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06761B1 - 떡 성형기의 성형기구 - Google Patents

떡 성형기의 성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761B1
KR100906761B1 KR1020070071292A KR20070071292A KR100906761B1 KR 100906761 B1 KR100906761 B1 KR 100906761B1 KR 1020070071292 A KR1020070071292 A KR 1020070071292A KR 20070071292 A KR20070071292 A KR 20070071292A KR 100906761 B1 KR100906761 B1 KR 100906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rice cake
conveyor
mold
r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013A (ko
Inventor
장인락
Original Assignee
장인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인락 filed Critical 장인락
Priority to KR1020070071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761B1/ko
Publication of KR20090008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76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죽공급기(10)와 컨베이어(15)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떡을 성형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5)의 중간부에 분리판(25)을 회동 가능하게 구비하고, 컨베이어(15) 상의 떡을 2개의 경로로 분리하는 분리수단(20); 상기 컨베이어(15)의 하류단에 성형틀(31)(32)을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고, 각 경로의 떡을 성형틀(31)(32)에 일시 수용하는 하부성형수단(30); 상기 하부성형수단(30)의 성형틀(31)(32)을 각각 별도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구동수단(40); 및 상기 성형틀(31)(32)에 수용되는 떡을 성형대(52)로 가압한 후에 배출하는 상부성형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성형기상에서 일련의 자동공정에 따라 균일하고, 위생적인 떡의 생산이 가능할 뿐 아니라, 다량 생산으로 생력화에 주력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2종류를 동시에 생산하거나 신속한 주문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Figure R1020070071292
떡, 성형기, 성형기구, 회전, 이송, 성형, 다량, 생산성, 생력화, 컨베이어

Description

떡 성형기의 성형기구{The forming device for rice cake machine}
본 발명은 떡을 자동으로 성형하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성형기상에서 일련의 자동공정에 따라 균일하고, 위생적인 떡의 생산이 가능할 뿐 아니라, 다량 생산으로 생력화에 주력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신속한 주문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떡 성형기의 성형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떡은 농경문화의 정착에서 유래되는 우리의 대표적인 전통 음식으로서 주재료로 멥쌀과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찌거나 삶는 방식을 기본으로 하지만 여기에 콩, 팥, 녹두, 계피, 밤, 대추, 실백 등의 고물을 부재료로 부가하는 형태에 따라 맛이 다양화되고 영양도 우수하여 점차 세계적인 식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에 더하여 종래에 수작업에 의존하던 방식에서 탈피하도록 떡성형기가 개발ㆍ도입되면서 생산과정의 과도한 노동력을 경감하는 것은 물론 절편, 익송편, 날송편, 찹쌀말이떡 등 새로운 형태의 떡을 일정한 규격으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떡 성형기는 떡 반죽을 공급하기 위한 떡 반죽통과, 고물을 저장하는 고물통, 그리고 고물이 첨가된 떡 반죽을 연속적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와, 배출구를 통해 자동 배출되는 떡 반죽을 일정 길이로 자동 절단하여 떡을 만드는 절단부 재가 구비된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1999-0034970호 “떡성형장치”
[문헌2] 한국 등록특허 제0361123호 “떡 성형 장치”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1999-0034970호에 의하면 『외주면에 성형홈을 요설시키고 상호 근접 회전시켜 떡을 성형하도록 한 성형로울러를 가진 떡 성형기에 있어서, 떡 외피 압출구(13)를 U 형으로 하고, 비교적 높이를 낮게 구성한 성형 로울러(1)(1a)의 하방을 개방하며, 그 직하 상판(15)과 동일한 면으로 지지밸트 콘베어(12)를 설치하되, 성형로울러(1a)의 한축(3a)하부에 스파이럴기어(8)를 축착하고, (중략) 된 떡 성형장치』가 공개된다.
이는, 성형 로울러와 콘베이어를 기반으로 일정 형태의 떡을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방식이기는 하지만 속도를 높이면 떡의 형성과 배출 작동이 원활하지 않을 뿐 아니라 한 번에 한 가지 종류만 제조가 가능하다.
