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09882B1 - Composite slab structure using deck plate for reducing floor level - Google Patents

Composite slab structure using deck plate for reducing floor level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882B1
KR100909882B1 KR1020080116814A KR20080116814A KR100909882B1 KR 100909882 B1 KR100909882 B1 KR 100909882B1 KR 1020080116814 A KR1020080116814 A KR 1020080116814A KR 20080116814 A KR20080116814 A KR 20080116814A KR 100909882 B1 KR100909882 B1 KR 100909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plate
slab structure
support piece
beam member
h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68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창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림피에스
이창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림피에스, 이창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림피에스
Priority to KR1020080116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88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882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 E04B5/23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 보 상부에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슬래브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슬래브 구조체를 시공함에 있어, 데크플레이트의 단부를 보 부재의 상부에 얹는 대신, 데크플레이트의 상부에 별도의 돌출지지편을 결합하고 이를 보 부재에 대한 걸침 부재로서 활용하여 슬래브 구조체 내에 보 상부측이 포함되게 함으로써 슬래브를 포함한 보 전체 높이를 줄여 층고를 절감할 수 있는 층고 절감형 슬래브 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ab structure which is formed by installing a deck plate on the upper part of a beam and placing concrete on the upper part in the construction of a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when constructing a slab structure using the deck plate, Instead of placing the end on top of the beam member, join the separate protruding support piece to the top of the deck plate and use it as a catching member for the beam member so that the beam upper side is included in the slab structure, thereby increasing the overall beam height including the slab.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saving slab structure system that can reduce floor height.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데크플레이트 슬래브 구조는 보 부재에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슬래브 구조체를 형성하는 슬래브 구조로서, 데크플레이트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와는 별도로 마련되는 부재로서,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부측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설치된 돌출지지편;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지지편은 데크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된 부위가 보 부재의 상부면에 걸쳐지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그 기본적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deck plate slab structur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ab structure to form a slab structure by installing the deck plate on the beam member, the deck plate and; A member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deck plate, the protrusion supporting piece being coupl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deck plate and install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outside of the deck plate; It is made to include, wherein the protruding support piece is installed so that th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deck plate 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beam member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load of the deck plate is its basic technical features.

Description

바닥높이 절감형 데크플레이트 슬래브 구조 {COMPOSITE SLAB STRUCTURE USING DECK PLATE FOR REDUCING FLOOR LEVEL}Floor height-saving deck plate slab structure {COMPOSITE SLAB STRUCTURE USING DECK PLATE FOR REDUCING FLOOR LEVEL}

본 발명은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 보 상부에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슬래브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슬래브 구조체를 시공함에 있어, 데크플레이트의 단부를 보 부재의 상부에 얹는 대신, 데크플레이트의 상부에 별도의 돌출지지편을 결합하고 이를 보 부재에 대한 걸침 부재로서 활용하여 슬래브 구조체 내에 보 상부측이 포함되게 함으로써 슬래브를 포함한 보 전체 높이를 줄여 층고를 절감할 수 있는 층고 절감형 슬래브 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ab structure which is formed by installing a deck plate on the upper part of a beam and placing concrete on the upper part in the construction of a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when constructing a slab structure using the deck plate, Instead of placing the end on top of the beam member, join the separate protruding support piece to the top of the deck plate and use it as a catching member for the beam member so that the beam upper side is included in the slab structure, thereby increasing the overall beam height including the slab.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saving slab structure system that can reduce floor height.

일반적으로 데크플레이트란 구조물의 바닥판을 형성함에 있어 종래의 거푸집 대용으로서 콘크리트 타설 후에도 해체되지 않고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아연도 강판과 같은 금속제 플레이트를 가공하여 제조된 슬래브용 자재를 말한다. 데크플레이트는 크게 합성용과 형틀용으로 구분되며 전자는 그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일체가 되어 설계하중의 일부를 부담하는 형태이고 후자는 단순히 거푸집 대용으로 사용되는 형태이다. 이러한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슬래브 구조체를 시공하는 방식에 따르게 되면, 설치가 용이하고 시공이 간편하므로 현장에서의 노동력 소요가 줄어 공사비가 절감될 뿐 아니라,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등 가설 공사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공장 생산된 규격화된 자재를 사용함에 따라 시공 관리가 용이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 확보가 보장된다는 등의 여러 장점이 있는바, 최근 들어 이와 같이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슬래브 구조체를 시공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Generally, the deck plate refers to a slab material manufactured by processing a metal plate such as galvanized steel sheet to form a structure without being dismantled after concrete pouring as a substitute for a conventional formwork. Deck plate is largely divided into synthetic and mold. The former is integrated with concrete placed on the upper part and bears part of the design load. The latter is simply used as a formwork substitute. According to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slab structure using such deck plate, it is easy to install and easy to install, which reduces labor cost in the field and reduces construction cost, and it also saves time for construction work such as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formwork. There are many advantages such as cost savings and the use of factory-produced standardized materials, making it easier to manage construction and ensuring a certain level of quality. Recently, slab structures have been used using deck plates. Construction is increasing.

그런데, 상기와 같은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슬래브를 시공하는 기존의 방식을 보게 되면, 일반적으로 기시공된 철골 보 부재의 상부에 데크플레이트의 단부를 거치하여 용접 등으로 고정한 다음, 그 상부에 콘크리트를 소정 두께로 타설하여 바닥판을 형성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러한 기존의 데크플레이트 시공 방식에 따르게 되면 보 구조체 상부에 바닥판이 얹혀져 시공되는 것이므로, 슬래브 상부로부터 보 하부까지의 높이가 증가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건물의 층고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층고의 증가는 건물의 자중 증가, 외장 마감재의 증가로 인한 공사비의 증대를 가져오게 되고, 동일한 건물고에 대한 단위 면적당 용적률의 감소 등 여러가지 불리한 점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가 있다.By the way, when looking at the existing method of constructing the slab using the deck plate as described above, by fixing the end of the deck plate on the upper part of the pre-installed steel beam members, fixed by welding or the like, and then the concrete on the top It is made by forming a bottom plate by pouring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ccording to the existing deck plate construction method is that the bottom plate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eam structure, the height from the top of the slab to the lower part of the beam is increased as a whole of the building The floor height will increase. The increase in the height of the building leads to an increase in the construction cost due to the increase in the weight of the building, the increase in the exterior finishing material, there is a problem that brings various disadvantages such as a decrease in the volume ratio per unit area for the same building.

