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06453B1 -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453B1
KR100906453B1 KR1020090036041A KR20090036041A KR100906453B1 KR 100906453 B1 KR100906453 B1 KR 100906453B1 KR 1020090036041 A KR1020090036041 A KR 1020090036041A KR 20090036041 A KR20090036041 A KR 20090036041A KR 100906453 B1 KR100906453 B1 KR 100906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washing water
filter cartridge
main body
inclined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기웅
이준호
최창수
주영대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아름다운 세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아름다운 세상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36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45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48Plurality of plates inclined in alternating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05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placed on the cake-side of the stationary filtering material and only contacting the external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우유출수가 유입되어 선회류를 형성하고 상향하는 과정에서 스크린에 의한 이물질 분류와 여재에 의한 이물질 분류와 침전에 의한 이물질 분류가 이루어짐으로써 강우유출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여재에 의한 이물질 분류 과정 이후에 여재의 자동 세척이 이루어져 여재 공극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터카트리지의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A)는,
원통형의 것으로, 상단에 덮개(11)가 마련되고, 상부의 사방면에 세척수유입구(12)와 세척수유출구(13)가 마련되며, 상부의 외측 둘레에 세척수저장조(15)가 마련되고, 일측 세척수유입구(12)와 세척수유출구(13) 사이에 유출관(14)이 마련되며, 각 세척수유출구(13) 전방에 사이펀(13a)이 마련되고, 세척수저장조(15) 내하부에 사이펀(13a)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하는 차단마개(16)가 마련되며, 중간부 내측에 경사판(17)이 마련되고, 하부에 바닥경사판(18)이 마련되며, 경사판(17)과 바닥경사판(18) 사이에 침전조(19)가 마련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원통형의 것이되 상단부 둘레에 스크린(21)이 마련되고, 중간 일측 외면에 유입관(22)이 마련되며, 하단부의 내면에 통공(23)이 마련된 볼텍스조(20)와;
상기 본체(10)와 볼텍스조(20) 사이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여재(31)가 충전된 상하 이단의 것이되 각 단이 사분체의 링 형태로 된 필터카트리지(30)와;
상기 필터카트리지(30)의 상부 사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호형으로 된 것이되 각각의 중간에 주입구(41)가 마련되고, 저면에 물분사구(42)가 마련된 살수관(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본체, 덮개, 세척수저장조, 유출관, 경사판, 바닥경사판, 침전조, 세척수공급구, 차단마개, 콘, 볼텍스조, 스크린, 유입관, 필터카트리지, 여재, 살수관, 이물질, 분류, 공극, 폐색, 비점오염원

Description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 storm runoff treatment apparatus with auto back washing for filter }
본 발명은 강우유출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우유출수가 유입되어 선회류를 형성하고 상향하는 과정에서 스크린에 의한 이물질 분류와 여재에 의한 이물질 분류와 침전에 의한 이물질 분류가 이루어짐으로써 강우유출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여재에 의한 이물질 분류 과정 이후에 여재의 자동 세척이 이루어져 여재 공극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터카트리지의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질오염을 유발하는 오염원은 폐수배출시설·하수발생시설 등과 같은 특정 지역 및 장소에서 배출되는 점오염원과, 도로·농지·공사장 등과 같은 불특정 지역 및 장소에서 배출되는 비점오염원으로 나뉘게 된다.
