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09617B1 - 이동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액세스 가능한데이터 커넥션에 적응시키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액세스 가능한데이터 커넥션에 적응시키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617B1
KR100909617B1 KR1020047013179A KR20047013179A KR100909617B1 KR 100909617 B1 KR100909617 B1 KR 100909617B1 KR 1020047013179 A KR1020047013179 A KR 1020047013179A KR 20047013179 A KR20047013179 A KR 20047013179A KR 100909617 B1 KR100909617 B1 KR 100909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mobile terminal
data
application
data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3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4727A (ko
Inventor
외레센오라프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76413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0961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40094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4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에 적응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 바, 이는 상기 이동 단말기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 속성들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속성들에 따라 상기 단말기 장치 상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적응시키는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어플리케이션들의 구성을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에 적응시키기 위한 이동 단말기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커넥션에 액세스할 수 있는 데이터 교환 수단; 어플리케이션들을 구동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수단; 상기 데이터 교환 수단들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커넥션의 속성을 획득하는 수단; 및 상기 획득한 속성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적응시키기 위한 수단들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에 적응시키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adapt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lication of a mobile terminal to an accessible data connection}
본 발명은 여러 가지 통신 커넥션들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트랜스퍼(transfer) 커넥션들, 예를 들어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와 블루투스(Bluetooth)를 통해서 서비스들(services)에 액세스할 수 있는 사용자 장치들(user devices)과 관련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상호 작용(user interaction)이 최소화된 이동 단말기 장치 내에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 및 어플리케이션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실제로 액세스 가능하거나, 이용 가능하거나(available) 또는 선택된 통신 커넥션들에 따라 이동 단말기 장치 내 어플리케이션들의 설정들(settings)을 적응시키는 손쉬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래의 장치들은 다중 인터페이스들(multiple interfaces), 예를 들어 UMTS(여행하는 경우), 무선 랜(Wireless LAN, WLAN)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커넥션(short range wireless connection)(빠르게 이동하지 않는 경우), 또는 이더넷(Ethernet)과 같은 유선의 커넥션(정지해 있는 경우)을 통하여 원격 서비스들을 액세스 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될 것이다.
그와 같은 액세스 기술들은 서로 상당히 다른 특성들(characteristics)을 갖고 있으므로, 사용자들은 현재 사용되는 액세스 기술에 따라 어플리케이션들의 구성을 변화할 수 있기를 바라게 될 것이다. 하나의 예로서, UMTS의 제한된 대역폭은 저속의 데이터 전송율(low data rate)을 필요로 하는 서비스들의 사용에 적합할 것으로 보이는 반면에, 블루투스 커넥션은 동일한 서비스를 보다 고속의 데이터 전송률로서 그리고 그것에 의해 보다 고품질로서 사용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더욱이, 비용은 액세스 기술에 따라 달라질 것이어서, 사용자들로서는 비용에 있어 효과적이지 않는(cost-ineffective) 데이터 커넥션들을 사용하여 돈을 낭비하게 되는 것을 원치 않을 것이다.
하나의 예로서, 전 지구적 이동 통신 시스템(GSM)의 제한된 데이터 전송율들(<50 kbit/s)은 저속의 데이터 전송률을 필요로 하는 서비스들의 사용에 적합할 것인 반면에, 블루투스 커넥션(>500 kbit/s)은 동일한 서비스를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로서 그리고 그것에 의해 보다 고품질로서 사용할 수 있게 할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비용은 액세스 기술에 따라 달라지게 될 것이고(블루투스는 무상, UMTS은 값비쌀 것으로 보임), 만일 당해 장치가 그와 같은 차이점들을 고려하여 구성되어질 수 있다면 이는 사용자에게 유익할 것이다.
지멘스 비즈니스 통신 시스템(Siemens Business Communication systems)의 유럽 특허 공보 EP 0 848 560 A2 "임계 비용 이하 수준에서 서비스 품질을 높이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the quality of service at or below a threshold cost)"에서 종래 기술의 수준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는 미리 결정된 임계 비용에 따른 데이터 트랜스퍼 커넥션의 선택을 제어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당해 문헌에서 그 데이터 트랜스퍼 커넥션의 선택은 미리 결정된 최적화된 알고리즘들(optimisation algorithms)에 따라 실행되는 데, 이는 주어진 비용에 있어 최고의 전송(transmission) 품질로서 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당해 문헌은 자동 데이터 전송 커넥션의 선택은 기술하고 있으나, 일정한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액세스 또는 어플리케이션 매개 변수들(parameters)의 간이화에 대해서는 기술하고 있지 않다.
나아가 상기 인용된 문헌은 자동화된 데이터 트랜스퍼 채널 선택에 관해 기술하고 있으나, 이는 그 이동 단말기 장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구성들을 적응시키지 않는다. 왜냐면 그 선택된 채널은 서비스에 관해 미리 정해진 품질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이다. 만일 채널이 그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품질 기준에 맞지 않는다면, 당해 채널은 선택되어지지 않을 것이고, 그러므로 그 어플리케이션의 특성들은 적응될 필요가 없다.
종래 기술의 수준은 또한 노키아 네트워크(NOKIA NETWORKS OY)의 국제공개공보 WO 01/35689 A1에서 제시되고 있는 바, 이는 미리 결정된 데이터 전달자 선택 매개 변수들(data bearer selection parameters)에 따라 데이터 전달자를 선택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네트워크 시스템(Data transmission method and Network system)"에 관한 것이다. 이 문헌 역시 일정한 어플리케이션들의 매개 변수들을 설정하기 위한 쉽고 간단한 방법을 기술하고 있지 않다.
양 문헌들은 일정한 데이터 트랜스퍼 커넥션의 선택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구성들의 적응에 관하여 기술하지 못하고 있다.
