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7480B1 - Sewage disposal system - Google Patents
Sewage disposal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07480B1 KR100907480B1 KR1020070032652A KR20070032652A KR100907480B1 KR 100907480 B1 KR100907480 B1 KR 100907480B1 KR 1020070032652 A KR1020070032652 A KR 1020070032652A KR 20070032652 A KR20070032652 A KR 20070032652A KR 100907480 B1 KR100907480 B1 KR 1009074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pipe
- tank
- sewage
- recycling apparatu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9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0249 desinf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3610 charco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645 desinfect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2361 compo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53 shamp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4 soa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0527 tourmal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13 tourmal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32 tourma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5—Black water originating from toil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2—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dishwashers, laundry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변기, 싱크대, 세탁기 등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정화시켜서 생활용수로 다시 반복 사용하게 함으로써 수자원을 보호할 목적으로, 옥내 시설물로부터 배출된 오수 찌꺼기를 분쇄 및 교반하여 배출하는 분쇄부; 분쇄부로부터 송기된 오수를 찌꺼기와 물로 분리하는 경사진 진동판; 진동판에서 분리된 오수 찌꺼기를 수집하여 발효시키는 발효조; 상기 진동판에서 분리된 물을 정화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가 구비된 정수부; 정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을 수집하여 약품으로 소독하는 집수부; 상기 집수부에서 배출된 정화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 및 정수탱크에 저장된 정화수를 상기 옥내 시설물의 상수관으로 공급하는 배관으로 구성된 오수 재활용 장치가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water recycling apparatus, purifying wastewater discharged from a toilet, a sink, a washing machine, etc., and recycling the wastewater from the indoor facilities by pulverizing and stirring the wastewater discharged from indoor facilities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water resources. Grinding unit; An inclined diaphragm separating the wastewater sent from the crushing unit into the residue and water; Fermentation tank for collecting and fermenting sewage waste separated from the diaphragm; A water purification unit provided with at least one filter to purify the water separated from the diaphragm; A water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purification unit and disinfecting it with chemicals; A purified water tank storing purified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collecting unit; And a pipe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stored in a purified water tank to a water pipe of the indoor facility.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장치의 구조 개념도.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정수부의 요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ain part structure of the purified part of FIG. 1. FIG.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장치의 구조 개념도.3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2의 배수판의 구조를 보인 확대도.Figure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rain plate of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 변기 2 : 저수조1: toilet bowl 2: reservoir
10, 100 : 분쇄부 11, 103 : 분쇄익10, 100:
20 : 진동판 30 : 발효조20: diaphragm 30: fermentation tank
31 : 가스배출관 40 : 정수부31: gas discharge pipe 40: water purification part
41 : 서랍식 필터 43 : 종이필터41: drawer filter 43: paper filter
44 : 모래층 45 : 숯층44: sand layer 45: charcoal layer
45 : 종이층 50 : 집수조45: paper layer 50: water tank
51 : 집수모터 54 : 교반기51: collecting motor 54: stirrer
60 : 정수탱크 61 : 배수관60: water purification tank 61: drain pipe
62 : 배수밸브 63 : 오버플로우(Over-flow)관62: drain valve 63: overflow pipe
80 : 제어부 101 : 싱크대80
102 : 배수판102: drain plate
본 발명은 변기, 싱크대, 세탁기 등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정화시켜서 생활용수로 다시 반복 사용하게 함으로써 수자원을 보호하도록 하는 오수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age recycling apparatus which protects water resources by purifying wastewater discharged from a toilet, a sink, a washing machine, and the like and repeatedly using it as household water.
현재 우리나라는 UN으로부터 물부족국가로 분류되어 있고, 우리나라 정부 역시 강수량 대비 물 사용량이 현저히 많은 점을 인식하여 수자원을 절약하기 위한 각종 캠페인을 벌임으로써 국민에게 물을 아껴쓰도록 권고하고 있는 실정이다.At present, Korea is classified as a water shortage country by the United Nations, and the Korean government is also aware of the significant amount of water use compared to precipitation and encourages people to save water by holding various campaigns to save water resources.
