셀에 주는 간섭의 영향을 고려할 때, 추가적으로 인접 셀의 활성도를 반영할 수 있다.
도 5는 다중 셀 환경에서 통신을 위해 복수의 안테나를 갖는 기지국이 해당 셀의 성능뿐만 아니라 인접 셀에게 주는 간섭의 영향을 고려해서 K 개의 단말기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지국(300)은 상향링크시에 해당 셀의 단말기(400A~400K) 및 인접하는 셀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반응정보 및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한다(S200). 기지국(300)은 추정된 채널반응정보 및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해당 셀의 성능과 인접 셀에게 주는 간섭을 고려하여 송신빔형성벡터 및 사용자 조합을 결정한다(S210). 그리고, 기지국(300)은 송신빔형성벡터 및 사용자 조합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방식을 구현하게 된다(S220). 따라서, 기지국이 데이터를 전송할 때, 해당 셀의 성능 및 인접 셀에 주는 간섭의 영향을 고려해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전체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다중 셀 환경에서 통신을 위해 복수의 안테나를 갖는 K개의 단말기가 해당 셀의 성능뿐만이 아니라 인접 셀들로부터 받는 간섭 및 인접하는 셀들에게 주는 간섭까지 고려해서 기지국에게로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중 셀 환경에서 통신을 위해 복수의 안테나를 갖는 K개의 단말기가 해당 셀의 성능뿐만 아니라 인접 셀들에게 주는 간섭 및 인접 셀들로부터 받는 간섭의 영향을 고려해서 기지국에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지국에서의 사용자 조합 결정 알고리즘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다중 셀 환경에서 통신을 위해 복수의 안테나를 갖는 기기국이 해당 셀의 성능뿐만이 아니라 인접하는 셀들에게 주는 간섭의 영향을 K개의 단말기에게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다중 셀 환경에서 통신을 위해 복수의 안테나를 갖는 기지국이 해당 셀의 성능뿐만 아니라 인접 셀에게 주는 간섭의 영향을 고려해서 K 개의 단말기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A, 100K, 400A, 400K: 단말기 200, 300 : 기지국
110, 310 : 채널 추정부 100a, 230a : 채널반응정보 추정부
110b : 간섭채널정보 추정부 120, 320 : 송신빔 형성벡터 계산부
230b : 간섭신호정보 추정부 130, 330 : 송신방식 구현부
140, 160, 210, 340, 360 : 고주파 처리부
230 : 정보 복원부 240, 325 : 사용자조합 결정부
150, 350 : 스위치 170 : 피드백정보 계산부
180, 250 : 피드백정보 송신부
190, 260 : 피드백정보 수신부

Claims (68)

  1. 다중 사용자 다중 셀 환경에서 어느 하나의 셀 내에 제 1단말기 및 제 1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단말기는, 상기 제 1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기지국으로의 채널반응정보를 추정하고, 해당 셀에 인접하는 셀의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2기지국이 받게 될 간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1기지국이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계산하여 상기 제 1기지국에 전송하고,
    상기 제 1기지국은,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의 채널반응정보를 추정하고, 해당 셀에 인접하는 셀의 제 2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2단말기로부터 받는 간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간섭신호정보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채널반응정보와 상기 간섭신호정보, 및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여 상기 제 1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단말기는,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기지국으로의 채널반응정보를 추정하고, 상기 제 2기지국이 상기 제 1단말기의 송신 동작에 의해 받게 될 간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하는 채널정보 추정부;
    추정된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송신빔형성 벡터를 계산하는 송신빔형성 벡터 계산부;
    추정된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1기지국이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계산하는 피드백정보 계산부;
    상기 피드백정보 계산부에서 계산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 1기지국에 전송하는 피드백정보 송신부; 및
    상기 제 1기지국에서 결정된 사용자 조합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피드백정보 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기지국은,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기지국으로의 채널반응정보를 추정하고, 상기 제 1기지국이 상기 제 2단말기로부터 받는 간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간섭신호정보를 추정하는 채널정보 추정부;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는 피드백정보 수신부;
    추정된 상기 채널반응정보와 상기 간섭신호정보, 및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 사용자 조합 결정부; 및
    상기 사용자 조합 결정부에서 결정된 사용자 조합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 1단말기로 전송하는 피드백정보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4. 다중 사용자 다중 셀 환경에서 제 1단말기를 포함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단말기가 속한 셀의 제 1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기지국으로의 채널반응정보를 추정하고, 상기 제 1단말기가 속한 셀에 인접하는 셀의 제 2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2기지국이 상기 제 1단말기의 송신 동작에 의해 받게 될 간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하는 채널정보 추정부;
    추정된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송신빔형성 벡터를 계산하는 송신빔형성 벡터 계산부;
    추정된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1기지국이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계산하는 피드백정보 계산부;
    상기 피드백정보 계산부에서 계산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 1기지국에 전송하는 피드백정보 송신부; 및
