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07298B1 - Improved automatic power changer to perform transfer operation under load disconnection - Google Patents

Improved automatic power changer to perform transfer operation under load disconn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7298B1
KR100907298B1 KR1020090018278A KR20090018278A KR100907298B1 KR 100907298 B1 KR100907298 B1 KR 100907298B1 KR 1020090018278 A KR1020090018278 A KR 1020090018278A KR 20090018278 A KR20090018278 A KR 20090018278A KR 100907298 B1 KR100907298 B1 KR 100907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control signal
load
emergency power
input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2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차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코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33751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0729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코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코스텍
Priority to KR1020090018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729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298B1/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 H02J9/06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for lighting purpos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부하 분리 상태에서 절체 동작을 수행하는 개선된 전원자동 절체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자동 절체장치는, 제1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용전원 입력단 페어와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 중에서 하나를 출력단 페어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절체부와; 제2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단 페어 중 적어도 한 라인을 스위칭하여 부하가 분리되도록 하는 제2 절체부와; 상기 제1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1 절체부에 인가하기 전후에 상기 제2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2 절체부에 인가하여 상기 제1 절체부의 스위칭 동작이 부하 미 연결 상태에서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 회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절체 동작시에 개폐서지에 의한 쇼트 현상이나 타 세대로의 파급 등과 같은 문제들이 방지되므로, 상시와 비상시에 공통으로 상용되는 겸용등을 포함하여, 스위치, 릴레이, 절체 장치, 또는 분전반의 손상이 방지 또는 최소화된다. 또한, 절체 동작의 신뢰성 및 안정성이 개선된다. An improved power automatic switching device for performing a switching operation in a load disconnection state is disclosed. Automatic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witching un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one of the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pair and the emergency power input terminal pair in response to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to the output terminal pair; A second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switch at least one line of the output pair in response to a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so that the load is separated; A control circuit unit configured to apply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switching unit before and after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unit so that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ing unit is performed in an unconnected state. It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blems such as short-circuit due to open / close surge and spread to other generations during the switching operation are prevented, and thus, switches, relays, and transfers are commonly used, including both commonly used in normal and emergency situations. Damage to the device or distribution panel is prevented or minimized. In addition, the reliability and stability of the switching operation is improved.

Description

부하 분리 상태에서 절체 동작을 수행하는 개선된 전원자동 절체장치{Automatic power switching unit for performing switching operation in load disconnected status}Automatic power switching unit for performing switching operation in load disconnected status

본 발명은 상용전원의 정전 시에 비상전원을 집합건물의 세대 내에 공급하는 전원자동 절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automatic switching device for supplying emergency power in the generation of the assembly building in the event of a power failure of the commercial power supply.

일반적으로, 세대 분전반은 아파트, 빌라, 단독주택, 공공건물, 오피스텔 등과 같은 집합건물에서 단위세대별로 설치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각 전기부하로 전원을 분산 공급하여 누전 또는 과부하 발생 시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화재발생이나 전기부하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한 세대 분전반은 주 입력 터미널을 통하여 외부에서 인입되는 상용전원을 각 전기 부하로 공급하기 위해 주입력 터미널에 연결된 메인서키트 브레이커와 상기 메인서키트 브레이커를 통과한 전원을 각각 전기부하에 분산 연결되는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로 나뉘어 구성된다. In general, household distribution boards are installed by unit households in apartment buildings, apartments, villas, detached houses, public buildings, officetels, etc., and are supplied with commercial power from the outside to distribute power to each electric load, resulting in leakage or overload. It prevents the occurrence of fire or damage of electric load by shutting off the power supply when it occurs. Such generation distribution boards have main circuit breakers connected to the injection force terminals and sub-circuits distributed to the electric loads, respectively, for supplying commercial power from outside through the main input terminal to each electric load. It is divided into breakers.

통상적으로, 아파트, 타운하우스, 또는 오피스텔과 같은 집합건물에서는 상용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각 세대로 비상전원을 공급하여 비상등이 점등될 수 있도록 하는 대책이 마련되어 있으며, 특히 오피스텔의 경우에는 소방법에 근거하여 상용전원이 차단되었을 경우에 비상전원이 반드시 비상등과 같은 필수적 부하에 공급되도록 하여야 한다. In general, in a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a townhouse, or an officetel, when a commercial power source is cut off, there is a countermeasure for supplying emergency power to each household so that the emergency light is turned on. When commercial power is interrupted, emergency power must be supplied to essential loads such as emergency lights.

본 명세서에서, 상용전원은 발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로부터 건물 내로 인입되어 각 세대로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가리키고, 비상전원은 상기 상용전원이 정전이나 송전선로의 파손에 의해 차단된 경우에 집합건물의 내부 또는 주변의 발전설비로부터 공급되어지는 전원을 말한다. 예컨대 비상전원을 생성하는 전원설비는, 화력, 풍력, 전력, 태양력 등의 에너지를 받아 전원을 저장하거나 생성하는 자가 발전기, 축전지설비, 혹은 비상수전 전원설비가 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commercial power refers to the AC power supplied to each generation by entering the building from the transmission line connected to the power plant, the emergency power is the interior of the assembly building when the commercial power is interrupted by a power failure or breakage of the transmission line Or it refers to the power supplied from the surrounding power facilities. For example, the power equipment for generating an emergency power source may be a self-generator, a storage battery facility, or an emergency power receiving power facility that stores or generates power by receiving energy such as thermal power, wind power, electric power, and solar power.

세대 분전반에 인입되는 전원라인은 단상의 경우에는 2개의 입출력단을 가지며, 3상 380V의 경우에는 R, S, T 상의 3입력단 및 3 출력단을 갖는다. 3상의 경우에 변압기에 출력되는 전원라인은 상기 3입출력단에 중성선(N:NEUTRAL)을 포함하여 R,S,T,N 상으로 되므로, 4입력단 및 4출력단을 가진다. The power supply line introduced into the generation distribution board has two input and output stages in the case of a single phase, and three input stages and three output stages of the R, S, and T phases in the case of a three-phase 380V. In the three-phase case, the power line output to the transformer has four inputs and four outputs because the three inputs and outputs have a neutral line (N: NEUTRAL), and thus R, S, T, and N phases.

상기 세대 분전반에 설치되는 MCCB(MOULDED CASE CIRCUIT BRAKER)는 과부하 과전류 보호를 위한 차단기로서 기능하고, ELCB(EARTH LEAKAGE CIRCUIT BREAKER)는 누전 및 과부하 과전류 보호를 위한 차단기로서 사용된다. MOULDED CASE CIRCUIT BRAKER (MCCB) installed in the generation distribution panel functions as a circuit breaker for overload overcurrent protection, and ELCB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is used as a circuit breaker for leakage and overload overcurrent protection.

비상전원을 집합건물의 세대 내에 공급하는 전원자동 절체장치는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535857호와 같은 선행 특허에도 개시되어 있다. Automatic power supply switching device for supplying the emergency power in the generation of the aggregate is also disclosed in the prior patent, such as Korean Patent No. 10-535857.

그러한 종래의 전원자동 절체장치는 상용전원의 정전시 비상전원을 부하에 연결하거나 비상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다시 인가된 상용전원을 부하에 연결하는 절체 동작이 부하 연결 상태에서 수행되어왔다. 따라서, 그러한 경우에는 릴레이의 접점들에서 발생되는 개폐 서지(Surge)에 기인하여 상용전원과 비상전원이 아크에 의해 단락(합선)되는 문제가 초래될 수 있고, 그로 인해 화재 또는 전기실의 메인 차단기 트립(Trip)등과 같은 2차적인 사고로 파급되어질 경우에 다른 세대로의 전원 공급에 심각한 문제들이 발생될 소지가 있다. In such a conventional power automatic switching device, the switching operation of connecting the emergency power to the load or the commercial power applied again to the load when the emergency power is being supplied has been performed in the load connection state. Thus, in such a case, the problem of short-circuit (short-circuit) between the commercial power supply and the emergency power supply may be caused by an open / close surge generated at the contacts of the relay, thereby causing a fire or tripping the main breaker of the electrical room. In the event of a secondary incident such as a trip, serious problems may arise in the supply of power to other generations.

그러한 문제들은 릴레이 등과 같은 절체부의 후단에 연결된 부하를 그대로 연결한 상태에서 절체 동작을 하기 때문에 생길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자에 의해 여러 실험들과 관찰에 의해 확인되었다. Such problems have been confirmed by various experiments and observations by the present inventors, which may occur due to the switching operation in a state in which a load connected to a rear end of a switching unit such as a relay is connected as it is.

통상적으로 약 220볼트의 전원을 절체하는 릴레이 구조에서, 릴레이 스위치의 접점 간격은 1.2밀리미터(mm) 내지 1.5밀리미터 정도의 비교적 좁게 되어 있다. 상용전원이나 비상전원을 받도록 되어 있는 부하가 릴레이의 출력단에 그대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곧 바로 절체동작이 행해지면, 개폐 서지로 인해 발생되는 아크에 의해 상용전원과 비상전원이 서로 단락(합선)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며 매우 큰 단락전류가 흐를 경우, 주울열에 의해 릴레이 접점이 열화 되어 접점 융착 현상이 발생된다. In a relay structure that typically alternates about 220 volts of power, the contact spacing of the relay switches is relatively narrow, ranging from 1.2 millimeters (mm) to 1.5 millimeters. If the transfer operation is performed immediately while the load intended to receive commercial power or emergency pow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relay, the commercial power and emergency power are short-circuited (short-circuited) by the arc generated by open / close surge. An accident may occur and if a very large short-circuit current flows, the relay contact may be deteriorated by Joule heat, causing contact fusion.

또한, 후술될 것이지만, 종래에는 도 1과 같이 상시 겸용 비상등(28)의 일단을 디밍 스위치(21)의 단자(S3)에 연결한 상태에서 비상전원 라인(P3)을 통해서도 공통 연결한 경우에, 비상전원에 의해 상시 겸용 비상등(28)이 점등된 상태에서 상 용전원이 인가되면, 도 2와 같은 배선구조에 기인하여, 상용전원과 비상전원간의 위상 및 주파수가 서로 일치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겸용 비상등(28) 및 디밍 스위치(21)가 손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it will be described later, conventionally, when one end of the ever-used emergency light 28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S3 of the dimming switch 21 as shown in FIG. 1 also commonly connected through the emergency power line P3, If the commercial power is applied while the dual emergency lamp 28 is turned on by the emergency power, the phase and frequency between the commercial power supply and the emergency power may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due to the wiring structure as shown in FIG. The combined emergency light 28 and the dimming switch 21 may be damaged.

결국, 상용과 비상전원간에 위상 및 주파수가 일치되지 않아 쇼트(short)에 의한 접점 융착 현상 등과 같은 문제들이 나타날 경우에, 상시와 비상시에 공통으로 상용되는 겸용등, 스위치, 릴레이, 절체 장치, 또는 분전반이 손상될 수 있어, 동작의 신뢰성이 저하되고 화재요인이 될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As a result, when problems such as contact fusion due to short due to phase and frequency mismatch between commercial power supply and emergency power supply appear, common lights, switches, relays, switching devices, or both commonly used in emergency and emergency The distribution panel may be damaged, reducing the reliability of the operation and causing a risk of fire.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개선된 전원자동 절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power automatic switching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용전원의 정전 시 비상전원을 부하에 연결하거나 비상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다시 인가된 상용전원을 부하에 연결하는 절체 동작 시에 전원들간의 위상 및 주파수의 불일치에 의한 쇼트 현상이나 릴레이 접점 아킹 현상 등과 같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개선된 전원자동 절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nect the emergency power supply to the load in case of power failure of the commercial power supply or the phase and frequency inconsistency between the power sources during the switching operation of connecting the commercial power applied again to the load while the emergency power is being suppli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proved power automatic switching device that can solve problems such as shorting and relay contact arc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겸용 등, 스위치, 릴레이, 절체 장치, 또는 분전반의 손상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전원자동 절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power supply switch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or minimizing damage to a switch, a relay, a switching device, or a distribution panel such as a combined lamp.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작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높이고 화재요인이 될 위험을 제거할 수 있는 전원자동 절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supply automatic switching device that can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stability of the operation and eliminate the risk of fi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하 분리 상태에서 전원 절체를 수행하는 전원자동 절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power supply switching device for performing power switching in a load disconnection stat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전 동작시 전원들간의 위상 및 주파수의 불일치에 기인하는 문제들을 방지하여 겸용등이나 스위치의 손상이 방지 또는 억제되도록 하고 릴레이 채터링을 막을 수 있는 전원자동 절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supply automatic switching device that can prevent or suppress the damage of the combined light or switch by preventing the problems caused by the mismatch of phase and frequency between the power supplies during the power recovery operation and to prevent relay chattering Is in.