이와 같은 수질 오염원에서 점오염원은 발생처가 한정되므로 발생처로부터 수거하여 처리함으로써 수질이 오염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나, 비점오염원은 발생처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어서 수거가 곤란하므로 강우유출수에 섞여 배출될 경우 심각한 수질 오염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일정 규모 이상의 도시나 산업단지에서는 강우유출수에 섞여 배출되는 비점오염원에 의한 수질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의 설치가 의무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때, 비점오염원에 의한 수질오염을 방지하고자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은 저류시설·침투시설·인공습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자연형 시설과, 여과형 처리장치·와류형 처리장치·스크린형 처리장치·응집 및 침전형 처리장치·생물학적 처리장치로 이루어지는 장치형 시설로 나뉘는데 , 자연형 시설은 설비면적이 크게 요구되므로 도심 지역에 적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던 바, 실제 적용에서는 장치형 시설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한편,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장치형 시설에서 스크린형 처리장치는 전처리 시설에 불과한 것이었고 응집 및 침전형·생물학적 처리장치는 시설 자체가 복잡하여 시설비 및 운영비 소요가 막대하였으므로 보통은 여과형 처리장치 또는 와류형 처리장치가 설치 지역 및 장소의 특성에 따라 선별적으로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때, 여과형 처리장치는 다량의 공극이 분포하는 여재로써 미세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것이어서 상대적으로 오염물의 제거 효율이 뛰어난 장점을 갖는 반면 오 염물질 여과 과정에서 여재의 공극 폐쇄가 발생하므로 여재 세척과 같은 유지보수의 번거로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고, 와류형 처리장치는 부유성 물질을 동력 없이 분류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반면 미세 입자의 오염물질을 제거가 불가하므로 처리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여과형 처리장치와 와류형 처리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해당 업계에서는 여과방식과 와류방식을 복합적으로 적용하는 복합형 처리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 제안된 복합형 처리장치는 여과방식 처리부와 와류방식 처리부가 수직으로 구성되는 것인 바, 그 크기가 대형이어서 매설 깊이가 깊어지게 되므로 사전 설치된 오수관 또는 우수관과의 연결 설치가 곤란한 문제가 있었고, 여재의 세척 기능이 떨어져 여재의 공극 폐색이 빈번한 문제가 있었으며, 와류 형성 정도가 약하여 부유성 이물질의 분류에 미흡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본 출원인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고자 특허등록 제10-869775호("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를 제안한 바 있으며, 본 발명은 특허등록 제10-869775호("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를 더욱 개량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강우유출수가 유입되어 선회류를 형성하고 상향하는 과정에서 스크린에 의한 이물질 분류와 여재에 의한 이물질 분류와 침전에 의한 이물질 분류가 이루어짐으로써 강우유출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여재에 의한 이물질 분류 과정 이후에 여재의 자동 세척이 이루어져 여재 공극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터카트리지의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는,
원통형의 것으로, 상단에 분리 결합이 자유로운 덮개가 마련되고, 상부의 사방면에 세척수유입구와 세척수유출구가 높이에 차등을 두고 마련되며, 세척수유입구와 세척수유출구가 형성된 상부의 외측 둘레에 세척수저장조가 마련되고, 일측 세척수유입구와 세척수유출구 사이에 세척수저장조를 관통하여 우수관 또는 하천으로 이어지는 유출관이 마련되며, 각 세척수유출구 전방에 세척수유출구로 이어지는 사이펀이 마련되고, 세척수저장조 내하부에 부구에 의해 승하강하며 각 사이펀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하는 차단마개가 마련되며, 중간부 내측에 하부로 향하면서 점차로 직경이 작아지면서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되고 통공 상부에 원뿔 형태로 된 콘이 형성되며 상면에 방사상으로 돌출홈이 형성된 경사판이 마련되고, 하부에 중앙으로 향하면서 점차로 직경이 작아지면서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된 바닥경사판이 마련되며, 경사판과 바닥경사판 사이에 침전조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원통형의 것이되 상단부 둘레에 이하 부위에 비해 직경이 큰 통수 가능한 스크린이 마련되고, 중간 일측 외면에 본체 일측을 관통하여 외부로부터 이어지면서 선단이 라운드를 이루는 유입관이 마련되며, 하단부의 내면에 연속되는 통공이 마련된 볼텍스조와;
상기 본체와 볼텍스조 사이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입자의 크기가 서로 다른 여재로 충전된 상하 이단의 것이되 각 단이 사분체의 링 형태로 된 필터카트리지와;
