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8735B1 - chair - Google Patents
chai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08735B1 KR100908735B1 KR1020080137827A KR20080137827A KR100908735B1 KR 100908735 B1 KR100908735 B1 KR 100908735B1 KR 1020080137827 A KR1020080137827 A KR 1020080137827A KR 20080137827 A KR20080137827 A KR 20080137827A KR 100908735 B1 KR100908735 B1 KR 1009087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fixed
- fixing
- support
- ch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705 lumbosacral regi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 A47C3/025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pivotally mounted in the base frame, e.g. swing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4—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의 기초에 장착되는 고정플레이트와;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plate is mounted to the base of the chair;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축으로 결합되면서 좌판에 고정되어 좌판에 앉는 착석자의 무게중심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기울어지는 지지플레이트와;A support plate that is coupled to the fixed plate and the shaft while being fixed to the seat plate and tilted by rotating about the axis by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ated person sitting on the seat plate;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복원하는 복원부재 및,Restoration member for restoring the support plate,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기울어진 지지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a chair comprising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support plate inclined by rotating around the axis.
본 발명 의자에 의하면, 좌판에 앉은 착석자의 상체 이동에 따라 좌판이 앞뒤로 기울어져 착석자의 허리를 곧게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착석자의 등이 등받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장시간 사용시에도 착석자의 허리 건강을 유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석자에 의해 소정각도 기울어진 좌판을 틸팅고정부에서 고정시켜 유동을 방지하므로 착석자가 좌판에 편안하고 안정감있게 착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plate can be tilted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pper body of the seated person sitting on the seat plate to keep the seater's waist straight and the seater's back is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rest. Not only can it be maintained and used safely, but also the seat tilted by the seated person at a certain angle is fixed in the tilting fixing part to prevent flow, so that the seated seat can be comfortably and reliably seated on the seat. It can be improv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석자에 의해 앞.뒤로 소정각도 틸팅된 좌판을 고정시켜 착석자가 편안하고 안정감있게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ir that allows the seated person to sit comfortably and securely by fixing a seat plate tilted at an angle back and forth by the seated person.
일반적으로 의자는, 좌판과 등받이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은 기초에 의해 지지되면서 등받이와 연결대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의자는 착석자의 편의에 맞게 설계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의자에 팔걸이대를 장착하거나, 등받이가 탄력적으로 설치되기도 하고, 착석자의 요추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등받이 형태를 다양하게 설계하는 등 기능성 의자가 제안되고 있다.In general, a chair includes a seat plate and a backrest, which are supported by a foundation and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backrest and the connecting rod. Such chairs are designed for the convenience of the seated person. For example, functional chairs are designed such that armrests are mounted on the chair, the backrest is elastically installed, and the backrest is designed in various ways so as not to burden the lumbar spine of the seater. It is proposed.
그러나 상기의 의자는, 좌판이 앞쪽으로 틸팅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책상 위에서 필기를 하기 위해 앞으로 기울이거나 정좌를 할 때, 의자 전체를 앞쪽 및 뒤쪽으로 밀고 당겨서 의자와 책상과의 거리를 조절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hai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eat plate cannot be tilted forward, so when the user tilts forward or sits to write on the desk, the entire chair is pushed forward and backward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chair and the desk. There was a problem inconvenient to use.
또한, 착석자가 좌판에 앉은 상태에서 상체를 앞쪽으로 기울이면, 착석자의 등이 등받이로부터 떨어짐과 동시에 허리가 굽어지게 되며, 이러한 자세가 장시간 지속되면, 허리에 많은 통증과 피로가 쌓이게 되므로 착석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집중력 저하로 인한 학습 및 일의 능률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f the upper body is tilted forward while the seated person is sitting on the seat plate, the seated person's back falls from the back and the back is bent, and if such a posture lasts for a long time, a lot of pain and fatigue is accumulated in the lower back. Not only could it hurt, but there was also a problem of decreasing the efficiency of learning and work due to reduced concentration.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석자에 의해 좌판이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하여 착석자의 허리를 곧게 유지함과 아울러 착석자의 등이 등받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defect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seat plate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seated person to keep the seated person's waist straight and the seated person's back to the back. It is to provide a chair to maintain a close contac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석자에 의해 소정각도 기울어진 좌판을 고정시켜 편안하고 안정감있게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ir that can be seated comfortably and securely by fixing the seat plate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seated person.
