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08733B1 - 디밍 송·수신 모듈로 이루어진 led 형광등 - Google Patents

디밍 송·수신 모듈로 이루어진 led 형광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733B1
KR100908733B1 KR1020080102013A KR20080102013A KR100908733B1 KR 100908733 B1 KR100908733 B1 KR 100908733B1 KR 1020080102013 A KR1020080102013 A KR 1020080102013A KR 20080102013 A KR20080102013 A KR 20080102013A KR 100908733 B1 KR100908733 B1 KR 100908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ming
unit
led
input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운용
Original Assignee
(주)이노셈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셈코리아 filed Critical (주)이노셈코리아
Priority to KR1020080102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73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LED 형광등이 과전류와 과전압에 의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복수개의 LED 형광등이 통합제어가 되도록 디밍 송신모듈부, 디밍 수신모듈부, LED 기판제어모듈부로 구성함으로서, 1m~1000m 이내의 복수개의 LED 형광등이 RS485C형식으로 통합제어할 수 있고, 소비전력에 관계없이 복수개의 LED 형광등을 디밍 제어할 수 있으며, 정전류를 공급해 LED형광등의 안정적인 밝기와 최적 수명을 보장해 줄 수 있는 디밍 송·수신 모듈로 이루어진 LED 형광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LED 형광등, 통합제어, 디밍 송신모듈부, 디밍 수신모듈부

Description

디밍 송·수신 모듈로 이루어진 LED 형광등{THE FLUORESCENT LIGHT WITH LED}
본 발명은 1m~1000m 이내의 복수개의 LED 형광등이 RS485C형식으로 통합제어할 수 있고, 소비전력에 관계없이 복수개의 LED 형광등을 디밍 제어할 수 있으며, 정전류를 공급해 LED형광등의 안정적인 밝기와 최적 수명을 보장해 줄 수 있는 디밍 송·수신 모듈로 이루어진 LED 형광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변의 조도에 따라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는 디밍기능을 가진 조명기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밍조절이 가능한 조명기구는 공연장이나 극장 기타의 특수한 목적의 실내공간의 조명설비에서 주로 사용되면,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된 조명기구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특수목적의 조명기구는 대체로 연주나 공연에 적합한 조명설계에 기초하여 제어 되는 것이므로 외부환경의 밝기와 무관하게 디밍제어가 이루어진다.
요즘, LED 형광등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LED 형광등의 수명은 약 5만시간정도이고, 수명 및 폐기시 수은과 같은 중금속이 포함되지 않아 친환경적 제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공장이나, 대형 건물의 사무실에 LED 형광등이 복수개로 설치된 경우에 과전류나 과전압이 흘러, LED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빈번이 발생하였고, 복수개의 LED 형광등을 한꺼번에 조도조절할 수가 없고, 통합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1m~1000m 이내의 복수개의 LED 형광등이 RS485C형식으로 통합제어할 수 있고, 소비전력에 관계없이 복수개의 LED 형광등을 디밍 제어할 수 있으며, 정전류를 공급해 LED형광등의 안정적인 밝기와 최적 수명을 보장해 줄 수 있는 디밍 송·수신 모듈로 이루어진 LED 형광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디밍 송·수신 모듈로 이루어진 LED 형광등은
상용전원인 AC 100~240V가 벽부착용 전원스위치에 인가되어 업·다운의 디밍 신호가 발생되고, 디밍 컨트롤러에 의해 디밍 신호를 복수개의 LED 형광등에 RS485C 코드형식으로 출력시키는 디밍 송신모듈부와,
그 디밍 출력모듈부로부터 출력된 디밍 신호를 수신받아 LED 모듈제어부로 전달하고, LED 모듈 제어부에서 릴레이(SSR)에 PWM 신호를 인가해 LED 모듈이 PWM 디밍을 하도록 제어하는 디밍 수신모듈부와,
디밍 수신모듈부의 PWM 디밍신호에 따라 멀티패턴의 조도를 출력시키는 LED 기판제어모듈부로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난반사돌기가 있어서 빛의 확산성이 좋고, 디밍 제어를 통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RS485C형식으로 통합제어를 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밍 송·수신 모듈로 이루어진 LED 형광등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디밍 송신모듈부(100), 디밍 수신모듈부(200), LED 기판제어모듈부(3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디밍 송신모듈부(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디밍 송신모듈부(100)는 상용전원인 AC 100~240V가 벽부착용 전원스위치에 인가되어 업·다운의 디밍 신호 및 시스템 전원 신호가 발생되고, 디밍 컨트롤러에 의해 디밍 신호 및 시스템 전원 신호를 복수개의 LED 형광등에 RS485C 코드형식으로 출력시키는 곳으로, 이는 1m~1000m 이내의 복수개의 LED 형광등에 디밍 신호 및 시스템 전원 신호를 보내기 위해, 측벽에 부착되거나, 또는 리모콘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정전류부(SMPS)(110), 벽부착용 전원스위치(120), 디밍 컨트롤러부(130)가 구성된다.
