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06993B1 -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전력제어시스템 및전력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전력제어시스템 및전력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993B1
KR100906993B1 KR1020070114110A KR20070114110A KR100906993B1 KR 100906993 B1 KR100906993 B1 KR 100906993B1 KR 1020070114110 A KR1020070114110 A KR 1020070114110A KR 20070114110 A KR20070114110 A KR 20070114110A KR 100906993 B1 KR100906993 B1 KR 100906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power
output
battery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7962A (ko
Inventor
송유진
한수빈
박석인
정학근
정봉만
김규덕
유승원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14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993B1/ko
Publication of KR20090047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58Electric variables
    • H01M8/04925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 H01M8/0494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6/00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 H01M16/003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of fuel cells with other electrochemical devices, e.g. capacitors, electrolysers
    • H01M16/006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of fuel cells with other electrochemical devices, e.g. capacitors, electrolysers of fuel cells with rechargeabl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604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 H01M8/04619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604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 H01M8/04626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of auxiliary devices, e.g. batteries,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58Electric variables
    • H01M8/04895Current
    • H01M8/04917Current of auxiliary devices, e.g. batteries,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과 부하 사이의 전력흐름을 제어하되, 부하의 전력 수요에 대응되어야 하고 배터리가 과도하게 충전되거나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연료전지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전력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연료전지제어기를 통해 제어되는 연료를 공급받으며, 공급되는 연료의 반응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와, 상기 연료전지와 병렬로 연결된 배터리와, 상기 연료전지와 배터리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전력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의 출력전압을 변환하는 DC-DC변환기와 연료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저 고조파 전류를 제거하고 출력전류를 전류 제한치 이내로 제한하여 연료전지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DC-DC변환기용 디지털제어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전력제어, 예측전류제한기, 이동평균 디지털필터

Description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전력제어시스템 및 전력제어방법{Power control system for fuel cell hybrid power system and Power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전력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과 부하 사이의 전력흐름을 제어하되, 부하의 전력 수요에 대응되어야 하고 배터리가 과도하게 충전되거나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연료전지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전력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는 친환경적이고, 기존의 발전설비에 비해 효율이 높아 주요한 에너지원으로 관심을 끌고 있다. 이러한 연료전지에 연결되는 부하는 펄스열 형태의 패턴을 나타내며 9이상의 피크치대 평균치 비를 갖기 때문에 연료전지만으로는 이러한 부하패턴을 만족시킬 수 없다. 따라서 연료전지-배터리 하이브리드(hybrid) 발전시스템이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반전시스템은 피크전력수요를 만족시킴과 동시에 고전력밀도와 고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연료전지는 부하와 배터리에 전력 을 공급하고, 배터리는 피크부하에 대한 보충전력을 공급한다.