그러나, 현재 대다수의 국민들은 비누보다 물 사용량이 현저히 많은 샴푸를 그대로 쓰거나, 기름 끼가 있는 음식물을 휴지 등으로 먼저 닦지 않은 채 그대로 세제를 이용하여 세척함으로써 물 사용량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most people now use shampoo, which uses significantly more water than soap, or wash oily foods with detergents without washing them with tissue paper first.
또한 환경오염 측면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로 분리하여 배출하고는 있으나, 음식물 쓰레기를 일일이 분리하여 배출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거니와, 음식물 쓰레기의 재활용률이 저조하여 대부분의 음식물 쓰레기가 그대로 땅에 매립되고 있어, 폐수나 가스 발생으로 인한 악취의 증가는 물론, 토양까지 오염시키는 환경오염의 심각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terms of environmental pollution, food waste is separated and discharged separately, but it is very cumbersome to separate and discharge food waste one by one. However, since the recycling rate of food waste is low, most food waste is still buried in the ground. In addition, there is a serious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that contaminates soil as well as the increase of odor due to gas generation.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의 인식 하에 이를 효과적으로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변기, 싱크대, 세탁기 등의 사용 후 발생하는 생활 하수를 가정 내에서 자동으로 정화시킴은 물론, 정화수를 다시 상수도관과 연결시켜 재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물 소비량을 감소시키고, 수자원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오수 재활용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ectively replace it with the recognition of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automatically purifying domestic sewage generated after use of the toilet, sink, washing machine, etc., as well as the purified water aga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tewater recycling apparatus that can b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ipe to be recycled, thereby reducing water consumption and protecting water resource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나 변기 사용 후 발생하는 오물 등을 수집, 발효시켜서 퇴비와 같은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량과 매립량을 줄임으로써 토양오염과 수질오염 등의 환경오염의 주된 요인을 저감시킬 수 있는 오수 재활용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llect and ferment food waste or waste generated after the use of the toilet to be recycled for use, such as compost by reducing the amount of land waste and landfill by reducing the amount of food waste and land pollution, etc. It is to provide a wastewater recycling apparatus that can reduce the main causes of environmental pollu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수 재활용 장치는, 옥내 시설물로부터 배출된 오수 찌꺼기를 분쇄 및 교반하는 분쇄익과 분쇄된 오수를 배출하기 위해 제1배관과 연결된 펌프를 포함하는 분쇄부; 상기 펌프로 송기된 오수를 찌꺼기와 물로 분리하도록 복수개의 배수구가 구비된 경사진 진동판; 상기 진동판에서 분리된 오수 찌꺼기를 수집하여 발효시키고 발효된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개폐구가 구비된 발효조; 상기 진동판에서 분리된 물을 정화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가 구비된 정수부; 상기 정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을 수집하여 약품으로 소독하는 집수부; 상기 집수모터로 송기된 정화수를 저장하고, 상부에 하수관과 연결된 오버플로우관이 구비된 정수탱크; 상기 정수탱크에 저장된 정화수를 상기 옥내 시설물로 공급하기 위한 제3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wage recyc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grinding unit including a grinding blade for crushing and stirring the waste sewage discharged from the indoor facilities and a pump connected to the first pipe for discharging the crushed sewage; An inclined diaphragm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rain holes so as to separate the sewage sent by the pump into waste and water; A fermentation tank equipp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port to collect and ferment sewage waste separated from the diaphragm and to remove fermented waste; A water purification unit provided with at least one filter to purify the water separated from the diaphragm; A water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purification unit and disinfecting the medicine; A purified water tank storing purified water sent to the collecting motor and having an overflow pipe connected to a sewer pip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third pipe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purified water tank to the indoor facility.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수부, 집수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 각각 충진 물의 과충진을 검출하도록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의 작동에 따라 펌프, 집수모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a sensor is provided to detect overfilling of the filling water at any one or more positions of the drainage part and the sump,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pump and the sump mot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nsor. Include.