    상기 제 1기지국에서 결정된 사용자 조합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피드백정보 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채널정보 추정부는 상기 제 2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단말기로의 하향링크 채널응답행렬과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채널응답행렬 사이의 채널응답상호성을 이용하여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채널정보 추정부는 상기 제 2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단말기로의 하향링크의 채널응답행렬과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채널응답행렬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7.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채널정보 추정부는 상기 제 1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단말기로의 하향링크 채널응답행렬과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채널응답행렬 사이의 채널응답상호성을 이용하여 상기 채널반응정보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8.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채널정보 추정부는 상기 제 1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단말기로의 하향링크의 채널응답행렬과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채널응답행렬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채널반응정보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9.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송신빔형성벡터 계산부는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1단말기가 속한 셀의 링크 성능과 상기 제 1단말기가 상기 제 2기지국에게 주는 간섭을 고려하여 상기 송신빔형성 벡터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송신빔형성벡터 계산부는 상기 송신빔형성벡터 계산시 상기 제 2기지국의 활성도를 추가로 반영하여 상기 송신빔형성벡터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11.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송신빔형성벡터 계산부는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간섭 채널응답행렬의 상관행렬을 계산하고, 상기 상관행렬의 가장 작은 아이겐값에 대응하는 아이겐벡터를 기초로 상기 송신빔형성 벡터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12.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송신빔형성벡터 계산부는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을 계산하고, 상기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의 가장 큰 아이겐 값에 대응하는 아이겐벡터를 기초로 상기 송신빔형성 벡터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13.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송신빔형성벡터 계산부는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인접 셀의 활성도를 반영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을 계산하고, 상기 인접 셀의 활성도를 반영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의 가장 큰 아이겐 값에 대응하는 아이겐벡터를 기초로 상기 송신빔형성 벡터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1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는 상기 제 1단말기의 송신 동작 에 의해 상기 제 2기지국이 받게 될 간섭 정도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 2기지국이 받게 될 간섭 정도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 1단말기의 송신 동작에 의해 상기 제 2기지국이 받게 될 총 간섭양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16. 다중 사용자 다중 셀 환경에서 제 1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기지국이 속한 셀에 함께 속해 있는 제 1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기지국으로의 채널반응정보를 추정하고, 상기 제 1기지국이 속한 셀에 인접하는 셀의 제 2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기지국이 상기 제 2단말기로부터 받는 간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간섭신호정보를 추정하는 채널정보 추정부;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는 피드백정보 수신부;
    추정된 상기 채널반응정보와 상기 간섭신호정보, 및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 사용자 조합 결정부; 및
    상기 사용자 조합 결정부에서 결정된 사용자 조합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 1단말기로 송신하는 피드백정보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17. 청구항 3 또는 16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합 결정부는 상기 채널반응정보와 상기 간섭신호정보, 및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상기 제 1기지국이 속한 셀의 링크 성능, 상기 제 1기지국이 상기 제 2단말기로부터 받는 간섭, 및 상기 제 1단말기가 상기 제 2기지국에게 주는 간섭의 영향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합 결정부는 상기 사용자 조합 결정시 상기 제 2기지국의 활성도를 추가로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19. 청구항 3 또는 16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합 결정부는 전체 시스템 전송률을 최대화시키도록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20. 청구항 3 또는 16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합부는 반복적으로 사용자를 한 명씩 사용자 집합에 추가하면서 전체 시스템 전송률을 최대화시키도록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전체 시스템 전송률은 상기 제 1기지국이 속한 셀의 전송률과 상기 제 1기지국에 속한 셀에 인접하는 셀의 전송률의 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 1기지국에 속한 셀에 인접하는 셀의 전송률은 상기 제 1기지국이 속한 셀의 정보와 상기 제 1단말기의 송신 동작에 의해 상기 제 2기지국이 받게 될 총 간섭양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23. 다중 사용자 다중 셀 환경에서 제 1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기지국이 속한 셀에 함께 속해 있는 제 1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단말기로의 채널반응정보를 추정하 고, 상기 제 1기지국이 속한 셀에 인접하는 셀의 제 2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2단말기가 상기 제 1기지국의 송신 동작에 의해 받게 될 간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하는 채널정보 추정부;
    추정된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송신빔형성벡터를 계산하는 송신빔형성벡터 계산부; 및