즉, 연료전지에서 발생된 전력은 부하와 배터리에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부하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배터리를 충전시키고 이렇게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은 부하가 급증할 때 연료전지의 전력을 보충하여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에서 연료전지는 동적 응답 특성이 느려 단독으로는 과부하나 피크부하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발전시스템과 부하 사이의 전력의 흐름을 적절히 제어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즉,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과 부하 사이의 전력흐름을 제어하되, 부하의 전력 수요에 대응되어야 하고 배터리가 과도하게 충전되거나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연료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는 저 고조파 전류, 특히 단상 교류인 경우 120Hz의 고조파 전류가 유기되며 이러한 저 고조파 전류의 경우 DC-DC변환기의 제어를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연료전기로 공급되는 연료량으로 연료전지가 출력할 수 있는 것보다 많은 전류를 출력시켜 연료전지가 과부하 상태가 되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과 부하 사이의 전력흐름을 제어하되, 부하의 전력 수요에 대응되어야 하고 배터리가 과도하게 충전되거나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전력제어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전력제어시스템의 DC-DC변환기용 디지털제어기의 전압 피드백 루프에 이동평균 디지털 필터를 설치하여 연료전지로부터 유기되는 저 고조파 전류를 제거하고 예측 전류 제어기를 이용하여 연료전지의 출력전류를 전류제한치 이내로 제한하여 연료전지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연료전지가 최적의 상태에서 작동될 수 있게 한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전력제어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전력제어시스템은 연료전지제어기를 통해 제어되는 연료를 공급받으며, 공급되는 연료의 반응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와, 상기 연료전지와 병렬로 연결된 배터리와, 상기 연료전지와 배터리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반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의 출력전압을 변환하는 DC-DC변환기와 연료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저 고조파 전류를 제거하고 출력전류를 전류 제한치 이내로 제한하여 연료전지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DC-DC변환기용 디지털제어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양상에 따른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전력제어 방법은 배터리의 충전상태(SoC : State of Charge) 및 부하전력(Pload)으로부터 연료전지의 출력(Pfc)을 계산하는 단계와 ; 계산된 연료전지의 출력(Pfc)과 연료전지에서 출력 가능한 최소전력(Pmin)을 비교하는 단계와 ; 연료전지의 출력(Pfc)이 최소전력(Pmin)보다 작을 경우 연료전지를 오프(off)시킨 후 배터리의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고, 연료전지의 출력(Pfc)이 최소전력(Pmin)보다 클 경우 연료전지의 출력(Pfc)이 연료전지에서 출력 가능한 최대전력(Pmax)을 비교하는 단계와 ; 연료전지의 출력(Pfc)이 최대전력(Pmax)보다 클 경우 연료전지의 최대 출력에 해당하는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고 부족한 전력은 배터리가 공급하고, 연료전지의 출력(Pfc)이 최대전력(Pmax)보다 작을 경우 연료전지의 출력(Pfc)을 부하에 공급하고 배터리는 충전상태(SoC)에 따라 부하전력(Pload)과 연료전지 출력(Pfc)의 차이만큼 충전 또는 방전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DC-DC변환기용 디지털제어기를 구성하는 이동평균 디지털필터에 의해 연료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의 저 고조파 전류를 제거함으로서 DC-DC변환기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측전류제한기를 통해 연료전지의 출력전류를 전류 제한치 이내로 제한함으로서 연료전지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전력제어시스템과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전력제어시스템을 구성하는 DC-DC변환기용 디지털제어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연료전지시스템에 있어서 연료전지 셀의 전압-전류 특성곡선 및 전력밀도곡선이고, 도 4는 연료전지 셀의 효율곡선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전력제어시스템을 구성하는 DC-DC변환기용 디지털제어기의 이동평균 디지털필터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전력제어시스템을 구성하는 DC-DC변환기용 디지털제어기의 예측전류제한기를 설명하기 위한 DC-DC변환기의 인덕터 전류 파형의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전력제어시스템을 구성하는 전력제어기의 전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전력제어시스템은 연료전지(100)가 고효율로 작동될 수 있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연료전지의 출력을 변환하는 DC-DC변환기(120)를 효율적으로 작동시키는 디지털제어기(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전력제어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전지제어기(110)를 통해 제어되는 연료를 공급받으며, 공급되는 연료의 반응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100)와, 상기 연료전지(100)와 병렬로 연결된 배터리(200)와, 상기 연료전지(100)와 배터리(200)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력제어시스템에 상기 연료전지(100)의 출력을 변환시키는 DC-DC변환기(120)와 연료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저 고조파 전류를 제거하고 출력전류를 전류 제한치 이내로 제한하여 연료전지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DC-DC변환기용 디지털제어기를 더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지털제어기(1)는 저 고조파 전류를 제거하는 이동평균 디지털필터(1a)와, 연료전지의 출력전류를 전류 제한치 이내로 제한하여 연료전지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예측전류제한기(1b)로 구성된다.
부하에 의해 연료전지로부터 저 고조파 전류, 특히 부하가 단상 교류 부하인 경우 120Hz의 고조파 전류가 출력되게 되는데 이는 DC-DC변환기(120)의 제어를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연료전지로 공급되는 연료량에 의해 연료전지에서 출력할 수 있는 양보다 많은 전류 출력을 요구하게 되며, 이러한 부하의 요구는 연료전지에 과부하가 걸리게 한다.