이에, 건축 구조기술 분야에서는 상기와 같이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함에 따른 층고 증가의 문제에 대하여 바닥판을 포함한 보의 전체 높이를 줄이기 위한 노력 및 연구를 계속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층고 절감을 위한 슬래브 공법으로서 알려진 대표적인 사례들을 예시하면 도7a 내지 도7e에 도시된 것과 같다.Therefore, in the field of building structural technology, efforts and researches to reduce the overall height of beams including the bottom plate have been carried out on the problem of the increase of the height due to the use of the deck plate as described above. Illustrative representative examples are as shown in FIGS. 7A-7E.

먼저, 도5a에 도시된 방식은 철골보의 상부에 스터드 볼트와 같은 쉬어 커넥터를 설치하여 이 쉬어 커넥터를 매개로 상부에 타설된 슬래브 콘크리트와 철골보를 일체화시킴으로써 슬래브 콘크리트가 보의 일부로 편입되어 철골 보의 춤을 줄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철근콘크리트 바닥 슬래브 구조체를 보 단면의 일부로 편입시켜서 구조적으로 T형 합성보와 같이 거동하게 하는 기술은 오래전부터 실용화되어 있으나, 보의 전체 높이가 제한되는 경우에는 되도록 바닥판의 두께를 줄여야 하는데, 타설된 슬래브 콘크리트가 양생되기 이전에 데크플레이트가 작업하중을 지탱하는 것이 양생 후에 합성보 바닥판이 적재하중까지 지탱하는 것보다 오히려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시공 과정에서 처짐 제어용 가설 서포트를 추가로 설치하거나 데크플레이트의 강성 증가를 위해 소재가 되는 강판의 두께를 키움에 따라 경제성이 결여되기도 하는 단점이 있어 왔다.First, the method shown in Figure 5a is to install a sheath connector, such as a stud bolt on the upper part of the cheolgolbo by integrating the slab concrete and the cheolgolbo placed on the upper through this sheath connector to incorporate the slab concrete as part of the beam to It is to reduce the dance. As such, the technique of incorporating the reinforced concrete floor slab structure as part of the cross section of the beam to structurally behave like a T-shaped composite beam has been practically used for a long time. However, when the overall height of the beam is limited,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late should be reduced. It may be more difficult for the deckplate to support the working load before the cast slab concrete is cured than for the composite beam deck to support the loading after curing. For this reason, in addition to the installation of the temporary support for the sag control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r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steel plate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deck plat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economy lacks.

이에 따라, 철골보의 상부 플랜지가 슬래브 구조체의 단면 내에 묻이도록 함으로써 전체 층고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이른바 슬림 플로어 공법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공법들에 대한 대표적인 예들은 도7b 내지 도7e에 도시된 것과 같다. Accordingly, a so-called slim floor method has been developed to reduce the overall height by allowing the upper flange of the cheolgolbo to be buried in the cross section of the slab structure, and representative examples of such methods are as shown in FIGS. 7B to 7E. .

도5b는 철골보에 있어 상부 플랜지보다 하부 플랜지의 폭을 더 크게 하여 하부 플랜지 위에 일반 데크플레이트에 비해 골이 높은 이른바 디프데크(deep deckplate)를 얹고 바닥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슬림 플로어 공법이고, 도7c는 최근에 발표된 TU보로서 상기 도7b에 도시된 슬림 플로어의 하부 플랜지 외곽부를 위로 치켜올려 디프데크를 사용하는 대신 일반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슬림 플로어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Figure 5b is a slim floor method of placing a so-called deep deck plate, which is larger than a normal deck plate, and placing the floor concrete on the lower flange by making the lower flange wider than the upper flange. As a recently announced TU beam, the lower flange edge of the slim floor shown in FIG. 7B is lifted up to implement a slim floor using a general deck plate instead of using a deck deck.

또한, 도7d에 도시된 공법은 일반 H형강 철골보의 웨브플레이트에 강판 또는 ㄱ 형강을 부착하여 데크플레이트를 얹는 턱으로 활용하는 방법이며, 도5e는 상부가 평활한 데크플레이트의 단부를 프레스로 눌러서 철골보의 상부에 걸쳐 설치함으로써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In addition, the method shown in Figure 7d is a method of using a steel plate or a-beam to attach the deck plate to the web plate of the ordinary H-steel cheolgolbo as a jaw to place the deck plate, Figure 5e by pressing the end of the deck plate with a smooth top By installing over the upper part of the cheolgolbo is to reduce the overall height.

이상에서 열거한 보/슬래브 시스템들은 기본적으로 그 근본을 H형강 철골보에 둔 것으로, 이들은 플랜지가 웨브플레이트에서 좌우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판을 웨브플레이트에 직접 부착할 수 없는 근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해결 방법으로서, 시공적인 측면에서 볼 때, 데크플레이트를 거치하기 위해 표준 규격의 H형강과 다른 특수하게 맞춤 제작된 철골보를 사용하거나 철골보의 측면에 별도의 걸침 부재를 견고하게 용접하거나, 혹은 데크플레이트에 추가의 가공을 해야 함으로써 시공이 번거롭고 추가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기존 방식의 경우 압축응력이 야기되는 슬래브 구조체의 하부측과 철골보가 만나는 부위에 별도의 강판 등 보강 부재를 추가하여야 하므로 이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도 있었다. The beam / slab systems listed above are basically based on the H-beam steel beams, which are used to solve the fundamental problem in that the bottom plate cannot be directly attached to the web plate because the flanges protrude from side to side on the web plate. As a variety of solutions, from a construction point of view, use standard H-beams and other specially-customized steel beams to mount the deck plate, or firmly weld separate clad members to the sides of the steel beams, or The additional processing on the plate has the disadvantage of cumbersome construction and additional cost.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method described above, since a reinforcing member, such as a steel sheet, needs to be added to a portion where the lower side of the slab structure and the cheolgolbo meet where the compressive stress is cau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st and time increase.