만일 그 선택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들이 여러 가지 전송 속성들과 함께 여러가지 전송 모드들(modes)에 좌우된다면, 그 총체적인 성능(the overall performance)을 최적화하기 위해서, 트랜스퍼 채널 및 그 채널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성능들(performances)을 적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적절한 데이터 채널을 선택할 경우 이동 단말기 장치 내에서 필요로 하는 사용자 입력(input)의 수를 줄이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그 단말기 장치의 사용자를 위한 일정한 서비스의 비용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간이화된 액세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 장치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에 적응시키는 방법이 제시된다. 그 이동 단말기 장치는 다중 모드 통신, 다중 대역 통신 또는 다중 인터페이스 통신이 가능하다. 그리고 그 단말기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통신 링크(link)의 특성들은 실제적으로 선택된 데이터 전송 커넥션에 좌우된다. 전송 특성들이 변화하기 때문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그 커넥션들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특유의 설정들(characteristic settings)은 적절히 변화되어야 한다. 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정보를 요구한 후 일 수도 있음) 상기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에 관해 획득한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 장치 상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구성들을 설정하는 단계에 의해 실행된다.
만일 그 단말기 장치가 한번에 오로지 하나의 커넥션만을 작동할 수 있는 경우라면, 현재(currently)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으로는 배타적으로 선택된 데이터 커넥션이 그 예가 될 수 있다. 그와 같은 단말기 장치들은 예컨대 여러 가지 전송 주파수들과 모드들을 위한 여러 가지 송수신기들 및 그 송수신기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단지 하나의 베이스 밴드(base band) 처리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만일 단말기 장치가 상이한 전송 커넥션들을 동시에 작동할 수 있다면, 동시에 작동되는 현재 사용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이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는 셀룰러 폰들 또는 커뮤니케이터들(communicators)에 있어 현재 다른 데이터 통신 또는 커넥션을 작동하고 있는 경우일지라도 전화 통신 연결(telephone connectivity)을 제공하기에 특별히 유용하다. 그와 같은 커뮤니케이터는 예컨대 블루투스로만 작동하는 장치(Bluetooth-only device)를 예컨대 인터넷과 연결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 옵션(gateway option)을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커넥션의 속성들은 그 데이터 커넥션의 전달자로부터 직접 검색될(retrieved) 수 있다. 그 데이터 커넥션의 속성들은 그 이동 단말기 장치 영역 내에서 잠재적으로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들의 속성들을 담고 있는 메모리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그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으로는 현재 액세스 가능하거나 잠재적으로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이 그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형태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구성들은 사용된 액세스 기술에 따라 단절 없이 변화할 수 있는 바, 이는 카 키트(car kit)에 전화기를 연결(hook up)할 때의 자동차 프로파일들(car profiles)의 자동적인 활성화(activation)에 유사하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실제적으로 선택되거나 이용 가능한 커넥션 타입에 맞는 방식으로 서비스들을 자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비디오 커넥션들의 해상도(resolution)는 다음과 같이 변화될 수 있다. 즉, 커넥션이 저렴할 경우에 성능이 최적화 되는 반면 값비싼 매체 상에서 낮은 비용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어떤 서비스들은 선택된 매체 상에서만 사용될 것이다. 예컨대, 전자 우편 동기화(synchronisation) 중에 큰 첨부 파일들(big file attachments)을 다운로드 받는 것은, 느리거나 값비싼 액세스 매체 상에서 확인(confirmation)이 요구되는 반면, 빠른 커넥션이 가능한 경우에만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 확인은 예컨대 데이터 커넥션을 사용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초기화될 수 있다.
상기 획득된 속성들은 상기 데이터 커넥션의 식별자(Identification)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획득된 속성들은 이용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의 식별자만을 담고 있을 수도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구성들이 검색되어질 수 있다. 유일한 이용 가능한 속성은 상기 데이터 커넥션의 식별자(예컨대, 명칭)일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예를 들어 이용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의 명칭일 수 있어서, 사용자는 그 원리들과 그 방법을 커스터마이즈하기 위해서(to customise) 사용자 상호작용들을 간이화하는 방법의 작동 원리들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식별자는 예를 들어 방법의 소프트웨어 구현의 경우에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의 적응을 가능하게 하는 독점적인(proprietary) 코드 시퀀스일 수 있다. 그래서 만일 그 장치가 예컨대, 여러 가지 데이터 트랜스퍼 커넥션들 중에의 최대 데이터 전송율을 알 수 있다면, 그 장치는 단지 이용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의 명칭에 따라서 그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적절한 구성들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구체적인 데이터 커넥션이 선택되어졌을 때 획득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정보는 일정한 데이터 트랜스퍼 커넥션에 대한 선택과 동시에 제공되는 것에 의하거나, 선택에 뒤따르는 자동 정보 트랜스퍼에 의하여 획득될 수 있다. 그 데이터 전송 커넥션은 사용자에 의해, 예컨대 능동적인 선택에 의하거나 그 단말기 장치로부터의 확인 요구에 뒤따라, 선택되어질 수 있다. 그 전송 커넥션은, 예컨대 종래 기술 수준에 의한 선택 방법에 의해, 자동적으로 선택되어질 수 있다.
상기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은 단지 잠재적으로만 액세스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잠재적으로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이라는 용어는 단말기 장치의 기술적 디자인 때문에 그 단말기 장치가 액세스할 수 있는 모든 커넥션들 및 예를 들어 데이터 커넥션 기지국이 범위 내에 있기 때문에 그 장치가 액세스 할 수 있는 커넥션들을 의미한다. 잠재적으로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이라는 용어는 각각의 기지국의 존재와는 무관하게, 사용자에 의해 확인된 데이터 커넥션을 의미할 수 있다. 그 기지국이라는 표현은 그 이동 단말기 장치가 데이터 커넥션을 함께 성립 시킬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말한다.