상기 이동평균 디지털필터(1a)는 이러한 연료전지(100)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즉, 연료전지의 출력으로부터 저 고조파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이동평균 디지털필터(1a)에 의해 저 고조파가 제거된 후 상기 예측전 류제한기(1b)에 의해 연료전지의 출력을 제한한다.
즉, 상기 예측전류제한기(1b)는 상기 연료전지에 공급되는 연료량을 의해 계산된 연료전지의 출력 전류의 제한치 이내로 연료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제한하여 연료전지가 과부하 상태로 구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연료전지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전지(100)가 고효율로 작동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연료전지(100)의 전압-전류 특성과 전력밀도특성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그래프를 그리고 있으며, 연료전지의 효율을 출력된 전기와 소비된 연료(이하, '수소'를 일예로 설명한다.)의 비에 의해 얻어지며, 아래의 식(1)에 의해 구해진다.
Figure 112007080457702-pat00001
식(1)
여기서
Figure 112007080457702-pat00002
는 소비된 수소의 에너지,
Figure 112007080457702-pat00003
는 수소의 고위발열량(286kjmool-1)
도 4의 효율곡선에서 연료전지(100)의 효율이 주변장치에 의한 전력소모와 셀의 전기적 특성 때문에 최소전력밀도(P1)과 최대전력밀도(P2)사이의 범위 밖에서는 훨씬 낮은 것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고효율로 연료전지(100)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저효율 영역을 피하여 연료전지를 작동시켜 야 한다. 상기의 연료전지 셀의 최소전력밀도(P1)와 최대전력밀도(P2)는 상기의 식(1)과 도3의 셀의 전압전류특성곡선 및 전력밀도곡선에 의해 결정된다.
즉, 배터리(200)의 충전상태와 부하전력(Pload)을 근거로 연료전지의 출력전력(Pfc)을 제어하되, 배터리(200)가 충분히 충전상태를 유지하도록 연료전지의 출력을 최소전력과 최대전력 사이의 영역에서 제어하여야 한다.
이러한 제어 방법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배터리의 충전상태(SoC : State of Charge)와 충전상태가 1일 때 배터리로부터 출력 가능한 전력(Pb1) 및 부하전력(Pload)으로부터 연료전지의 출력(Pfc)을 계산하는 단계와 ; 계산된 연료전지의 출력(Pfc)과 연료전지의 최소전력(Pmin)을 비교하는 단계와 ; 연료전지의 출력(Pfc)이 최소전력(Pmin)보다 작을 경우 연료전지를 오프(off)시킨 후 배터리의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고, 연료전지의 출력(Pfc)이 최소전력(Pmin)보다 클 경우 연료전지의 출력(Pfc)이 연료전지에서 출력 가능한 최대전력(Pmax)을 비교하는 단계와 ; 연료전지의 출력(Pfc)이 최대전력(Pmax)보다 클 경우 연료전지의 최대 출력에 해당하는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고 부족한 전력은 배터리가 공급하고, 연료전지의 출력(Pfc)이 최대전력(Pmax)보다 작을 경우 연료전지의 출력(Pfc)을 부하에 공급하고 배터리는 충전상태(SoC)에 따라 부하전력(Pload)과 연료전 지 출력(Pfc)의 차이만큼 충전 또는 방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연료전지의 최소전력(Pmin)과 최대전력(Pmax)은 셀의 최소전력밀도(P1)와 최대전력밀도(P2)로부터 각각 계산된다.
연료전지의 출력전력은 아래의 식(2)에 의해 구해진다.
Figure 112007080457702-pat00004
식(2)
여기서, SOC(State of Charge)는 배터리의 충전상태이고, Pb1은 SoC가 1일 때 배터리로부터 출력 가능한 전력이다.
이렇게 계산된 연료전지의 출력전력(Pfc)이 최소전력(Pmin)보다 적은 경우에는 연료전지는 턴오프(turn off)되고 배터리(200)에서 전력이 공급된다.