한편, 근래 들어 건축물의 층고 절감을 위한 방법으로서 보의 춤을 줄이는 대신 폭을 늘린 와이드 보(wide beam) 시스템도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주차장과 같은 용도의 구조물의 경우 큰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구조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보 춤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층고 절감에 큰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우며, 오히려 비대해진 보의 폭으로 인한 기둥과의 접합문제, 시공단계에서 처짐의 발생 가능성과, 골조의 물량 증가문제 등의 새로운 문제 발생이 예상되고 있는바 이 역시 층고 절감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으로서는 미흡한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as a method for reducing the height of the building instead of reducing the dance of the beam, wide beam (wide beam) system has been attempted to increase the width. However, in the case of a structure such as a parking lot, it is difficult to expect a large effect on floor height reduction because there is a limit in reducing the beam dancing in order to obtain the structural performance required to support a large load. It is expected that new problems such as joint problems, the possibility of deflection at the construction stage, and the increase of the quantity of the frame are expected to be a fundamental solution to the reduction of the height.

이에, 본 발명자들은 경제성,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구조 시스템에 대한 연구에 노력한 결과,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데크플레이트에 별도의 돌출걸림편을 결합하고 이를 보 부재의 상부에 걸쳐 데크플레이트의 하중을 지지하게 함으로써 바닥판을 포함한 보의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데크플레이트 슬래브 구조 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been working on a new type of structural system that can secure economic feasibility, constructability, and structural stability.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mbined a separate protruding engaging piece to the deck plate and explained the upper part of the beam member The development of a new deckplate slab structural system that reduces the overall height of the beam, including the bottom plate, by supporting the deckplate's load over the board.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슬래브 구조체를 시공함에 있어, 데크플레이트의 단부를 보 부재의 상부에 얹는 대신, 데크플레이트의 상부에 별도의 돌출지지편을 결합하고 이를 보 부재에 대한 걸침 부재로서 활용하여 데크플레이트의 상단부와 보의 상단부가 일치하게 함으로써 슬래브를 포함한 보 전체 높이를 줄여 층고를 절감할 수 있는 개선된 데크플레이트 슬래브 구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본적인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structing a slab structure using a deck plate, instead of placing the end of the deck plat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eam member, it combines a separate projecting support on the top of the deck plate and utilizes it as a hook member for the beam member It is a basic technical task to provide an improved deck plate slab structure system that can reduce the height of the beam by reducing the height of the entire beam including the slab by matching the upper end of the deck plate and the upper end of the beam.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데크플레이트의 상단부와 보의 상단부가 일치하게 함에 있어 간단한 부가 구성만으로 시공할 수 있음으로써 추가 비용의 발생을 최소화함과 더불어, 보와 보 사이에 실제 폭의 정밀도가 확보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콘크리트의 흘러내림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슬래브 구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tructed with a simple additional configuration in matching the upper end of the deck plate and the upper end of the beam as described above,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additional costs, and the accuracy of the actual width between the beam and the beam Another technical problem is to provide a slab structural system that can minimize the occurrence of concrete downflow even if it is not secured.

또한, 본 발명은 하단부에 굴곡이 있어서 바닥 콘크리트 두께가 일정하지 않아 미관, 소음, 진동 및 필요시 내화성에 문제가 있던 기존의 대부분의 데크플레이트 슬래브 시스템에 대하여, 바닥판 구조체의 두께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진동, 소음, 내화성에 좋은 효과를 확보하면서도 외관적으로 미려하고 시공이 간편한 슬래브 구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uniformizing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late structure for the existing deck plate slab system that has a problem in aesthetics, noise, vibration and, if necessary, fire resistance because the bottom concrete thickness is not constant because of the curvature at the bottom. Another technical challenge is to provide a slab structure system that is beautiful in appearance and easy to construct while securing a good effect on vibration, noise and fire resistanc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보 부재에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슬래브 구조체를 형성하는 데크플레이트 슬래브 구조로서, 데크플레이트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와는 별도로 마련되는 부재로서,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부측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설치된 돌출지지편;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지지편은 데크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된 부위가 보 부재의 상부면에 걸쳐지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 슬래브 구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a deck plate slab structure to form a slab structure by installing a deck plate on the beam member, a deck plate and; A member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deck plate, the protrusion supporting piece being coupl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deck plate and install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outside of the deck plate; It comprises a, wherein the protruding support piece is provided so that the portion projecting from the deck plate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beam member to provide a deck plate slab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support the load of the deck plate. .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데크플레이트로는 평판형의 바닥기판 상부에 수직웨브와 수평플랜지를 포함하여 'T'자 형상을 갖는 보강리브가 일체로 형성된 형태의 합성형 데크플레이트가 사용되고, 상기 돌출지지편은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보강리브에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ck plate is used as a composite deck plate of the form in which the reinforcing rib having a 'T' shape including a vertical web and a horizontal flange on the flat bottom substrate is integrally formed, The protruding support piece is configured to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reinforcing rib of the deck plate.

이때, 상기와 같이 "T'형 보강리브를 갖는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의 수평플랜지에는 타 부재를 끼워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돌출지지편은 상기 보강리브의 수평플랜지에 마련된 공간부 내에 끼워져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deck plate having a "T 'type reinforcement rib as described above, the horizontal flange of the reinforcement ribs to form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other member is formed, the protruding support piece is It can be configured to be fixed to be fitted in the space provided in the horizontal flange of the reinforcing rib.