상기 필터카트리지의 상부 사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호형으로 된 것이되 각각의 중간에 인접하는 본체의 세척수유출구로 이어지는 주입구가 마련되고, 저면에 필터카트리지로의 물 분사를 위한 물분사구가 마련된 살수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는, 볼텍스조 상단에 스크린이 마련된 것이어서 강우유출수가 선회류를 형성하며 수위 상승하는 과정에서 스크린 차단에 의한 부유성 및 입자성 이물질의 분 류가 이루질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본체의 경사판에 돌출홈이 마련된 것이어서 선회류가 콘과 접하여 상향하는 과정에서 경사판의 돌출홈을 통한 침전에 의해 미세입자 고형물의 분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본체와 볼텍스조 사이에 필터카트리지가 마련된 것이어서 선회류가 상향하는 과정에서 필터카트리지에 충전된 여재의 여과에 의한 미세입자 이물질의 분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인 바, 강우유출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분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는, 필터카트리지 상부에 세척수저장조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필터카트리지를 향해 분사하도록 된 살수관이 마련된 것이어서 여재에 의한 이물질 분류 이후 살수관으로부터의 물분사를 통한 여재의 자동 세척에 의해 여재 공극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인 바, 필터카트리지의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의 전체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에서 볼텍스조의 유입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여재 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에서 스크린에 의한 이물질 분류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에서 침전에 의한 이물질 분류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에서 여재에 의한 이물질 분류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에서 여재의 자동 세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에서 차단마개에 의한 세척수 유출구의 개방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에서 살수관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에서 필터카트리지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A)는 본체(10)와, 볼텍스조(20)와, 필터카트리지(30)와, 살수관(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원통형의 것으로, 상단에 분리 결합이 자유로운 덮개(11)가 마련된 것이고, 상부의 사방면에 세척수유입구(12)와 세척수유출구(13)가 높이에 차등을 두고 마련된 것이며, 세척수유입구(12)와 세척수유출구(13)가 형성된 상부 둘레에 세척수저장조(15)가 마련된 것이고, 일측 세척수유입구(12)와 세척수유출구(13) 사이에 세척수저장조(15)를 관통하여 우수관 또는 하천으로 이어지는 유출관(14)이 마련된 것이며, 각 세척수유출구(13) 전방에 세척수유출구(13)로 이어지는 사이펀(13a)이 마련된 것이고, 세척수저장조(15) 내하부에 부구(16a)에 의해 승하강하며 사이펀(13a)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하는 차단마개(16)가 마련된 것이며, 중간부 내측에 하부로 향하면서 점차로 직경이 작아지면서 중앙부에 통공(17a)이 형성되고 통공(17a) 상부에 원뿔 형태로 된 콘(17b)이 형성되며 상면에 방사상으로 돌출홈(17c)이 형성된 경사판(17)이 마련된 것이고, 하부에 중앙으로 향하면서 점차로 직경이 작아지면서 중앙부에 통공(18a)이 형성된 바닥경사판(18)이 마련된 것이며, 경사판(17)과 바닥경사판(18) 사이에 침전조(19)가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체(10)에서 세척수유입구(12)와 세척수유출구(13)는 높이에 차등을 둔 것이되, 특히 세척수유입구(12)가 세척수유출구(13) 상부에 위치하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본체(10)에서 세척수유입구(12)가 세척수유출구(13) 상부에 위치함으로써 세척수유출구(13)로의 유출이 차단된 상태에서 세척수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세척수저장조(15) 내에 저장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체(10)에서 경사판(17)에 형성되는 콘(17b)은 그 하단이 경사판(17) 상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판(17)에 형성되는 콘(17b)의 하단이 경사판(17) 상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상부에 위치함으로써 콘(17b) 하단과 경사판(17) 상면 사이의 간격을 통해 물이 흘러내려 통공(17a)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볼텍스조(20)는 본체(10)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원통형의 것이되 상단부 둘레에 이하 부위에 비해 직경이 큰 통수 가능한 스크린(21)이 마련된 것이고, 중간 일측 외면에 본체(10) 일측을 관통하여 외부로부터 이어지면서 선단이 라운드를 이루는 유입관(22)이 마련된 것이며, 하단부의 내면에 연속되는 통공(23)이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볼텍스조(20)에서 통공(23)은 볼텍스조(20)의 하단부 내면에 연속되는 것이되, 특히 볼텍스조(20)와 본체(10) 사이에 위치하는 필터카트리지(30) 하부단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이르는 높이에 상하좌우로 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텍스조(20)의 통공(23)이 필터카트리지(30) 하부단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이르는 높이에 상하좌우로 연속됨으로써 볼텍스조(20)의 통공(23)을 통해 볼텍스조(20) 외부로 배출되는 물은 필터카트리지(30) 하부단과 상부단을 순차적으로 거치게 되므로 필터카트리지(30) 내 여재(31)의 여과에 의한 이물질 분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필터카트리지(30)는 본체(10)와 볼텍스조(20) 사이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입자의 크기가 서로 다른 여재(31)로 충전된 상하 이단의 것이되 각 단이 사분체의 링 형태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필터카트리지(30)에서 상부단과 하부단은 입자의 크기가 서로 다른 여재(31)로 충전된 것이되 특히 상부단의 여재(31) 입자 크기가 하부단의 여재(31) 입자 크기에 비해 작은 것임이 바람직하다.