상기 정전류부(SMPS)(110)는 상용전원인 AC 100~240V을 인가받아 12V 전압으로 변환시킨 직류전원을 벽부착용 전원스위치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벽부착용 전원스위치(120)는 벽에 부착되어 키패드를 통해 업(Up) 또는 다운(Down)의 디밍신호 및 시스템 전원 신호를 발생시키는 곳으로, 이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센서로 이루어진 키패드부(121)와, 키패드부의 입력을 받아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센서의 입력부분을 키스캔을 하고, 그 키스캔한 결과를 디밍 컨트롤러부에 전달하는 키스캔IC부(122)로 구성된다.
상기 키패드부는 시스템전원 ON/OFF 버튼, 디밍 업 버튼, 디밍 다운 버튼, 메모리설정 버튼으로 구성된다.
즉, 키패드부의 시스템전원 ON/OFF 버튼이 키스캔IC부의 입력단자인 CS1에 입력되고, 디밍 업 버튼이 키스캔IC부의 입력단자인 CS2에 입력되며, 디밍 다운 버튼이 키스캔IC부의 CS3에 입력되고, 메모리 설정 버튼이 키스캔IC부의 입력단자인 CS4에 입력된다.
그리고, 시스템전원 ON/OFF 출력신호는 키스캔IC부의 출력단자인 OUT1을 통해 디밍 컨트롤러부의 입력단자인 RA0에 입력되고, 디밍 업 신호는 키스캔IC부의 출력단자인 OUT2를 통해 디밍 컨트롤러부의 입력단자인 RA1에 입력되며, 디밍 다운 신호는 키스캔IC부의 출력단자인 OUT3를 통해 디밍 컨트롤러부의 입력단자인 RA2에 입력되고, 메모리 설정 신호는 키스캔IC부의 출력단자인 OUT4를 통해 디밍 컨트롤 러부의 입력단자인 RA3에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벽부착용 전원스위치(120)는 메모리에 고정출력 또는 일정 패턴의 조도 출력이 가능하도록 데이터를 내장하고 있으며, 반복하여 출력 가능하도록 프로그램설정되어 구성된다.
상기 디밍 컨트롤러부(130)는 벽부착용 전원스위치 일측에 연결되어 디밍 신호 및 시스템 전원 신호를 1m~1000m 이내의 복수개의 LED 형광등에 RS485C 코드형식으로 출력시키도록 제어하는 곳으로, 이는 PIC16F873으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LED 형광등이 식별이 되도록, 내부 메모리에 고유 식별 ID 설정부가 구성된다.
여기서, 고유 식별 ID 설정부는 각각의 LED 형광등에 고유 식별 ID가 설정되고, RS485C 코드로 디밍신호와 함께 고유 식별 ID가 코드화되어 전송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밍 컨트롤러부(130)는 입력단자 RA0가 키스캔IC부의 출력단자인 OUT1와 연결되고, 입력단자 RA1이 키스캔IC부의 출력단자인 OUT2와 연결되며, 입력단자 RA2가 키스캔IC부의 출력단자인 OUT3와 연결되고, 입력단자 RA3가 키스캔IC부의 출력단자인 OUT4와 연결된다.