또한, 상기 돌출지지편을 데크플레이트에 고정하는 또 다른 바람직한 방식으로서, 상기 돌출지지편을 제작함에 있어 상기 보강리브의 수평플랜지를 끼워 넣어 수용할 수 있도록 일자 형태의 공간부가 마련되게 하고 하부측 중앙에는 상기 수직웨브가 통과할 수 있는 개방부가 형성되도록 돌출지지편을 구성한 다음, 상기 보강리브의 수평플랜지 단부 외측에 상기 돌출지지편을 끼워 서로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another preferred method of fixing the protruding support piece to the deck plate, in the production of the protruding support piece, a flat portion having a straight shape to accommodate the horizontal flange of the reinforcing ribs is provided and the lower side center The protruding support piece may be configured to have an open portion through which the vertical web passes, and then the protruding support piece may be inserted outside the horizontal flange end of the reinforcing rib so as to b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나아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상기 보 부재로서 일반 H형강 철골보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강판을 절곡 성형하여 일정한 내부 공간을 갖도록 제작된 보외피와, 상기 보외피의 내부에 충전된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강판과 콘크리트 합성 거동하도록 한 보 부재를 적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Furthermore, as a more preferable configura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rather than using a general H-beam steel beam as the beam member, the outer shell and the outer shell made to have a constant internal space by bending a steel sheet, and the inside of the outer shell Particular preference is given to applying beam members which are constructed to include filled concrete to allow steel sheet and concrete composite behavior.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 슬래브 구조 시스템에 따르면, 바닥판 구조체의 두께 내에 TSC 보의 상부 플랜지 등 보 부재의 상부가 묻히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슬래브를 포함한 보 높이가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ck plate slab structur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upper part of the beam member, such as the upper flange of the TSC beam is buried within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late structure can be obtained the effect of reducing the height of the beam including the slab as a whol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데크플레이트가 TSC 보의 측면에 직접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바, TSC 보가 데크플레이트 하부에 작용하는 압축력을 바로 받을 수 있어 별도의 철근을 배치하지 않은 콘크리트만으로도 충분하므로 보-슬래브 접합 부위에 대한 별도의 보강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아 공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ck plate is configured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TSC beam, the TSC beam can be directly received the compressive force acting on the lower deck plate, so the concrete is not enough to arrange the reinforcing beam- Sinc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reinforcement treatment for the slab joi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판의 두께가 균일하여 진동, 소음, 내화성에 좋은 효과를 확보하면서도 외관상 미려한 장점이 있으며, 시공이 간편하여 공사비가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late is uniform, while ensuring a good effect on vibration, noise, fire resistance, there is an elegant appearance in appearance, and the construction is easy to expect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높이 조절형 데크플레이트 슬래브 구조에 대한 제1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floor height adjustable deck plate slab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에 도시된 슬래브 구조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FIG. 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slab structure shown in FIG.

도3은 도1에 도시된 데크플레이트의 단부에 돌출지지편을 끼워 넣은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면으로서, (a)는 측면에서 본 도면이고 (b)는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Figure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jecting support piece is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deck plate shown in Figure 1, (a) is a side view and (b) is a front view.

도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데크플레이트에 대한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preferred example of the deck plat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높이 조절형 데크플레이트 슬래브 구조에 대한 제2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loor height adjustable deck plate slab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도5에 도시된 데크플레이트의 단부에 돌출지지편을 끼워 넣은 상태를 도시한 A부분 확대 도면으로서, (a)는 측면에서 본 도면이고 (b)는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otruding support piece is inserted into an end portion of the deck plate shown in FIG. 5, (a) is a side view and (b) is a front view.

도7a 내지 도7e는 종래에 바닥 높이를 절감하기 위한 슬래브 공법으로서 기존에 알려진 대표적인 사례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7A to 7E are diagrams showing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conventionally known slab method for reducing the floor heigh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데크플레이트 2: 보 부재1: deck plate 2: beam member

3 : 와이어메쉬 4 : 바닥 콘크리트3: wire mesh 4: floor concrete

12 : 보강리브 14 : 연결단부12: reinforcing rib 14: connection end

15 : 바닥기판 17 : 돌출지지편15: bottom substrate 17: protruding support piec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높이 조절형 데크플레이트 슬래브 구조에 대한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슬래브 구조에 대한 측단면도로서,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보 부재(2)에 데크플레이트(1)를 설치하여 슬래브 구조체를 형성하는 데크플레이트 슬래브 구조에 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loor height adjustable deck plate slab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lab structure shown in Figure 1, Figures 1 and 2 Referring to,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relates to a deck plate slab structure in which the deck plate 1 is installed on the beam member 2 to form a slab structure.

특히, 본 발명은 도1 및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래브 타설을 위해 데크플레이트(1)를 보 부재(2)에 설치함에 있어, 데크플레이트를 단순히 보 위에 거치하는 종래의 설치 방식 대신, 데크플레이트(1)의 단부측에 별도의 부재인 돌출지지편(17)을 마련하여 이를 데크플레이트 상부측에 끼워 결합한 다음, 상기 돌출지지편(17)의 돌출된 부위를 보 부재(2) 상부에 얹어 하중을 지지하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종래 기술과 차별화되는 주요한 기술적 특징을 가진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2, in installing the deck plate 1 to the beam member 2 for slab casting, instead of the conventional installation method of simply mounting the deck plate on the beam, the deck Providing a separate support protrusion 17, which is a separate member on the end side of the plate (1) by fitting it to the upper side of the deck plate, and then projecting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protrusion support 17 on the upper beam member (2) It has a major technical feature that is different from the prior art in that it supports the load.

이러한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 설치 구조에 따르게 되면, 데크플레이트 전체가 보 상부에 거치됨으로써 그 위에 타설된 슬래브 콘크리트의 전체 두께가 그대로 보 높이에 더해져 층고가 높아지게 되었던 종래의 설치 방식과 비교할 때, 데크플레이트의 상단부와 보의 상단부의 높이가 일치하게 됨으로써 바닥판의 두께 내에 보의 일부(상단부)가 묻히게 되므로 슬래브를 포함한 보 전체의 높이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eck plat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ck plate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eam plate,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slab concrete poured on it is added to the height of the beam as it i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installation method that the height of the floor is increased, deck plate Since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beam and the upper end of the beam is buried in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late part (upper end)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height of the entire beam including the slab.