각 기지국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일지라도, 그 데이터 커넥션의 잠재적인 이 용 가능도(accessibility)는 사용자로 하여금 예를 들어 액세스 가능할 때에 데이터 커넥션을 미리 선택하게 할 수 있다. 그래서 장치 또는 그 장치 상의 어플리케이션은 각각의 기지국이 그 장치 또는 그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검출되었을 때 선택된 서비스에 액세스 할 수 있다. 잠재적으로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들의 속성들은 예를 들어 잠재적으로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들의 속성들을 미리 저장한 메모리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현재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을 요구하고 능동적으로 결정함으로써 획득되어지는 것이 유익하다. 이는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 커넥션들의 상태를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 결정은 그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작동 모드 또는 데이터 트랜스퍼 커넥션에서 변화를 검출할 때 주기적으로 수행되거나 초기화 될 수 있다. 그 결정은 예를 들어 그 단말기 장치가 영역 내에서 데이터 커넥션 캐리어들(carriers)을 위한 환경(environment)을 스캔(scan)할 때 실행될 수 있다.
본 방법은 나아가 현재 액티브(currently active) 어플리케이션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액티브 어플리케이션들의 결정은 통신 장치로 하여금 액티브 어플리케이션의 설정들만을 현재 사용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에 적응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작동하는 동안 적응하게 될 구성들의 수를 줄인다. 액티브 어플리케이션들 결정의 이점은 그 장치와 함께 동작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의 수가 증가한다는 것이다. 블루투스와 GSM 연결(connectivity)이 이루어진 이동 전화의 경우 예를 들어, 적응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이 적어서 현재 액티브 어플리케이션들을 검출하는 부가적인 단계는 단지 미미한 이점만을 제공할 뿐이다. 개인용 컴퓨터들, 커뮤니케이터들 또는 통신 가능한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의 경우에는 적응되어질 어플리케이션들의 수가 더 커져서, 액티브 어플리케이션들의 결정 및 액티브 어플리케이션들의 선택적인 적응은 보다 유익하게 될 것이다.
본 방법은 이동 단말기 장치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가적인 단계는 앞서 언급된 단계들과 연결되어 이 어플리케이션이 시작될 때 그 장치로 하여금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어플리케이션의 시작과 함께 그 어플리케이션은 실제적으로 액티브 전송 커넥션들을 요구하고, 상기 현재 액티브 데이터 트랜스퍼 커넥션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은 그 자신을 구성하거나, 구성될 수 있다. 그 어플리케이션은 그것이 시작되어질 때 구성될 수 있고, 이미 액티브 되었다면, 실제적으로 이용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들에서의 변화가 검출된다.
본 방법은 나아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되어질 데이터 트랜스퍼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유익하다. 이는 요구되는 적응들(adaptations)의 수를 감소케 한다. 전송이 실행된다면, 실행될 데이터 트랜스퍼를 검출하는 단계와 함께 그 어플리케이션은 현재 이용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만을 요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실제로 전송이 실행된다면, 데이터를 트랜스퍼 할 수 있는 액티브 어플리케이션들만이 단지 구성될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요구되는 적응들의 수는 감소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방법은 적절한 데이터 커넥션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단계는 예를 들어 자동적이거나 사용자 보조의(user assisted) 데이터 트랜스퍼 커넥션 검출 및 선택 알고리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적절한 데이터 트랜스퍼 커넥션의 선택은 사용자에게 데이터 커넥션을 확인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데이터 커넥션 선택은, 예를 들어 만일 이동 단말기 장치가 두개의 이용 가능한(그리고 승인된) 다른 데이터 트랜스퍼 커넥션들을 검출하고,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결정된 선택 알고리즘들에 따라 그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면, 그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만일 예를 들어 사용자가 두개의 다른 데이터 트랜스퍼 커넥션들을 확인하거나 선택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예를 들어 트랜스퍼 관련 속성들(transfer related properties)에 따라 그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면, 본 방법은 두개의 다른 선택 단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 장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구성들을 적응하기 위한 방법들은 일정한 데이터 커넥션을 자동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방법과 결합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의 구성들을 이용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에 적응하기 위한 방법을 수반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툴(tool)이 제시된다. 그 소프트웨어 툴은 상기 프로그램이 이동 단말기 장치 상에서 구동될 때 앞서 언급된 단계들이 모두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수단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의 구성들을 이용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에 적응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시된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그램 제품이 이동 단말기 장치 상에서 구동될 때 앞서 언급된 단계들이 모두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들(readable medium) 상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은 그 이동 단말기 장치의 다른 부분들 내에서 분산된 방식으로(distributed manner)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으 부분은 어플리케이션들과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고, 그 컴퓨터 프로그램의 또 다른 부분은 그 이동 장치의 인터페이스 부분에서 작동하거나 작동되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컴퓨터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상이한 능력을 갖는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의 구성들을 이용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에 적응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되고, 이 제품은 상기 프로그램 제품이 이동 단말기 장치 상에서 구동될 때 앞서 언급된 단계들을 모두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용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에 어플리케이션들의 구성들을 적응시킬수 있는 이동 단말기 장치가 제공된다. 그 이동 단말기 장치는 데이터 커넥션을 생성하거나 액세스할 수 있는 데이터 교환 수단들, 어플리케이션들을 구동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수단들, 현재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 커넥 션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들, 이용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들에 어플리케이션들의 구성들을 적응시키기 위한 수단들을 포함한다. 상기 적응시키기 위한 수단들은 상기 데이터 처리 수단들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동 단말기 장치의 데이터 교환 수단들은 적어도 두개의 다른 데이터 커넥션들을 성립시킬 수 있다. 이러한 커넥션들은 배타적으로 또는 동시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구현으로서 그 이동 단말기 장치는 동시에 다른 데이터 커넥션들을 작동할 수 있다. 