또한, 상기 정수부는, 내부에 정화물질이 충진되고 상/하단에 복수개의 배수구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서랍식 필터와, 상하 방향으로 병렬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종이필터가 상호 교번하여 배치되고, 상기 서랍식 필터 내부의 정화물질은 모래층, 숯층 및 종이층이 차례로 적층된다.In addition, the water purifying unit is filled with a purification material therein, one or more drawer filters formed with a plurality of drain holes in the upper and lower, and a plurality of paper filters arranged in parallel in the vertical direction alternately arranged, the inside of the drawer filter The purification material of the sand layer, the charcoal layer and the paper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한편, 상기 집수조 내부에 수집된 정화수와 소독약을 고르게 혼합시키기 위해 모터로 구동하는 교반기가 내장될 수 있고, 상기 정수탱크 하단에 개폐 가능한 배수밸브가 형성된 배수관이 더 구비되어 탱크 내 청소시 저장된 물이 하수관으로 배출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제3배관에는 옥내 시설물로의 정화수 공급을 제어하는 공급밸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 stirrer driven by a motor may be embedded to uniformly mix the purified water and the disinfectant collected in the sump, and a drain pipe having an openable drain valve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purified water tank to store water stored in the tank. It may be discharged to the sewage pipe, the third pipe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upply valve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purified water to the indoor facility.
여기서, 상기 옥내 시설물은 저수조가 구비된 변기이거나, 상수도관을 포함하는 싱크대 또는 세탁기일 수 있다.Here, the indoor facility may be a toilet equipped with a water tank or a sink or washing machine including a water pipe.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구조 설명을 위해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이로부터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llustrated for explaining the specific and pract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fully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장치의 구조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수부의 요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1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ain part of a water purification unit of FIG. 1.
도 1을 참조한 본 발명의 오수 재활용 장치의 제1실시예는, 옥내 시설물을 변기(1)로 한 실시예로서, 상기 변기(1)는 후방 상부에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2)를 구비하고 있으며, 변기(1) 하부에는 분쇄부(10)가 위치한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wastewater recyc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1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indoor facility is a
상기 분쇄부(10)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분쇄익(11)과, 상기 분쇄익(11)에 의해서 분쇄 교반된 물과 오물의 혼합물을 저장함과 동시에 이를 후술하는 진동판(20)으로 송기하기 위해 제1배관(L1)과 연결된 펌프(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부가적으로 분쇄부(10) 소정 높이에 제1센서(13)가 설치되어서, 혼합물이 분쇄부(10) 내에 과다하게 쌓일 경우 펌프(12)를 가동시켜서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이들의 일련의 과정은 제어부(80)에서 제어하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한 리모컨(미도시) 작동과 같이 수동 작업에 의해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The crushing