본 발명 의자는,Th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의자의 기초에 장착되는 고정플레이트와;A fixed plate mounted to the base of the chair;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축으로 결합되면서 좌판에 고정되어 좌판에 앉는 착석자의 무게중심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기울어지는 지지플레이트와;A support plate that is coupled to the fixed plate and the shaft while being fixed to the seat plate and tilted by rotating about the axis by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ated person sitting on the seat plate;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복원하는 복원부재 및,Restoration member for restoring the support plate,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기울어진 지지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support plate inclined by rotating around the axis.
본 발명 의자에 의하면, 좌판에 앉은 착석자의 상체 이동에 따라 좌판이 앞뒤로 기울어져 착석자의 허리를 곧게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착석자의 등이 등받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장시간 사용시에도 착석자의 허리 건강을 유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plate can be tilted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pper body of the seated person sitting on the seat plate to keep the seater's waist straight and the seater's back is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rest. It can have the advantage of maintaining and using safely.
또한, 본 발명 의자에 의하면, 착석자에 의해 소정각도 기울어진 좌판을 틸팅고정부에서 고정시켜 유동을 방지하므로 착석자가 좌판에 편안하고 안정감있게 착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plat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seated person is fixed in the tilting fixing part to prevent flow, thereby enabling the seated person to sit comfortably and securely on the seat plate, thereby providing the user with confidence in the product. It can have the advantage of improving.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정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의자는, 의자(10)의 기초(11)에 장착되는 고정플레이트(100)가 구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와 축(200)으로 결합되면서 좌판(12)에 고정되어 좌 판(12)에 앉는 착석자의 무게중심에 의해 축(20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기울어지는 지지플레이트(300)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를 복원하는 복원부재(400)가 구성되고, 상기 축(20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기울어진 지지플레이트(30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고정플레이트(100)는, 상기 축(200)이 결합되도록 고정몸체(110)의 양단에 대향하게 관통된 축공(120)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몸체(110)에 복원부재(400)의 단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지지공간(130)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몸체(110) 일측에 고정편이 돌출되도록 관통된 작동공(14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The
여기서 상기 지지공간(130)의 내부에 복원부재(400)를 지지하는 지지편(131)(132)이 돌출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에 결합되는 지지몸체(310)의 양단에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에 관통된 축공(120)과 동일 선상으로 대향하게 관통되는 축공(320)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몸체(310)에 복원부재(400)를 수용하여 가압하는 가압공간(330)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몸체(310)의 일측에 돌출되는 한 쌍의 결합리브(3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The