그리고, 디밍 컨트롤러부(130)는 출력단자 출력단자 RC6에 2와어용 RS485C 시리얼 통신 프로토콜의 입력단자 DI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밍 컨트롤러부(130)는 벽부착용 전원스위치로부터 디밍 신 호 및 시스템 전원 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프로그래밍된 코드형식으로 판독후, RS485C 통신규약에 맞게 송출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RS485C는 RS 232, RS 422의 확장 버전으로, 홈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일종의 시리얼 통신 프로토콜 표준 규격으로서, 이는 모든 장치들이 같은 라인에서 데이터 전송 및 수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반이중 방식과 전 이중 통신 방식을 모두 지원한다. 또한 RS 485는 최대 드라이버·리시버 수가 각각 32개에 이르고, 최대 속도 10Mbps에 최장 거리 1.2km까지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디밍 송신모듈부의 송신단 T+단자 일측에 RS485+단자가 연결되고, T-단자 일측에 RS485-단자가 연결된 2와어용 RS485C이 구성하고, 반대쪽인 디밍 수신모듈부의 수신단 R+단자 일측에 RS485+단자가 연결되고, R-단자 일측에 RS485-단자가 연결된 2와이어용 RS485C를 구성함으로서, 1m~1000m 이내의 복수개의 LED 형광등이 RS485C형식으로 통합제어와 동시에 디밍제어까지 구성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밍 수신모듈부(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디밍 수신모듈부(200)는 디밍 출력모듈부로부터 출력된 디밍 신호를 수신받아 LED 모듈제어부로 전달하고, LED 모듈 제어부에서 릴레이(SSR)에 PWM 신호를 인가해 LED 모듈이 PWM 디밍을 하도록 제어하는 곳으로, 이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LED 형광등과 연결된 안정기 박스 내부 및, LED 형광등의 반사갓 일측 에 설치되고, 내부기판에 듀얼 정전류부(SMPS)(210), 전원레귤레이터부(220), 디밍 수신부(230), LED 모듈 제어부(240), 릴레이부(250)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상기 듀얼 정전류부(SMPS)(210)는 상용전원인 AC 100~240V을 인가받아 12V 전압으로 변환시킨 직류전원을 정전압 레귤레이터로 전달하고, 50V 전압으로 변환시킨 직류전원을 릴레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원레귤레이터부(220)는 듀얼 정전류부(SMPS)로 나오는 12V 전압을 5V로 정전압시켜서 수신부와 제어부의 전원단자로 인가시키는 곳으로, 이는 LM7805로 구성된다.
상기 디밍 수신부(230)는 디밍 출력모듈부로부터 출력된 디밍 신호 및 시스템 전원 신호를 RS458C 코드로 수신받아 LED 기판 제어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단자인 수신단 A+단자 일측에 RS485+단자가 연결되고, B-단자 일측에 RS485-단자가 연결된 2와이어용 RS485C를 구성된다.
이렇게 디밍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디밍신호 및 시스템 전원 신호는 출력단자 R0를 통해 LED 기판 제어부의 입력단자 RB1으로 전달된다.
상기 LED 기판 제어부(240)는 릴레이(SSR)에 PWM 신호를 인가해 LED 모듈이 PWM 디밍을 하도록 제어하는 곳으로, 이는 PIC원칩마이컴(PIC16F628A)으로 구성되어, 디밍 수신부에서 수신된 RS485C 신호를 전달받아, 미리 프로그래밍된 프로토콜형식으로 코드를 변환한 후, 해당 시그널에 맞게 LED 모듈을 디밍 컨트롤 하기 위해 릴레이(SSR)에 PWM 신호를 인가해 디밍을 하도록 제어한다.