변기(1)에서 배출되는 물과 오물은 분쇄익(11)에 의해, 교반, 혼합되어 분쇄부(10)에 쌓이게 되고, 교반, 분쇄된 혼합물은 펌프(12)의 작동에 의해서 제1배관(L1)을 통해 진동판(20) 상부로 송기된다.Water and dirt discharged from the
진동판(20)은, 진동모터(22)에 의해 진동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것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되고, 진동판(20) 자체에는 복수개의 배수구(21)가 구비되며, 하향 경사진 단부에는 발효조(30)가 위치하는 한편, 진동판(20)의 하부에는 정수부(40)가 위치한다.The
제1배관(L1)을 통해 송기되어 진동판(20) 상부로 도달한 혼합물은 진동판(20)의 진동 작용에 의해서 진동이 가해지는 상태로 점차 진동판(20)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며, 이때 물은 배수구(21)를 통해 정수부(40)로 낙하하고, 배수구(21)를 통과하지 않은 오물은 발효조(30)로 낙하하게 된다.The mixture, which is blown through the first pipe L1 and reaches the upper portion of the
상기 발효조(30)는, 상기 배수구(21)로 배출되지 아니한 오물이 퇴적되는 곳으로서, 소정 위치에 가스배출관(31)이 구비되어 퇴적된 오물이 발효되면서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내부 소정 높이에는 제2센서(32)가 구비되어서 오물의 퇴적량이 과다하게 쌓일 경우, 이를 감지하여 소리를 발생하는 스피커(미도시)나 빛을 발생하는 램프(미도시)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발효조(30)의 오물 퇴적량이 적정 수준 이상임을 표시하도록 한다.The
한편, 설명되지 않은 부호 33은 개폐구로서, 사용자는 상기 제2센서(32)의 감지에 의한 표시를 통해서 발효조(30)의 청소를 실시하게 되며, 이때 개폐구(33)를 열어서 발효조(30)의 퇴적물을 제거하게 되는데, 발효조(30)에서 반출된 퇴적물은 퇴비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Meanwhile,
상기 정수부(40)는 진동판(20)의 배수구(21)를 통해 배출된 물을 정화시키는 곳으로, 배수구(21)는 미세한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물이 포함되지 않은, 어느 정도의 부유물이 걸러진 물이다. The
이를 정화시키기 위한 정수부(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하는데, 상기 필터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서랍식 필터(41)가 구비되고, 또한 세로 방향으로 다수개가 연이어 설치된 종이필터(43)가 구비되는데, 정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서랍식 필터(41)와 종이필터(43)를 반복적으로 교번하여 설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한 서랍식 필터(41)의 구체적인 형태는,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단에 복수개의 배수구(42)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모래층(44), 숯층(45), 종이 층(46)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취한다. 물론, 상기 서립식 필터(41) 내부에 충진되는 정화물질은 다른 종류의 정화물질, 예컨대 전기석인 토루마린, 맥반석 등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적층물과 그 순서의 변경 및 정화물질의 적층 수 역시 예시된 것과 달리 할 수 있는 바,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서립식 필터(41)는 필터 교환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 슬라이드 가능한 서랍식으로 하여 착탈이 용이하게 구성된 점에 그 특징이 있으며, 필터링으로 사용된 정화물질에 제한을 두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specific form of the pull-out
위와 같이 서랍식 필터(41) 및 종이필터(43)에 의해서 정화된 물은, 경사진 받침판(47)을 통해서 집수조(50)에 저장된다.The water purified by the
상기 집수조(50)는, 정화된 물을 소독하기 위한 곳으로, 집수조(50) 소정부에는 약제를 투입할 수 있는 약제투입구(52)가 구비되고, 집수조(50)에 저장된 물을 정수탱크(60)로 송기하기 위한 집수모터(51)가 더 구비되며, 또한 정화된 물이 집수조(50)에 과다하게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3센서(53)가 집수조(50)의 소정 높이 위치에 내장되어서 제3센서(53)가 정화된 물의 양을 측정하여 과다하다고 판단안 경우, 전술한 제어부(80)로 신호를 보내고, 이에 따라 제어부(80)는 집수모터(51)의 가동명령 신호를 송출하여 집수조(50) 내의 물을 정수탱크(60)로 송기하게 된다.The sump (50) is a place for disinfecting the purified water, and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sump (50) is provided with a chemical inlet (52) into which the medicine can be put, and the water stored in the sump (50) is purified water tank ( 60 is further provided with a