본 발명의 실시예적인 일 양상에 따라, 전원자동 절체장치는,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automatic power supply switching device,

제1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용전원 입력단 페어와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 중에서 하나를 출력단 페어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절체부와;A first switching unit electrically connecting one of the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pair and the emergency power input terminal pair to the output terminal pair in response to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제2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단 페어 중 적어도 한 라인을 스위칭하여 부하가 분리되도록 하는 제2 절체부와; A second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switch at least one line of the output pair in response to a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so that the load is separated;

상기 제1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1 절체부에 인가하기 전후에 상기 제2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2 절체부에 인가하여 상기 제1 절체부의 스위칭 동작이 부하 미 연결 상태에서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 회로부를 구비한다. A control circuit unit configured to apply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switching unit before and after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unit so that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ing unit is performed in an unconnected state. It is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2 절체부의 적어도 하나는 직류 또는 교류 릴레이일 수 있으며, 상기 제어 회로부는 내장된 스위칭 관련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미리 설정된 스위칭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로직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units may be a DC or an AC relay, and the control circuit unit may include a microprocessor that executes a built-in switching related program or a logic circuit that performs a preset switching related operation. It can be configured as.

본 발명의 실시예적인 다른 양상에 따라, 전원자동 절체장치는,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power supply switching device,

제1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용전원 입력단 페어와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 중에서 하나를 출력단 페어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절체부와;A first switching unit electrically connecting one of the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pair and the emergency power input terminal pair to the output terminal pair in response to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제2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단 페어 중 적어도 한 라인을 스위칭하여 부하가 분리되도록 하는 제2 절체부와; A second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switch at least one line of the output pair in response to a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so that the load is separated;

상기 제1 절체부를 스위칭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우선적으로 상기 제2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2 절체부에 인가하여 상기 출력단 페어와 상기 부하 사이가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한 후 상기 제1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1 절체부로 인가하고, 상기 제1 절체부가 스위칭된 이후에는 상기 제2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2 절체부에 인가하여 상기 출력단 페어와 상기 부하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제어 회로부를 구비한다. When an event to switch the first switching unit occurs,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is first applied to the second switching unit so that the output terminal pair is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load, and then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is applied. And a control circuit part configured to apply the first switching part and apply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switching part so that the output terminal pai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ad after the first switching part is switched.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2 스위칭 제어신호는 릴레이 코일을 구성하는 인덕터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신호일 수 있으며,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에 비상전원이 인가될 경우에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s may be signals for current to flow through an inductor constituting a relay coil, and the control circuit unit controls when emergency power is applied to the emergency power input pair. You can perform the oper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적인 또 다른 양상에 따라, 전원자동 절체장치는,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power supply switching device,

제1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용전원 입력단 페어와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 중에서 하나를 출력단 페어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절체부와;A first switching unit electrically connecting one of the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pair and the emergency power input terminal pair to the output terminal pair in response to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제2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단 페어 중 적어도 한 라인을 스위칭하여 부하가 분리되도록 하는 제2 절체부와; A second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switch at least one line of the output pair in response to a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so that the load is separated;

상기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에 비상전원이 인가되는 경우나 상기 비상전원이 상기 부하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용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절체부에 인가하여 상기 출력단 페어와 상기 부하 사이가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하고 나서 설정된 딜레이 타임의 경과 후에 상기 제1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1 절체부로 인가하며, 상기 제1 절체부가 스위칭된 후에는 상기 제2 스위칭 제어신호를 설정된 딜레이 타임의 경과 후에 상기 제2 절체부에 인가하여 상기 출력단 페어와 상기 부하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제어 회로부를 구비한다. When emergency power is applied to the emergency power input terminal pair or when commercial power is applied while the emergency power is connected to the load,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second switching part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pair.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part after the set delay time has elapsed after the load is electrically disconnected, and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is set to the set delay time after the first switching part is switched. And a control circuit portion applied to the second switching portion so that the output stage pair and the load are electrically connected after the elapse of time.

본 발명의 실시예적인 또 다른 양상에 따라, 전원자동 절체장치는, 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power supply switching device,

제1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용전원 입력단 페어와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 중에서 하나를 제1,2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각기 연결하는 동시에, 상용전원을 받아 조명등의 디밍 동작을 행하는 디밍 스위치의 일 출력단에 접속된 상용전원 디밍 입력단과, 상기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 중의 하나에 접속 분기된 브랜치 비상전원 입력단 중에서 하나를 제3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절체부와;In response to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one of the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pair and the emergency power input terminal pai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respectively, and connected to one output terminal of the dimming switch which receives commercial power and performs dimming operation of a lamp. A first switching unit electrically connecting one of the commercial power dimming input terminal and a branch emergency power input terminal branched to one of the emergency power input terminal pairs to a third output terminal;

제2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2,3 출력단 중 적어도 한 라인을 스위칭 하여 부하가 분리되도록 하는 제2 절체부와; A second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switch at least on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output terminals in response to a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to separate the load;

상기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에 비상전원이 인가되는 경우나 상기 비상전원이 상기 부하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용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2 절체부에 인가하여 상기 출력단들 중 하나와 상기 부하 사이가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하고 나서 상기 제1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1 절체부로 인가하며, 상기 제1 절체부가 스위칭된 후에는 상기 제2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2 절체부에 인가하여 상기 출력단들 중 하나와 상기 부하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 도록 하는 제어 회로부를 구비한다. When emergency power is applied to the emergency power input terminal pair or when commercial power is applied while the emergency power is connected to the load,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second switching part to output the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part after the first switching part is electrically disconnected from the load, and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second switching part after the first switching part is switched. And a control circuit un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one of the output terminals with the load.

본 발명의 실시예적인 또 다른 양상에 따라, 전원자동 절체장치는,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power supply switching device,

제1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용전원 입력단 페어와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 중에서 하나를 제1,2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각기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 중의 하나에 접속 분기된 브랜치 비상전원 입력단과 무전원 입력단 중에서 하나를 제3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용전원을 받아 조명등을 스위칭하는 스위치의 일 출력단에 접속된 상용전원 스위칭 입력단과 상기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 중의 하나에 접속 분기된 브랜치 비상전원 입력단 중에서 하나를 제4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절체부와;In response to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one of the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pair and the emergency power input terminal pai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respectively, and the branch emergency power input terminal and the non-powered branch connected to one of the emergency power input pair. One of the branch power supply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of the input terminals, the commercial power switching input terminal connected to one output terminal of a switch for switching a lamp by receiving commercial power, and a branch emergency power input branch connected to one of the emergency power input pair. A first switching unit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ourth output terminal to the fourth output terminal;

제2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2,3,4 출력단 중 적어도 한 라인을 스위칭 하여 부하가 분리되도록 하는 제2 절체부와; A second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switch at least one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output terminals in response to a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to separate the load;

상기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에 비상전원이 인가되는 경우나 상기 비상전원이 상기 부하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용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2 절체부에 인가하여 상기 출력단들 중 하나와 상기 부하 사이가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하고 나서 상기 제1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1 절체부로 인가하며, 상기 제1 절체부가 스위칭된 후에는 상기 제2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2 절체부에 인가하여 상기 출력단들 중 하나와 상기 부하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제어 회로부를 구비한다. When emergency power is applied to the emergency power input terminal pair or when commercial power is applied while the emergency power is connected to the load,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second switching part to output the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part after the first switching part is electrically disconnected from the load, and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second switching part after the first switching part is switched. And a control circuit par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one of the output terminals with the load.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제1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용전원 입력단 페어와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 중에서 하나를 출력단 페어에 전기적으로 연 결하는 제1 절체부와; 제2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상용전원 입력단 페어를 스위칭하여 상용입력이 분리되도록 하는 제2 절체부와; 상기 제1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1 절체부에 인가하기 전후에 상기 제2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2 절체부에 인가하여 상기 제1 절체부의 스위칭 동작이 상기 상용입력의 미 연결 상태에서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 회로부를 구비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first switching un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one of the commercial power input pair and the emergency power input pair pair to the output terminal pair in response to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A second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switch the commercial power input pair in response to a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to separate the commercial input; Before and after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part,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second switching part so that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ing part is performed in an unconnected state of the commercial input. The control circuit part is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절체 동작시에 전원들간의 위상 및 주파수의 불일치에 의한 쇼트현상이나 릴레이 접점 아킹현상 등과 같은 문제들이 방지된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blems such as a short phenomenon or a relay contact arcing phenomenon due to a mismatch of phase and frequency between power supplies during the switching operation are prevented.

그러므로 상시와 비상시에 공통으로 상용되는 겸용등을 포함하여, 스위치, 릴레이, 절체 장치, 또는 분전반의 손상이 방지 또는 억제된다. Therefore, damage to a switch, a relay, a switching device, or a distribution board is prevented or suppressed, including a combination commonly used in both normal and emergency situations.

또한, 절체 동작의 신뢰성 및 안정성이 개선된다. In addition, the reliability and stability of the switching operation is improv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후술되어질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한 보다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통상의 전원자동 절체장치에서 상시 겸용 비상등 이 손상될 수 있는 요인을 설명하기로 한다. First, in order to provide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ures 1 and 2, it will be described the factors that can always be damaged emergency light in a conventional automatic power supply switching device.

도 1은 디밍 스위치와 연결된 통상적 비상전원 공급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내의 상시 겸용 비상등이 손상될 수 있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일반적 집합건물에서의 전원공급 배선구조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ventional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connected to a dimming switch, and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ower supply wiring structure of a general assembly provided to explain a phenomenon in which an emergency lamp in FIG. 1 may be damaged.

도 1을 참조하면, 홈 오토메이션 기기(30) 및 보일러(32)는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가동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상용전원과 비상전원을 모두 받을 수 있도록 전원자동 절체장치(20a, 이하 "APU"라 함)를 통해 연결된 구조가 보여진다. 또한, 상시 겸용 비상등(28:이하 "겸용등")도 비상전원과 상용전원을 모두 받을 수 있도록 디밍 스위치(21)와 상기 APU(20a)에 연결된 것이 보여진다. 상기 디밍 스위치(21)는 상용전원을 사용하여 상시등(24,26)이나 겸용등(28)의 조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여기서, 상기 겸용등(28)의 타측 노드는 상기 APU(20a)의 출력단(P3)와 상기 디밍 스위치(21)의 출력단(S3)에 전기적으로 공통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비상전원이 투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복전이 되면, 즉 상용전원이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10) 및 복수의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12, 14, 16, 18)에 다시 인입되면, 도 2와 같은 배선구조에 기인하여 전원 위상 중첩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상기 겸용등(28) 및 디밍 스위치(21)가 손상될 수 있으며, 쇼트 현상에 의해 화재의 위험이 초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since the home automation device 30 and the boiler 32 need to be operated even when commercial power is not supplied, the automatic power supply switching device 20a, which receives both commercial power and emergency power, may be used. The structure connected via "APU" is shown below. In addition, it is also shown that the always-used emergency light 28 (hereinafter, "combined light") is also connected to the dimming switch 21 and the APU 20a to receive both emergency power and commercial power. The dimming switch 21 is a switch for adjusting the illuminance of the constant light 24, 26 or the combined light 28 using a commercial power source. Here, the other node of the combined lamp 28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P3 of the APU 20a and the output terminal S3 of the dimming switch 21. Therefore, when the power is restored while the emergency power is turned on, that is, the commercial power is re-entered into the main circuit breaker 10 and the plurality of sub circuit breakers 12, 14, 16, and 18, the wiring structure as shown in FIG. Due to this, power supply phase superposition may occur. In such a case, the combined lamp 28 and the dimming switch 21 may be damaged, and a short circuit may cause a fire.

도 2에서, 변압기(40)는 송신전력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고압 상용전원을 다운시켜 380V와 220V의 전압으로 변환한다. 비상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발전기(50)는 상용전원이 차단될 시 교류 발전 동작을 수행하여 마찬가지로 380V와 220V의 비상전원을 공급한다. In FIG. 2, the transformer 40 turns down the high voltage commercial power supplied through the transmission power line and converts the voltage to 380V and 220V. The emergency generator 50 for supplying emergency power performs an AC power generation operation when commercial power is cut off, and thus supplies emergency power of 380V and 220V.

여기서, 전체 집합건물(A1-An)이 복수개의 동(101동-10N동)으로 형성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상기 복수개의 동들은 상용전원과 비상전원을 모두 받기 위해, R,S,T,N 상을 각기 갖는 4개의 라인들에 배선되어 있다. Here, assuming that the entire aggregated building (A1-An) is formed of a plurality of copper (dong 101 101-10 N), the plurality of copper is R, S, T, N in order to receive both commercial power and emergency power It is wired to four lines each having a phase.