계산된 연료전지의 출력전력(Pfc)과 배터리 출력(Pbat)은 연료전지제어기(110)와 양방향 DC-DC변환기(210)로 각각 보내지고 연료전지(100)의 출력은 계산된 연료전지의 출력전력(Pfc)을 기초로하여 연료전지(100)에 공급되는 연료량을 제어함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연료전지는 항상 고효율 구간 즉, 최소전력(Pmin)과 최대전력(Pmin) 사이에서 작동하게 된다.
상기한 연료전지용 DC-DC변환기(12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변환기 중 어느 하나를 채용하여 구성된 것이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인덕터, 전력스위 칭소자, 출력 필터 캐패시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료전지(100)의 출력전류와 후속되는 DC버스전압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추구하는 연료전지(100)가 고효율로 작동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연료전지의 출력을 변환하는 DC-DC변환기(120)를 효율적으로 작동시키는 디지털제어기(1)가 요구되며, 상기 디지털제어기(1)를 구성하는 이동평균 디지털필터(1a)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DC-DC변환기(120)를 제어하여 저 고조파 전류를 제거하게 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전시스템에 단상교류부하가 DC-AC변환기를 통해 연결된 경우 저고조파 전류가 DC버스에 나타나게 되고, 연쇄적으로 DC버스전압도 같은 주파수의 전압리플이 발생된다.
이 전압리플과 DC-DC변환기(120)의 전압 제어 루프 특성에 의해 연료전지로부터 저고조파 전류가 유기되게 되며, 이 저고조파 전류크기는 제어루프의 특성과 DC버스의 캐패시터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저고조파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이동평균 디지털필터(1a)를 전압 피드백루프에 구성하였으며, 상기 이동평균 디지털필터(1a)는 아래의 수식과 같이 표현되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작동원리로 작동된다.
Figure 112007080457702-pat00005
식(3)
위와 같이 상기한 이동평균 디지털필터(1a)에 의해 저고조파가 제거한 후 연료전지(100)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예측전류제한기(1b)를 이용하여 연료 전지의 출력전류를 제한한다.
상기 연료전지제어기(110)에 의해 연료전지(100)에 공급되는 공기양에 기초한 예측전류제한기(1b)의 전류제한치는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080457702-pat00006
식(4)
식(5)
여기서, n은 연료전지의 셀의 수, Imax는 연료전지의 고효율 운전구간의 전류 상한치로서 연료전지 셀의 효율곡선(도4)의 P1, P2에 의해 전압-전류특성곡선(도3)의 V2, I1과 V1, I2 이 각각 결정되고 I2로부터 Imax가 계산된다.
상기 예측전류제한기(1b)는 매 스위칭 주기동안 피크전류를 전류제한치 이하로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스위칭 주기에 대한 최대의 듀티비(duty rate)는 현재 주기의 전류 측정값, 주기 사이의 연료전지의 출력전압(Vfc), DC-DC변환기의 출력전압 즉 DC버스전압(Vd), 앞선 주기의 듀티비를 근거로 산출되며, 계산된 최대 듀티비(Dmax)는 매 스위칭 주기 동안 뿐만 아니라 과도부하에서도 변환기를 구성하는 인덕터의 피크전류를 효과적으로 제한한다.
도 6은 DC-DC 변환기(12)를 구성하는 인덕터의 전류 파형을 도시한 것이며, n+1번째 주기의 인덕터 전류(iL[n+1])와 인덕터 피크전류(Ip[n+1])는 아래의 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7080457702-pat00008
식(7)
Figure 112007080457702-pat00009
식(8)
여기서, 출력전압(Vd[n})은 연속되는 스위칭 주기 동안 일정하다고 가정할 수 있으나 연료전지 출력전압(Vfc[n})은 연료전지(100)가 전류제어 전압원이므로 일정하다고 할 수 없다.
위의 두 식으로부터 n+1번째 스위칭 주기에서의 인덕터 전류의 최대 듀티비(dL,max[n])는 아래와 같이 계산된다.
Figure 112007080457702-pat00010
식(9)
여기서, fs는 스위칭 주파수이다.