한편, 사용자는 약품투입구(52)를 통해서 정기적으로 집수조(50) 내부로 물 소독약품을 투입할 수 있고, 이때 소독약품과 물을 고르게 혼합시킴과 동시에 물을 효과적으로 혼합하기 위해서는 집수조(50) 내부에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교반 기(54)가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input the water disinfecting chemicals into the water collecting tank (50) regularly through the chemical inlet (52), at this time, to mix the disinfecting chemicals and water evenly and at the same time to effectively mix the water inside the water collecting tank (50) A
이와 같이 집수조(50) 내에서 정화 및 소독된 물은 집수모터(51)의 구동으로 제2배관(L2)을 통해 정수탱크(60)로 송기된다.The water purified and disinf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상기 정수탱크(60)는, 상부에 하수관(70)과 연결된 오버플로우관(63)이 구비되고 하부에도 역시 하수관(70)과 연결된 배수관(61)이 구비되며, 상기 배수관(61)에는 배수관의 개폐를 담당하는 배수밸브(6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오버플로우관(63)은 정수탱크(60) 내에 저장된 물이 과다하게 저장될 경우, 오버플로우관(63)을 통해 과다하게 충진된 물이 넘쳐서 하수관(70)으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When the
또한, 상기 배수밸브(62)는 평상시에는 닫혀 있다가, 정수탱크(60) 내부를 청소할 필요가 있을 경우, 배수밸브(62)가 개방되며, 이 상태에서 청소를 하면, 정수탱크(60) 내부를 세척한 물이 배수관(61)을 통해서 하수관(70)으로 배출되고, 청소가 종료되면, 다시 폐쇄된다.In addition, the
정수탱크(60) 내에 저장된 물은 제3배관(L3)을 통해서 변기(1)의 저수조(2)로 송기되고, 저수조(2)에 저장된 물른 사용자의 용변 후 내리는 물로 사용하게 된다.The water stored in the purified
이때, 상기 제3배관(L3)에는 공급밸브(64)가 구비되어서 정수탱크(60)에 저장된 물을 필요에 따라 저수조(2)로 배출되게 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탱크(60) 내부를 청소할 경우에는, 상기 공급밸브(64)는 닫혀 있는 상태이다.At this time, the third pipe (L3) is provided with a
이와 같은 구조로 된 오수 재활용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wastewater recycling apparatus having such a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저수조(2)에 설치된 물 내림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80)가 이를 감지하여, 분쇄부(10) 내의 분쇄익(11)을 작동시켜서 변기(1)로부터 내려지는 물과 오물을 분쇄, 혼합하게 한다.First, after the user views the toilet and presses the water down button installed in the
분쇄부(10)에 물과 오물이 혼합된 혼합물이 쌓이면, 펌프(12)가 작동함과 동시에 진동판(20)이 가동을 하며, 혼합물은 진동판(20)에서 물과 오물로 분리되고, 분리된 물과 오물은 각각 정수부(40)와 발효조(30)로 보내진다.When a mixture of water and dirt is accumulated in the crushing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필터가 내장된 정수부(40)에서 정화된 물은 집수조(50)에서 소독약품에 의해 소독된 후, 정수탱크(60)로 송기되어 저장되며, 상기 저수조(2)의 물이 변기(1)로 내려가면, 공급밸브(64)가 개방되어 정수탱크(60)에 저장된 물이 제3배관(L3)을 통해 저수조(2)로 공급되어 변기(1) 사용후 언제든지 물을 내릴 수 있도록 준비시키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urified water in the purified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서, 분쇄부(10), 집수조(50)에 부착된 각 센서(13)(53)는 분쇄부(10) 및 집수조(50)에 물이 과다하게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잉여된 물은 정수탱크(60)의 오버플로우관(62)을 통해 하수관(70)으로 배출된다.In this series of processes, each of the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장치의 구조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2의 배수판의 구조를 보인 확대도이다.3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drain plate of FIG. 2.