그 곳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은 어떤 데이터 커넥션이 사용될 것인지에 대해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들의 구성들의 설정은 현재 이용 가능한 커넥션들 및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특정 계층 알고리즘(application specific hierarchic algorithm)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구현으로는, 정보를 획득하는 수단들 및 커넥션 선택 수단들은 어플리케이션들의 구성들을 적응시키기 위한 수단들과 함께 유닛(unit)을 형성할 수 있고, 단독의 다중 회로 차단기(single multi circuit breaker)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장 간단한 구현에서는, 그 다중 회로 차단기는 각각의 하드웨어 구성들 간에 하드웨어 커넥션들을 스위칭함으로써 데이터 트랜스퍼 채널과 이동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동시에 스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화에 있어, 현재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데이터 트랜스퍼 커넥션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와 어플리케이션들의 구성들을 제어하는 스위치들 간에 기계적 커넥션을 그 한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가장 간단한 경우 에는 어플리케이션들조차도 하드웨어 어플리케이션들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 장치의 또 다른 구현에 따르면, 정보를 획득하는 수단들 및 구성들을 적응시키기 위한 수단들은 그 이동 단말기 장치 상에서 구동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들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어플리케이션들과 수단들은 소프트웨어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그 이동 단말기 장치는 이용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들을 선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단은, 만일 예를 들어 그 이동 단말기 장치가 다른 데이터 트랜스퍼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의 범위 내에 있다면, 다중 데이터 커넥션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자동 선택 알고리즘의 사용자는 이용 가능한 최고의 데이터 커넥션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만일 예를 들어 그 이동 단말기 장치가 다중 커넥션 오퍼레이션(multi-connection operation)이 가능하여서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적으로 데이터 커넥션을 선택할 수 있다면, 다중 데이터 커넥션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액세스가 데이터 커넥션을 성립하고(사용자의 확인과 함께 또는 확인 없이) 선택된 데이터 커넥션에 따라 구성 서버(the configuration server)를 구성할 때에 어플리케이션은 일정한 데이터 커넥션을 자동적으로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동 단말기 장치는 상기 여러 가지 데이터 커넥션들을 위한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의 구성들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유익할 것이다. 그래서 만일 이용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의 속성들이 검색된다면, 이동 단말기 장치 내에 있는 메모리로부터 데이터 커넥션의 속성들을 검색하는 방법에 의해, 그 단말기 장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구성들을 검색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는 나아가 데이터 커넥션들의 속성을 저장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그 이동 단말기 장치로 하여금, 데이터 커넥션을 이용하여 데이터 커넥션의 캐리어들로부터 속성들을 요구하는 것을 수행하지 않고, 데이터 커넥션의 속성들을 검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은 함께 제출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장치의 블럭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간단한 어플리케이션 적응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적응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들의 구성을 적응시키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의 순서도를 묘사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장치의 블럭 다이어그램이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네 개의 하위 시스템들, 매 체 선택 시스템(2), 액세스 하위 시스템(4), 어플리케이션 시스템(6), 및 구성 서버(8)가 도시되어 있다. 매체 선택 시스템(2)으로는 예를 들어 사용자 확인의 또는 사용자 선택의 매체 선택 시스템(user selected media selection system) 또는 자동 매체 선택 시스템(automatic media selection system)이 가능하다. 그 매체는 통신 커넥션 또는 채널을 의미하는데, 예컨대, 이더넷(Ethernet)(10),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12),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14), 블루투스(16),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18) 등이 있다. 이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커넥션들을 위해 사용되는 여러 가지 하위 표준들 및 트랜스퍼 프로토콜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커넥션들로는 GSM/GPRS(General Packet Radio System)), CSD(Circuit Switched Data), /HCSD(High-speed CSD),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TCP/IP(Transfer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등이 있다. 이러한 장치는 부가적인 유선 또는 광 섬유 커넥션 특징들(features) 또는 하드웨어 연결(connectivit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커넥션들은 명시적으로 논의하고 있지 않다. 이러한 기본 특징들과 그것의 속성들, 이를테면 데이터 전송율들, 비용들 등은 기본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이다.
액세스 하위 시스템(4)은, 만일 이동 단말기 장치가 각각의 기지국(도시되지 않았음)의 범위 내에 있다면, 상이한 데이터 전송 커넥션들을 설정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이동 단말기 장치에서 제어 커넥션(22)을 통하여 매체 선택 시스템(2)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40)는 액세스 하위 시스템(4)의 액세스 시스템 (10 내지 18) 을 선택한다.
앞서 언급된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 장치는 스위치(40)의 구조 때문에 한번에 액세스 하위 시스템(4)에 의해 제공된 커텍션들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을 뿐이다. 발전된 이동 단말기 장치는 동시에 하나 이상의 데이터 트랜스퍼 채널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을 것이고 그러므로, 부가적인 스위치 또는 이에 준하는 하드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그러한 이동 단말기 장치는 다중 연결(connectivity) 또는 게이트 웨이 기능(gateway functionality)를 제공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시스템(6)은 이동 단말기 장치에서 제공되며 어플리케이션들 (50 내지 56)을 작동하거나 구동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들(50 내지 56)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들일 수 있다. 최고의 성능을 위해서 어플리케이션(50 내지 56)의 구성은, 만일 어플리케이션(50 내지 56) 중 하나가 데이터를 트랜스퍼 할 것이라면, 실제적으로 이용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 (10 내지 20)에 적응할 수 있어야 한다. 이용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에 구성들을 적응시키는 빠르고 간단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서, 이동 단말기 장치는 구성 서버(8)를 포함한다. 구성 서버(8)는 이용 가능하고 서로 상이한 데이터 커넥션(10 내지 18)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구성들(30 내지 34)를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만일 그 장치가 이용 가능한(그리고 쓸 수 있는) 데이터 트랜스퍼 커넥션을 검출한다면, 구성 서버(8)는 실제 이용 가능하거나, 액세스 가능하거나 혹은 선택되어진 예를 들어 이더넷과 같은 데이터 트랜스퍼 커넥션(10)에 따라 어플리케이션(50 내지 56)의 구성들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전자 우편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어플리케이션(50)의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시스템(6)은 이더넷을 위한 구성(10)을 전자 우편 어플리케이션(50)에 제공하기 위한 위치로 스위치(44)를 설정한다.
전자 우편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 여러 가지 설정들은 현실의 전송 커넥션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설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낮은 데이터 전송율 및 보다 높은 커넥션의 비용 때문에, GSM(12) 또는 UMTS(14)가 액세스 매체일 때는 일정한 크기 제한을 초과하는 첨부파일을 다운로드하는 것이 억제될 수도 있다. 반면에 최대 데이터 전송율은 모든 다른 경우들에서(디폴트(default)) 사용된다. 구성 서버는 선택되어진 매체에 따라 좌우되는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한다. 그 기능은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일부분일 수 있다.