여기서 상기 가압공간(330)의 내부에 복원부재(400)를 가압하는 가압편(331)(332)이 돌출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복원부재(400)는 토션스프링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상기 고정부(50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한 쌍의 결합리브(340)에 고정축(510)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레이크 패드(520)가 구비되고, 상기 브레이크 패드(520)의 장공(521)을 통해 고정편(141)(142)에 장착되어 브레이크 패드(520)를 압박하는 패드압박부재(53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편(141)(142)에 밀착되도록 패드압박부재(530)에 결합되어 패드압박부재(530)를 복원시키는 탄성부재(540)가 구비되고, 상기 패드압박부재(530)를 회전하여 압박하도록 고정플레이트(100)에 고정축(560)으로 결합되는 브레이크 손잡이(55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In addition, the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combin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먼저, 고정플레이트(100)의 지지공간(130)에 복원부재(400)의 하단부를 위치시켜 복원부재(400)의 양단이 지지공간(130)의 지지편(131)(132)에 각각 밀착되도록 한 후, 상기 고정플레이트(100) 상부에서 하부로 지지플레이트(300)를 이동시켜 지지플레이트(300)의 지지몸체(310)를 고정플레이트(100) 고정몸체(110)에 안착시킨다.First, the lower end of the
이때,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의 지지공간(130)에 위치한 복원부재(400)의 상단은 지지플레이트(300)의 가압공간(330)을 통과하면서 지지플레이트(300)의 축공(320)과 고정플레이트(100)에 관통된 축공(120)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데,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와 지지플레이트(300)의 일측 축공에 축(200)을 결합한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여기서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의 지지공간(130)과 지지플레이트(300)의 가압공간(330)은 복원부재(400)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복원부재(400)의 양단부가 지지편(131)(132)과 가압편(331)(332)에 밀착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support space 130 of the
상기 축(200)은 일측 축공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복원부재(400)에 결합된 후, 타측 축공으로 돌출되어 축(200)의 결합이 완료되며, 상기 타측 축공으로 돌출된 축(200)의 단부를 타격하여 축공보다 크게 성형하거나 축(200)의 단부에 별도의 도구를 장착하여 축(200)이 축공으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The
또한, 고정부(500)의 브레이크 패드(520)를 고정플레이트(100)의 작동공(140)을 경유하여 지지플레이트(300)의 한 쌍의 결합리브(340)에 결합한 후, 상기 한 쌍의 결합리브(340)와 브레이크 패드(520)를 고정축(510)으로 결합하는데, 상기 브레이크 패드(520)는 회전이 가능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after coupling the
상기 한 쌍의 결합리브(340)와 고정축(510)으로 결합된 브레이크 패드(520)의 장공(521)을 통해 고정편(141)(142)에 패드압박부재(530)를 결합하는데, 상기 고정편(141)(142)에 결합된 패드압박부재(530)에는 탄성부재(530)가 결합되어 있어야 하며, 상기 탄성부재(530)가 고정편(141)(142)에 직접 밀착되지 않도록 탄성부재(530)와 고정편(141)(142) 사이에는 와셔가 각각 결합되나, 상기 와셔 중 고정편(141)에 밀착되는 와셔는 스냅 링으로 하여 패드압박부재(53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지지편(141)(142)에 브레이크 패드(52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520)와 동일 선상으로 브레이크 손잡이(550)를 고정플레이트(100)에 결합하는데, 상기 브레이크 손잡이(550)의 편심축공(550')에 고정축(560)을 결합하여 고정플레이트(100)의 고정몸체(110)에 결합한다.When the
이때, 상기 브레이크 손잡이(550)는, 고정축(56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 어야 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의 고정몸체(110)에 바퀴가 장착되거나 쇼바가 포함된 기초(11)를 고정시킨 후, 지지플레이트(300)에 큐션재의 좌판(12)을 고정하고, 등받이프레임(13)에 등받이판을 장착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10)가 완성된다.At this time, the brake handle 550, it should be able to rotate around the
상기의 과정으로 완성된 의자(10)의 좌판(12)에 앉은 착석자가 상체를 앞쪽이나 뒤쪽으로 기울이면,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자의 무게중심이 앞쪽이나 뒤쪽으로 편심됨에 따라 좌판(12)과 상기 좌판(12)에 고정된 지지플레이트(300)는 축(200)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경사짐과 동시에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가압편(331)이 복원부재(400)의 일단부를 가압하여 고정플레이트(100)의 지지편(131)에서 이탈시키면서 지지공간(130)과 가압공간(330) 내부로 이동시키는데, 상기 복원부재(400)의 타단부는 고정플레이트(100)의 지지편(132)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일단부의 회전으로 복원력을 생성하게 된다.When the seated person sitting on the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가압편(332)이 복원부재(400)의 타단부를 가압하여 고정플레이트(100)의 지지편(132)에서 이탈시키면서 지지공간(130)과 가압공간(330) 내부로 이동시키는데, 상기 복원부재(400)의 일단부는 고정플레이트(100)의 지지편(131)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타단부의 회전으로 복원력을 생성하게 된다.In addition, while the
상기 축(200)을 중심으로 앞.뒤로 좌판(12)이 회전할 때,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한 쌍의 결합리브(340)에 결합된 브레이크 패드(520)는 고정축(510)을 중심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를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상기 브레이크 패드(520)의 장공(521) 하단부에 패드압박부재(530)가 위치하거나 상단부에 패드압박부재(530)가 위치하게 된다.When the