즉, LED 모듈 제어부(240)의 입력단자 RB1에 디밍 수신부의 출력단자 R0가 연결되고, 출력단자 RB3에 저항R11을 통해 릴레이(SSR)의 신호입력단자(SG)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PWM 신호는 PIC16F628A 내부에 내장된 CCP모듈의 PWM 10비트 출력신호를 듀티비 제어하여 릴레이로 출력시킨다. 즉, LED 구동전원을 일정 주기의 ON/OFF 펄스를 사용하고, 그 펄스의 듀티비를 조정하여 구동전압을 바꾸는 것과 같은 효과로 LED의 구동을 변화시킨다.
그리고, LED의 디밍 컨트롤은 벽부착용 전원스위치로 부터 전달된 디밍신호의 세기에 따라 PWM의 듀티비를 제어하여, 선택된 디밍신호만큼의 PWM 신호를 LED로 전달되도록 미리 프로그래밍된다.
상기 릴레이부(250)는 입력단에 LED 기판 제어부의 PWM 신호가 인가되면 출력단 2개의 단자사이가 도통되어 LED 기판제어모듈부가 PWM 디밍신호에 따라 멀티패턴의 조도가 출력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부(SSR)는 기계식 릴레이를 전자식으로 바꾼 것으로, 단순 ON/OFF 기능만을 수행하는 기계식 릴레이보다 응답속도가 빠르고, ON/OFF시 소음이 없고,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막아 수명을 연장시키는 특성을 가진다.
릴레이부(SSR)의 입력단에 PWM 신호가 인가되고, 출력단에 LED 기판제어모듈부의 브릿지회로부가 연결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LED 기판제어모듈부(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LED 기판제어모듈부(300)는 디밍 수신모듈부의 PWM 디밍신호에 따라 LED기판 위에 복수개로 구성된 LED소자에 멀티패턴의 조도를 출력시키는 곳으로, 이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형광등 전극핀(710)과 LED 기판사이에 원형기판으로 형성되고, 그 원형기판 위에 브리지회로부(310)와, 정전류부(320)가 구성된다.
상기 브리지회로부(310)는 릴레이부의 출력단자와 연결되어 저항의 미소변화를 전위차로 변환하여 전기적으로 극성이 바뀌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정전류부(320)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캐패시터 C10을 통해 LED 소자에 지속적인 정전류를 공급해주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LED 형광등의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ED 형광등을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LED 기판(400), 알루미늄 방열부(500), 반투명 PC 확산구(600), LED 기판제어모듈 부(300), 디밍 수신모듈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LED 기판(400)은 PC 확산구와 동일한 호 형상이 복수개로 이루어져 PC 확산구를 바라보는 전면으로 복수개의 LED가 정열되어 발광되는 곳으로, 이는 기판 전면에 다수의 LED가 전면에 배치되고, 기판 후면에 LED로부터 나오는 열을 1차로 방열시키는 메탈 PCB로 구성된다.
메탈 PCB(450)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에 칩 LED(451)가 삽입되도록 삽입홀(452)과 함께 GE(Glass Epoxy) PCB(453)가 형성된다.
그리고, GE(Glass Epoxy) PCB(453) 하단에 고무재질의 절연패드(454)가 형성되고, 그 절연패드 하단에 알미늄 방열판(455)이 형성된다.
이처럼, 기존 PCB 바닥부분에 고무재질의 절연패드와 알미늄 방열판이 형성된 메탈 PCB로 구성됨으로서, 열 특성에 약한 LED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열에 의한 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알루미늄 방열부(500)는 메탈 PCB판들의 후면에 형성되어 지지역할을 함과 동시에 LED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부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는 봉형상의 지지축에 안착되어 메탈 PCB판을 지지하고, 1차로 메탈 PCB를 통해 방열된 LED의 열을, 2차로 방열시키도록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방열부가 복수개로 형성된다.