인덕터 전류(iL1)에 대한 최대 듀티비(dL,max[n])는 n+1번째 주기의 피크전류(Ip[n+1])를 전류제한치 이하로 제한하여 연료전지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전력제어시스템의 디지텔 제어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연료전지시스템에 있어서 연료전지 셀의 전압-전류 특성곡선 및 전력밀도곡선이고,
도 4는 연료전지시스템에 있어서 연료전지 셀의 효율곡선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전력제어시스템에서 이동평균 디지털필터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전력제어시스템에서 예측전류제한기의 인덕터 전류 파형의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전력제어시스템을 구성하는 전력제어기의 전력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디지털제어기
1a : 이동평균 디지털필터
1b : 예측전류제한기

Claims (4)

  1. 연료전지제어기(110)를 통해 제어되는 연료를 공급받으며, 공급되는 연료의 반응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100)와, 상기 연료전지(100)와 병렬로 연결된 배터리(200)와, 전력제어용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상기 연료전지(100)와 배터러(200)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기(300)와 연료전지(100)의 출력전압을 변환하는 DC-DC변환기(120)를 포함하여 구성된 하이브리드형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100)로부터 출력되는 저 고조파 전류를 제거하고 출력전류를 전류 제한치 이내로 제한하여 연료전지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DC-DC변환기용 디지털제어기(1)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전력제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제어기(1)는 저 고조파 전류를 제거하는 이동평균 디지털필터(1a)와, 연료전지의 출력전류를 전류 제한치 이내로 제한하여 연료전지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예측전류제한기(1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전력제어시스템.
  3. 연료전지제어기(110)를 통해 제어되는 연료를 공급받으며, 공급되는 연료의 반응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100)와, 상기 연료전지(100)와 병렬로 연결된 배터리(200)와, 전력제어용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상기 연료전지(100)와 배터러(200)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기(300)와 연료전지(100)의 출력전압을 변환하는 DC-DC변환기(120)와, 상기 DC-DC변환기(120)용 디지털제어기(1)를 포함하여 구성된 하이브리드형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이용한 제어방법에 있어서,
    배터리의 충전상태(SoC : State of Charge)와 충전상태가 1일 때 배터리로부터 출력 가능한 전력(Pb1) 및 부하전력(Pload)으로부터 연료전지의 출력(Pfc)을 계산하는 단계와 ;
    계산된 연료전지의 출력(Pfc)과 연료전지의 최소전력(Pmin)을 비교하는 단계와 ;
    연료전지의 출력(Pfc)이 최소전력(Pmin)보다 작을 경우 연료전지를 오프(off)시킨 후 배터리의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고, 연료전지의 출력(Pfc)이 최소전력(Pmin)보다 클 경우 연료전지의 출력(Pfc)이 연료전지에서 출력 가능한 최대전력(Pmax)을 비교하는 단계와 ;
    연료전지의 출력(Pfc)이 최대전력(Pmax)보다 클 경우 연료전지의 최대 출력에 해당하는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고 부족한 전력은 배터리가 공급하고, 연료전지의 출력(Pfc)이 최대전력(Pmax)보다 작을 경우 연료전지의 출력(Pfc)을 부하에 공급하고 배터리는 충전상태(SoC)에 따라 부하전력(Pload)과 연료전지 출력(Pfc)의 차이만큼 충 전 또는 방전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전력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의 출력(Pfc)은 수식
    Figure 112007080457702-pat00011
    로 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전력제어방법.
    여기서, SOC(State of Charge)는 배터리의 충전상태이고, Pb1은 SoC가 1일 때 배터리로부터 출력 가능한 전력이다.