여기서, 3상의 전원라인 R, S, T 상중 2개의 라인 예를 들어 R상과 S상 또는 S상과 T상 또는 T상 R상이 인입되면 380V가 되고, R, S, T 상 중 어느 하나와 N상이 짝지어 인입되면 220V가 된다. 집합건물 101동(A1)에는 변압기(40)로부터 R상과 N상의 상용전원이 공급되고 비상발전기(50)로부터 T상과 N상의 비상전원이 공급된다. 집합건물 102동(A2)에는 변압기(40)로부터 S상과 N상의 상용전원이 공급되고 비상발전기(50)로부터 S상과 N상의 비상전원이 공급된다. 한편, 집합건물 103동(A3)에는 변압기(40)로부터 T상과 N상의 상용전원이 공급되고 비상발전기(50)로부터 R상과 N상의 비상전원이 공급된다. 그리고 집합건물 10N동(An)에는 변압기(40)로부터 R상과 N상의 상용전원이 공급되고 비상발전기(50)로부터 T상과 N상의 비상전원이 공급된다. Here, when two lines of the three-phase power supply lines R, S, and T phases, for example, R phase and S phase or S phase and T phase or T phase R phase are drawn in, 380V, and any one of R, S, and T phases When N-phases are paired in, 220V is obtained. The assembly building 101 (A1) is supplied with commercial power of R phase and N phase from the transformer 40 and emergency power of T phase and N phase from the emergency generator 50. The assembly building 102 (A2) is supplied with commercial power of the S phase and the N phase from the transformer 40 and emergency power of the S phase and the N phase from the emergency generator 50. On the other hand, the aggregate building 103 (A3) is supplied with commercial power of the T-phase and N-phase from the transformer 40, and emergency power of the R-phase and N-phase from the emergency generator 50 is supplied. 10 N buildings An are supplied with commercial power of R and N phases from the transformer 40 and emergency power of T and N phases from the emergency generator 50.

도 1의 APU(20a)가 도 2의 101동(A1)에 대응되어 있는 경우라고 예를 들면, 먼저 변압기(40)로부터 R상과 N상의 상용전원이 전원 페어(50,52)를 통해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10)에 인입된다. 상기 인입된 상용전원은 복수의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12, 14, 16, 18)로 각각 분지되어 각종 전열기 혹은 전등 또는 콘센트로 인가된다. 상기 서브서키트 브레이커(12)를 통해 공급되는 상용전원의 R상 라인은 디밍 스위치(21)의 디밍 입력단자(Dim)에 연결되고 상용전원의 N상 라인은 디밍 스위 치(21)의 공통단자(Com)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시등(24, 26)의 일단에 연결된다. 여기서, 디밍 스위치(21)의 스위치(SW11)를 온시키면 디밍 입력단자(Dim)와 제1 디밍출력단자(S1)가 연결된다. 따라서, R상이 상시등(24)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시등(24)이 점등되고, 스위치(SW11)의 온 위치에 따라 조도가 조절된다. 또한, 디밍 스위치(21)의 스위치(SW12)를 온시키면 디밍 입력단자(Dim)와 제2 디밍출력단자(S2)가 연결되므로 R상이 상시등(26)의 다른 단자에 연결됨으로써 상시등(26)이 점등 및 조도조절 된다. 디밍 스위치(21)의 스위치(SW13)를 온시키면 디밍 입력단자(Dim)와 제3 디밍출력단자(S3)가 연결되어 R상이 겸용등(28)의 타단에 연결되고, APU(20a)의 제1 출력단(P1)을 통해 N상이 상기 겸용등(28)의 일단에 연결되어, 겸용등(28)이 상시등으로서 점등된다. 이 경우에 APU(20a)의 제3 출력단(P3)에는 전원이 나오지 않게 되어 있다. For example, when the APU 20a of FIG. 1 corresponds to 101 (A1) of FIG. 2, first, the commercial power of the R phase and the N phase from the transformer 40 is connected via the power pairs 50 and 52. It enters into the circuit breaker 10. The drawn commercial power is branched into a plurality of sub-circuit breakers 12, 14, 16, and 18, respectively, and applied to various heaters, lights, or outlets. The R phase line of commercial power supplied through the sub-circuit breaker 12 is connected to the dimming input terminal Di of the dimming switch 21, and the N phase line of the commercial power is connected to the common terminal of the dimming switch 21. Com) and at the same time i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stant light (24, 26). Here, when the switch SW11 of the dimming switch 21 is turned on, the dimming input terminal Di and the first dimming output terminal S1 are connected. Therefore, the R phase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stant light 24 so that the constant light 24 is turned on, and the illuminanc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on position of the switch SW11. In addition, when the switch SW12 of the dimming switch 21 is turned on, since the dimming input terminal Di and the second dimming output terminal S2 are connected, the R phase is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constant light 26 so that the constant light 26 ) Lights up and illuminance is controlled. When the switch SW13 of the dimming switch 21 is turned on, the dimming input terminal Di and the third dimming output terminal S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R phase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mbined lamp 28, and the first of the APU 20a. The N phase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mbined lamp 28 via the output terminal P1, and the combined lamp 28 is turned on as a constant lamp. In this case, no power is supplied to the third output terminal P3 of the APU 20a.

또한, APU(20a)는 상용전원을 선택 절체하여 제1 및 제2 출력단자(P1, P2)에 연결된 홈오토메이션기기(30) 및 보일러(32) 등과 같은 비상용부하를 구동한다. In addition, the APU 20a selectively switches the commercial power source to drive emergency loads such as the home automation device 30 and the boiler 32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P1 and P2.

이와 같이 상용전원이 디밍 스위치(21)와 상시등(24, 26) 및 겸용등(28)과 홈오토메이션기기(30) 및 보일러(32)에 공급되고 있다가 정전이나 송전선의 단락에 의해 차단될 경우에, 상기 APU(20a)는 제1 및 제2 출력단자(P1, P2)를 통해 비상전원을 선택 절체하여 홈오토메이션기기(30) 및 보일러(32)에 공급하는 동시에 제1 및 제3 출력단자(P1, P3)를 통해 상기 겸용등(28)에 공급한다. 따라서 겸용등(28)은 비상등으로서 점등되고, 상시등(24, 26)은 디밍스위치(21)로부터 상용전원을 더 이상 공급받지 못하므로 소등된다. In this way, the commercial power is supplied to the dimming switch 21, the constant light 24 and 26, the combined light 28, the home automation device 30, and the boiler 32, and may be interrupted by a power failure or a short circuit of the power line. In this case, the APU 20a selects and transfers emergency power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P1 and P2 and supplies the first and third outputs to the home automation device 30 and the boiler 32. It supplies to the said combined lamp 28 through the terminals P1 and P3. Therefore, the combined lamp 28 is turned on as an emergency lamp, and the constant lamps 24 and 26 are turned off because commercial power is no longer supplied from the dimming switch 21.

이렇게 비상전원이 겸용등(28)과 홈오토메이션기기(30) 및 보일러(32)에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다시 상용전원이 인입되면, 그 상용전원은 메인서키트 브레이커(10)와 서브서키트 브레이커(12)를 통해 디밍 스위치(21)에도 인가된다. 따라서, 상용전원의 R상 라인은 디밍 스위치(21)의 디밍 입력단자(Dim)에 연결되고 상용전원의 N상 라인은 디밍스위치(21)의 공통단자(Com)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시등(24, 26)의 한 단자에 연결된다. 이 경우에 상기 APU(20a)는 상용전원이 비록 투입되었다 하더라도 일정시간 동안 비상전원을 더 공급한 후 상용전원을 절체한다. 이로 인해 상용 및 비상 전원들간의 위상 및 주파수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APU(20a)로부터 공급되는 T상의 비상전원과 변압기(40)로부터 공급되는 R상의 상용전원이 순간적으로 중첩되어 선간 전압은 최대 440V까지 걸리게 된다. 그러므로, 디밍스위치(21)와 상시/비상등인 겸용등(28)이 손상될 수 있으며, 손상에 의한 화재의 위험이 뒤따를 수 있다. When the commercial power is input again while the emergency power is supplied to the combined lamp 28, the home automation device 30, and the boiler 32, the commercial power is the main circuit breaker 10 and the sub circuit breaker 12. It is also applied to the dimming switch 21 through. Therefore, the R phase line of the commercial power supply is connected to the dimming input terminal Di of the dimming switch 21, and the N phase line of the commercial power supply is connected to the common terminal Com of the dimming switch 21 and at the same time the constant light (24). , One terminal of 26). In this case, the APU 20a switches the commercial power after supplying further emergency power for a predetermined time even though commercial power is input. As a result, when the phase and frequency of the commercial and emergency power supply do not match, the emergency power of the T phase supplied from the APU 20a and the commercial power of the R phase supplied from the transformer 40 are superimposed instantaneously and the line voltage is up to 440V. I get caught. Therefore, the dimming switch 21 and the combined lamp 28 which are always / emergency lamps may be damaged, and the risk of fire due to the damage may be followed.

그리고 상기 변압기(40)로부터 공급되는 R상의 상용전원과 비상발전기(50)로부터 공급되는 T상의 비상전원이 순간적으로 중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변압기(40)로부터 공급되는 상용전원과 비상발전기(50)로부터 공급되는 비상전원이 모두 동일한 상으로 공급되더라도 상용전원과 비상전원의 위상이 서로 다른 전원이기 때문에 비상전원과 상용전원이 동시에 공급되면 디밍 스위치(21)나 겸용등(28)의 손상이 초래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an example in which an emergency power of R phase supplied from the transformer 40 and an emergency power of T phase supplied from the emergency generator 50 overlaps with each other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he commercial power supplied from the transformer 40 and the emergency Even though the emergency power supplied from the generator 50 is all supplied in the same phase, since the phases of the commercial power and the emergency powe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n the emergency power and the commercial power are simultaneously supplied, the dimming switch 21 or the combined lamp 28 Damage may result.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절체 동작시에 전원들간의 위상 및 주파수의 불일치에 의한 쇼트(short) 현상이나 릴레이 접점 아킹현상 등과 같은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 절체부의 후단에 연결된 부하를 우선적으로 분리하는 스킴(scheme)을 갖는다.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problems such as short phenomenon due to phase and frequency mismatch between power supplies and relay contact arcing phenomenon during switching operation, the load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witching unit is preferentially separated. It has a scheme

이제부터는 통상의 APU가 갖는 문제점들 및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개선된 APU의 구조 및 비상전원 공급 시스템의 전체 구성과 세부적 동작이 도 3 내지 도 9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될 것이다. From now on, the structure of the improved APU and the overall configuration and detailed operation of the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which can overcome the problems and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AP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9. It will be explained to help you understand it.

도 3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가 적용되는 비상전원 공급시스템의 전체구성도이다. 도 3에서는 도 1의 와이어링 구조와는 달리, 겸용등(28)이 APU(20)의 제1,3 출력단(P1,P3)사이에 연결되어 도 1에서 제시된 문제점이 해결되며, 개선된 APU(20)의 절체동작 전 부하분리 동작에 기인하여 종래기술에서 언급된 제반 문제들이 원천적으로 해결된다. 3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In FIG. 3, unlike the wiring structure of FIG. 1, the combined lamp 28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third output terminals P1 and P3 of the APU 20 to solve the problem illustrated in FIG. 1, and improved APU. Due to the load-separation operation before the transfer operation of (20), all the problems mentioned in the prior art are basically solved.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원자동 절체장치의 상세회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원자동 절체장치의 상세회로도이다. 4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power automatic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power automatic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3,4 실시예가 적용되는 비상전원 공급시스템의 전체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원자동 절체장치의 상세회로도이다. 6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to which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and FIG. 7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n automatic power supply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원자동 절체장치의 상세회로도이고, 도 9는 도 4,5,7,8에서 보여지는 제어 회로부의 동작 제어흐름 예시도이다. FIG. 8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automatic power supply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control flow of the control circuit unit shown in FIGS. 4, 5, 7, and 8. FIG.

상시/비상 절체 전에 부하부터 차단을 함에 의해 쇼트 예방 및 아크를 줄이는 도 4 및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APU(20)를 구비한 비상전원 공급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먼저 설명한다.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having the APU 20 as shown in Figs. 4 and 5, which reduces the short and prevents the arc by interrupting the load before the normal / emergency transfer, will be described first.

도 3으로 돌아가면, 겸용등(28)이 APU(20)의 제1,3 출력단(P1,P3)사이에 연결된 배선구조가 보여진다. 3, the wiring structure in which the combined lamp 28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third output terminals P1 and P3 of the APU 20 is shown.