상기 반투명 PC 확산구(600)는 폴리카보네이트(PC) 재질로 이루어져, 형광등과 같은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LED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외부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PC 확산구의 상단면에 LED 기판, LED 기판제어모듈부, 그리고 디밍 수신모듈부가 슬라이드되어 삽입되도록 안내 레일홈이 형성되고, 그 양끝단에는 형광등 전극핀(710)이 구성된다.
또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확산구 안쪽에 LED광원의 난반사 용도로 톱니모양의 돌기(610)가 형성되어, 빛이 확산구내에서 산란 및 난반사되어 LED광원이 확산구내에 골고루 확산시킨다.
확산구는 PC와 불소화합물을 약 98 : 2 정도의 비율로 섞어 압출형식으로 뽑아 내어서 LED특유의 점광원을 평면광원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LED 기판제어모듈부(300)는 LED 기판과 형광등 전극핀 사이에 구성되고, 디밍 수신모듈부(200)는 LED 기판제어모듈부 일측에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밍 송·수신 모듈로 이루어진 LED 형광등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벽부착용 전원스위치의 업/다운 버튼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조도를 선택한다.
이때, 벽부착용 전원스위치를 디밍 신호가 발생되어, 디밍 컨트롤러부에 사 용자가 선택된 디밍 신호가 전달된다.
이어서, 디밍 컨트롤러부에서 디밍 신호를 1m~1000m 이내의 복수개의 LED 형광등에 RS485C 코드형식으로 출력시킨다.
이어서, LED 형광등 일측의 안정기에 구성된 디밍 수신모듈부에서는 디밍 수신부를 통해 디밍 출력모듈부로부터 출력된 디밍 신호를 RS458C 코드로 수신받아 LED 모듈제어부로 전달한다.
이어서, LED 모듈제어부에서는 릴레이(SSR)에 PWM 신호를 인가해 LED 모듈이 PWM 디밍을 하도록 제어한다.
이어서, LED 기판제어모듈부에서는 디밍 수신모듈부의 PWM 디밍신호에 따라 LED기판 위에 복수개로 구성된 LED소자에 멀티패턴의 조도를 출력시킨다.
이때, LED 기판에 나열된 복수개의 LED 소자들은 LED 기판제어모듈부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디밍신호에 따라 발광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밍 송·수신 모듈로 이루어진 LED 형광등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밍 송신 모듈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디밍 수신 모듈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밍 송·수신 모듈로 이루어진 LED 형광등을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밍 송·수신 모듈로 이루어진 LED 형광등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밍 송신 모듈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밍 수신 모듈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LED 기판의 후단에 구성된 메탈 PCB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 디밍 송신모듈부 110 : 정전류부(SMPS)
120 : 벽부착용 전원스위치 130 : 디밍 컨트롤러부
200 : 디밍 수신모듈부 210 : 듀얼 정전류부(SMPS)
220 : 전원레귤레이터부 230 : 디밍 수신부
240 : LED 모듈 제어부 250 : 릴레이부
300 : LED 기판제어모듈부