    추정된 상기 채널반응정보와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 사용자 조합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채널정보 추정부는 상기 제 2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채널응답행렬과 상기 제 1기지국으로부터 상기 2단말기로의 하향링크 채널응답행렬 사이의 채널응답상호성을 이용하여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25.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채널정보 추정부는 상기 제 2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채널응답행렬과 상기 제 1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단말기로의 하향링크 채널응답행렬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26.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채널정보 추정부는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채널응답행렬과 상기 제 1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단말기로의 하향링크 채널응답행렬 사이의 채널응답상호성을 이용하여 상기 채널반응정보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27.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채널정보 추정부는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채널응답행렬과 상기 제 1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단말기로의 하향링크 채널응답행렬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채널반응정보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28.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송신빔형성벡터 계산부는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1기지국이 속한 셀의 성능 및 상기 제 1기지국이 상기 제 2단말기에게 주는 간섭의 영향을 고려하여 상기 송신빔형성 벡터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송신빔형성벡터 계산부는, 상기 송신빔형성벡터 계산시에 상기 제 2단말기의 활성도를 추가로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30.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송신빔형성벡터 계산부는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유효무간섭행렬을 계산하고, 상기 유효무간섭행렬의 역행렬의 첫 번째 열벡터를 기초로 상기 송신빔형성 벡터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31.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송신빔형성벡터 계산부는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을 계산하고, 상기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의 가장 큰 아이겐 값에 대응하는 아이겐벡터를 기초로 상기 송신빔형성 벡터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32.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송신빔형성벡터 계산부는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인접 셀의 활성도를 반영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을 계산하고, 상기 인접 셀의 활성도를 반영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의 가장 큰 아이겐 값에 대응하는 아이겐벡터를 기초로 상기 송신빔형성 벡터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33.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조합 결정부는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1기지국이 속한 셀의 링크 성능 및 상기 제 1기지국이 상기 제 2단말기에게 주는 간섭의 영향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34.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조합 결정부는 상기 사용자 조합 결정시에 상기 제 2단말기의 활성도를 추가로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35.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조합 결정부는 전체 시스템 전송률의 변화량을 최대화시키도록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36.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조합 결정부는 반복적으로 사용자를 한 명씩 사용자 집합에 추가하면서 전체 시스템 전송률의 변화량을 최대화시키도록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37. 다중 사용자 다중 셀 환경에서 복수의 안테나를 갖는 제 1단말기가 해당 셀의 제 1기지국에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 1단말기가, 하향링크시에 상기 제 1기지국 및 인접하는 셀의 제 2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반응정보 및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말기가,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송신빔형성벡터를 계산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1단말기가, 상기 간섭채널정보 및 상기 송신빔형성벡터를 기초로,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계산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1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상기 제 1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제 4단계;
    상기 제 1기지국이, 상향링크시에 상기 제 1단말기 및 인접하는 셀의 제 2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반응정보 및 간섭신호정보를 추정하는 제 5단계;
    상기 제 1기지국이 ,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 6단계;
    상기 제 1기지국이, 상기 채널반응정보, 상기 간섭신호정보, 및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 제 7단계;
    상기 제 1기지국이, 상기 결정된 사용자 조합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 1단말기로 송신하는 제 8단계; 및
    상기 제 1단말기가, 상기 제 1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사용자 조합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방식을 구현하는 제 9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방법.
  38.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제 2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단말기로의 하향링크 채널응답행렬과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채널응답행렬 사이의 채널응답상호성을 이용하여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방법.
  39.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제 2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단말기로의 하향링크 채널응답행렬과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채널응답행렬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 중 송수신 방법.