도 3에서 보여지는 메인 서키트 브레이커(10)와 복수의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12, 14, 16, 18)는 과부하를 검출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MCCB 또는 누전상태를 검출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ELB로서 구현된다. 상기 메인서키트 브레이커(10)를 MCCB로 설치할 경우에 상기 복수의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12, 14, 16, 18)는 ELB로 구현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메인서키트 브레이커(10)가 ELB인 경우 복수의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12, 14, 16, 18)는 MCCB 또는 ELB로 구현하거나, MCCB와 ELB를 혼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12, 14, 16, 18)는 세대 내의 복수의 전등과 복수의 전열기구 등의 부하에 상용전원을 제공하기 위해 예컨대 R,N 상의 상용전원 라인들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14)는 부하 R1을 위해 세대 내의 거실에 있는 각종 등과 벽에 설치된 콘센트와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서브서키트 브레이커(16)는 안방의 각종 등과 벽에 설치된 콘센트와 접속되어 부하 R2에 상용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서브서키트 브레이커(18)는 작은방 및 베란다의 각종 등과 벽에 설치된 콘센트와 접속되어 부하 R3가 구동될 수 있게 한다. The main circuit breaker 10 and the plurality of sub-circuit breakers 12, 14, 16, and 18 shown in FIG. 3 are implemented as an MCCB which detects an overload and cuts off the power, or an ELB which detects a short circuit and cuts off the power. . When the main circuit breaker 10 is installed as an MCCB, the plurality of sub circuit breakers 12, 14, 16, and 18 may be implemented as ELBs. In addition, when the main circuit breaker 10 is an ELB, the plurality of sub-circuit breakers 12, 14, 16, and 18 may be implemented by MCCB or ELB, or may be implemented by mixing MCCB and ELB. The plurality of sub-circuit breakers 12, 14, 16, and 18 are connected through commercial power lines on R and N, for example, to provide commercial power to a plurality of lights and a plurality of heating appliances in a household. For example, the sub-circuit breaker 14 may be connected to an outlet installed on the wall and the like in the living room in the household for the load R1. In addition, the sub-circuit breaker 16 is connected to an outlet installed on the back and walls of the room, and can supply commercial power to the load R2, and the sub-circuit breaker 18 is connected to an outlet installed on the back and the walls of the small room and the veranda. So that the load R3 can be driven.

디밍 스위치(21)는 도면에서 R,N 상의 전원라인을 통해 상기 서브 서키트 브레이커(12)에 연결되므로, 상용전원 입력단자(50, 52)를 통해 인입되는 상용전원을 받게 된다, 상기 디밍 스위치(21)는 조작 스위치(SW11, SW12)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시등(24, 26)을 점소등하며 점등 시에 조도를 조절한다. Since the dimming switch 21 is connected to the sub-circuit breaker 12 through power lines on R and N in the drawing, the dimming switch 21 receives commercial power introduced through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s 50 and 52. 21 turns on the constant light 24 and 26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witches SW11 and SW12, and adjusts the illuminance upon lighting.

상기 디밍 스위치(21)는 또한, 조작 스위치(SW13)의 단자(S3)에 연결된 접속라인(P5)을 통해 상기 APU(20)와 연결된다. 상용전원이 공급될 경우에 상기 APU(20)는 상기 접속라인(P5)을 내부 절체라인(L10)을 통해 제3 출력단(P3)에 연결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 겸용등(28)의 타단(P3가 연결된 측)에 상용전원 중 R상의 전원이 인가된다. 한편, 이 경우에 상기 겸용등(28)의 일단에는 N 상의 전원이 상기 APU(20)의 제1 출력단(P1)을 통해 공급된다. 따라서, 상용전원의 인가 시 상기 디밍 스위치(21)의 조작 스위치(SW13)를 오프 위치에 두면 디밍 입력단자(Dim)와 제3 디밍출력단자(S3)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게 되어 상기 겸용등(28)은 소등된다. 상기 조작 스위치(SW13)가 온 위치로 놓여지면 디밍 입력단자(Dim)와 제3 디밍출력단자(S3)가 연결되어 상기 겸용등(28)은 점등된다. 상기 조작 스위치(SW13)가 온 위치로 되어 있는 범위 내에서 최대 밝기 위치로 갈수록 상기 겸용등(28)의 조도는 최대치를 향해 조절된다. 즉, 최대 위치에서는 상기 겸용등(28)은 최대로 밝게 되고, 최소 위치에서는 가장 어두워진다. The dimming switch 21 is also connected to the APU 20 via a connection line P5 connected to the terminal S3 of the operation switch SW13. When commercial power is supplied, the APU 20 connects the connection line P5 to the third output terminal P3 through an internal switching line L10. Therefore, in this case, the R phase power of the commercial power source is applied to the other end (side to which P3 is connected) of the combined lamp 28. On the other hand, in this case, the power of N phase is supplied to one end of the combined lamp 28 through the first output terminal P1 of the APU 20. Therefore, when the commercial power is applied, if the operation switch SW13 of the dimming switch 21 is in the off position, the dimming input terminal Dim and the third dimming output terminal S3 are not electrically connected. 28) is extinguished. When the operation switch SW13 is set to the on position, the dimming input terminal Di and the third dimming output terminal S3 are connected to the combined lamp 28 to light up. The illuminance of the combined lamp 28 is adjusted toward the maximum as the operation switch SW13 is turned to the maximum brightness position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operation switch SW13 is turned on. That is, at the maximum position, the combined light 28 becomes the maximum bright and at the minimum the darkest.

도 3에서, 상용전원의 R상 라인은 디밍 스위치(21)의 디밍 입력단자(Dim)에 연결되고 상용전원의 N상 라인은 디밍스위치(21)의 공통단자(Com)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시등(24, 26)의 일단에 연결된다. 따라서, 디밍 스위치(21)의 스위치(SW11)를 온시키면 상시등(24)이 점등되고, 스위치(SW11)의 온 위치에 따라 조도가 조절된다. 또한, 스위치(SW12)를 온시키면 디밍 입력단자(Dim)와 제2 디밍출력단자(S2)가 연결되어 상시등(26)이 점등 및 조도조절 된다. In FIG. 3, the R phase line of the commercial power supply is connected to the dimming input terminal Di of the dimming switch 21 and the N phase line of the commercial power supply is connected to the common terminal Com of the dimming switch 21 at the same time. It is connected to one end of (24, 26). Accordingly, when the switch SW11 of the dimming switch 21 is turned on, the constant light 24 is turned on, and the illuminanc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on position of the switch SW11. In addition, when the switch SW12 is turned on, the dimming input terminal Dim and the second dimming output terminal S2 are connected to constantly turn on and adjust the illuminance.

도 3에서, 상기 APU(20)는 5개의 입력단자들(비상전원 페어 54,56, 상용전원 페어 50,52, 디밍스위치의 스위칭 출력 라인 P5)과 3개의 출력단자들(P1,P2,P3)을 구비한다. In FIG. 3, the APU 20 has five input terminals (emergency power pair 54,56, commercial power pair 50,52, dimming switching output line P5) and three output terminals P1, P2, and P3. ).

상기 APU(20)는 도 4 및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메인 절체부로서 기능하는 제1 릴레이 이외에 부하 절체부로서 기능하는 제2 릴레이를 채용함에 의해, 비상/상용 절체 동작이 부하 미 연결 상태에서 수행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절체 동작시에 전원들간의 위상 및 주파수의 불일치에 의한 쇼트현상이나 릴레이 접점 아킹현상 등과 같은 문제들이 확실히 방지된다. 그러므로 겸용등, 디밍 스위치, 절체 장치, 또는 분전반의 손상이 방지 또는 억제되어, 절체 동작의 신뢰성 및 안정성이 개선된다. The APU 20 employs a second relay functioning as a load switching part in addition to the first relay functioning as a main switching part as shown in FIGS. 4 and 5, so that emergency / commercial switching operation is not connected to a load. To be performed in. Accordingly, problems such as a short phenomenon or a relay contact arcing phenomenon due to a mismatch in phase and frequency between power supplies during the switching operation are certainly prevented. Therefore, damage to the combined light, dimming switch, switching device, or distribution board is prevented or suppressed,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and stability of the switching operation.

이제부터는 도 4를 참조하여, APU(20)의 세부적 구성 예가 설명될 것이다. A detailed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APU 20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에서 APU(20)는, 상용/비상 절체용 제1 릴레이(60), 부하 절체용 제2 릴레이(70), 및 절체동작 제어용 제어 회로부(44)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상용전원 검출신호 생성부(43)와, 동작전압 생성부(42), 제1,2 릴레이 구동부(50,52)가 상기 제어 회로부(44)의 동작 제어를 위해 연결된다. In FIG. 4, the APU 20 basically includes a commercial / emergency switching first relay 60, a load switching second relay 70, and a switching circuit control control circuit 44. In addition, the commercial power detection signal generator 43, the operation voltage generator 42, and the first and second relay drivers 50 and 52 are connect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circuit 44.

제1 절체부로서 기능하는 상기 제1 릴레이(60)는, 제1 스위칭 제어신호 FSC 에 응답하여 상용전원 입력단 페어(50,52)와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54,56) 중에서 하나를 제1,2 출력단(P1,P2)에 전기적으로 각기 연결하는 동시에, 상용전원을 받아 조명등의 디밍 동작을 행하는 디밍 스위치(21)의 일 출력단에 접속된 상용전원 디밍 입력단(P5)과, 상기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54,56) 중의 하나에 접속 분기된 브랜치 비상전원 입력단(56a) 중에서 하나를 제3 출력단(P3)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구동 인덕터(L1)와 제1,2,3 스위치(SW1,SW2,SW3)를 가진다. The first relay 60 functioning as the first switching unit may select one of the commercial power input pairs 50 and 52 and the emergency power input pairs 54 and 56 in response to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FSC. The commercial power dimming input terminal P5 connected to one output terminal of the dimming switch 21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two output terminals P1 and P2 and receives a commercial power source and performs dimming operation such as a lighting, and the emergency power input terminal pair.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one of the branch emergency power inputs 56a branched to one of the (54,56) terminals to the third output terminal P3, the driving inductor L1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switches SW1, SW2, SW3).

또한, 제2 절체부로서 기능하는 상기 제2 릴레이(70)는 제2 스위칭 제어신호SSC 에 응답하여 상기 제1,2,3 출력단(P1,P2,P3) 중 적어도 한 라인(P1)을 스위칭 하여 부하가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구동 인덕터(L2)와 제1스위치(SW4)를 가진다.In addition, the second relay 70 serving as a second switching unit switches at least one line P1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output terminals P1, P2, and P3 in response to a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SSC. In order to separate the load, the driving inductor L2 and the first switch SW4 are provided.

도 4의 경우에는 상기 제2 릴레이(70)가 제1 출력단(P1)을 스위칭하여 부하가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 나타나 있지만, 제2 출력단(P2)이나 제3 출력단(P3)을 스위칭 되도록 하여 부하가 분리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1,2 출력단(P1,P2)을 함께 스위칭 되도록 하여 부하가 분리되도록 하거나, 제1,2,3 출력단(P1,P2,P3) 모두를 스위칭 되도록 하여 부하가 분리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In FIG. 4, the second relay 70 switches the first output terminal P1 to separate the load. However, the second relay 70 switches the second output terminal P2 or the third output terminal P3 to switch the load. It could be separated. In addition, the load may be separated by switching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P1 and P2 together, or the load may be separated by switching both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P1, P2 and P3. .

상기 제어 회로부(44)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MPU), 예를 들어 범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PIC508"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9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동작 수순을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비록 상기 제어 회로부(44)가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으로 구현되지만, 필요한 경우에 복수의 논리 게이트들로 구성된 로직 회로로써도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control circuit unit 44 may be implemented as a microprocessor unit (MPU), for example, a general-purpose microprocessor "PIC508", and may perform an operation procedure as shown in FIG. 9 according to a program stored therein. Although the control circuit section 44 is implemented as a microprocessor unit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can of course also be implemented as a logic circuit composed of a plurality of logic gates if necessary.

상기 제어 회로부(44)는, 상기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54,56)에 비상전원이 인가되는 경우나 상기 비상전원이 상기 부하(도 3의 30,32))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용전원이 상용전원 입력단 페어(50,52)에 인가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스위칭 제어신호 SSC 를 상기 제2 릴레이(70)에 인가하여 상기 출력단들(P1,P2,P3) 중 하나와 상기 부하(30,32) 사이가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하고 나서 상기 제1 스위칭 제어신호 FSC를 상기 제1 릴레이(60)로 인가하며, 상기 제1 릴레이(60)가 스위칭된 후 에는 상기 제2 스위칭 제어신호 FSC 를 상기 제2 릴레이(70)에 인가하여 상기 분리된 부하가 전기적으로 다시 연결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릴레이(70)의 스위칭 동작 이전에 상기 출력단(P1)과 상기 부하(30,32)가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된 경우라면, 상기 제1 릴레이(70)가 스위칭된 이후에는 상기 출력단(P1)과 상기 부하(30,32)가 전기적으로 다시 연결된다. In the control circuit unit 44, commercial power is commercial power when emergency power is applied to the emergency power input pair pairs 54 and 56 or when the emergency power is connected to the load (30 and 32 of FIG. 3). When applied to the input pair 50, 52,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SSC is applied to the second relay 70 to the one of the output terminals (P1, P2, P3) and the load (30, 32) ) Is electr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n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FSC is applied to the first relay 60. After the first relay 60 is switched,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FSC is applied to the first relay 60. 2 is applied to the relay 70 so that the separated load is electrically connected again. For example, when the output terminal P1 and the loads 30 and 32 are electr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before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first relay 70, after the first relay 70 is switched, The output terminal P1 and the loads 30 and 32 are electrically connected again.