도4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슬래브 구조에 있어 사용되는 데크플레이트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바닥 높이 절감형 데크플레이트는 기본적으로 평판형의 바닥기판(15) 상부에 수직웨브(12a)와 수평플랜지(12b)를 포함하여 'T'자 형상을 갖는 보강리브(12)가 일체로 형성된 형태의 데크플레이트로서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데크플레이트는 시공중에는 거푸집의 용도로 활용되다가 콘크리트가 굳은 뒤에는 콘크리트와 일체화되어 철근을 대신하여 휨인장에 저항하는 영구 바닥판의 역할을 하는 이른바 합성용 데크플레이트로서, 이러한 T형 보강리브를 갖는 합성용 데크플레이트는 현재 국내의 여러 제조사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 Figure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deck plate used in the slab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4, the floor height saving deck plate preferab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Therefore, it has a configuration as a deck plate in which a reinforcing rib 12 having a 'T' shape is integrally formed on the flat bottom substrate 15 including a vertical web 12a and a horizontal flange 12b. . This type of deck plate is a composite deck plate that is used as a formwork during construction but is integrated with concrete after the concrete is hardened and acts as a permanent deck that resists flexural tension in place of reinforcing bars. Synthetic deck plate having is currently being manufactured by various domestic manufacturers.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바닥높이 절감형 데크플레이트를 적용함에 있어 기존에 시판되고 있는 데크플레이트 제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기존의 모든 데크플레이트는 폭이 60cm로 제작되고 있어서 미터자를 사용하는 설치작업이 불편하다는 점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측면 연결단부의 형태가 제품별로 일정하게 정해져 있어 연결단부에는 돌출지지편(17)을 끼울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으므로 도4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의 데크플레이트를 폭 50cm로 별도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applying the floor height-saving deck plate as described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commercially available deck plate product as it is, but all existing deck plates are made with a width of 60 cm so that the installation work using the meter It is inconvenient, and as described below, the side connecting end is fixed in shape for each product,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truding support piece 17 cannot be inserted in the connecting end, so that the deck plate having the shape shown in FIG. 4 is wide.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separately made 50cm.

또한,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데크플레이트(2)의 단부에는 보 부재(1)의 상부에 걸쳐 설치하기 위한 지지 부재로서 돌출지지편(17)이 추가로 설치된다. 상기 돌출지지편(17)은 기본적으로 상기 데크플레이트(1)의 보강리브(12)와 물리적인 끼움 결합에 의해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보강리브(12)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태로 마련되는데,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르면 아연도 강판을 절곡하여 ''형태로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지지편(17)의 전체 길이는 약 15cm 정도가 적당하며, 이 돌출지지편(17)을 보강리브(12)의 수평플랜지(12b) 부분에 10cm 정도 끼워서 5cm 정도를 데크플레이트 외부로 돌출시키고 이와 같이 돌출된 부위를 걸침 수단으로 활용하여 데크플레이트(1)를 보 부재(2)에 설치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to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end of the deck plate (2) as described above, the protruding support piece (17) as a support member for installing over the upper part of the beam member (1) This is additionally installed. The protruding support piece 17 is basically provid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einforcing rib 12 so that it can be installed by physical fitting coupling with the reinforcing rib 12 of the deck plate 1, FIG.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ure 3 to bend the galvanized steel sheet ' It can be produced by molding in a 'shape. At this time, the total length of the protruding support piece 17 is about 15 cm, and the protruding support piece 17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flange 12b portion of the reinforcing rib 12 by about 10 cm to about 5 cm outside the deck plate. And the deck plate 1 is installed on the beam member 2 by utilizing the protruding portion as a latching means.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4에 도시된 데크플레이트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데크플레이트를 제작함에 있어 인접 데크플레이트와의 연결 이음을 위한 측면 단부가 안쪽을 향하는 'ㄱ'자의 형태를 취하게 함으로써 2개의 데크플레이트를 연결했을 때 상기 연결단부들이 만나 상기 보강리브와 같은 'T'자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more preferably, as shown in the deck plate shown in Figure 4 in the manufacture of the deck plate has the form of the letter 'A' with the side end portion for the connection seam with the adjacent deck plate facing inwards. When the two deck plat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ends meet to form a 'T' shape like the reinforcing rib.

따라서,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좌,우 이음 위치에서 2개의 'ㄱ'형 연결단부들이 만나 형성되는 'T'형 플랜지에도 상술한 것과 같은 돌출지지편(17)을 끼워 넣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돌출지지편(17)은 데크플레이트의 하중을 보 부재에 전달하는 기본적인 역할 외에도 인접하는 데크플레이트들을 연결 고정하는 수평 연결수단으로서도 활용할 수 있는바 간편하게 데크플레이트를 이음 시공할 수 있는 부가적인 장점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protruding support piece 17 as described above may also be inserted into the 'T' type flange formed by the two 'a' connection ends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joint positions of the deck plate, in which case the protruding portion In addition to the basic role of transmitting the load of the deck plate to the beam member, the support piece 17 can also be utilized as a horizontal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and fixing adjacent deck plates. An additional advantage of easily connecting the deck plate can be expected. Will b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 부재(2)로는 기본적으로 기존에 알려진 여러 형식의 보, 예컨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보, 철근콘크리트(RC) 보, 철골철근콘트리트(SRC) 보 등에도 충분히 적용이 가능하지만,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강판과 콘크리트가 합성된 강판-콘크리트 합성보가 특히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m member 2 is basically sufficient for beams of various types known in the art, such as precast concrete (PC) beams, reinforced concrete (RC) beams, steel reinforced concrete (SRC) beams, and the like. Although applicable, the steel sheet-concrete composite beam in which the steel sheet and the concrete are synthesized a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may be particularly preferably applied.