필터카트리지(30)에서 상부단의 여재(31) 입자 크기가 하부단의 여재(31) 입자 크기에 비해 작은 것임으로써 본체(10) 내에서의 강우유출수가 상향 과정에서 필터카트리지(30) 하부단 여재(31)에서 1차 여과된 이후 필터카트리지(30) 상부단여재(31)에서 2차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필터카트리지(30)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분체의 링 형태로 하는 것은 필터카트리지(30) 설치 및 수거시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기능상 특징을 갖는 것은 아니므로 사분체가 아닌 다른 분리체의 링 형태로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살수관(40)은 필터카트리지(30)의 상부 사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호형으로 된 것이되 각각의 중간에 인접하는 본체(10)의 세척수유출구(13)로 이어지는 주입구(41)가 마련된 것이고, 저면에 필터카트리지(30)로의 물 분사를 위한 물분사구(42)가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살수관(40)은 필터카트리지(30)의 상부에 위치하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카트리지(30)의 외경과 내경 사이의 중간을 따라 연속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살수관(40)이 필터카트리지(30)의 외경과 내경 사이의 중간을 따라 연속되게 설치됨으로써 살수관(40) 저면의 물분사구(42)를 통해 분사되는 물이 필터카트리지(30)의 전부분에 걸쳐 고르게 미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A)는 스크린에 의한 이물질 분류와 여재에 의한 이물질 분류와 침전에 의한 이물질 분류가 가능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의 스크린에 의한 이물질 분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물질(비점오염원)을 포함하는 강우유출수는 볼텍스조(20)에 마련된 유입관(22)을 통해 볼텍스조(20) 내부로 유입되는데, 볼텍스조(20)의 유입관(22) 선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텍스조(20) 외경을 따라 라운드를 이루도록 된 것이어서 유입관(22)을 통해 유입된 강우유출수는 커브를 형성하며 빠른 속도로 유입되면서 볼텍스조(20) 내부의 곡면을 따라 회전하게 되는바, 직경이 큰 본체(10) 내부에서 선회류를 형성하는 것에 비해 강력한 선회류가 형성되므로 선회류 형성 과정에서 강우유출수에 포함된 부유성 이물질(50)의 부상과 입자성 이물질(50)의 침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의 과정에서 선회류에 의해 부상된 이물질(50)은 볼텍스조(20) 내에서의 강우유출수 수위 상승에 따라 볼텍스조(20) 상부에 이르게 되는데, 볼텍스조(20) 상단부에는 통수 가능한 스크린(21)이 마련되어 있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 상승한 강우유출수가 스크린(21)을 통해 볼텍스조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이물질(50)의 유출이 차단되므로 스크린(21)을 통해 부유성 이물질을 분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스크린(21)은 이하 부위에 비해 직경이 큰 것이어서 이하 부위와의 연결부에 단턱이 형성되는 것인 바, 스크린(21)에 걸린 이물질이 단턱에 적층되므로 스크린(21)을 통해 분류된 이물질을 간단히 수거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의 침전에 의한 이물질 분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입관(22)을 통해 볼텍스조(20) 내로 유입되는 강우유출수는 선회류를 형성 한 이후 점차로 회전력이 감소하며 볼텍스조(20) 하부로 향하게 되는데, 볼텍스조(20) 하부에는 콘(17b)이 형성된 경사판(17)이 위치하므로 볼텍스조(20) 하부로 향하는 강우유출수는 콘(17b)과 경사판(17)과 접하면서 볼텍스조(20)와 본체(10) 사이로 상향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에서 볼텍스조(20)와 본체(10) 사이로 상향하는 강우유출수는 그 진행 속도가 현저히 감소하게 되므로 강우유출수에 포함된 미세입자 고형물로 된 이물질(50)의 침전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경사판(17)의 상면에는 돌출홈(17c)이 형성되어 있는바, 상향 과정에서 침전되는 미세입자 고형물로 된 이물질(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판(17)의 돌출홈(17c)을 통해 침전조(19) 내부로 유입되므로 침전에 의한 이물질(50)의 분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침전조(19)에 침전되는 이물질(50)은 바닥경사판(18)의 통공(18a)을 거쳐 하수관으로 배출되어 사후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의 여재에 의한 이물질 분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입관(22)을 통해 볼텍스조(20) 내로 유입되어 선회류를 형성한 이후 하부로 향하는 강우유출수는 볼텍스조(20) 하부에서 콘(17b) 및 경사판(17)과 접하면서 상향되어 블텍스조(20)와 본체(10) 사이로 향하게 되는데, 볼텍스조(20)와 본체(10) 사이에는 상하 이단으로 된 