도 3을 참조한 본 발명의 오수 재활용 장치의 제2실시예는, 옥내 시설물을 싱크대(101)로 한 실시예로서, 상기 싱크대(101) 하부에는 분쇄부(100)가 위치하며, 상부에는 통상 상수도관(L4)과 온수관(L5)이 연결되어서 찬물과 더운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이들이 조절기(90)를 통해서 적정한 온도, 즉 사용자가 선택한 온도로 조절되어 싱크대(101) 상부로 토출되도록 하고 있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wastewater recyc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3 is an embodiment in which indoor facilities are used as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쇄부(100)는,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판(102)과 상기 배수판(102) 저부에 형성된 분쇄익(103)과 분쇄된 오수를 이송시키는 펌프(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상기 배수판(102)은 싱크대(101)를 통해 배출되는 물과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는 곳으로, 물은 배수판(102)에 형성된 복수개의 구멍을 통해서 배출되고, 음식물쓰레기는 배수판(102) 저부에 구비된 분쇄익(103)을 통해서 분쇄, 교반되며, 이들 물과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는 경사진 유도판(104)을 통해 분쇄부(10) 내에 쌓이게 된다.The
이와 같이 쌓인 물과 음식물 찌꺼기 혼합물은 펌프(112)에 의해서 제1배관(L1)을 통해 진동판(20)으로 낙하되며, 진동판(20)에서 분리된 물과 오물 혼합물은 각각 정수부(40)와 발효조(30)로 보내진다.The accumulated water and food waste mixture is dropped into the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필터가 내장된 정수부(40)에서 정화된 물은 집수조(50)에서 소독약품에 의해 소독된 후, 정수탱크(60)로 송기되어 저장되며, 정수탱크(60)에서 제3배관(L3)을 통해 송기되는 물은 상기 상수관(L4)에 연결되어 싱크대(101)로 공급되는 구조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urified water in the purified
이때 사용자가 싱크대(101)를 사용할 때 찬물은 정수탱크(60)로부터 공급받으므로, 상수관(L4)으로부터의 물 사용을 절약할 수 있게 되므로, 물 소비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cold water is supplied from the purified
여기서 제2 실시예의 진동판(20), 발효조(30), 정수부(40), 집수조(50) 및 정수탱크(60)이 각 구조의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 since the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서라면, 상기 옥내 시설물은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변기(1)나 싱크대(101) 외에 가정에서 흔히 사용하는 세탁기로 대체될 수 있다.By such a device, the indoor facility may be replaced by a washing machine commonly used in homes besides the
즉, 세탁기(미도시)에서 탈수된 물은 분쇄부(10)(100)로 배출되고, 정수탱크(60)에서 공급된 물은 세탁기로 공급되는 상수도관(L4)으로 공급되게 하여 세탁기의 찬물 공급을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서 정화된 물로 대체할 수 있는 바, 따라서 본 발명의 오수 재활용 장치는 가정 내에서 상수도관(L4)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사용하는 장치라면 어떠한 시설물이라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at is, the water dewatered from the washing machine (not shown) is discharged to the crushing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재활용 장치에 의하면, 변기, 싱크대, 세탁기 등에서 발생하는 생활 하수 또는 오물을 그대로 배출하지 않고 정화시킴은 물론, 이를 재활용하여 사용하므로, 상수도관으로 유입되는 물 소비량을 현저히 감소시켜서 경제적 이윤을 획득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국가적으로는 수자원을 보호할 수 있게 되며, 물부족 국가라는 심각한 문제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wastewater recyc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lean the domestic sewage or wastewater generated from a toilet, a sink, a washing machine, etc. without being discharged as it is, and to recycle it,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water consumption flowing into the water supply pipe. Not only will it be able to earn profits, but it will also be able to protect water resources nationally and reduce the social costs incurred in the serious problem of water scarcit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나 변기 사용 후 발생하는 오물 등을 수집, 발효시켜서 퇴비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게 되므로, 화학적 비료의 사용량을 감소시켜서 화학적 비료에 의한 토양오염을 방지하게 되고, 나아가 인체에 무해한 채소나 곡류를 얻을 수 있게 되어 국민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되는 매우 효과적인 발명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collect, ferment, and recycle the food waste or the waste generated after the use of the toilet, and to recycle it as compos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chemical fertilizer to prevent soil contamination by chemical fertilizers, and It is a very effective invention that can improve people's health by obtaining vegetables or grains that are harmless to the human body.