여기서, 상기 강판-콘크리트 합성 보라 함은, 보 부재를 제작함에 있어 강판을 절곡 성형하여 일정한 내부공간을 갖는 외피를 제작하고 그 내부에 철근의 배근없이 오로지 콘크리트만 채워 넣음으로써 상기 강판 외피가 시공중에는 거푸집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시공된 후에는 보강철근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본 발명자에 의해 특별히 개발된 구조 형식이다. Here, the steel sheet-concrete composite boring, in the fabrication of the beam member by bending the steel sheet to produce a shell having a certain internal space and filling only the concrete without the reinforcement of the reinforcement inside the steel sheet shell during construction It is a structural form specially developed by the present inventors to serve as a formwork and to function as a reinforcing bar after being constructed.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강판-콘크리트 합성 보 보(2)의 외피가 되는 강재는 일반적인 철골철근콘크리트 보와 비교할 때 H형강 철골과 철근 및 거푸집의 3종 역할을 겸할 수 있으므로 그 속에 콘크리트를 부어 넣으면 완벽한 강합성 구조가 되어 구조적 내력 및 시공 경제성에서 매우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외관은 철근콘크리트 기둥과 같이 사각형으로서 그 모서리면은 강판 성형의 특성상 원호를 이루고 있으므로 외관상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장점이 있어 주차장과 같이 별도의 마감을 필요로 하지 않는 공작물에서도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that is the shell of the steel plate-concrete composite beam 2 can serve as three types of H-shaped steel frame and reinforcing steel and formwork when compared to general steel reinforced concrete beams, so that concrete is poured therein. It is a perfect composite structure, which is very advantageous in structural strength and construction economics. In addition, the exterior is rectangular, such as reinforced concrete pillars, and its corners form an arc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teel sheet forming, so it has an advantage of giving a soft feel in appearance, and thus can be suitably used even in a workpiece tha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finish such as a parking lot.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지지편(17)에 의한 특징적인 데크플레이트 하중 지지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바,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데크플레이트(1)의 하단부가 보 부재(2)의 상단보다 소정거리 아래로 내려오도록 설치된다. 이때, 구조적으로 보와 만나는 바닥 슬래브의 응력은 상부가 인장력을 받고 하부측에는 압축력이 야기되는데, 일반적으로 웨브플레이트와 상,하부 플랜지 사이에 공간이 있는 H형강 철골보와는 달리 상기한 강판-콘크리트 합성보의 경우 사각 단면을 가짐으로써 데크플레이트(1)의 하단부가 강판-콘크리트 합성보 부재(2)의 측면과 직접 만나게 되므로 데크플레이트 하부측에 야기되는 수평 압축력이 보 부재에 의해 직접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슬래브 두께의 일부(하부)가 보의 측면과 접하는 부위에 보강 강판을 배치하지 않고 오로지 콘크리트만으로도 구조상 충분하고 데크플레이트의 안정된 지지를 위해 상기한 돌출지지편(17) 이외의 특별한 자재나 보강 조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바 이러한 면에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강판-콘크리트 합성보가 본 발명에 대해 매우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haracteristic deck plate load supporting method by the protruding support piece 17 is adopted. As shown in FIG. 2, the lower end of the deck plate 1 has the beam member 2. Installed below the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op of the). At this time, the stress of the bottom slab structurally meets the beam is caused by the tensile force on the upper side and the compressive force on the lower side, in general, unlike the H-beam steel ball with a space between the web plate and the upper, lower flanges In the case of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the lower end of the deck plate 1 directly meets the side of the steel plate-concrete composite beam member 2, so that the horizontal compressive force caused on the deck plate lower side can be directly supported by the beam member. Therefore, the concrete alone is sufficient in structure without placing the reinforcing steel sheet at the part where the slab thickness (lower part) is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beam, and special material or reinforcement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protruding support piece 17 for stable support of the deck plate. In this respect, the steel sheet-concrete composite bea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be suitably used for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강판-콘크리트 합성 보(2)의 상부에 데크플레이트(1)를 설치한 이후에는 데크플레이트 위에 추가로 와이어메쉬(3)를 설치하거나 내력상 필요한 경우 보강리브(12)와 직각 방향으로 배력근(도시되지 않음)을 얹어 배근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강판-콘크리트 합성 보(2)와 돌출지지편(17)이 만나는 부위는 용접을 하여 콘크리트 타설시의 압력에 흔들리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돌출지지편이 보 부재와 상부 콘크리트 간에 원활한 합성 작용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전단 연결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도3에서 미설명 식별부호 18은 TSC 보(2)의 구조상 상부측에 형성된 개방부를 보강하기 위해 설치된 폭 지지근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폭 지지근(18)은 쉬어 커넥터로서의 기능도 겸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deck plate 1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eel plate-concrete composite beam 2 as described above, the wire mesh 3 is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deck plate, or perpendicular to the reinforcing rib 12 when necessary. It can also be placed by placing a back muscle (not shown) in the direction. Further, the site where the steel plate-concrete composite beam 2 and the protruding support piece 17 meet is welded so as not to be shaken by the pressure during concrete placement, and the protruding support piece has a smooth synthetic action between the beam member and the upper concrete. It is more desirable to be able to serve as a shear linker to be able to occur. On the other hand, in Figure 3, the non-explained reference numeral 18 represents a width support muscle provided to reinforce the opening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TSC beam 2, the width support 18 may also function as a sheer connector. have.

상기와 같이 데크플레이트(1)가 설치되면, 그 위에 슬래브 콘크리트(4)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슬래브 구조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데크플레이트(1)로서 두께 50mm의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하면 강판-콘크리트 합성보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4)의 두께를 50mm로 할 경우 10cm 두께의 바닥 슬래브가 조성되며, 이 경우 슬래브로 인한 전체 높이의 증가는 50mm만으로 제한되므로 데크플레이트가 보 부재 상부에 거치된 경우에 비해 50mm의 층고 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데크플레이트(1)와 상부 콘크리트(4)의 두께를 조정하면 슬래브의 두께는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구조적 내력 및 층고 제한에 맞춰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다.When the deck plate 1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 slab concrete 4 is poured on it and cured to form a slab structure. At this time, when the deck plate of thickness 50mm is used as the deck plate 1, when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4 placed on the steel plate-concrete composite beam is 50mm, a bottom slab of 10 cm thickness is formed, in this case, due to the slab. The increase in overall height is limited to only 50mm, resulting in a 50mm floor height reduction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deck plate is mounted on top of the beam member. In addition, if the thickness of the deck plate 1 and the upper concrete (4) is adjusted, the thickness of the slab can be freely adjusted, so that it is possible to flexibly respond to the structural strength and the height limit required.