  40.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제 1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단말기로의 하향링크 채널응답행렬과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채널응답행렬 사이의 채널응답상호성을 이용하여 상기 채널반응정보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방법.
  41.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제 1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단말기로의 하향링크 채널응답행렬과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채널응답행렬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채널반응정보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방법.
  42.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1단말기가 속한 셀의 링크 성능 및 상기 제 1단말기가 상기 제 2기지국에게 주는 간섭을 고려하여 상기 송신빔형성벡터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방법.
  43. 청구항 42에 있어서,
    상기 송신빔형성벡터 계산시에 상기 제 2기지국의 활성도를 추가로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방법.
  44.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간섭 채널응답행렬의 상관행렬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상관행렬의 가장 작은 아이겐값에 대응하는 아이겐벡터를 기초로 상기 송신빔형성 벡터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방법.
  45.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의 가장 큰 아이겐 값에 대응하는 아이겐벡 터를 기초로 상기 송신빔형성 벡터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방법.
  46.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인접 셀의 활성도를 반영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인접 셀의 활성도를 반영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의 가장 큰 아이겐 값에 대응하는 아이겐벡터를 기초로 상기 송신빔형성 벡터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방법.
  47.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는, 상기 제 1단말기의 송신 동작에 의해 상기 제 2기지국이 받게 될 간섭 정도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방법.
  48. 청구항 47에 있어서,
    상기 제 2기지국이 받게 될 간섭 정도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 1단말기의 송신 동작에 의해 상기 제 2기지국이 받게 될 총 간섭양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방법.
  49.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제 7단계는,
    상기 채널반응정보와 상기 간섭신호정보, 및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상기 제 1기지국이 속한 셀의 성능, 상기 제 1기지국이 해당 셀 내의 다른 단말기로부터 받는 간섭, 및 상기 제 1단말기가 상기 제 2기지국에게 주는 간섭의 영향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방법.
  50. 청구항 49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합 결정시에 상기 제 2기지국의 활성도를 추가로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방법.
  51.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제 7단계는,
    전체 시스템의 전송률을 최대화시키도록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방법.
  52.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제 7단계는,
    반복적으로 사용자를 한 명씩 사용자 집합에 추가하면서 전체 시스템의 전송률을 최대화시키도록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방법.
  53. 청구항 52에 있어서,
    상기 전체 시스템의 전송률은 상기 제 1기지국이 속한 셀의 전송률과 상기 제 1기지국에 속한 셀에 인접하는 셀의 전송률의 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방법.
  54. 청구항 53에 있어서,
    상기 제 1기지국에 속한 셀에 인접하는 셀의 전송률은 상기 제 1기지국이 속한 셀의 정보 및 상기 제 1단말기의 송신동작에 의해 상기 제 2기지국이 받게 될 총 간섭양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추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방법.
  55. 다중 사용자 다중 셀 환경에서 복수의 안테나를 갖는 제 1기지국이 해당 셀의 제 1단말기에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 1기지국이, 상향링크시에 상기 제 1단말기 및 인접하는 셀의 제 2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반응정보 및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기지국이,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1기지국이 속한 셀의 성능 및 상기 제 1기지국이 상기 제 2단말기에게 주는 간섭의 영향을 고려하여 송신빔형성 벡터를 계산하고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제 1기지국이, 상기 송신빔형성 벡터 및 상기 결정된 사용자 조합에 근거하여 송신방식을 구현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방법.
  56. 청구항 55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제 2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채널응답행렬과 상기 제 1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단말기로의 하향링크 채널응답행렬 사이의 채널응답상호성을 이용하여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방법.
  57. 청구항 55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제 2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채널응답행렬과 상기 제 1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단말기로의 하향링크 채널응답행렬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 중 송수신 방법.
  58. 청구항 55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채널응답행렬과 상기 제 1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단말기로의 하향링크 채널응답행렬 사이의 채널응답상호성을 이용하여 상기 채널반응정보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방법.
  59. 청구항 55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채널응답행렬과 상기 제 1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단말기로의 하향링크 채널응답행렬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채널반응정보의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방법.
  60. 청구항 55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1기지국이 속한 셀의 성능 및 상기 제 1기지국이 상기 제 2단말기에게 주는 간섭의 영향을 고려하 여 상기 송신빔형성 벡터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방법.
  61. 청구항 60에 있어서,
    상기 송신빔형성 벡터 계산시에 상기 제 2단말기의 활성도를 추가로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방법.