이상 예시된 도면과 그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은 그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각 구성요소의 배치 및 배관의 배열 등은 필요에 따라 쉽게 변경이 가능하고, 그러한 변경이 본 발명에 내재된 기술사상과 동일, 유사, 균등 관계에 있는 것이라면, 하기 기재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있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The drawings illustrated above and the description thereof are merely one example for facilit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arrangement of each component and the arrangement of piping may be easily performed as necess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modifications are possible and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set out below, provided that such modifications are in the same, similar, or equivalent relationship to the technical spirit inherent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2652A KR100907480B1 (en) | 2007-04-03 | 2007-04-03 | Sewage disposal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2652A KR100907480B1 (en) | 2007-04-03 | 2007-04-03 | Sewage disposal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9898A KR20080089898A (en) | 2008-10-08 |
KR100907480B1 true KR100907480B1 (en) | 2009-07-13 |
Family
ID=40151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32652A Expired - Fee Related KR100907480B1 (en) | 2007-04-03 | 2007-04-03 | Sewage disposal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0748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12620A (en) * | 2018-07-27 | 2020-02-05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Retreatent system for muddy nutrient solu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0201B1 (en) * | 2016-03-28 | 2017-03-27 | 주식회사 동남이엔씨 | Non powered storage tank for preventing formation of stagnat region |
CN112517181A (en) * | 2020-11-16 | 2021-03-19 | 何兴昭 | Gardens sewage treatment plant |
KR102352762B1 (en) * | 2021-08-20 | 2022-01-17 | 민병직 | Sludge and smell purifier for edging machin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3530A (en) | 1997-07-25 | 1999-02-0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Garbage processing equipment |
KR20000054588A (en) * | 2000-06-13 | 2000-09-05 | 김세창 | Device for treatment of night soil, food waste and house sewage and a method of treating night soil, food waste and house sewage using the device |
KR20000067061A (en) | 1999-04-22 | 2000-11-15 | 신동국 | Wastewater Purification System |
KR200321862Y1 (en) * | 2003-02-18 | 2003-07-31 | 유한복 | A bias tape |
-
2007
- 2007-04-03 KR KR1020070032652A patent/KR10090748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3530A (en) | 1997-07-25 | 1999-02-0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Garbage processing equipment |
KR20000067061A (en) | 1999-04-22 | 2000-11-15 | 신동국 | Wastewater Purification System |
KR20000054588A (en) * | 2000-06-13 | 2000-09-05 | 김세창 | Device for treatment of night soil, food waste and house sewage and a method of treating night soil, food waste and house sewage using the device |
KR200321862Y1 (en) * | 2003-02-18 | 2003-07-31 | 유한복 | A bias tap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12620A (en) * | 2018-07-27 | 2020-02-05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Retreatent system for muddy nutrient solution |
KR102098855B1 (en) * | 2018-07-27 | 2020-04-08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Retreatent system for muddy nutrient solu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9898A (en) | 2008-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9082896A (en) | Garbage disposal equipment | |
JP2008246373A (en) | 厨 芥 Treatment system | |
CN206965315U (en) | A kind of kitchen sewage treatment unit | |
KR100907480B1 (en) | Sewage disposal system | |
CN203227355U (en) | Kitchen waste treatment device | |
KR100915779B1 (en) | Pulverize device for food garbage | |
CN101693585A (en) | Septic tank-artificial wetland rural sewage courtyard type landscape treating device | |
KR101308905B1 (en) | Food wastes treater for sink mounting | |
KR101134677B1 (en) | Food Waste Sewage Treatment System | |
CN209520190U (en) | Kitchen garbage treater with water scrub function | |
US20040148690A1 (en) | Toliet system | |
CN206356360U (en) | A kind of multi-functional water-oil separating and refuse disposal installation | |
WO2006105599A1 (en) | Water recycling system | |
CN101942856A (en) | Sewage disposal method of vehicle-mounted environmental protection toilet | |
JP2007511338A (en) | Septic organic waste treatment | |
KR20080065945A (en) | Food waste disposal system for sink with drainage purification | |
KR100703627B1 (en) | Wash Basin Water Recycling Unit for Flushing Toilet | |
CN206382314U (en) | A kind of multi-functional water-oil separating and refuse disposal installation | |
JP4341850B1 (en) | Garbage processing utilization system for apartment houses | |
CN102603130A (en) | Household garbage and sewage treatment system | |
KR101858670B1 (en) | Eco-friendly sewage disposal system | |
CN206927658U (en) | A kind of high-efficiency multi-stage oily-water seperating equipment | |
KR200413494Y1 (en) | Wash Basin Water Recycling Unit for Flushing Toilet | |
AU2002308421B2 (en) | Toilet system | |
CN205548434U (en) | Internal circulation water -free toil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0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7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7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