예컨대 비디오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어플리케이션(52)의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시스템(6)이 이더넷을 위한 디폴트 구성(20)을 비디오 어플리케이션(52)에 제공하는 위치로 스위치(46)를 설정한다. 그 구성은 한편으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전송을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동 단말기 장치의 자원들을 저장한다.
임의의 어플리케이션(56)의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시스템(6)은 이더넷을 위한 구성(10)을 임의의 어플리케이션(56)에 제공하는 위치로 스위치(48)를 설정한다.
그래서 제한된 데이터 전송 모드에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보다 낮은 프레임 주파수로, 또는 보다 낮은 해상도 등등으로 비디오 전송을 시청(watch)하고 싶은 지를 결정할 수 있다. 비디오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는, 만일 감소된 프레임 주파수로 데이터 트랜스퍼 커넥션이 검출된다면,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display)의 리프레쉬 사이클(refresh cycle)의 감소(reduction)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어플리케이션의 구성들은 데이터 트랜스퍼 처리에 직접적으로 관계되지 않은 변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독의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이용 가능한 구성들은 어플리케이션 관련 파일들(32 에서 34)로써 구성 서버에 저장되어 있다. 실제 저장 형식은 도시된 파일 또는 디렉토리 구조와는 독립적이다.
구성은 다른 변수들에 좌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외부의 전력 공급(power supply) 또는 실제 배터리(battery)의 조건들 등등의 존재 여부에 좌우되는 것이 한 예가 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사용자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선택되어진 매체 또는 데이터 트랜스퍼 커넥션은 주된 액세스 매체로 사용된다. 무선 랜/불루투스는 지역에서(핫 스폿(hot spot)) 제공되므로 전송 시스템의 무선 특징 때문에 액세스 하위 시스템, 매체 선택 하위 시스템, 구성 서버 및/또는 어플리케이션들은 이용 가능성 결정의 성능을 포함할 것이라는 것이 명백하다. 이동 단말기 장치는 데이터 전송 커넥션들, 기지국들의 이용 가능성을 검출할 수 있고, 자동적으로 혹은 사용자의 확인에 의해 전송 커넥션을 선택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동 단말기 장치는 예를 들어 만일 기지국이 범위 내에 있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다른 커넥션을 정리(sweep)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 장치는 트랜스퍼 커넥션의 이용 가능성을 예상되거나 측정된 트랜스퍼 변수들을 근거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상되거나 측정된 트랜스퍼 변수들로는, 예컨대 미리 지불한 계좌나 배터리 용량 등등을 근거로 한 최소 잔여분 전송 용량(minimum remaining transmission capacity)이 그 예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들은 사용자 상호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품을 위해 미리 구성되어 질 것이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미리 구성되어진 구성 서버 목록들(entries)은 이동 단말기 장치 상에서 미리 저장될 수 있고/있거나,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고/있거나, 제작자 또는 데이터 커넥션의 제공자와 같은 서비스 제공자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에 의해 갱신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적응 방법에 관한 순서도를 묘사하고 있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이용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으로 적응하게 하기 위해서 이동 단말기 장치에서 사용될 것이다. 상기 순서도는 두개의 주요 단계들(100,102)을 포함한다. 단계 100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 장치 상에서 실제적으로 이용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의 속성들은 검출되고 획득된다. 단계 102에서는 상기 획득된 속성들에 따라 상기 단말기 장치 상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적응시킨다.
현재(이용 가능하거나 선택된) 액세스 기술(또는 데이터 트랜스퍼 커넥션)에 좌우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파일들(Profiles)/구성들을 변화함으로써 사용자는 종래 만큼 하위 기술(underlying technology)과 상호 작용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보다 빠르고 보다 간편한 여러 가지 데이터 교환 기술과 함께 여러 가지 어플리케이션들을 사용할 수 있다. 다중 액세스 기술들을 지원하는 장치들이 아직 일반화되지 않아서, 이 문제점은 아직 완전히 인식되지 않았다.
단계 100은 데이터 커넥션이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가정한다. 만일 어떠한 데이터 커넥션도 실제적으로 이용 가능하지 않다고 결정되면, 어플리케이션 구성들은 두번째 단계에서 디폴트 값들로 설정될 것이다. 범위 내에 있는 데이터 커넥션 제공자를 결정하는 과정 또는 예를 들어 다른 장치들, 네트워크들 등등에 연결된 유선 커넥션을 검출하기 위한 과정은 임의적일 수 있다. 기지국 또는 커넥션을 검출하는 알고리즘들은 임의적일 수 있고, 가장 간단한 경우에 전송 커넥션을 선택하고 상기 전송 커넥션이 실제적으로 이용 가능한 지를 검출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수행되어질 수 있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는 이용 가능성은 사용자에 의한 하나의 커넥션의 선택을 포함하고, 이러한 커넥션이 실제적으로 이용 가능하다는 것은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장치의 범위 내에 기지국이 부족하기 때문에)
액세스 하위 시스템이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데이터 트랜스퍼 커넥션을 제공하는 경우에, 데이터 트랜스퍼 커넥션을 선택하는 단계는,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두개의 확인된 데이터 커넥션들의 경우에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은 (예컨대 두개의)이용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들 및 예컨대 부가적인 선택 단계에 따라 데이터 트랜스퍼 커넥션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102 에서 이동 단말기 장치는 이용 가능한 데이터 트랜스퍼 커넥션들의 획득된 속성들에 따라 이동 단말기 장치내의 어플리케이션들의 구성들을 적응하게 한다. 이는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장치 내의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구성 데 이터 베이스로부터 미리 저장된 구성들을 검색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체들의 커다란 차이점들(데이터 전송율과 같은)에 기인하는 구성들의 처리(handling)를 간이화하기 위한 것이다. 그래서 유사한 매체들(예를 들어 WLAN 및 블루투스)에게 동일한 구성들을 적용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예를 들어, 가장 일반적인 변수들을 정의하고, 개별적인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적용될 디폴트 구성의 정의는 유익할 것이다.