한국 등록특허 제0361123호에 의하면 『반죽된 떡을 성형하여 떡을 만드는 떡 제조기에 있어서, 떡 제조기의 반죽 장치의 배출구측에 설치되며, 그 외주면이 서로 면접되고, 각각의 외주면에 다수의 떡 성형홈(11, 11')이 서로 대면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 단부에 서로 치합된 기어(40)가 각각 형성된 한쌍의 성형롤러(10, 10')와 ; (중략) 상기 성형 롤러들(10, 10') 각각에는 그 외주면에 형성된 성형홈(11, 11')들을 가로질러 막대삽입홈(12, 12')이 축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는 롤러 형태의 성형틀을 이용하여 다수의 떡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기는 하지만 반드시 막대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그 설정된 생산성이 유지될 수밖에 없는 한계성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성형기상에서 일련의 자동공정에 따라 균일하고, 위생적인 떡의 생산이 가능할 뿐 아니라, 다량 생산으로 생력화에 주력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2종류를 동시에 생산하거나 신속한 주문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떡 성형기의 성형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반죽공급기와 컨베이어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떡을 성형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중간부에 분리판을 회동 가능하게 구비하고, 컨베이어 상의 떡을 2개의 경로로 분리하는 분리수단; 상기 컨베이어의 하류단에 성형틀을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고, 각 경로의 떡을 성형틀에 일시 수용하는 하부성형수단; 상기 하부성형수단의 성형틀을 각각 별도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구동수단; 및 상기 성형틀에 수용되는 떡을 성형대로 가압한 후에 배출하는 상부성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하부성형수단의 성형틀은 다양한 모양으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하부성형수단은 각각의 성형틀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에어홀과, 상기 에어홀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노즐과, 상기 성형틀의 회전에 따라 에어홀에 단속적으로 연결하는 작동실린더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구동수단은 동일한 샤프트 상에서 성형틀 사이에 개재되는 클러치베어링과,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연결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에 맞물리는 래크와, 상기 래크를 전후진 구동하는 제2실린더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컨베이어 상에는 분리수단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전방센서와, 구동수단과 상부성형수단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후방센서를 더 구비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성형기상에서 일련의 자동공정에 따라 균일하고, 위생적인 떡의 생산이 가능할 뿐 아니라, 다량 생산으로 생력화에 주력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2종류를 동시에 생산하거나 신속한 주문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기구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우측에서 성형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기구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기구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반죽공급기(10)와 컨베이어(15)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떡을 성형하는 기구에 관련된다. 반죽공급기(10)는 떡 반죽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컨베이어(15)로 낙하하는 것으로서 반죽의 내부에 소를 충진하는 공지의 기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베이어(15) 상의 떡을 2개의 경로로 분리하는 분리수단(20)이 상기 컨베이어(15)의 중간부에 분리판(25)을 회동 가능하게 구비한다. 컨베이어(15)의 중간 위치에서 가로질러 브라켓(21)이 고정되고, 브라켓(21)의 중앙부에 분리판(25)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분리판(25)은 컨베이어(15)와 작은 간격을 유지할 정도로 브라켓(21)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회전축 상에는 링크(22)를 개재하여 제1실린더(26)가 연결된다. 제1실린더(26)는 전진과 후진이 공 압으로 수행되는 복동식이 적절하지만 단동식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제1실린더(26)의 일측으로 에어가 공급되면 분리판(25)이 일측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고, 타측으로 에어가 공급되면 분리판(25)이 타측으로 일적 각도 회전하는 작동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경로의 떡을 성형틀(31)(32)에 일시 수용하는 하부성형수단(30)이 상기 컨베이어(15)의 하류단에 성형틀(31)(32)을 회전 가능하게 구비한다. 