  62. 청구항 55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유효무간섭행렬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무간섭행렬을 역행렬의 첫 번째 열벡터를 기초로 상기 송신빔형성벡터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방법.
  63. 청구항 55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의 가장 큰 아이겐 값에 대응하는 아이겐벡 터를 기초로 상기 송신빔형성벡터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방법.
  64. 청구항 55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인접 셀의 활성도를 반영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인접 셀의 활성도를 반영한 신호대-발생간섭잡음비 행렬의 가장 큰 아이겐 값에 대응하는 아이겐벡터를 기초로 상기 송신빔형성벡터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방법.
  65. 청구항 55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채널반응정보 및 상기 간섭채널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1기지국이 속한 셀의 성능 및 상기 제 1기지국이 상기 제 2단말기에게 주는 간섭의 영향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방법.
  66. 청구항 65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조합 결정시에 상기 제 2단말기의 활성도를 추가로 반영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방법.
  67. 청구항 55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전체 시스템의 전송률을 최대화시키도록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방법.
  68. 청구항 55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반복적으로 사용자를 한 명씩 사용자 집합에 추가하면서 전체 시스템의 전송률을 최대화시키도록 상기 사용자 조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방법.
KR1020070090064A 2007-09-05 2007-09-05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및 그 방법 KR100910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064A KR100910178B1 (ko) 2007-09-05 2007-09-05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및 그 방법
US12/676,728 US8467468B2 (en) 2007-09-05 2008-07-18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having plural antenna in multi-user environments and method thereof
PCT/KR2008/004209 WO2009031757A1 (en) 2007-09-05 2008-07-18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having plural antenna in multi-user environment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064A KR100910178B1 (ko) 2007-09-05 2007-09-05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034A KR20090025034A (ko) 2009-03-10
KR100910178B1 true KR100910178B1 (ko) 2009-07-30

Family

ID=40429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064A KR100910178B1 (ko) 2007-09-05 2007-09-05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67468B2 (ko)
KR (1) KR100910178B1 (ko)
WO (1) WO200903175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312B1 (ko) * 2011-12-27 2013-06-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셀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의 사용자 선택 장치 및 방법
WO2014098444A1 (ko) * 2012-12-17 2014-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기지국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792B1 (ko) 2007-12-31 2010-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협력적 다중 입출력 방식 신호 송수신 방법
US8331974B1 (en) * 2008-08-05 2012-12-1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Control of power level commands in wireless devices
US8396162B2 (en) * 2008-11-03 2013-03-12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hoosing a modulation and coding rate in a multi-user, MIMO communication system
JP5135282B2 (ja) * 2009-05-14 2013-02-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基地局装置
US20100304744A1 (en) * 2009-05-29 2010-12-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earches with multiple receive diversity (rxd) search modes
KR101605326B1 (ko) * 2010-02-26 2016-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그를 위한 기지국 및 사용자기기
KR101645416B1 (ko) * 2010-06-16 2016-08-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다중 셀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의 간섭 제거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404030B (zh) * 2010-09-14 2014-06-18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确定目标赋形权矢量的方法、装置及系统
WO2013048115A2 (ko) * 2011-09-26 2013-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을 위한 상향링크 간섭 채널에서의 간섭 조정 방법
CN102523026B (zh) * 2011-12-20 2014-04-02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通信终端及其秩指示参数的检测方法和装置
KR102007804B1 (ko) * 2013-03-19 2019-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채널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2204393B1 (ko) * 2013-07-17 2021-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랜 단말기의 구동 방법
EP3547742A1 (en) * 2015-01-29 2019-10-02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2616419B1 (ko) * 2016-10-12 2023-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구성에 기반한 빔 탐색 장치 및 방법
EP3382968B1 (en) * 2017-03-31 2020-01-01 Intel IP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radio communication
KR20190069145A (ko) * 2017-12-11 2019-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윈도우 수퍼포지션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CN113141229B (zh) * 2020-01-20 2022-07-0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干扰抑制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9143A (ko) * 2005-05-18 2006-11-24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다중 셀 환경에서의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119144A (ko) * 2005-05-18 2006-11-24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통신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43880A (ko) * 2004-08-12 2007-04-25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Mimo-ofdm 시스템에서 서브캐리어와 안테나 선택을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7748B2 (en) * 2000-12-15 2005-09-20 Adaptix, Inc. OFDMA with adaptive subcarrier-cluster configuration and selective loading