상기 상용전원 검출신호 생성부(43)는 다이오드(D2), 발광 다이오드(D3), 저항(R3), 포토 커플러(PC), 및 저항(R4)으로 구성되어, 상용전원의 인가 시에 상시전원 검출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상시전원 검출신호는 상기 제어 회로부(44)의 상기 감지 입력단(I1)에 인가된다. 상용전원의 인가 시에 상기 발광 다이오드(D3)는 점등되어 장치 외부에서 상용전원의 인가상황이 식별된다. The commercial power detection signal generator 43 includes a diode D2, a light emitting diode D3, a resistor R3, a photo coupler PC, and a resistor R4. Generate a detection signal. The generated constant power detection signal is applied to the sensing input terminal I1 of the control circuit unit 44. When the commercial power is applied, the light emitting diode D3 is turned on to identify the application status of the commercial power outside the apparatus.

상기 동작전압 생성부(42)는, 비상전원의 인가에 응답하여 직류 정전압을 생성하는 기능회로 블록으로서, 브릿지 다이오드(BD1), 커패시터(C2), 제너다이오드(ZD1), 정전압기(U3), 및 커패시터(C3)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커패시터(C2)에서 출력되는 제1 직류 동작전압(VDD)은 상기 정전압기(U3)에 의해 레귤레이팅되어 정전압인 제2 직류 동작전압(VCC)으로서 생성된다. 상기 제2 직류 동작전압(VCC)은 상기 제어 회로부(44)의 동작전압 입력단(VIN)에 인가된다. 또한, 상기 비상전원의 일단(56)과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BD1)의 전압 노드(V1)사이에 연결된 저항(R1) 및 커패시터(C1)는 전압 조절부로서 역할을 하며 상기 전압 노드(V1)에 강하된 교류 전압을 인가한다. The operation voltage generator 42 is a functional circuit block for generating a DC constant voltage in response to the application of an emergency power source. The operation voltage generator 42 includes a bridge diode BD1, a capacitor C2, a zener diode ZD1, a constant voltage U3, And a capacitor C3 basically. The first direct current operating voltage VDD output from the capacitor C2 is regulated by the constant voltage generator U3 and is generated as the second direct current operating voltage VCC. The second DC operating voltage VCC is applied to the operating voltage input terminal VIN of the control circuit unit 44. In addition, the resistor R1 and the capacitor C1 connected between the one end 56 of the emergency power supply and the voltage node V1 of the bridge diode BD1 serve as a voltage regulator and are connected to the voltage node V1. Apply the dropped AC voltage.

비상전원 공급 표시부(45)는 비상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경우에 이를 외부로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회로블록으로서, 저항들(R5,R6) 및 발광다이오드(D4)로 구성된다.The emergency power supply display unit 45 is a circuit block for externally displaying the emergency power supply when the emergency power is applied, and includes the resistors R5 and R6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D4.

상기 제1 릴레이 구동부(50)는, 저항들(R10,R11,R12,R13), 포토커플러를 구성하는 다이오드 및 트랜지스터(D10,Q10), 커패시터(C10), 트랜지스터(Q12), 다이오드(D11)로 구성된다. The first relay driver 50 includes resistors R10, R11, R12, and R13, diodes and transistors D10 and Q10, capacitors C10, transistors Q12, and diodes D11 constituting a photocoupler. It consists of.

상기 제1 릴레이 구동부(50)는, 상기 제1 스위칭 제어신호 FSC가 논리 로우인 경우에 상기 제1 릴레이(60)의 제1,2,3스위치들(SW1,SW2,SW3)이 입력 접점들(a1,a2,a3)에 연결되도록 상기 인덕터 코일(L1)을 구동하고, 상기 제1 스위칭 제어신호 FSC가 논리 하이인 경우에 상기 인덕터 코일(L1)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1 릴레이(60)의 제1,2,3스위치들(SW1,SW2,SW3)이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입력 접점들(b1,b2,b3)에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제1 릴레이(60)의 구조를 b접점 구동방식으로 하지 않고 a 접점 구동방식으로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스위칭 제어신호 FSC 의 논리는 반대로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릴레이(60)를 기계식 릴레이로 구현함이 없이 반도체 릴레이나 타의 릴레이로 대치할 수 있을 것이다. The first relay driver 50 may include the first, second, and third switches SW1, SW2, and SW3 of the first relay 60 when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FSC is logic low. The inductor coil L1 is driven to be connected to (a1, a2, a3), and when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FSC is logic high, no current flows in the inductor coil L1 so that the first relay ( The first, second, and third switches SW1, SW2, and SW3 of 60 are connected to the input contacts b1, b2, and b3 by spring restoring force. When the structure of the first relay 60 is changed to the a contact driving method instead of the b contact driving method, the logic of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FSC may be reversed. In addition, the first relay 60 may be replaced by a semiconductor relay or another relay without implementing the mechanical relay.

상기 제2 릴레이 구동부(52)는, 저항들(R20,R21,R22,R23), 포토커플러를 구성하는 다이오드 및 트랜지스터(D20,Q20), 커패시터(C20), 트랜지스터(Q22), 다이오드(D21)로 구성된다. The second relay driver 52 includes resistors R20, R21, R22, and R23, diodes and transistors D20 and Q20, capacitors C20, transistors Q22, and diodes D21 constituting a photocoupler. It consists of.

상기 제2 릴레이 구동부(52)는, 상기 제2 스위칭 제어신호 SSC가 논리 로우인 경우에 상기 제2 릴레이(70)의 제1스위치(SW4)가 입력 접점(a4)에 연결되도록 상기 인덕터 코일(L2)을 구동하고, 상기 제2 스위칭 제어신호 SSC가 논리 하이인 경우에 상기 인덕터 코일(L2)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2 릴레이(70)의 제1스위치(SW4)가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상기 입력 접점(b4)에 연결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릴레이(70)의 구조를 b접점 구동방식으로 하지 않고 a 접점 구동방식으로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스위칭 제어신호 SSC 의 논리는 반대로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릴레이(70)를 기계식 릴레이로 구현함이 없이 반도체 릴레이나 타의 릴레이로 대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second relay driver 52 may include the inductor coils such that the first switch SW4 of the second relay 70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tact a4 when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SSC is logic low. L2), and when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SSC is logic high, current does not flow through the inductor coil L2 so that the first switch SW4 of the second relay 70 is driven by a spring restoring force. To be connected to the input contact b4. Similarly, the logic of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SSC may be reversed when the structure of the second relay 70 is changed to the a contact driving method instead of the b contact driving method. In addition, the second relay 70 may be replaced by a semiconductor relay or another relay without implementing the mechanical relay.

도 4의 경우에 상기 제1,2 릴레이들(60,70)은 DC 릴레이 이며, 상기 제1,2 릴레이 구동부들(50,52)은 상기 동작전압 생성부(42)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직류 동작전압(VDD) 및 상기 제2 직류 동작전압(VCC)을 구동전압으로서 사용한다. In the case of FIG. 4, the first and second relays 60 and 70 are DC relays, and the first and second relay drivers 50 and 52 are output from the operating voltage generator 42. The direct current operating voltage VDD and the second direct current operating voltage VCC are used as driving voltages.

상기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54,56)에는 누전, 합선, 및 과부하 차단을 위해 ELB(58)가 연결될 수 있다. The emergency power input terminal pairs 54 and 56 may be connected to an ELB 58 to prevent short circuit, short circuit, and overload.

도 9를 참조하여 도 4의 동작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n operation example of FIG. 4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비상전원이 인가되지 않고 상용전원만이 인가되는 상태 즉 상시 모드(노말 모드)에서는 상기 도 4의 제어 회로부(44)는 동작전압 입력단(VIN)으로 제2 직류 동작 전압(약 5볼트)을 받지 못하므로, 디세이블 상태이다. 이 경우에는 도 4의 상용전원 검출신호 생성부(43)내의 LED1 으로서의 발광 다이오드(D3)가 점등되고, 상시전원 검출신호가 감지 입력단(I1)에 인가된다. 그러나, 상기 상시전원 검출신호가 인가되어도 상기 제어 회로부(44)는 디세이블 상태에 있으므로, 아무런 제어동작도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시 모드에서, 상기 제1,2릴레이들(60,70)은 전기적 으로 구동되지 않고 초기 상태(b접점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릴레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제1 릴레이(60)의 제1,2,3 스위치들(SW1,SW2,SW3)은 b 접점인 상기 입력 접점들(b1,b2,b3)에 각기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제2 릴레이(70)의 제1 스위치(SW4)도 b 접점인 상기 입력 접점(b4)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In a state in which emergency power is not applied and only commercial power is applied, that is, in normal mode (normal mode), the control circuit part 44 of FIG. 4 receives a second DC operating voltage (about 5 volts) at the operating voltage input terminal VIN. It is disabled.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diode D3 as LED1 in the commercial power supply detection signal generation unit 43 in FIG. 4 is turned on, and the constant power detection signal is applied to the sensing input terminal I1. However, even if the constant power detection signal is applied, the control circuit section 44 is in a disabled state, and thus no control operation is performed. In this always mode, the first and second relays 60 and 70 are not electrically driven and maintain their initial state (b contact state). That is, the first, second, and third switches SW1, SW2, and SW3 of the first relay 60 are connected to the input contacts b1, b2, and b3, respectively,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relay spring. Keep it. In addition, the first switch SW4 of the second relay 70 also maintains a state connected to the input contact b4 which is a b contact.

따라서, 제1,2 출력단(P1,P2)에는 상용전원이 출력되고, 제3 출력단(P3)에는 라인(P5)를 통해 디밍 스위치(21)로부터 인입된 상용전원의 1상(도 3을 기준으로 R상)이 출력된다. 그러므로, 겸용등(28), 보일러(32), 홈오토메이션 기기(30) 등과 같은 부하에는 상용전원이 공급된다.Accordingly, commercial power is output to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P1 and P2, and one phase of the commercial power supplied from the dimming switch 21 through the line P5 to the third output terminal P3 (see FIG. 3). R phase) is output. Therefore, commercial power is supplied to the load such as the combined lamp 28, the boiler 32, the home automation device 30, and the like.

송전선로의 결함이나 정전 등의 상황 발생에 의해, 상용전원이 인가되지 않고, 집합건물의 자가 발전기 등에 의해 공급되는 비상전원이 상기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54,56)에 인입되면, 부하 분리 및 전원 절체 동작이 도 9의 단계들을 통해 수행된다.When a commercial power is not applied due to a fault of a power transmission line or a power failure, and emergency power supplied by a self-generator of an assembly building is introduced into the emergency power input terminal pairs 54 and 56, load separation and power supply are performed. The transfer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steps of FIG.

도 9에서, S900단계는 비상전원이 인가되는 가를 검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어 회로부(44)가 라인(VL1)을 통해 전압 VCC를 수신하면 동작 인에이블 상태로 된다. 결국, 상기 제어 회로부(44)가 활성화 상태로 되면 비상전원이 인가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도 4의 브릿지 다이오드(BD1)는 전압 조절부로서 기능하는 저항(R1) 및 커패시터(C1)를 통해 강하된 교류전압을 수신한다.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BD1)는 교류전압을 전파 정류하여 직류 전압을 생성하며, 정전압기(U3)는 이를 레귤레이팅하여 3.3볼트 또는 5볼트의 직류 정전압을 출력한다. 상기 직류 정전압은 상기 라인(VL1)을 통해 상기 제어 회로부(44)의 동작전압 입력 단(VIN)에 제공된다. In FIG. 9, step S900 is a step of detecting whether emergency power is applied. When the control circuit unit 44 receives the voltage VCC through the line VL1, the control circuit unit 44 is in an operation enable state. As a result, when the control circuit unit 44 is activated, it means a state in which emergency power is applied. In this case, the bridge diode BD1 of FIG. 4 receives the dropped AC voltage through the resistor R1 and the capacitor C1 serving as the voltage adjusting unit. The bridge diode BD1 generates a DC voltage by full-wave rectifying an AC voltage, and the voltage regulator U3 regulates it to output a DC constant voltage of 3.3 volts or 5 volts. The DC constant voltage is provided to the operating voltage input terminal VIN of the control circuit part 44 through the line VL1.