하부성형수단(30)의 성형틀(31)(32)은 컨베이어(15)를 통해 낙하되는 떡 원료를 일시 수용하며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하는 부분이다. 성형틀(31)(32)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하부성형수단(30)의 성형틀(31)(32)은 다양한 모양으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성형틀(31)은 샤프트(33)의 일측에 90° 간격으로 4개가 설치되고, 제2성형틀(32)은 동일한 샤프트(33)에 인접하여 90° 간격으로 4개가 설치된다. 성형틀(31)(32)은 합성수지재가 적절하며 떡의 모양에 따른 다양한 형태로 구비된다. 일예로 성형틀(31)(32)의 외면 하단에는 너트공이 형성되고, 외면 상단에는 나사산 형성되며, 상단에 캡링을 나선 체결하여 결합할 수 있다. 성형틀(31)(32)을 용이하게 변경이 가능하므로 여러 모양의 떡을 신속하게 성형할 수가 있다. 성형틀(31)(32)의 세부적 구성과 작용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하부성형수단(30)은 각각의 성형틀(31)(32)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에어홀(31a)(32a)과, 상기 에어홀(31a)(32a)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노즐(35)과, 상기 성형틀(31)(32)의 회전에 따라 에어홀(31a)(32a)에 단속적으로 연결하는 작동실린더(36)를 구비한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틀(31)(32)의 내면 중앙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이러한 통공이 각각의 에어홀(31a)(32a)과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에어노즐(35)은 에어홀(31a)(32a)상에 연통되어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하여 에어가 공급된다. 작동실린더(36)는 성형틀(31)(32)의 회전에 따라 에어홀(31a)(32a)에 단속적으로 연결하는 바, 이는 성형틀(31)(32)에 인접하여 회전되지 않는 부분에 작동실린더(36)가 작동하여 에어홀(31a)(32a)에 밀착되어 에어노즐(35)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일시적으로 분사공기를 공급받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부성형수단(30)의 성형틀(31)(32)을 각각 별도로 회전하도록 구동수단(40)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동수단(40)은 동일한 샤프트(33) 상에서 성형틀(31)(32) 사이에 개재되는 클러치베어링(45)과, 상기 샤프트(33)의 일측에 연결되는 피니언(42)과, 상기 피니언(42)에 맞물리는 래크(44)와, 상기 래크(44)를 전후진 구동하는 제2실린더(46)를 구비한다. 제1성형틀(31)과 제2성형틀(3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샤프트(33) 상에 각각 클러치베어링(45)을 개재하여 설치된다. 제2실린더(46)는 전술한 제1실린더(26)와 마찬가지로 복동식 에어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샤프트(33)의 일단에 고정되는 피니언(42)과 제2실린더(46)의 작동로드에 고정되는 래크(44)가 상호 치형이 맞물리도록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2실린더(46)가 전진운동을 수행하는 동안 일측의 제1성형틀(31)은 해당 클러치베어링(45)이 온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반면 타측의 제2성형틀(32)은 해당 클러치베어링(45)이 오프되어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제2실린 더(46)가 후진운동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반대로 제1성형틀(31)이 정지하고 제2성형틀(32)이 타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성형틀(31)(32)에 수용되는 떡을 성형대(52)로 가압한 후에 배출하는 상부성형수단(50)을 포함한다. 성형대(52)는 각각의 성형틀(31)(32)에 일정 깊이로 접근하며 적절한 압력으로 떡을 가압하는 기능을 지닌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클러치베어링(45)의 작용으로 제1성형틀(31)과 제2성형틀(32)의 회전 방향과 타이밍이 다르기 때문에 성형대(52)와 제3실린더(56)는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컨베이어(15) 상에는 분리수단(20)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전방센서(62)와, 구동수단(40)과 상부성형수단(50)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후방센서(64)를 더 구비한다. 전방센서(62)와 후방센서(64)는 컨베이어(15) 상에서 떡의 이동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접촉식의 광센서 또는 근접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센서(62)(64)의 신호를 입력하여 전술한 제1실린더(26), 제2실린더(46), 제3실린더(56)에 인가되는 출력을 단속하기 위해 제어기(60)가 설치된다.