US20030125040A1 (en) * 2001-11-06 2003-07-03 Walton Jay R. Multiple-access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communication system
US7151755B2 (en) * 2002-08-23 2006-12-19 Navini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multi-cell interference redu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6107230A1 (en) * 2005-03-30 2006-10-12 Intel Corporatio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with joint transmitter and receiver adaptive beamforming for enhanced signal-to-noise ratio
KR100868948B1 (ko) * 2005-12-10 2008-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드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US8155597B2 (en) * 2006-01-10 2012-04-10 Marvell World Trade Ltd. Transmission scheduling for receiver feedback
US8855046B2 (en) * 2006-03-30 2014-10-07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uplink coordinated reception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s
CA2663258A1 (en) * 2006-10-10 2008-04-17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pilot multiplexing in su-mimo and sdma for sc-fdma system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3880A (ko) * 2004-08-12 2007-04-25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Mimo-ofdm 시스템에서 서브캐리어와 안테나 선택을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60119143A (ko) * 2005-05-18 2006-11-24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다중 셀 환경에서의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119144A (ko) * 2005-05-18 2006-11-24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통신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312B1 (ko) * 2011-12-27 2013-06-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셀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의 사용자 선택 장치 및 방법
WO2014098444A1 (ko) * 2012-12-17 2014-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기지국
US9591631B2 (en) 2012-12-17 2017-03-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device for receiv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and method and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US9769838B2 (en) 2012-12-17 2017-09-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device for receiv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and method and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31757A1 (en) 2009-03-12
US20100232534A1 (en) 2010-09-16
KR20090025034A (ko) 2009-03-10
US8467468B2 (en) 201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178B1 (ko) 다중 사용자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및 그 방법
US7773949B2 (en) Multi-transmission/reception antenna device and multi-transmission/reception method in multi-user and multi-cell environment
KR101507088B1 (ko) 다중 입출력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빔 성형 및 공간분할 다중 접속 장치 및 방법
CN102104404B (zh) 无线通信系统中多用户mimo的传输方法、基站和用户终端
CN101617522B (zh) 在多输入多输出网络中创建波束赋形信道的方法和系统
EP2997705B1 (en) Large-scale fading coefficient estimation in wireless massive mimo systems
EP3185434B1 (en) Method and device for beamforming
KR100864260B1 (ko) 다중 송수신 안테나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14792A (ko) 상향 링크에서의 다중 사용자 간섭 정렬 시스템 및 방법
KR100890793B1 (ko) 결정적 섭동 기울기 근사를 이용하여 안테나 가중치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 및 관련 방법
US20100323630A1 (en) Reception apparatus, mobile equipment,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Almamori et al. Estimation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for massive MIMO based on received data using Kalman filter
KR20150134520A (ko) Mu­mimo 간섭 채널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간섭정렬 송수신 신호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020242B1 (ko) 단말의 수신 장치, 기지국의 송신 장치 및 수신 신호 결합 방법
KR101587566B1 (ko) 다중 사용자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유니터리 프리코딩 장치 및 방법
JP2008236066A (ja) 空間多重伝送用送信方法および装置
KR101024105B1 (ko) 시간영역 채널 값의 양자화를 이용한 채널 상태 전달 방법
Heath et al. Multiuser MIMO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s
CN101350657B (zh) 一种实现多用户公平调度与预编码的方法及装置
KR101427420B1 (ko) 다중입출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장치
KR101579749B1 (ko) 다중 입출력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 링크를 위한 공동 빔 성형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송수신 장치
KR101005539B1 (ko)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의 송신 안테나 선택 방법 및 그 무선 송수신 장치
KR101402248B1 (ko) 다중 사용자 다중 입출력 무선통신 시스템의 간섭 제거장치 및 방법
Zanella et al. Analytical comparison of power allocation methods in MIMO systems with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Gaddam Achievable Rate Analysis of NOMA-Aided Massive MIMO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7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7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PJ0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32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090724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90320

Appeal identifier: 201910000093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093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320

Effective date: 20190829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5D

Patent event date: 20190829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90320

Decision date: 20190829

Appeal identifier: 201910000093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