S901단계는 부하라인을 분리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부하분리 동작에 따라 상기 제어 회로부(44)는 제2 릴레이(70)를 스위칭 온 하기 위해, SSC를 논리 로우로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릴레이 구동부(52)내의 포토 다이오드(D20)가 동작되어 트랜지스터(Q20,Q22)가 턴온된다. 따라서, 다이오드(21)의 애노드 전위가 접지레벨로 방전되기 시작하고 인덕터 코일(L2)에 연결된 공급 라인(P20)에서 라인(P21)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상기 제2 릴레이(70)의 제1스위치(SW4)가 전자력에 의해 입력 접점(a4)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출력단(P1)이 부하로부터 분리된다. Step S901 is a step of separating the load line. According to the load separation opera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circuit unit 44 outputs SSC as a logic low to switch on the second relay 70. Accordingly, the photodiode D20 in the second relay driver 52 is operated to turn on the transistors Q20 and Q22. Accordingly, the anode potential of the diode 21 starts to discharge to the ground level, and current flows from the supply line P20 connected to the inductor coil L2 to the line P21, whereby the first of the second relay 70 The switch SW4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tact a4 by an electromagnetic force. Thus, the first output terminal P1 is separated from the load.

S902단계는 설정 타임동안 지연을 행하는 단계이고, S903단계는 설정 타임이 경과 되었는 지를 체크하는 단계이다. 상기 설정 타임은 수 마이크로 초(sec) 내지 수 초 까지 프로그램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In step S902, a delay is performed during the setting time, and in step S903, it is a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setting time has elapsed. The set time may be set programmatically from several microseconds to several seconds.

S904단계는 비상전원을 연결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어 회로부(44)는 상기 제2 릴레이(70)가 여전히 스위칭 온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릴레이(60)를 스위칭 온 하기 위해, FSC를 논리 로우로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릴레이 구동부(50)내의 포토 다이오드(D10)가 동작되어 트랜지스터(Q10,Q12)가 턴온된다. 따라서, 다이오드(11)의 애노드 전위가 접지레벨로 방전되기 시작하고 인덕터 코일(L1)에 연결된 공급 라인(P10)에서 라인(P11)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상기 제1 릴레이(60)의 제1,2,3,스위치(SW1,SW2,SW3)가 전자력에 의해 입력 접점들(a1,a2,a3)에 각기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릴레이(60)의 제1,2 스위칭 출력 단(C1,C2)에는 비상전원이 출력되고, 제3 스위칭 출력단(C3)에는 비상전원의 R상(56)의 브랜치 라인(56a)을 따라 인가된 비상전원의 R상이 출력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상기 제2 릴레이(70)가 스위칭 온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부하에는 비상전원이 아직 인가되지 않는다. Step S904 is a step of connecting an emergency power source, and the control circuit unit 44 switches the FSC to switch on the first relay 60 while the second relay 70 is still maintaining switching on. Output as logic low. Accordingly, the photodiode D10 in the first relay driver 50 is operated to turn on the transistors Q10 and Q12. Accordingly, the anode potential of the diode 11 starts to discharge to the ground level, and current flows from the supply line P10 connected to the inductor coil L1 to the line P11, whereby the first of the first relay 60 , 2, 3, the switches (SW1, SW2, SW3)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input contacts (a1, a2, a3)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Accordingly, emergency power is output to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output terminals C1 and C2 of the first relay 60, and branch lines 56a of the R phase 56 of the emergency power are output to the third switching output terminal C3. R phase of the emergency power applied along) is output. In this case, however, since the second relay 70 is in the switched on state, the emergency power is not yet applied to the load.

설정 타임동안 지연을 행하는 S905단계와, 설정 타임이 경과되었는 지를 체크하는 S906단계를 거친 후에, 상기 제2 릴레이(70)를 스위칭 오프하는 S907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S907단계는 부하라인을 연결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어 회로부(44)는 제2 릴레이(70)를 스위칭 오프 하기 위해, SSC를 논리 하이(HIGH)로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인덕터 코일(L2)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제2 릴레이(70)의 제1 스위치(SW4)는 b접점 상태로 복귀된다. 따라서, 제1 출력단(P1)이 부하에 연결되므로, 겸용등(28), 보일러(32), 홈오토메이션 기기(30)등과 같은 부하에는 비상전원이 공급된다. 이와 같이, 부하를 먼저 분리한 후에 비상 절체를 행하고 비상 절체가 행해진 이후에는 다시 부하를 연결하면, 절체 동작시에 전원들간의 위상 및 주파수의 불일치에 의한 쇼트현상이나 릴레이 접점 아킹현상 등과 같은 문제들이 확실히 방지된다. 그러므로 겸용등, 디밍 스위치, 절체 장치, 또는 분전반의 손상이 방지 또는 억제됨을 알 수 있다. 상기 S902,S905단계들은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는 단계들로서, 비상전원의 공급 초기에는 불안정한 전압이 들어올 수 있으므로, 이를 충분히 고려한 경우에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비상전원으로의 절체 시에 상기 제어 회로부(44)는 출력단(O1)에 로우 레벨의 신호를 인가한다. 이에 따라, 비상전원의 인입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LED2)가 발광된다. After the step S905 of delaying the set time and the step S906 of checking whether the set time has elapsed, the step S907 of switching off the second relay 70 is performed. The step S907 is a step of connecting a load line, and the control circuit unit 44 outputs SSC as a logic high to switch off the second relay 70. Accordingly, no current flows through the inductor coil L2, and the first switch SW4 of the second relay 70 returns to the b contact state. Therefore, since the first output terminal P1 is connected to the load, emergency power is supplied to the load such as the combined lamp 28, the boiler 32, the home automation device 30, and the like. In this way, if the load is disconnected first and then emergency transfer is performed and the load is connected again after the emergency transfer is performed, problems such as a short phenomenon due to phase and frequency mismatch between power supplies and relay contact arcing phenomenon, etc. It is definitely prevented.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damage to the combined light, dimming switch, switching device, or distribution board is prevented or suppressed. The steps S902 and S905 may be omitted as necessary, and may be selected when sufficient consideration is given since an unstable voltage may enter at an initial stage of supply of emergency power. On the other hand, when switching to the emergency power supply, the control circuit section 44 applies a low level signal to the output terminal O1. As a result, the light emitting diode LED2 displaying the drawn-in state of the emergency power source to the outside is emitted.

S908단계는 비상전원이 오프 되었는 지를 검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S908단계에서 비상전원이 오프된 경우에 S909단계가 수행된다. Step S908 is a step of detecting whether the emergency power is off. When the emergency power is turned off in step S908, step S909 is performed.

상기 S909단계는 상기 제1,2 릴레이(60,70)가 스위칭 오프 상태로 복귀되고 비상전원 인입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LED2)가 자동으로 오프되는 단계이다. 상기 S909단계는 상기 상용전원의 인가유무와는 상관없이 비상전원이 오프된 경우에 수행되기 때문에 상기 제어 회로부(44)의 제어동작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비상전원 오프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 제1,2 릴레이(60,70)가 릴레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b 접점의 상태로 모두 각기 복귀 스위칭되어, 상용전원이 상기 부하에 즉시 공급될 수 있는 상태로 놓여진다. In step S909, the first and second relays 60 and 70 are returned to the switching off state and the emergency power supply indication LED 2 is automatically turned off. Since the step S909 is performed when the emergency power is turned off regardless of whether the commercial power is applied or not, the step S909 is automatically performed by turning off the emergency power rather than being performed by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 circuit 44. 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relays 60 and 70 are all switched back to the state of the contact point b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relay spring, so that the commercial power can be immediately supplied to the load.

S910단계는 상용전원이 인가되는 가를 검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어 회로부(44)는 감지 입력단(I1)에 논리 로우가 인가될 경우에는 비상전원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용전원이 인가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S910단계에서 상용전원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S908단계로 천이된다. Step S910 is a step of detecting whether commercial power is applied. When a logic low is applied to the sensing input terminal I1, the control circuit unit 44 determines that commercial power is applied while emergency power is applied. If the commercial power is not detected in step S910, the process goes to step S908.

S911단계는 S910단계가 패스될 경우에 부하라인을 분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S911단계,S912단계, 및 S913단계는 상술한 S901단계,S902단계, 및 S903단계와 동일하며, 동일한 동작이 일어난다. The step S911 is a step of separating the load line when the step S910 is passed. The steps S911, S912, and S913 are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steps S901, S902, and S903, and the same operation occurs.

S914단계는 상용전원을 연결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어 회로부(44)는 부하라인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릴레이(60)를 스위칭 오프 하기 위해, FSC를 논리 하이로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1 릴레이(60)는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b 접점으로 복귀되므로 비상전원은 차단되고 상용전원이 연결된다. Step S914 is a step of connecting commercial power, and the control circuit unit 44 outputs the FSC as logic high to switch off the first relay 60 in a state in which the load line is separated. Accordingly, since the first relay 60 is returned to the b contact by the spring restoring force, the emergency power is cut off and the commercial power is connected.

상기 S914단계에서의 동작이 완료되면, S905,S906,S907단계가 수행되어 부하라인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용전원이 부하에 공급된다. 상기 S908단계에서 비상전원이 오프되면 상기 S909단계가 이미 수행되어 있는 상태와 동일하게 된다. When the operation in step S914 is completed, steps S905, S906, and S907 are performed to connect the load lines. Thus, commercial power is supplied to the load. When the emergency power is turned off in step S908, the same state as in step S909 is already performed.

비상전원과 상용전원이 모두 입력되는 경우에 상용전원으로의 절체는 상시 우선 절체동작을 만족시킴과 아울러 비상전원의 낭비를 최대로 방지하여 세대의 전력량 과금에 대한 합리성을 제공한다. When both emergency power and commercial power are input, switching to commercial power always satisfies the switching operation at first, and prevents the waste of emergency power to the maximum, thereby providing reasonableness for generation electricity charging.

도 4에서는 상기 제1,2 릴레이(60,70)가 DC 릴레이로써 구현되었으나, 도 5와 같이 AC 릴레이로써 구현할 수 있다. In FIG. 4, the first and second relays 60 and 70 are implemented as DC relays, but may be implemented as AC relays as shown in FIG. 5.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원자동 절체장치의 상세회로도이다. 5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n automatic power supply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구성은, 제1,2 릴레이의 릴레이 타입이 AC 릴레이로 변경되고, 그에 따라 제1,2 릴레이 구동부가 변경된 것을 제외하면, 도 4와 동일하다. The configuration of FIG. 5 is the same as that of FIG. 4 except that the relay type of the first and second relays is changed to an AC relay and the first and second relay drivers are changed accordingly.

도 5에서, 제1 릴레이 구동부(50)는 저항(R10) 및 포토 다이오드(D10), 및 트라이액(TA10)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제2 릴레이 구동부(52)는 저항(R20) 및 포토 다이오드(D20), 및 트라이액(TA20)으로 구현될 수 있다. In FIG. 5, the first relay driver 50 may be implemented with a resistor R10, a photodiode D10, and a triac TA10, and the second relay driver 52 may include a resistor R20 and a photo. The diode D20 and the triac TA20 may be implemented.

도 5의 경우에도 릴레이의 타입만이 다를 뿐이고, 도 9와 같은 제어흐름을 동일하게 수행하게 되므로, 제1 릴레이(60)의 비상/상용 절체 동작이 부하 미 연결 상태에서 수행된다. In the case of FIG. 5, only the type of the relay is different, and the same control flow as in FIG. 9 is performed. Therefore, the emergency / commercial switching operation of the first relay 60 is performed in the unloaded state.

그러므로, 절체 동작시에 전원들간의 위상 및 주파수의 불일치에 의한 쇼트현상이나 릴레이 접점 아킹현상 등과 같은 문제들이 방지된다. 따라서, 겸용등, 디밍 스위치, 절체 장치, 또는 분전반의 손상이 방지 또는 억제되어, 절체 동작의 신 뢰성 및 안정성이 개선된다. Therefore, problems such as a short phenomenon or a relay contact arcing phenomenon due to a mismatch in phase and frequency between power supplies during the switching operation are prevented. Thus, damage to the combined light, dimming switch, switching device, or distribution board is prevented or suppressed,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and stability of the switching operation.

상기 도 4 및 도 5의 APU(20)는 5입력 3출력 라인으로 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화재 시 대피공간에 또 다른 상용 및 비상 겸용등을 추가로 연결 시 도 7이나 도 8과 같이 5입력 4출력 라인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될 것이다. Although the APU 20 of FIG. 4 and FIG. 5 has been described with five input and three output lines as an example, when another commercial and emergency light is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evacuation space in the event of fire, the APU 20 may be connected to FIG. It can be changed to 5 inputs and 4 output lines as well.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3,4 실시예가 적용되는 비상전원 공급시스템의 전체구성도이다. 6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to which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전원 공급시스템의 전체구성도로서, 도 3에서 약간 변형된 것이다. 도 6에서는 화재 시의 활용을 위해 대피 공간에 설치되는 또 다른 상기 겸용 비상등(29)이 추가로 설치되는 경우에 상시에는 텀블러 등과 같은 조작 스위치(23)를 사용하여 점등 및 소등할 수 있고, 비상시에는 비상전원을 인가하여 비상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게 한 배선구조이다. 도 6에서 디밍 스위치(21)는 상용전원 인가시에 상기 겸용등(28)에 대하여 조도 조절을 행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APU(20)의 비상전원 입력단(54, 56)에 노이즈필터(22)를 연결하는 경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노이즈 및 전자파 장해, 통신신호 간섭 등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6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slightly modified in FIG. In FIG. 6, when another combined emergency light 29 installed in the evacuation space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evacuation space for use in a fire, it may be turned on and off by using an operation switch 23 such as a tumbler at all times. Is a wiring structure that can be used as an emergency light by applying emergency power. In FIG. 6, the dimming switch 21 may adjust illuminance of the combined lamp 28 when commercial power is applied.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6, when the noise filter 22 is connected to the emergency power input (54, 56) of the APU 20, noise an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rom the outside, communication signal interference, etc. can be effectively blocked. Can be.