다음으로, 도5와 도6은 본 발명의 바닥높이 절감형 데크플레이트 슬래브 구조에 대한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5 and 6 illustrate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loor height reduction deck plate slab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or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도5 및 6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경우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 그 기본적인 기술 개념, 즉 데크플레이트(1)의 보강리브(12)에 별도의 돌출지지편(17)을 일체로 결합하고, 이 돌출지지편(17)을 보 부재(2)에 대한 걸침쇠로서의 역할을 하게 함으로써 층고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을 하고 있으며, 다만 상기 돌출지지편(17)과 보강리브(12)의 결합 방식에 대해서 다소의 차이가 있는바 이러한 차이점에 대해서만 간략히 설명한다.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S. 5 and 6, when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3, the basic technical concept, that is, a separate projecting support on the reinforcing rib 12 of the deck plate 1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height by engaging the piece 17 integrally and acting as a latch for the beam member 2. However,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method of the protruding support piece 17 and the reinforcing rib 12, and only these differences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제2 실시예의 경우 상기한 돌출지지편(17)을 데크플레이트(1)의 보강리브(12)에 고정 설치함에 있어 보강리브(12)의 내측에 일정한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데크플레이트를 성형하고, 이 공간부 내에 돌출지지편(200)을 삽입하여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실시예의 돌출지지편(17) 고정 방식을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하면, 먼저 제1 실시예의 경우 보강리브의 형태가 기존에 시판되고 있는 데크플레이트에서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기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데크플레이트를 거의 변형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돌출지지편에 걸리는 하중의 지지에 있어 슬래브 하중이 보강리브 플랜지를 거쳐 ''형 돌출지지편의 하측 개방부위 양측에 바로 가해지게 되는바 구조적으로 다소 불안하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As shown in FIGS. 5 and 6,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ribs 12 are fixed to the reinforcing ribs 12 of the deck plate 1. It can be seen that the deck plate is formed so that a predetermined space portion is provided inside, and the protrusion plate 200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space plate.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fixing the protruding support piece 17 of the second embodiment, first,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has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deck plate that is commercially available. Whi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eck plate, which is generally used in general, can be used as it is without deformation, the slab load is passed through the reinforcing rib flange to support the load on the protruding support piece. The bar is directly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opening of the protruding support, there may be a disadvantage in that the structure is somewhat unstable.

이에 비해, 도5 및 도6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경우 제1 실시예와는 달리 보강리브의 내측에 일정한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데크플레이트를 성형하고 이 공간부를 이용하여 돌출지지편에 보강리브를 끼워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 하중 지지면에서 더욱 안정된 구조를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이 경우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데크플레이트에 비해 리브의 형태에서 약간 차이가 있으므로 돌출지지편 결합을 위해 특별히 맞춤 제작된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점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계 하중 및 경제성 등의 면에서 적절한 시스템을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S. 5 and 6,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deck plate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pace portion inside the reinforcing rib, and the reinforcing rib is formed on the protruding support piece using the space portion. It has the advantage of having a structure that is more stable in the load bearing surface tha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to fit. In this case, however,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the shape of the ribs compared to the deck plate used in the pas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specially made deck plate for the protrusion support is used, and therefore, the above points are comprehensively designed. Select the appropriate system in terms of load and economy.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additions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described abov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ed embodiments are also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below.

Claims (8)

보 부재에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슬래브 구조체를 형성하는 데크플레이트 슬래브 구조에 있어서, In a deck plate slab structure in which a deck plate is provided on a beam member to form a slab structure, 평판형의 바닥기판 상부에 수직웨브와 수평플랜지를 포함하여 'T'자 형상을 갖는 보강리브가 일체로 형성된 형태의 합성형 데크플레이트; 및,A composite deck plate having a reinforcing rib integrally formed with a 'T' shape including a vertical web and a horizontal flange on an upper portion of a flat bottom plate; And, 상기 데크플레이트와는 별도로 마련되는 부재로서,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보강리브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단부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설치된 돌출지지편;A member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deck plate, the protruding support piece integrally coupled to the reinforcing rib of the deck plate and install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outside the end of the deck plate;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It is made, including 상기 돌출지지편은 데크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된 부위가 보 부재의 상부면에 걸쳐지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높이 절감형 데크플레이트 슬래브 구조.The projecting support piece is a floor height saving deck plate slab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support the load of the deck plate is installed so that th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deck plat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eam memb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의 수평플랜지에는 타 부재를 끼워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rizontal flange of the reinforcing rib is formed with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other member, 상기 돌출지지편은 상기 보강리브 수평플랜지의 공간부 내에 끼워져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높이 절감형 데크플레이트 슬래브 구조.The projecting support piece is a height-saving deck plate slab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s fixed to be install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reinforcing rib horizontal flan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지지편은 상기 보강리브의 수평플랜지를 끼워 넣어 수용할 수 있도록 일자 형태의 공간부가 마련되고, 하부측 중앙에는 상기 수직웨브가 통과할 수 있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ding support piece is provided with a space portion in the form of a date to accommodate the horizontal flange of the reinforcing rib, the lower side is formed with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vertical web passes through the center, 상기 돌출지지편은 그 공간부 내에 상기 보강리브의 수평플랜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높이 절감형 데크플레이트 슬래브 구조.The projecting support piece is a height-saving deck plate slab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flange of the reinforcing ribs are installed to be fixed in the space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지지편은 하나의 강재를 절곡하여 ' '자 형태를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높이 절감형 데크플레이트 슬래브 구조.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rotruding support piece is bent one steel material ' Floor height saving deck plate slab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have a 'shape.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플레이트는 인접 설치되는 데크플레이트와의 연결 이음을 위한 측면 단부에 'ㄱ'형태의 연결단부가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2개의 데크플레이트를 연결했을 때 상기 연결단부들이 만나 상기 보강리브와 같은 'T'자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며,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deck plate is connected to the deck plate to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side end for the 'b' shaped connection end is formed so as to face the inside when connecting the two deck plates The connecting ends are configured to form a 'T' shape like the reinforcing ribs, 상기 연결단부에는 상기 돌출지지편이 추가로 끼워져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높이 절감형 데크플레이트 슬래브 구조.Height-saving deck plate slab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end is further fitted with the projecting support pie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 부재는 단면 형상이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높이 절감형 데크플레이트 슬래브 구조.The floor height saving deck plate slab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eam member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 부재는 강판을 절곡 성형하여 사각 단면 형상의 내부 공간을 갖도록 제작된 보외피와 상기 보외피의 내부에 충전된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높이 절감형 데크플레이트 슬래브 구조.The beam memb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wherein the beam member includes a beam shell manufactured to have an inner space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by bending a steel sheet and concrete filled in the interior of the shell shell. Floor-floor deck plate slab structure.
KR1020080116814A 2008-11-24 2008-11-24 Composite slab structure using deck plate for reducing floor level Expired - Fee Related KR1009098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814A KR100909882B1 (en) 2008-11-24 2008-11-24 Composite slab structure using deck plate for reducing floor lev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814A KR100909882B1 (en) 2008-11-24 2008-11-24 Composite slab structure using deck plate for reducing floor lev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9882B1 true KR100909882B1 (en) 2009-07-30