필터카트리지(30)가 마련되어 있는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우유출수가 상향하여 필터카트리지(30) 내의 여재(3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미세입자로 된 이물질(50)의 여과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여재(31)에 의한 이물질(50)의 분류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유입관(22)을 통해 볼텍스조(20) 내로 유입되어 선회류를 형성한 이후 하부로 향하게 되는 강우유출수는 볼텍스조(20) 하단부를 통과하게 되는데, 볼텍스조(20) 하단부의 내면에는 연속되는 통공(23)이 형성되어 있고, 통공(23)이 형성된 볼텍스조(20) 하단부의 외측에는 필터카트리지(30)가 마련되어 있는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23)을 통해 볼텍스조(20) 외부로 유출되는 일부의 강우유출수는 필터카트리지(30) 내의 여재(31)를 거치게 되므로 이때에도 여재(31)에 의한 이물질(50)의 분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여재(31)에서 분류된 이물질(50)은 여재(31) 세척 과정에서 하부로 흘러 경사판(17)의 통공(17a)과 바닥경사판(18)의 통공(18a)을 거쳐 하수관으로 배출되어 사후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A)는 여재(31)를 통한 여과 과정 이후에 여재(31)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것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볼텍스조(20)의 유입관(22)을 통한 강우유출수의 유입량이 본체(10)의 유출관(14)을 통한 강우유출수의 유출량에 비해 큰 경우 본체(10) 내에서의 수위는 점 차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에서 차단마개(16)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구(16a)가 갖는 부력에 의해 본체(10) 내에서의 수위 상승에 따라 상승하여 세척수유출구(13)로 이어지는 사이펀(13a)의 일단을 막게 되므로 세척수유출구(13)로의 물 유출이 차단되는바, 본체(10)의 세척수유입구(12)로 유입되는 필터카트리지(30)를 통과한 처리수 일부는 세척수저장조(15)에서 여재(31) 세척에 소요되는 세척수로서 저장된다.
상기 상태에서 유입관(22)을 통한 강우유출수의 유입이 중단되어 본체(10) 내에서의 강우유출수 수위는 하강하게 될 경우 필터카트리지(30) 내 여재(31)에서의 여과 과정이 종료되는데, 본체(10) 내에서 강우유출수의 수위가 하강하게 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마개(16)의 부구(16a)가 수위 하강에 따라 하강하며 세척수유출구(13)로 이어지는 사이펀(13a)의 일단을 막고 있던 차단마개(16)가 하강하게 되므로 차단마개(16) 하강에 의해 사이펀(13a) 일단이 개방되는 순간부터 세척수저장조(15)에 저장된 세척수가 세척수유출구(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수관(40)의 주입구(41)를 통해 살수관(40) 내부로 유입되어 하단의 물분사구(42)를 통해 필터카트리지(30)로 분사되는바, 여재(31)의 자동 세척에 의해 여재(31) 공극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A)는 스크린에 의한 이물질 분류와 여재에 의한 이물질 분류와 침전에 의한 이물질 분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인 바, 강우유출수의 포함 된 이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여재의 자동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인 바, 여재 공극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어 필터카트리지의 관리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의 전체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에서 볼텍스조의 유입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에서 스크린에 의한 이물질 분류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에서 침전에 의한 이물질 분류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에서 여재에 의한 이물질 분류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에서 여재의 자동 세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에서 차단마개에 의한 세척수유출구의 개방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에서 살수관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 리장치에서 필터카트리지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덮개
12 : 세척수유입구 13 : 세척수유출구
13a : 사이펀 14 : 유출관
15 : 세척수저장조 16 : 차단마개
16a : 부구 17 : 경사판
17a : 통공 17b : 콘
17c : 돌출홈 18 : 바닥경사판
18a : 통공 19 : 침전조
20 : 볼텍스조 21 : 스크린
22 : 유입관 23 : 통공
30 : 필터카트리지 31 : 여재
40 : 살수관 41 : 주입구
42 : 물분사구 50 : 이물질