도 6과 같은 배선구조 또한, 도 7 및 도 8과 같은 APU(20)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 절체 동작시에 전원들간의 위상 및 주파수의 불일치에 의한 쇼트현상이나 릴레이 접점 아킹현상 등과 같은 문제들을 해결한다. By employing the APU 20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wiring structure as shown in Fig. 6 also eliminates problems such as shorting and relay contact arcing due to inconsistency in phase and frequency between power supplies during the switching operation. Solve.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원자동 절체장치의 상세회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원자동 절체장치의 상세회로도이다. 7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power automatic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power automatic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의 구성은, 릴레이 출력 구조가 5입력 4출력 라인으로 변경되고 부하라인 분리를 2라인에 대하여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4와 동일하다. The configuration of FIG. 7 is the same as FIG. 4 except that the relay output structure is changed to five input four output lines and load line separation is performed for two lines.

도 7에서, 제1 절체부로서 기능하는 제1 릴레이(60)는, 제1 스위칭 제어신호 FSC 에 응답하여 상용전원 입력단 페어(50,52)와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54,56) 중에서 하나를 제1,2 출력단(P1,P2)에 전기적으로 각기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54,56) 중의 하나(56)에 접속 분기된 브랜치 비상전원 입력단(56a)과 무전원 입력단(b3) 중에서 하나를 제3 출력단(P3)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용전원을 받아 조명등을 스위칭하는 스위치(21)의 일 출력단(S3)에 접속된 상용전원 스위칭 입력단(P5)과 상기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54,56) 중의 하나(56)에 접속 분기된 브랜치 비상전원 입력단(56b) 중에서 하나를 제4 출력단(P4)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구동 인덕터(L1)와 제1,2,3,4 스위치(SW1,SW2,SW3,SW4)를 가진다. In FIG. 7, the first relay 60 functioning as the first switching unit selects one of the commercial power input pair 50 and 52 and the emergency power input pair 54 and 56 in response to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FSC. A branch emergency power input terminal 56a and a non-power input terminal b3 which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P1 and P2, respectively, and branched to one of the emergency power input pair pairs 54 and 56, respectively. A commercial power switching input terminal P5 connected to one output terminal S3 of a switch 21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of the third output terminals P3 and receiving commercial power, and switching a lamp, and the emergency power input terminal pair ( To drive one of the branch emergency power inputs 56b branched to one of the 56, 56 electrical connections to the fourth output terminal P4, the drive inductor L1 an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t has switches SW1, SW2, SW3, and SW4.

또한, 제2 절체부로서 기능하는 상기 제2 릴레이(70)는 제2 스위칭 제어신호SSC 에 응답하여 상기 제1,2,3,4 출력단(P1,P2,P3,P4) 중 두 라인(P1,P2)을 스위칭 하여 부하가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구동 인덕터(L2)와 제1,2스위치(SW5,SW6)를 가진다.In addition, the second relay 70 functioning as a second switching unit includes two lines P1 among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output terminals P1, P2, P3, and P4 in response to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SSC. In order to switch P2 so that the load is separated, the driving inductor L2 and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SW5 and SW6 are provided.

도 7에서는 상기 제2 릴레이(70)가 제1,2 출력단(P1,P2)을 스위칭하여 부하가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 나타나 있지만, 제3 출력단(P3)이나 제4 출력단(P4)이 스위칭 되도록 하여 부하가 분리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출력단(P1) 만을 스위칭 되도록 하여 부하가 분리되도록 하거나, 제1,2,3,4 출력단(P1,P2,P3,P4) 모두를 스위칭 되도록 하여 부하가 분리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In FIG. 7, the second relay 70 switches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P1 and P2 so that the load is separated, but the third output terminal P3 or the fourth output terminal P4 is switched. The load may be separated. In addition, the load may be separated by switching only the first output terminal P1 or by switching all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output terminals P1, P2, P3, and P4.

도 7의 제어 회로부(44)도 도 9와 같은 제어흐름을 수행하여, 제1 릴레이(60)의 절체동작 전후에 제2 릴레이(70)의 절체동작이 수행되도록 하여 부하 분리상태에서 비상 또는 상용 전원의 절체가 이루어지게 한다. The control circuit unit 44 of FIG. 7 also performs the control flow as shown in FIG. 9, so that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econd relay 70 is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first relay 60 so that the emergency or commercial operation can be performed in the load separation state. Allow power switching.

한편, 메인 절체 동작시에 일단 부하를 분리함이 없이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변경적 방법으로서 상용입력을 분리하는 동작이 강구될 수 있다. 이는, 도 7의 회로구성에서 제2 릴레이(70)의 설치 위치를 제1 릴레이(60)의 전단으로 변경하는 것 만에 의해 달성된다. 즉, 상기 제2 릴레이(70)를 상용전원 입력단 페어(50,52)와 상기 제1 릴레이(60)의 입력 접점들(b1,b2) 사이에 연결되도록 하여, 제1 릴레이(60)의 절체 동작 전에 상용전원 입력이 상기 제1 릴레이(60)의 입력 접점들(b1,b2)로부터 분리되게 하고, 제1 릴레이(60)의 절체 동작 후에 상용전원 입력이 상기 제1 릴레이(60)의 입력 접점들(b1,b2)로 연결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isconnecting the load once during the main switching operation, the operation of separating the commercial input as a modified method can be taken. This is achieved only by chang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cond relay 70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relay 60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FIG. That is, the second relay 70 is connected between the commercial power input pair 50 and 52 and the input contacts b1 and b2 of the first relay 60, thereby switching the first relay 60. The commercial power input is separated from the input contacts b1 and b2 of the first relay 60 before the operation, and the commercial power input is input of the first relay 60 after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first relay 60. It is connected to the contacts (b1, b2).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구성은, 릴레이 출력 구조가 5입력 4출력 라인으로 변경되고 부하라인 분리를 4라인에 대하여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5와 동일하다. 도 8의 경우에는 DC 릴레이를 채용한 도 7과는 달리 AC 릴레이를 채용함을 알 수 있다. Also, the configuration of FIG. 8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of FIG. 5 except that the relay output structure is changed to five input four output lines and load line separation is performed for four lines. In the case of FIG. 8, it can be seen that unlike the case of FIG. 7 employing a DC relay, an AC relay is employed.

도 8에서, 제2 절체부로서 기능하는 제2 릴레이(70)는 제2 스위칭 제어신호SSC 에 응답하여 상기 제1,2,3,4 출력단(P1,P2,P3,P4)을 모두 스위칭 하여 부하가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구동 인덕터(L2)와 제1,2,3,4스위치(SW5,SW6,SW7,SW8)를 가진다.In FIG. 8, the second relay 70 serving as the second switching unit switches all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output terminals P1, P2, P3, and P4 in response to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SSC. In order to allow the load to be separated, the driving inductor L2 an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witches SW5, SW6, SW7 and SW8 are provided.

유사하게, 도 8의 제어 회로부(44)도 도 9와 같은 제어흐름을 수행하여, 제1 릴레이(60)의 절체동작 전후에 제2 릴레이(70)의 절체동작이 수행되도록 하여 부하 분리상태에서 비상 또는 상용 전원의 절체가 이루어지게 한다. Similarly, the control circuit unit 44 of FIG. 8 also performs the control flow as shown in FIG. 9 so that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econd relay 70 is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first relay 60 in the load disconnection state. Allow emergency or commercial power supply switching.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4 실시예들에서는 디밍 스위치등에 연결되는 라인(P5)이 APU(20)의 입력에 추가되어 5입력(상용전원 페어와 비상전원 페어와 1개의 디밍라인의 합)에 대한 절체 동작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4입력(상용전원 페어와 비상전원 페어만의 합)에 대한 절체 동작에 있어서도 부하 분리가 행해질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부하를 절체하는 스킴을 위주로 설명되었으나, 제2 절체부를 제1 절체부의 전단에 변경적으로 설치하고 상용입력을 우선적으로 분리한 후 절체동작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e P5 connected to the dimming switch or the like is added to the input of the APU 20 so that five inputs (a sum of a commercial power supply pair and an emergency power supply pair and one dimming line) are performed. Although the switching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it should be noted that load separation can also be performed in the switching operation for four inputs (sum of only a commercial power pair and an emergency power pair)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In addition, although a scheme for switching loads has been described mainly, the second switching part may be alternately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switching part, and the switch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after first separating the commercial input.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원 절체시 릴레이에 스파크가 방지 또는 최소화되어 릴레이 접점 수명이 보장되고, 부하차단 후의 지연으로 인해 쇼트가 방지되어 동작 안정성이 있으며, 아크 트러블의 최소화로 인해 에너지가 절감되고, 분전반에서의 위상 충돌 사고가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wer is switched, the relay is prevented or minimized to ensure the relay contact life, and the short is prevented due to the delay after the load is interrupted, the operation stability, and due to the minimization of arc trouble Energy is saved and phase collision accidents at the distribution panel are prevented at the sourc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비상용 부하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관 도어록 장치, 비디오 인터폰, 가스, 방범, 방재기기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ergency load may further include an entrance door lock device, a video interphone, gas, crime prevention, disaster prevention equipment, etc., although not shown.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부하분리 기능을 포함하는 절체 제어동작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의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witching control operation including a load separation function may include a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operations implemented by various computers.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상기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주로 도면을 따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안이 다른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부하 분리를 위한 릴레이의 구체적 구성을 변경하거나 절체동작 시 지연타임을 선택적으로 삽입 및 가감하거나, 디밍 스위치 뿐만 아니라 다양한 타의 스위치의 출력을 APU의 릴레이 입력단으로 더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ample.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or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For example, if the matter is different,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relay for load separation or the selective insertion and deceleration of the delay time during the switching opera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dimming switch and various other switches You can further connect the output to the relay input of the APU.

도 1은 디밍 스위치와 연결된 통상적 비상전원 공급시스템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connected to a dimming switch

도 2는 도 1내의 상시 겸용 비상등이 손상될 수 있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일반적 집합건물에서의 전원공급 배선구조도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power supply wiring in a general assembly provided to explain a phenomenon in which the emergency lamp in FIG. 1 may be damaged.

도 3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가 적용되는 비상전원 공급시스템의 전체구성도3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원자동 절체장치의 상세회로도4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power supply automatic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원자동 절체장치의 상세회로도5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n automatic power supply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3,4 실시예가 적용되는 비상전원 공급시스템의 전체구성도6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to which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원자동 절체장치의 상세회로도7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power supply automatic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원자동 절체장치의 상세회로도8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power supply automatic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4,5,7,8에서 보여지는 제어 회로부의 동작 제어흐름 예시도9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control flow of a control circuit unit shown in FIGS. 4, 5, 7, and 8

Claims (12)