도 2에서 도시된 순서도는 주로 이용 가능한 데이터 트랜스퍼 커넥션을 검출하는 단계 및 그에 따라 어플리케이션들을 적응하는 단계를 보여주고 있다. 가장 간단한 경우로, 이동 단말기 장치는 하나의 데이터 트랜스퍼 커넥션을 작동할 수 있고,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의 모든 구성들은 상기 하나의 이용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에 적응된다.
도 3의 순서도는 도 2의 단계 100 및 102를 포함한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단계 70 및 72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단계 80에 의해 순서도를 확장한다. 단계 70은 데이터 트랜스퍼 커넥션이 이용 가능한지를 선택하거나 결정하는 단계이다. 만일 데이터 트랜스퍼 커넥션이 이용 가능한 것으로 결정되면 이동 단말기 장치 상에 있는 액티브 어플리케이션들은 단계 72에서 검출되고 상기 액티브 어플리케이션들의 구성들은 현재 이용 가능한 데이터 트랜스퍼 커넥션에 적응된다.
예를 들어 어떤 어플리케이션도 액티브되지 않을 경우 어떠한 구성들도 적응되지 않는다. 단계 70 및 72는 만일 예를 들어 단지 소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실제적으로 액티브된다면 적응되는 수를 감소시킬 것이다.
단계 80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시작될 때 또는 시작된다면, 어플리케이션이 현재 이용 가능한 데이터 트랜스퍼 커넥션들에 적응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 가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시작된 어플리케이션들을 나중에 적응하는 것이 역시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예를 들어 시작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그것의 구성을 적응시키기 위한 요구를 초기화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3에서 보여준 방법을 주기적으로 실행함으로써 액티브 어플리케이션들의 구성을 적응하는 방법이 실행될 것이다.
구현은 액세스 기술 특성들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에서 가능하고, 액세스 기술 구성 서버(소프트웨어의 일부분)를 통하여 사용자 선택들과 연관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들은 그것들이 시작되거나 일정한 동작을 수행하였을 때(예를 들어 전자 우편 동기화) 그와 같은 서버로부터 구성 정보를 검색할 것이다. 부가적으로, 서버는 매체들의 변화들로 인해 변화하는 구성들에 대해 어플리케이션들에게 고지함은 물론 메세지들을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요청에 의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나 프로파일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 구동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에게 변화 이벤트(event)를 송신(issue) 할 수도 있다.
도 3에서 도시된 순서도는 기본적으로 도 2에서 도시된 동일한 방법을 기술하고 있으나, 액티브 또는 작동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구성들만이 현재 이용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들의 특성들에 적응하게 된다는 차이를 갖는다.
이용 가능한 데이터 트랜스퍼 커넥션들의 선택 또는 검출 후에 시작된 어플리케이션들은 현재 이용 가능한 데이터 트랜스퍼 커넥션에 적응되지 않을 수도 있 고, 그것들의 활성화(activation)에 뒤따라 적응되어야 할 수도 있다. 반면에 도 2에서는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이 적응되는 반면에, 도 3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이 액티브된 경우에 실행된다.
도 4는 적응되는 수가 최소화된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적응(adaptation)은, 만일 실행될 데이터 트랜스퍼가 단계 90에서 검출되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는 수행될 적응들의 수를 감소시킨다. 단계 80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시작되고, 이 어플리케이션은 이동 단말기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단계 90에서 실행될 데이터 트랜스퍼를 검출할 때까지 이동 단말기 장치 상에서 계속 구동한다. 이러한 트랜스퍼는 들어오거나 나가는 데이터 트랜스퍼일 수 있다. 검출에 뒤이어, 이용 가능한 데이터 트랜스퍼 커넥션의 속성들은 단계 100에서 획득되고,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은 그에 따라 단계102에서 적응된다. 단계 92에서 데이터 트랜스퍼가 뒤따른다. 이는 구성들의 적응되는 수가 최소화되는 방법이다.
만일 이용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들의 획득된 속성들은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을 제공한다면, 이동 단말기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미리 저장된 알고리즘, 미리 저장된 테이블 또는 부가적인 사용자 확인에 따라 이용 가능한 커넥션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순서도는 기본적으로 도 3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기술하고 있으나, 어플리케이션들의 구성들은 실제 액티브 어플리케이션들이 아닌, 실제 요구되는 데이터 트랜스퍼들에 좌우되어 적응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도 3에서는 모든 액티브 어플리케이션들이 적응되는 반면, 도 4에서 적응은 데이터 트랜스퍼가 실제 요구되는 경우에 실행된다.
이동 단말기 장치는 기-설정(pre-set)된 다수의 구성들을 구비할 수도 있어서, 그로 인해 이동 단말기 장치는 판매된 직후 더 이상 사용자 상호작용의 필요 없이 본 발명의 특징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검색될 구성들은 이동 단말기 장치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 커넥션 중의 하나를 사용하여 갱신될 수 있다. 구성은 제조자로부터 또는 예를 들어 인터넷 제공자, 이동 통신 망 제공자 등과 같은 데이터 트랜스퍼 커넥션 제공자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구성들은 인터넷과 WAP, I-Mode 인터넷 등으로부터 각각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에 의해 구성들을 커스터마이즈(customise)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데이터 트랜스퍼 채널과 데이터 채널이라는 표현은 유선 및 무선 트랜스퍼 매체들과 같은 여러 가지 데이터 트랜스퍼 매체들과 여러 가지 데이터 트랜스퍼 표준들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유선 및 무선 트랜스퍼 매체들로는 이더넷, TP선(Twisted Pair), 광섬유(fibre optical), 적외선(infrared), 라디오(radio) 등이 있고, 데이터 트랜스퍼 표준들로는, GSM, UMTS, 블루투스, WLAN 등이 있으며, 예를 들어 GPRS, CSD 또는 GSM 네트워크를 위한 HCSD과 같은 상기 표준들 범위 내의 여러 가지 데이터 트랜스퍼 모드들 또한 이에 해당한다.