A :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Claims (6)

  1. 원통형의 것으로, 상단에 분리 결합이 자유로운 덮개가 마련되고, 상부의 사방면에 세척수유입구와 세척수유출구가 높이에 차등을 두고 마련되며, 세척수유입구와 세척수유출구가 형성된 상부의 외측 둘레에 세척수저장조가 마련되고, 일측 세척수유입구와 세척수유출구 사이에 세척수저장조를 관통하여 우수관 또는 하천으로 이어지는 유출관이 마련되며, 각 세척수유출구 전방에 세척수유출구로 이어지는 사이펀이 마련되고, 세척수저장조 내하부에 부구에 의해 승하강하며 각 사이펀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하는 차단마개가 마련되며, 중간부 내측에 하부로 향하면서 점차로 직경이 작아지면서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되고 통공 상부에 원뿔 형태로 된 콘이 형성되며 상면에 방사상으로 돌출홈이 형성된 경사판이 마련되고, 하부에 중앙으로 향하면서 점차로 직경이 작아지면서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된 바닥경사판이 마련되며, 경사판과 바닥경사판 사이에 침전조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원통형의 것이되 상단부 둘레에 이하 부위에 비해 직경이 큰 통수 가능한 스크린이 마련되고, 중간 일측 외면에 본체 일측을 관통하여 외부로부터 이어지면서 선단이 라운드를 이루는 유입관이 마련되며, 하단부의 내면에 연속되는 통공이 마련된 볼텍스조와;
    상기 본체와 볼텍스조 사이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입자의 크기가 서로 다른 여재로 충전된 상하 이단의 것이되 각 단이 사분체의 링 형태로 된 필터카트리지와;
    상기 필터카트리지의 상부 사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호형으로 된 것이되 각각의 중간에 인접하는 본체의 세척수유출구로 이어지는 주입구가 마련되고, 저면에 필터카트리지로의 물 분사를 위한 물분사구가 마련된 살수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세척수유입구는 세척수유출구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경사판에 형성되는 콘은 그 하단이 경사판 상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텍스조의 통공은 볼텍스조의 하단부 내면에 연속되되, 볼텍스조와 본체 사이에 위치하는 필터카트리지 하부단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이르는 높이에 상하좌우로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카트리지의 상부단과 하부단은 입자의 크기가 서로 다른 여재로 충전된 것이되, 상부단의 여재 입자 크기가 하부단의 여재 입자 크기에 비해 작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관은 필터카트리지의 상부에 위치하되, 필터카트리지의 외경과 내경 사이의 중간을 따라 연속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KR1020090036041A 2009-04-24 2009-04-24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906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041A KR100906453B1 (ko) 2009-04-24 2009-04-24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041A KR100906453B1 (ko) 2009-04-24 2009-04-24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6453B1 true KR100906453B1 (ko) 2009-07-08

Family

ID=41337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041A Expired - Fee Related KR100906453B1 (ko) 2009-04-24 2009-04-24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645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353B1 (ko) 2009-06-13 2010-07-05 세보금속스텐(주) 자동 역 세척이 가능한 무동력 마을 간이상수도 여과장치 및 자동 역 세척 방법
KR101195791B1 (ko) 2012-08-23 2012-11-05 뉴엔텍(주) 유량조절 및 클리닝 기능을 가지는 사이클론
KR101577348B1 (ko) 2015-06-02 2015-12-14 수생태복원(주) 스크린, 와류, 여과 및 응집기능 복합형 종합 수처리장치
KR20160044354A (ko) * 2014-10-15 2016-04-25 주식회사우리테크 투수포장을 구비한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KR101757211B1 (ko) * 2016-05-31 2017-07-12 대웅이엔에스 (주) 침전 및 여과 기능이 병행되는 수처리 장치
KR101757205B1 (ko) * 2016-04-22 2017-07-26 대웅이엔에스 (주) 선회 상향류식 수처리 여과장치
CN109804964A (zh) * 2019-02-19 2019-05-28 刘兆奇 自动净化设备及鱼缸
CN119177693A (zh) * 2024-09-30 2024-12-24 苏州茂丰环境技术有限公司 一种雨水回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464B1 (ko) 2005-05-31 2006-10-16 녹스 코리아(주) 초기 강우 정화처리 장치