제1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용전원 입력단 페어와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 중에서 하나를 출력단 페어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절체부와;A first switching unit electrically connecting one of the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pair and the emergency power input terminal pair to the output terminal pair in response to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제2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단 페어 중 적어도 한 라인을 스위칭하여 부하가 분리되도록 하는 제2 절체부와; A second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switch at least one line of the output pair in response to a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so that the load is separated; 상기 제1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1 절체부에 인가하기 전후에 상기 제2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2 절체부에 인가하여 상기 제1 절체부의 스위칭 동작이 부하 미 연결 상태에서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 회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자동 절체장치.A control circuit unit configured to apply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switching unit before and after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unit so that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ing unit is performed in an unconnected state. Automatic power supply switc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절체부의 적어도 하나는 직류 릴레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자동 절체장치.The power supply automatic switch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units is a DC re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절체부의 적어도 하나는 교류 릴레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자동 절체장치.The power supply automatic switch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units is an AC re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는 내장된 스위칭 관련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미리 설정된 스위칭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로직 회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자동 절체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circuit unit comprises a microprocessor that executes a built-in switching related program or a logic circuit that performs a preset switching related operation. 제1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용전원 입력단 페어와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 중에서 하나를 출력단 페어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절체부와;A first switching unit electrically connecting one of the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pair and the emergency power input terminal pair to the output terminal pair in response to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제2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단 페어 중 적어도 한 라인을 스위칭하여 부하가 분리되도록 하는 제2 절체부와; A second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switch at least one line of the output pair in response to a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so that the load is separated; 상기 제1 절체부를 스위칭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우선적으로 상기 제2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2 절체부에 인가하여 상기 출력단 페어와 상기 부하 사이가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한 후 상기 제1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1 절체부로 인가하고, 상기 제1 절체부가 스위칭된 이후에는 상기 제2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2 절체부에 인가하여 상기 출력단 페어와 상기 부하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제어 회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자동 절체장치. When an event to switch the first switching unit occurs,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is first applied to the second switching unit so that the output terminal pair is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load, and then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is applied. And a control circuit for applying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switching part so as to electrically connect between the output terminal pair and the load after the first switching part is a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part. Power automatic switc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스위칭 제어신호는 릴레이 코일을 구성하는 인덕터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자동 절체장치.The power supply automatic switching device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s are signals through which current flows through an inductor constituting a relay coi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에 비상전원이 인가될 경우에 제어 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자동 절체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circuit unit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when emergency power is applied to the emergency power input pai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절체부는 각기 직류 또는 교류 릴레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자동 절체장치.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units are DC or AC relays, respectively. 제1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용전원 입력단 페어와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 중에서 하나를 출력단 페어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절체부와;A first switching unit electrically connecting one of the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pair and the emergency power input terminal pair to the output terminal pair in response to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제2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상용전원 입력단 페어를 스위칭하여 상용입력이 분리되도록 하는 제2 절체부와; A second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switch the commercial power input pair in response to a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to separate the commercial input; 상기 제1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1 절체부에 인가하기 전후에 상기 제2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2 절체부에 인가하여 상기 제1 절체부의 스위칭 동작이 상기 상용입력의 미 연결 상태에서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 회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자동 절체장치.Before and after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part,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second switching part so that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ing part is performed in an unconnected state of the commercial input. Power supply automatic switc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circuit unit. 제1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용전원 입력단 페어와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 중에서 하나를 출력단 페어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절체부와;A first switching unit electrically connecting one of the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pair and the emergency power input terminal pair to the output terminal pair in response to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제2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단 페어 중 적어도 한 라인을 스위칭하여 부하가 분리되도록 하는 제2 절체부와; A second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switch at least one line of the output pair in response to a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so that the load is separated; 상기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에 비상전원이 인가되는 경우나 상기 비상전원이 상기 부하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용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2 절체부에 인가하여 상기 출력단 페어와 상기 부하 사이가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하고 나서 상기 제1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1 절체부로 인가하며, 상기 제1 절체부가 스위칭된 후에는 상기 제2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2 절체부에 인가하여 상기 출력단 페어와 상기 부하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제어 회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자동 절체장치. When emergency power is applied to the emergency power input terminal pair or when commercial power is applied while the emergency power is connected to the load,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second switching part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pair.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part after the load is electrically disconnected, and after the first switching part is switched,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second switching part to perform the And a control circu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output pair and the load. 제1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용전원 입력단 페어와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 중에서 하나를 제1,2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각기 연결하는 동시에, 상용전원을 받아 조명등의 디밍 동작을 행하는 디밍 스위치의 일 출력단에 접속된 상용전원 디밍 입력단과, 상기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 중의 하나에 접속 분기된 브랜치 비상전원 입력단 중에서 하나를 제3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절체부와;In response to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one of the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pair and the emergency power input terminal pai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respectively, and connected to one output terminal of the dimming switch which receives commercial power and performs dimming operation of a lamp. A first switching unit electrically connecting one of the commercial power dimming input terminal and a branch emergency power input terminal branched to one of the emergency power input terminal pairs to a third output terminal; 제2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2,3 출력단 중 적어도 한 라인을 스위칭 하여 부하가 분리되도록 하는 제2 절체부와; A second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switch at least on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output terminals in response to a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to separate the load; 상기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에 비상전원이 인가되는 경우나 상기 비상전원이 상기 부하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용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2 절체부에 인가하여 상기 출력단들 중 하나와 상기 부하 사이가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하고 나서 설정된 딜레이 타임의 경과 후에 상기 제1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1 절체부로 인가하며, 상기 제1 절체부가 스위칭된 후에는 상기 제2 스위칭 제어신호를 설정된 딜레이 타임의 경과 후에 상기 제2 절체부에 인가하여 상기 출력단들 중 하나와 상기 부하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제어 회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자동 절체장치. When emergency power is applied to the emergency power input terminal pair or when commercial power is applied while the emergency power is connected to the load,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second switching part to output the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part after the set delay time has elapsed between the one and the load, and after the first switching part is switched,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is set. And a control circuit unit which is applied to the second switching unit after the delay time passes so that the one of the output terminals and the loa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제1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용전원 입력단 페어와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 중에서 하나를 제1,2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각기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 중의 하나에 접속 분기된 브랜치 비상전원 입력단과 무전원 입력단 중에서 하나를 제3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용전원을 받아 조명등을 스위칭하는 스위치의 일 출력단에 접속된 상용전원 스위칭 입력단과 상기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 중의 하나에 접속 분기된 브랜치 비상전원 입력단 중에서 하나를 제4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절체부와;In response to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one of the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pair and the emergency power input terminal pai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respectively, and the branch emergency power input terminal and the non-powered branch connected to one of the emergency power input pair. One of the branch power supply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of the input terminals, the commercial power switching input terminal connected to one output terminal of a switch for switching a lamp by receiving commercial power, and a branch emergency power input branch connected to one of the emergency power input pair. A first switching unit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ourth output terminal to the fourth output terminal; 제2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2,3,4 출력단 중 적어도 한 라인을 스위칭 하여 부하가 분리되도록 하는 제2 절체부와; A second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switch at least one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output terminals in response to a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to separate the load; 상기 비상전원 입력단 페어에 비상전원이 인가되는 경우나 상기 비상전원이 상기 부하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용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2 절체부에 인가하여 상기 출력단들 중 하나와 상기 부하 사이가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하고 나서 상기 제1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1 절체부로 인가하며, 상기 제1 절체부가 스위칭된 후에는 상기 제2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2 절체부에 인가하여 상기 출력단들 중 하나와 상기 부하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제어 회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자동 절체장치. When emergency power is applied to the emergency power input terminal pair or when commercial power is applied while the emergency power is connected to the load,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second switching part to output the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part after the first switching part is electrically disconnected from the load, and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second switching part after the first switching part is switched. And a control circuit unit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one of the output terminals and the load.
KR1020090018278A 2009-03-04 2009-03-04 Improved automatic power changer to perform transfer operation under load disconnection Ceased KR1009072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278A KR100907298B1 (en) 2009-03-04 2009-03-04 Improved automatic power changer to perform transfer operation under load disconn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278A KR100907298B1 (en) 2009-03-04 2009-03-04 Improved automatic power changer to perform transfer operation under load disconne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7298B1 true KR100907298B1 (en) 2009-07-13

Family

ID=41337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278A Ceased KR100907298B1 (en) 2009-03-04 2009-03-04 Improved automatic power changer to perform transfer operation under load disconn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729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0957A (en) 2017-04-28 2018-11-07 파나소닉이에스신동아(주) Side attached automatic power transfer unit
KR102348513B1 (en) * 2021-07-20 2022-01-07 아이에프텍(주) Apparatus for controlilng switch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5426A (en) * 1995-01-19 1996-08-09 Toshiba Eng & Constr Co Ltd Uninterruptible stabilized power supply
JPH11307281A (en) 1998-04-23 1999-11-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mergency lighting system
KR20040083642A (en) * 2003-03-24 2004-10-06 신창기계설비(주) Switchboard and circuit for supplying normal and emergency power of separate household
KR20070023517A (en) * 2005-08-24 2007-02-28 오성기전주식회사 Power switch in parallel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5426A (en) * 1995-01-19 1996-08-09 Toshiba Eng & Constr Co Ltd Uninterruptible stabilized power supply
JPH11307281A (en) 1998-04-23 1999-11-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mergency lighting system
KR20040083642A (en) * 2003-03-24 2004-10-06 신창기계설비(주) Switchboard and circuit for supplying normal and emergency power of separate household
KR20070023517A (en) * 2005-08-24 2007-02-28 오성기전주식회사 Power switch in parallel 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0957A (en) 2017-04-28 2018-11-07 파나소닉이에스신동아(주) Side attached automatic power transfer unit
KR102348513B1 (en) * 2021-07-20 2022-01-07 아이에프텍(주) Apparatus for controlilng switc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3177E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an electrical backfeed
US8138634B2 (en) Transfer switch with arc suppression
WO2010150706A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direct current branch circuit
US783448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ing load center circuits with an auxiliary power source
US20080179958A1 (en) Automatic Transfer Switch With Monitor Mode and Method Employing the Same
US20100109438A1 (en) Emergency Lighting System
CN108336738A (en) Service panel circuit for automatic AC distribution and DC distribution
KR20150013105A (en) device of recovery for open-phase in the power system line
EP2244353B1 (en) Energy saving device
KR100907298B1 (en) Improved automatic power changer to perform transfer operation under load disconnection
KR101049862B1 (en) Distrtibuting board cabinet panel with neutral line replacement
JP7505686B2 (en) Apparatus, method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and fire during electric leakage and earth faults
KR100977039B1 (en) Automatic power supply switching device with no delay during commercial power priority switching
KR100535857B1 (en) Automatic power switching device
KR100709005B1 (en) Emergency power automatic switching device
KR200343076Y1 (en) Automatic power switching device
KR101208468B1 (en) Device for prevention disaster in cabinet panel
KR101030193B1 (en) Distribution board with neutral wire replacement function and neutral wire replacement method
KR101208467B1 (en) Cabinet panel for prevention disaster of neutral line peculia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086973A (en) motor controlling board and auto controlling board with neutral line replacement and method thereof
JPH1169661A (en) Solar light power generation system
CN212012252U (en) Commercial power generation power supply switching circuit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KR20190104506A (en) Power transfer control method using automatic power transfer control device with load short detection function
KR20190047835A (en) Automatic power transfer control device with load short detection function, and its method of power transfer control thereof
KR20120086557A (en) Distrtibuting board cabinet panel with neutral line replacement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7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J0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1205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090703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31205

Decision date: 20150526

Appeal identifier: 201310000319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1205

Effective date: 20150526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5D

Patent event date: 20150526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31205

Decision date: 20150526

Appeal identifier: 2013100003197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PJ2001 Appeal

Patent event date: 20150526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code: PJ20011S05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151218

Appeal identifier: 2015200004064

Request date: 2015062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PJ0206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Patent event code: PJ02062R01D

Patent event date: 2015110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61E01I

Patent event date: 20090703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Decision date: 20170501

Request date: 20151103

Appeal identifier: 2015100005153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PJ200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date: 20150526

Patent event code: PJ20021S05I

Request date: 20160111

Appeal identifier: 2016300000113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160428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625

Effective date: 20151218

PJ1302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date: 20160128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code: PJ13021S01D

Request date: 20150625

Decision date: 20151218

Appeal identifier: 2015200004064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PJ0202 Trial for correc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date: 20160205

Patent event code: PJ02022R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703

Patent event code: PJ02021E01I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Decision date: 20160816

Request date: 20160205

Appeal identifier: 2016105000011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111

Effective date: 20160428

PJ1303 Judgment (supreme court)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Supreme Court)

Patent event date: 20160504

Patent event code: PJ13031S01D

Decision date: 20160428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60111

Appeal identifier: 2016300000113

PJ220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Request date: 20160504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Appeal identifier: 2016130000062

Decision date: 2016081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5000011;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60205

Effective date: 20160816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3000006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504

Effective date: 20160816

PJ1301 Trial decisio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60504

Decision date: 20160816

Appeal identifier: 2016130000062

Patent event code: PJ13011S09D

Patent event date: 20160816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Final Judgment on Revocat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3D

Patent event date: 20160816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Correction (Patent, Utility Model)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Request date: 20160205

Decision date: 20160816

Appeal identifier: 201610500001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7442; INVALIDATION

PJ2001 Appeal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Decision date: 20170407

Appeal identifier: 2016205007435

Request date: 20161005

Patent event date: 20160816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Final Judgment on Revocation

Patent event code: PJ20011S09I

Patent event date: 20160816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Correction (Patent,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PJ20011S03I

Patent event date: 20150526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code: PJ20011S05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170407

Appeal identifier: 2016200007442

Request date: 20161005

PJ1302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date: 20170407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code: PJ13021S01D

Request date: 20161005

Decision date: 20170407

Appeal identifier: 2016205007435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PC2102 Extinguishment

Termination category: Others

Termination date: 20170501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7442;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1005

Effective date: 20170407

PJ1302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date: 20170428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code: PJ13021S01D

Request date: 20161005

Decision date: 20170407

Appeal identifier: 2016200007442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0005153;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51103

Effective date: 20170501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2D

Patent event date: 2017050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a Right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 date: 20151103

Decision date: 20170501

Appeal identifier: 2015100005153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2017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