이동 단말기 장치로는 예를 들어 랩탑(laptop), 팜탑(palmtop) 또는 태블로이드(tabloid) 컴퓨터 또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다중 연결(multi connectivity)의 포터블 컴퓨터, 이동 전화, 커뮤니케이터가 이에 해당할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용어 "다중 연결"은 여러 가지 통신 매체들을 통하여 통신하는 장치를 기술하는 데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다음을 주목해야 한다. 즉, 상기 세 가지 방법은 결합할 수도 있고, 그로 인해 이동 단말기 장치는 예를 들어 세 개의 도시된 방법들 중 어느 것이 적용될 최선의 것인지를 자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적인 결정은 다음과 같은 변수들에 의할 수 있는 바, 액티브 어플리케이션들의 전체 수, 이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의 수, 기술적으로 또는 실제적으로 이용 가능한 데이터 트랜스퍼 커넥션들의 수 또는 상기 수들의 비율들이 그러한 변수들에 해당한다.
본 출원서에서는 여러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현들(implementation)과 구체화들(embodiments)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에게는 본 발명이 위에서 제시된 구체화들의 상세한 내용들로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질 것이고,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성들에서 벗어남이 없는 또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제시된 구체화들은 예시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구현 및 이용할 가능성은 이하의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제한될 뿐이다. 따라서 청구항들에 의해 결정된 바에 따라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다양한 옵션(options)들은 등가적인 구현들을 포함하고,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한다.

Claims (15)

  1. 이동 단말기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구성(cofiguration)을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에 적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커넥션의 속성들(properties)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속성들에 따라 상기 단말기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적응시키는(adapting)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들은 상기 데이터 커넥션의 식별(identificati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들은 특정 데이터 커넥션이 선택될 때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은 잠재적으로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실제적으로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속성들은 상기 결정 중에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 상에서 실행되는 액티브 어플리케이션들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액티브 어플리케이션들의 구성들을 적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을 획득하는 단계 전에 이동 단말기 장치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들을 획득하는 단계에 전에, 상기 이동 단말기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될 데이터 트랜스퍼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데이터 커넥션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프로그램이 이동 단말기 장치 상에서 실행될 때, 이동 단말기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구성(cofiguration)을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에 적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기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커넥션의 속성들(properties)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속성들에 따라 상기 단말기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적응시키는(adapting)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
  13. 이동 단말기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구성(cofiguration)을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에 적응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커넥션을 액세스 할 수 있는 데이터 교환 수단;
    어플리케이션들을 구동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수단;
    상기 데이터 교환 수단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커넥션의 속성들을 획득하는 수단; 및
    상기 획득된 속성들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적응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 커넥션을 위해 상기 이동 단말기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의 상기 구성들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장치.
KR1020047013179A 2002-02-26 2002-02-26 이동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액세스 가능한데이터 커넥션에 적응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09096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02/000556 WO2003073782A1 (en) 2002-02-26 2002-02-26 Method and device for adapt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lication of a mobile terminal to an accessible data conn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4727A KR20040094727A (ko) 2004-11-10
KR100909617B1 true KR100909617B1 (ko) 2009-07-27

Family

ID=27764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3179A KR100909617B1 (ko) 2002-02-26 2002-02-26 이동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액세스 가능한데이터 커넥션에 적응시키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38914B2 (ko)
EP (1) EP1479257B1 (ko)
KR (1) KR100909617B1 (ko)
CN (1) CN100571458C (ko)
AT (1) ATE427017T1 (ko)
AU (1) AU2002233595A1 (ko)
DE (1) DE60231751C5 (ko)
WO (1) WO20030737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9189B2 (en) 2000-11-17 2013-07-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attern detection preprocessor in an electronic device update generation system
US7409685B2 (en) 2002-04-12 2008-08-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itialization and update of software and/or firmware in electronic devices
US8555273B1 (en) 2003-09-17 2013-10-08 Palm. Inc. Network for updating electronic devices
US7212810B2 (en) 2003-10-17 2007-05-0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selection for wireless data services
US20050148329A1 (en) * 2003-12-01 2005-07-07 Jeffrey Brunet Smartphone profiler system and method
EP1569489B1 (fr) * 2004-02-26 2019-12-25 Orange Procédé de génération automatique de profils actifs pour terminal de télécommunications
US7904895B1 (en) 2004-04-21 2011-03-08 Hewlett-Packard Develpment Company, L.P. Firmware update in electronic devices employing update agent in a flash memory card
WO2006012044A1 (en) 2004-06-28 2006-02-02 Japan Communication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ncrypting, transmitting, and storing electronic information and files
US7760882B2 (en) * 2004-06-28 2010-07-20 Japan Communic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tual authentication of network nodes
TWI397287B (zh) * 2004-07-30 2013-05-21 Ericsson Telefon Ab L M 混合式通信網路中用以提供相關通信對話訊息之方法與系統
US8526940B1 (en) 2004-08-17 2013-09-03 Palm, Inc. Centralized rules repository for smart phone customer care
EP1794935A4 (en) * 2004-10-01 2011-07-27 Nokia Siemens Networks Oy CONTEXT-BASED CONNECTIVITY FOR MOBILE DEVICES
US20070082660A1 (en) * 2005-10-11 2007-04-12 Smith Brian K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aware applications
US8533338B2 (en) 2006-03-21 2013-09-10 Japan Communic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ecure communications for transactions
WO2007146710A2 (en) 2006-06-08 2007-12-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ice management in a network
US7761087B2 (en) * 2006-07-21 2010-07-20 Kyocera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s through a multi-mode wireless terminal device
US8752044B2 (en) 2006-07-27 2014-06-10 Qualcomm Incorporated User experience and dependency management in a mobile device
US8315162B2 (en) * 2006-08-24 2012-11-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at a maximum number of IP sessions have been established
US20080089303A1 (en) * 2006-10-13 2008-04-17 Jeff Wirtanen System and method for deactivating IP sessions of lower priority
US8687586B2 (en) * 2006-10-13 2014-04-01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P sessions based on how many IP sessions are supported