작동에 있어서, 반죽공급기(10)에서 컨베이어(15)의 중앙으로 낙하되는 반죽(또는 원료 떡)이 전방센서(62)에 이르면 제어기(60)가 이를 감지하여 제1실린더(26)를 일방향으로 작동하고, 이어서 후속되는 원료 떡이 전방센서(62)에 이르면 제1실린더(26)를 타방향으로 작동한다. 그러므로 원료 떡이 전방센서(62)를 통과할 때마다 분리판(25)이 좌에서 우로 우에서 좌로 회동하면서 원료 떡을 컨베이어(15) 의 일측 경로와 타측 경로로 분리하여 이송한다. 원료 떡의 이송경로를 분리하는 것은 각각의 성형틀(31)(32)로 보내기 위함이다.
컨베이어(15)를 타고 계속하여 이송되는 원료 떡이 후방센서(64)를 통과할 때마다 제어기(60)가 이를 감지하여 같은 방식으로 제2실린더(46)의 전진 또는 후진운동을 교번하여 수행하므로 일측 경로로 이송된 원료 떡은 제1성형틀(31)로 수용되고 타측 경로로 이송된 원료 떡은 제2성형틀(32)로 수용된다. 물론 원료 떡을 수용한 성형틀(31)(32)은 90° 단위로 회전하여 다음 공정에 대비한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성형틀(31)(32)이 상단위치에 머물 때 제3실린더(56)가 작동하여 성형대(52)가 원료 떡을 가압한다. 제1성형틀(31)과 제2성형틀(32)은 클러치베어링(45)의 작용으로 상호 반대 방향으로 90° 단위씩 회전하게 되지만 떡을 성형하는 작동상의 문제가 없다. 성형틀(31)(32)이 하단 위치에 이르면 작동실린더(36)가 작동하여 에어홀(31a)(32a)에 밀착되어 에어노즐(35)에서 공기가 분사되고, 분사공기가 에어홀(31a)(32a)을 따라 성형틀(31)(32)에 이르러 성형완료된 떡을 배출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성형틀(31)(32)을 이용하여 작업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1성형틀(31)과 제2성형틀(32)의 모양을 달리하여 장착할 수 있어서 동시에 2종류의 떡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기구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우측에서 성형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기구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기구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반죽공급기 15: 컨베이어
20: 분리수단 25: 분리판
26: 제1실린더 30: 하부성형수단
31, 32: 성형틀 35: 에어노즐
40: 구동수단 45: 클러치베어링
46: 제2실린더 50: 상부성형수단
52: 성형대 56: 제3실린더
60: 제어수단 62, 62: 센서

Claims (5)

  1. 반죽공급기(10)와 컨베이어(15)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떡을 성형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5)의 중간부에 분리판(25)을 회동 가능하게 구비하고, 컨베이어(15) 상의 떡을 2개의 경로로 분리하는 분리수단(20);
    상기 컨베이어(15)의 하류단에 성형틀(31)(32)을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고, 각 경로의 떡을 성형틀(31)(32)에 일시 수용하는 하부성형수단(30);
    상기 하부성형수단(30)의 성형틀(31)(32)을 각각 별도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구동수단(40); 및
    상기 성형틀(31)(32)에 수용되는 떡을 성형대(52)로 가압한 후에 배출하는 상부성형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성형기의 성형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성형수단(30)의 성형틀(31)(32)은 다양한 모양으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성형기의 성형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성형수단(30)은 각각의 성형틀(31)(32)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에 어홀(31a)(32a)과, 상기 에어홀(31a)(32a)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노즐(35)과, 상기 성형틀(31)(32)의 회전에 따라 에어홀(31a)(32a)에 단속적으로 연결하는 작동실린더(3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성형기의 성형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0)은 동일한 샤프트(33) 상에서 성형틀(31)(32) 사이에 개재되는 클러치베어링(45)과, 상기 샤프트(33)의 일측에 연결되는 피니언(42)과, 상기 피니언(42)에 맞물리는 래크(44)와, 상기 래크(44)를 전후진 구동하는 제2실린더(4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성형기의 성형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5) 상에는 분리수단(20)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전방센서(62)와, 구동수단(40)과 상부성형수단(50)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후방센서(6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성형기의 성형기구.