Claims (7)

  1. 상용전원인 AC 100~240V가 벽부착용 전원스위치에 인가되어 업·다운의 디밍 신호 및 시스템 전원 신호가 발생되고, 디밍 컨트롤러에 의해 디밍 신호 및 시스템 전원 신호를 복수개의 LED 형광등에 RS485C 코드형식으로 출력시키는 디밍 송신모듈부(100)와,
    그 디밍 송신모듈부(100)로부터 출력된 디밍 신호 및 시스템 전원 신호를 수신받아 LED 모듈제어부로 전달하고, LED 모듈 제어부에서 릴레이(SSR)에 PWM 신호를 인가해 LED 모듈이 PWM 디밍을 하도록 제어하는 디밍 수신모듈부(200)와,
    디밍 수신모듈부의 PWM 디밍신호에 따라 LED기판 위에 복수개로 구성된 LED소자에 멀티패턴의 조도를 출력시키는 LED 기판제어모듈부(30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디밍 송신모듈부(100)는 상용전원인 AC 100~240V을 인가받아 12V 전압으로 변환시킨 직류전원을 벽부착용 전원스위치에 전달하는 정전류부(SMPS)(110)와,
    벽에 부착되어 키패드를 통해 업(Up) 또는 다운(Down)의 디밍신호를 발생시키는 벽부착용 전원스위치(120)와,
    벽부착용 전원스위치 일측에 연결되어 디밍 신호를 1m~1000m 이내의 복수개의 LED 형광등에 RS485C 코드형식으로 출력시키도록 제어하는 디밍 컨트롤러부(130)로 디밍 송·수신 모듈로 이루어진 LED 형광등.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벽부착용 전원스위치(120)는 터치센서로 이루어진 키패드부와, 키패드부의 입력을 받아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센서의 입력부분을 키스캔을 하고, 그 키스캔한 결과를 디밍 컨트롤러부에 전달하는 키스캔IC부로 구성되고,
    키패드부의 시스템전원 ON/OFF 버튼이 키스캔IC부의 입력단자인 CS1에 입력되고, 디밍 업 버튼이 키스캔IC부의 입력단자인 CS2에 입력되며, 디밍 다운 버튼이 키스캔IC부의 CS3에 입력되고, 메모리 설정 버튼이 키스캔IC부의 입력단자인 CS4에 입력되고, 시스템전원 ON/OFF 출력신호가 키스캔IC부의 출력단자인 OUT1을 통해 디밍 컨트롤러부의 입력단자인 RA0에 입력되고, 디밍 업 신호가 키스캔IC부의 출력단자인 OUT2를 통해 디밍 컨트롤러부의 입력단자인 RA1에 입력되며, 디밍 다운 신호가 키스캔IC부의 출력단자인 OUT3를 통해 디밍 컨트롤러부의 입력단자인 RA2에 입력되고, 메모리 설정 신호가 키스캔IC부의 출력단자인 OUT4를 통해 디밍 컨트롤러부의 입력단자인 RA3에 입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밍 송·수신 모듈로 이루어진 LED 형광등.
  4. 제1항에 있어서, 디밍 컨트롤러부(130)는 입력단자 RA0가 키스캔IC부의 출력단자인 OUT1와 연결되고, 입력단자 RA1이 키스캔IC부의 출력단자인 OUT2와 연결되며, 입력단자 RA2가 키스캔IC부의 출력단자인 OUT3와 연결되고, 입력단자 RA3가 키스캔IC부의 출력단자인 OUT4와 연결되고, 출력단자 RC6에 2와이어용 RS485C 시리얼 통신 프로토콜의 입력단자 DI와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밍 송·수신 모듈로 이루어진 LED 형광등.
  5. 제1항에 있어서, 디밍 컨트롤러부(130)는 출력단자 일측에 2와이어용 RS485C 시리얼 통신 프로토콜(140)이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밍 송·수신 모듈로 이루어진 LED 형광등.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LED 기판제어모듈부(300)는 릴레이부의 출력단자와 연결되어 저항의 미소변화를 전위차로 변환하여 전기적으로 극성이 바뀌지 않게 하는 브리지회로부(310)와,
    LED 소자에 지속적인 정전류를 공급해주는 정전류부(32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밍 송·수신 모듈로 이루어진 LED 형광등.