US8611946B2 (en) * 2007-01-25 2013-12-17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configuring multi-mode mobile stations
US8572256B2 (en) * 2007-07-16 2013-10-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supporting multiple diversified data applications with efficient use of network resources
US7792051B2 (en) * 2007-12-17 2010-09-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ting to quality of service in wireless networks
GB0811407D0 (en) * 2008-06-20 2008-07-30 Symbian Software Ltd Cost influenced downloading
US9369357B2 (en) * 2010-02-03 2016-06-14 Symantec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remote device management
US9342381B2 (en) 2011-02-03 2016-05-17 Symantec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DLP-compliant environment
US9253589B2 (en) 2012-03-12 2016-02-02 Blackberry Limite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hotspot registration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s
US8731577B2 (en) 2012-08-14 2014-05-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vehicle applications using heterogeneous wireless data pip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05581A1 (en) * 2000-07-07 2002-01-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the information content is tailored depending on the capability of the bearer that is used for the specific acces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8176C (fi) * 1995-06-07 1997-04-25 Nokia Mobile Phones Ltd Keskinäisten nopeussovitusten toteutus GSM- ja DECT-järjestelmän välisissä datapalveluissa
US5610910A (en) * 1995-08-17 1997-03-11 Northern Telecom Limited Access to telecommunications networks in multi-service environment
US6850497B1 (en) * 1995-09-19 2005-02-01 Mobile Satellite Ventures, Lp Satellite trunked radio service system
FI104138B1 (fi) * 1996-10-02 1999-11-15 Nokia Mobile Phones Ltd Järjestelmä puhelun välittämiseksi sekä matkaviestin
US5898668A (en) 1996-12-13 1999-04-27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quality of service at or below a threshold cost
US6529486B1 (en) * 1997-04-11 2003-03-04 Transcrypt International/E.F. Johnson Company Trunked radio repeater communication system
US6266342B1 (en) * 1998-04-08 2001-07-24 Nortel Networks Limited Adaption resource modul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WO2000004732A1 (en) 1998-07-15 2000-01-27 Yaron Ruziack Cellular phone with ir link
US6751459B1 (en) * 1999-04-20 2004-06-15 Nortel Networks Limited Nomadic computing with personal mobility domain name system
FI107493B (fi) * 1999-06-07 2001-08-15 Nokia Mobile Phones Ltd Tiedonsiirtosovitin ja menetelmä tiedon siirtämiseksi
US6526034B1 (en) * 1999-09-21 2003-02-25 Tantivy Communications, Inc. Dual mode subscriber unit for short range, high rate and long range, lower rate data communications
EP1228659B1 (en) 1999-11-09 2007-02-14 Nokia Corporatio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network system
US6965948B1 (en) * 1999-11-12 2005-11-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network access
EP1122960A1 (en) * 2000-01-31 2001-08-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data connections in 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20020025832A1 (en) * 2000-02-18 2002-02-28 Durian Michael B.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involving a wireless telephone
US7096033B1 (en) 2000-07-18 2006-08-22 Koninkiljke Phillips Electronics N.V. Mobile apparatus enabling inter-network communication
US6628938B1 (en) * 2000-08-14 2003-09-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Wireless system, a method of selecting an application while receiving application specific messages and user location method using user location awareness
US6954641B2 (en) * 2000-08-14 2005-10-11 Vesivius, Inc. Communique wireless subscriber device for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US6842621B2 (en) * 2001-12-21 2005-01-1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plitting control and media content from a cellular network connection
US6973335B2 (en) * 2002-02-06 2005-12-06 Kyocera Wireless Corp.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 area network (PAN) distributed global optimiz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05581A1 (en) * 2000-07-07 2002-01-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the information content is tailored depending on the capability of the bearer that is used for the specific ac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31751D1 (de) 2009-05-07
US20050148359A1 (en) 2005-07-07
DE60231751C5 (de) 2017-07-13
WO2003073782A1 (en) 2003-09-04
US7738914B2 (en) 2010-06-15
CN100571458C (zh) 2009-12-16
EP1479257B1 (en) 2009-03-25
ATE427017T1 (de) 2009-04-15
AU2002233595A1 (en) 2003-09-09
KR20040094727A (ko) 2004-11-10
EP1479257A1 (en) 2004-11-24
CN1623343A (zh) 200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9617B1 (ko) 이동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액세스 가능한데이터 커넥션에 적응시키는 방법 및 장치
EP1612996B1 (en) Method for selecting among network interfaces, device with multiple network interfaces and application
US713366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amless roaming between wireless networks
CN100511218C (zh) 终端之间自动同步的方法、装置和系统
EP1517566B1 (en) Demand-based update provisioning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75193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 roaming between wireless networks
FI111506B (fi) Menetelmä palvelun laatutason valitsemiseksi langattomassa tiedonsiirtojärjestelmässä
CN102812758A (zh) 用于控制接入技术选择的方法和装置
EP2096790B1 (en) Management of communication functions of terminals
WO2006067567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enhanced contact list information for mobile stations including mobile telphones
EP1828885B1 (en) Method and device arrangement for managing the use profile of a terminal device
EP2421328B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9526482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関する無線ユニット状態通知システム
CA2527511C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amless roaming between wireless networks
JP2007521699A (ja) ネットワークを考慮するモバイルデバイスおよび動作
JPWO2003015444A1 (ja) 無線通信端末装置、中継サーバ、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EP1603286A1 (e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service hand-off function, user terminal device, transmission destination terminal device, and proxy server device
CN101540965A (zh) 一种基于Windows Mobile平台的双卡彩信处理方法
US20050227682A1 (en) Method of supplying service configuration data to a mobile telephony device by means of a computerized terminal
CN101297540A (zh) 用于网络感知应用的方法和系统
CN108540519B (zh) 一种均衡下载控制方法和装置
WO2008024548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mmunication sessions in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etworks
EP2018010B1 (en) Mobile terminal mail system and mobile terminal mail control method
KR20050027969A (ko) 이동 통신 장치를 위한 수요-기반의 프로비저닝
KR101465687B1 (ko) 이기종 망간 접속변경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2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7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7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1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