KR1020070114110A 2007-11-09 2007-11-09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전력제어시스템 및전력제어방법 KR100906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110A KR100906993B1 (ko) 2007-11-09 2007-11-09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전력제어시스템 및전력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110A KR100906993B1 (ko) 2007-11-09 2007-11-09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전력제어시스템 및전력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962A KR20090047962A (ko) 2009-05-13
KR100906993B1 true KR100906993B1 (ko) 2009-07-08

Family

ID=40857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110A KR100906993B1 (ko) 2007-11-09 2007-11-09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전력제어시스템 및전력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69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207B1 (ko) * 2011-07-27 2013-08-07 주식회사 프로파워 연료 전지 하이브리드 파워 팩
KR20160086241A (ko) 2015-01-09 2016-07-1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용 하이브리드 전원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978B1 (ko) * 2010-11-16 2013-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전류제어를 이용한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력 분배 방법
KR101276676B1 (ko) * 2011-12-20 2013-06-19 국방과학연구소 하이브리드 전력 공급 장치, 하이브리드 전력 공급 방법, 및 하이브리드 전력 공급 시스템
KR102223896B1 (ko) 2017-09-20 2021-03-08 에스퓨얼셀(주) 신재생 에너지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발전 방법
KR102306918B1 (ko) 2018-08-22 2021-09-30 에스퓨얼셀(주) 신재생 에너지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발전 방법
KR102357086B1 (ko) * 2019-12-03 2022-01-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변류기를 이용한 전력 계측 장치 및 전력 계측 방법
CN118636752B (zh) * 2024-08-16 2024-11-05 浙江长龙海运有限公司 一种基于模型预测的多堆燃料电池船舶能量管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A (ja) * 1987-11-23 1990-01-05 Polaroid Corp 写真カメラ
JPH025A (ja) * 1987-06-11 1990-01-05 Asahi Optical Co Ltd カメラの視線方向検出装置
KR100542004B1 (ko) 2004-01-09 2006-01-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독립 운전형 연료전지/축전지 복합 시스템의 부하 제어방법과 장치
US20060029845A1 (en) 2004-08-06 2006-02-09 Masaaki Konoto Fuel cell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A (ja) * 1987-06-11 1990-01-05 Asahi Optical Co Ltd カメラの視線方向検出装置
JPH026A (ja) * 1987-11-23 1990-01-05 Polaroid Corp 写真カメラ
KR100542004B1 (ko) 2004-01-09 2006-01-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독립 운전형 연료전지/축전지 복합 시스템의 부하 제어방법과 장치
US20060029845A1 (en) 2004-08-06 2006-02-09 Masaaki Konoto Fuel cell system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전력전자학술대회, 2006
전력전자학회논문지, 2005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207B1 (ko) * 2011-07-27 2013-08-07 주식회사 프로파워 연료 전지 하이브리드 파워 팩
KR20160086241A (ko) 2015-01-09 2016-07-1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용 하이브리드 전원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962A (ko) 200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6993B1 (ko)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전력제어시스템 및전력제어방법
JP6085544B2 (ja) 電気自動車用急速充電設備、充電設備の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方法および充電設備システム
JP5082339B2 (ja) 電力変換装置
US9190915B2 (en) Electric-power conversion device
TWI538351B (zh) 不斷電電源裝置
JP2023525117A (ja) 電解槽を動作させる方法、この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接続回路、整流器および電解システム
JP5995041B2 (ja) 充電制御装置、太陽光発電システム、および充電制御方法
JP2011200096A (ja) 蓄電システム
JP2009142013A (ja) 電力供給システム
JP2008131736A (ja) 分散型電源システムと昇降圧チョッパ装置
KR101665436B1 (ko) Cascade H-bridge Multi-level 구조의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의 SOC 균형 제어 방법
JP2013042627A (ja) 直流電源制御装置および直流電源制御方法
CN105659181B (zh) 太阳能发电设备和太阳能发电设备的控制方法
EP4318860A1 (en)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circuit, and method
WO2016117236A1 (ja) 発電システム、発電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060303A (ja) 電源装置
JP5414950B2 (ja) 高効率led電源
KR100844401B1 (ko) 태양광 발전장치가 구비된 무정전 전원투입장치
Muthamizhan et al. ANN-Based Energy Storage System for an EV Charging Station Using Quadratic Boost Converter
CN113938001B (zh) 三电平变换器及其控制方法、以及供电系统
CN113746170A (zh) 一种储能系统及其离网过载保护方法
Sahoo et al. A novel circuit for battery charging and motor control of electric vehicle
WO2015013255A1 (en) Bidirectional electrical signal converter
JP6078374B2 (ja) 電源装置及び充電制御方法
JP2011193704A (ja) 直流−交流電力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7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7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