KR1020080102013A 2008-10-17 2008-10-17 디밍 송·수신 모듈로 이루어진 led 형광등 Expired - Fee Related KR100908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013A KR100908733B1 (ko) 2008-10-17 2008-10-17 디밍 송·수신 모듈로 이루어진 led 형광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013A KR100908733B1 (ko) 2008-10-17 2008-10-17 디밍 송·수신 모듈로 이루어진 led 형광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8733B1 true KR100908733B1 (ko) 2009-07-22

Family

ID=41337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013A Expired - Fee Related KR100908733B1 (ko) 2008-10-17 2008-10-17 디밍 송·수신 모듈로 이루어진 led 형광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7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452B1 (ko) * 2009-11-20 2011-09-23 (주)플레넷아이엔티 스위치형 led 드라이버 모듈이 구성된 직류전원(dc)용 무극성 led 램프
KR101219783B1 (ko) * 2010-07-28 2013-01-09 김남호 방열 효과 및 광 확산 효과가 우수하며 정전류원을 이용한 led 조명 기구
WO2014092221A1 (ko) * 2012-12-14 2014-06-19 Chung Sang Min 디밍 제어 장치 및 방법
US9239157B2 (en) 2010-08-26 2016-01-19 Rasit Özgüc Light-emitting means, in particular for operation in lampholders for fluorescent lamp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2797A (ko) * 2004-12-06 2006-06-12 김형록 유/무선 통신망을 통한 led 조명의 색상 변환 장치
KR20070097603A (ko) * 2006-03-28 2007-10-05 주식회사 필룩스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
KR20080001050A (ko) * 2006-06-29 2008-01-03 삼성전기주식회사 Led를 구비한 lcd 백라이트 구동 시스템
KR20080088249A (ko) * 2007-03-29 2008-10-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led 제어유니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2797A (ko) * 2004-12-06 2006-06-12 김형록 유/무선 통신망을 통한 led 조명의 색상 변환 장치
KR20070097603A (ko) * 2006-03-28 2007-10-05 주식회사 필룩스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
KR20080001050A (ko) * 2006-06-29 2008-01-03 삼성전기주식회사 Led를 구비한 lcd 백라이트 구동 시스템
KR20080088249A (ko) * 2007-03-29 2008-10-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led 제어유니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452B1 (ko) * 2009-11-20 2011-09-23 (주)플레넷아이엔티 스위치형 led 드라이버 모듈이 구성된 직류전원(dc)용 무극성 led 램프
KR101219783B1 (ko) * 2010-07-28 2013-01-09 김남호 방열 효과 및 광 확산 효과가 우수하며 정전류원을 이용한 led 조명 기구
US9239157B2 (en) 2010-08-26 2016-01-19 Rasit Özgüc Light-emitting means, in particular for operation in lampholders for fluorescent lamps
WO2014092221A1 (ko) * 2012-12-14 2014-06-19 Chung Sang Min 디밍 제어 장치 및 방법
US9351377B2 (en) 2012-12-14 2016-05-24 Sang Min Chung Dimm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US9668323B2 (en) 2012-12-14 2017-05-30 Sang Min Chung Dimm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3569B2 (en) Lamp holder has built-in night light
US20110006688A1 (en) Led lamp device
JP4586098B1 (ja) 照明装置
JP5331581B2 (ja) 照明装置
JP6678312B2 (ja) 照明装置
KR101448962B1 (ko) 마이크로웨이브센서가 구비된 디밍용 led 램프, led 램프 제어 어셈블리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설
US9820346B2 (en) Lighting system, illuminating system and illuminating fixture
EP2261553A1 (en) Lighting unit, lighting network and method for lighting an interior
JP2010282838A (ja) 照明装置
TW201534180A (zh) 照明裝置及其上的照明組件及調節件
KR100967569B1 (ko) 교류전원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등 장치
KR100908733B1 (ko) 디밍 송·수신 모듈로 이루어진 led 형광등
US11353203B2 (en) Lighting apparatus with manual switch
KR20100083237A (ko) 조명 장치
WO2010140498A1 (ja) 照明装置
KR20130143265A (ko) 조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US9832825B2 (en) Signal transmitting device, signal receiving device, lighting system, illuminating fixture, and illuminating system
JP2011108597A (ja)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CN210405713U (zh) 一种照明控制系统
KR101347718B1 (ko) 색온도, 색상 및 밝기 조절이 가능한 조명 시스템
US20170223790A1 (en) Power supply, lighting system, illuminating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a time required for extinguishing an electric arc
JP2011159391A (ja) 直管蛍光灯型led照明灯と、これを用いた照明装置
KR20140132491A (ko) 통신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JP2015181124A (ja) 照明装置
KR102372993B1 (ko) 스마트 평판조명을 이용한 조명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3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7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7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