Family

ID=41338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814A Expired - Fee Related KR100909882B1 (en) 2008-11-24 2008-11-24 Composite slab structure using deck plate for reducing floor lev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9882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260B1 (en) * 2011-04-15 2011-10-12 김윤환 Composite slab connection method using crimped connector
KR101192038B1 (en) 2009-07-27 2012-10-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Composite deck having steel plate with two dirctional corrugational members
KR101618798B1 (en) * 2015-08-25 2016-05-09 (주)센벡스 Structure for fixing deck form
CN105780993A (en) * 2016-05-06 2016-07-20 湖南标迪夫节能科技有限公司 Formwork-free prefabricated assembly type cavity plate
CN105780990A (en) * 2016-05-06 2016-07-20 湖南标迪夫节能科技有限公司 Prefabricated assembly type cavity floor slab for cavity floor system
CN109113249A (en) * 2018-10-10 2019-01-01 上海欧本钢结构有限公司 A kind of combination floor support plat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3491A (en) * 1992-03-17 1993-10-12 Atsushi Nakagawa Beam and floor structure
JPH09165863A (en) * 1995-12-15 1997-06-24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Flat deck plate of adjustable lengt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3491A (en) * 1992-03-17 1993-10-12 Atsushi Nakagawa Beam and floor structure
JPH09165863A (en) * 1995-12-15 1997-06-24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Flat deck plate of adjustable length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038B1 (en) 2009-07-27 2012-10-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Composite deck having steel plate with two dirctional corrugational members
KR101072260B1 (en) * 2011-04-15 2011-10-12 김윤환 Composite slab connection method using crimped connector
KR101618798B1 (en) * 2015-08-25 2016-05-09 (주)센벡스 Structure for fixing deck form
WO2017034354A1 (en) * 2015-08-25 2017-03-02 (주)센벡스 Structure for fixating deck formwork
CN107923188A (en) * 2015-08-25 2018-04-17 桑菲斯株式会社 Aspect building template fixed structure
CN107923188B (en) * 2015-08-25 2020-04-14 桑菲斯株式会社 Fixing structure for form of layer building
CN105780993A (en) * 2016-05-06 2016-07-20 湖南标迪夫节能科技有限公司 Formwork-free prefabricated assembly type cavity plate
CN105780990A (en) * 2016-05-06 2016-07-20 湖南标迪夫节能科技有限公司 Prefabricated assembly type cavity floor slab for cavity floor system
CN109113249A (en) * 2018-10-10 2019-01-01 上海欧本钢结构有限公司 A kind of combination floor support plat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930B1 (en) Floor structure of modular building and modular unit using it
KR100909882B1 (en) Composite slab structure using deck plate for reducing floor level
KR101713862B1 (en)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ecast concrete column and precast concrete beam using the temporary bracket installing precast concrete column, the modular system using the same
KR20110032687A (en)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beams with steel or steel reinforced concrete columns and end reinforced with reinforced concrete
KR102283875B1 (en) Double-wall having a variable thicknes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KR101191502B1 (en) Structure system using bar truss integrated asymmetry h-beam and end beam
KR20180016695A (en) Installa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necting beam unit
KR100343960B1 (en) Steel concrete structure
KR100739920B1 (en) Composite structure of column and beam
KR20140006330A (en) Floor structure and modular unit of modular build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80099754A (en) High Strength Steel-Concrete Composite Beam-Slab Formed Beams for Slab
KR102104382B1 (en) Steel beam, composite column, and joint structure of the same
KR20230135326A (en) PC double pannel using hoop shaped member
KR100870068B1 (en) High Strength Steel-Concrete Composite Beam-Slab Formed Beams for Slab
KR100796216B1 (en) Concrete composite beam of building
KR100860064B1 (en) Slab panel structure of prefabricated formwork
KR20190120853A (en) Couple girder
KR102158021B1 (en) Joint structure between the steel column with square cross section and the composite girder
KR20220145444A (en) PC double pannel using concrete block
KR102131957B1 (en) A horizontal beam manufacturing method of a Rahmen building structure
JPH1143994A (en) Rc-formed flat beam
KR200405361Y1 (en) Sliding end panels
KR102805389B1 (en) the deck plate in half PC slab and the half PC slab using the sam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34463B1 (en) the shear reinforcement unit and the shear reinforcing structure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2620108B1 (en) Manufacture and assembly saparated permanent beam form constru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7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7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