KR1020070071292A 2007-07-16 2007-07-16 떡 성형기의 성형기구 Expired - Fee Related KR100906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292A KR100906761B1 (ko) 2007-07-16 2007-07-16 떡 성형기의 성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292A KR100906761B1 (ko) 2007-07-16 2007-07-16 떡 성형기의 성형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013A KR20090008013A (ko) 2009-01-21
KR100906761B1 true KR100906761B1 (ko) 2009-07-07

Family

ID=40488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292A Expired - Fee Related KR100906761B1 (ko) 2007-07-16 2007-07-16 떡 성형기의 성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67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07920B (zh) * 2010-03-31 2013-09-11 Lien Fu Huang Separate horizontal, vertical feeding method of the three-tier stuffing machine
KR101462264B1 (ko) * 2014-06-12 2014-11-17 주식회사 삼립식품 설기떡 탈거장치
KR101451393B1 (ko) * 2014-06-12 2014-10-16 주식회사 삼립식품 찰떡 제조용 성형몰드 가압장치
KR101462263B1 (ko) * 2014-06-12 2014-11-17 주식회사 삼립식품 찰떡 탈거장치
KR102023545B1 (ko) * 2018-06-29 2019-10-2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미미선식품 자동 떡 생산장치
KR102556086B1 (ko) * 2022-12-15 2023-07-21 주식회사 에프시이엔지 식재료 정량 토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267Y1 (ko) * 1988-05-06 1991-02-28 이창복 떡 제조기
KR960003658U (ko) * 1994-07-02 1996-02-14 임생규 떡 성형 제조기
KR0131962Y1 (ko) * 1995-04-26 1998-12-01 장인락 자동 떡 성형장치
KR20000001009U (ko) * 1998-06-19 2000-01-15 손병수 송편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267Y1 (ko) * 1988-05-06 1991-02-28 이창복 떡 제조기
KR960003658U (ko) * 1994-07-02 1996-02-14 임생규 떡 성형 제조기
KR0131962Y1 (ko) * 1995-04-26 1998-12-01 장인락 자동 떡 성형장치
KR20000001009U (ko) * 1998-06-19 2000-01-15 손병수 송편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013A (ko) 200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6761B1 (ko) 떡 성형기의 성형기구
CN102177928B (zh) 食品包馅装置
CN105341018A (zh) 全自动智能化的面条加工制作方法
CN109006896A (zh) 一种油条机的面粉混合装置
CN102177925A (zh) 食品包馅方法
CN211532539U (zh) 一种可更换模具的饼坯成型机
CN212937609U (zh) 一种夹心食品成型机
CN107283907B (zh) 一种转盘式铁屑压饼全自动生产线
CN203302249U (zh) 一种小西饼挤花机
CN101623908A (zh) 制盖机
CN104585264A (zh) 一种一体化擀面机及其制面方法
CN107212038B (zh) 一种面食一体机
CN209693940U (zh) 糖果成型冲压机
CN201938292U (zh) 食品包馅装置
CN111011425A (zh) 一种plc控制无糖饼干自动成型机
CN104814074A (zh) 一种小西饼机
CN210901158U (zh) 一种糯米烧卖(麦)成型设备
CN201123355Y (zh) 蜜角成型机
CN210329141U (zh) 一种酥性饼辊印成型机
CN209609694U (zh) 一种面点成型装置
KR20120027893A (ko) 조청골 노출형 가래떡 성형기
CN103749582A (zh) 面片厚薄平衡压片切丝机
CN107696158A (zh) 一种补胎用梅花垫自动成型机
CN107173400A (zh) 基于水平挤压的全自动立体点心生产装置及方法
KR940006731Y1 (ko) 떡 제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4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7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