KR100869775B1 (ko) 2008-06-27 2008-11-2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KR100877027B1 (ko) 2007-12-06 2009-01-07 신강하이텍(주) 수리동력학적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KR20090047857A (ko) * 2007-11-08 2009-05-13 김태곤 비점여과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464B1 (ko) 2005-05-31 2006-10-16 녹스 코리아(주) 초기 강우 정화처리 장치
KR20090047857A (ko) * 2007-11-08 2009-05-13 김태곤 비점여과장치 및 방법
KR100877027B1 (ko) 2007-12-06 2009-01-07 신강하이텍(주) 수리동력학적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KR100869775B1 (ko) 2008-06-27 2008-11-2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353B1 (ko) 2009-06-13 2010-07-05 세보금속스텐(주) 자동 역 세척이 가능한 무동력 마을 간이상수도 여과장치 및 자동 역 세척 방법
KR101195791B1 (ko) 2012-08-23 2012-11-05 뉴엔텍(주) 유량조절 및 클리닝 기능을 가지는 사이클론
WO2014030787A1 (ko) * 2012-08-23 2014-02-27 뉴엔텍(주) 유량조절 및 클리닝 기능을 가지는 사이클론
KR20160044354A (ko) * 2014-10-15 2016-04-25 주식회사우리테크 투수포장을 구비한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KR101672591B1 (ko) * 2014-10-15 2016-11-03 주식회사우리테크 투수포장을 구비한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KR101577348B1 (ko) 2015-06-02 2015-12-14 수생태복원(주) 스크린, 와류, 여과 및 응집기능 복합형 종합 수처리장치
KR101757205B1 (ko) * 2016-04-22 2017-07-26 대웅이엔에스 (주) 선회 상향류식 수처리 여과장치
KR101757211B1 (ko) * 2016-05-31 2017-07-12 대웅이엔에스 (주) 침전 및 여과 기능이 병행되는 수처리 장치
CN109804964A (zh) * 2019-02-19 2019-05-28 刘兆奇 自动净化设备及鱼缸
CN119177693A (zh) * 2024-09-30 2024-12-24 苏州茂丰环境技术有限公司 一种雨水回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6453B1 (ko) 여재의 자동 세척이 가능한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KR101555257B1 (ko) 부상성 입상여재를 이용한 여과형 비점오염저감시설
US7297266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KR100869775B1 (ko) 복합방식 강우유출수 처리장치
KR100998514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CN102774896A (zh) 雨水、污水中颗粒物一体化净化装置及方法
WO2006125168A2 (en) Systems for the removal of solids from fluid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1494296B1 (ko) 무동력 자동 역세척형 초기우수 비점오염 저감시설
CN109372087B (zh) 一种面源控污雨水井
KR101067699B1 (ko) 와류와 여과기능을 이용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846421B1 (ko)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754123B1 (ko) 오일성분의 포집이 가능한 교량용 다단계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KR100955098B1 (ko)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
AU2018288385A1 (en) &#34;device for improving water quality&#34;
KR101036018B1 (ko) 오수의 오염물질 여과기 및 이를 이용한 여과장치
KR100605267B1 (ko) 우수처리장치
KR100956138B1 (ko) 와류형처리부와 경사진 섬유상필터를 갖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053995B1 (ko) 유수분리기
KR200366226Y1 (ko)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
KR20070067943A (ko) 원심 분리식 오수처리장치
KR101106390B1 (ko) 볼텍스 트랩 장치
KR101195091B1 (ko) 지중침투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KR100896056B1 (ko) 우수 처리장치
KR101841463B1 (ko) 여과장치
KR102095891B1 (ko) 입상 여재를 이용한 하향 여과방식의 비점오염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6-X000 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Q16-X000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0070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07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