여기서 상기 축(200)을 중심으로 앞.뒤로 회전하는 좌판(12)은, 한 쌍의 결합리브(340)에 결합된 브레이크 패드(520)의 장공(521) 상.하 내면에 패드압박부재(530)가 밀착되는 상태까지이다.Here, the
상기 패드압박부재(530)가 브레이크 패드(520)의 장공(521) 상.하 내면에 밀착되거 상기 브레이크 패드(520)의 장공(521) 내부에 위치하도록 좌판(12)이 착석자의 선택에 따라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좌판(12)을 고정시키려면, 도 5c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500)의 브레이크 손잡이(550)를 회전시킨다.The
이때, 상기 브레이크 손잡이(550)는 편심축공(550')에 결합된 고정축(560)을 중심으로 편심되어 회전하면, 상기 브레이크 손잡이(550) 단부가 패드압박부재(530)를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패드압박부재(530)는 브레이크 패드(520)를 가압하고, 상기 브레이크 패드(520)는 고정편(142)에 밀착되면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유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좌판(12)의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여 착석자가 좌판(12)에 편안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또한, 상기 브레이크 손잡이(550)가 가압하는 패드압박부재(530)는, 브레이크 손잡이(550)의 중심에서 편심축공(550')이 편심된 거리만큼 압박되는데, 상기 패드압박부재(530)의 압박거리에 따라 패드압박부재(530)에 고정되어 고정편(141)에 밀착된 스냅 링이 고정편(142)에 밀착된 탄성부재(540)의 복원력이 생성되도록 압축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 손잡이(550)의 역회전으로 패드압박부재(530)의 압박력이 해제되면, 상기 패드압박부재(530)는 탄성부재(540)의 복원력으로 복원됨과 동시에 패드압박부재(530)가 브레이크 패드(520)에서 이탈되어 브레이크 패드(520)의 압박력이 해제되면서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좌판(12)의 앞.뒤로 기울여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Here, when the pressing force of the
상기 패드압박부재(530)의 브레이크 패드(520) 압박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착석자가 좌판(12)에서 이탈하면, 복원부재(400)의 일단부가 복원되면서 가압편(331)을 가압하여 지지플레이트(300)를 회전시키는데, 상기 지지플레이트(300)가 회전되어 가압편(332)이 고정플레이트(100)의 지지편(132)에 밀착된 복원부재(400)의 타단부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가압편(331)에 밀착된 복원부재(400)의 일단부는 고정플레이트(100)의 지지편(131)에 밀착되면서 작동을 정지하고, 이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When the seated person is separated from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limited to the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ust be interpreted to mean meanings and concepts. 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herein are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정단면도3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5a to 5d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고정플레이트 110: 고정몸체100: fixed plate 110: fixed body
120: 축공 130: 지지공간120: shaft ball 130: support space
140: 작동공 200: 축140: operator 200: shaft
300: 지지플레이트 310: 지지몸체300: support plate 310: support body
320: 축공 330: 가압공간320: shaft 330: pressurized space
340: 결합리브 400: 복원부재340: coupling rib 400: restoring member
500: 고정부 510: 고정축500: fixed part 510: fixed shaft
520: 브레이크 패드 530: 패드압박부재520: brake pad 530: pad pressing member
540: 탄성부재 550: 브레이크 손잡이540: elastic member 550: brake handl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7827A KR100908735B1 (en) | 2008-12-31 | 2008-12-31 | chai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37827A KR100908735B1 (en) | 2008-12-31 | 2008-12-31 | chai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08735B1 true KR100908735B1 (en) | 2009-07-22 |
Family
ID=41337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37827A Expired - Fee Related KR100908735B1 (en) | 2008-12-31 | 2008-12-31 | chai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08735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4916B1 (en) * | 2013-06-05 | 2015-06-01 | 박영호 | Tilting Device of Chair |
WO2019132108A1 (en) * | 2017-12-26 | 2019-07-04 |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 Walking aid apparatus for elderly and infirm |
KR102245900B1 (en) | 2020-10-30 | 2021-04-30 | 주식회사 토퍼스 | supporting structure of seat and back for a chair |
KR102277397B1 (en) | 2020-11-25 | 2021-07-14 | 주식회사 토퍼스 | supporting structure of seat and back for a chair |
KR20220060636A (en) | 2020-11-05 | 2022-05-12 | 김태욱 | supporting structure of a seat for a chai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3561Y1 (en) | 2001-04-16 | 2001-10-11 | 동성사무기기(주) | Tilting base for a chair |
KR200250654Y1 (en) | 2001-07-16 | 2001-11-17 | 주식회사 다원스폰지 | A locking apparatus for adjusting angle of a chair |
KR100760756B1 (en) | 2006-11-13 | 2007-09-21 | 주식회사 한샘 | Chair tilting device |
KR100883913B1 (en) | 2008-11-21 | 2009-02-17 | 엄옥순 | Tilting device and chair including same |
-
2008
- 2008-12-31 KR KR1020080137827A patent/KR10090873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3561Y1 (en) | 2001-04-16 | 2001-10-11 | 동성사무기기(주) | Tilting base for a chair |
KR200250654Y1 (en) | 2001-07-16 | 2001-11-17 | 주식회사 다원스폰지 | A locking apparatus for adjusting angle of a chair |
KR100760756B1 (en) | 2006-11-13 | 2007-09-21 | 주식회사 한샘 | Chair tilting device |
KR100883913B1 (en) | 2008-11-21 | 2009-02-17 | 엄옥순 | Tilting device and chair including same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4916B1 (en) * | 2013-06-05 | 2015-06-01 | 박영호 | Tilting Device of Chair |
WO2019132108A1 (en) * | 2017-12-26 | 2019-07-04 |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 Walking aid apparatus for elderly and infirm |
KR102245900B1 (en) | 2020-10-30 | 2021-04-30 | 주식회사 토퍼스 | supporting structure of seat and back for a chair |
KR20220060636A (en) | 2020-11-05 | 2022-05-12 | 김태욱 | supporting structure of a seat for a chair |
KR102277397B1 (en) | 2020-11-25 | 2021-07-14 | 주식회사 토퍼스 | supporting structure of seat and back for a chai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317267B2 (en) | Ergonomic saddle chair | |
KR101839782B1 (en) | Device for tilting the lumbar support of chair seat back | |
KR100908735B1 (en) | chair | |
KR101355473B1 (en) | Chairs with rotatable backs | |
JP2010246922A (en) | Furniture product for seating | |
JP4627931B2 (en) | Chair back support mechanism | |
KR100883913B1 (en) | Tilting device and chair including same | |
EP2632297B1 (en) | A furniture unit to sit-on | |
KR100908737B1 (en) | chair | |
KR20180006024A (en) | chair having tilting back | |
KR20130064453A (en) | Gliding type tilting mechanism for chair and having it | |
KR102138836B1 (en) | Chair with tilting structure of seat | |
JP2004135769A (en) | Chair with backrest | |
KR100844086B1 (en) | Office knee chair | |
KR101447650B1 (en) | Chair with seat board of sliding device | |
KR102355428B1 (en) | Backrest chair with back-down seat plate structure with forward tilting and left and right rolling functions | |
KR101931630B1 (en) | Functional chair | |
KR200396260Y1 (en) | Device for adjusting the seat back of chair | |
JP5606767B2 (en) | Chair | |
JP2006296960A (en) | Chair having massage function | |
KR100908736B1 (en) | Chairs with tilting and tilting | |
CN212878495U (en) | Back seat linkage device for chair | |
KR101591947B1 (en) | Chair of up-down and revolution a board back | |
KR20140068348A (en) | Tilting Control System for Chair | |
JP5279773B2 (en) | Chair back support mechanis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812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5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7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7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0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0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